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1421B1 - Abutment assembly - Google Patents

Abutment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1421B1
KR101881421B1 KR1020180043170A KR20180043170A KR101881421B1 KR 101881421 B1 KR101881421 B1 KR 101881421B1 KR 1020180043170 A KR1020180043170 A KR 1020180043170A KR 20180043170 A KR20180043170 A KR 20180043170A KR 101881421 B1 KR101881421 B1 KR 101881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prosthesis
base abutment
hole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1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창진
황성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니스
Priority to KR1020180043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142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4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9Consolidating prostheses or implants, e.g. by means of stabilising p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Healing cap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butment assembly, comprising: a fixture fixatedly buried in alveolar bone and provided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thread part; a base abutment provided with a lower end thread part engaged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thread part of the fixture and forming an inner circumferential thread part at a lower part of a central hole; an upper abutment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 polygonal recess formed at an upper part of the central hole of the base abutment; a prosthesis forming a lead-in hole through which an upper post part of the upper abutment is inserted from a lower part and coupled; and a first screw inserted into the lead-in hole of the prosthesis from an upper part and coupled, and passing through the upper abutment to be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thread part of the base abutment, wherein a healing cap or a scan body can be coupled to the base abut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selectively couple the healing cap, the scan body, the upper abutment and the prosthesis after coupling the base abutment to the fixture, thereby easily realizing the implant procedure.

Description

어버트먼트 조립체{Abutment assembly}Abutment assembly < RTI ID = 0.0 >

본 발명은 어버트먼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butment assemblies.

임플란트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임플란트 시술은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상실된 치근(齒根)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Implant refers to a replacement that restores when the original body tissue is lost, but implants are implanted with artificial teeth. It is a procedure to restore the function of the tooth by replacing the missing tooth root with a tooth root made of titanium which has no rejection reaction to the human body.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는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 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normal prosthesis or denture will be damaged in the surrounding teeth and bones over time, but the implant will not injure the surrounding tooth structure, and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because it has the same function and shape as the natural teeth and does not have cavities.

또한, 임플란트는 단일 결손치 수복은 물론이거니와 부분 무치아 및 완전 무치아 환자에게 의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치아 보철 수복의 심미적인 면을 개선시킨다. 나아가 주위의 지지골 조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시킴은 물론 치열의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In addition, implants improve the function of dentures in patients with single missing teeth restoration, as well as in partial and total toothless patients, and improve the esthetic aspects of dental prosthesis restoration. Furthermore, it helps disperse the excessive stress applied to the surrounding supporting bone tissue and stabilizes the dentition.

이와 같이 치과에서 행하는 임플란트 시술은 잇몸뼈, 즉 치조골에 임플란트를 매식하는 수술과정과, 심겨진 임플란트에 지대주를 연결하여 인공 치아를 장착하는 보철과정으로 구분된다.The dental implants are divided into a gingival bone, namely, a surgical procedure for implanting an implant on an alveolar bone, and a prosthetic procedure for attaching an artificial tooth by connecting an abutment to an implanted implant.

이러한 임플란트의 시술법은 다양하게 있을 수 있는데, 그 중 일예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re are a variety of surgical procedures for such implants. A brief description of an example is given below.

우선, 드릴링(drilling) 및 탭핑(tapping) 과정을 거쳐 픽스쳐(fixture) 치수에 부합하는 홈을 형성하고, 픽스쳐 상부에 마운트(mount)를 체결한다. 그리고 나서 수술용 핸드 피스를 이용하여 픽스쳐와 마운트를 치조골에 매식한 다음 마운트를 픽스쳐에서 제거함으로써, 치조골에 픽스쳐를 매식하게 된다. 그리고 픽스쳐의 상부에 덮개 나사(cover screw)를 체결하여 픽스쳐를 봉합함으로써 1차 수술이 완료된다.First, a groove corresponding to a fixture dimension is formed through drilling and tapping, and a mount is fastened to the top of the fixture. Then, using a surgical handpiece, the fixture and the mount are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and then the mount is removed from the fixture, so that the fixture is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The first operation is completed by fastening the cover screw to the upper part of the fixture to seal the fixture.

덮개 나사는 픽스쳐의 골융합을 기다리는 동안 구강 내에 존재하는 세균 및 이물질이 픽스쳐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한다. 골융합 기간은 환자의 골질과 매식 위치에 따라 다소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 3개월 내지 6개월이 소요된다.The cover screw prevents bacteria and foreign substances present in the mouth from intruding into the fixture while waiting for the fixture's osseointegration. The duration of ossification is somewhat different depending on the patient's bone quality and implantation position, but usually takes 3 to 6 months.

이어서, 2차 수술을 통해 잇몸을 열어 덮개 나사를 노출시킨 후 픽스쳐의 골융합 정도를 확인하고 덮개 나사를 제거한다. 그리고 심미적인 잇몸 형성을 위해 힐링 어버트먼트(healing abutment)를 픽스쳐의 상부에 체결하고, 2주 내지 3주 동안 기다린다. 근래에는 이러한 2차 시술법의 복잡성을 개선하기 위해, 덮개 나사를 체결 및 제거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바로 힐링 어버트먼트를 체결하는 1차 시술법이 사용되기도 한다.Next, the gums are opened through the second operation to expose the cover screws, check the degree of fusion of the fixtures, and remove the cover screws. And a healing abutment is fastened to the top of the fixture for aesthetic gingival formation and waited for two to three weeks. In order to improve the complexity of such a second procedure, a first-aid procedure for fastening a healing abutment is often used, omitting the process of fastening and removing the cover screw.

다음으로, 심미적인 잇몸 형성을 확인한 후 힐링 어버트먼트를 제거하고, 보철물 제작을 위해 임프레션 코핑(impression coping)을 픽스쳐 상부에 체결한다. 이어서 인상재를 사용하여 구강 내에서 예비 인상을 채득하고 임프레션 코핑을 제거한다.Next, after confirming the esthetic gingival formation, the healing abutment is removed, and the impression coping is fastened on the fixture for the preparation of the prosthesis. The impression material is then used to create a preliminary impression in the mouth and remove the impression coping.

그런 다음에, 치아 모형을 제작하고 인공치아를 기공한 후 픽스쳐 상부에 어버트먼트(abutment)를 체결하고, 지대주에 보철물 즉 인공치아를 고정하여 인공치아를 완성한다.Then, a tooth model is prepared, an artificial tooth is pierced, an abutment is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xture, and the prosthesis, that is, the artificial tooth is fixed to the abdomen to complete the artificial tooth.

그런데, 어버트먼트에 인공 치아인 보철물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시멘트(cement) 접착 방식과 스크류 체결 방식이 있다.However, there is a cement bonding method and a screw fastening method in which abutment which is an artificial tooth is combined with abutment.

시멘트 접착 방식의 경우 사후 보정이 필요한 경우 어버트먼트와 보철물을 분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e cement bonding metho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butment and the prosthesis can not be separated when post-correction is required.

특허문헌 1(등록특허공보 제10-1768410호)에는 스크류 체결 방식으로 보철물과 결합되는 어버트먼트(락킹 링크)의 예가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Registration No. 10-1768410) discloses an example of an abutment (locking link) which is engaged with a prosthesis by a screw fastening method.

개시된 종래기술에 의한 락킹 링크는 보철물에 결합부를 삽입할 때 억지끼움에 의해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보철물에 개재되는 락킹 링크의 결합부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확장되도록 형성하되 복수의 세로 절개홈을 형성하고 외주면에 가로방향의 요홈을 형성하였다.The disclosed prior art locking link is configured to be secured by interference fit when inserting a fitting into the prosthesis. To this en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locking link interposed in the prosthesis is formed so as to extend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and a plurality of vertical incision grooves are formed and transverse groove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하지만, 종래의 락킹 링크는 결합부를 보철물에 삽입할 때 확장된 상단을 오므려서 삽입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결합부를 보철물에 억지 끼움을 하는 과정에서 결합부의 요홈 부위가 소성 변형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다. 게다가, 결합부가 억지 끼움에 의해 탄성 변형된 상태로 보철물에 결합되어 있어서, 결합부에는 계속해서 응력이 가해지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결합부가 변형되거나 파손될 가능성이 높아진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locking link,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insert the coupling portion by inserting the extended top when inserting the coupling portion into the prosthesis. In addi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groove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is plastically deformed or broken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engaging portion constricted to the prosthesis. In addition, since the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prosthesis in a state elastically deformed by the interference fit, stress is applied to the coupling portion continuously, so that the possibility that the coupling portion deforms or breaks with time increases.

한편, 특허문헌 2(등록특허공보 제10-1417980호)에는 단부에 형성되는 다각형 돌기부와, 돌기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돌기부보다 큰 몸체부, 돌기부와 몸체부를 연결하는 경사진 연결부를 구비하는 스캔 바디와;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형성되는 결합공과, 결합공의 중간에 형성되어 다각형 돌기부가 결합되는 다각형 홈과, 다각형 홈의 하부에 형성되고 내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치조골에 고정되는 픽스쳐; 그리고 스캔 바디의 관통공을 관통하고, 하단부의 나사부가 픽스쳐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나사부와, 나사부보다 크게 형성되어 스캔 바디를 픽스쳐에 대하여 고정하는 헤드를 구비하는 고정스크류로 구성된 임플란트 어셈블리가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Registration No. 10-1417980), there is disclosed a polygonal protrusion formed on an end portion, a body portion larger than the protrusion portion formed on the protrusion portion, and a scan body having a sloped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protrusion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Wow; A fixtur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olygonal groove and formed with a threaded portion at an inner surface thereof and fixed to the alveolar bone; And a fixing screw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scan body and having a screw portion of the lower end portion fastened to the screw portion of the fixture and a head formed larger than the screw portion and fixing the scan body to the fixture, .

특허문헌 2의 스캔 바디는 픽스쳐에 결합된 상태에서 별도의 스캔 어댑터를 결합하지 않고도 구강 스캔시 구강 내부의 3차원 이미지 획득을 위한 기준체로서 기능할 뿐만 아니라, 치은 힐링시 이머전스 프로파일을 형성할 수 있는 힐링 어버트먼트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The scan body of Patent Document 2 not only functions as a reference body for acquiring a three-dimensional image in the oral cavity during the oral scan without coupling a separate scan adapter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a fixture, and can form an emmersion profile at the time of gingival healing It can also function as a healing abutment.

하지만, 특허문헌 2의 경우에도 스캔과정에서 획득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디자인된 보철물을 결합할 때에는, 스캔 바디를 픽스쳐에서 제거하고 별도의 어버트먼트를 이용하여 상기 보철물을 픽스쳐에 결합한다. 따라서, 스캔 바디와 보철물 결합을 위한 어버트먼트를 별개로 마련하여 조립하는 것이므로,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시술 과정도 복잡하여 환자 및 의사에게 부담스러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2, when the designed prosthesis is combined using the image obtained in the scanning process, the scan body is removed from the fixture and the prosthesis is coupled to the fixture using a separate abutment. Therefore, since the abutment for combining the scan body and the prosthesis is separately prepared and assembled, it is not only inefficient, but also has a complicated procedure, which is burdensome to the patient and the doctor.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68410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68410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7980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17980

본 발명은 픽스쳐에 베이스 어버트먼트를 체결한 다음, 이 베이스 어버트먼트에 힐링 캡, 스캔 바디, 또는 상부 어버트먼트 및 보철물을 호환 가능하게(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어서, 임플란트 시술 과정이 획기적으로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어버트먼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interchangeably (optionally) coupling a healing cap, scan body, or upper abutment and prosthesis to the base abutment after fastening the base abutment to the fixtur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butment assembly which can be achieved remarkably easi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어버트먼트 조립체는, 치조골에 매립되어 고정되고 내주면 나사부를 구비하는 픽스쳐; 상기 픽스쳐의 내주면 나사부에 체결되는 하단 나사부를 구비하고 중심홀의 하부에 내주면 나사부가 형성된 베이스 어버트먼트;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의 중심홀 상부에 형성된 다각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부 어버트먼트;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의 상부 포스트부가 아래에서 삽입되어 결합되는 인입홀이 형성된 보철물; 및 상기 보철물의 인입홀에 위에서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를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의 내주면 나사부에 체결되는 제1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에는 힐링 캡 또는 스캔 바디가 체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butment assembly comprising: a fixture fixedly embedded in an alveolar bone and hav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readed portion; A base abutment provided with a lower end threaded portion to be fasten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threaded portion of the fixture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threaded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enter hole; An upper abutment inserted into the polygonal groove formed on the central hole of the base abutment and coupled thereto; A prosthesis in which a top post portion of the upper abutment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and into which a receiving hole is formed; And a first screw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prosthesis and coupled to the inner abutment of the base abutment through the upper abutment, wherein the base abutment is provided with a healing cap or scan body .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의 상부 외주면은 상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일정 각도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철물, 힐링 캡 또는 스캔 바디의 하단홈부가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abutment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a smaller outer diameter toward the upper end so that the lower end grooves of the prosthesis, the healing cap or the scan body are selectively seated.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의 포스트부는 상단에서부터 세로로 형성된 복수의 절개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스크류는 중간부 외주면에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부에 삽입될 때 포스트부를 확장시켜 포스트부가 상기 보철물의 인입홀 내주면에 압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st portion of the upper abutment includes a plurality of cutting grooves formed vertically from the upper portion. The first screw has a tapered port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iddle portion to expand the post portion when the pos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post portion, So as to be pressed on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hole.

상기 힐링 캡은,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홈부와 중앙 하면에서 연장되고 하단에 나사부가 형성된 샤프트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healing cap includes a seating groove portion that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abutment, and a shaft portion that extends from a central bottom surface and has a threaded portion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상기 스캔 바디는 세로로 관통형성된 중앙홀과,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홈과, 상기 중앙홀의 하단 연장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의 다각홈에 삽입되는 식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캔 바디는 상기 중앙홀을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의 내주면 나사부에 체결되는 제2스크류에 의해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can body includes a center hole penetrating vertically, a seating groove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abutment, and a mounting portion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lower end extending portion of the center hole and inserted into a polygonal groove of the base abutment And the scan body is coupled to the base abutment by a second screw that passes through the center hole and is fasten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crew portion of the base abutment.

상기 스캔 바디는 구강 스캔시 위치 식별을 위한 기준점을 제공하기 위해, 상단부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세로 밀링면과 반대측에 형성된 세로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can body may further include a vertical groov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longitudinal milling surfac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eripheral surface in order to provide a reference point for positional identification during oral scan.

상기 스캔 바디는 원뿔대 형태의 외형을 갖고, 상기 스캔 바디의 외면에는 임시 보철물이 시멘트에 의해 접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scan body may have a truncated cone shape, and a temporary prosthesis may be adher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can body by cement.

상기한 본 발명의 어버트먼트 조립체에 의하면, 픽스쳐에 베이스 어버트먼트를 체결한 다음, 이 베이스 어버트먼트에 힐링 캡, 스캔 바디, 또는 상부 어버트먼트 및 보철물을 호환 가능하게(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므로, 임플란트 시술 과정이 획기적으로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utmen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fter the base abutment is fastened to the fixture, the healing cap, the scan body, or the upper abutment and the prosthesis are interchangeably (optionally) The implantation procedure can be achieved remarkably easily.

종래의 경우 픽스쳐 식립을 위해 픽스쳐에 마운트를 결합하고 이 마운트를 회전시켜 픽스쳐를 식립하였으나, 본 발명의 경우 베이스 어버트먼트를 이용하여 픽스쳐를 식립할 수 있으므로 픽스쳐 식립을 위해 별도의 마운트를 결합할 필요가 없다.In the conventional case, a fixture is mounted on a fixture for fixture placement, and the fixture is mounted by rotating the mount.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fixture can be placed using a base abutment, no need.

또한, 베이스 어버트먼트에 힐링 캡을 결합하여 힐링 어버트먼트로 사용할 수 있고, 베이스 어버트먼트에 스캔 바디를 결합하여 구강 내부의 디지털 이미지를 채득할 수 있으며, 스캔 바디에 시멘트로 보철물을 부착함으로써 스캔 바디를 시멘트 접착용 어버트먼트로도 사용할 수 있다.It can also be used as a healing abutment by combining a healing cap on the base abutment, combining the scan body with the base abutment to create a digital image inside the mouth, and attaching the prosthesis to the scan body with cement The scan body can also be used as a cement adhesion abutment.

즉, 힐링 캡과 결합된 베이스 어버트먼트가 힐링 어버트먼트의 역할을 대신하며, 조기에 픽스쳐에 베이스 어버트먼트가 결합되어 생물학적 폭경(biological width)이 조기에 형성되므로, 골융합에 이상적인 환경을 제공하고 치조골 보존이 일찍 형성되어 종래기술에 비해 안정성이 훨씬 높다.In other words, the base abutment combined with the healing cap replaces the role of the healing abutment, and the base abutment is incorporated early in the fixture to form the biological width early, making it an ideal environment for osseointegration. And the alveolar bone is formed early and has a much higher stability than the prior art.

그리고, 구강 스캔 후 스캔 바디를 분리하고 제작된 보철물을 상부 어버트먼트와 스크류를 이용하여 베이스 어버트먼트에 매우 쉽게 체결할 수 있다.After the scan, the scan body is separated and the prepared prosthesis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base abutment using the upper abutment and the screw.

또한, 베이스 어버트먼트의 상부 외주면은 테이퍼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보철물이 씌워질 때 구강 내 저작 운동시 가해지는 측방 압력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abutment is formed as a tapered inclined surface, and can sufficiently support the lateral pressure applied in the chewing motion in the mouth when the prosthesis is cove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조립체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조립체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픽스쳐에 베이스 어버트먼트를 체결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보철물에 상부 어버트먼트를 결합하는 도면이다.
도 5는 픽스쳐에 체결된 베이스 어버트먼트에 보철물과 상부 어버트먼트를 스크류로 체결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상부 어버트먼트의 포스트부가 스크류의 테이퍼부에 의해 확장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픽스쳐에 결합된 베이스 어버트먼트와 힐링 어버트먼트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픽스쳐, 베이스 어버트먼트, 힐링 어버트먼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픽스쳐에 결합된 베이스 어버트먼트와 스캔 바디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픽스쳐, 베이스 어버트먼트, 스캔 바디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n abutment assembl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d view of an abutment assembl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fastening the base abutment to the fixture in Fig. 1;
Figures 4 and 5 show the coupling of the upper abutment to the prosthesis.
FIG. 5 is a view for fastening a prosthesis and an upper abutment to a base abutment fastened to a fixture with a screw.
6 is a view showing that the post portion of the upper abutment is extended by the tapered portion of the screw.
7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ase abutment and a healing abutment coupled to the fixt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xture, a base abutment, and a healing abutment are combined in Fig.
9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ase abutment and a scan body coupled to a fixture.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xture, a base abutment, and a scan body are combined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조립체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조립체의 결합 단면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n abutment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an abutmen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어버트먼트 조립체는, 치조골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픽스쳐(100)와, 픽스쳐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와, 베이스 어버트먼트에 결합되는 상부 어버트먼트(300)와, 상부 어버트먼트에 결합되는 보철물(400)과, 보철물 및 상부 어버트먼트를 통과하여 베이스 어버트먼트에 체결되는 제1스크류(500)를 포함한다.The abutmen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ture 100 embedded in and fixed to an alveolar bone, a base abutment 200 fastened and fixed to the fixture, an upper abutment 300 coupled to the base abutment, A prosthesis 400 coupled to the upper abutment, and a first screw 500 that passes through the prosthesis and the upper abutment and is coupled to the base abutment.

상기 픽스쳐(100)는 치조골에 매립되는 인공 치근으로서, 이 픽스쳐(100)는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부(120)와,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ture 100 may be an artificial root implanted into the alveolar bone. The fixture 100 may include a threaded portion 120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threaded portion 140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상기 내주면 나사부(120)에는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하단 나사부(280)가 체결된다.The lower end threaded portion 280 of the base abutment 200 is fasten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threaded portion 120.

상기 외주면 나사부(140)는 치조골 내부를 파고들면서 체결될 수 있도록 삼각나사로 형성되거나, 상부는 사각나사이고 하부로 갈수록 점점 더 뾰족한 삼각나사로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read portion 140 may be formed of a triangular screw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read portion 140 can be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while being pierced. Alternativel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read portion 140 may be formed as a triangular screw.

또한, 상기 픽스쳐(100)의 외경은 상부에서 하부까지 동일하게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outer diameter of the fixture 100 is shown to be the same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the outer diameter of the portion of the fixture 100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200)는 픽스쳐(100)의 내주면 나사부(120)에 체결되는 하단 나사부(280)를 구비한다. 또한, 상면에서부터 하방으로 형성된 중심홀(210)의 하부에 내주면 나사부(240)가 형성된다. 이 내주면 나사부(24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스크류(500)의 하단부(560)가 체결된다.The base abutment 200 has a lower end threaded portion 280 that is fastened to the inner surface threaded portion 120 of the fixture 100.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readed portion 240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enter hole 210 formed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The lower end portion 560 of the first screw 500 is fasten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crew portion 240 as described later.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중심홀(210) 상부에는 상부 어버트먼트(300)의 하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다각홈(220)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다각홈(220)은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중심홀(210) 하부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하부와의 경계부가 단차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300)의 하단부가 육각 기둥 형태의 식립부(380)로 이루어진 것에 대응하여 다각홈(220)도 육각홈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부 어버트먼트(300)의 식립부(380)는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다각홈(220)에 상대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다각홈(220)은 육각 홈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사각 홈 또는 팔각 홈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식립부(380)도 다각홈(220)의 형태에 대응하여 사각 기둥 또는 팔각 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것이다.A polygonal groove 220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enter hole 210 of the base abutment 200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abutment 300 can be inserted and coupled. The polygonal groove 220 is formed to have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enter hole 210 of the base abutment 200, so that the boundary portion with the lower portion is stepped.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upper abutment 300 is formed of a hexagonal columnar shaped portion 380, and the polygonal groove 220 also has a hexagonal groove shape. Thus, the mounting portion 380 of the upper abutment 300 can be coupled so as not to rotate relative to the polygonal groove 220 of the base abutment 200. [ The polygonal groove 220 is not limited to a hexagonal groove, but may be formed as a square or octagonal groove. In this case, the mounting portion 380 may also be formed into a rectangular column or octagonal column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olygonal groove 220.

한편,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상부에는 보철물(400)이 안착되어 지지된다.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상부 외주면은 상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일정 각도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보철물(400)의 확장홀부(480), 힐링 캡(600)의 안착홈부(620) 또는 스캔 바디(700)의 안착홈(740)이 선택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rosthesis 400 is seated and supported on the base abutment 200.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abutment 200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having a smaller outer diameter toward the upper end so that the enlarged hole portion 480 of the prosthesis 400 described later and the seating groove portion 620 of the healing cap 600, Or the seating groove 740 of the scan body 700 may be selectively seated.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상부 외주면 윤곽은 중심의 회전축에 대해 약 5~45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상부 외주면은 5~45도 각도로 테이퍼(taper)진 원뿔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경사진 외주면은 보철물이 씌워질 때 구강 내 저작 운동을 할 때 가해지는 측방 압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abutment 200 may be inclined at an angle of about 5 to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of rotation. That is,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abutment 200 may have a truncated conical shape at a 5 to 45 degree angle. The incline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abutment 200 is adapted to accommodate the lateral pressure applied when the prosthesis is applied to the oral cavity.

그리고,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200)는 상부 외주면 일측에 절개된 평면을 이루는 밀링면(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밀링면은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에 결합되는 보철물(400)이나 스캔 바디(700)가 결합 후에 이차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base abutment 200 may further include a milling surface (not shown) formed in a plane cut at one side of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is milling surface can prevent secondary rotation of the prosthesis 400 or the scan body 700 coupled to the base abutment 200 after the coupling.

또한,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중간부 외주부에는 보철물(400) 하단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턱부(2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지지턱부(230)는 수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It is preferable that a support step 230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base abutment 200 to stably support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prosthesis 400. Although the support tab 230 is formed to be a horizontal plane, it may be formed to be an inclined plane.

그리고,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지지턱부(230) 아래에는 외주면이 잇몸에 접촉하는 커프부(cuff portion, 260)가 형성된다. 상기 커프부(260)는 지지턱부(230)의 외측 주연부로부터 하방으로 이어지는 윤곽을 형성하는 부위로서, 사람의 잇몸이 접촉하는 부위이다. 사람의 잇몸은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지므로, 커프부(260)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 cuff portion 260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contact with the gum is formed under the support tab 230 of the base abutment 200. The cuff portion 260 forms a contou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ing jaw portion 230, and is a portion where a human's gums contact. Since the human gums have various shapes and sizes, the cuff portion 260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그래도, 커프부(260)의 외주면은 기본적으로 이머전스 프로파일(emergence profile) 형성에 유리하도록 S자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till,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ff portion 260 is basically formed in an S-shaped curved surface shape so as to be advantageous in forming an emergence profile.

픽스쳐에 인공치아를 장착하는 보철과정에서 구강 내 상태를 구강 밖으로 오차없이 재현해야만 기공소에서 인공치아를 정확하게 만들 수 있다. 구강 내 상태를 구강 밖으로 재현하는 것을 인상채득이라 한다.In the prosthesis that attaches artificial teeth to a fixture, it is necessary to reproduce the state of the oral cavity out of the mouth without any error so that the artificial tooth can be accurately formed in the laboratory. Reproducing the oral condition outside the mouth is called impression preparation.

종래기술에 의한 커프부에서와 같이 커프부의 외주면이 직선적으로 꺽이도록 형성되는 경우, 인상체를 압착할 때 환자의 잇몸 내면 형태와 동일하지 않고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커프부(260) 외주면은 길쭉한 S자 형태의 곡면으로 형성되므로, 인상 채득으로 이머전스 프로파일을 매우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Wh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ff portion is formed so as to be bent linearly as in the cuff por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 error may occur when the impression material is compressed and not the same as the inner shape of the patient's gum. On the other hand, sin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ff portion 26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n elongated S-shaped curved surface, the impulse profile can be formed very accurately.

또한, 치조골에 픽스쳐(100)를 매식한 후 곧바로 하부 외주면에 커프부(260)가 형성된 베이스 어버트먼트(200)를 체결하므로, 덮개 나사(cover screw) 내지 힐링 어버트먼트를 체결할 필요가 없다. 별도의 덮개 나사와 힐링 어버트먼트를 체결했다가 제거하는 과정이 없기 때문에,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커프부(260)에 의해, 치아에서 결합조직과 상피조직을 치아에 결합시킨 높이인 생물학적 폭경(biological width)이 힐링 시기부터 생길 수 있어서, 조기에 생물학적 안정성을 얻어 골결합에 이상적인 환경을 제공하며 임플란트 주위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base abutment 200 having the cuff portion 260 formed thereon is tightened immediately after the fixture 100 is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it is necessary to tighten the cover screw or the healing abutment none. The cuff portion 260 of the base abutment 200 has a height that allows the connective tissue and the epithelial tissue to be bonded to the teeth in the teeth by the cuff portion 260 of the base abutment 200 Biological widths can occur from healing time, providing early biologic stability, providing an ideal environment for bone attachment, and preventing infection around the implant.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300)는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중심홀(210) 상부에 형성된 다각홈(22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를 위해,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하부(360)의 하단부 외주면은 육각 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식립부(380)를 구성한다. 이 식립부(380)는 하부(360) 전체가 아니라 하부(360) 중에서 하반부의 외주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부(360)의 상반부 외주면은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하반부에만 식립부(380)가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abutment 300 is inserted and joined to the polygonal groove 220 formed on the center hole 210 of the base abutment 200. To this e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lower portion 360 of the base abutment 2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exagonal column to constitute a molding portion 380. The mounting portion 380 may be formed only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half of the lower portion 360, not on the entire lower portion 360. That i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half of the lower portion 36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the recessed portion 380 may be formed only on the lower half thereof.

또한, 상부 어버트먼트(300)는 보철물(40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단의 포스트부(320)와, 상기 하부(360)와 포스트부(320)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보철물을 지지하는 중단의 연장날부(340)를 더 포함한다.The upper abutment 300 also includes an upper post 320 inserted into and engaged with the prosthesis 400 and a lower portion 320 extending laterally between the lower 360 and the post 320 to support the prosthesis And further includes an interruption blade portion 340 for interruption.

상기 포스트부(320)는 보철물(400)의 하부홀부(460)에 아래에서 위쪽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 포스트부(320)에는 상단에서부터 세로로 복수의 절개홈(322)이 형성된다. 이 절개홈(322)은 포스트부(320)에서 서로 90도로 이격되어 4개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 절개홈(322)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3~6개로 형성될 수 있다.The post 320 is inserted into the lower hole 460 of the prosthesis 400 from below to upward. In the post portion 320, a plurality of cutting grooves 322 are formed vertically from the top. The cutout grooves 322 are spaced 90 degrees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post 320, but the number of the cutout grooves 322 is not limited to three, and may be three to six.

또한, 상기 절개홈(322)의 하단에는 절개홈의 폭보다 큰 지름을 가진 원형 슬롯(323)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원형 슬롯(323)은 절개홈(322)의 폭보다 큰 지름을 갖고 절개홈 하단에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circular slot 323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incision groove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cision groove 322. The circular slot 323 may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width of the incision groove 322 and may be continuous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cision groove.

상기 절개홈(322)은 포스트부(320)가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하지만, 포스트부(320)가 변형될 때 특히 절개홈(322)의 하단부에 응력이 집중될 수 있다. 상기 원형 슬롯(323)은 절개홈(322)의 하단부에 집중될 수 있는 응력을 분산하여 절개홈(322) 주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utout groove 322 allows the post portion 320 to be resiliently deformed, but stress can be concentrated particularly at the lower end of the cutout groove 322 when the post portion 320 is deformed. The circular slot 323 can disperse stress concentrated at the lower end of the incision groove 322 to prevent the periphery of the incision groove 322 from being broken.

상기 연장날부(340)는 상기 포스트부(320)의 하단에서 측방향으로 확장되어 원형 디스크를 형성함으로써, 그 상면에 보철물(400)의 중앙 하면이 지지될 수 있다. 저작 운동에 의해 보철물(400)이 눌릴 때, 이 연장날부(340)가 보철물(40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The extended blade 340 extends laterally from the lower end of the post 320 to form a circular disk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post 320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prosthesis 400. When the prosthesis 400 is pressed by the chewing motion, the extended blade 340 can firmly support the prosthesis 400.

그리고, 상부 어버트먼트(300)의 포스트부(320)는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325)를 포함하고, 상기 보철물(400)은 그 내주면에 상기 복수의 돌기가 삽입되는 복수의 지지홈(465)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st portion 320 of the upper abutment 300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325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sthesis 400 has a plurality of support grooves 465).

상기 복수의 돌기(325)는 상기 포스트부(320)에서 상기 절개홈(322)에 의해 구획되는 측벽의 외측면 상부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rotrusions 325 may be dispos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partitioned by the cutout groove 322 in the post 320.

상기 돌기(325)는 측면에서 볼때 삼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총 4개의 돌기(325)가 형성된 실시예에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돌기(325)의 외측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한 보철물(400)의 하부홀부(460) 내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포스트부(320)가 하부홀부(460)에 삽입될 때 포스트부(320)의 상부는 약간 축소되도록 탄성 변형되면서 삽입될 수 있다.The protrusion 325 may be triangular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ends of the pair of protrusions 325 facing each other is slightly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lower hole portion 460 of the prosthesis 400 described above. Therefore, when the post 320 is inserted into the lower hole 460, the upper portion of the post 320 may be elastically deformed to be slightly deformed.

상기 보철물(400)의 하부홀부(460) 내면에는 상기 복수의 돌기(325)에 대응하는 형태로 복수의 지지홈(465)이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포스트부(320)를 하부홀부(460)에 끝까지 밀어넣으면, 상기 복수의 돌기(325)가 복수의 지지홈(465)에 딸깍 삽입되면서 상부 어버트먼트(300)와 보철물(400)이 서로 일시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hole 460 of the prosthesis 400, a plurality of support grooves 465 ar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325. When the post portion 320 is fully inserted into the lower hole portion 460,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325 ar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the support grooves 465 and the upper abutment 300 and the prosthesis 400 are inserted, Can be temporarily combined with each other.

상기 돌기(325)의 형태는 도시된 것과 달리 사다리꼴 내지 사각형이나, 원호형 내지 타원호형이나, 볼록한 곡면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지지홈(465)은 돌기(325)의 형태에 대응하는 홈 형태로 이루어질 것이다.The shape of the protrusion 325 may be a trapezoidal shape to a square shape, an arcuate shape to an elliptic arc shape, or a convex curved shape. At this time, the support groove 465 may have a groov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otrusion 325.

그리고,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300)의 포스트부(320)는 위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점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thickness of the post 320 of the upper abutment 300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upper side.

포스트부(320)는 제1스크류(500)의 후술하는 테이퍼부(550)에 의해 확장되도록 탄성 변형되어, 보철물(400)의 하부홀부(460)에 압착되어 고정된다. 그래서, 포스트부(320)는 확장 전후의 변형량을 감안하여 상단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탄성 변형이 더 쉽게 이루어지고 고정 강도도 더 커질 수 있다.The post 320 is resiliently deformed by the tapered portion 550 of the first screw 500 to be pressed and fixed to the lower hole 460 of the prosthesis 400. Therefore, the post portion 320 is formed so that its thickness decreases gradually toward the top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deformation before and after expansion, so that the elastic deformation can be made easier and the fixing strength can be increased.

한편,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300)의 중심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홀(310)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1스크류(500)가 통과할 수 있다. 이 관통홀(310)의 내주면에는 소정 높이로 나사부(370)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스크류(500)의 하단부(560)가 일시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Meanwhile, a through hole 310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abutment 300 so that the first screw 500 can pass therethrough. A threaded portion 370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310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lower end portion 560 of the first screw 500 can be temporarily fastened.

상기 보철물(400)은 인공 치아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서 치과 기공소에서 CAD(Computer Aided Design) 또는 CAM(Computer Aided Manufacturing) 시스템을 통해 맞춤형으로 가공된다. 이 보철물(400)은 지르코니아(zircornia)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철물(400)의 중심부에는 아래쪽에서 상부 어버트먼트(300)가 삽입되고 위쪽에서 제1스크류(500)가 삽입되는 인입홀(410)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The prosthesis 400, which forms the external shape of the artificial tooth, is customized in a dental laboratory through a CAD (Computer Aided Design) or CAM (Computer Aided Manufacturing) system. The prosthesis 400 is preferably made of a zirconia material. An insertion hole 410 through which the upper abutment 300 is inserted from the lower side and the first screw 500 is inserted from the upper side is vertically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rosthesis 400.

상기 보철물(400)의 인입홀(410)은 상부의 상단홀부(420)와 중단턱부(440)와 하부홀부(460)와 하단의 확장홀부(480)로 구성될 수 있다.The insertion hole 410 of the prosthesis 400 may include an upper end hole 420, a middle step 440, a lower hole 460, and an extension hole 480 at the lower end.

상기 상단홀부(420)에는 제1스크류(500)의 머리부(520)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홀부(420)는 머리부(520)보다 상하 길이가 더 크게 형성되어, 머리부(520)가 상단홀부(420)에 완전히 삽입된 후에는 머리부(520) 위의 공간에 추가적으로 충진재가 채워질 수 있다.The head 520 of the first screw 500 may be inserted into the upper hole 420. 2, the upper hole 420 is formed to have a larger vertical length than that of the head 520 so that the head 520 is inserted into the upper hole 420 after the head 52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upper hole 420. [ In addition to the space above, the filling material can be filled.

상단홀부(420)의 하부는 아래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작아지는 경사곡면(43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머리부(520)도 아래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hole portion 420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curved surface 430 having an inner diameter gradually decreasing toward the bottom. Correspondingly, the head 520 may also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whose out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downward.

상기 중단턱부(440)는 상단홀부(420)와 하부홀부(460) 사이에서 내경이 가장 작게 형성되는 부위로서, 중단턱부(440)의 위에는 머리부(520)가 지지되고 중단턱부(440)의 아래에는 상부 어버트먼트(300)가 위로 더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지지될 수 있다.The stop part 440 is a part where the inner diameter is minimized between the upper hole part 420 and the lower hole part 460. The head part 520 is supported on the stop part 440, Below the upper abutment 300 may be supported so that it no longer climbs up.

상기 하부홀부(46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 어버트먼트(300)의 포스트부(320)가 아래에서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포스트부(320)의 하단 최대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포스트부(320)의 외경은 위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바, 포스트부(320)가 상기 제1스크류(500)의 테이퍼부(550)에 의해 확장되었을 때, 포스트부(320)가 상기 하부홀부(460)에 압착되도록 하부홀부(460)가 형성되는 것이다.The lower hole portion 460 is formed such that the post portion 320 of the upper abutment 300 is inserted and coupled from below and has an inner diameter equal to the lower end outer diameter of the post portion 320 . That is, when the post 320 is extended by the tapered portion 550 of the first screw 500, the post 320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outer diameter than the post 320, A lower hole portion 460 is formed so as to be pressed onto the lower hole portion 460.

상기 확장홀부(480)는 하부홀부(460)의 아래에서 하방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300)의 연장날부(340) 및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상부 외면에 지지되는 부분이다. 그래서, 확장홀부(480)의 상부는 연장날부(340)에 대응하여 단차지게 형성되고, 그 아래로는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상부 외면과 동일한 형태로 확장되는 오목한 곡면을 형성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철물(400)의 하단면은 상기한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지지턱부(230)에 지지되고, 보철물(400)의 하단 외주면은 상기한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커프부(260)에 부드럽게 연결되는 곡면을 이루게 된다.The extended hole portion 480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below the lower hole portion 460 and is extended to the upper edge portion 340 of the upper abutment 3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abutment 200, . Thus, the upper portion of the extension hole portion 480 is stepped to correspond to the extended blade portion 340, and the lower portion thereof forms a concave curved surface that extends in the same shape as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base abutment 200. 2,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prosthesis 40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chin 230 of the base abutment 200, and the lower e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sthesis 400 is supported by the above- Which is smoothly connected to the cuff portion 260 of the cuff 200.

상기 제1스크류(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의 머리부(520)와 중간부(540)와 하단부(56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first screw 500 may include an upper end head 520, an intermediate portion 540, and a lower end portion 560.

상기 머리부(520)는 그 상면에 육각렌치를 삽입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육각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머리부(520)의 외주면은 아래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보철물(400)의 상단홀부(120)의 하부에는 경사곡면(130)이 형성되어 머리부(520)가 지지될 수 있다.The head portion 520 may have a hexagonal groove formed therein so that a hexagonal wrench can be inserted and rotate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 520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whose outer diameter decreases gradually as it goes downward. A curved curved surface 130 may be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hole 120 of the prosthesis 400 to support the head 520.

머리부(520)의 측면 윤곽은 경사진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머리부(520)의 측면이 소정 각도로 테이퍼(taper)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ide contour of the head 520 may be formed in an inclined linear shape. In other words, the side of the head 520 may be tapered at a predetermined angle.

이와 달리, 머리부(520)의 측면 윤곽은 아래로 볼록한 곡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곡선은 아래로 갈수록 곡률반경이 점점 작아지는 곡면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lternatively, the side contour of the head 520 may be curved downwardly.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hat the curved line has a curved surface shape in which the radius of curvature becomes smaller as it goes downward.

상기 중간부(540)는 상기 머리부(520)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속이 찬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진다. 중간부(540)의 하부는 지름이 동일하게 형성되지만, 중간부(540)의 상부는 아래로 갈수록 지름이 일정하게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된 테이퍼부(55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termediate portion 540 extends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head portion 520 and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The lower part of the intermediate part 540 is formed to have the same diameter, but the upper part of the intermediate part 540 is preferably formed of a tapered part 550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diameter becomes smaller constantly as it goes down.

이 테이퍼부(550)는 제1스크류(500)가 상부 어버트먼트(300)를 통과하여 픽스쳐(100)에 체결될 때, 상기 포스트부(320)를 확장시켜 포스트부가 상기 보철물(400)의 인입홀(410) 내주면에 압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그래서, 테이퍼부(550)는 포스트부(320)를 벌려주어 보철물(400)의 하부홀부(460) 내주면에 압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The tapered part 550 extends the post part 320 when the first screw 500 passes through the upper abutment 300 and is fastened to the fixture 100, And is pressed and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hole 410. Thus, the tapered portion 550 opens the post portion 320 to be pressed and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hole portion 460 of the prosthesis 400.

상기 하단부(560)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240)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300)의 내주면에도 나사부(370)가 형성되어 있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립 과정에서 상기 제1스크류(500)의 하단부(560)가 상기 어버트먼트(300)의 나사부(370)에 일시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The lower end portion 560 may have threads formed therein and may be fastened to the threaded portion 240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se abutment 200. The lower end portion 560 of the first screw 500 is engaged with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abutment 300 in the assembling process as described later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upper abutment 300, And can be temporarily fastened to the threaded portion 370.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힐링 캡(healing cap, 600) 또는 스캔 바디(scan body, 700)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한 상부 어버트먼트(300), 보철물(400), 제1스크류(500)를 결합하는 대신, 픽스쳐(100)에 결합된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에 힐링 캡(600)을 체결하여 치은 힐링을 할 수 있고,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에 스캔 바디(700)를 체결하여 구강 스캐닝을 할 수도 있다.A healing cap 600 or a scan body 700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base abutment 200 as described later. That is, instead of coupling the upper abutment 300, the prosthesis 400, and the first screw 500, the healing cap 600 is fastened to the base abutment 200 coupled to the fixture 100 So that the gingival healing can be performed and the oral scan can be performed by fastening the scan body 700 to the base abutment 200. [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조립체의 조립방법을 설명한다. 어버트먼트 조립체의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픽스쳐, 베이스 어버트먼트, 상부 어버트먼트, 보철물, 스크류가 적용될 수 있다.Next, a method for assembling an abutmen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FIG. The components of the abutment assembly may be a fixture, a base abutment, an upper abutment, a prosthesis, or a screw as described above.

우선, 치조골에 드릴로 구멍을 뚫고 상기 픽스쳐(100)를 식립한다. 이때, 머신 드라이버로 상기 픽스쳐(100)를 치조골 구멍에 반쯤 삽입되도록 체결한 다음, 픽스쳐(100)의 내주면 나사부(120)에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하단 나사부(280)를 체결하고,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다각홈(220)에 맞는 렌치를 이용하여 픽스쳐(100)를 치조골 구멍에 완전히 식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 어버트먼트(200)는 치조골에 픽스쳐(100)를 식립할 때 종래에 별도로 구비하여 결합했던 픽스쳐 장착부재의 역할을 할 수 있다.First, a hole is drilled in the alveolar bone and the fixture 100 is placed. At this time, the fixture 100 is inserted halfway into the alveolar bone hole with a machine driver, and the lower end threaded portion 280 of the base abutment 200 is fasten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crew portion 120 of the fixture 100, The fixture 100 can be completely placed in the alveolar bone hole by using a wrench corresponding to the polygonal groove 220 of the base abutment 200. [ As described above, the base abutment 200 can serve as a fixture mounting member that is conventionally provided separately when the fixture 100 is placed on the alveolar bone.

상기 픽스쳐(100) 식립 후에는 치조골에 픽스쳐(100)가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깊이 및 각도로 식립되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상부가 잇몸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이 베이스 어버트먼트(200)를 육안으로 관찰함으로써 픽스쳐(100)가 제대로 식립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After the fixture 100 is inserted, it is necessary to confirm whether the fixture 100 is placed at the correct position and at the correct depth and angle with the alveolar bone. Since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abutment 20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gum, the base abutment 200 can be visually observed to confirm that the fixture 100 is properly inserted.

도 3에는 치조골에 픽스쳐(100)가 먼저 완전히 식립된 다음에 베이스 어버트먼트(200)가 체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픽스쳐(100)를 식립하는 과정에서도 베이스 어버트먼트(200)를 이용하여 픽스쳐(100)를 식립하고 그 식립의 결함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3 shows that the fixture 100 is first fully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and then the base abutment 200 is fastened to the alveolar bone. However, in the process of placing the fixture 100 as described above, the base abutment 200 The fixture 100 can be placed and the defect of the placement can be checked.

종래의 경우, 픽스쳐 식립을 위해 픽스쳐에 마운트를 결합하고 이 마운트를 회전시켜 픽스쳐를 식립하였으나, 본 발명의 경우 픽스쳐 식립을 위해 베이스 어버트먼트를 이용하므로 별도의 마운트를 결합할 필요가 없다.In the conventional case, the fixture is attached to the fixture for fixture placement and the fixture is rotated by rotating the mount.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ase abutment is used for fixing the fixture, there is no need to attach a separate mount.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철물(400)의 하부홀부(460)에 상부 어버트먼트(300)의 포스트부(320)를 아래에서 위로 삽입한다. 포스트부(320)가 하부홀부(460)에 삽입될 때 돌기(325)의 최외측단이 하부홀부(460)에 의해 밀려서 포스트부(320) 상부가 탄성적으로 축소되었다가, 돌기(325)가 지지홈(465)에 삽입되면, 상부 어버트먼트(300)와 보철물(400)이 서로 일시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4, the post portion 320 of the upper abutment 300 is inserted into the lower hole portion 460 of the prosthesis 400 from below to above. When the post 320 is inserted into the lower hole 460, the outermost end of the protrusion 325 is pushed by the lower hole 460 to elastically contract the upper portion of the post 320, The upper abutment 300 and the prosthesis 400 can be temporarily engaged with each other.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크류(500)를 상기 보철물(400)의 인입홀(410)에 위에서 아래로 삽입하고 육각 렌치로 회전시켜, 하단 나사부(560)를 상부 어버트먼트(300)의 내주면 나사부(370)에 일시적으로 체결한다.5, the first screw 5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410 of the prosthesis 400 from top to bottom and rotated by a hexagonal wrench so that the lower screw portion 560 is inserted into the upper hole Temporarily fasten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readed portion 370 of the butt 300.

다음으로, 서로 결합되어 있는 보철물(400)과 상부 어버트먼트(300)를 베이스 어버트먼트(200) 상에 안착시키고, 렌치로 제1스크류(500)를 더 회전시켜 상기 하단 나사부(560)를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내주면 나사부(240)에 체결한다.Next, the prosthesis 400 and the upper abutment 300 coupled to each other are placed on the base abutment 200, and the first screw 500 is further rotated by the wrench so that the lower end screw portion 560 is rota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read portion 240 of the base abutment 20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크류(500)의 하단 나사부(560)가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내주면 나사부(240)에 체결되기 시작할 때, 상기 제1스크류(500)의 테이퍼부(550)는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300)의 포스트부(320)를 확장시키게 된다.6, when the lower end thread portion 560 of the first screw 500 starts to be fasten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thread portion 240 of the base abutment 200, the taper of the first screw 500 The portion 550 extends the post 320 of the upper abutment 300.

계속해서 제1스크류(500)를 회전시키면 머리부(520)가 보철물(400)의 경사곡면(430)에 접촉되어 압착될 때까지 하단부(560)가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내주면 나사부(240)에 체결된다. 이때, 테이퍼부(550)는 포스트부(320)를 보철물(400)의 하부홀부(460)에 압착시켜 완전히 밀착되도록 한다.When the first screw 500 is then rotated, the lower end portion 560 is pressed against the inclined curved surface 430 of the prosthesis 400 until the head 520 is pressed agains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read portion of the base abutment 200 240). At this time, the tapered portion 550 compresses the post portion 320 to the lower hole portion 460 of the prosthesis 400 so that the post portion 320 is completely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이렇게 조립이 완료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쳐(100)에 베이스 어버트먼트(200)가 견고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제1스크류(500)에 의해 보철물(400)과 상부 어버트먼트(300)가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2, the base abutment 200 is firmly coupled to the fixture 100, and the first screw 500 is fixed to the fixture 400 and the upper abutment (not shown) 300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base abutment 200.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힐링 캡 조립 구조를 설명한다.Next, the healing cap assembling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상기 힐링 캡(600)은,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홈부(620)와 중앙 하면에서 연장되고 하단에 나사부(660)가 형성된 샤프트부(640)를 포함한다.The healing cap 600 includes a seating groove portion 620 that is seated on the base abutment 200 and a shaft portion 640 that extends from the center bottom and has a threaded portion 660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상기 안착홈부(620)는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상부 외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힐링 캡(600)의 하단 외주면은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커프부(260)에 부드럽게 연결되는 곡면을 이루게 된다.The seating groove portion 62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outer shape of the base abutment 200 and the lower end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ealing cap 600 is softened to the cuff portion 260 of the base abutment 200 Thereby forming a connected curved surface.

상기 샤프트부(640)는 안착홈부(620)의 중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중심홀(210)에 삽입된다. 샤프트부(640)의 하단에는 나사부(660)가 형성되어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내주면 나사부(240)에 체결된다.The shaft portion 640 extends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seating groove portion 620 and is inserted into the center hole 210 of the base abutment 200. A screw portion 66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haft portion 640 and is fasten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read portion 240 of the base abutment 200.

힐링 캡(600)의 샤프트부(640)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주위에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다각홈(220)에 대응하는 육각 식립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힐링 캡(600)을 돌려서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에 체결할 때 힐링 캡(600)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The shaft portion 640 of the healing cap 6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hexagonal recesse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lygonal groove 220 of the base abutment 200 is not formed around the shaft portion 640. Accordingly, when the healing cap 600 is rotated to fasten the base abutment 200, the healing cap 600 can be freely rotated.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힐링 캡(600)의 상면 중심에는 육각 렌치 등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육각홈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힐링 캡(600)은 손으로 돌리거나 또는 별도의 렌치나 드라이버 등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분해 또는 조립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 hexagonal groove or the like that can be rotated by a hexagonal wrench or the like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ealing cap 600. [ That is, the healing cap 600 can be disassembled or assembled by turning it by hand or by rotating it with a separate wrench or a screwdriver.

치조골에 고정된 픽스쳐(100)에 베이스 어버트먼트(200)를 매개로 하여 힐링 캡(600)을 결합함으로써, 도 8에서와 같이, 치은 힐링시 힐링 캡(600)과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결합체가 힐링 어버트먼트로 기능할 수 있다.The healing cap 600 and the base abutment 200 are assembled by bonding the healing cap 600 to the fixture 100 fixed to the alveolar bone via the base abutment 200, ) Can function as a healing abutment.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스캔 바디 조립 구조를 설명한다.Next, the scan body assembly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Fig.

상기 스캔 바디(700)는 세로로 관통형성된 중앙홀(710)과,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홈(740)과, 상기 중앙홀의 하단 연장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의 다각홈(220)에 삽입되는 식립부(760)를 포함한다.The scan body 700 includes a center hole 710 formed vertically through the center hole 710 and a seating groove 740 that is seated on the base abutment 200. The center hole 740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center hole, And a placing portion 760 inserted into the polygonal groove 220 of the abutment.

상기 중앙홀(710)은 스캔 바디(700)의 몸체 중앙에 세로로 관통형성된다. 중앙홀(710)의 상단홀부(720)는 후술하는 제2스크류(800)의 머리부(820)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서 삽입되는 머리부(820)를 지지한다. 이를 위해, 상단홀부(720)의 내주면은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점점 작아지는 경사곡면(730)을 형성할 수 있다.The center hole 710 is verticall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dy of the scan body 700. The upper hole portion 720 of the center hole 710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head portion 820 of the second screw 800 to be described later and supports the inserted head portion 820. For this purpos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hole portion 720 can form an inclined curved surface 730 whos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bottom.

상기 중앙홀(710)의 하부를 구성하는 측벽은 중앙홀(710)의 주위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된다. 이 연장부는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중심홀(210) 상부에 삽입된다.The side wall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enter hole 710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periphery of the center hole 710. The extension is inserted in the upper part of the center hole 210 of the base abutment 200.

상기 안착홈(740)은 상기 중앙홀(710) 주위의 연장부 주위에 상기 스캔 바디(700)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형성된다. 이 안착홈(740)은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상부 외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스캔 바디(700)의 하단 외주면도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커프부(260)에 부드럽게 연결되는 곡면을 형성한다.The seating groove 740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can body 700 around an extension of the center hole 710. The lower end peripheral surface of the scan body 700 is also smoothly connected to the cuff portion 260 of the base abutment 200.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scan abutment portion 740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upper surface shap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abutment 200, Thereby forming a curved surface.

상기 중앙홀(710)의 하단 연장부 외주면에는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다각홈(220)에 삽입되는 육각 기둥 형태의 식립부(760)가 형성된다. 이 식립부(760)는 다각홈(220)에 삽입되어, 제2스크류(800)로 스캔 바디(700)를 통과하여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에 체결할 때, 스캔 바디(700)가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A hexagonal column-shaped recessed portion 760 inserted into the polygonal groove 220 of the base abutment 200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extended portion of the center hole 710. The inserting portion 760 is inserted into the polygonal groove 220 so that when the second screw 800 is passed through the scan body 700 and fastened to the base abutment 200, Thereby preventing relativ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abutment 200.

상기 제2스크류(800)는 스캔 바디(700)의 중앙홀(710)을 통과하여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내주면 나사부(240)에 체결된다.The second screw 800 passes through the center hole 710 of the scan body 700 and is fasten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read portion 240 of the base abutment 200.

이 제2스크류(800)는 상기한 스캔 바디(700)의 상단홀부(720)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머리부(820)와, 머리부의 아래로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는 몸체부(840)와, 몸체부의 하단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부(8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crew 800 includes a head portion 820 inserted into and supported by the upper hole portion 720 of the scan body 700, a body portion 840 extending in a cylindrical shape below the head portion, And a screw portion 860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portion.

상기 머리부(820)도 제1스크류(500)의 머리부(520)와 마찬가지로 아래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지만, 그 치수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Like the head 520 of the first screw 500, the head 820 is formed so that its out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bottom, but the dimensions of the head 82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몸체부(840)는 체결되었을 때 상기 스캔 바디(700)의 중앙홀(710)과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중심홀(210)에 삽입되는 부분이다.The body portion 840 is inserted into the center hole 710 of the scan body 700 and the center hole 210 of the base abutment 200 when the body portion 840 is fastened.

상기 나사부(860)는 최종적으로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내주면 나사부(240)에 체결되지만, 상기 스캔 바디(700)의 중앙홀(710) 내주면에도 나사부(750)가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제2스크류(800)를 체결할 때 제2스크류(800)의 나사부(860)가 스캔 바디(700)의 나사부(750)에 일시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The screw portion 860 is finally fasten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read portion 240 of the base abutment 200. The screw portion 750 is also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hole 710 of the scan body 700. [ The screw portion 860 of the second screw 800 can be temporarily fastened to the screw portion 750 of the scan body 700 when the second screw 800 is fastened.

그리고, 상기 스캔 바디(700)는 상단부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세로 밀링면(770)과 반대측에 형성된 세로홈(78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can body 700 may further include a vertical groove 780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vertical milling surface 770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uter peripheral surface.

상기 세로 밀링면(770)은 스캔 바디(700)의 외주면 일측에 상단으로부터 소정 크기의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로홈(780)은 세로 밀링면(770)의 반대쪽 외주면에 상단으로부터 소정 폭과 길이를 가진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longitudinally milled surface 77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an body 700 to have a predetermined size from the top. The vertical groove 780 may have a groov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from the upper e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pposite to the longitudinal milling surface 770.

이 스캔 바디(700)를 제2스크류(800)에 의해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에 결합한 상태에서 구강 스캔을 하여 구강 내 디지털 이미지 파일을 얻을 수 있다.The scan body 700 is coupled to the base abutment 200 by the second screw 800 to perform an oral scan to obtain a digital image file in the oral cavity.

이러한 구강 스캔시, 상기 세로 밀링면(770)과 세로홈(780)은 구강 이미지의 위치 식별을 위한 기준점을 제공할 수 있다.In such an oral scan, the longitudinally milled surface 770 and the longitudinal groove 780 may provide a reference point for location identification of the oral image.

또한, 상기 스캔 바디(700)는 전체적으로 원뿔대 형태의 외형을 가질 수 있다. 도 9에서 스캔 바디(700)의 외측면 윤곽은 경사진 직선으로 이루어진 것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와 달리 스캔 바디(700)의 외측면 윤곽은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can body 700 may have a truncated cone shape as a whole. In FIG. 9, the outer contour of the scan body 700 is shown as an inclined straight line. Alternatively, the outer contour of the scan body 700 may be curved outwardly.

그리고, 상기 스캔 바디(700)의 외면에는 임시 보철물이 시멘트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즉, 스캔 바디(700)를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에 결합하여 구강 스캔 후 이 스캔 바디(700)에 맞는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여 시멘트로 보철물을 스캔 바디(700)에 부착할 수 있다. 그래서, 최종적인 보철물을 결합하기 전이라도 환자가 임시 보철물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저작할 수 있다.A temporary prosthesis may be adher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can body 700 by cement. That is, the scan body 700 may be coupled to the base abutment 200 to prepare a temporary prosthesis for the scan body 700 after the oral scan, and the prosthesis may be attached to the scan body 700 with cement. So, even before combining the final prosthesis, the patient can use the temporary prosthesis to chew the food.

시멘트로 접착되는 상기 임시 보철물은 금속 도재(PFM: Porcelain Fused Metal) 보철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반해, 스크류로 체결되는 상기 보철물(400)은 지르코니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Preferably, the temporary prosthesis adhered with cement is a PFM (Porcelain Fused Metal) prosthesis. In contrast, the prosthesis 400 to be fastened with a screw may be made of a zirconia material.

또한, 상기 스캔 바디(700)에 시멘트로 접착되는 보철물은 임시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최종적으로 사용하는 보철물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힐링 캡(600)을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에 결합하여 잇몸을 복원시킨 후, 힐링 캡(600)을 분해하고 상기 스캔 바디(700)를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에 결합한다. 이 스캔 바디(700)를 이용하여 구강 스캔을 하고 보철물을 제작한 다음, 시멘트를 이용하여 보철물을 스캔 바디(700)에 부착한다.In addition, the prosthesis adhered to the scan body 700 with cement may not be used temporarily but may be a prosthesis to be finally used. In this case, the healing cap 600 is coupled to the base abutment 200 to restore the gums. Then, the healing cap 600 is disassembled and the scan body 700 is coupled to the base abutment 200 do. The scan body 700 is used to perform an oral scan to produce a prosthesis, and then the prosthesis is attached to the scan body 700 using cement.

이와 같이, 스캔 바디(700)에 시멘트로 임시 또는 최종 보철물을 부착하는 경우, 스캔 바디(700)는 스캔 바디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시멘트 접착용 어버트먼트로서의 기능도 동시에 가질 수 있다.When the temporary or final prosthesis is attached to the scan body 700 with the cement, the scan body 700 can function not only as a scan body but also as a cement adhesion abutment.

전체적으로 본 발명의 어버트먼트 조립체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시술을 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process of performing an implant procedure using the abutmen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우선, 치조골에 픽스쳐(100)를 식립할 때 베이스 어버트먼트(200)를 이용하여 식립할 수 있다.First, the fixture 100 can be placed using the base abutment 200 when the fixture 100 is placed on the alveolar bone.

다음에, 힐링 캡(600)을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에 체결하여 잇몸이 치유되어 이머전스 프로파일이 형성되도록 한다.Next, the healing cap 600 is fastened to the base abutment 200 to heal the gums to form a emmagen profile.

다음으로, 힐링 캡(600)을 분해하고 대신 제2스크류(800)를 이용하여 스캔 바디(700)를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에 결합한다. 이 결합된 스캔 바디(700)를 기초로 구강 스캔을 하고 보철물(400)을 제작한다.Next, the healing cap 600 is disassembled and the scan body 700 is coupled to the base abutment 200 using the second screw 800 instead. And scan the oral cavity based on the combined scan body 700 to produce the prosthesis 400.

다음에, 스캔 바디(700)를 분해하고, 제1스크류(500)를 이용하여 보철물(400)과 상부 어버트먼트(300)를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에 결합한다. 보철물(400)의 인입홀(410) 상부 구멍은 레진 등으로 충진할 수 있다.Next, the scan body 700 is disassembled and the prosthesis 400 and the upper abutment 300 are coupled to the base abutment 200 using the first screw 500. The upper hole of the insertion hole 410 of the prosthesis 400 may be filled with resin or the like.

한편, 시멘트 접착용 보철물을 결합하는 경우라면, 스캔 바디(700)를 분해하지 않고 그대로 두고서, 구강 스캔 후 스캔 바디(700)에 맞는 보철물을 제작한다. 이 보철물은 시멘트에 의해 스캔 바디(700)에 부착될 수 있다.In the case of bonding the cement-attaching prosthesis, the scan body 700 is left without being disassembled, and a prosthesis corresponding to the scan body 700 is prepared after the oral scan. The prosthesis can be attached to the scan body 700 by cement.

시멘트 접착용 보철물이 임시적인 것이라면, 최종적인 상기 보철물(400)도 별도로 제작하고, 임시 보철물을 제거한 다음 최종 보철물(400)을 제1스크류(500) 및 상부 어버트먼트(300)를 이용하여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에 결합한다.If the temporary restoration of the cement is temporary, the final prosthesis 400 is also prepared separately. After removing the temporary prosthesis, the final prosthesis 400 is fixed to the base 500 using the first screw 500 and the upper abutment 300, To the abutment (200).

시멘트 접착용 보철물이 최종적인 것이라면, 상기한 제1스크류(500) 및 상부 어버트먼트(300)는 필요 없고,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200)가 시멘트 접착용 보철물을 위한 어버트먼트로 기능하게 된다.If the cementing restoration is the final one, the first screw 500 and the upper abutment 300 are not needed and the base abutment 200 functions as an abutment for the cementing restoration do.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경사진 상부 외주면은 스크류에 의해 결합되는 보철물 또는 스캔바디에 시멘트에 의해 결합되는 보철물이 씌워질 때 구강 내 저작 운동시 가해지는 측방 압력을 지지할 수 있다.The inclined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abutment 200 may support the lateral pressure applied during the buccal masticatory movement when the prosthesis coupled by the screw or the prosthesis coupled by the cement to the scan body is covered.

본 발명에 의하면, 픽스쳐에 베이스 어버트먼트를 체결한 다음, 이 베이스 어버트먼트에 힐링 캡, 스캔 바디, 또는 상부 어버트먼트 및 보철물을 호환 가능하게(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므로, 임플란트 시술 과정이 획기적으로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ealing cap, a scan body, or an upper abutment and a prosthesis can be interchangeably (selectively) coupled to the base abutment after the base abutment is fastened to the fixture, The process can be dramatically simplified.

특히, 치조골에 픽스쳐를 매식한 후 곧바로 하부 외주면에 커프부가 형성된 베이스 어버트먼트를 체결하므로, 덮개 나사(cover screw) 내지 힐링 어버트먼트를 체결할 필요가 없다. 별도의 덮개 나사와 힐링 어버트먼트를 체결 및 제거하지 않기 때문에, 베이스 어버트먼트의 커프부에 의해, 치아에서 결합조직과 상피조직을 치아에 결합시킨 높이인 생물학적 폭경(biological width)이 힐링 시기부터 생길 수 있어서, 조기에 생물학적 안정성을 얻어 골결합에 이상적인 환경을 제공하며 임플란트 주위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base abutment having the cuff portion is fastened to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immediately after the fixture is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there is no need to fasten the cover screw or the healing abutment. Since the separate lid screw and the healing abutment are not fastened and removed, the biological width, which is the height at which the connective tissue and the epithelial tissue are bonded to the tooth in the tooth by the cuff portion of the base abutment, , Which provides early biological stability and provides an ideal environment for osseointegration and prevents infection around the implant.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Changes will be possible.

100: 픽스쳐 120: 내주면 나사부
140: 외주면 나사부
200: 베이스 어버트먼트 210: 중심홀
220: 다각홈 230: 지지턱부
240: 내주면 나사부 260: 커프부
280: 하단 나사부
300: 상부 어버트먼트 310: 관통홀
320: 포스트부 322: 절개홈
323: 슬롯 325: 돌기
340: 연장날부 360: 하부
370: 나사부 380: 식립부
400: 보철물 410: 인입홀
420: 상단홀부 430: 경사곡면
440: 중단턱부 460: 하부홀부
465: 지지홈 480: 확장홀부
500: 제1스크류 520: 머리부
540: 중간부 550: 테이퍼부
560: 하단부
600: 힐링 캡 620: 안착홈부
640: 샤프트부 660: 나사부
700: 스캔 바디 710: 중앙홀
720: 상단홀부 730: 경사곡면
740: 안착홈 750: 나사부
760: 식립부 770: 세로 밀링면
780: 세로홈
800: 제2스크류 820: 머리부
840: 몸체부 860: 나사부
100: Fixture 120: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read portion
140: outer peripheral surface thread portion
200: Base abutment 210: Center hole
220: multiple grooves 230: support jaw
240: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readed portion 260: cuff portion
280: Lower thread
300: upper abutment 310: through hole
320: post portion 322: incision groove
323: Slot 325:
340: extended blade part 360: lower part
370: screw portion 380:
400: prosthesis 410: inlet hole
420: upper end hole part 430: inclined curved surface
440: stop jaw 460: bottom hole portion
465: support groove 480: extension hole portion
500: first screw 520: head
540: intermediate portion 550: tapered portion
560:
600: Healing cap 620:
640: shaft portion 660:
700: scan body 710: center hole
720: upper end hole portion 730: inclined curved surface
740: seating groove 750: threaded portion
760: placing part 770: longitudinal milling face
780: Vertical groove
800: Second screw 820: Head
840: Body part 860: Screw part

Claims (7)

치조골에 매립되어 고정되고 내주면 나사부를 구비하는 픽스쳐;
상기 픽스쳐의 내주면 나사부에 체결되는 하단 나사부를 구비하고 중심홀의 하부에 내주면 나사부가 형성된 베이스 어버트먼트;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의 중심홀 상부에 형성된 다각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부 어버트먼트;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의 상부 포스트부가 아래에서 삽입되어 결합되는 인입홀이 형성된 보철물; 및
상기 보철물의 인입홀에 위에서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를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의 내주면 나사부에 체결되는 제1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에는 힐링 캡 또는 스캔 바디가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조립체.
A fixture fixedly embedded in the alveolar bone and having an inner circumferential threaded portion;
A base abutment provided with a lower end threaded portion to be fasten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threaded portion of the fixture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threaded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enter hole;
An upper abutment inserted into the polygonal groove formed on the central hole of the base abutment and coupled thereto;
A prosthesis in which a top post portion of the upper abutment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and into which a receiving hole is formed; And
And a first screw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prosthesis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and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read portion of the base abutment through the upper abutment,
Wherein the base abutment can be fastened to the healing cap or sca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의 상부 외주면은 상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일정 각도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철물, 힐링 캡 또는 스캔 바디의 하단홈부가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abutment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a smaller outer diameter toward the upper end so that the lower end groove portion of the prosthesis, the healing cap or the scan body is selectively se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의 포스트부는 상단에서부터 세로로 형성된 복수의 절개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스크류는 중간부 외주면에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부에 삽입될 때 포스트부를 확장시켜 포스트부가 상기 보철물의 인입홀 내주면에 압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st portion of the upper abutment includes a plurality of incision grooves formed vertically from the top,
Wherein the first screw is formed with a tapered port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ortion so that the post portion is expanded when the inserted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post portion so that the post portion is pres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hole of the prosthes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힐링 캡은,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홈부와 중앙 하면에서 연장되고 하단에 나사부가 형성된 샤프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aling cap comprises:
And a shaft portion having a seating groove portion that is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abutment and a thread portion that is extended from a center bottom surface and is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바디는 세로로 관통형성된 중앙홀과,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홈과, 상기 중앙홀의 하단 연장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의 다각홈에 삽입되는 식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캔 바디는 상기 중앙홀을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의 내주면 나사부에 체결되는 제2스크류에 의해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can body includes a center hole penetrating vertically, a seating groove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abutment, and a mounting portion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lower end extending portion of the center hole and inserted into a polygonal groove of the base abutment and,
Wherein the scan body is coupled to the base abutment by a second screw threaded through an inner hole of the base abutment through the center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바디는 구강 스캔시 위치 식별을 위한 기준점을 제공하기 위해, 상단부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세로 밀링면과 반대측에 형성된 세로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can body further comprises a vertical groov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vertical milling surfac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provide a reference point for position identification during oral sca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바디는 원뿔대 형태의 외형을 갖고,
상기 스캔 바디의 외면에는 임시 보철물이 시멘트에 의해 접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can body has a truncated cone shape,
Wherein a temporary prosthesis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can body by cement.
KR1020180043170A 2018-04-13 2018-04-13 Abutment assembly KR1018814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170A KR101881421B1 (en) 2018-04-13 2018-04-13 Abutment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170A KR101881421B1 (en) 2018-04-13 2018-04-13 Abutment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1421B1 true KR101881421B1 (en) 2018-07-24

Family

ID=63059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170A KR101881421B1 (en) 2018-04-13 2018-04-13 Abutment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1421B1 (en)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802B1 (en) 2018-10-30 2018-12-04 (주)명문덴탈 Non adhesive screw implants
KR101931148B1 (en) 2018-09-14 2018-12-20 박건제 Artificial dental prosthesi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9846567A (en) * 2019-03-08 2019-06-07 雅客智慧(北京)科技有限公司 Plant guide plate fixation kit and its application method
KR20200082806A (en) *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피엔유에드 Dental implant whichof crown is detached easily
KR20200001794U (en) *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Dental implant
KR20200098434A (en) * 2020-03-20 2020-08-20 최종훈 Loose type Dental implant
KR102198233B1 (en) * 2019-12-16 2021-01-05 (주) 코웰메디 Cenemt-free dental implant
KR102198237B1 (en) * 2020-01-14 2021-01-05 (주) 코웰메디 Cenemtless dental implant using elastic bushing
KR102198234B1 (en) * 2019-12-27 2021-01-05 (주) 코웰메디 Cenemtless dental implant
KR102214900B1 (en) * 2020-12-09 2021-02-10 이경택 dental implant system with crown with good load-absorbing internal surface
KR20210088884A (en) 2020-01-07 2021-07-15 권현정 Abutment
KR20210152751A (en) * 2020-06-09 2021-12-16 주식회사 워랜텍 Assisting apparatus for Mounting of screw-cement retained prosthesis on abutment
CN114040729A (en) * 2019-04-14 2022-02-11 米坎贝有限公司 Dental abutment and docking system
KR102363645B1 (en) * 2021-07-26 2022-02-15 장천석 Abutments for implants with connector to reduce the diameter of the screw hole
KR102594042B1 (en) * 2022-12-29 2023-10-25 (주)덴탈릭스 Implant with double separable abutment
WO2024055089A1 (en) * 2022-09-12 2024-03-21 M3 Health Indústria E Comércio De Produtos Médicos, Odontológicos E Correlatos S.A. Base, screw and interchangeable intermediary piece for securing a dental prosthesis to a dental implant and prosthetic component for securing a dental prosthesis to a dental impla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6198A (en) * 1993-09-24 1995-05-30 Nikon Corp Member combination for in bone implant
KR200365136Y1 (en) * 2004-05-18 2004-10-16 주식회사 오스템 Non-loosing Implant System, Screw, Adapter and Cylinder thereof
KR20060025263A (en) * 2004-09-15 2006-03-21 이달호 Dental implant, fixture, impression coping and lab analog for the dental implant
KR20090110136A (en) * 2008-04-17 2009-10-21 이도상 Healing abutment
KR20140080313A (en) * 2012-12-20 2014-06-30 덴토즈 주식회사 Dental implant
JP2014515960A (en) * 2011-05-16 2014-07-07 バイオメット・3アイ・エルエルシー Temporary prosthesis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an abutment
KR101417980B1 (en) 2013-08-26 2014-07-09 주식회사 디오 Implant scan body and implant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20150086699A (en) * 2014-01-20 2015-07-29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Multiple Abutment
KR20160051482A (en) * 2014-11-03 2016-05-11 이도상 Hybrid Jar Style Implant Fixture
KR20170001003U (en) * 2015-09-09 2017-03-17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Healing abutment set
KR101768410B1 (en) 2017-01-18 2017-08-17 박건제 Locking link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6198A (en) * 1993-09-24 1995-05-30 Nikon Corp Member combination for in bone implant
KR200365136Y1 (en) * 2004-05-18 2004-10-16 주식회사 오스템 Non-loosing Implant System, Screw, Adapter and Cylinder thereof
KR20060025263A (en) * 2004-09-15 2006-03-21 이달호 Dental implant, fixture, impression coping and lab analog for the dental implant
KR20090110136A (en) * 2008-04-17 2009-10-21 이도상 Healing abutment
JP2014515960A (en) * 2011-05-16 2014-07-07 バイオメット・3アイ・エルエルシー Temporary prosthesis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an abutment
KR20140080313A (en) * 2012-12-20 2014-06-30 덴토즈 주식회사 Dental implant
KR101417980B1 (en) 2013-08-26 2014-07-09 주식회사 디오 Implant scan body and implant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20150086699A (en) * 2014-01-20 2015-07-29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Multiple Abutment
KR20160051482A (en) * 2014-11-03 2016-05-11 이도상 Hybrid Jar Style Implant Fixture
KR20170001003U (en) * 2015-09-09 2017-03-17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Healing abutment set
KR101768410B1 (en) 2017-01-18 2017-08-17 박건제 Locking link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148B1 (en) 2018-09-14 2018-12-20 박건제 Artificial dental prosthesi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24802B1 (en) 2018-10-30 2018-12-04 (주)명문덴탈 Non adhesive screw implants
KR20200082806A (en) *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피엔유에드 Dental implant whichof crown is detached easily
KR102316320B1 (en) * 2018-12-31 2021-10-25 주식회사 피엔유에드 Dental implant whichof crown is detached easily
KR200493322Y1 (en) * 2019-01-31 2021-03-11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Dental implant
KR20200001794U (en) *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Dental implant
CN109846567A (en) * 2019-03-08 2019-06-07 雅客智慧(北京)科技有限公司 Plant guide plate fixation kit and its application method
EP3955847A4 (en) * 2019-04-14 2022-11-16 Mikambeh Ltd Dental abutment and abutting system
CN114040729A (en) * 2019-04-14 2022-02-11 米坎贝有限公司 Dental abutment and docking system
WO2021125544A1 (en) * 2019-12-16 2021-06-24 (주) 코웰메디 Cementless type dental implant
CN113613587A (en) * 2019-12-16 2021-11-05 (株)柯威尔株式会社 Cement-free dental implant
CN113613587B (en) * 2019-12-16 2023-02-28 (株)柯威尔株式会社 Cement-free dental implant
KR102198233B1 (en) * 2019-12-16 2021-01-05 (주) 코웰메디 Cenemt-free dental implant
KR102198234B1 (en) * 2019-12-27 2021-01-05 (주) 코웰메디 Cenemtless dental implant
KR20210088884A (en) 2020-01-07 2021-07-15 권현정 Abutment
KR102198237B1 (en) * 2020-01-14 2021-01-05 (주) 코웰메디 Cenemtless dental implant using elastic bushing
KR20200098434A (en) * 2020-03-20 2020-08-20 최종훈 Loose type Dental implant
KR102243831B1 (en) * 2020-03-20 2021-04-23 최종훈 Loose type Dental implant
KR20210152751A (en) * 2020-06-09 2021-12-16 주식회사 워랜텍 Assisting apparatus for Mounting of screw-cement retained prosthesis on abutment
KR102464622B1 (en) 2020-06-09 2022-11-08 주식회사 워랜텍 Assisting apparatus for Mounting of screw-cement retained prosthesis on abutment
KR102214900B1 (en) * 2020-12-09 2021-02-10 이경택 dental implant system with crown with good load-absorbing internal surface
KR102363645B1 (en) * 2021-07-26 2022-02-15 장천석 Abutments for implants with connector to reduce the diameter of the screw hole
WO2023008686A1 (en) * 2021-07-26 2023-02-02 장천석 Implant abutment including connector reducing diameter of screw hole
WO2024055089A1 (en) * 2022-09-12 2024-03-21 M3 Health Indústria E Comércio De Produtos Médicos, Odontológicos E Correlatos S.A. Base, screw and interchangeable intermediary piece for securing a dental prosthesis to a dental implant and prosthetic component for securing a dental prosthesis to a dental implant
KR102594042B1 (en) * 2022-12-29 2023-10-25 (주)덴탈릭스 Implant with double separable abut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1421B1 (en) Abutment assembly
KR101943437B1 (en) Abutment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6860711B2 (en) Temporary prosthesis system and how to use it
KR101966407B1 (en) Abutment assembly
AU2012255865B2 (en) Temporary abutment with combination of scanning features and provisionalization features
KR101417980B1 (en) Implant scan body and implant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100677870B1 (en) Healing abutment and dental implant having the same
US20020142266A1 (en) Single-stage implant system
JP2012501217A (en) Dental fixation device and method
KR101375154B1 (en) Healing abutment having natural tooth shape
KR100842318B1 (en) Titanium sleeve for dental implant and dental implant having the same
US20240024081A1 (en) Abutment and healing cuff device for dental implant
KR20200082806A (en) Dental implant whichof crown is detached easily
KR102038256B1 (en) Abutment for dental implant
KR20200014558A (en) Abutment assembly
KR20200020784A (en) Tooth Restoration Assembly
KR20120017951A (en) Multi abutment device
KR20210106724A (en) Implant impression coping with improved connecting structure
KR20210076401A (en) Abutments to prevent rotation of implant crowns
KR102551331B1 (en) Abutment assembly
KR101486851B1 (en) Dental Implant Abutment
KR101406043B1 (en) Separated type healing abutment
KR101524192B1 (en) Cervical Shape Abutment for Dental Implant
KR20180115294A (en) Angular transposition of dental implants
KR20170139414A (en) Medical im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