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094B1 - Kanban-based work processing device - Google Patents

Kanban-based work process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094B1
KR102567094B1 KR1020210020450A KR20210020450A KR102567094B1 KR 102567094 B1 KR102567094 B1 KR 102567094B1 KR 1020210020450 A KR1020210020450 A KR 1020210020450A KR 20210020450 A KR20210020450 A KR 20210020450A KR 102567094 B1 KR102567094 B1 KR 102567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business
task
kanban
chat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4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16948A (en
Inventor
최재호
Original Assignee
최재호
델타피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호, 델타피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재호
Priority to KR1020210020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094B1/en
Priority to US17/333,853 priority patent/US20210374678A1/en
Priority to JP2021091739A priority patent/JP7277877B2/en
Publication of KR20220116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69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094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기반의 간반보드를 생성하는 간반보드 처리부; 상기 간반보드에 업무 프로젝트의 작성을 위한 간반카드를 삽입하고, 상기 간반보드는 업무노트 컨테이너, 업무대화 컨테이너 및 업무객체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간반카드 처리부; 상기 업무노트 컨테이너에 업무노트를 생성하여 업무 참여자 간에 기본적인 업무를 공유하는 업무수행 처리부; 상기 업무객체 컨테이너에 업무 지시자, 업무 처리자 및 업무내용을 포함하는 업무객체를 생성하여 상기 업무 참여자 간에 지시적인 업무를 공유하는 업무객체 처리부; 및 상기 업무대화 컨테이너에 상기 업무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업무 참여자가 참여하는 업무대화방을 생성하고, 상기 업무노트 및 상기 업무객체의 생성에 따른 업무메시지를 상기 업무대화방에 공유하는 업무대화방 처리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anban-based business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kanban board processor for generating a user-based kanban board; a kanban card processing unit that inserts a kanban card for writing a business project into the kanban board, and the kanban board includes a business note container, a business conversation container, and a business object container; a task performance processing unit that creates a task note in the task note container and shares basic tasks among task participants; a business object processing unit that creates a business object including a business director, a business handler, and business details in the business object container, and shares the instructional business among the business participants; and a work chat room processing unit that creates a work chat room in the work chat container in which work participants performing the work project participate, and shares a work message according to the creation of the work note and the work object in the work chat room.

Description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KANBAN-BASED WORK PROCESSING DEVICE}Kanban-based work processing device {KANBAN-BASED WORK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업무 처리 및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반보드 또는 간반보드 내 간반카드에 대한 업무대화방 등 업무 참여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제공하여 업무 수행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기술과 관련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work processing and management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ology for effectively supporting work performance by providing communication means between work participants, such as a work chat room for a kanban board or a kanban card in a kanban board.

일반적으로 인터넷 메신저는 사용자들 간의 문자 또는 그래픽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고, 복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참여되는 채팅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넷 메신저는 모바일 환경(예를 들어, 휴대폰)에서 수행되는 모바일 메신저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카카오톡, 라인, 위챗, 페이스북 메신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업무의 관리와 진행에 있어 이와 같은 인터넷 메신저가 점차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In general, an Internet messenger corresponds to an application that transmits messages including text or graphics between users, and may be implemented as a chat room participated by a plurality of users. In one embodiment, the Internet messenger may include a mobile messenger executed in a mobile environment (eg, a mobile phone), and may include, for example, KakaoTalk, Line, WeChat, Facebook messenger, and the like. In addition, it is a trend that such an Internet messenger is gradually being used in various ways in the management and progress of business.

간반보드(Kanban board)는 개인적 또는 조직적인 수준에서 작업을 관리하기 위한 간반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도구들 가운데 하나이다. 또한, 간반보드는 업무 단계 및 각 업무 단계별 하위 업무들을 평면 상에 나열하여 시각화한 보드이다. 간반보드는 상위 업무의 전체 프로세스의 각 단계들을 한 방향으로 나열하고 작업 항목 표현을 위해 카드들을 사용한다. 간반보드에 사용되는 카드를 간반카드라 지칭할 수 있다. 예컨대, 간반카드가 업무 단계 별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됨으로써 따라 업무의 진행상황을 나타낼 수 있다.A Kanban board is one of the tools that can be used to implement kanban for managing tasks on an individual or organizational level. In addition, the kanban board is a board in which work steps and sub-tasks for each work step are listed and visualized on a flat surface. The kanban board lists each step of the entire process of a higher task in one direction and uses cards to represent work items. A card used in the kanban board may be referred to as a kanban card. For example, as the kanban card is moved from left to right for each task step, the progress of the task may be indicated.

여기에서, 간반(看板)은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중의 하나로, 개발자들에게 과도한 부하를 주지 않으면서 적시에 상품을 출시하도록 하는 개발 방법에서 유래한 개념이다.Here, Kanban is one of the software development processes, and is a concept derived from a development method that allows developers to release products in a timely manner without excessive load.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40928호 (2017.04.14)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40928 (2017.04.14)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간반보드를 통해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 대한 경과를 한눈에 파악하고, 간반카드에 연관된 대화방을 통해 해당 업무에 대한 피드백과 보완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시계열 순으로 공유되는 업무메시지들을 통해 업무흐름을 용이하게 파악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grasp the progress of the ongoing project at a glance through the kanban board, perform feedback and supplementation on the task through a chat room related to the kanban card, and share in chronological order. It is intended to provide a Kanban-based work processing device that can increase work efficiency by easily understanding the work flow through the work messages.

실시예들 중에서,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는 사용자 기반의 간반보드를 생성하는 간반보드 처리부; 상기 간반보드에 업무 프로젝트의 작성을 위한 간반카드를 삽입하고, 상기 간반보드는 업무노트 컨테이너, 업무대화 컨테이너 및 업무객체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간반카드 처리부; 상기 업무노트 컨테이너에 업무노트를 생성하여 업무 참여자 간에 기본적인 업무를 공유하는 업무수행 처리부; 상기 업무객체 컨테이너에 업무 지시자, 업무 처리자 및 업무내용을 포함하는 업무객체를 생성하여 상기 업무 참여자 간에 지시적인 업무를 공유하는 업무객체 처리부; 및 상기 업무대화 컨테이너에 상기 업무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업무 참여자가 참여하는 업무대화방을 생성하고, 상기 업무노트 및 상기 업무객체의 생성에 따른 업무메시지를 상기 업무대화방에 공유하는 업무대화방 처리부를 포함한다.Among embodiments, a kanban-based business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kanban board processing unit generating a user-based kanban board; a kanban card processing unit that inserts a kanban card for writing a business project into the kanban board, and the kanban board includes a business note container, a business conversation container, and a business object container; a task performance processing unit that creates a task note in the task note container and shares basic tasks among task participants; a business object processing unit that creates a business object including a business director, a business handler, and business details in the business object container, and shares the instructional business among the business participants; and a work chat room processing unit that creates a work chat room in the work chat container in which work participants performing the work project participate, and shares a work message according to the creation of the work note and the work object in the work chat room.

상기 간반카드 처리부는 상기 업무 프로젝트가 신규로 생성될 때마다 신규의 간반카드를 상기 간반보드에 삽입할 수 있다.The Kanban card processing unit may insert a new Kanban card into the Kanban board whenever the work project is newly generated.

상기 간반카드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들 중 각각에 대한 큐레이션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The Kanban card processing unit may set a curation method for each of the containers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상기 업무수행 처리부는 상기 업무 참여자에 의해 작성되고 상기 업무 프로젝트의 진행 과정에서 발생되는 업무기록을 상기 업무노트로서 생성하고 상기 업무노트 컨테이너에 상기 업무노트를 시계열적으로 삽입할 수 있다.The work performance processing unit may generate work records created by the work participants and generated in the course of the work project as the work notes, and insert the work notes into the work note container time-sequentially.

상기 업무수행 처리부는 상기 업무노트에 외부 공유가 설정되면 상기 업무노트를 통해 공유될 수 있도록 상기 업무노트에 대한 퍼머넌트 링크(permanent link)를 생성할 수 있다.When external sharing is set for the work note, the work performance processing unit may create a permanent link to the work note so that it can be shared through the work note.

상기 업무수행 처리부는 상기 업무대화방에 상기 업무노트에 대한 퍼머넌트 링크를 포함하는 업무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The work performance processing unit may provide a work message including a permanent link to the work note to the work chat room.

상기 업무객체 처리부는 상기 업무 지시자 및 상기 업무 처리자 간의 업무플로우 기반 업무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업무객체는 업무마감기한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ork object processing unit may create a work flow-based work object between the work director and the work handler, and the work object may further include a work deadline.

상기 업무객체 처리부는 상기 업무플로우 기반 업무객체를 업무상태로서 관리하고 상기 업무객체는 상기 업무상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ork object processing unit may manage the work flow-based work object as a work state, and the work object may further include the work state.

상기 업무대화방 처리부는 상기 업무메시지의 생성 과정에서 상기 업무노트 또는 상기 업무객체에 대한 해당 업무에 바로 접근할 수 있는 업무링크를 상기 업무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업무대화방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The work chat room processing unit may include a work link for directly accessing a corresponding task for the work note or the work object in the work message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work message, and provide the work message through the work chat room.

상기 업무대화방 처리부는 상기 업무노트 또는 상기 업무객체에 관해 특정 업무 참여자와의 일대일 업무대화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업무대화 컨테이너에 일대일 업무대화방을 생성할 수 있다.The work chat room processing unit may receive a request for a one-to-one work chat with a specific work participant regarding the work note or the work object, and create a one-to-one work chat room in the work chat container.

상기 업무대화방 처리부는 상기 일대일 업무대화방에 상기 업무노트 또는 상기 업무객체에 관한 직접적인 링크를 포함하는 공지 업무메시지를 삽입하여 상기 일대일 업무대화방을 통해 항상 보이도록 할 수 있다.The work chat room processing unit may insert a notice work message including a direct link to the work note or the work object into the one-to-one work chat room so that it is always visible through the one-to-one work chat room.

상기 업무대화방 처리부는 상기 업무대화방에 상기 업무 참여자가 일반메시지를 공유하는 경우에는 상기 업무 참여자에게 먼저 해당 업무의 유무를 질의할 수 있다.When the business chat room processing unit shares a general message with the business participant in the business chat room, the business chat room processing unit may first query the business participant as to whether there is a corresponding business.

상기 업무대화방 처리부는 상기 해당 업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해당 업무를 상기 일반메시지에 표시하여 상기 업무메시지로 전환할 수 있다.The task chat room processing unit may convert the task message into the task message by displaying the corresponding task in the general message when the corresponding task exists.

상기 업무대화방 처리부는 상기 전환된 업무메시지에 표시된 해당 업무에 상기 해당 업무에 대한 링크를 삽입할 수 있다.The task chat room processing unit may insert a link for the corresponding task into the corresponding task displayed in the converted task message.

상기 업무대화방 처리부는 상기 업무 참여자의 제어에 따라 상기 업무대화방을 통해 상기 업무노트 또는 상기 업무객체가 생성되면 상기 업무노트 컨테이너 또는 상기 업무객체 컨테이너에 해당 업무를 등록할 수 있다.The work chat room processing unit may register a corresponding task in the work note container or the work object container when the work note or the work object is created through the work chat room under the control of the work participant.

상기 업무대화방 처리부는 상기 업무대화방을 통해 파일이 업로드 되면 상기 업무 참여자의 제어에 따라 상기 파일을 상기 업무노트 또는 상기 업무객체로서 처리할 수 있다.When a file is uploaded through the work chat room, the work chat room processing unit may process the file as the work note or the work object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work participant.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must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so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간반보드를 통해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 대한 경과를 한눈에 파악하고, 간반카드에 연관된 대화방을 통해 해당 업무에 대한 피드백과 보완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시계열 순으로 공유되는 업무메시지들을 통해 업무흐름을 용이하게 파악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grasp the progress of the ongoing project at a glance through the kanban board, perform feedback and supplementation on the task through the chat room related to the kanban card, and Work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easily understanding the work flow through shared work messages.

특히,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간반카드와 연관된 대화방 내에서 공유되는 업무메시지는 해당 업무 전반의 기록을 한 곳에서 저장 및 관리하도록 하여 업무 참여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하고 간편한 접근을 위한 링크를 함께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through this process, business messages shared in chat rooms related to Kanban cards facilitate communication between business participants by storing and managing records of the overall business in one place, and providing links for easy access.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업무처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업무처리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업무처리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간반보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간반카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업무대화방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업무메시지의 공유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간반보드에 관한 화면 구성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usiness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ystem configuration of the business processing device of FIG. 1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business processing device of FIG. 1 .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Kanban-based business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Kanban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Kanban c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business chat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haring a work mess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screen configuration of a Kanban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Kanban-based business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to.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erms described in this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intervening elements exist.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refer to an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follow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than specified.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storing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to computer system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so that computer-readable codes may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defined otherwise.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업무처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usiness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업무처리 시스템(100)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들 및 업무처리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business processing system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10 and a business processing device 130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사용자 그룹은 제1 사용자 그룹, 제2 사용자 그룹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하나의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사용자 그룹에 포함될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users may be included in one or more user groups. One or more user groups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user group, a second user group, and the like. One user may be included in one or more user groups.

제1 사용자 단말(110a)은 제1 사용자의 단말이다. 제2 사용자 단말(110b)은 제2 사용자의 단말, 제3 사용자 단말(110c)은 제3 사용자의 단말, 제4 사용자 단말(110d)은 제4 사용자의 단말로 각각 대응된다.The first user terminal 110a is a terminal of the first user. The second user terminal 110b corresponds to the terminal of the second user, the third user terminal 110c corresponds to the terminal of the third user, and the fourth user terminal 110d corresponds to the terminal of the fourth user.

여기에서, 제1 사용자 내지 제4 사용자는 업무 참여자로서 하나 이상의 간반보드(Kanban board)에 공동으로 참여할 수 있다. 하나의 간반보드를 통해 진행되는 업무에 대해, 제1 사용자 내지 제4 사용자 중 하나 이상의 사용자는 업무 지시자일 수 있으며, 다른 하나 이상의 사용자는 업무 처리자일 수 있다. 업무 지시자와 업무 처리자를 제외한 업무 참여자는 업무 관련자로 분류될 수 있다.Here, the first to fourth users may jointly participate in one or more Kanban boards as business participants. With respect to a task progressed through one Kanban board, one or more users among the first to fourth users may be a task instructor, and one or more other users may be a task manager. Business participants excluding business directors and business managers may be classified as business related persons.

제1 사용자 내지 제4 사용자가 참여하는 공동의 프로젝트가 있고, 해당 프로젝트는 간반보드를 통해 단계별로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프로젝트에 포함 또는 종속되는 하위 업무들이 하나 이상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하위 업무로서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생겨나는 크고 작은 업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업무객체(또는 태스크)로 지칭될 수 있다.There is a joint project in which the first to fourth users participate, and the project can be progressed step by step through a Kanban board. In addition, there may be one or more subtasks included in or subordinate to the project, and large and small task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romoting the project as these subtasks may be referred to as work objects (or task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이러한 업무객체들은 간반카드에 업로드 되어 관리될 수 있다. 즉, 간반카드를 통해 각 업무객체들이 수행될 수 있으며, 프로젝트에 종속되는 개개의 업무객체들은 간반카드를 통해 각각 단계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프로젝트나 각 업무객체의 진행 경과나 상태 등을 단계적으로 분류한 것을 일컬어 업무 진행 단계로 지칭할 수 있다.These business objects can be uploaded to Kanban Card and managed. That is, each work object can be executed through the Kanban card, and each work object subordinate to the project can be progressed step by step through the Kanban card. And here, the progress or status of the project or each business object is classified in stages, which can be referred to as the business progress stage.

업무 진행 단계는 예컨대 PDCA 사이클에 따라 진행중, 확인중, 보완중, 보완 완료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PDCA 사이클(PDCA cycle)은 업무 수행과 성과를 높이기 위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업무 관리 기법으로 알려져 있다. P는 플랜(plan) 수립, 즉 업무나 프로젝트의 목표를 설정하고 그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과 활동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D는 업무수행(do), 즉 계획이 수립된 사항에 대하여 규정, 지침, 표준 등에 따라 실제로 업무를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C는 확인(check), D의 업무 수행 결과를 확인한 후 이를 분석하고 평가하여 처음 설정된 목표와의 차이 여부를 점검하고 개선하거나 시정할 부분을 찾아내는 단계이다. 그리고 A는 실행(act)를 의미하는데, 앞의 C 단계에서 확인된 문제점과 개선점 등을 반영하여 기존의 업무 수행 결과를 수정하거나, 업무 내용을 다시 처리하는 등 개선과 보완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실행하는 단계이다.The work progress stage may be divided into, for example, in progress, under confirmation, under supplementation, and complete supplementation according to the PDCA cycle. The PDCA cycle is known as a systematic and efficient work management technique to improve work performance and performance. P stands for plan establishment, that is, setting goals for work or projects and establishing specific strategies and action plans for their realization. And D means task performance (do), that is, actual processing of tasks according to regulations, guidelines, standards, etc. for the matters for which plans have been established. And C is the stage of checking, after confirming the work performance result of D, analyzing and evaluating it to check whether it is different from the initially set goal, and finding areas to be improved or corrected. And A stands for act. Execute necessary items for improvement and supplementation, such as modifying the results of existing work performance or reprocessing work contents by reflecting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identified in the previous step C. It is a step to

즉, 업무 지시자에 의하여 간반카드에 업무 지시내용이 업로드되면(Plan, P) 해당 간반카드의 업무 진행 단계는 '진행중'이 된다. 또한, 업무 지시내용에 상응하여 업무 처리자가 업무를 처리한 후 그 결과로써 업무 처리내용을 업로드하면(Do, D) 해당 간반카드의 업무 진행 단계는 '확인중'이 된다. 이때, 업무 지시자 또는 업무 처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업무 관련 내용은 업무노트로서 기록되어 간반카드에 업로드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task instructions are uploaded to the Kanban card by the task instructor (Plan, P), the task progress step of the corresponding Kanban card becomes 'in progress'. In addition, if the business operator processes the business in accordance with the business instruction and uploads the business process as a result (Do, D), the business progress stage of the corresponding Kanban card becomes 'confirming'. At this time, the task-related contents input by the task director or the task manager may be recorded as a task note and uploaded to the Kanban card.

또한, '확인중' 인 태스크에 대해, 업무 지시자가 업무 처리내용을 확인하고(Check, C) 해당 태스크를 종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태스크의 업무 진행 단계는 '종료'가 될 수 있다. 반면, 업무 지시자가 업무 처리내용을 확인한 후, 업무 처리내용에 대하여 업무 보완을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업무 보완 요청 또는 업무 보완 지시가 업무 지시자에 의해 간반카드에 업로드되면 해당 간반카드의 업무 진행 단계는 '보완중'이 된다.In addition, for a task that is being 'checked', the task manager can check the task processing details (Check, C) and terminate the task. In this case, the work progress stage of the corresponding task may be 'end'. On the other hand, after the task instructor checks the task processing details, it may request task supplementation for the task processing details. In this way, when a task supplementation request or task supplementation instruction is uploaded to the Kanban card by the task instructor, the task progress stage of the corresponding Kanban card becomes 'in process of supplementation'.

업무 처리자가 업무 보완 지시의 내용에 상응하여 업무 처리내용을 보완하고(Act, A), 해당 업무 보완내용이 업무 처리자에 의해 간반카드에 업로드된 경우, 또는 업로드된 업무 보완내용이 업무 지시자에 의해 확인된 경우, 해당 간반카드의 업무 진행 단계는 '보완 완료'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간반카드들은 업무 진행 단계에 따라 분류되어 간반보드 내에 배열될 수 있다.When the business handler complements the business process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of the business supplement instruction (Act, A), and the business supplement contents are uploaded to the Kanban card by the business handler, or the uploaded business supplement contents are sent by the business director If confirmed, the task progress stage of the corresponding Kanban card may be set to 'supplementation complete'. In addition, each kanban card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tage of work and arranged in the kanban board.

업무처리장치(13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1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업무처리장치(130)는 하나의 사용자와 연관된 다른 사용자가 구성원, 즉 업무 참여자로서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그룹을 관리할 수 있다.The business processing device 130 corresponds to a computing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10 through a network. In one embodiment, the business processing device 130 may manage one or more user groups in which other users associated with one user are included as members, that is, business participants.

일 실시예에서, 업무처리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에 설치된 공유폴더 에이전트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공유폴더 에이전트는 사용자 단말(110)에 설치되면 사용자 단말(110)의 승인 하에 사용자 단말(110)과 업무처리장치(130)가 상호 연동되도록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인 에이전트 프로그램에 해당한다.In one embodiment, the business processing device 130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a shared folder agent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10 . Here, the shared folder agent corresponds to an agent program that is software that, whe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10, allows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business processing device 130 to interact with each other under the approval of the user terminal 110.

공유의 대상이 되는 폴더나 파일은 업무처리장치(130)가 제공하는 공유 폴더 내에 위치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공유의 대상이 되는 폴더나 파일은 업무처리장치(130)가 제공하는 공유 폴더 또는 파일 공유자의 개인 폴더에 위치할 수 있다.A folder or file to be shared may be located in a shared folder provided by the business processing device 13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 folder or file to be shared may be located in a shared folder provided by the business processing device 130 or a personal folder of a file sharer.

사용자 단말(110)은 업무처리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하고, 예를 들어, 데스크톱, 노트북,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된 단말일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10 corresponds to a computing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business processing device 130 through a network, and may be, for example, a terminal implemented as a desktop, laptop, tablet PC, or smart phone.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 중 적어도 하나는 모바일 단말일 수 있고, 업무처리장치(130)와 셀룰러 통신 또는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 중 적어도 하나는 데스크톱일 수 있고, 업무처리장치(130)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user terminals 110 may be a mobile terminal, and may be connected to the business processing device 130 through cellular communication or Wi-Fi communication. In another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user terminals 110 may be a desktop and may be connected to the business processing device 130 through the Internet.

도 2는 도 1의 업무처리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ystem configuration of the business processing device of FIG. 1 .

도 2를 참조하면, 업무처리장치(13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business processing device 130 may include a processor 210 , a memory 230 , a user input/output unit 250 and a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

프로세서(2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무 일정 표시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링 할 수 있다.The processor 210 may execute a business schedule display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age the memory 230 read or written in this process, and volatile memory and non-volatile memory 230 in the memory 230. Synchronization time between memories can be scheduled.

프로세서(210)는 업무처리장치(13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업무처리장치(13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의 보다 구체적인 동작 내용에 대해서는 이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The processor 21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business processing device 13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mory 230,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and 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to control data flow between them. can The processor 210 may be implemented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f the business processing device 130 . More detailed operation of the processor 2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hereinafter.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isk)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업무처리장치(13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메모리(230)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고, 만일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면 하이퍼링크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memory 230 may include a secondary storage device implemented as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solid state disk (SSD) or a hard disk drive (HDD) and used to store all data necessary for the business processing device 130, It may include a main memory implemented as a volatile memory such as RAM (Random Access Memory). As such, the memory 230 may be implemented as volatile and non-volatile memory, and if implemented as a non-volatile memory, it may be implemented to be connected through a hyperlink.

사용자 입출력부(25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마우스, 트랙볼, 터치 패드, 그래픽 태블릿, 스캐너, 터치 스크린,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거나 이와 연결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업무처리장치(130)는 서버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includes an environment for receiving user input and an environment for outputting specific information to the user, and includes, for example, a mouse, trackball, touch pad, graphic tablet, scanner, touch screen, keyboard, or pointing It may include an input device including an adapter such as a device or connected thereto, and an output device including an adapter such as a monitor or a touch screen. In one embodiment,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connected through a remote connection, and in such a case, the business processing device 130 may serve as a server.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20)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includes an environment for connecting to the user terminal 120 through a network,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n adapter for local area network (LAN) communication.

도 3은 도 1의 업무처리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business processing device of FIG. 1 .

도 3을 참조하면, 업무처리장치(130)의 프로세서(210)는 간반보드 처리부(310), 간반카드 처리부(330), 업무수행 처리부(350), 업무객체 처리부(370), 업무대화방 처리부(390) 및 제어부(도 3에 미도시함)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processor 210 of the business processing device 130 includes a kanban board processing unit 310, a kanban card processing unit 330, a business performance processing unit 350, a business object processing unit 370, a business chat room processing unit ( 390) and a controller (not shown in FIG. 3).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10)가 위의 구성부를 동시에 모두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실시예에 따라 위의 구성부 중 일부는 생략될 수 있고, 프로세서(210)는 상기의 구성부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However, the processor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to include all of the above components at the same time, and some of the above components may be omitted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and the processor 210 may include the above components. It may optionally include some or all of the constituent parts of.

간반보드 처리부(310)는 사용자 기반의 간반보드를 생성할 수 있다.The kanban board processing unit 310 may generate a user-based kanban board.

간반보드 처리부(31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포함하는 사용자 그룹에 의해 접근되며,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제공되는 간반보드 또는 간반보드 내 하나 이상의 간반카드에 대한 사용자 선택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The Kanban board processing unit 310 is accessed by a user group including one or more users and receives a user selection signal for the Kanban board provid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10 or one or more Kanban cards within the Kanban board from the user terminal. can

우선 간반보드 처리부(31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사용자 입출력부(250)를 통해 입력받아, 간반보드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 관리, 업데이트할 수 있다. 간반보드 처리부(310)는 간반보드 생성을 위해 수집된 사용자 정보를, 이후 간반카드의 처리, 업무노트의 생성, 업무객체의 생성 및 업무대화방의 생성 등 프로젝트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동작 단계들에 제공할 수 있다.First, the kanban board processing unit 310 receives user information about one or more users from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and stores, manages, and updates user information of users participating in the kanban board. there is. The kanban board processing unit 310 provides user information collected for kanban board generation to various operation steps necessary for project management, such as kanban card processing, task note creation, task object creation, and task chat room creation. can

또한, 간반보드 처리부(310)는 간반보드 생성을 위해 수집된 사용자 정보를 간반보드나 간반카드와 관련된 업무에 대한 일정을 관리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경우 제공할 수 있다. 간반보드 처리부(310)는 업무대화방을 생성 또는 구동 시에도 필요한 사용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kanban board processing unit 310 may provide user information collected for generating kanban boards when necessary in the process of managing schedules for tasks related to kanban boards or kanban cards. The kanban board processing unit 310 may provide necessary user information even when creating or driving a business chat room.

또한, 간반보드 처리부(310)는 업무대화방을 위한 사용자 그룹의 생성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 그룹을 생성할 수 있고, 각 사용자 그룹의 명칭이나 사용자 그룹의 분류 기준, 구성원 등에 대한 정보, 사용자 그룹 별 매칭되는 대화방의 식별 정보, 사용자의 그룹 별 분류 또는 소속, 각 사용자 또는 각 사용자 그룹의 권한 관리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kanban board processing unit 310 may create a user group when it is necessary to create a user group for a work chat room, and the name of each user group, classification criteria of the user group, information on members, etc., matching for each user group It is possible to store and manage information abou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chat room, classification or membership of each user group, and authority management of each user or each user group.

즉, 사용자의 소속이나 직위 등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그룹이 달라지는 경우 간반보드 처리부(310)는 소속, 부서 또는 직위에 따라 매칭되는 사용자 그룹의 식별정보를 설정하거나, 개별 사용자 각자에 대해 사용자 그룹을 지정하는 경우 지정된 사용자 그룹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user group of the corresponding user differs depending on the user's affiliation or position, the kanban board processing unit 310 se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atching user group according to the affiliation, department or position, or identifies the user group for each individual user. If specified, information about the specified user group can be stored.

또한, 간반보드 처리부(310)는 각 사용자 별로 대화방, 파일, 간반카드 또는 간반보드 등에 대해 접근 또는 오픈, 편집 등이 가능한 권한에 대한 내용도 함께 설정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간반보드는 일정 사용자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들만 접근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간반보드에 대한 접근 권한을 가지는 사용자에 한하여 간반보드 또는 간반카드에 연관된 업무대화방의 참여자로 지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kanban board processing unit 310 may also set or store the contents of the authority to access, open, or edit a chat room, file, kanban card, or kanban board for each user. Here, the kanban board may be implemented so that only users belonging to a certain user group can access it. In this case, only users who have access to the corresponding kanban board can be designated as participants in the work chat room related to the kanban board or kanban card.

만약 간반보드에 대한 접근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업무대화방의 참여자로 초대되면, 해당 사용자는 해당 간반보드나 간반카드에 대한 접근 권한을 획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간반보드에 대한 접근 권한은 제한적일 수 있다. 예컨대, 업무대화방을 통한 접근만 가능하며, 특정 간반카드에 연관된 업무대화방을 통해 획득한 접근 권한으로는 동일한 간반보드 내 다른 간반카드로의 접근은 제한될 수 있다.If a user who does not have access to the kanban board is invited as a participant in the work chat room, the user may acquire access to the corresponding kanban board or kanban card. In this case, access to the kanban board may be limited. For example, access is possible only through a work chat room, and access to other Kanban cards within the same Kanban board may be restricted with access rights acquired through a work chat room related to a specific Kanban card.

일 실시예에서, 간반보드 처리부(310)는 각 사용자들이 업무의 지시나 처리와 관련하여 간반보드 또는 간반카드에 업로드하는 각종 문서, 데이터, 자료(이하 업무 자료라 지칭) 등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간반보드 처리부(310)는 업로드된 해당 업무 자료와 관련하여 업무대화방이 생성된 경우, 대화방 정보가 삽입된 업무 자료를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kanban board processing unit 310 stores and manages various documents, data, materia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work data), etc. that each user uploads to the kanban board or kanban card in connection with instructions or processing of work. can The kanban board processing unit 310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110 with work data into which chat room information is inserted when a work chat room is created in relation to the uploaded work data.

일 실시예에서, 간반보드 처리부(310)는 업무 자료나 간반보드와 관련된 사용자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간반보드 처리부(3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입력되는 업무 프로젝트 생성 요청 신호나 기한 설정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Kanban board processing unit 310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110 with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user signals related to business data or the Kanban board. The Kanban board processing unit 310 may receive a user sig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a work project creation request signal and a deadline setting signal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user interface.

간반보드 처리부(310)는 간반보드와 관련하여 생성된 업무대화방이 하나 이상인 경우, 연관된 업무대화방들의 목록(또는 리스트)을 해당 간반보드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If there is one or more work chat rooms created in relation to the Kanban board, the Kanban board processing unit 310 may display a list (or list) of related work chat rooms together with the corresponding Kanban board.

그리고 간반보드 처리부(310)는 간반보드에 대한 업무대화방의 목록 등을 제공할 때, 하이퍼링크 정보로서 해당 업무대화방으로의 접근 경로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Also, when the kanban board processing unit 310 provides a list of work chat rooms for the kanban board, it may also provide an access path to the corresponding work chat room as hyperlink information.

간반카드 처리부(330)는 간반보드에 업무 프로젝트의 작성을 위한 간반카드를 삽입할 수 있다. 즉, 간반카드 처리부(330)는 간반카드의 생성, 수정 및 삭제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간반카드 처리부(330)에 의해 생성된 간반카드는 간반보드에 삽입되어 업무 프로젝트의 수행 및 기록을 관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간반보드는 간반카드와 연관된 업무 프로젝트의 진행을 관리하기 위하여 업무노트 컨테이너, 업무대화 컨테이너 및 업무객체 컨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간반카드에 연관되는 업무노트, 업무객체 및 업무대화방은 각각 업무노트 컨테이너, 업무객체 컨테이너 및 업무대화 컨테이너를 통해 관리될 수 있다.The Kanban card processing unit 330 may insert a Kanban card for writing a work project into the Kanban board. That is, the Kanban card processing unit 330 may perform functions such as generating, modifying, and deleting a Kanban card. The Kanban card generated by the Kanban card processing unit 330 can be inserted into the Kanban board and used to manage work project performance and records. Meanwhile, the kanban board may include a work note container, a work dialog container, and a work object container in order to manage the progress of a work project related to the kanban card, and the work note, work object, and work chat room related to the kanban card are each It can be managed through the note container, business object container, and business conversation container.

또한, 간반카드 처리부(330)는 간반카드에 업무 지시내용 또는 업무 보완 지시가 업로드되면 업무 지시내용 또는 업무 보완 지시가 업로드된 간반카드를, 업무 지시내용 또는 업무 보완 지시가 업로드되기 전의 간반카드와 차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간반카드의 표시 상태만으로 새로운 업무 지시내용이나 업무 보완 지시가 업로드되었는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In addition, the Kanban card processing unit 330, when the task instructions or task supplement instructions are uploaded to the Kanban card, converts the Kanban card on which the task instructions or task supplement instructions are uploaded to the Kanban card before the task instructions or task supplement instructions are uploaded. can be differentiated. In this case, the user can intuitively know whether new work instructions or work supplementary instructions have been uploaded only by the display state of the Kanban card.

일 실시예에서, 간반카드 처리부(330)는 업무 프로젝트가 신규로 생성될 때마다 신규의 간반카드를 간반보드에 삽입할 수 있다. 즉, 간반카드는 업무 프로젝트에 대응되어 생성되고 해당 업무 프로젝트의 진행 관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간반보드에 삽입된 간반카드들은 업무 진행 단계에 따라 분류되어 관리될 수 있으며, 업무 진행 단계는 진행중, 확인중, 보완중 및 보완 완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kanban card processor 330 may insert a new kanban card into the kanban board whenever a work project is newly created. That is, the Kanban card is gener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work project and can be used for managing the progress of the work project. Kanban cards inserted into the kanban board can be classified and managed according to the task progress stage, and the task progress stage can correspond to any one of in progress, confirmation, supplementation, and supplementation completion.

간반카드 처리부(330)는 신규의 간반카드를 생성하기 위하여 간반보드 처리부(310)로부터 간반보드 생성을 위해 수집된 사용자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간반카드는 업무 참여자들 간의 기본적인 업무를 공유하기 위한 업무노트, 업무 참여자들 간의 지시적인 업무를 공유하기 위한 업무객체 및 업무 참여자들이 참여하는 업무대화방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Kanban card processor 330 may receive user information collected for Kanban board generation from the Kanban board processor 310 in order to generate a new Kanban card. In addition, the kanban card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work note for sharing basic tasks between task participants, a task object for sharing instructional tasks between task participants, and a task chat room in which task participants participate.

이 경우, 간반카드는 복수의 업무노트들 또는 복수의 업무객체들을 각각 리스트 형태로 관리할 수 있고, 하나의 업무대화방과 연관될 수 있으며, 간반카드와 연관된 업무대화방을 통해 해당 업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업무 참여자들 간의 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간반카드는 업무 프로젝트마다 진행 과정 전반을 기록하고 관리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간반보드 내에서는 전체 프로젝트의 업무 관리를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Kanban card can manage a plurality of work notes or a plurality of work objects in the form of a list, can be associated with one work chat room, and participate in the corresponding work project through the work chat room associated with the Kanban card. Conversations between business participants can take place. That is, the kanban card can be used as a means to record and manage the overall progress of each business project, and can be used as a means to manage the work of the entire project within the kanban board.

일 실시예에서, 간반카드 처리부(330)는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컨테이너들 중 각각에 대한 큐레이션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큐레이션 방식은 사용자에 의해 간반카드와 연관된 업무노트, 업무대화방 또는 업무객체가 조회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에 해당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Kanban card processing unit 330 may set a curation method for each of the containers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Here, the curation method may correspond to a method of providing corresponding information when a work note, work chat room, or work object associated with a Kanban card is inquired by a user.

예를 들어, 간반카드 처리부(330)는 업무노트에 대해 시계열 또는 중요도에 따라 정렬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간반카드 처리부(330)는 업무대화방에 대해 특정인과의 일대일 업무 대화를 정렬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간반카드 처리부(330)는 업무객체에 대해 업무 지시자 또는 업무 처리자에 따라 정렬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간반카드 처리부(330)는 사용자의 설정을 직접 수신하여 컨테이너들 각각에 대한 큐레이션 방식을 결정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kanban card processing unit 330 may sort and provide work notes according to time series or importance. In addition, the Kanban card processing unit 330 may sort and provide one-to-one work conversations with a specific person in the work chat room. In addition, the kanban card processing unit 330 may sort and provide business objects according to business instructors or business processors. Meanwhile, the Kanban card processing unit 330 may directly receive user settings to determine a curation method for each of the containers.

업무수행 처리부(350)는 업무노트 컨테이너에 업무노트를 생성하여 업무 참여자 간에 기본적인 업무를 공유할 수 있다. 업무 참여자들은 업무대화방 내에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업무노트를 생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간반카드 내에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업무노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업무노트는 해당 간반카드와 연관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간반보드의 업무노트 컨테이너에 추가되어 전체 프로젝트의 업무 참여자들 간에 기본적인 업무내용으로서 공유될 수 있다. 업무노트에는 업무 프로젝트의 진행에 관한 기본적인 업무내용이 포함될 수 있고, 기본적으로 정보 전달 목적의 간단한 메모 등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업무노트는 파일 형태로 생성될 수 있으며, 업무 참여자에 의해 생성되거나 추가된 파일 자체도 독립적인 업무노트로서 정의되어 간반카드에 추가될 수 있다.The task performance processing unit 350 creates a task note in the task note container to share basic tasks among task participants. Business participants can create work notes through the interface provided in the work chat room and, if necessary, through the interface provided in the Kanban card. The generated task note can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corresponding kanban card, added to the task note container of the kanban board, and shared as basic task content among task participants of the entire project. The work note may include basic work contents related to the progress of the work project, and may basically record a simple memo for the purpose of conveying information. In addition, the work note may be created in the form of a file, and the file itself created or added by the work participant may be defined as an independent work note and added to the kanban card.

일 실시예에서, 업무수행 처리부(350)는 업무 참여자에 의해 작성되고 업무 프로젝트의 진행 과정에서 발생되는 업무기록을 업무노트로서 생성하고 업무노트 컨테이너에 업무노트를 시계열적으로 삽입할 수 있다. 업무노트는 하나 이상의 간반카드와 연관되어 저장될 수 있고, 전체 프로젝트의 진행 단계에 따라 간반보드의 업무노트 컨테이너를 통해 관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업무수행 처리부(350)는 업무노트의 생성 시점을 기준으로 시계열 순으로 업무노트 컨테이너에 삽입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ork performance processing unit 350 may create a work record written by a work participant and generated in the course of a work project as a work note and insert the work note into a work note container time-sequentially. Work notes can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one or more kanban cards, and can be managed through the work note container of the kanban board according to the progress stage of the entire project. To this end, the task performance processing unit 350 may insert the task notes into the task note container in a chronological order based on the creation time.

일 실시예에서, 업무수행 처리부(350)는 업무노트에 외부 공유가 설정되면 업무노트를 통해 공유될 수 있도록 업무노트에 대한 퍼머넌트 링크(permanent link)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퍼머넌트 링크는 외부에서 간반카드로의 접근에 의하지 않고 업무노트에 직접 접근 가능한 링크에 해당할 수 있다. 즉, 기본적으로 간반카드는 해당 업무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업무 참여자들에 대해서만 접근이 허용되도록 권한이 설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업무 프로젝트를 수행하지 않는 외부인의 경우 간반카드로의 접근 권한이 없다면 업무노트로의 개별적인 접근 역시 제한될 수 있다. 다만, 업무노트마다 외부 공유를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고, 외부 공유가 설정된 업무노트의 경우 외부 공유를 위한 퍼머넌트 링크가 생성되어 해당 업무노트와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external sharing is set for the work note, the work performance processing unit 350 may create a permanent link to the work note so that it can be shared through the work note. Here, the permanent link may correspond to a link directly accessible to the work note without access to the kanban card from the outside. In other words, basically, the Kanban card can be set to allow access only to business participants who carry out the business project, and accordingly, if an outsider who does not carry out a business project does not have access to the Kanban card, the business note Individual access to may also be restricted. However, external sharing can be individually set for each work note, and in the case of a work note for which external sharing is set, a permanent link for external sharing can be created and linked to the corresponding work note.

일 실시예에서, 업무수행 처리부(350)는 업무대화방에 업무노트에 대한 퍼머넌트 링크를 포함하는 업무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업무 참여자는 업무 관련 내용을 입력하여 업무노트 생성을 요청할 수 있고, 업무수행 처리부(350)는 해당 업무노트 생성 요청에 응답하여 업무노트를 생성할 수 있다. 업무수행 처리부(350)는 업무노트가 생성된 경우 해당 내용을 업무메시지로서 업무대화방에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ask performance processing unit 350 may provide a task message including a permanent link to the task note to the task chat room. A task participant may request creation of a task note by inputting task-related content, and the task performance processing unit 350 may create a task note in response to the request for creation of the task note. When the work note is created, the work performance processing unit 350 may provide the work note as a work message to the work chat room.

이때, 업무수행 처리부(350)는 업무노트와 연관된 퍼머넌트 링크가 생성된 경우 퍼머넌트 링크를 업무메시지에 추가하여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업무대화방 내의 다른 업무 참여자들은 업무메시지에 포함된 퍼머넌트 링크를 통해 업무노트에 직접 접근하여 관련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permanent link associated with the work note is generated, the task performance processing unit 350 may add and provide the permanent link to the task message, and accordingly, other task participants in the task chat room may use the permanent link included in the task message. You can directly access work notes and check related contents.

업무객체 처리부(370)는 업무객체 컨테이너에 업무 지시자, 업무 처리자 및 업무내용을 포함하는 업무객체를 생성하여 업무 참여자 간에 지시적인 업무를 공유할 수 있다. 업무 참여자들은 업무대화방 내에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업무객체(또는 태스크)를 생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간반카드 내에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업무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업무객체는 해당 간반카드와 연관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간반보드의 업무객체 컨테이너에 추가되어 전체 프로젝트의 업무 참여자들 간에 지시적인 업무내용으로서 공유될 수 있다.The task object processing unit 370 creates a task object including a task instructor, a task handler, and task content in a task object container, and may share the indicative tasks among task participants. Business participants can create business objects (or tasks) through the interface provided in the business chat room, and can create business objects through the interface provided in the Kanban card as needed. The created task object can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corresponding kanban card, added to the task object container of the kanban board, and shared as an instructional task content among task participants of the entire project.

업무객체에는 업무 프로젝트의 진행과 관련하여 업무 지시자가 업무 처리자에게 신규 수행을 지시하는 수행 지시 업무, 업무 지시자가 업무 처리내용을 확인하고 추가 보완을 지시하는 보완 지시 업무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task object may include an execution instruction task in which the task director instructs the task handler to perform a new task in relation to the progress of the work project, and a supplementary instruction task in which the task supervisor confirms the task processing details and instructs additional supplementation.

일 실시예에서, 업무객체 처리부(370)는 업무 지시자 및 업무 처리자 간의 업무플로우 기반 업무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업무객체는 업무마감기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업무객체는 업무 프로젝트의 진행에 필요한 다양한 업무들로서 정의될 수 있으며, 생성 시점을 기준으로 업무플로우의 다른 업무들과의 선후관계에 따라 업무마감기한이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업무객체는 업무 처리를 지시한 업무 지시자와 업무 수행을 처리할 업무 처리자가 각각 지정되어 포함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ork object processor 370 may create a work object based on a work flow between a work director and a work processor. At this time, the task object may further include a task deadline. That is, a work object can be defined as various tasks necessary for the progress of a work project, and a task deadline can be automatically set according to the precedence relationship with other tasks in the work flow based on the creation time. In addition, the business object may include a business instructor instructing business processing and a business processor to process business performance, respectively.

일 실시예에서, 업무객체 처리부(370)는 업무플로우 기반 업무객체를 업무상태로서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업무객체는 업무상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무 프로젝트의 진행에 대응되어 생성된 업무객체는 업무상태로서 새로운, 하는중, 다했음 및 확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업무상태는 업무 진행 단계에 따라 진행중, 확인중, 보완중 및 보완 완료로 정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ork object processing unit 370 may manage the work flow-based work object as a work state. At this time, the business object may further include a business state. For example, a work object created in response to the progress of a work project may include any one of new, in progress, finished, and confirmed as a work status. As another example, the task status may be defined as in progress, confirmed, supplemente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task progress stage.

즉, 업무객체 처리부(370)는 업무객체의 진행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진행 경과에 따라 업무객체의 업무상태를 갱신하여 업무객체의 진행상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업무 참여자들은 간반카드 내에서 해당 업무 프로젝트와 연관된 업무객체들의 업무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간반보드 내에서 전체 프로젝트와 연관된 업무객체들의 업무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That is, the business object processing unit 370 may monitor the progress of the business object, update the business status of the business object according to the progress, and provide information on the progress of the business object. Business participants can check the business status of business objects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business project within the Kanban card, and can check the business status of business objects related to the entire project within the Kanban board.

업무대화방 처리부(390)는 업무대화 컨테이너에 업무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업무 참여자가 참여하는 업무대화방을 생성하고, 업무노트 및 업무객체의 생성에 따른 업무메시지를 업무대화방에 공유할 수 있다. 간반보드는 전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다양한 업무 프로젝트들에 대한 통합 관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업무대화 컨테이너는 각 업무 프로젝트와 연관되어 생성된 업무대화방들의 관리에 사용될 수 있다.The work chat room processing unit 390 may create a work chat room in which a work participant performing a work project participates in a work chat container, and share work messages according to creation of work notes and work objects in the work chat room. The kanban board can provide integrated management for various work projects participating in the entire project, and the work chat container can be used to manage work chat rooms created in association with each work project.

또한, 업무대화방은 간반카드와 연관되어 생성될 수 있고, 간반카드와 연관된 업무 프로젝트의 수행 과정에서의 모든 활동들에 관한 정보를 업무 메시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업무대화방 처리부(390)는 간반카드가 생성되면 이와 연관된 업무대화방을 생성하여 연결시킬 수 있고, 해당 간반카드와 연관되어 수행되는 노트기록, 대화, 태스크 생성 및 처리에 관한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업무대화방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업무대화방에 참여하는 업무 참여자들은 업무대화방 내의 대화메시지와 업무메시지를 통해 해당 업무 프로젝트의 모든 활동들에 대한 기록을 시계열 순서대로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k chat room can be created in association with the Kanban card, and can provide information on all activities in the course of carrying out a work project associated with the Kanban card as work messages. When a kanban card is created, the work chat room processing unit 390 can create and connect a work chat room related to the kanban card, and send information about note recording, conversation, and task creation and processing performed in association with the kanban card in the form of a message to the work chat room. can be provided through Accordingly, business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work chat room can check the records of all activities of the corresponding work project in chronological order through the chat messages and work messages in the work chat room.

일 실시예에서, 업무대화방 처리부(390)는 업무메시지의 생성 과정에서 업무노트 또는 업무객체에 대한 해당 업무에 바로 접근할 수 있는 업무링크를 업무메시지에 포함시켜 업무대화방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즉, 업무링크는 해당 간반카드 내에서 업무노트와 업무객체로 직접 접근 가능한 링크에 해당할 수 있다. 업무대화방에 참여한 업무 참여자들은 업무메시지를 확인한 후 업무메시지에 포함된 업무링크를 선택함으로써 업무노트 또는 업무객체에 직접 접근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ork chat room processing unit 390 may include a work link for directly accessing a corresponding task for a work note or work object in the work message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a work message, and provide the work message through the work chat room. That is, the work link may correspond to a link directly accessible to work notes and work objects within the corresponding Kanban card. Task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task chat room can directly access the task note or task object by selecting the task link included in the task message after checking the task message.

일 실시예에서, 업무대화방 처리부(390)는 업무노트 또는 업무객체에 관해 특정 업무 참여자와의 일대일 업무대화 요청을 수신하고 업무대화 컨테이너에 일대일 업무대화방을 생성할 수 있다. 업무대화방 처리부(390)는 기본적으로 간반카드가 생성된 경우 해당 업무 프로젝트의 업무 참여자들이 공통적으로 참여하는 업무대화방을 생성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일대일 업무대화 요청에 따라 특정 업무 참여자만이 선택적으로 참여하는 일대일 업무대화방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일대일 업무대화방은 간반보드의 업무대화 컨테이너에 추가될 수 있으며, 간반카드와 별개로 관리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ork chat room processing unit 390 may receive a request for a one-to-one work chat with a specific work participant regarding a work note or work object and create a one-to-one work chat room in a work chat container. The work chat room processing unit 390 can basically create a work chat room in which work participants of the work project commonly participate when a kanban card is created, and if necessary, only specific work participants selectively participate according to a one-to-one work chat request. You can create a one-on-one business chat room. At this time, the one-to-one business chat room may be added to the business conversation container of the Kanban board and managed separately from the Kanban card.

일 실시예에서, 업무대화방 처리부(390)는 일대일 업무대화방에 업무노트 또는 업무객체에 관한 직접적인 링크를 포함하는 공지 업무메시지를 삽입하여 일대일 업무대화방을 통해 항상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일대일 업무대화방은 간반카드와 별개로 관리될 수 있고, 이 경우 링크를 통해 간반카드의 업무노트 또는 업무객체로 접근할 수 있다. 업무대화방 처리부(390)는 일대일 업무대화방의 대화창 상단부에 항상 표시되는 공지 업무메시지로서 링크를 제공하여 업무노드 또는 업무객체로의 접근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공지 업무메시지는 업무메시지 형태로 생성되고 업무대화방 내에서 항상 표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공지 업무메시지의 표시는 통상적으로 업무대화방 내의 대화창 상단부 또는 하단부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업무대화방 내에서 정의되는 소정의 영역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ork chat room processing unit 390 inserts a work note or a work notification message including a direct link to a work object into the one-to-one work chat room so that it is always visible through the one-to-one work chat room. The one-to-one work chat room can be managed separately from the Kanban card, an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access the work note or work object of the Kanban card through a link. The work chat room processing unit 390 may provide a means of access to a work node or work object by providing a link as a notification work message that is always displayed on the upper part of the chat window of the one-to-one work chat room. The notification work message may be implemented to be generated in the form of a work message and always displayed in the work chat room. The notification work message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chat window in the work chat room,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displayed through a predetermined area defined in the work chat room.

일 실시예에서, 업무대화방 처리부(390)는 업무대화방에 업무 참여자가 일반메시지를 공유하는 경우에는 업무 참여자에게 먼저 해당 업무의 유무를 질의할 수 있다. 업무대화방 처리부(390)는 업무 관련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전용 공간으로서 업무대화방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일반메시지가 공유되는 경우 해당 업무 참여자가 해당 업무와 관련된 사람인지를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업무대화방 처리부(390)는 업무 관련성의 존재 여부에 따라 업무대화방 내에서 일반메시지의 표시를 차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a task participant shares a general message in the task chat room, the task chat room processing unit 390 may first query the task participant whether or not there is a corresponding task. The work chat room processing unit 390 may provide a work chat room as a dedicated space for work-related communication, and may perform an operation of determining whether a corresponding work participant is a person related to the work when a general message is shared. That is, the work chat room processing unit 390 may differentially display general messages in the work chat room according to whether work relevance exists.

일 실시예에서, 업무대화방 처리부(390)는 해당 업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업무를 일반메시지에 표시하여 업무메시지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일반메시지에 표시되는 해당 업무는 연관된 업무객체를 식별하는 객체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업무대화방 처리부(390)는 전환된 업무메시지에 표시된 해당 업무에 해당 업무에 대한 링크를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삽입되는 링크는 업무링크 또는 퍼머넌트 링크에 해당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ask chat room processing unit 390 may convert the task message into a task message by displaying the task in a general message when a corresponding task exists. At this time, the corresponding task displayed in the general message may includ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related task object. In another embodiment, the work chat room processing unit 390 may insert a link for the corresponding task into the corresponding task displayed in the converted task message. In this case, the inserted link may correspond to a work link or a permanent link.

일 실시예에서, 업무대화방 처리부(390)는 업무 참여자의 제어에 따라 업무대화방을 통해 업무노트 또는 업무객체가 생성되면 업무노트 컨테이너 또는 업무객체 컨테이너에 해당 업무를 등록할 수 있다. 업무 참여자는 업무대화방 내에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업무노트 또는 업무객체를 생성할 수 있으며, 해당 생성에 따라 업무대화방 내에 업무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업무노트 또는 업무객체는 간반카드에 업로드되어 추가될 수 있으며, 간반보드의 업무노트 컨테이너 또는 업무객체 컨테이너에 각각 추가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work chat room processing unit 390 may register a corresponding task in a work note container or a work object container when a work note or work object is created through the work chat room under the control of a task participant. A task participant can create a task note or task object through an interface provided in the task chat room, and a task message can be displayed in the task chat room according to the creation. In addition, the created work note or work object may be uploaded to and added to the Kanban card, and may be added to the work note container or work object container of the Kanban board, respectively.

일 실시예에서, 업무대화방 처리부(390)는 업무대화방을 통해 파일이 업로드 되면 업무 참여자의 제어에 따라 파일을 업무노트 또는 업무객체로서 처리할 수 있다. 업무 참여자들은 업무대화방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고, 업무대화방 처리부(390)를 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업무대화방 내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무대화방을 통해 이미지, 문서, 영상 등의 파일 공유가 가능할 수 있다. 업무대화방 처리부(390)는 업무 참여자에 의한 파일 공유가 검출된 경우 해당 업무 참여자의 선택을 수신하여 해당 파일을 업무노트 또는 업무객체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업무노트 또는 업무객체는 간반카드에 업로드될 수 있고 간반보드의 각 컨테이너에 추가되어 공유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a file is uploaded through the work chat room, the work chat room processing unit 390 may process the file as a work note or work object under the control of a work participant. Business participants can communicate in various ways through the business chat room, and the business chat room processing unit 390 can provide an interface for this in the work chat room. For example, files such as images, documents, and videos may be shared through a work chat room. When file sharing by a business participant is detected, the work chat room processing unit 390 may receive the work participant's selection and convert the corresponding file into a work note or a work object. The converted work note or work object can be uploaded to the Kanban card, added to each container of the Kanban board, and shared.

제어부(도 3에 미도시함)는 업무처리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간반보드 처리부(310), 간반카드 처리부(330), 업무수행 처리부(350), 업무객체 처리부(370) 및 업무대화방 처리부(39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The controller (not shown in FIG. 3)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ask processing device 130, and includes the kanban board processing unit 310, the kanban card processing unit 330, the task performance processing unit 350, and the business object processing unit 370. and control flow or data flow between the business chat room processing unit 390 may be manag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Kanban-based business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업무처리장치(130)는 간반보드 처리부(310)를 통해 사용자 기반의 간반보드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410).Referring to FIG. 4 , the task processing device 130 may generate a user-based Kanban board through the Kanban board processor 310 (step S410).

이후, 업무처리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의 사용자 신호에 응답하여 업무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 있으며(단계 S420), 간반카드 처리부(330)를 통해 간반보드에 해당 업무 프로젝트의 작성을 위한 간반카드를 삽입할 수 있다(단계 S430).Thereafter, the business processing device 130 may generate a business project in response to a user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110 (step S420), and write the corresponding business project on the kanban board through the kanban card processing unit 330. It is possible to insert a kanban card for kanban (step S430).

또한, 업무처리장치(130)는 업무대화방 처리부(390)를 통해 해당 업무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업무 참여자들이 참여하는 업무대화방을 생성할 수 있다(단계 S440). 이 경우, 업무대화방은 간반보드의 업무대화 컨테이너에 삽입되어 관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siness processing device 130 may create a business chat room in which business participants performing the corresponding business project participate through the business chat room processing unit 390 (step S440). In this case, the work chat room may be inserted into the work chat container of the kanban board and managed.

이후, 업무처리장치(130)는 업무 프로젝트의 진행에 따라 간반카드가 업데이트되면 업무대화방을 통해 업무메시지를 공유할 수 있다(단계 S450). 보다 구체적으로, 업무처리장치(130)는 업무노트 및 업무객체의 생성에 따른 업무메시지를 업무대화방에 공유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kanban card is updated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work project, the work processing device 130 may share the work message through the work chat room (step S450). More specifically, the work processing device 130 may share a work note and a work message according to the creation of a work object in the work chat room.

예를 들어, 업무처리장치(130)는 업무수행 처리부(350)를 통해 업무노트 컨테이너에 업무노트를 생성하여 업무 참여자 간에 기본적인 업무를 공유하거나 또는 업무객체 처리부(370)를 통해 업무객체 컨테이너에 업무 지시자, 업무 처리자 및 업무내용을 포함하는 업무객체를 생성하여 업무 참여자 간에 지시적인 업무를 공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ask processing unit 130 creates a task note in the task note container through the task performance processing unit 350 to share basic tasks between task participants, or the task object processing unit 370 to create a task note in the task object container. By creating a business object that includes an instructor, business handler, and business contents, the indicative task can be shared among task participant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간반보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Kanban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업무처리장치(130)는 간반보드(500)를 통해 업무 진행 상태(510)에 따른 간반카드(530)를 시각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간반카드(530)는 업무 진행 상태(510)에 따라 배열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담당 부서, 업무 지시자, 업무 처리자, 업무마감기한 및 업무플로우 등의 기준에 따라 정렬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task processing device 130 may visualize and provide a kanban card 530 according to a task progress state 510 through a kanban board 500 . Here, the kanban cards 530 may be arranged according to the task progress status 510,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department in charge, the task instructor, the task handler, the work deadline and the work flow, etc. They can also be sorted by criteria.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행중'인 간반카드(530)에는 업무 지시내용이 업로드되고, '확인중'인 간반카드(530)에는 업무 처리내용이 업로드될 수 있다. 그리고, 업무 처리자 또는 업무 지시자가 간반카드(530) 중 하나를 선택하면 업무처리장치(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간반카드(530)와 연관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ask instructions may be uploaded to the Kanban card 530 'in progress', and task process details may be uploaded to the Kanban card 530 'in progress'. In addition, when a business manager or business director selects one of the kanban cards 530, the business processing device 13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In this case, the user interface may provide various functions related to the Kanban card 530 .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를 통해 간반카드(530)의 상세화면으로 접근할 수 있고, 해당 업무 프로젝트와 연관된 업무노트, 업무객체 및 업무대화방으로 접근할 수도 있다. 또한, 업무 지시자의 경우 간반카드(530)와 연관된 업무대화방을 통해 업무 처리내용에 대한 업무 보완 지시를 입력할 수 있으며, 업무 보완 지시에 관한 새로운 업무객체가 생성되어 해당 간반카드(530)에 업로드될 수 있다. 그리고, 새로운 업무객체의 생성으로 갱신된 간반카드(530)는 새로운 이슈가 없는 다른 간반카드들에 비하여 간반보드(500) 상에서 굵기, 밝기, 색상 등이 차별되게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can access the detailed screen of the Kanban card 530 through this, and can also access work notes, work objects, and work chat rooms related to the work project.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task instructor, it is possible to input work supplementary instructions for work processing details through the work chat room associated with the Kanban card 530, and a new task object related to the task supplementary instruction is created and uploaded to the corresponding Kanban card 530. It can be. In addition, the Kanban card 530 updated by the creation of a new work object may be differently displayed in thickness, brightness, color, etc. on the Kanban board 500 compared to other Kanban cards without a new issu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간반카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Kanban c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업무처리장치(130)는 간반보드에 업무 프로젝트의 작성을 위한 간반카드(530)를 생성하여 삽입할 수 있다. 업무 참여자는 간반보드 상에 시각화된 간반카드(530)를 선택하여 간반카드(530)의 상세화면에 접근할 수 있다. 도 6a 내지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반카드(530)의 상세화면에는 플랜 영역(600), DO 탭(610), CHECK 탭(640) 및 ACT 탭(66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플랜 영역(600)은 해당 간반카드(530)에 관한 설명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 영역(600)에는 간반카드(530)의 업무지시, 업무수행기한, 참여자, 간반보드 등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task processing device 130 may generate and insert a kanban card 530 for writing a task project into a kanban board. The task participant can access the detailed screen of the Kanban card 530 by selecting the Kanban card 530 visualized on the Kanban board. 6A to 6C, the detailed screen of the Kanban card 530 may include a plan area 600, a DO tab 610, a CHECK tab 640, and an ACT tab 660. Here, in the plan area 600, a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Kanban card 530 may be displayed. For example, in the plan area 600 , information about task instructions, task execution deadlines, participants, and kanban boards of the kanban card 530 may be displayed.

도 6a의 경우, 간반카드(530)는 DO 탭(610)을 통해 업무노트 리스트(620)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업무노트 리스트(620)는 해당 간반카드(530)에 대응되는 업무 프로젝트의 진행 과정에서 등록된 업무노트들에 대한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업무노트 리스트(620)는 업무노트 뿐만 아니라 해당 업무와 관련하여 등록된 파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FIG. 6A , the Kanban card 530 may provide a work note list 620 through the DO tab 610 . That is, the work note list 620 may provide a list of work notes registered in the course of a work project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Kanban card 530 . The work note list 620 may include not only work notes but also information on files registered in relation to a corresponding work.

또한, DO 탭(610)은 업무노트에 관한 독립적인 인터페이스(630)를 제공할 수 있다. 해당 인터페이스(630)는 업무노트 생성(A)을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업무노트 검색, 수정, 삭제 등을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업무 처리내용이나 업무 보완내용 등은 업무노트로 기록될 수 있다. DO 탭(610)에서 수행되는 업무노드(또는 파일)에 관한 동작은 업무대화방(650)을 통해 업무메시지로서 표시될 수 있다.Also, the DO tab 610 may provide an independent interface 630 related to work notes. The interface 630 may include a command for creating a work note (A), and may further include commands for searching, modifying, and deleting a work note. The details of work processing or supplementary work may be recorded as a work note. Operations related to work nodes (or files) performed in the DO tab 610 may be displayed as work messages through the work chat room 650 .

도 6b의 경우, 간반카드(530)는 CHECK 탭(640)을 통해 해당 간반카드(530)에 연관되어 생성된 업무대화방(650)을 제공할 수 있다. 업무대화방(650)은 기본적으로 간반카드(530)의 생성에 대응되어 업무대화방 처리부(39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업무대화방(650)에는 해당 간반카드(530)의 업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업무 참여자들이 참여할 수 있다. 업무처리장치(130)는 간반카드(530)와 관련하여 일대일 업무대화방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업무 참여자는 특정 업무 참여자를 지정한 상태에서 일대일 업무대화방에 대한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일대일 업무대화방은 간반보드의 업무대화 컨테이너에 삽입되어 관리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간반카드(530)의 CHECK 탭(640) 내에 업무대화방(650)과 별개로 구분되어 제공될 수도 있으나, 여기서는 CHECK 탭(640) 내에 업무대화방(650) 만이 표시되는 것으로 가정한다.In the case of FIG. 6B , the kanban card 530 may provide a work chat room 650 created in association with the corresponding kanban card 530 through the CHECK tab 640 . The work chat room 650 may be created by the work chat room processing unit 390 in response to the creation of the Kanban card 530 by default. In the business chat room 650 , business participants who participate in the business project of the corresponding Kanban card 530 can participate. The task processing device 130 may provide a one-to-one task chat room in relation to the Kanban card 530, and a task participant may request creation of a one-to-one task chat room while specifying a specific task participant. At this time, the created one-to-one business chat room can be inserted into the business conversation container of the Kanban board and managed, and if necessary, it can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business chat room 650 in the CHECK tab 640 of the Kanban card 530. However, here, it is assumed that only the business chat room 650 is displayed in the CHECK tab 640.

일 실시예에서 업무대화방(650) 내에는 업무노트 또는 업무객체의 생성을 위한 별도의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업무 참여자들은 업무대화방(650) 내에서 해당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업무노트 또는 업무객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때 생성된 업무노트 또는 업무객체는 DO 탭(610) 또는 ACT 탭(660)으로 업로드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separate interface for creating a work note or work object may be provided in the work chat room 650 . Business participants can create work notes or work objects using the corresponding interface in the work chat room 650, and the work notes or work objects created at this time can be uploaded to the DO tab 610 or the ACT tab 660. there is.

도 6c의 경우, 간반카드(530)는 ACT 탭(660)을 통해 업무객체 리스트(67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업무객체들은 업무 진행 단계에 따라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무객체들은 업무객체 리스트(670) 상에서 새로운(S1), 하는중(S2), 다했음(S3) 및 확인(S4)으로 분류되어 표시될 수 있다.In the case of FIG. 6C , the Kanban card 530 may provide a work object list 670 through the ACT tab 660 . At this time, the work objects may be classifi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work progress stage. For example, business objects may be displayed on the business object list 670 after being classified as new (S1), working (S2), finished (S3), and confirmed (S4).

또한, ACT 탭(660)은 업무객체에 관한 독립적인 인터페이스(680)를 제공할 수 있다. 해당 인터페이스(680)는 업무객체 생성(B)을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업무객체 검색, 수정, 삭제 등을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T 탭(660)에서 수행되는 업무객체에 관한 동작은 업무대화방(650)을 통해 업무메시지로서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T tab 660 may provide an independent interface 680 related to work objects. The corresponding interface 680 may include a command for creating a work object (B), and may additionally include commands for searching, modifying, and deleting a work object. Operations related to work objects performed in the ACT tab 660 may be displayed as work messages through the work chat room 650 .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업무대화방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business chat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업무처리장치(130)는 기본적으로 특정 간반카드(530)에 대응하여 하나의 업무대화방(650)을 생성할 수 있다. 해당 업무대화방(650) 내에서는 노트기록, 파일업로드, 대화 및 태스크생성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업무대화방(650) 내에는 다양한 기능을 위한 독립적인 인터페이스(710)가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business processing device 130 can basically create one business chat room 650 corresponding to a specific Kanban card 530 . In the work chat room 650, note recording, file upload, conversation, task creation, and the like can be performed. To this end, independent interfaces 710 for various functions may be provided in the business chat room 650 .

결과적으로, 업무대화방(650)은 간반카드(530)와 연관된 모든 활동을 대화방 내의 업무메시지들로 시계열 순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업무 참여자들은 업무 흐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work chat room 650 can provide all activities related to the kanban card 530 as work messages in the chat room in a chronological order, through which the work participants can easily understand the work flow.

도 7에서, 업무 보완 지시는 업무대화방(650)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업무대화방(650)을 통해 입력된 업무 보완 지시는 해당 간반카드(530)에 실시간으로 자동 업로드되어, 업무대화방(650)을 통한 업무 진행이 해당 업무대화방(650)과 연관되어 있는 간반카드(530)에 실시간으로 공유 및 동기화될 수 있다.In FIG. 7 , a task complement instruction may be input through the work chat room 650 . In addition, the business supplement instructions input through the business chat room 650 are automatically uploaded to the corresponding Kanban card 530 in real time, so that the business progress through the business chat room 650 is associated with the corresponding business chat room 650. 530) can be shared and synchronized in real time.

한편, 도 7에서는 업무대화방(650)을 통해 업무 보완 지시를 입력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업무 보완 지시 이후의 업무 보완내용 역시 업무대화방(650)을 통해 입력된 후 간반카드(530)에 업로드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진행중, 확인중의 상태에 있는 간반카드(530)에 대해서도 업무대화방(650)을 통해 업무 지시내용이나 업무 처리내용이 입력된 후 연관된 간반카드(530)에 업로드될 수 있다.Meanwhile, in FIG. 7, a case in which a task supplementation instruction is input through the business chat room 650 is exemplified, but in another embodiment, the task supplement contents after the task supplement instruction are also input through the business chat room 650, and then the kanban card 530 ) can be uploaded. In another embodiment, even for the kanban card 530 in the status of being in progress or being checked, work instructions or work process details may be input through the work chat room 650 and then uploaded to the related kanban card 530 .

업무대화방(650)을 통해 업무 보완 지시와 업무 보완내용이 모두 입력된 후, 업무 처리자가 업무 보완내용을 확인하거나 승인하면, 동일한 내용이 해당 간반카드(530)에 반영되고, 해당 간반카드(530)는 보완 완료 단계로 이동할 수 있다.After all of the business supplement instructions and business supplement details are entered through the business chat room 650, when the business manager confirms or approves the business supplement details, the same contents are reflected on the corresponding kanban card 530, and the corresponding kanban card 530 ) can move to the supplementary completion stag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업무메시지의 공유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haring a work mess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업무처리장치(130)는 간반카드마다 기본적으로 하나의 업무대화방(650)을 제공할 수 있다. 업무 참여자들은 업무대화방(650)을 통해 해당 업무와 연관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무노트 또는 업무객체(또는 태스크)가 생성된 경우 해당 동작과 연관된 업무메시지(810, 830)가 생성되어 업무대화방(650)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business processing device 130 may basically provide one business chat room 650 for each Kanban card. Work participants may perform various communications related to the work through the work chat room 650 . For example, when a work note or work object (or task) is created, work messages 810 and 830 associated with the corresponding operation may be created and displayed through the work chat room 650 .

이 경우, 업무노트 또는 업무객체의 생성은 업무대화방(650) 내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간반카드의 DO 탭 또는 ACT 탭 내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관련 동작에 관한 업무메시지(810, 830)가 업무대화방(650)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업무 참여자들은 업무대화방(650) 내의 업무메시지를 확인함으로써 해당 업무의 흐름을 시계열 순으로 확인할 수 있다.In this case, creation of a work note or work object may be performed within the work chat room 650, or may be performed within the DO tab or ACT tab of the Kanban card. In any case, work messages 810 and 830 related to related operations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work chat room 650 . Therefore, the task participants can confirm the flow of the task in chronological order by checking the task message in the task chat room 650 .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간반보드에 관한 화면 구성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screen configuration of a Kanban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업무처리장치(130)는 간반보드(500)를 통해 전체 프로젝트의 진행 과정에서 간반카드(530)들을 업무 진행 상태(510)에 따라 구분하여 시각화 할 수 있다.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간반보드(500)는 간반카드(530)들이 보여지는 간반카드 영역(910) 이외에 다양한 탭들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task processing device 130 can classify and visualize the kanban cards 530 according to the task progress state 510 in the progress of the entire project through the kanban board 500 . As shown in FIG. 9 , the Kanban board 500 may include various tabs in addition to the Kanban card area 910 where the Kanban cards 530 are displayed.

예를 들어, 간반보드(500)는 D(DO), C(CHECK) 및 A(ACT)탭을 포함할 수 있고, 각 탭에는 간반보드(530)에 속한 업무노트 리스트(또는 파일 리스트), 업무대화방 리스트 및 업무객체 리스트(또는 태스크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각 탭에서 표시되는 리스트 상에서 업무노트, 업무대화방 및 업무객체(또는 태스크) 각각에는 연관된 간반카드(530)로 연결되는 링크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리스트 상에서 특정 개체를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해당 개체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Kanban board 500 may include D (DO), C (CHECK), and A (ACT) tabs, and each tab includes a work note list (or file list) belonging to the Kanban board 530, A business chat room list and a business object list (or task list) may be displayed. In addition, a link to a related Kanban card 530 may be included in each work note, work chat room, and work object (or task) on the list displayed in each tab. That is, a user can quickly access a corresponding object simply by selecting a specific object from the list.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Kanban-based business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업무처리장치(130)는 특정 프로젝트와 연관된 간반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업무처리장치(130)는 이전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간반보드 생성을 요청하는 사용자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business processing device 130 may create a Kanban board associated with a specific project. The task processing device 130 may receive a user signal requesting generation of a Kanban board from the user terminal 110 in the previous step.

또한, 간반보드에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간반보드나 간반카드를 통한 협업을 지원하기 위한 UI로서, 해당 UI에는 업무대화방 생성, 대화방 참여자 지정, 간반보드의 단순 공유, 간반보드와 연관된 업무 자료 입력, 업무대화방의 조회나 자료 열람 및 자료 첨부 등의 사용자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명령들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kanban board may include a user interface (UI) for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The user interface is a UI to support collaboration through a kanban board or kanban card, and the UI includes creation of work chat rooms, designation of chat room participants, simple sharing of kanban boards, input of work data related to kanban boards, inquiry of work chat rooms or reading of data. and instructions for receiving a user signal such as data attachment.

업무 지시자 단말(110a)은 업무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업무 지시자 단말(110a)은 업무처리장치(130)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업무처리장치(130)는 업무 프로젝트가 생성되면 간반카드를 생성하여 간반보드에 삽입할 수 있다. 이후, 업무처리장치(130)는 간반카드에 대응하는 업무대화방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업무대화방은 간반카드마다 생성되어 간반카드와 연관된 업무 프로젝트에 관한 업무 기록을 관리할 수 있다.The work director terminal 110a may create a work project. The task indicator terminal 110a may use an interface provided by the task processing device 130, and the task processing device 130 may generate a kanban card and insert it into the kanban board when a task project is created. Thereafter, the business processing device 130 may create a business chat room corresponding to the Kanban card. That is, a work chat room can be created for each Kanban card to manage work records related to a work project related to the Kanban card.

한편, 업무대화방의 생성 시기는 간반카드가 생성되는 시점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업무처리장치(130)는 간반카드가 생성된 경우라 하더라도 사용자 단말(110)로부터의 별도의 요청 신호가 있을 때까지 업무대화방의 생성을 대기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업무대화방의 생성 전에 간반보드나 간반카드에는 업무 지시내용이나 업무 처리내용이 이미 업로드 되어 있을 수 있다.Meanwhile, the creation time of the work chat room may be the time when the Kanban card is created,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work processing device 130 receives a separate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110 even when the Kanban card is created. It is also possible to wait for the creation of the business chat room until there is a signal. Therefore, prior to the creation of the work chat room, work instructions or work processing may have already been uploaded to the kanban board or kanban card.

업무대화방 생성 이후 업무 지시자 단말(110a) 및 업무 처리자 단말(110b) 등 업무 참여자들이 업무대화방에 참여할 수 있다. 이후, 업무 지시자 단말(110a)은 업무대화방을 통해 업무 지시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업무대화방을 통해 입력된 업무 지시내용은 업무메시지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업무처리장치(130)는 업무 지시자 단말(110a)에 의해 입력된 업무 지시내용에 따라 업무객체를 생성할 수 있으며, 해당 업무객체는 간반카드에 업로드되어 등록될 수 있다.After the business chat room is created, business participants such as the business director terminal 110a and the business manager terminal 110b may participate in the business chat room. Thereafter, the task instructing terminal 110a may input the content of the task instruction through the task chat room. The work instruction input through the work chat room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work message. The task processing device 130 may create a task object according to the task instructions input by the task director terminal 110a, and the task object may be uploaded to and registered in the Kanban card.

이때, 업무객체의 생성은 업무대화방이 아닌 간반카드 상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업무객체의 생성에 관한 업무메시지가 생성될 수 있다. 업무메시지는 업무대화방을 통해 표시되어 다른 업무 참여자들에게 공유될 수 있다(S1010).At this time, the creation of the business object may be performed on the Kanban card instead of the business chat room, and in this case, a business message related to the creation of the business object may be generated. The work message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work chat room and shared with other work participants (S1010).

간반카드에 업무 지시내용이 업로드되면, 업무처리장치(130)는 업무 처리자 단말(110b)에 업무 지시내용을 전달할 수 있다. 업무 처리자는 업무처리장치(130)를 통해 업무 지시자로부터 수신된 업무 지시내용에 따라 업무를 처리할 수 있고, 업무 처리내용을 업무처리장치(130)에 입력할 수 있다. 업무 처리자 단말(110b)에 의해 입력된 업무 처리내용은 업무대화방을 통해 입력될 수 있으며, 업무처리장치(130)에 의해 간반카드에 업로드될 수 있다. When the task instructions are uploaded to the Kanban card, the task processing device 130 may transmit the task instructions to the task handler terminal 110b. The business processor may process the business according to the business instructions received from the business director through the business processing device 130 and input the business processing details into the business processing device 130 . The business processing contents input by the business processor terminal 110b may be input through the business chat room and uploaded to the Kanban card by the business processing device 130 .

예를 들어, 업무 처리내용에 해당되는 파일객체를 업무 처리자가 업무대화방을 통해 전송하는 경우, 업무처리장치(130)는 해당 파일객체를 업무대화방이 연관된 간반카드에 업로드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business manager transmits a file object corresponding to business processing details through a business chat room, the business processing device 130 may upload the file object to a Kanban card associated with the business chat room.

이때, 업무 처리내용의 입력은 업무대화방이 아닌 간반카드 상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업무 처리내용의 입력에 관한 업무메시지가 생성될 수 있다. 업무메시지는 업무대화방을 통해 표시되어 다른 업무 참여자들에게 공유될 수 있다(S1030).At this time, the input of the work processing details may be performed on the Kanban card instead of the work chat room, and in this case, a task message regarding the input of the work processing details may be generated. The work message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work chat room and shared with other work participants (S1030).

이후, 업무 지시자는 업무 처리자로부터 업로드된 업무 처리내용을 확인하고, 보완이 필요한 부분에 대하여 업무 보완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업무 보완요청은 업무대화방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업무 지시자가 업무 보완요청을 입력하면, 업무처리장치(130)는 업무 보완요청을 간반카드에 업로드할 수 있으며, 업무 보완요청을 업무 처리자 단말(110b)로 제공할 수 있다.Thereafter, the task instructor may check the task processing contents uploaded by the task processor and input a task supplementation request for a part requiring supplementation. The task complementation request may be entered through the task chat room. When the task director inputs a task supplementation request, the task processing device 130 may upload the task supplementation request to the Kanban card and provide the task supplementation request to the task handler terminal 110b.

또한, 업무 보완요청에 기한이 정해져 있는 경우, 즉 업무 보완요청에 업무보완기한에 대한 정보가 함께 포함되어 있다면 업무처리장치(130)는 업무 보완 리마인더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업무처리장치(130)는 업무보완기한이 임박하면 업무 보완 리마인더를 생성하여 업무대화방을 통해 업무 처리자 단말(110b)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deadline is set for the task supplementation request, that is, if information on the task supplementation deadline is included in the task supplementation request, the task processing device 130 may generate a task supplement reminder. That is, the task processing device 130 may generate a task supplement reminder and provide it to the task handler terminal 110b through a task chat room when the task supplement deadline is imminent.

업무 보완요청과 업무 보완 리마인더를 업무 처리자 단말(110b)을 통해 제공받은 업무 처리자는, 업무 보완요청에 따라 업무 지시내용을 수정, 편집, 변경하거나 재작성하여 업무 보완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업무 보완내용은 간반카드에 직접 입력될 수도 있고, 업무대화방을 통해 입력될 수도 있다.The task handler receiving the task supplementation request and the task supplementation reminder through the task handler terminal 110b may correct, edit, change, or rewrite the task instructions according to the task supplementation request and input the task supplementation details. The business supplementary information may be directly entered into the Kanban card or may be entered through a business chat room.

업무처리장치(130)는 업무 처리자 단말(110b)로부터 업무 보완내용을 입력받으면 입력된 업무 보완내용을 해당 간반카드에 업로드할 수 있다.When the task processing device 130 receives task supplementary information from the task processor terminal 110b, it can upload the entered task supplementary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Kanban card.

본 발명에 따른 업무처리장치(130)는 간반보드 및 간반카드를 통해 프로젝트 진행 및 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도구(tool)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업무처리장치(130)는 간반보드 및 간반카드 각각에 대한 대쉬보드(dash board)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간반보드의 대쉬보드를 통해서는 간반보드에 속한 간반카드(PLAN), D(DO), C(CHECK) 및 A(ACT)에 대한 통계분석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간반카드의 대쉬보드를 통해서는 해당 간반카드(P)에 대한 분석정보와 해당 간반카드에 속한 D, C 및 A에 대한 통계분석을 제공할 수 있다.The task processing device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effective tool for project progress and management through a kanban board and a kanban card. In addition, the business processing device 130 may provide a kanban board and a dash board for each kanban card. More specifically, the dashboard of the Kanban board can provide statistical analysis of Kanban cards (PLAN), D (DO), C (CHECK), and A (ACT) belonging to the Kanban board, and the dash of the Kanban card Analysis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Kanban card (P) and statistical analysis on D, C, and A belonging to the corresponding Kanban card can be provided through the boar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00: 업무처리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30: 업무처리장치
500: 간반보드 510: 업무 진행 상태
530: 간반카드 600: 플랜 영역
610: DO 탭 620: 업무노트 리스트
640: CHECK 탭 650: 업무대화방
660: ACT 탭 670: 업무객체 리스트
630, 680, 710: 인터페이스
810, 830: 업무메시지
910: 간반카드 영역
100: business processing system
110: user terminal 130: business processing device
500: Kanban board 510: Work progress status
530: Kanban card 600: Plan area
610: DO Tab 620: Work Note List
640: CHECK tab 650: Business chat room
660: ACT Tab 670: Business Object List
630, 680, 710: interface
810, 830: business message
910: Kanban card area

Claims (16)

사용자 기반의 간반보드를 생성하는 간반보드 처리부;
상기 간반보드에 업무 프로젝트의 작성을 위한 간반카드를 삽입하고, 상기 간반보드는 업무노트 컨테이너, 업무대화 컨테이너 및 업무객체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간반카드 처리부;
상기 업무노트 컨테이너에 업무노트를 생성하여 업무 참여자 간에 기본적인 업무를 공유하는 업무수행 처리부;
상기 업무객체 컨테이너에 업무 지시자, 업무 처리자 및 업무내용을 포함하는 업무객체를 생성하여 상기 업무 참여자 간에 지시적인 업무를 공유하는 업무객체 처리부; 및
상기 업무대화 컨테이너에 상기 업무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업무 참여자가 참여하는 업무대화방을 생성하고, 상기 업무노트 및 상기 업무객체의 생성에 따른 업무메시지를 상기 업무대화방에 공유하는 업무대화방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간반카드는 해당 간반카드에 등록된 업무노트들에 대한 목록을 제공하는 DO 탭, 상기 해당 간반카드에 연관되어 생성된 업무대화방을 제공하는 CHECK 탭 및 상기 해당 간반카드에 등록된 업무객체들에 대한 목록을 제공하는 ACT 탭을 포함하고,
상기 업무대화방 처리부는 상기 업무 참여자의 제어에 따라 상기 업무대화방을 통해 상기 업무노트 또는 상기 업무객체가 생성되면 상기 간반보드의 상기 업무노트 컨테이너 또는 상기 업무객체 컨테이너에 해당 업무를 등록하면서 상기 업무대화방과 연관된 간반카드의 DO 탭 또는 ACT 탭에 상기 해당 업무를 등록하고, 상기 업무대화방을 통해 파일이 업로드 되면 상기 파일을 상기 업무노트 또는 상기 업무객체로서 전환하여 상기 간반카드에 업로드하면서 상기 간반보드의 각 컨테이너에 추가하여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Kanban board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 user-based Kanban board;
a kanban card processing unit that inserts a kanban card for writing a business project into the kanban board, and the kanban board includes a business note container, a business conversation container, and a business object container;
a task performance processing unit that creates a task note in the task note container and shares basic tasks among task participants;
a business object processing unit that creates a business object including a business director, a business handler, and business details in the business object container, and shares the instructional business among the business participants; and
A work chat room processing unit that creates a work chat room in which a work participant performing the work project participates in the work chat container and shares a work message according to the creation of the work note and the work object in the work chat room,
The Kanban card includes a DO tab providing a list of work notes registered in the corresponding Kanban card, a CHECK tab providing a business chat room created in association with the corresponding Kanban card, and business objects registered in the corresponding Kanban card. contains an ACT tab that provides a list of
When the task note or the task object is generated through the task chat room under the control of the task participant, the task chat room processing unit registers the task in the task note container or the task object container of the kanban board and communicates with the task chat room. When the corresponding task is registered in the DO tab or ACT tab of the related Kanban card, and the file is uploaded through the task chat room, the file is converted into the task note or the task object and uploaded to the Kanban card while each of the Kanban board Kanban-based business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hared by adding to the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반카드 처리부는
상기 업무 프로젝트가 신규로 생성될 때마다 신규의 간반카드를 상기 간반보드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Kanban card processing unit
A Kanban-based business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new Kanban card is inserted into the Kanban board whenever the business project is newly crea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반카드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들 중 각각에 대한 큐레이션 방식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Kanban card processing unit
A Kanban-based business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curation method for each of the containers is set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수행 처리부는
상기 업무 참여자에 의해 작성되고 상기 업무 프로젝트의 진행 과정에서 발생되는 업무기록을 상기 업무노트로서 생성하고 상기 업무노트 컨테이너에 상기 업무노트를 시계열적으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work performance processing unit
A Kanban-based work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work record created by the work participant and generated in the course of the work project is created as the work note and the work note is inserted time-sequentially into the work note contain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수행 처리부는
상기 업무노트에 외부 공유가 설정되면 상기 업무노트를 통해 공유될 수 있도록 상기 업무노트에 대한 퍼머넌트 링크(permanent link)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ask performance processing unit
When external sharing is set for the work note, a permanent link to the work note is created so that it can be shared through the work no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수행 처리부는
상기 업무대화방에 상기 업무노트에 대한 퍼머넌트 링크를 포함하는 업무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task performance processing unit
A Kanban-based business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providing a business message including a permanent link to the business note to the business chat roo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객체 처리부는
상기 업무 지시자 및 상기 업무 처리자 간의 업무플로우 기반 업무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업무객체는 업무마감기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usiness object processing unit
A kanban-based business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 business flow-based business object is created between the business director and the business processor, and the business object further includes a business deadlin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객체 처리부는
상기 업무플로우 기반 업무객체를 업무상태로서 관리하고 상기 업무객체는 상기 업무상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usiness object processing unit
The kanban-based business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usiness flow-based business object is managed as a business state, and the business object further includes the business st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대화방 처리부는
상기 업무메시지의 생성 과정에서 상기 업무노트 또는 상기 업무객체에 대한 해당 업무에 바로 접근할 수 있는 업무링크를 상기 업무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업무대화방을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work chat room processing unit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work message, a work link for directly accessing the work note or the work object for the work object is included in the work message and provided through the work chat room.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대화방 처리부는
상기 업무노트 또는 상기 업무객체에 관해 특정 업무 참여자와의 일대일 업무대화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업무대화 컨테이너에 일대일 업무대화방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usiness chat room processing unit
A kanban-based business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a request for one-to-one business conversation with a specific business participant in relation to the business note or the business object, and creating a one-to-one business chat room in the business conversation contain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대화방 처리부는
상기 일대일 업무대화방에 상기 업무노트 또는 상기 업무객체에 관한 직접적인 링크를 포함하는 공지 업무메시지를 삽입하여 상기 일대일 업무대화방을 통해 항상 보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work chat room processing unit
A kanban-based business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by inserting a notice work message including a direct link to the work note or the work object into the one-to-one work chat room so that it is always visible through the one-to-one work chat roo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대화방 처리부는
상기 업무대화방에 상기 업무 참여자가 일반메시지를 공유하는 경우에는 상기 업무 참여자에게 먼저 해당 업무의 유무를 질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work chat room processing unit
and when the task participant shares a general message in the task chat room, an inquiry is first made to the task participant as to whether or not there is a corresponding task.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대화방 처리부는
상기 해당 업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해당 업무를 상기 일반메시지에 표시하여 상기 업무메시지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business chat room processing unit
If the corresponding task exists, the corresponding task is displayed in the general message and converted to the task messag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대화방 처리부는
상기 전환된 업무메시지에 표시된 해당 업무에 상기 해당 업무에 대한 링크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business chat room processing unit
A Kanban-based task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link for the corresponding task is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task displayed in the converted task messag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20450A 2020-05-29 2021-02-16 Kanban-based work processing device KR1025670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450A KR102567094B1 (en) 2021-02-16 2021-02-16 Kanban-based work processing device
US17/333,853 US20210374678A1 (en) 2020-05-29 2021-05-28 Kanban-based work processing device and work processing method
JP2021091739A JP7277877B2 (en) 2020-05-29 2021-05-31 Signboard-based business processing device and business process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450A KR102567094B1 (en) 2021-02-16 2021-02-16 Kanban-based work process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948A KR20220116948A (en) 2022-08-23
KR102567094B1 true KR102567094B1 (en) 2023-08-28

Family

ID=83092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450A KR102567094B1 (en) 2020-05-29 2021-02-16 Kanban-based work process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094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0928A (en) 2015-10-06 2017-04-1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linking between mindmap and kanban
KR102151546B1 (en) * 2017-07-07 2020-09-03 최재호 Hierarchical project management apparatus
KR102076162B1 (en) * 2016-12-14 2020-02-11 최재호 Apparatus for processing work object and method performing the same
KR102054199B1 (en) * 2018-05-17 2019-12-12 제일정보통신(주) Project based software educ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948A (en) 202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2940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mmunications and collaboration among team members
US11900326B2 (en) Method of managing strategy-map executable by computer, server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a storing the same
JP7178060B2 (en) Signboard-based business processing device and business processing method
US20220092518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work chat room
JP6912865B2 (en) Task tracking methods, computer programs, and systems
JP2021018794A (en) Apparatus of processing chatroom-based message object
JP7277877B2 (en) Signboard-based business processing device and business processing method
US20090144627A1 (en) Autonomic workspace establishment through social network discovered relationships
KR102567094B1 (en) Kanban-based work processing device
JP7352245B2 (en) Smart tag-based business processing device and business processing method
KR102541285B1 (en) Kanban-based work processing device and work processing method
KR20220156362A (en) Kanban-based work processing device and work processing method
KR20220129917A (en) Kanban-based work processing device and work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a storing the same
KR20220155057A (en) Kanban-based work processing device and work processing method
KR20210147585A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communication tool
KR20230128763A (en) Kanban-based work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using board chat room
Syafar et al. Mobile collaboration technology to support maintenance enterprise systems in large industry
US20230306335A1 (en) Approval object-based work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KR102624933B1 (en) Apparatus for notifing work schedule
KR102660571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task chat room
KR20230067983A (en) Smart-tag based work processing device and work processing method
KR20240035241A (en) Card chat room-based work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KR20220040155A (en)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work schedule
KR2023014122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hat rooms using chat room merging function
KR20230146845A (en) Hierarchical smart tag-based object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