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6597B1 -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6597B1
KR102456597B1 KR1020150123606A KR20150123606A KR102456597B1 KR 102456597 B1 KR102456597 B1 KR 102456597B1 KR 1020150123606 A KR1020150123606 A KR 1020150123606A KR 20150123606 A KR20150123606 A KR 20150123606A KR 102456597 B1 KR102456597 B1 KR 102456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ition
line
external device
controller
condi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7109A (ko
Inventor
민영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3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597B1/ko
Priority to CN201610795891.3A priority patent/CN106484252B/zh
Priority to US15/253,236 priority patent/US10489039B2/en
Priority to EP16186517.5A priority patent/EP3139267A1/en
Publication of KR20170027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05Configuring for program initiating, e.g. using registry, configuration 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7Stream processing in response to a playback request from an end-user, e.g. for trick-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은, 통지 조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조건 라인을 표시하고, 조건 라인에서 적어도 일부 구간을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활성 구간으로 결정하고, 통지 조건에 대응하여 활성 구간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는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어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전자 장치는 화면 설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를 위한 화면 설정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결정하고, 객체에 대응하는 화면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 장치가 화면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화면에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미리 정해진 구문을 갖는 스크립트(script)에 따라, 화면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스크립트를 작성하면, 전자 장치가 스크립트에 기반하여, 화면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스크립트를 작성하는 데 익숙하지 않으면, 전자 장치가 화면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없다. 다시 말해, 전자 장치가 용이하게 화면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의 이용 효율성 및 사용자 편의성이 저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통지 조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조건 라인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조건 라인에서 적어도 일부 구간을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활성 구간으로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통지 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활성 구간을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지 조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조건 라인을 표시하고, 상기 조건 라인에서 적어도 일부 구간을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활성 구간으로 결정하고, 상기 통지 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활성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통지 조건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조건 라인을 제공하고, 조건 라인을 이용하여 화면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조건 라인에서 적어도 일부 구간을 선택함에 따라, 전자 장치가 화면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스크립트를 작성하지 않고도, 전자 장치가 화면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 장치가 용이하게 화면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의 이용 효율성 및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의 수행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5는 도 4에서 조건 라인 표시 동작의 수행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 그리고
도 6, 도 7, 도 8, 도 9,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및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시스템(100)은 전자 장치(110) 및 외부 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10)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노트북(notebook), 넷북(netbook),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및 웨어러블(wearable)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110)의 상세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할 것이다.
이 때 전자 장치(110)는 화면 설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 장치(110)는 외부 장치(120)를 위한 화면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10)는 외부 장치(120)의 화면을 위한 화면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10)는 적어도 하나의 통지 조건에 대응하여, 화면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10)는 시간(time) 또는 비율(rate)에 기반하여, 화면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10)는 시간 또는 비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객체(object)를 연관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10)는 화면 설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10)는 외부 장치(120)에 직접적으로 화면 설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10)는 서버(도시되지 않음)에 화면 설정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외부 장치(120)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120)는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넷북, 개인용 정보 단말기, 스마트 폰 및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장치(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 시계 타입의 웨어러블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장치(120)는 표시 소자(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외부 장치(120)는 화면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장치(120)는 화면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통지 조건에 대응하여, 화면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장치(120)는 전자 장치(110)로부터 직접적으로 화면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외부 장치(120)는 서버(도시되지 않음)로부터 화면 설정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 장치(120)는 적어도 하나의 통지 조건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장치(120)는 시간 또는 비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통신부(310), 입력부(320), 표시부(330), 저장부(34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전자 장치(110)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통신부(310)는 다양한 통신 방식들로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31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310)는 인터넷(internet)에 접속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310)는 이동 통신망 또는 데이터 통신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속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310)는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방식들은 LTE(Long Term Evolutio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20)는 전자 장치(110)에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 입력부(320)는 전자 장치(110)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320)는 키보드(keyboard), 키패드(keypad), 돔 스위치(dome switch), 물리 버튼, 터치 패널(touch panel), 조그 셔틀(jog & shuttle) 및 센서(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330)는 전자 장치(110)에서 표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33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표시부(330)는 입력부(320)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340)는 전자 장치(110)의 동작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저장부(340)는 화면 설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340)는 화면 설정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340)는 화면 설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340)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40)는 화면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전자 장치(110)에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350)는 전자 장치(110)의 구성요소들에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전자 장치(110)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50)는 전자 장치(110)의 구성요소들로부터 명령 또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50)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350)는 화면 설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350)는 외부 장치(120)를 위한 화면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통지 조건에 대응하여, 화면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지 조건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타임 라인(timeline), 배터리 내 전기 용량에 따른 배터리 상태(battery), 배터리의 충전 여부에 따른 충전 상태(charging), 사용자의 물 섭취에 따른 물 섭취 상태(water), 통지 이벤트에 따른 통지 상태(notification), 달 형상의 변화를 나타내는 달 상태(moon), 사용자의 심박동에 따른 심박동(heart rate) 상태, 사용자의 자세 또는 동작에 따른 운동(workout) 상태, 또는 사용자의 카페인 섭취에 따른 카페인 섭취 상태(caffei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50)는 시간 또는 비율에 기반하여, 화면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50)는 시간 또는 비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연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350)는 설정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설정 화면은 통지 조건을 위한 조건 설정 창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조건 설정 창은 통지 조건을 나타내는 조건 탭(condition tab), 적어도 하나의 객체 아이템(object item) 및 객체 아이템에 각각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건 라인(condition line)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객체 아이템에 각각의 객체가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조건 라인은 시간 또는 비율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건 라인은 시간 또는 비율에 따라 진행되는 바(bar) 타입의 그래프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50)는 조건 라인에서 적어도 일부 구간을 객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활성 구간(activation section)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활성 구간은 일정 시간 간격 또는 일정 시간 비율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통지 조건에 대응하여, 객체와 활성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350)는 통지 조건에 대응하여, 객체와 활성 구간을 연관시켜, 화면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의 수행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6, 도 7, 도 8, 도 9,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및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10)의 동작 방법은, 제어부(350)가 411 동작에서 화면 설정 기능을 실행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면 설정 기능이 할당된 아이콘(icon) 또는 메뉴(menu)가 선택되면, 제어부(350)가 화면 설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화면 설정 기능의 수행 중에, 제어부(350)는 413 동작에서 설정 화면(600)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3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 화면(600)을 표시할 수 있다. 설정 화면(600)은 편집 영역(610) 및 설정 영역(6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어부(350)는 설정 화면(600)에서 알림창(690)을 더 표시할 수 있다.
편집 영역(610)은 화면을 편집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편집 영역(610)은 화면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영역 및 화면의 배경 또는 구성 성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편집하기 위한 메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의 구성 성분은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편집 영역(610)에서, 객체가 편집될 수 있다.
설정 영역(620)은 각각의 통지 조건을 설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설정 영역(620)은 각각의 통지 조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건 설정 창(6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설정 영역(620)이 다수개의 조건 설정 창(630)들을 포함하면, 조건 설정 창(630)들은 상호에 중첩 또는 적층될 수 있다. 각각의 조건 설정 창(630)은 조건 탭(640), 적어도 하나의 객체 아이템(650), 적어도 하나의 조건 라인(660), 참조 라인(670) 및 조절 패널(680)을 포함할 수 있다.
조건 탭(640)은 통지 조건을 식별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즉 조건 탭(640)은 통지 조건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설정 영역(620)이 다수개의 조건 설정 창(630)들을 포함하면, 조건 설정 창(630)들의 조건 탭(640)들이 상호에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조건 설정 창(630)들이 상호에 중첩 또는 적층되더라도, 조건 탭(640)들은 모두 노출될 수 있다.
객체 아이템(650)은 객체를 식별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객체 아이템(650)에, 객체가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객체 아이템(650)은 폴더(folder)에 해당할 수 있으며, 객체가 폴더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객체는 이미지(image), 애니메이션(animation), 이모티콘(emoticon), 텍스트(text), 오디오 신호(audio signal) 또는 진동 신호(vibration signa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조건 라인(660)은 객체의 활성화 조건을 설정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조건 라인(660)은 객체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조건 라인(660)은 객체 아이템(650)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조건 라인(660)은 객체 아이템(650)의 일측에 배치되며, 객체 아이템(650)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조건 라인(660)은 시간 또는 비율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건 라인(660)은 시간 또는 비율에 따라 진행되는 바(bar) 타입의 그래프일 수 있다. 여기서, 조건 라인(660)의 전체 구간이 미리 정해진 주기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기는 미리 정해진 개수의 프레임들로 정의될 수 있다. 또는 주기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조건 라인(660)의 전체 구간이 미리 정해진 비율 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조건 라인(660)은 다수개의 조건 구간들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조건 구간들은 시간 또는 비율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건 설정 창(630)이 다수개의 객체 아이템(650)들과 다수개의 조건 라인(66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건 라인(660)들은 상호에 나란하게 배열되며, 상호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조건 라인(660)들은 교차하지 않고, 상하 또는 좌우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참조 라인(670)은 조건 라인(660)의 참조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즉 참조 라인(670)은 조건 라인(660)을 위한 기준선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참조 라인(670)은 조건 라인(660)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조건 라인(660)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참조 라인(670)은 조건 라인(660)에 대응하여, 시간 또는 비율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참조 라인(670)은 조건 라인(660)에 대응하여, 기준값들을 나타내는 기준 위치들을 지시할 수 있다.
이 때 참조 라인(670)은 인디케이터(671)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671)는 조건 라인(66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인디케이터(671)는 조건 라인(660)의 시작 위치와 완료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인디케이터(671)는 참조 라인(670)으로부터 조건 라인(660)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건 라인(660)이 다수개의 조건 구간들로 구분되는 경우, 참조 라인(670)은 조건 구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단위로, 기준값들을 지시할 수 있다. 한편, 인디케이터(671)는 조건 구간들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조절 패널(680)은 조건 라인(660)의 조절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조절 패널(680)은 적어도 하나의 조절 메뉴(681, 683, 68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절 메뉴(681, 683, 685)는 인디케이터(671)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메뉴(681), 인디케이터(671)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위치 메뉴(683) 또는 조건 라인(660)의 정의를 변경하기 위한 정의 메뉴(68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알림창(690)은 설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통지 조건을 가이드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알림창(690)은 적어도 하나의 조건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건 아이템에, 통지 조건이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지 조건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타임 라인(timeline), 배터리 내 전기 용량에 따른 배터리 상태(battery), 배터리의 충전 여부에 따른 충전 상태(charging), 사용자의 물 섭취에 따른 물 섭취 상태(water), 통지 이벤트에 따른 통지 상태(notification), 달 형상의 변화를 나타내는 달 상태(moon), 사용자의 심박동에 따른 심박동(heart rate) 상태, 사용자의 자세 또는 동작에 따른 운동(workout) 상태, 또는 사용자의 카페인 섭취에 따른 카페인 섭취 상태(caffei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통지 조건이 선택되면, 제어부(350)가 415 동작에서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설정 화면(600)에서 조건 설정 창(630)이 선택되면, 제어부(350)가 조건 설정 창(630)의 통지 조건을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건 설정 창(630)의 조건 탭(640)이 선택되면, 제어부(350)가 조건 설정 창(630)의 통지 조건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50)는 417 동작에서 통지 조건에 기반하여, 조건 라인(660)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350)는 통지 조건에 대응하여, 조건 설정 창(630)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3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건 설정 창(630)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50)는 조건 탭(640)에 대응하여, 조건 설정 창(63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서 조건 라인 표시 동작의 수행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350)는 511 동작에서 통지 조건에 대응하여, 조건 설정 창(630)을 표시할 수 있다. 조건 설정 창(630)은 조건 탭(640), 적어도 하나의 객체 아이템(650), 적어도 하나의 조건 라인(660), 참조 라인(670) 및 조절 패널(68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어부(350)는 조건 설정 창(630)에 객체 아이템(650)을 추가할 수 있으며, 조건 설정 창(630)으로부터 객체 아이템(650)을 제거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건 설정 창(630)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통지 조건이 타임 라인인 경우, 조건 탭(640)이 통지 조건으로서 타임 라인을 나타낼 수 있다. 객체 아이템(650)에, 시간에 따라 활성화시키기 위한 객체가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조건 라인(660)은 시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조건 라인(660)의 전체 구간이 미리 정해진 개수의 프레임들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건 라인(660)의 전체 구간이 15 개의 프레임들로 정의된 경우, 조건 라인(660)은 15 개의 조건 구간들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조건 라인(660)에서, 조건 구간들이 프레임들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참조 라인(670)은 조건 라인(660)에 대응하여, 프레임들의 기준 위치들을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참조 라인(670)의 인디케이터(671)가 조건 라인(660)의 시작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조건 설정 창(630)에서 객체 아이템(650)이 선택되면, 제어부(350)가 513 동작에서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객체 아이템(650)이 직접적으로 선택되면, 제어부(350)가 이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조건 라인(660)이 선택되면, 제어부(350)가 조건 라인(660)에 대응하여, 객체 아이템(650)을 검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 아이템(650)이 선택되면, 제어부(3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 아이템(650)에 대응하여, 조건 라인(660)을 활성화할 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350)는 객체 아이템(650) 또는 조건 라인(660)에 대응하여, 확인 메뉴(710)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확인 메뉴(710)가 선택되지 않으면, 제어부(350)는 조건 라인(660)을 활성화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50)는 511 동작으로 복귀할 수 있다. 한편, 확인 메뉴(710)가 선택되면, 제어부(350)는 객체 아이템(650)에 대응하여, 조건 라인(660)을 활성화해야 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515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50)는 515 동작에서 객체 아이템(650)에 대응하여, 조건 라인(660)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350)는 조건 라인(660)의 전체 구간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350)는 조건 라인(660)의 색상, 명도 또는 채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건 라인(660)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350)는 조건 라인(660)에 활성화 바(activation bar; 810)를 표시할 수 있다. 활성화 바(810)의 사이즈는 조건 라인(660)의 사이즈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참조 라인(670)의 인디케이터(671)가 조건 라인(660)의 시작 위치에 계속해서 위치될 수 있으며, 조건 라인(660)의 완료 위치로 이동하여 위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조건 라인(660)에서 적어도 일부 구간이 선택되면, 제어부(350)가 517 동작에서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건 라인(660)이 다수개의 조건 구간들로 구분되는 경우, 조건 구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350)는 참조 라인(960)의 인디케이터(671)를 조건 라인(660)의 시작 위치와 완료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조건 라인(660)에서 일부 구간이 선택되면, 제어부(660)는 조건 라인(660)에서 나머지 구간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50)는 도 4로 리턴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화 바(810)의 일부 영역(910)이 선택되면, 제어부(3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화 바(810)의 일부 영역(910)에 대응하여, 변경 메뉴(920)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활성화 바(810)에서 일부 영역(910)의 시작 위치로부터 완료 위치로 드래그가 발생되면, 제어부(350)는, 활성화 바(810)에서 일부 영역(910)가 선택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50)는 드래그의 경로를 따라, 참조 라인(670)의 인디케이터(671)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변경 메뉴(920)는 복사(copy) 메뉴, 잘라내기(cut 메뉴), 붙여넣기(paste) 메뉴, 삽입(insert) 메뉴, 삭제(delete) 메뉴 또는 반복(loop) 메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변경 메뉴(920)에서 삭제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350)는 활성화 바(810)의 일부 영역(910)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50)는 조건 라인(660)에서 활성화 바(810)의 일부 영역(910)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350)는 활성화 바(810)의 일부 영역(910)의 색상, 명도 또는 채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517 동작에서 조건 라인(660)에서 적어도 일부 구간이 선택되지 않으면, 제어부(350)는 513 동작으로 복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350)는 513 동작 내지 517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어부(350)는 419 동작에서 조건 라인(660)에서 활성 구간(1010)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350)는 조건 라인(660)에서 적어도 일부 구간을 활성 구간(101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활성 구간(1010)은 객체 아이템(650)의 객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시간 또는 비율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50)는 421 동작에서 통지 조건에 대응하여, 활성 구간(1010)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350)는 객체 아이템(650)과 활성 구간(1010)을 연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350)는 통지 조건에 대응하여, 화면 설정 정보를 생성 또는 갱신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5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건 라인(660)에서 활성 구간(1010)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350)는 객체 아이템(650)에 대응하여, 활성 구간(1010)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통지 조건이 타임 라인인 경우, 제어부(350)는 프레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활성 구간(1010)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50)는 통지 조건에 대응하여, 활성 구간(1010)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통지 조건이 타임 라인인 경우, 제어부(350)는 타임 라인에 대응하여, 객체 아이템(650)과 활성 구간(1010)을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350)는 통지 조건에 대응하여, 객체 아이템(650)과 활성 구간(1010)으로 화면 설정 정보를 생성 또는 갱신할 수 있다.
한편, 415 동작에서 통지 조건이 선택되지 않으면, 제어부(350)는 420 동작에서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350)는 화면을 편집할 수 있다. 즉 제어부(350)는 화면의 배경 또는 구성 성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편집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50)는 객체를 편집, 예컨대 생성, 변경 또는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50)는 편집 영역(610)을 통해 객체를 편집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50)는 조건 설정 창(640)을 편집, 예컨대 생성, 변경 또는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림창(690)에서 조건 아이템이 선택되면, 제어부(350)는 조건 아이템의 통지 조건을 확인하고, 해당 통지 조건의 조건 설정 창(640)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조건 설정 창(640)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350)는 조건 설정 창(640)을 생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화면 설정 기능이 종료되면, 제어부(350)는 421 동작에서 이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50)는 전자 장치(110)의 동작 방법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421 동작에서 화면 설정 기능이 종료되지 않으면, 제어부(350)는 415 동작으로 복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50)는 415 동작 내지 421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350)는 통지 조건에 대응하여, 화면 설정 정보를 생성 또는 갱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50)는 통지 조건에 대응하여, 다수개의 객체 아이템(650)들과 활성 구간(1010)들로 화면 설정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350)는 객체 아이템(650)들과 활성 구간(1010)들을 상호 연관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5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건 설정 창(630)에서 다수개의 활성 구간(1010)들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350)는 다수개의 조건 라인(660)들에서 활성 구간(1010)들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활성 구간(1010)들은 상호에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50)는 조건 라인(660)들 중 어느 하나에서 활성 구간(1010)들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50)는 타임 라인에 대응하여, 활성 구간(1010)들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350)는 객체 아이템(650)들과 활성 구간(1010)들을 연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350)는 통지 조건에 대응하여, 객체 아이템(650)들과 활성 구간(1010)들로 화면 설정 정보를 생성 또는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건 설정 창(630)이 열 다섯 개의 객체 아이템(650)들과 열 다섯 개의 조건 라인(660)들을 포함하고, 객체 아이템(650)들과 조건 라인(660)들이 각각 대응될 수있다. 여기서, 객체 아이템(650)들에, 제 1 객체(object 1-1), 제 2 객체(object 1-2), 제 3 객체(object 1-3), 제 4 객체(object 1-4), 제 5 객체(object 1-5), 제 6 객체(object 1-6), 제 7 객체(object 1-7), 제 8 객체(object 1-8), 제 9 객체(object 1-9), 제 10 객체(object 1-10), 제 11 객체(object 1-11), 제 12 객체(object 1-12), 제 13 객체(object 1-13), 제 14 객체(object 1-14) 및 제 15 객체(object 1-1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조건 라인(660)의 전체 구간이 15 개의 프레임들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건 라인(960)은 15 개의 조건 구간들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조건 라인(960)에서, 각각의 조건 구간이 각각의 프레임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50)는 제 1 객체(object 1-1)에 대응하여, 첫 번째 프레임을 활성 구간(1010)으로 설정하고, 제 2 객체(object 1-2)에 대응하여, 두 번째 프레임을 활성 구간(10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어부(350)는 제 3 객체(object 1-3)와 세 번째 프레임, 제 4 객체(object 1-4)와 네 번째 프레임, 제 5 객체(object 1-5)와 다섯 번째 프레임, 제 6 객체(object 1-6)와 여섯 번째 프레임, 제 7 객체(object 1-7)와 일곱 번째 프레임, 제 8 객체(object 1-8)와 여덟 번째 프레임, 제 9 객체(object 1-9)와 아홉 번째 프레임, 제 10 객체(object 1-10)와 열 번째 프레임, 제 11 객체(object 1-11)와 열 한 번째 프레임, 제 12 객체(object 1-12)와 열 두 번째 프레임, 제 13 객체(object 1-13)와 열 세 번째 프레임, 제 14 객체(object 1-14)와 열 네 번째 프레임 및 제 15 객체(object 1-15)와 열 다섯 번째 프레임을 각각 대응시켜 활성 구간(10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350)는 화면 설정 기능을 수행하여, 화면 설정 정보를 생성 또는 갱신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350)는 다양한 통지 조건들에 대응하여, 화면 설정 정보를 생성 또는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지 조건은 타임 라인, 배터리 상태, 충전 상태 또는 운동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 장치(120)는 화면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외부 장치(120)는 화면 설정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통지 조건에 대응하여, 화면 설정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장치(120)는 시간 또는 비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화면에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외부 장치(120)는 적어도 하나의 통지 조건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객체 아이템(650)과 활성 구간(660)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120)는 활성 구간(660)에 대응하여, 객체 아이템(650)의 객체를 화면에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장치(120)는 열 다섯 개의 프레임들에 대응하여, 제 1 객체(object 1-1), 제 2 객체(object 1-2), 제 3 객체(object 1-3), 제 4 객체(object 1-4), 제 5 객체(object 1-5), 제 6 객체(object 1-6), 제 7 객체(object 1-7), 제 8 객체(object 1-8), 제 9 객체(object 1-9), 제 10 객체(object 1-10), 제 11 객체(object 1-11), 제 12 객체(object 1-12), 제 13 객체(object 1-13), 제 14 객체(object 1-14) 및 제 15 객체(object 1-15)를 순차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지 조건이 타임 라인인 경우, 제어부(3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건 설정 창(1130)을 표시할 수 있다. 조건 설정 창(1130)은 조건 탭(1140), 적어도 하나의 객체 아이템(1150), 적어도 하나의 조건 라인(1160), 참조 라인(1170) 및 조절 패널(1180)을 포함할 수 있다. 조건 탭(1140)이 통지 조건으로서 타임 라인을 나타낼 수 있다. 객체 아이템(1150)에, 시간에 따라 활성화시키기 위한 객체가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조건 라인(1160)은 시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건 설정 창(1130)이 네 개의 객체 아이템(1150)들과 네 개의 조건 라인(1160)들을 포함하고, 객체 아이템(1150)들과 조건 라인(1160)들이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이 때 객체 아이템(1150)들에, 제 1 객체(object 2-1), 제 2 객체(object 2-2), 제 3 객체(object 2-3) 및 제 4 객체(object 2-4)가 각각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조건 라인(1160)의 전체 구간이 24 시간, 예컨대 0 시 내지 24 시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건 라인(1160)은 24 개의 조건 구간들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조건 라인(1160)에서, 각각의 조건 구간이 1 시간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50)는 조건 설정 창(1130)에서 적어도 하나의 활성 구간(1190)을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350)는 타임 라인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객체 아이템(1150)과 활성 구간(1190)으로 화면 설정 정보를 생성 또는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50)는 각각의 객체 아이템(1150)에 대응하여, 각각의 조건 라인(1160)에서 적어도 하나의 활성 구간(1190)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350)는 제 1 객체(object 2-1)에 대응하여, 0 시 내지 12 시를 활성 구간(1190)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50)는 제 2 객체(object 2-2)에 대응하여, 6 시 내지 19 시를 활성 구간(119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제 3 객체(object 2-3)에 대응하여, 11 시 내지 24 시를 활성 구간(1190)으로 설정할 수 있다. 게다가, 제어부(350)는 제 4 객체(object 2-4)에 대응하여, 0 시 내지 8 시를 활성 구간(119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 장치(120)는 화면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외부 장치(120)는 시간에 따라,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장치(120)는 각각의 활성 구간(1190)에서, 각각의 객체 아이템(1150)의 객체를 화면에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때 0 시 내지 12 시 동안, 외부 장치(120)는 제 1 객체(object 2-1)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6 시 내지 19 시 동안, 외부 장치(120)는 제 2 객체(object 2-2)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11 시 내지 24 시 동안, 외부 장치(120)는 제 3 객체(object 2-3)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게다가, 0 시 내지 8 시 동안, 외부 장치(120)는 제 4 객체(object 2-4)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0 시 내지 6 시 동안, 외부 장치(120)는 제 1 객체(object 2-1) 및 제 4 객체(object 2-4)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6 시 내지 8 시 동안, 외부 장치(120)는 제 1 객체(object 2-1), 제 2 객체(object 2-2) 및 제 4 객체(object 2-4)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8 시 내지 11 시 동안, 외부 장치(120)는 제 1 객체(object 2-1) 및 제 2 객체(object 2-2)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게다가, 11 시 내지 12 시 동안, 외부 장치(120)는 제 1 객체(object 2-1), 제 2 객체(object 2-2) 및 제 3 객체(object 2-3)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게다가, 12 시 내지 19 시 동안, 외부 장치(120)는 제 2 객체(object 2-2) 및 제 3 객체(object 2-3)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더욱이, 외부 장치(120)는 제 3 객체(object 2-3)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지 조건이 배터리 상태인 경우, 제어부(35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건 설정 창(1230)을 표시할 수 있다. 조건 설정 창(1230)은 조건 탭(1240), 적어도 하나의 객체 아이템(1250), 적어도 하나의 조건 라인(1260), 참조 라인(1270) 및 조절 패널(1280)을 포함할 수 있다. 조건 탭(1240)이 통지 조건으로서 배터리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상태는 배터리의 전체 용량 대비 잔여 용량의 비율을 나타낼 수 있다. 객체 아이템(1250)에, 배터리 상태에 따라 활성화시키기 위한 객체가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조건 라인(1260)은 비율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건 설정 창(1230)이 네 개의 객체 아이템(1250)들과 네 개의 조건 라인(1260)들을 포함하고, 객체 아이템(1250)들과 조건 라인(1260)들이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이 때 객체 아이템(1250)들에, 제 1 객체(object 3-1), 제 2 객체(object 3-2), 제 3 객체(object 3-3) 및 제 4 객체(object 3-4)가 각각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조건 라인(1260)의 전체 구간이 100 %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건 라인(1260)은 25 개의 조건 구간들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조건 라인(1260)에서, 각각의 조건 구간이 4 %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50)는 조건 설정 창(1230)에서 적어도 하나의 활성 구간(1290)을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350)는 배터리 상태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객체 아이템(1250)과 활성 구간(1290)으로 화면 설정 정보를 생성 또는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50)는 각각의 객체 아이템(1250)에 대응하여, 각각의 조건 라인(1260)에서 적어도 하나의 활성 구간(1290)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350)는 제 1 객체(object 3-1)에 대응하여, 0 내지 20 %를 활성 구간(1290)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50)는 제 2 객체(object 3-2)에 대응하여, 20 % 내지 60 %를 활성 구간(129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제 3 객체(object 3-3)에 대응하여, 60 % 내지 80 %를 활성 구간(1290)으로 설정할 수 있다. 게다가, 제어부(350)는 제 4 객체(object 3-4)에 대응하여, 80 % 내지 100 %를 활성 구간(129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 장치(120)는 화면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외부 장치(120)는 배터리 상태, 즉 배터리의 전체 용량 대비 잔여 용량의 비율에 따라,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장치(120)는 각각의 활성 구간(1290)에서, 각각의 객체 아이템(1250)의 객체를 화면에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때 배터리 상태가 0 내지 20 %에 해당하는 동안, 외부 장치(120)는 제 1 객체(object 3-1)를 화면에서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상태가 20 % 내지 60 %에 해당하는 동안, 외부 장치(120)는 제 2 객체(object 3-2)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상태가 60 % 내지 80 %에 해당하는 동안, 외부 장치(120)는 제 3 객체(object 3-3)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게다가, 배터리 상태가 80 % 내지 100 %에 해당하는 동안, 외부 장치(120)는 제 4 객체(object 3-4)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지 조건이 운동 상태, 예컨대 만보계(pedometer) 상태인 경우, 제어부(35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건 설정 창(1330)을 표시할 수 있다. 조건 설정 창(1330)은 조건 탭(1340), 적어도 하나의 객체 아이템(1350), 적어도 하나의 조건 라인(1360), 참조 라인(1370) 및 조절 패널(1380)을 포함할 수 있다. 조건 탭(1340)이 통지 조건으로서 만보계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만보계 상태는 목표 횟수 대비 달성 횟수의 비율을 나타낼 수 있다. 객체 아이템(1350)에, 만보계 상태에 따라 활성화시키기 위한 객체가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조건 라인(1360)은 비율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건 설정 창(1330)이 네 개의 객체 아이템(1350)들과 네 개의 조건 라인(1360)들을 포함하고, 객체 아이템(1350)들과 조건 라인(1360)들을 포함하고, 객체 아이템(1250)들과 조건 라인(1360)들이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이 때 객체 아이템(1350)들에, 제 1 객체(object 4-1), 제 2 객체(object 4-2), 제 3 객체(object 4-3) 및 제 4 객체(object 4-4)가 각각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조건 라인(1360)의 전체 구간이 100 %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건 라인(1360)은 25 개의 조건 구간들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조건 라인(1360)에서, 각각의 조건 구간이 4 %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50)는 조건 설정 창(1330)에서 적어도 하나의 활성 구간(1390)을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350)는 만보계 상태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객체 아이템(1350)과 활성 구간(1390)으로 화면 설정 정보를 생성 또는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50)는 각각의 객체 아이템(1350)에 대응하여, 각각의 조건 라인(1360)에서 적어도 하나의 활성 구간(1390)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350)는 제 1 객체(object 4-1)에 대응하여, 0 내지 44 %를 활성 구간(1390)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50)는 제 2 객체(object 4-2)에 대응하여, 8 % 내지 52 %를 활성 구간(139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제 3 객체(object 4-3)에 대응하여, 8 % 내지 52 %를 활성 구간(1390)으로 설정할 수 있다. 게다가, 제어부(350)는 제 4 객체(object 4-4)에 대응하여, 0 내지 48 %를 활성 구간(139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 장치(120)는 화면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외부 장치(120)는 만보계 상태, 즉 목표 횟수 대비 달성 횟수의 비율에 따라,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장치(120)는 각각의 활성 구간(1390)에서, 각각의 객체 아이템(1350)의 객체를 화면에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때 만보계 상태가 0 내지 44 %에 해당하는 동안, 외부 장치(120)는 제 1 객체(object 4-1)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만보계 상태가 8 % 내지 52 %에 해당하는 동안, 외부 장치(120)는 제 2 객체(object 4-2)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만보계 상태가 8 % 내지 52 %에 해당하는 동안, 외부 장치(120)는 제 3 객체(object 4-3)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게다가, 만보계 상태가 0 내지 48 %에 해당하는 동안, 외부 장치(120)는 제 4 객체(object 4-4)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만보계 상태가 0 내지 8 %에 해당하는 동안, 외부 장치(120)는 제 1 객체(object 4-1) 및 제 4 객체(object 4-4)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만보계 상태가 8 % 내지 44 %에 해당하는 동안, 외부 장치(120)는 제 1 객체(object 4-1), 제 2 객체(object 4-2), 제 3 객체(object 4-3) 및 제 4 객체(object 4-4)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만보계 상태가 44 % 내지 48 %에 해당하는 동안, 외부 장치(120)는 제 2 객체(object 4-2), 제 3 객체(object 4-3) 및 제 4 객체(object 4-4)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게다가, 만보계 상태가 48 % 내지 52 %에 해당하는 동안, 외부 장치(120)는 제 2 객체(object 4-2) 및 제 3 객체(object 4-3)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지 조건이 충전 상태인 경우, 제어부(35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건 설정 창(1430)을 표시할 수 있다. 조건 설정 창(1430)은 조건 탭(1440), 적어도 하나의 객체 아이템(1450), 적어도 하나의 조건 라인(1460), 참조 라인(1470) 및 조절 패널(1480)을 포함할 수 있다. 조건 탭(1440)이 통지 조건으로서 충전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충전 상태는 충전의 온 또는 오프를 나타낼 수 있다. 객체 아이템(1450)에, 충전 상태에 따라 활성화시키기 위한 객체가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조건 설정 창(1430)이 네 개의 객체 아이템(1450)들과 네 개의 조건 라인(1460)들을 포함하고, 객체 아이템(1450)들과 조건 라인(1460)들이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이 때 객체 아이템(1450)들에, 제 1 객체(object 5-1), 제 2 객체(object 5-2), 제 3 객체(object 5-3) 및 제 4 객체(object 5-4)가 각각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조건 라인(1460)은 2 개의 조건 구간들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조건 라인(1460)에서, 조건 구간들 중 어느 하나는 충전의 온에 대응되고, 다른 하나는 충전의 오프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50)는 조건 설정 창(1430)에서 적어도 하나의 활성 구간(1490)을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350)는 충전 상태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객체 아이템(1450)과 활성 구간(1490)으로 화면 설정 정보를 생성 또는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50)는 각각의 객체 아이템(1450)에 대응하여, 각각의 조건 라인(1460)에서 적어도 하나의 활성 구간(1490)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350)는 제 1 객체(object 5-1)에 대응하여, 충전의 온을 활성 구간(1490)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50)는 제 2 객체(object 5-2)에 대응하여, 충전의 오프를 활성 구간(149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 4 객체(object 5-4)에 대응하여, 충전의 온 및 오프를 활성 구간(149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 장치(120)는 화면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외부 장치(120)는 충전 상태, 예컨대 충전의 온 또는 오프에 따라,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장치(120)는 각각의 활성 구간(1490)에서, 각각의 객체 아이템(1450)의 객체를 화면에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때 충전 상태가 온에 해당하는 동안, 외부 장치(120)는 제 1 객체(object 4-1)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충전 상태가 오프에 해당하는 동안, 외부 장치(120)는 제 2 객체(object 4-2)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충전 상태가 온 또는 오프에 해당하는 동안, 외부 장치(120)는 제 4 객체(object 4-4)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충전 상태가 온에 해당하는 동안, 외부 장치(120)는 제 1 객체(object 4-1) 및 제 4 객체(object 4-4)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충전 상태가 오프에 해당하는 동안, 외부 장치(120)는 제 2 객체(object 4-2) 및 제 4 객체(object 4-4)를 화면에서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가 통지 조건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조건 라인(660, 1160, 1260, 1360, 1460)을 제공하고, 조건 라인(660, 1160, 1260, 1360, 1460)을 이용하여 화면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10)의 사용자가 조건 라인(660, 1160, 1260, 1360, 1460)에서 적어도 일부 구간을 선택함에 따라, 전자 장치(110)가 화면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스크립트를 작성하지 않고도, 전자 장치(110)가 화면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 장치(110)가 용이하게 화면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10)의 이용 효율성 및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외부 장치의 화면 생성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복수의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외부 장치의 화면의 구성요소로 사용될 객체들을 확인하는 동작;
    상기 확인된 객체들 각각의 조건 라인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표시된 각각의 조건 라인에 대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확인된 객체들 각각에 대한 각각의 활성 구간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객체들 및 상기 결정된 활성 구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활성 구간은, 상기 외부 장치의 화면에서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활성화하기 위한 활성화 조건이며,
    상기 활성 구간은, 상기 조건 라인의 적어도 일부의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활성화 조건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타임 라인, 배터리 내 전기 용량에 따른 배터리 상태, 배터리의 충전 여부에 따른 충전 상태, 사용자의 물 섭취에 따른 물 섭취 상태, 통지 이벤트에 따른 통지 상태, 달 형상의 변화에 따른 달 상태, 사용자의 심박동에 따른 심박동 상태, 사용자의 자세 또는 동작에 따른 운동 상태, 또는 사용자의 카페인 섭취에 따른 카페인 섭취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라인을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활성화 조건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활성화 조건에 대응하는 각각의 조건 라인을 표시하는,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라인을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조건 라인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조건 라인을 활성화하고, 나머지 조건 라인을 비활성화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구간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조건 라인에서 상기 조건 라인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아이템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구간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아이템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 구간을 결정하는, 방법.
  7. 삭제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라인은, 시간 또는 비율로 정의되는, 방법.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객체는, 이미지, 애니메이션, 이모티콘, 텍스트, 오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전송된 상기 활성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활성화하는, 방법.
  11. 외부 장치와 통신하도록 설정된 통신부;
    표시부; 및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의 화면 생성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복수의 객체를 포함하는 설정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화면의 구성요소로 사용될 객체들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객체들 각각의 조건 라인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각각의 조건 라인에 대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확인된 객체들 각각에 대한 각각의 활성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확인된 객체들 및 상기 결정된 활성 구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활성 구간은, 상기 외부 장치의 화면에서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활성화하기 위한 활성화 조건이며,
    상기 활성 구간은, 상기 조건 라인의 적어도 일부의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활성화 조건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타임 라인, 배터리 내 전기 용량에 따른 배터리 상태, 배터리의 충전 여부에 따른 충전 상태, 사용자의 물 섭취에 따른 물 섭취 상태, 통지 이벤트에 따른 통지 상태, 달 형상의 변화에 따른 달 상태, 사용자의 심박동에 따른 심박동 상태, 사용자의 자세 또는 동작에 따른 운동 상태, 또는 사용자의 카페인 섭취에 따른 카페인 섭취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활성화 조건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활성화 조건에 대응하는 각각의 조건 라인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13. 삭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건 라인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조건 라인을 활성화하고, 나머지 조건 라인을 비활성화하는, 전자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건 라인에서 상기 조건 라인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아이템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템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 구간을 결정하는, 전자 장치.
  17. 삭제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라인은, 시간 또는 비율로 정의되는, 전자 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객체는, 이미지, 애니메이션, 이모티콘, 텍스트, 오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전송된 상기 활성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활성화하는, 전자 장치.
KR1020150123606A 2015-09-01 2015-09-01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56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606A KR102456597B1 (ko) 2015-09-01 2015-09-01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201610795891.3A CN106484252B (zh) 2015-09-01 2016-08-31 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US15/253,236 US10489039B2 (en) 2015-09-01 2016-08-31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16186517.5A EP3139267A1 (en) 2015-09-01 2016-08-31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606A KR102456597B1 (ko) 2015-09-01 2015-09-01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109A KR20170027109A (ko) 2017-03-09
KR102456597B1 true KR102456597B1 (ko) 2022-10-20

Family

ID=57391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606A KR102456597B1 (ko) 2015-09-01 2015-09-01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89039B2 (ko)
EP (1) EP3139267A1 (ko)
KR (1) KR102456597B1 (ko)
CN (1) CN106484252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0286A1 (en) 2000-10-02 2002-04-04 Akihiro Inoko PLC system construction support tool and PLC system program development support tool including the same
WO2006108288A1 (en) 2005-04-14 2006-10-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ing notifications in a mobile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7941B2 (en) * 2001-02-05 2004-02-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rtable computer with configuration switching control
US20140300610A1 (en) 2007-11-16 2014-10-09 Adobe System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ime re-mapping for computer-generated animation
KR101678271B1 (ko) * 2011-06-05 2016-11-21 애플 인크.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로부터 수신된 통지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20140361988A1 (en) * 2011-09-19 2014-12-11 Eyesight Mobile Technologies Ltd. Touch Free Interface for Augmented Reality Systems
KR101906204B1 (ko) * 2012-09-21 2018-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163684B1 (ko) * 2013-07-19 202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구성 방법 및 장치
KR102097637B1 (ko) * 2013-10-21 2020-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0286A1 (en) 2000-10-02 2002-04-04 Akihiro Inoko PLC system construction support tool and PLC system program development support tool including the same
WO2006108288A1 (en) 2005-04-14 2006-10-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ing notifications in a mobile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89039B2 (en) 2019-11-26
KR20170027109A (ko) 2017-03-09
CN106484252A (zh) 2017-03-08
CN106484252B (zh) 2019-11-26
US20170060401A1 (en) 2017-03-02
EP3139267A1 (en)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5097B1 (en) Method for measuring angles between display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EP282455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contents in portable terminal
KR102107491B1 (ko) 리스트 스크롤 바 제어 방법 및 모바일 장치
KR102462856B1 (ko) 디스플레이의 확장 영역에 대한 사용 알림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EP2991327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notification by electronic device
CN104969163B (zh) 应用界面的展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EP3118730B1 (en)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5708644B2 (ja) 情報処理端末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06293410B (zh) 一种视频进度调节方法及移动终端
KR102459031B1 (ko) 전자 장치 및 그 어플리케이션 표시 방법
KR102280474B1 (ko)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 및 장치
EP31634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ommunication module firmware and plug-in
EP3343887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ent output method of electronic device
KR20160062414A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객체 제어 방법
JPWO2014006946A1 (ja) 情報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8369483A (zh) 用于显示通知对象的电子设备和方法
CN108932093A (zh) 分屏应用切换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KR20160106410A (ko) 연결부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145857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페어링 방법
CN112650546B (zh) 一种页面显示方法及穿戴设备
CN106488391B (zh) 一种数据迁移方法及终端设备
KR102456597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77001B1 (ko) 모션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4166504A (zh) 快速滚屏装置、方法及终端
KR102545907B1 (ko) 콘텐츠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