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629B1 - 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 Google Patents

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2629B1
KR101482629B1 KR20120063871A KR20120063871A KR101482629B1 KR 101482629 B1 KR101482629 B1 KR 101482629B1 KR 20120063871 A KR20120063871 A KR 20120063871A KR 20120063871 A KR20120063871 A KR 20120063871A KR 101482629 B1 KR101482629 B1 KR 101482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display
display area
flexibl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638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04085A (en
Inventor
진동언
이우종
김양완
김영식
류준상
김상민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3/535,298 priority Critical patent/US10061356B2/en
Priority to JP2012145776A priority patent/JP6220499B2/en
Priority to EP22181833.9A priority patent/EP4089504A1/en
Priority to TW101123796A priority patent/TWI557960B/en
Priority to EP20120174497 priority patent/EP2541371A3/en
Priority to CN2012203197959U priority patent/CN202887620U/en
Priority to CN201210227989.0A priority patent/CN102855822B/en
Publication of KR20130004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0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629B1/en
Priority to US16/114,120 priority patent/US10496133B2/en
Priority to US16/701,110 priority patent/US11169570B2/en
Priority to US17/521,645 priority patent/US11803210B2/en
Priority to US18/498,022 priority patent/US2024006146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68Signs, boards or panels with tensioned or flexible display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가요성 기판; 상기 가요성 기판 상에 위치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제1 면에 배치된 제1 영역; 상기 가요성 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 영역 외곽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에 대하여 접힌 제2 면에 배치된 제2 영역; 적어도 상기 표시 영역을 봉지하는 가요성 봉지 부재;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터치 영역과 상기 비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배선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접힌 형상을 따라 접힌 가요성 터치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터치 패널 상에 위치하고, 상기 가요성 터치 패널의 접힌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접힌 형상이 유지되도록 강성을 가지는 투명 보호창;을 포함하고, 상기 비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면은 상기 표시 영역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는 가요성 표시 패널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A flexible substrate; A first region including a display region located on the flexible substrate and disposed on a first surface; A second region located on the flexible substrate and disposed on a second surface including a non-display region located outside the display region and folded against the first surface; A flexible sealing member which seals at least the display area; A flexible touch panel including a touch region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region and a wiring region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non-display region, the flexible touch panel folded along the folded shape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nd a transparent protective window positioned on the flexible touch panel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olded shape of the flexible touch panel and having rigidity such that the folded shape is maintained, And a flexible display panel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display area.

Description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display panel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본 발명은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display panel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표시 장치란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표시 장치는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PDA, 및 최근 폭발적으로 수요가 증가한 스마트 기기 등을 포함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The display device means a device for displaying a video signal. Such a display device is a concept that includes all devices that display video signals input from the outside, including televisions, computer monitors, PDAs, and smart devices that have recently increased in explosion demand.

상기 표시 장치에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과 같은 고화질의 평판형 표시 모듈이 사용되고 있다. A high-definition flat panel display module such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 plasma display panel, or the like is used for the display device.

상기 평판형 표시 모듈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에 영상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각종 회로와 배선을 포함하는 비표시 영역이, 표시 영역의 외곽에 비표시 영역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The flat panel display module includes a display area for displaying an image, a non-display area including various circuits and wiring for supplying a video signal to the display area, arranged on the same plane as the non- do.

최근, 표시 장치에 대한 고화질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요구가 증대되면서, 평판형 표시 모듈의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회로 및 배선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비표시 영역의 면적이 증가하여 사용자가 인식하는 표시 영역의 비율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5910호 (2011.05.04)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circuits and wirings disposed in a non-display area of a flat panel display module has increased as the demand for high image quality and various applications for a display device has increased. As a result, the area of the non-display area increases and the ratio of the display area recognized by the user decreases.
Prior Art Document: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1-0045910 (May 04, 20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 및 그 밖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비표시 영역을 현저히 줄인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exible display panel in which a non-display area recognized by a user is significantly reduced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가요성 기판; 상기 가요성 기판 상에 위치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제1 면에 배치된 제1 영역; 상기 가요성 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 영역 외곽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에 대하여 접힌 제2 면에 배치된 제2 영역; 적어도 상기 표시 영역을 봉지하는 가요성 봉지 부재;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터치 영역과 상기 비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배선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접힌 형상을 따라 접힌 가요성 터치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터치 패널 상에 위치하고, 상기 가요성 터치 패널의 접힌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접힌 형상이 유지되도록 강성을 가지는 투명 보호창;을 포함하고, 상기 비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면은 상기 표시 영역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는 가요성 표시 패널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A flexible substrate; A first region including a display region located on the flexible substrate and disposed on a first surface; A second region located on the flexible substrate and disposed on a second surface including a non-display region located outside the display region and folded against the first surface; A flexible sealing member which seals at least the display area; A flexible touch panel including a touch region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region and a wiring region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non-display region, the flexible touch panel folded along the folded shape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nd a transparent protective window positioned on the flexible touch panel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olded shape of the flexible touch panel and having rigidity such that the folded shape is maintained, And a flexible display panel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display area.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면이 향하는 제1 방향에서 보이고,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제1 방향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The display region may be seen in a first direction toward the first surface, and the non-display region may be invisible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이 접힌 경우, 상기 제1 면이 향하는 제1 방향에서 보이는 표시 영역에 대한 비표시 영역의 면적비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이 접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면이 향하는 상기 제1 방향에서 보이는 표시 영역에 대한 비표시 영역의 면적비보다 작을 수 있다. Wherein when the flexible display panel is folded, the area ratio of the non-display area with respect to the display area viewed in the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urface faces is smaller than the area ratio of the non- The area ratio of the non-display area with respect to the display area viewed in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area.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미리 결정된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이 형성된 경계 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A boundary region in which a curv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is formed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상기 미리 결정된 곡률 반경은 일정한 값을 가질수 있다. The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may have a constant value.

상기 곡률 반경은 0.01mm 이상 10mm 이하일 수 있다. The radius of curvature may be 0.01 mm or more and 10 mm or less.

상기 곡률 반경은 0.01mm 이상 1mm 이하일 수 있다. The radius of curvature may be 0.01 mm or more and 1 mm or less.

상기 경계 영역의 곡면은 아크(arc) 형상일 수 있다. The curved surface of the boundary region may be arc-shaped.

상기 경계 영역에, 상기 제1 영역 상의 표시 영역이 연장되어 위치할 수 있다. The display area on the first area may be extended and positioned in the boundary area.

상기 경계 영역에, 상기 제2 영역 상의 비표시 영역이 연장되어 위치할 수 있다. And the non-display region on the second region may be extended and positioned in the boundary region.

상기 경계 영역에, 상기 제1 영역 상의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상의 비표시 영역이 각각 연장되어 위치할 수 있다. The display region on the first region and the non-display region on the second region may be respectively extended and positioned in the boundary region.

상기 제1 영역은 평면을 유지할 수 있다. The first region may be planar.

상기 제2 영역은 평면을 유지할 수 있다. The second region may be planar.

상기 제2 영역의 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영역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3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 third region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second region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region.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3 영역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non-display area may extend from the second area to the third area.

상기 제3 영역에 패드부가 위치할 수 있다. The pad portion may be located in the third region.

상기 가요성 기판과,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베리어막이 더 포함될 수 있다. The flexible substrate may further include a barrier film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상기 가요성 기판의 일측에 배치된 제1 보호필름 및 상기 가요성 봉지 부재의 일측에 배치된 제2 보호필름이 더 부착될 수 있다. A first protective film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lexible substrate, and a second protective film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lexible sealing member.

상기 제1 보호필름 및 상기 제2 보호필름은,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비표시 영역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protective film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may be arranged to cover the display area and the non-display area.

상기 제1 보호필름 및 상기 제2 보호필름은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protective film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may be arranged symmetrically.

상기 제1 보호필름 및 상기 제2 보호필름 중 적어도 하나는 편광필름일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protective film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may be a polarizing film.

상기 제1 보호필름은 상기 가요성 기판의 단부를 커버하고, 상기 제2 보호필름은 상기 가요성 봉지 부재의 단부를 커버할 수 있다. The first protective film covers an end portion of the flexible substrate,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covers an end portion of the flexible sealing member.

상기 가요성 봉지 부재는 무기 절연막 및 유기 절연막 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lexible sealing memb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norganic insulating film and an organic insulating film.

상기 가요성 터치 패널은, 상기 가요성 기판 및 상기 가요성 봉지 부재 중, 상기 표시 영역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적어도 어느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The flexible touch panel may be located at least one of the flexible substrate and the flexible sealing member, at which an image of the display region is display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provided.

첫째, 비표시 영역을 표시 영역과 반대 방향으로 벤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비표시 영역의 경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First, by bending the non-display area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splay area, the boundary of the non-display area recognized by the user can be remarkably reduced.

둘째, 가요성 표시 패널의 상하부에 금속층이 형성된 영역을 모두 커버하는 보호필름을 배치함으로써, 벤딩 시 휨 스트레스에 의한 배선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Second, by disposing a protective film covering all the regions where the metal layer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iring from being cracked due to bending stress during bending.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의 비교예에 따른 평판 표시 패널(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비표시 영역이 접히기 전 가요성 표시 패널(100-B)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5의 표시 영역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의 비교예에 따른 평판 표시 패널의 벤딩전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의 접힌 부분의 내측 곡률 반경과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비표시 영역의 폭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경계 영역(B)의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2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는 도 12의 ⅩⅢ-ⅩⅢ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비표시 영역이 접히기 전 상태의 가요성 표시 패널(200-B)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도 15는 도 12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200-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는 도 14의 ⅩⅥ-ⅩⅥ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3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ⅩⅧ-ⅩⅧ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비표시 영역이 접히기 전 상태의 가요성 표시 패널(300-B)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7의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300-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ⅩⅩⅠ-ⅩⅩⅠ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일체형 가요성 표시 패널(400)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터치패널 일체형 가요성 표시 패널(400)의 비표시 영역이 접히기 전의 터치패널 일체형 가요성 표시 패널(400-B)의 대한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5 내지 27은 가요성 표시 패널이 지지 수단에 결합된 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exible display panel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i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at panel display panel 10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in FIG.
Fig. 5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B before the non-display area of Fig. 1 is folded.
Figure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5;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region of 5;
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before and after bending of the flat panel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9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ner radius of curvature of the folded part of the display area and the non-display area and the width of the non-display area recognized by the user.
10 and 11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examples of the boundary region (B).
1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exible display panel 2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II-XIII in Fig.
1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200-B in a state before the non-display area of Fig. 12 is folded. Fig. 15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exible display panel 200-B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ex display panel 200-1.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VI-XVI in Fig. 14.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exible display panel 3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VIII-XVIII in Fig.
Fig. 19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300-B in the state before the non-display area of Fig. 17 is folded.
2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exible display panel 300-1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2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XXI-XXI of Fig.
22 is a sectional view of a touch panel integrated type flexible display panel 400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sectional view of the touch panel integrated type flexible display panel 400-B before the non-display area of the touch panel integrated flexible display panel 400 of Fig. 22 is folded.
Fig. 2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3. Fig.
25 to 27 are 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examples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panel is coupled to the support means.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exible display panel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in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가요성 표시 패널(100)은 제1 면(x-y면)에 배치된 표시 영역(D)과, 상기 제1 면(x-y)에 대하여 접힌 제2 면(y-z면)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영역(D) 외곽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을 구비한다. 비표시 영역(N1, N2, N3, N4) 중 표시 영역(D)에 대하여 좌우로 서로 마주보는 비표시 영역(N1, N3)이 표시 영역(D)이 향하는 방향(z)과 반대 방향(-z)을 향하도록 접혀있다. 1 and 2,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includes a display area D disposed on a first surface (xy plane), a second surface fol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plane (xy) And non-display areas N1, N2, N3, and N4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display area D.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fac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display area D among the non-display areas N1, N2, N3 and N4 are arrang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z in which the display area D faces, z).

비표시 영역(N1, N3)이 표시 영역(D)이 향하는 방향(z)과 반대 방향(-z)으로 접혀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표시 영역(D)의 정면(z)에서 가요성 표시 패널(100)을 바라볼 때, 사용자에게는 비표시 영역(N1, N3)의 접혀 있는 폭(W1)이 표시 영역(D)의 좌우를 둘러싸는 경계(border)로 인식된다. Since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are folded in the direction z opposite to the direction z of the display area D, The folded width W 1 of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is recognized as a border surround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play area D to the user.

도 2를 참조하면, 비표시 영역(N1, N3)이 접히기 전의 원래 폭(W0)에 비하여 접힌 상태의 폭(W1)이 훨씬 줄어들기 때문에, 사용자에게는 비표시 영역(N1, N3)에 의한 표시 영역(D)의 경계가 훨씬 감소된 것으로 인식된다. 만약, 비표시 영역(N1, N3)을 접기 전과 접은 후의 표시 영역(D)의 면적이 그대로라면,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표시 영역(D)에 대한 비표시 영역(N1, N3)의 면적비가 줄어들어, 상대적으로 표시 영역(D)이 확대된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 한편, 줄어든 비표시 영역(N1, N3)의 폭(W0-W1)만큼 표시 영역(D)의 폭을 확대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100)이 동일 규격의 표시 장치에 적용된다면, 타 표시 패널에 비하여 확대된 영상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2, since the width W 1 in the folded state is much smaller than the original width W 0 before the non-display areas N 1 and N 3 are folded, the non-display areas N 1 and N 3 are provided to the user, It is recognized that the boundary of the display region D by the light-shielding portion D is much reduced. If the area of the display area D before and after folding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is the same, the area ratio of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with respect to the display area D recognized by the user is reduced, The same effect as that of enlarging the display area D can be obtained. On the other hand, reduced non-display area of width (N1, N3) (W 0 -W 1) it is possible to enlarge the width of the display region (D) as much, is not in accordance with this embodiment-type display panel 100 are the same size It is possible to realize an enlarged image screen in comparison with other display panels.

한편, 비표시 영역(N1, N3)의 접힌 폭(W1)은 표시 영역(D)과 비표시 영역(N1, N3)의 접힌 부분의 내측 곡률 반경(R)과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두께(T)의 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표시 영역(D)과 비표시 영역(N1, N3)의 접힌 부분의 내측 곡률 반경(R)과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두께(T)는 상당히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는 비표시 영역(N1, N3)에 의한 표시 영역(D)의 경계가 거의 없는(borderless)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olded width of the non-display area (N1, N3) (W 1) is the display area (D) and the non-display area (N1, N3), the inner radius of curvature (R) and the flexible display panel of the folds of the 100 Of the thickness T of the substrate W. The inner radius of curvature R of the folded portion of the display area D and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and the thickness T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border of the display area D by the areas N1 and N3 is almost borderless.

도 3은 제1 실시예의 비교예로서,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을 접지 않은 평판 표시 패널(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at panel display panel 10 in which non-display areas N1, N2, N3 and N4 are not grounded,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 FIG.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을 접지 않은 평판 표시 패널(10)은 표시 영역(D)과, 상기 표시 영역(D) 외곽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을 구비한다. 3 and 4, the flat panel display panel 10 in which the non-display areas N1, N2, N3 and N4 are not grounded includes a display area D and a non-display area D disposed outside the display area D Regions N1, N2, N3, and N4.

비표시 영역(N1, N3)이 접혀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표시 영역(D)의 정면(z)에서 평판 표시 패널(10)을 바라볼 때, 사용자에게는 비표시 영역(N1, N3) 원래의 폭(W0)이 표시 영역(D)의 좌우를 둘러싸는 경계(border)로 인식된다. 따라서,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100)에 비하여 비표시 영역(N1, N2)에 의한 표시 영역(D)의 경계가 두껍게 인식된다.When the user looks at the flat panel display panel 10 at the front face z of the display area D because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are not folded, It is recognized as the width (W 0) border surrounding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display area (D) (border). Therefore, the boundary of the display area D by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2 is recognized to be thicker than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만약,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100)과 본 비교예의 평판 표시 패널(10)의 표시 영역(D) 및 비표시 영역(N1, N2, N2, N3)의 면적이 각각 동일하다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100)은 비교예의 평판 표시 패널(10)보다,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표시 영역(D)에 대한 비표시 영역(N1, N3)의 면적비가 줄어들어, 표시 화면이 확대된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If the display area D and the non-display areas N1, N2, N2, and N3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the flat panel display panel 10 of this comparative example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flat panel display panel 10 of the comparative example in that the non-display area N1 for the display area D recognized by the user, N3) is reduced, and the same effect as enlarging the display screen can be obtained.

한편, 비교예에 따른 평판 표시 패널(10)의 경우, 비표시 영역(N1, N3)의 면적을 줄이기 위해서는 비표시 영역(N1, N3)에 배치되는 각종 회로, 배선부의 수를 줄이거나 그 선폭을 줄여야 한다. 그러나, 표시 장치에 대한 고화질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회로나 배선부의 수를 줄이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선폭을 줄이는데 공정 상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100)은 비표시 영역(N1, N3)에 배치된 회로나 배선의 수를 줄이거나 선폭을 줄이지 않고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비표시 영역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flat panel display panel 10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in order to reduce the area of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the number of circuits and wiring parts arranged in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may be reduced, . However, there is a limit in reducing the number of circuits and wiring parts because of the increase in the demand for high image quality and various applications for the display device. There is also a process difficulty in reducing the line width. However,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reduce the number of circuits and wirings disposed in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and reduce the area of the non-display area recognized by the user without reducing the line width have.

도 5는 도 1의 비표시 영역(N1, N3)이 접히기 전 가요성 표시 패널(100-B)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7은 5의표시 영역(D)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비표시 영역(N1, N3)이 접히기 전 가요성 표시 패널(100-B)은 가요성 기판(111), 가요성 기판(111) 상에 배치된 베리어막(112), 베리어막(112) 상에 배치된 표시 영역(D) 및 비표시 영역(N1, N2, N3, N4), 가요성 봉지 부재(113), 가요성 기판(111)의 일측에 배치된 제1 보호필름(114), 및 상기 가요성 봉지 부재(113)의 일측에 배치된 제2 보호필름(115)을 구비한다. Fig. 5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B before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of Fig. 1 are folded, Fig. 6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of Fig. 5,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display area D of 5; 5 to 7, before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are folded,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B includes a flexible substrate 111, a barrier film (not shown) disposed on the flexible substrate 111 The display area D and the non-display areas N1, N2, N3 and N4 disposed on the barrier film 112; the flexible sealing member 113; A first protective film 114 and a second protective film 115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lexible sealing member 113.

가요성 기판(111)은 폴리에틸렌에테르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및 폴리이미드 등과 같이 내열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을 소재로 만들어 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요성 있는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The flexible substrate 111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durability such as polyethylene ether 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carbonate, polyarylate, polyetherimide, polyether sulfone, and polyimid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flexible materials can be used.

가요성 기판(111) 상에 베리어막(112)이 구비될 수 있다. 베리어막(112)은 무기막 및 유기막 중 하나 이상의 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리어막(112)은 불필요한 성분이 가요성 기판(111)을 투과해 표시 영역(D)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A barrier film 112 may be provided on the flexible substrate 111. The barrier film 112 may be formed of a film of at least one of an inorganic film and an organic film. The barrier film 112 prevents unnecessary components from penetrating the flexible substrate 111 and penetrating the display region D. [

베리어막(112) 상에 표시 영역(D) 및 상기 표시 영역(D) 외곽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이 구비될 수 있다. A display region D and non-display regions N1, N2, N3, and N4 located outside the display region D may be provided on the barrier film 112. [

표시 영역(D)은 영상 신호가 표시되는 영역으로서, 유기 발광 소자, 액정 표시 소자, 전기 영동 소자 등 다양한 표시 소자(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기 발광 소자(120)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표시 영역(D)에는 상기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커패시터(미도시) 등과 같은 다양한 소자가 더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region D is a region in which a video signal is displayed, and various display elements (not shown) such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nd an electrophoretic element can be dispo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2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addition, various elements such as a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a capacitor (not shown), and the like for driving the display element may be further disposed in the display region D.

표시 영역(D)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기 발광 소자(120)가 구비된다. 유기 발광 소자(120)는 화소 전극(121)과, 공통층인 대향 전극(123)과, 그 사이에 구비된 유기 발광층(122)을 포함한다. 화소 전극(121)은 가요성 기판(111) 상에 형성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FT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6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유기 발광 소자(120)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표시 영역(D)에서 광을 방출한다. At least on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20 is provided in the display area 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20 includes a pixel electrode 121, a common electrode 123 as a common layer,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22 interposed therebetween. The pixel electrode 12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FT1 formed on the flexible substrate 111. [ Although not shown in FIG. 6,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and a storage capacitor to emit light in the display region D.

유기 발광층(122)에서 방출되는 광은 가요성 기판(111) 측으로 방출되거나, 또는 가요성 봉지 부재(113) 측으로 방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요성 봉지 부재(113) 측으로 영상이 구현되는 전면 발광형 표시 소자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요성 기판(111) 측으로 영상이 구현되는 배면 발광형 표시 소자에도 적용될 수 있다. 배면 발광형의 경우, 비표시 영역(N1, N3)의 접는 방향을 영상이 구현되는 방향(-z)의 반대편, 즉 봉지 부재(113) 측(z)으로 접으면 된다.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22 may be emitted toward the flexible substrate 111 side or may be emitted toward the flexible sealing member 113 side. In this embodiment, a front emission type display device in which an image is implemented on the side of the flexible sealing member 113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a backlight display device in which an image is formed on the flexible substrate 111 side. In the case of the bottom emission type, the folding direction of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may be fold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direction (-z) in which the image is formed, that is, the side of the sealing member 113 (z).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은 표시 영역(D)에 위치하는 표시 소자에 영상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각종 회로부(미도시)와 배선(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 있다.The non-display areas N1, N2, N3, and N4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circuit parts (not shown) and wiring (not shown) for supplying a video signal to the display element located in the display area D.

도 5를 참조하면, 비표시 영역(N1, N2, N3, N4)에는 대향 전극(2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극전원공급라인(131) 및 그 단자부(132)가 배치되어 있다. 비표시 영역(N1, N2)에는 표시 영역(D)에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주사 회로부(133) 및 그 단자부(134)가 배치되어 있다. 비표시 영역(N2, N3)에는 표시 영역(D)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회로부(135) 및 그 단자부(136)가 배치되어 있다. 비표시 영역(N2)에는 표시 영역(D)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구동 전원 배선부(137) 및 그 단자부(138)가 배치되어 있다. 비표시 영역(N2)에는 상기 단자부(132, 134, 136, 138)들이 배치된 패드부(P)가 배치되어 있다. 5, an electrode power supply line 131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unter electrode 23 and its terminal portion 132 are disposed in the non-display regions N1, N2, N3, and N4. In the non-display regions N1 and N2, a scanning circuit portion 133 for transmitting a driving signal to the display region D and its terminal portion 134 are disposed. In the non-display regions N2 and N3, a data circuit portion 135 for transferring a data signal to the display region D and its terminal portion 136 are disposed. In the non-display region N2, a driving power supply wiring portion 137 and a terminal portion 138 for supplying driving power to the display region D are disposed. In the non-display region N2, a pad portion P in which the terminal portions 132, 134, 136, and 138 are disposed is disposed.

도 5에 도시된 각종 회로, 배선, 및 단자부들은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을 구성하는 일 예시를 도시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즉,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을 구성하는 각종 회로, 배선, 및 단자부들은 도 5에 도시된 구성과 다르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various circuits, wires, and terminal portions shown in Fig. 5 are merely an example of constituting the non-display areas N1, N2, N3, and N4. That i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various circuits, wires, and terminal portions constituting the non-display regions N1, N2, N3, and N4 may be different from those shown in FIG.

표시 영역(D) 및 비표시 영역(N1, N2, N3, N4) 상에 적어도 표시 영역(D)을 봉지하는 가요성 봉지 부재(113)가 구비될 수 있다. 봉지 부재(113)는 봉지 박막으로 구비될 수 있다. 봉지 박막은 복수의 무기 절연막들, 또는 무기 절연막과 유기 절연막이 혼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A flexible sealing member 113 for sealing at least the display region D may be provided on the display region D and the non-display regions N1, N2, N3 and N4. The sealing member 113 may be provided as a sealing thin film. The encapsulation thin film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inorganic insulating films or a structure in which an inorganic insulating film and an organic insulating film are mixed.

가요성 기판(111)의 일측에는 각각 제1 보호필름(114)이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가요성 기판(111)과 제1 보호필름(114) 사이에는 점착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가요성 봉지 부재(113)의 일측에는 제2 보호필름(115)이 배치될 수 있다. 가요성 봉지 부재(113)와 제2 보호필름(115) 사이에는 점착제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protective film 114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lexible substrate 111, respective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lexible substrate 111 and the first protective film 114. The second protective film 115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lexible sealing member 113.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lexible sealing member 113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115.

제1 보호필름(114)과 제2 보호필름(115)은 서로 동일한 물성(物性)을 가지며,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기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 보호필름(114) 및 제2 보호필름(115)은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rotective film 114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115 have the same physical properties and can improve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The first protective film 114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115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flexible property.

또한, 제1 보호필름(114)과 제2 보호필름(115) 중 적어도 하나는 편광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편광 기능을 갖는 보호필름의 배치는 유기 발광 소자(120)가 빛을 방출하는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 발광 소자(120)가 전면 발광, 즉 제2 보호필름(115) 방향으로 빛을 방출하여 화상을 표시한다면, 제2 보호 필름(115)이 편광 기능을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유기 발광 소자(120)가 배면 발광, 즉 제1 보호 필름(114) 방향으로 빛을 방출하여 화상을 표시한다면, 제1 보호 필름(114)이 편광 기능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유기 발광 소자(120)가 양면 발광한다면 제1 보호 필름(114)과 제2 보호 필름(115)이 모두 편광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protective film 114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115 may have a polarization function. Here, the arrangement of the protective film having the polarizing functio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20 emits light. For example, i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20 emits light in the direction of the entire surface, that i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protective film 115, the second protective film 115 is formed to have a polarizing function. On the other hand, i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20 emits light in the back light, that i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protective film 114, the first protective film 114 is formed to have a polarization function. In addition, i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20 emits light on both sides, the first protective film 114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115 may have a polarization function.

도 8은 제1 실시예의 비교예에 따른 평판 표시 패널(20)의 벤딩(bending) 전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before and after bending the flat panel display panel 20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제2 보호필름(115)이 편광 기능을 가질 경우, 종래에는, 도 8과 같이, 제1 보호필름(114)은 가요성 기판(111)을 완전히 커버하도록 배치된 반면, 제2 보호필름(115)은 표시 영역(D) 정도만 완전히 커버하도록 배치되었다. When the second protective film 115 has a polarization function, conventionally, as shown in FIG. 8, the first protective film 114 is arranged to completely cover the flexible substrate 111, while the second protective film 115 ) Are arranged so as to completely cover only the display area (D).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가요성 표시 패널(20)을 벤딩하게 되면, 비표시 영역(N1, N3)은 제2 보호필름(115)이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 사이에 벤딩 모멘트(bending moment)가 달라져서, 제2 보호필름(115)이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 사이의 비표시 영역(N1, N3)을 구성하는 각종 회로부 및 배선과 같은 금속층이 형성된 영역(C)에 크랙(crack)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크랙은 패널의 이상 점등을 유발하여 불량요인이 될 수 있다. In this state, when the flexible display panel 20 is bent, the bending moment of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varies between a portion having the second protective film 115 and a portion having no second protective film 115, A crack may be generated in a region C where a metal layer such as various circuit parts and wiring constituting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between the part having the second protective film 115 and the part not having the second protective film 115 is formed. Such a crack may cause abnormal lighting of the panel, which may cause a defect.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제1 보호필름(114) 및 제2 보호필름(115)은 가요성 표시 패널(100-B)의 표시 영역(D)뿐만 아니라 비표시 영역(N1, N3)까지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제1 보호필름(114) 및 제2 보호필름(115)은 바람직하게는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호필름(114)은 가요성 기판(111)의 양 단부를 커버하고, 제2 보호필름(115)은 가요성 봉지 부재(113)의 양 단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first protective film 114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115 are formed in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as well as the display area D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As shown in Fig. The first protective film 114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115 may preferably be disposed symmetrically. For example, the first protective film 114 covers both ends of the flexible substrate 111,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115 can be arranged to cover both ends of the flexible sealing member 113 .

위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표시 영역(D)과의 경계에서 접히는 비표시 영역(N1, N3)을 구성하는 각종 회로부 및 배선과 같은 금속층이 형성된 영역에 가해지는 벤딩 모멘트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금속층이 형성된 영역의 파손이나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The bending moment applied to the area where the metal layer such as the various circuit parts and the wiring constituting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folded at the boundary with the display area D is made the same,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or cracking.

가요성 표시 패널(100)을 구성하는 가요성 기판(111)은 플렉서블(flexible)한 특성을 갖기 때문에, 가요성 기판(111) 상에 직접 표시 영역(D)과 비표시 영역(N1, N3)을 형성하기 하기 어렵다. 따라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가요성 표시 패널(100)을 제조하는 방법은, 강성이 있는 글라스 기판(미도시) 상에 가요성 기판(111)을 형성하는 단계, 가요성 기판(111)에 상에 베리어막(112)을 형성하는 단계, 베리어막(112) 상에 표시 영역(D)과 비표시 영역(N1, N3)을 형성하는 단계, 표시 영역(D)을 덮도록 봉지 부재(113)를 형성하는 단계, 봉지 부재(113)에 제2 점착제(미도시)를 사용하여 제2 보호필름(115)을 부착하는 단계, 글라스 기판(미도시)을 가요성 기판(111)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 및 가요성 기판(111)에 제1 점착제(미도시)를 사용하여 제1 보호필름(114)을 부착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The display region D and the non-display regions N1 and N3 are formed directly on the flexible substrate 111 because the flexible substrate 111 constitut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has a flexible characteristic, Is difficult to form.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includes the steps of forming the flexible substrate 111 on a rigid glass substrate (not shown), forming the flexible substrate 111, A step of forming a display region D and non-display regions N1 and N3 on the barrier film 112 and a step of forming a sealing member 112 to cover the display region D, Attaching a second protective film 115 to the sealing member 113 using a second adhesive agent (not shown), removing the glass substrate (not shown) from the flexible substrate 111 And attaching the first protective film 114 to the flexible substrate 111 using a first adhesive (not shown).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보호필름(114)과 제2 보호필름(115)은 후술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e first protective film 114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11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similarly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도 5에 도시된 가요성 표시 패널(100-B)의 표시 영역(D)의 좌우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N1, N3)을, 표시 영역(D)이 사용자에게 표시 되는 방향(z, 도 1 참조)과 반대 방향(-z)으로 접으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이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100)이 형성된다. 가요성 표시 패널(100)에 있어서, 비표시 영역(N1, N3)이 접힐 때, 표시 영역(D)과 비표시 영역(N1, N3)의 경계에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display area D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B shown in Fig. 5 are arranged in a direction (z, 1),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 and 2 is formed. In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when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are folded, a curved surface may be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display area D and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영역(D, 제1영역)과 비표시 영역(N3, 제2영역) 사이에 소정 곡면이 형성된 경계 영역(RB)이 형성 된다. 경계 영역(RB)은 미리 결정된(predetermined) 소정의 곡률 반경(R)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2, a boundary region RB in which a predetermined curved surface is formed between the display region D (the first region) and the non-display region N3 (the second region) is formed. The boundary region RB is formed into a curv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R. [

본 실시예에서 경계 영역(RB)에는 제2영역(RⅡ)의 비표시 영역(N3)이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표시 영역(D)의 정면(z)에서 접힌 가요성 표시 패널(100)을 바라볼 때, 표시 영역(D)의 정면에서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비표시 영역(N3)의 폭(W1)은 표시 영역(D)과 비표시 영역(N3)의 접힌 부분의 내측 곡률 반경(R)과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두께(T)의 합으로 인식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비표시 영역(N3)의 폭(W1)은 경계 영역(RB)과 같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on-display region N3 of the second region RII is formed to extend in the border region RB. The width W 1 of the non-display area N3 recognized by the user in front of the display area D when the user looks at the folded flexible display panel 100 at the front z of the display area D, Is recognized as the sum of the inner radius of curvature R of the folded portion of the display area D and the non-display area N3 and the thickness T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 The width (W 1) of the non-display region (N3) which is recognized by the user in this embodiment it is equal to the boundary area (RB).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두께(T)는 수십 마이크로미터(㎛)에서 수백 마이크로미터(㎛)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소형 표시 장치의 경우에는 두께(T)를 더욱 작은 범위에서 두께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비표시 영역의 폭(W1)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상술한 두께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더 큰 두께 범위를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thickness T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can be selected in the range of several tens of micrometers (m) to hundreds of micrometers (m).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mall-size display device, since the thickness can be select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thickness T is further reduced, the width W 1 of the non-display area recognized by the user can be further reduced. Needless to sa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hickness range, and a larger thickness range can be selected as necessary.

도 9는 표시 영역(D)과 비표시 영역(N3)의 접힌 부분의 내측 곡률 반경(R)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비표시 영역(N3)의 폭(W2, W3)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9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idths W2 and W3 of the non-display area N3 recognized by the inner radius of curvature R of the folded part of the display area D and the non-display area N3.

도 9를 참조하면,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두께(T)가 일정하다고 가정할 때, 경계 영역(RB)이 곡률 반경(R2)을 가지도록 비표시 영역(N3)을 접으면,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비표시 영역(N3)의 폭(W2)은 곡률반경(R2)과 가요성 표시 패널의 두께(T)의 합이 된다(W2=R2+T). 한편, 경계 영역(RB)이 곡률 반경(R2)보다 큰 곡률 반경(R3)을 가지도록 비표시 영역(N3)을 접으면,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비표시 영역(N3)의 폭(W3)은 곡률 반경(R3)과 가요성 표시 패널의 두께(T)의 합이 된다. 즉, 곡률 반경이 클수록(R3>R2)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비표시 영역(N3)의 폭이 넓어진다. 9, assuming that the thickness T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is constant, when the non-display area N3 is folded so that the border area RB has the radius of curvature R2, The width W2 of the non-display area N3 that is recognized by the display area N2 is the sum of the curvature radius R2 and the thickness T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W2 = R2 + T). On the other hand, when the non-display area N3 is folded so that the border area RB has a radius of curvature R3 larger than the radius of curvature R2, the width W3 of the non-display area N3, The sum of the radius R3 and the thickness T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That is, the larger the radius of curvature (R3 > R2), the larger the width of the non-display area N3 visible to the user.

표시 영역(D)과 비표시 영역(N3)의 접힌 부분의 내측 곡률 반경은 0.01mm 이상 10mm 이하가 바람직하다. 곡률 반경이 0.01mm보다 작으면, 휨 스트레스에 의해 가요성 표시 패널(100)이 접힘 상태를 유지하지 못할 수 있고, 10mm보다 크면 시인되는 비표시 영역의 폭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특히, 소형 표시 장치의 경우에는 곡률 반경의 범위를 1mm 이하로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비표시 영역의 폭을 더욱 줄일 수 있다. The inner radius of curvature of the folded portion of the display area D and the non-display area N3 is preferably 0.01 mm or more and 10 mm or less. If the radius of curvature is smaller than 0.01 mm,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may not be maintained in the folded state due to the bending stress, and if it is larger than 10 mm, the width of the non-display region visually recognized increases.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small display device, the width of the non-display area recognized by the user can be further reduced by selecting a radius of curvature of 1 mm or less.

도 10을 참조하면, 경계 영역(RB)에 제1영역(RⅠ)의 표시 영역(D)이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표시 영역(D)의 정면에서 접힌 가요성 표시 패널(100)을 바라볼 때, 사용자에 인식되는 비표시 영역(N3)의 폭(W4)은 0이 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에게 비표시 영역(N3)의 경계가 거의 없는(borderless)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display region D of the first region RI is formed in the boundary region RB. When the user views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folded at the front of the display area D, the width W4 of the non-display area N3 recognized by the user becomes zero.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above embodiment,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border of the non-display area N3 is almost non-borderless to the user.

도 11을 참조하면, 경계 영역(RB)에 제1영역(RⅠ)의 표시 영역(D)과 제2 영역(RⅡ)의 비표시 영역(N3)이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비표시 영역(N3)의 폭(W5)은 도 10의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비표시 영역(N3)의 폭(W4)보다 크고, 도 2의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비표시 영역(N3)의 폭(W1)보다 작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도 3 및 4의 비표시 영역을 접지 않은 평판 표시 패널(10)보다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비표시 영역의 폭이 좁게 인식된다. Referring to FIG. 11, the display region D of the first region RI and the non-display region N3 of the second region RII may be formed in the boundary region RB. At this time, the width W5 of the non-display area N3 recognized by the user is larger than the width W4 of the non-display area N3 recognized by the user in Fig. 10, and the non-display area N3 (W1).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non-display area recognized by the user is recognized to be narrower than the flat display panel 10 in which the non-display area of Figs. 3 and 4 is not grounded.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경우, 표시 영역(D)의 좌우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N1, N3)을 함께 접은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어느 한쪽의 비표시 영역을 접더라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됨은 물론이다.In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display area D are folded togeth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y one of the non-display areas.

도 12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2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3는 도 12의 ⅩⅢ-ⅩⅢ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4은 도 12의 비표시 영역(N2, N4)이 접히기 전 상태의 가요성 표시 패널(200-B)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exible display panel 2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II-XIII in Fig. 1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200-B in a state before the folding lines N2 and N4 are folded.

이하, 전술한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가요성 표시 패널(200-B)은, 표시 영역(D)의 상하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N2, N4)을 표시 영역(D)이 사용자에게 표시 되는 방향(z)과 반대 방향(-z)으로 접힌다. 그 결과,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200)이 형성된다.14, in the flexible display panel 200-B in this embodiment, the non-display areas N2 and N4 arranged above and below the display area D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D to the user It is folded in the opposite direction (z) to the direction (z). As a result, the flexible display panel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2 is formed.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가요성 표시 패널(200)은 표시 영역(D)과, 상기 표시 영역(D) 외곽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을 구비한다. 비표시 영역(N1, N2, N3, N4) 중 표시 영역(D)에 대하여 상하로 서로 마주보는 비표시 영역(N2, N4)은 표시 영역(D)이 향하는 방향(z)과 반대 방향(-z)을 향하도록 접혀있다. 12 and 13, the flexible display panel 200 includes a display area D and non-display areas N1, N2, N3, and N4 disposed outside the display area D. The non-display areas N2 and N4 fac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display area D of the non-display areas N1, N2, N3, and N4 are arrang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z to which the display area D faces. z).

비표시 영역(N2, N4)이 표시 영역(D)이 향하는 방향(z)과 반대 방향(-z)으로 접혀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표시 영역(D)의 정면(z)에서 가요성 표시 패널(200)을 바라볼 때, 사용자에게는 비표시 영역(N2, N4)의 접혀 있는 폭(W6)이 표시 영역(D)의 상하를 둘러싸는 경계(border)로 인식된다. Since the non-display areas N2 and N4 are folded in the direction z opposite to the direction z of the display area D, The folded width W6 of the non-display areas N2 and N4 is recognized as a border surrounding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display area D to the user.

전술한 바와 같이, 비표시 영역(N2, N4)이 접히기 전의 원래 폭(W0)에 비하여 접힌 상태의 폭(W6)이 훨씬 줄어들기 때문에, 사용자에게는 비표시 영역(N2, N4)에 의한 표시 영역(D)의 경계가 훨씬 감소된 것으로 인식된다. 특히, 패드부(P)가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N2)은 차지하는 면적이 넓기 때문에, 패드부(P)가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N2)을 접음으로써 사용자에게 비표시 영역(N2)에 의한 표시 영역(D)의 경계가 훨씬 감소된 것으로 인식되는 효과가 있다. , The non-display area (N2, N4) the width of the folded state than the original width (W 0) before higi a contact (W 6) are much more by reducing, the user non-display area (N2, N4), as described above It is recognized that the boundary of the display area D by the display area D is much reduced. In particular, since the non-display area N2 in which the pad part P is located occupies a large area, the non-display area N2 in which the pad part P is located is folded to the us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boundary of the display area D is recognized to be much reduced.

도 15는 도 12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200-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도 14의 ⅩⅤⅠ-ⅩⅤⅠ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exible display panel 200-1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12, and FIG. 1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V-XVI of FIG.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200)에서, 비표시 영역(N2) 중 패드부(P)가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N22)을 가요성 표시 패널(200-1)의 내측으로 한번 더 접은 것이다. 15 and 16, in the flexible display panel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non-display area N22 in which the pad part P of the non-display area N2 is located is flexible And folded once inside the display panel 200-1.

패드부(P)에는 외장 드라이버가 장착되거나 커낵터(C)가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만약 도 12 및 13에 도시된 상태에서 패드부(P)에 외장 드라이버가 장착되거나 커낵터(C)가 연결되면, 사용자가 인식하는 비표시 영역(N2)의 폭(W6)이 증가한다. An external driver may be mounted on the pad portion P or a connector C may be connected to the pad portion P. If the external driver is mounted on the pad portion P or the connector C is connected The width W6 of the non-display area N2 recognized by the user increases.

그러나 본 변형예와 같이 비표시 영역(N2)에서 패드부(P)가 배치된 영역(N22)을 가요성 표시 패널(200-1)의 내측으로 한번 더 접게 되면, 외장 드라이버나 커낵터(C)는 가요성 표시 패널(200-1)에 내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인식하는 비표시 영역(N2)의 폭(W6)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However, when the area N22 in which the pad portion P is disposed in the non-display area N2 is folded back to the insid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200-1 as in the present modified example, the external driver and the connector C Is located inside the flexible display panel 200-1, it does not affect the width W6 of the non-display area N2 recognized by the user.

한편, 위 실시예에서는 접히는 비표시 영역(N22)에 패드부(P)가 위치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접히는 비표시 영역(N22)에는 전술한 각종 회로부와 배선 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3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ⅩⅧ-ⅩⅧ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9는 도 17의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이 접히기 전 상태의 가요성 표시 패널(300-B)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pad portion P is located in the folding non-display region N22.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1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VIII-XVII of FIG. 17, and FIG. 19 is a sectional view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300-B in the state before the non-display areas N1, N2, N3, Fig.

이하, 전술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가요성 표시 패널(300-B)은, 표시 영역(D)의 상하좌우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을 표시 영역(D)이 사용자에게 표시 되는 방향(z)과 반대 방향(-z)으로 접힌다. 그 결과, 도 1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300)이 형성된다.19, the flexible display panel 300-B includes non-display areas N1, N2, N3, and N4 disposed on the upper, lower, right, and left sides of the display area D as the display area D, (Z) opposite to the direction (z) displayed to the user. As a result, the flexible display panel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7 is formed.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가요성 표시 패널(300)은 표시 영역(D)과, 상기 표시 영역(D) 외곽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을 구비한다. 비표시 영역(N1, N2, N3, N4) 중 표시 영역(D)에 대하여 상하좌우로 서로 마주보는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은 표시 영역(D)이 향하는 방향(z)과 반대 방향(-z)을 향하도록 접혀있다. 17 and 18, the flexible display panel 300 includes a display area D and non-display areas N1, N2, N3 and N4 arranged outside the display area D. The non-display areas N1, N2, N3, and N4 facing each other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display area D out of the non-display areas N1, N2, N3, (-Z). ≪ / RTI >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이 표시 영역(D)이 향하는 방향(z)과 반대 방향(-z)으로 접혀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표시 영역(D)의 정면(z)에서 가요성 표시 패널(300)을 바라볼 때, 사용자에게는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의 접혀 있는 폭(W7)이 표시 영역(D)의 상하좌우를 둘러싸는 경계(border)로 인식된다. Since the non-display areas N1, N2, N3 and N4 are folded in the opposite direction (-z) to the display area D in the direction z, The folded width W7 of the non-display areas N1, N2, N3 and N4 is recognized as a border surrounding the upper, lower, right, and left sides of the display area D, do.

전술한 바와 같이,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이 접히기 전의 원래 폭(W0)에 비하여 접힌 상태의 폭(W7)이 훨씬 줄어들기 때문에, 사용자에게는 비표시 영역(N1, N2, N3, N4)에 의한 표시 영역(D)의 경계가 훨씬 감소된 것으로 인식된다. 특히, 패드부(P1, P2, P3, P4)가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은 차지하는 면적이 넓기 때문에, 패드부(P1, P2, P3, P4)가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을 접음으로써 사용자에게 비표시 영역(N1, N2, N3, N4)에 의한 표시 영역(D)의 경계가 훨씬 감소된 것으로 인식되는 효과가 있다. Since such, the non-display area (N1, N2, N3, N4) the width of the folded state than the original width (W 0) before higi a contact (W 7) is much less as described above, the user non-display area (N1 , N2, N3, N4) of the display area D is much reduced. In particular, since the area occupied by the non-display areas N1, N2, N3, and N4 where the pad parts P1, P2, P3, and P4 are located is large, By folding the display areas N1, N2, N3 and N4,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is perceived as having a much reduced border of the display area D by the non-display areas N1, N2, N3 and N4.

도 20은 도 17의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300-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ⅩⅩⅠ-ⅩⅩⅠ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FIG. 2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exible display panel 300-1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FIG. 17, and FIG. 2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XXI-XXI of FIG.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전술한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300)에서, 비표시 영역(N1, N2, N3, N4) 중 패드부(P1, P2, P3, P4)가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N12, N32, )을 가요성 표시 패널(300-1)의 내측으로 한번 더 접은 것이다. Referring to FIGS. 20 and 21, in the flexible display panel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pad portions P1, P2, P3, and P4 among the non-display regions N1, N2, N3, The non-display areas N12 and N32 where the non-display areas N12 and N32 are once again folded inward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300-1.

패드부(P1, P2, P3, P4)에는 외장 드라이버가 장착되거나 커낵터(C)가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만약 도 17 및 18에 도시된 상태에서 패드부(P1, P2, P3, P4)에 외장 드라이버가 장착되거나 커낵터(C)가 연결되면, 사용자가 인식하는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의 폭(W7)이 증가한다. Since the external driver is mounted on the pad portions P1, P2, P3 and P4 or the connector C is connected to the pad portions P1, P2, P3 and P4, When the external driver is mounted or the connector C is connected, the width W7 of the non-display areas N1, N2, N3, and N4 recognized by the user increases.

그러나 본 변형예와 같이 비표시 영역(N1, N2, N3, N4)에서 패드부(P1, P2, P3, P4)가 배치된 영역(N12, 32, )을 가요성 표시 패널(300-1)의 내측으로 한번 더 접게 되면, 외장 드라이버나 커낵터(C)는 가요성 표시 패널(300-1)에 내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인식하는 비표시 영역(N1, N2, N3, N4)의 폭(W7)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However, as in the present modified example, the regions N12 and 32 in which the pad portions P1, P2, P3 and P4 are arranged in the non-display regions N1, N2, N3 and N4, The external driver or the connector C is positioned inside the flexible display panel 300-1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non-display areas N1, N2, N3, and N4 And does not affect the width W7.

한편, 위 실시예에서는 접히는 비표시 영역(N12, 32)에 패드부(P1, P2, P3, P4)가 위치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접히는 비표시 영역(N12, 32)에는 전술한 각종 회로부와 배선 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pad portions P1, P2, P3, and P4 are located in the non-display regions N12 and N32.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above-described various circuit parts, wiring,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in the non-display areas N12 and 32 that are folded.

도 2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일체형 가요성 표시 패널(400)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터치패널 일체형 가요성 표시 패널(400)의 비표시 영역(N1, N3)이 접히기 전의 터치패널 일체형 가요성 표시 패널(400-B)의 대한 단면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분리 사시도이다. FIG. 22 is a sectional view of the touch panel integrated type flexible display panel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3 is a sectional view of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2 of the touch panel integrated flexible display panel 400 of FIG. N3 are folded before fol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400-B, and Fig. 2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3. Fig.

이하, 전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the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first to third embodiments.

도 2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일체형 가요성 표시 패널(40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100)에 터치 패널(140)이 더 부착된 것이다.Referring to FIG. 22, the touch panel integrated type flexible display panel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touch panel 140 further attached to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터치패널(140)은 터치 영역(T)과 터치 영역(T) 외곽에 배치된 배선 영역(T1, T2, T3, T4)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140)은 정전용량방식, 저항방식 등 다양한 방식의 터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23 and 24, The touch panel 140 includes a touch region T and wiring regions T1, T2, T3, and T4 disposed outside the touch region T. [ The touch panel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touch methods such as an electrostatic capacity type and a resistance type.

비표시 영역이 접히기 전의 가요성 표시 패널(100-B)은 표시 영역(D)과 표시 영역(D)외곽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N1, N2, N3, N4)를 구비한다.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B before the non-display area is folded has the display area D and the non-display areas N1, N2, N3 and N4 arranged outside the display area D.

터치 패널(140)의 터치 영역(T)과 가요성 표시 패널(100-B)의 표시 영역(D)이 서로 대응되도록 얼라인하여 터치 패널(140)과 가요성 표시 패널(100-B)이 결합된다.The touch panel 140 and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B are coupled with each other such that the touch area T of the touch panel 140 and the display area D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do.

터치 패널(140)이 결합된 가요성 표시 패널(100-B)은, 표시 영역(D)의 좌우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N1, N3)을 표시 영역(D)이 사용자에게 표시 되는 방향(z)과 반대 방향(-z)으로 접힌다. 그 결과, 도 2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일체형 가요성 표시 패널(400)이 형성된다.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B to which the touch panel 140 is coupled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play area 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play area D is displayed to the user z) in the opposite direction (-z). As a result, the touch panel integrated flexible display panel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2 is formed.

비표시 영역(N1, N3) 및 터치 패널(140)의 배선 영역(T1, T2, T3, T4)이 표시 영역(D)이 향하는 방향(z)과 반대 방향(-z)으로 접혀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표시 영역(D)의 정면(z)에서 터치패널 일체형 가요성 표시 패널(400)을 바라볼 때, 사용자에게는 비표시 영역(N1, N3)의 접혀 있는 폭(W8)이 표시 영역(D)의 좌우를 둘러싸는 경계(border)로 인식된다. Since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and the wiring areas T1, T2, T3 and T4 of the touch panel 140 are folded in the direction -z opposite to the direction z of the display area D, When the user looks at the touch panel integrated flexible display panel 400 at the front face z of the display area D, the folded width W8 of the non-display areas N1 and N3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D As shown in FIG.

전술한 바와 같이, 비표시 영역(N1, N3)이 접히기 전의 원래 폭(W0)에 비하여 접힌 상태의 폭(W8)이 훨씬 줄어들기 때문에, 사용자에게는 비표시 영역(N1, N3)에 의한 표시 영역(D)의 경계가 훨씬 감소된 것으로 인식된다. Since, the width (W8) of the folded state than the original width (W 0) before the non-display area (N1, N3) the folding is much reduc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by the non-display area (N1, N3) It is recognized that the boundary of the display area D is much reduced.

상술한 도면들에는 가요성 표시 패널(100-B)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100-B)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가요성 표시 패널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B is shown in the above-mentioned drawings,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B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show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flexible display panel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this embodiment.

도 25 내지 27은 가요성 표시 패널(100)이 다양한 지지 수단에 결합된 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편의상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패널(100)을 예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터치패널 일체형 가요성 표시 패널(400)에도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25 to 27 show examples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is coupled to various support means. For convenience,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equally applicable to the touch panel integrated type flexible display panel 400 described above.

도 25를 참조하면, 비표시 영역이 접힌 가요성 표시 패널(100)은 투명 보호창(150)에 의해 보호되고 지지된다. Referring to Fig. 25,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in which the non-display area is folded is protected and supported by the transparent protection window 150. Fig.

투명 보호창(150)은 가요성 패시 패널(100)의 화상이 구현되는 측 상면에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접힌 형상에 대응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즉, 투명 보호창(150)은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표시 영역(D)과 비표시 영역(N)의 접힌 형상에 대응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투명 보호창(150)은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표시 화면이 잘 투과될 수 있을 정도의 투과율을 가지며,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휨 복원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것이면 충분하다. 따라서, 투명 보호창(150)은 가요성 표시 패널(100)을 외부의 충격이나 스크래치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형상을 유지하는 지지 수단으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가요성 표시 패널(100)과 투명 보호창(150) 사이에 점착제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The transparent protection window 150 may be attached to correspond to the folded shap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where the image of the flexible passive panel 100 is implemented. That is, the transparent protection window 150 can be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folded shape of the display area D and the non-display area N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 The transparent protection window 150 has a transmittance that allows the display screen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100 and has a strength enough to prevent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from being deformed by the bending restoring force Is sufficient. Therefore, the transparent protection window 150 not only serves to protect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from external shocks or scratches, but also functions as a supporting means for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n adhesive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and the transparent protection window 150.

한편, 도 25는 가요성 표시 패널(100)에 투명 보호창(150)이 직접 배치된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터치패널 일체형 가요성 표시 패널(4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때, 투명 보호창(150)은 가요성 표시 패널 및/또는 가요성 터치 패널의 접힌 형상에 대응되도록 결합 될 수 있다. 25 shows a case in which the transparent protection window 150 is directly disposed on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ame can be applied to the above-described touch panel integrated flexible display panel 400 Lt; / RTI > At this time, the transparent protection window 150 may be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folded shap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and / or the flexible touch panel.

도 26을 참조하면, 비표시 영역이 접힌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내면에서 지지부재(160)가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지지부재(160)는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휨 복원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것이면 충분하다. 한편, 상기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가요성 표시 패널(100)과 지지부재(160) 사이에 점착제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26,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member 160 is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in which the non-display region is folded is shown. It is sufficient that the support member 160 has a strength enough to prevent deformation due to the bending restoring forc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n adhesive or the like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and the support member 160.

도 27을 참조하면, 비표시 영역이 접힌 가요성 표시 패널(100)은 곡면이 아닌 평판형 투명 보호창(170)에 지지된다.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접힌 부분은 측면에서 이를 지지하는 베젤이나 프레임(18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가요성 표시 패널(100)과 투명 보호창(170) 및 베젤이나 프레임(180) 사이에 점착제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27,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in which the non-display area is folded is supported on the flat transparent protection window 170, not the curved surface. The folde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may be supported by a bezel or frame 180 that supports it from a side. Of cour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n adhesive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lexible display panel 100 and the transparent protection window 170 and the bezel or frame 180.

상술한 지지수단들은 비표시 영역이 접힌 가요성 표시 패널의 접힌 형상을 지지하기 위한 일부 예시일 뿐이며, 통상의 기술적 지식에 의하여 다양한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above-mentioned support means are only a few examples for supporting the folded shap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in which the non-display region is folded, and it is needless to say that various applications are possible according to the ordinary technical knowledge.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지지 수단들에 의해 접힌 형상이 유지되는 가요성 표시 패널은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PDA, 스마트 기기 등 다양한 표시 장치에 통합될 수 있다. 그리하여 표시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비표시 영역이 확연히 줄어, 타 표시 장치에 비하여 확대된 영상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lexible display panel in which the folded shape is maintained by various supporting means can be integrated into various display devices such as a television, a computer monitor, a PDA, a smart device, and the like. Thus, the non-display area recognized by the user using the display device is significantly reduced, and an enlarged image screen can be provided as compared with other display devices.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상 확대 또는 축소되어 표시될 수 있으므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크기나 형상에 본 발명이 구속되는 것은 아니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may be possibl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가요성 표시 패널 111: 가요성 기판
112: 베리어막 113: 봉지부재
114: 제1 보호필름 115: 제2 보호필름
120: 유기 발광 소자 131: 전극전원공급라인
133: 주사 회로부 135: 데이터 회로부
137: 구동전원 배선부 132, 134, 136, 138: 단자부
D: 표시 영역 N1, N2, N3, N4: 비표시 영역
RB: 경계 영역 P: 패드부
RⅠ: 제1영역 RⅡ: 제2영역
100: Flexibility display panel 111: Flexible substrate
112: barrier film 113: sealing member
114: first protective film 115: second protective film
120: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131: electrode power supply line
133: scanning circuit section 135: data circuit section
137: driving power supply wiring parts 132, 134, 136, 138:
D: display areas N1, N2, N3, N4: non-display area
RB: boundary region P: pad portion
RI: first region RII: second region

Claims (31)

플라스틱 기판;
상기 플라스틱 기판 상에 위치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제1 면에 배치된 제1 영역;
상기 플라스틱 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 영역 외곽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에 대하여 접힌 제2 면에 배치된 제2 영역;
적어도 상기 표시 영역을 봉지하는 가요성 봉지 부재;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터치 영역과 상기 비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배선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접힌 형상을 따라 접힌 가요성 터치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터치 패널 상에 위치하고, 상기 가요성 터치 패널의 접힌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접힌 형상이 유지되도록 강성을 가지는 투명 보호창;을 포함하고,
상기 비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면은 상기 표시 영역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는 가요성 표시 패널.
A plastic substrate;
A first region including a display region located on the plastic substrate and disposed on a first surface;
A second region located on the plastic substrate and disposed on a second surface including a non-display region located outside the display region and folded against the first surface;
A flexible sealing member which seals at least the display area;
A flexible touch panel including a touch region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region and a wiring region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non-display region, the flexible touch panel folded along the folded shape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nd
And a transparent protective window positioned on the flexible touch panel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olded shape of the flexible touch panel and having rigidity such that the folded shape is maintained,
And the at least one surface of the non-display area is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display ar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면이 향하는 제1 방향에서 보이고,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제1 방향에서 보이지 않는 가요성 표시 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region is viewed in a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urface faces, and the non-display region is invisible in the first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이 접힌 경우, 상기 제1 면이 향하는 제1 방향에서 보이는 표시 영역에 대한 비표시 영역의 면적비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이 접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면이 향하는 상기 제1 방향에서 보이는 표시 영역에 대한 비표시 영역의 면적비보다 작은 가요성 표시 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flexible display panel is folded, the area ratio of the non-display area with respect to the display area view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area ratio of the non-display area with respect to the display area viewed from the first direction toward the first surface is smaller than the area ratio of the non-display area with respect to the display area when the flexible display panel is not fol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미리 결정된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이 형성된 경계 영역이 구비된 가요성 표시 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oundary region in which a curv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is formed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곡률 반경은 일정한 값을 갖는 가요성 표시 패널.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has a constant valu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 반경은 0.01mm 이상 10mm 이하인 가요성 표시 패널.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urvature radius is 0.01 mm or more and 10 mm or les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 반경은 0.01mm 이상 1mm 이하인 가요성 표시 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urvature radius is 0.01 mm or more and 1 mm or les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영역의 곡면은 아크(arc) 형상인 가요성 표시 패널.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urved surface of the boundary region is an arc shap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영역에, 상기 제1 영역 상의 표시 영역이 연장되어 위치하는 가요성 표시 패널.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display region on the first region is extended and positioned in the boundary reg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영역에, 상기 제2 영역 상의 비표시 영역이 연장되어 위치하는 가요성 표시 패널.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non-display area on the second area is extended and positioned in the boundary area.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영역에, 상기 제1 영역 상의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상의 비표시 영역이 각각 연장되어 위치하는 가요성 표시 패널.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display region on the first region and the non-display region on the second region are extended and positioned in the boundary region,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평면을 유지하는 가요성 표시 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rea is fl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평면을 유지하는 가요성 표시 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region maintains a flat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의 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영역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3 영역을 더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hird region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second region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region.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3 영역으로 연장된 가요성 표시 패널.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the non-display area extends from the second area to the third area.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역에 패드부가 위치하는 가요성 표시 패널.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the pad portion is located in the third reg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기판과,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베리어막이 더 포함된 가요성 표시 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astic substrate; and a barrier film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기판의 일측에 배치된 제1 보호필름 및 상기 가요성 봉지 부재의 일측에 배치된 제2 보호필름이 더 부착된 가요성 표시 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protective film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lastic substrate and a second protective film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lexible sealing member.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필름 및 상기 제2 보호필름은,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비표시 영역을 커버하도록 배치된 가요성 표시 패널.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first protective film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are arranged to cover the display area and the non-display area.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필름 및 상기 제2 보호필름은 대칭적으로 배치된 가요성 표시 패널.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first protective film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are symmetrically arranged.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필름 및 상기 제2 보호필름 중 적어도 하나는 편광필름인 가요성 표시 패널.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protective film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is a polarizing film.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필름은 상기 플라스틱 기판의 단부를 커버하고, 상기 제2 보호필름은 상기 가요성 봉지 부재의 단부를 커버하는 가요성 표시 패널.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first protective film covers an end portion of the plastic substrate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covers an end portion of the flexible seal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봉지 부재는 무기 절연막 및 유기 절연막 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막을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exible sealing member includes at least one insulating film of an inorganic insulating film and an organic insulating fil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터치 패널은, 상기 플라스틱 기판 및 상기 가요성 봉지 부재 중, 상기 표시 영역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적어도 어느 일측에 위치하는 가요성 표시 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exible touch panel is located on at least one of the plastic substrate and the flexible sealing member, at which an image of the display region is display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플라스틱 기판;
상기 플라스틱 기판 상에 위치하는 표시 영역;
상기 플라스틱 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 영역 외곽에 위치하고, 적어도 일면은 상기 표시 영역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고, 나머지 면은 상기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하여 접힌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
적어도 상기 표시 영역을 봉지하는 가요성 봉지 부재;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터치 영역과 상기 비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배선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비표시 영역의 접힌 형상을 따라 접힌 가요성 터치 패널; 및
상기 플라스틱 기판의 일 측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의 접힌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접힌 형상이 유지되도록 강성을 가지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패널.
A plastic substrate;
A display region located on the plastic substrate;
A non-display area located on the plastic substrate and located outside the display area, at least one surface being on the same plane as the display area and the other surface being folded with respect to a plane including the display area;
A flexible sealing member which seals at least the display area;
A flexible touch panel including a touch region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region and a wiring region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non-display region, the flexible touch panel including a folded shape of the display region and the non-display region; And
And a support member located on one side of the plastic substrate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olded shape of the display region and the non-display region, and having rigidity such that the folded shape is maintained.
KR20120063871A 2011-06-30 2012-06-14 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KR1014826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535,298 US10061356B2 (en) 2011-06-30 2012-06-27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JP2012145776A JP6220499B2 (en) 2011-06-30 2012-06-28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TW101123796A TWI557960B (en) 2011-06-30 2012-06-29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EP20120174497 EP2541371A3 (en) 2011-06-30 2012-06-29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EP22181833.9A EP4089504A1 (en) 2011-06-30 2012-06-29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CN2012203197959U CN202887620U (en) 2011-06-30 2012-07-02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210227989.0A CN102855822B (en) 2011-06-30 2012-07-02 Flexible display panels and include the display device of flexible display panels
US16/114,120 US10496133B2 (en) 2011-06-30 2018-08-27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US16/701,110 US11169570B2 (en) 2011-06-30 2019-12-02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US17/521,645 US11803210B2 (en) 2011-06-30 2021-11-08 Flexible display panel having bent non-display regions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US18/498,022 US20240061467A1 (en) 2011-06-30 2023-10-30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143 2011-06-30
KR20110065143 2011-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085A KR20130004085A (en) 2013-01-09
KR101482629B1 true KR101482629B1 (en) 2015-01-14

Family

ID=47836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63871A KR101482629B1 (en) 2011-06-30 2012-06-14 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482629B1 (en)
CN (1) CN202887620U (en)
TW (1) TWI557960B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90448B2 (en) 2016-03-17 2019-08-20 Samsung Display Co., Ltd. Curved display device having improved display area
US10510980B2 (en) 2015-04-16 2019-12-1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module
US11437445B2 (en) 2020-03-13 2022-09-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61356B2 (en) 2011-06-30 2018-08-28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KR101796812B1 (en) * 2013-02-15 2017-1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44033B1 (en) * 2013-02-20 2014-09-23 주식회사 엘지화학 Packaging film for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2035462B1 (en) * 2013-03-27 2019-10-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Slit coater, method for driving the same, flexibl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fabricating of the same
KR102095013B1 (en) 2013-04-11 2020-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device
KR102076666B1 (en) * 2013-04-11 2020-0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display panel
KR102405992B1 (en) 2013-04-24 2022-06-10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Display device
KR102111562B1 (en) * 2013-04-25 2020-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hin film semiconductor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KR102018741B1 (en) 2013-06-03 2019-09-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with cover window
KR101994278B1 (en) * 2013-06-28 2019-09-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type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
KR102008903B1 (en) * 2013-06-28 2019-08-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071398B1 (en) * 2013-07-05 2020-01-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Display Device
USD739368S1 (en) 2013-07-09 2015-09-22 Samsung Display Co., Ltd. Mobile phone
KR102080904B1 (en) * 2013-08-23 2020-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26712B1 (en) 2013-09-30 2020-06-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KR102116498B1 (en) * 2013-10-17 2020-05-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anel member fixing apparatus
US9430180B2 (en) 2013-11-15 2016-08-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KR102095240B1 (en) * 2013-11-19 2020-03-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with narrow bezel area
KR102187929B1 (en) * 2013-11-22 2020-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ouch window and display with the same
KR102117265B1 (en) * 2013-11-28 2020-06-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Bending apparatus for display panel
WO2015083030A1 (en) * 2013-12-02 2015-06-1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panel
KR102149713B1 (en) * 2013-12-12 2020-08-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Cover window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279707B1 (en) 2013-12-18 2021-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KR102086644B1 (en) 2013-12-31 2020-03-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235703B1 (en) 2014-02-12 2021-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KR102227475B1 (en) 2014-02-14 2021-03-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module including flexible panel
KR102322762B1 (en) 2014-09-15 2021-1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KR20160035169A (en) 2014-09-22 2016-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2378359B1 (en) * 2015-07-23 2022-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oldable display apparatus
KR102373615B1 (en) * 2015-08-24 2022-03-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having window member and fabricating mathod for window member
KR102391880B1 (en) * 2015-09-17 2022-04-29 솔브레인 주식회사 Protective film and metoh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2404370B1 (en) * 2015-10-02 2022-06-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Window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426433B1 (en) * 2015-11-09 2022-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90625B1 (en) * 2015-11-27 2023-01-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i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42613B1 (en) * 2015-12-15 2022-09-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display
JP6546525B2 (en) 2015-12-24 2019-07-1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Display device
KR102435294B1 (en) 2015-12-30 2022-08-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102661472B1 (en) * 2016-02-12 2024-04-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KR102472608B1 (en) 2016-03-10 2022-1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102479508B1 (en) * 2016-03-31 2022-12-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cie
KR102559839B1 (en) * 2016-04-12 2023-07-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KR102615113B1 (en) * 2016-05-10 2023-1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534149B1 (en) * 2016-05-24 2023-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ulti display apparatus
KR102556022B1 (en) * 2016-07-06 2023-07-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563284B1 (en) 2016-07-13 2023-08-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6782088B (en) * 2016-11-22 2020-07-07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Flexible display panel and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600186B1 (en) * 2016-12-30 2023-1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Edge Bending Display Device
CN106875840B (en) * 2017-04-01 2019-07-23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A kind of display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6940966B (en) 2017-05-17 2019-07-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Display screen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367881B1 (en) * 2017-07-03 2022-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102481394B1 (en) * 2017-08-31 2022-12-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multi screen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1865007B1 (en) * 2017-12-01 2018-06-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display device
KR20200116583A (en) * 2019-04-01 2020-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KR102169887B1 (en) 2019-07-25 2020-10-2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Touch Sensor, Window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therewith
KR102648809B1 (en) * 2019-09-11 2024-03-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tile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113138685B (en) * 2020-01-17 2023-05-16 上海和辉光电股份有限公司 Touch panel, touch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3225A (en) * 2007-02-05 2008-08-08 (주)유비카드 Electronic memo device
JP2011047977A (en) * 2009-08-25 2011-03-10 Seiko Epson Corp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10068169A (en) * 2009-12-15 2011-06-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Method of fabricating flexible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7677B2 (en) * 2008-07-04 2012-08-07 Tsinghua University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CN101996535A (en) * 2009-08-25 2011-03-30 精工爱普生株式会社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3225A (en) * 2007-02-05 2008-08-08 (주)유비카드 Electronic memo device
JP2011047977A (en) * 2009-08-25 2011-03-10 Seiko Epson Corp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10068169A (en) * 2009-12-15 2011-06-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Method of fabricating flexible display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10980B2 (en) 2015-04-16 2019-12-1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module
US10390448B2 (en) 2016-03-17 2019-08-20 Samsung Display Co., Ltd. Curved display device having improved display area
US11437445B2 (en) 2020-03-13 2022-09-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730043B2 (en) 2020-03-13 2023-08-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2887620U (en) 2013-04-17
KR20130004085A (en) 2013-01-09
TWI557960B (en) 2016-11-11
TW201306339A (en) 2013-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2629B1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KR101935552B1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US11803210B2 (en) Flexible display panel having bent non-display regions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JP6734324B2 (en) Display device
KR101810049B1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KR102124041B1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KR102252342B1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KR102360095B1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