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153B1 - An Apparatus for verifying driving speed, and system and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An Apparatus for verifying driving speed, and system and metho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153B1
KR102358153B1 KR1020210076605A KR20210076605A KR102358153B1 KR 102358153 B1 KR102358153 B1 KR 102358153B1 KR 1020210076605 A KR1020210076605 A KR 1020210076605A KR 20210076605 A KR20210076605 A KR 20210076605A KR 102358153 B1 KR102358153 B1 KR 102358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riving
speed
vehic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6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선미
Original Assignee
트라웍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라웍스(주) filed Critical 트라웍스(주)
Priority to KR1020210076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15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1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 G08G1/05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photographing overspeeding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7/001Industri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s an apparatus for verifying a driving speed of a vehicle. The apparatus may provide an interface, which plays at least one reference image together or simultaneously including a driving image of a target vehicle driving at a speed exceeding a pre-set speed, a reference speed of a reference vehicle, and elapsed time information.

Description

차량의 주행속도를 검증하기 위한 영상 분석 장치,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An Apparatus for verifying driving speed, and system and method therefor}Image analysis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driving speed of a vehicle {An Apparatus for verifying driving speed, and system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속도를 검증하기 위한 영상 분석 장치,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단속 대상 차량의 주행영상과 기준영상을 동시에 또는 함께 재생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속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분석 장치,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analysis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the driving speed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determine the driving speed of a vehicle by playing a driving image and a reference image of a vehicle subject to enforcement at the same time or together. It relates to an image analysis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규정 속도를 초과하여 주행하게 되면, 운전자의 시야가 좁아지게 되어 도로 위에서 발생하는 예상치 못한 변수에 신속하게 대처하기가 어렵고, 제동거리도 길어지게 되므로 사고 발생 가능성과 위험성이 높아지므로, 과속 단속 카메라 등을 통해 과속을 하지 못하도록 계도하고 있다.If you drive over the speed limit, the driver's field of vision becomes narrow, making it difficult to quickly respond to unexpected variables that occur on the road, and the braking distance becomes longer, which increases the possibility and risk of an accident. There are guidelines to prevent speeding.

그럼에도, 과속으로 인한 교통 사고 발생과 그 피해가 줄어들지 않고, 특히 과속 단속으로 처벌 가능한 최고 과속 범위에 해당하는 차량 운전자에 대한 처벌 강화의 목소리가 적지 않았다. 이에 따라, 2020년 12월 10일부터 시행된 도로교통법은 규정 속도를 80km/h를 넘기는 초과속 운전에 대해서는 처벌을 강화하도록 개정되었다. 기존에는 초과속 운전자는 12만~13만원(승용차 기준)의 과태료를 받았으나, 개정법에 따라 최대 징역형을 받을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규정 속도를 80km/h 내지 100km/h이하 초과하는 경우 30만원 이하의 벌금구류, 벌점 80점, 100km/h 초과하는 경우 100만원 이하의 벌금구류, 벌점 100점, 3회 이상 100km/h 초과시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 등 형사처벌로 벌칙이 강화되었다. 3회 이상 100km/h 초과 시엔 운전 면허도 취소된다. 초과속 운전은 타 운전자들에게 위협이 될뿐만 아니라 사고 발생시 심각한 인명 피해를 불러올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처벌 강화가 도입되었다.Nevertheless, the occurrence and damage of traffic accidents due to speeding did not decrease, and there were a lot of voices for strengthening the punishment of vehicle drivers, especially those who fall within the maximum speeding range punishable by speeding enforcement. Accordingly, the Road Traffic Act, which came into effect on December 10, 2020, has been amended to strengthen penalties for driving over the speed limit of 80 km/h. Previously, a driver at excessive speed received a fine of 120,000 to 130,000 won (based on a passenger car), but according to the revised law, he can receive a maximum prison sentence. Penalties are strengthened with criminal punishment such as imprisonment of up to 1 year or a fine of not more than 5 million won in case of fine detention, 80 demerit points, fine of not more than 1 million won if exceeding 100 km/h, 100 demerit points, if exceeding 100 km/h 3 times or more became If you exceed 100 km/h 3 times or more, your driver's license will be revoked. Since driving at excessive speed not only poses a threat to other drivers, but can also cause serious human casualties in the event of an accident, this type of stricter punishment was introduced.

이러한 과속 또는 초과속 운전 차량을 단속하기 위해, 일반 도로나 고속 도로에는 과속 단속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다. 규정 속도를 초과하여 주행하게 되면 과속 단속 대상이 되며, 해당 차량을 촬영한 사진을 첨부한 과태료(또는 범칙금) 부과 통지서 또는 고지서가 차량 소유주의 주소지로 발송된다. 다만, 이 경우에 차량 소유주는 과속 단속 사실에 대해 의견을 제기할 수 있다. 대다수의 과속 단속 사실을 통지받은 차량 소유주들은 과태료 또는 범칙금을 납부하고 말지만, 일부 차량 소유주들은 이에 대하여 이견을 제출하는 등 분쟁이 발생하고 있다. In order to crack down on such speeding or overspeed driving vehicles, speed enforcement cameras are installed on general roads or highways. If you exceed the speed limit, you will be subject to speeding enforcement, and a notice or notice of imposition of a fine (or fine) with a photograph of the vehicle attached will be sent to the address of the vehicle owner. However, in this case, the vehicle owner may raise an opinion on the fact of speeding enforcement. Most vehicle owners who have been notified of the speeding enforcement end up paying fines or fines, but some vehicle owners have disputes, such as submitting disagreements.

이러한 분쟁은 차량 소유자뿐만 아니라 경찰청 등의 국가기관의 불필요한 자원을 낭비하게 할 뿐만 아니라, 소송으로 사안이 번질 경우 관련된 주체들, 특히 과속 단속 카메라 또는 시스템의 제조, 납품 업체의 시간, 금전적 손해까지 유발할 수 있다. Such disputes not only waste unnecessary resources of not only vehicle owners but also state agencies such as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if the matter escalates into a lawsuit, it may cause time and financial damage to the relevant parties, especially the manufacturers of speed cameras or systems, and suppliers. can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분쟁 시에 차량 소유주에게 해당 차량의 주행속도를 입증할만한 증거를 제시할 수 있는 영상 분석 장치,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후속하는 분쟁을 최소화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n image analysis apparatus, system, and method therefor that can present evidence to prove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to the vehicle owner in the event of such a dispute. Through this, we aim to minimize subsequent disputes.

좀더 상세하게는, 과속 단속의 대상인 차량의 주행영상과 해당 도로의 규정 속도 또는 이로부터 일정 간격을 갖는 몇몇의 속도로 주행하는 차량을 촬영한 기준영상을 동시에 또는 함께 재생할 수 있는 영상 분석 장치,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More specifically, an image analysis device and system capable of simultaneously or simultaneously reproducing a driving image of a vehicle subject to speeding enforcement and a reference image of a vehicle traveling at a prescribed speed of the road or several speeds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from And to propose a method for this.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to be solved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to be solved,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주행속도를 검증하기 위한 장치가 제안되며, 상기 장치는 미리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속도로 주행하는 목표 차량의 주행영상과, 기준 차량의 기준속도 및 시간 경과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영상을 동시에 또는 함께 재생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for verifying the driving speed of a vehicle is proposed, wherein the device includes a driving image of a target vehicle traveling at a speed exceeding a preset speed, and reference speed and time lapse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vehic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terface for playing at least one reference image including the at the same time or together.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인터페이스는 주행영상 및 기준영상의 재생 및 일시 정지를 지원하는 조작부; 및 상기 목표 차량의 차량번호 및 주행영상의 촬영 장소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interface may include: a manipulation unit that supports playback and pause of driving images and reference images; and an informa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vehicle number of the target vehicle and the shooting location of the driving image.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주행영상이 호출되면, 도로의 규정 속도와 상기 기준영상이 자동으로 호출되도록 할 수 있다.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interface may automatically call the reference image and the prescribed speed of the road when the driving image is called.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기준영상은 상기 주행영상을 획득한 도로에서 객체 검출 장치를 이용해 상기 기준속도로 주행하는 기준 차량을 촬영하여 획득될 수 있다.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reference image may be obtained by photographing a reference vehicle traveling at the reference speed using an object detection device on a road on which the driving image is obtained.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기준영상은 기 저장된 복수 개의 후보 기준영상에서 상기 목표 차량의 속도에 따라 선택되어 재생될 수 있다.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reference image may be selected and reproduced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target vehicle from a plurality of pre-stored candidate reference images.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기준속도는 상기 기준 차량의 외부 장착된 인증 속도계를 통해 표출될 수 있다.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reference speed may be displayed via an externally mounted certified speedometer of the reference vehicle.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시간 경과 정보는 상기 기준 차량의 외부 정보 표시 장치에서 표시될 수 있다.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time-laps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an extern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of the reference vehicle.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주행영상은 시간 경과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영상의 시간 경과 정보는 상기 기준영상의 시간 경과 정보와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driving image may include time lapse information, and the time lapse information of the driving image may have a different value from the time lapse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image.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시간 경과 정보는 숫자 형태 또는 도형 형태일 수 있다.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time-lapse information may be in the form of numbers or figures.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주행영상 및 상기 기준영상 각각은, 각 영상의 촬영 장치와 상기 목표 차량 및 상기 기준 차량 사이의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each of the driving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may includ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a photographing device of each image and the target vehicle and the reference vehicle.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거리 정보는 상기 목표 차량 또는 상기 기준 차량을 검출하는 객체 검출 장치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distance information may be calculated by an object detection device that detects the target vehicle or the reference vehicle.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거리 정보는 상기 주행영상 또는 상기 기준영상의 영상 프레임 상의 상기 목표 차량 또는 상기 기준 차량의 번호판의 위치를 이용해 산출될 수 있다.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distance information may be calculated using the position of the license plate of the target vehicle or the reference vehicle on an image frame of the driving image or the reference image.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주행영상 및 상기 기준영상의 거리 정보가 동일한 영상 프레임 중 기 설정된 제1 값의 거리 정보를 갖는 영상 프레임을 상기 주행영상 및 상기 기준영상의 시작프레임으로서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interface is configured to reproduce an image frame having distance information of a preset first value among the image frames in which the distance information of the driving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is the same as the start frame of the driving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can do.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주행영상 및 상기 기준영상의 거리 정보가 동일한 영상 프레임 중 기 설정된 제2 값의 거리 정보를 갖는 영상 프레임을 상기 주행영상의 종료프레임으로서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interface may play an image frame having distance information of a preset second value among image frames having the same distance information of the driving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as the end frame of the driving image.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거리 정보에 따라 획득된 상기 주행영상 및 상기 기준영상의 시작프레임 및 종료프레임 사이의 영상 프레임을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interface may reproduce an image frame between a start frame and an end frame of the driving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obtained according to the distance information.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기준영상과 상기 주행영상의 시작 프레임 또는 종료 프레임을 서로 일치하게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interface may reproduce the start frame or the end frame of the reference image and the driving image to match each other.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속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되며, 상기 방법은 미리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속도로 주행하는 목표 차량의 주행영상과, 기준 차량의 기준속도 및 시간 경과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영상을 동시에 또는 함께 재생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for verifying the driving speed of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wherein the method includes a driving image of a target vehicle traveling at a speed exceeding a preset speed, and a reference speed and time of the reference vehicle The method may include providing an interface for simultaneously or together playing at least one reference image including progress information.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주행영상이 호출되면, 도로의 규정 속도와 상기 기준영상을 자동으로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method may include automatically calling the reference image and the prescribed speed of the road when the driving image is called.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로서, 앞서 언급한 차량의 주행속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안된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executed by a processor for performing the above-mentioned method for verifying the traveling speed of a vehicle is proposed.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로서, 앞서 언급한 차량의 주행속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가 제안된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executed by a processor for performing the above-mentioned method for verifying the driving speed of a vehicle is proposed.

상기 과제 해결방법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The above problem solving methods are only som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flected are based o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be derived and understood as

본 발명에 따르면, 주행영상과 기준영상을 동시에 재생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과속 여부를 직관적으로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imultaneously playing the driving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it is possible to visually check whether the vehicle is speeding or not.

또한, 주행영상과 기준영상의 시간 경과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재생 속도의 동일함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layback speed is the same by displaying time-lapse information of the driving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또한, 주행영상과 기준영상의 시작 프레임과 종료 프레임에서의 차량의 위치를 서로 동일한 지점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두 영상의 비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locating the vehicle positions in the start frame and the end frame of the driving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at the same point,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comparison of the two images.

또한, 주행영상과 기준영상의 시작 프레임과 종료 프레임 사이의 특정 프레임에서 영상의 재생을 자동적으로 일시 정지를 하게 함으로써, 두 영상에서의 차량의 속도 비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automatically pausing the reproduction of the image in a specific frame between the start frame and the end frame of the driving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comparison of vehicle speeds in the two images.

또한, 기준영상을 복수의 기준속도에 따라 복수 개 제공함으로써, 주행영상 내 차량의 주행속도의 상대적인 차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plurality of reference images according to a plurality of reference speeds,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a relative difference in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in the driving image.

본 발명에서 얻은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 분석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의 주행속도를 검증하기 위한 영상 분석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준영상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행속도 검증부의 인터페이스의 제1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행속도 검증부의 인터페이스의 제2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의 주행속도를 검증하기 위한 영상 분석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as a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expla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image analysis system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n image analysis apparatus for verifying the driving speed of a vehic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n example of a reference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first example of the interface of the traveling speed verif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second example of the interface of the traveling speed verif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of an image analysis method for verifying the driving speed of a vehic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as a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expla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help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singular forms used hereinafter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분석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영상 분석 시스템에는, 교통 상황을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하거나 객체 검출을 위한 카메라 등의 촬영 장치(1), 촬영 장치(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영상 분석 장치(2), 그리고 영상이나 영상 분석의 결과 등을 전달받아 실시간 관제하거나 영상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각종 지방자치단체, 도로공사, 시설공단, 경찰청 등이 운영하고 있는 교통 관제실과 같은 운영 장치(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분석 시스템은 다양한 객체 검출 장치(예컨대, 전자기적 센서, 레이더 센서, 영상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영상 분석 장치(2)는 객체 검출 장치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분석 장치(2)는 촬영 장치(1) 또는 운영 장치(3)에 포함되거나, 또는 촬영 장치(1) 및 운영 장치(3)와 통신하는 별도의 장치나 시스템 등으로 존재할 수 있다. 1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image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mage analysis system, a photographing device 1 such as a camera for generating an image or detecting an object by photographing a traffic situation, an image analysis device 2 connected to the photographing device 1 by wire or wirelessly, and an image or image Includes operating devices (3) such as traffic control rooms operated by various local governments, the Road Corporation, the Korea National Police Agency, etc. can do. In addition, the image analysis system may further include various object detection devices (eg, at least one of an electromagnetic sensor, a radar sensor, and an image sensor). In this case, the image analysis device 2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object detection device. can The image analysis apparatus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cluded in the photographing device 1 or the operating device 3 , or may exist as a separate device or system that communicates with the photographing device 1 and the operating device 3 . hav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행속도의 검증을 위한 영상 분석 장치(2)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영상 분석 장치(2)는 주행정보 수집부(210), 주행영상 획득부(220), 기준영상 획득부(230), 주행속도 검증부(240), 제어부(250), 통신부(260), 저장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210 내지 270) 중 일부가 하나로 통합되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고, 또는 상기 구성요소 중 일부가 분할되어 본 발명을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영상 분석 장치(2)의 일부 구성요소가 촬영 장치(1) 또는 운영 장치(3)에 포함되어 본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2 is a block diagram of an image analysis apparatus 2 for verifying the driving speed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analysis device 2 includes a driving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 a driving image acquisition unit 220 , a reference image acquisition unit 230 , a driving speed verification unit 240 , a control unit 250 , a communication unit 260 , and storage A portion 270 may be included. Some of the components 210 to 270 may be integrated into one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or some of the above components may be divided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some components of the image analysis apparatus 2 may be included i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 or the operating apparatus 3 to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주행정보 수집부(210)는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주행정보 수집부(210)는 획득한 주행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주행정보는 차량의 주행속도와 차량영상, 그리고 주행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영상 또는 주행영상의 획득을 위해, 주행정보 수집부(210)는 카메라와 같은 촬영 장치(1)와 연동할 수 있으며, 주행속도의 검출을 위해 레이더 센서와 같은 객체 검출 장치와 연동할 수 있다. 또한, 주행정보는 차량영상을 분석하여 획득할 수 있는 정보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 차량종류, 차량색상, 탑승자의 안전벨트 착용 여부, 운전자의 휴대전화 사용여부, 신호 위반 여부, 적재함 상태, 탑승자 분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행정보는 차량의 위치 정보, 차량영상이 촬영된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정보 수집부(210)는 영상분석을 통해 차량영상으로부터 차량의 번호를 추출하여 텍스트 형태의 차량번호를 기준으로 각종 주행정보를 매칭하여 관리할 수 있고, 추후 필요한 경우에 주행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주행정보 수집부(210)는 획득된 주행정보 중 미리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거나 미달하는 주행속도로 주행하는 차량(이하, "목표 차량"이라 함)을 식별할 수 있다. 이는 목표 차량의 주행영상과 후술할 기준영상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The driving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may acquire driving information of a vehicle traveling on a road. The driving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may store the acquired driving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270 . Here, the driving information may include a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a vehicle image, and a driving image. In order to obtain a vehicle image or a driving image, the driving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may interwork with the photographing device 1 such as a camera, and may interwork with an object detection device such as a radar sensor to detect driving speed. . In addition, the driving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that can be obtained by analyzing the vehicle image, and the vehicle number, vehicle type, vehicle color, whether the occupant is wearing a seat belt, whether the driver uses a mobile phone, whether the signal is violated , load box status, and occupant analysis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driving information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vehicle image was captured. The driving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can extract the vehicle number from the vehicle image through image analysis, match and manage various types of driving information based on the vehicle number in text form, and provide driving information if necessary later. have. The driving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may identify a vehic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arget vehicle”) traveling at a driving speed exceeding or less than a preset speed among the acquired driving information. This is to compare the driving image of the target vehicle with a reference image to be described later.

목표 차량을 식별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속도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속도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의 미리 설정된 속도는 이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주로 미리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주행속도로 주행하는 목표 차량, 즉 과속 단속의 대상이 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나, 미리 설정된 속도를 미달하는 주행속도로 주행하는 목표 차량, 즉 저속 단속의 대상이 되는 경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The preset speed for identifying the target vehicle may include, for example, the following speed, and the preset spe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target vehicle traveling at a driving speed exceeding a preset speed, that is, a case subject to overspeed enforce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but a target vehicle traveling at a driving speed lower than the preset speed, that is, a low speed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cases subject to crackdown.

일반 도로에는 차량이 주행하는 속도의 상한, 그리고 고속 도로에서는 상한속도와 하한속도(이하, "규정 속도"라 함)가 정해져 있다. 통상적으로 어린이 보호구역은 30km/h, 주택가 이면 도로는 50 km/h 등으로 규정 속도가 정해져 있다. 이 경우, 미리 설정된 속도는 각 도로 별로 설정된 규정 속도를 지칭할 수 있다. 여기서 주행영상은, 규정 속도를 위반하고 난 뒤의 목표 차량의 주행하는 모습을 촬영한 영상이 아니라, 규정 속도를 위반하는 당시의 주행하는 모습을 촬영한 영상(예컨대, 속도 산출 구간에서의 차량의 주행영상)에 해당한다. The upper limit of the speed at which the vehicle travels on general roads, and the upper and lower speed limits on expressways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gular speed") are determined. In general, the speed limit is set at 30 km/h in child protection zones and 50 km/h on roads in residential areas. In this case, the preset speed may refer to a prescribed speed set for each road. Here, the driving image is not an image of the target vehicle driving after violating the regulated speed, but an image of driving at the time of violating the regulated speed (eg, the image of the vehicle in the speed calculation section) driving video).

한편, 차량이 규정 속도를 초과한다고 해서 바로 과태료 부과 등의 과속 단속의 목표 차량으로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규정 속도에서 일정 속도 값(예컨대, 10km/h)을 초과하는 속도부터가 단속의 목표가 된다. 또한, 고속도로의 하한의 속도의 경우에, 규정 속도에서 일정 속도 값(예컨대, 10km/h)만큼 미만의 속도부터가 단속의 목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속도를 “임계 속도”로 지칭하며, 과속의 경우에는 과속 임계 속도, 저속인 경우에는 저속 임계 속도로 지칭할 수 있다. 이 경우, 미리 설정된 속도는 임계 속도를 지칭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just because a vehicle exceeds the prescribed speed does not mean that it is directly determined as a target vehicle for speeding enforcement such as imposition of a fine. In general, a speed exceeding a certain speed value (eg, 10 km/h) from the prescribed speed is the target of the crackdown.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peed of the lower limit of the expressway, a speed less than a certain speed value (eg, 10 km/h) from the prescribed speed may be the target of the crackdown. This speed is referred to as a “critical speed”, and may be referred to as an overspeed critical speed in the case of overspeed and a low critical speed in the case of low speed. In this case, the preset speed may refer to a threshold speed.

목표 차량의 주행영상은 기준영상과 비교를 위한 것이어서, 촬영 장치(1)의 물리적인 흔들림으로 인해 소량의 차이(예컨대, 화각의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주행영상과 기준영상의 촬영 조건은 모두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특정의 지점, 높이, 화각 조건 등으로 설치된 동일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행영상과 기준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The driving image of the target vehicle is for comparison with the reference image, so there may be a small difference (eg, difference in the angle of view) due to physical shaking of the photographing device 1, but the shooting conditions of the driving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are all It is preferable to set the same. For example, a driving image and a reference image may be captured using the same camera installed at a specific point, height, angle of view, etc. conditions.

마찬가지로, 주행영상 및 기준영상의 시작 프레임과 종료 프레임을 도로 상의 서로 동일한 위치의 차량의 장면에 해당하도록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ikewise, it is preferable to obtain the start frame and the end frame of the driving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so as to correspond to the scene of the vehicle at the same position on the road.

이를 위해서, 주행정보 수집부(210)는 주행영상이 각 영상 프레임별 목표 차량의 촬영 장치(1)로부터의 거리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행영상은 각 프레임 별 목표 차량의 촬영 장치(1)로부터의 거리정보(예컨대, 프레임 1은 45m, 프레임 2는 44m, ...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거리 정보는 기준영상 및 기준 차량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주행정보 수집부(210)는 주행영상과 기준영상의 거리정보가 일치하는 영상 프레임 중 가장 먼 거리정보 또는 기 설정된 제1 거리에 해당하는 영상 프레임을 주행영상의 시작 프레임으로 설정하고, 가장 가까운 거리 정보 또는 기 설정된 제2 거리(제1 거리보다는 짧은)에 해당하는 영상 프레임을 주행영상의 종료 프레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주행영상은 목표 차량의 거리 정보를 포함한 영상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driving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driving image includes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photographing device 1 of the target vehicle for each image frame. Accordingly, the driving image may include distance information (eg, 45m for frame 1, 44m for frame 2, ...) of the target vehicle for each frame. This distance information can be applied to the reference image and the reference vehicle in the same way, and accordingly, the driving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10 sets the distance information of the farthest distance among the image frames in which the distance information of the driving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matches, or a preset system. An image frame corresponding to 1 distance may be set as a start frame of the driving image, and an image frame corresponding to the closest distance information or a preset second distance (shorter than the first distance) may be set as the end frame of the driving image. Accordingly, the driving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mage frame including distance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주행영상에 거리정보를 포함시키기 위해, 거리정보를 획득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서, 속도를 측정하는 객체 검출 장치 등에서 속도 산출 구간에 진입 또는 주행하는 차량의 촬영 장치(1)로부터의 거리정보를 실시간 산출하도록 하고, 이를 이용하여 적어도 속도 산출 구간을 통과하는 목표 차량의 장면을 포함하도록 속도 산출 구간 전후에 여유를 두고 목표 차량의 주행영상이 촬영 및 저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영상은 목표 차량의 거리정보를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In order to include distance information in the driving image, as one method of acquiring distance information,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photographing device 1 of a vehicle entering or driving a speed calculation section is calculated in real time by an object detection device that measures speed, etc. The driving image of the target vehicle may be captured and stored with a margin before and after the speed calculation section to include at least a scene of the target vehicle passing through the speed calculation section using this. Accordingly, the captured image may be set to include distance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주행영상의 거리정보를 획득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촬영된 영상 프레임에서, 목표 차량의 번호판의 위치를 이용하여 목표 차량의 촬영 장치(1)로부터의 거리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주행정보 수집부(210)는 주행영상에 대해서 영상 프레임 내 목표 차량의 번호판의 위치에 따른 거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영상은 목표 차량의 거리정보를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As another method of obtaining distance information of the driving image,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photographing device 1 of the target vehicle may be calculated by using the location of the license plate of the target vehicle in the captured image frame. The driving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may store distan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license plate of the target vehicle in the image frame with respect to the driving image. Accordingly, the captured image may be set to include distance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또한, 주행정보 수집부(210)는 촬영 장치(1)로부터 주행영상을 모두 저장부(270)에 저장해놓을 수 있고, 주행영상 획득부(220)가 거리정보가 반영된, 즉 시작 프레임과 종료 프레임 사이(시작 프레임과 종료 프레임 포함)의 영상 프레임을 주행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driving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may store all the driving images from the photographing device 1 in the storage unit 270 , and the driving image acquisition unit 220 reflects the distance information, that is, the start frame and the end frame. It allows the image frame between (including the start frame and the end frame) to be acquired as a driving image.

그리고나서, 주행영상 획득부(220)는 주행정보 수집부(210)에 의해 수집된 주행영상 중에서 목표 차량의 주행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Then, the driving image acquisition unit 220 may acquire a driving image of the target vehicle from among the driving images collected by the driving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

도로를 주행하는 규정 속도를 위반하는 목표 차량의 차량영상의 획득은 통상적으로 목표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고, 목표 차량의 증거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최종적으로 1개의 영상 프레임을 획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차량영상을 획득하는 방식은 통상적으로 두 가지 방식이 있는데, 첫째는 통행하는 모든 차량의 차량영상을 획득하고, 측정한 속도를 비교하여 규정 속도 또는 임계 속도를 초과하면 영상을 저장하는 방식, 둘째는 속도를 산출하는 센서에서 규정 속도 또는 임계 속도를 초과하는 차량에 대하여 트리거 신호를 발생하면, 촬영을 하고 이를 저장하는 방식이 있다.Acquisition of a vehicle image of a target vehicle that violates a prescribed speed traveling on a road is generally achieved by recognizing the number of the target vehicle and finally acquiring one image frame to obtain an evidence image of the target vehicle. As such, there are generally two methods of acquiring vehicle images. First, vehicle images of all passing vehicles are acquired, the measured speed is compared, and the image is stored when the specified speed or critical speed is exceeded; Second, when the sensor that calculates the speed generates a trigger signal for the vehicle exceeding the prescribed speed or the threshold speed, there is a method of taking a picture and storing it.

주행영상 획득부(220)는 위에서 설명한 1개의 영상 프레임의 차량영상과 다르게, 적어도 속도를 산출하는 구간(이하, "속도 산출 구간")의 시작지점과 종료지점을 포함하는, 일정한 구간을 통과하는 목표 차량의 주행영상, 즉 복수 개의 영상 프레임을 획득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주행영상을 획득하는 방식을 한정하지는 않는다.The driving image acquisition unit 220, different from the vehicle image of one image frame described above, passes through a certain section, including at least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of the section for calculating the speed (hereinafter, the “speed calculation section”). It is required to acquire a driving image of the target vehicle, that is, a plurality of image frames. For this, the method of acquiring the driving image is not limited.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것처럼, 주행정보 수집부(210)에 의해 목표 차량의 거리정보에 따라 주행영상의 시작 프레임과 종료 프레임이 설정되어 저장부(27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주행영상 획득부(220)는 주행영상을 그대로 저장부(27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tart frame and the end frame of the driving image are set by the driving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according to the distance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270 , the driving image acquisition unit 220 may acquire the driving image as it is from the storage 270 .

또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주행정보 수집부(210)에 의해 목표 차량의 거리정보와 관계없이 주행영상 전체가 저장부(27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주행영상 획득부(220)는 거리정보를 고려하여 주행영상을 저장부(27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Alternatively,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ntire driving imag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70 regardless of the distance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by the driving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the driving image acquisition unit 220 considers the distance information. Thus, the driving image may be acquired from the storage unit 270 .

주행영상은 예컨대, 약 5 내지 10초 정도의 길이의 영상 프레임을 포함하는데, 주행영상 획득부(220)는 주행정보에 포함되는 차량영상 보다 크기가 작거나 또는 줄인채 주행영상을 저장부(270)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차량영상은 제1 해상도의 영상 프레임으로 저장되는 반면에, 주행영상 획득부(220)는 주행영상을 제1 해상도 또는 제2 해상도(제1 해상도보다 낮거나 작은)의 영상 프레임으로 저장부(27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주행영상 획득부(220)는 주행영상을 저장함에 있어서, 지원하는 초당 프레임 수 중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초당 프레임 수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주행영상 획득부(220) 대신 주행정보 수집부(210)가 주행영상의 해상도를 조절하거나 초당 프레임 수를 조절하여 저장부(270)에 저장할 수도 있다.The driving image includes, for example, an image frame having a length of about 5 to 10 seconds, and the driving image acquisition unit 220 stores the driving image with a size smaller or reduced than the vehicle image included in the driving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270 ) can be stored in That is, the vehicle image is stored as an image frame of the first resolution, while the driving image acquisition unit 220 stores the driving image as an image frame of the first resolution or the second resolution (lower or smaller than the first resolution). (270) can be stored. In addition, the driving image acquisition unit 220 may store the driving image at a relatively high number of frames per second among supported frames per second. Alternatively, instead of the driving image acquisition unit 220 , the driving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may adjust the resolution of the driving image or adjust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and store it in the storage unit 270 .

차량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장치와 주행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장치는 동일한 촬영 장치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주행영상 획득부(220)는 동일한 촬영 장치에서 해상도(즉, 크기)를 다르게 설정하여 생성 또는 기록한 주행영상을 저장부(270)로부터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photographing device for photographing a vehicle image and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 driving image can be configured as the same photographing device, and the driving image acquisition unit 220 sets the resolution (ie, size) differently in the same photographing device to generate or It is preferable to obtain the recorded driving image from the storage unit 270 .

주행영상 획득부(220)는 촬영 장치(1)에서 영상을 촬영(또는 기록)하면서 생성된 촬영 시점의 시간 정보(이하, "촬영 시간 정보")를 기초로 주행영상의 시간 경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주행영상 획득부(220)는 생성된 주행영상의 시간 경과 정보를 주행영상에 표시하거나 포함시킬 수 있고, 시간 경과 정보가 표시 또는 포함된 주행영상을 저장부(27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시간 경과 정보는 시간의 경과를 실제 시, 분, 초 등의 단위로 표출하여, 주행영상의 관찰자가 시, 분, 초 등의 시간 경과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이다. 시간 경과 정보는 주행영상의 촬영 시간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예컨대, 1초)에 따라 생성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동안은 시간 경과 정보 값이 일정 값을 유지하도록 하며,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시간 경과 정보 값이 변경(예컨대, 1씩 증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만, 후술할 것처럼, 주행영상과 기준영상에 각각 시간 경과 정보가 생성된다면, 적어도 이 둘의 시간 경과 정보의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은 서로 동일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행영상 획득부(220)는 주행영상의 촬영 시간 정보를 별도로 저장부(270)에 저장할 수 있다. The driving image acquisition unit 220 generates time-lapse information of the driving image based on the time information (hereinafter, “shooting time information”) of the shooting time generated while shooting (or recording) the image in the shooting device 1 . can The driving image acquisition unit 220 may display or include time-lapse information of the generated driving image in the driving image, and store the driving image in which the time-lapse information is displayed or included in the storage unit 270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ime-lapse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expresses the passage of time in units of actual hours, minutes, seconds, etc., so that an observer of the driving image can identify the passage of time such as hours, minutes, and seconds. The time laps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a preset time interval (eg, 1 second) based on the shooting time information of the driving image, and during the preset time interval, the time lapse information value maintains a predetermined value, It may be set to change (eg, increase by 1) the value of the time lapse information at every time interval. Howev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if time-lapse information is generated in each of the driving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the preset time interval of the two time-lapse information should be the same. In addition, the driving image acquisition unit 220 may separately store the shooting time information of the driving image in the storage unit 270 .

또한, 실시예에 따라, 주행정보 수집부(210)와 주행영상 획득부(220)는 통합되어 하나로써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riving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10 and the driving image acquiring unit 220 may be integrated to perform their functions as one.

기준영상 획득부(230)는 기준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저장부(270)에 저장해놓은 뒤에, 필요시에 기준영상이 주행속도 검증부(240)에 의해 재생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기준영상은 주행영상과의 비교를 위한 것이므로, 주행영상을 획득한 도로에서 기준속도로 주행하는 기준 차량을 촬영 장치(1) 또는 레이더 센서와 같은 객체 검출 장치를 통해 촬영하고, 기록한 영상일 수 있다. 즉, 기준영상의 촬영을 위해, 카메라와 같은 촬영 장치(1) 또는 레이더 센서와 같은 객체 검출 장치가 이용될 수 있으며, 촬영된 기준영상은 저장부(270)에 저장될 수 있다.The reference image acquisition unit 230 may obtain a reference image, store it in a storage unit 270 such as a database, etc. . In addition, since the reference image is for comparison with the driving image, the reference vehicle driving at the reference speed on the road on which the driving image is obtained is photographed through the photographing device 1 or an object detection device such as a radar sensor, and the recorded image is can That is, for capturing the reference image, a photographing device 1 such as a camera or an object detecting apparatus such as a radar sensor may be used, and the captured reference image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70 .

일 실시예로서, 기준영상이라 함은, 속도 산출 구간의 과속 임계 속도(예컨대, 규정속도+10km/h)로 주행하는 기준 차량의 복수의 영상 프레임으로 구성된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엔, 기준영상에 적용되는 과속 임계 속도가 "기준속도"로 지칭될 수 있고, 주행영상에 적용되는 목표 차량의 속도를 "주행속도"로 지칭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주행영상의 "주행속도"가 기준영상의 "기준속도"보다 빠르기만 하면, 목표 차량의 과속이 식별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the reference image may refer to an image composed of a plurality of image frames of a reference vehicle traveling at a speed threshold speed (eg, a prescribed speed +10 km/h) in the speed calculation section. In this case, the overspeed threshold speed applied to the reference image may be referred to as a “reference speed”, and the speed of the target vehicle applied to the driving image may be referred to as a “driving speed”. According to this, as long as the "driving speed" of the driving image is faster than the "reference speed" of the reference image, the overspeed of the target vehicle can be identified.

또 다른 실시예로서, 기준영상은 주행영상과 상대적인 비교를 위한 영상으로써, 일정한 속도에서 주행하는 기준 차량의 복수의 영상 프레임으로 구성된 영상으로서, 기준속도를 객관적으로 입증, 제시할 수 있다면, 이러한 영상들은 모두 기준영상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엔, 기준영상에 적용되는 일정한 속도를 "기준속도"로 지칭할 수 있고, 주행영상에 적용되는 목표 차량의 속도를 "주행속도"로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영상 획득부(230)는 규정 속도보다 일정하게 낮은 기준속도(예컨대, 30km/h 규정 속도 도로에서 25km/h의 기준속도의 기준영상 생성) 또는 규정 속도보다 일정하게 높은 기준속도로 주행하게 하여 기준영상을 생성할 수 있으며, 기준속도와 기준영상은 이러한 예시에만 제한되지 않으며, 목표 차량의 주행영상과 비교 가능한 기준이 되는 모든 속도와 모든 영상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As another embodiment, the reference image is an image for relative comparison with the driving image. As an image composed of a plurality of image frames of a reference vehicle traveling at a constant speed, if the reference speed can be objectively verified and presented, such an image All of them can be included in the reference image. In this case, a constant speed applied to the reference image may be referred to as a “reference speed”, and the speed of the target vehicle applied to the driving image may be referred to as a “driving speed”. For example, the reference image acquisition unit 230 may include a reference speed that is constantly lower than the specified speed (eg, a reference image generated at a reference speed of 25 km/h on a 30 km/h road with a specified speed) or a reference speed that is constantly higher than the specified speed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reference image by driving with

기준영상은 복수의 기준속도로 주행하는 기준 차량들의 영상으로서 제공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복수 개의 기준영상이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의 기준 영상 각각은 서로 다른 기준속도로 주행하는 기준 차량의 영상 또는 복수의 영상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기준영상의 기준 속도는 서로 일정 크기의 속도 차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기준영상의 기준 속도 중 적어도 하나는 과속 임계 속도, 저속 임계 속도, 또는 규정 속도일 수 있다. Since the reference image may be provided as images of reference vehicles traveling at a plurality of reference speed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urality of reference images accordingly. Each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images may be composed of an image or a plurality of image frames of a reference vehicle traveling at different reference speeds. In this case, the reference speeds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images may be set to have a speed difference of a certain size from each other. Also, at least one of the reference speeds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images may be an overspeed threshold speed, a low speed threshold speed, or a prescribed speed.

당연하게도, 저속 임계 속도에 대해서도 본 발명이 적용되며, 이 때엔 기준속도는 저속 임계 속도를 기초로 위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ed to the low critical speed, and in this case, the reference speed may be set similarly to that described above based on the low critical speed.

기준영상을 생성함에 있어서, 기준 차량의 운전자는 운전 중에 차량 구동부의 회전량을 검출하여 계기판에 제공되는 속도와 GPS 센서(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등)를 이용한 차량 속도를 포함하는 두 종류의 차량 속도의 참고가 가능하다. 자동차 계기판의 속도는 자동차 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제11조 2항, 54조 1항 등에 따라 실제 속도보다 안전을 위하여 높게 제공하는데, 이를 고려하면 실제 속도는 계기판에 제공하는 속도보다 낮은 것이다. In generating the reference image, the driver of the reference vehicle detects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vehicle driving unit while driving and provides two types of vehicle speed including the speed provided to the instrument panel and the vehicle speed using a GPS sensor (eg, navigation, etc.) reference is possible. The speed of the vehicle dashboard is provided higher than the actual speed for safety in accordance with Article 11, Paragraph 2, Article 54, Paragraph 1, etc. of the Rules for Vehicle Safety Standards. Considering this, the actual speed is lower than the speed provided on the dashboard.

따라서, 기준영상을 생성할 때는 이러한 실제 속도와의 차이를 고려하여 생성하거나, 또는 GPS 센서의 산출 속도에서 맞추고 자동차의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의 정속 주행 기능(예를 들어, 크루즈 기능 등)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속도 산출 구간에 진입하기 전에 기준속도에 도달하여 해당 구간에서 일정하게 해당 속도를 유지하는 것이 요구된다.Therefore, when generating the reference image, the difference from the actual speed must be taken into account, or the speed calculated by the GPS sensor is adjusted and the constant speed driving function of the vehicle's 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for example, , cruise function, etc.) will be possible to drive.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reach the reference speed before entering the speed calculation section and constantly maintain the corresponding speed in the corresponding section.

즉, 기준영상의 기준속도는 상기 기준속도로 주행하는 기준차량의 계기판에 표시되는 속도 또는 GPS 센서에 의해 획득된 속도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the reference speed of the reference image is preferably the same as the speed displayed on the instrument panel of the reference vehicle traveling at the reference speed or the speed obtained by the GPS sensor.

또한, 기준영상을 생성하는 촬영 장치(1)를 통해 기준 차량의 주행 장면을 촬영하고, 차량의 외부에 장착된 인증된 속도계를 통해 표출되는 기준속도를 식별할 수 있도록 기준영상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reference image so that the driving scene of the reference vehicle is photographed through the photographing device 1 that generates the reference image, and the reference speed expressed through an authenticated speedometer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can be identified. do.

또한, 기준영상에도 기준영상의 시간 경과 정보가 표시되거나,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기준영상에는 기준영상의 촬영 시간 정보에 기초한 시간 경과 정보가 표시되거나 포함될 수 있다. 촬영 시간 정보는 기준영상이 촬영된 시간 정보, 예컨대, 연, 월, 일, 시, 분, 초 등의 정보를 의미한다. 이 경우엔, 기준영상 획득부(230)는 기준영상의 촬영 시간 정보에 기초한 시간 경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기준영상의 시간 경과 정보를 기준영상에 표시하거나 포함시킬 수 있고, 시간 경과 정보가 표시 또는 포함된 기준영상을 저장부(270)에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기준영상에 표시 또는 포함되는 시간 경과 정보는, 기준영상을 촬영할 때에 기준 차량의 외부에 장착된 정보 표시 장치(예컨대, 타이머 등)에 의해 표시되는 시간 경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간 경과 정보는 기준영상의 촬영 시간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예컨대, 1초)에 따라 생성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동안은 시간 경과 정보 값이 일정 값을 유지하도록 하며,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시간 경과 정보 값이 변경(예컨대, 1씩 증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ime-lapse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image may be displayed or included in the reference image. As an example, the reference image may display or include time-lapse information based on photographing time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image. The photographing time information means information about the time at which the reference image was captured, for example, information such as year, month, day, hour, minute, second,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reference image acquisition unit 230 may generate time-lapse information based on the shooting time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image, and display or include the time-lapse information of the generated reference image in the reference image, and A reference image on which information is displayed or included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70 . As another example, the time-lapse information displayed or included in the reference image may include time-lapse information displayed by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eg, a timer, etc.) mounted outside the reference vehicle when the reference image is captured. The time-laps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a preset time interval (eg, 1 second) based on the shooting time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image, and the time-lapse information maintains a predetermined value during the preset time interval, and It may be set to change (eg, increase by 1) the value of the time lapse information at every time interval.

시간 경과 정보는 후술할 주행속도 검증부(240)에서 기준영상 또는 주행영상의 재생속도가 정상 속도로 재생(이하, "표준 재생"이라 함)하고 있음을 입증하기 위한 수단이다. 만약, 기준영상을 느리게 재생하거나 주행영상을 빠르게 재생한다면, 목표 차량의 주행속도가 규정 속도를 초과(즉, 과속)하는 것으로 보여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준영상과 주행영상의 표준재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간 경과 정보"를 영상에 포함시키며, 이를 이용하여 표준재생을 입증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The time-lapse information is a means for verifying that the reference image or the driving image is reproduced at a normal spe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standard reproduction") in the driving speed verification unit 240 to be described later. This is because, if the reference image is reproduced slowly or the driving image is reproduced quickly, the driving speed of the target vehicle may be seen as exceeding the prescribed speed (ie, overspeeding). Therefore, "time-lapse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image as a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reference image and the driving image are reproduced in the standard, and a means for verifying the standard reproduction can be provided using this.

한편, 기준영상과 주행영상의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은 두 영상의 재생 속도의 동일함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므로, 서로 동일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준속도와 주행속도가 상대적으로 빨라서, 속도 산출 구간의 통과 시간이 짧을 수 있으므로, 속도 산출 구간을 통과하는 동안 시간 경과 정보가 변하지 않을 수 있고, 이렇다면 재생속도의 입증이 어려운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은 기준속도 또는 주행속도에 연동하여 결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preset time interval between the reference image and the driving image is to show that the playback speeds of the two images are the same, it is preferable to set them to be the same. In addition, since the reference speed and the running speed are relatively fast, the passage time of the speed calculation section may be short, so the time-lapse information may not change while passing the speed calculation section. . Accordingly, the preset time interval may be determined in association with the reference speed or the driving speed.

또한, 기준영상에도 기준영상의 기준 차량의 촬영 장치(1)로부터의 거리정보를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기준영상은 영상 프레임 별로 기준 차량의 촬영 장치(1)로부터의 거리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거리정보를 기준영상에 포함시키기 위해, 거리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주행영상의 거리정보를 획득하는 방법과 동일할 수 있으며, 상세한 내용은 앞서 설명한 주행영상의 거리정보 획득하는 방법을 참조하도록 한다. Also, the reference imag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photographing device 1 of the reference vehicle of the reference image. That is, the reference imag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 of the reference vehicle for each image frame. In this case, in order to include the distance information in the reference image, the method of obtaining distance information may be the same as the method of obtaining distance information of the driving image. For details, refer to the method of obtaining distance information of the driving image described above. to do it

이에 따라, 기준영상은 주행영상과 거리정보가 일치하는 영상 프레임 중 가장 먼 거리정보 또는 기 설정된 제1 거리에 해당하는 영상 프레임을 기준영상의 시작 프레임으로 설정되고, 가장 가까운 거리 정보 또는 기 설정된 제2 거리(제1 거리보다는 짧은)에 해당하는 영상 프레임을 기준영상의 종료 프레임으로 설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ference image is set as the start frame of the reference image with the farthest distance information or the image frame corresponding to the preset first distance among the image frames in which the driving image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match, and the closest distance information or the preset first distance. It may be configured to set an image fram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tance (shorter than the first distance) as the end frame of the reference image.

주행속도 검증부(240)는 목표 차량의 주행영상과 기준영상을 동시에 또는 함께 재생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주행속도 검증부(240)는 주행영상과 기준영상을 주행정보 수집부(210), 주행영상 획득부(220) 또는 기준영상 획득부(230)로부터, 또는 주행정보 수집부(210), 주행영상 획득부(220) 또는 기준영상 획득부(230)가 주행영상과 기준영상을 저장해놓은 저장부(270)로부터 호출하여 동시에 또는 함께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주행속도 검증부(240)는 주행영상과 기준영상의 재생은 표준재생임을 입증하는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The driving speed verifying unit 240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reproducing the driving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of the target vehicle simultaneously or together. The driving speed verification unit 240 collects the driving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from the driving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10 , the driving image acquiring unit 220 or the reference image acquiring unit 230 , or the driving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10 , the driving image The acquisition unit 220 or the reference image acquisition unit 230 may call from the storage unit 270 storing the driving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to play them simultaneously or together. In addition, the driving speed verification unit 240 may also provide a function of verifying that the reproduction of the driving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is the standard reproduction.

주행속도 검증부(240)는 주행영상 획득부(220) 또는 기준영상 획득부(230)에서 획득된 거리 정보가 포함된 주행영상 및 기준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두 영상의 시작 프레임 또는 종료 프레임이 일치하도록 영상을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The driving speed verification unit 240 may acquire a driving image and a reference image including the distanc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driving image acquiring unit 220 or the reference image acquiring unit 230, and a start frame or an end frame of the two images. You can play the video to match it.

또한, 주행속도 검증부(240)는, 주행영상 및 기준영상이 목표 차량 및 기준 차량의 거리정보에 따라서 시작 프레임 및 종료 프레임으로 설정된 채 저장되어 있는 경우, 주행영상 및 기준영상의 시작 프레임부터 재생을 시작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ving speed verification unit 240 reproduces from the start frame of the driving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when the driving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are stored as the start frame and the end frame according to the distance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and the reference vehicle. can start

또한, 주행속도 검증부(240)는, 주행영상 및 기준영상이 목표 차량 및 기준 차량의 거리정보와 관계없이 모두 저장되어 있는 경우, 거리정보에 따라서 주행영상 및 기준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예컨대, 주행속도 검증부(240)는 기준영상과 주행영상의 거리정보가 일치하는 영상 프레임 중 가장 먼 거리정보 또는 기 설정된 거리에 해당하는 영상 프레임을 시작 프레임으로 설정하고, 시작 프레임부터 재생을 시작할 수 있다. Also, when the driving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are all stored regardless of distance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and the reference vehicle, the driving speed verification unit 240 may reproduce the driving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according to the distanc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driving speed verification unit 240 sets an image frame corresponding to the longest distance information or a preset distance among image frames in which the distance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image and the driving image matches as the start frame, and starts playback from the start frame. can

예를 들어, 도로의 규정 속도가 30km/h이고, 30km/h의 기준영상이 있는 상황에서, 주행속도가 50km/h로 측정된 차량(즉, 목표 차량)의 주행영상이 획득된 상황에서, 목표 차량의 차량 소유주로부터 민원이 제기된 상황이라고 가정하면, 주행속도 검증부(240)는 목표 차량의 주행영상과 기준영상을 호출하여 동시에 또는 함께 재생하도록 함으로써, 육안으로도 두 속도의 비교가 가능하며, 이를 통해 민원 해소가 가능하리라 기대된다. For example, in a situation where the prescribed speed of the road is 30 km/h and there is a reference image of 30 km/h, in a situation where the driving image of the vehicle (ie, the target vehicle) whose driving speed is measured at 50 km/h is obtained, Assuming that a civil complaint is filed from the vehicle owner of the target vehicle, the driving speed verification unit 240 calls the driving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of the target vehicle to play them simultaneously or together, so that the two speeds can be compared with the naked eye. It is expected that complaints will be resolved through this.

한편, 해당도로의 규정 속도가 30 km/h 이라면, 기준영상 획득부(230)는 차량이 30, 40, 50km/h로 주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영상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며, 실제 실무에서 단속하는 속도에 맞게 또는 근접하게 획득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 prescribed speed of the corresponding road is 30 km/h, the reference image acquisition unit 230 will be able to acquire at least one reference image in which the vehicle travels at 30, 40, and 50 km/h, and in actual practice, It will be possible to acquire at or close to the speed of

좀더 구체적인 실시예로써, 해당도로의 기준영상은 복수 개 생성하여 저장되어 있도록 하고, 목표 차량의 주행속도에 따라 호출하여 재생할 기준영상이 복수 개의 후보 기준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기준영상 획득부(230)는 기 생성, 저장된 복수 개의 기준영상으로부터 목표 차량의 주행속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준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기준영상의 기준 속도는 서로 일정 크기의 속도 차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목표 차량이 규정 속도가 50km/h인 도로에서 65km/h로 주행한 것으로 판별되면, 기준속도가 50km/h, 60km/h, 70km/h인 3개의 기준영상을 획득하고, 이들을 주행속도 검증부(240)가 재생함으로써, 주행속도가 속하는 구간(60km/h 내지 70km/h)이 식별 또는 인식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주행속도 검증부(240)는 서로 다른 기준 속도를 갖는 복수 개의 기준영상을 주행영상과 동시에 또는 함께 재생할 수 있고, 이 때 복수 개의 기준영상 각각의 기준속도는 서로 일정한 크기의 속도 차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As a more specific embodiment, a plurality of reference images of a corresponding road are generated and stored, and at least one reference image to be called and played back according to the driving speed of the target vehicle can be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candidate reference images. . That is, the reference image acquisition unit 230 may acquire at least one reference image from a plurality of previously generated and stored reference images according to the driving speed of the target vehicle. In this case, the reference speeds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images may be set to have a speed difference of a certain size from each other.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arget vehicle is traveling at 65 km/h on a road with a prescribed speed of 50 km/h, three reference images with reference speeds of 50 km/h, 60 km/h, and 70 km/h are acquired, and they are By regenerating the verification unit 240 , a section (60 km/h to 70 km/h) to which the traveling speed belongs can be identified or recognized. That is, the driving speed verifying unit 240 may reproduce a plurality of reference images having different reference speeds simultaneously or together with the driving images, and in this case, the reference speeds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images have a speed difference of a certain size. can be set.

또한, 기준영상과 주행영상에는 시간 경과 정보가 표시 또는 포함될 수 있고, 양 측의 시간 경과 정보는 서로 동일한 시간 간격을 갖도록 설정되므로, 양 측의 시간 경과 정보의 값의 갱신(즉, 변경)은 동일한 간격(또는 주기)을 가진 채 이루어질 것이다. 이에 따라, 두 영상이 정상 속도로 재생(즉, 표준재생)되고 있음을 보여줄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ime-lapse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r included in the reference image and the driving image, and the time-lapse information on both sides is set to have the same time interval, updating (that is, changing) the value of the time-lapse information on both sides It will be done with equal intervals (or periods). Accordingly, it can be shown that the two images are being played back at a normal speed (ie, standard playback).

이와 같이 주행속도 검증부(240)는 기준영상과 주행영상을 동시에 또는 함께 재생하여, 이들의 상대적인 비교가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기준영상과 주행영상의 재생속도에 대한 문제 해결을 위하여 시간 경과 정보를 이용하여 서로 동일한 속도의 재생임을 입증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In this way, the driving speed verification unit 240 reproduces the reference image and the driving image at the same time or together, and provides an interface that allows a relative comparison between them, and also solves the problem of the playback speed of the reference image and the driving image. For this purpose, it will be possible to prove that they are reproduced at the same speed by using time-lapse information.

한편, 주행속도 검증부(240)는 기준영상과 주행영상을 재생하도록 할 때, 두 영상의 시작 프레임 또는 종료 프레임을 동기화하여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기준영상과 주행영상의 시작 프레임 또는 종료 프레임에서 차량의 위치는 도로 상에서 서로 동일한 지점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준영상과 주행영상의 재생 시작 시점에서 두 영상의 시작 프레임이 재생되도록 구성하거나, 두 영상의 재생 종료 시점에서 두 영상의 종료 프레임이 재생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두 영상에서의 차량의 속도가 비교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driving speed verification unit 240 reproduces the reference image and the driving image, the start frame or the end frame of the two images may be synchronized and reproduced.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vehicle in the start frame or the end frame of the reference image and the driving image is preferably the same point on the road. The start frame of the two images may be played back at the playback start time of the reference image and the driving image, or the end frame of the two images may be played back at the end of the playback of the two images. Accordingly, the vehicle speed in the two images can make comparisons possible.

또한, 기준영상과 주행영상은, 적어도 차량이 도로 상의 속도 산출 구간을 통과하는 장면을 포함하고 있음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준영상과 주행영상의 시작 프레임과 종료 프레임은 차량의 위치가 각각 속도 산출 구간의 시작 지점 또는 그 이전이고, 그리고 속도 산출 구간의 종료 지점 또는 그 이후일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eference image and the driving image include at least a scene in which the vehicle passes through a speed calculation section on the road. Accordingly, in the start frame and the end frame of the reference image and the driving image, the vehicle position may be at or before the start point of the speed calculation section, respectively, and may be at or after the end point of the speed calculation section.

또한, 기준영상과 주행영상의 원활한 비교를 위해, 주행속도 검증부(240)는 기준영상과 주행영상의 재생이 미리 설정된 시점에서 자동으로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기준영상과 주행영상의 재생의 자동 정지는, 기준영상을 기준으로 기준영상의 시작 프레임과 종료 프레임 사이의 특정 프레임(예컨대, 중간 프레임) 또는 주행영상을 기준으로 주행영상의 시작 프레임과 종료 프레임 사이의 특정 프레임(예컨대, 중간 프레임)이 재생되는 미리 설정된 시점에서 자동 정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for smooth comparison between the reference image and the driving image, the driving speed verification unit 240 may automatically stop the reproduction of the reference image and the driving image at a preset time point. More preferably, the automatic stop of the reproduction of the reference image and the driving image is a specific frame (eg, an intermediate frame) between the start frame and the end frame of the reference image based on the reference image or the start of the driving image based on the driving image It may be set to automatically stop at a preset point in time when a specific frame (eg, an intermediate frame) between the frame and the end frame is reproduced.

또한, 기준영상과 주행영상의 원활한 비교를 위해, 주행속도 검증부(240)는 기준영상과 주행영상의 재생이 기준영상 또는 주행영상 내의 목표 차량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위치(예를 들어, 도로의 가운데 지점)에서 자동으로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for smooth comparison of the reference image and the driving image, the driving speed verification unit 240 determines that the reference image and the driving image are reproduced at a preset location (for example, on the road) It can be set to automatically stop at the center point).

또한, 주행속도 검증부(240)는 기준영상 및 주행영상의 표준재생 외에도, 서로 재생속도가 동일하도록 제어하여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ving speed verification unit 240 may reproduce the reference image and the driving image by controlling the playback speed to be the same in addition to the standard playback.

제어부(250)는 영상 분석 장치(2)의 구성 요소들, 예컨대 주행정보 수집부(210), 주행영상 획득부(220), 기준영상 획득부(230), 주행속도 검증부(240), 통신부(260) 및 저장부(270)를 제어하며, 좀더 상세하게는 해당 구성 요소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특징을 구현하도록 지시/명령을 전달하고, 그에 따른 결과를 수신할 수 있으며, 하나의 구성 요소로부터 다른 구성 요소로 정보, 메시지, 데이터 등을 전달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50 includes components of the image analysis device 2 , for example, a driving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 a driving image acquisition unit 220 , a reference image acquisition unit 230 , a driving speed verification unit 240 , and a communication unit. 260 and the storage unit 270 are controlled, and in more detail, a corresponding component can transmit an instruction/command to implement the feature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receive a result thereof, and one component It can pass information, messages, data, etc.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통신부(260)는 주행정보 수집부(210)에 의해 획득된 차량의 주행정보 또는 차량영상, 주행영상 획득부(220)에 의해 획득된 차량의 주행영상, 기준영상 획득부(230)에 의해 획득된 기준영상, 주행속도 검증부(240)에 의해 제공되는 기준영상 및 주행영상의 동시 재생 또는 두 영상의 비교 결과 등 영상 분석 장치(2)의 구성 요소에 의해 생성되거나 획득된 정보를 외부의 장치 또는 시스템 등으로 전달할 수 있고, 좀더 상세하게는 외부의 시스템(예컨대, 운영 장치(3))로 해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60 obtains the driving information or vehicle image of the vehicle obtained by the driving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10 , the driving image of the vehicle obtained by the driving image obtaining unit 220 , and the reference image obtaining unit 230 . Information generated or acquired by the components of the image analysis device 2, such as the reference image, the reference image provided by the driving speed verification unit 240, simultaneous playback of the driving image, or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two images, to an external device Alternatively, th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a system or the like, and in more detail,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system (eg, the operating device 3 ).

저장부(270)는 촬영 장치(1)에서 촬영된 원본 도로 영상을 저장하거나, 주행정보 수집부(210)에 의해 획득된 차량의 주행정보, 주행영상 획득부(220)에 의해 획득된 차량의 주행영상, 기준영상 획득부(230)에 의해 획득된 기준영상, 주행속도 검증부(240)에 의해 제공되는 기준영상 및 주행영상의 동시 재생 또는 두 영상의 비교 결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270 stores the original road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device 1 ,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cquired by the driving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 and the vehicle acquired by the driving image acquisition unit 220 . The driving image, the reference image acquired by the reference image acquiring unit 230 , the reference image and the driving image provided by the driving speed verifying unit 240 , or a comparison result of the two images may be stored.

저장부(270)는 도 2에는 다른 구성요소들과 개별적인 구성요소로 도시되어 있으나, 각 구성요소, 예컨대, 주행정보 수집부(210), 주행영상 획득부(220), 기준영상 획득부(230), 주행속도 검증부(240), 제어부(250), 통신부(26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도 저장부가 개별적으로 구비(예컨대, 임시 저장부로서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저장부(270)는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구비된 임시 저장부를 포함하는 개념에 해당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Although the storage unit 270 is shown as an individual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in FIG. 2 , each component, for example, a driving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 a driving image acquisition unit 220 , and a reference image acquisition unit 230 . ), the driving speed verifying unit 240 , the control unit 250 , and the communication unit 260 may also be individually provided with a storage unit (eg, as a temporary storage unit) inside at least one of the communicators 260 . Therefore, in this specification, it will be reasonable to view that the storage unit 270 corresponds to a concept including a temporary storage unit provided inside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한편,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영상 분석 장치(2)는 촬영 장치(1), 운영 장치(3), 또는 다양한 종류의 객체 검출 장치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고 하였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image analysis apparatus 2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 , the operating apparatus 3 , or various types of object detection apparatuses.

촬영 장치(1)는 목표 차량의 차량영상, 주행영상, 그리고 기준 차량의 기준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객체 검출 장치는 도로 상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 속도를 검출하고, 이에 따라 목표 차량을 검출할 수 있다.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 may photograph a vehicle image of the target vehicle, a driving image, and a reference image of the reference vehicle. Also, the object detection apparatus may detect a traveling speed of a vehicle traveling on a road and detect a target vehicle accordingly.

운영 장치(3)는 영상 분석 장치(2)로부터 기준영상 및 주행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운영자 등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운영 장치(3)는 영상 분석 장치(2)로부터 차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운영 장치(3)는 영상 분석 장치(2)로부터 차량에 대한 정보, 또는 주행정보, 주행영상 등을 제공받아 교통 정보, 불법주정차 정보, 속도위반 정보, 신호위반 정보 및 생활방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거나 이를 교통 정보 시스템, 불법주정차 단속 시스템, 과속 단속 시스템, 신호위반 단속 시스템 또는 방범 시스템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운영 장치(3)는 교통 정보 시스템, 불법주정차 단속 시스템, 과속 단속 시스템, 신호위반 단속 시스템 또는 방범 시스템과 연동될 수 있다.The operation device 3 may receive the reference image and the driving image from the image analysis device 2 , display it on a display, and perform a function of providing it to an operator or the like. Also, the operating device 3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from the image analysis device 2 and display the vehicle information on the display. In addition, the operating device 3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driving image, etc. from the image analysis device 2 and receives at least one of traffic information, illegal parking information, speed violation information, signal violation information, and life crime prevention information. You can create one or provide it as a traffic information system, illegal parking enforcement system, speed enforcement system, signal violation enforcement system, or crime prevention system. To this end, the operating device 3 may be interlocked with a traffic information system, an illegal parking and stopping enforcement system, a speeding enforcement system, a signal violation enforcement system, or a crime prevention system.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준영상의 예를 도시한다. 기준영상은 기준영상 획득부(230)에 의해 획득되며, 주행속도 검증부(240)에 의해 재생되어, 디스플레이 등에 표시될 수 있다.3 shows an example of a reference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image may be acquired by the reference image acquisition unit 230 , reproduced by the driving speed verification unit 240 , and displayed on a display or the like.

도 3의 (a)는 도로에서 기준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에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모습을 도시하며, 디스플레이에 주행속도 및 시간 경과 정보를 표출하도록 설정된다. 디스플레이의 "A"는 차량의 주행속도를 표출하는 영역이고, "B"는 시간 경과 정보(예컨대, 1초 단위)를 표출하는 영역이다. 3A shows a state in which a display is mounted on the exterior of a vehicle to obtain a reference image from a road, and is set to display driving speed and time-lapse information on the display. "A" of the display is an area for expressing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and "B" is an area for expressing time lapse information (eg, in units of 1 second).

도로에서 차량이 주행하는 정면을 촬영하는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과 차량에 탑재된 디스플레이를 촬영하는 데, 이는 주행영상과 기준영상은 동일한 촬영 조건 하에서 촬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동일한 카메라 장치에서 촬영하도록 구성하여 동일한 지점, 높이, 화각 조건 등을 갖는 카메라 장치를 이용하여 주행영상과 기준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vehicle and the display mounted on the vehicle are photographed using a photographing device that captures the front of the vehicle on the road, which is why the driving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are preferably photographed under the same photographing conditions. It is preferable to take a driving image and a reference image by using a camera device having the same point, height, and angle of view conditions.

시간 경과 정보의 표시는 주행하는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실제 수초에 불과하기 때문에, 실제 시간(시, 분, 초)을 표출하는 것보다 예컨대, 초(sec) 단위로 1,2,3,4,5,6,7,8,9,0,1,... 등과 같이 1초 단위로 표출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the display of time-lapse information, since the time required to calculate the speed of the driving vehicle is only a few seconds, it is better to express the actual time (hours, minutes, seconds), for example, in units of seconds (sec) 1,2 ,3,4,5,6,7,8,9,0,1,..., etc., may be preferably configured in a form that is expressed in units of 1 second.

또한, 시간 경과 정보를 디스플레이 수단에 도형 또는 기호로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식별이 용이하고, 시간의 경과를 식별이 가능한 구성이면 형태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예컨대, 도트(dot) 형태로서 시간 경과 정보를 표현할 수 있으며, 1초 간격으로, . .. ... .... ..... (즉, 도트의 수로 표기) 등으로 표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time-lapse information as a figure or a symbol on the display means, and the form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easy to identify and can identify the passage of time. For example, time-lapse information can be expressed in the form of dots, and at 1-second intervals, . It is also possible to express ... ... ... ..... (that is, expressed by the number of dots) or the like.

도 3의 (b)는 30km/h로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 장면을 나타내며, 시간 경과 정보는 5초를 표시하고 있다. 3B shows a driving scene of a vehicle traveling at 30 km/h, and time-lapse information is displayed for 5 seconds.

통상적으로 영상을 저장할 때, 영상 프레임과 촬영 시간 정보(또는 저장 시간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 때, 각 영상 프레임과 저장된 시간 정보를 검출하여, 영상에 표출하도록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In general, when storing an image, it is possible to match and store the image frame and the shooting time information (or storage time information).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detect each image frame and the stored time information and process it to be displayed on the image .

그러나, 본 발명에서 시간 경과 정보는 실제 리얼타임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며, 이는 연속된 프레임을 재생할 때, 정상 속도로 재생(즉, 표준재생)하고 있음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ime-lapse information does not require actual real time, since this is to indicate that continuous frames are reproduced at a normal speed (ie, standard reproduction).

다음의 표 1은 시간 경과 정보를 생성하는 예를 나타낸다. 표 1에 따른 시간 경과 정보는 주행영상 뿐만 아니라 기준영상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Table 1 below shows an example of generating time lapse information. The time-lapse information according to Table 1 may be applied not only to the driving image but also to the reference image.

프레임frame 1One 22 ...... 1010 ...... n-2n-2 n-1n-1 nn 영상video

Figure 112021068112173-pat00001
Figure 112021068112173-pat00001
Figure 112021068112173-pat00002
Figure 112021068112173-pat00002
Figure 112021068112173-pat00003
Figure 112021068112173-pat00003
Figure 112021068112173-pat00004
Figure 112021068112173-pat00004
Figure 112021068112173-pat00005
Figure 112021068112173-pat00005
Figure 112021068112173-pat00006
Figure 112021068112173-pat00006
촬영 시간shooting time 12:20_23:10012:20_23:100 12:20_23:20012:20_23:200 ...... 12:20_24:10012:20_24:100 ...... 12:20_25:07012:20_25:070 12:20_25:15012:20_25:150 12:20_25:25012:20_25:250 시간 경과 정보time-lapse information 00 00 00 1One 1One 1One 22 22

프레임 1부터 프레임 10까지의 누적시간이 1초 이므로, 1초의 경과를 알리는 시간 경과 정보는 “1”로서 프레임 10에서 표출하고, 프레임 10으로부터 정확하게 1초가 경과되는 시점은 프레임 n-2와 프레임 n-1사이에 있게 되는데, 시간 경과 정보는 1초를 초과하는 시점(12:20_25:100) 이후의 가장 근접한 프레임 n-1에서 그 다음 시간 경과 정보 "2"를 표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Since the accumulated time from frame 1 to frame 10 is 1 second, the time-lapse information indicating the passage of 1 second is expressed as “1” in frame 10, and when exactly 1 second has elapsed from frame 10, frame n-2 and frame n -1, the time-lapse information can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next time-lapse information "2" in the nearest frame n-1 after the time point (12:20_25:100) exceeding 1 second.

이는 촬영 장치에서 영상을 촬영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시간 간격으로 영상을 획득 및 저장하는 것이 불균일한 상황(정확하게 1초 당 10 프레임을 획득하지 못할 수 있음)에 대비하는 것이며, 이는 기준영상 또는 주행영상의 기록 시간이 3초, 5초, 7초, 10초 등으로 다를 수 있으며, 기준영상 또는 주행영상 기록시간이 길어질수록 부분적인 오차가 있어도, 정확하게 맞는 시점이 발생할 가능성은 높아진다. This is to prepare for a situation in which it is not possible to acquire and store images at precise time intervals in the process of capturing images by the imaging device (it may not be able to accurately acquire 10 frames per second), which The recording time may be different, such as 3 seconds, 5 seconds, 7 seconds, 10 seconds, and the longer the recording time of the reference image or driving video, the more likely it is that an accurate time point will occur even if there is a partial error.

한편, 앞선 표 1과 관련된 예는, 프레임 1부터 n까지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시간 경과 정보는 기준영상 또는 주행영상의 모든 영상 프레임 중 일부 구간의 프레임들에 대해서, 그 일부 구간 내의 시작과 종료 프레임에 대해 생성될 수도 있다. 즉, 주행속도 검증부(240)에서 재생할 기준영상 또는 주행영상의 시작 프레임과 종료 프레임이 결정되면, 시작 프레임부터 시간 경과 정보가 기산되어 0, 1, 2, ... (또는 1, 2, 3, .,,,)등으로 시간 경과 정보가 생성되고, 생성된 시간 경과 정보가 기준영상 또는 주행영상에 표시되거나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xample related to Table 1 above, although frames 1 to n have been described, the time-lapse information is for frames in some sections among all image frames of the reference image or driving video, start and end frames within the partial section. may be created for That is, when the start frame and the end frame of the reference image or the driving image to be played back are determined by the driving speed verification unit 240, time-lapse information is calculated from the start frame to 0, 1, 2, ... (or 1, 2, 3, .,,,), etc., time-lapse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time-laps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r included in the reference image or the driving image.

상술한 예에서 시간 경과 정보의 시간 단위는 "초"단위를 표출하였지만, 보다 세분화한 단위(예컨대, 1/100 초)의 시간 경과 정보를 구성하며, 차량에 설치된 전광판 방식의 시간 경과 정보 외에, 기준영상의 촬영 시간 정보(또는 저장 시간 장보)를 이용하여 시간 경과 정보를 영상 자체에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above example, the time unit of the time-lapse information is expressed in "seconds", but it constitutes time-lapse information in a more granular unit (eg, 1/100 second), and in addition to the time-laps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sign board installed in the vehicle, It is also possible to generate time-lapse information in the image itself by using the recording time information (or storage time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image.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행속도 검증부(240)의 인터페이스(2400)의 예를 도시한다. 도 4 또는 5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운영 장치(3)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4 and 5 show an example of the interface 2400 of the traveling speed verification unit 2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face shown in FIG. 4 or 5 can be displayed, for example, on the display of the operating device 3 .

본 실시예는 도로의 규정 속도가 30km/h이고, 해당 도로에서 30, 40, 50km/h로 주행하는 차량을 촬영한 3개의 기준영상을 생성하였으며, 목표 차량의 속도가 45km/h인 주행영상을 획득한 상황을 가정하기로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prescribed speed of the road is 30 km/h, and three reference images are generated of a vehicle traveling at 30, 40, and 50 km/h on the corresponding road, and a driving image in which the target vehicle speed is 45 km/h Assume a situation in which .

도 4에선, 주행영상과 각 기준영상이 1대1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2400)가 도시된다. 도 4의 (a), (b), (c) 각각에는, 인터페이스(2400)의 하단에는 재생과 일지 정지를 지원하는 조작부(2410)가 구성된다. 인터페이스(2400)의 하단에는 시간 경과 정보가 표시된다.In FIG. 4 , an interface 2400 in which a driving image and each reference image are provided one-to-one is shown. In each of (a), (b) and (c) of FIG. 4 , an operation unit 2410 supporting playback and pause is configured at the lower end of the interface 2400 . At the bottom of the interface 2400, time-lapse information is displayed.

도 5는, 주행영상과 3개의 기준영상을 동시에 또는 함께 제공되는 인터페이스(2400)가 도시된다. 인터페이스(2400)의 좌측에는 재생과 일지 정지를 지원하는 조작부(2410)가 구성되고, 좌측 상단에는 목표 차량의 정보, 주행영상 및 기준영상이 촬영된 장소, 해당 도로의 규정 최고 속도 등을 표시하는 정보 표시부(2420)가 구성된다. 아울러, 인터페이스(2400)의 하단에는 시간 경과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인터페이스(2400)에는 목표 차량과 기준 차량의 상대적인 위치를 비교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기준선(2430)이 구성된다.5 shows an interface 2400 in which a driving image and three reference images are provided simultaneously or together. On the left side of the interface 2400, a control unit 2410 supporting playback and pause is configured, and on the upper left side, information of the target vehicle, the location where the driving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were taken, the maximum speed specified for the road, etc. An information display unit 2420 is configured. In addition, time-lapse information is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interface 2400 . In addition, the interface 2400 includes a reference line 2430 that facilitates comparison of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target vehicle and the reference vehicle.

주행속도 검증부(240)는 인터페이스(2400)를 통해 주행영상과 기준영상에서 시간 경과 정보를 제공함으로 정상속도에 재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데, 주행영상의 시간 경과 정보는 상술한 표 1과 같이 0, 1, 2, 3, 4, ...등으로 표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기준영상에서 시간 경과 정보를 직접 육안 식별 또는 0, 1, 2, 3, 4, ... 등의 숫자 형태 또는 도형 형태(예컨대, 도트)로 "초" 단위의 변경시점을 검출하여 인터페이스 상에서 비교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driving speed verification unit 240 provides time-lapse information from the driving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through the interface 2400, so that it is possible to know that it is being reproduced at a normal speed, and the time-lapse information of the driving image is Like 1, it is possible to express 0, 1, 2, 3, 4, ..., etc.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change point in "seconds" in the form of numbers or figures (eg, dots) and provide them so that they can be compared on the interface.

즉, 도 5에서는, 주행영상 및 기준영상의 시간 경과 정보가 모두 "2"초로서 동일하게 표시된 장면을 도시하고 있으나, 주행속도 검증부(240) 또는 인터페이스(2400)는 서로 다른 값의 시간 경과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결국엔, 시간 경과 정보는 주행영상과 기준영상이 동일한 재생속도로 재생되는 것을 증명할 수 있으면 되므로, 각 영상의 시간 경과 정보의 "초" 단위의 시간 간격이 동일하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으면 된다. 물론, 시간 경과 정보의 시간 간격의 단위는 "초"외에 다른 시간 단위(예컨대, 1/10초 등)가 사용될 수 있다. That is, in FIG. 5 , a scene in which the time lapse information of the driving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are displayed identically as “2” seconds is shown, but the driving speed verifying unit 240 or the interface 2400 shows the time lapse of different values. Information can also be displayed. After all, since the time-lapse information only needs to be able to prove that the driving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are reproduced at the same playback speed, it only needs to be able to indicate that the time interval in "seconds" of the time-lapse information of each image is the same. Of course, as the unit of the time interval of the time-lapse information, other time units (eg, 1/10 second, etc.) other than "second" may be used.

또한, 앞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주행속도 검증부(240)의 인터페이스(2400)는 목표 차량의 주행영상을 호출하면, 단속 지점(도로)의 규정 속도와 기준영상을 자동으로 호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terface 2400 of the driving speed verification unit 24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unction of automatically calling the reference image and the prescribed speed of the interception point (road) when the driving image of the target vehicle is called. can do.

또한, 예를 들어 도로의 규정 속도가 80km/h 정도로 높고, 주행영상 또는 기준영상의 촬영 구간이 짧은 경우(예컨대, 화각 전방 30m 내지 10m 영역을 촬영), 속도 산출 구간(예컨대, 통상적으로 5m 정도)을 통과하는 시간은 매우 짧은 시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2400)는 짧은 시간에 두 영상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동시에 또는 함께 재생하는 영상을 "초" 단위의 자동/수동 일시 정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동시에 동일한 비율(예컨대, 0.5배속)로 느리게 재생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2400)는 각 영상에서 차량의 상대적인 위치를 비교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기준선(2430)이 표시되어, 관찰자에 의한 차량의 상대적인 위치 비교가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for example, when the prescribed speed of the road is as high as 80 km/h and the shooting section of the driving image or the reference image is short (for example, an area of 30 m to 10 m in front of the angle of view is taken), the speed calculation section (e.g., usually about 5 m) ) is very short. Accordingly, the interface 24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automatic/manual pause function of "seconds" unit of images played simultaneously or together in order to compare two images in a short time, and at the same time, the same rate (eg, 0.5 It can be configured to enable slow playback at double speed). In addition, the interface 2400 is preferably configured such that a reference line 2430 for easy comparison of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vehicle in each image is displayed, so that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vehicle can be easily compared by an observer.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행속도를 검증하기 위한 영상 분석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상기 방법은 영상 분석 장치(2) 또는 그 구성요소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6 is a flowchart of an image analysis method for verifying the driving speed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may be performed by the image analysis device 2 or its components.

영상 분석 장치(2)는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610). 주행정보는 차량의 주행속도와 차량영상, 그리고 주행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영상은 1 영상 프레임으로 구성된 영상을 의미하며, 주행영상은 복수의 영상 프레임으로 구성된 영상을 의미한다. 또한, 주행정보는 차량영상으로부터 영상 분석을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행정보는 차량의 위치 정보, 차량영상이 촬영된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analysis apparatus 2 may obtain driving information of a vehicle traveling on a road (S610). The driving information may include a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a vehicle image, and a driving image. Here, the vehicle image refers to an image composed of one image frame, and the driving image refers to an image composed of a plurality of image frames. In addition, the driving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btainable through image analysis from the vehicle image. In addition, the driving information may includ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vehicle image was captured.

영상 분석 장치(2)는 획득된 주행정보 중 미리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주행속도로 주행하는 목표 차량을 식별할 수 있다(S620). 여기서, 주행영상은 복수의 영상 프레임으로 구성된 영상을 의미하며, 흔히 말하는 "동영상"에 해당한다. 또한, 미리 설정된 속도는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의 규정 속도 또는 규정 속도에서 일정 속도 값만큼 높거나 낮은 속도를 의미한다. The image analysis apparatus 2 may identify a target vehicle traveling at a driving speed exceeding a preset speed among the acquired driving information (S620). Here, the driving image refers to an image composed of a plurality of image frames, and corresponds to a commonly called “moving image”. In addition, the preset speed means a speed higher or lower by a certain speed value from a prescribed speed or a prescribed speed of a road on which the vehicle travels.

영상 분석 장치(2)는 식별된 목표 차량의 주행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630).The image analysis apparatus 2 may acquire a driving image of the identified target vehicle (S630).

영상 분석 장치(2)는 주행영상과, 기준속도로 주행하는 차량의 기준영상을 동시에 또는 함께 재생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S640). 기준영상은 기준속도와 기준영상의 시간 경과 정보를 포함하도록 설정되어, 기준영상에서 보이는 차량의 속도와 기준영상의 재생속도가 정상 속도임을 나타낼 수 있다. The image analysis apparatus 2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reproducing a driving image and a reference image of a vehicle traveling at a reference speed simultaneously or together (S640). The reference image may be set to include the reference speed and time-lapse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image, so that the vehicle speed and the reproduction speed of the reference image shown in the reference image are normal speeds.

아울러, 주행영상도 주행속도와 주행영상의 시간 경과 정보를 포함하도록 설정되어, 주행영상에서 보이는 차량의 속도와 주행영상의 재생속도가 정상 속도이거나, 기준영상과 동일한 재생 속도임을 나타낼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ving image is also set to include the driving speed and time-lapse information of the driving image, so that the vehicle speed and the playback speed of the driving image shown in the driving image may represent a normal speed or the same playback speed as the reference image.

도 6과 관련된 영상 분석 방법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관한 내용들 중 적어도 일부를 해당 방법의 구성으로서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자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5와 관련된 설명을 참조하도록 한다. The image analysis method related to FIG. 6 may include at least some of the cont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as a configuration of the method. For a detailed description, refer to the description related to FIGS. 1 to 5 .

이상의 명세서에서, "장치" 또는 "시스템"과 그에 속한 구성들(주행정보 수집부(210), 주행영상 획득부(220), 기준영상 획득부(230), 주행속도 검증부(240), 제어부(250), 통신부(260), 저장부(270) 등)이 발명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장치" 및 "시스템"과 그에 속한 구성들은 명칭일 뿐 권리범위가 그에 종속되는 것은 아니다. 즉, 장치, 시스템 외의 다른 명칭으로서도 본 발명의 방법 또는 절차가 수행될 수 있으며, 그뿐만 아니라 영상 분석을 위한 소프트웨어 또는 컴퓨터 또는 그 밖의 기계, 장치 등으로 판독가능한 코드에 의해 상기 방법 또는 방식이 수행될 수 있다. In the above specification, "device" or "system" and its components (driving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driving image acquisition unit 220, reference image acquisition unit 230, driving speed verification unit 240, control unit) 250, the communication unit 260, the storage unit 270, etc.) have been described as carrying out the invention, but "device" and "system" and components belonging thereto are only names, and the scope of rights is not subordinated thereto. That is, the method or proced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with a name other than an apparatus or a system, and the method or method is performed by software for image analysis or a code readable by a computer or other machine, device, etc. can be

아울러,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aspect)로서, 앞서 설명한 제안 또는 발명의 동작이 "컴퓨터"(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에 의해 구현, 실시 또는 실행될 수 있는 코드 또는 상기 코드를 저장 또는 포함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product) 등으로도 제공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상기 코드 또는 상기 코드를 저장 또는 포함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확장가능하다. In addition, as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proposal or operation of the invention is performed by a "computer" (a comprehensive concept including a system on chip (SoC) or (micro) processor, etc.) Code that can be implemented, implemented or executed, or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or including the code, or a computer program product, etc.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including a computer program product or a computer program product.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and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Claims (20)

차량의 주행속도를 검증하기 위한 장치로서,
미리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속도로 주행하는 목표 차량의 주행영상과, 기준 차량의 기준속도 및 시간 경과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영상을 동시에 또는 함께 재생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As a device for verifying the running speed of a vehicle,
An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rface for simultaneously or simultaneously playing a driving image of a target vehicle traveling at a speed exceeding a preset speed and at least one reference image including a reference speed and time-lapse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주행영상 및 기준영상의 재생 및 일시 정지를 지원하는 조작부; 및
상기 목표 차량의 차량번호 및 주행영상의 촬영 장소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부를 포함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terface comprises:
a control unit that supports playback and pause of driving images and reference images; and
An apparatus comprising an informa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vehicle number of the target vehicle and the shooting location of the driving im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주행영상이 호출되면, 도로의 규정 속도와 상기 기준영상이 자동으로 호출되도록 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terface comprises:
When the driving image is called, th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alling the prescribed speed and the reference image of the ro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영상은 상기 주행영상을 획득한 도로에서 객체 검출 장치를 이용해 상기 기준속도로 주행하는 기준 차량을 촬영하여 획득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eference image is obtained by photographing a reference vehicle traveling at the reference speed using an object detection device on a road on which the driving image is obtai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영상은 기 저장된 복수 개의 후보 기준영상에서 상기 목표 차량의 속도에 따라 선택되어 재생되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eference image is selected and reproduced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target vehicle from a plurality of pre-stored candidate reference imag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속도는 상기 기준 차량의 외부 장착된 인증 속도계를 통해 표출되는,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reference speed is expressed through an externally mounted certified speedometer of the reference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경과 정보는 상기 기준 차량의 외부 정보 표시 장치에서 표시되는, 장치.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ime-laps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an extern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of the reference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영상은 시간 경과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영상의 시간 경과 정보는 상기 기준영상의 시간 경과 정보와 다른 값을 갖는,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driving image includes time lapse information, and the time lapse information of the driving image has a different value from the time lapse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imag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경과 정보는 숫자 형태 또는 도형 형태인,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8, wherein the time-lapse information is in the form of numbers or figur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영상 및 상기 기준영상 각각은, 각 영상의 촬영 장치와 상기 목표 차량 및 상기 기준 차량 사이의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 wherein each of the driving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includes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a photographing device of each image and the target vehicle and the reference vehicl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정보는 상기 목표 차량 또는 상기 기준 차량을 검출하는 객체 검출 장치에 의해 산출되는,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0 , wherein the distance information is calculated by an object detection device that detects the target vehicle or the reference vehicl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정보는 상기 주행영상 또는 상기 기준영상의 영상 프레임 상의 상기 목표 차량 또는 상기 기준 차량의 번호판의 위치를 이용해 산출되는,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0 , wherein the distance information is calculated using a position of a license plate of the target vehicle or the reference vehicle on an image frame of the driving image or the reference imag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주행영상 및 상기 기준영상의 거리 정보가 동일한 영상 프레임 중 기 설정된 제1 값의 거리 정보를 갖는 영상 프레임을 상기 주행영상 및 상기 기준영상의 시작프레임으로서 재생하도록 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interface comprises:
An apparatus for reproducing an image frame having distance information of a preset first value among image frames having the same distance information of the driving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as a start frame of the driving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주행영상 및 상기 기준영상의 거리 정보가 동일한 영상 프레임 중 기 설정된 제2 값의 거리 정보를 갖는 영상 프레임을 상기 주행영상의 종료프레임으로서 재생하도록 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interface comprises:
An apparatus for reproducing an image frame having distance information of a preset second value among image frames having the same distance information of the driving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as an end frame of the driving imag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거리 정보에 따라 획득된 상기 주행영상 및 상기 기준영상의 시작프레임 및 종료프레임 사이의 영상 프레임을 재생하도록 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interface comprises:
An apparatus to reproduce an image frame between a start frame and an end frame of the driving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obtained according to the distance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기준영상과 상기 주행영상의 시작 프레임 또는 종료 프레임을 서로 일치하게 재생하도록 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terface comprises:
An apparatus for reproducing the start frame or the end frame of the reference image and the driving image to match each other.
차량의 주행속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미리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속도로 주행하는 목표 차량의 주행영상과, 기준 차량의 기준속도 및 시간 경과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영상을 동시에 또는 함께 재생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s a method for verifying the driving speed of a vehicle,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an interface for simultaneously or simultaneously playing a driving image of a target vehicle traveling at a speed exceeding a preset speed and at least one reference image including a reference speed and time-lapse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vehicle, Way.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영상이 호출되면, 도로의 규정 속도와 상기 기준영상을 자동으로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n the driving image is called,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automatically calling the reference image and the prescribed speed of the road.
제17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executed by a processor for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7 . 제17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executed by a processor for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7 .
KR1020210076605A 2021-01-06 2021-06-14 An Apparatus for verifying driving speed, and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1023581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605A KR102358153B1 (en) 2021-01-06 2021-06-14 An Apparatus for verifying driving speed, and system and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249A KR102268318B1 (en) 2021-01-06 2021-01-06 An Apparatus for verifying driving speed, and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1020210076605A KR102358153B1 (en) 2021-01-06 2021-06-14 An Apparatus for verifying driving speed, and system and method theref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249A Division KR102268318B1 (en) 2021-01-06 2021-01-06 An Apparatus for verifying driving speed, and system and method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8153B1 true KR102358153B1 (en) 2022-02-08

Family

ID=765994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249A KR102268318B1 (en) 2021-01-06 2021-01-06 An Apparatus for verifying driving speed, and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1020210076605A KR102358153B1 (en) 2021-01-06 2021-06-14 An Apparatus for verifying driving speed, and system and method therefor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249A KR102268318B1 (en) 2021-01-06 2021-01-06 An Apparatus for verifying driving speed, and system and method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6831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1909B1 (en) * 2021-05-18 2022-04-01 렉스젠(주) An Apparatus for verifying vehicle speed and method therefor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3248A (en) * 2005-03-02 2006-09-14 Denso Corp Device for driving evaluation and server
KR101745551B1 (en) * 2016-05-31 2017-06-27 인천광역시 서구(인천광역시서구청장)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overspeed-vehicle using CCTV image information
KR20190094658A (en) * 2018-02-05 2019-08-14 트라웍스(주)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Vehicle Running Information
KR102019047B1 (en) * 2018-06-12 2019-09-10 대한민국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vehicle speed within moving picture images
KR102155753B1 (en) * 2020-02-28 2020-09-14 트라웍스(주) Two-way traffic information collec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291319B1 (en) * 2021-02-25 2021-08-23 렉스젠(주) An Apparatus for displaying speed of vehicle, and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3248A (en) * 2005-03-02 2006-09-14 Denso Corp Device for driving evaluation and server
KR101745551B1 (en) * 2016-05-31 2017-06-27 인천광역시 서구(인천광역시서구청장)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overspeed-vehicle using CCTV image information
KR20190094658A (en) * 2018-02-05 2019-08-14 트라웍스(주)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Vehicle Running Information
KR102019047B1 (en) * 2018-06-12 2019-09-10 대한민국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vehicle speed within moving picture images
KR102155753B1 (en) * 2020-02-28 2020-09-14 트라웍스(주) Two-way traffic information collec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291319B1 (en) * 2021-02-25 2021-08-23 렉스젠(주) An Apparatus for displaying speed of vehicle, and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8318B1 (en) 202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05321B (en) Safe early warning method and system in vehicle on expressway traveling
US20150199901A1 (en) Detection of traffic violations
JP735515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US20170330455A1 (en) Driving determination device and detection device
US9870708B2 (en) Methods for enabling safe tailgating by a vehicle and devices thereof
CN110738842A (en) Accident responsibility division and behavior analysis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7111940B (en) Traffic violation management system and traffic violation management method
JP6365311B2 (en) Traffic violation management system and traffic violation management method
WO20191275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fatigue driving, and vehicle-mounted terminal
JP6252693B2 (en) Display device and traffic violation management system provided with the same
CN108932849B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low-speed running illegal behaviors of multiple motor vehicles
WO2018193412A1 (en) Platform for the management and validation of contents of video images, pictures or similars, generated by different devices
WO2016113973A1 (en) Traffic violation management system and traffic violation management method
KR102358153B1 (en) An Apparatus for verifying driving speed, and system and method therefor
CN114341962A (en) Dangerous vehicle display system, dangerous vehicle display device, dangerous vehicle display progra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apparatus having recorded the program
CN107004352B (en) Traffic violation management system and traffic violation management method
WO2016113977A1 (en) Traffic violation management system and traffic violation management method
JPWO2002056275A1 (en) Driving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N109003457B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behaviors of multiple motor vehicles illegally occupying emergency lane
CN106643517A (en) Vehicle height limit exceeding measurement and warning method
KR102291319B1 (en) An Apparatus for displaying speed of vehicle, and method therefor
GB2531975A (en) Traffic offenc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CN110816544B (en) Driving behavior evaluation method and device, vehicle and Internet of vehicles cloud platform
KR101042706B1 (en) A distinguishable system for traffic accidents, methods and apparatus thereof
JP2017033371A (en) Vehicle specification device and vehicle specif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