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250B1 - Method for generating a dynamic image using partial optical blocking - Google Patents

Method for generating a dynamic image using partial optical block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250B1
KR102470250B1 KR1020200036638A KR20200036638A KR102470250B1 KR 102470250 B1 KR102470250 B1 KR 102470250B1 KR 1020200036638 A KR1020200036638 A KR 1020200036638A KR 20200036638 A KR20200036638 A KR 20200036638A KR 102470250 B1 KR102470250 B1 KR 102470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area
image
blocking area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6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20222A (en
Inventor
박재현
Original Assignee
박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현 filed Critical 박재현
Priority to KR1020200036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250B1/en
Publication of KR20210120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2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2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1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creasing the dynamic range of the image compared to the dynamic range of the electronic image sensors
    • H04N5/235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3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exposure time
    • H04N5/23212
    • H04N5/23216
    • H04N5/235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디지털 카메라를 구성하는 이미지센서의 특정부분을 차단영역 또는 허용영역으로 설정하고, 차단영역 또는 허용영역에 차단방식(또는 허용방식)과 노출 정도를 설정하고, 초점의 변화를 주면서 촬영을 수행하여 사진 또는 동영상을 제작 & 편집(보정)함으로써, 사진 또는 동영상이 다이내믹해 지도록 하는 광학적 부분 차단을 이용한 다이내믹 영상 생성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광학적 부분 차단을 이용한 다이내믹 영상 생성방법은, 차단영역의 설정단계, 차단방식의 설정단계, 초점 설정단계 및 영상의 보정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한다. Set a specific part of the image sensor constituting the digital camera as a blocked area or allowed area, set the blocking method (or allowed method) and exposure level in the blocked area or allowed area, and take pictures while changing the focus. Alternatively, we propose a dynamic image generation method using optical partial blocking to make a photo or video dynamic by producing & editing (correcting) a video. The method for generating a dynamic image using optical partial blocking performs at least one of a blocking area setting step, a blocking method setting step, a focus setting step, and an image correction step.

Description

광학적 부분 차단을 이용한 다이내믹 영상 생성방법 {Method for generating a dynamic image using partial optical blocking} Method for generating a dynamic image using partial optical blocking {Method for generating a dynamic image using partial optical blocking}

본 발명은 영상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카메라를 구성하는 이미지센서의 특정부분을 차단영역 또는 허용영역으로 설정하고, 차단영역 또는 허용영역에 차단방식(또는 허용방식)과 노출 정도를 설정하며, 초점의 변화를 주면서 촬영하여 다이내믹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생성하는 광학적 부분 차단을 이용한 다이내믹 영상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generating an image, and in particular, sets a specific part of an image sensor constituting a digital camera as a blocking area or an acceptable area, and sets a blocking method (or an acceptable method) and exposure level in the blocking area or allowed area. And, it relates to a dynamic image generation method using optical partial blocking to generate a dynamic photo or video by taking a picture while giving a change in focus.

고급 SLR(Single Lenz Reflect) 카메라나 DSLR(Digital Single Lens Reflex) 카메라에서 반사경(Mirror)이 빠진 미러리스(Mirrorless) DSLR 카메라는 플래시 동조(Flash synchronizing) 기법이나 저속촬영(Slow Shutter) 기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적인 촬영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카메라는 고가일 뿐만 아니라 단일 기능 즉 카메라 기능만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활용의 폭이 좁았다. A high-end SLR (Single Lens Reflect) camera or a DSLR (Digital Single Lens Reflex) camera without a mirror is a mirrorless DSLR camera that uses a flash synchronizing technique or a slow shutter technique. Various dynamic shooting is possible. However, these cameras are not only expensive, but also have a narrow range of utilization in that they perform only a single function, that is, a camera function.

최근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장치에 장착되는 모바일 카메라(이하 모바일 카메라) 기술의 발달로 사용자들이 기존의 SLR/DSLR 카메라 대신 모바일 카메라로 간편하게 촬영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모바일 카메라는 기존 고급 SLR 카메라가 가지고 있는 광학적인 기능들이 탑재되지 않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필터를 이용한 색 변환과 애니메이션의 추가를 통해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고 있다. 고급 사양의 디지털 카메라가 아닌 일반인이 사용하는 보통의 디지털 카메라는 모바일 카메라와 거의 같은 급으로 취급할 수 있다.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camera (hereinafter referred to as mobile camera) technology installed in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users can easily take pictures with a mobile camera instead of an existing SLR/DSLR camera. However, since mobile cameras do not have optical functions that existing high-end SLR cameras have, these limitations are compensated for by adding color conversion and animation using software filters. Ordinary digital cameras used by ordinary people, not high-end digital cameras, can be treated on the same level as mobile cameras.

모바일 카메라(또는 보통의 디지털 카메라 포함)와 관련하여 영상의 색상을 변경하거나 이미 촬영된 영상에 애니메이션을 추가하는 소프트웨어 필터(Software Filter) 관련 콘텐츠가 소개되고 있지만, 광학(Optical)적인 콘텐츠가 아니라 소프트웨어적 콘텐츠로 만들어진 가상의 사진과 영상이기 때문에, 이런 사진과 영상에 대해 사용자들은 실제 사진과 영상이 아니라는 인식을 하는 경향이 있다. In relation to mobile cameras (or ordinary digital cameras), contents related to software filters that change the color of images or add animations to already recorded images are being introduced, but they are not optical contents, but software. Since they are virtual photos and videos made of enemy content, users tend to recognize that these photos and videos are not real photos and video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4249(2016년 01월 05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584249 (January 05, 201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디지털 카메라를 구성하는 이미지센서의 특정부분을 차단영역 또는 허용영역으로 설정하고, 차단영역 또는 허용영역에 차단방식(또는 허용방식)과 노출 정도를 설정하고, 초점의 변화를 주면서 촬영을 수행하여 사진 또는 동영상을 제작 & 편집(보정)함으로써, 제작된 사진 또는 동영상이 다이내믹해 지도록 하는 광학적 부분 차단을 이용한 다이내믹 영상 생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t a specific part of an image sensor constituting a digital camera as a blocking area or an acceptable area, and to set a blocking method (or an acceptable method) and exposure level in the blocking area or allowed area,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generating a dynamic image using optical partial cut-off to make a photo or video dynamic by producing & editing (correcting) a photo or video by taking a picture while changing the focus.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적 부분 차단을 이용한 다이내믹 영상 생성방법은, 차단영역의 설정단계, 차단방식의 설정단계, 초점 설정단계 및 영상의 보정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한다. The method for generating a dynamic image using optical partial bloc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performs at least one step of setting a blocking area, setting a blocking method, setting a focus, and correcting an image. .

상기 차단영역의 설정단계에서는 카메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거나 상기 카메라에서 제공하는 도형을 선택함으로써 차단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차단영역의 면적을 조정하거나, 상기 차단영역을 구분한다. 상기 차단방식의 설정단계에서는 상기 차단영역의 설정단계에서 1차 설정된 차단영역의 촬영 시의 차단순서 설정 및 차단영역별 차단 비율의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한다. 상기 초점 설정단계에서는 상기 카메라의 촬영 시 상기 차단영역 또는 상기 차단영역의 반전영역의 초점을 설정한다. 상기 영상의 보정단계에서는 상기 차단영역의 설정단계, 상기 차단방식의 설정단계 및 상기 초점 설정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촬영한 영상에 대하여, 상기 차단영역과 상기 차단영역의 반대영역의 비율의 설정하는 영역별 비율 설정, 미리 촬영한 차단영역의 영상과 차단영역이 촬영되지 않은 영상을 병합하는 영상의 병합, 및 상기 차단영역의 노출 양을 보정 하는 노출의 보정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최종 영상을 생성한다. 상기 차단영역의 설정단계, 상기 차단방식의 설정단계 및 상기 초점 설정단계는 카메라의 디스플레이에서 재생하는 메뉴에 응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설정되며, 상기 영상의 보정단계는 상기 카메라 디스플레이에서 재생하는 메뉴에 따라 사용자가 응답하여 입력하거나 상기 카메라 프로세서에서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수행한다. In the blocking area setting step, the blocking area is set by a camera user directly setting or by selecting a figure provided by the camera, and the area of the set blocking area is adjusted or the blocking area is divided. In the step of setting the blocking method, at least one of setting the blocking order and setting the blocking ratio for each blocked area is set when capturing the blocked area, which is primarily set in the blocking area setting step. In the focus setting step, the focus of the blocking area or an inverted area of the blocking area is set when the camera shoots. In the image correction step, at least one of the blocking area setting step, the blocking method setting step, and the focus setting step are performed, and the blocking region and the opposite region of the blocking region are obtained for an image captured according to a set condition. At least one of setting the ratio for each area to set the ratio, merging images of merging images of the blocked area that have been captured in advance and images without the blocked area, and exposure correction process for correcting the amount of exposure of the blocked area. to produce the final image. The blocking area setting step, the blocking method setting step, and the focus setting step are set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in response to the menu played on the camera display, and the image correction step is the menu played on the camera display. According to the user input in response, or the camera processor performs according to a pre-stored program.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학적 부분 차단을 이용한 다이내믹 영상 생성방법은, 디지털 카메라를 구성하는 이미지센서의 특정부분을 차단영역 또는 허용영역으로 설정하고, 차단영역 또는 허용영역에 차단방식(또는 허용방식)과 노출 정도를 설정하고, 초점의 변화를 주면서 촬영을 수행하여 사진 또는 동영상을 제작 & 편집(보정)함으로써, 제작된 영상에 정적인 부분과 동적인 부분의 혼합과 배경 흐림의 효과를 포함하여 영상이 다이내믹해 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dynamic image generation method using optical partial bloc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part of an image sensor constituting a digital camera is set as a blocking area or an allowed area, and a blocking method (or Allowable method) and exposure level are set, and shooting is performed while changing the focus to produce and edit (correction) a photo or video to create a mixture of static and dynamic parts and background blur effect in the produced video. It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the image to be dynamic, includ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적 부분 차단을 이용한 다이내믹 영상 생성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차단영역 설정단계를 설명한다.
도 3은 차단방식 설정단계를 설명한다.
도 4는 영상의 보정단계를 설명한다.
도 5는 사용자가 설정한 차단영역을 활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6은 사용자가 설정한 차단영역의 반전영역을 활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7은 허용영역의 활용 예를 설명한다.
도 8은 촬영영역에서 2개의 차단영역을 설정하고, 각각의 차단영역에 서로 다른 초점 및 서로 다른 차단비율을 설정하여 촬영하는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9는 촬영이 진행되는 과정 중 렌즈의 초점 변화에 따라 변하는 영상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허용영역의 설정 및 촬영 시간에 따른 렌즈의 초점거리 조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노출 부족 보정의 예를 설명한다.
도 12는 강제노출부족과 강제노출과다의 예를 설명한다.
1 describes a dynamic image generation method using optical partial bloc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explains the blocking area setting step.
Figure 3 explains the blocking method setting step.
Figure 4 explains the correction step of the image.
5 illustrates an example of capturing an image using a blocking area set by a user.
6 illustrates an example of capturing an image using an inversion area of a blocking area set by a user.
7 illustrates an example of using an allowed area.
FIG. 8 describes an embodiment in which two blocking areas are set in the shooting area, and shooting is performed by setting different focal points and different blocking ratios in each of the blocking areas.
9 shows an image that changes according to a change in focus of a lens during a photographing process.
10 explains the setting of the allowable area and the adjustment of the focal length of the lens according to the shooting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llustrates an example of underexposure correction.
12 illustrates examples of underexposure and overexposure.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dvantages in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정의한다. First,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defined.

영상이라는 용어는, 특별하게 구분하지 않는 한, 사진(정지 영상)과 동영상(동적 영상)을 모두 포함한다. 카메라는, 특별하게 구분하지 않는 한, 일반 디지털 카메라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장치에 탑재되어 있는 카메라를 모두 포함한다. The term video includes both photos (still images) and moving images (moving images), unless otherwise specified. A camera includes both a general digital camera and a camera mounted in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unless otherwise specified.

전체 촬영영역(이하 촬영영역)은 카메라로 촬영하고자 하는 영역 전체를 의미한다. 차단영역은 사용자가 지정하는 촬영영역의 일부의 영역으로, 카메라로 촬영영역을 촬영하지만 차단영역의 영상은 생성되지 않고 촬영영역 중 차단영역 이외의 영역의 영상만 생성된다. 허용영역은 촬영영역의 일부 영역에 대해 사용자가 지정하지만, 차단영역과는 반대로 카메라로 촬영영역을 촬영할 때 허용영역만 영상이 생성되고 촬영영역 중 허용영역 이외의 부분은 영상이 생성되지 않는다. The entire capturing a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apturing area) means the entire area to be captured by a camera. The blocking area is a part of the capturing area designated by the user. The capturing area is captured by the camera, but an image of the blocking area is not generated, and only an image of an area other than the blocking area is generated. The allowable area is designated by the user for a part of the capture area, but contrary to the blocking area, only the allowable area is generated when the camera captures the capture area, and no image is generated for parts other than the allowable area.

카메라에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의 외부로부터 내부방향으로 설치되는 필터, 광학 렌즈 그리고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술한 차단영역 또는 허용영역은 이미지센서에서 인식하고 처리하게 될 것이다. 예를 들면, 필터 및 광학 렌즈를 통과하여 복수의 픽셀(picture element)로 구현된 이미지센서에 도달한 외부의 빛을 전기신호로 변환할 때,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픽셀에서 차단영역 및 허용영역을 구분하여 신호처리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A camera module installed in a camera generally includes a filter, an optical lens, and an image sensor install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camera. The above-described blocking area or allowable area will be recognized and processed by the image sensor. For example, when external light that passes through a filter and an optical lens and reaches an image sensor implemented as a plurality of pixels (picture elements)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a blocking area and a permissible area are defined in pixels arranged in a matrix form. Since it can be implemented by signal processing separately, it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he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적 부분 차단을 이용한 다이내믹 영상 생성방법을 설명한다. 1 describes a dynamic image generation method using optical partial bloc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학적 부분 차단을 이용한 다이내믹 영상 생성방법(100, 이하 다이내믹 영상 생성방법)은 차단영역 설정단계(110), 차단방식 설정단계(120), 초점 설정단계(130), 영상의 보정단계(140) 및 영상의 저장단계(150)를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1, a dynamic image generation method (100, hereinafter, dynamic image generation method) using optical partial bloc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ocking area setting step 110, a blocking method setting step 120, and a focus setting step 130. ), image correction step 140 and image storage step 150 are performed.

차단영역 설정단계(110)에서는 사용자가 촬영영역에서 차단영역을 설정하며, 차단방식 설정단계(120)에서는 설정된 차단영역의 차단순서, 차단시간 및 차단비율과 같은 차단영역의 활용방식을 결정하며, 노출&초점 설정단계(130)에서는 카메라 촬영 시의 초점 이동을 설정하고, 영상의 보정단계(140)에서는 촬영 후 영상에서 차지하는 영역별 차단비율의 설정, 영상의 병합 및 노출의 보정 등을 수행하여 최종 영상을 생성하며, 영상의 저장단계(150)에서는 최종 영상은 물론이고, 최종 영상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모든 자료 영상도 함께 저장한다. In the blocking area setting step 110, the user sets the blocking area in the shooting area, and in the blocking method setting step 120, the blocking order of the set blocking area, blocking time, and blocking rate are determined. In the exposure & focus setting step 130, the focus movement is set when the camera is photographed, and in the image correction step 140, the blocking ratio for each area occupied in the image is set, the images are merged, and the exposure is corrected. A final image is generated, and in the image storage step 150, the final image as well as all data images used to generate the final image are stored together.

이하에서는 상술한 5개의 단계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above five step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차단영역 설정단계를 설명한다. Figure 2 explains the blocking area setting step.

도 2를 참조하면, 차단영역 설정단계(110)에서는 차단영역을 사용자가 직접 정의하는 직접 정의 단계(111), 차단영역을 사용자가 카메라에서 제공하는 도형 중에서 선택하여 정의하는 도형 선택 정의 단계(112), 1차 설정된 차단영역의 면적을 조정하는 차단영역 면적조정단계(113) 및 최종 설정된 차단영역을 구분하는 차단영역의 구분단계(114)를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2, in the blocking area setting step 110, a direct definition step 111 in which the user directly defines the blocking area and a shape selection definition step 112 in which the user selects and defines the blocking area from among the shapes provided by the camera ), a blocking area area adjustment step 113 for adjusting the area of the first set blocking area, and a blocking area dividing step 114 for dividing the finally set blocking area.

사용자는 직접 정의 단계(111) 및 도형 선택 정의 단계(112) 중 하나의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차단영역을 1차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The user may primarily set the blocking area by performing one of the direct definition step 111 and the figure selection definition step 112.

직접 정의 단계(111)에서는 카메라의 터치스크린 패널에 사용자의 손으로 차단영역을 지정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폐회로를 표시함으로써 차단영역을 설정할 수도 있고(111-1), 설정하고 싶은 영역의 가장자리의 3곳 이상을 손가락으로 입력(111-2)하고 이를 카메라 프로세서(미도시)에서 선으로 연결하여 설정하는 방식 등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In the direct definition step (111), the user's hand designates the cut-off area on the touch screen panel of the camera. The user may set the cut-off area by displaying a closed loop using a finger (111-1).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a method of inputting (111-2) three or more edges of the area with a finger and setting them by connecting them with a line in a camera processor (not shown).

도형 선택 정의 단계(112)에서, 카메라는 다양한 형태의 도형을 제공하고 사용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차단영역으로 지정하도록 하는데, 사용자는 도형을 선택하여 차단영역으로 지정하고 싶은 곳으로 이동하거나(112-1), 차단영역과 일치하는 도형이 없을 경우 복수의 도형을 선택하여 지정하고 싶은 곳으로 이동하여 중첩한 후 이들의 외곽선이 이루는 폐회로가 차단영역이 되도록(112-2) 하는 것이다. 차단영역이 복수 일 때에는 해당 차단영역에 대해 두 가지 방식(112-1, 112-2) 중 하나를 선택하여 각각의 차단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차단영역을 설정할 때, 동일한 형태의 도형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서로 다른 도형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12-3) In the figure selection definition step 112, the camera provides various types of figures, and the user selects at least one of them to designate as a blocking area. (112-1), if there is no figure that matches the blocking area, select a plurality of figures, move them to the place you want to designate, overlap them, and then make the closed circuit formed by their outlines become the blocking area (112-2). When there are multiple blocking areas, each blocking area can be defined by selecting one of two methods (112-1, 112-2) for the corresponding blocking area. In addition, when setting a plurality of blocking areas, it is possible to use figures of the same shape, but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 and use different figures. (112-3)

차단영역과 허용영역은 영역을 설정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특별히 구분할 필요가 없으면, 차단영역에 대해서 설명하고 이를 허용영역에 적용할 것이다. Since the blocking area and the allowed area are the same in terms of setting the area,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blocking area will be described and applied to the allowed area, unless there is a need to distinguish them.

차단영역의 면적조정단계(113)는, 상술한 2개의 단계(111, 112) 중 하나를 수행함으로써 1차 설정된 차단영역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들의 형태나 면적을 조정할 필요가 있을 때 수행하는 것으로, 1차 설정된 차단영역을 전체적으로 확장하거나 축소하는 스케일링 방식(113-1) 또는 차단영역의 일부 면을 선별적으로 확장 또는 축소하는 선별적 조정 방식(113-2)으로 차단영역의 면적을 조정함으로써 차단영역을 최종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adjusting the area of the blocking area (113), the firstly set blocking area can be used as it is by performing one of the above two steps (111, 112), but it is performed whe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shape or area of these areas. The area of the blocking area is adjusted by a scaling method (113-1) that expands or contracts the firstly set blocking area as a whole or a selective adjustment method (113-2) that selectively expands or contracts a part of the blocking area. By doing so, the blocking area can be finally set.

차단영역을 구분하는 단계(114)는, 상기 3개의 단계(111, 112, 113)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거쳐 확정된 최종 차단영역을 사용자가 육안으로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수행하며, 최종으로 설정된 차단영역의 외곽선(114-1)을 카메라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재생하거나, 차단영역에 특정 색상을 입히거나(114-2) 음영처리(114-3)를 하여 재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tep 114 of dividing the blocking area is performed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the final blocking area determin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three steps 111, 112, and 113, and It is preferable to reproduce the outline (114-1) of the blocking area set as , on the display panel of the camera, or by applying a specific color to the blocking area (114-2) or shading (114-3).

도 3은 차단방식 설정단계를 설명한다. Figure 3 explains the blocking method setting step.

도 3을 참조하면, 차단방식 설정단계(120)에서는 차단순서 설정단계(121) 및 차단영역별 비율 설정단계(122)를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3 , in the blocking method setting step 120, the blocking order setting step 121 and the blocking area ratio setting step 122 are performed.

차단순서 설정단계(121)에서는 최종 설정된 차단영역을 어떤 순서로 차단할 것인가를 설정하며, 차단영역 전체를 일시에 차단하는 방식(121-1)과 사용자가 지정하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차단하는 방식(121-2) 중 하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지정하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차단하는 방식(121-2)은, 예를 들면, 차단영역의 외부에서 중앙방향으로 또는 중앙에서 외부 방향으로 방사형을 차단하도록 하거나, 차단영역의 일면에서 타면 방향으로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순차적으로 차단하는 방식(121-2)에서는 차단영역의 차단을 시작해서 차단영역 전체가 차단되는 시간도 설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blocking order setting step 121, the order in which the finally set blocking area is to be blocked is set, and the method of blocking the entire blocking area at once (121-1) and the method of sequentially blocking according to the order specified by the user ( 121-2). The method (121-2) of sequentially blocking according to the order specified by the user, for example, to block radially from the outside to the center or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of the blocking area, or from one side of the blocking area to the other direction can be blocked with In the method of sequentially blocking (121-2), it is preferable to start blocking the blocking area and to set the time period during which the entire blocking area is blocked.

차단영역별 비율 설정단계(122)에서는 영상의 촬영시 차단영역과 차단영역으로 정의된 영역의 반대영역(비 차단영역)의 촬영비율(이하 차단비율)을 설정하거나(122-1), 영상의 촬영 시간 중 차단영역이 활용되는 시간구간(이하 차단시간)을 설정하도록 한다. 차단비율 및 차단시간은 차단영역별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반대로 비 차단영역별로 설정(122-3)하는 실시 예도 가능할 것이다. In the step of setting the ratio for each blocking area (122), the shooting ratio (hereinafter referred to as blocking ratio) of the blocking area and the opposite area (non-blocking area) of the area defined as the blocking area is set (122-1), or Set the time interv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blocking time) in which the blocking area is used during the shooting time. It is possible to set the blocking ratio and blocking time for each blocking area, but conversely, an embodiment in which they are set for each non-blocking area (122-3) will also be possible.

초점 설정단계(130)에서는, 차단영역 및 렌즈의 초점거리를 조정함으로써 배경 흐림과 같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셀피(Selfie) 사진 즉 카메라로 자신의 얼굴 사진을 찍고자 할 때에 설정하며, 예를 들면, 자신의 얼굴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흐릿하게 촬영하고자 할 때, 차단영역 및 렌즈의 초점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이를 달성할 수 있다. In the focus setting step 130, an image such as background blur is obtained by adjusting the blocking area and the focal length of the lens. In particular, it is set when you want to take a picture of your face with a camera, that is, a Selfie picture. This can be achieved.

예를 들면, 자신의 얼굴의 주변을 차단영역으로 설정하고(혹은 자신의 얼굴을 허용영역으로 설정하고), 촬영 시 일정시간에는 자신의 얼굴에 맞춘 초점거리로 자신의 얼굴 중심으로 촬영하고, 이후 일정시간에는 자신의 얼굴을 제외한 부분을 촬영하면서 렌즈의 초점거리를 최단렌즈 초점거리 또는 최대렌즈 초점거리로 이동하여 촬영하고, 이들을 결합한다. 이렇게 결합한 영상에 드러나는 얼굴은 흐린 배경을 통해서 보다 선명하게 될 것이다. For example, set the periphery of one's face as a blocking area (or set one's face as an acceptable area), take a picture in the center of one's face with a focal length tailored to one's fac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n During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focal length of the lens is moved to the shortest lens focal length or the maximum lens focal length while taking pictures of parts other than the face of the user, and the pictures are combined. The face revealed in this combined image will become clearer through the blurry background.

다만, 초점 설정단계(130)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상술한 바와 같이 배경 흐림 영상을 얻고자 할 때에만 선택적으로 사용하면 될 것이다. However, the focus setting step 130 is not essential and can be selectively used only when obtaining a background blur image as described above.

상기의 설명에서, 차단영역 설정단계(110), 차단방식 설정단계(120) 및 초점 설정단계(130)의 대부분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카메라의 프로세서에서 제공하는 메뉴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선택 또는 지정함으로써 수행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most of the blocking area setting step 110, the blocking method setting step 120, and the focus setting step 130 are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user's selection, but in reality, the menu provided by the camera processor In response to, it is performed by the user selecting or designating.

이하에서 설명하는 단계(140, 150)는 선행하는 3개의 단계(110, 120, 130)에서 설정된 바에 따라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카메라의 프로세서에서 수행하게 될 것이다. Steps 140 and 150 to be described below will be performed by the processor of the camera according to a preset program according to the settings in the preceding three steps 110, 120 and 130.

도 4는 영상의 보정단계를 설명한다. Figure 4 explains the correction step of the image.

도 4를 참조하면, 영상의 보정단계(140)에서는 영역별 차단비율 설정단계(141), 영상의 병합단계(142) 및 노출의 보정단계(143)를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4 , in the image correction step 140, a block ratio setting step 141 for each region, an image merging step 142, and an exposure correction step 143 are performed.

영역별 차단비율 설정단계(141)에서는 차단영역과 차단영역의 반대영역의 차단비율을 설정하며, 차단비율이라 함은 외부에서 입사되는 영상의 수신을 방해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즉 카메라의 이미지센서로 입사되는 빛의 입력 값을 설정된 비율로 강제 차단하는 것이다. 차단영역의 차단비율을 100%로 하고, 차단영역의 반대영역의 차단비율을 0%로 하는 것이 하나의 실시 예가 될 것이다. 이외에도 차단영역의 차단비율을 80%, 차단영역의 반대영역의 차단비율을 10%로 하는 실시 예도 가능할 것이다. 영역별 차단비율 설정단계(141)도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프로세서에서 제공하는 메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하는 과정을 거쳐 수행될 수 있다. In the blocking ratio setting step 141 for each area, a blocking ratio of a blocking area and an area opposite to the blocking area is set. That is, the input value of light incident to the image sensor of the camera is forcibly blocked at a set ratio. One embodiment would be to set the blocking ratio of the blocking area to 100% and to set the blocking ratio of the area opposite to the blocking area to 0%. In addition, an embodiment in which the blocking ratio of the blocking area is 80% and the blocking ratio of the area opposite to the blocking area is 10% will be possible. As described above, the blocking ratio setting step 141 for each region may also be performed through a user input process according to a menu provided by the camera processor.

영상의 병합단계(142)에서는 차단영역에 대하여 미리 촬영한 영상을 차단영역이 촬영되지 않은 영상에 병합하며, 이렇게 함으로써 차단영역의 정적인 영상이 차단영역의 반대영역의 동영상과 병합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은 미리 설정한 프로그램에 따라 카메라의 프로세서가 수행하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노출의 보정단계(143)도 카메라의 프로세서에서 수행하는 것은 동일하다. In the image merging step 142, a previously captured image of the blocking area is merged with an image in which the blocking area is not captured. In this way, a static image of the blocking area can be merged with a moving image of an area opposite to the blocking area. These operations are performed by the processor of the camera according to a preset program, and the exposure correction step 143 described below is also performed by the processor of the camera.

노출의 보정단계(143)에서는 차단영역의 노출 양을 보정 하거나 반대로 차단영역의 반대영역의 노출 양을 보정 한다. 여기서 보정이란 용어는, 노출 양을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한다. 차단방식 설정단계(120)에서 설정한 차단비율에 따라 촬영한 영상을 그대로 사용하기 어렵다고 판단한 때에는 촬영한 영상의 노출 양을 조정하여 영상을 보정 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exposure correction step 143, the exposure amount of the blocking area is corrected or, conversely, the exposure amount of the area opposite to the blocking area is corrected. Here, the term "correction" is used as a concept that includes both reducing and increasing the amount of exposu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difficult to use the captured image as it is according to the cutoff ratio set in the blocking method setting step 120, the image may be correct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exposure of the captured image.

예를 들면, 차단영역의 노출 양이 과다하다고 판단한 때에는 차단영역의 영상에서 노출 양을 감소시킨 새로운 영상을 생성할 수 있으며, 반대로 차단영역의 반대영역의 노출 양이 부족하다고 판단한 때에는 차단영역의 반대영역의 영상에서 노출 양을 증가시킨 새로운 영상을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xposure amount of the blocking area is excessive, a new image with a reduced exposure amount can be created from the image of the blocking area. It will be possible to create a new image with an increased amount of exposure in the image of the area.

영상의 보정 단계(140)를 거침으로써 최종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최종 영상은, 예를 들면, 정지영상과 동영상이 혼재하는 영상과 깨끗한 정지영상과 정지영상 주변의 흐릿한 영상이 혼재하는 영상을 포함하게 될 것이다. A final image may be generated by going through the image correction step 140 . The generated final image will include, for example, an image in which a still image and a moving image are mixed, and an image in which a clear still image and a blurry image around the still image are mixed.

영상의 저장단계(150)에서는 카메라 프로세서에서 수행하며, 상술한 단계(110~140)를 거쳐 생성한 최종 영상은 물론이고, 최종 영상을 생성하는데 사용한 모든 기초 영상을 저장한다. 저장장소는 다양하며, 예를 들면, 카메라의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하면 될 것이다. 기초 영상에는 보정 전의 영상 및 보정 후의 영상도 포함된다. 기초 영상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추후에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최종 영상을 새롭게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The image storage step 150 is performed by the camera processor, and all basic images used to generate the final image as well as the final image genera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steps 110 to 140 are stored. Storage locations vary, and may be stored, for example, in the memory of a camera or in an external memory. The base image includes an image before correction and an image after correction. Since the basic image is stored, various final images desired by the user can be newly created lat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사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Examples of using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below.

도 5는 사용자가 설정한 차단영역을 활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예를 설명한다. 5 illustrates an example of capturing an image using a blocking area set by a user.

도 5의 상부는 사용자가 촬영영역을 3초간 촬영한다고 가정할 때, 도 5의 상부에서 가장 좌측에서 오른쪽 순으로, 촬영 전 촬영영역을 재생하는 카메라의 뒷면 디스플레이, 0초~1초 사이, 1~2초 사이 그리고 2~3초 사이에 촬영한 영상에서 각각 선택한 하나의 프레임을 나타낸다. In the upper part of FIG. 5, assuming that the user captures the shooting area for 3 seconds, the rear display of the camera reproducing the shooting area before shooting, in order from the leftmost to the right in the upper part of FIG. 5, between 0 and 1 second, 1 It represents one frame selected from images taken between ~2 seconds and between 2 and 3 seconds, respectively.

이하의 설명에서는 특별하게 언급되지 않는 한, 하나의 도면 번호(부재 번호가 아님)에 도시되는 복수의 영상은 카메라를 한 방향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연속 촬영된 영상을 나열한 것으로 가정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is assumed that a plurality of images indicated by one drawing number (not a member number) is a sequence of images taken while the camera is fixed in one direction.

첫 번째, 세 번째 및 네 번째 사진에서 음영이 처리된 사람은 사용자가 차단영역으로 선택한 영역을 나타내며, 3초의 촬영 시간 중 최초 1초까지는 촬영영역 전체를 차단함이 없는 상태로 촬영하고(두 번째 도면), 이후 2초 동안에는 촬영영역에서 차단영역을 제외한 상태로 촬영(세 번째 및 네 번째 도면)을 진행하여 영상을 얻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In the first, third, and fourth pictures, the shaded person represents the area selected by the user as the blocking area, and the entire recording area is taken without blocking until the first 1 second of the 3-second recording time (the second Figure), it can be seen that for the next 2 seconds, images are obtained by proceeding with recording (third and fourth figures) excluding the blocking area from the recording area.

두 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차단영역으로 지정된 사람과 사람 근처에 위치하는 차량이 그대로 촬영되었는데, 두 번째 도면의 영상이 생성된 후 약 1초 후를 표시하는 세 번째에서는 사람은 촬영되지 않고 사람의 방향으로 약간 이동한 차량만 촬영되었으며, 이때 차단영역으로 설정된 사람이 위치하는 부분에서는 차량도 가려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네 번째 도면은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사람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차량의 전면부가 세 번째 도면에서보다 더 가려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the second drawing, the person designated as the blocking area and the vehicle located near the person were photographed as they are. It can be seen that only the vehicle slightly moved to was photographed, and at this time, the vehicle is also covered in the part where the person set as the blocking area is located. In the fourth drawing, it can be seen that as time passes, the front part of the vehicle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person is more covered than in the third drawing.

도 5의 하부에는 도 5의 상부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촬영한 영상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의 병합단계를 수행하여 얻은 최종 영상을 나타낸다. The lower part of FIG. 5 shows the final image obtained by performing the image merging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image taken through the process shown in the upper part of FIG. 5 .

도 5의 하부 도면을 참조하면, 도 5의 상부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촬영한 영상에 대하여 본 발명의 영상의 보정 단계(140) 중 영상의 병합단계(142)를 수행하여 얻은 최종 영상을 얻을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두 번째 영상에 포함된 사람의 영상을 세 번째 및 네 번째 영상에 오버랩(overlap) 시키는 것이다. 도 5의 하부에 도시된 최종 영상으로부터, 사람은 눈을 뜬 채 또는 눈을 감은 채 움직이지 않는 상태(화살표 참조)가 계속되지만 차량은 사람의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lower drawing of FIG. 5, the final image obtained by performing the image merging step 142 of the image correction step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image taken through the process shown in the upper part of FIG. 5 is obtained. For example, an image of a person included in the second image may be overlapped with the third and fourth images. From the final image shown in the lower portion of FIG. 5 , it can be seen that the vehicle continues t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person while the person continues to remain motionless (see arrow) with eyes open or eyes closed.

도 5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것은 차단영역을 그대로 활용하는 방식의 예이고, 설정한 차단영역의 반전영역 즉 촬영영역에서 차단영역으로 설정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활용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What is to be described in FIG. 5 is an example of a method of utilizing the blocking area as it is, and a method of utilizing the remaining area except for the area set as the blocking area in the shooting area, that is, an inverted area of the set blocking area is also possible.

도 6은 사용자가 설정한 차단영역의 반전영역을 활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예를 설명한다. 6 illustrates an example of capturing an image by utilizing an inverted area of a blocking area set by a user.

도 6의 상부는 사용자가 촬영영역을 3초간 촬영한다고 가정할 때, 가장 좌측에서 오른쪽 순으로, 촬영 전 촬영영역을 재생하는 카메라의 뒷면 디스플레이, 0초~1초 사이, 1~2초 사이 그리고 2~3초 사이에 촬영한 영상에서 각각 선택한 하나의 프레임을 나타낸다는 것은 도 5와 동일하다. Assuming that the user captures the recording area for 3 seconds, the upper part of FIG. 6 shows, in order from the leftmost to the right, the rear display of the camera that reproduces the recording area before recording, between 0 and 1 second, between 1 and 2 seconds, and It is the same as in FIG. 5 to indicate one frame selected from images captured between 2 and 3 seconds.

가장 좌측의 도면을 참조하면 차단영역이 사람에게 설정된 것은 도 5의 예와 동일하지만, 세 번째 및 네 번째 도면에 표시되는 영상은 도 5와는 차이가 있다. 도 6에서 두 번째 ~ 네 번째 음영으로 처리된 부분이 차단영역의 반전영역으로, 두 번째 도면에는 차단함이 없이 촬영영역 전체를 촬영하는 것은 도 5와 동일하지만, 세 번째 및 네 번째 도면은 차단영역으로 지정된 사람에 대해서는 촬영을 진행하지만 차단영역의 반전영역의 차량은 촬영을 진행하지 않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the leftmost drawing, the blocking area is set for a person as in the example of FIG. 5 , but the images displayed in the third and fourth drawing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FIG. 5 . In FIG. 6, the parts shaded from the second to the fourth are inverted areas of the blocking area, and the entire shooting area is taken without blocking in the second drawing, the same as in FIG. 5, but the third and fourth drawings are blocked. It can be seen that the photographing is performed for the person designated as the area, but the photographing is not performed for the vehicle in the inverted area of the blocking area.

도 6의 하부의 도면은 도 6의 상부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촬영한 영상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의 병합단계를 수행하여 얻은 최종 영상을 나타낸다. The lower drawing of FIG. 6 shows the final image obtained by performing the image merging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image taken through the process shown in the upper part of FIG. 6 .

도 6의 하부에 도시된 최종 영상을 참조하면, 사람은 정상적으로 눈을 깜빡이거나 움직임(화살표 참조)이 나타나지만 차는 고정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도 5의 하부에 도시된 최종 영상과는 반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the final image shown in the lower part of FIG. 6 , it can be seen that the person normally blinks or moves (refer to the arrow), but the car remains stationary. It can be seen that this is opposite to the final image shown at the bottom of FIG. 5 .

차단영역 및 차단영역의 반전영역의 활용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에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허용영역의 활용에 대해 설명한다. The utilization of the blocking area and the inversion area of the blocking area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Hereinafter, the use of the allowed area will be described.

도 7은 허용영역의 활용 예를 설명한다. 7 illustrates an example of using an allowed area.

도 7을 참조하면, 사람과 차량이 동시에 포함되는 촬영영역에서 사람의 눈을 허용영역으로 설정하였고(좌측 도면의 화살표), 전체 촬영시간이 3초, 0~1초 동안에는 촬영영역 전체, 1~2초 동안에는 허용영역만 촬영한 후 이를 보정 하면 허용영역인 사람의 눈은 깜빡거리지만(우측 도면의 화살표) 차량은 움직이지 않는 최종 영상을 얻는다(우측 도면)는 것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human eye was set as an allowable area in the recording area in which both a person and a vehicle were included (arrow in the drawing on the left), and the total recording time was 3 seconds, and the entire recording area for 0 to 1 seconds, 1 to 1 second. It can be seen that if only the allowable area is photographed for 2 seconds and then corrected, a final image in which the human eye blinks (arrow in the right figure) but the vehicle does not move (right figure) is obtained.

촬영영역에서 차단영역 또는 허용영역을 복수 개 정의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차단영역별로 차단비율 및 초점을 다르게 할 수 있다. Even when a plurality of blocking areas or allowable areas are defined in the imaging area, the present invention can exhibit effects. At this time, the blocking ratio and focus may be different for each blocking area.

도 8은 촬영영역에서 2개의 차단영역을 설정하고, 각각의 차단영역에 서로 다른 초점 및 서로 다른 차단비율을 설정하여 촬영하는 실시 예를 설명한다. FIG. 8 describes an embodiment in which two blocking areas are set in the shooting area, and shooting is performed by setting different focal points and different blocking ratios in each of the blocking areas.

도 8에 도시된 촬영영역에는 2명의 사람과 한 대의 차량이 포함되어 있는데, 좌측 하단의 사람에게 제1차단영역이 설정되었고 우측 중간의 사람에게 제2차단영역이 설정되었으며, 총 3초의 촬영시간 중, 0~1초 동안에는 촬영영역 전체를 정상적으로 촬영하고, 1~3초 동안에는 제1차단영역을 100% 비율로 차단하며, 1~2초 동안에는 제2차단영역을 50%의 비율로 차단한다고 가정한다. The shooting area shown in FIG. 8 includes two people and a vehicle. The first blocking area is set for the person in the lower left corner and the second blocking area is set for the person in the middle on the right. The total shooting time is 3 seconds. Suppose that during 0 to 1 second, the entire shooting area is normally recorded, for 1 to 3 seconds, the first blocking area is blocked at 100% rate, and for 1 to 2 seconds, the second blocking area is blocked at 50% rate. do.

도 8의 가장 좌측 도면을 참조하면, 제1차단영역의 사람이 카메라에서 가장 가깝게 있고, 제2차단영역에 있는 사람이 그 다음 거리에 있고 카메라에서 가장 멀리에 차량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the leftmost drawing of FIG. 8 , it can be seen that a person in the first blocking area is closest to the camera, a person in the second blocking area is next in distance, and a vehicle is farthest from the camera.

제1차단영역의 사람은 0~1초 사이에는 정상적으로 촬영되고 이어지는 1~3초 사이에는 얼굴은 100% 차단되고 얼굴 이외의 부분은 촬영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1차단영역의 사람은 얼굴 이외의 부분은 0~3초 동안 촬영이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제2차단영역의 사람은 0~1초 사이에는 정상적으로 촬영되고 1~2초 사이에는 50%만 촬영이 이루어지며, 나머지 2~3초 사이에는 정상적으로 촬영이 이루어진다. 차량은 차단이 전혀 없으므로, 0~3초간의 움직임이 모두 촬영될 것이다. The person in the first blocking area is photographed normally between 0 and 1 second, and for the following 1 to 3 seconds, the face is 100% blocked and parts other than the face are photographed. Therefore, the part of the person in the first blocking area other than the face will be photographed for 0 to 3 seconds. A person in the second blocking area is photographed normally between 0 and 1 second, only 50% is photographed between 1 and 2 seconds, and photographed normally between 2 and 3 seconds. Since the vehicle has no blockage at all, every movement from 0 to 3 seconds will be filmed.

따라서, 도 8의 가장 우측에 도면과 같이, 최종 영상에는 제1차단영역의 사람 얼굴은 거의 변화가 없게 되고, 이어서 제2차단영역의 사람 얼굴이 그 다음으로 거의 변호가 없을 것이며, 차단영역에 포함되지 않은 차량의 움직임은 영상에 그대로 반영된다. Therefore, as shown in the rightmost drawing of FIG. 8, in the final image, the human face in the first blocking area will hardly change, and then the human face in the second blocking area will next have little change. Movements of vehicles that are not included are reflected in the video as they are.

도 9는 촬영이 진행되는 과정 중 렌즈의 초점 변화에 따라 변하는 영상을 나타낸다. 9 shows an image that changes according to a change in focus of a lens during a photographing process.

도 9를 참조하면, 좌측에서 첫 번째 도면은 촬영을 시작하기 이전 상태(0m sec)를 나타내고, 두 번째 도면에서 시작하여 마지막 다섯 번째 도면은 각각 0~20ms, 21~40ms, 41~60ms 및 61~80ms에 촬영된 영상에서 추출한 하나의 프레임이고, 두 번째에서 다섯 번째 도면의 하부에는 해당 도면을 촬영할 때의 렌즈의 초점을 도시한 것이다. Referring to FIG. 9, the first drawing from the left shows a state (0 m sec) before starting recording, and the fifth drawing starting from the second drawing shows 0 to 20 ms, 21 to 40 ms, 41 to 60 ms, and 61 ms, respectively. It is one frame extracted from an image taken at ~80 ms, and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to fifth figures shows the focus of the lens when the figure is taken.

두 번째 도면은 허용영역으로 설정된 사람의 눈에 초점이 맞춰진 상태에서 생성된 것이고, 세 번째에서 다섯 번째 도면으로 갈수록 초점이 사람의 눈에서 사람의 배경 쪽으로 이동하며, 최종 초점이 사람과 배경 사이에만 머문다. 이러한 초점의 이동에 따라 세 번째부터 다섯 번째 사진으로 갈수록 사람과 배경이 동시에 희미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초점거리의 변화는 생성되는 화면의 변화로 귀결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second drawing was created with the human eye set as the allowable area in focus, and from the third to the fifth drawing, the focus moves from the human eye to the human background, and the final focus is only between the human and the background. stay It can be seen that the person and the background become blurred at the same time from the third to the fifth picture according to this shift of focus. It can be seen that the change of the focal length results in the change of the created screen.

본 발명에서는 촬영 시 초점거리의 변화를 차단영역(차단영역의 반전영역 및 허용영역 포함)과 함께 활용하여 배경 흐림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image of background blur by using the change in focal length during shooting together with a blocking area (including an inversion area and an allowable area of the blocking area).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허용영역의 설정 및 촬영 시간에 따른 렌즈의 초점거리 조정에 대해 설명한다. 10 explains the setting of the allowable area and the adjustment of the focal length of the lens according to the shooting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재생되는 사람과 차량 중 사람의 눈에 허용영역(화살표)을 설정하고(좌측 도면), 촬영시간을 100ms(milliseconds)로 할 때, 처음 20ms 동안에는 허용영역에 렌즈의 초점을 맞추어 촬영하고(우측 상부 도면), 이어서 21~80ms 동안에는 허용영역의 반전영역을 렌즈의 초점을 최단거리 또는 최장거리로 설정하여 촬영하며(우측 하부 도면) 나머지 81~100ms 동안에는 정상적인 초점으로 촬영한다. (미도시) Referring to FIG. 10, when a permissible area (arrow) is set for the human eye among a person and a vehicle displayed on a smartphone display (left drawing), and the shooting time is set to 100 ms (milliseconds), the permissible area is allowed for the first 20 ms. Then, for 21~80ms, the inversion area of the permissible area is photographed by setting the focus of the lens to the shortest or longest distance (lower right drawing), and normal for the remaining 81~100ms. shoot in focus (not shown)

우측 상부의 도면을 참조하면, 렌즈의 초점이 허용영역인 사람의 눈에 맞춰 있으므로, 사람의 눈은 깨끗한 영상으로 촬영 가능하지만 사람 뒤의 배경(차량)은 흐릿한 영상이 될 것이다. (이미지 1 참조) 우측 하부의 도면을 참조하면, 렌즈의 초점이 최단거리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람은 물론 사람 뒤의 배경(차량)도 흐릿하게 촬영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미지 2 참조) Referring to the drawing on the right side, since the focus of the lens is on the human eye, which is an acceptable area, the human eye can be captured as a clear image, but the background (vehicle) behind the person will be a blurry image. (Refer to Image 1) Referring to the drawing on the lower right, it can be confirmed that since the focus of the lens is set to the shortest distance, not only the person but also the background (vehicle) behind the person is blurred. (see image 2)

상술한 바와 같이, 차단영역의 설정과 촬영 시간에 따라 차단영역의 활용 및 초점거리를 조정함으로써 다양한 기초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기초 영상은, 촬영 시간에 따라 다른 초점으로 촬영된 모든 영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의 보정단계(140)를 수행하여 얻는 최종 영상에는 사람의 눈은 선명하지만 사람의 눈 이외의 배경은 흐릿한 배경 영상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선명한 영상을 얻고자 하는 영역을 사용자가 직접 정의하고 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장점이 발휘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various basic images can be generated by adjusting the focal length and utilization of the blocking area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blocking area and the shooting time. Here, the basic image means all images captured with different focal points according to the capturing time. In the final image obtained by performing the image correction step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ackground image in which the human eyes are clear but the background other than the human eyes is blurred may be obtained. The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monstrated in that a user can directly define an area to obtain a clear image and proceed with photographing.

본 발명에서는 영상을 보정 할 때(140) 노출을 보정(143) 한다고 하였는데, 아래와 같이, 노출의 보정을 통해 영상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다. 물론 이때에도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허용영역(차단영역)의 개념을 사용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rrecting an image (140), it is said that the exposure is corrected (143). Of course, even at this time, the concept of the allowed area (blocking area)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촬영영역을 촬영하는 동안, 차단영역이 아닌 부분은 동일한 노출이 계속유지하고 있지만, 차단영역은 설정한 일정시간 동안에는 전혀 촬영을 하지 않으므로 차단영역 이외의 영역에 비해 총 노출량이 감소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촬영 전은 물론 촬영 후에라도 영상을 보정할 때 노출의 보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While the shooting area is being photographed, the same exposure is maintained in the non-blocking area, but the blocking area is not photographed at all for a set period of time, so the total exposure will be reduced compared to areas other than the blocking area. Therefore, in view of this point,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exposure correction when correcting an image even after capturing as well as before capturing.

도 11은 노출 부족 보정의 예를 설명한다. 11 illustrates an example of underexposure correction.

도 11의 상부의 도면은 노출 보정 전을 설명하고 하부의 도면은 노출 보정 후를 각각 설명한다. The upper figure in FIG. 11 explains before exposure compensation, and the lower figure explains after exposure compensation, respectively.

전체 촬영시간을 100ms라고 가정할 때, 차단영역으로 정의된 사람을 20ms 동안 촬영하지 않는다고 할 때 차단영역의 사람은 총 80ms 동안 노출이 되지만, 차단영역 이외의 다른 영역은 100ms 동안 온전히 노출이 될 것이다. 도 11의 상부 도면을 참조하면, 노출 부족 영역 즉 차단영역으로 설정된 사람은 주위에 비해 어둡게 촬영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ssuming that the total recording time is 100 ms, if the person defined as the blocked area is not photographed for 20 ms, the person in the blocked area will be exposed for a total of 80 ms, but the area other than the blocked area will be fully exposed for 100 ms. . Referring to the upper drawing of FIG. 11 , it can be seen that the underexposed area, that is, the person set as the blocking area is photographed darker than the surroundings.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차단영역과 차단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노출시간을 감안하여, 촬영 전에는 차단영역의 노출을 차단영역 이외의 영역에 비해 높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기능은 이미지센서를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들을 맵핑하고 이들을 구분하여 신호처리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 도 11의 하부 도면을 참조하면, 보정 후에는 차단영역과 주변영역의 노출 차이에 의한 영상의 어두운 부분이 상당히 개선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 order to improve this disadvantage, considering the exposure time in the blocking area and the area other than the blocking area, the exposure of the blocking area may be set higher than that of areas other than the blocking area before shooting. As described above, this function can be realized by mapping a plurality of pixels constituting an image sensor, distinguishing them, and processing signals. Referring to the lower drawing of FIG. 11 ,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dark part of the image due to the exposure difference between the blocking area and the surrounding area i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correction.

차단영역과 노출의 보정은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보상의 개념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하에 설명하는 것과 같이 차단영역을 주변에 비해 돋보이도록 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Compensation of the blocking area and exposure may be used as a concept of compensation as shown in FIG. 11, but may also be used to make the blocking area stand out compared to the surroundings as described below.

도 12는 강제노출부족과 강제노출과다의 예를 설명한다. 12 illustrates examples of underexposure and overexposure.

도 12에서, 영상에 사람과 차량이 재생되고 있을 때, 사람의 얼굴을 제1차단영역으로 그리고 제1차단영역을 제외한 동일인의 나머지 부분 전체를 제2차단영역으로 설정하였으며(좌측 도면), 전체 촬영시간 100ms 중 0~20ms 동안에는 제1차단영역의 노출을 +2로 증가시켜 설정하고, 10~30ms 동안에 제2차단영역의 노출을 -4로 설정하였으며, 나머지 영역은 기본 노출(0, zero)로 촬영한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는 기본 노출에 비해 노출량을 증가한다는 것이고(강제노출과다), -는 기본 노출에 비해 노출량을 감소한다는(강제노출부족) 것을 의미한다. In FIG. 12, when a person and a vehicle are being reproduced in the video, the person's face is set as the first blocking area and the entire remaining part of the same person excluding the first blocking area is set as the second blocking area (left drawing), During 0 to 20 ms of the 100 ms shooting time, the exposure of the 1st blocking area was set by increasing to +2, and the exposure of the 2nd blocking area was set to -4 during 10 to 30 ms, and the rest of the area was set to default exposure (0, zero). Suppose you shoot with Here, + means that the exposure amount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basic exposure (overexposure), and - means that the exposure amount is decreased compared to the basic exposure (underexposure).

도 12의 우측 도면을 참조하면, 제1차단영역인 사람의 얼굴은 기본 노출보다 많이 노출되어 있으므로 촬영영역 전체에서 가장 빛나게 되며, 이어서 기본 노출로 촬영된 차량이 적당하게 빛나지만, 기본 노출보다 적게 노출된 제2차단영역은 차량에 비해 어둡게 표시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 on the right of FIG. 12 , the face of a person, which is the first blocking area, is exposed more than the basic exposure, so it shines the most in the entire shooting area. The exposed second blocking area is displayed darker than the vehicle.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In the abov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an illustrative exampl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is obvious that anyon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차단영역의 설정
120: 차단방식의 설정
130: 초점 설정
140: 영상의 보정
150: 영상의 저장
110: Set blocking area
120: Set blocking method
130: focus setting
140: correction of image
150: storage of image

Claims (6)

카메라를 이용해서 영상 촬영시, 이미지센서를 이용해서 촬영하고자 하는 전체 촬영영역에 대해 영상이 생성되지 않도록, 상기 이미지센서로 입사되는 빛의 입력 값을 강제 차단하는 차단영역을 설정하는 차단영역 설정단계,
상기 전체 촬영영역에 대해 상기 차단영역의 촬영시 촬영 순서와 차단영역별 차단 비율을 설정하는 차단방식 설정단계,
상기 카메라의 촬영시 상기 차단영역 또는 상기 차단영역의 반전영역의 초점을 설정하는 초점 설정단계 그리고
상기 차단영역, 차단방식 및 초점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차단영역과 반대영역의 비율을 설정하는 영역별 비율 설정, 상기 차단영역과 영상이 생성되도록 전체 촬영영역에서 상기 차단영역 이외의 허용영역을 포함하는 영상 생성 및 상기 차단영역의 노출 양을 보정 하는 노출의 보정과정을 수행하여 최종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의 보정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차단영역의 설정단계, 상기 차단방식의 설정단계 및 상기 초점 설정단계는 카메라의 디스플레이에서 재생하는 메뉴에 응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설정되며,
상기 영상의 보정단계는 상기 카메라 디스플레이에서 재생하는 메뉴에 따라 사용자가 응답하여 입력하거나 상기 카메라 프로세서에서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수행하는 광학적 부분 차단을 이용한 다이내믹 영상 생성방법.
Blocking area setting step of setting a blocking area for forcibly blocking the input value of light incident to the image sensor so that an image is not generated for the entire shooting area to be photographed using the image sensor when capturing an image using a camera. ,
A blocking method setting step of setting a shooting order and a blocking ratio for each blocking area when capturing the blocking area for the entire shooting area;
A focus setting step of setting the focus of the blocking area or an inverted area of the blocking area when photographing by the camera; and
Percentage setting for each area to set the ratio of the blocking area and the opposite area according to the conditions set in the blocking area, blocking method, and focus setting step, and an allowed area other than the blocking area in the entire shooting area so that the blocking area and the image are generated Performs an image correction step of generating a final image by performing an image generation including and an exposure correction process of correcting the exposure amount of the blocking area,
The blocking area setting step, the blocking method setting step, and the focus setting step are set according to a user's input in response to a menu played on a display of the camera,
The image correction step is performed by a user in response to a menu played on the camera display or performed according to a pre-stored program in the camera processor.
제1항에서, 상기 차단영역의 설정단계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카메라 디스플레이에서 재생되는 영상에서 상기 차단영역에 대응하는 폐회로를 표시함으로써 정의하거나, 적어도 3개의 포인트를 지정하여 차단영역을 정의하는 직접 정의 단계;
카메라 프로세서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 후 이를 카메라 디스플레이에서 재생되는 영상 중 차단영역으로 정의하고자 하는 부분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차단영역을 정의하는 도형 선택 정의 단계;
상기 직접 정의 단계 또는 상기 도형 선택 정의 단계에서 1차 설정된 차단영역의 면적 전체를 증감하는 스케일 방식으로 조정하거나 상기 1차 설정된 차단영역의 면적 일부를 선별적으로 조정하는 방식으로 조정하는 차단영역의 면적조정 단계; 및
상기 카메라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직접 정의 단계, 상기 도형 선택 정의 단계 및 상기 차단면적의 면적조정 단계에서 설정된 차단영역의 외곽선, 상기 차단영역에 색상의 부여 및 상기 차단영역의 음영처리 중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차단영역을 표시하는 차단영역의 구분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광학적 부분 차단을 이용한 다이내믹 영상 생성방법.
In claim 1, the step of setting the blocking area,
a direct definition step in which a user defines a closed circuit corresponding to the blocking area in an image reproduced on the camera display with a finger, or defines a blocking area by designating at least three points;
a figure selection definition step of defining a blocking area by selecting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shapes provided by a camera processor and moving the selected shape to a portion to be defined as a blocking area among images played on a camera display;
In the direct definition step or the shape selection definition step, the area of the blocking region that is adjusted in a scale method that increases or decreases the entire area of the firstly set blocking region or selectively adjusts a part of the area of the firstly set blocking region adjustment phase; and
On the display of the camera, in one of the outline of the blocking area set in the direct definition step, the shape selection definition step, and the area adjustment step of the blocking area, assigning a color to the blocking area, and shading the blocking area. a blocking area division step of displaying the blocking area; middle
A method for generating a dynamic image using at least one optical partial blockage.
제2항에서, 상기 도형 선택 정의 단계는,
상기 카메라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도형에서 복수의 도형을 선택한 후, 이를 이동하여 중첩하고 이들의 외곽선으로 상기 차단영역을 정의하는 단계; 및
복수의 차단영역에 대하여 서로 다른 도형으로 차단영역을 정의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수행하는 광학적 부분 차단을 이용한 다이내믹 영상 생성방법.
In claim 2, the step of defining the figure selection,
selecting a plurality of figures from among the plurality of figures provided by the camera, moving and overlapping the figures, and defining the blocking area with their outlines; and
Defining a blocking area with different shapes for a plurality of blocking areas; middle
A dynamic image generation method using at least one additional optical partial blocking.
제1항에서, 상기 차단방식 설정단계에서는,
상기 차단영역 전체를 동시에 차단하도록 설정하거나 사용자가 지정하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차단하도록 설정하는 차단순서 설정단계; 및
차단영역별로 차단비율의 설정 및 차단영역별로 차단시간의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차단영역별 비율 설정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광학적 부분 차단을 이용한 다이내믹 영상 생성방법.
In claim 1, in the blocking method setting step,
a blocking order setting step of setting the entire blocking area to be blocked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according to a user-designated order; and
a ratio setting step for each blocking area to set at least one of setting a blocking ratio for each blocking area and setting a blocking time for each blocking area; middle
A method for generating a dynamic image using at least one optical partial blockage.
제4항에서, 상기 사용자가 지정하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설정은,
상기 차단영역의 외부에서 중앙방향으로 또는 상기 차단영역의 중앙에서 외부 방향으로 방사형으로 차단하도록 하거나, 상기 차단영역의 하나의 면으로부터 타면 방향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광학적 부분 차단을 이용한 다이내믹 영상 생성방법.
In claim 4, the setting to sequentially block according to the order specified by the user,
Dynamic image generation method using optical partial blocking to block radially from the outside of the blocking area to the center or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of the blocking area, or to block from one side of the blocking area to the other side.
제1항에서,
상기 카메라의 프로세서에서 수행하며, 상기 차단영역 설정단계, 상기 차단방식 설정단계, 상기 초점 설정단계 및 상기 영상의 보정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생성한 최종 영상, 상기 최종 영상을 생성하는데 사용된 모든 기초 영상을 카메라 메모리에 저장하는 영상의 저장단계; 를
더 수행하는 광학적 부분 차단을 이용한 다이내믹 영상 생성방법.
In paragraph 1,
The final image generated by performing at least one of the blocking area setting step, the blocking method setting step, the focus setting step, and the image correction step, performed by the processor of the camera, and all images used to generate the final image. An image storage step of storing a basic image in a camera memory; cast
Dynamic image generation method using further performing optical partial blocking.
KR1020200036638A 2020-03-26 2020-03-26 Method for generating a dynamic image using partial optical blocking KR1024702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638A KR102470250B1 (en) 2020-03-26 2020-03-26 Method for generating a dynamic image using partial optical block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638A KR102470250B1 (en) 2020-03-26 2020-03-26 Method for generating a dynamic image using partial optical block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222A KR20210120222A (en) 2021-10-07
KR102470250B1 true KR102470250B1 (en) 2022-11-24

Family

ID=78114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638A KR102470250B1 (en) 2020-03-26 2020-03-26 Method for generating a dynamic image using partial optical block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250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657B1 (en) * 2011-12-21 2018-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48692B1 (en) * 2012-10-09 2019-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Ph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blending images
CN108107571B (en) * 2013-10-30 2021-06-01 株式会社摩如富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1584249B1 (en) 2015-05-29 2016-01-19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mpensating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222A (en)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8673B2 (en) Mobile terminal and imaging method thereof
JP5022105B2 (en) Camera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20090021576A1 (en) Panoramic image production
KR20160128366A (en) Mobile terminal photograph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KR20130071793A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8062538A1 (en) Display device and program
JP5400486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KR101294735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6931268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9088722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015012481A (en) Image processing device
CN106254790A (en) Take pictures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device
KR102470250B1 (en) Method for generating a dynamic image using partial optical blocking
CN104735353A (en) Method and device for taking panoramic photo
JP6242428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KR100579135B1 (en) Method for capturing convergent-type multi-view image
WO2016199381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N109618092B (en) Splicing photographing method and system and storage medium
JP6211139B2 (en) Image synthesizer
JP661657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imaging apparatus
KR20220003438A (en) A taking a multi-function photograph method for having the pseudo effect of flash using exposure, sensitivity, and function of cutting off filming
JP5816732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JP5816733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JP6013574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JP5925275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