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163B1 -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163B1
KR102486163B1 KR1020180017467A KR20180017467A KR102486163B1 KR 102486163 B1 KR102486163 B1 KR 102486163B1 KR 1020180017467 A KR1020180017467 A KR 1020180017467A KR 20180017467 A KR20180017467 A KR 20180017467A KR 102486163 B1 KR102486163 B1 KR 102486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stacle
vehicle
height
vehicle body
coll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4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97705A (en
Inventor
김병주
성현
정인용
라은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7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163B1/en
Publication of KR20190097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7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1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 B60G17/01933Velocity, e.g. relative velocity-displacement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60G21/0553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05Attitude
    • B60G2400/051Angle
    • B60G2400/0511Roll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0Speed
    • B60G2400/204Vehic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80Exterior conditions
    • B60G2400/82Ground surface
    • B60G2400/823Obstacle sen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G2401/17Magnetic/Electromagnetic
    • B60G2401/174Rad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30Height or ground clear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은 차체; 차체 주변의 장애물을 검출하는 장애물 검출부; 차체에 연결된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 장애물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장애물과의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고, 장애물과 충돌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an obstacle detection unit that detects obstacles around the vehicle body; an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an obstacl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obstacle detection unit,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the obstacle.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 방법{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Vehicle and its control method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장애물과 충돌 시 충격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for minimizing the amount of impact upon collision with an obstacle.

차량은 사람 또는 화물을 운송할 목적으로 차륜을 구동시켜 주행하는 기계로, 도로 위를 이동한다. 이러한 차량은 자체의 고장에 의해 사고를 발생시키거나, 타 차량의 과실이나 도로 상태에 의해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A vehicle is a machine that drives by driving wheels for the purpose of transporting people or goods, and moves on the road. These vehicles may cause accidents due to their own failures, or accidents may occur due to the negligence of other vehicles or road conditions.

최근, 차량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었다.Recently, various technologies for preventing vehicle accidents have been developed.

일 예는 차량에 거리감지센서를 장착하여 차량 주변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이를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One example is a technology that detects obstacles around the vehicle by mounting a distance sensor in the vehicle and warns the driver. Through this, accidents could be prevented in advance.

다른 예는 차량의 범퍼에 전자석을 장착시키고 타 차량과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이면 충돌 상황으로 판단하여 전자석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자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로 인해 차량이 충돌 상황 시에 제동될 수 있도록 하였다.Another example is a technology in which an electromagnet is mounted on a bumper of a vehicle, and when the distance to another vehicle is within a certain distance, it is determined as a collision situation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 so that magnetic force is generated. This made it possible for the vehicle to brake in the event of a collision.

이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4-0040771호에 개시되어 있다.This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4-0040771.

이는 충돌 상황에 존재하는 제1 차량들의 전자석의 장착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없이 자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전자석이 장착되지 않은 제1 차량과의 충돌 상황 시에 자력에 의해 보다 큰 사고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Since this generates magnetic force without checking whether the electromagnets of the first vehicles present in the collision situation are installed, there is a problem of causing a bigger accident by the magnetic force in a collision situation with the first vehicle that is not equipped with an electromagnet. .

또한 다른 예의 경우, 자 차량과 제1 차량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 수록 더 큰 반발 자기력이 발생하여 자 차량의 진행과 반대방향으로 큰 힘의 반발력을 유발한다. 이에 따라 충격량의 많은 변화로 운전자에게 강한 충격을 줄 수 있으며, 제2차량과의 2차 충돌 가능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Also, in another exampl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host vehicle and the first vehicle becomes closer, a greater repulsive magnetic force is generated, resulting in a greater repelling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ement of the host vehicle.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a strong impact may be given to the driver due to a large change in the amount of impact, and a secondary collision with the second vehicle may occur.

또한 차량의 측면이 충돌하는 경우, 타 차량이 강성이 약한 도어나 필러에 충돌하기 때문에 도어나 필러의 충돌 변형에 의해 흡수되는 에너지가 작아 탑승자에게 큰 충격량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side of the vehicle collides, since another vehicle collides with a door or pillar having low rigidity, the energy absorbed by the collision deformation of the door or pillar is small, resulting in a large impact applied to the occupant.

일 측면은 측면 충돌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강성이 강한 차량의 사이드 패널이나 플로우 패널을 노출시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 에너지의 흡수량을 최대화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One aspect provides a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for maximizing an amount of absorption of impact energy applied from the outside by exposing a side panel or a flow panel of the vehicle having strong rigidity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possibility of a side collision exists.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차체; 차체 주변의 장애물을 검출하는 장애물 검출부; 차체에 연결된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 장애물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장애물과의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고, 장애물과 충돌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vehicle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 body; an obstacle detection unit that detects obstacles around the vehicle body; an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an obstacl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obstacle detection unit,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the obstacle.

일 측면에 따른 차량제어부는,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장애물의 위치를 획득하고 장애물의 위치가 차체의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라고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의 측면의 차체의 높이가 설정 높이로 상승되도록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the vehicle control unit acquires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is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body,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on at least one side increases to a set height. It includes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as much as possible.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장애물의 위치를 획득하고 장애물의 위치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대응 가능성을 판단하고 운전자의 대응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의 측면의 차체의 높이가 상승되도록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the control unit of the vehicle obtains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determines the possibility of the driver's respons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and determines the driver's response is impossible,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of at least one side is determined.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to lift.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운전자의 대응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를 일반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controlling the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in a normal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s response is possible.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주행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속도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장애물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실시간으로 획득된 장애물의 위치에 기초하여 시간에 따른 장애물과의 거리 변화를 확인하고 확인된 거리 변화와 주행 속도에 기초하여 장애물과의 충돌 시간을 획득하고 획득된 충돌 시간과 운전자의 반응 시간을 비교하여 운전자의 대응 가능성을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vehicle according to an aspect further includes a speed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driving speed, and the control unit acquires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in real tim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e distance between the obstacle and the obstacle over tim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obtained in real time. Checking the distance change, obtaining a collision time with an obstacle based on the confirmed distance change and driving speed, and comparing the obtained collision time with the driver's reaction time to determine the driver's response possibility.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탑승자의 탑승 여부를 검출하는 탑승자 검출부; 탑승자의 수에 대응하는 설정 높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탑승자 검출부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탑승자의 수를 획득하고 획득된 탑승자의 수에 대응하는 설정 높이를 확인하고, 확인된 설정 높이로 차체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A vehicle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n occupan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a occupant is on board;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set height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occupants is further included, and the control unit obtains the number of occupants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occupant detection unit, checks the set height corresponding to the obtained number of occupants, and determines the confirmed setting.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so that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is adjusted with the height.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현가 장치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장애물과 충돌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차체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현가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vehicle according to one aspect further includes a suspension device,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uspension devic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an obstacle.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장애물 검출부는, 차체의 프론트 패널의 중앙에 마련된 라이다 센서를 포함한다.An obstacle detection unit of a vehicle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 lidar sensor provided in the center of a front panel of a vehicle body.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장애물 검출부는, 차체의 프론트 패널의 양쪽 측면에 각각 마련된 라이다 센서를 포함한다.An obstacle detection uni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aspect includes LiDAR sensors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sides of a front panel of a vehicle body.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장애물 검출부는, 차체의 리어 패널의 양쪽 측면에 각각 마련된 레이더 센서를 포함한다.An obstacle detection uni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aspect includes radar sensors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side surfaces of a rear panel of a vehicle body.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장애물 검출부는, 차체의 양쪽 측면의 영상을 각각 검출하는 영상 검출부를 포함한다.An obstacle detection uni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aspect includes an image detection unit that respectively detects images of both sides of the vehicle body.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은 차체 주변의 장애물을 검출하고,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장애물과의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고, 장애물과 충돌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체의 높이를 설정 높이로 조절한다.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detecting obstacles around a vehicle body, determining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an obstacle based on the detected detection information, and operating an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an obstacle. is controll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car body to the set height.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장애물의 위치를 획득하고, 장애물의 위치가 차체의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라고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의 측면의 차체의 높이가 설정 높이로 상승되도록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is to obtain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is at least one side of the left side and right side of the vehicle body, the position of the at least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is determined.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so that the height is raised to a set height.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장애물의 위치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대응 가능성을 판단하고, 운전자의 대응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의 측면의 차체의 높이가 설정 높이로 상승되도록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determines the driver's response possibility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s response is impossible, the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raises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on at least one side to a set height. It includes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oll stabilization device.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은 운전자의 대응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를 일반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A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further includes controlling the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in a normal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river's response is possible.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를 일반 모드로 제어하는 것은, 차량의 가속도를 확인하고, 확인된 가속도에 기초하여 차량의 롤각을 획득하고, 획득된 롤 각에 기초하여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Controlling the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in the normal mode includes checking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obtaining a roll angl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confirmed acceleration, and operating the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based on the obtained roll angle. including controlling

운전자의 대응 가능성을 판단하는 것은, 장애물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장애물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실시간으로 획득된 장애물의 위치에 기초하여 시간에 따른 장애물과의 거리 변화를 확인하고, 확인된 거리 변화에 기초하여 장애물의 상대 속도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대 속도에 기초하여 장애물과의 충돌 시간을 획득하고, 획득된 충돌 시간이 운전자의 반응 시간보다 짧으면 운전자의 대응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Determining the driver's response possibility is to acquire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in real tim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obstacle, check the change in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over time based on the obtained position of the obstacle in real time, and determine the determined distance. Obtaining the relative speed of the obstacle based on the change, obtaining a collision time with the obstacle based on the obtained relative speed, and determining that the driver's response is impossible if the obtained collision time is shorter than the driver's reaction time. .

차체의 높이를 설정 높이로 조절하는 것은, 탑승자 검출부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탑승자의 수를 획득하고, 획득된 탑승자의 수에 대응하는 설정 높이를 확인하고, 확인된 설정 높이로 차체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Adjusting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to the set height is to obtain the number of occupants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occupant detector, check the set height corresponding to the obtained number of occupants, and adjust the height of the car body to the confirmed set height. It includes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as much as possible.

차체의 높이를 설정 높이로 조절하는 것은, 장애물과 충돌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차체의 높이가 설정 높이로 조절되도록 현가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Adjusting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to the set height includes controlling the suspension device so that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is adjusted to the set heigh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an obstacle.

차체 주변의 장애물을 검출하는 것은, 차체의 프론트 패널의 중앙에 마련된 라이다 센서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차체의 전방의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Detecting an obstacle around the vehicle body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an obstacle exists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body based on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a lidar sensor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front panel of the vehicle body. do.

차체 주변의 장애물을 검출하는 것은, 차체의 프론트 패널의 양쪽 측면에 각각 마련된 라이다 센서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차체의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Detecting obstacles around the vehicle body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an obstacle exists on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body based on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lidar sensor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panel of the vehicle body, respectively. do.

차체 주변의 장애물을 검출하는 것은, 차체의 리어 패널의 양쪽 측면에 각각 마련된 레이더 센서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후방의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Detecting obstacles around the vehicle body is to determine whether an obstacle exists on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of the vehicle based on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radar sensor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ar panel of the vehicle body. include

차체 주변의 장애물을 검출하는 것은, 차체의 좌측 측면과 우측 측면의 영상을 각각 검출하고, 검출된 좌측 측면의 영상과 우측 측면의 영상 내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Detecting obstacles around the vehicle body includes detecting left and right side images of the vehicle body, respectively, and determining whether there are obstacles in the detected left and right side images.

본 발명은 측면 충돌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ARS: Active Roll Stabilization) 장치를 제어하여 강성이 강한 플로우(Floor) 패널이나 사이드 패널(Side Rail) 부분을 노출시킴으로써 타 차량과 충돌 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 에너지의 흡수량을 최대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탑승자에게 인가되는 충격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a side collision, an active roll stabilization (ARS) device is controlled to expose a highly rigid floor panel or side rail portion to prevent collision with another vehicl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amount of absorption of impact energy applied from the outside when driving, thereby minimizing the amount of impact applied to the occupant.

본 발명은 장애물 검출부에서 검출된 장애물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측면 충돌 상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충돌이 발생하여도 충돌 발생 전에 미리 차고의 높이를 상승시키기 때문에 차체의 변형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차량의 파손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ide collision situation can be prevented in advance by outputting obstacle information detected by an obstacle detection unit, and even if a collision occurs,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vehicle body can be minimized because the height of the garage is raised in advance before the collision occurs.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vehicle damage.

이러한 본 발명은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ARS: Active Roll Stabilization) 장치를 가진 차량의 품질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quality and marketability of a vehicle having an active roll stabilization (ARS) device, further increase user satisfaction, and secure product competitiveness.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차체의 외장 예시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차체의 내장 예시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모터 구동 방식의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의 일 예의 구조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모터 구동 방식의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의 다른 예의 구조도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검출부 및 검출부의 검출 영역의 예시도이다.
도 8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측면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차고 조절 모드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측면 충돌 발생 시 도어의 변형량 그래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of the exterior of a body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n exemplary interior view of a body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n exemplary view of an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example of a motor-driven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140 provid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other example of a motor-driven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140 provid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n exemplary view of a detection unit provided in a vehicle and a detection area of the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control flowchar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9 is an exemplary diagram for determining the possibility of a side collis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0A to 10D are exemplary diagrams of a vehicle height adjustment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1 is a graph of a deformation amount of a door when a side collision of a vehicle occu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차체의 외장 예시도이고,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차체의 내장 예시도이며,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의 예시도이고,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의 구조도이다.1 is an exemplary exterior view of a vehicl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n exemplary interior view of a vehicl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3 is an exemplary view of an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차량(100)은 외장(110)과 내장(120)을 갖는 차체(Body)와, 차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주행에 필요한 기계 장치가 설치되는 차대(Chassis, 130)를 포함한다.The vehicle 100 includes a body having an exterior 110 and an interior 120, and a chassis 130 on which mechanical devices necessary for driving are installed except for the body.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외장(110)은 프론트 패널(111), 본네트(112), 루프 패널(113), 리어 패널(114), 전후좌우의 도어(115), 전후좌우의 도어(115)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윈도우 글래스(116)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exterior 110 of the vehicle body includes a front panel 111, a bonnet 112, a roof panel 113, a rear panel 114, front and rear doors 115, front and rear doors ( 115 includes a window glass 116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그리고 차체의 외장은 전후좌우 도어(115)의 윈도우 글래스(116) 사이의 경계에 마련된 필러(117)와, 운전자에게 차랑(100)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와, 전방시야를 주시하면서 주변의 정보를 쉽게 볼 수 있도록 하고 다른 차량과 보행자에 대한 신호, 커뮤니케이션의 기능을 수행하는 램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body includes a pillar 117 provid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window glass 116 of the front and rear doors 115, a side mirror providing a driver with a view of the rear of the vehicle 100, and surroundings while observing the front view. It includes lamps that enable easy viewing of information and perform functions of signaling and communication for other vehicles and pedestrians.

차체의 외장은 전후좌우의 도어(115)의 양측에 마련된 사이드 패널(118)과, 전후좌우의 도어(115)의 하측에 마련되고 차량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플로우 패널(119)을 더 포함한다.The exterior of the vehicle body further includes side panels 118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doors 115 and flow panels 119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ont and rear doors 115 and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

사이드 패널은 전륜의 삽입 공간을 형성하는 프론트 사이드 패널과, 후륜의 삽입 공간을 형성하는 리어 사이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The side panels may include a front side panel forming a front wheel insertion space and a rear side panel forming a rear wheel insertion spac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내장(120)은 탑승자가 앉는 시트(121)와, 대시 보드(122)와, 대시 보드 상에 배치되고 타코미터, 속도계, 냉각수 온도계, 연료계, 방향전환 지시등, 상향등 표시등, 경고등, 안전벨트 경고등, 주행 거리계, 주행 기록계, 변속 레버 표시등, 도어 열림 경고등, 엔진 오일 경고등, 연료부족 경고등이 배치된 계기판(즉 클러스터, 123)과, 공기조화기의 송풍구와 조절판이 배치된 센터 페시아(124)와, 센터 페시아(124)에 마련되고 오디오 기기와 공기 조화기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헤드유닛(125)과, 센터 페시아(124)에 마련되고 시동 명령을 입력받는 시동부(126)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interior 120 of the vehicle body includes a seat 121 on which the occupant sits, a dashboard 122, and a tachometer, speedometer, coolant temperature gauge, fuel gauge, direction change indicator, etc. , high beam indicator light, warning light, seat belt warning light, odometer, odometer, shift lever indicator, door open warning light, engine oil warning light, low fuel warning light are disposed on the instrument panel (namely, the cluster 123) and the air conditioner outlet A center fascia 124 in which and a control panel are disposed, a head unit 125 provided in the center fascia 124 and receiving operation commands of audio devices and an air conditioner, and a center fascia 124 provided in the center fascia 124 and receiving a start command. It includes a starting unit 126 that receives input.

시트(121)는 운전석의 시트(121a), 동승석의 시트(121b)를 포함하고, 뒷좌석의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at 121 includes a driver's seat 121a, a passenger's seat 121b, and may further include a rear seat.

차량(100)은 센터페시아(124)에 마련되고 조작 위치를 입력받는 변속 레버와, 변속 레버의 주변 또는 헤드 유닛(125)에 위치하고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미도시)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주차 버튼(EPB 버튼)을 더 포함한다.The vehicle 100 includes a shift lever provided on the center fascia 124 and receiving an input position for operation, and a parking button located around the shift lever or on the head unit 125 and receiving an operation command of an electronic parking brake device (not shown). (EPB button).

차랑(100)은 각종 기능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27)를 포함한다.The vehicle 100 includes an input unit 127 for receiving operation commands for various functions.

입력부(127)는 헤드 유닛(125) 및 센터페시아(124)에 마련될 수 있고, 각종 기능의 동작 온 오프 버튼, 각종 기능의 설정값을 변경하기 위한 버튼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127 may be provided on the head unit 125 and the center fascia 124, and includes at least one physical button, such as an on-off button for operating various functions and a button for changing set values of various functions. can do.

입력부(127)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표시부에 표시된 커서의 이동 명령 및 선택 명령 등을 입력하기 위한 조그 다이얼(미도시) 또는 터치 패드(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input unit 127 may further include a jog dial (not shown) or a touch pad (not shown) for inputting a cursor movement command and a selection comm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user interface 130 .

여기서 조그 다이얼 또는 터치 패드는 센터페시아 등에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jog dial or touch pad may be provided in a center fascia or the like.

차랑(100)은 헤드 유닛(125)에 마련되고, 차량에서 수행 중인 기능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28)를 포함한다.The vehicle 100 is provided in the head unit 125 and includes a display unit 128 that displays information on functions being performed in the vehicle and information input by a user.

즉 표시부는 측면 충돌 가능성의 존재 여부를 표시한다. That is, the display unit displays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a side collision.

차량(100)은 각종 경고음, 재생 중인 음악, 내비게이션 장치의 안내 음성 등을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129)를 더 포함한다.The vehicle 100 further includes a sound output unit 129 that outputs various warning sounds, music being played, guidance voices of the navigation device, and the like.

이러한 사운드 출력부(129)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The sound output unit 129 may include a speaker.

차량은 사용자의 사용 편의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한다.The vehicle further includes a user interface for user convenience.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대시 보드 상에 매립식 또는 거치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may be installed in a flush or stationary manner on the dashboard.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와, 동작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may include an input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selected by a user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표시부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고, 입력부로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may include a display panel as a display unit and may further include a touch panel as an input unit.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방송 기능(DMB 기능), 라디오 기능을 수행한다.The user interface performs an audio function, a video function, a navigation function, a broadcasting function (DMB function), and a radio function.

차량의 차대(130)는 차체(110, 120)를 지지하는 틀로, 앞쪽의 좌우에 각각 배치된 전륜(131: 131L, 131R)과, 뒤쪽의 좌우에 각각 배치된 후륜(132: 132L, 132R)을 포함한다.The chassis 130 of the vehicle is a frame supporting the bodies 110 and 120, and includes front wheels 131 (131L, 131R)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side, and rear wheels 132 (132L, 132R)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side, respectively. includes

차량(100)의 내부에는 사용자의 제동 의지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브레이크 페달(132)과, 사용자의 가속 의지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엑셀러레이터 페달(133)이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향 의지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는 스티어링 휠(134)이 마련될 수 있다.Inside the vehicle 100, a brake pedal 132 press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will to brake and an accelerator pedal 133 press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will to accelerate may be provided inside the vehicle 100. A steering wheel 134 rotat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will may be provided.

차량은 주행에 필요한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구동력을 조절하며 조절된 구동력을 앞쪽의 좌우의 전륜(131: 131L, 131R) 및 뒤쪽의 좌우의 후륜(132: 132L, 132R) 중 적어도 한 쌍의 차륜에 인가하기 위한 동력 장치와, 전후좌우의 차륜(131, 132)에 제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제동 장치와, 차량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는 조향 장치와, 주행 중 노면의 충격이 차량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현가 장치와, 차량의 롤링을 제어하는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generates driving force necessary for driving, adjusts the generated driving force, and transmits the adjusted driving force to at least one pair of front wheels 131: 131L and 131R and rear left and right rear wheels 132: 132L and 132R. A power unit for applying braking force to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wheels 131 and 132, a steering unit for adjusti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blocking impact from the road surface during driving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vehicle and a roll stabilization device 140 that controls rolling of the vehicle.

차량의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 중에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차체와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이다.A suspension system of a vehicle is a device that connects an axle and a vehicle body to prevent damage to the vehicle body and cargo and improves riding comfort by controlling vibration or shock received from the road surface during driving so that the vehicle body is not directly transmitted.

이러한 현가장치는, 노면으로부터 충격을 완화시키는 샤시 스프링(135)과, 샤시 스프링(135)의 자유진동을 감쇄 제어하여 승차감을 좋게 하는 쇽 업소버(136)를 포함한다(도 4참조). 여기서 쇽 업소버는 에어 서스펜션의 쇽 업소버일 수 있다.This suspension system includes a chassis spring 135 that alleviates impact from the road surface and a shock absorber 136 that damps and controls the free vibration of the chassis spring 135 to improve riding comfort (see FIG. 4). Here, the shock absorber may be an air suspension shock absorber.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는 유압이나 모터를 가지고 스태빌라이저 바(Stabilizer Bar)의 비틀림 양을 조절하여 전체 차량의 롤 강성(Roll Stiffness) 값을 조절하는 장치로, 차량의 횡가속도가 작은 영역에서 차량의 롤 각(Roll Angle)을 제어하여 차량의 안정성과 승차감을 향상시킨다.As shown in FIG. 3, the roll stabilization device 140 is a device that adjusts the roll stiffness value of the entire vehicle by adjusting the torsion amount of the stabilizer bar using hydraulic pressure or a motor, The vehicle's roll angle is controlled in a region where the vehicle's lateral acceleration is low to improve vehicle stability and ride comfort.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는 좌우 전륜(131L, 131R) 사이에 연결되어 좌우 전륜의 상하 운동을 조절하는 제1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F)와, 좌우 후륜(132L, 132R) 사이에 연결되어 좌우 후륜의 상하 운동을 조절하는 제2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R)를 포함하고, 제1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F)와 제2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R)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한다.The roll stabilization device 140 is connect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131L and 131R and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roll stabilization device 140F that control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and the left and right rear wheels 132L and 132R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roll stabilization device 140F and the second roll stabilization device 140R, including a second roll stabilization device 140R that adjust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left and right rear wheels. (180).

제1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F)와 제2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R)의 구조는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하다.Structures of the first roll stabilization device 140F and the second roll stabilization device 140R are the same or similar to each other.

도 4를 참조하여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에 대해 설명한다.The roll stabilization device 14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아울러 제1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F)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In addition, the first roll stabilization device 140F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는 양 측이 차체(110)에 설치되고 차량의 롤링을 억제하는 스태빌라이저 바(141)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태빌라이저 바(141)는 스태빌라이저 링크(142)를 통하여 로워암(143) 또는 스트럿 바(미도시)에 장착될 수 있다.The roll stabilization device 140 includes a stabilizer bar 141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body 110 and suppressing rolling of the vehicle. Here, the stabilizer bar 141 may be mounted on the lower arm 143 or the strut bar (not shown) through the stabilizer link 142 .

이러한 스태빌라이저 바(141)는 좌우 전륜(131L, 131R)이 서로 동시에 상하 운동하는 경우에는 작용하지 않고, 좌우 전륜(131L, 131R)이 서로 상대적으로 상하 운동하는 경우에는 비틀리면서 비틀림 탄성력으로 차체(110)의 롤을 억제하는 안티 롤 기능을 수행한다.The stabilizer bar 141 does not act when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131L and 131R move up and down at the same time, and when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131L and 131R move up and down relative to each other, the stabilizer bar 141 is twisted and the torsional elasticity of the vehicle body 110 ) performs the anti-roll function of suppressing the roll of

즉, 스태빌라이저 바(141)는 차량의 선회 주행 시에 차체(110)의 선회 외측이 원심력으로 기울어지거나 혹은 주행 중에 범프 또는 리바운드로 인해 좌우 전륜(131L, 131R)이 상대적으로 위상차를 가질 때에 비틀어지면서 그 비틀림 탄성력을 이용하여 차체의 자세를 안정화시켜 준다.That is, the stabilizer bar 141 is twisted when the turning outer side of the vehicle body 110 is inclined by centrifugal force during turning of the vehicle or when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131L and 131R have a relative phase difference due to a bump or rebound during driving. The torsional elasticity is used to stabilize the posture of the vehicle body.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는 스태빌라이저 바(141)의 자체 비틀림 탄성력만으로 차량의 기울어짐을 억제하거나, 기울어진 차체(110)를 복귀시켜 안정시키기 위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롤 제어를 수행하는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일 수 있다.The roll stabilization device 140 is an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that quickly and accurately performs roll control in order to suppress the inclination of the vehicle only with the torsional elasticity of the stabilizer bar 141 or to return and stabilize the tilted body 110. It can be a localization device.

이러한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의 구동 방식은 스태빌라이저 바(141)의 끝단에 유압 실린더(미도시)로 이루어지는 액추에이터를 연결하여 능동적인 롤 제어를 수행하는 유압 방식과, 모터로 이루어지는 액추에이터를 연결하여 능동적인 롤 제어를 수행하는 모터 구동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method of the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140 is a hydraulic method for performing active roll control by connecting an actuator made of a hydraulic cylinder (not shown) to the end of the stabilizer bar 141, and an actuator made of a motor. It may include a motor driving method that is connected to perform active roll control.

유압 방식의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는 로워암(143)에 하단이 연결되고 스태빌라이저 바(141)에 피스톤 로드 선단이 볼 조인트를 통해 연결된 유압 실린더(미도시)를 포함한다.The hydraulic type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140 includes a hydraulic cylinder (not shown) having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lower arm 143 and a piston rod tip connected to the stabilizer bar 141 through a ball joint.

이러한 유압 방식의 능동형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는 유압 실린더의 유압을 제어하여 스태빌라이저 바(141)의 일단과 로워암(143) 사이의 연결 길이를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스태빌라이저 바(141)의 비틀림 강성을 변화시키는 메커니즘을 갖는다.The hydraulic type active stabilization device 140 controls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hydraulic cylinder to vary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between one end of the stabilizer bar 141 and the lower arm 143, thereby increasing the torsional rigidity of the stabilizer bar 141. has a mechanism that changes

본 실시 예는 모터 구동 방식의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에 대해 설명한다.This embodiment describes the motor-driven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140.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모터 구동 방식의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의 일 예의 구조도이다.4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example of a motor-driven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140 provid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는 스태빌라이저 바(141), 스태빌라이저 링크(142), 로워 암(143), 모터(144) 및 푸시 바(145)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 , the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140 is composed of a stabilizer bar 141, a stabilizer link 142, a lower arm 143, a motor 144, and a push bar 145.

스태빌라이저 바(141)는 양측이 차체의 서브 프레임(137)에 설치되고, 양단이 로워암(143)에 각각 연결된다.Both sides of the stabilizer bar 141 are installed on the subframe 137 of the vehicle body, and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lower arms 143, respectively.

스태빌라이저 링크(142)는 각 로워암(143)에 일단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스태빌라이저 바(411)의 단부에 볼 조인트(BJ) 등을 통하여 연결된다.One end of the stabilizer link 142 is slidably installed on each lower arm 143,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tabilizer bar 411 through a ball joint (BJ) or the like.

각 로워암(143)의 양 측면에는 슬라이딩 슬롯(146)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슬라이딩 슬롯(146)에는 슬라이딩 핀(147)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A sliding slot 146 is formed on both sides of each lower arm 143, and a sliding pin 147 can be movably installed in the sliding slot 146 in a sliding manner.

또한, 각 로워암(143)의 상부에는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이 개구부를 통하여 스태빌라이저 링크(142)의 일단이 슬라이딩 핀(147)에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n opening (not shown) may b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each lower arm 143 , and one end of the stabilizer link 142 may be connected to the sliding pin 147 through the opening.

또한, 스태빌라이저 링크(142)의 일단은 로워암(143)의 외측에서 슬라이딩 핀(147)을 통하여 푸시 바(145)의 일단과도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stabilizer link 142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ush bar 145 through the sliding pin 147 on the outside of the lower arm 143 .

여기서, 슬라이딩 슬롯(146)에는 슬라이딩 핀(147)을 안내하는 슬라이드 가이더(미도시)가 일체로 설치되어 슬라이딩 핀(147)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Here, a slide guider (not shown) for guiding the sliding pin 147 may be integrally installed in the sliding slot 146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liding pin 147 .

그리고 모터(144)는 액추에이터로서, 서브 프레임(137)의 중앙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모터(144)는 양측 파워트랜스(148)를 각각 전후진 하도록 한다.The motor 144 is an actuator and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enter of the sub frame 137 . The motor 144 moves both power transformers 148 forward and backward, respectively.

모터(144)의 회전 구동에 따라 양측 리드 스크루(미도시)는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나, 이에 치합된 양측 파워 트랜스(148)는 구동모터(144)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인 모터 중심 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 동시에 작동한다.Both lead screws (not shown)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riving of the motor 144, but the power transformers 148 on both sides meshed with them rotat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center of the motor centered on the drive motor 144 or outward. work in both directions at the same time.

모터(144)는 차량의 좌우 선회 방향을 기반으로 회전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144 may be changed based on the left and right turning directions of the vehicle.

푸시 바(145)는 로워암(143)의 외측에서 각 스태빌라이저 링크(142)의 로워암(143) 측 연결부에 슬라이딩 핀(147)을 통하여 연결된다.The push bar 145 is connected to a lower arm 143 side connection part of each stabilizer link 142 from the outside of the lower arm 143 through a sliding pin 147.

또한, 푸시 바(145)의 타단은 파워트랜스(148)에 연결되어 파워트랜스(148)의 전후력을 스태빌라이저 링크(142)에 전달한다. 이때, 푸시 바(145)는 일단과 타단이 스태빌라이저 링크(142)의 로워암(143) 측 연결부와 파워트랜스(148)의 선단에 각각 힌지부로 연결된다.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push bar 145 is connected to the power transformer 148 and transfers the front and rear forces of the power transformer 148 to the stabilizer link 142 . At this tim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push bar 145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of the lower arm 143 side of the stabilizer link 142 and the front end of the power transformer 148 through hinges, respectively.

따라서 능동형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는 서브 프레임(137) 중앙에 설치되는 모터(144)의 구동에 의해 스태빌라이저 링크(142)의 로워암(143)측 장착 위치를 조정하여 스태빌라이저 바(141)의 롤 강성이 로워암(143)의 거동이 더 큰 위치에 작용하도록 하여 능동적인 롤 제어를 이룬다.Therefore, the active stabilization device 140 adjusts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lower arm 143 side of the stabilizer link 142 by driving the motor 144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sub frame 137 to adjust the stability of the stabilizer bar 141. Active roll control is achieved by allowing the roll stiffness to act at a position where the behavior of the lower arm 143 is greater.

먼저, 평상시에는 모터(144) 양측 파워트랜스(148)가 스크루 하우징(149)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로, 양측 푸시 바(145)가 각 스태빌라이저 링크(142)의 로워암(143) 측 장착위치를 로워암(143) 상의 슬라이딩 슬롯(146)의 내측에 위치시켜 스태빌라이저 바(141)의 롤 강성이 기준값으로 작용하도록 한다.First, in a state where the power transformer 148 on both sides of the motor 144 is normally located inside the screw housing 149, both push bars 145 are mounted on the lower arm 143 side of each stabilizer link 142 is placed inside the sliding slot 146 on the lower arm 143 so that the roll stiffness of the stabilizer bar 141 acts as a reference value.

그러면, 각 파워트랜스(148)에 연결된 양측 푸시 바(145)는 양측 로워암(143)에 스태빌라이저 바(141)의 선단을 연결하는 각 스태빌라이저 링크(142)의 로워암(143) 측 장착 위치를 외측으로 밀어 로워암(143) 상의 슬라이딩 슬롯(146)의 외측에 위치시킨다. 이에 따라, 스태빌라이저 바(141)의 롤 강성은 로워암(143)의 거동이 더 큰 위치에 작용하게 된다. Then, the push bars 145 on both sides connected to each power transformer 148 have a mounting position on the lower arm 143 side of each stabilizer link 142 connecting the tip of the stabilizer bar 141 to the lower arms 143 on both sides Push it outward to position it on the outside of the sliding slot 146 on the lower arm 143. Accordingly, the roll stiffness of the stabilizer bar 141 acts at a position where the motion of the lower arm 143 is greater.

이와 같이, 능동형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는 차체의 거동조건에 따라 스태빌라이저 바(141)의 양측 선단에 연결되는 스태빌라이저 링크(142)의 로워암(143) 측 연결부의 장착 위치를 제어하여 스태빌라이저 바(141)의 롤 강성이 로워암의 거동이 더 큰 위치에 작용하도록 하여 더 큰 롤 억제력으로 작용되도록 함으로써 능동적인 롤 제어를 이룬다.In this way, the active stabilization device 140 controls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lower arm 143 side connection part of the stabilizer link 142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tabilizer bar 141 according to the behavioral conditions of the vehicle body, so that the stabilizer bar Active roll control is achieved by allowing the roll rigidity of (141) to act as a greater roll restraining force by allowing the behavior of the lower arm to act at a greater position.

능동형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는 스태빌라이저 바(141)의 양측 선단에 연결되는 스태빌라이저 링크(142)의 로워암(143) 측 연결부의 장착 위치를 외측으로 제어함으로써 스태빌라이저 바의 비틀림 정도를 조절하여 차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The active stabilization device 140 controls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lower arm 143 side connection part of the stabilizer link 142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tabilizer bar 141 to the outside, thereby adjusting the degree of torsion of the stabilizer bar to improve the vehicle body. height can be adjusted.

즉, 스태빌라이저 링크(142)의 로워암(143) 측 연결부의 장착 위치가 외측으로 조절된 쪽의 차체의 높이를 상승시킬 수 있다.That is,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on the side where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connection part on the lower arm 143 side of the stabilizer link 142 is adjusted outward can be increased.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모터 구동 방식의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의 다른 예의 구조도이다.5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other example of a motor-driven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140 provid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다른 예의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의 구성 요소 중 일 예의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일 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 번호를 부여하도록 한다.Among the components of the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140 of another example,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140 of one example are assigned the same numbers as the components of the example.

모터 구동 방식의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는 양 측이 차체(110)에 설치되고 차량의 롤링을 억제하는 스태빌라이저 바(141)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태빌라이저 바(141)는 양측이 차체의 서브 프레임(137)에 설치되고, 중앙에 모터(144)와, 기어비를 변경하기 위한 기어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The motor-driven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140 includes a stabilizer bar 141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body 110 and suppressing rolling of the vehicle. Here, both sides of the stabilizer bar 141 may be installed on the subframe 137 of the vehicle body, and a motor 144 and a gear unit (not shown) for changing a gear ratio may be installed in the center.

이러한 스태빌라이저 바(141)는 모터(144)의 회전 방향 및 회전력에 따라 좌측과 우측에 서로 다른 비틀림이 발생된다. Different twists are generat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abilizer bar 141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144 .

모터 구동 방식의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는 롤 각도에 기초하여 모터(144) 및 기어부의 기어비를 조절함으로써 스태빌라이저 바(141)의 좌우의 비틀림이 조절되도록 한다.The motor-driven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140 controls the left and right twist of the stabilizer bar 141 by adjusting the gear ratio of the motor 144 and the gear unit based on the roll angle.

즉 차량은 스태빌라이저 바(141)에 인가되는 비틀림에 의해 차체의 좌측과 우측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That is, the height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body can be adjusted by twisting applied to the stabilizer bar 141 .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6 is a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차량은 표시부(128), 사운드 출력부(129), 장애물 검출부(150), 탑승자 검출부(160), 속도 검출부(170), 제어부(180), 저장부(181) 및 구동부(190)를 포함한다.The vehicle includes a display unit 128, a sound output unit 129, an obstacle detection unit 150, an occupant detection unit 160, a speed detection unit 170, a control unit 180, a storage unit 181 and a driving unit 190. .

차량은 차고 조절 모드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입력부(127)를 통해 차고 조절 모드의 자동 동작 명령 및 자동 동작 오프 명령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The vehicle may automatically perform the height adjustment mode, and may receive an automatic operation command and an automatic operation off command of the height adjustment mode through the input unit 127 .

차량은 충돌 방지 모드를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고, 자동으로 충돌 방지 모드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vehicle may receive an input of the collision avoidance mode and may automatically perform the collision avoidance mode.

표시부(128)는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표시하고, 장애물의 존재 위치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display unit 128 may display whether an obstacle exists or not, and may also display a location of an obstacle.

이러한 표시부(128)는 장애물 존재 시 점등되는 경고 램프를 포함할 수 있고, 장애물 존재 시 장애물의 존재 및 존재 위치를 표시하는 평판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28 may include a warning lamp that is turned on when an obstacle exists, and may include a flat panel display displaying the presence and location of an obstacle when an obstacle exists.

표시부(128)는 복수 개의 색상으로 점등할 수 있는 경고 램프를 포함하고, 장애물과의 거리에 대응하는 색상의 경고 램프를 점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display unit 128 includes warning lamps that can light up in a plurality of colors, and it is also possible to turn on warning lamps of colors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표시부(128)는 장애물과의 거리에 대응하는 색상으로 평판 디스플레이의 영상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display unit 128 may display an image of the flat panel display in a color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표시부(128)는 차고 조절 모드의 온 또는 오프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display unit 128 may also display an on or off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height adjustment mode.

사운드 출력부(129)는 장애물의 존재 시 경고음을 출력한다.The sound output unit 129 outputs a warning sound when an obstacle exists.

사운드 출력부(129)는 장애물의 존재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ound output unit 129 may output different warning sound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obstacle.

사운드 출력부(129)는 장애물과의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고, 서로 다른 볼륨레벨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ound output unit 129 may output different warning sounds according to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or output different volume levels.

사운드 출력부(129)는 차고 조절 모드의 온 동작 시 알림음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ound output unit 129 may output a notification sound when the vehicle height adjustment mode is turned on.

차량은 충돌 방지 모드의 수행 시, 차량(100)의 주변에 장애물이 존재하면 표시부 및 사운드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장애물의 존재를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충돌에 회피 또는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When an obstacle exists around the vehicle 100 when the vehicle performs the collision avoidance mode, the presence of the obstacle is notified using at least one of the display unit and the sound output unit so that the user can avoid or prepare for a collision.

차량은 차고 조절 모드의 온 동작 시 표시부 및 사운드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장애물과의 충돌 및 충돌 가능성을 알리는 것도 가능하다.When the vehicle height adjustment mode is turned on, the vehicle may inform of a collision with an obstacle and a possibility of collision using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and a sound output unit.

장애물 검출부(150)는 차량의 전후좌우의 장애물을 검출한다.The obstacle detection unit 150 detects obstacles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vehicle.

여기서 장애물은 타 차량, 사람, 가로수일 수 있다.Here, the obstacle may be another vehicle, a person, or a street tree.

이러한 장애물 검출부(150)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검출하기 위한 거리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obstacle detection unit 150 may include a distanc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distance to an obstacle.

여기서 거리 검출부는 라이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istance detector may include a lidar sensor.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센서는 레이저 레이다(Laser Radar) 원리를 이용한 비접촉식 거리 검출 센서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sensor is a non-contact distance detection sensor using the principle of laser radar.

라이다 센서는 레이저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센서 범위 내에 존재하는 물체의 표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레이저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DAR sensor may include a transmitter that transmits a laser beam and a receiver that receives the laser beam that is reflected and returned to the surface of an object existing within the range of the sensor.

여기서 레이저는 단일레이저 펄스일 수 있다.Here, the laser may be a single laser pulse.

거리 검출부(161)는 초음파 센서 또는 레이더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distance detector 161 may include an ultrasonic sensor or a radar sensor.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일정시간 발생시킨 뒤 물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검출한다.The ultrasonic sensor generates ultrasonic wave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n detects a signal that is reflected from an object and returns.

초음파 센서는 근거리 범위 내에서 보행자 등의 장애물의 유무를 판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The ultrasonic sensor may be used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stacle such as a pedestrian within a short range.

레이더(Radar) 센서는 발신 및 수신을 같은 장소에서 행할 때, 전파의 방사에 의하여 생긴 반사파를 이용하여 물체의 위치를 탐지하는 장치이다.A radar sensor is a device that detects the position of an object by using a reflected wave generated by radiation of radio waves when transmission and reception are performed in the same place.

이러한 레이더 센서는 송신한 전파와 수신되는 전파가 겹쳐서 구별이 곤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거나 송신전파의 주파수를 시간에 따라 변경하거나 송신전파로 펄스파를 출력하기도 한다.Such a radar sensor uses the Doppler effect, changes the frequency of a transmitted wave over time, or outputs a pulse wave as a transmitted wave in order to prevent the transmission and received radio waves from overlapping and making it difficult to distinguish them.

참고로, 라이다 센서는 레이더(RaDAR: Radio Detecting And Ranging) 센서에 비해 횡방향에 대한 감지 정확도가 높기 때문에 전방에 통로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For reference, since the lidar sensor has higher detection accuracy in a lateral direction than a radio detecting and ranging (RaDAR) sensor, the accuracy of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passage exists in front can be increased.

장애물 검출부(150)는 장애물을 검출하기 위해 도로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obstacle detection unit 150 may include an image detection unit that acquires an image of the road in order to detect an obstacle.

영상 검출부는 카메라로, CCD 또는 CMOS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detector is a camera and may include a CCD or CMOS image sensor.

영상 검출부는 전면의 윈도우 글래스에 마련되되 차량 내부의 윈도 글래스에 마련될 수도 있고, 차량 내부의 룸 미러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루프 패널(113)의 마련되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도 1 참조). The image detection unit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window glass, but may be provided on the window glass inside the vehicle, may be provided on the room mirror inside the vehicle, or may be provided on the roof panel 113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Fig. 1).

영상 검출부는 차량 주변의 물체 정보를 검출하여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것으로, 자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자 차량 외부의 환경, 특히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 및 그 주변의 자 차량의 전방, 좌우의 측방의 물체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물체 정보의 영상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The image detector detects object information around the vehicle and converts it into an electrical video signal. The environment outside the vehicle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in particular,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traveling and the side of the vehicle in front, left and right of the vehicle. Detects object information of and transmits a video signal of the detected object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80.

영상 검출부는 후방 카메라, 블랙 박스의 카메라일 수 있고, 자율 주행을 위해 마련된 자율 주행 제어 장치의 카메라일 수 있다.The image detection unit may be a rear camera, a black box camera, or a camera of an autonomous driving control device prepared for autonomous driving.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물 검출부(150)는 차량의 프론트 패널의 중앙에 마련된 제1장애물검출부(151)와, 차량의 루프 패널 또는 차량의 프론트 윈도우 글래스에 마련된 제2 장애물검출부(152)와, 차량의 프론트 패널의 좌우 사이드 또는 차량의 전방의 좌우 사이드 패널에 각각 마련된 제3장애물 검출부(153)와, 차량의 리어 패널의 좌우 사이드 또는 차량의 후방의 좌우 사이드 패널에 각각 마련된 제4장애물 검출부(154)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7 , the obstacle detection unit 150 includes a first obstacle detection unit 151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front panel of the vehicle and a second obstacle detection unit 152 provided on the roof panel of the vehicle or the front window glass of the vehicle. and a third obstacle detection unit 153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panel of the vehicle or on the left and right side panels at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a fourth obstacl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panel of the vehicle or on the left and right side panels at the rear of the vehicle, respectively. A detection unit 154 is included.

여기서 제1장애물검출부(151)는 레이더 센서 및 라이다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irst obstacle detection unit 151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adar sensor and a lidar sensor.

제1장애물검출부(151)의 레이더 센서는 제1검출 영역(a1) 내의 장애물을 검출할 수 있고, 제1장애물검출부(151)의 라이다 센서는 제2검출 영역(a2) 내의 장애물을 검출할 수 있다. The radar sensor of the first obstacle detection unit 151 can detect obstacles within the first detection area a1, and the lidar sensor of the first obstacle detection unit 151 can detect obstacles within the second detection area a2. can

즉, 제1장애물검출부(151)가 레이더 센서인 경우, 제1장애물검출부(151)는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검출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first obstacle detection unit 151 is a radar sensor, the first obstacle detection unit 151 may detect an obstacle located in front of the vehicle.

아울러 제1장애물검출부(151)가 중거리 레이더 센서인 경우, 제1장애물검출부(151)는 제1검출 영역(a1) 내의 장애물을 검출할 수 있고, 제1장애물검출부(151)가 원거리 레이더 센서인 경우, 제1장애물검출부(151)는 제1검출 영역(a1)보다 좌우 영역이 더 좁고 전방 영역이 더 긴 검출영역(a1')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obstacle detection unit 151 is a mid-range radar sensor, the first obstacle detection unit 151 can detect an obstacle within the first detection area a1, and the first obstacle detection unit 151 is a long-range radar sensor. In this case, the first obstacle detection unit 151 may have a detection area a1' that is narrower in left and right areas and longer in the front area than the first detection area a1.

제1장애물검출부(151)가 라이다 센서인 경우, 제1장애물검출부(151)는 차량의 전방 및 전방의 좌우 측면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검출할 수 있다.When the first obstacle detection unit 151 is a LIDAR sensor, the first obstacle detection unit 151 may detect obstacles located in front of the vehicle and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제2장애물검출부(152)는 전방 카메라로, 제1장애물검출부(151)의 레이더 센서의 제1검출 영역과 비교하였을 때 제1검출 영역보다 좌우 영역이 더 좁고 전방 영역이 더 긴 영역을 검출 영역으로 가질 수 있다. 제2 장애물검출부(152)는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검출할 수 있다.The second obstacle detection unit 152 is a front camera, and when compared with the first detection area of the radar sensor of the first obstacle detection unit 151, the left and right areas are narrower and the front area is longer than the first detection area. can have The second obstacle detection unit 152 may detect an obstacle located in front of the vehicle.

아울러 제2장애물검출부(152)는 차량의 좌측과 우측을 각각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obstacle detection unit 152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that takes pictur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respectively.

제3장애물 검출부(153)는 라이다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제3검출 영역(a3) 내의 장애물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3검출 영역(a3)은 차량의 좌측 영역과 우측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hird obstacle detection unit 153 may include a LIDAR sensor and may detect obstacles within the third detection area a3. Here, the third detection area a3 may include the left area and the right area of the vehicle.

제4장애물 검출부(154)는 레이더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제4검출 영역(a4) 내의 장애물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4검출 영역(a4)은 차량의 후방 영역과, 후방의 좌측 영역, 후방의 우측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fourth obstacle detector 154 may include a radar sensor and detect obstacles within the fourth detection area a4. Here, the fourth detection area a4 may include a rear area of the vehicle, a rear left area, and a rear right area.

제1장애물검출부(151), 제2장애물 검출부(152) 및 제4장애물검출부(154)는 선택적으로 차량에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obstacle detection unit 151, the second obstacle detection unit 152, and the fourth obstacle detection unit 154 may be selectively provided in the vehicle.

탑승자 검출부(160)는 탑승자의 탑승 정보를 검출한다.The occupant detection unit 160 detects boarding information of the occupant.

탑승자 검출부(160)는 차량에 마련된 각 시트 및 각 안전 벨트에 마련될 수 있다.The occupant detection unit 160 may be provided on each seat and each safety belt provided in the vehicle.

탑승자 검출부(160)는 무게 검출부, 압력 검출부, 정전용량 검출부 및 안전 벨트의 체결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occupant detection unit 16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eight detection unit, a pressure detection unit, a capacitance detection unit, and a safety belt fastening detection unit.

속도 검출부(170)는 자 차량의 주행 속도를 검출한다. 여기서 자 차량의 주행 속도는 차체의 속도일 수 있다.The speed detection unit 170 detects the driving speed of the own vehicle. Here, the driving speed of the host vehicle may be the speed of the vehicle body.

속도 검출부(170)는 전후좌우의 차륜에 마련된 휠 속도 센서 또는 차량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일 수 있다.The speed detector 170 may be a wheel speed sensor provided on front, rear, left, and right wheels or an acceleration sensor that detects vehicle acceleration.

차량은 차량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n accelera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cceleration of the vehicle.

가속도 검출부는 차량의 횡 가속도(Lateral-G 또는 G-sensor)를 검출하는 것으로, 주행 중 차량이 옆 방향으로 밀려나려고 하는 힘의 가속도를 검출한다.The acceleration detection unit detects the lateral acceleration (Lateral-G or G-sensor) of the vehicle, and detects the acceleration of the force that the vehicle tends to push to the side while driving.

제어부(180)는 일반 모드 수행 시 가속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가속도에 기초하여 롤 각을 획득하고 획득된 롤 각에 기초하여 차량의 자세를 판단한다.The controller 180 obtains a roll angle based on the acceleration detected by the acceleration detector when performing the normal mode, and determines the attitud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acquired roll angle.

제어부(180)는 롤 각에 기초하여 능동형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의 모터(144)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모터의 제어 신호를 구동부(190)에 전송한다.The control unit 180 generates a control signal of the motor 144 of the active stabilization device 140 based on the roll angle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of the motor to the driving unit 190 .

제어부(180)는 장애물 검출부(150)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차고 조절 모드의 수행의 필요성을 판단하고, 차고 조절 모드의 수행이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일반 모드의 수행을 제어하고, 차고 조절 모드의 수행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능동형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의 모터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80 determines the necessity of performing the height adjustment mod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obstacle detection unit 150, controls the execution of the normal mode, and performs the height adjustment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xecu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mode is unnecessary. If it is determined that this is necessary, the motor of the active stabilization device 140 is controlled.

좀 더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장애물 검출부(150)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장애물과의 측면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고, 측면 충돌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장애물 검출부(150) 및 속도 검출부(170)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가 장애물과의 충돌에 대응할 수 있을지에 대한 운전자의 대응 가능성을 판단하고, 운전자의 대응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면 차고 조절 모드의 수행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80 determines the possibility of a side collision with an obstacl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obstacle detection unit 15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sibility of a side collision exists, the obstacle detection unit 150 and the speed detection unit 170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river can respond to a collision with an obstacl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the driver's response, it is determined that the height adjustment mode needs to be performed.

장애물과의 측면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는 제어부(180)의 구성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180 for determining the possibility of side collision with an obstacl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제1장애물검출부가 라이다 센서일 경우, 제어부(180)는 제1장애물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제2검출 영역(a2) 내에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제2검출 영역(a2) 내에 장애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제1장애물검출부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장애물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장애물의 위치가 차량의 전방의 좌측 또는 우측이라고 판단되면 측면 충돌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When the first obstacle detection unit is a lidar sensor,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an obstacle exists in the second detection area a2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first obstacle detection unit, and determines whether an obstacle exists in the second detection area a2.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obstacle inside,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is checked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obstacle detection unit,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identified obstacle is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front of the vehicl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a side collision.

장애물의 위치는 장애물의 방향과 장애물의 거리를 포함한다.The position of the obstacle includes the direction of the obstacle and the distance of the obstacle.

제2장애물검출부가 차량의 좌측과 우측의 영상을 검출하는 영상 검출부인 경우, 제어부(180)는 차량의 좌측을 촬영하는 영상 검출부에서 검출된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정보를 영상 처리하여 좌측 영상 내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장애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좌측 측면 충돌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When the second obstacle detection unit is an image detection unit that detects imag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the control unit 180 receives imag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image detection unit that photographs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processes the received image information, and processes the image to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It is determined whether an obstacle exists in the imag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an obstacle exists,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a left side collision.

그리고 제어부(180)는 차량의 우측을 촬영하는 영상 검출부에서 검출된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정보를 영상 처리하여 우측 영상 내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장애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우측 측면 충돌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80 receives the imag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image detection unit that photographs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processes the received image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an obstacle exists in the right imag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an obstacle exists, there is a possibility of a right side collision. judge that it exists

제어부(180)는 제3장애물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제3검출 영역(a3) 내의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제3검출 영역(a3) 내에 장애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제3장애물검출부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장애물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장애물의 위치가 차량의 전방의 좌측 또는 우측이라고 판단되면 측면 충돌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an obstacle exists within the third detection area a3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third obstacle detection unit,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an obstacle exists within the third detection area a3, the third obstacle detection unit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is checked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identified obstacle is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front of the vehicl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a side collision.

제어부(180)는 제4장애물 검출부(154)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제4검출 영역(a4) 내의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장애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장애물의 위치를 확인한다.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an obstacle exists in the fourth detection area a4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fourth obstacle detection unit 154, and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obstacl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obstacle exists. Check.

이러한 제어부(180)는 제4장애물 검출부(154)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후방의 중앙에 장애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일반 모드를 제어하고, 차량의 후방의 좌측 또는 우측에 장애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측면 충돌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fourth obstacle detection unit 154, the control unit 180 controls the normal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obstacle exists in the center of the rear of the vehicle, and an obstacle exists on the left or right of the rear of the vehic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a side collisio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a side collision.

제어부(180)는 장애물 검출부(150)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장애물이 차량의 좌측 및 우측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운전자의 대응 가능성을 판단한다.The control unit 180 determines whether the driver responds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obstacle exists on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obstacle detection unit 150 .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180)는 장애물 검출부(150)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측면의 장애물과의 거리를 확인하고, 확인된 거리에 기초하여 시간에 따른 거리 변화를 획득하며, 거리 변화에 따른 타 차량의 상대 속도를 획득한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the control unit 180 checks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on the sid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obstacle detection unit 150, and obtains a distance change over time based on the checked distance, , the relative speed of other vehicles according to the change in distance is obtained.

제어부(180)는 획득된 상대 속도와 속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자 차량의 주행 속도에 기초하여 장애물이 자 차량의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자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벗어날 수 있는지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ntroller 180 may also determine whether the obstacle can deviate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host vehicle before reaching the position of the host vehicle based on the obtained relative speed and the travel speed of the host vehicle detected by the speed detection unit.

제어부(180)는 획득된 상대 속도와 속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자 차량의 주행 속도에 기초하여 측면의 장애물과 충돌하기까지 소요되는 충돌 시간을 획득하고, 미리 설정된 운전자의 반응 시간과 충돌 시간을 비교하여 운전자의 대응 가능성을 판단한다.The control unit 180 obtains a collision time required to collide with an obstacle on the side based on the obtained relative speed and the driving speed of the host vehicle detected by the speed detector, and compares the preset driver's reaction time with the collision time. Determine the driver's ability to respond.

즉 제어부(180)는 충돌 시간이 운전자의 반응 시간보다 작으면 운전자가 충돌에 대응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충돌 시간이 운전자의 반응 시간 이상이면 운전자가 충돌에 대응 가능하다고 판단한다.That is,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at the driver cannot respond to a collision if the collision time is less than the driver's reaction time, and determines that the driver can respond to the collision if the collision time is longer than the driver's reaction time.

제어부(180)는 운전자가 충돌에 대응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제1, 2능동형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를 일반 모드로 제어한다. 여기서 일반 모드는 안티 롤 기능을 수행하는 모드이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can respond to a collision,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active stabilization devices 140 in a normal mode. Here, the normal mode is a mode that performs an anti-roll function.

제어부(180)는 운전자가 충돌에 대응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장애물 검출부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장애물과 충돌하는 측면의 방향을 확인하고, 제1, 2능동형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의 모터(144)를 제어하여 차고 조절 모드를 수행함으로써 확인된 측면의 차고의 높이가 상승하도록 한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cannot respond to the collision, the control unit 180 checks the direction of the side colliding with the obstacl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obstacle detection unit, and the motor 144 of the first and second active stabilization devices 140 By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height of the height of the identified side by performing the height adjustment mode.

제어부(180)는 차고 조절 모드 시 기어부의 기어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ntroller 180 may also adjust the gear ratio of the gear unit in the vehicle height adjustment mode.

제어부(180)는 운전자가 충돌에 대응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장애물 검출부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장애물과 충돌하는 측면의 방향을 확인하고, 현가 장치의 에어 서스펜션을 제어하여 차고 조절 모드를 수행함으로써 확인된 측면의 차고의 높이가 미리 설정된 설정 높이로 상승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is unable to respond to the collision, the control unit 180 checks the direction of the side colliding with the obstacl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obstacle detection unit, and controls the air suspension of the suspension device to perform a height adjustment mode. It is also possible to cause the height of the garage to rise to a preset height.

이를 통해 장애물과의 측면 충돌 시 강성이 강한 차량의 사이드 패널의 사이드 레일 및 플로우 패널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장애물이 차량의 도어 및 필러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in case of a side collision with an obstacle, the side rail and the flow panel of the side panel of the vehicle having strong rigidity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preventing the obstacle from colliding with the door and pillar of the vehicle.

제어부(180)는 차고 조절 모드 시 탑승자 검출부(160)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내부의 탑승자의 수를 판단하고 판단된 탑승자의 수에 대응하는 차고의 설정 높이를 확인하고 확인된 설정 높이로 차고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제1, 2능동형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의 모터(144)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ntrol unit 180 determines the number of occupants inside the vehicl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occupant detector 160 in the vehicle height adjustment mode, checks the set height of the garag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number of occupants, and checks the set height.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motors 144 of the first and second active stabilization devices 140 so that the height of the vehicle height is adjusted.

제어부(180)는 측면 충돌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표시부의 경고 램프의 점등을 제어할 수 있고, 사운드 출력부의 경고음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a side collision,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lighting of the warning lamp of the display unit and control the output of a warning sound of the sound output unit.

제어부(180)는 운전자가 충돌에 대응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차고 조절 모드를 수행하고, 이때 표시부의 경고 램프의 점등을 제어하고, 사운드 출력부의 경고음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is unable to respond to a collision, the controller 180 may perform a vehicle height adjustment mode, and at this time, control lighting of a warning lamp of the display unit and output of a warning sound of the sound output unit.

제어부(180)는 차량이 주정차된 상태에서 장애물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측면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고, 측면 충돌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장애물과 충돌하는 측면의 방향을 확인하고, 제1, 2능동형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의 모터(144)를 제어하여 차고 조절 모드를 수행함으로써 확인된 측면의 차고의 높이가 상승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ntrol unit 180 determines the possibility of a side collision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obstacle detection unit while the vehicle is parked and stoppe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sibility of a side collision exists, checks the direction of the side colliding with the obstacle, first, 2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motor 144 of the active stabilization device 140 to perform the vehicle height adjustment mode so that the height of the vehicle on the confirmed side increases.

아울러, 제어부(180)는 차량이 주정차된 상태에서 차량 내부에 탑승자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측면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여도 일반 모드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f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at there is no occupant inside the vehicle while the vehicle is parked and stopp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vehicle in the normal mode even if there is a possibility of a side collision.

저장부(181)는 차고의 설정 높이를 저장하고 운전자의 반응 시간을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181 stores the set height of the garage and the driver's reaction time.

저장부(181)는 탑승자의 수에 대응하는 차고의 설정 높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torage unit 181 may also store the set height of the garag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occupants.

예를 들어, 탑승자가 1명이면 차고의 설정 높이는 80mm이고, 탑승자가 2명이면 차고의 설정 높이는 76mm일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re is one occupant, the set height of the garage may be 80 mm, and if there are two occupants, the set height of the garage may be 76 mm.

저장부(181)는 탑승자의 수에 대응하는 기어부의 기어비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torage unit 181 may also store the gear ratio of the gear unit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passengers.

저장부(181)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storage unit 181 may include non-volatile memory devices such as cache, read only memory (ROM), programmable ROM (P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and flash memory or RAM. It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of a volatile memory device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a hard disk drive (HDD), or a storage medium such as a CD-RO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저장부(171)는 제어부(170)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storage unit 171 may be a memory implemented as a separate chip from the processor described above in relation to the controller 170, or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hip with the processor.

구동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모터(144)를 구동시킨다.The driving unit 190 drives the motor 144 based on a control command from the control unit 180 .

구동부(190)는 제1 능동형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F)의 모터(144) 및 1 능동형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R)의 모터(144)를 구동시킨다.The driver 190 drives the motor 144 of the first active stabilization device 140F and the motor 144 of the first active stabilization device 140R.

구동부(190)는 각 모터(144)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 및 방향을 조절하는 전류 조절부일 수 있다.The driving unit 190 may be a current controller that adjusts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current applied to each motor 144 .

구동부(190)는 각 모터(144)에 3상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6개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인버터(즉, 3상 풀 브리지 인버터)일 수 있다.The driver 190 may be an inverter (ie, a 3-phase full bridge inverter) including 6 switching elements for supplying 3-phase power to each motor 144 .

도 8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구성도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8 is a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1 .

차량은 시동이 온되면, 내부의 구성부에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한다. When the engine of the vehicle is turned on, power from the battery is supplied to internal components.

차량은 장애물 검출부(150)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를 수신(201)하고, 수신된 장애물 검출부(150)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자 차량의 주변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며, 장애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수신된 장애물 검출부(150)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장애물의 위치 정보를 획득(202)한다.The vehicle receives th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obstacle detection unit 150 (201), determines whether an obstacle exists around the vehicle based on the received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obstacle detection unit 15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an obstacle exists Based on the received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obstacle detection unit 150,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bstacle is acquired (202).

여기서 장애물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자 차량의 직진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장애물의 방향 및 장애물과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Obtain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stacle includes 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direction of the obstacle and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based on the straight driving direction of the user's vehicle.

즉 차량은 장애물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장애물의 방향 및 장애물의 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That is, the vehicle may acquire the direction and distance of the obstacl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stacle.

좀 더 구체적으로 차량은 제1장애물검출부(151)의 라이다 센서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제2검출 영역(a2) 내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제2검출 영역(a2) 내의 장애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제1장애물검출부의 라이다 센서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장애물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More specifically, the vehicle determines whether an obstacle exists in the second detection area a2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lidar sensor of the first obstacle detection unit 151, and determines whether an obstacle exists in the second detection area a2.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obstacl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obstacle is obtained based on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LIDAR sensor of the first obstacle detection unit.

장애물의 위치 정보는 장애물의 방향과 장애물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obstacle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direction of the obstacle and the distance of the obstacle.

차량은 제2장애물검출부에서 검출된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을 실시간으로 영상처리하고 영상 처리된 영상 내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내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장애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장애물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획득한다.The vehicle processes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detected by the second obstacle detection unit in real time, determines whether an obstacle exists in the processed image, determines whether an obstacle exists in at least one of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and determines whether an obstacle exists in the imag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exists,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is obtained in real time.

차량은 제3장애물검출부의 라이다 센서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좌우 측면의 제3검출 영역(a3) 내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제3검출 영역(a3) 내에 장애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제3장애물검출부의 라이다 센서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장애물의 위치를 확인한다.The vehicle determines whether an obstacle exists within the third detection area a3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lidar sensor of the third obstacle detection unit, and determines that an obstacle exists within the third detection area a3. Then,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is confirmed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LIDAR sensor of the third obstacle detection unit.

또한 차량은 제4장애물 검출부(154)의 레이더 센서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제4검출 영역(a4) 내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장애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제4장애물 검출부(154)의 레이더 센서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장애물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In addition, the vehicle determines whether an obstacle exists within the fourth detection area a4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radar sensor of the fourth obstacle detection unit 154,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an obstacle exists, the fourth obstacle detection unit 154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radar sensor,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bstacle is obtained.

차량은 장애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장애물의 방향에 기초하여 장애물과의 측면 충돌 가능성의 존재 여부를 판단(203)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obstacle exists, the vehicle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a side collision with the obstacle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obstacle (203).

즉 차량은 장애물이 자 차량의 전방의 중앙 및 후방의 중앙에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장애물과 측면 충돌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한다.That is, the vehicle determines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a side collision with the obstac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bstacle exists in the center of the front and the center of the rear of the vehicle.

여기서 장애물이 자 차량의 전방의 중앙 및 후방의 중앙에 존재하는 것은, 자 차로를 주행하는 타 차량이 자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Here, the fact that the obstacle exists in the center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user vehicle means that other vehicles traveling in the user lane exist in front and rear of the user vehicle.

자 차로는 자 차량이 주행하는 차로이다.The child lane is a lane in which the child vehicle travels.

차량은 자 차량의 좌측 및 우측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장애물과 측면 충돌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exists on at least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a side collision with an obstacle.

아울러 차량은 장애물이 측면에 존재하면 충돌 방지 모드의 동작을 수행하고, 이때 표시부의 경고 램프를 점등시키거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한다.In addition, when an obstacle exists on the side of the vehicle, the vehicle performs an operation in an anti-collision mode, and at this time, a warning lamp of the display unit is turned on or a warning sound is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차량은 장애물 검출부(150)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장애물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장애물과의 거리를 획득한다. 이때 차량은 실시간으로 장애물과의 거리를 획득한다.The vehicle acquire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bstacl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obstacle detection unit 150 and obtains a distance to the obstacle based on the obtained position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vehicle acquires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in real tim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은 실시간으로 획득된 거리에 기초하여 시간 변화에 따른 거리 변화를 획득하고 획득된 거리 변화에 기초하여 장애물(v1)과 자 차량의 거리(d1)가 짧아지는지를 확인하고, 자 차량과 장애물(v1)과의 거리(D1)가 짧아지고 있다고 판단되면 측면 충돌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2차로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in FIG. 8 , the vehicle acquires a distance change over time based on the distance acquired in real time and determines whether the distance d1 between the obstacle v1 and the vehicle is shortened based on the obtained distance change. If it is confirmed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tance D1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bstacle v1 is shortening, it is also possible to secondarily confirm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a side collision.

여기서 차량과 장애물과의 거리 변화가 짧아지고 있다는 것은, 자 차로로 진입하는 타 차량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Here, that a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bstacle is shortened means that another vehicle entering the own lane exists.

또한 차량과 장애물과의 거리 변화가 짧아지고 있다는 것은, 자 차로로 차로를 변경하는 타 차량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자 차로는 자 차량이 주행하는 차로이다.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bstacle is shortened means that there is another vehicle changing lanes to the own lane. Here, the child lane is a lane in which the child vehicle travels.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은 자 차량과 장애물(v2)과의 거리(d2)가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자 차량과 장애물(v2)의 거리(d2)가 짧아지거나 길어지는 것을 반복하면 측면 충돌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하거나 매우 낮다고 판단하여 일반 모드를 수행한다.As shown in FIG. 9 , if the distance d2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bstacle v2 is kept constant or the distance d2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bstacle v2 is repeatedly shortened or lengthened, the vehicle sideways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llision or that it is very low, and the normal mode is performed.

여기서 차량과 장애물과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자 차량과 장애물의 거리가 짧아지거나 길어지는 것을 반복하는 것은, 자 차로의 옆 차로를 주행하는 타 차량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Her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bstacle is kept constant or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bstacle is shortened or lengthened repeatedly, it means that there is another vehicle driving in the lane next to the own lane.

차량은 좌측 및 우측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의 측면 충돌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장애물 검출부(150) 및 속도 검출부(170)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가 장애물과의 충돌에 대응할 수 있을지에 대한 운전자의 대응 가능성을 판단(204)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a side collision of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the driver determines whether the driver can respond to a collision with the obstacl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obstacle detection unit 150 and the speed detection unit 170. A response possibility is determined (204).

여기서 운전자가 장애물과의 충돌에 대응하는 것은, 장애물과 충돌 전에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한다. Here, the driver responding to the collision with the obstacle includes moving to another location before colliding with the obstacle.

차량은 장애물 검출부(150)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장애물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장애물과의 거리를 획득한다. 이때 차량은 실시간으로 장애물과의 거리를 획득한다.The vehicle acquire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bstacl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obstacle detection unit 150 and obtains a distance to the obstacle based on the obtained position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vehicle acquires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in real time.

차량은 실시간으로 획득된 거리에 기초하여 시간 변화에 따른 거리 변화를 획득하고 거리 변화에 따른 타 차량의 상대 속도를 획득한다. 그리고 차량은 속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자 차량의 주행 속도를 획득한다.The vehicle acquires a distance change according to a time change based on the distance obtained in real time and obtains a relative speed of another vehicle according to the distance change. And the vehicle obtains the driving speed of the own vehicl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peed detection unit.

다음 차량은 획득된 거리 변화에 따른 상대 속도와 주행 속도에 기초하여 측면의 장애물과 충돌하기까지 소요되는 충돌 시간을 획득하고, 미리 설정된 운전자의 반응 시간과 충돌 시간을 비교하여 운전자의 대응 가능성을 판단한다.The next vehicle obtains the collision time required to collide with an obstacle on the side based on the relative speed and driving speed according to the obtained distance change, and compares the preset driver's reaction time with the collision time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the driver's response. do.

즉 차량은 충돌 시간이 운전자의 반응 시간보다 짧으면 운전자가 충돌에 대응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충돌 시간이 운전자의 반응 시간 이상이면 운전자가 충돌에 대응 가능하다고 판단한다.That is, if the collision time is shorter than the driver's reaction time, the vehicle determines that the driver cannot respond to the collision, and if the collision time is longer than the driver's reaction time, the vehicle determines that the driver can respond to the collision.

차량은 운전자가 충돌에 대응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장애물 검출부(150)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장애물과 충돌하는 측면의 방향을 확인하고, 제1, 2능동형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의 모터(144)를 제어하여 차고 조절 모드를 수행(205)함으로써 확인된 측면의 차고의 높이가 상승하도록 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cannot respond to the collision, the vehicle checks the direction of the side colliding with the obstacl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obstacle detection unit 150, and the motor 144 of the first and second active stabilization devices 140 By controlling the vehicle height adjustment mode (205), the height of the vehicle vehicle on the confirmed side is increased.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은 우측 측면의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고 운전자의 대응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차고 조절 모드를 수행하지 않고 일반 모드를 수행한다.As shown in FIG. 10A , the vehicle performs the normal mode without performing the vehicle height adjustment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on the right side and the driver's response is possible.

여기서 운전자의 대응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것은, 타 차량과의 거리가 멀고, 타 차량과의 충돌까지 시간이 길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로 인해 타 차량과 충돌 전에 다른 위치로 이동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Here, determining that the driver's response is possible means that the distance from the other vehicle is long and the time until the collision with the other vehicle is long, which means that the driver can move to another location before colliding with the other vehicle.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은 차량의 우측 측면에 타 차량(v1)이 존재하고, 이 타 차량과의 측면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고 운전자의 대응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차량의 전후방에 각각 마련된 제1, 2능동형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의 모터(144)의 회전 방향 및 회전력(또는 회전수)을 제어하고, 기어부의 기어비를 제어하여 스태빌라이저 바(141)의 좌우의 비틀림을 조절한다.As shown in FIG. 10B, the vehicle 100 has another vehicle v1 on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a side collision with the other vehicle and the driver cannot respond,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The rotation direction and rotational force (or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144 of the first and second active stabilization devices 140 are controlled, and the gear ratio of the gear unit is controlled to adjust the left and right twist of the stabilizer bar 141 do.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은 차고 조절 모드의 수행에 의해 우측 차고의 높이가 설정 높이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타 차량과의 충돌 부분이 강성이 강한 사이드 패널의 사이드 레일 및 플로우 패널이 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10, the vehicle adjusts the height of the right side garage to the set height by performing the vehicle height adjustment mode, so that the collision portion with the other vehicle becomes the side rail and flow panel of the side panel with strong rigidity.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은 좌측 측면의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고 운전자의 대응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차량의 전후방에 각각 마련된 제1, 2능동형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의 모터(144)의 회전 방향 및 회전력(또는 회전수)을 제어하고, 기어부의 기어비를 제어하여 스태빌라이저 바(141)의 좌우의 비틀림을 조절함으로써 좌측 차고의 높이가 설정 높이로 조절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10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on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and the driver's response is impossible, the motors 144 of the first and second active stabilization devices 140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The height of the left garage is adjusted to the set height by controlling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rotational force (or rotational speed) and controlling the gear ratio of the gear unit to adjust the left and right twist of the stabilizer bar 141.

또한 차량은 좌측 측면의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고 운전자의 대응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좌우의 현가 장치의 에어 서스펜션의 압축량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on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and the driver cannot respo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mount of compression of the air suspension of the left and right suspension devices.

또한 차량은 좌측과 우측 측면 모두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고 운전자의 대응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좌측 차고와 우측 차고의 높이가 모두 설정 높이로 조절되도록 차고 조절 모드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and the driver cannot respond, the vehicle height adjustment mode may be performed so that both the heights of the left and right garages are adjusted to the set heights.

차량은 차고 조절 모드의 수행 시, 탑승자 검출부(160)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내부의 탑승자의 수를 판단하고 판단된 탑승자의 수에 대응하는 차고의 설정 높이(Δh)를 확인하고 확인된 설정 높이로 차고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When the vehicle performs the height adjustment mode, the number of occupants inside the vehicle is determined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occupant detection unit 160, and the set height (Δh) of the garag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number of occupants is checked and confirmed.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garage to a set height.

여기서 차고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은, 제1, 2능동형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의 모터(144)를 각각 제어하여, 좌측 차고의 높이가 상승되도록 하거나, 우측 차고의 높이가 상승되도록 하거나, 좌우측 차고의 높이가 상승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Here, adjusting the height of the garage is to control the motors 144 of the first and second active stabilization devices 140, respectively, so that the height of the left garage rises, the height of the right garage rises, or the left and right This may include allowing the height of the garage to be raised.

또한 차고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은, 제1, 2능동형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의 모터(144)의 회전수 및 기어부의 기어비를 각각 제어하여, 좌측 차고의 높이가 상승되도록 하거나, 우측 차고의 높이가 상승되도록 하거나, 좌우측 차고의 높이가 상승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djusting the height of the garage is to control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motor 144 of the first and second active stabilization devices 140 and the gear ratio of the gear unit, respectively, so that the height of the left garage rises, or the right garage It may include raising the height or raising the height of the left and right garages.

차량은 운전자가 충돌에 대응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장애물 검출부(150)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장애물과 충돌하는 측면의 방향을 확인하고, 현가 장치의 에어 서스펜션을 제어하여 차고 조절 모드를 수행함으로써 확인된 측면의 차고의 높이가 미리 설정된 설정 높이로 상승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cannot respond to the collision, the vehicle checks the direction of the side colliding with the obstacl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obstacle detection unit 150, and controls the air suspension of the suspension device to perform the height adjustment mode. It is also possible to cause the height of the garage to rise to a preset height.

차량은 운전자가 충돌에 대응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차고 조절 모드를 수행하고, 이때 표시부의 경고 램프의 점등을 제어하고, 사운드 출력부의 경고음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is unable to respond to a collision, the vehicle performs a vehicle height adjustment mode, and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control lighting of a warning lamp of a display unit and control the output of a warning sound of a sound output unit.

차량은 운전자가 충돌에 대응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일반 모드를 수행(206)한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can respond to a collision, the vehicle performs a normal mode (206).

차량은 일반 모드의 수행 시 차고의 좌우측 차고의 높이를 기준 높이로 제어한다. 즉 차량은 일반 모드의 수행 시 좌우측 차고의 높이를 기준 높이로 서로 동일하게 제어한다.When performing the normal mode, the vehicle controls the height of the left and right garages as the reference height. That is, the vehicle controls the heights of the left and right garages to be the same as the reference heights when performing the normal mode.

여기서 일반 모드를 수행하는 것은, 가속도 검출부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롤 각을 획득하고 획득된 롤 각에 기초하여 제1, 2능동형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의 모터(144)를 제어하여 안티 롤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Here, the normal mode is performed by acquiring the roll angl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acceleration detector and controlling the motors 144 of the first and second active stabilization devices 140 based on the obtained roll angle. Including performing an anti-roll function.

아울러 차량은 입력부를 통해 차고 조절 모드를 온 시켜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장애물과의 충돌을 판단하고, 장애물과의 측면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면 장애물과의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차고 조절 모드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vehicle turns on the height adjustment mode through the input unit to determine a collision with an obstacle while the ignition is off, and if there is a possibility of a side collision with the obstacle, the vehicle height adjustment mode is performed to minimize the impact with the obstacle. It is possible.

즉 차량이 주정차된 상태에서 장애물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측면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고, 측면 충돌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장애물과 충돌하는 측면의 방향을 확인하고, 제1, 2능동형 스태빌리제이션 장치(140)의 모터(144)를 제어하여 차고 조절 모드를 수행함으로써 확인된 측면의 차고의 높이가 상승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That is, the possibility of a side collis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obstacle detection unit while the vehicle is parked and stoppe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sibility of a side collision exists, the direction of the side colliding with the obstacle is checked, and the first and second active stabilizers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motor 144 of the localization device 140 to perform the vehicle height adjustment mode so that the height of the vehicle vehicle on the confirmed side increases.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물과의 측면 충돌 시 강성이 강한 차량의 사이드 패널의 사이드 레일 및 플로우 패널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장애물이 차량의 도어 및 필러에 인가되는 충격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 in case of a side collision with an obstacle, the amount of impact applied to the door and pillar of the vehicle by the obstacle can be minimized by exposing the side rail and the flow panel of the side panel of the vehicle having strong rigidity to the outside.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물과의 측면 충돌 발생 시, 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의 변형 량이 종래 대비 감소됨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 when a side collision with an obstacle occurs, it can be seen that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door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reduced compared to the prior art.

100: 차량 127: 입력부
128: 표시부 129: 사운드 출력부
130: 차대 131R, 131L: 전륜
132R, 132L: 후륜 140: 능동형 스태빌리제이션 장치
100: vehicle 127: input unit
128: display unit 129: sound output unit
130: chassis 131R, 131L: front wheel
132R, 132L: rear wheel 140: active stabilization device

Claims (17)

차체;
상기 차체 주변의 장애물을 검출하는 장애물 검출부;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검출부;
상기 차체에 연결된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
상기 장애물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장애물과의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고, 상기 장애물과 충돌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장애물과의 충돌에 대해 운전자의 대응이 가능한지를 판단하고 상기 운전자의 대응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차체의 좌우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의 대응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차체의 좌우 측면의 높이를 기준 높이로 조절하도록 상기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가속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차체의 롤 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롤 각에 기초하여 안티 롤 제어를 수행하도록 상기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
car body;
an obstacle detection unit that detects obstacles around the vehicle body;
an acceleration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cceleration;
an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the obstacle is determined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obstacle detection unit,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the obstacle, the driver responds to the collision with the obstacle based on the detected detection information.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it is possible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to adjust the height of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vehicle bod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s response is impossib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can respo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to adjust the heights of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vehicle body to a reference height, and controls the vehicle body based on the acceleration detected by the acceleration detection unit. A vehicle that obtains a roll angle of , and controls operation of the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to perform anti-roll control based on the obtained roll ang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장애물의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장애물의 위치가 상기 차체의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면의 차체의 높이가 설정 높이로 상승되도록 상기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설정 높이는, 사이드 패널 및 플로우 패널 중 적어도 하나가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는 방향 쪽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높이인 차량.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If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is obtained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is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body,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on the at least one side is raised to a set height. Including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oll stabilization device,
The set height is a height at which at least one of the side panel and the flow panel is exposed toward a direction in which a possibility of collision exist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주행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속도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장애물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상기 실시간으로 획득된 상기 장애물의 위치에 기초하여 시간에 따른 장애물과의 거리 변화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거리 변화와 상기 주행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장애물과의 충돌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충돌 시간과 운전자의 반응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운전자의 대응이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peed detector for detecting the traveling speed,
The control unit acquires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in real tim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obstacle detection unit, checks a change in distance to the obstacle over tim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acquired in real time, and and obtaining a collision time with the obstacle based on a change in distance and the driving speed, and determining whether the driver can respond by comparing the obtained collision time with the driver's reaction time.
제 1 항에 있어서,
탑승자의 탑승 여부를 검출하는 탑승자 검출부;
상기 탑승자의 수에 대응하는 설정 높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탑승자 검출부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탑승자의 수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탑승자의 수에 대응하는 설정 높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설정 높이로 상기 차체의 좌우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According to claim 1,
an occupant detecting unit that detects whether a passenger is boarding;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set height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passengers,
The control unit obtains the number of occupants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occupant detection unit, determines a set height corresponding to the obtained number of occupants, and determines a height of at least one of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vehicle body as the checked set height. and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so that is adjusted.
제 1 항에 있어서,
현가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과 충돌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차체의 좌우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현가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uspension devic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uspension device to adjust a height of at least one of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vehicle bod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the obsta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검출부는,
상기 차체의 프론트 패널, 리어 패널 또는 상기 차체의 양쪽 측면에 마련되는 차량.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bstacle detection unit,
A vehicle provided on a front panel, a rear panel, or both side surfaces of the vehicle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검출부는,
라이다 센서, 레이더 센서 또는 영상 검출부를 포함하는 차량.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bstacle detection unit,
A vehicle that includes a lidar sensor, a radar sensor, or an image detector.
차체의 주변의 장애물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장애물과의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고,
상기 장애물과 충돌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장애물과의 충돌에 대해 운전자의 대응이 가능한지를 판단하고,
상기 운전자의 대응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차체의 좌우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를 설정 높이로 조절하도록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운전자의 대응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차체의 좌우 측면의 높이를 기준 높이로 조절하도록 상기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가속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차체의 롤 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롤 각에 기초하여 안티 롤 제어를 수행하도록 상기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Detect obstacles around the vehicle body,
Determining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the obstacle based on the detected detection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the obstacl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river can respond to the collision with the obstacle based on the detected detection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s response is impossible,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to adjust the height of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body to a set heigh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s response is possible, the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is controlled to adjust the height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body to a reference height, and the roll angle of the vehicle body is determined based on the acceleration detected by the acceleration detector.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for obtaining a roll angle and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to perform anti-roll control based on the obtained roll angl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장애물의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장애물의 위치가 상기 차체의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면의 차체의 높이가 상기 설정 높이로 상승되도록 상기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설정 높이는, 사이드 패널 및 플로우 패널 중 적어도 하나가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는 방향 쪽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높이인 차량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Obtaining a position of the obstacl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so that the height of the vehicle body on the at least one side is raised to the set heigh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is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body do,
The set height is a height at which at least one of the side panel and the flow panel is exposed toward a direction in which a possibility of collision exist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대응이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장애물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장애물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상기 실시간으로 획득된 상기 장애물의 위치에 기초하여 시간에 따른 장애물과의 거리 변화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거리 변화에 기초하여 장애물의 상대 속도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상대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장애물과의 충돌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충돌 시간이 운전자의 반응 시간보다 짧으면 상기 운전자의 대응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determining whether the driver can respond comprises:
Obtaining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in real tim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obstacle,
Checking a change in distance to the obstacle over tim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acquired in real time;
obtaining a relative speed of an obstacle based on the identified distance change;
obtaining a collision time with the obstacle based on the obtained relative speed;
and determining that the driver's response is impossible when the obtained collision time is shorter than the driver's reaction tim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좌우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를 설정 높이로 조절하는 것은,
탑승자 검출부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탑승자의 수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탑승자의 수에 대응하는 설정 높이를 확인하고,
상기 차체의 좌우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를 상기 설정 높이로 조절하도록 상기 능동형 롤 스태빌리제이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adjusting the height of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vehicle body to a set height,
obtaining the number of occupants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occupant detection unit;
Check the set height corresponding to the obtained number of passengers;
and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active roll stabilization device to adjust a height of at least one of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vehicle body to the set heigh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좌우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를 설정 높이로 조절하는 것은,
상기 장애물과 충돌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차체의 좌우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를 상기 설정 높이로 조절하도록 현가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adjusting the height of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vehicle body to a set height,
and controlling a suspension device to adjust a height of at least one of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vehicle body to the set heigh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the obstacle.
KR1020180017467A 2018-02-13 2018-02-13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4861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467A KR102486163B1 (en) 2018-02-13 2018-02-13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467A KR102486163B1 (en) 2018-02-13 2018-02-13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705A KR20190097705A (en) 2019-08-21
KR102486163B1 true KR102486163B1 (en) 2023-01-10

Family

ID=67808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467A KR102486163B1 (en) 2018-02-13 2018-02-13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16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260B1 (en) * 2019-12-05 2021-07-23 주식회사 만도 Vehicle bod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7396259B2 (en) * 2020-12-09 2023-12-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Automated driving vehicle and automated driving method
WO2023003450A1 (en) * 2021-08-30 2023-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Mov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116022081A (en) * 2023-01-05 2023-04-28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Anti-collis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vehicle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5130A (en) * 1998-09-21 2000-04-04 Toyota Motor Corp Vehicle collision control unit
JP2010221994A (en) * 2009-02-27 2010-10-07 Nissan Motor Co Ltd Driving operation auxiliary device for vehicle, driving operation auxiliary method for vehicle, and automobi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229B1 (en) * 2014-12-02 2021-12-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 method for presuming roll angle value of Active Rotary type Stabilizer for vehicles
KR101665451B1 (en) * 2014-12-08 2016-10-12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eciding emergency braking of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5130A (en) * 1998-09-21 2000-04-04 Toyota Motor Corp Vehicle collision control unit
JP2010221994A (en) * 2009-02-27 2010-10-07 Nissan Motor Co Ltd Driving operation auxiliary device for vehicle, driving operation auxiliary method for vehicle, and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705A (en)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6163B1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782368B1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313025B1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565928B1 (en) Automatic Driving control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00247208A1 (en)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US10730448B2 (en) Vehicle display device and vehicle
US8600606B2 (en) Vehicle safety systems and methods
US713893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emptively sensing an object and selectively operating both a collision countermeasure system and a parking assistance system aboard an automotive vehicle
US9174581B2 (en) Door step device for vehicle
KR102012171B1 (en) Impact mitigation by intelligent vehicle positioning
KR102663017B1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20200254995A1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1795403A1 (en) Situationally dependent vehicle structure for pedestrian protection
KR20180101008A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11524608B1 (en) Moving seats in a vehicle to enhance occupant protection
JP2005254923A (en) Vehicular shock-eliminating device
CN114126941A (en)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in the event of a collision and motor vehicle
KR20160060531A (en) Vehicle wheel twist system for small overlap frontal collisions
JP4862499B2 (en) Movable bumper device for vehicles
CN111873981A (en) Automatic driving control device, vehicle comprising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KR20190093758A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KR102430170B1 (en)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548868B1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N104691628A (en) Automatic pop-up B-pillar of automobile, control system and automobile
JP2019166922A (en) Bicy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of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