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4360B1 - A mouth care apparatus including electric toothbrush with mouthwash function - Google Patents

A mouth care apparatus including electric toothbrush with mouthwash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360B1
KR102514360B1 KR1020210050882A KR20210050882A KR102514360B1 KR 102514360 B1 KR102514360 B1 KR 102514360B1 KR 1020210050882 A KR1020210050882 A KR 1020210050882A KR 20210050882 A KR20210050882 A KR 20210050882A KR 102514360 B1 KR102514360 B1 KR 102514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ater
pump
water tank
o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8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44505A (en
Inventor
김규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진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진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진정밀
Priority to KR1020210050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360B1/en
Publication of KR20220144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5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3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3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A61C17/3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 A61C17/3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with rin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C1/0076Sterilising operating fluids or fluid supply elements such as supply lines,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C1/0084Supply units, e.g. reservoi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C1/0084Supply units, e.g. reservoi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pumps
    • A61C1/0092Pump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8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with intermittent liqui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구강 관리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구강 관리 장치는, 세척수 노즐과 칫솔 헤드를 갖는 전동 칫솔, 상기 구강 세척수를 세척수 노즐을 통해 분사하도록 상기 구강 세척수를 펌핑하는 펌프, 상기 전동 칫솔과 상기 펌프 사이에서 상기 구강 세척수의 공급 경로를 제공하는 급수 호스, 상기 전동 칫솔, 상기 펌프, 및 상기 급수 호스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독립된 공간을 갖는, 바디부, 그리고, 상기 구강 세척수를 수용하며, 상기 바디부에 장착 또는 탈착되고, 상기 바디부에 장착된 채로 상기 펌프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펌프 측으로 상기 구강 세척수를 제공하는 물탱크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구강 세척 기능을 갖는 전동 칫솔을 포함하는 구강 관리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구강 세척기능을 갖는 전동 칫솔을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 및 유지하고 첫동 칫솔의 세척수 노즐 측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시스템은, 교체용 예비 칫솔 헤드의 위생적 관리를 가능케하는 효과를 갖는다.An oral care device is disclosed. The disclosed oral care device includes an electric toothbrush having a washing water nozzle and a toothbrush head, a pump pumping the oral washing water to spray the oral washing water through the washing water nozzle, and a supply path of the oral washing water between the electric toothbrush and the pump. A body part having an independent space for separately accommodating the water supply hose, the electric toothbrush, the pump, and the water supply hose, and accommodating the oral washing water, and is attached or detached from the body part, and a water tank for supplying the oral washing water to the pump side when the pump is driven while being mounted on the par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ral care device including an electric toothbrush having an oral washing function, thereby more hygienically managing and maintaining the electric toothbrush having an oral washing function, and a water tank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shing water nozzle side of the first toothbrush. has the effect of efficiently managing In addition, the oral car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nabling hygienic management of the replacement spare toothbrush head.

Description

구강 세척 기능을 갖는 전동 칫솔을 포함하는 구강 관리 장치{A MOUTH CARE APPARATUS INCLUDING ELECTRIC TOOTHBRUSH WITH MOUTHWASH FUNCTION}Oral care device including an electric toothbrush having a mouth washing function

본 발명은 구강 세척 기능을 갖는 전동 칫솔을 포함하는 구강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기본적인 전동 칫솔 기능에 더하여 전동 칫솔의 칫솔 헤드에 위치한 노즐을 통해 세척수를 분사하여 치주 포킷의 세척이나 구강 내부 세척을 위한 전동 칫솔을 포함하는 구강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al care device including an electric toothbrush having an oral washing function, and specifically, in addition to a basic electric toothbrush function, washing water is sprayed through a nozzle located on a toothbrush head of an electric toothbrush to clean periodontal pockets or oral cavity. An oral care device comprising an electric toothbrush for internal cleaning.

오복 중 하나로 알려져 있는 건강한 치아는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신체 부위로서, 건강한 치아의 유지를 위해 규칙적인 양치 및 치아 관리가 필수적이다. 효율적인 양치를 위해 칫솔의 형태나 종류도 다양하게 진화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규칙적인 칫솔질에서 더 나아가, 구강 세척기(일명 워터피크(water pick)를 이용하여 치주 포킷의 세척이나 교정장치, 고정한 보철물 등, 칫솔로는 세척이 잘 되지 않는 부분을 세척하기도 한다.Healthy teeth, known as one of the five blessings, are essential body parts for leading a healthy life, and regular brushing and dental care are essential for maintaining healthy teeth. For efficient tooth brushing, various shapes and types of toothbrushes are evolving. In addition, in addition to regular brushing, an oral washer (aka water pick) is used to clean periodontal pockets or to clean parts that are difficult to clean with a toothbrush, such as orthodontic devices and fixed prostheses.

구강 세척기로서의 기능과 칫솔 기능을 겸하는 형태의 칫솔 또는 전동 칫솔도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오고 있으며, 그 예들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58963(2012년 02월 22일 등록),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1999-0039767(199년 11월 15일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206821(2021년 01월 19일 등록) 등에 개시되어 있다. 특히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206821은 전동 칫솔 기능과 워트 피크(워터 플로셔) 기능을 겸하는 전동 칫솔을 개시하고 있다.Toothbrushes or electric toothbrushes that combine functions as an oral washer and a toothbrush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forms, examples of which ar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58963 (registered on February 22, 2012), and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1999- 0039767 (published on November 15, 199), and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2206821 (registered on January 19, 2021). In particular,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2206821 discloses an electric toothbrush that has both an electric toothbrush function and a water pick (water flosher) function.

하지만, 이러한 선행기술들에 있어서는, 구강 세척기능을 갖는 전동 칫솔 측으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부분(즉, 물탱크), 전동 칫솔을 효율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구성, 그리고 칫솔 헤드의 관리 및 유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구강 관리 장치를 개시하고 있지는 않다.However, in these prior arts, a part for supplying washing water to the side of an electric toothbrush having an oral washing function (ie, a water tank), a configuration for efficiently storing the electric toothbrush, and more efficient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the toothbrush head It does not disclose an oral care device for proceeding to.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58963(2012년 02월 22일 등록)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20-0458963 (registered on February 22, 201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1999-0039767(199년 11월 15일 공개)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1999-0039767 (published on November 15, 199)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206821(2021년 01월 19일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2206821 (registered on January 19, 202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강 세척기능을 갖는 전동 칫솔을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 및 유지하고 첫동 칫솔의 세척수 노즐 측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구강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new type of oral care device capable of more hygienically managing and maintaining an electric toothbrush having an oral washing function and efficiently managing a water tank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shing water nozzle side of the first toothbrush. is to provid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구강 관리 장치는, 세척수 노즐과 칫솔 헤드를 갖는 전동 칫솔과, 상기 구강 세척수를 세척수 노즐을 통해 분사하도록 상기 구강 세척수를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전동 칫솔과 상기 펌프 사이에서 상기 구강 세척수의 공급 경로를 제공하는 급수 호스와, 상기 전동 칫솔, 상기 펌프, 및 상기 급수 호스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독립된 공간을 갖는, 바디부와, 상기 구강 세척수를 수용하며, 상기 바디부에 장착 또는 탈착되고, 상기 바디부에 장착된 채로 상기 펌프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펌프 측으로 상기 구강 세척수를 제공하는 물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n electric toothbrush having a washing water nozzle and a toothbrush head, a pump for pumping the oral washing water to spray the oral washing water through the washing water nozzle, and the electric toothbrush. A body portion having a water supply hose providing a supply path of the mouthwash water between the toothbrush and the pump, and an independent space for separately accommodating the electric toothbrush, the pump, and the water supply hose, and accommodating the mouthwash water and a water tank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body, and supplying the oral washing water to the pump side when the pump is driven while being attached to the body.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바디부는, 후면 케이스, 전면 케이스 및 저면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후면 케이스는, 상기 전동 칫솔에 요구되는 교체용 예비 칫솔 헤드를 수용하기 위해 형성된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부에서 상기 펌프를 수용하기 위해 형성된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사이에 형성된 제1 간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 상기 제1 간격부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제1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케이스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하우징과 함께 상기 교체용 예비 칫솔 헤드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전방이 개방된 제3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2 하우징과 함께 상기 펌프를 수용하는 제4 하우징과, 상기 제3 하우징과 상기 제4 하우징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간격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 간격부- 상기 제1 간격부와 상기 제2 간격부에 상기 물탱크가 위치함 - 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하우징, 상기 제2 간격부 및 상기 제4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개구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제5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5 하우징의 후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개구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급수 호스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면 케이스는,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제4 하우징의 저면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ody portion includes a rear case, a front case, and a bottom case, and the rear case includes a first housing formed to accommodate a spare replacement toothbrush head required for the electric toothbrush, and the first housing. 1 includes a second housing formed to accommodate the pump at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a first spacer formed betwe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wherein the first housing, the first spacer, and the first housing 2 including a first opening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front case is located in front of the first housing to form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pare replacement toothbrush head together with the first housing, and the front side is open a third housing, a fourth housing located in front of the second housing and accommodating the pump together with the second housing, and formed between the third housing and the fourth housing, and the first spacer A second spacer located at the front - wherein the water tank is located in the first spacer and the second spacer - and on the side of the third housing, the second spacer, and the fourth housing. and a fifth housing formed to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first opening, and a water supply hose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to be formed in the rear of the fifth housing and positioned in the first opening, wherein the bottom case compris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vers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and the fourth housing.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물탱크는, 물탱크 본체와 상기 물탱크 본체의 하부로 돌출된 물탱크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케이스는, 상기 물탱크 돌출부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상기 제1 간격부의 하부이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방에 형성되는 함몰부와, 상기 함몰부와 연통하도록 측방으로 제1 홀이 형성되고 전방으로 제2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홀을 통해 누수없이 상기 펌프 측으로 상기 구강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인렛 커버부가 상기 제2 홀에 결합되는 급수 하우징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ater tank includes a water tank body and a water tank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water tank body, and the rear case includes the first spacer portion to allow the water tank protrusion to be inserted. A recessed portion formed at the bottom and rear of the second housing, a first hole is formed laterally and a second hole is formed forward to communicate with the recessed portion, and through the second hole, the mouth toward the pump side without water leakage. An inlet cover for supplying washing water includes a water supply housing coupled to the second hol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강 관리 장치는, 상기 세척수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구강 세척수의 분사 세기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전면 케이스의 상기 제4 하우징의 전방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 세척수 세기 조절 다이얼을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ral care device includes a washing water intensity control dial formed to be rotatable in front of the fourth housing of the front case to adjust the spraying strength of the oral washing water sprayed through the washing water nozzle. .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강 관리 장치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교체용 예비 칫솔 헤드 측으로 자외선을 방사하여 상기 교체용 예비 칫솔 헤드를 자외선 살균하기 위한 제1 UV 살균 램프, 및 상기 제5 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칫솔 헤드 측으로 자외선을 방사하여 상기 칫솔 헤드를 자외선 살균하기 위한 제2 UV 살균 램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ral care device may include a first UV sterilizing lamp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housing and emitting ultraviolet rays toward the preliminary replacement toothbrush head to sterilize the replacement preliminary toothbrush head with ultraviolet rays; and A second UV germicidal lamp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fth housing and radiating ultraviolet rays toward the toothbrush head to sterilize the toothbrush head with ultraviolet rays is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은 구강 세척 기능을 갖는 전동 칫솔을 포함하는 구강 관리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구강 세척기능을 갖는 전동 칫솔을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 및 유지하고 첫동 칫솔의 세척수 노즐 측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시스템은, 교체용 예비 칫솔 헤드의 위생적 관리를 가능케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ral care device including an electric toothbrush having an oral washing function, thereby more hygienically managing and maintaining the electric toothbrush having an oral washing function and efficiently using a water tank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shing water nozzle side of the first toothbrush. has a manageable effect. In addition, the oral car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nabling hygienic management of the replacement spare toothbrush hea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 장치의 외관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 장치에서, 바디부(110)와 물탱크(120)의 분리 상태((a))와 결합 상태((b))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 장치에서, 바디부(110)의 주요 구성요소인 후면 케이스(111), 전면 케이스부(112) 및 저면 케이스부(113)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후면 케이스부(111)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서 전면 케이스부(112)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에서 물탱크(120)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2의 바디부(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펌프부(140)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2의 바디부(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펌프부(140), 급수호스(150), 전동 칫솔 지지부(160) 및 전동 칫솔(130)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후방 케이스부(111)에서의 급수 경로(1116a, 1116b) 및 이를 포함하는 급수 하우징(1116)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후방 케이스부(111)에서의 급수 하우징(1116)의 말단에 배치된 인렛 커버부(147)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물탱크(120)에 결합되는 물탱크 패킹부(17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바디부(110)의 상측에 위치하는 UV 살균부(180a, 180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장치에서 바디부(110)의 내부에 보관 및 유지되는 전동 칫솔(130)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ppearance characteristics of an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d comparing a separated state ((a)) and a coupled state ((b)) of the body part 110 and the water tank 120 in the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is a view showing the rear case 111, the front case 112, and the bottom case 113, which are the main components of the body part 110, in the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ego,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ar case part 111 in FIG. 3,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ont case portion 112 in FIG. 3,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tank 120 in FIG. 2,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mp unit 140 located inside the body unit 110 of FIG. 2,
8 and 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mp unit 140, the water supply hose 150, the electric toothbrush support 160 and the electric toothbrush 130 located inside the body part 110 of FIG. 2 ego,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water supply paths 1116a and 1116b in the rear case part 111 and the water supply housing 1116 including them,
1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let cover part 147 disposed at the end of the water supply housing 1116 in the rear case part 111,
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water tank packing part 170 coupled to the water tank 120,
1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UV sterilization units 180a and 180b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unit 110,
14 is a view for explaining one embodiment of the electric toothbrush 130 stored and maintained inside the body portion 110 in the oral car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 및 이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로 간략화되고 예시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m are simplified and illustrated with the intention of helping those skilled in the art to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 장치의 외관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 장치에서, 바디부(110)와 물탱크(120)의 분리 상태((a))와 결합 상태((b))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 장치에서, 바디부(110)의 주요 구성요소인 후면 케이스(111), 전면 케이스부(112) 및 저면 케이스부(113)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후면 케이스부(111)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서 전면 케이스부(112)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에서 물탱크(120)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2의 바디부(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펌프부(140)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2의 바디부(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펌프부(140), 급수호스(150), 전동 칫솔 지지부(160) 및 전동 칫솔(130)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후방 케이스부(111)에서의 급수 경로(1116a, 1116b)를 포함하는 급수 하우징(1116)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후방 케이스부(111)에서의 급수 하우징(1116)의 말단에 배치된 인렛 커버부(147)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물탱크(120)에 결합되는 물탱크 패킹부(17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바디부(110)의 상측에 위치하는 UV 살균부(180a, 180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장치에서 바디부(110)의 내부에 보관 및 유지되는 전동 칫솔(130)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ppearance characteristics of an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110 and the water tank 120 ) is a view for comparing and explaining the separated state ((a)) and the coupled state ((b)), and FIG. 3 is the main component of the body part 110 in the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case 111, the front case 112, and the bottom case 113 are separated, and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ar case 111 in FIG. 3, and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ont case part 112 in FIG. 3,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tank 120 in FIG. 2, and FIG. 7 is the body part 110 of FIG. 8 and 9 are a view for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mp unit 140 located inside, the pump unit 140 located inside the body portion 110 of FIG. 2, the water supply hose 150, It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ctric toothbrush support 160 and the electric toothbrush 130, and FIG. 10 is for explaining the water supply housing 1116 including the water supply paths 1116a and 1116b in the rear case part 111. 1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let cover part 147 disposed at the end of the water supply housing 1116 in the rear case part 111, and FIG. 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water coupled to the water tank 120 A view for explaining the tank packing unit 170, FIG. 1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UV sterilization units 180a and 180b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part 110, and FIG. 14 is an oral car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for explaining one embodiment of the electric toothbrush 130 stored and maintained inside the body portion 110 in.

우선, 도 1, 도 2,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장치는, 전동 칫솔(130), 펌프(140:도 7), 급수 호스(150: 도 8), 바디부(110) 및 물탱크(120)를 포함한다.First, referring to FIGS. 1, 2, 7 and 8, the oral car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ic toothbrush 130, a pump 140: FIG. 7, a water supply hose 150: FIG. 8, and a body part. (110) and a water tank (120).

바디부(110)는 전동 칫솔(130), 펌프(140) 및 급수 호스(150)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독립된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며, 이에 관하여는 이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The body portion 110 is formed to have an independent space for separately accommodating the electric toothbrush 130, the pump 140, and the water supply hose 150,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below. do.

물탱크(120)는, 구강 세척수를 수용하며, 바디부(110)에 장착 또는 탈착되고, 바디부(110)에 장착된 채로 펌프(140)가 구동되는 경우 펌프(140) 측으로 구강 세척수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물탱크(120)에 관하여는 이후 도 6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The water tank 120 accommodates mouthwash water, is mounted on or detached from the body 110, and supplies mouthwash water to the pump 140 when the pump 140 is driven while being mounted on the body 110. It is a component for The water tank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6 .

전동 칫솔(130)은 세척수 노즐(급수 노즐)(137: 도 14)과 칫솔 헤드(133: 도 14)를 가지며, 이에 관하여는 이후 도 14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The electric toothbrush 130 has a washing water nozzle (water supply nozzle) 137 (Fig. 14) and a toothbrush head 133 (Fig. 14),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4 below.

펌프(140)는 구강 세척수를 전동 칫솔(130)의 세척수 노즐(137)을 통해 분사하도록 구강 세척수를 펌핑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The pump 140 is a component for pumping the mouthwash water to spray the mouthwash water through the washing water nozzle 137 of the electric toothbrush 130.

급수 호스(150)는 전동 칫솔(130)과 펌프(140) 사이에서 구강 세척수의 공급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The water supply hose 150 is a component for providing a supply path of oral washing water between the electric toothbrush 130 and the pump 140.

도 1에서 참조부호 111은 바디부(110)의 후면 케이스이고, 참조부호 112는 바디부(110)의 전면 케이스이며, 참조부호 1122는 바디부(110)의 제3 하우징이고, 참조부호 1121은 바디부(110)의 제3 하우징(1122)의 전면을 커버하기 위한 제3 하우징 도어이고, 참조부호 1123은 바디부(110)에서 후면 케이스(111)의 제1 하우징(1111)과 제3 하우징(1122) 사이에 삽입되는 교체용 예비 칫솔 헤드(미도시)를 거치 수용하기 위한 칫솔 헤드 거치부이다. 그리고, 참조부호 1125는 바디부(110)의 제5 하우징이고, 참조부호 1124는 제5 하우징(1125)의 전면을 커버하기 위한 제5 하우징 도어이고, 참조부호 113은 저면 케이스이고 D1은 세척수 세기 조절 다이얼이다.In FIG. 1, reference numeral 111 denotes a rear case of the body 110, reference numeral 112 denotes a front case of the body 110, reference numeral 1122 denotes a third housing of the body 110, and reference numeral 1121 A third housing door for covering the front of the third housing 1122 of the body part 110, and reference numeral 1123 indicates the first housing 1111 and the third housing of the rear case 111 in the body part 110. It is a toothbrush head mounting portion for holding and accommodating a spare replacement toothbrush head (not shown) inserted between 1122. Also, reference numeral 1125 denotes a fifth housing of the body 110, reference numeral 1124 denotes a fifth housing door for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fifth housing 1125, reference numeral 113 denotes a bottom case, and D1 denotes the washing water level. It's a control dial.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바디부(110)의 구성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바디부(110)는 후면 케이스(111), 전면 케이스(112) 및 저면 케이스(113)를 포함한다. 특히 도 4를 참조하면, 후면 케이스(111)는, 전동 칫솔(130)에 요구되는 교체용 예비 칫솔 헤드(미도시)를 수용하기 위해 형성된 제1 하우징(1111)과, 제1 하우징(1111)의 하부에서 펌프(140)를 수용하기 위해 형성된 제2 하우징(1115)과, 제1 하우징(1111)과 제2 하우징(1115)의 사이에 형성된 제1 간격부(1114)를 포함한다. 그리고 후면 케이스(111)는 제1 하우징(1111), 제1 간격부(1114) 및 제2 하우징(1115)의 측면에 형성된 형성된 제1 개구(1113)를 포함한다. 세로 방향으로 보면, 맨 위에 제1 하우징(1111)이 형성되고, 그 아래에 제1 간격부(1114) 그리고 제1 간격부(1114)의 아래에 제2 하우징(1115)이 형성되어 있고, 제1 하우징(1111), 제1 간격부(1114) 및 제2 하우징(1115)의 가로 방향에, 이들 세 구성요소들(1111, 1114, 1115)과 일치하는 높이로 제1 개구(1113)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간격부(1114)는 전면 케이스(112)의 제2 가격부(1126)와 함께 물탱크(130)가 삽입되는 공간이 된다. 도 4에서 참조부호 1112는 물탱크 돌출부(1211a:도 6)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하기 위해, 제1 간격부(1114)의 하부이면서 제2 하우징(1115)의 후방에 형성된 함몰부이다. 함몰부(1112)와 물탱크(120) 간의 결합 관계에 관하여는 이후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또한, 후면 케이스(111)는, 함몰부(1112)와 연통되도록 측방으로 제1 홀(1116a)이 형성되고 전방으로 제2 홀(1116b)이 형성된 급수 하우징(1116:도 10)을 포함한다. 급수 하우징(1116)의 말단에는 제2 홀(1116b)을 통해 누수없이 펌프(140) 측으로 구강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인렛 커버부(147: 도 11)가 결합된다. 급수 하우징(1116)은 제2 하우징(1115)와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급수 하우징(1116) 및 제1 홀(1116a) 및 제2 홀(1116b)에 관하여도 이후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body portion 1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 Referring to FIGS. 1 to 5 , the body part 110 includes a rear case 111 , a front case 112 and a bottom case 113 . In particular, referring to FIG. 4, the rear case 111 includes a first housing 1111 formed to accommodate a replacement spare toothbrush head (not shown) required for the electric toothbrush 130, and the first housing 1111 It includes a second housing 1115 formed to accommodate the pump 140 at the bottom of the and a first spacer 1114 formed between the first housing 1111 and the second housing 1115. And the rear case 111 includes a first opening 1113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11 , the first spacer 1114 , and the second housing 1115 . When view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housing 1111 is formed at the top, the first spacer 1114 is formed below it, and the second housing 1115 is formed below the first spacer 1114. A first opening 1113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1111, the first spacer 1114, and the second housing 1115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hree components 1111, 1114, and 1115. has been The first spacing portion 1114 becomes a space into which the water tank 130 is inserted together with the second price portion 1126 of the front case 112 . In FIG. 4 , reference numeral 1112 denotes a reces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spacer 1114 and at the rear of the second housing 1115 to allow insertion of the water tank protrusion 1211a ( FIG. 6 ).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depression 1112 and the water tank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2 hereinafter. In addition, the rear case 111 includes a water supply housing 1116 (FIG. 10) in which a first hole 1116a is formed laterally and a second hole 1116b is formed in the front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recessed portion 1112. An inlet cover part 147 (FIG. 11) is coupled to an end of the water supply housing 1116 to supply oral washing water to the pump 140 without leakage through the second hole 1116b. The water supply housing 1116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housing 1115 and formed independently. The water supply housing 1116 and the first hole 1116a and the second hole 1116b will also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2 .

도 5를 참조하면, 전면 케이스(112)는, 제1 하우징(1111)의 전방에 위치하여 제1 하우징(1111)과 함께 교체용 예비 칫솔 헤드(미도시)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전방이 개방된 제3 하우징(1122), 제2 하우징(1115)의 전방에 위치하여 제2 하우징(1115)과 함께 펌프(14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제4 하우징(1127), 제3 하우징(1122)과 제4 하우징(1127)의 사이에 형성되고 제1 간격부(1114)의 전방에 형성되는 제2 간격부(1126)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케이스(111)와 전면 케이스(112)가 결합된 상태를 고려하여 보면, 제1 간격부(1114)와 제2 간격부(1126) 사이에 물탱크(120)가 착탈식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전면 케이스(112)는, 제3 하우징(1122), 제2 간격부(1126) 및 제4 하우징(1127)의 측면에 형성되고 후면 케이스(111)의 제1 개구(1113)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제5 하우징(1125)을 포함한다. 또한, 전면 케이스(112)는 제5 하우징(1125)의 후방으로 형성되고 제1 개구(1113)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급수 호스 수용부(1128)를 포함한다. 급수 호스 수용부(1128)의 내에는 급수 호스(150)가 말려서 수용된다.5, the front case 112 is located in front of the first housing 1111 to form a space for accommodating a spare replacement toothbrush head (not shown) together with the first housing 1111, and A fourth housing 1127 located in front of the open third housing 1122 and the second housing 1115 to form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pump 140 together with the second housing 1115; A second spacer 1126 formed between the housing 1122 and the fourth housing 1127 and formed in front of the first spacer 1114 is included. As shown in FIGS. 1 and 2 , considering the state in which the rear case 111 and the front case 112 are coupled, the water tank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spacer 1114 and the second spacer 1126. (120) is detachably coupled. And, the front case 112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third housing 1122, the second spacer 1126, and the fourth housing 1127, and is in front of the first opening 1113 of the rear case 111. It includes a fifth housing 1125 formed to be positioned. In addition, the front case 112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fifth housing 1125 and includes a water supply hose accommodating part 1128 formed to be located in the first opening 1113. The water supply hose 150 is accommodated in the water supply hose accommodating portion 1128 while being rolled up.

또한, 전면 케이스(112)는 물탱크(12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포지셔닝하고 정위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물탱크 삽입 레일(1129)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ront case 112 further includes a water tank insertion rail 1129 for positioning the water tank 120 to be easily inserted and preventing the water tank 120 from being moved out of position.

저면 케이스(113)는, 제2 하우징(1115)과 제4 하우징(1127)의 저면을 커버함으로써, 제2 하우징(1115)과 제4 하우징(1127)의 내부에 수용되는 펌프(140)의 저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The bottom case 113 covers the bottom surfaces of the second housing 1115 and the fourth housing 1127,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pump 140 accommodated inside the second housing 1115 and the fourth housing 1127. Make sure this is not exposed.

도 6을 참조하면, 물탱크(120)는, 물탱크 본체(121)와 물탱크 본체(121)의 하부로 돌출된 물탱크 돌출부(1211a)를 포함한다. 또한, 물탱크 본체(121)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물탱크 커버(122)가 더 구비된다. 또한, 물탱크(120)에는 전면 케이스(112)의 물탱크 삽입 레일(1129)이 끼워지는 물탱크 홈(1213a)이 더 형성된다. 참조부호 1213b는 물탱크 홈(1213a)을 물탱크의 안쪽에서 바라본 모습으로서, 물탱크 홈(1213a)은 물탱크(120)의 안쪽으로 튀어나오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참조부호 1211b는 물탱크 돌출부(1211a)의 안쪽 모습이다. 그리고 참조부호 1212a는 물탱크 개구이고 참조부호 1212b는 물탱크 개구(1212a)의 안쪽 모습이다. 물탱크 개구(1212a)에는 물탱크 밸브(170:도 12)가 결합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되면, 물탱크 개구(1212a)가 개방되어 물탱크(120) 내의 구강 세척수가 펌핑되어 전동 칫솔의 세척수 노즐(137)을 통해 분사될 수 있게 한다.Referring to FIG. 6 , the water tank 120 includes a water tank body 121 and a water tank protrusion 1211a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tank body 121 . In addition, a water tank cover 122 is further provided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tank body 121 . In addition, a water tank groove 1213a into which the water tank insertion rail 1129 of the front case 112 is inserted is further formed in the water tank 120 . Reference numeral 1213b is a view of the water tank groove 1213a viewed from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tank groove 1213a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120. Also, reference numeral 1211b is an inner view of the water tank protrusion 1211a. Also, reference numeral 1212a is a water tank opening and reference numeral 1212b is an inside view of the water tank opening 1212a. A water tank valve 170 (FIG. 12) is coupled to the water tank opening 1212a. As shown in FIG. 12, when pressuriz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e water tank opening 1212a is opened so that the oral washing water in the water tank 120 is pumped and sprayed through the washing water nozzle 137 of the electric toothbrush.

도 6과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후면 케이스(111)의 함몰부(1112)와 물탱크(120) 간의 결합 관계를 살펴보면, 함몰부(1112)에 물탱크 돌출부(1211a)가 위치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는 물탱크 밸브(17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함몰부(1112)로부터 물탱크(120)를 빼내는 경우에는 물탱크 밸브(170)가 잠겨져 물탱크 개구(1212a)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물탱크(120) 내의 물이 빠져나가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Referring to FIGS. 6 and 10 to 12 , examin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recess 1112 of the rear case 111 and the water tank 120, the water tank protrusion 1211a is located in the recess 1112. In the coupled state, the water tank valve 170 remains open. Conversely, when the water tank 120 is taken out of the recessed portion 1112, the water tank valve 170 is locked and the water tank opening 1212a remains closed, preventing the water in the water tank 120 from escaping. structured.

그리고, 레일(1129)을 삽입한 채로 미끄러지게 물탱크(120)를 바디부(110)에 결합하여, 함몰부(1112)에 물탱크 돌출부(1211a)가 위치하도록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는, 급수 하우징(1116)의 제1 개구(1116a)와 물탱크 개구(1212a)가 마주하게 되어 물탱크 개구(1212a)에서부터 제1 개구(1116a)를 거쳐 제2 개구(1116b)와 연통되어 유로가 형성된다. 급수 하우징(1116)의 말단인 제2 홀(1116b)의 정면에는 인렛 커버부(도 11)가 결합된다. 인렛 커버부(147)는 이와 같이 기밀을 유지한 채로 모터(140) 측으로 구강 세척수를 보내기 위한 인렛 커버부 홀(1471)을 포함한다. 따라서, 인렛 커버부(147)는 기밀을 유지한 상태에서 인렛 커버부 홀(1471)을 통해서만 구강 세척수를 내보내는 구조이다.Then, while the rail 1129 is inserted, the water tank 120 is slidably coupled to the body 110, so that the water tank protrusion 1211a is located in the recessed portion 1112, in a completely coupled state, the water supply housing The first opening 1116a of 1116 and the water tank opening 1212a face each other, and communicate with the second opening 1116b from the water tank opening 1212a through the first opening 1116a to form a flow path. An inlet cover part (FIG. 11)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second hole 1116b, which is the distal end of the water supply housing 1116. The inlet cover part 147 includes an inlet cover hole 1471 for sending oral washing water to the motor 140 while maintaining airtightness. Accordingly, the inlet cover 147 has a structure in which mouth washing water is discharged only through the inlet cover hole 1471 while maintaining airtightness.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145는 다이얼 기판으로서, 세척수 세기 조절 다이얼(D1)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서 세척수 노즐(137:도 14)을 통해 분사되는 구강 세척수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에 관여하는 구성요소이다. 참조부호 146은 메인 기판으로서 펌프(140)의 제어, 펌프(140)에 대한 전력 공급 등을 위한 배선 및 소자들이 실장되는 기판이다. 펌프(140)는 펌핑을 위한 모터 본체(141)와 구강 세척수를 전동 칫솔(130) 측으로 내보내기 위한 출수부(143)를 포함한다. 또한, 후면 케이스(111)의 제2 하우징(1115)과 전면 케이스(112)의 제4 하우징(1127)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수용될 시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상부 고정 구조물(142) 및 하부 고정 구조물(144a, 144b)이 더 구비된다.Referring to FIGS. 7 to 9, reference numeral 145 denotes a dial substrate, and receives a user's input by rotating the washing water intensity control dial D1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o set the washing water nozzle 137 (FIG. 14). It is a component involved in control so that the strength of the mouthwash water sprayed through can be adjusted. Reference numeral 146 is a main board, and is a board on which wires and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pump 140 and supplying power to the pump 140 are mounted. The pump 140 includes a motor body 141 for pumping and a water outlet 143 for discharging oral washing water to the electric toothbrush 130. In addition, the upper fixing structure 142 and the lower fixing structure for stable fixation when accommodat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second housing 1115 of the rear case 111 and the fourth housing 1127 of the front case 112 (144a, 144b) are further provided.

도 8에서 참조부호 160)은 전면 케이스(112)의 제5 하우징(1125)의 하부에서 전동 칫솔(130)을 유지하기 위한 전동 칫솔 유지부이며, 참조부호 1126은 전면 케이스(112)의 제5 하우징(1125)의 전면에서 제5 하우징(1125)을 커버하기 위한 제5 하우징 도어(1124)의 개폐를 센싱하기 위한 도어 개폐 센서이다. 도어 개폐 센서(1126)는 전면 케이스(112)의 제5 하우징(1125)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도어 개페 센서(1126)에서의 센싱 결과에 따라 제5 하우징 도어(1124)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2 UV 살균 램프(180b:도 13)가 작동되어 제5 하우징(1125) 내부에 위치한 전동 칫솔 헤드(133:도 14)가 자외선 살균된다. 이에 관하여는 이하에서 도 13을 참조하여 제1 UV 살균 램프(180a:도 13)와 함께 다시 설명된다.In FIG. 8, reference numeral 160 is an electric toothbrush holder for holding the electric toothbrush 130 in the lower part of the fifth housing 1125 of the front case 112, and reference numeral 1126 is the fifth housing 1125 of the front case 112. A door open/close sensor for sensing the opening/closing of the fifth housing door 1124 covering the fifth housing 1125 from the front of the housing 1125 . The door open/close sensor 1126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fth housing 1125 of the front case 112 . In a state where the fifth housing door 1124 is closed according to the sensing result of the door open/close sensor 1126, the second UV germicidal lamp 180b (FIG. 13) is operated and the electric toothbrush located inside the fifth housing 1125 is operated. The head 133 (FIG. 14) is sterilized by ultraviolet rays. This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FIG. 13 below along with the first UV germicidal lamp 180a (FIG. 13).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장치는 제1 UV 살균 램프(180a)와 제2 UV 살균 램프(180b)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3 , the oral car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irst UV germicidal lamp 180a and a second UV germicidal lamp 180b.

제1 UV 살균 램프(180a)는, 후면 케이스(111)의 제1 하우징(1111)의 상부에 위치하여 교체용 예비 칫솔 헤드(미도시) 측으로 자외선을 방사하여 교체용 예비 칫솔 헤드에 대하여 자외선 살균 처리한다. 앞서 설명된 제5 하우징 도어(1124)의 개폐를 센싱하기 위한 도어 개폐 센서(1126)과 유사하게, 여기서도, 제1 하우징(1111)의 전면을 커버하기 위한 제1 하우징 도어(1121)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도어 개폐 센서(1121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개폐 센서(1121a)의 센싱 결과에 따라 제1 하우징 도어(1121)가 폐쇄된 상태에서만 제1 UV 살균 램프(180a)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11)과 제3 하우징(1122) 사이에는 교체용 예비 칫솔 헤드(미도시)를 거치 수용하기 위한 칫솔 헤드 거치부(1123)가 더 마련된다.The first UV sterilization lamp 180a is located above the first housing 1111 of the rear case 111 and emits ultraviolet rays toward the replacement spare toothbrush head (not shown) to sterilize the replacement replacement toothbrush head with ultraviolet rays. deal with Similar to the door opening/closing sensor 1126 for sens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fth housing door 1124 described above, here too,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first housing door 1121 to cover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11 A door open/close sensor 1121a for sensing a closed state may be further provided. Accordingly, the first UV germicidal lamp 180a may be operated only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housing door 1121 is closed according to a sensing result of the door open/close sensor 1121a. As mentioned above, a toothbrush head holder 1123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housing 1111 and the third housing 1122 to hold and accommodate a spare replacement toothbrush head (not show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장치는 제1 UV 살균 램프(180a)를 제1 하우징(1111) 내에 구비함으로써, 칫솔 헤드 거치부(1123)에 거치된 교체용 예비 칫솔 헤드에 대하여 자외선 살균할 수 있고, 또한, 제2 UV 살균 램프(180b)를 제5 하우징(1125) 내에 구비함으로써, 전동 칫솔(130)에 결합된 전동 칫솔 헤드에 대하여 자외선 살균을 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oral car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st UV sterilization lamp 180a in the first housing 1111, so that the replacement toothbrush head mounted on the toothbrush head holder 1123 can be sterilized by ultraviolet rays. In addition, by providing the second UV sterilization lamp 180b in the fifth housing 1125, ultraviolet sterilization can be performed on the electric toothbrush head coupled to the electric toothbrush 130.

마지막으로,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장치에서 전동 칫솔(130)은, 칫솔 헤드(133), 세척수 노즐(134), 손잡이(131)를 포함한다. 칫솔 헤드(133)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다. 세척수 노즐(134)은 펌프(140)에 의해 펌핑되는 세척수가 분사되는 출구로서, 칫솔 헤드(133)의 칫솔모 사이에 두 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개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inally, referring to FIG. 14, the electric toothbrush 130 in the oral car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othbrush head 133, a washing water nozzle 134, and a handle 131. Toothbrush head 133 is formed of a silicon material. The washing water nozzle 134 is an outlet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pumped by the pump 140 is sprayed, and may be formed in two between the bristles of the toothbrush head 133, but is not limited to this number.

전동 칫솔(130)이므로, 전동 칫솔(130)의 구동을 위한 소형 모터(미도시), 편심 회전에 따라 칫솔 헤드(133)를 진동시키기 위한 캠(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소형 모터 및 캠은 참조부호 132로 표시된 바와 같이, 칫솔 헤드의 아랫쪽에 위치한다. 또한, 충전식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충전식 배터리(미도시)가 내부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전동 칫솔(130)은 전원/모드조절 버튼(135)을 포함한다. 전동 칫솔(130)의 모드는 진동의 세기에 따라 약, 중, 강, 및 마사지 모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전동 칫솔(130)은 손잡이(131)에 이들 모드들을 디스플레이함과 아울러 충전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엘이디 램프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Since the electric toothbrush 130, a small motor (not shown) for driving the electric toothbrush 130, a cam (not shown) for vibrating the toothbrush head 133 according to eccentric rotation may be provided. A small motor and cam are located on the underside of the toothbrush head,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32 . In addition, a rechargeable battery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therein so as to be driven in a rechargeable manner. The electric toothbrush 130 includes a power/mode control button 135. The mode of the electric toothbrush 130 may be any one of weak, medium, strong, and massage modes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vibration. In addition, the electric toothbrush 130 may further include LED lamps for displaying these modes on the handle 131 and displaying the charging state.

110 : 바디부
120 : 물탱크
130 : 전동 칫솔
140 : 펌프
150 : 급수 호스
111 : 후면 케이스
112 : 전면 케이스
113 : 저면 케이스
110: body part
120: water tank
130: electric toothbrush
140: pump
150: water hose
111: rear case
112: front case
113: bottom case

Claims (5)

구강 관리 장치로서,
세척수 노즐과 칫솔 헤드를 갖는 전동 칫솔;
상기 구강 세척수를 세척수 노즐을 통해 분사하도록 상기 구강 세척수를 펌핑하는 펌프;
상기 전동 칫솔과 상기 펌프 사이에서 상기 구강 세척수의 공급 경로를 제공하는 급수 호스;
상기 전동 칫솔, 상기 펌프, 및 상기 급수 호스를 분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독립된 공간을 갖는, 바디부; 및
상기 구강 세척수를 수용하며, 상기 바디부에 장착 또는 탈착되고, 상기 바디부에 장착된 채로 상기 펌프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펌프 측으로 상기 구강 세척수를 제공하는 물탱크;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부는, 후면 케이스, 전면 케이스 및 저면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후면 케이스는, 상기 전동 칫솔에 요구되는 교체용 예비 칫솔 헤드를 수용하기 위해 형성된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부에서 상기 펌프를 수용하기 위해 형성된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사이에 형성된 제1 간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 상기 제1 간격부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제1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케이스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하우징과 함께 상기 교체용 예비 칫솔 헤드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전방이 개방된 제3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2 하우징과 함께 상기 펌프를 수용하는 제4 하우징과, 상기 제3 하우징과 상기 제4 하우징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간격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 간격부 - 상기 제1 간격부와 상기 제2 간격부에 상기 물탱크가 위치함 - 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하우징, 상기 제2 간격부 및 상기 제4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개구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제5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5 하우징의 후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개구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급수 호스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면 케이스는,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제4 하우징의 저면을 커버하고,
상기 물탱크는, 물탱크 본체와 상기 물탱크 본체의 하부로 돌출된 물탱크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케이스는, 상기 물탱크 돌출부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상기 제1 간격부의 하부이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방에 형성되는 함몰부와, 상기 함몰부와 연통하도록 측방으로 제1 홀이 형성되고 전방으로 제2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홀을 통해 누수없이 상기 펌프 측으로 상기 구강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인렛 커버부가 상기 제2 홀에 결합되는 급수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 장치.
As an oral care device,
An electric toothbrush having a washing water nozzle and a toothbrush head;
a pump pumping the mouthwash water to spray the mouthwash water through a washing water nozzle;
a water supply hose providing a supply path of the mouthwash water between the electric toothbrush and the pump;
a body having an independent space for separately accommodating the electric toothbrush, the pump, and the water supply hose; and
A water tank for accommodating the oral washing water,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body, and supplying the oral washing water to the pump side when the pump is driven while being attached to the body;
The body portion includes a rear case, a front case and a bottom case,
The rear case includes a first housing formed to accommodate a spare replacement toothbrush head required for the electric toothbrush, a second housing formed to accommodate the pump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first housing. A first spacer formed between the second housing, and a first opening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the first spacer, and the second housing,
The front case is located in front of the first housing to form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pare replacement toothbrush head together with the first housing, and a third housing with an open front and a front side of the second housing. A fourth housing positioned and accommodating the pump together with the second housing, and a second spacer formed between the third housing and the fourth housing and positioned in front of the first spacer - the first spacer and a water tank disposed in the second spacer, and formed on side surfaces of the third housing, the second spacer, and the fourth housing and positioned in front of the first opening. 5 housing, and a water supply hose accommodating part formed at the rear of the fifth housing and positioned in the first opening,
The bottom case covers bottom surfaces of the second housing and the fourth housing,
The water tank includes a water tank body and a water tank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water tank body,
The rear case has a reces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spacer and at the rear of the second housing to allow insertion of the water tank protrusion, and a first hole formed laterally to communicate with the recess, and forward. A second hole is formed and an inlet cover for supplying the oral washing water to the pump side without leakage through the second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ater supply housing coupled to the second hole, oral care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강 관리 장치는,
상기 세척수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구강 세척수의 분사 세기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전면 케이스의 상기 제4 하우징의 전방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 세척수 세기 조절 다이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ral car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ashing water intensity control dial formed to be rotatable in front of the fourth housing of the front case to control the jet strength of the oral washing water sprayed through the washing water nozzle.

삭제delete
KR1020210050882A 2021-04-20 2021-04-20 A mouth care apparatus including electric toothbrush with mouthwash function KR1025143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882A KR102514360B1 (en) 2021-04-20 2021-04-20 A mouth care apparatus including electric toothbrush with mouthwash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882A KR102514360B1 (en) 2021-04-20 2021-04-20 A mouth care apparatus including electric toothbrush with mouthwash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505A KR20220144505A (en) 2022-10-27
KR102514360B1 true KR102514360B1 (en) 2023-03-27

Family

ID=83810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882A KR102514360B1 (en) 2021-04-20 2021-04-20 A mouth care apparatus including electric toothbrush with mouthwash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436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27Y1 (en) * 2005-08-19 2005-11-15 최선표 A dental cleaner set
KR100931011B1 (en) * 2009-07-09 2009-12-10 주식회사 신원종합상사 Oral care apparatus using electro-analysised wat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767A (en) 1997-11-14 1999-06-05 구자홍 How to automatically set the language for the on-screen display
KR101255574B1 (en) * 2011-05-11 2013-04-17 서성덕 A dental cleaner with function of remote control
KR200458963Y1 (en) 2011-10-17 2012-03-21 김용석 A toothbrush with water pik
CA3187593A1 (en) 2013-03-15 2014-09-18 Water Pik, Inc. Brush tip with motion transfer and securing engagement structur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27Y1 (en) * 2005-08-19 2005-11-15 최선표 A dental cleaner set
KR100931011B1 (en) * 2009-07-09 2009-12-10 주식회사 신원종합상사 Oral care apparatus using electro-analysised w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505A (en) 2022-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3296B2 (en) Mouthpiece type of electric toothbrush
KR101822645B1 (en) Oral cleaner
KR20150085838A (en) Light therapy device
CN109843340A (en) Oral care implement
KR101822646B1 (en) Oral cleaner
KR100646157B1 (en) Portable Spray Type Oral Cavity Cleansing Apparatus
KR20120106387A (en) Toothbrush with an ultraviolet sterilization
KR100785362B1 (en) A cleaner of inner mouse
KR102514360B1 (en) A mouth care apparatus including electric toothbrush with mouthwash function
KR100640194B1 (en) The oral cavity washing apparatus
KR200482663Y1 (en) Toothbrush with LED
CN105813503B (en) Toothbrush
JP2010213831A (en) Toothbrush
KR20160111706A (en) Oral cleaning implement
KR20010044835A (en) multifunctional ultrasonic oral cleaner
CN105848521B (en) Toothbrush
US20120137453A1 (en) Ultrasonic oral cleaner
KR102632240B1 (en) A mouth care apparatus including electric toothbrush with mouthwash function
KR20120004128U (en) The oral washing equipment having sterilizing function
KR102057152B1 (en) Oral cleaner
KR100995284B1 (en) a tooth management system
KR200277091Y1 (en) A sterilize toothbrush
JP7117628B2 (en) oral irrigator
KR101791005B1 (en) Management device for molar
KR200370916Y1 (en) Oral wash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