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095B1 - 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 Google Patents

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095B1
KR102360095B1 KR1020210058770A KR20210058770A KR102360095B1 KR 102360095 B1 KR102360095 B1 KR 102360095B1 KR 1020210058770 A KR1020210058770 A KR 1020210058770A KR 20210058770 A KR20210058770 A KR 20210058770A KR 102360095 B1 KR102360095 B1 KR 102360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disposed
area
display
protect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7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56299A (en
Inventor
가지현
곽원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6909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52342B1/en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8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095B1/en
Publication of KR20210056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2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0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제1 면에 형성된 제1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에 대하여 접힌 제2 면에 형성된 제2 영역을 구비하는 가요성 패널; 적어도 상기 표시 영역을 봉지하도록 상기 가요성 패널 상에 배치된 가요성 봉지 부재; 및 상기 가요성 패널 및 상기 가요성 봉지 부재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제1 보호필름 및 제2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패널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exible panel comprising: a flexible panel including a first area including a display area and formed on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area including a non-display area and formed on a second surface fol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a flexible encapsulation member disposed on the flexible panel to encapsulate at least the display area; and first and second protective films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lexible panel and the flexible encapsulation member.

Description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A flexible display panel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TECHNICAL FIELD

본 발명은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display panel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표시 장치란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표시 장치는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PDA, 및 최근 폭발적으로 수요가 증가한 스마트 기기 등을 포함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The display device refers to a device that displays an image signal. Such a display device is a concept including all devices that display an image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including televisions, computer monitors, PDAs, and smart devices, which have recently exploded in demand.

상기 표시 장치에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과 같은 고화질의 평판형 표시 모듈이 사용되고 있다. A high-quality flat panel display module such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a plasma display panel is used in the display device.

상기 평판형 표시 모듈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에 영상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각종 회로와 배선을 포함하는 비표시 영역이, 표시 영역의 외곽에 비표시 영역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In the flat panel display module, a display area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non-display area including various circuits and wires for supplying an image signal to the display area are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non-display area outside the display area do.

최근, 표시 장치에 대한 고화질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요구가 증대되면서, 평판형 표시 모듈의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회로 및 배선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비표시 영역의 면적이 증가하여 사용자가 인식하는 표시 영역의 비율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Recently, as the demand for high image quality and various applications for display devices increases, the number of circuits and wires disposed in a non-display area of a flat panel display module is increasing.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rea of the non-display area increases and the ratio of the display area recognized by the user decreas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 및 그 밖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비표시 영역을 현저히 줄이고, 벤딩 시 휨 스트레스에 의한 배선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는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and other problems, and a flexible display panel capable of significantly reducing a non-display area recognized by a user and preventing cracks in wiring due to bending stress during bending, and a display including the sam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e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제1 면에 형성된 제1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에 대하여 접힌 제2 면에 형성된 제2 영역을 구비하는 가요성 패널; 적어도 상기 표시 영역을 봉지하도록 상기 가요성 패널 상에 배치된 가요성 봉지 부재; 및 상기 가요성 패널 및 상기 가요성 봉지 부재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제1 보호필름 및 제2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패널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exible panel including a first area including a display area and formed on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area including a non-display area and formed on a second surface fol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 a flexible encapsulation member disposed on the flexible panel to encapsulate at least the display area; and first and second protective films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lexible panel and the flexible encapsulation member.

상기 제1 보호필름 및 상기 제2 보호필름은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비표시 영역을 모두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protective film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may be disposed to cover both the display area and the non-display area.

상기 제1 보호필름 및 상기 제2 보호필름은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비표시 영역을 모두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protective film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may be disposed to cover both the display area and the non-display area.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평면이 향하는 제1 방향에서 보이고,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제1 방향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The display area may be visible in a first direction toward which the first plane faces, and the non-display area may not be visible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이 접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면이 향하는 제1 방향에서 보이는 표시 영역에 대한 비표시 영역의 면적비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이 접힌 경우, 상기 제1 면이 향하는 상기 제1 방향에서 보이는 표시 영역에 대한 비표시 영역의 면적비보다 작은 가요성 표시 패널.When the flexible display panel is not folded, the area ratio of the non-display area to the display area seen in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side faces is the first side facing the first side when the flexible display panel is folded A flexible display panel that is smaller than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non-display area to the visible area in the direction.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미리 결정된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이 형성된 경계 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A boundary area in which a curv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is formed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상기 미리 결정된 곡률 반경은 일정한 값을 가질 수 있다. The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may have a constant value.

상기 곡률 반경은 0.01mm 이상 10mm 이하일 수 있다. The radius of curvature may be 0.01 mm or more and 10 mm or less.

상기 경계 영역의 곡면은 아크(arc) 형상일 수 있다. The curved surface of the boundary region may have an arc shape.

상기 경계 영역에, 상기 제1 영역 상의 표시 영역이 연장되어 위치할 수 있다. A display area on the first area may be extended from the boundary area.

상기 경계 영역에, 상기 제2 영역 상의 비표시 영역이 연장되어 위치할 수 있다. A non-display area on the second area may be extended from the boundary area.

상기 경계 영역에, 상기 제1 영역 상의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상의 비표시 영역이 각각 연장되어 위치할 수 있다. In the boundary area, a display area on the first area and a non-display area on the second area may extend to each other.

상기 가요성 기판은, 상기 제2 영역의 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영역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3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lexible substrate may further include a third region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second region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region.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3 영역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non-display area may extend from the second area to the third area.

상기 제3 영역에 패드부가 위치할 수 있다. A pad part may be positioned in the third area.

상기 가요성 기판과,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베리어막이 더 포함될 수 있다. A barrier layer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flexible substrate and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상기 제1 보호필름 및 상기 제2 보호필름은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protective film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may be symmetrically disposed.

상기 제1 보호필름 및 상기 제2 보호필름 중 적어도 하나는 편광필름일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protective film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may be a polarizing film.

상기 제1 보호필름은 상기 가요성 패널의 단부를 커버하고, 상기 제2 보호필름은 상기 봉지 부재의 단부를 커버할 수 있다. The first protective film may cover an end of the flexible panel,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may cover an end of the encapsulation member.

상기 봉지 부재는 무기 절연막 및 유기 절연막 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ncapsulation member may include at least one insulating layer selected from an inorganic insulating layer and an organic insulating layer.

상기 가요성 기판 및 상기 봉지 부재 중, 상기 표시 영역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적어도 어느 일측에 터치 패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A touch panel may be further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lexible substrate and the encapsulation member on which an image of the display area is displayed.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접힐 수 있는 가요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ouch panel may include a flexible film that can be folded to correspond to a shap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가요성 필름 상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터치 영역, 및 상기 터치 영역 외곽에 위치하는 배선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touch panel may include a touch area positioned on the flexible film and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area, and a wiring area positioned outside the touch area.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제1 면에 배치된 제1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에 대하여 접힌 제2 면에 배치된 제2 영역을 구비하는 가요성 패널; 적어도 상기 표시 영역을 봉지하도록 상기 가요성 패널 상에 배치된 가용성 봉지 부재; 상기 가요성 패널 및 상기 가요성 봉지 부재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을 커버하도록 배치된 제1 보호필름 및 제2 보호필름; 적어도 상기 표시 영역을 봉지하도록 상기 가요성 패널 상에 배치된 가요성 봉지 부재;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형상을 유지하는 지지 수단;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exible device having a first area including a display area and disposed on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area including a non-display area and disposed on a second surface fol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sex panel; a fusible encapsulation member disposed on the flexible panel to encapsulate at least the display area; a first protective film and a second protective film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lexible panel and the flexible encapsulation member, respectively, and disposed to cover the display area and the non-display area; a flexible encapsulation member disposed on the flexible panel to encapsulate at least the display area; and support means for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provided.

첫째, 비표시 영역을 표시 영역과 반대 방향으로 벤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비표시 영역의 경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First, by bending the non-display area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splay area, the boundary of the non-display area recognized by the user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둘째, 가요성 표시 패널의 상하부에 금속층이 형성된 영역을 모두 커버하는 보호필름을 배치함으로써, 벤딩 시 휨 스트레스에 의한 배선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Second, by disposing a protective film covering all the regions in which the metal layer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cracks in wiring due to bending stress during bending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의 비교예에 따른 평판 표시 패널(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비표시 영역이 접히기 전 가요성 표시 패널(100-B)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평판 표시 패널의 벤딩 전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5의 표시 영역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의 비교예에 따른 평판 표시 패널의 벤딩전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의 접힌 부분의 내측 곡률 반경과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비표시 영역의 폭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경계 영역(B)의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2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는 도 12의 ⅩⅢ-ⅩⅢ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비표시 영역이 접히기 전 상태의 가요성 표시 패널(200-B)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200-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는 도 14의 ⅩⅥ-ⅩⅥ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3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ⅩⅧ-ⅩⅧ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비표시 영역이 접히기 전 상태의 가요성 표시 패널(300-B)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7의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300-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ⅩⅩⅠ-ⅩⅩⅠ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일체형 가요성 표시 패널(400)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터치패널 일체형 가요성 표시 패널(400)의 비표시 영역이 접히기 전의 터치패널 일체형 가요성 표시 패널(400-B)의 대한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5 내지 27은 가요성 표시 패널이 지지 수단에 결합된 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lexible display panel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II-II of FIG. 1 .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lat panel display panel 10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IV-IV of FIG. 3 .
5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B before the non-display area of FIG. 1 is folded.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before and after bending of the flat panel display panel of FIG. 5 .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display area of FIG. 5 .
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before and after bending of a flat panel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inner curvature radii of folded portions of the display area and the non-display area and the width of the non-display area recognized by the user.
10 and 11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boundary region B. As shown in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lexible display panel 200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XIII-XIII of FIG. 12 .
1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200 -B in a state before the non-display area of FIG. 12 is folded.
1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lexible display panel 200 - 1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12 .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XVI-XVI of FIG. 14 .
1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lexible display panel 300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XVIII-XVIII of FIG. 17 .
19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300 -B in a state before the non-display area of FIG. 17 is folded.
2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lexible display panel 300 - 1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third embodiment of FIG. 17 .
FIG. 2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XXI-XXI of FIG. 20 .
2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uch panel integrated flexible display panel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uch panel integrated flexible display panel 400 -B before the non-display area of the touch panel integrated flexible display panel 400 of FIG. 22 is folded.
2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3 .
25 to 27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examples in which a flexible display panel is coupled to a support means.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lexible display panel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가요성 표시 패널(100)은 제1 면(x-y면)에 배치된 표시 영역(D)과, 상기 제1 면(x-y)에 대하여 접힌 제2 면(y-z면)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영역(D) 외곽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을 구비한다. 비표시 영역(N1, N2, N3, N4) 중 표시 영역(D)에 대하여 좌우로 서로 마주보는 비표시 영역(N1, N3)이 표시 영역(D)이 향하는 방향(z)과 반대 방향(-z)을 향하도록 접혀있다. 1 and 2 ,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has a display area D disposed on a first surface (xy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yz surface) fol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xy). ) and includes non-display areas N1 , N2 , N3 , and N4 disposed outside the display area D . Among the non-display areas N1 , N2 , N3 , and N4 ,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that face each other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display area D ar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z of the display area D (- z) is folded toward

비표시 영역(N1, N3)이 표시 영역(D)이 향하는 방향(z)과 반대 방향(-z)으로 접혀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표시 영역(D)의 정면(z)에서 가요성 표시 패널(100)을 바라볼 때, 사용자에게는 비표시 영역(N1, N3)의 접혀 있는 폭(W1)이 표시 영역(D)의 좌우를 둘러싸는 경계(border)로 인식된다. Since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are folded in a direction (-z) opposite to the direction z to which the display area D faces, the user can view the flexible display panel ( When looking at 100 , the folded width W 1 of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is recognized by the user as a border surround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play area D .

도 2를 참조하면, 비표시 영역(N1, N3)이 접히기 전의 원래 폭(W0)에 비하여 접힌 상태의 폭(W1)이 훨씬 줄어들기 때문에, 사용자에게는 비표시 영역(N1, N3)에 의한 표시 영역(D)의 경계가 훨씬 감소된 것으로 인식된다. 만약, 비표시 영역(N1, N3)을 접기 전과 접은 후의 표시 영역(D)의 면적이 그대로라면,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표시 영역(D)에 대한 비표시 영역(N1, N3)의 면적비가 줄어들어, 상대적으로 표시 영역(D)이 확대된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 한편, 줄어든 비표시 영역(N1, N3)의 폭(W0-W1)만큼 표시 영역(D)의 폭을 확대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100)이 동일 규격의 표시 장치에 적용된다면, 타 표시 패널에 비하여 확대된 영상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since the width W 1 of the folded state is much smaller than the original width W 0 of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before being folded,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are shown to the user. It is recognized that the boundary of the display area D is significantly reduced. If the area of the display area D before and after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is folded remains the same, the area ratio of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to the display area D recognized by the user is reduced, The same effect as that the display area D is relatively enlarged may be given. Meanwhile, since the width of the display area D can be enlarged by the reduced widths W 0 -W 1 of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same standard. If applied to a display device of ,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enlarged image screen compared to other display panels.

한편, 비표시 영역(N1, N3)의 접힌 폭(W1)은 표시 영역(D)과 비표시 영역(N1, N3)의 접힌 부분의 내측 곡률 반경(R)과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두께(T)의 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표시 영역(D)과 비표시 영역(N1, N3)의 접힌 부분의 내측 곡률 반경(R)과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두께(T)는 상당히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는 비표시 영역(N1, N3)에 의한 표시 영역(D)의 경계가 거의 없는(borderless)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Meanwhile, the folded width W 1 of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is the inner radius of curvature R of the folded portions of the display area D and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and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 It can be determined by the sum of the thickness (T) of .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inner radius of curvature R of the folded portions of the display area D and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and the thickness T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so that the display area D and the non-display area N1 and N3 are not displayed to the user. It may be recognized that the boundary of the display area D by the areas N1 and N3 is almost borderless.

도 3은 제1 실시예의 비교예로서,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을 접지 않은 평판 표시 패널(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lat panel display panel 10 in which the non-display areas N1, N2, N3, and N4 are not folded as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4 is a view taken along lines IV-IV of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을 접지 않은 평판 표시 패널(10)은 표시 영역(D)과, 상기 표시 영역(D) 외곽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을 구비한다. 3 and 4 , in the flat panel display panel 10 in which the non-display areas N1, N2, N3, and N4 are not folded, the display area D and the non-display area disposed outside the display area D are shown. Regions N1, N2, N3, and N4 are provided.

비표시 영역(N1, N3)이 접혀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표시 영역(D)의 정면(z)에서 평판 표시 패널(10)을 바라볼 때, 사용자에게는 비표시 영역(N1, N3) 원래의 폭(W0)이 표시 영역(D)의 좌우를 둘러싸는 경계(border)로 인식된다. 따라서,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패널 패널(100)에 비하여 비표시 영역(N1, N2)에 의한 표시 영역(D)의 경계가 두껍게 인식된다.Since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are not folded, when the user looks at the flat panel display 10 from the front z of the display area D, the user sees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as the original The width W 0 is recognized as a border surround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play area D. Accordingly, the boundary of the display area D by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2 is recognized to be thicker than that of the flexible panel pane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described above.

만약,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100)과 본 비교예의 평판 표시 패널(10)의 표시 영역(D) 및 비표시 영역(N1, N2, N2, N3)의 면적이 각각 동일하다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100)은 비교예의 평판 표시 패널(10)보다,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표시 영역(D)에 대한 비표시 영역(N1, N3)의 면적비가 줄어들어, 표시 화면이 확대된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If the display area D and the non-display area N1, N2, N2, and N3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lat panel display panel 10 of the present comparative example are described above, If the areas are the same,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non-display area N1 with respect to the display area D recognized by the user, compared to the flat panel display panel 10 of the comparative example. The area ratio of N3) is reduced, so that an effect such as an enlarged display screen can be given.

한편, 비교예에 따른 평판 표시 패널(10)의 경우, 비표시 영역(N1, N3)의 면적을 줄이기 위해서는 비표시 영역(N1, N3)에 배치되는 각종 회로, 배선부의 수를 줄이거나 그 선폭을 줄여야 한다. 그러나, 표시 장치에 대한 고화질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회로나 배선부의 수를 줄이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선폭을 줄이는데 공정 상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100)은 비표시 영역(N1, N3)에 배치된 회로나 배선의 수를 줄이거나 선폭을 줄이지 않고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비표시 영역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flat panel display panel 10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in order to reduce the area of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the number of various circuits and wiring parts disposed in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is reduced or the line width thereof is reduced. should be reduced However, there is a limit in reducing the number of circuits or wiring parts because the demand for high image quality and various applications for the display device is increasing. In addition, there is a difficulty in the process to reduce the line width. However,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reduce the area of the non-display area recognized by the user without reducing the number of circuits or wires disposed in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or reducing the line width. have.

도 5는 도 1의 비표시 영역(N1, N3)이 접히기 전 가요성 표시 패널(100-B)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평판 표시 패널의 벤딩 전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5의표시 영역(D)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5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B before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of FIG. 1 are folded, and FIG. 6 is a before and after bending of the flat panel display panel of FIG. 5 .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of ,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display area D of FIG. 5 .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비표시 영역(N1, N3)이 접히기 전 가요성 표시 패널(100-B)은 가요성 기판(111), 가요성 기판(111) 상에 배치된 베리어막(112), 베리어막(112) 상에 배치된 표시 영역(D) 및 비표시 영역(N1, N2, N3, N4), 가요성 봉지 부재(113), 가요성 기판(111)의 일측에 배치된 제1 보호필름(114), 및 상기 가요성 봉지 부재(113)의 일측에 배치된 제2 보호필름(115)을 구비한다. 5 to 7 , before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are folded,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B includes a flexible substrate 111 and a barrier film disposed on the flexible substrate 111 . 112 , the display area D and the non-display areas N1 , N2 , N3 , and N4 disposed on the barrier layer 112 , the flexible encapsulation member 113 , and one side of the flexible substrate 111 . A first protective film 114 and a second protective film 115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lexible encapsulation member 113 are provided.

가요성 기판(111)은 폴리에틸렌에테르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및 폴리이미드 등과 같이 내열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을 소재로 만들어 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요성 있는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The flexible substrate 111 may be made of a plastic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durability, such as polyethylene ether 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carbonate, polyarylate, polyether imide, polyether sulfone, and polyimid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flexible materials may be used.

가요성 기판(111) 상에 베리어막(112)이 구비될 수 있다. 베리어막(112)은 무기막 및 유기막 중 하나 이상의 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리어막(112)은 불필요한 성분이 가요성 기판(111)을 투과해 표시 영역(D)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A barrier layer 112 may be provided on the flexible substrate 111 . The barrier layer 112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an inorganic layer and an organic layer. The barrier layer 112 prevents unnecessary components from penetrating the flexible substrate 111 and penetrating into the display area D.

베리어막(112) 상에 표시 영역(D) 및 상기 표시 영역(D) 외곽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이 구비될 수 있다. A display area D and non-display areas N1 , N2 , N3 , and N4 positioned outside the display area D may be provided on the barrier layer 112 .

표시 영역(D)은 영상 신호가 표시되는 영역으로서, 유기 발광 소자, 액정 표시 소자, 전기 영동 소자 등 다양한 표시 소자(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기 발광 소자(120)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표시 영역(D)에는 상기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커패시터(미도시) 등과 같은 다양한 소자가 더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area D is an area in which an image signal is displayed, and various display devices (not shown) such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n electrophoretic device may be disposed. In this embodiment,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2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addition, various devices such as a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and a capacitor (not shown)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 may be further disposed in the display area D.

표시 영역(D)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기 발광 소자(120)가 구비된다. 유기 발광 소자(120)는 화소 전극(121)과, 공통층인 대향 전극(123)과, 그 사이에 구비된 유기 발광층(122)을 포함한다. 화소 전극(121)은 가요성 기판(111) 상에 형성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FT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6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유기 발광 소자(120)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표시 영역(D)에서 광을 방출한다. At least on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20 is provided in the display area 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20 includes a pixel electrode 121 , a counter electrode 123 serving as a common layer,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22 provided therebetween. The pixel electrode 12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FT1 formed on the flexible substrate 111 . Although not shown in FIG. 6 ,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and a storage capacitor to emit light in the display area D. As shown in FIG.

유기 발광층(122)에서 방출되는 광은 가요성 기판(111) 측으로 방출되거나, 또는 가요성 봉지 부재(113) 측으로 방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요성 봉지 부재(113) 측으로 영상이 구현되는 전면 발광형 표시 소자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요성 기판(111) 측으로 영상이 구현되는 배면 발광형 표시 소자에도 적용될 수 있다. 배면 발광형의 경우, 비표시 영역(N1, N3)의 접는 방향을 영상이 구현되는 방향(-z)의 반대편, 즉 봉지 부재(113) 측(z)으로 접으면 된다.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emission layer 122 may be emitted toward the flexible substrate 111 or toward the flexible encapsulation member 113 . In this embodiment, a top emission type display device in which an image is realized toward the flexible encapsulation member 113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also be applied to a bottom emission type display device i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toward the flexible substrate 111 . In the case of the bottom emission type, the folding direction of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may be folded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direction (-z) in which an image is realized, that is, toward the side (z) of the encapsulation member 113 .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은 표시 영역(D)에 위치하는 표시 소자에 영상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각종 회로부(미도시)와 배선(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 있다.In the non-display areas N1 , N2 , N3 , and N4 , various circuit units (not shown) and wirings (not shown) for supplying image signals to the display elements positioned in the display area D may be disposed.

도 5를 참조하면, 비표시 영역(N1, N2, N3, N4)에는 대향 전극(2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극전원공급라인(131) 및 그 단자부(132)가 배치되어 있다. 비표시 영역(N1, N2)에는 표시 영역(D)에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주사 회로부(133) 및 그 단자부(134)가 배치되어 있다. 비표시 영역(N2, N3)에는 표시 영역(D)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회로부(135) 및 그 단자부(136)가 배치되어 있다. 비표시 영역(N2)에는 표시 영역(D)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구동 전원 배선부(137) 및 그 단자부(138)가 배치되어 있다. 비표시 영역(N2)에는 상기 단자부(132, 134, 136, 138)들이 배치된 패드부(P)가 배치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5 , an electrode power supply line 131 for supplying power to the opposite electrode 23 and a terminal portion 132 thereof are disposed in the non-display areas N1 , N2 , N3 , and N4 . A scan circuit unit 133 that transmits a driving signal to the display area D and a terminal unit 134 thereof are disposed in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2 . A data circuit unit 135 for transmitting a data signal to the display area D and a terminal unit 136 thereof are disposed in the non-display areas N2 and N3 . A driving power wiring unit 137 for supplying driving power to the display region D and a terminal unit 138 thereof are disposed in the non-display area N2 . The pad part P on which the terminal parts 132 , 134 , 136 , and 138 are disposed is disposed in the non-display area N2 .

도 5에 도시된 각종 회로, 배선, 및 단자부들은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을 구성하는 일 예시를 도시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즉,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을 구성하는 각종 회로, 배선, 및 단자부들은 도 5에 도시된 구성과 다르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various circuits, wirings, and terminal units illustrated in FIG. 5 are merely illustrative of examples of the non-display areas N1 , N2 , N3 , and N4 . That i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circuits, wirings, and terminal units constituting the non-display areas N1 , N2 , N3 , and N4 may have a different configuration from that shown in FIG. 5 .

표시 영역(D) 및 비표시 영역(N1, N2, N3, N4) 상에 적어도 표시 영역(D)을 봉지하는 가요성 봉지 부재(113)가 구비될 수 있다. 봉지 부재(113)는 봉지 박막으로 구비될 수 있다. 봉지 박막은 복수의 무기 절연막들, 또는 무기 절연막과 유기 절연막이 혼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A flexible encapsulation member 113 for sealing at least the display area D may be provided on the display area D and the non-display area N1 , N2 , N3 , and N4 . The encapsulation member 113 may be provided as an encapsulation thin film. The encapsulation thin film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inorganic insulating layers or a structure in which an inorganic insulating layer and an organic insulating layer are mixed.

가요성 기판(111)의 일측에는 각각 제1 보호필름(114)이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가요성 기판(111)과 제1 보호필름(114) 사이에는 점착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가요성 봉지 부재(113)의 일측에는 제2 보호필름(115)이 배치될 수 있다. 가요성 봉지 부재(113)와 제2 보호필름(115) 사이에는 점착제가 더 구비될 수 있다.A first protective film 114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lexible substrate 111 , respective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n adhesive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lexible substrate 111 and the first protective film 114 . A second protective film 115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lexible encapsulation member 113 . An adhesive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lexible encapsulation member 113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115 .

제1 보호필름(114)과 제2 보호필름(115)은 서로 동일한 물성(物性)을 가지며,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기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 보호필름(114) 및 제2 보호필름(115)은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rotective film 114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115 have the same physical properties, and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may be improved. The first protective film 114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115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flexible characteristics.

또한, 제1 보호필름(114)과 제2 보호필름(115) 중 적어도 하나는 편광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편광 기능을 갖는 보호필름의 배치는 유기 발광 소자(120)가 빛을 방출하는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 발광 소자(120)가 전면 발광, 즉 제2 보호필름(115) 방향으로 빛을 방출하여 화상을 표시한다면, 제2 보호 필름(115)이 편광 기능을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유기 발광 소자(120)가 배면 발광, 즉 제1 보호 필름(114) 방향으로 빛을 방출하여 화상을 표시한다면, 제1 보호 필름(114)이 편광 기능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유기 발광 소자(120)가 양면 발광한다면 제1 보호 필름(114)과 제2 보호 필름(115)이 모두 편광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도 8은 제1 실시예의 비교예에 따른 평판 표시 패널(20)의 벤딩(bending) 전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protective film 114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115 may have a polarization function. Here, the arrangement of the protective film having a polarization functio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20 emits light. For example, i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20 displays an image by emitting light in the direction of top emission, that is, the second protective film 115 , the second protective film 115 is formed to have a polarization function. On the other hand, i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20 displays an image by emitting light in the direction of the bottom emission, that is, the first protective film 114 , the first protective film 114 is formed to have a polarization function. In addition, i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20 emits light from both sides, both the first protective film 114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115 may have a polarization func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before and after the bending of (20).

제2 보호필름(115)이 편광 기능을 가질 경우, 종래에는, 도 8과 같이, 제1 보호필름(114)은 가요성 기판(111)을 완전히 커버하도록 배치된 반면, 제2 보호필름(115)은 표시 영역(D) 정도만 완전히 커버하도록 배치되었다. When the second protective film 115 has a polarization function, conventionally, as shown in FIG. 8 , the first protective film 114 is disposed to completely cover the flexible substrate 111 , while the second protective film 115 . ) is arranged to completely cover only about the display area D.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가요성 패널(20)을 벤딩하게 되면, 비표시 영역(N1, N3)은 제2 보호필름(115)이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 사이에 벤딩 모멘트(bending moment)가 달라져서, 제2 보호필름(115)이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 사이의 비표시 영역(N1, N3)을 구성하는 각종 회로부 및 배선과 같은 금속층이 형성된 영역(C)에 크랙(crack)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크랙은 패널의 이상 점등을 유발하여 불량요인이 될 수 있다. In this state, when the flexible panel 20 is bent, the bending moment is different between the portion in which the second protective film 115 is present and the portion in which the second protective film 115 is not present in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2 Cracks may occur in the region C in which metal layers such as various circuits and wirings constituting the non-display regions N1 and N3 between the portion having the protective film 115 and the portion without the protective film 115 are formed. Such cracks may cause abnormal lighting of the panel, which may be a failure factor.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도 6을 참조하면, 제1 보호필름(114) 및 제2 보호필름(115)은 가요성 패널(100)의 표시 영역(D)뿐만 아니라 비표시 영역(N1, N3)까지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제1 보호필름(114) 및 제2 보호필름(115)은 바람직하게는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호필름(114)은 가요성 기판(111)의 양 단부를 커버하고, 제2 보호필름(115)은 가요성 봉지 부재(113)의 양 단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o prevent this, in the present embodiment, referring to FIG. 6 , the first protective film 114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115 are not only the display area D of the flexible panel 100 but also the non-display area N1 of the flexible panel 100 . , N3). The first protective film 114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115 may be preferably symmetrically disposed. For example, the first protective film 114 may be disposed to cover both ends of the flexible substrate 111 ,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115 may be disposed to cover both ends of the flexible encapsulation member 113 . .

위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표시 영역(D)과의 경계에서 접히는 비표시 영역(N1, N3)을 구성하는 각종 회로부 및 배선과 같은 금속층이 형성된 영역에 가해지는 벤딩 모멘트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금속층이 형성된 영역의 파손이나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By configuring as described above, the bending moment applied to the region in which the metal layer is formed, such as various circuit parts and wirings constituting the non-display regions N1 and N3 folded at the boundary with the display region D, is equalized. It can prevent breakage or cracks.

가요성 표시 패널(100)을 구성하는 가요성 기판(111)은 플렉서블(flexible)한 특성을 갖기 때문에, 가요성 기판(111) 상에 직접 표시 영역(D)과 비표시 영역(N1, N3)을 형성하기 하기 어렵다. 따라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가요성 표시 패널(100)을 제조하는 방법은, 강성이 있는 글라스 기판(미도시) 상에 가요성 기판(111)을 형성하는 단계, 가요성 기판(111)에 상에 베리어막(112)을 형성하는 단계, 베리어막(112) 상에 표시 영역(D)과 비표시 영역(N1, N3)을 형성하는 단계, 표시 영역(D)을 덮도록 봉지 부재(113)를 형성하는 단계, 봉지 부재(113)에 제2 점착제(미도시)를 사용하여 제2 보호필름(115)을 부착하는 단계, 글라스 기판(미도시)을 가요성 기판(111)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 및 가요성 기판(111)에 제1 점착제(미도시)를 사용하여 제1 보호필름(114)을 부착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Since the flexible substrate 111 constitut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has a flexible characteristic, the display area D and the non-display area N1 and N3 are directly disposed on the flexible substrate 111 . is difficult to form. According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includes the steps of forming the flexible substrate 111 on a rigid glass substrate (not shown), and the flexible substrate 111 . forming the barrier layer 112 on the , forming the display area D and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on the barrier layer 112 , and an encapsulation member to cover the display area D 113), attaching the second protective film 115 to the encapsulation member 113 using a second adhesive (not shown), and separating the glass substrate (not shown) from the flexible substrate 111 . and attaching the first protective film 114 to the flexible substrate 111 using a first adhesive (not shown).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보호필름(114)과 제2 보호필름(115)은 후술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e first protective film 114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11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equally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도 5에 도시된 가요성 표시 패널(100-B)의 표시 영역(D)의 좌우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N1, N3)을, 표시 영역(D)이 사용자에게 표시 되는 방향(z, 도 1 참조)과 반대 방향(-z)으로 접으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이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100)이 형성된다. 가요성 표시 패널(100)에 있어서, 비표시 영역(N1, N3)이 접힐 때, 표시 영역(D)과 비표시 영역(N1, N3)의 경계에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display area D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B shown in FIG. 5 are show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splay area D is displayed to the user (z, FIG. 1) 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z),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 and 2 is formed. In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 when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are folded, a curved surface may be formed at a boundary between the display area D and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영역(D, 제1영역)과 비표시 영역(N3, 제2영역) 사이에 소정 곡면이 형성된 경계 영역(RB)이 형성 된다. 경계 영역(RB)은 미리 결정된(predetermined) 소정의 곡률 반경(R)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Again, referring to FIG. 2 , a boundary area RB having a predetermined curved surface is formed between the display area D (first area) and the non-display area N3 (second area). The boundary region RB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R that is predetermined.

본 실시예에서 경계 영역(RB)에는 제2영역(RⅡ)의 비표시 영역(N3)이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표시 영역(D)의 정면(z)에서 접힌 가요성 표시 패널(100)을 바라볼 때, 표시 영역(D)의 정면에서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비표시 영역(N3)의 폭(W1)은 표시 영역(D)과 비표시 영역(N3)의 접힌 부분의 내측 곡률 반경(R)과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두께(T)의 합으로 인식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비표시 영역(N3)의 폭(W1)은 경계 영역(RB)과 같다.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non-display area N3 of the second area RII is extended to the boundary area RB. When the user looks at the folded flexible display panel 100 from the front z of the display area D, the width W 1 of the non-display area N3 recognized by the user from the front of the display area D is recognized as the sum of the inner radius of curvature R of the folded portion of the display area D and the non-display area N3 and the thickness T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dth W 1 of the non-display area N3 recognized by the user is the same as the boundary area RB.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두께(T)는 수십 마이크로미터(㎛)에서 수백 마이크로미터(㎛)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소형 표시 장치의 경우에는 두께(T)를 더욱 작은 범위에서 두께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비표시 영역의 폭(W1)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상술한 두께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더 큰 두께 범위를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thickness T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may be selected from a range of several tens of micrometers (μm) to several hundreds of micrometers (μm).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mall display device, since the thickness T can be selected within a smaller range, the width W 1 of the non-display area recognized by the user can be further reduced.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hickness range, and a larger thickness range may be selected as needed.

도 9는 표시 영역(D)과 비표시 영역(N3)의 접힌 부분의 내측 곡률 반경(R)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비표시 영역(N3)의 폭(W2, W3)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display area D and the inner radius of curvature R of the folded portion of the non-display area N3 and the widths W2 and W3 of the non-display area N3 recognized by the user.

도 9를 참조하면,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두께(T)가 일정하다고 가정할 때, 경계 영역(RB)이 곡률 반경(R2)을 가지도록 비표시 영역(N3)을 접으면,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비표시 영역(N3)의 폭(W2)은 곡률반경(R2)과 가요성 표시 패널의 두께(T)의 합이 된다(W2=R2+T). 한편, 경계 영역(RB)이 곡률 반경(R2)보다 큰 곡률 반경(R3)을 가지도록 비표시 영역(N3)을 접으면,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비표시 영역(N3)의 폭(W3)은 곡률 반경(R3)과 가요성 표시 패널의 두께(T)의 합이 된다. 즉, 곡률 반경이 클수록(R3>R2)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비표시 영역(N3)의 폭이 넓어진다. Referring to FIG. 9 , assuming that the thickness T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is constant, when the non-display area N3 is folded so that the boundary area RB has a radius of curvature R2 , the user The width W2 of the non-display area N3 recognized by the user is the sum of the radius of curvature R2 and the thickness T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W2=R2+T). On the other hand, when the non-display area N3 is folded so that the boundary area RB has a radius of curvature R3 greater than the radius of curvature R2, the width W3 of the non-display area N3 recognized by the user is the curvature. It is the sum of the radius R3 and the thickness T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That is, as the radius of curvature increases (R3>R2), the width of the non-display area N3 recognized by the user increases.

표시 영역(D)과 비표시 영역(N3)의 접힌 부분의 내측 곡률 반경은 0.01mm 이상 10mm 이하가 바람직하다. 곡률 반경이 0.01mm보다 작으면, 휨 스트레스에 의해 가요성 표시 패널(100)이 접힘 상태를 유지하지 못할 수 있고, 10mm보다 크면 시인되는 비표시 영역의 폭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특히, 소형 표시 장치의 경우에는 곡률 반경의 범위를 1mm 이하로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비표시 영역의 폭을 더욱 줄일 수 있다. The inner radius of curvature of the folded portion of the display area D and the non-display area N3 is preferably 0.01 mm or more and 10 mm or less. This is because when the radius of curvature is less than 0.01 mm,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may not maintain the folded state due to bending stress, and when the radius of curvature is greater than 10 mm, the width of the visible non-display area increase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mall display device, the width of the non-display area recognized by the user may be further reduced by selecting the radius of curvature to be 1 mm or less.

도 10을 참조하면, 경계 영역(RB)에 제1영역(RⅠ)의 표시 영역(D)이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표시 영역(D)의 정면에서 접힌 가요성 표시 패널(100)을 바라볼 때, 사용자에 인식되는 비표시 영역(N3)의 폭(W4)은 0이 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에게 비표시 영역(N3)의 경계가 거의 없는(borderless)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 the display area D of the first area RI extends to the boundary area RB. When the user looks at the folded flexible display panel 100 from the front of the display area D, the width W4 of the non-display area N3 recognized by the user becomes zero. 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above embodiment, the user may recognize that the non-display area N3 has almost no border.

도 11을 참조하면, 경계 영역(RB)에 제1영역(RⅠ)의 표시 영역(D)과 제2 영역(RⅡ)의 비표시 영역(N3)이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비표시 영역(N3)의 폭(W5)은 도 10의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비표시 영역(N3)의 폭(W4)보다 크고, 도 2의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비표시 영역(N3)의 폭(W1)보다 작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도 3 및 4의 비표시 영역을 접지 않은 평판 표시 패널(10)보다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비표시 영역의 폭이 좁게 인식된다. Referring to FIG. 11 , the display area D of the first area RI and the non-display area N3 of the second area RII may be formed in the boundary area RB. In this case, the width W5 of the non-display area N3 recognized by the user is greater than the width W4 of the non-display area N3 recognized by the user of FIG. 10 , and the non-display area N3 recognized by the user of FIG. 2 . ) is smaller than the width W1.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non-display area recognized by the user is recognized as narrower than that of the flat panel display panel 10 in which the non-display area of FIGS. 3 and 4 is not folded.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경우, 표시 영역(D)의 좌우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N1, N3)을 함께 접은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어느 한쪽의 비표시 영역을 접더라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됨은 물론이다.In the cas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where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display area D are folded together has been described.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even when one of the non-display areas is folded.

도 12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2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3는 도 12의 ⅩⅢ-ⅩⅢ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4은 도 12의 비표시 영역(N2, N4)이 접히기 전 상태의 가요성 표시 패널(200-B)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lexible display panel 2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XIII-XIII of FIG. 12 , and FIG. 14 is a non-display area of FIG. 12 . It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200 -B in a state before (N2, N4) are folded.

이하, 전술한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a focus on differences from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가요성 표시 패널(200-B)은, 표시 영역(D)의 상하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N2, N4)을 표시 영역(D)이 사용자에게 표시 되는 방향(z)과 반대 방향(-z)으로 접힌다. 그 결과,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200)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4 ,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flexible display panel 200 -B displays non-display areas N2 and N4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display area D in which the display area D is displayed to the user. Folds in the direction (z) and the opposite direction (-z). As a result, the flexible display panel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2 is formed.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가요성 표시 패널(200)은 표시 영역(D)과, 상기 표시 영역(D) 외곽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을 구비한다. 비표시 영역(N1, N2, N3, N4) 중 표시 영역(D)에 대하여 상하로 서로 마주보는 비표시 영역(N2, N4)은 표시 영역(D)이 향하는 방향(z)과 반대 방향(-z)을 향하도록 접혀있다. 12 and 13 , the flexible display panel 200 includes a display area D and non-display areas N1 , N2 , N3 , and N4 disposed outside the display area D . Among the non-display areas N1 , N2 , N3 , and N4 , the non-display areas N2 and N4 facing each other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display area D have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z of the display area D (- z) is folded toward

비표시 영역(N2, N4)이 표시 영역(D)이 향하는 방향(z)과 반대 방향(-z)으로 접혀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표시 영역(D)의 정면(z)에서 가요성 표시 패널(200)을 바라볼 때, 사용자에게는 비표시 영역(N2, N4)의 접혀 있는 폭(W6)이 표시 영역(D)의 상하를 둘러싸는 경계(border)로 인식된다. Since the non-display areas N2 and N4 are folded in a direction (-z) opposite to the direction z to which the display area D faces, the user can view the flexible display panel ( 200 , the folded width W6 of the non-display areas N2 and N4 is recognized by the user as a border surrounding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display area D.

전술한 바와 같이, 비표시 영역(N2, N4)이 접히기 전의 원래 폭(W0)에 비하여 접힌 상태의 폭(W6)이 훨씬 줄어들기 때문에, 사용자에게는 비표시 영역(N2, N4)에 의한 표시 영역(D)의 경계가 훨씬 감소된 것으로 인식된다. 특히, 패드부(P)가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N2)은 차지하는 면적이 넓기 때문에, 패드부(P)가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N2)을 접음으로써 사용자에게 비표시 영역(N2)에 의한 표시 영역(D)의 경계가 훨씬 감소된 것으로 인식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idth W 6 of the folded state is much smaller than the original width W 0 of the non-display areas N2 and N4 before being folded, the non-display areas N2 and N4 are It is recognized that the boundary of the display area D is significantly reduced. In particular, since the non-display area N2 in which the pad part P is positioned occupies a large area, by folding the non-display area N2 in which the pad part P is positioned, the non-display area N2 is provided to the user by the non-display area N2. There is an effect that the boundary of the display area D is recognized as being much reduced.

도 15는 도 12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200-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도 14의 ⅩⅤⅠ-ⅩⅤⅠ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1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lexible display panel 200 - 1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FIG. 12 , and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VII-XVII of FIG. 14 .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200)에서, 비표시 영역(N2) 중 패드부(P)가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N22)을 가요성 표시 패널(200-1)의 내측으로 한번 더 접은 것이다. 15 and 16 , in the flexible display panel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the non-display area N22 in which the pad part P is located among the non-display areas N2 is flexible. The display panel 200 - 1 is folded once more inside the display panel 200 - 1 .

패드부(P)에는 외장 드라이버가 장착되거나 커낵터(C)가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만약 도 12 및 13에 도시된 상태에서 패드부(P)에 외장 드라이버가 장착되거나 커낵터(C)가 연결되면, 사용자가 인식하는 비표시 영역(N2)의 폭(W6)이 증가한다. Since an external driver must be mounted on the pad part P or the connector C must be connected, if an external driver is mounted on the pad part P or the connector C is connected in the state shown in FIGS. 12 and 13 , , the width W6 of the non-display area N2 recognized by the user increases.

그러나 본 변형예와 같이 비표시 영역(N2)에서 패드부(P)가 배치된 영역(N22)을 가요성 표시 패널(200-1)의 내측으로 한번 더 접게 되면, 외장 드라이버나 커낵터(C)는 가요성 표시 패널(200-1)에 내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인식하는 비표시 영역(N2)의 폭(W6)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However, when the area N22 where the pad part P is disposed in the non-display area N2 is folded once more inside the flexible display panel 200 - 1 as in the present modified example, the external driver or the connector C ) is located inside the flexible display panel 200 - 1 , and thus does not affect the width W6 of the non-display area N2 recognized by the user.

한편, 위 실시예에서는 접히는 비표시 영역(N22)에 패드부(P)가 위치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접히는 비표시 영역(N22)에는 전술한 각종 회로부와 배선 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3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ⅩⅧ-ⅩⅧ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9는 도 17의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이 접히기 전 상태의 가요성 표시 패널(300-B)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Meanwhi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pad part P is positioned in the non-display area N22 to be folded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various circuit units and wirings described above may be disposed in the foldable non-display area N22 .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lexible display panel 300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XVIII-XVIII of FIG. 17 , and FIG. 19 is an exampl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300 -B in a state before the non-display areas N1 , N2 , N3 , and N4 of FIG. 17 are folded is a schematic plan view of

이하, 전술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differences from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가요성 표시 패널(300-B)은, 표시 영역(D)의 상하좌우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을 표시 영역(D)이 사용자에게 표시 되는 방향(z)과 반대 방향(-z)으로 접힌다. 그 결과, 도 1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300)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9 ,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flexible display panel 300 -B includes the non-display areas N1 , N2 , N3 , and N4 disposed at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of the display area D in the display area D. Folds in the opposite direction (-z) to the direction displayed to this user (z). As a result, the flexible display panel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7 is formed.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가요성 표시 패널(300)은 표시 영역(D)과, 상기 표시 영역(D) 외곽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을 구비한다. 비표시 영역(N1, N2, N3, N4) 중 표시 영역(D)에 대하여 상하좌우로 서로 마주보는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은 표시 영역(D)이 향하는 방향(z)과 반대 방향(-z)을 향하도록 접혀있다. 17 and 18 , the flexible display panel 300 includes a display area D and non-display areas N1 , N2 , N3 , and N4 disposed outside the display area D . Among the non-display areas N1 , N2 , N3 , and N4 , the non-display areas N1 , N2 , N3 , and N4 facing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isplay area D with respect to the display area D have a direction z in which the display area D faces. It is folded to face the opposite direction (-z).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이 표시 영역(D)이 향하는 방향(z)과 반대 방향(-z)으로 접혀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표시 영역(D)의 정면(z)에서 가요성 표시 패널(300)을 바라볼 때, 사용자에게는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의 접혀 있는 폭(W7)이 표시 영역(D)의 상하좌우를 둘러싸는 경계(border)로 인식된다. Since the non-display areas N1, N2, N3, and N4 are folded in a direction (-z) opposite to the direction z to which the display area D faces, the user moves from the front z of the display area D When looking at the gender display panel 300 ,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folded width W7 of the non-display areas N1 , N2 , N3 , and N4 is a border surrounding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of the display area D. do.

전술한 바와 같이,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이 접히기 전의 원래 폭(W0)에 비하여 접힌 상태의 폭(W7)이 훨씬 줄어들기 때문에, 사용자에게는 비표시 영역(N1, N2, N3, N4)에 의한 표시 영역(D)의 경계가 훨씬 감소된 것으로 인식된다. 특히, 패드부(P1, P2, P3, P4)가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은 차지하는 면적이 넓기 때문에, 패드부(P1, P2, P3, P4)가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을 접음으로써 사용자에게 비표시 영역(N1, N2, N3, N4)에 의한 표시 영역(D)의 경계가 훨씬 감소된 것으로 인식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idth W 7 of the non-display area N1 , N2 , N3 , and N4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original width W 0 before being folded, the non-display area N1 for the user is It is recognized that the boundary of the display area D by , N2, N3, and N4 is much reduced. In particular, since the area occupied by the non-display areas N1 , N2 , N3 , and N4 in which the pad parts P1 , P2 , P3 , and P4 are located is large, the ratio of the pad parts P1 , P2 , P3 , and P4 is located. By folding the display regions N1 , N2 , N3 , and N4 , the user perceives that the boundary of the display region D by the non-display regions N1 , N2 , N3 , and N4 is significantly reduced.

도 20은 도 17의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300-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ⅩⅩⅠ-ⅩⅩⅠ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FIG. 2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lexible display panel 300 - 1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third embodiment of FIG. 17 , and FIG. 2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XXI-XXI of FIG. 20 .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전술한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300)에서, 비표시 영역(N1, N2, N3, N4) 중 패드부(P1, P2, P3, P4)가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N12, N32, )을 가요성 표시 패널(300-1)의 내측으로 한번 더 접은 것이다. 20 and 21 , in the flexible display panel 300 according to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pad parts P1 , P2 , P3 , and P4 among the non-display areas N1 , N2 , N3 , and N4 . The non-display areas N12 , N32 , , where is located are folded once more inside the flexible display panel 300 - 1 .

패드부(P1, P2, P3, P4)에는 외장 드라이버가 장착되거나 커낵터(C)가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만약 도 17 및 18에 도시된 상태에서 패드부(P1, P2, P3, P4)에 외장 드라이버가 장착되거나 커낵터(C)가 연결되면, 사용자가 인식하는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의 폭(W7)이 증가한다. Since an external driver must be mounted on the pad parts P1, P2, P3, and P4, or the connector C must be connected, if the pad parts P1, P2, P3, and P4 are connected to the pad parts P1, P2, P3, and P4 in the state shown in FIGS. When the external driver is mounted or the connector C is connected, the width W7 of the non-display areas N1 , N2 , N3 , and N4 recognized by the user increases.

그러나 본 변형예와 같이 비표시 영역(N1, N2, N3, N4)에서 패드부(P1, P2, P3, P4)가 배치된 영역(N12, 32, )을 가요성 표시 패널(300-1)의 내측으로 한번 더 접게 되면, 외장 드라이버나 커낵터(C)는 가요성 표시 패널(300-1)에 내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인식하는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의 폭(W7)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However, as in the present modified example, in the non-display areas N1, N2, N3, and N4, the areas N12, 32, in which the pad parts P1, P2, P3, and P4 are disposed are replaced by the flexible display panel 300-1. When folded once more, the external driver or connector C is positioned inside the flexible display panel 300 - 1 , so that It does not affect the width W7.

한편, 위 실시예에서는 접히는 비표시 영역(N12, 32)에 패드부(P1, P2, P3, P4)가 위치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접히는 비표시 영역(N12, 32)에는 전술한 각종 회로부와 배선 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ase in which the pad parts P1 , P2 , P3 , and P4 are positioned in the non-display areas N12 and 32 to be folded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above-described various circuit units and wirings may be disposed in the folded non-display areas N12 and 32 .

도 2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일체형 가요성 표시 패널(400)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터치패널 일체형 가요성 표시 패널(400)의 비표시 영역(N1, N3)이 접히기 전의 터치패널 일체형 가요성 표시 패널(400-B)의 대한 단면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분리 사시도이다. 2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uch panel integrated flexible display panel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3 is a non-display area N1 of the touch panel integrated flexible display panel 400 of FIG. 22 .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uch panel integrated flexible display panel 400 -B before N3) is folded, and FIG. 2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3 .

이하, 전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differences from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도 2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일체형 가요성 표시 패널(40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100)에 터치 패널(140)이 더 부착된 것이다.Referring to FIG. 22 , the touch panel-integrated flexible display panel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touch panel 140 further attached to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터치패널(140)은 터치 영역(T)과 터치 영역(T) 외곽에 배치된 배선 영역(T1, T2, T3, T4)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140)은 정전용량방식, 저항방식 등 다양한 방식의 터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23 and 24 , The touch panel 140 includes a touch area T and wiring areas T1 , T2 , T3 , and T4 disposed outside the touch area T . The touch panel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pplied with various types of touch methods, such as a capacitive type and a resistive type.

비표시 영역이 접히기 전의 가요성 표시 패널(100-B)은 표시 영역(D)과 표시 영역(D)외곽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N1, N2, N3, N4)를 구비한다.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B before the non-display area is folded includes a display area D and non-display areas N1 , N2 , N3 , and N4 disposed outside the display area D .

터치 패널(140)의 터치 영역(T)과 가요성 표시 패널(100-B)의 표시 영역(D)이 서로 대응되도록 얼라인하여 터치 패널(140)과 가요성 표시 패널(100-B)이 결합된다.The touch panel 140 and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B are combined by aligning the touch area T of the touch panel 140 and the display area D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B to correspond to each other. do.

터치 패널(140)이 결합된 가요성 표시 패널(100-B)은, 표시 영역(D)의 좌우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N1, N3)을 표시 영역(D)이 사용자에게 표시 되는 방향(z)과 반대 방향(-z)으로 접힌다. 그 결과, 도 2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일체형 가요성 표시 패널(400)이 형성된다.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B to which the touch panel 140 is coupled shows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display area 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play area D is displayed to the user. z) 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z). As a result, the touch panel-integrated flexible display panel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2 is formed.

비표시 영역(N1, N3) 및 터치 패널(140)의 배선 영역(T1, T2, T3, T4)이 표시 영역(D)이 향하는 방향(z)과 반대 방향(-z)으로 접혀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표시 영역(D)의 정면(z)에서 터치패널 일체형 가요성 표시 패널(400)을 바라볼 때, 사용자에게는 비표시 영역(N1, N3)의 접혀 있는 폭(W8)이 표시 영역(D)의 좌우를 둘러싸는 경계(border)로 인식된다. Since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and the wiring areas T1, T2, T3, and T4 of the touch panel 140 are folded in a direction (z) opposite to the direction (z) to which the display area D faces (-z), When the user looks at the touch panel integrated flexible display panel 400 from the front z of the display area D, the user sees the folded width W8 of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in the display area D ) is recognized as a border surrounding the left and right sides.

전술한 바와 같이, 비표시 영역(N1, N3)이 접히기 전의 원래 폭(W0)에 비하여 접힌 상태의 폭(W8)이 훨씬 줄어들기 때문에, 사용자에게는 비표시 영역(N1, N3)에 의한 표시 영역(D)의 경계가 훨씬 감소된 것으로 인식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idth W8 of the folded state is much smaller than the original width W 0 of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before being folded, the It is recognized that the boundary of the display area D is much reduced.

상술한 도면들에는 가요성 표시 패널(100-B)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100-B)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가요성 표시 패널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above-described drawings show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B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B,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flexible display panels according to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도 25 내지 27은 가요성 표시 패널(100)이 다양한 지지 수단에 결합된 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편의상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100)을 예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터치패널 일체형 가요성 표시 패널(400)에도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25 to 27 illustrate examples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is coupled to various supporting means. For convenience,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above-described touch panel integrated flexible display panel 400 may be equally applied.

도 25를 참조하면, 비표시 영역이 접힌 가요성 표시 패널(100)은 투명 보호창(150)에 의해 보호되고 지지된다. Referring to FIG. 25 ,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in which the non-display area is folded is protected and supported by the transparent protection window 150 .

투명 보호창(150)은 가요성 패시 패널(100)의 화상이 구현되는 측 상면에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접힌 형상에 대응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즉, 투명 보호창(150)은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표시 영역(D)과 비표시 영역(N)의 접힌 형상에 대응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투명 보호창(150)은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표시 화면이 잘 투과될 수 있을 정도의 투과율을 가지며,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휨 복원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것이면 충분하다. 따라서, 투명 보호창(150)은 가요성 표시 패널(100)을 외부의 충격이나 스크래치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형상을 유지하는 지지 수단으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가요성 표시 패널(100)과 투명 보호창(150) 사이에 점착제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The transparent protective window 150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on which the image of the flexible passable panel 100 is realized to correspond to the folded shap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 That is, the transparent protective window 150 may be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folded shape of the display area D and the non-display area N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 The transparent protective window 150 has a transmittance sufficient to allow the display screen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to be transmitted well, and has a strength sufficient to prevent deformation due to the bending restoring forc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 It is sufficient to have Accordingly, the transparent protective window 150 not only serves to protect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from external shocks or scratches, but also functions as a support means for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 .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n adhesive or the like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and the transparent protective window 150 .

한편, 도 25는 가요성 표시 패널(100)에 투명 보호창(150)이 직접 배치된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터치패널 일체형 가요성 표시 패널(4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때, 투명 보호창(150)은 가요성 표시 패널 및/또는 가요성 터치 패널의 접힌 형상에 대응되도록 결합 될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FIG. 25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transparent protective window 150 is directly disposed on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ame applies to the above-described touch panel integrated flexible display panel 400 . can be applied In this case, the transparent protective window 150 may be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folded shap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and/or the flexible touch panel.

도 26을 참조하면, 비표시 영역이 접힌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내면에서 지지부재(160)가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지지부재(160)는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휨 복원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것이면 충분하다. 한편, 상기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가요성 표시 패널(100)과 지지부재(160) 사이에 점착제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6 , the support member 160 is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in which the non-display area is folded. It is sufficient if the support member 160 has enough strength to prevent deformation due to the bending restoring forc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n adhesive or the like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and the support member 160 .

도 27을 참조하면, 비표시 영역이 접힌 가요성 표시 패널(100)은 곡면이 아닌 평판형 투명 보호창(170)에 지지된다.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접힌 부분은 측면에서 이를 지지하는 베젤이나 프레임(18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가요성 표시 패널(100)과 투명 보호창(170) 및 베젤이나 프레임(180) 사이에 점착제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7 ,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in which the non-display area is folded is supported by the flat transparent protective window 170 instead of the curved surface. The folde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may be supported by a bezel or a frame 180 supporting it from the side. Of cour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n adhesive or the like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 the transparent protective window 170 , and the bezel or frame 180 .

상술한 지지수단들은 비표시 영역이 접힌 가요성 표시 패널의 접힌 형상을 지지하기 위한 일부 예시일 뿐이며, 통상의 기술적 지식에 의하여 다양한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above-described support means are only some examples for supporting the folded shap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in which the non-display area is folded, and various applications are possible according to ordinary technical knowledge.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지지 수단들에 의해 접힌 형상이 유지되는 가요성 표시 패널은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PDA, 스마트 기기 등 다양한 표시 장치에 통합될 수 있다. 그리하여 표시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비표시 영역이 확연히 줄어, 타 표시 장치에 비하여 확대된 영상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lexible display panel in which the folded shape is maintained by various supporting means may be integrated into various display devices such as a television, a computer monitor, a PDA, and a smart device. Accordingly, a non-display area recognized by a user using a display device is significantly reduced, and an enlarged image screen can be provided compared to other display devices.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상 확대 또는 축소되어 표시될 수 있으므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크기나 형상에 본 발명이 구속되는 것은 아니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Since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nlarg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ize or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will be understood from this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가요성 표시 패널 111: 가요성 기판
112: 베리어막 113: 봉지부재
114: 제1 보호필름 115: 제2 보호필름
120: 유기 발광 소자 131: 전극전원공급라인
133: 주사 회로부 135: 데이터 회로부
137: 구동전원 배선부 132, 134, 136, 138: 단자부
D: 표시 영역 N1, N2, N3, N4: 비표시 영역
RB: 경계 영역 P: 패드부
RⅠ: 제1영역 RⅡ: 제2영역
100: flexible display panel 111: flexible substrate
112: barrier film 113: encapsulation member
114: first protective film 115: second protective film
120: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31: electrode power supply line
133: scan circuit unit 135: data circuit unit
137: driving power wiring part 132, 134, 136, 138: terminal part
D: Display area N1, N2, N3, N4: Non-display area
RB: boundary area P: pad part
RI: first region RⅡ: second region

Claims (23)

제1 보호필름;
상기 제1 보호필름 상에 배치된 기판;
상기 기판의 제1 면에 배치된 표시 영역과 제1 비표시 영역;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면에 대해 접힌 제2 면에 배치된 제2 비표시 영역;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비표시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이미지를 표시하는 경계 영역;
상기 표시 영역, 상기 경계 영역, 및 상기 제2 비표시 영역 상에 배치되고, 무기막, 유기막, 및 무기막의 순서로 적층된 봉지 부재;
상기 봉지 부재 상에 배치되고, 터치 영역과 상기 터치 영역의 외곽 배선 영역에 배치된 터치 배선들; 및
상기 터치 영역과 상기 터치 배선들 상에 배치된 제2 보호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필름의 단부는 상기 제2 보호필름의 단부와 이격되고,
상기 터치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경계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터치 배선들은 상기 제1 비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비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위에 배치된, 표시 장치.
a first protective film;
a substrate disposed on the first protective film;
a display area and a first non-display area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a second non-display area disposed on a second surface of the substrate that is fol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a boundary area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area and the second non-display area and extending from the display area to display an image;
an encapsulation member disposed on the display area, the boundary area, and the second non-display area and stacked in this order of an inorganic layer, an organic layer, and an inorganic layer;
touch wires disposed on the encapsulation member and disposed in a touch area and an outer wiring area of the touch area; and
a second protective film disposed on the touch area and the touch wires;
The end of the first protective film is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second protective film,
the touch area is disposed on the display area and the boundary area;
The touch wires ar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non-display area and the second non-display are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의 양측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oundary area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display area.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영역은 서로 대향하는, 표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boundary regions face each oth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영역 상에 배치된 상기 터치 영역은 일정한 곡률을 갖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ouch area disposed on the boundary area has a constant curvatur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필름과 상기 제2 보호필름은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된,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irst protective film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are dispos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표시 영역 상에 배치된 패드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a pad part disposed on the second non-display area.
제1 보호필름;
상기 제1 보호필름 상에 배치된 기판;
상기 기판의 제1 면에 배치된 표시 영역;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면에 대해 접힌 제2 면에 배치된 제1 비표시 영역;
상기 제1 비표시 영역에 인접하고,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면에 대해 접힌 제3 면에 배치된 제2 비표시 영역;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제1 비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제 2 비표시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이미지를 표시하는 경계 영역;
상기 표시 영역 상에 배치되고, 무기막, 유기막, 및 무기막의 순서로 적층된 봉지 부재; 및
상기 봉지 부재 상에 배치된 제2 보호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필름의 단부는 상기 제2 보호필름의 단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1 및 제2 비표시 영역의 모서리는 절단된, 표시 장치.
a first protective film;
a substrate disposed on the first protective film;
a display area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a first non-display area disposed on a second surface of the substrate that is fol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a second non-display area adjacent to the first non-display area and disposed on a third surface of the substrate that is fol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a boundary area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area and the first non-display area and between the display area and the second non-display area and extending from the display area to display an image;
an encapsulation member disposed on the display area and stacked in this order of an inorganic layer, an organic layer, and an inorganic layer; and
a second protective film disposed on the encapsulation member;
The end of the first protective film is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second protective film,
and edges of the first and second non-display areas are cut off.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표시 영역 또는 상기 비표시 영역의 일부는 상기 표시 영역과 대향하도록 접힌, 표시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non-display area or a portion of the non-display area is folded to face the display area.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표시 영역 또는 상기 비표시 영역의 일부는 패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non-display area or a portion of the non-display area includes a pad part.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부재 상에 배치된, 터치 영역과 상기 터치 영역의 외곽 배선 영역에 배치된 터치 배선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경계 영역 상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 배선들은 상기 제1 비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비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위에 배치된, 표시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method further includes touch wires disposed on the encapsulation member and disposed in a touch area and an outer wiring area of the touch area,
the touch area is located on the display area and the boundary area;
The touch wires ar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non-display area and the second non-display area.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표시 영역과 상기 제2 비표시 영역에 배치된 전극전원공급라인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n electrode power supply line disposed in the first non-display area and the second non-display area.
제1 보호필름;
상기 제1 보호필름 상에 배치된 기판;
상기 기판의 제1 면에 배치된 표시 영역;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면에 대해 접힌 제2 면에 배치된 제1 비표시 영역;
상기 기판의 상기 제2 면에 대해 접힌 제3 면에 배치된 제2 비표시 영역;
상기 표시 영역 상에 배치되고, 무기막, 유기막, 및 무기막의 순서로 적층된 봉지 부재;
상기 봉지 부재 상에 배치되고, 터치 영역과 상기 터치 영역의 외곽 배선 영역에 배치된 터치 배선들; 및
상기 봉지 부재 상에 배치된 제2 보호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필름의 단부는 상기 제2 보호필름의 단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2 비표시 영역의 일부는 상기 표시 영역에 대향하도록 접히고,
상기 터치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터치 배선들은 상기 제1 비표시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비표시 영역의 일부는 패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 first protective film;
a substrate disposed on the first protective film;
a display area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a first non-display area disposed on a second surface of the substrate that is fol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a second non-display area disposed on a third surface of the substrate that is fold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rface;
an encapsulation member disposed on the display area and stacked in this order of an inorganic layer, an organic layer, and an inorganic layer;
touch wires disposed on the encapsulation member and disposed in a touch area and an outer wiring area of the touch area; and
a second protective film disposed on the encapsulation member;
The end of the first protective film is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second protective film,
a portion of the second non-display area is folded to face the display area;
the touch area is disposed on the display area;
the touch wires are disposed on the first non-display area;
A portion of the second non-display area includes a pad part.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필름과 상기 제2 보호필름은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된, 표시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first protective film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are dispos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호필름은 편광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econd protective film includes a polarizing film.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배선들은 상기 터치 영역에 대해 접힌, 표시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touch wires are folded with respect to the touch area.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부재 상에 배치된 보호창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a protective window disposed on the encapsulation member.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창은 상기 편광필름 상에 위치하고, 상기 보호창의 상기 제1 비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부분은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부분에 대해 접힌, 표시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protective window is positioned on the polarizing film, and a portion of the protective window overlapping the first non-display area is folded with respect to a portion overlapping the display area.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창은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제1 및 제2 비표시 영역의 형상을 유지하는 지지부로 기능하는, 표시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protective window functions as a support for maintaining the shapes of the display area and the first and second non-display areas.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제1 면에 배치된 표시 영역과 제1 비표시 영역;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면에 대해 접힌 제2 면에 배치된 제2 비표시 영역;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비표시 영역 사이의 곡면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이미지를 표시하며 일정한 곡률을 갖는 경계 영역;
상기 제2 비표시 영역에 배치된 전극전원공급라인; 및
상기 표시 영역 상에 배치되고, 무기막, 유기막, 및 무기막의 순서로 적층된 봉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경계 영역은, 화소 전극, 유기 발광층, 및 대향 전극이 상기 기판에서 순차로 적층된, 적어도 하나의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전원공급라인은 상기 대향 전극에 전원을 공급하는, 표시 장치.
a substrate comprising a plastic material;
a display area and a first non-display area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a second non-display area disposed on a second surface of the substrate that is fol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a boundary area disposed on a curved surface between the display area and the second non-display area and extending from the display area to display an image and having a constant curvature;
an electrode power supply line disposed in the second non-display area; and
an encapsulation member disposed on the display area and stacked in this order of an inorganic layer, an organic layer, and an inorganic layer;
the display area and the boundary area include at least on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 which a pixel electrode,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counter electrode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substrate;
The electrode power supply line supplies power to the opposite electrode.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하부에 배치된 제1 보호필름; 및
상기 봉지 부재 상에 배치된 제2 보호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필름의 단부는 상기 제2 보호필름의 단부와 이격된, 표시 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a first protective film disposed under the substrate; and
A second protective film disposed on the encapsulation member; further comprising,
and an end of the first protective film is spaced apart from an end of the second protective film.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제1 면에 배치된 표시 영역과 제1 비표시 영역;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면에 대해 접힌 제2 면에 배치된 제2 비표시 영역;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비표시 영역 사이의 곡면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이미지를 표시하는 경계 영역;
상기 표시 영역 상에 배치되고, 무기막, 유기막, 및 무기막의 순서로 적층된 봉지 부재; 및
상기 봉지 부재 상에 배치된 보호창;을 포함하고,
상기 경계 영역은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면 형상이고,
상기 보호창은 상기 봉지 부재에 부착되며, 상기 표시 영역, 상기 경계 영역, 상기 제1 및 제2 비표시 영역의 형상을 유지하는, 표시 장치.
a substrate comprising a plastic material;
a display area and a first non-display area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a second non-display area disposed on a second surface of the substrate that is fol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a boundary area disposed on a curved surface between the display area and the second non-display area and extending from the display area to display an image;
an encapsulation member disposed on the display area and stacked in this order of an inorganic layer, an organic layer, and an inorganic layer; and
a protective window disposed on the encapsulation member; and
The boundary region has a curved shape having a constant curvature,
The protective window is attached to the encapsulation member and maintains shapes of the display area, the boundary area, and the first and second non-display areas.
삭제delete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하부에 배치된 제1 보호필름; 및
상기 봉지 부재 상에 배치된 제2 보호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필름의 단부는 상기 제2 보호필름의 단부와 이격된, 표시 장치.
22. The method of claim 21,
a first protective film disposed under the substrate; and
A second protective film disposed on the encapsulation member; further comprising,
and an end of the first protective film is spaced apart from an end of the second protective film.
KR1020210058770A 2020-06-08 2021-05-06 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KR1023600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770A KR102360095B1 (en) 2020-06-08 2021-05-06 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095A KR102252342B1 (en) 2018-12-28 2020-06-08 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KR1020210058770A KR102360095B1 (en) 2020-06-08 2021-05-06 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095A Division KR102252342B1 (en) 2018-12-28 2020-06-08 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299A KR20210056299A (en) 2021-05-18
KR102360095B1 true KR102360095B1 (en) 2022-02-09

Family

ID=76158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770A KR102360095B1 (en) 2020-06-08 2021-05-06 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09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47059A1 (en) * 2002-11-21 2004-06-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lexible display
US20110007042A1 (en) * 2009-07-07 2011-01-1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US20110050657A1 (en) 2009-08-25 2011-03-03 Seiko Epson Corporatio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1138748A (en) * 2010-01-04 2011-07-14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47059A1 (en) * 2002-11-21 2004-06-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lexible display
US20110007042A1 (en) * 2009-07-07 2011-01-1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US20110050657A1 (en) 2009-08-25 2011-03-03 Seiko Epson Corporatio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1138748A (en) * 2010-01-04 2011-07-14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299A (en) 202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3210B2 (en) Flexible display panel having bent non-display regions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US11696377B2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482629B1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KR101320385B1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KR101320384B1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KR101810049B1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KR102124041B1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KR102360095B1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KR102252342B1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