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819B1 - Dental implant system - Google Patents

Dental impla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819B1
KR102568819B1 KR1020230032471A KR20230032471A KR102568819B1 KR 102568819 B1 KR102568819 B1 KR 102568819B1 KR 1020230032471 A KR1020230032471 A KR 1020230032471A KR 20230032471 A KR20230032471 A KR 20230032471A KR 102568819 B1 KR102568819 B1 KR 102568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post
head
connecto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24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천석
Original Assignee
이노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노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32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81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819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3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internal slee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라운(인공치아/보철물)과 어버트먼트 사이의 틈새를 커넥터를 이용하여 메꾸어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고 교합력을 흡수 및 완충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 따르면, 걸림 구조물을 이용하여 크라운을 어버트먼트에 결합 고정하는 어버트먼트 스크루 분리형 임플란트 시스템에 있어서, 걸림 구조물에 기인한 단차로 인해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사이에서 발생하는 틈을 커넥터를 이용하여 메꿈으로써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impla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ntal implant that blocks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and absorbs and buffers occlusal force by filling a gap between a crown (artificial tooth/prosthesis) and an abutment using a connector. It's about the system.
According to the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utment screw separable implant system in which the crown is coupled and fixed to the abutment by using a locking structure, there is a gap between the crown and the abutment due to a step caused by the locking structur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food debris can be prevented by filling the gap using a connector.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DENTAL IMPLANT SYSTEM}Dental implant system {DENTAL IMPLANT SYSTEM}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라운(인공치아/보철물)과 어버트먼트 사이의 틈새를 커넥터를 이용하여 메꾸어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고 교합력을 흡수 및 완충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impla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ntal implant that blocks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and absorbs and buffers occlusal force by filling a gap between a crown (artificial tooth/prosthesis) and an abutment using a connector. It's about the system.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쳐(fixture)와, 픽스쳐에 고정되고 저작작용시 가해지는 교합력에 대응하는 압력을 지탱하는 어버트먼트(abutment, 지대주)와, 어버트먼트의 상부, 즉 포스트를 수복하여 자연치아와 유사하게 미적 아름다움을 회복시켜주는 크라운(인공치아/보철물)을 포함한다.The dental implant system basically includes a fixture to be placed in the alveolar bone, an abutment fixed to the fixture and supporting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occlusal force applied during chewing, an upper part of the abutment, In other words, it includes a crown (artificial tooth/prosthetic appliance) that restores an aesthetic beauty similar to that of a natural tooth by restoring the post.

임플란트 시술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먼저 피시술자의 치조골에 픽스쳐를 식립하여 어버트먼트를 고정한다. 그리고,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에 크라운을 결합하여 수복한다. 이때, 저작작용시 크라운이 어버트먼트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인체에 무해한 접착제(cement 또는 bond)를 사용하여 크라운을 부착 고정한다.Briefly explaining the implant procedure, first, the abutment is fixed by placing a fixture in the alveolar bone of the person to be treated. Then, the crown is coupled to the post of the abutment to be restored. At this time, the crown is attached and fixed using an adhesive (cement or bond) harmless to the human body so that the crown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abutment during mastication.

그러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크라운을 어버트먼트에 부착 고정하는 전통적인 시술 방법에서는 시술 후 접착제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일부가 잔류하게 되고, 이렇게 제거되지 않고 잔류된 접착제는 잇몸 주변과 임플란트 주변에 염증을 유발시켜 픽스쳐의 나사산 주변의 치조골(뼈)이 소실될 수 있다. 심한 경우에는 식립된 픽스쳐를 제거한 후 다시 임플란트 시술을 수행해야 하는 등의 부작용이 따를 수 있다. However, in the traditional treatment method of attaching and fixing the crown to the abutment using adhesive, the adhesive is not completely removed after the procedure and some remains, and the remaining adhesive causes inflammation around the gums and implants. By doing so, the alveolar bone (bone) around the screw thread of the fixture can be lost. In severe cases, side effects such as having to perform an implant procedure again after removing the implanted fixture may follow.

KR 10-2480663 B1, 2022. 12. 20.KR 10-2480663 B1, 2022. 12. 20. KR 10-2480666 B1, 2022. 12. 20.KR 10-2480666 B1, 2022. 12. 20.

최근에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크라운을 어버트먼트에 결합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 대한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가령 크라운이 어버트먼트에 결합 및 이탈되는 방향으로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어버트먼트의 상부에 어버트먼트 캡과 같은 걸림 구조물을 결합하여 크라운을 어버트먼트에 결합한다. Recently, technology development for a dental implant system capable of coupling a crown to an abutment without using an adhesive has been actively progressed. For example, the crown is coupled to the abutment by coupling a locking structure such as an abutment cap to the top of the abutment so that the crown can be lock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rown is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abutment.

그러나, 걸림 구조물을 이용하여 크라운을 어버트먼트에 결합 고정하는 구조에서는 기공 과정을 정밀하게 진행한다 하더라도 걸림 구조물로 인해 어버트먼트와 크라운 사이에는 틈이 존재할 수 밖에 없다. 물론 접착제를 사용하여 어버트먼트와 크라운 사이의 틈을 메꿀 수는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부작용으로 인해 접착제 사용에 제약이 따르기 때문에 음식물 찌거기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될 수 밖에 없다.However, in the structure of coupling and fixing the crown to the abutment using the locking structure, even if the pore process is precisely performed, a gap inevitably exists between the abutment and the crown due to the locking structure. Of course, it is possible to fill the gap between the abutment and the crown using an adhesive, but the use of the adhesive is restricted due to the side effects described above, so foreign substances such as food debris are inevitably introduced.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포함하여 걸림 구조물을 이용하여 크라운을 어버트먼트에 결합 고정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될 수 있다. 다만, 접착제의 사용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posed to solve various problems that may occur in an implant system that couples and fixes a crown to an abutment using a locking structure, including the above problems. However, the use of an adhesive is not excluded.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목적)로서, 걸림 구조물을 이용하여 크라운을 어버트먼트에 결합 고정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에서 걸림 구조물에 기인한 단차로 인해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사이에서 발생하는 틈을 커넥터를 이용하여 메꾸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s a problem (purpose)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an implant system for coupling and fixing a crown to an abutment by using a locking structure, a gap generated between the crown and the abutment due to a step caused by the locking structure is removed by using a connector. It is to provide a dental implant system equipped with a connector capable of preventing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by filling it by using.

또한,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로서, 걸림 구조물을 이용하여 크라운을 어버트먼트에 결합 고정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에서, 커넥터를 통해 걸림 구조물에 기인한 단차를 해소하여 크라운이 어버트먼트의 외면에 더욱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걸림 구조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사이에서 발생하는 틈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s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an implant system for coupling and fixing a crown to an abutment using a locking structure, the crown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butment by eliminating the step caused by the locking structure through a connector. It is to provide a dental implant system capable of completely eliminating a gap generated between a crown and an abutment even when a locking structure exists by making them more closely adhered.

또한,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로서, 걸림 구조물을 이용하여 크라운을 어버트먼트에 결합 고정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에서, 걸림 구조물에 기인한 단차로 인해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사이에서 발생하는 틈새를 메꾸기 위해 설치되는 커넥터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어버트먼트의 외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탈락이 방지되는 커넥터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s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an implant system for coupling and fixing a crown to an abutment using a locking structure, a gap generated between the crown and the abutment due to a step caused by the locking structure is reduc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ntal implant system having a connector in which a connector installed to be filled is stably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an abutment without using an adhesive to prevent falling off.

또한,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로서, 걸림 구조물에 기인한 단차로 인해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사이에서 발생하는 틈새를 메꾸기 위해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사이에 커넥터가 설치된 구조에서 크라운이 커넥터가 설치된 어버트먼트를 축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s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ructure in which a connector is installed between the crown and the abutment to fill the gap that occurs between the crown and the abutment due to the step caused by the locking structure, the crown is a connector It is to provide a dental implant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an installed abutment from rotating on an axis.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외에도 후술하는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를 통해 기재된 기술들을 통해 다양한 목적들이 추가로 제공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urpose, and various other objects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hrough the techniques described through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claim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픽스쳐에 결합된 어버트먼트; 상기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의 상부로 돌출된 헤드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스크루; 및 상기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와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의 외면에 씌워지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abutment coupled to the fixture; an abutment screw including a head protruding above the post of the abutment; and a connector covering the outer surface of the post of the abutment and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와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의 외면에 씌워지도록 중공을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의 중공의 내면은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와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의 외면에 대응하여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와 상기 어버트먼트의 커프 사이에 형성된 둔턱을 덮는 수평 연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or has a hollow so as to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post of the abutment and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of the connector is the post of the abutment and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a diameter may decrease toward the top, and a horizontal extension may be formed at a lower end to cover a barrier formed between the post of the abutment and the cuff of the abutment.

또한, 상기 커넥터는 내면 기울기가 상기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의 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의 외면 기울기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or may be formed such that an inner surface inclination is the same as an outer surface inclination of the post of the abutment based on an axial line of the post of the abutment.

또한, 상기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의 외면 또는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의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앵커홈부 또는 앵커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의 내면에는 상기 앵커홈부 또는 앵커돌부에 대응하여 상기 앵커홈부 또는 앵커돌부에 결합되는 내측돌부 또는 내측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one or a plurality of anchor grooves or anchor protrusions ar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ost of the abutment or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and the anchor groove or anchor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or. Correspondingly, an inner protrusion or an inner groove coupled to the anchor groove or anchor protrusion may be formed.

또한, 상기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에 형성된 앵커홈부 또는 앵커돌부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의 하부에서 상기 어버트먼트의 커프의 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nchor groove or anchor protrusion formed on the post of the abutment may extend from the lower part of the post of the abutment to the upper part of the cuff of the abutment.

또한,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의 상부에는 드라이버 홈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driver groove may be formed on the top of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또한,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의 상부에는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에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와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를 수복하도록 결합된 크라운의 수용부에 수용되는 걸림 구조물이 결합 고정되고, 상기 크라운의 수용부의 내면은 상기 걸림 구조물의 헤드에 의해 하측으로 걸림되어 상기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와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a coupling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and the coupling groove is a holding structur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crown coupled to restore the post of the abutment and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This coupling is fixe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crown is engaged downward by the head of the holding structure to be coupled and fixed to the post of the abutment and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또한, 상기 걸림 구조물은 헤드의 하면이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의 상면에 접면하도록 수평면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하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lding structure may be formed in a horizontal plane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or may be formed to have an inclined surface whose outer diameter increas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to the top. there is.

또한, 상기 어버트먼트에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와 상기 어버트먼트의 커프 사이의 둔턱에서 상기 커프의 상부까지 연장되도록 회전 방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 방지홈에 결합되는 수직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와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를 수복하도록 결합된 크라운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 방지홈에 결합되는 회전 방지돌부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anti-rotation groove is formed on the abutment to extend from a bump between the post of the abutment and the cuff of the abutment to an upper portion of the cuff, and a lower portion of the connector is coupled to the anti-rotation groove. A vertical extension is formed, and an anti-rotation protrusion coupled to the anti-rotation groove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rown coupled to restore the post of the abutment and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의 외면을 감싸는 부위와 상기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의 외면을 감싸는 부위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onnector, a portion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and a portion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post of the abutment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의 외면을 감싸는 부위와 상기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의 외면을 감싸는 부위가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onnector, a portion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and a portion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post of the abutmen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커넥터는 고무재, 플라스틱재, 고성능 폴리머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or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a plastic material, a high-performance polymer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또한, 상기 커넥터에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옆트임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one or a plurality of side slits may be formed in the connecto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 따르면, 걸림 구조물을 이용하여 크라운을 어버트먼트에 결합 고정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에서 걸림 구조물에 기인한 단차로 인해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사이에서 발생하는 틈을 커넥터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메꿈으로써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mplant system for coupling and fixing the crown to the abutment using the locking structure, the crown and the abutment are separated due to the step caused by the locking structure.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food waste, can be prevented by stably filling the gaps between them using connector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 따르면, 걸림 구조물을 이용하여 크라운을 어버트먼트에 결합 고정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에서, 크라운과 어버트먼트의 포스트 사이에 커넥터를 위치시켜 걸림 구조물에 기인한 단차(공차의 허용 범위를 벗어나게 제작된 걸림 구조물로 인한 단차)를 해소함으로써 크라운을 어버트먼트의 외면에 더욱 긴밀하게 밀착시켜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사이의 틈을 제거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mplant system for coupling and fixing the crown to the abutment using the locking structure, a connector is placed between the post of the crown and the abutment to secure the locking structur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gap between the crown and the abutment by adhering the crown more closely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butment by resolving the resulting step (step difference due to the locking structure manufactured outside the tolerance rang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 따르면, 걸림 구조물을 이용하여 크라운을 어버트먼트에 결합 고정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에서, 걸림 구조물로 인해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사이에서 발생하는 틈새를 메꾸기 위해 설치되는 커넥터에 내측돌부(또는 내측홈부)를 형성하여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에 형성된 앵커홈부(또는 앵커돌부)에 결합 고정함으로써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커넥터를 어버트먼트의 외면에 결합 고정하여 어버트먼트의 포스트로부터 커넥터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mplant system for coupling and fixing the crown to the abutment using the locking structure, filling the gap between the crown and the abutment due to the locking structure By forming an inner protrusion (or inner groove) on the connector installed for the abutment and fixing it to the anchor groove (or anchor protrusion) formed on the post of the abutment, the connector is coupled and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butment without using adhesiv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nector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post of the butme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 따르면, 걸림 구조물에 기인한 단차로 인해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사이의 틈새를 메꾸기 위해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사이에 커넥터가 설치된 구조에서 어버트먼트의 둔턱과 커프에 회전 방지홈부를 형성하고, 커넥터에는 연장부를 형성하며, 크라운에는 회전 방지돌부를 형성함으로써 크라운이 커넥터가 설치된 어버트먼트를 축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utment in a structure in which a connector is installed between the crown and the abutment to fill the gap between the crown and the abutment due to a step caused by the locking structure By forming an anti-rotation groove on the chin and cuff, an extension part on the connector, and an anti-rotation protrusion on the crow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rown from rotating around the abutment in which the connector is install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 따르면, 걸림 구조물에 기인한 단차로 인해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사이의 틈새를 메꾸기 위해 설치된 커넥터를 고무재 등과 같이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교합력을 흡수하여 자연치아와 같은 자연스러움과 어버트먼트나 픽스쳐 등의 파절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installed to fill the gap between the crown and the abutment due to the level difference caused by the locking structure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rubber, so that the repetitive It absorbs the occlusal force exerted by the natural teeth and prevents the fracture of abutments or fixtur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커넥터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커넥터가 결합될 어버트먼트와 어버트먼트 스크루를 나타낸 도면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커넥터가 적용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구조물에 크라운이 결합 고정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커넥터가 결합될 어버트먼트 및 어버트먼트 스크루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구조물에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3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들.
도 10은 도 9의 구조물에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구조물에 크라운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4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커넥터가 어버트먼트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
도 14는 도 12에 나타낸 커넥터의 하부파트가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도 12에 나타낸 커넥터의 상부파트가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6은 도 12에 나타낸 커넥터의 상부파트가 결합된 어버트먼트 스크루를 커넥터의 하부파트가 결합된 어버트먼트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1 is a view showing a conn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shown in Fig. 1;
3 is a view showing an abutment and an abutment screw to which a connector is coupl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dental implant system to which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5 is views showing a dental implant system in which a crown is coupled and fixed to the structure shown in FIG. 4;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butment and an abutment screw to which the connector shown in FIG. 6 is coupled;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onnectors are coupled to the structure of FIG. 7;
9 is a view showing a connec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onnectors are coupled to the structure of FIG. 9;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rown is coupled to the structure shown in FIG. 10;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shown in Figure 12 is coupled to the abutment.
1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or shown in FIG. 12 is coupled to the post of the abutment;
1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or shown in FIG. 12 is coupled to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1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coupling the abutment screw to which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or shown in FIG. 12 is coupled to the abutment to which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or is coupled;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이다. 또한, 각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은 크기 및 형상이 과도하게 도시될 수도 있는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제한을 두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A 및/또는 B'라 기재된 경우 A와 B 모두를 의미하거나, 또는 A 또는 B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advanta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Also,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n addition, each component shown in each figure may be excessively illustrated in size and shape, which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In addition, when described as 'A and/or B', it may mean both A and B, or either A or B.

걸림 구조물을 이용하여 크라운을 어버트먼트에 결합 고정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일 예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국내 등록특허 제10-2304199호(등록일: 2021.09.14.), 국내 등록특허 제10-2304798호(등록일:2021.09.15.) 등에서 제안된 구조에서는 접착제를 사용할 때보다 더욱 정밀한 크라운 제작이 요구된다. 이는 걸림 구조물이 기계적(물리적)으로 기능하기 때문이다. 걸림 구조물이 허용 공차를 벗어나면 걸림 구조물 간의 결합 과정에서 정밀한 결합이 어렵기 때문이다. As an example of a dental implant system for coupling and fixing a crown to an abutment using a hooking structure,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2304199 (Registration Date: 2021.09.14.), Korean Registered Patent No. proposed by the present applicant In the structure proposed in No. 10-2304798 (registration date: 2021.09.15.), more precise crown production is required than when using an adhesive. This is because the hooking structure functions mechanically (physically).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combine the hooking structures in a coupling process between the hooking structures when the hooking structures are out of tolerance.

걸림 구조물을 적용하고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서의 문제점은 크라운의 수용부(어버트먼트의 포스트가 수용되는 크라운의 내부)의 전체 내면이 안정적으로 어버트먼트의 외면에 틈새없이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기 어렵다는데 있다. 가령 크라운이 어버트먼트에 결합될 때 크라운의 수용부의 일측부에서는 어버트먼트와 밀접하게 결합될 수 있지만 다른 측부에서는 어버트먼트에 긴밀하게 밀착되지 않고 이들 사이에 공간(틈)이 생길 수 있다. 이는 걸림 구조물로 인해 크라운이 어버트먼트의 전체 외면에 균일하게 접면하지 않고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사이에 포인트 컨택(point contact) 또는 라인 컨택(line contact)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The problem in the dental implant system that uses the locking structure is that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crown receiving part (the inside of the crown where the abutment post is accommodated) is stably and closely adher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butment without gaps. It is difficult to combine with . For example, when the crown is coupled to the abutment, one side of the receiving part of the crown may be closely coupled to the abutment, but the other side may not be tightly coupled to the abutment and a space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m. . This is because the crown does not come into uniform contact with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abutment due to the hooking structure, and point contact or line contact is made between the crown and the abutment.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서는 접착제 대신에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사이에 커넥터를 위치시켜 걸림 구조물의 적용으로 인해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틈새를 메꿈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는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사이에 위치되어 접착제를 사용할 때와 같이 기공 과정에서의 오차를 보상할 수 있고, 또한 커넥터의 재질에 따라 크라운에서 전달되는 교합력을 흡수함으로써 자연치아와 같은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or is placed between the crown and the abutment instead of an adhesive to fill the gap that may occur between the crown and the abutment due to the application of the locking structure,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for removal. can These connectors are located between the crown and the abutment to compensate for errors in the dental procedure, as in the case of using adhesives, and also absorb the occlus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crown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connector, allowing natural movement like natural teeth. can provide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사이에 접착제를 대신하여 커넥터를 위치시키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 구조물을 적용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에서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커넥터를 적용하는 작업은 결코 쉽지 않다.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사이의 공간은 마이크로 단위로 미세하다. 이 때문에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는 커넥터 또한 이에 대응하여 마이크로 단위의 두께로 제작되기 때문이다. 마이크로 단위의 두께를 갖는 커넥터는 조작을 어렵게 한다. 이로 인해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사이에 커넥터를 위치시키는 작업은 결코 쉽지 않는 작업이 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nector is placed between the crown and the abutment instead of the adhesive, many advantages can be provided in the implant system using the locking structure. However, applying connectors is never easy. The space between the crown and the abutment is microscopic. For this reason, the connector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crown and the abutment is also manufactured with a micro-unit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is. A connector having a thickness of microns makes manipulation difficult. Because of this, positioning the connector between the crown and the abutment can be a daunting task.

마이크로 단위의 두께를 갖는 커넥터는 시술자(작업자) 측면에서 얇은 두께로 인해 조작을 더욱 어렵게 할 수 있다. 특히 커넥터를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사이의 공간에 설치하기 전에 커넥터의 형태를 그래도 유지시키는 작업 또한 쉽지 않다. 가령 전술한 국내 등록특허 제10-2304199호와 국내 등록특허 제10-2304798호 등의 선행문헌에서와 같이, 걸림 구조물을 어버트먼트 캡으로 사용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서는 어버트먼트의 포스트가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taper) 구조(경사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하단부와 상단부 간의 경사도가 커 커넥터가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사이의 공간에 자리잡지 못하고 탈락할 수 있다. A connector having a micro-unit thickness may make manipulation more difficult from the operator's (operator's) side due to its small thickness. In particular, it is not easy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connector before installing it in the space between the crown and the abutment. For example, as in prior literature such as the aforementioned Korean Patent No. 10-2304199 and Korean Patent No. 10-2304798, in a dental implant system using an abutment structure as an abutment cap, the post of the abutment is As it is made of a taper structure (inclined structure) in which the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upper end, the slope between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is large, and the connector may not be se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crown and the abutment and may fall out.

커넥터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접착제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 등을 감수해야 한다. 이 뿐만 아니라 커넥터에 적합한 접착제를 찾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이 또한 번거로워 작업을 힘들게 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기술적 범주 내에서 접착제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An adhesive may be used to prevent the connector from coming off, but as described above, side effects caused by the use of the adhesive must be endured. In addition to this, since it is necessary to find and use an adhesive suitable for the connector, this can also be cumbersome and make the work difficult.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use of an adhesive within the technical scope.

본 발명은 어버트먼트가 어버트먼트 스크루를 통해 픽스쳐에 결합 고정되고,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가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의 상부로 돌출 결합된 어버트먼트 스크루 분리형 임플란트 시스템에서, 크라운과 어버트먼트의 포스트 및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 사이의 공간을 커넥터를 이용하여 긴밀하게 메꾸기 위해 어버트먼트의 포스트 및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 형상에 대응하도록 커넥터를 형성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n abutment screw-separable implant system in which an abutment is coupled and fixed to a fixture through an abutment screw, and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protrudes and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post of the abutment, the crown and the abutment In order to tightly fill the space between the post of the abutment and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using a connector, the connector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post of the abutment and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이하, 어버트먼트 스크루 분리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커넥터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a connector that can be applied to an abutment screw-separable dental implant syste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실시 예1Example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커넥터를 수직방향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종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shown in FIG. 1 cut in a vertical direc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0)는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하는 테이퍼 구조를 갖는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에 대응하여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1 and 2, the connec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ameter decreasing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in correspondence with the post of the abutment having a tapered structure in which the outer diameter decreases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It may be made of a tapered structure that does.

커넥터(10)는 하부와 상부가 개방되어 상하로 관통된 중공(10a)이 형성되어 있다.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와,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의 상부로 돌출 결합된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는 중공(10a)의 내부에 삽입된다. 중공(10a)은 내면이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와, 포스트의 상부로 돌출 결합되는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의 외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수용되는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와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 외경에 대응하여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nnector 10 has a lower and upper portion open to form a hollow 10a penetrating vertically. The post of the abutment and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protruding upward from the post of the abutment are inserted into the hollow 10a. The hollow 10a has an outer diameter of the post of the abutment and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the inner surface of which is accommoda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ost of the abutment and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protruding and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post. Correspondingly, the inner diameter may decrease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커넥터(1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하단부 둘레를 따라 마치 관 이음의 접속부분에 해당하는 플랜지와 같이 수평으로 절곡 연장되어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와 커프의 경계에 형성된 둔턱을 덮는 수평 연장부(11)를 포함한다. 가령 커넥터(10)는 마치 둘레를 따라 챙이 달린 모자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수평 연장부(11)를 제외한 형상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컵을 뒤집어 놓은 형상, 또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외경 및 내경이 감소하는 원통형과 유사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onnector 10 is bent and extended horizontal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end like a flange corresponding to a connection portion of a pipe joint to cover a bump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post of the abutment and the cuff. It includes part 11. For example, the connector 10 may have a hat structure with a brim attached along the circumference. In addition, the shape except for the horizontal extension part 11 may b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a cup in which the top and bottom are open, or a cylindrical structure in which the outer diameter and the inner diameter decrease from the bottom to the top.

이러한 커넥터(10)는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의 외면(하단에서 상단으로 이어지는 경사도)에 대응하여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외경 및 내경이 모두 감소할 수 있다. 또는 내경만이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의 외면을 따라 감소할 수도 있다. Both the outer diameter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or 10 may decrease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inclination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of the post of the abutment. Alternatively, only the inner diameter may decrease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post of the abutment.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커넥터가 결합될 어버트먼트와 어버트먼트 스크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로서, 좌측은 분해 단면도이고, 우측은 조립 단면도이다. Figure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butment and an abutment screw to which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he left side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the right side is an assembly cross-sectional view.

도 3과 같이, 어버트먼트(20)는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미도시)에 체결 고정되는 어버트먼트 스크루(30)에 의해 픽스쳐에 결합 고정된다. 이러한 어버트먼트(20)는 픽스쳐에 일부 또는 전부가 삽입되는 결합부(21)와, 결합부(21)의 상부에 형성되고 일부 또는 전부가 잇몸에 의해 덮혀지는 커프(cuff, 22)와, 커프(22)의 상부에 형성되고 크라운에 의해 수복되는 포스트(23)를 포함하여 3개의 파트로 구분된다. 또한 커프(22)와 포스트(23)의 경계에는 단차를 갖는 둔턱(22a)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abutment 20 is coupled and fixed to the fixture by an abutment screw 30 fastened to a fixture (not shown) placed in the alveolar bone. The abutment 20 includes a coupling portion 21 partially or entirely inserted into the fixture, a cuff 22 formed on the coupling portion 21 and partially or entirely covered by the gum, It is divided into three parts including the post 23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cuff 22 and restored by the crown. In addition, a barrier 22a having a step i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cuff 22 and the post 23 .

어버트먼트 스크루(30)는 도 3과 같이, 외주면에 나사부(31a)가 형성되어 픽스쳐에 나사 결합되는 몸체(31)와, 몸체(31)의 상부에 형성되고 어버트먼트(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어버트먼트(20)의 포스트(23)의 상부로 돌출 결합되는 헤드(32)를 포함한다. 어버트먼트(20)의 포스트(23)의 상부로 돌출 결합되는 헤드(32)는 포스트(23)와 함께 크라운(미도시)에 형성된 수용부로 삽입되어 크라운에 의해 수복된다.As shown in FIG. 3, the abutment screw 30 is formed on the body 31, which has a threaded portion 31a formed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screwed to the fixture, and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31 and coupled to the abutment 20. It includes a head 32 protrudingly coupled to the top of the post 23 of the abutment 20 in the state of being. The head 32 protruding and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ost 23 of the abutment 20 is inserted into a receiving portion formed in a crown (not shown) together with the post 23 and is restored by the crown.

몸체(31)에는 하부 외주면에 도 3과 같이, 픽스쳐에 나사 결합되기 위해 나사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31)의 상부에는 헤드(32)로 근접할 수록 외경이 증가하는 테이퍼 구조로 이루어진 목부(31b)가 형성된다. 나사부(31a)는 몸체(31)의 하부 일부에만 형성되거나, 목부(31b)의 하부까지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ure 3 on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31, a threaded portion 31a is formed to be screwed into the fixture. In addition, a neck portion 31b having a tapered structure in which an outer diameter increases as the body 31 approaches the head 32 is formed. The threaded portion 31a may be formed only on a lower portion of the body 31 or may exten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neck portion 31b.

목부(31b)는 어버트먼트(20)의 포스트(23)의 내측 걸림턱(23a)에 하측방향으로 걸림된다. 어버트먼트(20)의 포스트(23)의 상부 내측면에는 목부(31b)에 대응하여 테이퍼 구조로 이루어진 내측 걸림턱(23a)이 형성된다. 목부(31b)는 어버트먼트(20)의 포스트(23)에 형성된 내측 걸림턱(23a)에 대면하도록 설치되어 하측방향으로 긴밀하게 결합된다. 목부(31b)는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와 대응하여 내측 걸림턱(23a) 또한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 증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3의 단면과 같이, 목부(31b)와 내측 걸림턱(23a)은 각각 상부로 갈수록 외경 또는 내경이 증가하는 경사면을 갖는 테이퍼(taper) 구조로 형성된다.The neck portion 31b is engaged with the inner locking jaw 23a of the post 23 of the abutment 20 in the downward direction. An inner locking jaw 23a having a tapered structure is form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post 23 of the abutment 20 to correspond to the neck portion 31b. The neck portion 31b is installed to face the inner locking jaw 23a formed on the post 23 of the abutment 20 and is closely coupled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neck portion 31b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outer diameter increases toward the top, and correspondingly, the inner locking jaw 23a also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increases toward the top. As shown in the cross section of FIG. 3, the neck portion 31b and the inner locking jaw 23a are each formed in a tapered structure having an inclined surface with an outer diameter or an inner diameter increasing toward the top.

헤드(32)는 도 3과 같이, 어버트먼트(20)의 포스트(23)의 상부로 돌출 결합되어 어버트먼트(20)의 포스트(23)와 함께 크라운(미도시)의 내부에 수용되는 부위로서, 목부(31b)와 반대로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외면이 경사면을 갖는 테이퍼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크라운의 수용부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head 32 protrudes and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post 23 of the abutment 20 and is received inside the crown (not shown) together with the post 23 of the abutment 20. As a part, as opposed to the neck part (31b), the outer surface has a tapered structure having a slope so that the diameter decreas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so that it can be stably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of the crown.

어버트먼트(20)의 중앙에는 어버트먼트 스크루(30)가 관통 수용되는 중공(20a)이 형성된다. 중공(20a)에는 어버트먼트 스크루(30)의 헤드(32)가 하측방향으로 걸림되도록 내측 걸림턱(2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내측 걸림턱(23a)을 경계로 상하로 헤드(32)와 몸체(31)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가령 내측 걸림턱(23a)을 기준으로 상부는 어버트먼트 스크루(30)의 헤드(32)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부에 비해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중공(20a)에 수용된 어버트먼트 스크루(30)의 헤드(32)는 내측 걸림턱(23a)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걸림 지지된다. A hollow 20a through which the abutment screw 30 is received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abutment 20 . An inner locking jaw 23a may be formed in the hollow 20a so that the head 32 of the abutment screw 30 is lowered. The head 32 and the body 31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diameters from each other up and down with the inner locking jaw 23a as a boundary. For example, based on the inner locking jaw 23a, the upper part is formed to have a larger inner diameter than the lower part so that the head 32 of the abutment screw 30 can be accommodated therein, and the abutment accommodated in the hollow 20a The head 32 of the screw 30 is supported downward by the inner locking jaw 23a.

포스트(23)는 통상 도 3과 같이 커프(22)와 포스트(23) 사이의 경계에 형성된 둔턱(22a)의 상면(하단부)에서부터 상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하는 테이퍼 구조로 형성된다. 커넥터(10)의 기울기 'a1'는 어버트먼트(20)의 포스트(23)의 외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축선을 기준으로 포스트(23)의 기울기 'a2'와 동일한 기울기(경사각)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0)의 높이 'h1'는 어버트먼트(20)의 포스트(23) 높이와 어버트먼트 스크루(30)의 헤드(32)의 높이를 합한 총 높이 'h2'(둔턱(22a)에서 헤드(32)의 상단면까지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post 23 has a tapered structure in which the outer diameter decreases from the upper surface (lower end) to the upper end of the barrier 22a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cuff 22 and the post 23 . The inclination 'a1' of the connector 10 will be formed at the same inclination (inclination angle) as the inclination 'a2' of the post 23 with respect to the axis so as to closely adher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ost 23 of the abutment 20. can In addition, the height 'h1' of the connector 10 is the total height 'h2' of the height of the post 23 of the abutment 20 and the height of the head 32 of the abutment screw 30 (the barrier 22a). It may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from to the top surface of the head 32).

헤드(32)의 상부에는 어버트먼트 스크루(30)를 픽스쳐에 체결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드라이버 공구가 결합되도록 드라이버 홈(32a)이 형성되고, 드라이버 홈(32a)과 연통하도록 드라이버 홈(32a)의 상부에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크라운을 어버트먼트(20)의 포스트(23)와 어버트먼트 스크루(30)의 헤드(32)에 결합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의 걸림 구조물이 체결 고정되는 결합홈부(32b)가 형성된다. 이때, 결합홈부(32b)는 도 3에서와 같이, 가령 암나사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A driver groove 32a is formed on the top of the head 32 so that a driver tool used to fasten and fix the abutment screw 30 to the fixture is coupled, and the driver groove 32a communicates with the driver groove 32a. On the upper part of the coupling groove portion in which various structures for engaging and fixing the crown to the post 23 of the abutment 20 and the head 32 of the abutment screw 30 are fastened and fixed without using an adhesive. (32b) is forme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3, the coupling groove (32b), for example, may be made of a female screw structur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커넥터가 적용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로서, 좌측은 분해 단면도이고, 우측은 조립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ental implant system to which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left side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and the right side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어버트먼트 스크루(30)의 몸체(31)는 어버트먼트(20)의 중공(20a)을 통해 픽스쳐(40)에 체결 고정되고, 이에 따라 어버트먼트(20)는 어버트먼트 스크루(30)에 의해 픽스쳐(40)에 결합 고정된다. 그리고 어버트먼트(20)의 포스트(23)의 측면과, 포스트(23)의 상부로 돌출 결합된 어버트먼트 스크루(30)의 헤드(32)의 측면과, 둔턱(22a)의 상면을 덮도록 커넥터(10)가 결합된다. 1 to 4, the body 31 of the abutment screw 30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fixture 40 through the hollow 20a of the abutment 20, and thus the abutment ( 20) is coupled and fixed to the fixture 40 by the abutment screw 30. In addition, the side surface of the post 23 of the abutment 20, the side surface of the head 32 of the abutment screw 30 protruding to the top of the post 23,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ump 22a are covered. So that the connector 10 is coupled.

도 5는 도 4에 나타낸 구조물에 크라운이 결합 고정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로서, 좌측은 분해 단면도이고, 우측은 조립 단면도이다.Figure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ental implant system in which a crown is coupled and fixed to the structure shown in Figure 4, the left side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the right side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커넥터(10)가 어버트먼트(20)의 포스트(23)의 측면과, 어버트먼트 스크루(30)의 헤드(32)의 측면을 동시에 감싸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포스트(23)와 어버트먼트 스크루(30)의 헤드(32)를 수복하기 위해 커넥터(10)를 덮도록 크라운(60)이 결합된다. 이때, 크라운(60)은 어버트먼트 스크루(30)의 헤드(32)에 형성된 결합홈부(32b)에 체결 고정되는 걸림 구조물(50)을 통해 고정된다. 1 to 5,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10 is coupled to simultaneously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post 23 of the abutment 2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head 32 of the abutment screw 30 In order to repair the post 23 and the head 32 of the abutment screw 30, a crown 60 is coupled to cover the connector 10. At this time, the crown 60 is fixed through the engaging structure 50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 32b formed in the head 32 of the abutment screw 30.

걸림 구조물(50)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어버트먼트 스크루(30)의 헤드(32)에 형성된 결합홈부(32b)에 나사 체결되는 몸체(51)와, 몸체(51)의 상부에 형성된 헤드(52)를 포함한다. 헤드(52)는 몸체(51)에 비해 큰 외경을 갖고 크라운(60)의 수용부(61)의 내부에 수용되어 크라운(60)의 수용부(61)의 내면을 하측방향으로 걸림 지지한다.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engaging structure 50 has a body 51 screwed into the coupling groove 32b formed in the head 32 of the abutment screw 30, and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51. and a formed head 52 . The head 52 has a larger outer diameter than the body 51 and is accommodat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61 of the crown 60 to engage and support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61 of the crown 60 in the downward direction.

걸림 구조물(50)의 헤드(52)는 측면이 몸체(51)의 상단에서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하는 테이퍼 구조(경사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헤드(52)는 하면이 어버트먼트 스크루(30)의 헤드(32)의 상면에 대응하여 수평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5와 같이, 걸림 구조물(50)의 헤드(52)는 크라운(60)의 수용부(61)의 내부에 수용된다. 그리고 크라운(60)의 수용부(61)의 내벽에 하측방향으로 걸림된다. 이에 따라 크라운(60)은 걸림 구조물(50)의 헤드(52)에 의해 어버트먼트(20)의 포스트(23)와 어버트먼트 스크루(30)의 헤드(32)의 외면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The head 52 of the hooking structure 50 may have a tapered structure (inclined surface) in which an outer diameter increases from the upper end of the body 51 to the upper side. As another example,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52 may be made of a horizont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32 of the abutment screw 30. As shown in FIG. 5 , the head 52 of the hooking structure 5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61 of the crown 60 . And it is caught in the lower direction on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portion 61 of the crown (60). Accordingly, the crown 60 may be coupled and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ost 23 of the abutment 20 and the head 32 of the abutment screw 30 by the head 52 of the holding structure 50. there is.

걸림 구조물(50)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걸림 구조물(50)을 어버트먼트 스크루(30)의 헤드(32)에 형성된 결합홈부(32b)에 체결 고정하기 위해 드라이버 공구가 결합되는 드라이버 홈(52a)이 형성될 수 있다. 크라운(60)에는 걸림 구조물(50)이 진입하는 진입홀(62)이 형성되고, 진입홀(62)은 걸림 구조물(50)이 어버트먼트 스크루(30)의 헤드(32)에 체결 고정된 후 레진 등과 같은 충진재를 이용하여 매립된다.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engaging structure 50 is a driver to which a driver tool is coupled to fix the engaging structure 50 to the coupling groove 32b formed in the head 32 of the abutment screw 30. A groove 52a may be formed. An entry hole 62 through which the locking structure 50 enters is formed in the crown 60, and the entry hole 62 is fixed by fastening the locking structure 50 to the head 32 of the abutment screw 30. Then, it is buried using a filler such as resin.

실시 예2Example 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른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커넥터가 결합될 어버트먼트 및 어버트먼트 스크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에서 좌측은 분해 단면도이고, 우측은 조립 단면도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n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butment and an abutment screw to which the connector shown in FIG. 6 is coupled. In FIG. 7, the left side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and the right side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른 커넥터(70)는 수평 연장부(71)와 내면에 상하로 나란하게 형성된 2개의 내측돌부(72, 73)를 포함한다. 그리고 2개의 내측돌부(72, 73)에 대응하여 어버트먼트(80)의 포스트(83)의 외면과 어버트먼트 스크루(90)의 헤드(92)의 외면에는 각각 앵커홈부(83a, 92a)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S. 6 and 7 , the connector 7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rizontal extension part 71 and two inner protrusions 72 and 73 form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on an inner surface. In addition, anchor grooves 83a and 92a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ost 83 of the abutment 8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92 of the abutment screw 90 corresponding to the two inner protrusions 72 and 73, respectively. is formed

내측돌부(72, 73)는 커넥터(70)의 내면에 환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대응하여 앵커홈부(83a, 92a) 또한 어버트먼트(80)의 포스트(83)의 둘레면과 어버트먼트 스크루(90)의 헤드(92)의 둘레면을 따라 환형 구조로 형성된다. 어버트먼트(80)의 포스트(83)에 형성된 앵커홈부(83a)는 둔턱(82a)의 상면에 근접하도록 어버트먼트(80)의 포스트(83)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앵커홈부(83a)의 적어도 일부, 가령 하부는 둔턱(82a)을 침범하여 커프(82)의 상부까지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The inner protrusions 72 and 73 may have an annular structur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or 70 . Correspondingly, the anchor grooves 83a and 92a are also formed in an annular structure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st 83 of the abutment 80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 92 of the abutment screw 90. The anchor groove portion 83a formed in the post 83 of the abutment 80 may b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post 83 of the abutment 80 to be clos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ump 82a. Alternatively, at least a portion of the anchor groove 83a, for example, the lower portion, may exten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uff 82 by invading the barrier 82a.

도 8은 도 7의 구조물에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로서, 좌측은 커넥터가 분리된 상태의 분해 단면도, 우측은 조립된 상태의 조립 단면도이다. FIG. 8 schematically shows a state in which connectors are coupled to the structure of FIG. 7 . The left side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separated state and the right side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an assembled state.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커넥터(70)가 어버트먼트(80)의 포스트(83)의 외면을 덮도록 결합되면, 내측돌부(72)는 어버트먼트 스크루(90)의 헤드(92)에 형성된 앵커홈부(92a)에 결합되고, 내측돌부(73)는 포스트(83)에 형성된 앵커홈부(83a)에 결합된다. 6 to 8, when the connector 70 is coupled to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post 83 of the abutment 80, the inner protrusion 72 is the head 92 of the abutment screw 90 The inner protrusion 73 is coupled to the anchor groove 83a formed in the post 83.

한편, 도 6에서 내측돌부는 한 개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대응하여 앵커홈부 또한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 또는 어버트먼트의 포스트 중 어느 한 부위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내측돌부와 앵커홈부의 개수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Meanwhile, in FIG. 6 , only one inner protrusion may be formed. Correspondingly, the anchor groove may also be formed only on one part of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or the post of the abutment. In this way, the number of inner protrusions and anchor grooves is not limited.

실시 예3Example 3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3에 따른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로서, 도 9의 (a)는 커넥터의 정면도이고, 도 9의 (b)는 (a)에 나타낸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Figure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nec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a) is a front view of the connector, Figure 9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shown in (a).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3에 따른 커넥터(100)는 수평 연장부(101)와, 2개의 내측돌부(102, 103)를 포함한다. 그리고 적어도 일측부에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04)를 더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9 , a connector 1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rizontal extension part 101 and two inner protrusions 102 and 103 . And it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104 extending downward on at least one side.

도 10은 도 9의 구조물에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로서, 좌측은 커넥터가 분리된 상태의 분해 단면도, 우측은 조립된 상태의 조립 단면도이다. FIG. 10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connectors are coupled to the structure of FIG. 9 . The left side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disconnected state, and the right side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an assembled state.

도 9 및 도 10과 같이, 2개의 내측돌부(102, 103)에 대응하여 어버트먼트(110)의 포스트(113)와 어버트먼트 스크루(120)의 헤드(122)에는 앵커홈부(113a, 12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어버트먼트(110)의 커프(112)에는 커넥터(100)의 연장부(104)에 대응하여 앵커홈부(113a)의 일부분과 연결(연통)되도록 회전 방지홈부(112b)가 형성된다. 가령 회전 방지홈부(112b)는 둔턱(112a)으로부터 하측으로 커프(112)의 상부 일부까지 연장 형성된다. 9 and 10, the post 113 of the abutment 110 and the head 122 of the abutment screw 120 correspond to the two inner protrusions 102 and 103, the anchor groove portion 113a, 122a) is formed. In addition, an anti-rotation groove 112b is formed in the cuff 112 of the abutment 110 to b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a portion of the anchor groove 113a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104 of the connector 100. For example, the anti-rotation groove 112b extends downward from the barrier 112a to an upper portion of the cuff 112 .

연장부(104)는 커넥터(100)의 하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한 개 또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대응하여 회전 방지홈부(112b) 또한 한 개 또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방지홈부(112b)는 커프(112)가 상대적으로 포스트(113)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됨에 따라 앵커홈부(113a)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다. One or more extensions 104 may be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nector 100 . Correspondingly, one or a plurality of anti-rotation grooves 112b may be formed. The anti-rotation groove 112b may be formed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anchor groove 113a as the cuff 112 has a relatively larger diameter than the post 113 .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구조물에 크라운이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좌측은 크라운 분리된 상태, 우측은 크라운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다. 1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crown is coupled to the structure shown in FIG. 10 . Here, the left side represents a state where the crown is separated, and the right side represents a state where the crown is assembled.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어버트먼트(110)의 포스트(113)와 어버트먼트 스크루(120)의 헤드(122)를 덮도록 커넥터(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크라운(130)을 결합한다. 이때 크라운(130)의 하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회전 방지돌부(132)는 회전 방지홈부(112b)에 결합된다. 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crown 130 is coupled while the connector 100 is coupled to cover the post 113 of the abutment 110 and the head 122 of the abutment screw 120. do. At this time, the anti-rotation protrusion 13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crown 130 is coupled to the anti-rotation groove 112b.

회전 방지홈부(112b)에는 도 11과 같이, 크라운(130)의 회전 방지돌부(132)가 결합되기 전에 커넥터(100)에 형성된 연장부(104)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회전 방지돌부(132)는 연장부(104)의 상부를 덮도록 회전 방지홈부(112b)에 결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1 , the extension part 104 formed in the connector 100 is coupled to the anti-rotation groove 112b before the anti-rotation protrusion 132 of the crown 130 is coupled. Accordingly, the anti-rotation protrusion 132 may be coupled to the anti-rotation groove 112b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extension 104 .

어버트먼트(110)의 포스트(113)와 어버트먼트 스크루(120)의 헤드(122)가 수복되도록 크라운(130)을 결합한 상태에서 크라운(130)에 형성된 진입홀(131)을 통해 걸림 구조물(140)를 내부로 진입시킨다. 이후 걸림 구조물(140)의 몸체를 어버트먼트 스크루(120)의 헤드(122)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홈부(122a)에 체결하여 크라운(130)을 어버트먼트(110)의 포스트(113)와 어버트먼트 스크루(120)의 헤드(122)에 안정적으로 결합 고정한다. In a state where the crown 130 is coupled so that the post 113 of the abutment 110 and the head 122 of the abutment screw 120 are restored, the structure is engaged through the entry hole 131 formed in the crown 130. (140) into the interior. Thereafter, the body of the engaging structure 140 is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 122a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head 122 of the abutment screw 120 to secure the crown 130 to the post 113 of the abutment 110. It is stably coupled and fixed to the head 122 of the abutment screw 120.

이처럼 하부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크라운(130)의 회전 방지돌부(132)가 회전 방지홈부(112b)에 결합 고정됨으로써 크라운(130)은 어버트먼트(110)를 축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는 한편, 어버트먼트(110)로부터 탈락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s such, the anti-rotation protrusion 132 of the crown 130 protruding inwardly is coupled and fixed to the anti-rotation groove 112b, so that the crown 130 is prevented from rotating around the abutment 110, Falling out of the abutment 110 can be prevented.

실시 예4Example 4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4에 따른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1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4에 따른 커넥터(150)는 하부파트(151)와 상부파트(152)로 분할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부파트(151)에는 하단 둘레에 수평 연장부(151a)가 형성되고, 중공의 내면에는 내측돌부(151b)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파트(152)에는 중공의 내면에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내측돌부(152a)가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 the connector 15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divided into a lower part 151 and an upper part 152 . In the lower part 151, a horizontal extension part 151a may be formed around the lower end, and an inner protrusion 151b may be formed on the hollow inner surface. One or a plurality of inner protrusions 152a may be formed on the hollow inner surface of the upper part 152 .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커넥터가 어버트먼트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로서, 좌측은 커넥터가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 우측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13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shown in FIG. 12 is coupled to an abutment, the left side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parated state, and the right side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ssembled state.

도 12 및 도 13과 같이, 하부파트(151)는 어버트먼트(160)의 포스트(163)의 측면을 덮도록 결합되고, 상부파트(152)는 어버트먼트 스크루(170)의 헤드(172)의 측면을 덮도록 결합된다. 커넥터(150)의 하부파트(151)와 상부파트(152)는 각각 독립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는 일체로 함께 제작된 후 절단을 통해 분할될 수도 있다. 12 and 13, the lower part 151 is coupled to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post 163 of the abutment 160, and the upper part 152 is the head 172 of the abutment screw 170 ) are combined to cover the side of the The lower part 151 and the upper part 152 of the connector 150 may be independently manufactured. Alternatively, it may be manufactured together integrally and then divided through cutting.

도 13과 같이, 일 예로서, 커넥터(150)는 어버트먼트 스크루(170)를 어버트먼트(160)에 결합한 상태에서 하부파트(151)를 어버트먼트(160)의 포스트(163)에 결합한다. 그리고 순차적으로 상부파트(152)를 어버트먼트(160)의 포스트(163)의 상부로 돌출 결합된 어버트먼트 스크루(170)의 헤드(172)의 측면을 덮도록 결합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3, as an example, the connector 150 attaches the lower part 151 to the post 163 of the abutment 160 while the abutment screw 170 is coupled to the abutment 160. combine Then, the upper part 152 may be sequentially coupled to cover the side of the head 172 of the abutment screw 170 protruding upward to the upper part of the post 163 of the abutment 160 .

도 14 내지 도 16는 도 12에 나타낸 커넥터의 다른 예에 따른 결합(설치)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여기서, 도 14는 하부파트가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5는 상부파트가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6은 상부파트가 결합된 어버트먼트 스크루를 하부파트가 결합된 어버트먼트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14 to 16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upling (installation) method of the connector shown in FIG. 12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Here,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rocess of coupling the lower part to the post of the abutment,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rocess of coupling the upper part to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and FIG. 16 is the coupling process of the upper part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rocess of coupling the abutment screw to the abutment to which the lower part is coupled.

도 14와 같이, 커넥터(150)의 하부파트(151)는 어버트먼트(160)의 포스트(163)의 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된다. 이때, 하부파트(151)에 형성된 수평 연장부(151a)는 포스트(163)와 커프(162) 사이의 둔턱(162a)을 덮고, 내측돌부(151b)는 둔턱(162a)의 상측으로 포스트(163)의 하부에 형성된 앵커홈부(163a)에 압수 결합된다. As shown in FIG. 14 , the lower part 151 of the connector 150 is coupled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post 163 of the abutment 160 . At this time, the horizontal extension part 151a formed on the lower part 151 covers the bump 162a between the post 163 and the cuff 162, and the inner protrusion 151b extends the post 163 to the upper side of the bump 162a. ) is pressurized and coupled to the anchor groove portion 163a formed at the bottom of the.

도 15와 같이, 커넥터(150)의 상부파트(152)는 어버트먼트 스크루(170)의 헤드(172)의 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부파트(152)에 형성된 내측돌부(152a)는 어버트먼트 스크루(170)의 헤드(172)에 형성된 앵커홈부(172a)에 암수 결합된다. 15, the upper part 152 of the connector 150 is coupled to surround the side of the head 172 of the abutment screw 170. At this time, the inner protrusion 152a formed in the upper part 152 is male and female coupled to the anchor groove 172a formed in the head 172 of the abutment screw 170.

도 14 및 도 15와 같이, 각각 독립적으로 하부파트(151)가 결합된 어버트먼트(160)와, 상부파트(152)가 결합된 어버트먼트 스크루(170)를 상호 결합한다. 즉, 상부파트(152)가 결합된 어버트먼트 스크루(170)의 몸체(171)가 어버트먼트(160)의 중공을 관통하여 픽스쳐에 체결 고정하여 상부파트(152)가 결합된 어버트먼트 스크루(170)를 하부파트(151)가 결합된 어버트먼트(160)에 간편하게 결합 고정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4 and 15 , the abutment 160 to which the lower part 151 is coupled and the abutment screw 170 to which the upper part 152 is coupled are independently coupled to each other. That is, the body 171 of the abutment screw 170 to which the upper part 152 is coupled passes through the hollow of the abutment 160 and is fastened to the fixture to form an abutment to which the upper part 152 is coupled The screw 170 can be easily coupled and fixed to the abutment 160 to which the lower part 151 is coupl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2 내지 실시 예4에 따른 커넥터에서는 어버트먼트의 포스트 및/또는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에 형성된 앵커홈부에 결합되기 위해 커넥터의 내면 둘레에 내측돌부가 형성된 구조를 일 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일 예로서, 반대 구조도 가능하다. 가령, 어버트먼트의 포스트 및/또는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에 앵커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하여 커넥터의 내면에는 앵커돌부가 결합되는 내측홈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커넥터에 형성된 내측돌부는 환형돌기 이외에 막대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커넥터의 내면에는 내측돌부와 내측홈부가 혼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이와 대응하여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와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에도 앵커돌부와 앵커홈부가 혼합 형성될 수 잇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protrusion is formed arou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or to be coupled to the anchor groove formed in the post of the abutment and/or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The formed structur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is is an example, and the opposite structure is also possible. For example, an anchor protrusion is formed on the post of the abutment and/or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and correspondingly, an inner groove portion to which the anchor protrusion is coupled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or. The inner protrusion formed on the connector may be formed in a bar-like structure in addition to the annular protrusi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or may be formed by mixing an inner protrusion and an inner groove. Of course, correspondingly, the anchor protrusion and the anchor groove may be mixed and formed in the post of the abutment and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 있어서,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와,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의 상부로 돌출 결합된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는 외면 경사도가 포스트의 외면 경사도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와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의 외면에 커넥터를 결합하는 경우에는 커넥터가 제자리를 찾지 못할 수 있다. 제자리를 찾았다 하더라도 외부의 충격이나 자극에 의해 있어야 할 자리를 벗어나 이탈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커넥터의 내면에는 내측돌부(또는 내측홈부)를 형성하고, 어버트먼트의 포스트 및/또는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의 외면에는 앵커홈부(또는 앵커돌부)를 형성하여 커넥터를 어버트먼트의 포스트 및/또는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의 외면에 안정적으로 결합 고정할 수 있다.In the dental implant system, the post of the abutment and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protrudingly coupled to the top of the post of the abutment may have the same external slope as the external slope of the post. Accordingly, when the connector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ost of the abutment and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the connector may not find its place. Even if you have found your place, you may get out of the place you are supposed to be due to external shocks or stimuli. To prevent this, an inner protrusion (or inner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or, and an anchor groove (or anchor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ost of the abutment and/or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to secure the connector to the abutment. It can be stably coupled and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ost of the ment and/or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커넥터에 형성된 내측돌부로 인해 커넥터의 조작은 더욱 쉬워질 수 있다. 커넥터는 마이크로 단위로 제작되어 그 두께가 비교적 얇아 조작이 쉽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2 내지 실시 예4에서와 같이, 커넥터의 내면에 내측돌부를 형성함으로써 내측돌부가 형성된 부위가 부분적으로 두터워져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커넥터는 상단부와 하단부를 다른 부위에 비해 더 두껍게 형성하거나, 상단부와 하단부에 링 구조의 플라스틱재나 니티놀(Ni-Ti 합금)이 결합될 수도 있다. Operation of the connector can be made easier due to the inner protrusion formed on the connector. The connector is manufactured in micro units and its thickness is relatively thin, so it is not easy to manipulate. However, as in Embodiments 2 to 4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inner protrus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or, the portion where the inner protrusion is formed is partially thickened to facilitate manipulation. As another exampl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onnector may be formed thicker than other parts, or a ring structured plastic material or Nitinol (Ni-Ti alloy) may b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커넥터는 부피 변화에 대응하여 신축되는 탄성 특성을 갖는 합성고무,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등과 같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라스틱재나 니티놀(Ni-Ti 합금)과 같이 자체의 휨을 이용하여 탄성 특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가령 부피 변화를 하지 않는 플라스틱재나 딱딱한 금속재(합금)를 사용할 때에는 그 외면에 고무재질을 코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Connector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such as synthetic rubber, silicone rubber, urethane rubber, etc. having an elastic property that expands and contracts in response to a change in volume. It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 properties by using its own bending, such as plastic material or Nitinol (Ni-Ti alloy). For example, when using a plastic material or a hard metal material (alloy) that does not change in volume, a rubber material may be coated on the outer surface.

커넥터가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크라운과 어버트먼트의 포스트 사이 또는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스크루 헤드 및 어버트먼트의 포스트 사이에 설치되어 크라운에서 전달되는 교합력을 흡수하는 탄성체로 기능한다. 커넥터가 부피 변화에 의한 탄성이 아니라 자체의 휨에 의해 탄성을 갖는 고성능 폴리머High-Performance Polymer, HPP), 예를 들어 PEEK(폴리아릴에테르케톤)이나 니티놀(Ni-Ti 합금)과 같은 금속재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커넥터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커넥터에 슬릿홈과 같은 옆트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옆트임은 복수 개로 형성할 수 있다. 커넥터가 플라스틱이나 딱딱한 금속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플라스틱이나 금속재질을 베이스로 하고, 상기 베이스의 적어도 일면에 고무재질을 코팅할 수도 있다. When the connector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it is installed between the crown and the post of the abutment or between the crown and the abutment screw head and the post of the abutment, and functions as an elastic body that absorbs the occlus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crown. The connector is made of high-performance polymer (High-Performance Polymer, HPP) that has elasticity not by volume change but by its own bending, for example, metal materials such as PEEK (polyaryl ether ketone) or Nitinol (Ni-Ti alloy). In this case, a side opening such as a slit groove may be formed in the connector to facilitate operation of the connector. At this time, a plurality of side slits may be formed. If the connector is to be formed using plastic or a hard metal material, the plastic or metal material may be used as a base, and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ase may be coated with a rubber material.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As above,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using specific terms, such terms are only intended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obvious that various change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scribed te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be sai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70, 100, 150 : 커넥터 10a : 중공
11, 71, 101, 151a : 수평 연장부 20, 80, 110, 160 : 어버트먼트
21, 81, 111, 161 : 결합부 22, 82, 112, 162 : 커프
22a, 82a, 112a, 162a : 둔턱 23, 83, 113, 163 : 포스트
23a : 내측 걸림턱 30, 90, 120, 170 : 어버트먼트 스크루
31, 51, 91, 121, 171 : 몸체 31a : 나사부
31b : 목부 32, 52, 92, 122, 172 : 헤드
32a : 드라이버 홈 32b, 122a : 결합홈부
40 : 픽스쳐 50, 140 : 걸림 구조물(어버트먼트 캡)
51 : 몸체 52 : 헤드
52a : 드라이버 홈 60, 130 : 크라운
61 : 수용부 62, 131 : 진입홀
72, 73, 102, 103, 151b : 내측돌부
83a, 92a, 113a, 122a, 163a, 172a : 앵커홈부
104 : 연장부 112b : 회전 방지홈부
132 : 회전 방지돌부 151 : 하부파트
152 : 상부파트
10, 70, 100, 150: connector 10a: hollow
11, 71, 101, 151a: horizontal extension part 20, 80, 110, 160: abutment
21, 81, 111, 161: coupling part 22, 82, 112, 162: cuff
22a, 82a, 112a, 162a: bump 23, 83, 113, 163: post
23a: inner locking jaw 30, 90, 120, 170: abutment screw
31, 51, 91, 121, 171: Body 31a: Thread
31b: Neck 32, 52, 92, 122, 172: Head
32a: driver groove 32b, 122a: coupling groove
40: fixture 50, 140: holding structure (abutment cap)
51: body 52: head
52a: driver groove 60, 130: crown
61: receiving part 62, 131: entry hole
72, 73, 102, 103, 151b: medial protrusion
83a, 92a, 113a, 122a, 163a, 172a: anchor groove
104: extension 112b: anti-rotation groove
132: anti-rotation protrusion 151: lower part
152: upper part

Claims (13)

픽스쳐에 결합된 어버트먼트;
상기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의 상부로 돌출된 헤드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스크루; 및
상기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와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의 외면에 씌워지는 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의 외면을 감싸는 부위와 상기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의 외면을 감싸는 부위가 서로 분리되거나, 서로 일체로 형성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an abutment coupled to the fixture;
an abutment screw including a head protruding above the post of the abutment; and
a connector covered on outer surfaces of the post of the abutment and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including,
In the connector, a portion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and a portion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post of the abutmen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or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Dental implan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와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의 외면에 씌워지도록 중공을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의 중공의 내면은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와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의 외면에 대응하여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와 상기 어버트먼트의 커프 사이에 형성된 둔턱을 덮는 수평 연장부가 형성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or has a hollow so as to be cover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ost of the abutment and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of the connector i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ost of the abutment and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Correspondingly, the dental implant system is formed so that the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top, and a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covering a barrier formed between the post of the abutment and the cuff of the abutment is formed at the lower e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내면 기울기가 상기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의 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의 외면 기울기와 동일하게 형성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dental implant system of claim 1 , wherein the connector has an inner surface inclination equal to an outer surface inclination of the post of the abutment with respect to an axial line of the post of the abut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의 외면 또는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의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앵커홈부 또는 앵커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의 내면에는 상기 앵커홈부 또는 앵커돌부에 대응하여 상기 앵커홈부 또는 앵커돌부에 결합되는 내측돌부 또는 내측홈부가 형성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One or a plurality of anchor grooves or anchor protrusions ar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ost of the abutment or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or corresponds to the anchor groove or anchor protrusion. A dental implant system having an inner protrusion or an inner groove coupled to the anchor groove or the anchor protrus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에 형성된 앵커홈부 또는 앵커돌부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의 하부에서 상기 어버트먼트의 커프의 상부까지 연장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The anchor groove or anchor protrusion formed on the post of the abutment extends from the lower part of the post of the abutment to the upper part of the cuff of the abutment dental implan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의 상부에는 드라이버 홈이 형성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dental implant system in which a driver groove is formed on the top of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의 상부에는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에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와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를 수복하도록 결합된 크라운의 수용부에 수용되는 걸림 구조물이 결합 고정되고,
상기 크라운의 수용부의 내면은 상기 걸림 구조물의 헤드에 의해 하측으로 걸림되어 상기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와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에 결합 고정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coupling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A locking structur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of the crown coupled to restore the post of the abutment and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is coupled and fixed to the coupling groove,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crown is engaged downward by the head of the holding structure and coupled and fixed to the post of the abutment and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Dental implant system.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구조물은 헤드의 하면이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의 상면에 접면하도록 수평면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하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The holding structure is a dental implant system formed to have a horizontal surface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or to have an inclined surface whose outer diameter increas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to the upper part.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에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와 상기 어버트먼트의 커프 사이의 둔턱에서 상기 커프의 상부까지 연장되도록 회전 방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 방지홈에 결합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와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루의 헤드를 수복하도록 결합된 크라운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 방지홈에 결합되는 회전 방지돌부가 형성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n anti-rotation groove is formed on the abutment to extend from a bump between the post of the abutment and the cuff of the abutment to an upper portion of the cuff, and an extension coupled to the anti-rotation groove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nnector. A dental implant system in which an anti-rotation protrusion coupled to the anti-rotation groove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crown coupled to restore the post of the abutment and the head of the abutment screw.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고무재, 플라스틱재, 고성능 폴리머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or is a dental implant system made of a rubber material, a plastic material, a high-performance polymer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옆트임이 형성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Dental implant system formed with one or a plurality of side slits in the connector.
KR1020230032471A 2023-03-13 2023-03-13 Dental implant system KR1025688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2471A KR102568819B1 (en) 2023-03-13 2023-03-13 Dental impla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2471A KR102568819B1 (en) 2023-03-13 2023-03-13 Dental implan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8819B1 true KR102568819B1 (en) 2023-08-22

Family

ID=87799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2471A KR102568819B1 (en) 2023-03-13 2023-03-13 Dental impla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819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7908A (en) * 2009-04-27 2010-11-04 정성민 Error correction component for sealing abutment and core for implant operation
JP2014515960A (en) * 2011-05-16 2014-07-07 バイオメット・3アイ・エルエルシー Temporary prosthesis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an abutment
KR20200025561A (en) * 2018-08-30 2020-03-10 주식회사 바로덴 Dental Implant
KR102363645B1 (en) * 2021-07-26 2022-02-15 장천석 Abutments for implants with connector to reduce the diameter of the screw hole
KR102480666B1 (en) 2022-04-22 2022-12-27 이노덴 주식회사 Implant abutment for absorbing external shock in response to bite force and manufacturing methdo therof
KR102480663B1 (en) 2022-03-22 2022-12-27 이노덴 주식회사 Method for manufacturing implant structure with a crown moving in response to bite force and the implant structur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7908A (en) * 2009-04-27 2010-11-04 정성민 Error correction component for sealing abutment and core for implant operation
JP2014515960A (en) * 2011-05-16 2014-07-07 バイオメット・3アイ・エルエルシー Temporary prosthesis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an abutment
KR20200025561A (en) * 2018-08-30 2020-03-10 주식회사 바로덴 Dental Implant
KR102363645B1 (en) * 2021-07-26 2022-02-15 장천석 Abutments for implants with connector to reduce the diameter of the screw hole
KR102480663B1 (en) 2022-03-22 2022-12-27 이노덴 주식회사 Method for manufacturing implant structure with a crown moving in response to bite force and the implant structur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KR102480666B1 (en) 2022-04-22 2022-12-27 이노덴 주식회사 Implant abutment for absorbing external shock in response to bite force and manufacturing methdo ther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4318B2 (en) Dental anchor apparatus and method
KR101881421B1 (en) Abutment assembly
JP6461004B2 (en) Abutment and method for attaching an abutment to a dental implant
JP6346903B2 (en) Dental device fixation unit elastically fixed in the implant and / or dental device fixation unit fixed in the implant allowing optional angular position adjustment
JP6959146B2 (en) Screwless dental implant connection
JPH0457344B2 (en)
US6394808B2 (en) Prosthetic device for intraosseous dental implants
JP2006520249A (en) Screw / cement maintenance type prosthesis treatment method, screw / cement maintenance type prosthesis abutment and implant
KR102304199B1 (en) Non-adhesive thumbtack-shaped abutment and implant having the same
KR20080049378A (en) Implant unit using dentistry
KR20090002387A (en) Double contact type dental implant system
KR20200082806A (en) Dental implant whichof crown is detached easily
JP2019524384A (en) Dental implant structure
JP2011229912A (en) Abutment for implant system
US20100167239A1 (en) Impression device with impression-taking cap for dental prosthesis
KR102568819B1 (en) Dental implant system
EP3125818B1 (en) Fastening system for dental implants
KR101067668B1 (en) Dental implant assembly having a step for preventing settlement
KR101486851B1 (en) Dental Implant Abutment
KR20200014558A (en) Abutment assembly
KR102568818B1 (en) Connector and dental implant system having the same
US20140038133A1 (en) Denture retention system
KR20140000101A (en) The dental abutment driver
KR102551331B1 (en) Abutment assembly
EP4291131A1 (en) Abutment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