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929B1 - Individual roasting device by heating air - Google Patents

Individual roasting device by heating 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929B1
KR102560929B1 KR1020220101816A KR20220101816A KR102560929B1 KR 102560929 B1 KR102560929 B1 KR 102560929B1 KR 1020220101816 A KR1020220101816 A KR 1020220101816A KR 20220101816 A KR20220101816 A KR 20220101816A KR 102560929 B1 KR102560929 B1 KR 102560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bean
air inlet
unit
ro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18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기홍
Original Assignee
전기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기홍 filed Critical 전기홍
Priority to KR1020220101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92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9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4Methods of roasting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46Coffee flavour; Coffee oil; Flavouring of coffee or coffee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2Auxiliary devices for roasting mach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커피 원두 로스팅장치에 있어서, 로스팅과정인 진행된 원두가 모집되는 원두저장부; 상기 원두저장부와 연통된 원통형태의 원두이동부; 상기 원두이동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측면에 직사각형형태의 홈형태의 열풍슬릿이 형성되는 열풍유입부; 상기 열풍유입부의 상측에 연장되어 배치되며 로스팅부; 이물질배출부; 를 포함하는 커피 로스팅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ffee bean roasting apparatus, the coffee bean storage unit in which the roasting progressed beans are collected; a cylindrical bean moving unit communicating with the bean storage unit; A hot air inlet portion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ean moving portion and having a hot air slit formed in a rectangular groove shape on the side surface; a roasting unit extending and disposed above the hot air inlet; Foreign matter discharge unit; A coffee roasting apparatus including a may be provided.

Description

개별 로스팅이 가능한 열풍방식의 커피 로스팅장치 {Individual roasting device by heating air}Hot air coffee roasting device capable of individual roasting {Individual roasting device by heating air}

본 발명은 개별 로스팅이 가능한 열풍방식의 커피 로스팅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t air coffee roasting apparatus capable of individual roasting.

일반적으로 로스팅은 커피 생두에 열을 가하여 볶는 과정으로써 신맛, 단맛, 탄맛, 쓴맛 등의 맛과 풍미를 갖게 되는 원두로 만들어가는 과정을 의미한다. 커피를 음용하기 위해서는 커피 생두를 볶는 과정이 필수적인데, 생두에 열을 가해 볶아주면 생두의 세포 조직이 파괴되면서 지방분, 당분, 카페인, 유기산, 무기산, 탄닌 등이 밖으로 표출된다. 이에 따라 커피 생두에서는 맛과 향이 드러나게 된다. 이와 같은 로스팅은 원두의 종류에 따라 온도, 가열시간 등을 변경하여야 하다. 이에 따라 블렌딩 원두를 로스팅할 경우 온도와 가열시간이 비슷한 조건의 원두를 블렌딩하거나 각각 블렌딩을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종래방식은 원두 종류에 따라 각각 블렌딩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시간적, 비용적 측면에서 불리함이 있어 이를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In general, roasting is a process of roasting green coffee beans by applying heat, and means a process of making coffee beans with tastes and flavors such as sour, sweet, burnt, and bitter. In order to drink coffee, the process of roasting green coffee beans is essential. When the green beans are roasted with heat, the cellular tissue of the green beans is destroyed and fat, sugar, caffeine, organic acids, inorganic acids, tannins, etc. are released to the outside. As a result, the taste and aroma are revealed in the green coffee beans. In such roasting, temperature, heating time, etc. must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 of beans. Accordingly, when roasting the blended beans, it is necessary to blend beans having similar conditions of temperature and heating time, or to perform blending separately. This conventional method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time and cost because each blending operation must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type of beans, and efforts to improve this are required.

등록특허 제10-2354020호(2022.01.18. 등록)Registered Patent No. 10-2354020 (2022.01.18. Registr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개의 원두가 독립적인 가열시간과 가열온도로로스팅되는 커피 로스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coffee roasting apparatus in which a plurality of beans are roasted with independent heating time and heating temperature.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 from other descriptions of the specification, such as the detailed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커피 로스팅장치에 있어서, 로스팅과정인 진행된 원두가 모집되는 원두저장부; 상기 원두저장부와 연통된 원통형태의 원두이동부; 상기 원두이동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측면에 직사각형형태의 홈형태의 열풍유입슬릿이 형성되는 열풍유입부; 상기 열풍유입부의 상측에 연장되어 배치되며 로스팅부; 및 원두의 로스팅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이 배출되는 이물질배출부; 를 포함하는 로스팅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ffee roasting apparatus, the coffee bean storage unit in which the roasting progressed beans are collected; a cylindrical bean moving unit communicating with the bean storage unit; a hot air inlet uni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ean moving unit and having a hot air inlet slit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groove on a side surface; a roasting unit extending and disposed above the hot air inlet; and a foreign substance discharge unit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during the roasting process of beans are discharged. A roasting apparatus including a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개별적으로 분리된 로스팅부에서 독립적인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열원을 통해 독립적인 온도와 시간으로 원두를 로스팅할 수 있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oast beans at independent temperatures and times through a plurality of heat sources disposed at independent locations in individually separated roasting units.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효과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echnical effects obtainable thr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Other technical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other descriptions of the specification, such as the detailed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로스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두저장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열풍유입부 내지 원두이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물질 배출부 내지 로스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로스팅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 roa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bean storage unit shown in FIG. 1 .
FIG. 3 is a view showing the hot air inlet part to the bean moving part shown in FIG. 1 .
FIG. 4 is a view showing a foreign matter discharge unit or a roasting unit shown in FIG. 1 .
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roa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불분명하게 하거나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xamples may b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However,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configurations or obscure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커피 로스팅장치(이하, 로스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ffee roasting apparatus (hereinafter referred to as roa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스팅장치는 로스팅과정인 진행된 원두가 모집되는 원두저장부(100)와, 원두저장부(100)와 연통된 원통형태의 원두이동부(200)와, 원두이동부(2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측면에 직사각형형태의 홈형태의 열풍슬릿이 형성되는 열풍유입부(300)와, 열풍유입부(300)의 상측에 연장되어 배치되며 로스팅부(400); 및 원두의 로스팅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이 배출되는 이물질배출부(500); 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ro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an storage unit 100 in which beans in the roasting process are collected, a cylindrical bean moving unit 200 communicating with the bean storage unit 100, a hot air inlet unit 30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ean moving unit 200 and having a rectangular groove-shaped hot air slit formed on the side surface, and a hot air inlet unit 300 It is disposed exte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roasting unit 400; and a foreign substance discharge unit 500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during the roasting process of beans are discharged. can includ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두저장부(100)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bean storage unit 100 shown in FIG. 1 .

도 2를 참조하면, 원두저장부(100)는 로스팅된 원두가 모집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원두저장부(100)는 모집경사면(110)이 형성될 수 있다. 모집경사면(110)은 원두저장부(100)의 측면에서 중앙으로 경사진 격벽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모집경사면(110)은 원두저장부(10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모집경사면(110)은 하부에 가진기(111)가 배치될 수 있다. 가진기(111)는 모집경사면(110)의 하부에서 진동이 발생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진기(111)는 모집경사면(110)의 상부면에 모집되는 커피 원두를 중심측으로 이동시키는 진동을 발생하게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coffee bean storage unit 100 may be a part where roasted coffee beans are collected. The bean storage unit 100 may be formed with a collection inclined surface 110. The collecting slope 11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artition wall inclined from the side of the bean storage unit 100 to the center. In addition, the collecting slope 11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ean storage unit 100. In addition, an exciter 111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llecting slope 110. The vibrator 111 may be a device that generates vibration at the lower part of the collecting slope 110 . Such a vibrator 111 may generate vibration that moves coffee beans colle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llecting inclined surface 110 toward the center.

한편, 원두저장부(100)는 원두저장탱크(120)가 형성될 수 있다. 원두저장탱크(120)는 원두저장부(100)에 블렌딩된 원두가 저장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원두저장탱크(120)는 원두저장부(100)의 내부에 소정크기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원두저장탱크(120)의 크기는 로스팅부(400)에서 로스팅되는 원두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크기가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ean storage unit 100 may be formed with a bean storage tank 120. The coffee bean storage tank 120 may be a space in which coffee beans blended in the coffee bean storage unit 100 are stored. The bean storage tank 120 may be formed as a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nside the bean storage unit 100 . Here, the size of the bean storage tank 120 may be a size that can sufficiently accommodate the beans roasted in the roasting unit 400 .

한편, 원두저장탱크(120)의 하부의 중심에는 원두배출구(121)가 형성될 수 있다. 원두배출구(121)는 원두저장부(100)의 양측에 형성되는 모집경사면(110)의 하측 끝단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원두배출구(121)는 원두저장부(100)에 모집되는 원두가 배출되는 출구가 될 수 있다.Meanwhile, a coffee bean outlet 121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offee bean storage tank 120 . The bean outlet 121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ollecting slope 11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ean storage unit 100. The coffee bean outlet 121 may be an outlet through which beans collected in the coffee bean storage unit 100 are discharged.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열풍유입부 내지 원두이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the hot air inlet part to the bean moving part shown in FIG. 1 .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로스팅장치는 원두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원두이동부(200)는 원두저장부(100)와 연통된 원두의 이동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원두이동부(200)는 길이방향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원통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원두이동부(200)는 하측에는 원두저장부(100)가 연결되고 상측으로는 열풍유입부(300)가 연결된 이동통로가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roa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ean moving unit. The bean moving unit 200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beans communicate with the bean storage unit 100 are moved. The bean moving unit 20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a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bean moving unit 200 may be a moving passage to which the bean storage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and the hot air inlet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본 발명의 로스팅장치는 열풍유입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열풍유입부(300)는 원두이동부(2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열풍유입부(300)는 외관형상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열풍유입부(300)의 직경은 원두이동부(200)와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roa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t air inlet 300. The hot air inlet 300 may be disposed above the bean moving unit 200 . The hot air inlet 30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Here, the diameter of the hot air inlet 300 may be formed to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bean moving unit 200.

이와 같은 열풍유입부(300)는 열풍유입슬릿(301)이 형성될 수 있다. 열풍유입슬릿(301)은 열풍유입부(300)의 내측으로 가열된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열풍유입슬릿(301)은 열풍유입부(300)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열풍유입슬릿(301)은 열풍유입부(300)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직사각형 형태의 홈이 될 수 있다.The hot air inlet 300 may have a hot air inlet slit 301 formed therein. The hot air inlet slit 301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heat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hot air inlet 300 . A plurality of hot air inlet slits 301 may be formed in the hot air inlet 300 . In addition, the hot air inlet slit 301 may be a rectangular groov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t air inlet 300 .

이와 같은 열풍유입슬릿(301)의 인접한 부분에는 팬(302)과 열원(303)이 배치될 수 있다. 팬(302)은 열풍유입부(300)의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회전되어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팬(302)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원형팬의 형태가 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형태나 종류에 제한되지는 않다. 팬(302)은 공기의 흐름 방향을 유도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것으로도 형태나 종류가 가변 가능하다. A fan 302 and a heat source 303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hot air inflow slit 301 . The fan 302 may be a device that induces a flow of air by being rotated so that air is introduced into the hot air inlet 300 . The shape of the fan 302 may generally be a circular fan shape for inducing air flow, but is not limited to such a shape or type. The fan 302 may have a variable shape or type as long as it is a device capable of inducing a flow direction of air.

한편, 팬의 일측에는 열원(303)이 배치될 수 있다. 열원(303)은 열이 발생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열원(303)은 팬(302)의 일측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원(303)은 열기가 발산되어 팬에 의해 열풍유입부(300)의 내부로 가열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Meanwhile, a heat source 303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an. The heat source 303 may be a device that generates heat. Heat source 303 may be disposed adjacent to one side of fan 302 . Such a heat source 303 may dissipate heat, and air heated by a fan may be introduced into the hot air inlet 300 .

이와 같이 형성된 열풍유입부(300)의 하측에는 개폐마개(304)가 형성될 수 있다. 개폐마개(304)는 일측면에 타공면이 형성된 마개가 될 수 있다. 개폐마개(304)에 형성된 타공은 원두가 투과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개폐마개(304)는 원두저장부(100)의 방향에 힌지가 결합되어 개/폐동작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폐마개(304)는 로스팅부(400)에서 원두가 가열될 경우에 닫힘상태가 될 수 있다. 반면, 로스팅부(400)에서 원두의 가열작업이 완료된 경우 개폐마개(304)는 개방상태가되어 원두가 원두이동부(200)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An opening/closing stopper 304 may be formed below the hot air inlet 300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opening and closing stopper 304 may be a stopper having a perforated surface formed on one side thereof. The hole form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stopper 304 may be formed in a size through which coffee beans are not penetrated. The opening/closing stopper 304 may be hinged in the direction of the bean storage unit 100 to form an opening/closing operation. Such an opening and closing stopper 304 may be in a closed state when beans are heated in the roasting unit 400 . On the other hand, when the heating operation of the beans is completed in the roasting unit 400, the opening/closing stopper 304 is in an open state, so that the beans can be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bean moving unit 200.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물질 배출부 내지 로스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렌딩장치는 로스팅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로스팅부(400)는 커피원두가 투입되어 볶아지는 로스팅작업이 수행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로스팅부(400)는 열풍유입부(3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FIG. 4 is a view showing a foreign matter discharge unit or a roasting unit shown in FIG. 1 . Referring to FIG. 4 , the blen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oasting unit 400 . The roasting unit 400 may be a space in which a roasting operation in which coffee beans are put in and roasted is performed. Such a roasting unit 400 may be disposed above the hot air inlet unit 300 .

또한, 로스팅부(400)는 내부에 원두유동가이드(401)가 형성될 수 있다. 원두유동가이드(401)는 경사진 곡면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원두유동가이드(401)는 내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두유동가이드(401)는 열풍에 의해 유동되는 커피원두를 이동방향을 곡선으로 유도하여 궤적을 크게하여 균일한 면에 열풍이 가해질 수 있게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asting unit 400 may have a bean flow guide 401 formed therein. The bean flow guide 401 may be formed in an inclined curved shape. In addition, a plurality of bean flow guides 401 may be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uch a bean flow guide 401 induces coffee beans flowing by hot air in a curved direction so that hot air can be applied to a uniform surface by enlarging the trajector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스팅장치는 이물질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배출부(500)는 로스팅부(4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물질배출부(500)는 로스팅부(400)에서 연장된 원통형의 통로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이물질배출구(40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물질배출구(402)는 타원형태로 형성된 홀이 될 수 있다. 또한, 이물질배출구(402)은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ro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oreign matter discharge unit.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unit 500 may be disposed above the roasting unit 400 . In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unit 500 , a plurality of foreign matter discharge ports 402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cylindrical passage extending from the roasting unit 400 . Here, the foreign matter outlet 402 may be a hole formed in an oval shape. In addition, the foreign material outlets 402 may b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한편, 이물질배출구(402)는 이물질모집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물질모집부(410)는 이물질배출구(402)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모집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이물질모집부(410)는 일측에 펌프가 형성되어 이물질모집부(410)내부의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물질모집부(410)는 공기가 압력차에 의해 흡입되어 이물질이 함께 모집될 수 있다.Meanwhile, the foreign matter outlet 402 may be formed with a foreign matter collection unit 410 . The foreign matter collecting unit 410 may be a part for collecting foreign matter discharged from the foreign matter outlet 402 . A pump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oreign matter collecting unit 410 so that the pressure inside the foreign material collecting unit 410 can be adjusted. In the foreign matter collection unit 410, air is sucked in by a pressure difference and foreign matter may be collected together.

도 5는 본 발명의 로스팅장치의 작동에 의한 원두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로스팅장치의 작동에 의한 이물질의 배출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movement path of beans by the operation of the roa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showing the discharge of foreign substances by the operation of the roa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로스팅부(400)로 원두투입로(420)를 통해 원두가 투입될 수 있다. 원두투입로(420)는 로스팅부(400)의 상부부분에 연통되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원통형의 경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두투입로(420)를 통해 이동된 원두는 열풍유입부(300)에서 열원에 의해 발생된 열과 팬에 의해 열풍이 유입되어 유동 및 가열될 수 있다. 여기서 원두는 유동 및 가열과정에서 껍질 및 분진이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이물질배출부(500)에는 상대적으로 무게가 경량인 껍질 및 분진(M)이 도 6 과 같이 이물질배출부(500)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원두가 로스팅된 후에 열풍유입부(300)에 형성된 개폐마개(304)가 도 5와 같이 개방되어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개의 독립적인 로스팅부(400)에서 로스팅된 원두는 하부로 이동되어 원두저장부(100)의 원두저장통에 이동되며 로스팅 과정이 완료된 후 각각의 원두는 블렌딩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6 , first, beans may be introduced into the roasting unit 400 through the bean input path 420 . The bean input path 420 may be a cylindrical path forme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roasting unit 400 . The beans moved through the bean input furnace 420 may be flown and heated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 source in the hot air inlet 300 and the hot air introduced by the fan. Here, the beans may generate shells and dust during the flowing and heating process. Here, in the foreign material discharge unit 500, shells and dust M having a relatively light weight may be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foreign material discharge unit 500 as shown in FIG. After the beans are roasted in this process, the opening/closing stopper 304 formed in the hot air inlet 300 can be opened and moved downward as shown in FIG. 5 . In this way, the beans roasted in the three independent roasting units 400 are moved to the bottom and moved to the bean storage container of the bean storage unit 100, and after the roasting process is completed, the respective beans may be blended.

이상 본 발명의 로스팅장치는 개별적으로 분리된 로스팅부에서 독립적인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열원을 통해 독립적인 온도와 시간으로 원두를 로스팅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oa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oast beans at an independent temperature and time through a plurality of heat sources disposed at independent locations in an individually separated roasting unit.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or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changing, deleting, or adding component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is will also be sai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원두저장부 200 : 원두이동부
300 : 열풍유입부 301 : 열풍유입슬릿
303 : 열원 304 : 개폐마개
400 : 로스팅부 401 : 원두유동가이드
500 : 이물질배출부
100: bean storage unit 200: bean moving unit
300: hot air inlet 301: hot air inlet slit
303: heat source 304: opening and closing cap
400: roasting unit 401: bean flow guide
500: foreign matter discharge unit

Claims (5)

커피 원두 로스팅장치에 있어서, 로스팅과정인 진행된 원두가 모집되는 원두저장부(100);
상기 원두저장부(100)와 연통된 원통형태의 원두이동부(200);
상기 원두이동부(2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측면에 직사각형형태의 홈형태의 열풍유입슬릿(301)이 형성되는 열풍유입부(300);
상기 열풍유입부(300)의 상측에 연장되어 배치되고 3 개의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원두이동부(200)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되는 로스팅부(400); 및
원두의 로스팅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이 배출되는 이물질배출부(500); 를 포함하고
상기 열풍유입부(300)는
상기 원두저장부(100)의 방향에 힌지가 결합되어 개/폐동작이 형성되는 개폐마개(304)가 형성되고
상기 열풍유입부(300)의 내측으로 가열된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로 형성되는 열풍유입슬릿(301);
상기 열풍유입슬릿(301)의 인접한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열풍유입부(300)의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고 복수개가 상기 로스팅부(400)를 연결하는 부분에 배치되는 팬(302); 및
상기 팬(302)의 일측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열기가 발산되어 상기 팬(302)에 의해 상기 열풍유입부(300)의 내부로 가열된 공기가 유입되는 열원(303); 을 포함하고
상기 로스팅부(400)는
경사진 곡면형태로 형성되어 내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는 원두유동가이드(401)가 형성되고
상기 원두유동가이드(401)는
열풍에 의해 유동되는 커피원두의 이동방향을 곡선으로 유도하여 이동 궤적이 크게 형성되는 커피 로스팅장치.

A coffee bean roasting apparatus comprising: a bean storage unit (100) in which beans that have been roasted are collected;
A cylindrical bean moving unit 200 communicating with the bean storage unit 100;
A hot air inlet 30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ean moving unit 200 and having a hot air inlet slit 301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groove on the side surface;
A roasting unit 400 extended and disposed above the hot air inlet unit 300 and formed in three cylindrical shapes to be connec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ean moving unit 200; and
A foreign substance discharge unit 500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in the roasting process of beans are discharged; and
The hot air inlet 300
A hinge is coupled in the direction of the bean storage unit 100 to form an opening/closing stopper 304 in which an opening/closing operation is formed,
a hot air inlet slit 301 formed a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heated to the inside of the hot air inlet 300 is introduced;
A fan 302 disposed adjacent to the hot air inlet slit 301 to induce air flow so that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hot air inlet 300 and connected to the roasting unit 400; and
a heat source 303 dispose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fan 302 to dissipate hot air and introduce air heated by the fan 302 into the hot air inlet 300; contains
The roasting unit 400
A bean flow guide 401 is formed in the form of an inclined curved surface and formed in plurality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bean flow guide 401
A coffee roasting device in which a large movement trajectory is formed by inducing the movement direction of coffee beans flowed by hot air into a curv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풍유입부(300)은
상기 열풍유입슬릿(301)의 일측에 바람이 발생되는 팬(302); 이 배치되고 상기 팬의 일측에 열원(303)이 배치되는 커피 로스팅장치.
in claim 1
The hot air inlet 300 is
a fan 302 generating wind on one side of the hot air inlet slit 301; A coffee roasting apparatus in which a heat source 303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a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두저장부(100)는
측면에서 중앙으로 경사진 격벽의 형태로 형성되는 모집경사면(110); 및
상기 모집경사면의 하부에서 진동이 발생되는 가진기(111)를 포함하는 커피 로스팅장치.

in claim 1
The bean storage unit 100
Collecting slope 110 formed in the form of a bulkhead inclined from the side to the center; and
Coffee roasting apparatus including a vibrator (111) in which vibration is gener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collection slope.

KR1020220101816A 2022-08-16 2022-08-16 Individual roasting device by heating air KR1025609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816A KR102560929B1 (en) 2022-08-16 2022-08-16 Individual roasting device by heating 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816A KR102560929B1 (en) 2022-08-16 2022-08-16 Individual roasting device by heating 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0929B1 true KR102560929B1 (en) 2023-07-27

Family

ID=87433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1816A KR102560929B1 (en) 2022-08-16 2022-08-16 Individual roasting device by heating 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92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2512A (en) * 2010-02-09 2011-08-18 가스텍코리아 주식회사 Roasting device for coffee beans
KR20190069397A (en) * 2016-10-14 2019-06-19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Coffee containers for making roasted and ground coffe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20210112916A (en) * 2020-03-06 2021-09-15 주식회사 휴 Roasting device of coffee beans using hot air
KR102354020B1 (en) 2019-12-16 2022-01-20 서주은 Apparatus for roasting coffee
KR20220030725A (en) * 2020-09-03 2022-03-11 (주) 티로보틱스 Vacuum coffee roasting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2512A (en) * 2010-02-09 2011-08-18 가스텍코리아 주식회사 Roasting device for coffee beans
KR20190069397A (en) * 2016-10-14 2019-06-19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Coffee containers for making roasted and ground coffe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102354020B1 (en) 2019-12-16 2022-01-20 서주은 Apparatus for roasting coffee
KR20210112916A (en) * 2020-03-06 2021-09-15 주식회사 휴 Roasting device of coffee beans using hot air
KR20220030725A (en) * 2020-09-03 2022-03-11 (주) 티로보틱스 Vacuum coffee roast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1575B1 (en) A Cooling device for roasting coffee beans
KR101612040B1 (en) Automatic coffee brewing apparatus
KR101780308B1 (en) Coffee roasting device and roas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560929B1 (en) Individual roasting device by heating air
CN109310227A (en) Coffee dispensing device
KR101349074B1 (en) Apparatus for extraction of dutch coffee
JP52902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 treating fluid plant products
KR101078528B1 (en) roasting device for coffee beans
KR102389688B1 (en) Bean processing equipment using steaming
KR20170101461A (en) Laver Roaster Using Hot Air
KR102130737B1 (en) Coffee roaster
KR101851468B1 (en) Apparatus for roasting coffee bean
KR102562594B1 (en) Coffee blending apparatus capable of individual roasting
KR102386105B1 (en) Coffee roasting apparatus
JP6551942B2 (en) Grain roasting expansion device and cereal roasting machine equipped with the expansion device
KR101716000B1 (en) Laver Roaster Using Hot Air
KR20170071145A (en) Vertical type roasting room having hot air stirring mechanism
CN209915000U (en) Coffee bean roasting machine structure
KR20180013318A (en) Coffee roaster
US1603189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reating coffee
CN106793887A (en) Mobile inlet nozzle in beverage system
KR102597803B1 (en) Hot Air Top-Down type Coffee Bean Processor for Home
KR101845030B1 (en) A cooling device for roasted coffee beans
KR101759629B1 (en) Laver Roaster Using Hot Air
KR101727819B1 (en) Coffee bean roas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