KR102574717B1 - System for providing message transmitting service using message standby station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message transmitting service using message standby s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717B1
KR102574717B1 KR1020230075173A KR20230075173A KR102574717B1 KR 102574717 B1 KR102574717 B1 KR 102574717B1 KR 1020230075173 A KR1020230075173 A KR 1020230075173A KR 20230075173 A KR20230075173 A KR 20230075173A KR 102574717 B1 KR102574717 B1 KR 102574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terminal
reception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51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준호
Original Assignee
박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호 filed Critical 박준호
Priority to KR1020230075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71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7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42Mailbox-related aspects, e.g. synchronisation of mailbo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48Message addressing, e.g. address format or anonymous messages, ali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메시지 대기소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메시지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불특정 다수로의 메시지 송신을 위하여 메시지 대기소로 메시지 콘텐츠를 전송하는 송신 단말, 메시지 대기소에 대기된 메시지를 경합하여 수신하는 수신 단말 및 송신 단말로부터 메시지 콘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부, 송신 단말에서 불특정 다수로 수신인을 설정한 경우 메시지 대기소로 메시지 콘텐츠를 대기시키는 대기소관리부, 수신 단말에서 메시지 대기소에 대기된 메시지를 경합하여 수신하는 경우 수신처리를 로그로 기록하는 처리부, 수신처리된 메시지 콘텐츠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저장하는 통계관리부를 포함하는 송수신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A system for providing a message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using a message waiting area is provided, and a sending terminal uploads message contents and transmits the message contents to the message waiting area for sending messages to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and a receiving terminal competes and receives messages waiting in the message waiting area. A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message contents from the terminal and a sending terminal, a waiting area management unit that queues message contents in a message waiting area when an unspecified number of recipients are set in a sending terminal, and a reception unit that receives messages queued in a message waiting area in a receiving terminal through contention. It includes a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processing unit that records processing as a log and a statistics management unit that stores statistical data on received and processed message contents.

Description

메시지 대기소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MESSAGE TRANSMITTING SERVICE USING MESSAGE STANDBY STATION}System for providing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ervice using message waiting area {SYSTEM FOR PROVIDING MESSAGE TRANSMITTING SERVICE USING MESSAGE STANDBY STATION}

본 발명은 메시지 대기소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불특정 다수에게 메시지 콘텐츠를 전송할 때 메시지 대기소에 메시지 콘텐츠를 대기시킨 후 수신 단말에서 경합적으로 메시지 콘텐츠를 수신하도록 하는 플랫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a message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using a message waiting area, and provides a platform that enables a receiving terminal to competitively receive message contents after waiting for message contents in a message waiting area when transmitting message contents to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전 세계적으로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스마트기기의 확산으로 다양한 종류의 소셜미디어가 등장했다. 인터넷과 SNS가 사람들의 주요한 커뮤니케이션수단으로 사용되었고, 기업들 또한 다양한 SNS 채널들을 커뮤니케이션과 프로모션의 도구로 활용하고 있으며, 소셜미디어는 스마트폰 등장 이후 가장 영향력 있는 마케팅 채널이 되었다. 또, 인터넷은 사람들이 정보를 검색하고 다른 사람들과 커뮤니케이션 하는 모습을 완전히 바꿔놓았으며, 사회적 상호작용과 정보를 공유하는 주요한 수단 중에 하나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IT 기술이 더욱 발전함에 따라,소셜미디어는 대중매체와 개인 미디어의 경계를 넘어 사용자가 한 사람뿐만 아니라 수백만 또는 수천만에 이르는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편리성 때문에 사용자들은 새로운 콘텐츠를 공유하고 다른 사용자와 네트워킹하기 위해 온라인 커뮤니티와 같은 소셜미디어를 이용한다.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spread of smart devices around the world, various types of social media have emerged. The Internet and SNS have been used as the main means of communication by people, and companies are also using various SNS channels as a tool for communication and promotion, and social media has become the most influential marketing channel since the advent of smartphones. In addition, the Internet has completely changed the way people search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e with others, and it is rapidly becoming one of the primary means of social interaction and sharing information. As IT technology develops further, social media transcends the boundaries between mass media and personal media, allowing users to communicate not only with one person, but also with millions or tens of millions of people. Because of this convenience, users use social media, such as online communities, to share new content and network with other users.

이때, 메시지의 수신대상을 설정한 후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메시지 수신에 따른 리워드를 제공함으로써 메시지의 수신율을 높이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21-0085910호(2021년07월08일 공개) 및 한국공개특허 제2009-0105799호(2009년10월07일 공개)에는, 기 구축된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메시지 수신대상을 설정하고, 수신 단말에서 응답이 전송되는 경우 전송된 응답의 응답량에 따라 개인정보제공자에게 비용을 지급하는 구성과, 사용자 단말에서 메시지를 수신할 때마다 수신 메시지의 유휴공간에 광고가 삽입되는 서비스를 신청한 경우, 사용자 단말로 메시지가 수신될 때마다 광고를 삽입시키고, 수신 메시지의 수에 따라 리워드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At this time, a method of increasing the reception rate of a message by setting a target for receiving a message and then delivering the message or providing a reward according to message reception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Published on July 08) and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9-0105799 (published on October 7, 2009), a message reception target is set based on pre-established personal information, and a response is transmitted from the receiving terminal In the case of a configuration in which a fee is paid to a personal information provider according to the response amount of the received response, and a service in which an advertisement is inserted into the idle space of the received message whenever a message is received by the user terminal, the message is received by the user terminal. A configuration for inserting an advertisement each time and providing a reward to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ceived messages is disclosed.

다만, 전자의 경우 수신대상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개인정보수집이 전제되므로 관계법령에 따른 각종 제한이 발생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수신 메시지마다 광고를 일괄적으로 삽입하는 구성일 뿐이므로 수신을 했다고 할지라도 수신된 메시지가 효과적으로 전달될 것인지는 미지수이다. 최근 소셜미디어의 커뮤니티에는 실명 또는 익명으로 모임을 가지거나 메시지를 전달할 경우가 많이 존재하지만, 불특정 또는 특정 다수가 메시지를 볼 것인지는 여전히 미지수이다. 이에,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메시지 콘텐츠가 작성된 경우 수신율을 높이기 위한 솔루션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However, in the former case, since the coll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s premised to set the receiving target, various restrictions in accordance with related laws occur. It is unknown whether the received message will be delivered effectively. In recent social media communities, there are many cases of holding meetings or sending messages under real name or anonymously, but it is still unknown whether an unspecified number or a specific number of people will see the message. Therefor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solution for increasing the reception rate is required when message contents are created targeting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송신 단말에서 메시지 콘텐츠를 작성한 후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송신을 요청하는 경우, 메시지 대기소에 메시지 콘텐츠를 대기시킨 후, 수신 단말에서 메시지 대기소의 메시지를 경합하여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메시지 콘텐츠를 수동적으로 수신하는 것이 아닌 자발적으로 수신하도록 하고, 메시지 콘텐츠를 수신 및 확인하기 위한 동기를 유발하고 행동을 유도함으로써 메시지 콘텐츠의 도달률 뿐만 아니라 인지율까지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지 대기소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transmitting terminal prepares message contents and then requests transmission to unspecified people, the message contents are queued in a message waiting area and then the receiving terminal competes and receives messages in the message waiting area.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ing a message waiting area to increase not only the reach rate of message content but also the recognition rate by allowing message content to be received voluntarily rather than passively, and to motivate and induce action to receive and check message content A service provision system can be provided. 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메시지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불특정 다수로의 메시지 송신을 위하여 메시지 대기소로 메시지 콘텐츠를 전송하는 송신 단말, 메시지 대기소에 대기된 메시지를 경합하여 수신하는 수신 단말 및 송신 단말로부터 메시지 콘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부, 송신 단말에서 불특정 다수로 수신인을 설정한 경우 메시지 대기소로 메시지 콘텐츠를 대기시키는 대기소관리부, 수신 단말에서 메시지 대기소에 대기된 메시지를 경합하여 수신하는 경우 수신처리를 로그로 기록하는 처리부, 수신처리된 메시지 콘텐츠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저장하는 통계관리부를 포함하는 송수신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ploads message contents and transmits message contents to a message waiting area for message transmission to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A receiving terminal that competes to receive messages and a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message contents from a sending terminal, a waiting area management unit that queues message contents in a message waiting area when an unspecified number of recipients is set in a sending terminal, and a message queued at a message waiting area at a receiving terminal. and a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processing unit that records reception processing as a log when a message is received through contention and a statistics management unit that stores statistical data on received message contents.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송신 단말에서 메시지 콘텐츠를 작성한 후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송신을 요청하는 경우, 메시지 대기소에 메시지 콘텐츠를 대기시킨 후, 수신 단말에서 메시지 대기소의 메시지를 경합하여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메시지 콘텐츠를 수동적으로 수신하는 것이 아닌 자발적으로 수신하도록 하고, 메시지 콘텐츠를 수신 및 확인하기 위한 동기를 유발하고 행동을 유도함으로써 메시지 콘텐츠의 도달률 뿐만 아니라 인지율까지 높일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transmitting terminal creates message contents and then requests transmission to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after waiting the message contents in the message waiting area, the receiving terminal sends a message in the message waiting area. By competing to receive message contents, the message contents are received voluntarily rather than passively, and by inducing motivation and inducing action to receive and check message contents, not only the reach rate of message contents but also the recognition rate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대기소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송수신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대기소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대기소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ystem for providing a message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using a message waiting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
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 message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using a message waiting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5 is an operational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message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using a message waiting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and one or more other characteristic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etc., are used at or approximating that value when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meaning are given, and do not convey an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ccurate or absolute figures are used to help prevent exploitation by unscrupulous infringers of the disclosed disclosure. The term "step of (doing)" or "step of"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step for".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uni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Further, one unit may be realized using two or more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by one hardware. On the other hand, '~ uni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uni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Functions provided within components and '~units' may be combined into smaller numbers of components and '~uni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units'. In addition, components and '~uni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a secure multimedia card.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a terminal, device, or device may be performed instead by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or device. Likewise,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by a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mapping or matching with the terminal mean mapping or matching the terminal's unique number or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ich is the terminal's identifying data. can be interpreted a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대기소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메시지 대기소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송신 단말(100), 송수신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메시지 대기소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ystem for providing a message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using a message waiting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a system 1 for providing a message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using a message waiting area may include at least one transmitting terminal 100, a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at least one receiving terminal 400. . However, since the message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1 using the message waiting area of FIG. 1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ly interpreted through FIG. 1 .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송신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송수신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송신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송수신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At this time, each component of FIG. 1 is general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Network,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at least one transmission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a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a network 200 . In addition, the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transmitting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receiving terminal 400 through the network 200 . In addition, at least one receiving terminal 400 may be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nodes such a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servers, and examples of such networks include a local area network (LAN) and a wide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the Internet (WWW: World Wide Web),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networks, telephone networks, and wired and wireless television communications networks. Examples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3G, 4G, 5G,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 Long Term Evolution (LTE),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Wi-Fi , Internet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RF (Radio Frequency), Bluetooth (Bluetooth) network, NFC ( A Near-Field Communication (Near-Field Communication) network, a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 analog broadcasting network,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network, etc. are included, but not limited thereto.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the term at least one is defined as a term including singular and plural, and even if at least one term does not exist, each component may exist in singular or plural, and may mean singular or plural. It will be self-evident. In addition, the singular or plural number of each componen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embodiments.

적어도 하나의 송신 단말(100)은, 메시지 대기소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메시지 콘텐츠를 생성하고 메시지 콘텐츠를 불특정 다수 또는 특정 다수에게 전달하는 송신인의 단말일 수 있다. 또, 송신 단말(100)은 메시지 콘텐츠에 대한 상태(Status)를 모니터링하고, 수신 단말(400)에서 응답이 입력된 경우 응답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송신 단말(100)은 수신 단말(400)에서 수신을 했는지의 여부 등의 상태에 대한 통계 데이터도 함께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송신인은, 개인, 법인, 개인사업자, 기업, 공공기관 등일 수 있으나, 나열된 것들로 한정되지 않고 열거되지 않은 이유로 배제되지 않는다.At least one transmitting terminal 100 is a sender's terminal that generates message contents using a message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related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using a message waiting area and delivers the message contents to an unspecified number or a specific number of people. can be In addition,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monitors the status of the message content and receives and outputs statistical data for the response when a response is input from the receiving terminal 400 . In addition,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also outputs statistical data on states such as whether or not the receiving terminal 400 has received data. In this case, the sender may be an individual, a corporation, a private business operator, a corporation, a public institution, etc., but is not limited to those listed and is not excluded for reasons not listed.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송신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송신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송신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transmission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In this case, at least one transmitting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transmitting terminal 1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includes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 may include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smartphones, smart pads, tablet PCs, and the like.

송수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메시지 대기소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송신 단말(100)에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메시지 콘텐츠를 전송한 경우, 메시지 대기소에 메시지 콘텐츠를 대기시키고, 수신 단말(400)에서 경합적으로 메시지 콘텐츠를 수신하도록 설정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 송수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송신 단말(100)에서 수신대상을 설정한 경우, 수신대상에 대응하는 조건을 가진 수신 단말(400)의 열람가능리스트에 메시지 콘텐츠를 삽입시키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송신 단말(100)에서 메시지 콘텐츠의 수신에 대한 리워드를 설정하고 제공시점을 설정하는 경우, 수신 단말(400)에서 메시지 콘텐츠를 수신한 경우 설정된 제공시점에 리워드를 지급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송수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신 단말(400)에서 열람대상에 제한을 설정한 경우, 열람대상이 제한된 메시지 콘텐츠는 열람대상으로 리스트업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신 단말(400)의 신고, 답변 및 종료에 대응하는 응답을 취합하여 통계 데이터를 생성한 후 송신 단말(100) 또는 수신 단말(400)로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고, 메시지 콘텐츠의 상태(Status)를 모니터링한 후 역시 통계 데이터로 저장 및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The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a message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using a message waiting area. In addition, when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transmits the message contents to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the transmitting/receiv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waits for the message contents in the message waiting area, and the receiving terminal 400 competitively transmits the message contents. It can be a server that you set up to receive. In addition, the sending/receiv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inserts message contents into a viewable list of the receiving terminal 400 having a cond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target when the receiving terminal 100 sets the receiving target. . In addition, when the sending/receiv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sets a reward for receiving message contents in the sending terminal 100 and sets a provision time point, when the receiving terminal 400 receives the message contents, the reward is provided at the set provision time point. It may be a server that allows payment of In addition, the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sets a restriction on the viewing target in the receiving terminal 400 so that the message content with the restricted viewing target is not listed as the viewing target. In addition, the sending/receiv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s a server that collects responses corresponding to reports, answers, and terminations of the receiving terminal 400, generates statistical data, and then provides it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or the receiving terminal 400. It may also be a server that monitors the status of message contents and then stores and provides them as statistical data.

여기서, 송수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은, 메시지 대기소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열람대상을 제한하거나, 열람가능리스트에 삽입된 메시지 콘텐츠를 열람하거나,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 설정된 메시지 대기소의 메시지 콘텐츠를 경합적으로 수신하는 수신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수신 단말(400)은, 신고, 응답 및 종료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응답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고, 리워드가 설정된 메시지 콘텐츠를 수신한 경우, 기 설정된 제공시점에 리워드를 지급받는 단말일 수 있다.At least one receiving terminal 400, by using a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related to a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ervice using a message waiting area, restricts the viewing target, browses message contents inserted in the viewable list, or unspecified number of messages. It may be the receiver's terminal that competitively receives the message contents of the message waiting area set up for . At this time, the receiving terminal 400 may generate a response event corresponding to any one of reporting, response, and termination, and when receiving message content for which a reward is set, the number of terminals receiving a reward at a preset time point there is.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receiving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In this case, at least one receiving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receiving terminal 4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includes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 may include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smartphones, smart pads, tablet PCs, and the like.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송수신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대기소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and FIGS. 3 and 4 are an embodiment in which a message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using a message waiting area is impleme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for explaining.

도 2를 참조하면, 송수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신부(310), 대기소관리부(320), 처리부(330), 통계관리부(340), 수신제한부(350), 리스트관리부(360), 열람제한부(370), 응답관리부(380), 리워드설정부(390), 응답취합부(391), 리워드사용부(393), 쿠폰발행부(395) 및 모니터링부(397)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cludes a receiving unit 310, a waiting area management unit 320, a processing unit 330, a statistics management unit 340, a reception limiting unit 350, a list management unit 360, It may include a view restriction unit 370, a response management unit 380, a reward setting unit 390, a response collection unit 391, a reward use unit 393, a coupon issuance unit 395, and a monitoring unit 397. there 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송신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로 메시지 대기소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송신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은, 메시지 대기소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송신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A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nother server (not shown)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at least one transmitting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receiving terminal 400 receives a message using a message waiting area. In the case of transmitting a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at least one transmitting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receiving terminal 400 use a message waiting area to transmit/receive a message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You can install or open web pages, etc. In addition, a service program may be driven in at least one transmitting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receiving terminal 400 by using a script executed in a web browser. Here, the web browser is a program that allows users to use the web (WWW: World Wide Web) service, and means a program that receives and displays hypertext described in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For example, Netscape , Explorer, Chrome, and the like. In addition, an application means an application on a terminal, and includes, for example, an app running on a mobile terminal (smart phone).

도 2를 설명하기 이전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용어에 대한 정의를 이하 표 1과 같이 정리한다. 다만, 표 1의 정의 외에도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정의가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Before describing FIG. 2 , definitions of terms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ummarized as shown in Table 1 below. However, in addition to the definitions in Table 1, it will be apparent that various definitions may be applied according to embodiments.

용어Terms 정의Justice 메시지message CS 또는 LTE 망을 통하여 송신되는 SMS, MMS, LMS나, 메신저, 게시판 및 커뮤니티를 통하여 전송되는 것SMS, MMS, LMS transmitted through CS or LTE networks, or transmitted through messengers, bulletin boards, and communities 메시지 콘텐츠message content 텍스트, 사진, 이미지, 음원 및 영상을 포함하는 콘텐츠Content including text, photos, images, audio and video 상점shop 개설하는 주체에 따라 개인상점, 개인사업자 상점 및 법인사업자 상점으로 나뉨.
-개인상점은 사업자번호를 가지지 않은 상점으로 개인 간(P2P) 중고거래가 가능
- 개인사업자 상점 및 법인사업자 상점은 사업자번호가 필요하고, 온오프라인 쇼핑몰에 입점한 상점이며, 상품등록, 상품판매, 쿠폰발행 및 메시지 발송 등의 권한을 가짐
Depending on the entity that opens, it is divided into individual stores, individual business stores, and corporate business stores.
-Individual stores are stores that do not have a business number, and second-hand transactions between individuals (P2P) are possible
- Individual business stores and corporate business stores require a business number, are stores located in online and offline shopping malls, and have the right to register products, sell products, issue coupons, and send messages.
리워드reward 쿠폰, 마일리지, 아이템, 포인트 등을 포함하는 가상화폐Cryptocurrency including coupons, mileage, items, points, etc. 송신 단말transmitting terminal 송신인의 소유이고, 메시지 콘텐츠를 송신하는 단말A terminal that is owned by the sender and transmits the message content 수신 단말receiving terminal 메시지 대기소에 대기중인 메시지 콘텐츠를 경합적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열람가능리스트의 메시지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말A terminal that competitively receives message contents waiting in the message waiting area or receives message contents of a viewable list. 열람가능리스트Viewable list 개인정보 및 키워드 등록으로 수신하고자 하는 메시지 콘텐츠가 리스트업된 리스트A list of message contents to be received by registering personal information and keywords 수신대상destination 송신 단말에서 타겟팅을 위해 설정하는 지역, 개인정보 및 키워드Area, personal information, and keywords set for targeting by the sending terminal 메시지 대기소message waiting room 메시지 콘텐츠가 즉시 수신 단말로 전송되지 않고,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수신 단말이 수신할 때까지 서버에 머무르게 하는 장소A place where the message content is not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but remains on the server until a receiving terminal satisfying a predetermined condition receives it. 유효기간expiration period 메시지 대기소에 메시지 콘텐츠가 머무를 수 있는 기간How long message content can stay in the message queue 수신대기상태Waiting for reception 메시지 대기소에서 메시지 콘텐츠가 머무르는 상태The state in which message content stays in the message queue 수신상태reception status 메시지 대기소에서 수신 단말로 메시지 콘텐츠가 전달된 상태A state in which message content is delivered from the message waiting area to the receiving terminal

도 2를 참조하면, 수신부(310)는, 송신 단말(100)로부터 메시지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송신 단말(100)은, 메시지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다. 메시지 콘텐츠는 불특정 다수가 경합하여 받도록 하는 메시지일 수도 있고, 수신대상을 설정하여 전송하는 메시지일 수도 있다. 메시지의 종류는 수신인에게 도달, 즉 수신인이 수신만을 해도 되는 메시지일 수도 있고, 수신인이 응답을 해야 하는 메시지일 수도 있다. 메시지에 부가되는 리워드는 수신인이 수신만 해도 받을 수 있는 리워드일 수도 있고, 수신인이 응답을 해야 받을 수 있는 리워드일 수도 있다. 이때, 리워드는 쿠폰 또는 포인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Referring to FIG. 2 , the receiving unit 310 may receive message contents from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may upload message contents. The message content may be a message that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compete to receive, or a message that is transmitted after setting a receiving target. The type of message may be a message that reaches the recipient, that is, a message that the recipient only needs to receive, or a message that the recipient needs to respond to. The reward added to the message may be a reward that the recipient can receive just by receiving it, or a reward that the recipient must respond to. In this case, the reward may be a coupon or a poi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대기소관리부(320)는, 송신 단말(100)에서 불특정 다수로 수신인을 설정한 경우 메시지 대기소로 메시지 콘텐츠를 대기시킬 수 있다. 송신 단말(100)은 불특정 다수로의 메시지 송신을 위하여 메시지 대기소로 메시지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대기(StandBy)란, 비동기 커뮤니케이션과 유사하게 메시지가 송신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경우 본 발명의 플랫폼의 메시지 대기소에 머무르게 하고, 수신 단말(400)로는 보내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의 플랫폼 상에서 존재하고 수신 단말(400)에서는 수신가능한 메시지가 있다는 것만을 체크할 수 있는 상태이다. 메시지 콘텐츠를 보기 위해서는 수신 단말(400)은 다른 수신 단말(400)과 경합하여 메시지를 받아야 한다. 예를 들어, 수량이 한정되어 있는 경우 선착순으로 메시지 콘텐츠가 수신 단말(400)에서 수신될 수 있고, 수신 단말(400)은 메시지 콘텐츠를 열어서 출력할 수 있다. The waiting area management unit 320 may wait for message content in the message waiting area when an unspecified number of recipients are set in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may transmit message contents to a message waiting area in order to transmit a message to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At this time, StandBy means a state in which, similar to asynchronous communication, when a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it stays in the message waiting area of th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sent to the receiving terminal 400. That is, it is a state in which only a message that exists on th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received in the receiving terminal 400 can be checked. In order to view message contents, the receiving terminal 400 must compete with other receiving terminals 400 to receive the message. For example, when the quantity is limited, the message contents may be received by the receiving terminal 400 in a first-come, first-served order, and the receiving terminal 400 may open and output the message contents.

처리부(330)는, 수신 단말(400)에서 메시지 대기소에 대기된 메시지를 경합하여 수신하는 경우 수신처리를 로그로 기록할 수 있다. 수신 단말(400)은, 메시지 대기소에 대기된 메시지를 경합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선착순인 경우일 수도 있지만 송신인이 다른 조건을 설정한 경우에는 조건에 부합률이 높은 수신인이 더 높은 확률로 메시지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는 확률을 완전히 랜덤으로 설정할 수도 있고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때, 처리부(330)는, 메시지 대기소의 미수신 메시지에 대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에서 설정한 기준에 대응하는 경우, 송신 단말(100)의 송신취소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330 may record the reception process in a log when the receiving terminal 400 receives a message queued in a message waiting area through contention. The receiving terminal 400 can compete and receive messages queued in the message waiting area.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a case of first-come-first-served basis, but if the sender sets another condition, it may be set so that a receiver with a high matching rate to the condition can receive the message content with a higher probability. Alternatively, the probability may be set completely randomly or may var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t this time, the processing unit 330 may receive and process the transmission cancellation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when the unreceived message in the message waiting area corresponds to the criterion set by th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통계관리부(340)는, 수신처리된 메시지 콘텐츠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e와 같이 송신인이 발송할 메시지 콘텐츠가 100 만 개인데, 수신대기중인 메시지는 30 만개이고, 수신중인 메시지는 300 개, 메시지 콘텐츠에 응답을 한 메시지는 50 개, 메시지 콘텐츠가 신고된 건 수는 20 개, 메시지 콘텐츠를 수신 및 출력만 하고 응답을 하지 않은 채 종료만 한 건 수는 40 개 등으로 메시지의 전달 단계에 따른 상태(Status)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 응답이 존재하는 경우, 설문조사를 집계하는 것과 같이 각 질문에 대한 응답이 몇 개인지, 또 응답의 분포가 어떠한 것인지 등을 통계 데이터로 제공할 수 있다.The statistics management unit 340 may store statistical data on received and processed message content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E, there are 1 million message contents to be sent by the sender, 300 thousand messages waiting to be received, 300 messages being received, and 50 messages responding to the message contents. The number of reported cases is 20, and the number of messages that only received and output message contents and ended without response is 40, etc. Statistical data on the status according to the delivery stage of the message can be stored. In addition, when there are responses, statistical data such as the number of responses to each question and the distribution of responses can be provided as in the case of aggregating a survey.

수신제한부(350)는, 송신 단말(100)에서 수신대상을 설정한 경우, 수신대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대응하는 수신 단말(400)에서 메시지 콘텐츠를 수신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c와 같이 아파트 반장선거를 진행한다고 가정할 때, 아파트 반장선거는 아파트 주민만 가능하므로, 아파트 주민이 위치한 위치를 기준으로 지역을 설정하는 경우, 지역에 위치한 수신 단말(400)에서만 메시지 콘텐츠를 수신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When a receiving target is set in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the reception limiting unit 350 may set the receiving terminal 400 to receive message contents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cond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target. For example, assuming that an apartment chief election is conducted as shown in FIG. 4C, since the apartment chief election is only available to apartment residents, when the region is set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apartment residents, only the receiving terminal 400 located in the region It can be set to receive message content.

리스트관리부(360)는, 수신 단말(400)에서 수신인에 대한 수신인 정보를 설정 및 저장한 경우, 수신대상에 대응하는지의 여부를 파악하고, 수신 단말(400)의 열람가능리스트로의 추가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수신 단말(400)의 수신인이 자신의 취미, 관심사, 거주지, 성별, 나이, 직업 등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고, 송신 단말(100)에서 수신대상을 특정한 경우, 특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수신인 정보를 보유한 수신 단말(400)의 열람가능리스트로 메시지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에도 열람가능리스트로 메시지 대기소에 대기된 상태일 뿐이지 수신인 단말(400)로 전달된 것은 아니다. List management unit 360, when the receiving terminal 400 sets and stores the recipient information for the recipient, determines whether or not it corresponds to the receiving target, and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ing terminal 400 is added to the viewable list. can decide When the recipient of the receiving terminal 400 input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his/her hobbies, interests, residence, gender, age, occupation, etc., and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specifies the receiving target, holding the recipient information meeting the specified conditions Message contents may be provided to the viewable list of the receiving terminal 400 . Even at this time, it is only in a state of waiting in the message waiting area as a viewable list, but has not been delivered to the recipient terminal 400.

열람제한부(370)는, 수신 단말(400)에서 열람대상이 제한되도록 설정한 경우, 열람대상이 제한된 메시지 콘텐츠는 수신 단말(400)의 열람대상으로 리스트업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수신 단말(400)에서 수신거부하고 싶은 대상을 설정하는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열람대상이 제한된 메시지 콘텐츠는 메시지 대기소에 있더라도 열람가능리스트로 추가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수신인이 A 주제에 관련된 메시지 콘텐츠를 받고 싶지 않다고 설정했다면, A 주제와 관련된 키워드를 추가하여 수신거부, 즉 열람대상을 제한할 수 있다. 또는, 수신인이 B 전화번호로 오는 메시지 콘텐츠를 받고 싶지 않다고 설정했다면, B 전화번호로 발신된 메시지 콘텐츠는 열람대상으로 리스트업(Listup) 되지 않는다.When the reading limiting unit 370 is set to limit the viewing target in the receiving terminal 400, the message content with the restricted viewing target can be set so as not to be listed as the viewing target of the receiving terminal 400. This may provide an option for setting a target to be rejected in the receiving terminal 400 . Message contents with restricted viewing targets are not added to the viewable list even if they are in the message waiting area. For example, if the recipient has set not to receive message contents related to topic A, a keyword related to topic A can be added to reject reception, that is, to limit the viewing target. Alternatively, if the recipient has set not to receive message content from phone number B, the message content sent to phone number B is not listed as a viewing target.

응답관리부(380)는, 수신 단말(400)에서 열람대상에 대응하는 메시지 콘텐츠를 수신한 후, 메시지 콘텐츠에 대하여 신고, 답변 및 종료 중 어느 하나의 응답을 전송하도록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만약 메시지 콘텐츠에 욕설, 비방, 차별, 괴롭힘, 성적인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다면 이에 대한 신고를 접수할 수 있다. 물론 신고대상은 상술한 것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답변의 경우 예를 들어 도 3k를 참조하면, 낚시모임에 대한 메시지 콘텐츠인데, 낚시모임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취향을 알기 위하여 도 3k의 질문이 기재되어 있다면, 답변은 제시된 보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낚시모임에 대한 흥미를 돋우기 위하여 회원 수 맞추기 퀴즈를 제공하거나, 회식선호 메뉴를 선택하는 등일 수 있다. 이때, 설문조사를 위한 방법은, 예를 들어 도 3m과 같이 콤보박스, 이미지 콤보박스, 옵션선택, 이미지 옵션선택, 체크박스, 이미지 체크박스, 선다형(Multiple Choice Item), 이미지선다형, 텍스트박스(키보드입력)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종료의 경우 수신된 메시지인 메시지 콘텐츠를 확인한 후 메시지 콘텐츠 창을 닫는 것을 의미한다. Response management unit 380, after receiving the messag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viewing target in the receiving terminal 400, may provide an option to transmit any one of the response of report, reply, and termination for the message content. If the message content contains abusive language, slander, discrimination, harassment, or sexual content, you can report it. Of course, the reporting targe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In the case of an answer,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K, it is message content for a fishing meeting, and if the question of FIG. 3K is described in order to know the taste of people participating in the fishing meeting, the answer is to select one of the suggested options. it could be In addition, in order to arouse interest in the fishing meeting, a quiz for matching the number of members may be provided, or a preferred menu for a dinner party may be selected. At this time, the survey method is, for example, a combo box, image combo box, option selection, image option selection, check box, image check box, multiple choice item, image multiple choice, text box (as shown in FIG. 3M) keyboard input),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case of termination, it means to close the message content window after checking the message content, which is the received message.

리워드설정부(390)는, 송신 단말(100)에서 메시지 콘텐츠를 수신한 수신 단말(400)에 대한 리워드 및 제공시점을 설정하여 발송하도록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n을 참조하면, 청첩장을 지인에게 발송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메시지 콘텐츠를 경합적, 예를 들어 선착순 N 명 내에 든 경우에 리워드(포인트)를 지급한다고 설정하거나, 질문에 응답한 경우에 리워드를 지급한다고 설정하는 등으로 리워드를 어떻게 취득할 것인지, 그리고 그 제공시점은 언제인지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취득시점은, 예를 들어, 수신 시 취득(선착순), 응답 시 취득, 응답 시 취득(선착순), 선택응답 시 취득, 선택응답 시 취득(선착순), 선택응답 정답 시 취득, 선택응답 정답 시 취득(선착순) 등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reward setting unit 390 may provide an option to set and send a reward and provision time for the receiving terminal 400 that has received message contents from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N, assuming that a wedding invitation is sent to an acquaintance, the content of the message is competitive, for example, a reward (point) is set to be paid to the first N people in the first-come-first-served order, or a response to a question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set how to acquire the reward by setting that the reward is paid, and when the reward is provided. At this time, the acquisition time is, for example, acquisition at reception (first-come-first-served basis), acquisition at response, acquisition at response (first-come-first-served basis), acquisition at selection response, acquisition at selection response (first-come-first-served basis), acquisition at selection response correct answer, selection response correct answer It may be set to a city acquisition (first-come-first-served basis),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응답취합부(391)는, 송신 단말(100)에서 메시지 콘텐츠 내 적어도 하나의 질문을 포함시킨 경우, 수신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응답을 취합한 후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여 송신 단말(100) 또는 수신 단말(4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c의 경우는 투표를 전자투표로 진행하는 경우인데 사람이 일일이 카운트를 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어느 투표자가 어느 후보에게 투표를 했는지, 또는 어느 후보자가 몇 개의 표를 받았는지 등을 취합해줄 수 있다. 이 결과는 실시간으로 공유될 수 있지만, 실시간 결과가 투표에 영향을 줄 수도 있으므로 기 설정된 시간 이후 발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아파트 규약이나 각 주민의 합의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The response aggregator 391 collects the responses received from the receiving terminal 400 when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includes at least one question in the message contents, and then generates statistical data so that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or It can be provided to the receiving terminal 400. For example, in the case of FIG. 4C, voting is conducted by electronic voting, but it is not easy for a person to count one by one, so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voter voted for which candidate, or which candidate You can count how many votes you received, etc. This result can be shared in real time, but since the real time result may affect voting, it is also possible to announce it after a predetermined time. It is self-evident that this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partment regulations or the agreement of each resident.

리워드사용부(393)는, 수신 단말(400)에서 메시지 콘텐츠의 수신 또는 메시지 콘텐츠에 대한 응답으로 리워드를 수신한 경우, 기 구축된 쇼핑몰에서 리워드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품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각 수신 단말(400)에서 경합적으로 획득하거나, 수신 또는 응답을 함으로써 획득한 리워드(포인트나 쿠폰)은 도 4d와 같이 온오프라인 매장에서 결제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When the receiving terminal 400 receives message content or receives a reward in response to the message content, the reward use unit 393 configures the shopping mall to use at least one product or service using the reward. can Rewards (points or coupons) obtained competitively from each receiving terminal 400 or obtained by receiving or responding can be set to be used when making a payment at an on/offline store as shown in FIG. 4D.

쿠폰발행부(395)는, 송신 단말(100)에서 메시지 콘텐츠에 쿠폰을 삽입하여 송신하는 경우, 메시지 콘텐츠를 수신한 수신 단말(400)에서 쿠폰을 송신 단말(100)의 상점에서 사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4d와 같이 송신 단말(100)의 송신인이 개인사업자, 기업 등인 경우 어떠한 상점에서 어떤 상품을 살 때 언제까지 어떠한 쿠폰을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 조건의 URL이 포함된 QR 코드가 매장 단말(미도시)에서 스캔되거나 인식되는 경우, 조건이 맞는지의 여부를 파악한 후 적용 여부를 결정하여 결제에 이용할 수 있다. The coupon issuing unit 395 may set the coupon to be used in the store of the sending terminal 100 in the receiving terminal 400 that has received the message content, when the sending terminal 100 inserts the coupon into the message content and transmits the message. there is. As shown in FIG. 4D, when the sender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is an individual business operator or a company, information about which coupons can be used by when and when a product is purchased at a store is databased, and the URL of this condition is included. When the QR code is scanned or recognized by a store terminal (not show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nditions are met, and then whether or not to apply the QR code can be used for payment.

모니터링부(397)는, 메시지 콘텐츠의 현재 위치 및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통계 데이터로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콘텐츠는, 메시지 대기소의 개념인 비동기 커뮤니케이션을 이용하기 때문에, 송신인이 메시지를 발송한다고 하여 바로 수신인의 수신 단말(400)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다. 이에, 현재 메시지 대기소에 대기중인 상태인지, 수신 단말(400)에서 경합적으로 수신을 한 상태인지 등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만약, 수신 단말(400)로 전송된 경우에는, 수신 단말(400)에서 메시지 콘텐츠를 오픈, 즉 화면에 출력시킨 확인 상태인 것인지, 수신은 했으나 아직 열어보지 않은 상태인 것인지를 구분하도록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 메시지 콘텐츠의 질문이 존재하는 경우, 질문에 응답을 한 상태인 것인지 아직 응답을 하지 않은 상태인 것인지, 응답을 했다면 응답의 개수와 종류는 무엇인지 등을 통계 데이터로 제공할 수도 있다.The monitoring unit 397 may generate and store statistical data by monitoring the current location and state of message contents. Since the message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synchronous communication, which is a concept of a message waiting area, it is not immediately transferred to the receiving terminal 400 of the recipient even when the sender sends the messag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 state such as whether the message is currently waiting in the waiting area or whether the receiving terminal 400 has competitively received the message. If it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400, the receiving terminal 400 grasps the status to distinguish whether the message content is open, that is, in a confirmation state where the message conten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r whether it has been received but has not yet been opened. can In addition, when there is a question regarding message content, whether the question has been answered or not yet answered, and if a response has been made, the number and type of responses may be provided as statistical dat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서비스와 타사의 플랫폼 간 차이점을 비교하면 표 2와 같을 수 있다. 수신인특정여부란, 전화번호나 메신저 계정 등을 알아야 보낼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인데, 대부분의 커뮤니케이션 채널은 각 계정이나 전화번호가 있어야 상대방에게 메시지 콘텐츠를 전달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은 상대방의 번호나 계정을 몰라도 불특정 다수에게 메시지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개인정보보호의 수준이 다른 타사의 기술과는 차별될 수 있다. 또, 수신거부고려는 상대방이 수신거부를 한 경우 메시지를 수신 단말(400)의 수신 단(End)이 아닌 서버 단(End)에서 차단을 할 수 있는지의 여부이다. 스마트폰에서 수신거부를 한 경우에는 스마트폰(수신 단)까지는 전달되기 때문에 차단 메시지함에는 항상 메시지 콘텐츠가 남게 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에서는 서버 단에서 차단 메시지를 막아주고 수신 단으로 보내지 않기 때문에 수신 단의 스마트폰의 차단 메시지함에도 메시지가 남게되지 않는다. 수신경합, 통계기능 및 설문기능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A comparison of differences between the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ther companies' platforms may be shown in Table 2. Recipient specificity means that you need to know your phone number or messenger account to send. In most communication channels, you need to have each account or phone number to deliver message content to the other party, b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latform can provide message contents to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without knowing the number or account of the other party, the level of privacy protection can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companies' technologies. Also, to consider rejection of reception is whether or not the server end (End) of the receiving terminal 400 can block the message when the other party rejects the reception. If the smartphone rejects reception, the message content always remains in the blocking message box because it is delivered to the smartphone (receiving end). However, in th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blocks the blocking message and the receiving end Since it is not sent, the message does not remain even in the blocking message box of the receiving end's smartphone. Received synthesis, statistical function, and survey function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so redundant descriptions are omitted.

수신인특정여부Recipient specific 수신거부고려Consider unsubscribing 수신경합Receive Synthesis 통계기능statistics function 설문기능Survey function 본 발명the present invention XX OO OO OO OO SMS/LMS/MMSSMS/LMS/MMS OO XX XX XX XX PinterestPinterest OO XX XX XX XX 카카오톡kakaotalk OO XX XX XX OO 채팅앱/메신저Chat App/Messenger OO OO XX XX XX 소셜미디어social media OO OO XX XX XX

이하, 상술한 도 2의 송수신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of FIG.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s examples.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embodiment is only any on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도 3a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서비스는, [송신→메시지 대기소→수신 경합→수신→통계]의 흐름으로 진행되게 된다. As shown in FIG. 3A, the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eds in the flow of [transmission → message waiting area → reception contention → reception → statistics].

<송신><Send>

[송신] 단계에서 송신 단말(100)은, 메시지 콘텐츠의 항목, 내용 및 수신인의 응답방법 등을 정의하고, 메시지 콘텐츠의 [송신전-송신중-수신전-수신후]의 상태를 문자, 기호 및 이미지와 같은 텍스트 및 콘텐츠로 설정할 수 있고, 포인트, 쿠폰 및 선물과 같은 리워드도 아이콘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는 디자인적인 UI이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송신 단말(100)에서 메시지 콘텐츠를 송신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비용을 지급할 수 있고, 수신 단말(400)에서도 수신비용을 차감받을 수 있다. 메시지 콘텐츠는 수신 단말(400)에서 메시지 콘텐츠를 선택하여 수신할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수신 전 열람참고정보가 부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람참고정보는, 메시지 성격, 제목, 내용, 회신필요여부, 선착순, 비밀번호, 유효기간 등일 수 있다. 송신 단말(100)은 불특정 다수에게 메시지 콘텐츠를 전달할 때, 수신대상, 예를 들어, 지역, 나이대, 성별, 성격, 직업, 취미 등 인구통계학적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송신 단말(100)은, 메시지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유효기간을 설정할 수 있고, 리워드의 제공시점 등도 함께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송신 단말(100)은, 메시지 대기소에 머무르는 미수신 메시지에 대하여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경우 발송취소(회수)를 요청할 수 있고, 이 경우 회수시점에 따라 메시지 대기소에 대기한 비용을 차감하여 회수처리를 요청하고 본 발명의 플랫폼은 회수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In the [Sending] step, the sending terminal 100 defines the message content items, contents, and the recipient's response method, and determines the status of [Before sending-during sending-before receiving-after receiving] of the message contents in letters and symbols. And text and content such as images can be set, and rewards such as points, coupons, and gifts can also be set differently. Since this is a design UI, it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may pay a predetermined cost to transmit message contents, and the receiving terminal 400 may also receive a deduction from the receiving cost. Message contents may be added with reading reference information before reception so that the receiving terminal 400 can determine whether to select and receive the message contents. For example, the reading reference information may include message characteristics, title, content, whether a reply is required, first-come-first-served basis, password, expiration date, and the like. When transmitting message contents to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may set a receiving target, eg, demographic data such as region, age group, gender, personality, occupation, and hobbies.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may set an effective period for receiving message contents, and may also set a time point for providing a reward. At this time,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may request cancellation (recall) of sending when the unreceived message staying in the message waiting area corresponds to a preset condition, and in this case, it is collected by deducting the cost of waiting in the message waiting area according to the collection point. Processing is requested, and th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ceed with recovery processing.

<메시지 대기소→수신 경합><Message Waiting Area → Receive Contention>

수신 단말(400)은 열람가능리스트에 포함된 메시지 콘텐츠 중 열람용참고정보를 조회한 후 메시지 수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 수신 단말(400)은, 메시지 콘텐츠를 수신 시 송신 단말(100)의 설정에 따라 포인트, 쿠폰, 마일리지, 선물 등의 리워드를 취득할 수 있다. 송신 단말(100)에서 복수의 수신 단말(400)로 보낸 동일한 메시지 콘텐츠는 1 번 만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복수신으로 인한 어뷰징(Abusing)을 방지한다. 수신 단말(400)에서 수신한 포인트 등은 수신 단말(400)에서 다른 단말(미도시)로 메시지 콘텐츠를 송신할 때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메시지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 단말(400)이 존재하지 않거나, 수신 단말(400)에서 경합적으로 수신하지 않은 채 유효기간이 도과하면 메시지 콘텐츠는 자동소멸될 수 있고, 송신 단말(100)에서 발송취소를 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수신 단말(400)에서 더 이상 조회가 불가하다.The receiving terminal 400 may determine whether to receive the message after inquiring reference information for viewing among message contents included in the viewable list. In addition, the receiving terminal 400 may acquire rewards such as points, coupons, mileage, and gifts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when receiving message contents. The same message content sent from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to the plurality of receiving terminals 400 can be received only once, thereby preventing abuse due to redundant reception. Points received by the receiving terminal 400 may be used when message contents are transmitted from the receiving terminal 400 to another terminal (not shown). At this time, if the receiving terminal 400 capable of receiving the message contents does not exist, or if the validity period elapses without competitive reception in the receiving terminal 400, the message contents may be automatically destroyed, and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 may cancel the transmission, and accordingly, the receiving terminal 400 is no longer able to inquire.

<수신><receive>

송신 단말(100)에서 설문조사나 응답을 요청한 경우, 수신 단말(400)은 응답을 선택 및 입력할 수 있는데, 송신 단말(100)에서 응답했을 때 또는 입력했을 때 취득가능한 포인트, 즉 리워드를 설정했다면 응답 시 또는 입력 시 기 설정된 리워드가 수신 단말(400)로 지급될 수 있다. 또, 송신 단말(100)에서 광고 페이지에 접속을 유도하거나 광고 콘텐츠를 시청해야 쿠폰이나 할인권 등을 지급한다고 설정했다면, 수신 단말(400)은 송신인이 원하는 대로 행동을 해야 리워드를 얻을 수 있다. 메시지 콘텐츠 내 혐오, 협박, 증오, 욕설 등이 포함된 경우 수신 단말(400)은 [신고]를 선택하여 신고를 할 수 있다. 이때, 송수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송신 단말(100)에서 송신한 메시지의 총 수 중 기 설정된 퍼센트가 초과되는 비율로 신고가 접수된 경우 송신 단말(100)의 계정의 사용을 자동으로 제한할 수 있다. 이때, 민형사상 절차를 진행할 수도 있다.When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requests a survey or a response, the receiving terminal 400 may select and input a response, and set points that can be obtained when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responds or inputs, that is, a reward. If so, a preset reward may be provided to the receiving terminal 400 upon response or input. In addition, if it is set that the sending terminal 100 should induce access to an advertisement page or view advertisement content to provide coupons or discount coupons, the receiving terminal 400 may obtain a reward only when the sender takes an action as desired. If hate, intimidation, hate, profanity, etc. are included in the message content, the receiving terminal 400 may report it by selecting [Report]. At this time, the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utomatically restricts the use of the account of the transmission terminal 100 when a report is received at a rate exceeding a preset percentage of the total number of messages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terminal 100 can do. At this time, civil and criminal proceedings may be conducted.

<통계><Statistics>

송수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메시지 콘텐츠의 송신전, 송신후, 수신전 및 수신후 등의 전달상태의 통계 데이터나, 응답을 취합하여 제공하는 통계 데이터는 시각화하여 제공될 수 있고, 시각화된 근거 데이터를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The sending/receiv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visualize and provide statistical data of delivery status such as message contents before transmission, after transmission, before reception, and after reception, or statistical data provided by collecting responses, and visualized evidence. Data may also be provided.

도 3b를 참조하면, 사업자번호를 가진 사용자(User)와 그렇지 않은 사용자의 포인트 보유 및 발행 여부가 구분되어 있고, 상점을 개설한 후 양수도(양도 및 양수)의 과정을 도시한다. 상점은 개설된 후 양도될 때 그 권리를 포괄적으로 양수할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양수할 수도 있지만, 이는 거래당사자 간 협의 및 합의에 따를 수 있는 부분이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양수도, 위임 등의 관계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송수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도 3c와 같이 쇼핑몰에 입점할 상점에게 어떠한 권한을 줄 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B , it is distinguished whether a user with a business license and a user without a business number are holding and issuing points, and shows a process of transfer (transfer and transfer) after opening a store. When a store is transferred after opening, its rights may be comprehensively or partially transferred, but since this is a part that can be subject to consultation and agreement between the parties to the transac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fer, delegation, etc.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a corresponding function may be provided. The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set what authority to give to a store to enter the shopping mall as shown in FIG. 3C.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우를 정리하면 도 3d와 같고, 도 3e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또 도 3f와 같이 API를 통하여 본 발명의 플랫폼을 구현할 수도 있다. 도 3g를 참조하면 송신 단말(100) 관점의 메시지 대기소이고, 도 3h는 수신 단말(400) 관점의 메시지 대기소이다. 수신대상이 어떻게 설정되어 있는지에 따라 어떠한 메시지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지가 결정될 수 있다. 도 3g와 도 3h의 관계를 보면 도 3i와 같다. 도 3j와 같이 송신 단말(100) 및 수신 단말(400)은 사용자 정보를 설정할 수 있고, 메시지 콘텐츠는 도 3k와 같은 형식으로 작성될 수 있도록 포맷을 제공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l과 같이 수신 단말(400)에서 메시지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고, 송신 단말(100)의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으며, 도 3m과 같이 메시지 콘텐츠 내 응답을 요청하는 설문조사가 포함되어 있다면 이에 대한 응답을 입력할 수도 있다. 도 3n을 보면 상술한 낚시모집 메시지 콘텐츠와 유사하지만 열람가능리스트에 포인트 취득시점이 설정된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송신 단말(100)에서 설정한 것이고, 수신 단말(400)의 수신인은 이를 보고 자신에게 이득이 될 것이라고 생각되는 경우 수신을 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신인은 청첩장을 몇 명이 보았으며, 하객이 좋아하는 음식은 무엇인지 등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예식을 준비할 때의 의사결정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 A f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mmarized as shown in FIG. 3d, and can be implemented as shown in FIG. 3e. In addition, th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through an API as shown in FIG. 3f. Referring to FIG. 3G , a message waiting area from the viewpoint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is shown, and FIG. 3H is a message waiting area from the viewpoint of the receiving terminal 400 . Depending on how the destination is set, what kind of message content can be received can be deter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FIG. 3g and FIG. 3h is the same as that in FIG. 3i. As shown in FIG. 3J,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and the receiving terminal 400 may set user information, and message contents may provide a format to be written in the format shown in FIG. 3K,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shown in FIG. 3L, the receiving terminal 400 can receive message contents and can check the information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and if a survey requesting a response is included in the message contents as shown in FIG. 3M, a response thereto is included. can also be entered. Referring to FIG. 3N, it is similar to the content of the fishing invitation message described above, but it can be seen that the point acquisition point is set in the viewable list. This is set by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and the recipient of the receiving terminal 400 can determine whether to receive the signal if it is thought to be of benefit to him/herself. Accordingly, since the sender can determine how many people have seen the wedding invitation and what kind of food the guests like, decisions can be made quickly and accurately when preparing the ceremony.

도 4a도 상술한 낚시모임 및 청첩장과 유사하지만, 도 4a는 지역축제를 알리는 이벤트 안내이므로 수신대상을 [지역]으로 설정하는 것이 다르다. 도 4b는 주민투표를 안내하면서 쿠폰을 지급하는 화면이고, 도 4c는 투표집계기능을 도시한다. 응답을 취합하여 누가 더 많은 표를 득표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행정동 뿐만 아니라 A 아파트 101 동을 기준으로 반경까지 설정할 수 있다. A 아파트 101 동 주민이 101 동에만 계속 머무르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도 4d 내지 도 4f는 송신 단말(100)의 송신인이 개인, 개인사업자 및 법인사업자 등인 경우 전자쿠폰 등을 어떻게 발행하고 어떻게 사용하는 것인지에 대한 설명 및 플로우를 도시한다. 핵심은 쿠폰의 취득조건, 이용조건, 유효기간 등의 조건을 설정하고,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할 때 이 조건이 맞는 것인지를 플랫폼 상에서 확인해줌으로써 결제를 허용하는 것에 있다. 다만 이 방법은 실시예에 따라 다르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도 4d 내지 도 4f의 프로세스 및 플로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4A is similar to the aforementioned fishing meeting and wedding invitation, but since FIG. 4A is an event guide notifying a local festival, it is different in that the receiving target is set to [region]. 4b is a screen for providing coupons while guiding referendum, and FIG. 4c shows a vote counting function. The responses can be aggregated to see who is getting more votes. At this time, not only the administrative dong, but also the radius can be set based on the 101-dong of A apartment. This is because the residents of Apartment A, Building 101, do not stay in Building 101 all the time. 4D to 4F show descriptions and flows of how to issue and use electronic coupons when the sender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is an individual, individual operator, or corporate operator. The key is to set conditions such as acquisition conditions, usage conditions, and expiration date of coupons, and allow payment by confirming on the platform whether these conditions are met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m. However, since this method may be implemented differently according to embodiments, it is not limited to the processes and flows of FIGS. 4D to 4F.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메시지 대기소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메시지 대기소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Matters not described for the method for providing message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s using the message waiting area of FIGS. 2 to 4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for the method for providing message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using the message waiting area in FIG. Since it can be easily inferre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메시지 대기소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components included in the system for providing a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ervice using the message waiting area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example of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through FIG. 5, bu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such an embodiment, an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may be changed.

도 5를 참조하면, 송수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송신 단말로부터 메시지 콘텐츠를 수신한다(S5100).Referring to FIG. 5 , the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receives message contents from the transmission terminal (S5100).

그리고, 송수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송신 단말에서 불특정 다수로 수신인을 설정한 경우 메시지 대기소로 메시지 콘텐츠를 대기시키고(S5200), 수신 단말에서 메시지 대기소에 대기된 메시지를 경합하여 수신하는 경우 수신처리를 로그로 기록한다(S5300). 또, 송수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수신처리된 메시지 콘텐츠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저장한다(S5400).In addition, when the transmitting terminal sets an unspecified number of recipients, the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waits for message contents in the message waiting area (S5200), and logs the reception process when the receiving terminal receives the message waiting in the message waiting area in competition. It is recorded as (S5300). In addition, the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stores statistical data on received and processed message contents (S5400).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S5100 to S5400)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order of the above-described steps (S5100 to S5400) may be mutually changed, and some of the steps may be simultaneously executed or deleted.

이와 같은 도 5의 메시지 대기소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메시지 대기소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Matters not described for the method for providing message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s using the message waiting area of FIG. 5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for the method for providing message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s using the message waiting area through FIGS. 1 to 4, or from the description. Since it can be easily inferre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대기소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The method for providing a message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using a message waiting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n application or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can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Also, computer readable media may include all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대기소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대기소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providing a message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using a message waiting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by an application basically installed in a terminal (this may include a program included in a platform or operating system basically installed in the terminal). It may be executed, or it may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ie, a program) directly installed in the master terminal by a user through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such as an application store server, an application or a web server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service. In this sense,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providing a message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using a message waiting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ie, a program) that is basically installed in a terminal or directly installed by a user, and is readable by a computer such as a terminal. can be recorded on a recordable medium.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Claims (10)

메시지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불특정 다수로의 메시지 송신을 위하여 메시지 대기소로 상기 메시지 콘텐츠를 전송하는 송신 단말;
메시지 콘텐츠를 보기 위해 상기 메시지 대기소에 대기된 메시지를 다른 수신 단말과 경합하여 수동적으로 수신하는 것이 아닌 자발적으로 수신하는 수신 단말; 및
상기 송신 단말로부터 상기 메시지 콘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송신 단말에서 불특정 다수로 수신인을 설정한 경우 상기 메시지 대기소로 상기 메시지 콘텐츠를 대기시키는 대기소관리부, 상기 수신 단말에서 상기 메시지 대기소에 대기된 메시지를 경합하여 수신하는 경우 수신처리를 로그로 기록하는 처리부, 상기 수신처리된 메시지 콘텐츠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저장하는 통계관리부, 상기 송신 단말에서 수신대상을 설정한 경우, 상기 수신대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대응하는 수신 단말에서 상기 메시지 콘텐츠를 수신하도록 설정하는 수신제한부, 상기 수신 단말에서 수신인에 대한 수신인 정보를 설정 및 저장한 경우, 상기 수신대상에 대응하는지의 여부를 파악하고, 상기 수신 단말의 열람가능리스트로의 추가여부를 결정하는 리스트관리부, 상기 송신 단말에서 상기 메시지 콘텐츠를 수신한 수신 단말에 대한 리워드 및 제공시점을 설정하여 발송하도록 옵션을 제공하는 리워드설정부를 포함하는 송수신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대기는, 메시지가 송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경우 메시지 대기소에 머무르게 하고 수신 단말로는 보내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고,
상기 리워드설정부는,
송신 단말에서 선착순 N 명 내에 드는 경우 리워드가 지급되도록 하거나 질문에 응답한 경우 리워드가 지급되도록 하는 리워드 취득 방법에 대한 설정, 및 리워드의 취득시점을 설정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취득시점은, 선착순으로 수신 시 취득, 응답 시 취득, 선착순으로 응답 시 취득, 선택응답 시 취득, 선착순으로 선택응답 시 취득, 선택응답 정답 시 취득, 또는 선착순으로 선택응답 정답 시 취득으로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송수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송신 단말이 불특정 다수에게 메시지 콘텐츠를 전달할 때 수신 대상으로서 지역, 나이대, 성별, 성격, 직업, 및 취미를 포함한 인구통계학적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신인을 특정하지 않고 상대방의 전화번호나 메신저 계정을 모르는 불특정 다수에게 메시지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수신거부를 고려하여 수신 단말에서 수신거부를 한 경우, 차단 메시지를 서버 단에서 막아주어 수신 단말의 수신 단으로 보내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신 단말의 수신 단의 차단 메시지함에 메시지가 남지 않도록 하고,
송수신 서비스를 송신 단계, 메시지 대기 단계, 수신 경합 단계, 수신 단계 및 통계 단계의 흐름으로 제공 가능하고,
상기 송신 단계에서 송신 단말은, 메시지 콘텐츠의 항목, 내용 및 수신인의 응답방법을 정의하고, 메시지 콘텐츠의 송신전, 송신중, 수신전, 및 수신후의 상태를 문자, 기호 및 이미지를 포함한 텍스트와 콘텐츠로 설정하고, 포인트, 쿠폰 및 선물을 포함한 리워드의 아이콘을 다르게 설정하고, 메시지 콘텐츠를 송신하기 위해 기 설정된 비용을 지급하고, 메시지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유효기간과 리워드의 제공시점을 설정 가능하고, 메시지 대기소에 머무르는 미수신 메시지에 대하여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경우 발송취소에 해당하는 회수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고, 회수 요청시 회수시점에 따라 메시지 대기소에 대기한 비용을 차감하여 회수처리가 진행되도록 하고,
메시지 콘텐츠는 수신 단말에서 메시지 콘텐츠를 선택하여 수신할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수신 전 열람참고정보가 부가되되,
상기 열람참고정보는 메시지 성격, 제목, 내용, 회신필요여부, 선착순, 비밀번호, 및 유효기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경합 단계에서 수신 단말은, 열람가능리스트에 포함된 메시지 콘텐츠 중 열람참고정보를 조회한 후 메시지 수신 여부를 결정하고, 메시지 콘텐츠를 수신 시 송신 단말의 설정에 따라 포인트, 쿠폰, 마일리지, 및 선물을 포함한 리워드를 취득하고, 수신 단말이 수신한 포인트의 경우 다른 단말로 메시지 콘텐츠를 송신할 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송신 단말에서 복수의 수신 단말로 보낸 동일한 메시지 콘텐츠는 1 번 만 수신할 수 있도록 설정됨으로써 중복수신으로 인한 어뷰징(Abusing)이 방지되도록 하고,
메시지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 단말이 존재하지 않거나, 수신 단말에서 경합적으로 수신하지 않은 채 유효기간이 도과하면 메시지 콘텐츠는 자동소멸되도록 설정되고,
송신 단말에서 발송취소한 메시지 콘텐츠는 수신 단말에서 조회 불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인, 메시지 대기소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a transmitting terminal that uploads message contents and transmits the message contents to a message waiting area for message transmission to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a receiving terminal that voluntarily receives a message queued in the message waiting area in order to view message content, rather than passively receiving the message in competition with other receiving terminals; and
A reception unit that receives the message contents from the sending terminal, a waiting area management unit that queues the message contents in the message waiting area when an unspecified number of recipients is set in the sending terminal, and a contention for messages waiting in the message waiting area at the receiving terminal. processing unit to record the reception process as a log, statistics management unit to store statistical data on the contents of the received message, and at least one cond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ption target when the receiving terminal sets a reception target Reception limit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message content in the receiving terminal corresponding to, when the receiving terminal sets and stores recipient information for the recipient, determines whether or not it corresponds to the receiving target, and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ing terminal A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list management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o add to the browseable list, and a reward setting unit that provides an option to send a reward to a receiving terminal that has received the message contents from the transmitting terminal and to set a provision time point;
including,
The standby means a state in which, when a message is received from a sending terminal, the message stays in the waiting area and is not sent to the receiving terminal;
The reward setting unit,
It is possible to set a reward acquisition method and a reward acquisition point so that a reward is paid when the transmitting terminal is within the first N people in the first-come-first-served order or a reward is paid when a question is answered,
The acquisition time may be set to acquisition at the time of reception on a first-come, first-served basis, acquisition at the time of response, acquisition at the time of response on a first-come-first-served basis, acquisition at the time of selection response, acquisition at the time of selection response in first-come-first-served order, acquisition at the time of correct selection response, or acquisition at the time of correct selection response in first-come-first-served order. ca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When a sending terminal delivers message content to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demographic data including region, age, gender, personality, occupation, and hobbies can be set as receiving targets, so that the recipient's phone number or messenger account can be set without specifying the recipi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message content to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who do not know
When the reception terminal rejects reception in consideration of reception rejection, the server side blocks the blocking message so that it is not sent to the receiving terminal of the receiving terminal, so that the message does not remain in the blocking message box of the receiving terminal of the receiving termi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rvices can be provided in the flow of a sending step, a message waiting step, a receiving contention step, a receiving step, and a statistics step,
In the sending step, the sending terminal defines the message content items, contents, and the recipient's response method, and determines the message content before transmission, during transmission, before reception, and after reception of text and content including characters, symbols, and images. It is possible to set the icon of rewards including points, coupons and gifts differently, to pay a preset cost to send message content, and to set the validity period and reward provision time for receiving message content and , When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met for an unreceived message staying in the message waiting area, it is possible to request a recall corresponding to the cancellation of sending, and at the time of the recall request, the collection process proceeds by deducting the cost of waiting in the message waiting area according to the time of collection. ,
The message content is added with reading reference information before reception so that the receiving terminal can determine whether to select and receive the message content,
The reading referenc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message characteristics, title, content, whether a reply is required, first-come-first-served basis, password, and expiration date,
In the reception contention step, the receiving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o receive the message after inquiring for the viewing reference information among the message contents included in the viewable list, and when receiving the message contents, points, coupons, mileage, and Rewards including gifts are acquired, and in the case of points received by the receiving terminal, they can be used when message contents are transmitted to other terminals,
The same message content sent from the sending terminal to the plurality of receiving terminals is configured to be received only once, thereby preventing abusing due to redundant reception,
If there is no receiving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the message content, or if the validity period elapses without contention in the receiving terminal, the message content is set to automatically disappear,
A system for providing a message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using a message waiting area, wherein the message content canceled by the sending terminal is prepared so that the receiving terminal cannot inqui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수신 단말에서 열람대상이 제한되도록 설정한 경우, 상기 열람대상이 제한된 메시지 콘텐츠는 상기 수신 단말의 열람대상으로 리스트업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열람제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대기소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a reading limiting unit configured to prevent the message content with the restricted viewing target from being listed as a viewing target of the receiving terminal when the receiving terminal sets the viewing target to be restricted;
A system for providing a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ervice using a message waiting area further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수신 단말에서 열람대상에 대응하는 메시지 콘텐츠를 수신한 후, 상기 메시지 콘텐츠에 대하여 신고, 답변 및 종료 중 어느 하나의 응답을 전송하도록 옵션을 제공하는 응답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대기소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a response management unit that provides an option to transmit any one of a report, an answer, and an end response to the message content after the receiving terminal receives the messag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viewing target;
A system for providing a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ervice using a message waiting area further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송신 단말에서 상기 메시지 콘텐츠 내 적어도 하나의 질문을 포함시킨 경우,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응답을 취합한 후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송신 단말 또는 수신 단말로 제공하는 응답취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대기소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a response aggregation unit for generating statistical data after collecting responses received from the receiving terminal when the transmitting terminal includes at least one question in the message contents, and providing the generated statistical data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or the receiving terminal;
A system for providing a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ervice using a message waiting area further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수신 단말에서 메시지 콘텐츠의 수신 또는 상기 메시지 콘텐츠에 대한 응답으로 리워드를 수신한 경우, 기 구축된 쇼핑몰에서 상기 리워드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품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설정하는 리워드사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대기소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a reward use unit configured to use at least one product or service by using the reward in a pre-established shopping mall when the receiving terminal receives message content or a reward in response to the message content;
A system for providing a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ervice using a message waiting area further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송신 단말에서 상기 메시지 콘텐츠에 쿠폰을 삽입하여 송신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 콘텐츠를 수신한 수신 단말에서 상기 쿠폰을 상기 송신 단말의 상점에서 사용하도록 설정하는 쿠폰발행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대기소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a coupon issuing unit configured to set the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the message contents to use the coupon in a store of the sending terminal when the transmitting terminal inserts the coupon into the message content and transmits the message;
A system for providing a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ervice using a message waiting area further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메시지 콘텐츠의 현재 위치 및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통계 데이터로 생성 및 저장하는 모니터링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대기소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a monitoring unit for generating and storing statistical data by monitoring the current position and state of the message contents;
A system for providing a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ervice using a message waiting area further comprising a.
KR1020230075173A 2023-06-12 2023-06-12 System for providing message transmitting service using message standby station KR1025747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5173A KR102574717B1 (en) 2023-06-12 2023-06-12 System for providing message transmitting service using message standby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5173A KR102574717B1 (en) 2023-06-12 2023-06-12 System for providing message transmitting service using message standby st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4717B1 true KR102574717B1 (en) 2023-09-04

Family

ID=88018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5173A KR102574717B1 (en) 2023-06-12 2023-06-12 System for providing message transmitting service using message standby s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717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0284A (en) * 2004-12-20 2006-06-23 주식회사 위피아 System for indirect-push-type mobile advertisement marketing service using the multi-message and the method thereof
KR20090105799A (en) * 2008-04-02 2009-10-07 (주)폴리다임 Free message point reserving method in accordance with receiving message having attached advertisement
KR20130020508A (en) * 2011-08-19 2013-02-27 박민우 Bulk message transmission system
KR20140022573A (en) * 2012-08-14 2014-02-25 (주)올넷시스 Method for transmitting short message inserted advertisement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KR20140121036A (en) * 2013-04-05 2014-10-15 인포뱅크 주식회사 Recording Medium, Method and Device for Message Process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0284A (en) * 2004-12-20 2006-06-23 주식회사 위피아 System for indirect-push-type mobile advertisement marketing service using the multi-message and the method thereof
KR20090105799A (en) * 2008-04-02 2009-10-07 (주)폴리다임 Free message point reserving method in accordance with receiving message having attached advertisement
KR20130020508A (en) * 2011-08-19 2013-02-27 박민우 Bulk message transmission system
KR20140022573A (en) * 2012-08-14 2014-02-25 (주)올넷시스 Method for transmitting short message inserted advertisement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KR20140121036A (en) * 2013-04-05 2014-10-15 인포뱅크 주식회사 Recording Medium, Method and Device for Message Process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5693B2 (en) Method for compiling, trend-tracking, transmitting and reporting opinion data
US99654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nd recording the sentiment of a message, posting, or other online communication using an explicit sentiment identifier
JP6061898B2 (en) How the message server works
US823419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nline promotions through a social network-based platform
CN105164663A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controlled interactions
AU201323785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anking and filtering professionals based on user input and activity and interfacing with professionals within an online community
US10349233B2 (en) Interactive communications system
US20150287148A1 (en) Mobile application for volunteer service tracking, promotion, and participation
TW201250611A (en) Message delivery system with consumer attributes collecting mechanism and transaction history recording mechanism 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same
US201200049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offline audience validation
US20140012771A1 (en) Method of Operating a Digital Exchange Serving as an Integrated, Continuous Sponsorship and Promotion System
KR102574717B1 (en) System for providing message transmitting service using message standby station
US20130326589A1 (en) Event Centric Network Application
KR102612403B1 (en) System for providing message transmitting service using message standby station
TWI775687B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KR20160015415A (en) Unified operation system for delivering electronic transmition information
KR101142408B1 (en) User evaluating system using informing message and method thereof
US10135773B2 (en) Communications system
KR102628880B1 (en) System for sharing data using WIFI and method thereof
JP7189980B2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KR20180106211A (en) Research progress system and method using a number of unspecified panels
KR101097237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the buddy of an instant messenger on the web search site
JP7253526B2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JP7302835B1 (en) Caller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Control Method of Caller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and Program
KR101378013B1 (en) System for noticeboard service using identification number and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