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3465B1 -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3465B1
KR102373465B1 KR1020160000421A KR20160000421A KR102373465B1 KR 102373465 B1 KR102373465 B1 KR 102373465B1 KR 1020160000421 A KR1020160000421 A KR 1020160000421A KR 20160000421 A KR20160000421 A KR 20160000421A KR 102373465 B1 KR102373465 B1 KR 102373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device
display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coordin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1416A (ko
Inventor
양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0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3465B1/ko
Priority to US15/381,243 priority patent/US10152292B2/en
Priority to EP16205473.8A priority patent/EP3188489B1/en
Priority to CN201710003767.3A priority patent/CN107018290B/zh
Publication of KR20170081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416A/ko
Priority to US16/181,517 priority patent/US1107402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15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involving a public display, viewable by several users in a public space outside their home, e.g. movie theatre, information kio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6/00Detection of the display position w.r.t. other display scree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8Use of optical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결합하여 하나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이 서로 대향하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네 측면에 마련된 무선통신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한 무선통신에 따라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표를 설정하며, 상기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를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영상 신호 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좌표에 대응하는 영역을 선택하는 영역 선택부; 및 상기 영역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영역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DISPLAY APPARATUS, MULTI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USING THE SAME}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과거에는 주로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방송 신호를 단방향으로만 수신하여 방송 영상을 디스플레이해주는 기능만을 하였다. 그러나 현재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국으로부터 전달받는 방송 영상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상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달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정뿐만 아니라, 경찰서, 소방서, 기상청, 군부대 등의 상황 통제실, 쇼핑몰 로비 등에서 광고 및 안내 정보를 전달하는 비디오 월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효율적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관심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각 인치(inch)가 커지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격은 매우 크게 상승하므로, 대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비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이 크다. 따라서, 작은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장치 다수개를 이용하여 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개시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결합하여 하나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이 서로 대향하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네 측면에 마련된 무선통신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한 무선통신에 따라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표를 설정하며, 상기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를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영상 신호 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좌표에 대응하는 영역을 선택하는 영역 선택부; 및 상기 영역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영역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통신부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는 송신부 및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에 기초하여 화질을 조정하는 화질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에 대향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는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고유 ID 번호가 가장 낮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기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는 상기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좌표계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는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좌표로부터 상기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를 연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은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이 서로 대향하여 구성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네 측면에 마련된 무선통신부간의 무선통신을 통해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된 상기 영상 신호 중, 상기 좌표에 대응하는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에 기초하여 화질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데이터의 송신과 수신을 통하여 상기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고유 ID 번호가 가장 낮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기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통신에 의해 송신되어 온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한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무선통신부가 배치된 측면 방향에 기초하여 좌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를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한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방향 좌표의 최대값과 최소값 및 수직 방향 좌표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이용하여 연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은 제1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2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이 서로 대향하여 구성된 제3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제2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에 마련된 무선통신부간의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제3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3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함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표로부터, 상기 제3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된 상기 영상 신호 중, 상기 좌표에 대응하는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제2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를 비교하여, 상기 제3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제2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 중 고유 ID 번호가 낮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기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에 기초하여 화질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개시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각이 무선통신부를 구비하고, 무선통신 결과에 따라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이 자위치(좌표)를 특정하므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확하고 신속하게 전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작은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장치 다수개를 이용하여 큰 사이즈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므로, 소비자는 동일한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만들기 위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생산자는 일정한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장치만을 생산하는데 집중할 수 있으므로, 생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요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a는 표시 대상 영상의 전체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b는 표시 대상 영상에서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표시하는 부분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제1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2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가 결합하여 제3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것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6c는 제1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2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가 결합하여 제3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기계적인 구동을 통해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다르게 배열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로 변화하는 것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50)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의 길이 방향을 x방향(수평 방향), 폭 방향을 y방향(수직 방향)이라 하며, 이하 도면에서 동일하게 규정한다.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50)는 4행 4열의 격자형 배열로 배치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는 한 개 또는 복수개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의 좌표는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09)를 기준으로 한 x방향(수평 방향) 및 y방향(수직 방향)의 좌표계로,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의 위치를 나타낸다. (x,y) = (0, 0)을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09)의 좌표 값으로 하고, 이를 기준으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 각각의 좌표가 설정될 수 있다.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09)를 설정하는 방법은 이하 후술하기로 한다.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50)는 도 1과 같이 4행 4열의 격자형 배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가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격자형 배열로 배치된 모듈 타입의 디스플레이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LED 디스플레이, LFD(Large Format Display),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TV, 모니터, 또는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도시하고 있으며, 나머지의 디스플레이 장치(101 ~ 115)도 동일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 케이스(2) 및 무선통신부(3, 4, 5 6)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는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방식,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방식, PDP(Plasma Display Panel) 방식, 또는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방식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일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케이스(2)는 디스플레이부(1)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3, 4, 5, 6)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네 측면에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각 측면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무선통신부(3, 4, 5, 6)는 무선통신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측면에 대향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3, 4, 5, 6)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의 적외선 통신 규격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와 관련된 무선통신 규격 또는 IEEE802계로 규정되는 각종 단거리/근거리 무선통신의 규격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무선통신부(3, 4, 5, 6)는 각각 송신부(3a, 4a, 5a, 6a) 및 수신부(3b, 4b, 5b, 6b)를 세트로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 측면에 위치한 무선통신부(3)의 송신부(3a) 및 수신부(3b)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 측면에 위치한 무선통신부(6)의 송신부(6a) 및 수신부(6b)와 반대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 측면에 위치한 무선통신부(5)의 송신부(5a) 및 수신부(5b)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우 측면에 위치한 무선통신부(4)의 송신부(4a) 및 수신부(4b)와 반대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통신부(3, 4, 5, 6)의 송신부(3a, 4a, 5a, 6a) 및 수신부(3b, 4b, 5b, 6b)의 배치를 반대로 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50)에서 대향하는 무선통신부(3, 4, 5, 6)끼리 송신부(3a, 4a, 5a, 6a) 및 수신부(3b, 4b, 5b, 6b)가 각각 대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무선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주요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무선통신부(3, 4 ,5, 6), 제어부(10), 입력부(20), 디스플레이부(60) 및 출력부(7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3, 4, 5, 6)는 각각 송신부(3a, 4a, 5a, 6a) 및 수신부(3b, 4b, 5b, 6b)를 포함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2a 및 도 2b에서 전술한 바와 같으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입력부(20)는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신호는 음성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20)는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된 영상 신호, 인터넷 망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20)는 근거리 통신 모듈(예컨대,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NFC 등), 유선 통신 모듈(예컨대, 페어 케이블(pair cable),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등), 이동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0)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서 처리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예컨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0)는 영상 신호를 제어부(1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연산부(30), 화질 처리부(40) 및 영역 선택부(50)를 포함한다.
연산부(30)는 무선통신부(3, 4, 5, 6)를 통한 무선통신 결과에 따라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도 1의 109)를 설정할 수 있다.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는 각각 서로 다른 고유 ID 번호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는 무선통신부(3, 4, 5, 6)를 통한 무선통신에 따라 서로의 고유 ID 번호에 대한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으며, 연산부(30)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 중 예컨대, 고유 ID 번호가 가장 낮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09)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연산부(30)는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09)를 기준으로 하는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좌표계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표를 설정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3, 4, 5, 6)의 무선통신 결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09)로부터 x축 방향으로(좌측 또는 우측으로) 몇 번째의 디스플레이 장치인지 및 y축 방향으로(상측 또는 하측으로) 몇 번째의 디스플레이 장치인지를 연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표를 설정할 수 있다. 이와 동일한 과정을 통하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5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1 ~ 115)의 좌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연산부(30)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1 ~ 115)의 좌표로부터,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50)의 전체 사이즈를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50)가 4행 4열의 격자형 배열로 되어 있고, 고유 ID 번호가 가장 낮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09)로 설정된 경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의 x축 좌표의 최대값은 2이고 최소값은 -1이 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의 y축 좌표의 최대값은 2이고 최소값은 -1이 될 수 있다. x축 좌표의 최대값에서 최소값을 뺀 후, 1을 더하면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50)의 행의 개수가 된다. 또한, y축 좌표의 최대값에서 최소값을 뺀 후, 1을 더하면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50)의 열의 개수가 된다. 그 결과, 도 1에 도시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50)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가 4행 4열로 배열된 사이즈를 갖는 것으로 연산될 수 있다.
화질 처리부(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60) 특성에 따른 표시 속성 값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속성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휘도 값, 색의 속성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도, 채도, 색상(R(Red)색상 값, G(Green)색상 값, B(Blue)색상 값) 등과 같은 색의 요소에 대한 값일 수 있다.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인 경우라도,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라 화면 상에 표현되는 색상은 미세하게 다를 수 있다. 이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환경, 유통 환경, 사용 환경이 다르기 때문일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보다 선명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화질 처리부(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시 속성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질 처리부(40)는 R색상 값, G색상 값 및 B색상 값을 동시에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60)는 휘도가 보정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화질 처리부(40)는 R색상 값, G색상 값 및 B색상 값을 각각 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60)는 색 틀어짐 현상이 보정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화질 처리부(40)는 작업이 완료된 영상을 출력부(70)에 제공할 수 있다. 출력부(70)는 화질 처리부(40)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측면에 대향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화질 처리부(40)는 작업이 완료된 영상을 영역 선택부(50)에 제공할 수 있다.
영역 선택부(50)는 화질 처리부(40)로부터 제공된 영상 중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표에 대응하는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09)를 기준으로 (-1, 2)의 좌표 값이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50)의 사이즈는 4행 4열이므로, 영역 선택부(50)는 화질 처리부(40)로부터 제공된 영상 중 (-1, 2)의 좌표에 해당하는 전체 영상의 16분의 1만큼의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영역 선택부(50)는 선택된 영역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60)에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0)는 영역 선택부(50)로부터 제공된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50)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각 디스플레이 장치(도 1의 100 ~ 115) 각각의 네 측면에 마련된 무선통신부(도 1의 3, 4, 5, 6)간의 무선통신을 통해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도 1의 109)를 설정한다(S1). 무선통신부(3, 4, 5, 6)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통하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도 1의 100 ~ 115)는 각각 서로 다른 고유 ID 번호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는 무선통신부(3, 4, 5, 6)를 통한 무선통신에 따라 서로의 고유 ID 번호에 대한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 중 고유 ID 번호가 가장 낮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09)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09)를 기준으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의 좌표를 설정한다(S2).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09)를 기준으로 하는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좌표계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의 좌표를 설정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과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이 서로 대향되어 있는 경우, 무선통신에 의해 송신되어 온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무선통신부가 배치된 측면 방향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의 좌표가 설정될 수 있다.
다음,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의 좌표로부터,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도 1의 150)의 사이즈를 연산한다(S3).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50)가 4행 4열의 격자형 배열로 되어 있고, 고유 ID 번호가 가장 낮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09)로 설정된 경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의 x축 좌표의 최대값은 2이고 최소값은 -1이 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의 y축 좌표의 최대값은 2이고 최소값은 -1이 될 수 있다. x축 좌표의 최대값에서 최소값을 뺀 후, 1을 더하면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50)의 행의 개수가 된다. 또한, y축 좌표의 최대값에서 최소값을 뺀 후, 1을 더하면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50)의 열의 개수가 된다. 그 결과, 도 1에 도시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50)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가 4행 4열로 배열된 사이즈를 갖는 것으로 연산될 수 있다.
다음,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의 특성에 기초하여 화질을 조정한다(S4).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인 경우라도,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라 화면 상에 표현되는 색상은 미세하게 다를 수 있다. 이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환경, 유통 환경, 사용 환경이 다르기 때문일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를 복수개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에 보다 선명하게 제공하기 위해,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의 표시 속성을 조정할 수 있다.
다음,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에 입력된 영상 신호 중,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의 좌표에 대응하는 영역을 선택한다(S5).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09)를 기준으로 (-1, 2)의 좌표 값이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50)의 사이즈는 4행 4열이므로, 입력된 영상 신호 중 (-1, 2)의 좌표에 해당하는 전체 영상의 16분의 1만큼의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음,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에서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의 좌표에 대응하는 영역을 표시한다(S6).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50)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각 디스플레이 장치(도 1의 100 ~ 115) 각각의 네 측면에 마련된 무선통신부(도 1의 3, 4, 5, 6)간의 무선통신을 통해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도 1의 109)를 설정한다(S21). 무선통신부(3, 4, 5, 6)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통하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도 1의 100 ~ 115)는 각각 서로 다른 고유 ID 번호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는 무선통신부(3, 4, 5, 6)를 통한 무선통신에 따라 서로의 고유 ID 번호에 대한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 중 고유 ID 번호가 가장 낮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09)로 설정할 수 있다.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09)의 설정은 무선통신부(3, 4, 5, 6)의 무선통신을 통해 서로의 고유 ID 번호에 대한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한 후,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에서 설정하거나, 또는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09)에서 설정할 수 있다.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09)의 설정이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09)에서 수행되는 경우,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09)로부터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로, 설정된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09)의 위치정보를 알리는 단계를 수행한다(S22).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09)의 위치정보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의 네 측면에 마련된 무선통신부(3, 4, 5, 6)를 통한 무선통신에 의해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로 전달될 수 있다.
다음,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에서는, 전달된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09)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의 좌표를 설정한다(S23).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09)를 기준으로 하는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좌표계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의 좌표를 설정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과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이 서로 대향되어 있는 경우, 무선통신에 의해 송신되어 온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무선통신부가 배치된 측면 방향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의 좌표가 설정될 수 있다.
다음,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의 좌표로부터,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도 1의 150)의 사이즈를 연산한다(S24).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50)가 4행 4열의 격자형 배열로 되어 있고, 고유 ID 번호가 가장 낮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09)로 설정된 경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의 x축 좌표의 최대값은 2이고 최소값은 -1이 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의 y축 좌표의 최대값은 2이고 최소값은 -1이 될 수 있다. x축 좌표의 최대값에서 최소값을 뺀 후, 1을 더하면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50)의 행의 개수가 된다. 또한, y축 좌표의 최대값에서 최소값을 뺀 후, 1을 더하면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50)의 열의 개수가 된다. 그 결과, 도 1에 도시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50)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가 4행 4열로 배열된 사이즈를 갖는 것으로 연산될 수 있다.
다음,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의 특성에 기초하여 화질을 조정한다(S25).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인 경우라도,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라 화면 상에 표현되는 색상은 미세하게 다를 수 있다. 이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환경, 유통 환경, 사용 환경이 다르기 때문일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를 복수개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에 보다 선명하게 제공하기 위해,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의 표시 속성을 조정할 수 있다.
다음,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에 입력된 영상 신호 중,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의 좌표에 대응하는 영역을 선택한다(S26).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09)를 기준으로 (-1, 2)의 좌표 값이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50)의 사이즈는 4행 4열이므로, 입력된 영상 신호 중 (-1, 2)의 좌표에 해당하는 전체 영상의 16분의 1만큼의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음,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에서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의 좌표에 대응하는 영역을 표시한다(S27).
전술한 본 개시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은,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각이 무선통신부를 구비하고, 무선통신 결과에 따라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이 좌표를 특정하므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확하고 신속하게 전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작은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장치 다수개를 이용하여 큰 사이즈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므로, 소비자는 동일한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만들기 위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생산자는 일정한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장치만을 생산하는데 집중할 수 있으므로, 생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5a는 표시 대상 영상(P)의 전체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5b는 표시 대상 영상(P)에서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가 표시하는 부분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a 및 도5b를 참조하면,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50)가 포함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는 각각 외부 장치(예컨대, 방공국, 컨텐츠 제공자, 외부 서버 등)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의 입력부(도 3의 20)는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 또는 인터넷 망을 통해 수신되는 인코딩된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거나, 인코딩 된 영상 신호를 디코딩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신된 영상 신호가 포함하는 표시 대상 영상(P)은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에 대응되는 일 영역이 선택된 후,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 115)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제1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60)와 제2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70)가 결합하여 제3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80)를 구성하는 것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1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60)와 제2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70)는 서로 독립된 상태로 각자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제1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60)에서는 제1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22)를 기준으로, 입력된 영상 신호 중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20 ~ 123)의 좌표에 해당하는 영역을 선택하여 표시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제2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70)에서는 제2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30)를 기준으로, 입력된 영상 신호 중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30, 131)의 좌표에 해당하는 영역을 선택하여 표시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1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60)와 제2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70)가 결합하여 제3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80)를 형성한다. 제3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80)에서는 제3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43)를 기준으로, 입력된 영상 신호 중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40 ~ 145)의 좌표에 해당하는 영역을 선택하여 표시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도 6c는 제1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60)와 제2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70)가 결합하여 제3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80)를 구성하는 경우,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c를 참조하면, 제1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60)와 제2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70)가 결합하는 경우, 제1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60)와 제2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70)의 측면에 마련된 무선통신부간의 무선통신을 통해, 제1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60)의 제1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22)와 제2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70)의 제2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30)를 비교하여 제3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80)의 제3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43)를 설정한다(S11).
제3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43)의 설정은 제1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22)와 제2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30)의 고유 ID 번호를 비교하여, 고유 ID 번호가 낮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3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43)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 제3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43)를 기준으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40 ~ 1145)의 좌표를 설정한다(S12). 제3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43)를 기준으로 하는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좌표계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40 ~ 145)의 좌표를 설정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과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이 서로 대향되어 있는 경우, 무선통신에 의해 송신되어 온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무선통신부가 배치된 측면 방향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40 ~ 145)의 좌표가 설정될 수 있다.
다음,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40 ~ 145)의 좌표로부터, 제3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80)의 사이즈를 연산한다(S13). 예를 들어, 도 6b와 같이 제3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80)가 2행 3열의 격자형 배열로 되어 있고, 고유 ID 번호가 가장 낮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43)로 설정된 경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40 ~ 145)의 x축 좌표의 최대값은 2이고 최소값은 0이 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40 ~ 145)의 y축 좌표의 최대값은 1이고 최소값은 0이 될 수 있다. x축 좌표의 최대값에서 최소값을 뺀 후, 1을 더하면 제3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80)의 행의 개수가 된다. 또한, y축 좌표의 최대값에서 최소값을 뺀 후, 1을 더하면 제3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80)의 열의 개수가 된다. 그 결과, 도 6b에 도시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80)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40 ~ 145)가 2행 3열로 배열된 사이즈를 갖는 것으로 연산될 수 있다.
다음,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40 ~ 145)의 특성에 기초하여 화질을 조정한다(S14).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40 ~ 145)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인 경우라도,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라 화면 상에 표현되는 색상은 미세하게 다를 수 있다. 이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환경, 유통 환경, 사용 환경이 다르기 때문일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를 복수개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40 ~ 145)에 보다 선명하게 제공하기 위해,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40 ~ 145)의 표시 속성을 조정할 수 있다.
다음,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40 ~ 145)에 입력된 영상 신호 중,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40 ~ 145)의 좌표에 대응하는 영역을 선택한다(S15). 예를 들어, 도 6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40)는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143)를 기준으로 (0, 1)의 좌표 값이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3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80)의 사이즈는 2행 3열이므로, 입력된 영상 신호 중 (0, 1)의 좌표에 해당하는 전체 영상의 6분의 1만큼의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음,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40 ~ 145)에서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40 ~ 145)의 좌표에 대응하는 영역을 표시한다(S16).
전술한 본 개시의 영상 표시 방법에 따르면, 복수개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가 결합하는 경우에도, 각각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하고 있는 무선통신부에 의한 무선통신을 통해 하나의 결합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표를 특정하므로, 하나의 결합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확하고 신속하게 전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50)에서 기계적인 구동을 통해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200 ~ 223)가 다르게 배열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80)로 변화하는 것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50)는 4행 6열의 격자형 배열로 배치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200 ~ 223)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200 ~ 223)는 한 개 또는 복수개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50)에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200 ~ 223)의 좌표는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207)를 기준으로 한 x방향(수평 방향) 및 y방향(수직 방향)의 좌표계로, 각 디스플레이 장치(200 ~ 223)의 위치를 나타낸다. (x,y) = (0, 0)을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207)의 좌표 값으로 하고, 이를 기준으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200 ~ 223) 각각의 좌표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200 ~ 223) 각각은 자신의 좌표에 대응하는 영역을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50)는 입력된 영상 신호를 전체로서 표시할 수 있다.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b를 참조하면, 도 7a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50)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200 ~ 223)가 장착된 프레임의 기계적인 구동에 의해 제1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60)와 제2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70)로 분리될 수 있다.
도 7a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50)에서 제1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60)와 제2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70)가 기계적 구동에 의해 일정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면, 제1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60)의 무선통신부와 제2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70)의 무선통신부는 무선통신을 통해 서로 이격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60)와 제2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70)는 서로 독립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므로, 제1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60)와 제2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70)는 각각 서로 다른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6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고유 ID번호가 가장 낮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207)로 설정할 수 있으며, 제2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7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고유 ID 번호가 가장 낮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215)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6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207)를 기준으로 하는 x1축 방향 및 y1축 방향의 좌표계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표가 설정될 수 있으며, 제2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7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215)를 기준으로 하는 x2축 방향 및 y2축 방향의 좌표계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표가 설정될 수 있다.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207, 215)가 설정된 후, 제1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6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은 자신의 좌표에 대응하는 영역을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60)는 입력된 영상 신호를 전체로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2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7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은 자신의 좌표에 대응하는 영역을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70)는 입력된 영상 신호를 전체로서 표시할 수 있다.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c를 참조하면, 제1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60)와 제2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70)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200 ~ 223)가 장착된 프레임의 기계적인 구동에 의해, 도 7a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50)와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200 ~ 223)가 다르게 배열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8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7b의 제1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60)와 제2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70)가 기계적 구동에 의해 일정 거리 이상으로 근접하게 되면, 제1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60)의 무선통신부와 제2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70)의 무선통신부는 무선통신을 통해 서로 근접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60)와 제2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70)는 하나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80)를 구성하므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80)에서는 다시 하나의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207)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8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고유 ID번호가 가장 낮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207)로 설정할 수 있다.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8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207)를 기준으로 하는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좌표계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표가 설정될 수 있다.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207)가 설정된 후,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8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은 자신의 좌표에 대응하는 영역을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80)는 입력된 영상 신호를 전체로서 표시할 수 있다.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 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115 … 디스플레이 장치
150 …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1 … 디스플레이부
2 … 케이스
3, 4, 5, 6 … 무선통신부
3a, 4a, 5a, 6a … 송신부
3b, 4b, 5b, 6b … 수신부
10 … 제어부
20 … 입력부
30 … 연산부
40 … 화질처리부
50 … 영역 선택부
60 … 디스플레이부
70 … 출력부
P … 표시 대상 영상
160, 260 … 제1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170, 270 … 제2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180 … 제3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120 ~ 123, 130, 131, 140 ~ 145 … 디스플레이 장치
250, 280 …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200 ~ 223 …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19)

  1.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이 서로 대향하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네 측면에 마련된 무선통신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한 무선통신에 따라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표를 설정하며, 상기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를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영상 신호 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좌표에 대응하는 영역을 선택하는 영역 선택부; 및
    상기 영역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영역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고유 ID 번호가 가장 낮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기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로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송신부 및 수신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에 기초하여 화질을 조정하는 화질 처리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에 대향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좌표계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표를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좌표로부터 상기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를 연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이 서로 대향하여 구성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네 측면에 마련된 무선통신부간의 무선통신을 통해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된 영상 신호 중, 상기 좌표에 대응하는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고유 ID 번호가 가장 낮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기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로 설정하는
    영상 표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정된 후, 상기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정보를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에 기초하여 화질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데이터의 송신과 수신을 통하여 상기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영상 표시 방법.
  13. 삭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통신에 의해 송신되어 온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한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무선통신부가 배치된 측면 방향에 기초하여 좌표를 설정하는 영상 표시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를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한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방향 좌표의 최대값과 최소값 및 수직 방향 좌표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이용하여 연산하는 영상 표시 방법.
  16. 제1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2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이 서로 대향하여 구성된 제3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제2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에 마련된 무선통신부간의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제3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3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함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표로부터, 상기 제3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된 영상 신호 중, 상기 좌표에 대응하는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제2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를 비교하여, 상기 제3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정하고, 상기 제1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제2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 중 고유 ID 번호가 낮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기 기준 디스플레이 장치로 설정하는
    영상 표시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에 기초하여 화질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방법.
KR1020160000421A 2016-01-04 2016-01-04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KR102373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421A KR102373465B1 (ko) 2016-01-04 2016-01-04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US15/381,243 US10152292B2 (en) 2016-01-04 2016-12-16 Display apparatus, multi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using the multi display apparatus
EP16205473.8A EP3188489B1 (en) 2016-01-04 2016-12-20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CN201710003767.3A CN107018290B (zh) 2016-01-04 2017-01-04 显示装置、多显示装置及使用多显示装置的图像显示方法
US16/181,517 US11074026B2 (en) 2016-01-04 2018-11-06 Display apparatus, multi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using the multi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421A KR102373465B1 (ko) 2016-01-04 2016-01-04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416A KR20170081416A (ko) 2017-07-12
KR102373465B1 true KR102373465B1 (ko) 2022-03-11

Family

ID=57965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421A KR102373465B1 (ko) 2016-01-04 2016-01-04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152292B2 (ko)
EP (1) EP3188489B1 (ko)
KR (1) KR102373465B1 (ko)
CN (1) CN1070182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7970B1 (ko) * 2017-06-26 2022-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멀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09521976B (zh) * 2017-09-19 2020-08-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边框、显示终端、拼接显示装置及控制方法
KR102033137B1 (ko) * 2018-04-23 2019-10-16 한국항공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
CN108566553B (zh) * 2018-04-25 2020-12-04 威盛电子股份有限公司 视频墙媒体播放系统、方法及控制服务器
KR102606531B1 (ko) * 2018-07-02 2023-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62666B1 (ko) * 2018-11-09 2024-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156883B1 (ko) * 2018-11-26 2020-09-16 한국광기술원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시스템
CN109922288A (zh) * 2019-04-10 2019-06-21 深圳市奥拓电子股份有限公司 Led电视机
KR20200139598A (ko) 2019-06-04 2020-12-14 김승재 디스플레이 완구 블록
KR20210047475A (ko) 2019-10-22 2021-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를 구비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94353B1 (ko) * 2019-11-11 2021-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디오 월
WO2022119003A1 (ko) * 2020-12-02 2022-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62475A1 (en) 2010-09-15 2012-03-15 Lenovo (Singapore) Pte, Ltd. Combining multiple slate displays into a larger display
US20150084837A1 (en) * 2013-09-19 2015-03-26 Broadcom Corporation Coordination of multiple mobile device display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52176B2 (en) 2010-10-01 2015-10-06 Z124 Application display transitions between single and multiple displays
CN101060618A (zh) * 2006-04-21 2007-10-24 孟智平 智能电视墙监控系统及其存储系统
CN101087433A (zh) * 2006-06-05 2007-12-12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多画面组合电视墙显示画面的方法
KR20100100414A (ko) * 2009-03-06 2010-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17497A (ko) 2009-08-14 2011-02-22 주식회사 토비스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
JP2011257540A (ja) 2010-06-08 2011-12-22 Sharp Corp 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画像表示方法、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US8823640B1 (en) * 2010-10-22 2014-09-02 Scott C. Harris Display reconfiguration and expansion across multiple devices
CN104025182A (zh) * 2012-01-17 2014-09-03 株式会社雷特龙 显示器和显示系统
DE102012207439A1 (de) 2012-05-04 2013-11-07 Cassidian Airborne Solutions Gmbh Verfahren zur Darstellung sicherheitskritischer Daten durch eine Anzeigeneinheit; Anzeigeneinheit
US9092184B2 (en) 2012-06-22 2015-07-28 Harborside Press, LLC Interactive synchronized multi-screen display
JP2014060545A (ja) 2012-09-14 2014-04-03 Sharp Corp マルチディスプレイのキャリブレ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CN103873937A (zh) * 2012-12-11 2014-06-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视墙调整装置及方法
US20140236726A1 (en) 2013-02-18 2014-08-21 Disney Enterprises, Inc. Transference of data associated with a product and/or product package
KR102028984B1 (ko) 2013-03-18 2019-10-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벤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3260057B (zh) * 2013-04-15 2016-12-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播放的方法、服务器及终端
CN103297707B (zh) * 2013-05-13 2016-06-08 数标时代(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超高清视频播放系统
KR20150014553A (ko) 2013-07-29 2015-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US10169534B2 (en) 2013-09-30 2019-01-01 Toshiba Medical Systems Corporation Medical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JP6289049B2 (ja) 2013-11-20 2018-03-07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ルチ画面表示装置
CN103645874A (zh) * 2013-12-19 2014-03-19 广东威创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拼接墙的网络环接装置及控制方法
US9195281B2 (en) 2013-12-31 2015-11-24 Ultravision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a modular multi-panel display
TWI536362B (zh) 2014-03-21 2016-06-01 佳世達科技股份有限公司 定位顯示畫面系統
KR20150120115A (ko) * 2014-04-17 2015-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디스플레이 시스템
CN204741569U (zh) 2015-07-15 2015-11-04 杭州慧略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无线射频的邻居检测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62475A1 (en) 2010-09-15 2012-03-15 Lenovo (Singapore) Pte, Ltd. Combining multiple slate displays into a larger display
US20150084837A1 (en) * 2013-09-19 2015-03-26 Broadcom Corporation Coordination of multiple mobile device displa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74026B2 (en) 2021-07-27
EP3188489A1 (en) 2017-07-05
CN107018290A (zh) 2017-08-04
KR20170081416A (ko) 2017-07-12
CN107018290B (zh) 2021-05-25
US10152292B2 (en) 2018-12-11
US20170192732A1 (en) 2017-07-06
US20190087146A1 (en) 2019-03-21
EP3188489B1 (en)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346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US9224358B2 (en) Proximity-based multi-display configuration
US9990877B2 (en) Self-diagnosing system and method of self-diagnosing of a display device
US20190213941A1 (en) Electronic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516536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6034211A (zh) 多荧幕系统的校正系统与方法
US20150363154A1 (en) Control for multi-monitor display
JP2011257540A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画像表示方法、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CN102215364A (zh) 格式化第一视频数据和第二视频数据的方法和通信接口
CN104020968A (zh) 控制共享屏幕显示的方法及装置
EP3732670B1 (en) Mobile terminal adjusting image quality of displa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9264700B2 (en) Multi viewer display and displaying method of the same
CN105653225A (zh) 屏幕投射方法以及投射目标端设备
EP2894628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ing two remote control apparatus
US10552990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30036444A1 (en) Display apparatus displaying broadcasting information of three-dimensional im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079589B1 (ko) 영상신호 수신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정보갱신방법
KR101868339B1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텔레스크린 장치 및 시스템
US20140215515A1 (en) Television receiver,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exchange system including same
CN111385504B (zh) 一种拼接电视的控制方法
KR20130023940A (ko) 텔레비전 방송 공유장치 및 그 방법
US20230205408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3009990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85804B1 (ko) 가시광 통신용 표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
CN114339174A (zh) 一种投影设备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