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786B1 -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mart service data based on smart TV and mobile smart terminal interworking - Google Patents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mart service data based on smart TV and mobile smart terminal interwork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786B1
KR101537786B1 KR1020140008456A KR20140008456A KR101537786B1 KR 101537786 B1 KR101537786 B1 KR 101537786B1 KR 1020140008456 A KR1020140008456 A KR 1020140008456A KR 20140008456 A KR20140008456 A KR 20140008456A KR 101537786 B1 KR101537786 B1 KR 101537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personal information
service
mobile
servi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4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현수
한민규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08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78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7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7Communication with additional data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mart service data based on interworking of a smart TV and a mobile smart terminal. A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mart service data based on interworking of a smart TV and a mobile smart terminal includes a personal information module (11); a mobile smart terminal (10) storing personal information for performing a smart service including a location, authentication, and payment; and a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1).

Description

스마트 TⅤ와 모바일 스마트 단말 연동 기반의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 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mart service data based on smart TV and mobile smart terminal interworking}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servic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based on interworking between a smart T V and a mobile smart terminal,

본 발명은 모바일 스마트 단말 상의 정보에 대한 스마트 TV 릴레이(relay) 방식으로 위치, 인증, 결제에 대한 스마트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스마트 단말, 스마트 TV를 포함하는 N-Screen 컨버전스 기반의 스마트 TⅤ와 모바일 스마트 단말 연동 기반의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performing a smart service for location, authentication, and payment in a smart TV relay system for information on a mobile smart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servic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based on N-Screen convergence-based smart TV and mobile smart terminal interworking.

스마트 TV로 위치 정보, 인증 및 보안이 필요한 프라이버시 정보를 이용한 스마트 서비스를 활용할 경우, 개인 정보 문제, 그리고 보안 문제가 발생한다. 여기서 보안 문제는 특히 리모컨에 의한 입력된 정보에 대한 유출이 발생할 수 있다.When using smart services using smart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information, authentication and security, smart information such as privacy information and security problems arise. Here, the security problem may occur especially for information inputted by the remote controller.

한편, 종래의 입력장치로의 리모컨이 불편하며, 스마트 TV에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담아 둘 수 없어 일일이 리모컨을 이용해 개인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리모컨에 개인 정보를 담아 놓는 방식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리모컨을 거의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스마트 단말 수준으로 제공해야 하는 불합리한 점이 발생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remote control for the input device is inconvenient, and the smart TV can not store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so that it is inconvenient to input personal information by using the remote control.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onceive a method of storing personal information on a conventional remote control. However, in this case, it is unreasonable to provide the remote control at a mobile smart terminal level such as a smart phone.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물리적으로 NFC 태그를 별도로 구성하여,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에 해당하는 정보를 송수신하며, 별도의 셋탑박스가 필수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More specifically, FIG.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mart servic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a conventional technology. Referring to FIG. 1, an NFC tag is physically constructed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smart service data, and a separate set-top box must be formed.

그리고 각종 서버(40, 50, 60)와 실시간 정보 태깅유닛(RITS)이 별도로 구성되어 인증 정보는 인증 정보대로 스마트폰(20)과 NFC 내장 셋탑박스(10)로부터 수신하고, 결제 정보는 실시간 정보 태깅유닛(RITS)에서 결제확인이 되면, 스마트폰(20)에서 별도로 결제서버(60)로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을 취한다. 이에 따라 각종 스마트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절차가 복잡하고, 별도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 장치를 구비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martphone 20 and the NFC built-in set-top box 10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payme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real-time information tagging unit (RITS) When payment is confirmed in the tagging unit (RITS),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20 to the payment server 60 separately.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a procedure for performing various smart services is complicated and a separate hardware and software device is required.

다음으로, 도 2는 또 다른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용기술 2는 IP-인에이블 디바이스(100)와 타겟 CPE(130) 중간에 게이트웨이 서버(110)를 별도로 구성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IP-인에이블 디바이스(100)와 타겟 CPE(130)는 모두 인터넷 연결을 해야하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를 IP-인에이블 디바이스(100)와 타겟 CPE(130) 간에 주고 받는 경우, 프로세스가 클라이언트-서버-클라이언트의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인해, 절차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Next,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mart servic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Referring to FIG. 2, the cited technology 2 has a structure in which a gateway server 110 is separately constructed between the IP-enable device 100 and the target CPE 130, and the IP- The CPE 130 has a limitation in that all of the Internet connection is required. Accordingly, when the smart service data is exchanged between the IP-enabled device 100 and the target CPE 130, the process is complicated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lient-server-client format.

[관련기술문헌][Related Technical Literature]

1.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Digital Device Controlling System by Utilizing Smartphone)(특허출원번호 제10-2010-0091628호)1. Digital Device Controlling System by Utilizing Smartphone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91628)

2. 스마트 폰을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 및 방법(Mobile Settlement System and Mehhod using Smart Phone)(특허출원번호 제10-2010-0062673호)
2. Mobile settl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smartphone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62673)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바일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위치, 인증, 결제 등을 위한 스마트 서비스 실행시의 보안성을 향상시키고, 모바일 스마트 단말을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입력장치인 리모컨에 대한 사용이 없어도 되는 편리함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 TⅤ와 모바일 스마트 단말 연동 기반의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security when executing a smart service for location, authentication and payment using a mobile smart terminal, And to provide a smart servic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based on interworking between a smart T V and a mobile smart terminal in order to provide a convenience that is not required to be used.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TV가 스마트 서비스 진행시 필요한 개인 정보인 위치 정보, 인증 정보, 결제 정보 등을 서버로 릴레이(relay) 해주거나 모바일 스마트 단말로 개인 정보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릴레이(relay) 하는 기능만을 수행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키고 스마트 서비스 진행을 위한 절차가 간편하고, 별도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TⅤ와 모바일 스마트 단말 연동 기반의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ys location informati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settlement information, and the like, which are personal information required for a smart TV to a smart TV, to a server or relays result data according to personal information to a mobile smart terminal Smart servic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based on interworking of smart T V and mobile smart terminal to provide advantages of improving security and simplifying procedures for smart service progress, and not having separate hardware and software devices Method.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와 모바일 스마트 단말 연동 기반의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은, 개인정보 모듈(11)을 포함하여 위치, 인증 및 결제를 포함하는 스마트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개인 정보를 저장하는 모바일 스마트 단말(10); 및 개인정보 처리모듈(21)을 포함하여, 개인정보 모듈(11)와 WiFi 방식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며, 스마트 TV(20)에 의한 스마트 서비스 수행시 스마트 TV(20)와 미리 페어링(Pairing)이 수행된 모바일 스마트 단말(10)에 개인 정보를 요청하여 반환(return) 받아, 스마트 TV(20)가 스마트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개인 정보를 획득하는 스마트 TV(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mart servic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based on interworking between a smart TV and a mobile smar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rsonal information module 11 and a smart service including location, A mobile smart terminal 10 for storing personal information to perform;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1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personal information module 11 in a WiFi manner and to pre-pair with the smart TV 20 in performing a smart service by the smart TV 20, A smart TV 20 for requesting and returning personal information to the mobile smart terminal 10 and acquiring personal information for the smart TV 20 to perform a smart service; And a control unit.

이때, 본 발명은, 스마트 서비스 모듈(42)을 포함하며, 스마트 TV(20)의 개인정보 처리모듈(21)과 데이터 통신망(30)을 통해 연동되는 스마트 서비스 서버(40); 를 더 포함하며, 스마트 서비스 모듈(42)은 스마트 TV(20)에 의한 스마트 서비스가 수행시 스마트 TV(20)의 개인정보 처리모듈(21)로 개인 정보를 요청하며, 개인정보 처리모듈(21)로부터 개인 정보를 수신하면, 개인 정보와 매칭되는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를 서비스 데이터 DB(41)에서 추출한 뒤, 데이터 통신망(30)을 통해 스마트 TV(2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mart service server 40 includes a smart service module 42 and is linked to th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1 of the smart TV 20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30. The smart service module 42 requests personal information to th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1 of the smart TV 20 when the smart service is performed by the smart TV 20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1 The smart service data matching the personal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service data DB 41 and then transmitted to the smart TV 20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30. [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와 모바일 스마트 단말 연동 기반의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스마트 TV(20) 상에 방송콘텐츠에 포함된 스마트 서비스 콘텐츠 선택에 따른 스마트 서비스 실행시 스마트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 스마트 서비스 서버(40)가 스마트 TV(20)와 데이터 통신망(30)을 통해 서비스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제 1 단계; 스마트 서버(40)의 스마트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개인 정보에 대한 스마트 TV(20)으로의 요청에 따라, 스마트 TV(20)가 WiFi 방식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반으로 페어링에 따라 연동된 모바일 스마트 단말(10)로 개인 정보를 요청하는 제 2 단계; 모바일 스마트 단말(10)이 스마트 TV(20)로 요청한 개인 정보를 반환(return) 하여, 스마트 TV(20)가 스마트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개인 정보를 획득하여 스마트 서비스 서버(40)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스마트 서비스 서버(40)가 수신한 개인 정보와 매칭되는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를 서비스 데이터 DB(41)에서 추출한 뒤, 스마트 TV(20)로 전송하는 제 4 단계; 및 스마트 TV(20)가 수신된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를 활용해 스마트 서비스 컨텐츠를 구현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mart servic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based on interworking between a smart TV and a mobile smar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the smart service server (40) forming a service network through the smart TV (20) and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30) in order to execute the smart service in execution; The smart TV 20 transmits a request to the smart TV 20 for personal information for performing the smart service of the smart server 40. The smart TV 20 is a mobile smart terminal 10) for requesting personal information; The mobile smart terminal 10 returns the personal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smart TV 20 so that the smart TV 20 acquires the personal information for performing the smart service and transmits it to the smart service server 40 Step 3; A fourth step of extracting smart service data matched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received by the smart service server 40 from the service data DB 41 and then transmitting the extracted smart service data to the smart TV 20; And a fifth step of implementing the smart service contents using the smart service data received by the smart TV 20; And a control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Ⅴ와 모바일 스마트 단말 연동 기반의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모바일 스마트 단말일 이용한 위치, 인증, 결제 등을 위한 스마트 서비스 실행시의 보안성을 향상시키고, 모바일 스마트 단말을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입력장치인 리모컨에 대한 사용이 없어도 되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The smart servic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based on the smart TV and the mobile smart terminal interwork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ecurity when executing the smart service for location, authentication, payment using the mobile smart terminal, It is convenient to use the remote controller as a separate input device.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Ⅴ와 모바일 스마트 단말 연동 기반의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스마트 TV가 스마트 서비스 진행시 필요한 개인 정보인 위치 정보, 인증 정보, 결제 정보 등을 서버로 릴레이(relay) 해주거나 모바일 스마트 단말로 개인 정보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릴레이(relay) 하는 기능만을 수행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키고 스마트 서비스 진행을 위한 절차가 간편하고, 별도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servic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based on interworking between a smart T V and a mobile smart terminal is a method of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payment information, Relaying or relaying result data according to personal information to a mobile smart terminal improves security and simplifies the procedure for smart service progress and provides separate hardware and software devices It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와 모바일 스마트 단말 연동 기반의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스마트 TV와 모바일 스마트 단말 연동 기반의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스마트 단말(10), 스마트 TV(20), 스마트 서비스 서버(40)의 내부 필수 구성 요소, 그리고 각 구성 요소 간의 연동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와 모바일 스마트 단말 연동 기반의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and 2 are views for explaining a smart servic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mart servic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based on interworking between a smart TV and a mobile smar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essential components of the mobile smart terminal 10, the smart TV 20, and the smart service server 40 in the smart servic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ba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mart TV and the mobile smart terminal shown in FIG.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interlocking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mart servic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based on interworking between a smart TV and a mobile smar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ny one element 'transmits' data or signals to another element, the element can transmit the data or signal directly to the other element, and through at least one other element Data or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another component.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와 모바일 스마트 단말 연동 기반의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스마트 TV와 모바일 스마트 단말 연동 기반의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스마트 단말(10), 스마트 TV(20), 스마트 서비스 서버(40)의 내부 필수 구성 요소, 그리고 각 구성 요소 간의 연동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mart servic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based on interworking between a smart TV and a mobile smar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essential components of the mobile smart terminal 10, the smart TV 20, and the smart service server 40 in the smart servic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ba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mart TV and the mobile smart terminal shown in FIG.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interlocking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TV와 모바일 스마트 단말 연동 기반의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은 모바일 스마트 단말(10), 스마트 TV(20), 데이터 통신망(30), 스마트 서비스 서버(40) 및 방송콘텐츠 서버(50)를 포함한다.3 and 4, a smart servic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based on interworking between a smart TV and a mobile smart terminal includes a mobile smart terminal 10, a smart TV 20,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30, a smart service server 40, And a broadcast content server 50.

여기서 모바일 스마트 단말(10)은 개인정보 모듈(11)을 포함함으로써, 스마트 서비스로 위치, 인증, 결제 서비스 등을 수행하기 위한 개인 정보를 포함한다. Here, the mobile smart terminal 10 includes personal information module 11 to thereby include personal information for performing location, authentication, and settlement services in a smart service.

즉, 개인정보 모듈(11)은 스마트 서비스 서버(40)의 서비스 데이터 DB(41)에 저장된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스마트 TV(20)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형성된다.That is, the personal information module 11 is formed to process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of the smart TV 20 for requesting the smart service data stored in the service data DB 41 of the smart service server 40.

보다 구체적으로, 개인정보 모듈(11)은 스마트 서비스 서버(40)로부터의 개인 정보 요청을 받은 스마트 TV(20)에 의한 개인 정보 요청시, WiFi, 지그비, 무선 랜 방식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저장부에 저장된 개인 정보를 스마트 TV(20)로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중 WiFi 방식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More specifically, when requesting personal information by the smart TV 20 receiving the personal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smart service server 40, the personal information module 11 transmits a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WiFi, ZigBee, And transmits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the smart TV 20. [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Fi method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여기서 개인 정보는 모바일 스마트 단말(10) 사용자의 현재의 위치, 인증 정보,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및 보안이 필요한 프라이버시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personal information is preferably privacy information that requires authentication and security includ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of the mobile smart terminal 10,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payment information.

스마트 TV(20)는 개인정보 처리모듈(21)을 포함한다. 스마트 TV(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셋탑박스(STB)를 구비한 셋탑박스 분리형으로 형성되어 데이터 통신망(30)을 통해 방송콘텐츠 서버(5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거나, 다른 실시예로 셋탑박스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별도의 셋탑박스(STB) 없이 방송콘텐츠 서버(5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1에서 상술한 종래의 기술과의 차이점을 명확히 하기 위해 셋탑박스(STB) 없이 방송콘텐츠 서버(5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셋탑박스 결합형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The smart TV 20 includes a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1. As shown in FIG. 3, the smart TV 20 is formed as a set-top box separate type having a separate set-top box (STB) and perform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broadcast content server 50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30, In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erform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broadcast content server 50 without a separate set-top box (STB).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set top box combined type which perform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a broadcast content server 50 without a set top box (STB) in order to clarify the difference from the conventional techniqu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개인정보 처리모듈(21)은 모바일 스마트 단말(10)의 개인정보 모듈(11)과 WiFi 방식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며, 스마트 TV(20)에 의한 스마트 서비스 수행시 스마트 TV(20)와 미리 페어링(Pairing)이 수행된 모바일 스마트 단말(10)에 개인 정보를 요청하여 반환(return) 받음으로써, 스마트 TV(20)가 스마트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개인 정보를 획득한다.Th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1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personal information module 11 of the mobile smart terminal 10 in a WiFi manner. When the smart service is performed by the smart TV 20, The smart TV 20 obtains personal information for performing the smart service by requesting and returning personal information to the mobile smart terminal 10 on which the paging has been performed.

개인정보 처리모듈(21)은 획득한 개인 정보를 데이터 통신망(30)을 통해 스마트 서비스 서버(40)로 전송함으로써, 스마트 서비스 서버(40)에 의해 개인 정보와 매칭되는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를 반환받는다. Th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1 transmits the obtained personal information to the smart service server 40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30 to receive the smart service data that matches the personal information by the smart service server 40.

데이터 통신망(3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에 의해 브로드 캐스팅 형태의 방송을 위한 고속 유선 또는 무선 기간 망이며,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Internet)이 될 수도 있다. 데이터 통신망(30)은 방송콘텐츠 서버(50)가 스마트 TV(10) 및 그 밖의 시스템으로 방송콘텐츠를 브로드 캐스팅을 위해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30 is a high-speed wired or wireless network for broadcasting in the form of a large capacity, long-distance voice, and data service, and may be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30 plays a role for the broadcast content server 50 to transmit the broadcast content to the smart TV 10 and other systems for broadcasting.

또한, 데이터 통신망(3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데이터 통신망(30)은 스마트 TV(20), 스마트 서비스 서버(40), 방송콘텐츠 서버(5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Also,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30 may be a high-speed period network of a large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large-capacity, long-distance voice and data services, and may be a next generation wired and wireless network for providing Internet or high-speed multimedia service.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30 transmits signals and data between the smart TV 20, the smart service server 40, the broadcast content server 50, and other systems.

스마트 서비스 서버(40)는 서비스 데이터 DB(41) 및 스마트 서비스 모듈(42)을 포함한다. The smart service server (40) includes a service data DB (41) and a smart service module (42).

스마트 서비스 모듈(42)은 스마트 TV(20)의 개인정보 처리모듈(21)과 데이터 통신망(30)을 통해 연동한다. 스마트 서비스 모듈(42)은 스마트 TV(20)에 의한 스마트 서비스가 수행시 스마트 TV(20)의 개인정보 처리모듈(21)로 개인 정보를 요청한다. 이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모듈(21)에 의해 모바일 스마트 단말(10)에 저장된 개인 정보가 획득되어 개인정보 처리모듈(21)로부터 개인 정보를 수신하면, 스마트 서비스 모듈(42)은 개인 정보와 매칭되는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를 서비스 데이터 DB(41)에서 추출한 뒤, 데이터 통신망(30)을 통해 스마트 TV(20)로 전송한다.The smart service module 42 interlocks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1 of the smart TV 20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30. The smart service module 42 requests personal information to th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1 of the smart TV 20 when performing the smart service by the smart TV 20. [ Accordingly, when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mobile smart terminal 10 is acquired by th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1 and personal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1, the smart service module 42 performs matching with personal information And then transmits the extracted smart service data to the smart TV 20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30.

이러한 과정에 따라, 스마트 TV(20)는 수신된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 서비스 콘텐츠가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위치, 인증, 결제 등의 스마트 서비스에 대한 실행을 완료한다. 여기서 스마트 서비스 콘텐츠는 방송콘텐츠 서버(5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콘텐츠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를 활용해 구현되는 콘텐츠이다. According to this process, the smart TV 20 completes the execution of the smart service such as location, authentication, settlement, etc., by implementing the smart service contents using the received smart service data. Here, the smart service content is preferably included in the broadcast content received from the broadcast content server 50, and is a content implemented using smart service data.

보다 구체적인 예로, 위치에 대한 스마트 서비스의 경우 개인 정보는 모바일 스마트 단말(10)의 GPS 위치 정보 또는 기지국 위치 정보일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는 해당 위치에서의 주변 지역 검색, 목적지 도달 시간 검색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a smart service for a location, the personal information may be GPS position information or base station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smart terminal 10, and the smart service data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searched for surrounding area, And the like.

방송콘텐츠 서버(50)는 방송DB(51)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DB라 함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DB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The broadcast content server 50 includes a broadcast DB 51. Also, in this specification, a DB may mean a functional and structural combination of software and hardware for stor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database. The DB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table, and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for searching, sto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Also,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a linked-list, a tree, and a relational database, and includes all data storage media and data structures capable of stor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database.

방송콘텐츠 서버(50)는 방송DB(51)에 저장된 방송콘텐츠에 포함할 스마트 서비스 항목 정보를 스마트 서비스 서버(40)로부터 데이터 통신망(30)을 통해 수신한다. 이 경우 스마트 서비스 항목 정보에는 위치 기반의 스마트 서비스 항목, 방송콘텐츠에 포함된 광고대상물에 대한 온라인 구매를 위한 인증 및 결제 기반의 스마트 서비스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roadcast content server 50 receives the smart service item information to be included in the broadcast content stored in the broadcast DB 51 from the smart service server 40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30. [ In this case, the smart service item information may include a location based smart service item, authentication for online purchase of the advertisement object included in the broadcast content, and payment based smart service item.

여기서 인증 및 결제 기반의 스마트 서비스 항목을 포함하는 방송콘텐츠는 광고대상물에 대한 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광고주서버(미도시)로부터 광고데이터 수신시 방송콘텐츠의 방송송출 프레임별로 구분하여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broadcast contents including the authentication and settlement-based smart service items further include image information and advertisement detailed information of the advertisement object,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broadcasting contents of the broadcast contents of the broadcast contents when receiving the advertisement data from the advertiser server (not shown) It is preferable to receive them separately.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와 모바일 스마트 단말 연동 기반의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스마트 TV(20) 상에 방송콘텐츠에 포함된 스마트 서비스 콘텐츠 선택에 따른 스마트 서비스 실행시 스마트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 스마트 서비스 서버(40)는 스마트 TV(20)와 데이터 통신망(30)을 통해 서비스 네트워크를 형성한다(S1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mart servic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based on interworking between a smart TV and a mobile smar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in order to execute a smart service upon execution of a smart servic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smart service content included in the broadcast content on the smart TV 20, the smart service server 40 transmits the smart TV 20, And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30 (S11).

단계(S11) 이후, 스마트 서버(40)의 스마트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개인 정보에 대한 스마트 TV(20)으로의 요청에 따라, 스마트 TV(20)는 WiFi 방식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반으로 페어링에 따라 연동된 모바일 스마트 단말(10)로 개인 정보를 요청한다(S12).After the step S11, upon request of the Smart TV 20 for the personal information for performing the Smart Service of the Smart Server 40, the Smart TV 20 performs the WiFi-based short- And requests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interlocked mobile smart terminal 10 (S12).

단계(S12) 이후, 모바일 스마트 단말(10)은 스마트 TV(20)로 요청한 개인 정보를 반환(return) 함으로써, 스마트 TV(20)는 스마트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개인 정보를 획득한다(S13).After step S12, the mobile smart terminal 10 returns the requested personal information to the smart TV 20, so that the smart TV 20 acquires the personal information for performing the smart service (S13).

단계(S13) 이후, 스마트 TV(20)는 획득한 개인 정보를 데이터 통신망(30)을 통해 스마트 서비스 서버(40)로 전송한다(S14).After step S13, the smart TV 20 transmits the obtained personal information to the smart service server 40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30 (S14).

단계(S14) 이후, 스마트 서비스 서버(40)는 수신한 개인 정보와 매칭되는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를 서비스 데이터 DB(41)에서 추출한 뒤, 스마트 TV(20)로 전송한다(S15).After step S14, the smart service server 40 extracts the smart service data matching the received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data DB 41, and transmits the extracted smart service data to the smart TV 20 (S15).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스마트 TV(20)는 수신된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를 활용해 단계(S11)에서의 스마트 서비스 컨텐츠를 구현한다(S16). Accordingly, the smart TV 20 finally implements the smart service contents in the step S11 using the received smart service data (S16).

이러한 방식에 의해 도 1의 종래의 기술과 다르게 스마트 TV(20)와 모바일 스마트 단말(10)로 구성된 스마트 디바이스 단에서만 Wi-Fi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스마트 TV(20)에서는 스마트 서비스 진행시 필요한 개인 정보인 위치 정보, 인증 정보, 결제 정보 등을 스마트 서비스 서버(40)로 릴레이(relay) 해주거나 모바일 스마트 단말(10)로 해당 개인 정보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릴레이(relay) 하는 기능만을 수행함으로써, 절차가 간편하고, 별도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1, the smart TV 2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hrough a Wi-Fi connection only at a smart device terminal composed of the smart TV 20 and the mobile smart terminal 10, (E.g., relay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payment information, etc.) to the smart service server 40 or relaying the result data according to the personal information to the mobile smart terminal 10 So that the procedure is simple an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hardware and software device.

또한, 도 2의 종래의 기술과 다르게 스마트 TV(20)와 모바일 스마트 단말(10) 간의 통신은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세션의 연결 필요없이 Wi-Fi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다이렉트 통신으로 가능함으로써, 모바일 스마트 단말(10)이 스마트폰인 경우에 결제시의 보안성을 향상시키고, 모바일 스마트 단말(10)을 입력장치인 리모컨으로의 사용시 편리한 장점을 제공한다. 2,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mart TV 20 and the mobile smart terminal 10 can be performed by a direct communication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Wi-Fi without requiring a connection of a data session via the Internet , It improves the security at the time of payment when the mobile smart terminal 10 is a smart phone and provides a convenient advantage when using the mobile smart terminal 10 as a remote controller as an input device.

즉, 스마트 서비스 콘텐츠가 TV 홈쇼핑에 대한 콘텐츠이며, 스마트 서비스가 결제 요청인 경우 모바일 스마트 단말(10)의 활용으로 인한 보안성 향상, 모바일 스마트 단말(10)에 의한 입력장치에 대한 대체 역할로 입력의 편리성 향상, 그리고 모바일 스마트 단말(10) 하나에 대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의 페어링을 통해 스마트 TV(20)를 포함하는 다양한 기기의 입력장치로 활용할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That is, when the smart service content is the content for the TV home shopping, the smart service improves the security due to the use of the mobile smart terminal 10 in the case of a payment request, And provides a merit of being utilized as an input device of various devices including the smart TV 20 through a pairing of a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one mobile smart terminal 1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have been used only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describ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 모바일 스마트 단말
11: 개인정보 모듈
20: 스마트 TV
21: 개인정보 처리모듈
STB: 셋탑박스
30: 데이터 통신망
40: 스마트 서비스 서버
41: 서비스 데이터 DB
42: 스마트 서비스 모듈
50: 방송콘텐츠 서버
51: 방송DB
10: Mobile Smart Terminal
11: Personal Information Module
20: Smart TV
21: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STB: Set-top box
30: Data communication network
40: Smart Service Server
41: Service data DB
42: Smart Service Module
50: broadcast content server
51: Broadcast DB

Claims (3)

삭제delete 삭제delete 개인정보 모듈(11)을 포함하여 위치, 인증 및 결제를 포함하는 스마트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개인 정보를 저장하는 모바일 스마트 단말(10); 개인정보 처리모듈(21)을 포함하여 개인정보 모듈(11)와 WiFi 방식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며, 스마트 TV(20)에 의한 스마트 서비스 수행시 스마트 TV(20)와 미리 페어링(Pairing)이 수행된 모바일 스마트 단말(10)에 개인 정보를 요청하여 반환(return) 받아, 스마트 TV(20)가 스마트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개인 정보를 획득하는 스마트 TV(20); 스마트 서비스 모듈(42)을 포함하고 스마트 TV(20)의 개인정보 처리모듈(21)과 데이터 통신망(30)을 통해 연동되는 스마트 서비스 서버(40); 를 포함하고, 스마트 서비스 모듈(42)은, 스마트 TV(20)에 의한 스마트 서비스가 수행시 스마트 TV(20)의 개인정보 처리모듈(21)로 개인 정보를 요청하며, 개인정보 처리모듈(21)로부터 개인 정보를 수신하면, 개인 정보와 매칭되는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를 서비스 데이터 DB(41)에서 추출한 뒤, 데이터 통신망(30)을 통해 스마트 TV(20)로 전송하는 스마트 TV와 모바일 스마트 단말 연동 기반의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을 구비하고,
스마트 TV(20) 상에 방송콘텐츠에 포함된 스마트 서비스 콘텐츠 선택에 따른 스마트 서비스 실행시 스마트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 스마트 서비스 서버(40)가 스마트 TV(20)와 데이터 통신망(30)을 통해 서비스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제 1 단계;
스마트 서버(40)의 스마트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개인 정보에 대한 스마트 TV(20)으로의 요청에 따라, 스마트 TV(20)가 WiFi 방식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반으로 페어링에 따라 연동된 모바일 스마트 단말(10)로 개인 정보를 요청하는 제 2 단계;
모바일 스마트 단말(10)이 스마트 TV(20)로 요청한 개인 정보를 반환(return) 하여, 스마트 TV(20)가 스마트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개인 정보를 획득하여 스마트 서비스 서버(40)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스마트 서비스 서버(40)가 수신한 개인 정보와 매칭되는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를 서비스 데이터 DB(41)에서 추출한 뒤, 스마트 TV(20)로 전송하는 제 4 단계; 및
스마트 TV(20)가 수신된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를 활용해 스마트 서비스 컨텐츠를 구현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와 모바일 스마트 단말 연동 기반의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 방법.
A mobile smart terminal (10) for storing personal information for performing a smart service including location, authentication and settlement including a personal information module (11); Transmits and receives data in a WiFi manner to the personal information module 11 including th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1 and performs pre-pairing with the smart TV 20 in performing the smart service by the smart TV 20 A smart TV 20 for requesting and returning personal information to the mobile smart terminal 10 and acquiring personal information for the smart TV 20 to perform the smart service; A smart service server 40 including the smart service module 42 and interworking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1 of the smart TV 20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30; And the smart service module 42 requests personal information to th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1 of the smart TV 20 when the smart service is performed by the smart TV 20. Th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1 , Smart service data corresponding to personal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service data DB 41 and then transmitted to the smart TV 20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30, And a smart servic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The smart service server 40 transmits the service through the smart TV 20 and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30 in order to execute the smart servic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smart service content included in the broadcast content on the smart TV 20, A first step of forming a network;
The smart TV 20 transmits a request to the smart TV 20 for personal information for performing the smart service of the smart server 40. The smart TV 20 is a mobile smart terminal 10) for requesting personal information;
The mobile smart terminal 10 returns the personal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smart TV 20 so that the smart TV 20 acquires the personal information for performing the smart service and transmits it to the smart service server 40 Step 3;
A fourth step of extracting smart service data matched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received by the smart service server 40 from the service data DB 41 and then transmitting the extracted smart service data to the smart TV 20; And
A fifth step in which the smart TV 20 implements the smart service contents using the received smart service data; And a smart servic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based on interworking between a smart TV and a mobile smart terminal.
KR1020140008456A 2014-01-23 2014-01-23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mart service data based on smart TV and mobile smart terminal interworking KR1015377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456A KR101537786B1 (en) 2014-01-23 2014-01-23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mart service data based on smart TV and mobile smart terminal interwork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456A KR101537786B1 (en) 2014-01-23 2014-01-23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mart service data based on smart TV and mobile smart terminal interwork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7786B1 true KR101537786B1 (en) 2015-07-17

Family

ID=53873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456A KR101537786B1 (en) 2014-01-23 2014-01-23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mart service data based on smart TV and mobile smart terminal interwork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7786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99603A (en) * 2017-03-14 2017-06-27 微鲸科技有限公司 A kind of smart machine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KR101804884B1 (en) * 2016-08-08 2017-12-06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A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contents, and an appratus using the method
KR20180117270A (en) 2017-04-19 2018-10-2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Mobile Terminal with Set-top Box
US10284909B2 (en) 2016-02-04 2019-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er terminal apparatus,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888947B2 (en) 2020-12-07 2024-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5799A (en) * 2006-09-19 2008-03-2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digital device
KR20090070842A (en) * 2007-12-27 2009-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commerce using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and mobile terminal
KR20090125910A (en) * 2008-06-03 2009-12-08 (주)유빌리온 Duplex television system and remote controller of that
KR20120077577A (en) * 2010-12-30 2012-07-10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Settlement apparatus anf method using remote user interfa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5799A (en) * 2006-09-19 2008-03-2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digital device
KR20090070842A (en) * 2007-12-27 2009-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commerce using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and mobile terminal
KR20090125910A (en) * 2008-06-03 2009-12-08 (주)유빌리온 Duplex television system and remote controller of that
KR20120077577A (en) * 2010-12-30 2012-07-10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Settlement apparatus anf method using remote user interfac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4909B2 (en) 2016-02-04 2019-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er terminal apparatus,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804884B1 (en) * 2016-08-08 2017-12-06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A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contents, and an appratus using the method
CN106899603A (en) * 2017-03-14 2017-06-27 微鲸科技有限公司 A kind of smart machine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KR20180117270A (en) 2017-04-19 2018-10-2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Mobile Terminal with Set-top Box
KR20220020870A (en) 2017-04-19 2022-02-2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Mobile Terminal with Set-top Box
US11888947B2 (en) 2020-12-07 2024-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7786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mart service data based on smart TV and mobile smart terminal interworking
US9351053B2 (en) Targeted television advertising based on a profile linked to an online device associated with a content-selecting device
US9774642B2 (en) Method and device for pushing multimedia resource and display terminal
JP6410936B2 (en)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between mobile terminals using short-range wireless device
US20130055323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a companion device to a primary viewing device
KR20130038102A (en) Searching, ordering, paying and location tracking method about foods delivery business by mobile equipment
KR20110060675A (en) System for providing mobile contents using settop box based on iptv network and method thereof
KR2014008365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information about object and, server for shearing information
KR102139998B1 (en) Security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beacon and control apparatus thereof
US9706041B2 (en) Web page access method and web server access method
JP201753512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media content
CN104025147A (en) Method of displaying contents by using device identifier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ethod of providing contents, user terminal for performing the contents displaying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to perform the contents providing method
CN103297322B (en) Information interacting method based on message server and relevant device
WO2019071924A1 (en) Smart video and audio playback method and system
KR10194548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ceiving data of mobile terminal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US20130179543A1 (en) Method of providing online sporting event services
KR102190785B1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related to advertisement, set-top box, server and mobile device
CN104768056A (en) Electronic device and playback method of streaming media thereof
KR101480921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messages using IPTV services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 thereof
KR10144187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ull-Duplex IPTV Service
CN105897681A (en) Information push method, device and system
KR102232779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commerce linked with live broadcasting program
KR102259279B1 (en)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contents, device for playing media and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KR2019001543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ceiving data of mobile terminal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2015007828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information of object, and server for analyzing im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