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9589B1 - 영상신호 수신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정보갱신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신호 수신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정보갱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9589B1
KR101079589B1 KR1020060099918A KR20060099918A KR101079589B1 KR 101079589 B1 KR101079589 B1 KR 101079589B1 KR 1020060099918 A KR1020060099918 A KR 1020060099918A KR 20060099918 A KR20060099918 A KR 20060099918A KR 101079589 B1 KR101079589 B1 KR 101079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control data
unit
video sig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9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3772A (ko
Inventor
이창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9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9589B1/ko
Priority to US11/772,260 priority patent/US8214865B2/en
Priority to EP07112682A priority patent/EP1912426A3/en
Priority to CN2007101403029A priority patent/CN101163210B/zh
Publication of KR20080033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3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by receiver mean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31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 or external card, e.g. to detect processing problems in a handheld device or the failure of an external record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3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user identification, e.g. by entering a PIN or passwo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신호 수신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수신부와; 복수의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영상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속성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와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영상신호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는 한편,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제어데이터의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입력된 제어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원거리의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의 속성을 용이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영상신호 수신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정보갱신방법{MEDIA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AND INFORMATION UPDATE METHOD OF DISPLAY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 수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정보갱신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30 : 디스플레이부 12, 32 : 영상처리부
14 : 수신부 16, 34 : 통신부
18, 38 : UI생성부 20 : 표시부
22, 40 : 제어부 36 : 사용자입력부
90a, 90b : 사용자 인터페이스
본 발명은 영상신호 수신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속성정보를 변경하는 영상신호 수신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출력한다. 디스플레이장치 중 하나인 디지털 TV 시스템 중에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셋탑박스 (Set Top Box)와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TV가 분리되어 있는 분리형 시스템과, 셋탑박스와 TV가 결합되어 있는 일체형 시스템이 있다. 이 중, 분리형 디지털 TV 시스는 하나의 셋탑박스를 통해 복수의 TV가 영상신호를 수신함으로써, 각각 독립적인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분리형 디지털 TV 시스템에서 셋탑박스에서 TV로 방송신호를 일방적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TV에 포함된 영상의 표시를 위한 속성정보를 셋탑박스가 수신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또한, 전원의 온/오프 뿐만 아니라 시청등급을 포함한 TV의 속성을 다른 TV가 원거리에서도 변경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TV의 속성을 용이하게 제어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영상신호 수신장치를 통해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로 영상신호를 전송함과 동시에, 원거리의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의 다양한 속성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그 정보갱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수신부와; 복수의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영상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속성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와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영상신호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는 한편,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제어데이터의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입력된 제어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수신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어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연결은 무선랜 (Wireless LAN)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어데이터의 입력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태표시를 위한 UI를 생성하는 UI생성부와, 상기 UI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UI에 대한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UI를 통해 상기 제어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외부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속성 중 시청등급에 따른 시청 가능여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영상신호 수신장치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속성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상기 영상신호 수신장치와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해 영상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처리부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어데이터의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입력된 제어데이터를 상기 영상신호 수신장치로 송신하고, 외부의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어데이터가 상기 영상신호 수신장치로부터 수신된 경우 상기 제어데이터에 따른 영상처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통신부와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어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연결은 무선랜 (Wireless LAN)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어데이터를 입력받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UI를 생성하는 UI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UI를 통해 상기 제어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아이디와 암호정보에 의해 상기 제어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외부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속성 중 시청등급에 따른 시청 가능여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수신장치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한편, 영상신호 수신장치와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정보갱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속성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영상신호 수신장치가 상기 입력된 제어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신호 수신장치가 상기 수신된 제어데이터를 해당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정보갱신방법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는 무선랜 (Wireless LAN)에 의해 상기 제어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제어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UI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UI를 통해 제어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아이디와 암호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된 아이디와 암호정보에 의해 상기 제어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 수신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 수신장치(1)는 디스플레이부(10)와, 영상처리부(12)와, 수신부(14)와, 통신부(16)와, UI생성부(18)와, 표시부(20)와, 제어부(2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 수신장치(1)는 셋탑박스 (Set-Top Box)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부(10)는 소정의 영상신호에 대해 영상을 표시한다. 영상신호 수신장치(1)의 디스플레이부(1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2)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속성정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영상신호 수신장치(1)의 전면에 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구현되고 각 디스플레이장치(2)의 속성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처리부(12)는 디스플레이부(10)에 각 디스플레이장치(2)가 영상을 표시하는 속성을 나타내기 위한 영상처리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부(12)는 수신부(14)에 의해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영상처리는 수행하지 않고, 디스플레이장치(2)의 속성정보를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처리만을 수행하므로, 후술할 디스플레이장치(2)에 포함된 영상처리부(32)에 비해 간소화가 가능하다.
수신부(14)는 MTS (MPEG Transport Stream) 등과 같은 스트림 형태의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부(14)는 튜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신부(14)는 원칙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 수신장치(1)와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2)의 수만큼 구비되지만, 디스플레이장치(2)가 외부입력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장치(2)의 수보다 작을 수 있다.
통신부(16)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2)와 영상신호 및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16)는 무선랜 (Wireless LAN) 모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영상신호 수신장치(1)와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2)의 수만큼 구비되어야 한다.
물론, 통신부(16)가 제어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연결은 무선랜 모듈에 의한 연결 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Bluetooth) 또는 지그비 (Zigbee) 등의 모듈로도 구현될 수 있고, 이외에도 유선망 등 다수의 전자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UI생성부(18)는 제어데이터의 입력 및 디스플레이부(10)의 상태표시를 위한 UI를 생성한다. UI생성부(18)에 의해 생성되는 UI는 제어부(22)의 제어에 따라,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부(2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2)에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속성 중 시청등급에 따른 시청 가능여부를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부(20)는 LED (Light-Emitting Diode)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방송신호의 시청등급이 시청자의 시청등급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2)는 수신부(10)에 의해 수신된 영상신호를 외부 디스플레이장치(2)로 송신하는 한편, 외부 디스플레이장치(2)로부터 제어데이터의 입력이 있는 경우, 입력된 제어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디스플레이장치(2)를 제어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통신부(16)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데이터란 외부 디스플레이장치(2)에 표시되는 영상의 속성을 변경하기 위한 데이터를 말한다. 이로써, 하나의 영상신호 수신장치(1)가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2)로 영상신호를 송신하며, 각 디스플레이장치(2)가 외부 디스플레이장치(2)에 표시되는 영상의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2)는 UI생성부(18)에 의해 생성된 UI를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하여 외부 디스플레이장치(2)에 설정된 속성의 변경을 위한 제어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영상신호 수신장치(1)에서 각 디스플레이장치(2)에 표시되는 영상의 속성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입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22)는 수신부(14)에 의해 수신된 영상신호가 각 디스플레이장치(2)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시청등급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표시부(20)를 발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각 디스플레이장치(2)의 시청등급 해당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2)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2)는 디스플레이부(30)와, 영상처리부(32)와, 통신부(34)와, 사용자입력부(36)와, UI생성부(38)와, 표시부(20)와, 제어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2)는 디지털 TV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부(30)는 후술할 영상처리부(32)에 의해 처리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30)는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DLP(digital light processing), SED(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FED(field emission display)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처리부(32)는 통신부(34)에 의해 수신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30)에 영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영상처리부(32)는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UI생성부(38)에 의해 생성된 UI 이미지를 입력받아, UI 이미지를 포함한 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부(32)는 입력된 영상신호로부터 영상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디코딩(decoding), 디스플레이부(30)의 특성 및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디코딩된 영상의 해상도를 조정하는 스케일링(scaling),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처리(picture enhancement)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부(34)는 영상신호 수신장치(1)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속성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영상신호 수신장치(1)와 송수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34)는 영상신호 수신장치(1)에 포함된 통신부(16)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무선랜 (Wireless LAN) 모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디스플레이장치(2)의 통신부(34)는 영상신호 수신장치(1)에 구비된 통신부(16)와 마찬가지로, 제어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연결이 무선랜 모듈에 의한 연결 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Bluetooth) 또는 지그비 (Zigbee) 등의 모듈로도 구현될 수 있고, 이외에도 유선망 등 다수의 전자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사용자입력부(36)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데이터를 입력받는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입력부(36)는 디스플레이장치(2)의 일측에 마련되며, 리모콘과 같은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UI생성부(38)는 제어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UI를 생성한다. UI생성부(38)에 의해 생성된 UI의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UI생성부(38)는 사용자의 아이디와 암호정보의 입력 및 변경을 위한 UI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데이터의 입력이 있는 경우 입력된 제어데이터를 통신부(34)를 통해 영상신호 수신장치(1)로 송신하고, 외부의 디스플레이장치(2)로부터 입력된 제어데이터가 영상신호 수신장치(1)로부터 수신된 경우 제어데이터에 따른 영상처리를 수행하도록 통신부(34)와 영상처리부(32)를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 수신장치(1)에 포함된 제어부(22)와, 디스플레이장치(2)의 제어부(40)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영상신호 수신장치(1)와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2a, 2b, 2c)를 포함한다.
영상신호 수신장치(1)의 제어부(22)는 수신부(14)에 의해 수신된 영상신호를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2a, 2b, 2c)로 송신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장치(2a)의 사용자가 외부 디스플레이장치(2b)의 영상의 표시에 대한 속성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2a)의 제어부(40)는 제어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UI(90a)를 표시하도록 영상처리부(32)를 제어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2a)의 사용자가 외부 디스플레이장치(2b)의 꺼짐시간을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0)에 꺼짐시간의 입력을 위한 UI 이미지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36)를 통해 원하는 꺼 짐시간을 입력한다. 디스플레이장치(2a)의 제어부(40)는 입력된 꺼짐시간 정보와 꺼짐시간 변경의 대상이 되는 외부 디스플레이장치(2b)의 정보를 통신부(34)를 통해 영상신호 수신장치(1)로 송신한다. 여기서, 제어부(40)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모든 외부 디스플레이장치(2b, 2c)로 제어데이터를 일괄적으로 송신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영상신호 수신장치(1)의 제어부(22)는 통신부(16)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2a)로부터 꺼짐시간 정보가 수신되면, 꺼짐시간 변경의 대상이 되는 외부 디스플레이장치(2b)로 변경된 꺼짐시간 정보를 송신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모든 외부 디스플레이장치(2b, 2c)의 속성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입력이 있는 경우, 제어부(22)는 모든 외부 디스플레이장치(2b, 2c)로 변경된 속성정보를 송신하도록 통신부(16)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외부 디스플레이장치(2b)의 제어부(40)는 통신부(34)로부터 변경된 꺼짐시간 정보가 수신되면, 꺼짐시간을 설정하거나 변경하고, 변경된 속성정보를 알리기 위한 UI 이미지(90b)를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하도록 영상처리부(32)를 제어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2a)가 외부 디스플레이장치(2b)에 표시되는 영상의 속성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속성 중 꺼짐시간을 일예로 설명하였지만,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속성은 시청등급과, 채널정보 등 영상의 표시와 관련된 변경 가능한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는 속성 중 시청등급이 설정된 경우, 통신부(34)를 통해 수신된 영상신호의 시청등급이 시청자의 시청등급에 해당하지 않으면, 표시부(20)를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어부(40)는 사용자의 아이디와 암호정보의 입력을 위한 UI를 생성하고, 생성된 UI를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하도록 영상처리부(32)를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영상이 표시되는 속성의 변경권한을 부여할 수 있으며, 속성의 변경권한을 가진 사용자는 속성변경뿐만 아니라, 속성의 추가 및 삭제도 가능하다.
이하, 도 4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정보갱신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디스플레이장치(2a)의 제어부(40)는 사용자로부터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속성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입력받는다(S10). 단계 S10에서 제어데이터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장치(2a)의 제어부(40)는 입력된 제어데이터를 통신부(34)를 통해 영상신호 수신장치(1)로 송신하고, 영상신호 수신장치(1)의 제어부(22)는 통신부(16)를 통해 제어데이터를 수신한다(S20).
단계 S20에서 제어데이터가 수신되면, 영상신호 수신장치(1)의 제어부(22)는 수신된 제어데이터를 통신부(16)를 통해 해당 디스플레이장치(2)로 송신한다(S30).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2a)가 외부 디스플레이장치(2b)에 표시되는 영상의 속성을 용이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 수신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정보갱신방법에 의하면 하나의 영상신호 수신장치를 통해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로 영상신호를 전송함과 동시에, 원거리의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의 다양한 속성과 설정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에 다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여부 및 다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고 있는 영상의 시청등급, 채널번호 등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다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 및 속성과 설정의 용이한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6)

  1. 영상신호 수신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수신부와;
    복수의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영상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속성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와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영상신호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는 한편, 상기 복수의 외부 디스플레이장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제어데이터의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입력된 제어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외부 디스플레이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다른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데이터는, 변경이 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수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어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연결은 무선랜 (Wireless LA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수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어데이터의 입력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부의 상태표시를 위한 UI를 생성하는 UI생성부와,
    상기 UI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UI에 대한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UI를 통해 상기 제어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수신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외부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속성 중 시청등급에 따른 시청 가능여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수신장치.
  5.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제1항에 따른 영상신호 수신장치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속성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상기 영상신호 수신장치와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해 영상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처리부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어데이터의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입력된 제어데이터를 상기 영상신호 수신장치로 송신하고, 외부의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어데이터가 상기 영상신호 수신장치로부터 수신된 경우 상기 제어데이터에 따른 영상처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통신부와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신호 수신장치로 송신되는 상기 제어데이터는, 복수의 다른 디스플레이장치 중 변경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어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연결은 무선랜 (Wireless LA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어데이터를 입력받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UI를 생성하는 UI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UI를 통해 상기 제어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아이디와 암호정보에 의해 상기 제어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속성 중 시청등급에 따른 시청 가능여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영상신호 수신장치와,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2.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제4항에 따른 영상신호 수신장치와,
    제10항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3. 영상신호 수신장치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정보갱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속성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영상신호 수신장치가 상기 입력된 제어데이터를 상기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신호 수신장치가 상기 수신된 제어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데이터는, 변경이 되는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정보갱신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는 무선랜 (Wireless LAN)에 의해 상기 제어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정보갱신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제어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UI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UI를 통해 제어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정보갱신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아이디와 암호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된 아이디와 암호정보에 의해 상기 제어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정보갱신방법.
KR1020060099918A 2006-10-13 2006-10-13 영상신호 수신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정보갱신방법 KR101079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9918A KR101079589B1 (ko) 2006-10-13 2006-10-13 영상신호 수신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정보갱신방법
US11/772,260 US8214865B2 (en) 2006-10-13 2007-07-02 Video signal receiving apparatus, display device, display system, and information updating method of display system
EP07112682A EP1912426A3 (en) 2006-10-13 2007-07-18 Video signal receiving apparatus, display device, display system, and information updating method of display system
CN2007101403029A CN101163210B (zh) 2006-10-13 2007-08-08 视频信号接收设备、显示装置、显示系统及信息更新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9918A KR101079589B1 (ko) 2006-10-13 2006-10-13 영상신호 수신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정보갱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772A KR20080033772A (ko) 2008-04-17
KR101079589B1 true KR101079589B1 (ko) 2011-11-03

Family

ID=39064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9918A KR101079589B1 (ko) 2006-10-13 2006-10-13 영상신호 수신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정보갱신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14865B2 (ko)
EP (1) EP1912426A3 (ko)
KR (1) KR101079589B1 (ko)
CN (1) CN1011632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93923B2 (en) * 2007-04-30 2011-02-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Wireless control of multiple computers
CN102164321A (zh) * 2011-05-30 2011-08-24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设备及系统
KR101970953B1 (ko) * 2011-12-28 2019-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8345A (en) * 1995-01-05 1996-08-20 Protelcon, Inc. Video viewing censoring supervision system
US5886732A (en) * 1995-11-22 1999-03-23 Samsung Information Systems America Set-top electronics and network interface unit arrangement
US5822453A (en) * 1996-12-10 1998-10-13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estimating and adjusting digital image contrast
EP1986425B2 (en) 1998-07-17 2019-01-30 Rovi Guid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system having multiple devices within a household
US8266657B2 (en) 2001-03-15 2012-09-11 Sling Media Inc. Method for effectively implementing a multi-room television system
US6556253B1 (en) * 1999-10-26 2003-04-29 Thomson Licensing S.A. Multi-window picture adjustment arrangement for a video display
JP2002010165A (ja) * 2000-06-26 2002-01-11 Sony Corp 多画面表示装置および多画面表示方法
JP2002111615A (ja) * 2000-10-03 2002-04-12 Sharp Corp 放送信号受信システム
KR100845837B1 (ko) * 2002-01-24 2008-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장치
KR100998902B1 (ko) 2003-09-19 2010-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 및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의 시청 시간 제어 방법
JP4233482B2 (ja) 2004-04-09 2009-03-04 シャープ株式会社 複数画面表示テレビジョン装置及び操作対象画面切替方法
US20050235329A1 (en) * 2004-04-19 2005-10-20 Broadcom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ed control within a home entertainment system
US8199685B2 (en) 2004-05-17 2012-06-12 Sonosite, Inc. Processing of medical signals
KR20050120064A (ko) 2004-06-18 2005-12-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지털 텔레비젼의 개별 디스플레이 설정 방법
KR100664925B1 (ko) 2004-09-24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기기를 제어하는 통합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686011B1 (ko) 2004-11-29 200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신호를 이용한 영상디스플레이 기기의 설정정보다운로드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60218581A1 (en) 2005-03-01 2006-09-28 Barbara Ostrowska Interactive network guide with parental monito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63210B (zh) 2010-10-13
EP1912426A3 (en) 2012-01-04
US20080092165A1 (en) 2008-04-17
KR20080033772A (ko) 2008-04-17
EP1912426A2 (en) 2008-04-16
US8214865B2 (en) 2012-07-03
CN101163210A (zh) 200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7660B2 (en)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57620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452335B2 (en) Display system, display apparatus and adjustment method
US20100141777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power comsumption thereof
US20080186411A1 (en) Television receiver,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US20070094610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80115186A1 (en) Display apparatus, set-top box and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101079589B1 (ko) 영상신호 수신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정보갱신방법
CN105580382B (zh)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US8810737B1 (en) Video display device and external device
US20140327600A1 (en) Display device and calibration method thereof
WO2019159308A1 (ja) 映像表示装置、映像表示方法および映像信号処理装置
KR100808873B1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3132010A (ja) テレビ放送受信機
KR20080064289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방송장르 표시방법
EP2600633A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60065881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670582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JP2018093259A (ja) 受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KR20070051202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원격제어장치
JP2013074621A (ja) 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該制御方法を用いる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
KR20060131160A (ko) 영상기기의 외부 입력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20070083246A (ko) 영상신호 수신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74655A (ko) 색상 왜곡 측정장치
KR20060087941A (ko) 모바일기기와 전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재생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