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485B1 - Auto lifting-moving chair apparatus for parapiegic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 Google Patents

Auto lifting-moving chair apparatus for parapiegic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485B1
KR102423485B1 KR1020200099868A KR20200099868A KR102423485B1 KR 102423485 B1 KR102423485 B1 KR 102423485B1 KR 1020200099868 A KR1020200099868 A KR 1020200099868A KR 20200099868 A KR20200099868 A KR 20200099868A KR 102423485 B1 KR102423485 B1 KR 102423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seating member
moving
lif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8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19875A (en
Inventor
박성률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99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485B1/en
Publication of KR20220019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8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4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A61G5/042Front wheel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A61G5/045Rear wheel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1Arrangements f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7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positioning the whole seat forward or rearwa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72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rotating the whole seat around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91Cushions, seats or abdu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4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pelvis or butt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지가 마비되거나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까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고, 이용 환경에 따라 높이를 승하강시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화장실에서의 용이한 이용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안전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의 골격을 형성하는 장치 프레임; 상기 장치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 프레임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착석 부재; 상기 착석 부재를 승강 가능하게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 상기 장치 프레임을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이동 구동수단; 상기 장치 프레임과 착석 부재에 구비되는 안전 수단; 상기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과 장치 이동 구동수단 및 안전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에 작동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disabled or patient with paralyzed or inconvenient lower limbs to easily move to the destination they want to move in a seated state, and can be used by raising and lowering the height according to the usage environment, and in particular, easy use in the bathroom is possible It relates to an automatic elevating-moving chair device for a patient with lower extremity paralysis capable of elevating and moving which can improve safety and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vice frame forming the framework of the device; a seating member provid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long a vertical frame constituting the device frame; a seating member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means configured to drive the seating member to be lifted and lowered; device movement driving means configured to move the device frame; safety means provided on the device frame and the seating member; a control module configured to control the seating member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means, device moving driving means and safety means; and a battery means configured to supply operating power to the control module.

Description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AUTO LIFTING-MOVING CHAIR APPARATUS FOR PARAPIEGIC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Automatic lifting-moving chair device for paraplegic patients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본 발명은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지가 마비되거나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까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고, 이용 환경에 따라 높이를 승하강시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화장실에서의 용이한 이용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안전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lifting-moving chair device for paraplegic patients, and more particularly, it can easily move to a destination where a person with a paralyzed or inconvenient lower extremity or a patient wants to move while seated, and the heigh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It relates to an automatic lifting-moving chair device for a patient with lower extremity paralysis that can be used by elevating and lowering, and in particular, enabling easy use in the bathroom and improving safety and stability.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람이 편하게 앉은 자세를 유지토록 하거나 책상 높이에 맞추어 앉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various types of chairs are used to allow a person to maintain a comfortable sitting posture or to sit according to the height of a desk.

이러한 의자의 전통적인 형태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석과 더불어 등을 기대어 지지할 수 있는 고정된 등받이를 구비한 것이었으나 사용의 편리함을 위해 보다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다.The traditional form of such a chair has been provided with a seat that supports the user's buttocks and a fixed backrest that can be supported by leaning against the user's back, but has been developed into more various forms for convenience of use.

특히,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 또는 장애인의 경우 간병인 또는 부양가족의 도움을 받아서 생활을 하게 된다. 그러나 환자나 노약자의 간병시 환자나 노약자가 이동을 하거나 앉고 일어서는 과정에서 환자나 노약자의 하중에 의해서 간병인 또는 부양가족이 부상을 입는 경우가 빈번하였다.In particular, patients with reduced mobility, the elderly, or the disabled live with the help of caregivers or dependents. However, when caring for patients or the elderly, caregivers or their dependents were frequently injured by the load of the patient or the elderly in the process of moving or sitting and standing.

따라서 최근에는 환자나 노약자가 앉거나 일어서는 것을 보조하는 다양한 승강 의자가 개시되고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various elevating chairs that assist patients or the elderly to sit or stand up have been disclosed.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2853호는, 수평프레임의 전후면에 각각 부착된 전면 크로스멤버 및 후면 크로스멤버의 하부에 캐스터를 각각 부착시킨 대차와, 상기 대차의 수평프레임 상부로부터 세로로 부착된 승강지지부재와, 상기 승강지지부재로부터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의 선단으로부터 수평 및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힌지연결된 등받이로 구성된 다용도 의자가 제시되어 있다.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62853 discloses a bogie with caster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s of the front cross member and the rear cross member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horizontal frame, and vertically attach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horizontal frame of the bogie. There is proposed a multi-purpose chair composed of a lifting support member, a lifting frame coupled to be liftable from the lifting support member, and a backrest hinged rotatably horizontally and vertically from the tip of the lifting frame.

그러나 종래에는 시트의 높낮이를 승강프레임과 승강지지부재의 일측에 부설된 고정돌기 및 요홈에 의한 끼움 결합작용을 이용해 조절하는 매우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트의 높낮이 조절이 매우 복잡하고 불편하며, 시트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요홈으로부터 고정돌기가 이탈됨에 따라 고정력이 해제된 승강프레임이 승강지지부재를 따라 급속으로 하강하여 안전사고를 야기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seat is very complicated and inconvenient because it has a very complex structure in which the height of the seat is adjusted using the fitting coupling action by the fixing protrusion and the groov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ifting frame and the lifting support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height of the body is adjusted, as the fixing protrusion is separated from the groove, the lifting frame whose fixing force is released rapidly descends along the lifting support member, thereby causing a safety accident.

또한, 종래에는 등받이를 포함한 시트의 경우 승강지지부재에 의해 대차 측에 단순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무게 중심이 일방향으로 쏠림에 따라 의자가 매우 쉽게 전도되는 문제점과 함께, 상기 등받이의 경우 승강프레임의 일단에 단순 체결되는 구조로 등받이의 안착감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등의 또 다른 문제점들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seat including a backrest in the prior art, since the structure is simply installed on the bogie side by the lifting support member, the chair is very easily transferred as the center of gravity is tilted in one direction, and in the case of the backrest, the lifting frame There are other problems, such as a remarkably lowered seating comfort of the backrest due to the simple fastening structure at one end.

또한, 일본공개특허 1995-067739의 경우 좌석의 승강에 더해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여 젖힘 기능까지 부여한 다기능의 의자를 개시하고 있다.In additi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995-067739 discloses a multifunctional chair in which a reclining function is provided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backrest in addition to elevating the seat.

도 1은 일본공개특허 문헌에 개시된 의자의 승강동작 및 젖힘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승강동작(a), 좌석의 각도변화 없이 등받이만 젖히는 형태의 젖힘동작(b), 좌석과 등받이 모두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형태의 젖힘동작(c)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볼 수 있다.1 is a view showing an elevating operation and a reclining motion of a chair disclosed in the Japanese Patent Laid-Open Patent Document, the elevating motion (a), the reclining motion of only the backrest without changing the angle of the seat (b), the angle of both the seat and the backrest It can be seen that the bending operation (c) of the changing form is configured to be possible.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르면 젖힘동작시 사용자가 직접 좌석(4)과 등받이(5)를 수동으로 조작해야 하였기 때문에 상당한 불편함이 수반되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nce the user had to manually manipulate the seat 4 and the back 5 during the bending operation, considerable inconvenience was accompanied.

또한, 종래의 승강 의자는 단순히 의자의 높낮이 기능에만 한정되어 있어 기능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elevating chair is limited only to the height function of the chair,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unctionality is poor.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145717(2014.12.24.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45717 (published on December 24, 201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62853(2004.09.22. 공고)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20-0362853 (2004.09.22. Announcement)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54780(2010.04.28.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954780 (2010.04.28. Announcement)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12820(2012.12.18.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212820 (2012.12.18. Announcement)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지가 마비되거나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까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고, 이용 환경에 따라 높이를 승하강시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에 대한 안전 수단을 구비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can be easily moved to the destination where the disabled or the patient wants to move in a seated state, and can be used by raising and lowering the height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ic lifting-moving chair device for a patient with lower extremity paralysis that can be moved up and down, and which can secure safety by providing a safety means for a dangerous situation that may occur.

또한, 본 발명은 화장실 사용 시 좌변기에 용이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하여, 하지가 불편한 장애인의 화장실 이용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utomatic lifting and lowering for paraplegic patients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enabling the disabled to use the toilet more easily by enabling the direction to be chang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it on the toilet seat when using the toilet. -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a mobile chair device.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장치의 골격을 형성하는 장치 프레임; 상기 장치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 프레임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착석 부재; 상기 착석 부재를 승강 가능하게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 상기 장치 프레임을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이동 구동수단; 상기 장치 프레임과 착석 부재에 구비되는 안전 수단; 상기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과 장치 이동 구동수단 및 안전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에 작동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and o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frame forming the framework of the device; a seating member provid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long a vertical frame constituting the device frame; a seating member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means configured to drive the seating member to be lifted and lowered; device movement driving means configured to move the device frame; safety means provided on the device frame and the seating member; a control module configured to control the seating member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means, device moving driving means and safety means; and a battery means configured to supply operating power to the control modul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은, 상기 착석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 및 상기 장치 프레임에 구성되고,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지지 수단을 승강 및 하강 가능하게 구동시키는 승강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수단은, 후단부가 상기 승강 구동장치에 결합되고, 양측의 프레임이 단면 "ㄷ"자형으로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측에 상기 착석 부재가 구비되고, 양 가장자리에 구름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를 따라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플레이트, 및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선형 구동시키기 위한 선형 구동장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이동 구동수단은, 상기 장치 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되는 전방 및 후방 구름 바퀴, 및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전방 구름 바퀴 또는 후방 구름 바퀴를 정역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비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ing member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means includes a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seating member, and the device frame, and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module to drive the support means to be lifted and lowered. It includes a lift driving device, wherein the support means includes a support frame in which a rear end is coupled to the lift drive device, the frames on both sides are formed in a “U” shape in cross section, and the seat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and at both edges. It includes a moving plate provided with a rolling roller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along the support frame, and a linear driving device for linearly driving the moving plate, wherein the device moving driving means is a front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device frame. And it may include a driving motor provided to rotate the front rolling wheel or the rear rolling wheel forward and revers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rear rolling wheel and the control modul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동장치는 유압 실린더로 구성되거나, 스크류 이동 방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안전 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장치 프레임의 전방 일측 수직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전방 타측 수직 프레임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안전 펜스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drive device is composed of a hydraulic cylinder or is composed of a screw movement method, the safety means,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on the front one side of the device frame, the other end is the front other side It may include a safety fence member coupled to and detachably fixed to the vertical fram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전 수단은, 상기 장치 프레임의 전방 일측 수직 프레임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전방 타측 수직 프레임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안전 펜스 부재, 및 상기 안전 펜스 부재의 일단부를 정역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스텝 모터, 및 상기 착석부재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제어 모듈로 전달하는 착석 검출 센서; 및 상기 장치 프레임의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인출되고, 다시 후방으로 인입되도록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선형 이동대와, 상기 선형 이동대의 전방단 하부에 구비되어 지면에 접하여 구름 이동하는 지지 구름 바퀴, 및 상기 착석 검출 센서의 검출 신호에 따른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선형 이동대를 선형 구동시키는 선형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ty means,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of the front one side of the device frame, the other end is a safety fence member that is coupled and detachably fixed to the other front vertical frame, and the safety fence a step motor provided to drive one end of the member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nd a seating detection sensor provided on the seating member to detect whether a user is seated and transmit a detection signal to a control module; and a linear moving table that is drawn out from the lower end of the device frame to the front and is slidably provided to be retracted to the rear; It may include; a linear driving device for linearly driving the linear moving tabl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module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at detection senso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의 승강 및 하강 동작을 제어하는 승강 조작 제어부; 상기 장치 이동 구동수단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 조작 제어부; 상기 승강 조작 제어부와 이동 조작 제어부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 및 장치 이동 구동수단으로 전달하여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회로부; 상기 착석 검출 센서의 검출신호를 수신하는 착석신호 수신부; 상기 안전 펜스 부재의 스텝 모터를 구동 제어하기 위한 스텝모터 구동 제어부; 및 상기 선형 구동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이동대 구동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odule, the lifting oper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means of the seating member; a movement oper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he device movement driving means; a control circuit unit configured to receive operation signals from the lifting operation control unit and the movement operation control unit and transmit them to the seating member lifting driving means and the device movement driving means for control; a seating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detection signal of the seating detection sensor; a step motor driving control unit for driving and controlling the step motor of the safety fence member; and a moving table driv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linear driving devic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착석 부재 및 지지 플레이트는 평면에서 바라볼 때 중심 대칭선을 따라 일단에서 내측으로 소정 길이 절개된 "ㄷ"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착석 부재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착석부재 회전 구동장치부, 및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진퇴 가능하게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 구동장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슬라이딩 구동장치부 및 착석부재 회전 구동장치부를 조작하도록 구성되는 자세 조작 제어부, 및 상기 자제 조작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슬라이딩 구동장치부와 착석부재 회전 구동장치부를 구동 제어하는 착석부재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ing member and the support plate are formed in a "U" shape cut in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one end along a central symmetry line when viewed in a plan view, and are configured to rotate and drive the seating member. Further comprising: a member rotation driving unit; and a sliding driving unit configured to drive the moving plate forward and backward, wherein the control module is a posture operation control unit configured to operate the sliding driving unit and the seating member rotation driving unit and a seating member driving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self-manipulation control unit to drive and control the sliding driving unit and the seating member rotation driving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재 회전 구동장치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구비되며 단부에 기어가 구비되는 정역 구동 모터와, 상기 착석 부재의 하면에 형성되되 180°범위에서 반원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정역 구동 모터의 기어가 외접하는 반원 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ing member rotation driving device unit is provided in the support frame and includes a forward/reverse driving motor provided with a gear at an end thereof, and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member in a semicircular ring shape within a 180° range, The gear of the drive motor may include a semicircular rack gear circum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automatic lifting-moving chair apparatus for a patient with lower extremity paralysis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provided.

첫째, 본 발명은 하지가 마비되거나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까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휠체어와 같이 이동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mobility like a wheelchair by allowing the disabled or the patient to easily move to a destination in a seated state with paralyzed or uncomfortable lower extremities.

둘째, 본 발명은 식탁이나 화장실 등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환경에 따라 높이를 승하강시켜 사용자에 따른 적절한 맞춤 높이를 갖는 의자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chair to be used as a chair having an appropriate height according to the user by elevating the height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the user wants to use, such as a dining table or a toilet.

셋째, 본 발명은 이동 시 및 승하강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을 물리적 구성 및 전자제어적 구성을 통해 안전하게 대비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suring safety and stability by safely preparing for dangerous situations that may occur during movement and during elevating and lowering through a physical configuration and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configuration.

넷째, 본 발명은 화장실 사용 시 좌변기에 대하여 착석 방향으로 제어되고 착석 및 이동 시 안전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좌변기에 용이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하여, 하지가 불편한 장애인이 화장실을 보다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Fourth,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seat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oilet seat when using the toilet and has a safety structure when sitting and moving, so that the disabled person can use the toilet more easily by making it easier to sit on the toilet seat. there is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일본공개특허 문헌에 개시된 의자의 승강동작 및 젖힘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의 승강 동작 전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구성하는 선형 이동대가 연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구성하는 좌석부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구성하는 착석부재가 방향 전환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좌변기에서 사용하는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구성하는 제어 모듈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lifting operation and a bending operation of the chair disclosed in the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lifting-moving chair device for a patient with lower extremity paralysis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an automatic lifting-moving chair device for a paraplegic patient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showing an automatic lifting-moving chair device for a patient with lower extremity paralysis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an automatic lifting-moving chair device for a patient with lower extremity paralysis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showing before and after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automatic lifting-moving chair device for a paraplegic patient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showing an extended state of the linear movable table constituting the automatic lifting-moving chair device for a patient with lower extremity paralysis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part constituting the automatic lifting-moving chair device for a paraplegic patient capable of lifting and lowe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forward.
9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seating member constituting the automatic lifting-moving chair device for a patient with lower extremity paralysis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using the automatic lifting-moving chair device for a patient with lower extremity paralysis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toilet seat.
1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module constituting an automatic lifting-moving chair device for a patient with lower extremity paralysis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Additional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r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and shown in the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No,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unit", "...module",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ncludes hardware or software or hardware and It can be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of software.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automatic lifting-moving chair apparatus for a patient with lower extremity paralysis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의 승강 동작 전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구성하는 선형 이동대가 연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구성하는 좌석부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구성하는 착석부재가 방향 전환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좌변기에서 사용하는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구성하는 제어 모듈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lifting-moving chair device for a paraplegic patient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n automatic lifting-moving chair device for a patient with lower extremity paralysis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plan view showing 6 is a side view showing before and after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automatic lifting-moving chair device for a patient with lower extremity paralysis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side view showing the extended state of the linear moving table constituting the device, and FIG. 8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seat part constituting the automatic lifting-moving chair device for a patient with lower extremity paralysis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forward. , Figure 9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seating member constituting the automatic lifting-moving chair device for paraplegic patients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the lifting and moving possi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automatic lifting-moving chair device for a paraplegic patient in a toilet seat. 1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module constituting an automatic lifting-moving chair device for a patient with lower extremity paralysis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는, 도 2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장치 프레임(100); 착석 부재(200);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 장치 이동 구동수단; 안전 수단; 제어 모듈(300); 및 배터리 수단(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2 to 11, an automatic lifting-moving chair device for a paraplegic patient capable of lifting and lowe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vice frame 100; seating member 200; Seating member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means; device movement driving means; safety measures; control module 300; And battery means (B); is configured to include.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어 장치의 골격을 형성하는 장치 프레임(100); 상기 장치 프레임(100)을 구성하는 수직 프레임(110)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착석 부재(200); 상기 착석 부재(200)를 승강 가능하게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 상기 장치 프레임(100)을 이동가능하게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장치 이동 구동수단; 상기 장치 프레임(100)과 착석 부재(200)에 구비되어 사용자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구성되는 안전 수단; 상기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과 장치 이동 구동수단 및 안전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300); 및 상기 구성부들 중 전력이 필요로 되는 구성부 또는 상기 제어 모듈(300)로 작동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 수단(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pecifically, the automatic lifting-moving chair apparatus for a patient with lower extremity paralysis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s shown in FIGS. 2 to 4 , an apparatus frame 100 forming a skeleton of the chair apparatus; a seating member 200 provided to be liftable along the vertical frame 110 constituting the device frame 100; a seating member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means configured to drive the seating member 200 to be lifted; device movement driving means configured to movably drive the device frame (100); safety means provided on the device frame 100 and the seating member 200 to ensure safety for the user; a control module 300 configured to control the seating member lift driving means, device movement driving means, and safety means; and a battery means (B) configured to supply operating power to the control module 300 or a component requiring power among the components.

상기 장치 프레임(100)은 체어 장치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크게 전후좌우의 수직 프레임(110), 및 상기 수직 프레임(100) 간을 연결하고 보강하도록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120)을 포함한다.The device frame 100 is configured to form the basic skeleton of the chair device, and largely includes a vertical frame 110 of front, back, left and right, and a horizontal frame 120 coupled to connect and reinforce the vertical frame 100 . include

상기 장치 프레임(100)은 복수의 수직 프레임(110)과 수평 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설명하고, 도면에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 case in which the device frame 100 is formed of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110 and a horizontal frame 120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여기에서, 상기 장치 프레임(100) 중 수직 프레임(110)의 일부는 아래 설명되는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의 일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 a part of the vertical frame 110 of the device frame 100 may be configured as one component of the seating member elevating driving means described below.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또한, 상기 장치 프레임(10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안전 수단의 실시 예(들)이 구성되며, 이 안전 수단은 장치 프레임(100)의 구성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safety means to be described below are configured in the device frame 100 , and the safety means may function as a component of the device frame 100 .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계속해서, 상기 착석 부재(200)는 사용자가 착석하여 안착되는 구성부로서 아래 설명되는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다.Subsequently, the seating member 200 is a component in which a user is seated and is provided to be able to be lifted up and down by a seating member lift driving means to be described below.

구체적으로, 상기 착석 부재(200)는 사용자의 엉덩이부가 착석되는 안착부(210), 및 상기 안착부(210)의 일단부에 상방향의 직교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등받이부(22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seating member 200 includes a seating part 210 on which the user's buttocks are seated, and a backrest part 220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seating part 210 in an upward orthogonal direction. .

또한, 상기 착석 부재(200)는 안착부(210)의 양측 단부에 팔걸이부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팔걸이부에는 제어 모듈(300)을 구성하는 제어 조작부가 구성되게 된다.In addition, the seating member 200 is preferably configured with armrests at both ends of the seating portion 210 , and the armrests are configured with control manipulation units constituting the control module 300 .

상기 착석 부재(200)의 안착부(210)는 평면에서 바라볼 때 중심 대칭선을 따라 일단에서 내측으로 소정 길이 절개된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등받이부(220)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다른 장치부와 밀접하게 연계되며 화장실 좌변기의 사용에 연관된다. 이때, 착석자는 장치 프레임(100)를 구성하는 가로 프레임에 의해 착석자의 등 부분이 지지될 수 있다.The seating part 210 of the seating member 200 may be formed in a "C" shape in which a predetermined length is cut inward from one end along a central symmetry line when viewed in a plan view, and the backrest 220 is omitted. , which is closely related to other devices described below and is related to the use of the toilet seat. In this case, the seated person's back may be supported by the horizontal frame constituting the device frame 100 .

상기 착석 부재(200)에는 안전 수단의 일 실시 형태인 안전 벨트 장치가 구성되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한다.A seat belt device,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safety means, is configured in the seating member 200 ,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다음으로, 상기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은 상기 착석 부재(200)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410), 및 상기 장치 프레임(100)에 구성되고, 상기 제어 모듈(300)의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지지 수단(410)을 승강 및 하강 가능하게 구동시키는 승강 구동장치(420)를 포함한다.Next, the seating member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means is configured in the support means 410 for supporting the seating member 200 and the device frame 100 , and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module 300 to support the seating member 200 . and a lift driving device 420 for driving the means 410 to be lifted and lowered.

또한, 상기 지지 수단(410)은 후단부가 상기 승강 구동장치(420)에 결합되고, 양측의 프레임이 단면 "ㄷ"자형으로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411)과, 상측에 상기 착석 부재(200)가 구비되고, 양 가장자리에 구름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411)를 따라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플레이트(412), 및 상기 이동 플레이트(412)를 선형 구동시키기 위한 선형 구동장치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means 410 includes a support frame 411 in which the rear end is coupled to the lift driving device 420, the frames on both sides are formed in a “C” shape in cross section, and the seating member 200 on the upper side. It is provided and includes a moving plate 412 provided with rolling rollers on both edge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along the support frame 411 , and a linear driving device for linearly driving the moving plate 412 .

상기 이동 플레이트(412)는 상기 착석부재(20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될 전후이동 구동수단에 의해 양측의 지지 프레임(411)을 따라 전후 이동된다.The moving plate 412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seating member 200, and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support frames 411 on both sides by a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means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착석부재 구동장치는 일 실시 예로 유압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ating member driving device may be configured as a hydraulic cylinder in an embodiment.

또한, 상기 착석부재 구동장치는 다른 실시 예로 스크류 이동 방식으로 승하강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ting member driving device may be configured to be lifted and lowered by a screw movement method in another embodiment.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 예의 착석부재 구동장치는, 상기 수직 프레임(110) 각각의 일측에 형성되는 이송 스크류와, 상기 이송 스크류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와, 상기 이송 스크류에 스크류 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지지 수단(410)이 결합되는 이동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ating member driving device of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transport screw form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vertical frame 110, a driving motor for rotatingly driving the transport screw, and screw-coupled to the transport screw, and the It may include a moving block to which the support means 410 is coupled.

또한, 상기 착석부재 구동장치는 랙 앤 피니언 방식으로 승강 및 하강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기어 방식이나 구동 벨트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ating member driving device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 a rack-and-pinion method, and in addition to this, it may be configured in a gear method or a drive belt method.

여기에서, 상기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은 상기 지지 수단(410)의 안정적인 승강과 하강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수단(410)과 상기 장치 프레임(100)의 수직 프레임(110) 간에 구성되는 가이드 돌기와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eating member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means includes a guide projection and a guide configured between the support means 410 and the vertical frame 110 of the device frame 100 to guide the stabl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support means 410 . It may further include a rail.

여기에서, 상기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은 착석 부재의 하강 최하단 위치 및 착석 부재의 상승 최상단 위치에 대한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eating member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 limit switch for restricting movement of the seating member to the lowermost lowermost position of the seat member and the uppermost position to the uppermost raised position of the seated member.

다음으로, 상기 장치 이동 구동수단은, 상기 장치 프레임(100)을 이동가능하게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장치 프레임(100)의 하단에 구비되는 한 쌍 씩의 전방 및 후방 구름 바퀴(510), 및 상기 제어 모듈(3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전방 구름 바퀴 또는 후방 구름 바퀴(510)를 정역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비되는 구동 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Next, the device movement driving means is configured to movably drive the device frame 100 , and a pair of front and rear rolling wheels 510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device frame 100 . , and a driving motor (not shown) provided to drive the front rolling wheel or the rear rolling wheel 510 in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module 300 .

여기에서, 상기 전방 및 후방의 구름 바퀴(510) 중 전방 구름 바퀴는 공지의 조향 장치(스티어링 장치)가 채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향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front rolling wheel among the front and rear rolling wheels 510 may be configured to have steer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by employing a well-known steering device (steering device).

또한, 상기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의 구동 장치가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방식인 경우, 상기 장치 이동 구동수단은 상기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의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과 장치 이동 구동수단은 구동 모터를 공용으로 사용하며, 이때 트랜스미션이 구성되어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력의 전달을 전환시켜 전달시키도록 구성된다.Also, when the driving device of the seating member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means is configured to include a driving motor, the device moving driving means may be configured to use a driving force of a driving motor of the seating member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means. In other words, the seating member lifting driving means and the device moving driving means use a driving motor in common, and 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is configured to switch and transmit the driving forc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다음으로, 상기 안전 수단은 상기 장치 프레임(100)과 착석 부재(200)에 구비되어 사용자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크게 기계적 구성과 전기제어적 구성으로 이루어진다.Next, the safety means is provided in the device frame 100 and the seating member 200 to ensure safety for the user, largely composed of a mechanical configuration and an electrical control configuration.

구체적으로, 상기 안전 수단은 사용자가 착석부재(210)에 착석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방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안전 펜스 부재(521)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safety means includes a safety fence member 521 for preventing the user from falling forward while the user is seated on the seating member 210 .

다시 말해서, 상기 안전 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장치 프레임(100)의 수직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반대편의 수직 프레임(110)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안전 펜스 부재(521)를 포함한다.In other words, the safety means has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110 of the device frame 100, and the other end of the safety fence member ( 521).

여기에서, 상기 안전 펜스 부재(521)는 자동으로 작동되게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safety fence member 521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utomatically.

구체적으로, 상기 안전 수단은 상기 장치 프레임(100)의 수직 프레임(110)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반대편의 수직 프레임(110)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안전 펜스 부재(521), 및 상기 안전 펜스 부재(610)의 일단부를 정역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스텝 모터(미도시), 및 상기 착석부재(200)에 구비(구체적으로는, 착석부재(200)의 안착부(210)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제어 모듈(300)로 전달하는 착석 검출 센서(522)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safety means has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110 of the device frame 100, and the other end of the safety fence member ( 521), and a step motor (not shown) provided to drive one end of the safety fence member 610 to rotate forward and backward, and provided in the seating member 200 (specifically, the seating portion of the seating member 200 ) (provided in 210) to detect whether the user is seated, and includes a seated detection sensor 522 for transmitting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module (300).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300)은 상기 착석 검출 센서(522)의 검출 유무에 따라 상기 스텝 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시켜 안전 페스 부재(521)가 자동으로 폐쇄 방향 또는 개방 방향으로 동작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300 drives the step motor to rotate forward or revers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tection of the seating detection sensor 522 so that the safety pass member 521 automatically operates in the closing direction or the opening direction.

또한, 상기 안전 수단은 상기 착석 부재(200)의 등받이부(200)에 구비되는 안전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afety means may further include a seat belt provided on the backrest 200 of the seating member 200 .

또한, 상기 안전 수단은 상기 장치 프레임(100)의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인출되고, 다시 후방으로 인입되도록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선형 이동대(530), 및 상기 선형 이동대(530)를 선형 구동시키는 선형 구동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선형 이동대(530)의 전방단 하부에는 지면에 접하여 구름 이동하는 지지 구름 바퀴(531)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safety means is drawn out from the lower end of the device frame 100 to the front, and a linear moving table 530 that is provided to be slidably retracted to the rear, and linearly driving the linear moving table 530 . It comprises a linear drive device. At this time, the lower front end of the linear moving table 530 is provided with a support rolling wheel 531 that moves in contact with the ground.

이러한 선형 이동대(530)는 전방으로 이동되어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가 체어 장치의 상부 측 프레임을 잡고 착석하거나 착석 부재(200)에서 이탈하고자 할 때, 체어 장치의 지지력이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되도록 한다.When the linear moving table 530 is moved forward, when a user wants to sit while holding the upper frame of the chair device or to depart from the seating member 200, the support force of the chair device is more stably secured.

상기 안전 수단의 선형 이동대(530)와 선형 구동 장치는 제어 모듈(3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linear moving table 530 and the linear driving device of the safety means may be formed of a hydraulic cylinde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module 300 .

여기에서, 상기 안전 수단의 선형 구동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으로 수동으로 구동될 수 있지만, 상기 착석 검출 센서(522)의 검출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linear driving device of the safety means may be manually driven by a user's operation, but it is preferable to be automatically driven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of the sitting detection sensor 522 .

다시 말해서, 상기 선형 구동 장치가 자동 구동되게 구성되는 경우, 상기 착석 검출 센서(522)에 의해 사용자가 착석부재(200)에 이탈하거나 없는 경우, 상기 선형 이동대(530)가 전방으로 연장되게 이동되고, 사용자가 착석부재(200)에 착석하는 때는 선형 이동대(530)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In other words, when the linear driving device is configured to be automatically driven, when the user leaves the seating member 200 by the seating detection sensor 522 or there is no, the linear movement table 530 is moved to extend forward. and, when the user is seated on the seating member 200, the linear moving table 53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또한, 전기제어적 구성으로서의 상기 안전 수단은, 상기 장치 프레임(100)에 구비되는 자이로 센서와, 상기 자이로 센서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선형 이동대(530)를 선형 구동시키는 선형 구동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비상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비상 제어부는 제어 모듈(300)에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afety means as an electrically controlled configuration controls a gyro sensor provided in the device frame 100 and a linear driving device that linearly drives the linear moving table 530 based on a detection signal of the gyro sensor. and an emergency control configured to do so. The emergency control unit is configured in the control module 300 .

다음으로, 상기 제어 모듈(300)은 상기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과 장치 이동 구동수단 및 안전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의 승강 및 하강 동작을 제어하는 승강 조작 제어부(310)와, 상기 장치 이동 구동수단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 조작 제어부(320), 및 상기 승강 조작 제어부(310)와 이동 조작 제어부(320)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 및 장치 이동 구동수단으로 전달하여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회로부(330)를 포함한다.Next, the control module 30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seating member elevation driving means, the device movement driving means, and the safety means, and an elevation operation control unit 310 that controls the elevation and lowering operations of the seating member elevation driving means. And, a movement operation control unit 320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device movement driving means, and receiving the operation signals of the lifting operation control unit 310 and the movement operation control unit 320 to drive the seating member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means and the device movement and a control circuitry 330 configured to transmit and control the means.

상기 승강 조작 제어부(310)와 이동 조작 제어부(320), 그리고 후술하는 자세 조작 제어부(380)는 조이스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fting operation control unit 310 , the movement operation control unit 320 , and the posture operation control unit 380 to be described later are preferably configured with a joystick.

여기에서, 본 발명의 체어 장치가 상기 안전 수단을 구성하는 착석 검출 센서(522)를 포함하고, 스텝 모터 구동 방식의 안전 펜스 부재(521) 및 선형 이동대(530)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 모듈(300)은 상기 착석 검출 센서(522)의 검출신호를 수신하는 착석신호 수신부(340)와, 상기 안전 펜스 부재(521)의 스텝 모터를 구동 제어하기 위한 스텝모터 구동 제어부(350)와, 상기 선형 이동대(53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이동대 구동 제어부(360), 및 비상 제어부(370)를 더 포함하게 된다.Here, when the chai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eated detection sensor 522 constituting the safety means, and includes the step motor-driven safety fence member 521 and the linear moving table 530 , the control The module 300 includes a seating signal receiving unit 340 for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ating detection sensor 522, and a step motor driving control unit 350 for driving and controlling the step motor of the safety fence member 521, It further includes a moving table driving control unit 36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linear moving unit 530 , and an emergency control unit 370 .

다음으로, 상기 배터리 수단(B)은 전력을 필요로 하는 구성부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충전식 배터리 및/또는 교체형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부가하여 태양광 발전 모듈 및 충전기가 더 구성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보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Next, the battery means (B)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configuration capable of supplying power to a component requiring power, and may preferably be comprised of a rechargeable battery and/or a replaceable battery, and additionally A solar power module and a charger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assist the power of the battery.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는, 하지를 사용하지 못하는 사용자의 화장실 사용 편의를 위하여 좌변기에 대한 착석 자세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utomatic lifting-moving chair device for a patient with lower extremity paralysis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mponent capable of facilitating a sitting posture with respect to the toilet seat for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toilet for users who cannot use the lower extremities. can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는, 상기 착석 부재(200)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착석부재 회전 구동장치부,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411)을 진퇴 가능하게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 구동장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300)은 상기 슬라이딩 구동장치부 및 착석부재 회전 구동장치부를 조작하도록 구성되는 자세 조작 제어부(380), 및 상기 자제 조작 제어부(380)의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슬라이딩 구동장치부와 착석부재 회전 구동장치부를 구동 제어하는 착석부재 구동 제어부(390)를 더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automatic lifting-moving chair device for a patient with lower extremity paralysis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ing member rotation driving device configured to rotate and driving the seating member 200, and the support plate 411 The control module 300 further includes a sliding drive unit configured to drive forward and backward, wherein the control module 300 includes a posture manipulation control unit 380 configured to operate the sliding drive unit and the seating member rotation drive unit, and the restraint It further includes a seating member driving control unit 390 that receives the control signal from the operation control unit 380 to drive and control the sliding driving unit and the seating member rotation driving unit.

이때, 상기 장치 프레임(100)은 상기 착석부재(200)의 회전 반경을 고려한 구조를 갖거나, 상기 착석부재(200)가 장치 프레임(100)에서 회전이 가능한 형상 또는 구조로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device frame 100 has a structure in consideration of the rotation radius of the seating member 200 , or has a shape or structure in which the seating member 200 can rotate in the device frame 100 .

상기 착석부재 회전 구동장치부는 지지 프레임(310)에 구비되며 단부에 기어(611)가 구비되는 정역 구동 모터와, 상기 착석 부재(200)의 하면에 형성되되 180°범위에서 반원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정역 구동 모터의 기어(611)가 외접(후방 측)하는 반원 랙기어(612)를 포함한다. 상기 정역 구동 모터는 상기 제어 모듈(300)의 착석부재 구동 제어부(390)의 구동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한다.The seating member rotation driving unit is provided on the support frame 310 and includes a forward/reverse driving motor having a gear 611 at an end thereof, and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member 200 in a semicircular ring shape in a 180° range. , the gear 611 of the forward and reverse drive motor includes a semicircular rack gear 612 circumscribed (rear side). The forward/reverse driving motor is driven by receiving a driving signal from the seating member driving control unit 390 of the control module 300 .

상기한 슬라이딩 구동장치부는 이동 플레이트(412)를 전후 이동시키도록 유압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압 실린더는 상기 착석부재 구동 제어부(390)의 구동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한다.The sliding drive unit may be configured as a hydraulic cylinder to move the moving plate 412 back and forth, and the hydraulic cylinder is driven by receiving a driving signal from the seating member driving control unit 390 .

도 10에 나타낸 사용 상태도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좌변기의 좌대 상에 위치하도록 이동시켜 이용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use state diagram shown in FIG. 10, the automatic lifting-moving chair device for a patient with lower extremity paralysi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moving it to be positioned on the seat base of the toilet.

또한, 본 발명은 착석부재 회전 구동장치부와 슬라이딩 구동장치부를 통해, 체어 장치를 좌변기 정면 측에 이동시킨 상태에서, 사용자는 착석부재(200)에서 양반다리 자세로 전환하고, 착석부재(200)를 180°회전시킨 다음, 그 상태에서 사용자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좌변기의 좌대에 안착되어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chair device is moved to the front side of the toilet seat through the seating member rotation driving device unit and the sliding driving device unit, the user switches from the seating member 200 to a two-legged posture, and the seating member 200 After rotating 180°, in that state, the user can move backward and be seated on the seat base of the toilet.

또는, 사용자는 착석부재(200)에서 양반다리 자세로 전환하고, 착석부재(200)를 180°회전시킨 다음, 이동 플레이트(411)를 좌변기의 좌대 상부 측으로 이동시켜 그 상태에서 이동하게 된다. 이는 상기 착석 부재(200)의 안착부(210)와 이동 플레이트(411)를 평면에서 바라볼 때 중심 대칭선을 따라 일단에서 내측으로 소정 길이 절개된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그 상태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된다.Alternatively, the user switches from the sitting member 200 to a bi-legged posture, rotates the sitting member 200 by 180°, and then moves the moving plate 411 to the upper side of the seat table of the toilet to move in that state. This is formed in a "C" shape in which a predetermined length is cut from one end to the inside along the central symmetry line when the seating part 210 and the moving plate 411 of the seating member 200 are viewed in a plan view. be able to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에 의하면, 하지가 마비되거나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까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휠체어와 같이 이동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식탁이나 화장실 등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환경에 따라 높이를 승하강시켜 사용자에 따른 적절한 맞춤 높이를 갖는 의자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utomatic lifting-moving chair device for a patient with lower extremity paralysis capable of lifting and lowe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abled or inconvenient disabled or patient can easily move to a destination in a seated state, thereby providing mobility like a wheelchair. It can be provided,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be used as a chair having an appropriate height according to the user by raising and lowering the height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the user wants to use, such as a dining table or a toilet.

또한, 본 발명은 이동 시 및 승하강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을 물리적 구성 및 전자제어적 구성을 통해 안전하게 대비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화장실 사용 시 좌변기에 대하여 착석 방향으로 제어되고 착석 이동 시 안전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좌변기에 용이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하여, 하지가 불편한 장애인이 화장실을 보다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nsure safety and stability by safely preparing for dangerous situations that may occur during movement and elevating and lowering through a physical configuration and an electronic control configuration. By having a controlled and safe structure when moving, it is possible to easily sit on a toilet seat,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person with a disability with a lower extremity can use the toilet more easily.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explanation rather than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Modifications and specific embodimen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 배터리 수단, 100: 장치 프레임
110: 수직 프레임, 120: 수평 프레임
200: 착석 부재, 210: 안착부
220: 등받이부, 300: 제어 모듈
310: 승강 조작 제어부, 320: 이동 조작 제어부
330: 제어 회로부, 340: 착석신호 수신부
350: 스텝모터 구동 제어부, 360: 이동대 구동 제어부
370: 비상 제어부, 380: 자세 조작 제어부
390: 착석부재 구동 제어부, 410: 지지 수단
411: 지지 프레임, 412: 이동 플레이트
420: 승강 구동장치, 510: 구름 바퀴
521: 안전 펜스 부재, 522: 착석 검출 센서
530: 선형 이동대, 531: 지지 구름 바퀴
611: 기어, 612: 반원 랙기어
B: battery means, 100: device frame
110: vertical frame, 120: horizontal frame
200: seating member, 210: seating portion
220: backrest, 300: control module
310: elevating operation control unit, 320: movement operation control unit
330: control circuit unit, 340: seating signal receiving unit
350: step motor driving control unit, 360: mobile unit driving control unit
370: emergency control unit, 380: posture control control unit
390: seating member driving control unit, 410: support means
411: support frame, 412: moving plate
420: elevating drive, 510: rolling wheel
521: safety fence member, 522: seating detection sensor
530: linear mobile platform, 531: support rolling wheel
611: gear, 612: semicircle rack gear

Claims (7)

장치의 골격을 형성하는 장치 프레임;
상기 장치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 프레임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착석 부재;
상기 착석 부재를 승강 가능하게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
상기 장치 프레임을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이동 구동수단;
상기 장치 프레임과 착석 부재에 구비되는 안전 수단;
상기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과 장치 이동 구동수단 및 안전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에 작동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은, 상기 착석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 및 상기 장치 프레임에 구성되고,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지지 수단을 승강 및 하강 가능하게 구동시키는 승강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수단은, 후단부가 상기 승강 구동장치에 결합되고, 양측의 프레임이 단면 "ㄷ"자형으로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측에 상기 착석 부재가 구비되고, 양 가장자리에 구름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를 따라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플레이트, 및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선형 구동시키기 위한 선형 구동장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이동 구동수단은, 상기 장치 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되는 전방 및 후방 구름 바퀴, 및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전방 구름 바퀴 또는 후방 구름 바퀴를 정역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비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안전 수단은,
상기 장치 프레임의 전방 일측 수직 프레임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전방 타측 수직 프레임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안전 펜스 부재, 및 상기 안전 펜스 부재의 일단부를 정역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스텝 모터, 및 상기 착석부재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제어 모듈로 전달하는 착석 검출 센서; 및
상기 장치 프레임의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인출되고, 다시 후방으로 인입되도록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선형 이동대와, 상기 선형 이동대의 전방단 하부에 구비되어 지면에 접하여 구름 이동하는 지지 구름 바퀴, 및 상기 착석 검출 센서의 검출 신호에 따른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선형 이동대를 선형 구동시키는 선형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a device frame forming the framework of the device;
a seating member provid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long a vertical frame constituting the device frame;
a seating member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means configured to drive the seating member to be lifted and lowered;
device movement driving means configured to move the device frame;
safety means provided on the device frame and the seating member;
a control module configured to control the seating member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means, device moving driving means, and safety means; and
battery means configured to supply operating power to the control module;
The seating member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means includes a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seating member, and an elevation driving device configured in the device frame to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module and drive the support means to be lifted and lowered. do,
The support means includes a support frame in which a rear end is coupled to the elevating driving device, the frames on both sides are formed in a “C” shape in cross section, the seat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and rolling rollers are provided on both edges to support the support. A moving plate provid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along the frame, and a linear drive unit for linearly driving the moving plate,
The device movement driving means includes front and rear rolling wheel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device frame, and a drive motor provided to drive the front rolling wheels or the rear rolling wheels in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module. characterized by,
The safety means is
A safety fence member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one vertical frame of the device frame, the other end being coupled and detachably fixed to the other front vertical frame, and one end of the safety fence member being provided to driv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 step motor, and a seating detection sensor provided in the seating member to detect whether a user is seated and transmit a detection signal to a control module; and
A linear moving table that is drawn for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device frame and slidably provided to be retracted to the rear; and a linear driving device for linearly driving the linear moving tabl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from a detection sensor.
Automatic elevating-moving chair device for paraplegic patient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동장치는 유압 실린더로 구성되거나, 스크류 이동 방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안전 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장치 프레임의 전방 일측 수직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전방 타측 수직 프레임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안전 펜스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ifting driving device is composed of a hydraulic cylinder, or is composed of a screw movement method,
The safety means,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on the front one side of the device frame, the other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afety fence member that is coupled and detachably fixed to the other vertical frame in the front.
Automatic elevating-moving chair device for paraplegic patient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의 승강 및 하강 동작을 제어하는 승강 조작 제어부;
상기 장치 이동 구동수단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 조작 제어부;
상기 승강 조작 제어부와 이동 조작 제어부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 및 장치 이동 구동수단으로 전달하여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회로부;
상기 착석 검출 센서의 검출신호를 수신하는 착석신호 수신부;
상기 안전 펜스 부재의 스텝 모터를 구동 제어하기 위한 스텝모터 구동 제어부; 및
상기 선형 구동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이동대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module is
an elevating oper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elevating and lowering operations of the seat member elevating driving means;
a movement oper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he device movement driving means;
a control circuit unit configured to receive operation signals from the lifting operation control unit and the movement operation control unit and transmit them to the seating member lifting driving means and the device movement driving means for control;
a seating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detection signal of the seating detection sensor;
a step motor driving control unit for driving and controlling the step motor of the safety fence member; and
and a moving table driv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linear driving device.
Automatic elevating-moving chair device for paraplegic patient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 부재 및 지지 플레이트는 평면에서 바라볼 때 중심 대칭선을 따라 일단에서 내측으로 소정 길이 절개된 "ㄷ"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착석 부재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착석부재 회전 구동장치부, 및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진퇴 가능하게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 구동장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슬라이딩 구동장치부 및 착석부재 회전 구동장치부를 조작하도록 구성되는 자세 조작 제어부, 및 상기 자세 조작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슬라이딩 구동장치부와 착석부재 회전 구동장치부를 구동 제어하는 착석부재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ating member and the support plate are formed in a "C" shape in which a predetermined length is cut inward from one end along a central symmetry line when viewed in a plan view,
A seating member rotation driving device configured to rotationally drive the seating member, and a sliding driving device configured to drive the moving plate forward and backward so as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The control module includes a posture manipulation control unit configured to operate the sliding driving unit and the seating member rotation driving unit, and controlling the sliding driving unit and the seating member rotation driving unit by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posture manipulation control unit. Seating member driving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utomatic elevating-moving chair device for paraplegic patient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재 회전 구동장치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구비되며 단부에 기어가 구비되는 정역 구동 모터와, 상기 착석 부재의 하면에 형성되되 180°범위에서 반원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정역 구동 모터의 기어가 외접하는 반원 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eating member rotation driving device unit
It includes a forward/reverse drive motor provided in the support frame and provided with a gear at an end thereof, and a semicircular rack gear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member in a semicircular ring shape in a 180° range, the gear of the forward/reverse drive motor circumscribed. characterized by
Automatic elevating-moving chair device for paraplegic patients.
KR1020200099868A 2020-08-10 2020-08-10 Auto lifting-moving chair apparatus for parapiegic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KR1024234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868A KR102423485B1 (en) 2020-08-10 2020-08-10 Auto lifting-moving chair apparatus for parapiegic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868A KR102423485B1 (en) 2020-08-10 2020-08-10 Auto lifting-moving chair apparatus for parapiegic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875A KR20220019875A (en) 2022-02-18
KR102423485B1 true KR102423485B1 (en) 2022-07-22

Family

ID=80495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868A KR102423485B1 (en) 2020-08-10 2020-08-10 Auto lifting-moving chair apparatus for parapiegic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348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699B1 (en) * 2023-04-21 2023-06-22 주식회사 엘티에스코리아 Functional chair device for patient transpor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8760A (en) 2006-08-22 2008-03-06 Oita Univ Seat structure of electric wheelchair
JP2009279118A (en) 2008-05-21 2009-12-03 Sumitomo Electric Ind Ltd Wheelchair
KR100960094B1 (en) 2009-10-14 2010-05-3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Lift chair having lifting module hingedly jointed theret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853Y1 (en) 2004-06-25 2004-09-22 박승부 Multi-purpose chair
KR100954780B1 (en) 2009-10-09 2010-04-2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Movable lift device having attachable and detachable bed part
KR101212820B1 (en) 2010-11-22 2012-12-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Lifting and tilting structure and lifting chair with the same
KR20120060056A (en) * 2010-12-01 2012-06-1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Lift wheelchair
KR20120100155A (en) * 2011-03-03 2012-09-12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Wheelchair with movable seat and back support
KR20140145717A (en) 2013-06-14 2014-12-24 (주)록키 A multipurpose chair
KR20160142548A (en) * 2015-06-03 2016-12-1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Seat height adjustable motor driven wheel chair
KR20200001098A (en) * 2018-06-26 2020-01-06 주식회사 랜티스 Smart motorized wheelchair for rehabilitation
KR102235699B1 (en) * 2018-12-07 2021-04-06 주식회사 화인로보텍 Boarding apparatus for wheelchair us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8760A (en) 2006-08-22 2008-03-06 Oita Univ Seat structure of electric wheelchair
JP2009279118A (en) 2008-05-21 2009-12-03 Sumitomo Electric Ind Ltd Wheelchair
KR100960094B1 (en) 2009-10-14 2010-05-3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Lift chair having lifting module hingedly jointed theret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875A (en) 2022-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77807B1 (en) Multifunctional wheelchair
US4949408A (en) All purpose wheelchair
EP0907343B1 (en) Support unit
US8544866B2 (en) Convertible wheelchairs with movable carriages for transferring patients to/from the wheelchairs
KR101891685B1 (en) The wheelchair to transform a bed
JP2007181639A (en) Stand-up assist chair
KR101437374B1 (en) Variable type wheel chair
JP2014509543A (en) Mobile device for the handicapped
KR20180059516A (en) Multi-purpose, multi-utility, and reorganizable recliner chair bed
CN109966067B (en) Wheel chair
KR20160142548A (en) Seat height adjustable motor driven wheel chair
US10842692B2 (en) Elevatable and portable wheelchair
KR101545158B1 (en) foldable electric wheelchair
JP5666670B2 (en) Chair with auxiliary mechanism
KR102150594B1 (en) Wheelchair
KR102423485B1 (en) Auto lifting-moving chair apparatus for parapiegic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JP2004321630A (en) Motor-driven wheelchair
KR20120100155A (en) Wheelchair with movable seat and back support
KR102461127B1 (en) Electric Wheel-chair
KR101462378B1 (en) Wheelchair with lift
CN210903721U (en) Wheel chair
CN110840660B (en) Patient transfer device suitable for mobility-handicapped person
CN214713094U (en) Lifting type foldable wheelchair
JPH08196573A (en) Nursing care mobile device
CN113081520A (en) Transfer auxiliary wheel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