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1338B1 -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Mobile Terminal with Set-top Box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Mobile Terminal with Set-top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1338B1
KR102381338B1 KR1020220014714A KR20220014714A KR102381338B1 KR 102381338 B1 KR102381338 B1 KR 102381338B1 KR 1020220014714 A KR1020220014714 A KR 1020220014714A KR 20220014714 A KR20220014714 A KR 20220014714A KR 102381338 B1 KR102381338 B1 KR 102381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box
interworking
user terminal
termin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47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20870A (en
Inventor
김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20014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338B1/en
Publication of KR20220020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8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3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댁내 진입 시 사용자 단말과 셋탑 박스를 자동 페어링(연결) 시켜주고 사용자 단말과 셋탑 박스 연동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버에 셋탑과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제공하여 서비스 진행이 가능한 트리거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고객이 댁내 진입 시 페어링 서비스용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명시적으로 실행하지 않아도 페어링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between a terminal and a set-top box, and provides automatic pairing (connection) between a user terminal and a set-top box when a user enters a home, and provides a set-top application or server for interworking service between a user terminal and a set-top box. By providing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to act as a trigger that enables the service to proceed, the customer can receive the pairing service without explicitly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for the pairing service when entering the premises.

Description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Mobile Terminal with Set-top Box}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Mobile Terminal with Set-top Box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댁내 진입 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과 셋탑 박스를 자동 페어링(연결) 시켜주고 사용자 단말과 셋탑 박스 연동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버에 페어링 된 셋탑과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제공하여 연동 서비스 진행이 가능한 트리거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고객이 페어링 서비스용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명시적으로 실행하지 않아도 연동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interworking between a user's mobile terminal and a set-top box,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user enters a house, the user's (mobile) terminal and the set-top box are automatically paired (connected) and the user terminal and the set-top box By providing the information of the set-top and user terminal paired to the application or server for the interlocking service, it acts as a trigger that enables the interworking service, so that the interworking service can be provided without the customer explicitly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for the pairing service. ,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between a terminal and a set-top box.

일반적으로, 종래의 셋탑 박스, 특히 데이터 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수신용 셋탑 박스를 사용하는 경우, 가정에서 다양한 구성원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기기의 성격상 채널 구성, 인터페이스 설정, 시청 시간대 제한, 성인 인증 등의 서비스가 개인화되지 못하고 단일한 형태로 제공되어 왔다. 또한, 셋탑 박스를 이용하여 결제를 하기 위해서는 신용카드 정보 또는 공인인증서 정보 등을 직접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In general, when using a conventional set-top box, particularly a set-top box for digital broadcast reception for providing data broadcasting, channel configuration, interface setting, viewing time limit, adult Services such as authentication have not been personalized and have been provided in a single form. In addition, in order to make a payment using the set-top box, it is cumbersome to directly input credit card information or public certificate information.

최근에는 IPTV 서비스가 활성화되면서 기존의 획일화된 방송 채널 구성에서 벗어나 개인별 선호도에 따른 채널 조정이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개인화된 형태의 방송 서비스가 가시화되고 있으나, 이 또한 사용자가 직접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단점이 있고, 특히 개인화된 방송 서비스 형태로서 사용자 개인 단말과 댁내 셋탑 박스를 연결하여 연동하기 위한 페어링(연결)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단말 사용자가 특정 애플리케이션(예: 원터치플레이 앱)을 실행하여 댁내 셋탑을 찾아 연결한 후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Recently, as the IPTV service has been activate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channel according to individual preference, away from the existing uniform broadcasting channel composition, and accordingly, a personalized broadcasting service is being visualiz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nput is required, and in particular, in the form of a personalized broadcasting service, in order to use the pairing (connection) service for connecting and interworking the user's personal terminal and the in-house set-top box, the terminal user must execute a specific application (eg, one-touch play app) to There is a hassle of finding and connecting the set-top at home and then using it.

등록특허공보 제10-1537786호(2015.07.13. 등록)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537786 (Registered on July 13, 2015)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가 댁내 진입 시 사용자 단말과 셋탑 박스를 자동 페어링(연결) 시켜주고 사용자 단말과 셋탑 박스 연동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버에 셋탑과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제공하여 서비스 진행이 가능한 트리거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고객이 페어링 서비스용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명시적으로 실행하지 않아도 페어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purpose of which is to automatically pair (connect) a user terminal and a set-top box when a user enters a premises, and connect the set-top and the user terminal to an application or server for interworking service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set-top box Provides a device and method for interworking between a terminal and a set-top box, enabling the provision of a pairing service without the customer explicitly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for the pairing service by providing information on will do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는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댁내 와이파이용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기 위한 와이파이감시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셋탑 박스로 (연결을 요청하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셋탑연결요청부; 및 상기 전송된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셋탑 박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 연결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여 연결을 확인하기 위한 셋탑연결확인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 승인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셋탑 박스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연동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거나 연동 서비스 서버로 제공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기 위한 연결정보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pparatus for interworking between a terminal and a set-top box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interworking between a terminal and a set-top box) included in a user terminal, wherein the user terminal is for in-house Wi-Fi Wi-Fi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a set-top connection request unit for transmitting a connection request message (requesting a connection) from the user terminal to a set-top box when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and a set-top connection confirma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connection approval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set-top box to the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the transmitted connection request message to confirm the connection, and the set-top included in the connection approval message The box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activating the application by providing the box information to the interworking servic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or to the interworking service server.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액세스 포인트 간의 무선 연결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셋탑 박스 간의 유선 연결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셋탑 박스 간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셋탑 박스는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자체 설치된 연동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또는 연동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여 해당하는 연동 서비스를 진행할 수 있다.A connec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set-top box may be made through a wireless connec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access point and a wired connection between the access point and the set-top box, and the set-top box includes the user included in the connection request message. The corresponding interworking service can be performed by transferring the terminal information to the self-installed interworking service application or interworking service server.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하는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이 댁내 와이파이용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셋탑 박스로 (연결을 요청하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단계; 셋탑연결요청부; 및 (c) 상기 전송된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셋탑 박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 연결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여 연결을 확인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d) 상기 연결 승인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셋탑 박스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연동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계 (d)는 상기 셋탑 박스의 정보를 연동 서비스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for interworking of a terminal and a set-top box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interworking between a terminal and a set-top box) performed in a user terminal, (a) the user terminal monitoring whether it is connected to an access point for in-house Wi-Fi; (b) when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transmitting a connection request message (requesting a connection) from the user terminal to a set-top box; set-top connection request unit; and (c) receiving a connection acknowledgment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set-top box to the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the transmitted connection request message to confirm the connection, (d) to the connection acknowledgment messag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providing the included information of the set-top box as an interworking servic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to start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wherein step (d) provides the information of the set-top box to the interworking service server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매개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셋탑 박스가 서로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고, 상기 셋탑 박스는 상기 단계 (b)에서 수신된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자체 설치된 연동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또는 연동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여 해당하는 연동 서비스를 진행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and the set-top box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communicate via the access point, and the set-top box transmits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ncluded in the connection request message received in step (b) to a self-installed interworking service application Alternatively, a corresponding interworking service may be performed by transferring it to the interworking service server.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이 셋탑박스와 연결되어 있는 와이파이용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면, 상기 엑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셋탑 박스의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셋탑 박스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연동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메시지는 상기 셋탑 박스로의 연결을 승인하는 연결 승인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셋탑 박스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연동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셋탑 박스의 정보를 연동 서비스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for interworking a terminal and a set-top box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performed by a user terminal, (a) access for Wi-Fi in which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t-top box monitoring whether it is connected to a point; (b) when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receiving a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set-top box from the access point; and (c)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set-top box included in the message to an interworking servic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message includes a connection approval message for approving a connection to the set-top box and the user terminal may start the linked service applic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set-top box, and the user terminal may provide the information of the set-top box to the linked service server.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는 장치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셋탑박스와 연결되어 있는 와이파이용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기 위한 와이파이감시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면, 상기 엑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셋탑 박스의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셋탑연결확인부; 및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셋탑 박스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연동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기 위한 연결정보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메시지는 상기 셋탑 박스로의 연결을 승인하는 연결 승인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셋탑 박스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연동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셋탑 박스의 정보를 연동 서비스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pparatus for interworking a terminal and a set-top box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included in a user terminal, and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a Wi-Fi access point connected to the set-top box Wi-Fi monitoring unit to monitor whether or not; a set-top connection confirma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set-top box from the access point when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and a connec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information of the set-top box included in the message to an interworking servic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message includes a connection approval message for approving a connection to the set-top box The user terminal may start the linked service applic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set-top box, and the user terminal may provide the information of the set-top box to the linked service server.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re may be provide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for interworking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et-top box is recorded in a computer.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pplication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provided in order to execute the method for interworking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et-top box in combination with hardwar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re may be provided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order to execute the method for interworking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et-top box in a comput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댁내 진입 시 사용자 단말과 셋탑 박스를 자동 페어링(연결) 시켜주고 사용자 단말과 셋탑 박스 연동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버에 셋탑과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제공하여 서비스 진행이 가능한 트리거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고객이 댁내 진입 시 페어링 서비스용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명시적으로 실행하지 않아도 페어링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various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enters a house, the user terminal and the set-top box are automatically paired (connected), and information of the set-top and the user terminal is provided to an application or server for interworking service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set-top box. by providing a trigger role that enables the service to proce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ustomer can receive the pairing service without explicitly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for the pairing service when entering the premis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구비되는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interworking between a terminal and a set-top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interworking between a terminal and a set-top box provided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interworking between a terminal and a set-top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are to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relat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망(1), 사용자 단말(2), 셋탑박스(3), 액세스포인트(4), 및 연동 서비스 서버(5)를 포함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interworking of a terminal and a set-top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a communication network 1, a user terminal 2, a set-top box 3, and an access point (4), and an interworking service server (5).

통신망(1)은 사용자 단말(2), 액세스포인트(4), 셋탑박스(3), 및 연동 서비스 서버(5) 간을 유선, 무선 및/또는 인터넷 등으로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단독 또는 복합의 어떤 망이어도 좋다.The communication network 1 connects the user terminal 2, the access point 4, the set-top box 3, and the interworking service server 5 through wired, wireless and/or the Internet, etc. Any network of composites may be used.

사용자 단말(2)은 고객(사용자)이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로서, 예를 들어, 음성 통신, 영상 통신, 데이터 통신, 및 인터넷 통신 등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PDA, 스마트 폰, 테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 is a mobile terminal used by a customer (user),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voice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and Internet communication, PDA, smart phone, tablet PC, etc. may include

셋탑박스(3)는 IPTV 서비스를 위한 방송 수신 장치로서의 셋탑 박스(Set-top Box)를 나타낸다.The set-top box 3 represents a set-top box as a broadcast receiving device for an IPTV service.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 AP)(4)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가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무선 인터넷 접속을 도와 주는 중계 장치로서,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댁내 설치되어 통신망(1)의 유선 인터넷에 연결된 댁내 셋탑박스(3)와 모바일 단말로서의 사용자 단말(2) 간의 연결을 중계할 수 있다An access point (AP) 4 is a relay device that helps a wireless Internet user to access the Internet so that he or she can use an Internet service. 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it is installed in the user's premises It is possible to relay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house set-top box 3 connected to the wired Internet and the user terminal 2 as a mobile terminal.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과 액세스 포인트(4) 간은 Wi-Fi 방식의 무선 연결을 수행할 수 있고, 액세스 포인트(4)와 셋탑 박스(3) 간은 LAN과 같은 유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액세스포인트(4)를 매개로 사용자 단말(2)과 셋탑 박스(3) 간의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 wireless connection of a Wi-Fi method may be performed between the user terminal 2 and the access point 4 , and a wired connection such as a LAN is performed between the access point 4 and the set-top box 3 . It is installed so that it can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2 and the set-top box 3 via the access point (4).

연동 서비스 서버(5)는 셋탑박스(3)와 사용자 단말(2)의 페어링 시 통신망(1)을 매개로 셋탑박스(3) 및/또는 사용자 단말(2)과의 통신으로 각종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장치를 나타낸다.The interworking service server 5 provides various interworking services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set-top box 3 and/or the user terminal 2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1 when the set-top box 3 and the user terminal 2 are paired. It represents a server device for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에 구비되는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의 구성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파이감시부(21), 셋탑연결요청부(23), 셋탑연결확인부(25), 및 연결정보제공부(27)를 포함할 수 있다.2 is a block diagram of a device for interworking a terminal and a set-top box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a Wi-Fi monitoring unit 21, a set-top connection request unit 23 , a set-top connection confirmation unit 25 , and a connec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27 may be included.

와이파이감시부(21)는 사용자 근처에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4)가 있는지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2)이 댁내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4)에 연결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이 댁내 진입하여 액세스 포인트(4)에 연결되면 이를 실시간 인지할 수 있다.The Wi-Fi monitoring unit 21 is for monitor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2 is connected to the home Wi-Fi access point 4 by searching for a Wi-Fi access point 4 near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When (2) enters the house and is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4), it can be recognized in real time.

셋탑연결요청부(23)는 댁내 액세스 포인트(4)에 유선 연결되어 있는 댁내 셋탑 박스(3)로의 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것으로, 일 예로, 와이파이감시부(21)를 통해 사용자 단말(2)이 댁내 액세스 포인트(4)에 연결된 것으로 인지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2)로부터 액세스 포인트(4)를 통하여 댁내 셋탑 박스(3)로의 연결을 요청하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 요청 메시지는 적어도 사용자 단말(2)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t-top connection request unit 23 is for requesting a connection to the in-house set-top box 3 that is wired to the in-house access point 4,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 through the Wi-Fi monitoring unit 21. This is to generate and transmit a connection request message for requesting a connection from the user terminal 2 to the in-house set-top box 3 through the access point 4 when the connection to the in-house access point 4 is recognized.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on request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t least the user terminal 2 .

셋탑연결확인부(25)는 댁내 액세스 포인트(4)에 유선 연결되어 있는 댁내 셋탑 박스(3)와 사용자 단말(2) 간의 연결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셋탑연결요청부(23)로부터 전송된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셋탑 박스(3)로부터 액세스 포인트(4)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2)로 전송된 연결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연결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 승인 메시지는 적어도 셋탑 박스(3)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t-top connection confirmation unit 25 is for confirm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house set-top box 3 and the user terminal 2 that are wired to the in-house access point 4, for example, the set-top connection request unit 23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request message sent from the set-top box (3) through the access point (4) By receiving the connection approval messag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may be confirmed.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on approval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t least the set-top box 3 .

연결정보제공부(27)는 연결된 셋탑 박스의 정보를 연동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버로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일 예로 셋탑연결확인부(25)를 통해 셋탑 박스(3)로부터 연결 승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연결 승인 메시지에 포함된 셋탑 박스(3)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2)에 설치된 연동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거나, 다른 예로 그 셋탑 박스(3)의 정보를 통신망(1)을 통해 연동 서비스 서버(5)로 제공하여, 이후 사용자가 원하는 해당 연동 서비스가 진행되도록 하는 트리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nec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27 is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the connected set-top box as an application or server for an interworking service, for example, when a connection approval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set-top box 3 through the set-top connection confirmation unit 25 The information of the set-top box 3 included in the connection approval message is provided to the interworking servic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2 to activate the application, or, as another example, the information of the set-top box 3 is transferr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1 It is provided to the interworking service server 5 through , and then a trigger function that allows the user to proceed with the interworking service desired by the user can be performed.

한편, 셋탑 박스(3)는 사용자 단말(2)의 셋탑연결요청부(23)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2)의 정보를 자체 설치된 연동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또는 연동 서비스 서버(5)로 전달하여, 이후 사용자가 원하는 해당 연동 서비스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t-top box 3 receives a connection request message from the set-top connection request unit 23 of the user terminal 2, th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 included in the connection request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self-installed interworking service application or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interworking service server 5 so that a corresponding interworking service desired by the user is performed thereafter.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로, 도 1-2의 장치에서 수행하므로 해당 장치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interworking between a terminal and a set-top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erformed in the apparatus of FIGS. 1-2, it will be described in parallel with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apparatus.

먼저, 사용자 단말(2)은 주변의 와이파이 신호를 검색하여 댁내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4)에 연결되는지 여부를 실시간 감시하고(S301), 단계 S301의 감시 결과 댁내 액세스 포인트(4)에 연결되었다고 판단되면 댁내 셋탑 박스(3)와의 연결을 요청하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댁내 셋탑 박스(3)로 전송한다(S303).First, the user terminal 2 searches for a nearby Wi-Fi signal and monitors whether it is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4 installed in the house in real time (S301). A connection request message for requesting a connection with the in-house set-top box 3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in-house set-top box 3 (S303).

이어, 댁내 셋탑 박스(3)는 단계 S303에서 사용자 단말(2)로부터 수신된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연결 승인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연결 승인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로 전송한다(S305).Next, the in-house set-top box 3 generates a connection approval message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request messag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 in step S303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nnection approval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2 (S305) ).

이어, 사용자 단말(2)은 단계 S305에서 수신된 연결 승인 메시지를 기초로 셋탑 박스(3)와 연결되었음을 인지하고 그 연결 승인 메시지에 포함된 셋탑 박스(3)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2)에 설치된 연동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하거나 또는 통신망(1)을 통해 연동 서비스 서버(5)로 제공하여(S307), 이후 사용자가 원하는 해당 연동 서비스의 진행이 시작되도록 트리거 역할을 할 수 있다(S311).Next, the user terminal 2 recognizes that it is connected to the set-top box 3 based on the connection approval message received in step S305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set-top box 3 included in the connection approval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2 It may be provided to the installed interworking service application or provided to the interworking service server 5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 (S307), and then serve as a trigger to start the progress of the corresponding interworking service desired by the user (S311).

또한, 셋탑 박스(3)는 단계 S305에서 사용자 단말(2)과의 연결을 승인한 다음, 단계 S303에서 사용자 단말(2)로부터 수신된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2)의 정보를 자체 설치된 연동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하거나 또는 통신망(1)을 통해 연동 서비스 서버(5)로 제공하여(S309), 이후 사용자가 원하는 해당 연동 서비스의 진행이 시작되도록 트리거 역할을 할 수 있다(S313).In addition, the set-top box 3 approves the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2 in step S305, and then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 included in the connection request messag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 in step S303. It may be provided to the installed interworking service application or provided to the interworking service server 5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 (S309), and then serve as a trigger to start the progress of the corresponding interworking service desired by the user (S313).

한편, 전술한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에 따르면 해당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구현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method for interworking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et-top box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in a computer is recorded.

또 한편, 전술한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에 따르면 해당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method for interworking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et-top box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application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order to execute the method in combination with hardware.

또 한편, 전술한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에 따르면 해당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interworking of the terminal and the set-top box,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order to execute the method in a computer.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또는 이러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for interworking of a terminal and a set-top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ing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various computer-implemented operations or in such a recording medium. It can be implemented as a stored applica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local data files, local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hard disk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py disks, and ROMs, RAMs, flash memories, and the like.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the same program instructions are included.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통신망
2: 사용자 단말
3: 셋탑 박스(Set-top Box)
4: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5: 연동 서비스 서버
21: 와이파이감시부
23: 셋탑연결요청부
25: 셋탑연결확인부
27: 연결정보제공부
1: network
2: User terminal
3: Set-top Box
4: Access Point (AP)
5: Interworking service server
21: Wi-Fi monitoring unit
23: set-top connection request unit
25: set-top connection confirmation unit
27: Connection information provider

Claims (11)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이 셋탑박스와 연결되어 있는 와이파이용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면, 상기 엑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셋탑 박스의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셋탑 박스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연동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
As a method performed in a user terminal,
(a) monitor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a Wi-Fi access point connected to the set-top box;
(b) when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receiving a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set-top box from the access point; and
(c)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set-top box included in the message to an interworking servic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a method for interworking between a terminal and a set-top box.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셋탑 박스로의 연결을 승인하는 연결 승인 메시지를 포함하는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ssage is a method for interworking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et-top box including a connection approval message for approving the connection to the set-top box.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셋탑 박스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연동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는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terminal is a method for interworking between a terminal and a set-top box that activates the interworking service applic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set-top box.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셋탑 박스의 정보를 연동 서비스 서버로 제공하는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terminal is a method for interworking between a terminal and a set-top box that provides information of the set-top box to an interworking service server.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는 장치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셋탑박스와 연결되어 있는 와이파이용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기 위한 와이파이감시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면, 상기 엑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셋탑 박스의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셋탑연결확인부; 및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셋탑 박스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연동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기 위한 연결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
As a device included in a user terminal,
a Wi-Fi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a Wi-Fi access point connected to the set-top box;
a set-top connection confirma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set-top box from the access point when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and
An apparatus for interworking between a terminal and a set-top box, comprising a connec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information of the set-top box included in the message to an interworking servic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셋탑 박스로의 연결을 승인하는 연결 승인 메시지를 포함하는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essage is an apparatus for interworking between a terminal and a set-top box including a connection approval message for approving a connection to the set-top box.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셋탑 박스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연동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는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user terminal is an apparatus for interworking between a terminal and a set-top box that activates the interworking service applic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set-top box.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셋탑 박스의 정보를 연동 서비스 서버로 제공하는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user terminal is an apparatus for interworking between a terminal providing information of the set-top box to an interworking service server and a set-top box.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for interworking of the terminal and the set-top box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on a computer is recorded.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An application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o execute the method for interworking of the terminal and the set-top box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in combination with hardwar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order to execute the method for interworking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et-top box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KR1020220014714A 2017-04-19 2022-02-04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Mobile Terminal with Set-top Box KR1023813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714A KR102381338B1 (en) 2017-04-19 2022-02-04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Mobile Terminal with Set-top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161A KR102361009B1 (en) 2017-04-19 2017-04-19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Mobile Terminal with Set-top Box
KR1020220014714A KR102381338B1 (en) 2017-04-19 2022-02-04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Mobile Terminal with Set-top Box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161A Division KR102361009B1 (en) 2017-04-19 2017-04-19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Mobile Terminal with Set-top Bo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870A KR20220020870A (en) 2022-02-21
KR102381338B1 true KR102381338B1 (en) 2022-04-01

Family

ID=641014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161A KR102361009B1 (en) 2017-04-19 2017-04-19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Mobile Terminal with Set-top Box
KR1020220014714A KR102381338B1 (en) 2017-04-19 2022-02-04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Mobile Terminal with Set-top Box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161A KR102361009B1 (en) 2017-04-19 2017-04-19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Mobile Terminal with Set-top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6100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811B1 (en) * 2021-01-13 2022-05-3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eterogeneous services interchangeably between heterogeneous terminals
CN114765776A (en) * 2021-01-14 2022-07-19 青岛海信宽带多媒体技术有限公司 Method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set top box with WIFI, set top box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316B1 (en) 2013-11-25 2014-06-27 조준상 Wire and wireless iptv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451421B1 (en) 2011-12-08 2014-10-17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system for linking terminals for providing service
KR101491578B1 (en) 2008-12-16 2015-02-09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managing personal iptv ser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1160A (en) * 2009-01-05 2010-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capable of connecting with iptv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537786B1 (en) 2014-01-23 2015-07-1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mart service data based on smart TV and mobile smart terminal interwork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578B1 (en) 2008-12-16 2015-02-09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managing personal iptv service
KR101451421B1 (en) 2011-12-08 2014-10-17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system for linking terminals for providing service
KR101410316B1 (en) 2013-11-25 2014-06-27 조준상 Wire and wireless iptv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1009B1 (en) 2022-02-10
KR20180117270A (en) 2018-10-29
KR20220020870A (en) 202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133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Mobile Terminal with Set-top Box
AU2013273771B2 (en) Electronic device, personal cloud apparatus, personal cloud system and method for registering personal cloud apparatus in user portal server thereof
US9591485B2 (en) Provisioning subscriptions to user devices
EP3139319A1 (en) Service providing device for cancelling ticket, ticket cancel guide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20150110951A (en) Security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beacon and control apparatus thereof
KR101732007B1 (en) File access control method based on location of computing device
US9883224B2 (en) Take it with you premium video content
KR101481101B1 (en) Method of athentication service using usim security token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11323263B2 (en) Sharing of secret information for accessing a wireless computing network
US20120303441A1 (en)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215739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lated service of content
KR20220118143A (en) Method of provding contents and terminal device
KR20170006128A (en) Advertisement transmission service providing device for processing log in DSP interworking, user equipment, medi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DSP service providing device,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KR101625531B1 (en) Bidirectioal advertising moving picture match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42637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eterogeneous services interchangeably between heterogeneous terminals
KR101559398B1 (en) An AD management server and an AD providing method linked to internet connection using the same
KR10209273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airing service
KR101379551B1 (en) Method, Terminal, Server, and Recording Medium for Exclusive Authentication in OPMD System
KR101487583B1 (en) Mobile instant messaging service method using personal computer
JP5366720B2 (en) Video storage / playback device, playback right delivery system, and playback right delivery method
KR101887129B1 (en) Management method for connecting wireless internet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KR20140090707A (en) Synchronization service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service of app data in the system
KR101451399B1 (en)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scrapping information of contents, and device for transmitting the scrapping information
KR101969829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pplication to a mobile terminal
KR20180070815A (en) Authent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