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094B1 - Emergency response system - Google Patents

Emergency respons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094B1
KR102563094B1 KR1020210116510A KR20210116510A KR102563094B1 KR 102563094 B1 KR102563094 B1 KR 102563094B1 KR 1020210116510 A KR1020210116510 A KR 1020210116510A KR 20210116510 A KR20210116510 A KR 20210116510A KR 102563094 B1 KR102563094 B1 KR 102563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zone
control server
data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5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33487A (en
Inventor
홍지연
엄태석
강철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엔엑스정보통신
홍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엔엑스정보통신, 홍지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엔엑스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210116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094B1/en
Publication of KR20230033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34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094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은 건물의 구역에 설치되며, 화재 발생시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 상기 구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가 제공한 카메라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구역에 진입한 진입자와 상기 구역으로부터 나온 진출자를 식별하며, 상기 진입자의 수와 상기 진출자의 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구역의 잔류인원수를 산출하는 영상분석장치, 상기 화재감지신호 및 상기 잔류인원수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통신 라우터 및 상기 통신 라우터를 통해 상기 화재감지신호 및 상기 잔류인원수를 수신하고, 화재 발생 위치 및 구역별 잔류인원수를 화재가 발생한 건물의 구조도에 표출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fire response system. The integrated fire response system is installed in an area of a building, a fire detection sensor that outputs a fire detection signal in the event of a fire, a camera that photographs the area, and an entrant who enters the area by analyzing the camera image provided by the camera and the area A video analysis device that identifies entrants from and counts the number of entrants and the number of entrants to calculate the number of people remaining in the area, a communication router that transmits the fire detection signal and the number of people remaining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It may include a control server that receives the fire detection signal and the number of remaining occupants through a communication router, and expresses the location of the fire and the number of remaining occupants by zone on a structural diagram of a building in which a fire has occurred.

Description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Emergency response system}Integrated fire response system {Emergency response system}

본 발명은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fire response system.

고층 건물은 그 높이에 비례하여 복잡성이 증가하므로, 소방 측면에서도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한다. 건물이용자의 인원수, 재산가치, 사고 시 사회에 미칠 파장 등으로 인해 높은 수준의 종합 방재관리가 요구된다. 재난안전에 관련해서, 빅데이터, 인공지능, 가상증강현실 등 새로운 신기술들을 기반으로 기술의 혁신과 발전, 현장의 수요 니즈 속에서 다양한 제품 및 서비스들이 개발 및 출시되고 있다. Since high-rise buildings increase in complexity in proportion to their height, various problems arise in terms of fire protection. A high level of comprehensive disaster prevention management is required due to the number of building users, the value of property, and the impact on society in the event of an accident. In relation to disaster safety, various products and services are being developed and released based on new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artificial intelligence, virtual augmented reality, etc.

하지만, 기술동향 및 산업동향의 면면을 살펴보면 화재감지/신고, 대피로 확보, 대응 등 특정 목적에 한정된 제품 및 서비스만 개발되어 있다. 사용자가 화재사고에 대한 대비/대응을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제품 및 서비스들을 개별적으로 도입해야 하며, 상호간의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즉, 현재의 다원화 되어있는 기술 및 서비스가 생성하는 재난안전 관련 데이터는 데이터 간 연계성이 부족하여 통합관리가 어렵고, 가치 있는 형태로 가공되지 않은 채 버려지는 경우가 많다. However, in terms of technology trends and industrial trends, only products and services limited to specific purposes such as fire detection/report, securing evacuation routes, and response have been developed. In order for users to prepare for/respond to fire accidents, each product and service must be introduced individually, and there is no interconnection between them. In other words, disaster and safety-related data generated by current diversified technologies and services lack connectivity between data, making integrated management difficult, and are often discarded without being processed in a valuable form.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6357호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86357

본 발명은, 인공지능, 영상분석, 음원분석, IoT 센서, 데이터 통신과 같은 이종 기술을 융합함으로써, 공간과 거리의 제약이 없는 연결을 기반으로 재난관리에서 요구되는 '예방-대비-대응-복구' 중 '대비-대응'에 대한 정보를 수집/분석할 수 있는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by converging heterogeneous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image analysis, sound source analysis, IoT sensor, and data communication, based on connection without space and distance limitations, 'prevention-preparation-response-recovery' required in disaster management ' to provide an integrated fire response system that can collect/analyze information on 'preparation-respons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이 제공된다.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은 건물 내 구역마다 설치되며, 화재 발생시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 상기 구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가 제공한 카메라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구역에 진입한 진입자와 상기 구역으로부터 나온 진출자를 식별하며, 상기 진입자의 수와 상기 진출자의 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구역의 잔류인원수를 산출하는 영상분석장치, 화재 발생시 발생시 상기 구역에 위치한 요구조자의 음성을 감지하여 이상음원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이상음원 감지장치, 상기 화재감지신호 및 상기 잔류인원수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통신 라우터 및 상기 통신 라우터를 통해 상기 화재감지신호 및 상기 잔류인원수를 수신하고, 화재 발생 위치 및 구역별 잔류인원수를 화재가 발생한 건물의 구조도에 표출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상음원 감지장치는 다중 마이크로 수집한 음성을 통해 요구조자를 검출하며, 검출된 요구조자 위치는 상기 구조도에 표시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grated fire response system is provided. The integrated fire response system is installed in each zone within the building, and includes a fire detection sensor that outputs a fire detection signal in case of fire, a camera that photographs the zone, and an entrant who enters the zone and the zone by analyzing the camera image provided by the camera. A video analysis device that identifies the entrants from the entrants and counts the number of entrants and the number of entrants to calculate the number of remaining people in the zone. In the event of a fire, it detects the voice of the person who is located in the zone and generates an abnormal sound source detection signal An abnormal sound source detection device that transmits the fire detection signal and the number of remaining peopl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ommunication router that transmits the fire detection signal and the number of people remain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router, and detects the location of the fire and the number of people remaining by zone. It can include a control server that is displayed on the structural diagram of a building in which a fire has occurred. Here, the abnormal sound source detecting device detects the requester through voice collected by multiple microphones, and the detected location of the requestor may be displayed on the structural diagram.

일 실시예로,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은 화재 안전구역 또는 옥상으로의 진입을 허용하는 비상문의 개폐상태를 확인하며, 비상문의 개폐를 관리하는 출입통제장치 및 비상문에 설치된 잠금장치로 비상문 개방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잔류인원수, 상기 이상음원 감지신호 및 상기 개폐상태를 상기 통신 라우터를 통해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ntegrated fire response system checks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an emergency door that allows entry to a fire safety area or a rooftop, and signals an emergency door opening with an access control device that manage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mergency door and a locking device installed on the emergency door. and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for transmitting the number of remaining people, the abnormal sound source detection signal, and the opening/closing state to the control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router.

일 실시예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이상음원 감지신호가 생성된 구역 근처에 위치한 비상문의 개폐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비상문이 폐쇄상태이면 비상문 개방 신호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통해 상기 잠금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server checks an open/closed state of an emergency door located near an area where the abnormal sound source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and when the emergency door is in a closed state, sends an emergency door open signal through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to the locking device. can be sent to

일 실시예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화재감지신호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로 전달하여 상기 영상분석장치가 비상 모드로 동작하게 하되, 상기 영상분석장치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하는 구역에서 발생한 변화를 감지하면 스냅샷을 생성하여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server transmits the fire detection signal to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so that the video analysis device operates in an emergency mode, but the video analysis device detects a change occurring in an area where the camera shoots. A snapshot may be creat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이 제공된다.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은 건물의 구역별로 설치되어 화재 데이터 및 현장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 화재 발생시 상기 구역에 위치한 대피자의 음성을 감지하여 이상음원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이상음원 감지장치, 상기 건물의 공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조화된 UI를 생성하며,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 및 상기 건물에서 수집된 화재 데이터와 현장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구조화된 UI에 표시하는 관제 서버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구조화된 UI를 화면에 표출하는 웹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상음원 감지장치는 다중 마이크로 수집한 음성을 통해 요구조자를 검출하며, 검출된 요구조자 위치는 상기 구조화된 UI에 표시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grated fire response system is provided. The integrated fire response system includes a data collection device installed for each area of a building to collect fire data and field data, an abnormal sound source detection device that detects the voice of an evacuee located in the area in the event of a fire and generates an abnormal sound source detection signal, and the building A control server and communication network that generates a structured UI using spatial data of the data collection device, receives state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data collection device, and fire data and field data collected from the building and displays them on the structured UI. It may include a web platform that accesses the control server through and displays the structured UI on the screen. Here, the abnormal sound source detecting device detects the requester through voices collected by multiple microphones, and the detected location of the requestor may be displayed on the structured UI.

일 실시예로, 상기 화재 데이터는 화재 발생 위치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현장 데이터는 구역별 잔류인원수를 적어도 포함하며, 상기 공간 데이터는 상기 건물의 층별 구조,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의 위치 및 상기 건물 내 주요 구역에 대한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e data includes at least a location where a fire occurred, the field data includes at least the number of occupants per zone, and the spatial data includes a structure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a location of the data collection device, and an interior of the building. It may include any one or a combination of information about major zones.

일 실시예로,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는 상기 구역에 설치되며, 화재 발생시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 상기 구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가 제공한 카메라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구역에 진입한 진입자와 상기 구역으로부터 나온 진출자를 식별하며, 상기 진입자의 수와 상기 진출자의 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구역의 잔류인원수를 산출하는 영상분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ata collection device is installed in the zone, and enters the zone by analyzing a fire detection sensor outputting a fire detection signal in the event of a fire, a camera photographing the zone, and a camera image provided by the camera. It may include an image analysis device that identifies one entrant and entrants out of the zone and calculates the number of remaining people in the zone by counting the number of entrants and the number of entrants.

일 실시예로, 상기 영상분석장치는 화재 발생시 상기 카메라가 제공한 영상에서 스냅샷을 추출하여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ideo analysis device may extract a snapshot from the video provided by the camera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server when a fire occurs.

일 실시예로, 상기 영상분석장치는 상기 카메라 영상을 분석하여 요구조자를 검출하며, 검출된 요구조자 위치는 상기 구조화된 UI에 표시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mage analysis device analyzes the camera image to detect the person requesting, and the detected location of the person requesting may be displayed on the structured UI.

일 실시예로,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은 화재 안전구역 또는 옥상으로의 진입을 허용하는 비상문의 개폐상태를 확인하며, 비상문의 개폐를 관리하는 출입통제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이상음원 감지신호가 생성된 구역에 위치한 비상문의 개폐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비상문이 폐쇄상태이면 비상문 개방 신호를 상기 비상문에 설치된 잠금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tegrated fire response system checks the open/closed state of an emergency door allowing entry to a fire safety area or a rooftop, and further includes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manag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mergency door, wherein the control server controls the abnormal sound source An open/closed state of an emergency door located in an area where a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may be checked, and if the emergency door is in a closed state, an emergency door open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a locking device installed in the emergency door.

삭제delete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로 개시된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은 건물 화재발생 시 화재의 조기감지 및 신고와 화재진압을 위한 화재진행현황 정보, 현장 대응에 있어 가장 중요한 인명피해 최소화 및 구조를 위한 대피자 대피로 확보 및 대피현황 정보 등의 현장 상황정보를 종합적으로 획득하여 종합방재센터 및 관할 소방서에 제공할 수 있다.The integrated fire response system disclosed 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early detection and reporting of fire in the event of a building fire, fire progress status information for fire suppression, and evacuation route for minimizing human damage and rescue, which is most important in on-site response. On-site situation information such as security and evacuation status information can be comprehensively acquired and provided to the comprehensive disaster prevention center and the local fire sta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된 전체 도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할당되었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구현된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이에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화재 발생시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에 의해 단말에 표출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의 기능적인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영상분석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이상음원 감지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관제 서버의 기능적인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ease of understanding,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assigned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exemplary implementations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to.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on a terminal by an integrated fire response system when a fire occurs.
2 is a diagram show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n integrated fire response system by way of example.
3 is a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n image analysis device by way of example.
4 is a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apparatus by way of example.
5 is a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n abnormal sound source detection device by way of example.
6 is a diagram show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server by way of example.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화재 발생시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에 의해 단말에 표출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on a terminal by an integrated fire response system when a fire occurs.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은 화재가 발생한 공간 데이터, 화재 데이터 및 현장 데이터를 수집하여 실시간으로 관제센터, 종합방재센터, 소방서, 건물시설 관리자(이하 관련 기관)의 단말(예를 들어, 통신 가능한 컴퓨터 또는 스마트 폰 등)에 제공할 수 있다. 화재 데이터 및 현장 데이터는 화재 발생 이후에도 건물 전체가 단/정전되거나 화재로 인해 파손 또는 기능 상실 전까지는 지속적으로 수집될 수 있다. 공간 데이터는 건물의 층별 구조, 건물에 설치된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을 구성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의 위치(및 종류), 건물 내 주요 구역(또는 시설)에 대한 정보(이하 POI 데이터)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POI 데이터는 위험물(예를 들어, 인화성 물질)이 적치된 창고, 가스설비, 전기시설, 소방시설(예를 들어, 소화전, 비상문, 방화셔터 등) 및 승강장치의 위치(및 상태)에 관한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장치는 화재 데이터 및 현장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치로서, 카메라, 화재감지센서를 포함한 IoT 센서, 영상분석장치, 이상음원 감지장치, 출입통제장치, 데이터 송수신 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화재 데이터는 화재감지신호로부터 획득하는 화재 발생 위치 및 화재 진행 상황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장 데이터는 스냅샷, 비상문 개폐상태, 이상음원 감지신호, 잔류인원수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tegrated fire response system collects space data, fire data, and field data where a fire occurred and collects real-time control center, comprehensive disaster prevention center, fire department, and building facility manag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lated organization) terminal (for example, a computer or smart phone capable of communication). phone, etc.). Fire data and field data can be continuously collected even after a fire occurs until the entire building is cut off/power out or damaged or lost due to fire. Spatial data is the structure of each floor of a building, the location (and type) of data collection devices that make up the integrated fire response system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information on major areas (or facilities) within the building (hereafter referred to as POI data), or both. can include POI data is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and condition) of a warehouse where dangerous goods (eg, flammable substances) are stored, gas facilities, electrical facilities, firefighting facilities (eg, fire hydrants, emergency doors, fire shutters, etc.) and elevators. Any one or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included. A data collection device is a device that collects fire data and field data, and includes any one or a combination of cameras, IoT sensors including fire detection sensors, video analysis devices, abnormal sound detection devices, access control devices, and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s. can do. The fire data may include any one or both of a fire occurrence location and a fire progress status obtained from a fire detection signal. The field data may include any one or a combination of a snapshot, an emergency door opening/closing state, an abnormal sound source detection signal, and the number of remaining people.

수집된 화재 데이터 및 현장 데이터를 관련 기관에 설치된 단말에 시각적으로 표출함으로써,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은 해당 건물 또는 화재 진압에 관련된 관계자가 화재 현장 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3층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관제센터의 관제 단말 또는 웹 플랫폼에 표출되는 화면을 예시하고 있다.By visually displaying the collected fire data and field data on a terminal installed in the relevant institution, the integrated fire response system can enable the person involved in the building or fire suppression to comprehensively grasp the fire scene situation. 1 illustrates a screen displayed on a control terminal of a control center or a web platform when a fire occurs in a three-story building.

공간 데이터는 건물 내부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구조도, 예를 들어, 층별 평면도를 표출하는데 이용된다. 공간 데이터에 의해 생성된 구조도는 화재 발생시뿐 아니라 정상 상황에서도 표출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장치 및 POI 데이터는 위치 및 종류별로 구분되어 건물의 층별 평면도에 표시될 수 있다. 구조도에 표시된 데이터 수집 장치 및 POI 데이터는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를 조작하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데이터 수집 장치 및 POI 데이터가 표시된 구조도를 구조화된 UI(User interface)라고 지칭한다.Spatial data is used to express a structural diagram that can grasp the internal structure of a building, for example, a floor plan by floor. Structural diagrams generated by spatial data can be displayed not only in case of fire but also in normal situations. Data collection devices and POI data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location and type and displayed on a floor plan of a building. The state of the data collection device and POI data shown in the structure diagram can be checked by manipulating an input device such as a mouse. Hereinafter, a structure diagram displaying a data collection device and POI data is referred to as a structured user interface (UI).

한편, 화재 데이터도 구조화된 UI에 표시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화재를 감지한 화재감지센서는 예를 들어 점멸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계자는 화재 발생 위치 및 화재 진행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화재감지센서(11a, 11b, 11c)는 불꽃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및 불꽃/연기 복합 센서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화재를 최초로 감지한 센서(11a)의 종류 및 위치가 화면에 표시되며, 이후 화재를 신규로 감지한 센서(11b, 11c)의 종류 및 위치도 화면에 표시되어 불꽃 및/또는 연기가 계단을 통해 2층에서 3층으로 확산하고 있는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Meanwhile, fire data is also displayed in the structured UI. As illustrated, a fire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a fire may be displayed by flickering, for example. Through this, the person concerned can grasp the location of the fire and the progress of the fire. The fire detection sensors 11a, 11b, and 11c may be largely classified into a flame detection sensor, a smoke detection sensor, and a flame/smoke composite sensor. The type and location of the sensor 11a that first detected the fire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type and location of the sensors 11b and 11c that newly detected the fire are also displayed on the screen, so that flame and/or smoke can pass through the stairs. It is possible to grasp the situation spreading from the second floor to the third floor.

또한, 현장 데이터도 구조화된 UI에 표시될 수 있다. 재난대응시 인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건물 내에 있는 사람의 수와 위치를 우선적으로 파악해야 한다. 카메라(10) 및 영상을 분석하는 영상분석장치는 예를 들어 층별 및 건물 전체에 남아 있는 사람(이하 잔류인원)을 카운팅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피현황을 한눈에 파악하고, 화재 진화, 대피 및/또는 구조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field data can also be displayed in the structured UI. In order to minimize human damage during disaster response, it is necessary to first identify the number and location of people in a building. The camera 10 and the image analysis device that analyzes the image may count and display the number of peop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maining people) remaining on each floor and throughout the building.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grasp the evacuation status at a glance, and to plan and carry out fire extinguishing, evacuation and/or rescue quickly and effectively.

또한 요구조자의 위치(14)가 각 층의 평면도에 표시될 수 있다. 요구조자의 위치(14)는 영상분석장치 또는 이상음원 감지장치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영상분석장치는 카메라(10)가 촬영한 영상에서 사람 객체가 검출되면 요구조자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다중 마이크(12a, 12b)를 통해 수집한 음성 또는 비명은 이상음원 감지장치에 의해 식별되어 요구조자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ation 14 of the requestor may be displayed on the floor plan of each floor. The location 14 of the requestor may be detected by an image analysis device or an abnormal sound source detection device. When a human object is detected in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0, the image analysis device may identify the person requesting the request. On the other hand, voices or screams collected through the multiple microphones 12a and 12b can be identified by the abnormal sound source detection device to specify the location of the requester.

도 2는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의 기능적인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n integrated fire response system by way of example.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감지센서(11)는 화재감지신호를 통신 라우터(500)를 통해 관제 서버(600)로 전송한다. 관제 서버(600)는 모바일 앱(700) 또는 웹 플랫폼(800)을 통해 관련 기관에 건물 관련 데이터, 화재 데이터 및 현장 데이터를 전달한다. 이후로도 관제 서버(600)는 구역별로 설치된 화재감지센서(11)로부터 수집한 화재감지신호를 통하여 화재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갱신하여 관련 기관에 전달한다.When a fire breaks out in a building, the fire detection sensor 11 transmits a fir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server 600 through the communication router 500 . The control server 600 transmits building-related data, fire data, and field data to related institutions through the mobile app 700 or the web platform 800. Even after that, the control server 600 continuously updates fire data through the fire detection signals collected from the fire detection sensors 11 installed for each zone and transmits the data to related institutions.

도 2를 참조하면,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은 카메라(10a, 10b, 10c; 이하 10), 화재감지센서(11), 영상분석장치(100a, 100b, 100c; 이하 100),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a, 200b, 200c; 이하 200), 이상음원 감지장치(300), 출입통제장치(400), 통신 라우터(500) 및 관제 서버(6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integrated fire response system includes a camera (10a, 10b, 10c; hereinafter referred to as 10), a fire detection sensor 11, an image analysis device (100a, 100b, 100c; hereinafter referred to as 100),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00a, 200b, 200c (hereafter referred to as 200), an abnormal sound source detection device 300, an access control device 400, a communication router 500, and a control server 600.

카메라(10)는 구역(예를 들어, 층)별로 설치되며, 해당 구역을 출입하는 사람을 촬영한다. 복수의 카메라(10)가 동일 구역에 설치될 수 있다. 정상 모드에서, 영상분석장치(100)는 카메라(10)가 제공한 영상을 분석하여 특정 구역의 잔류인원을 카운트한다. 여기서, 영상분석장치(100)는 동일 구역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10) 또는 복수의 구역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10)로부터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영상분석장치(100)는 잔류인원수를 관제 서버(600)로 전송하며, 관제 서버(600)는 구역별 잔류인원수를 모바일 앱(700) 또는 웹 플랫폼(800)을 통해 관련 기관에 전달하여 화면에 표출되도록 한다. 비상 모드로 동작시, 영상분석장치(100)는 스냅샷을 생성하여 관제 서버(600)로 전송하며, 관제 서버(600)는 구역별 스냅샷을 관련 기관에 전달하여 화면에 표출되도록 한다. 스냅샷을 통해 화재 현장 상황이 파악될 수 있다. 한편, 영상분석장치(100)는 요구조자를 영상에서 검출할 수 있다.The camera 10 is installed for each zone (eg, floor), and photographs a person entering or exiting the corresponding zone. A plurality of cameras 10 may be installed in the same area. In the normal mode, the video analysis device 100 analyzes the video provided by the camera 10 and counts the number of remaining people in a specific area. Here, the image analysis device 100 may receive images from a plurality of cameras 10 installed in the same area or a plurality of cameras 10 installed in a plurality of areas. The video analysis device 100 transmits the number of people remaining to the control server 600, and the control server 600 transfers the number of people remaining by zone to the related institution through the mobile app 700 or the web platform 800 and displays the number of people on the screen. to be expressed When operating in an emergency mode, the video analysis device 100 generates snapshots and transmits them to the control server 600, and the control server 600 delivers the snapshots for each zone to related institutions so that they are displayed on the screen. The fire scene situation can be grasped through the snapshot. On the other hand, the image analysis device 100 may detect the person in demand from the image.

화재감지센서(11)는 불꽃 및 연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화재감지센서(11)가 동일 구역에 설치될 수 있다. 화재감지센서(11)는 화재감지신호를 직접 또는 데이터 송수신장치(200)를 통해 통신 라우터(500)에 전달할 수 있다. 화재감지신호는 화재감지센서(11)의 위치 정보(예를 들어, 위경도 좌표) 또는 화재감지센서에 할당된 고유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고유 식별자는 화재감지센서의 위치를 특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화재감지신호에 의해 관제 서버(600)는 특정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했음을 모바일 앱(700) 또는 웹 플랫폼(800)을 통해 관련 기관에 전달하여 화면에 표출되도록 한다.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관제 서버(600)는 건물에 설치된 영상분석장치(100) 및 이상음원 감지장치(300) 및 출입통제장치(400)가 비상 모드로 동작하게 한다. The fire detection sensor 11 may detect any one or both of flame and smoke. Here,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11 may be installed in the same area. The fire detection sensor 11 may transmit a fire detection signal directly or through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00 to the communication router 500 . The fire detection signal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eg,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11 or a unique identifier assigned to the fire detection sensor. The unique identifier may be used to specify the location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By the fire detection signal, the control server 600 transmits that a fire has occurred in a specific building to a related institution through the mobile app 700 or the web platform 800 so that it is displayed on the screen. Upon receiving the fire detection signal, the control server 600 causes the image analysis device 100, the abnormal sound detection device 300, and the access control device 400 installed in the building to operate in an emergency mode.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는 데이터 수집 장치와 관제 서버(600)간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는 마스터 모드와 슬레이브 모드 중 어느 하나로도 동작할 수 있다. 마스터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a)는, 통신 라우터(500)에 연결되어 관제 서버(600)와 직접 통신하는 반면, 슬레이브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b)는, 마스터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a)를 통해 관제 서버(600)와 통신한다. 다시 말해, 복수의 슬레이브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b)는, 하나의 마스터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a)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RS-485, UWB(Ultra-wideband), Wi-Sun, Zigbee, LoRa 등일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c)는 통신 라우터에 연결되지만 다른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통신을 중계하지 않을 수도 있다.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00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the data collection device and the control server 600 . Meanwhile,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apparatus 200 may operate in either a master mode or a slave mode. The master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00a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router 500 and directly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server 600, whereas the slave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00b connects to the control server 600 through the master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00a. ) to communicate with. In other words, the plurality of slave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s 200b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ne master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00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for example, RS-485, UWB (Ultra-wideband), Wi-Sun, Zigbee, LoRa, and the like. Meanwhile, the data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200c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router, but may not relay communication of other data transmitting/receiving devices.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는 데이터 수집 장치의 수집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수집 정보 및 상태 정보와 통신 정보를 관제 서버(600)로 전송한다. 수집 정보는 화재 데이터 및 현장 데이터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화재감지신호, 스냅샷, 비상문 개폐상태, 이상음원 감지신호, 잔류인원수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관제 서버(600)에 의해 화재 데이터 및 현장 데이터로 활용된다. 상태 정보는 데이터 수집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마스터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a)는, 통신 라우터(500)에 직접 연결되며, 슬레이브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b)로부터 수집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다시 말해, 마스터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a)는 자신에게 직접 연결된 데이터 수집 장치의 수집 정보 및 상태 정보뿐 아니라, 슬레이브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b)에 연결된 데이터 수집 장치의 수집 정보 및 상태 정보도 관제 서버(600)로 전송한다.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00 receives collection information and state information of the data collection device, and transmits the received collection information and sta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600 . The collection information includes fire data and field data, and includes, for example, any one or a combination of fire detection signals, snapshots, emergency door opening and closing conditions, abnormal sound detection signals, and the number of people remaining, and the control server (600 ) is used as fire data and field data by The state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dic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data collection device. The master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00a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router 500 and receives collection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from the slave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00b. In other words, the master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00a not only collects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of the data collection device directly connected to the master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00a, but also collects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of the data collection device connected to the slave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00b. ) is sent to

한편, 마스터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a)는 통신 정보를 관제 서버(6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정보는 마스터-슬레이브간 통신 상태를 나타낸다. 슬레이브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b)는 마스터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a)를 통해서만 관제 서버(600)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마스터-슬레이브간 무선 통신이 정상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추가적으로, 통신 정보를 통해, 슬레이브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b)에 연결된 데이터 수집 장치의 정상 작동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Meanwhile, the master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00a may transmit communica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600 . The communication information represents a communication state between master and slave. The slave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00b may transmit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600 only through the master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00a. Therefor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master and slave must be maintained normally. Additionally,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data collection device connected to the slave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00b is normally operat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information.

이상음원 감지장치(300)는 건물내 특정 구역에 설치된 다중 마이크(12a, 12b)를 통해 수집한 음성 또는 비명을 분석하며, 분석 결과를 관제 서버(600)에 전달하여 비상문 또는 방화셔터(이하 비상문으로 총칭)를 원격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The abnormal sound source detection device 300 analyzes voices or screams collected through multiple microphones 12a and 12b installed in a specific area in a building, and transmits the analysis result to the control server 600 to prevent emergency doors or fire shutters (hereinafter Emergency doors) can be opened remotely.

출입통제장치(400)는 화재 안전구역 또는 옥상으로의 진입을 차단 또는 허용하기 위해 비상문에 설치된 잠금장치(410)에 연결된다. 즉, 출입통제장치(400)는 비상문의 개폐상태를 확인하며, 비상문의 개폐를 관리한다.The access control device 400 is connected to a locking device 410 installed on an emergency door to block or allow entry to a fire safety area or a rooftop. That is, the access control device 400 checks the open/closed state of the emergency door and manages the opening/closing of the emergency door.

통신 라우터(500)는 마스터 무선 중계 장치(200a)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며, 수집정보, 상태 정보 및/또는 통신 정보를 관제 서버(600)로 전송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통신 라우터(500)는, 영상분석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카메라 동영상을 단말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화재, 정전, 천재지변 등에 영향을 받지 않는 안정적인 통신 회선을 확보하기 위해서, 통신 라우터(500)는 무선 통신망, 예를 들어, LTE 망을 통해 관제 서버(600)와 통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router 500 communicates with the master wireless relay device 200a by wire or wirelessly, and transmits collection information, status information, and/or communica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600.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communication router 500 may directly transmit the camera video received from the video analysis device 200 to the terminal. In order to secure a stable communication line that is not affected by fire, blackout, or natural disaster, the communication router 500 may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server 6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an LTE network.

관제 서버(600)는 구조화된 UI를 제공한다. 관제 서버(600)는 데이터 수집 장치 및 POI 데이터가 표시된 구조도가 표시된 구조화된 UI를 모바일 앱(700) 및/또는 웹 플랫폼(800)에 표출한다. 현장 데이터의 일부, 예를 들어, 층별 잔류인원수는 정상 상황에서도 구조화된 UI에 표시될 수 있다. 화재 발생시 관제 서버(600)는 구조화된 UI에 화재 데이터 및 현장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화재 데이터 및 현장 데이터가 표시된 구조화된 UI를 통해서, 해당 건물 또는 화재 진압에 관련된 관계자는 화재 현장 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The control server 600 provides a structured UI. The control server 600 displays a structured UI on the mobile app 700 and/or web platform 800 in which a data collection device and a structure diagram displaying POI data are displayed. Some of the on-site data, for example, the number of occupants per floor, can be displayed in the structured UI even under normal circumstances. When a fire occurs, the control server 600 displays fire data and field data on the structured UI in real time. Through the structured UI that displays fire data and field data, the person involved in the building or fire suppression can comprehensively grasp the situation of the fire site.

한편, 관제 서버(600)는 데이터 수집 장치를 원격에서 관제한다. 관제 서버(600)는 데이터 수집 장치로부터 수집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수신하며, 무선 중계 장치(200a, 200b)로부터 통신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한 수집 정보, 상태 정보 및/또는 통신 정보는 로그 파일에 기록 및 축적된다. 관제 서버(600)는 수집 정보, 상태 정보 및/또는 통신 정보를 모바일 앱(700) 및/또는 웹 플랫폼(800)에 표출한다. 추가적으로, 관제 서버(600)는 수집 정보, 상태 정보 및/또는 통신 정보를 분석하며, 분석 결과를 모바일 앱(700) 및/또는 웹 플랫폼(700)에 표출한다.Meanwhile, the control server 600 remotely controls the data collection device. The control server 600 receives collection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from data collection devices and communication information from wireless relay devices 200a and 200b. Collected information, status information and/or communication information received are recorded and accumulated in log files. The control server 600 displays collection information, status information and/or communication information on the mobile app 700 and/or web platform 800. Additionally, the control server 600 analyzes collected information, status information and/or communication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analysis result on the mobile app 700 and/or web platform 700.

모바일 앱(700) 및 웹 플랫폼(800)은 건물에 설치된 데이터 수집 장치를 원격에서 관제하기 위해 단말에서 실행되는 관리자용 프로그램이다. 모바일 앱(700) 및 웹 플랫폼(800)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클라우드 기반의 관제 서버(600)에 접속하여, 수집 정보, 상태 정보 및/또는 통신 정보를 조회한다. 또한, 모바일 앱(700) 및 웹 플랫폼(800)은 구조화된 UI상에 표시될 화재 데이터 및 현장 데이터를 관제 서버(500)로부터 수신한다.The mobile app 700 and the web platform 800 are programs for administrators running on terminals to remotely control data collection devices installed in buildings. The mobile app 700 and the web platform 800 access the cloud-based control server 60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inquire collection information, status information, and/or communic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he mobile app 700 and the web platform 800 receive fire data and field data to be displayed on the structured UI from the control server 500.

도 3은 영상분석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n image analysis device by way of example.

영상분석장치(300)는 스트리밍 모듈(110), 지능형 분석 모듈(120), 카메라 I/O 모듈(130) 및 지능형 프로세서(140)를 포함한다. The video analysis device 300 includes a streaming module 110, an intelligent analysis module 120, a camera I/O module 130, and an intelligent processor 140.

스트리밍 모듈(110)은 카메라(10)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카메라 영상은 카메라(10)에 의해 생성되며, 스트리밍 모듈(310)에 저장된다.The streaming module 110 receives and stores images from the camera 10 . The camera image is generated by the camera 10 and stored in the streaming module 310 .

지능형 분석 모듈(120)은 카메라 동영상을 분석하여, 건물 내 구역별 출입자를 카운팅한다. 지능형 분석 모듈(120)은 룰셋 기반 분석을 이용하여, 특정 구역에 진입한 사람(이하, 진입자)과 특정 구역에서 나온 사람(이하, 진출자)을 식별할 수 있다. 진입자와 진출자 수를 이용하면, 특정 구역에 남아있는 사람 수, 즉, 구역별 잔류인원수가 산출될 수 있다. The intelligent analysis module 120 analyzes the camera video and counts the number of visitors to each zone in the building. The intelligent analysis module 120 may identify a person who enters a specific area (hereinafter, an entrant) and a person who exits a specific area (hereinafter, an entrant) by using a ruleset-based analysis. Using the number of entrants and entrants, the number of people remaining in a specific area, that is, the number of people remaining in each area can be calculated.

비상 모드로 동작시, 지능형 분석 모듈(120)은 카메라 영상을 분석하여 요구조자를 검출할 수 있다. 화재 발생 위치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10)는 화재로 인해 동작이 정지될 때까지 화재 현장을 촬영할 수 있다. 요구조자를 검출한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요구조자의 위치가 특정될 수 있다.When operating in an emergency mode, the intelligent analysis module 120 may analyze the camera image to detect the person in need. One or more cameras 10 installed at a location where a fire occurs may take pictures of a fire scene until an operation is stopped due to a fire. The location of the requestor may be specified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mera that detects the requester.

카메라 I/O 모듈(130)은 카메라 카메라(10) 및 단말간 연결을 위한 모듈이다. 카메라 I/O 모듈(130)은 카메라 카메라(10)로부터 수신한 카메라 동영상을 스트리밍 모듈(110) 및 지능형 분석 모듈(120)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에 전달한다. 한편, 카메라 I/O 모듈(130)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카메라 동영상 제공 요청에 따라, 스트리밍 모듈(110)에 저장된 카메라 동영상 또는 카메라 카메라(10)로부터 수신한 카메라 동영상을 단말로 전송한다.The camera I/O module 130 is a module for connecting the camera camera 10 and a terminal. The camera I/O module 130 transfers the camera video received from the camera camera 10 to either or both of the streaming module 110 and the intelligent analysis module 120 . Meanwhile, the camera I/O module 130 transmits the camera video stored in the streaming module 110 or the camera video received from the camera camera 10 to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camera video provis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terminal.

지능형 프로세서(140)는 영상분석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지능형 프로세서(140)는 진입자 수와 진출자 수 또는 이로부터 산출된 잔류인원수(이하, 잔류인원수로 총칭함)를 관제 서버(600)로 전송한다. 한편, 비상 모드로 동작시, 지능형 프로세서(140)는 카메라 동영상에서 스냅샷을 추출하여 잔류인원수와 함께 관제 서버(600)로 전송한다. 지능형 분석 모듈(120)의 분석 결과 특정 구역에 변화가 발생하면, 지능형 프로세서(140)가 스냅샷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가 감지된 구역에서 진출자를 검출하여 잔류인원수가 감소하거나, 화재가 번져서 카메라 영상에서 불꽃이 검출되면, 스냅샷이 관제 서버(600)로 전송될 수 있다.The intelligent processor 14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image analysis device 100. The intelligent processor 140 transmits the number of entrants and the number of entrants or the number of remaining people calculated therefrom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number of remaining people) to the control server 600 . Meanwhile, when operating in an emergency mode, the intelligent processor 140 extracts a snapshot from the camera video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server 600 together with the number of remaining people. As a result of analysis by the intelligent analysis module 120, when a change occurs in a specific area, the intelligent processor 140 may extract a snapshot. For example, when an entrant is detected in an area where a fire is detected and the number of remaining people decreases or a fire spreads and flames are detected in a camera image, a snapshot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600 .

정상 모드로 동작시, 관제 서버(600)는 구역별 잔류인원수 및 이를 통계처리한 결과(예를 들어, 건물 전체의 잔류인원수)를 모바일 앱(700) 및/또는 웹 플랫폼(800)에 표출한다. 비상 모드로 동작시, 관제 서버(600)는 구역별 잔류인원수, 건물 전체 잔류인원수 및 스냅샷을 모바일 앱(700) 및/또는 웹 플랫폼(800)에 표출하여 관계자로 하여금, 화재 현장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육안으로 스냅샷을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 관련 기관은 영상분석장치(100)에 접속하여 녹화된 카메라 동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지능형 프로세서(140)는, 스트리밍 모듈(110)로부터 카메라 동영상을 단말로 전송한다.When operating in normal mode, the control server 600 displays the number of people remaining in each zone and the result of statistical processing thereof (for example, the number of people remaining in the entire building) on the mobile app 700 and/or the web platform 800. . When operating in emergency mode, the control server 600 displays the number of occupants remaining in each zone, the number of occupants remaining in the entire building, and a snapshot on the mobile app 700 and/or web platform 800 so that the person concerned can monitor the situation at the fire site. make it possible to understand Additionally, when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snapshot with the naked eye, the related institution can access the image analysis device 100 and check the recorded camera video. The intelligent processor 140 transmits the camera video from the streaming module 110 to the terminal.

도 4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apparatus by way of example.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는 모드 설정 버튼(210), 무선 통신 모듈(220), IP 통신 모듈(230), 작동 상태 표시부(240), 전원(250), DI/DO 인터페이스(260, 270), 출입통제장치 인터페이스(280) 및 제어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의 작동은 제어부(290)에 의해 제어된다.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00 includes a mode setting button 210,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20, an IP communication module 230, an operating status display unit 240, a power supply 250, a DI/DO interface 260, 270, An access control device interface 280 and a control unit 290 may be included. The operation of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0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90 .

모드 설정 버튼(210)은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의 작동 모드를 설정한다.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는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로 동작할 수 있다.The mode setting button 210 sets an operating mode of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00 .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00 may operate as a master or a slave.

무선 통신 모듈(220)은 다른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와 통신하기 위한 모듈이다. 무선 통신 모듈(220)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동작하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은, 예를 들어, RS-485, UWB(Ultra-wideband), Wi-Sun, Zigbee, LoRa 등일 수 있다. RS-485 무선 방식 사용시, 통신 주파수는 920.9~922.7MHz이고, 주파수 채널은 Ch20~29일 수 있다. 마스터 모드로 동작시, 무선 통신 모듈(220)은 슬레이브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b)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마스터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a)의 무선 통신 모듈(220)은 슬레이브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b)의 무선 통신 모듈(220)과의 통신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통신 정보를 생성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20 is a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other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s 200 .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20 operates in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may be, for example, RS-485, UWB (Ultra-wideband), Wi-Sun, Zigbee, LoRa, and the like. When using the RS-485 wireless method, the communication frequency is 920.9~922.7MHz, and the frequency channel can be Ch20~29. When operating in the master mod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20 receives state information from the slave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00b. Meanwhi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20 of the master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00a generates commun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state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20 of the slave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00b.

추가적으로, 무선 통신 모듈(220)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로부터 수집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마스터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a)의 무선 통신 모듈(220)은 관제 서버(600)로부터 수신한 비상문 개방 신호를 슬레이브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b)의 무선 통신 모듈(220)로 전달한다.Additional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20 may receive collection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from a data collection device supporting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Meanwhi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20 of the master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00a transmits the emergency door opening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600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20 of the slave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00b.

IP 통신 모듈(230)은 통신 라우터(500)와 통신하기 위한 모듈이다. IP 통신 모듈(230)은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예를 들어, TCP/IP 방식으로 데이터 수집 장치의 수집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통신 라우터(500)로 전송한다. IP 통신 모듈(230)은 통신 라우터(5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The IP communication module 230 is a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router 500 . The IP communication module 230 transmits collection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of the data collection device to the communication router 500 using a data communication protocol, for example, TCP/IP. The IP communication module 230 may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router 500 by wire or wirelessly.

작동 상태 표시부(240)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나타낸다. 작동 상태 표시부(240)는, 예를 들어, 발신, 수신, 통신 불량 및 IP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복수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발신 및 수신 LED는, 마스터-슬레이브간 정보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통신 불량 LED는 마스터-슬레이브간 또는 마스터-관제 서버간 통신이 불량한 상태를 나타내며, IP 통신 LED는 마스터-통신 라우터간 통신 상태를 나타낸다.The operating state display unit 240 indicates state information of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00 . The operating state display unit 240 may include, for example, a plurality of LEDs indicating outgoing, receiving, poor communication, and IP communication states. Sending and receiving LEDs indicate the status of sending or receiving information between the master and slave, poor communication LEDs indicate poor communication between masters and slaves or between masters and control servers, and IP communication LEDs indicate between masters and communication routers. Indicates the communication status.

전원(250)은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250)은, 상용 AC 또는 DC 전력일 수 있다. The power source 250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00 . The power source 250 may be commercial AC or DC power.

DI/DO 인터페이스(260)는 데이터 수집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모듈이다. 화재감지센서(11) 이외에 카운터 센서, 모션 감지 센서 등 다양한 용도의 센서가 DI/DO 인터페이스(26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The DI/DO interface 260 is a module for connection with a data collection device. In addition to the fire detection sensor 11, sensors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counter sensors and motion detection sensors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DI/DO interface 260.

출입통제장치 인터페이스(270)는 출입통제장치(400)와 연결하기 위한 모듈이다. 출입통제장치(400)는 비상문의 개폐상태를 확인하며, 비상문의 개폐를 관리한다. 예를 들어, 출입통제장치(400)는 화재 발생시 비상문에 설치된 잠금장치(410)를 해제하여 비상문을 자동으로 개방하는 비상문 자동 개폐장치일 수 있다.The access control device interface 270 is a module for connecting with the access control device 400 . The access control device 400 checks the opening/closing state of the emergency door and manages the opening/closing of the emergency door. For example, the access control device 400 may be an automatic emergency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opens the emergency door by releasing the locking device 410 installed on the emergency door in the event of a fire.

잠금장치 인터페이스(280)는 비상문에 설치된 잠금장치(410)와 연결하기 위한 모듈이다. 잠금장치 인터페이스(280)는 비상문 개방 신호를 잠금장치(410)로 전달하며, 비상문의 개폐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관제 서버(60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최초로 수신하면, 출입통제장치 인터페이스(280)는 비상문 개방 신호를 비상문 잠금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이후 비상 모드로 동작시에는, 이상음원 감지장치(300)가 비명 또는 음성을 감지한 경우에 비상문 개방 신호가 잠금장치(410)에 전달될 수 있다.The locking device interface 280 is a module for connecting with the locking device 410 installed on the emergency door. The locking device interface 280 transmits an emergency door opening signal to the locking device 410 and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an open/closed state of the emergency door. Upon receiving the fire detection signal from the control server 600 for the first time, the access control device interface 280 may transmit an emergency door opening signal to the emergency door locking device. When operating in the emergency mode thereafter, when the abnormal sound source detection device 300 detects a scream or voice, an emergency door opening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locking device 410 .

제어부(290)는, 모드 설정 버튼(210)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90)는, 마스터-슬레이브간 통신 채널, 주파수, 수신 주기, 그룹, IP 주소 및 도메인 네임 등을 지정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주기적으로 또는 이벤트 발생시마다, 수집 정보 및 상태 정보를 관제 서버(600)로 전송한다. 이벤트 발생은,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가 생성하는 통신 정보에 변경이 발생한 경우뿐 아니라, 정상 모드로 동작 중에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거나 비상 모드 동작 중에 잔류인원수 또는 스냅샷을 수신한 경우도 포함한다.The controller 29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00 according to the mode setting button 210 . The controller 290 may designate a master-slave communication channel, frequency, reception period, group, IP address, domain name, and the like. The controller 290 transmits collection information and state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600 periodically or whenever an event occurs.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cludes not only a case in which commun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00 is changed, but also a case in which a fir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during operation in normal mode or the number of remaining people or a snapshot is received during operation in emergency mode. .

도 5는 이상음원 감지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n abnormal sound source detection device by way of example.

화재 발생시, 옥외 시설로 진출할 수 있는 비상문은 자동으로 개방되어야 하며,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방화셔터는 자동으로 동작해야 한다. 그러나 출입통제장치(400)의 안전기능에 의하여 비상문이 폐쇄 상태로 전환하거나 반대로 방화셔터가 잔류인원의 대피로를 차단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대피자의 비명음 또는 음성을 감지하면, 이상음원 감지장치(300)는 대피자의 위치를 특정하여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를 통해 관제 서버(600)로 전송하며, 이를 통해 대피자 위치에서 가까운 비상문 또는 방화셔터의 개폐상태가 확인될 수 있다. 확인 결과 비상문 또는 방화셔터가 폐쇄 상태이면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를 통해 비상문 개방 신호를 잠금장치(410)에 전달하여 원격으로 개방함으로써, 대피자가 안전하게 화재 안전구역 또는 옥상으로 대피할 수 있다.In the event of a fire, emergency doors that allow access to outdoor facilities must be opened automatically, and fire shutters that prevent the spread of fire must operate automatically. However, a situation may occur in which the emergency door is switched to a closed state by the safety function of the access control device 400 or the fire shutter blocks the evacuation route of remaining personnel. When detecting the scream or voice of the evacuee, the abnormal sound source detection device 300 specifies the location of the evacue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server 600 through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00, through which the evacuee is located close to the evacuee The open/closed state of the emergency door or fire shutter can be confirmed. 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 emergency door or fire shutter is closed, an emergency door open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locking device 410 through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00 to open it remotely, so that the evacuee can safely evacuate to a fire safety area or rooftop. .

한편, 비상 모드로 동작시, 이상음원 감지장치(300)는 다중 마이크(12)를 통해 대피자의 비명음 및 음성을 감지하여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화재가 발생한 구역에서 이상음원이 감지되면, 요구조자로 분류하며 특정된 위치를 관련 기관의 단말에 표출시킨다.Meanwhile, when operating in the emergency mode, the abnormal sound source detection device 300 may detect the scream and voice of the evacuee through the multiple microphones 12 to specify the location. When an abnormal sound source is detected in a fire area, it is classified as a requester and the specified location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of the related institution.

도 5를 참조하면, 이상음원 감지장치(300)는 음성 전처리 모듈(310), 특징점 추출 모듈(320), 특징점 분석 모듈(330) 및 언어유추 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abnormal sound source detection apparatus 300 may include a voice pre-processing module 310 , a feature point extraction module 320 , a feature point analysis module 330 and a language inference module 340 .

음성 전처리 모듈(310)은 다중 마이크(12)를 통해 수집된 음성을 처리한다. 즉, 음성 전처리 모듈(310)은 빔포밍(Beamforming) 기반으로 음성의 선명도를 향상시키며 노이즈를 감소시켜서 특징점 추출 모듈(320)로 전달한다. The voice pre-processing module 310 processes voice collected through the multiple microphones 12 . That is, the voice pre-processing module 310 enhances the clarity of the voice based on beamforming and reduces the noise, and transmits the noise to the feature point extraction module 320 .

특징점 추출 모듈(320)은 음성 전처리 모듈(310)로부터 전달된 음성 데이터에 FFT를 적용하여 음성 데이터에 대한 스펙트럼을 생성하고 Mel Filter를 적용하여 주파수를 증폭한 뒤 Cepstral 분석을 적용해 MFCC(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 값을 추출한다. 즉 특징첨 추출 모듈(320)은 음성 데이터의 특징 벡터에 대한 특징점을 추출한다. 사람의 음성 및 비명은 사용 상황과 표현 방식에 따라 고유한 대역폭을 갖는다. 특징점 추출은 수집된 음성 또는 비명이 비상 상황에서 도움을 요청하기 위한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과정이다.The feature point extraction module 320 applies FFT to the voice data delivered from the voice pre-processing module 310 to generate a spectrum for the voice data, applies a Mel Filter to amplify the frequency, and applies Cepstral analysis to obtain MFCC (Mel- 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 value is extracted. That is, the feature point extraction module 320 extracts feature points for feature vectors of voice data. Human voices and screams have unique bandwidths depending on the context of use and expression. Feature point extraction is a proces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ollected voice or scream is for requesting help in an emergency situation.

특징점 분석 모듈(330)은 추출된 음성 데이터를 1:1 및 1:N 방식으로 음원에 대한 이벤트 별 클래스를 분류한다. The feature point analysis module 330 classifies the extracted voice data into classes for each event of the sound source in a 1:1 and 1:N manner.

언어유추 모듈(340)은 최종 데이터 이벤트 여부를 확정하여 해당 데이터를 관제 서버(600)로 송신하기 위하여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로 전달한다. 즉, 수집된 음성 또는 비명이 비상 상황에 직면한 사람이 낸 것으로 확정되면, 화재 안전구역 또는 옥상으로 대피할 수 있는 대피로 확보가 필요하거나, 특정 구역에 요구조자가 위치하였음을 관제 서버(600)에 전달한다.The language inference module 34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final data event is passed to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00 to transmit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 server 600 . That is, if it is confirmed that the collected voice or scream is from a person facing an emergency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secure an evacuation route that can be evacuated to a fire safety area or a rooftop, or the control server 600 indicates that the person in need is located in a specific area. forward to

도 6은 관제 서버의 기능적인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show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server by way of example.

화재 감지 전 관제 서버(600)는 건물에 설치된 데이터 수집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10), 화재감지센서(11), 영상분석장치(100),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 이상음원 감지장치(300), 출입통제장치(400)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한다. 모니터링을 통해 관제 서버(600)는 데이터 수집 장치들의 고장 또는 이상 상태를 원격으로 확인하여 유지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모니터링 정보와 함께, 실시간으로 집계되는 구역별 잔류인원수는 구조화된 UI에 표시되어 모바일 앱(700) 및 웹 플랫폼(800)에 표출될 수 있다. 한편, 화재 감지 후 관제 서버(600)는 화재 데이터 및 현장 데이터를 구조화된 UI에 표출하여 화재 현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The fire control server 600 includes a data collection device installed in the building, for example, a camera 10, a fire detection sensor 11, an image analysis device 100,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00, and an abnormal sound detection device. (300), status information of the access control device (400) is monitored in real time. Through monitoring, the control server 600 supports maintenance by remotely checking failures or abnormal conditions of the data collection devices. Together with the monitoring information, the number of remaining people by zone aggregated in real time can be displayed on the structured UI and displayed on the mobile app 700 and the web platform 800. On the other hand, after detecting the fire, the control server 600 displays the fire data and field data on the structured UI so that the fire status can be comprehensively determined.

관제 서버(600)는, 로그 파일 저장소(610), 우선순위분류 모듈(620), 정상 보고 모듈(630), 비상 보고 모듈(635), 위치 모듈(640), 정보 관리 모듈(645), 장치 정보 모듈(650), 센서정보분석 모듈(660), 자동제어 모듈(665)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670)을 포함한다.Control server 600, log file storage 610, priority classification module 620, normal report module 630, emergency report module 635, location module 640,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645, device It includes an information module 650, a sensor information analysis module 660, an automatic control module 665 and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670.

로그 파일 저장소(610)는 통신 라우터(500)를 통해 수신한 모든 정보를 시간별로 기록한다. 로그 파일 저장소(610)에 저장되는 정보는 데이터 수집 장치의 수집 정보, 상태 정보 및 통신 정보일 수 있다.The log file storage 610 records all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router 500 by time. Information stored in the log file storage 610 may include collection information, statu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ormation of data collection devices.

우선순위분류 모듈(620)은 로그 파일 저장소(610)에 기록된 정보의 처리 순서 및/또는 처리 모듈을 결정한다. 정상 모드로 동작시, 우선순위분류 모듈(620)은 미리 결정된 전송 주기, 예를 들어, 10분 단위로 전송된 상태 정보, 통신 정보 및/또는 잔류인원수를 정상 보고 모듈(630)에 할당하고, 전송 주기가 아닌 시점에 전송된 상태 정보, 통신 정보를 비상 보고 모듈(635)에 할당한다. 정상 모드로 동작시 수신한 화재감지신호, 및 비상 모드로 동작시 수신한 화재감지신호, 잔류인원수 및/또는 스냅샷은 비상 보고 모듈(635)에만 할당될 수 있다. 한편, 우선순위분류 모듈(620)은 상태 정보, 통신 정보 모두 정상값을 가지면, 정상 보고 모듈(630)에 할당하며, 상태 정보, 통신 정보 중 어느 하나가 비정상값을 가지면, 비상보고 모듈(635)에 할당할 수 있다.The priority classification module 620 determines the processing order and/or processing module of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log file storage 610 . When operating in the normal mode, the prioritization module 620 allocates the transmitted status information, communication information and/or the number of remaining people to the normal reporting module 630 at a predetermined transmission period, for example, in units of 10 minutes; Statu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at a time other than the transmission period are allocated to the emergency report module 635. The fire detection signal received during normal mode operation and the fire detection signal received during emergency mode operation, the number of remaining people and/or the snapshot may be allocated only to the emergency report module 635 . On the other hand, if the priority classification module 620 has a normal value for both statu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ormation, it allocates it to the normal reporting module 630, and if any one of the statu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ormation has an abnormal value, the emergency reporting module 635 ) can be assigned to

정상 보고 모듈(630)은 우선순위분류 모듈(620)에 의해 할당된 상태 정보, 통신 정보 및/또는 잔류인원수를 구조화된 UI에 표시하여 모바일 앱(700) 또는 웹 플랫폼(800)에 주기적으로 표출한다. 모바일 앱(700) 또는 웹 플랫폼(800)은 관제 서버(600)에 접속하여, 건물에 설치된 데이터 수집 장치의 상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정상 보고 모듈(630)은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며, 데이터 수집 장치의 위치 및 종류를 건물의 층별 구조에 표시할 수 있다.The normal reporting module 630 displays the status information, communication information, and/or the number of remaining people assigned by the priority classification module 620 on a structured UI and periodically displays the mobile app 700 or the web platform 800. do. The mobile app 700 or the web platform 800 may access the control server 600 and inquire state information of a data collection device installed in a building. The normal reporting module 630 periodically updates state information, and may display the location and type of the data collection device on the structure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비상 보고 모듈(635)은 우선순위분류 모듈(620)에 의해 할당된 화재감지신호 및 스냅샷을 구조화된 UI에 표시하여 모바일 앱(700) 또는 웹 플랫폼(800)에 즉시 표출한다.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된 상태 정보를 관제 서버(600)에 접속한 모바일 앱(700) 또는 웹 플랫폼(800)에 표출하는 정상 보고 모듈(630)과 비교할 때, 비상 보고 모듈(635)은 관제 서버(600)에 접속하지 않은 모바일 앱(700) 또는 웹 플랫폼(800)에도 화재감지신호 및 스냅샷을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냅샷이 할당되면, 비상 보고 모듈(635)은 스냅샷이 생성된 건물의 시설관리자 단말로 스냅샷을 전송한다.The emergency report module 635 displays the fire detection signal and snapshot allocated by the priority classification module 620 on the structured UI and immediately displays them on the mobile app 700 or the web platform 800. Compared to the normal reporting module 630 that displays periodically updated status information on the mobile app 700 or web platform 800 connected to the control server 600, the emergency report module 635 is the control server 600 ), the fire detection signal and the snapshot may be notified to the mobile app 700 or the web platform 800 that are not accessed. For example, when a snapshot is allocated, the emergency reporting module 635 transmits the snapshot to a facility manager terminal of the building where the snapshot is created.

화재 발생시, 비상 보고 모듈(635)은 화재감지신호 및 화재 발생 위치를 구조화된 UI에 표시하여 모바일 앱(700) 또는 웹 플랫폼(800)을 통해 관련 기관에 전달할 수 있다. 화재 발생 위치는 화재가 발생한 건물을 식별할 수 있는 건물 식별자(예를 들어, 건물명, 주소 등) 및 화재가 발생한 구역 식별자(예를 들어, 10층)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상 보고 모듈(635)은 구역별 잔류인원수를 구조화된 UI에 표시하여 모바일 앱(700) 또는 웹 플랫폼(800)을 통해 관련 기관에 전달할 수 있다.In the event of a fire, the emergency reporting module 635 may display a fire detection signal and a fire occurrence location on a structured UI and deliver the information to a related institution through the mobile app 700 or the web platform 800. The fire location may include a building identifier (eg, building name, address, etc.) capable of identifying a building where a fire has occurred and an area identifier (eg, 10th floor) where a fire has occurred. In addition, the emergency report module 635 may display the number of remaining occupants for each zone on a structured UI and deliver it to a related institution through the mobile app 700 or the web platform 800.

또한, 비상 보고 모듈(635)은 화재감지신호를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로도 전달한다.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는 화재감지신호를 영상분석장치(200) 및 이상음원 감지장치(300)에 전달하여 비상 모드로 동작하도록 한다. 특히, 이상음원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비상 보고 모듈(635)은 이상음원이 감지된 위치에 가까운 비상문의 개폐상태를 확인하며, 확인결과 폐쇄상태이면 비상문 개방 신호를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를 통해 비상문에 설치된 잠금장치(410)로 전달하여 대피자에게 안전한 대피로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ergency report module 635 also transfers the fire detection signal to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00.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00 transmits a fire detection signal to the image analysis device 200 and the abnormal sound source detection device 300 to operate in an emergency mode. In particular, upon receiving the abnormal sound source detection signal, the emergency reporting module 635 checks whether the emergency door is open or closed near the location where the abnormal sound source is detected, and sends an emergency door open signal to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00 if it is closed as a result of the check.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afe evacuation route to the evacuee by passing it to the locking device 410 installed on the emergency door.

위치 모듈(640)은 데이터 수집 장치의 설치 위치를 건물의 층별 구조와 함께 모바일 앱(700) 및 웹 플랫폼(800)에 표출할 수 있다. 위치 모듈(640)은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의 위치측위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 수집 장치의 설치 위치의 위도 및 경도 좌표를 저장 및 관리한다. The location module 640 may display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data collection device on the mobile app 700 and the web platform 800 together with the structure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The location module 640 stores and manages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data collection device us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based location positioning system.

정보 관리 모듈(645)은 데이터 수집 장치별 이력을 관리한다. 정보 관리 모듈(645)은, 상태 정보 및/또는 통신 정보에 대한 이력을 모바일 앱(700) 또는 웹 플랫폼(800)에 표출한다.The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645 manages the history of each data collection device. The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645 displays status information and/or history of communication information on the mobile app 700 or the web platform 800.

장치 정보 모듈(650)은 데이터 수집 장치에 연관된 정보를 관리한다. 장치 정보 모듈(650)은, 예를 들어, 데이터 수집 장치의 장치 정보, 위치 정보, 알림 수신 선택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관리한다. 추가적으로, 장치 정보 모듈(650)은 데이터 수집 장치별 이력을 표출할 수 있다.The device information module 650 manages information related to data collection devices. The device information module 650 manages at least one of, for example, device information of a data collection device, location information, and notification reception selection information. Additionally, the device information module 650 may display a history of each data collection device.

센서정보분석 모듈(660)은 데이터 수집 장치에 연결된 센서가 생성한 센싱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한다. 센서정보분석 모듈(660)은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비상 상황 발생, 고장 여부 등을 감지할 수 있다.The sensor information analysis module 660 collects and analyzes sensing information generated by a sensor connected to a data collection device. The sensor information analysis module 660 may analyze the sensing information to detect an emergency situation or a failure.

자동제어 모듈(665)은, 센서정보분석 모듈(660)의 분석 결과 상태 정보 중 하나 이상이 비정상 값을 가지면, 비정상 값을 기반으로 비상 알림 수행 여부를 판단하며, 건물의 시설관리자 단말로 비상 알림을 전송한다. 비상 알림 수행은, 상태 정보의 종류에 따라 각각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감지신호 또는 인가된 출입에 의해 비상문이 개방된 경우, 비상 알림을 수행되지 않도록 설정되며, 비인가 출입에 의해 비상문이 개방되거나 화재감지신호에도 비상문이 개방되지 않은 경우, 비상 알림을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If at least one of the state information as a result of analysis by the sensor information analysis module 660 has an abnormal value, the automatic control module 665 determines whether to perform an emergency notification based on the abnormal value, and notifies the emergency notification to the facility manager terminal of the building. send Emergency notification execution may be set according to the type of state information. For example, if the emergency door is opened by a fire detection signal or authorized entry, emergency notification is set not to be performed, and if the emergency door is opened by unauthorized entry or the emergency door is not opened even by a fire detection signal, It can be set to perform an emergency notification.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670)은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의 운영시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저장 관리한다.The database management system 670 stores and manages all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integrated fire response system.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Claims (11)

건물 내 구역마다 설치되며, 화재 발생시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
상기 구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가 제공한 카메라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구역에 진입한 진입자와 상기 구역으로부터 나온 진출자를 식별하며, 상기 진입자의 수와 상기 진출자의 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구역의 잔류인원수를 산출하는 영상분석장치;
화재 발생시 발생시 상기 구역에 위치한 요구조자의 음성을 감지하여 이상음원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이상음원 감지장치;
상기 화재감지신호 및 상기 잔류인원수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통신 라우터; 및
상기 통신 라우터를 통해 상기 화재감지신호 및 상기 잔류인원수를 수신하고, 화재 발생 위치 및 구역별 잔류인원수를 화재가 발생한 건물의 구조도에 표출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이상음원 감지장치는 다중 마이크로 수집한 음성을 통해 요구조자를 검출하며, 검출된 요구조자 위치는 상기 구조도에 표시되는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
A fire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each zone within the building and outputting a fire detection signal in case of fire;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area;
an image analysis device that analyzes the camera image provided by the camera to identify entrants who have entered the zone and entrants out of the zone, and calculates the number of remaining people in the zone by counting the number of entrants and the number of entrants;
When a fire occurs, an abnormal sound source detection device that detects the voice of a person in need located in the zone and generates an abnormal sound source detection signal;
a communication router that transmits the fire detection signal and the number of remaining occupants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cluding a control server that receives the fire detection signal and the number of people remain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router, and expresses the location of the fire and the number of people remaining by zone on a structural diagram of the building where the fire occurred,
The abnormal sound source detection device detects the person requesting through the voice collected by multiple microphones, and the detected person's location is displayed on the structure diagram.
청구항 1에 있어서,
화재 안전구역 또는 옥상으로의 진입을 허용하는 비상문의 개폐상태를 확인하며, 비상문의 개폐를 관리하는 출입통제장치; 및
비상문에 설치된 잠금장치로 비상문 개방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잔류인원수, 상기 이상음원 감지신호 및 상기 개폐상태를 상기 통신 라우터를 통해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더 포함하는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 access control device that checks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an emergency door that allows entry to a fire safety area or a rooftop and manage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mergency door; and
An integrated fire response device further comprising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that transmits an emergency door opening signal to a locking device installed on the emergency door and transmits the number of remaining people, the abnormal sound source detection signal, and the opening/closing state to the control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router system.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이상음원 감지신호가 생성된 구역 근처에 위치한 비상문의 개폐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비상문이 폐쇄상태이면 비상문 개방 신호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통해 상기 잠금장치로 전송하는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ntrol server checks an open/closed state of an emergency door located near an area where the abnormal sound source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and when the emergency door is in a closed state, sends an emergency door open signal through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to the locking device An integrated fire response system that transmits to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화재감지신호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로 전달하여 상기 영상분석장치가 비상 모드로 동작하게 하되,
상기 영상분석장치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하는 구역에서 발생한 변화를 감지하면 스냅샷을 생성하여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ntrol server transmits the fire detection signal to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so that the video analysis device operates in an emergency mode,
The video analysis device generates a snapshot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server when detecting a change that occurs in an area captured by the camera.
건물의 구역별로 설치되어 화재 데이터 및 현장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
화재 발생시 상기 구역에 위치한 요구조자의 음성을 감지하여 이상음원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이상음원 감지장치;
상기 건물의 공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조화된 UI를 생성하며,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 및 상기 건물에서 수집된 화재 데이터와 현장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구조화된 UI에 표시하는 관제 서버;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구조화된 UI를 화면에 표출하는 웹 플랫폼을 포함하되,
상기 이상음원 감지장치는 다중 마이크로 수집한 음성을 통해 요구조자를 검출하며, 검출된 요구조자 위치는 상기 구조화된 UI에 표시되는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
A data collection device installed for each zone of the building to collect fire data and field data;
Abnormal sound source detection device for generating an abnormal sound source detection signal by detecting the voice of a person in need located in the zone in the event of a fire;
A control server that generates a structured UI using the spatial data of the building, receives state information indic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data collection device, and fire data and field data collected from the building and displays them on the structured UI; and
Including a web platform that accesses the control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displays the structured UI on the screen,
The abnormal sound source detection device detects the person requesting through the voice collected by multiple microphones, and the detected location of the person requesting is displayed on the structured UI.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화재 데이터는 화재 발생 위치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현장 데이터는 구역별 잔류인원수를 적어도 포함하며,
상기 공간 데이터는 상기 건물의 층별 구조,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의 위치 및 상기 건물 내 주요 구역에 대한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e data includes at least a fire location,
The field data includes at least the number of people remaining in each zone,
The spatial data includes any one or a combination of information about the structure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the location of the data collection device, and a major area in the building.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는
상기 구역에 설치되며, 화재 발생시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
상기 구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가 제공한 카메라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구역에 진입한 진입자와 상기 구역으로부터 나온 진출자를 식별하며, 상기 진입자의 수와 상기 진출자의 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구역의 잔류인원수를 산출하는 영상분석장치를 포함하는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data collection device
A fire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above zone and outputting a fire detection signal in case of fire;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area, and
An image analysis device that analyzes camera images provided by the camera to identify entrants entering the zone and entrants exiting the zone, and calculating the number of remaining people in the zone by counting the number of entrants and the number of entrants An integrated fire response system that includes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영상분석장치는 화재 발생시 상기 카메라가 제공한 영상에서 스냅샷을 추출하여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The integrated fire response system of claim 7 , wherein the video analysis device extracts a snapshot from the video provided by the camera and transmits the snapshot to the control server when a fire occurs.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영상분석장치는 상기 카메라 영상을 분석하여 요구조자를 검출하며, 검출된 요구조자 위치는 상기 구조화된 UI에 표시되는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The integrated fire response system of claim 7 , wherein the image analysis device analyzes the camera image to detect a person requesting assistance, and the detected location of the person requesting assistance is displayed on the structured UI. 청구항 5에 있어서,
화재 안전구역 또는 옥상으로의 진입을 허용하는 비상문의 개폐상태를 확인하며, 비상문의 개폐를 관리하는 출입통제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이상음원 감지신호가 생성된 구역에 위치한 비상문의 개폐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비상문이 폐쇄상태이면 비상문 개방 신호를 상기 비상문에 설치된 잠금장치로 전송하는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Checking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emergency door that allows entry to the fire safety area or the rooftop, and further comprising an access control device that manage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mergency door,
The control server checks the open and closed state of the emergency door located in the area where the abnormal sound source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s an emergency door open signal to a locking device installed in the emergency door when the emergency door is closed.
삭제delete
KR1020210116510A 2021-09-01 2021-09-01 Emergency response system KR1025630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510A KR102563094B1 (en) 2021-09-01 2021-09-01 Emergency respons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510A KR102563094B1 (en) 2021-09-01 2021-09-01 Emergency respons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487A KR20230033487A (en) 2023-03-08
KR102563094B1 true KR102563094B1 (en) 2023-08-03

Family

ID=85507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510A KR102563094B1 (en) 2021-09-01 2021-09-01 Emergency respons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09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787B1 (en) * 2008-03-31 2008-10-16 주식회사 마이다스엔지니어링 Wirel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door
KR101895843B1 (en) * 2017-04-13 2018-09-07 첵트 엘엘씨 Alarm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733B1 (en) * 2016-03-14 2018-02-09 이현기 An intelligence type emergency shunting incitement method and system of the same
KR200486357Y1 (en) 2017-09-29 2018-05-08 윤은상 Fire detector integrated with camera
KR102300640B1 (en) * 2019-12-09 2021-09-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stem for analyzing cctv image information for occupancy realtime monitoring, and method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787B1 (en) * 2008-03-31 2008-10-16 주식회사 마이다스엔지니어링 Wirel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door
KR101895843B1 (en) * 2017-04-13 2018-09-07 첵트 엘엘씨 Alarm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487A (en) 202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61492B (en) Dynamic acquiring terminal, evacuation system and method for human behavior statistical information
KR101775463B1 (en) Fire supervisory apparatus to be installed on building and unite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same
EP3635335B1 (en) System and method for aiding responses to an event detected by a monitoring system
KR102322427B1 (en) Bigdata based building fire prevention response system and method
KR102126281B1 (en) System for detecting fire using smart fire detector based on IoT and the smart fire detector
KR101223680B1 (en) Smart type fire monitoring and detecting system
CN110021132A (en) A kind of Internet of Things fire prevention big data platform
JP5534973B2 (en) Elevator remote monitoring system
KR101403465B1 (en) Switchboard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mobile app.
KR200414008Y1 (en) System for monitoring fire signals
KR20170106665A (en) An intelligence type emergency shunting incitement method and system of the same
KR100637708B1 (en) System and terminal for providing realtime fire-fighting information
CN112044006A (en) Monitoring fire-fighting system for building
US11580843B2 (en) Intelligent emergency response for multi-tenant dwelling units
CN105516659A (en) Intelligent safe-guard system and method based on face emotion recognition
JP7376162B2 (en) Artificial intelligence-linked intelligent disaster safety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uch method
CN112216059A (en) Fire control information management platform equipment based on thing networking
CN112288320A (en) Subway operation risk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KR20100116465A (en) Remote supervision and management system of non smoking area, and managing method thereof
KR20220071880A (en) Digital twin disaster management system customized for underground public areas
JP2019219844A (en) Radio disaster prevention system, and disaster prevention method thereof
CN111915823A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server and mobile terminal equipment
CN111080957A (en) Fire prevention and control method based on 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KR102563094B1 (en) Emergency response system
WO2019224116A2 (en) Fire alarm system integ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