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3940B1 - Education system with multipurpose pen - Google Patents

Education system with multipurpose p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3940B1
KR102353940B1 KR1020210155870A KR20210155870A KR102353940B1 KR 102353940 B1 KR102353940 B1 KR 102353940B1 KR 1020210155870 A KR1020210155870 A KR 1020210155870A KR 20210155870 A KR20210155870 A KR 20210155870A KR 102353940 B1 KR102353940 B1 KR 102353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pen input
unit
input data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58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준호
이선민
이범선
김다나
김소정
유영인
유준식
유정아
Original Assignee
(주)티에프프로젝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프프로젝트 filed Critical (주)티에프프로젝트
Priority to KR1020210155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94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9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two-way learning system comprising: a net-board formed of a display device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multi-purpose pen formed in a form of a pen, generating pen input data by detecting a trajectory of a pen input inputted to a paper, and transmitting the pen input data to the net-boar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exquisitely reproducing a pen input of a user.

Description

다목적 펜을 포함하는 양방향 학습 시스템{EDUCATION SYSTEM WITH MULTIPURPOSE PEN} EDUCATION SYSTEM WITH MULTIPURPOSE PEN

본 발명은 다목적 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종이에 필기한 내용을 디지털화하여 제공할 수 있는 다목적 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p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urpose pen capable of digitizing and providing the contents written on paper by a user.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사용자들은 각종 디지털 기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메모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테면, 무선 펜마우스를 이용하여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림으로써 무선 펜마우스와 연결된 컴퓨터나 노트북에 위 글씨나 그림이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에 직접 터치펜을 이용하여 메모를 할 수도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users can take notes in various ways using various digital devices. For example, by using a wireless pen mouse to write or draw a picture, the above text or picture can be displayed on a computer or laptop connected to the wireless pen mouse.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take notes using a touch pen directly on a smartphone or tablet PC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무선 펜마우스 또는 터치펜을 이용하여 글자를 쓰는 경우, 사용자의 펜 입력은 글자와 글자 사이의 띄어쓰기 간격과 같은, 터치펜 자체의 움직임을 수반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펜 입력에 터치펜의 움직임을 보상해야 사용자의 펜 입력을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터치펜의 움직임을 인식하고 추적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있어 왔다.However, when writing characters using such a conventional wireless pen mouse or touch pen, the user's pen input involves the movement of the touch pen itself, such as the spacing between characters, so that the user's pen input touches the user's pen input. The pen movement must be compensated to accurately reproduce the user's pen input. To this end,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recognize and track the movement of the touch pen.

먼저, 터치펜의 움직임을 인식하기 위해 좌표인식전용패드가 이용될 수 있다. 좌표인식전용패드 상에 터치펜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전표인식전용패드와 터치펜 사이의 전자적인 감응을 이용하여, 터치펜에 의해 입력되는 펜입력 간의 정확한 좌표 설정이 가능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펜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First, a dedicated pad for coordinate recognition may be used to recognize the movement of the touch pen. Using the electronic response between the slip recognition pad and the touch pen that occurs when using the touch pen on the coordinate recognition dedicated pad, it is possible to set accurate coordinates between the pen input input by the touch pen, and based on this, the user Pen input can be recognized.

다른 시도로서, 위치측량용 통신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위치측량장치는 전자펜과 지속적으로 통신하면서, 전자펜의 움직임을 추적한다. 특히, 전자펜과의 통신을 통해 서로 간의 상대적인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 등으로 전자펜의 위치를 측량하고, 전자펜을 통해 입력되는 펜 입력 간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As another approach, a localization communication device may be used. The positioning device continuously communicates with the electronic pen and tracks the movement of the electronic pen.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positions of the electronic pen by measuring a relative distance between them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pen, and to recognize the positions between pen inputs input through the electronic pen.

또 다른 시도로서, 좌표인식전용노트가 이용될 수 있다. 이는 카메라를 구비한 전자펜을 이용하여 좌표인식전용노트 상에 형성된 패턴을 인식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펜 입력 간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As another attempt, a note dedicated to coordinate recognition may be used. This can recognize the pattern formed on the coordinate recognition dedicated note using an electronic pen equipped with a camera, and recognize the position between the user's pen inputs based on this.

그러나 이러한 시도들은 전자펜 외에 좌표인식전용패드, 위치측량장치, 좌표인식전용노트와 같은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비용 면에서 경제적이지 못하고,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였다.However, these attempts are not economical in terms of cost and cause inconvenience to users because separate devices such as a dedicated pad for coordinate recognition, a location measurement device, and a notebook for coordinate recognition are required in addition to the electronic pen.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비용 경제적이면서,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capable of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while being cost-effective by solving these problems.

본 발명의 일측면은 사용자에 의한 펜 입력의 궤적을 감지하여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펜 입력 데이터를 원격의 넷보드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다목적 펜을 개시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ulti-purpose pen that generates pen input data by detecting a trajectory of a pen input by a user, and transmits the generated pen input data to a remote netboard for display.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사용자에 의한 음성 입력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다목적 펜을 개시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ulti-purpose pen for generating pen input data by converting a user's voice input into text.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사용자에 의한 지우개 동작을 삭제 데이터로 생성하는 다목적 펜을 개시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ulti-purpose pen for generating an erase operation by a user as erase data.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딥러닝 신경망을 이용하여 펜 입력 데이터를 식별하는 다목적 펜을 개시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ulti-purpose pen for identifying pen input data using a deep learning neural network.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복수의 다목적 펜을 이용하여 복수의 학생 및 강사가 함께 참여 가능한 양방향 학습 시스템을 개시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interactive learning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students and instructors can participate together using a plurality of multi-purpose pens.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펜은 종이에 입력되는 펜 입력의 궤적을 감지하여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원격의 넷보드에 펜 입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필기부;를 포함한다.A multi-purpos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riting unit that generates pen input data by detecting a trajectory of pen input input to paper, and transmits the pen input data to a remote netboard.

한편, 상기 다목적 펜의 단부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펜 입력에 따른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감지부; 상기 다목적 펜의 단부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펜 입력의 궤적을 감지하는 광센서부; 상기 다목적 펜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다목적 펜의 적어도 하나의 축 상에서의 회전, 이동 및 기울임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모션감지부; 상기 다목적 펜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펜입력분석부; 및 상기 다목적 펜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삭제 데이터를 생성하는 지우개부;를 포함하고,On the other hand, is formed at the end of the multi-purpose pen, a touch sensing unit for sensing a contact according to the user's pen input; an optical sensor unit formed at an end of the multi-purpose pen and sensing a trajectory of a user's pen input; a motion sensing unit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multi-purpose pen and detecting a state change such as at least one of rotation, movement, and inclination on at least one axis of the multi-purpose pen; a pen input analysis unit generating pen input data in consideration of the movement of the multi-purpose pen; and an eraser for generating erase data in consideration of the movement of the multi-purpose pen.

상기 펜입력분석부는, 상기 접촉감지부에 의해 접촉이 감지되는 동안 상기 광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펜 입력의 궤적을 제 1 펜 입력으로 생성하고, 상기 접촉감지부에 의해 판단된 펜 입력의 수행여부 및 상기 모션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태 변화로부터 상기 접촉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접촉을 수반하지 않는 제 2 펜 입력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펜 입력 및 상기 제 2 펜 입력 중 하나의 펜 입력이 다른 하나의 펜 입력에 후속하는 경우, 하나의 펜 입력의 펜 입력 개시 지점은 다른 하나의 펜 입력의 펜 입력 종료 지점과 동일하게 하여, 상기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고,The pen input analysis unit generates a trajectory of the pen input sensed by the photosensor unit as a first pen input while the contact is sensed by the contact sensing unit, and performs the pen input determined by the contact sensing unit. generating a second pen input not accompanied by a contact sensed by the contact sensing unit from whether or not and a state change sensed by the motion sensing unit, and generating a pen input of one of the first pen input and the second pen input When this other pen input is followed, the pen input start point of one pen input is the same as the pen input end point of the other pen input, and the pen input data is generated;

상기 지우개부는, 상기 접촉감지부에 의해 접촉이 감지되는 동안 상기 모션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태변화 중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한 상태변화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넷보드에서 마지막 펜 입력 데이터가 출력된 지점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출력된 펜 입력 데이터의 삭제 동작 명령을 포함하는 상기 삭제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The eraser unit outputs the last pen input data from the netboard when the eraser detects a state change in the left-right direction among the state changes sensed by the motion sensing unit while the touch is detected by the touch sensing unit. The deletion data including a deletion operation command of the pen input data outpu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left or right from the selected point may be generated.

또한, 상기 필기부는, 어느 하나의 알파벳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를 포함하는 특정 언어의 알파벳 형상 데이터를 수집하여 특징값을 추출하고, 심층 신경망을 통해 반복 학습을 진행하여 텍스트 형태 분석 모델을 구축하고, 상기 텍스트 형태 분석 모델에 상기 펜 입력 데이터를 입력하여 해당 펜 입력 데이터의 특징 값 및 그 특징 값이 나타내는 알파벳을 식별하고, 식별한 알파벳을 특정 글씨체로 변환하여 상기 넷보드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riting unit collects alphabet shape data of a specific language including at least one shape for any one alphabet, extracts feature values, and repeats learning through a deep neural network to build a text shape analysis model, , by inputting the pen input data into the text shape analysis model to identify a characteristic value of the corresponding pen input data and an alphabet indicated by the characteristic value, convert the identified alphabet into a specific font, and transmit it to the netboard.

또한, 상기 펜 입력 데이터를 상기 넷보드로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펜 입력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다목적 펜의 제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pen input data to the netboard; a memory unit configured to store the pen input data; and a user interface unit receiving a user command for controlling the multi-purpose pen.

또한, 상기 다목적 펜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고, 사용자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입력 받아 문자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펜 입력 데이터로 생성하는 마이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ulti-purpose pen may further include a microphone unit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multi-purpose pen to receive a voice signal from a user, convert it into a text form, and generate the pen input data.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보조 장치 없이도, 펜 입력 장치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펜 입력을 정교하게 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cisely reproduce the user's pen input by recognizing the movement of the pen input device without a separate auxiliar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부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펜의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펜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단계(54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기부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기부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학습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3 내지 도 18은 종래의 디지털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purpos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wri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n exemplary operation of a multi-purpos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multi-purpos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how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step 540 shown in FIG.
6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writ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writ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2 are conceptual diagrams of an interactiv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to 18 are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digital pen.
19 and 20 are views showing a multi-purpos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stated elements, steps, and acts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steps and a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펜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purpos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펜(100)은 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ABS(Acrylonitrite Butadiene Styrene copolymer)와 PC(Poly Carbonate)의 혼합수지, PP(Poly ropylene), PPS(Poly Phenylene Sulfide) 등의 합성수지와, PMMA 합성수지, PS 합성수지, 유리, 금속류 등과 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multi-purpose pen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pen shape, and a mixed resin of ABS (Acrylonitrit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and PC (Poly Carbonate), PP (Poly Ropylene) , synthetic resins such as PPS (Poly Phenylene Sulfide), PMMA synthetic resin, PS synthetic resin, glass, metals, etc. may be made of silver materi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펜(100)은 직경이 동일하거나 또는 상광하협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양단부에는 덮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The multi-purpose pen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same diameter or may be configured in an upper-gwang-low-nose shape, and a cover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펜(100)은 잉크(또는 흑연)을 이용하여 종이에 펜 입력 데이터를 직접 입력할 수 있는 보조 필기부 및 펜 입력의 궤적을 감지하여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원격의 넷보드에 펜 입력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필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ulti-purpose pen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pen input data by using ink (or graphite) to detect an auxiliary writing unit capable of directly inputting pen input data on paper and a trajectory of pen input, , a writing unit capable of inputting pen input data to a remote netboard may be included.

예를 들면, 다목적 펜(100)은 보조 필기부를 통해 종이에 잉크로 직접 펜 입력 데이터를 입력하는 동안 필기부를 통해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원격의 넷보드에 펜 입력 데이터를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필기부와 관련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For example, the multipurpose pen 100 may generate pen input data through the writing unit while directly inputting pen input data with ink on paper through the auxiliary writing unit, and transmit the pen input data to a remote netboard for display. hav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writing unit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2 .

도 1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펜(100)의 구조 및 형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multi-purpose pen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is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부의 제어 블록도이다.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wri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부(200)는 접촉감지부(210), 광센서부(220), 모션감지부(230), 펜입력분석부(240), 통신부(250), 메모리부(26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writing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ct sensing unit 210 , an optical sensor unit 220 , a motion sensing unit 230 , a pen input analysis unit 240 , and a communication unit. 250 , a memory unit 260 , and a user interface unit 270 may be included.

접촉감지부(210)는 다목적 펜(100)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펜 입력에 따른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The contact sensing unit 210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multi-purpose pen 100 and may detect a contact according to a user's pen input.

접촉감지부(210)는 사용자에 의해 종이, 패드 등과 같은 외부 물체와 접촉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접촉을 감지하여 사용자에 의해 펜 입력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act sensing unit 210 may come into contact with an external object such as paper or a pad by the user, and may determine whether pen input is performed by the user by detecting such contact.

접촉감지부(210)는 펜 입력에 따른 접촉 감지를 위해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The touch sensing unit 210 may include a touch sensor for sensing a touch according to a pen input, but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광센서부(220)는 다목적 펜(100)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펜 입력의 궤적을 감지할 수 있다.The optical sensor unit 220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multi-purpose pen 100 and may detect the trajectory of the user's pen input.

광센서부(220)는 외부로 광을 조사하여 다목적 펜(100)의 단부의 움직임, 즉 펜 입력의 궤적을 감지할 수 있다. The photosensor unit 220 may detect the movement of the end of the multi-purpose pen 100 by irradiating light to the outside, that is, the trajectory of the pen input.

광센서부(220)는 펜 입력의 궤적을 감지하기 위해 광학센서 및 발광다이오드(LED), 레이저센서, 블루트랙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는데, 발광다이오드(LED)가 외부로 조사한 광이 책상이나 노트 등에 반사되어 광학센서에 감지되면, 광학센서의 신호를 처리하여 펜 입력의 궤적을 인식할 수 있다. 광센서부(220)의 상기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펜 입력의 궤적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The optical sensor unit 220 may include an optical sensor and at least one of a light emitting diode (LED), a laser sensor, and a blue track sensor to detect the trajectory of the pen input. When it is reflected by the desk or notebook and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 the trajectory of the pen input can be recognized by processing the signal of the optical sensor. The above configuration of the photosensor unit 220 is exemplary, and various configurations capable of detecting a trajectory of a pen input may be used in an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광센서부(220)는 외부에 광을 조사하고, 이에 따라 반사된 빛을 감지함으로써 펜 입력의 궤적을 감지하기 때문에, 접촉감지부(210)가 외부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경우, 높은 인식률을 보일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광센서부에 따라 접촉감지부(210)가 외부와 접촉하지 않더라도 일정 범위(예를 들어, 일정한 거리 또는 일한 인식률의 범위) 내에서는 펜 입력의 궤적을 감지할 수 있다. Since the photosensor 220 detects the trajectory of the pen input by irradiating light to the outside and sensing the reflected light accordingly, when the contact sensing unit 210 detects contact with the outside, a high recognition rate is achieved. can be seen However, according to various optical sensor units, even if the contact sensing unit 210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trajectory of the pen input within a certain range (eg, a range of a certain distance or one recognition rate).

모션감지부(230)는 다목적 펜(100)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다목적 펜(100)의 전체적인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즉, 모션감지부(230)는 다목적 펜(100)의 적어도 하나의 축 상에서의 회전, 이동 및 기울임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The motion sensing unit 230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multi-purpose pen 100 , and may detect the overall movement of the multi-purpose pen 100 . That is, the motion detection unit 230 may detect a state change such as at least one of rotation, movement, and inclination on at least one axis of the multi-purpose pen 100 .

모션감지부(230)는 다목적 펜(100)의 움직임 감지를 위해 다양한 종류의 측정 센서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측정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나침반, compass, 콤파스, 컴파스), 지자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수 있다. 모션감지부(230)의 상기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The motion detection unit 23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one or more of various types of measurement sensors to detect the motion of the multi-purpose pen 100 . For example, the measurement senso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 geomagnetic sensor (compass, compass, compass, compass), and a geomagnetic sensor. The above configuration of the motion sensing unit 230 is exemplary, and various configurations may be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펜입력분석부(240)는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The pen input analysis unit 240 may generate pen input data.

펜 입력 데이터는 다목적 펜(100)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위치 설정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펜 입력에 관한 데이터로서, 제 1 펜 입력 및 제 2 펜 입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en input data is data related to a pen input input by a user, which is positioned in consideration of the movement of the multipurpose pen 100 , and may include a first pen input and a second pen input.

여기서 제 1 펜 입력은 예를 들어, 다목적 펜(100)을 통해 재현하고 하는 글자 또는 선과 같은, 접촉을 수반하는 펜 입력을 의미하고, 제 2 펜 입력은 예를 들어, 또는 글자와 글자 사이의 간격과 같은, 접촉을 수반하지 않는 펜 입력을 의미한다. Here, the first pen input means a pen input accompanying contact, such as a character or a line reproduced through the multi-purpose pen 100 , for example, and the second pen input is, for example, or between a character and a character. A pen input that does not involve contact, such as a gap.

예를 들어, "기"라는 펜 입력은 "ㄱ"와 "l"의 제 1 펜 입력과, "ㄱ"와 "l" 사이의 간격과 같은 제 2 펜 입력으로 이루어진다.For example, the pen input of “gi” is composed of a first pen input of “a” and “l” and a second pen input equal to the interval between “a” and “l”.

펜입력분석부(240)에 의한 분석은 접촉감지부(210), 광센서부(220) 및 모션감지부(23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할 수 있다.The analysis by the pen input analysis unit 240 may be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s of the contact sensing unit 210 , the optical sensor unit 220 , and the motion sensing unit 230 .

구체적으로, 펜입력분석부(240)는 접촉감지부(210)에 의해 판단된 펜 입력의 수행여부 및 광센서부(220)에 의해 감지된 펜 입력의 궤적으로부터 접촉감지부(210)에 의해 감지되는 접촉을 수반하는 제 1 펜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접촉감지부(210)에 의해 접촉이 감지되는 동안 광센서부(220)에 의해 감지된 펜 입력의 궤적을 제 1 펜 입력으로 생성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en input analysis unit 240 determines whether the pen input has been performed by the contact sensing unit 210 and the trajectory of the pen input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 unit 220 by the contact sensing unit 210 . A first pen input may be generated that involves the sensed contact. That is, the trajectory of the pen input sensed by the photosensor 220 while the contact is sensed by the contact sensing unit 210 may be generated as the first pen input.

계속해서, 접촉감지부(210)에 의해 판단된 펜 입력의 수행여부 및 모션감지부(230)에 의해 감지된 상태 변화로부터 접촉감지부(210)에 의해 감지되는 접촉을 수반하지 않는 제 2 펜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second pen not accompanying the contact detected by the contact sensing unit 210 from whether the pen input determined by the contact sensing unit 210 is performed and the state change detected by the motion sensing unit 230 . You can create input.

즉, 접촉감지부(210)에 의해 접촉이 감지되지 않는 동안 모션감지부(230)에 의해 감지된 상태변화를 제 2 펜 입력으로 생성할 수 있다. That is, a state change sensed by the motion sensing unit 230 may be generated as the second pen input while no contact is detected by the contact sensing unit 210 .

펜입력분석부(240)는 제 1 펜 입력 및 제 2 펜 입력이 생성되면, 제 1 펜 입력 및 제 2 펜 입력을 조합하여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펜 입력 데이터에서, 제 1 펜 입력 및 제 2 펜 입력 중 하나의 펜 입력이 다른 하나의 펜 입력에 후속하는 경우, 하나의 펜 입력의 펜 입력 개시 지점은 다른 하나의 펜 입력의 펜 입력 종료 지점과 동일하게 하여, 연속적인 펜 입력의 정교한 재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When the first pen input and the second pen input are generated, the pen input analyzer 240 may generate pen input data by combining the first pen input and the second pen input. In the pen input data, when one pen input of the first pen input and the second pen input follows the other pen input, the pen input start point of one pen input is the pen input end point of the other pen input. By doing the same as above, it is possible to enable precise reproduction of continuous pen input.

펜입력분석부(240)는 접촉감지부(210)에 의해 판단된 펜 입력의 수행여부 및 광센서부(220)에 의해 감지된 펜 입력의 궤적으로부터 접촉을 수반하지 않는 제 3 펜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The pen input analysis unit 240 generates a third pen input that does not involve contact from the trajectory of the pen input determined by the contact sensing unit 210 and whether the pen input is performed and the optical sensor unit 220 . can do.

즉, 접촉감지부(210)에 의해 접촉이 감지되지 않는 동안 광센서부(220)에 의해 감지된 펜 입력의 궤적을 제 3 펜 입력으로 생성할 수 있다. 펜입력분석부(240)는 제 3 펜 입력을 생성하면, 제 3 펜 입력을 이용하여 제 2 펜 입력을 보상할 수 있다. That is, the trajectory of the pen input sensed by the photosensor 220 may be generated as the third pen input while the contact is not detected by the contact sensing unit 210 . When the pen input analyzer 240 generates the third pen input, the pen input analyzer 240 may compensate the second pen input by using the third pen input.

광센서부(220)에 의한 펜 입력 궤적의 감지는 접촉감지부(210)가 접촉을 감지하는 경우 높은 인식률을 보일 수 있으나, 접촉을 수반하지 않더라도 일정 범위(예를 들어, 일정한 거리 또는 일정한 인식률의 범위) 내에서는 펜 입력 궤적의 감지가 가능하다. 따라서 펜입력분석부(240)는 제 3 펜 입력을 이용하여 제 2 펜 입력을 보상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다목적 펜의 움직임을 펜 입력 데이터에 반영할 수 있다.The detection of the pen input trajectory by the optical sensor unit 220 may show a high recognition rate when the contact sensing unit 210 detects a contact, but even if it does not involve contact, it may be within a certain range (eg, a constant distance or a constant recognition rate). within the range of ),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pen input trajectory. Accordingly, the pen input analyzer 240 compensates for the second pen input by using the third pen input, thereby reflecting a more accurate motion of the multi-purpose pen to the pen input data.

한편, 다목적 펜(100)는 광센서부(220)를 포함하지 않으며, 따라서 펜입력분석부(240)는 접촉감지부(210) 및 모션감지부(23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ulti-purpose pen 100 does not include the optical sensor unit 220 , and thus the pen input analysis unit 240 receives pen input data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s of the contact sensing unit 210 and the motion sensing unit 230 . can also create

구체적으로, 펜입력분석부(240)는 접촉감지부(210)에 의해 판단된 펜 입력의 수행여부 및 모션감지부(230)에 의해 감지된 상태 변화로부터 제 1 펜 입력 및 제 2 펜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en input analysis unit 240 receives the first pen input and the second pen input based on whether the pen input determined by the contact sensing unit 210 is performed and the state change detected by the motion sensing unit 230 . can create

즉, 접촉감지부(210)에 의해 접촉이 감지되는 동안 모션감지부(230)에 의해 감지된 상태변화를 제 1 펜 입력으로 생성하고, 접촉감지부(210)에 의해 접촉이 감지되지 않는 동안 모션감지부(240)에 의해 감지된 상태변화를 제 2 펜 입력으로 생성할 수 있다. 제 1 펜 입력 및 제 2 펜 입력이 생성되면, 펜입력분석부(240)는 제 1 펜 입력 및 제 2 펜 입력을 조합하여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That is, a state change sensed by the motion detection unit 230 is generated as a first pen input while the contact is detected by the contact detection unit 210 , and while the contact is not detected by the contact detection unit 210 . A state change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unit 240 may be generated as a second pen input. When the first pen input and the second pen input are generated, the pen input analyzer 240 may generate pen input data by combining the first pen input and the second pen input.

펜 입력 데이터에서, 제 1 펜 입력 및 제 2 펜 입력 중 하나의 펜 입력이 다른 하나의 펜 입력에 후속하는 경우, 하나의 펜 입력의 펜 입력 개시 지점은 다른 하나의 펜 입력의 펜 입력 종료 지점과 동일하게 하여, 연속적인 펜 입력의 정교한 재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the pen input data, when one pen input of the first pen input and the second pen input follows the other pen input, the pen input start point of one pen input is the pen input end point of the other pen input. By doing the same as above, it is possible to enable precise reproduction of continuous pen input.

한편, 펜입력분석부(240)는 딥러닝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펜 입력 데이터가 글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글자를 식별할 수 있다.Meanwhile, the pen input analyzer 240 may determine whether pen input data corresponds to a character by using the deep learning learning model, and may identify the character.

예를 들면, 펜입력분석부(240)는 특정 언어의 알파벳 형상 데이터를 수집하여 특징값을 추출하고, 심층 신경망을 통해 반복 학습을 진행하여 텍스트 형태 분석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일예로, 알파벳 형상 데이터는 어느 하나의 알파벳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en input analysis unit 240 may collect alphabet shape data of a specific language to extract feature values, and may construct a text shape analysis model by repeatedly learning through a deep neural network. For example, the alphabet shape data may include at least one shape for any one alphabet.

이때, 펜입력분석부(240)는 Librosa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알파벳 형상 데이터로부터 각 알파벳을 나타내는 특징 값을 추출할 수 있으며, 심층 신경망으로 3 개의 히든 레이어를 가진 완전 연결 뉴럴 네트워크 모델을 채택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en input analysis unit 240 can extract feature values representing each alphabet from the alphabet shape data using the Librosa library, and a fully connected neural network model having three hidden layers can be adopted as a deep neural network. .

펜입력분석부(240)는 텍스트 형태 분석 모델에 펜 입력 데이터를 입력하여 해당 펜 입력 데이터의 특징 값 및 그 특징 값이 나타내는 알파벳을 추출할 수 있다.The pen input analyzer 240 may input pen input data into the text form analysis model to extract feature values of the corresponding pen input data and alphabets indicated by the feature values.

펜입력분석부(240)는 접촉감지부(210) 및 모션감지부(23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한 펜 입력 데이터가 글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해당 알파벳을 식별하여 특정 글씨체로 변환할 수 있다.The pen input analysis unit 240 may determine whether the generated pen input data corresponds to letters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s of the contact detection unit 210 and the motion detection unit 230 , and identifies the alphabet It can be converted to font.

펜입력분석부(240)는 펜 입력 데이터를 특정 글씨체로 변환한 경우, 특정 글씨체로 나타나는 펜 입력 데이터를 통신부(250)를 통해 원격의 넷보드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When pen input data is converted into a specific font, the pen input analysis unit 240 may transmit and display the pen input data displayed in the specific font to a remote netboar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50 .

예를 들면, 펜입력분석부(240)는 후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를 통해 글씨체 변환 여부, 변환할 글씨체 종류 등을 입력 받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pen input analysis unit 240 may receive input whether to convert a font, a type of font to be converted, and the like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270 to be described later.

통신부(250)는 펜입력분석부(240)에 의해 생성된 펜 입력 데이터 및 메모리부(260)에 저장된 펜 입력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원격지의 넷보드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50 may transmit at least one of the pen input data generated by the pen input analysis unit 240 and the pen input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260 to a remote netboard.

통신부(250)는 실시간으로 펜 입력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다목적 펜(100)의 동작에 따라 펜 입력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50 may transmit pen input data in real time or may transmit pen input data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ulti-purpose pen 100 .

예를 들어, 통신부(2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가 펜 입력 데이터의 전송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메모리부(260)에 저장된 펜 입력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250 may transmit the pen input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260 when the user interface unit 270 receives a user input related to the transmission of the pen input data.

또한 예를 들어, 통신부(250)는 접촉감지부(210)가 접촉을 감지하지 못하면, 즉시 또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메모리부(260)에 저장된 펜 입력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Also, for example, when the touch sensing unit 210 does not detect a touch, the communication unit 250 may transmit the pen input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260 immediately or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통신부(250)는 USB(universal serial bus), 마우스포트(PS/2 포트)와 같은 유선 통신 방식에 의해 외부 단말기와 통신하거나,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및 기타 RF 통신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외부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유무선 통신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50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terminal by a wired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a universal serial bus (USB) and a mouse port (PS/2 port), or wirelessly such as Bluetooth, infrared communication (IrDA) and other RF communication. It can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terminal by a communication metho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types of wired/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메모리부(260)는 펜입력분석부(240)에 의해 생성된 펜 입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The memory unit 260 may store pen input data generated by the pen input analysis unit 240 .

메모리부(260)에 저장된 펜 입력 데이터는 통신부(250)에 의해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The pen input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260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by the communication unit 250 .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250)와 단말기 사이에 통신연결이 되지 않으면, 메모리부(260)에 펜 입력 데이터가 저장되고, 그 후 통신부(250)와 외부 단말기 사이에 통신연결이 이루어지면, 통신부(250)는 메모리부(260)에 저장된 펜 입력 데이터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f a communication connection is not established between the communication unit 250 and the terminal, pen input data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260 , and then, when a communication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communication unit 250 and the external terminal, the communication unit 250 may transmit pen input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260 to an external terminal.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은 다목적 펜의 동작의 개시 및 종료, 및 상기 펜 입력 데이터의 전송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unit 270 may receive a user's input. The user's input may include a command for at least one of starting and ending an operation of the multi-purpose pen and transmitting the pen input data.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는 예를 들어, 버튼, 접촉 감지 장치(또는 터치센서), 조이스틱 또는 휠과 같은 입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다목적 펜(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며, 한 종류의 입력장치가 복수로 구성되거나, 이들을 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unit 270 may include, for example, an input device such as a button, a touch sensing device (or a touch sensor), a joystick or a wheel, and is configur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ulti-purpose pen 100, One type of input device may be configured in plurality, or may be configured by combining them. Such a configuration is exemplary, and various configurations for receiving a user's input may be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펜의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한다.3 shows an exemplary operation of a multi-purpos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a)를 참조하면, 다목적 펜은 사용자에 의한 다목적 펜의 동작을 감지하여, 펜 입력(410, 430, 450)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의 펜 입력은 펜 입력(410), 펜 입력(430) 및 펜 입력(450) 순으로 이루어지며,Referring to FIG. 3A , the multi-purpose pen may generate pen inputs 410 , 430 , and 450 by detecting a motion of the multi-purpose pen by the user. The user's pen input is made in the order of the pen input 410, the pen input 430, and the pen input 450,

여기서 펜 입력(410) 및 펜 입력(450)은 접촉을 수반하는 펜 입력을 나타내고, 펜 입력(430)은 접촉을 수반하지 않는 펜 입력을 나타낸다. Here, the pen input 410 and the pen input 450 indicate a pen input accompanied by a contact, and the pen input 430 indicates a pen input that does not involve a contact.

다목적 펜은 펜 입력(410, 430, 450)으로부터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이때 연속하는 펜 입력(410, 430, 450) 간의 연결을 위해 펜 입력(410)의 펜 입력 종료 지점(420)과 펜 입력(430)의 펜 입력 개시 지점(420)을 일치시키고, 펜 입력(430)의 펜 입력 종료 지점(440)과 펜 입력(450)의 펜 입력 개시 지점(440)을 일치시킨다.The multi-purpose pen generates pen input data from the pen inputs 410, 430, and 450. In this case, the pen input end point 420 of the pen input 410 and The pen input start point 420 of the pen input 430 coincides with the pen input end point 440 of the pen input 430 and the pen input start point 440 of the pen input 450 coincide.

펜 입력 데이터는 도 3의 (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다. The pen input data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3B.

도 3의 (b)를 참조하면, 펜 입력(410, 450)은 접촉을 수반하는 펜 입력이므로, 윤곽 또는 색을 가지고 디스플레이되고, 펜 입력(430)은 접촉을 수반하지 않는 펜 입력이므로 투명하게 디스플레이되어, 전체적으로 "기"라는 글자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3B , since the pen inputs 410 and 450 are pen inputs that involve contact, they are displayed with an outline or color, and the pen input 430 is transparent because it is a pen input that does not involve contact. is displayed, and the character "gi" is displayed as a whol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펜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multi-purpose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510)에서, 펜 입력에 따른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단계(510)를 통해 외부 물체와의 접촉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펜 입력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operation 510 , a contact according to a pen input may be detected. In step 510 ,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 pen input is performed by the user by detecting a contact with an external object.

단계(520)에서, 사용자의 펜 입력의 궤적을 감지할 수 있다. 단계(520)에 수행되는 펜 입력의 궤적에 대한 감지는 단계(510)에서 펜 입력에 따른 접촉을 감지되는 동안 수행되거나, 단계(510)에서 펜 입력에 따른 접촉을 감지되지 않더라도 일정 범위(예를 들어, 일정한 거리 또는 일정한 인식률의 범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In operation 520, the trajectory of the user's pen input may be detected. The detection of the trajectory of the pen input performed in step 520 is performed while the touch according to the pen input is detected in step 510, or even if the contact according to the pen input is not detected in step 510, a certain range (eg, For example, it may be performed within a certain distance or a range of a certain recognition rate).

단계(530)에서, 다목적 펜의 움직임, 즉 적어도 하나의 축 상에서의 회전, 이동, 기울임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In operation 530, the movement of the multi-purpose pen, that is, a change in state of at least one of rotation, movement, and inclination on at least one axis may be detected.

단계(540)에서, 단계(510)에서 판단된 펜 입력의 수행여부, 단계(520)에서 감지된 펜 입력의 궤적 및 단계(530)에서 감지된 상태 변화를 분석하여,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펜 입력 데이터는 다목적 펜(200)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위치 설정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펜 입력에 관한 데이터를 의미한다.In step 540 , pen input data is generated by analyzing whether the pen input determined in step 510 is performed, the trajectory of the pen input detected in step 520 and the state change detected in step 530 . can Here, the pen input data refers to data related to a pen input input by a user, which is positioned in consideration of the movement of the multi-purpose pen 200 .

일 실시예에서, 방법(500)은 펜 입력 데이터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method 500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the pen input data to the external terminal.

일례로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실시간으로 펜 입력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transmitting may be performed by transmitting pen input data in real time.

일례로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펜 입력 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펜 입력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transmitting may be performed by transmitting the pen input data according to a user input for transmitting the pen input data.

일례로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단계(510)에서 접촉이 감지되지 않으면, 즉시 또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펜 입력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transmitting may be performed by transmitting the pen input data immediately or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if no contact is detected in step 510 .

일 실시예에서, 방법(500)은 펜 입력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된 펜 입력 데이터는 즉시 또는 이후에 외부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method 500 may further include storing the pen input data. The stored pen input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terminal immediately or later.

일례로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외부 단말기 사이에 통신연결이 되지 않으면, 펜 입력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storing may be performed by storing the pen input data when a communication connection is not established between external terminals.

이후에 외부 단말기 사이에 통신연결이 되면, 저장된 펜 입력 데이터는 외부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After a communication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external terminals, the stored pen input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방법(500)은 다목적 펜의 동작의 개시 및 종료, 및 펜 입력 데이터의 전송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thod 500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user's input for at least one of initiating and terminating an operation of the multipurpose pen, and transmitting pen input data.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단계(54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다.FIG. 5 show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step 540 shown in FIG.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단계(540)는 제 1 펜 입력을 생성하는 단계(610); 제 2 펜 입력을 생성하는 단계(620); 및 제 1 펜 입력 및 제 2 펜 입력을 조합하는 단계(630)를 포함할 수 있다.4 and 5 , step 540 includes generating 610 a first pen input; generating (620) a second pen input; and combining the first pen input and the second pen input ( 630 ).

단계(610)에서, 단계(510)에서 판단된 펜 입력의 수행여부 및 단계(520)에서 감지된 펜 입력의 궤적으로부터 접촉을 수반하는 제 1 펜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In operation 610 , the first pen input accompanying the contact may be generated based on whether the pen input is performed as determined in operation 510 and the trajectory of the pen input detected in operation 520 .

즉, 단계(510)에서 접촉이 감지되는 동안 단계(520)에서 감지된 펜 입력의 궤적을 제 1 펜 입력으로 생성할 수 있다.That is, the trajectory of the pen input detected in operation 520 while the contact is detected in operation 510 may be generated as the first pen input.

단계(620)에서, 단계(510)0에서 판단된 펜 입력의 수행여부 및 단계(520)에서 감지된 상태 변화로부터 접촉을 수반하지 않는 제 2 펜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단계(510)에서 접촉이 감지되지 않는 동안 단계(520)에서 감지된 상태변화를 제 2 펜 입력으로 생성할 수 있다.In operation 620 , a second pen input without contact may be generated based on whether the pen input determined in operation 510 0 and the state change detected in operation 520 . That is, the state change detected in step 520 may be generated as the second pen input while no contact is detected in step 510 .

단계(630)에서, 제 1 펜 입력 및 제 2 펜 입력을 조합하여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In operation 630, pen input data may be generated by combining the first pen input and the second pen input.

단계(630)는 펜입력 데이터에서, 제 1 펜 입력 및 제 2 펜 입력 중 하나의 펜 입력이 다른 하나의 펜 입력에 후속하는 경우, 하나의 펜 입력의 펜 입력 개시 지점은 다른 하나의 펜 입력의 펜 입력 종료 지점과 동일하게 하여, 연속적인 펜 입력의 정교한 재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operation 630, in the pen input data, when one pen input of the first pen input and the second pen input follows the other pen input, the pen input starting point of one pen input is the other pen input. By making it the same as the end point of pen input of , it is possible to enable precise reproduction of continuous pen input.

부가적으로, 단계(540)는, 단계(510) 및 단계(520)로부터 접촉을 수반하지 않는 제 3 펜 입력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step 540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a third pen input that does not involve contact from steps 510 and 520 .

즉, 단계(510)에서 접촉이 감지되지 않는 동안 단계(520)에서 감지된 펜 입력의 궤적을 제 3 펜 입력으로 생성할 수 있다. That is, the trajectory of the pen input detected in operation 520 may be generated as the third pen input while no contact is detected in operation 510 .

단계(540)는 제 3 펜 입력이 생성되면, 제 3 펜 입력을 이용하여 제 2 펜 입력을 보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Operation 540 may further include compensating for the second pen input by using the third pen input when the third pen input is generated.

대안적으로, 도 4의 방법(500)에서 단계(520)는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단계(540)는 단계(510) 및 단계(530)로부터 펜 입력을 분석하여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Alternatively, step 520 in method 500 of FIG. 4 may be omitted. Accordingly, step 540 may be performed by analyzing the pen input from steps 510 and 530 to generate pen input data.

구체적으로, 단계(540)는 단계(510)에서 판단된 펜 입력의 수행여부 및 단계(530)에서 감지된 상태 변화로부터 접촉을 수반하는 제 1 펜 입력 및 접촉을 수반하지 않는 제 2 펜 입력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step 540 determines whether the pen input determined in step 510 is performed and the state change sensed in step 530 to determine the first pen input accompanying the contact and the second pen input not accompanying the contact. It may include the step of generating.

즉, 단계(510)에서 접촉이 감지되는 동안 단계(530)에서 감지된 상태변화를 제 1 펜 입력으로 생성하고, 단계(510)에서 접촉이 감지되지 않는 동안 단계(530)에서 감지된 상태변화를 제 2 펜 입력으로 생성할 수 있다. That is, the state change sensed in step 530 is generated as the first pen input while the contact is detected in step 510 , and the state change detected in step 530 while no contact is detected in step 510 is generated in step 510 . may be generated as a second pen input.

계속해서, 단계(540)는 제 1 펜 입력 및 제 2 펜 입력이 생성되면,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제 1 펜 입력 및 제 2 펜 입력을 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Continuing, operation 540 may further include combining the first pen input and the second pen input to generate pen input data when the first pen input and the second pen input are generated.

상기 조합하는 단계는 펜 입력 데이터에서, 제 1 펜 입력 및 제 2 펜 입력 중 하나의 펜 입력이 다른 하나의 펜 입력에 후속하는 경우, 하나의 펜 입력의 펜 입력 개시 지점은 다른 하나의 펜 입력의 펜 입력 종료 지점과 동일하게 하여, 연속적인 펜 입력의 정교한 재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the combining step, in the pen input data, when one pen input of the first pen input and the second pen input follows the other pen input, the pen input starting point of one pen input is the other pen input. By making it equal to the end point of pen input of , it is possible to enable precise reproduction of continuous pen input.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기부의 제어 블록도이다.Meanwhile, FIG. 6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writ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기부(200')는 도 2에 도시된 접촉감지부(210), 광센서부(220), 모션감지부(230), 펜입력분석부(240), 통신부(250), 메모리부(26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의 구성에 더하여, 마이크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writing unit 200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ontact sensing unit 210 , the optical sensor unit 220 , the motion sensing unit 230 , and pen input analysis shown in FIG. 2 .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unit 240 , the communication unit 250 , the memory unit 260 , and the user interface unit 270 , a microphone unit 280 may be further included.

이하의 설명에서는 마이크부(280)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나머지 접촉감지부(210), 광센서부(220), 모션감지부(230), 펜입력분석부(240), 통신부(250), 메모리부(26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에 대한 구성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the microphone unit 280 will be described, and the remaining contact sensing unit 210 , the optical sensor unit 220 , the motion sensing unit 230 , the pen input analysis unit 240 , the communication unit 250 , and the memory The configuration of the unit 260 and the user interface unit 270 will be replaced with those described above.

마이크부(280)는 다목젝 펜(100)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The microphone unit 280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multi-objective pen 100 and may receive a voice signal from a user.

마이크부(28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문자 형태로 변환하여 펜 입력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으며, 통신부(250)를 통해 변환한 펜 입력 데이터를 원격지의 넷보드로 전송할 수 있다.The microphone unit 280 may convert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user into a text form to generate pen input data, and may transmit the converted pen input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50 to a remote netboard.

통신부(250)는 펜입력분석부(240)에 의해 생성된 펜 입력 데이터, 메모리부(260)에 저장된 펜 입력 데이터 및 마이크부(280)에 의해 생성된 펜 입력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원격지의 넷보드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50 transmits at least one of the pen input data generated by the pen input analysis unit 240 , the pen input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260 , and the pen input data generated by the microphone unit 280 to a remote network network. can be transmitted to the board.

일예로서, 마이크부(28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를 통해 마이크부(280)에서 생성하는 펜 입력 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변환한 펜 입력 데이터를 원격지의 넷보드로 전송할 수 있다.As an example, when a command for transmission of pen input data generated by the microphone unit 280 is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270 , the microphone unit 280 transmits the converted pen input data to a remote netboard. can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기부의 제어 블록도이다.Meanwhile, FIG. 7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writ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기부(200'')는 도 6에 도시된 접촉감지부(210), 광센서부(220), 모션감지부(230), 펜입력분석부(240), 통신부(250), 메모리부(26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 및 마이크부(280)의 구성에 더하여 지우개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a writing unit 200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ct sensing unit 210 , an optical sensor unit 220 , a motion sensing unit 230 and a pen shown in FIG. 6 .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nput analysis unit 240 , the communication unit 250 , the memory unit 260 , the user interface unit 270 , and the microphone unit 280 , an eraser unit 290 may be further included.

이하의 설명에서는 지우개부(290)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나머지 접촉감지부(210), 광센서부(220), 모션감지부(230), 펜입력분석부(240), 통신부(250), 메모리부(26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 및 마이크부(280)에 대한 구성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the eraser unit 290 will be described, and the remaining touch sensing unit 210 , the optical sensor unit 220 , the motion sensing unit 230 , the pen input analysis unit 240 , the communication unit 250 , and the memory The configuration of the unit 260, the user interface unit 270, and the microphone unit 280 will be replaced with those described above.

지우개부(290)는 삭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eraser 290 may generate deletion data.

삭제 데이터는 다목적 펜(100)의 움직임을 고려한 사용자의 펜 입력 삭제 동작에 관한 데이터일 수 있다. 즉, 삭제 데이터는 다목적 펜(100)을 통해 재현하고자 하는 펜 입력에 대한 지우개 동작의 입력을 의미한다. The deletion data may be data regarding a user's pen input deletion oper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movement of the multi-purpose pen 100 . That is, the deletion data means an eraser operation input with respect to a pen input to be reproduced through the multi-purpose pen 100 .

지우개부(290)는 접촉감지부(210)에 의해 판단된 펜 입력의 수행여부 및 모션감지부(230)에 의해 감지된 상태 변화로부터, 접촉감지부(210)에 의해 접촉이 감지되는 동안 모션감지부(230)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축 상에서의 좌우 이동의 상태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삭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eraser unit 290 performs a motion while the contact is detected by the touch sensing unit 210 based on whether the pen input determined by the contact sensing unit 210 is performed and the state change detected by the motion sensing unit 230 . When a change in the state of left and right movement on at least one axis is sensed by the sensing unit 230 , deletion data may be generated.

즉, 지우개부(290)는 접촉감지부(210)에 의해 접촉이 감지되는 동안 모션감지부(230)에 의해 감지된 상태변화 중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한 상태변화를 삭제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That is, the eraser unit 290 may generate, as deletion data, a state change for moveme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mong the state changes sensed by the motion sensing unit 230 while the contact is detected by the contact sensing unit 210 . have.

예를 들면, 삭제 데이터에는 마지막 펜 입력 데이터가 출력된 지점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출력된 펜 입력 데이터의 삭제 동작 명령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letion data may include a command to delete the pen input data outpu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left or right from the point where the last pen input data was output.

지우개부(290)는 생성한 삭제 데이터를 통신부(250)를 통해 원격지의 넷보드로 전송할 수 있다. The eraser unit 290 may transmit the generated deletion data to a remote netboar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50 .

일예로서, 지우개부(29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를 통해 지우개부(290)에서 생성하는 삭제 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삭제 데이터를 원격지의 넷보드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넷보드에서는 삭제 데이터에 따라 출력된 펜 입력 데이터의 삭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command for transmission of deletion data generated by the eraser 290 is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270 , the eraser unit 290 may transmit the deletion data to a remote netboard. In this case, the netboard may perform a deletion operation of the output pen input data according to the deletion data.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학습 시스템의 개념도이다.8 to 12 are conceptual diagrams of an interactiv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학습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다목적 펜(100) 및 넷보드(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interactiv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multi-purpose pen 100 and the netboard 50 shown in FIGS. 1 to 7 .

다목적 펜(100)은 복수 개 마련될 수 있으며, 각각 고유의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 plurality of multi-purpose pens 100 may be provided, and each may include unique ID information.

다목적 펜(100)은 상술한 것처럼 통신부(250)를 통해 원격의 넷보드(50)로 펜입력분석부(240)에 의해 생성된 펜 입력 데이터, 메모리부(260)에 저장된 펜 입력 데이터 및 마이크부(280)에 의해 생성된 펜 입력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ulti-purpose pen 100 transmits the pen input data generated by the pen input analysis unit 240 to the remote netboard 5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50 , the pen input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260 , and a microphone. At least one of the pen input data generated by the unit 280 may be transmitted.

또한, 다목적 펜(100)은 통신부(250)를 통해 원격의 넷보드(50)로 삭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Also, the multi-purpose pen 100 may transmit deletion data to the remote netboard 5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50 .

이때, 다목적 펜(100)은 원격의 넷보드(50)로 펜 입력 데이터 또는 삭제 데이터를 각각 고유의 ID 정보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ulti-purpose pen 100 may transmit pen input data or deletion data to the remote netboard 50 together with unique ID information.

넷보드(50)는 통신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어, 전자 칠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netboard 50 may be formed of a display device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eg, an electronic blackboard, etc.).

넷보드(50)는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다목적 펜(100)으로부터 수신하는 펜 입력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삭제 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 한 펜 입력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삭제할 수 있다.The netboard 50 may display pen input data received from the multi-purpose pen 100 as shown in FIGS. 9 to 12 , and may delete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played pen input data according to the deletion data.

넷보드(50)는 복수의 다목적 펜(100) 각각의 ID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으며, 다목적 펜(100)으로부터 수신하는 ID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마다 펜 입력 데이터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netboard 50 may store ID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multi-purpose pens 100 in advance, and may display pen input data differently for each user based on the I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ulti-purpose pen 100 .

예를 들면, 넷보드(50)는 ID 정보 마다 색, 투명도, 명암 등을 상이하게 설정하여 펜 입력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netboard 50 may display pen input data by differently setting color, transparency, contrast, etc. for each ID information.

이와 같은 양방향 학습 시스템은 복수의 학생과 강사가 함께 참여 가능한 필기 시스템을 구현하여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Such an interactive learning system can enhance the learning effect by implementing a writing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students and instructors can participate together.

도 13 내지 도 18은 종래의 디지털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3 to 18 are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digital pen.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듀얼모드 디지털펜(100)은 몸체부(10), 몸체부(10)의 일단에 마련되며 닷패턴이 형성된 기록매체 상의 위치정보를 감지하여 그래픽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제1필기부(20) 및 몸체부(10)의 타단에 마련되며 터치 패널 상에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2필기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3 to 18 , the dual-mode digital pen 100 is provided on a body part 10 and one end of the body part 10 and displays graphic information by detecting position information on a recording medium having a dot pattern formed there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writing unit 20 for generating information for generating information and a second writing unit 30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unit 10 to display graphic information on a touch panel.

몸체부(10)는 ABS(Acrylonitrite Butadiene Styrene copolymer)와 PC(Poly Carbonate)의 혼합수지, PP(PolyPropylene), PPS(Poly Phenylene Sulfide) 등의 합성수지와, PMMA 합성수지, PS 합성수지, 유리, 금속류 등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dy portion 10 is a mixed resin of ABS (Acrylonitrit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and PC (Poly Carbonate), PP (PolyPropylene), PPS (Poly Phenylene Sulfide), etc., and a synthetic resin such as, PMMA synthetic resin, PS synthetic resin, glass, metal, etc. It can be made of material.

몸체부(10)는 직경이 동일하거나 또는 상광하협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양단부에는 덮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10 may have the same diameter or may be configured in a shape of an upper-gwang-lower narrow, and a cover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제1필기부(20)는 종이 위에 기록가능한 펜촉 형태로 구성되는 제1펜팁부(21), 제1펜팁부(21)에 가해지는 필압 정보를 생성하는 제1압력감지센서(25), 기록매체(200) 상에서 산란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23), 감지된 적외선을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정보 산출부(24) 및 적외선 광원(2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writing unit 20 includes a first pen tip 21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en nib that can be written on paper, a first pressure sensor 25 for generating information on pen pressure applied to the first pen tip 21, and recording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nfrared sensor 23 for detecting infrared rays scattered on the medium 200 , a position information calculating unit 24 for detecting position information using the sensed infrared rays, and an infrared light source 26 .

제1펜팁부(21)는 몸체부(10)의 일단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펜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펜팁부(21)는 예를 들면, 내부에 저장된 잉크를 이용하여 종이 재질의 기록매체(200)상에 필기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볼펜, 마킹펜, 만년필 등의 펜촉과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pen tip portion 21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en tip protruding outward from one end of the body portion 10 . The first pen tip part 21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shape as a nib such as a ballpoint pen, a marking pen, or a fountain pen, which is configured to enable writing on the recording medium 200 made of paper using the ink stored therein, for example. have.

제1압력감지센서(22)는 제1펜팁부(21)와 인접하며 제1펜팁부(21)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The first pressure sensor 22 is adjacent to the first pen tip part 21 and may sense a pressure applied to the first pen tip part 21 .

제1압력감지센서(22)는 제1펜팁부(21)와 기록매체(200)간의 접촉시, 제1펜팁부(21)에 가해지는 힘에 비례하는 압력을 수치로 산출한 필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first pressure sensor 22 generates pen pressure information obtained by numerically calculating a pressure proportional to the force applied to the first pen tip 21 when the first pen tip 21 and the recording medium 200 come into contact. can do.

적외선 센서(23)는 제1펜팁부(21)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기록매체(200) 상에서 산란되는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다.The infrared sensor 23 is located adjacent to the first pen tip portion 21 and may detect infrared rays scattered on the recording medium 200 .

위치정보 산출부(24)는 적외선 센서(23)에서 감지한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록매체(200)상에 형성된 닷패턴을 인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기록매체(200)상에서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calculating unit 24 may recognize the dot pattern formed on the recording medium 200 using the infrared light detected by the infrared sensor 23 , and through this,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recording medium 200 is calculated. can

닷패턴(400)은 가상의 격자선(420)과 다수의 마크(410)를 포함하며 각각의 마크(410)는 가상의 격자선(420)의 교점을 중심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마크(410)는 가상의 격자선(420)의 교점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패턴값에 의하여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dot pattern 400 includes a virtual grid line 420 and a plurality of marks 410 , and each mark 410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intersection of the virtual grid lines 420 . . Each mark 410 may provide position information based on a pattern value determined according to a position formed around the intersection of the virtual grid lines 420 .

마크(410)는 예를 들면 프탈로시아닌계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계화합물, 아미늄계화합물계를 재료로 하는 적외선 흡수 잉크로 형성될 수 있다.The mark 410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n infrared absorbing ink using a phthalocyanine-based compound, a naphthalocyanine-based compound, or an aluminum-based compound-based material.

마크(410)는 가상의 격자선(420)의 교점을 중심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각각의 마크(410)값을 가지며, 마크(410)값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이한 수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mark 410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intersection of the virtual grid lines 420 and has each mark 410 value, and the mark 410 value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or more different numbers. can

마크(410)의 형태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직선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지되, 하나의 기록매체 상에는 한 종류의 마크(410)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ape of the mark 410 has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an ellipse, a polygon, and a straight line, but it is preferable that one type of mark 410 is used on one recording medium.

마크(410)는 가상의 격자선(420)의 교점과의 관계에 따라 4가지의 위치에 존재할 수 있고, 마크(410)가 a와 같이 교점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 마크(410)값을 "1"로, b와 같이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 마크(410)값을 "2"로, c와 같이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 마크(410)값을 "3"으로, d와 같이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 마크(410)값을 "4"로 나타냄으로써 가상 격자선(420)의 교점을 중심으로 한 마크(410)의 위치에 따라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mark 410 may exist in four positions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with the intersection of the virtual grid lines 420, and when the mark 410 is located to the right of the intersection as in a, the value of the mark 410 is "1" When positioned at the top like ", b, the mark 410 value is set to "2", when positioned on the left like c, the mark 410 value is set to "3", and when positioned at the bottom like d, the mark By indicating the value of (410) as “4”, position information can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ark 410 with respect to the intersection of the virtual grid lines 420 .

또한, 마크(410)는 가상의 격자선(420)상이 아닌 대각선 방향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가상 격자선(420)의 교점에 다수의 마크(410)가 형성되어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마크(410)값은 x좌표와 y좌표로 분리되는 방식으로 임의의 좌표로 표현될 수 있으며, 위치정보는 좌표로 표현되는 마크(410)값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rk 410 may be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rather than on the virtual grid line 420 , and a plurality of marks 410 may be formed at the intersection of one virtual grid line 420 to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have. In this case, each mark 410 value may be expressed in arbitrary coordinates in a manner separated into an x-coordinate and a y-coordinate, and loca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from the mark 410 value expressed in the coordinates.

가상의 격자선(420)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가로 및 세로로 형성될 수 있다. 격자선(420) 사이의 거리는 250 내지 300㎛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마크(410)는 가상의 격자선(420)의 교점을 중심으로 1/4 또는 1/8의 거리를 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마크(410)는 가상의 격자선(420)의 교점을 중심으로 두 개 이상의 마크(410)가 연관되어 형성 될 수 있다.The virtual grid lines 420 may be form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t regular intervals. The distance between the grid lines 420 may be formed in a range of 250 to 300 μm, and the mark 410 may be formed at a point at a distance of 1/4 or 1/8 with respect to the intersection of the virtual grid lines 420 . can Alternatively, the mark 410 may be formed by associating two or more marks 410 with the intersection of the virtual grid lines 420 .

적외선 센서(23)는 기록매체(200)의 표면 중 마크(410)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 산란되는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으며, 위치정보 산출부(24)는 이를 이용하여 6ⅹ6 크기의 격자선(420)상에서 가로세로 6개씩 36개의 마크(410)를 인식한 경우, 각각의 마크(410)값에 따른 위치정보를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기록매체(200)상에서의 절대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The infrared sensor 23 may detect infrared rays scattered from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recording medium 200 on which the mark 410 is not forme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calculating unit 24 uses this to generate a 6×6 grid line ( When 36 marks 410 are recognized by 6 horizontally and vertically on 420 ,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each mark 410 value is calculated and an absolute position on the recording medium 200 can be determined using this.

적외선 광원(26)은 외부로 적외선을 투광할 수 있다. 적외선 광원(26)은 기록매체(200) 상으로 적외선을 투광하여, 기록매체(200) 상에서 산란되는 적외선을 적외선 센서(23)가 감지할 수 있게 한다.The infrared light source 26 may transmit infrared rays to the outside. The infrared light source 26 emits infrared rays onto the recording medium 200 so that the infrared sensor 23 can detect the infrared rays scattered on the recording medium 200 .

적외선 광원(26)은 자체적으로 적외선 광원이 장착된 기록매체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필요하지 않은 경우가 있지만, 자체 적외선 광원이 없는 기록매체나 적외선 광원이 있더라도 적외선 센서(23)가 감지하기 어려운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In some cases, the infrared light source 26 is not required when it is used for a recording medium equipped with an infrared light source by itself, but in the case where the infrared sensor 23 is difficult to detect even if there is an infrared light source or a recording medium without an infrared light source. It may be useful.

가상의 격자선(420)과 마크(410)로 구성되는 닷패턴을 인지하여 기록매체(200)상에서의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일례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기록매체(200)상에 형성되는 임의의 패턴을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산출할 수 있는 모든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Although an example of calculating position information on the recording medium 200 by recognizing a dot pattern composed of virtual grid lines 420 and marks 410 has been described, an arbitrary pattern formed on the recording medium 200 has been described. It will be natural that all algorithms that can calculate location information using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기록매체(200)란 종이를 재질로 하는 기록매체뿐만이 아니라, 닷패턴을 표현할 수 있는 모든 디스플레이 매체를 포함한다 할 것이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rding medium 200 includes not only a recording medium made of paper, but also all display media capable of expressing a dot pattern.

제2필기부(30)는 도전성을 갖는 캡 형태로 구성되는 제2펜팁부(31) 및 제2피가압부(32)를 통하여 제2펜팁부(31)에 가해지는 필압 정보를 생성하는 제2압력감지센서(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writing unit 30 generates pen pressure information applied to the second pen tip unit 31 through the second pen tip unit 31 and the second pressurized unit 32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onductive cap. 2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ressure sensor (33).

제2펜팁부(31)는 도전성 물질로 구성되어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300)상에서 캐패시터의 전극을 움직여 정전 용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이동 경로에 따라 그래픽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second pen tip part 31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to change the capacitance by moving the electrode of the capacitor on the capacitive touch panel 300 to display 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path.

제2펜팁부(31)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과 카본이 함유된 실리콘을 주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pen tip part 31 may be made of, for example, silicon containing aluminum and carbon as main component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300)상에서 동작하는 제2펜팁부(31)를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저항막 방식 또는 광센서 방식의 터치 패널(300)상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고무 소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포함되는 범위라 할 것이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en tip unit 31 operating on the capacitive touch panel 300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in the case of operating on the resistive type or optical sensor type touch panel 300, It will be said that it can be composed of a general rubber element, etc.,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압력감지센서(32)는 제2펜팁부(31)와 인접하며 제2펜팁부(31)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The second pressure sensor 32 is adjacent to the second pen tip part 31 and may sense a pressure applied to the second pen tip part 31 .

제2압력감지센서(32)는 제2펜팁부(31)와 터치 패널(300)간의 접촉시, 제2펜팁부(31)에 가해지는 힘에 비례하는 압력을 수치로 산출한 필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second pressure sensor 32 generates pen pressure information obtained by numerically calculating a pressure proportional to the force applied to the second pen tip part 31 when the second pen tip part 31 and the touch panel 300 come into contact. can do.

통신부(4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하여 제1필기부(20) 또는 제2필기부(30)에서 생성한 정보를 외부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40)의 정보 전송은 내장된 MCU(미도시)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40 may transmit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first writing unit 20 or the second writing unit 30 to an external terminal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formation transmiss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40 may be controlled by a built-in MCU (not shown).

통신부(40)는 제1필기부(20)를 이용하여 필기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위치정보 및 필압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으며, 제2필기부(30)를 이용하여 필기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필압정보 만을 전송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40 may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pen pressure information together when the writing operation is performed using the first writing unit 20 , and when the writing operation is performed using the second writing unit 30 , It can be controlled to transmit only the pen pressure information.

이 경우에는 듀얼모드 펜에서 전송된 필압 정보와 터치패널의 위치정보 감지부(310)에서 감지한 위치 정보를 결합하여 하나의 필기정보로 완성하여 사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en pressur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ual-mode pe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sens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sensing unit 310 of the touch panel may be combined to form one piece of writing information.

듀얼모드 디지털펜(100)의 내부에는 기타 통신수단을 위한 장치, 마이크 및 스피커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가 내장될 수 있으며, 내장된 MCU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A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a device for other communication means, a microphone, and a speaker, may be built in the dual mode digital pen 100 , and the operation may be controlled by the built-in MCU.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9 and 20 are views showing a multi-purpose p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펜(100)은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쿠션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 , the multi-purpose pen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ushion part 800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도 20을 참조하면, 쿠션부(800)는 다목적 펜(100)의 외주면,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다목적 펜(100)을 받치는 손가락이 맞닿는 부분에 형성됨으로써,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0 , the cushion part 800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ulti-purpose pen 100 , specifically, a portion where a user's finger supporting the multi-purpose pen 100 abuts, thereby providing a cushioning feeling.

쿠션부(800)는 후면 플레이트(810), 전면 플레이트(820), 제1 상승 플레이트(830), 제2 상승 플레이트(840) 및 승하강부(8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ushion unit 800 may include a rear plate 810 , a front plate 820 , a first rising plate 830 , a second rising plate 840 , and an elevation 850 .

후면 플레이트(810)는 다목적 펜(100)의 외주면에 볼트(B)를 통해 고정 설치될 수 있다.The back plate 810 may be fixedly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ulti-purpose pen 100 through a bolt (B).

전면 플레이트(820)는 후면 플레이트(810)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The front plate 820 may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rear plate 810 .

제1 상승 플레이트(830)는 일측이 제1 회동 핀(830a)을 통해 후면 플레이트(81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first rising plate 830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plate 810 through the first rotation pin 830a.

제2 상승 플레이트(840)는 타측이 제2 회동 핀(840a)을 통해 전면 플레이트(82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rising plate 840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ont plate 820 through the second rotation pin 840a.

제1 상승 플레이트(830)의 타측과 제2 상승 플레이트(840)의 일측은 승하강 핀(830b)을 통해 상호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other side of the first rising plate 830 and one side of the second rising plate 840 may be installed to be rotatabl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elevation pins 830b.

승하강부(850)는 후면 플레이트(810), 전면 플레이트(820), 제1 상승 플레이트(830) 및 제2 상승 플레이트(84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S)에 설치될 수 있다.The elevating unit 850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S formed by the rear plate 810 , the front plate 820 , the first rising plate 830 , and the second rising plate 840 .

승하강부(850)는 제1 돌기(851), 제2 돌기(852) 및 탄성 브릿지(853)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vating unit 850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851 , a second protrusion 852 , and an elastic bridge 853 .

제1 돌기(851)는 단면이 반원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굴곡진 부분이 전면 플레이트(820)를 향하도록 후면 플레이트(810)에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protrusion 851 may have a semicircular cross-section, and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plate 810 such that a curved portion faces the front plate 820 .

제2 돌기(852)는 단면이 반원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굴곡진 부분이 후면 플레이트(810)를 향하도록 전면 플레이트(820)에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protrusion 852 may have a semicircular cross-section, and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plate 820 such that a curved portion faces the rear plate 810 .

즉, 제1 돌기(851) 및 제2 돌기(852)는 내부 공간(S)에서 대칭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protrusion 851 and the second protrusion 852 may be provided in a symmetrical shape in the inner space (S).

제1 돌기(851) 및 제2 돌기(852)는 상호 마주하는 면에 복수의 홈 부(851a, 852a)를 각각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제1 돌기(851)는 상하측에 하나 이상의 제1 보조 홈(851b)을 형성하고, 제2 돌기(852)는 상하측에 하나 이상의 제2 보조 홈(852b)을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protrusion 851 and the second protrusion 852 may respectively form a plurality of groove portions 851a and 852a on surfaces facing each other, and in addition, the first protrusion 851 may include one or more upper and lower sides. A first auxiliary groove 851b may be formed, and one or more second auxiliary grooves 852b may be formed on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econd protrusion 852 .

탄성 브릿지(853)는 단면이 반원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돌기(851) 및 제2 돌기(852)를 연결할 수 있다. The elastic bridge 853 may have a semicircular cross-section, and may connect the first protrusion 851 and the second protrusion 852 .

즉, 탄성 브릿지(853)의 양단은 각각 제1 돌기(851) 및 제2 돌기(852)의 상측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탄성 브릿지(853)의 상측면은 제1 상승 플레이트(830) 및 제2 상승 플레이트(840)와 맞닿은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브릿지(853)는 상부면에 복수의 홈 부(853a)를 형성할 수 있다. That is, both ends of the elastic bridge 853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protrusion 851 and the second protrusion 852 ,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bridge 853 may be disposed in abutting state with the first rising plate 830 and the second rising plate 840 . The elastic bridge 853 may form a plurality of groove portions 853a on the upper surface.

제1 돌기(851), 제2 돌기(852) 및 탄성 브릿지(853)는 합성고무, 타이어 재질 또는 연질 플라스틱 등과 같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protrusion 851 , the second protrusion 852 , and the elastic bridge 853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synthetic rubber, a tire material, or soft plastic.

이러한 쿠션부(800)는 전면 플레이트(820)에 후면 플레이트(810) 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탄성 브릿지(853)가 접히면서 제1 상승 플레이트(830) 및 제2 상승 플레이트(840)가 상호 연결된 승하강 핀(830b) 부분을 상방으로 가압하여 제1 상승 플레이트(830) 및 제2 상승 플레이트(840)가 접히면서 상승하도록 한다.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front plate 820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plate 810, the cushioning part 800 folds the elastic bridge 853 so that the first rising plate 830 and the second rising plate 840 are formed. The interconnected elevating pins 830b are pressed upward so that the first lifting plate 830 and the second lifting plate 840 are folded and raised.

여기에서, 제1 돌기(851) 및 제2 돌기(852)는 전면 플레이트(820)가 후면 플레이트(810)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호 맞닿아 휘어짐으로써 전면 플레이트(820)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나아가, 홈 부(851a, 852a, 853a), 제1 보조 홈(851b) 및 제2 보조 홈(852b)은 제1 돌기(851), 제2 돌기(852) 및 탄성 브릿지(853)의 휘어짐을 용이하게 한다.Here, the first protrusion 851 and the second protrusion 852 abut against each other as the front plate 820 moves toward the rear plate 810 and bend to absorb the shock applied to the front plate 820 . Further, the groove portions 851a, 852a, 853a, the first auxiliary groove 851b and the second auxiliary groove 852b are the first projection 851, the second projection 852, and the elastic bridge 853. Facilitates bending.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다목적 펜100: multi-purpose pen

Claims (2)

통신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형성되는 넷보드; 및
펜 형태로 형성되고, 종이에 입력되는 펜 입력의 궤적을 감지하여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넷보드에 상기 펜 입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목적 펜;을 포함하고,
상기 다목적 펜은,
상기 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필기부; 및
상기 다목적 펜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쿠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는,
상기 다목적 펜의 외주면에 볼트를 통해 고정 설치되는 후면 플레이트;
상기 후면 플레이트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전면 플레이트;
일측이 제1 회동 핀을 통해 상기 후면 플레이트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상승 플레이트;
일측이 승하강 핀을 통해 상기 제1 상승 플레이트의 타측에 상호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이 제2 회동 핀을 통해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상승 플레이트; 및
상기 후면 플레이트, 상기 전면 플레이트, 상기 제1 상승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상승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승하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부는,
단면이 반원 형태로 형성되고, 굴곡진 부분이 상기 전면 플레이트를 향하도록 상기 후면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1 돌기;
단면이 반원 형태로 형성되고, 굴곡진 부분이 상기 후면 플레이트를 향하도록 상기 전면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2 돌기; 및
단면이 반원 형태로 형성되고, 양단이 각각 상기 제1 돌기의 상측 및 상기 제2 돌기의 상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측면이 상기 제1 상승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상승 플레이트와 맞닿은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전면 플레이트에 상기 후면 플레이트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승하강 핀 부분을 상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상승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상승 플레이트가 접히면서 상승하도록 하는 탄성 브릿지;를 포함하는, 양방향 학습 시스템.
a netboard formed of a display device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multi-purpose pen formed in the form of a pen, generating pen input data by sensing the trajectory of pen input input to paper, and transmitting the pen input data to the netboard;
The multi-purpose pen,
a writing unit generating the pen input data; and
Including; a cushion port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ulti-purpose pen,
The cushion part,
a rear plate fixedly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ulti-purpose pen through a bolt;
a front plat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ar plate;
a first lifting plate,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plate through a first pivot pin;
a second lifting plate having one side rotatab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lifting plate through an elevating pin, and the other end being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plate through a second rotating pin; and
Containing; including; and
The elevating unit,
a first protrusion having a semicircular cross-section and installed on the rear plate such that a curved portion faces the front plate;
a second protrusion having a semicircular cross-section and installed on the front plate such that a curved portion faces the rear plate; and
The cross section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nd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protrusion, respectively, and the upper surface is disposed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first rising plate and the second rising plate, and the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front plate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plate, an elastic bridge that presses the lifting pin portion upward so that the first lifting plate and the second lifting plate rise while being folded; Bidirectional learning, including system.
삭제delete
KR1020210155870A 2021-08-03 2021-11-12 Education system with multipurpose pen KR1023539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870A KR102353940B1 (en) 2021-08-03 2021-11-12 Education system with multipurpose p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02217 2021-08-03
KR1020210121205A KR102328569B1 (en) 2021-08-03 2021-09-10 A multipurpose pen
KR1020210155870A KR102353940B1 (en) 2021-08-03 2021-11-12 Education system with multipurpose pe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205A Division KR102328569B1 (en) 2021-08-03 2021-09-10 A multipurpose p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940B1 true KR102353940B1 (en) 2022-01-21

Family

ID=7871795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205A KR102328569B1 (en) 2021-08-03 2021-09-10 A multipurpose pen
KR1020210155870A KR102353940B1 (en) 2021-08-03 2021-11-12 Education system with multipurpose pen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205A KR102328569B1 (en) 2021-08-03 2021-09-10 A multipurpose p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2856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9810B1 (en) * 2022-12-19 2023-07-26 주식회사 보나 an optical digital pen of providing eraser mode by use of pressure sens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5711A (en) * 2010-10-06 2012-04-16 서호영 Electric writ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311506B1 (en) * 2013-02-27 2013-09-25 (주)판도라테크 Pen input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688B1 (en) * 2013-04-05 2014-08-20 (주)펜제너레이션스 Dual-mode digital pen
KR101861207B1 (en) * 2016-07-08 2018-05-28 주식회사 쏠리드에듀 Method and system of operating 3d contents using electronic pen
US10635934B2 (en) * 2017-09-19 2020-04-28 Ramot At Tel-Aviv University Ltd. Method and system for image content recogni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5711A (en) * 2010-10-06 2012-04-16 서호영 Electric writ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311506B1 (en) * 2013-02-27 2013-09-25 (주)판도라테크 Pen input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8569B1 (en) 2021-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69717C2 (en) Handbook input / output system, digital ink sheet, information intake system and sheet supporting information input
US5434371A (en) Hand-held electronic writing tool
US10606474B2 (en) Touch screen finger tracing device
JP5285092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recording of handwritten information
US20130307829A1 (en) Haptic-acoustic pen
EP2560079A1 (en) Handwriting input boar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ing a handwriting input board
US20070188477A1 (en) Sketch pad and optical stylus for a personal computer
JPH05278390A (en) Memory pen
US20130033461A1 (en) System for notetaking with source document referencing
KR102359139B1 (en) Electronic pen, electronic device associated with electronic p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KR102487643B1 (en) Electronic pen, electronic device associated with electronic pen,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on which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is recorded
US20080122790A1 (en) Optical handwriting input device
KR102353940B1 (en) Education system with multipurpose pen
CN103777785A (en) Stylus pen and information device
KR101077005B1 (en) Writing Discernment System Using Electric Pen
JP4761523B2 (en) Writing practice system and writing practice program
JP6197290B2 (en) Computer apparatus, playback system, and program
KR101431688B1 (en) Dual-mode digital pen
TW200945120A (en) Digital pen structure and data input method
CN103336583A (en) Projection keyboard and character code determining method of projection keyboard
CN110134261A (en) It is a kind of to restore the electronic pen really write
KR20120035711A (en) Electric writ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WO2022205170A1 (en) Writing device, smart writing pad, and method for configuring color of electronic handwriting
KR102645306B1 (en) Electronic pen, electronic device associated with electronic pen,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on which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is recorded
JP2014134854A (en) Computer device, evaluation system,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