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810B1 - an optical digital pen of providing eraser mode by use of pressure sensor - Google Patents

an optical digital pen of providing eraser mode by use of pressure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810B1
KR102559810B1 KR1020220178753A KR20220178753A KR102559810B1 KR 102559810 B1 KR102559810 B1 KR 102559810B1 KR 1020220178753 A KR1020220178753 A KR 1020220178753A KR 20220178753 A KR20220178753 A KR 20220178753A KR 102559810 B1 KR102559810 B1 KR 102559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electronic pen
optical electronic
erase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87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규태
김하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나
Priority to KR1020220178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81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8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2Light pens for emitting or receiving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광학식 전자펜에 대해 지우개 기능을 구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광학식 전자펜에서 전용 버튼을 설치하거나 툴바를 설치하지 않고 전자펜 내부에 설치된 압력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조작 형태를 해석하여 지우개 모드로 진입하거나 혹은 지우개 모드로부터 이탈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광학식 전자펜에 대해 지우개 기능을 구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학식 전자펜의 하드웨어를 단순화하고 전자펜 디자인을 단순화한 상태로 광학식 전자펜에 지우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직관적으로 지우개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어 광학식 전자펜의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a technology for implementing an eraser function for an optical electronic pen.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realizing an eraser function for an optical electronic pen by interpreting a user's manipulation form by a pressure sensor installed inside the electronic pen and controlling the optical electronic pen to enter or leave the eraser mode without installing a dedicated button or a tool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n eraser function can be implemented in an optical electronic pen while simplifying the hardware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and simplifying the design of the electronic pen.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raser function can be intuitively activated,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Description

압력센서를 이용한 지우개 기능을 갖는 광학식 전자펜 {an optical digital pen of providing eraser mode by use of pressure sensor}Optical electronic pen having an eraser function using a pressure sensor {an optical digital pen of providing eraser mode by use of pressure senso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광학식 전자펜에 대해 지우개 기능을 구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a technology for implementing an eraser function for an optical electronic pen.

특히, 본 발명은 광학식 전자펜에서 전용 버튼을 설치하거나 툴바를 설치하지 않고 전자펜 내부에 설치된 압력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조작 형태를 해석하여 지우개 모드로 진입하거나 혹은 지우개 모드로부터 이탈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광학식 전자펜에 대해 지우개 기능을 구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realizing an eraser function for an optical electronic pen by interpreting a user's manipulation form by a pressure sensor installed inside the electronic pen and controlling the optical electronic pen to enter or leave the eraser mode without installing a dedicated button or a toolbar.

일반적으로 전자펜(스마트펜, 터치펜)은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전자기기(예: 랩톱컴퓨터, 스마트폰, 전자칠판 등)에 디스플레이하고 파일로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태블릿 PC나 랩톱컴퓨터 등에서 전자펜 기능이 적용되고 있고 각종 전자필기 프로그램(앱)도 발전하고 있어 전자기기용 전자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In general, electronic pens (smart pens, touch pens) are used for displaying user's writing contents on electronic devices (eg, laptop computers, smart phones, electronic blackboards, etc.) and storing them as files. As electronic pen functions are being applied to tablet PCs and laptop computers, and various electronic writing programs (apps) are also developing, interest in electronic pens for electronic devices is growing.

전자펜 솔루션으로서 전자기공명 방식의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과 정전 방식의 액티브 펜(active pen)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런데, 이들 기술은 10인치 이상의 디스플레이에서는 성능 확보가 어렵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에 2차원 센서 배열을 설치해야 하므로 디스플레이 사이즈 증가에 따라 제조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폼팩터 변화(예: 폴딩, 롤링, 슬라이딩 등)에 대응하기 곤란하다. As an electronic pen solution, an electromagnetic resonance type stylus pen and an electrostatic type active pen are generally us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performance of these technologies in a display of 10 inches or more. In addition, since a two-dimensional sensor array must be installed on the display panel, manufacturing costs greatly increase as the size of the display increases, and it is difficult to respond to changes in form factor (eg, folding, rolling, sliding, etc.).

이에, 전자기기용 펜 솔루션으로서 광학식 전자펜(optical digital pen)이 개발되고 있다. 도트 패턴이 적용된 투명필름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하는 등에 의해 위치코드만 형성하면 되므로 디스플레이 사이즈가 증가해도 전자펜 성능 저하나 제조비용 상승이 거의 없고 폼팩터 변화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Accordingly, an optical digital pen is being developed as a pen solution for electronic devices. Since only the location code is formed by attaching a transparent film with a dot pattern to the display panel, etc., even if the display size increases, there is little decrease in electronic pen performance or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and it can effectively respond to change in form factor.

[도 1]은 일반적인 광학식 전자펜(10)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광학식 전자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광학식 전자펜 시스템은 광학식 전자펜(10)과 스마트 단말장치(30)로 구성된다.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general optical electronic pen 10, and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general optical electronic pen system. Referring to FIG. 2 , the optical electronic pen system is composed of an optical electronic pen 10 and a smart terminal device 30 .

펜바디(11)를 그립(grip)한 상태로 디스플레이 패널(200) 상에 필기하면 펜팁(12)이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표면에 맞닿은 상태로 동작 궤적을 이루게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일반적인 종이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유리나 강화 플라스틱 재질의 액정(LCD) 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소자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When writing on the display panel 200 with the pen body 11 being gripped, the pen tip 12 forms a motion trajectory whil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200 . At this time, the display panel 20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It may be made of a general paper material, or may be made of a liquid crystal (LCD) 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element made of glass or reinforced plastic.

전자펜 제어부재(14)는 전자펜 펜팁(12)과 디스플레이 패널(200) 간의 접촉 이벤트를 압력센싱유닛(13)의 압력 감지를 통해 식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필기하고 있는 사실을 인지한다. 압력센싱유닛(13)은 압력센서 지지유닛(13a)에 의해 후방 지지되므로 필기가 시작될 때 펜팁(12)에 인가된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펜 제어부재(14)는 필기 사실을 식별하면 IR 발광유닛(17)을 제어하여 펜팁(12)의 움직임을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외표면에 빛(예: 적외선(IR) 광)을 조사하도록 한다. The electronic pen controller 14 can identify a contact event between the electronic pen tip 12 and the display panel 200 through the pressure sensing of the pressure sensing unit 13, and through this, recognizes that the user is writing. Since the pressure sensing unit 13 is supported backward by the pressure sensor support unit 13a, it can sens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en tip 12 when writing starts. The electronic pen controller 14 controls the IR light emitting unit 17 to radiate light (eg, infrared (IR) ligh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20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en tip 12 when the writing fact is identified.

IR 발광유닛(17)이 조사한 빛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표면에서 반사되는데, IR 수광유닛(16)이 그 반사광을 수광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에는 위치코드(210)가 인쇄 또는 디스플레이 형성되어 있다. 위치코드(210)는 특수한 인코딩 규칙에 따라 이루어진 도트 패턴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적외선 광원을 흡수하는 투명 도트 패턴이 적용된 투명필름을 부착하고, 그 위에서 IR 발광유닛(17)이 적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light emitted by the IR light emitting unit 17 is reflected from th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200, and the IR light receiving unit 16 receives the reflected light. A location code 210 is printed or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200 . The location code 210 may be implemented as a dot pattern formed according to a special encoding rule. A transparent film having a transparent dot pattern for absorbing an infrared light source is applied to the display panel 200, and the IR light emitting unit 17 may emit infrared rays thereon.

IR 수광유닛(16)이 반사광(IR 반사광)을 수집하면 펜팁(12)의 이동궤적에 대응하는 위치코드(210) 정보도 함께 획득하게 된다. IR 수광유닛(16)은 IR 필터부(16a), CMOS 광학부(16b), IR 센서부(16c)로 구성될 수 있으며 렌즈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IR 수광유닛(16)은 적외선 카메라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When the IR light receiving unit 16 collects the reflected light (IR reflected light), the location code 210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pen tip 12 is also acquired. The IR light receiving unit 16 may include an IR filter unit 16a, a CMOS optical unit 16b, and an IR sensor unit 16c, and may further include a lens and the like. In one embodiment, the IR light receiving unit 16 may be implemented as an infrared camera module.

전자펜 제어부재(14)의 좌표 계산부(14a)는 IR 수광유닛(16)이 획득한 위치코드(210)를 분석하여 펜팁(12)이 디스플레이 패널(200) 상에서 움직인 일련의 좌표정보를 획득한다. 좌표 계산부(14a)가 획득한 좌표정보는 무선통신유닛(18)을 통해 스마트 단말장치(30)의 단말 통신부(31)에 근거리 무선통신(예: 블루투스)으로 전송된다. The coordinate calculation unit 14a of the electronic pen control unit 14 analyzes the location code 210 acquired by the IR light receiving unit 16 to obtain a series of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movement of the pen tip 12 on the display panel 200. The coordinat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coordinate calculation unit 14a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31 of the smart terminal device 3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8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eg, Bluetooth).

전자펜 제어부재(14)의 하드웨어 제어부(14b)는 광학식 전자펜(10)의 하드웨어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압력센싱유닛(13)으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정보에 대응하여 IR 발광유닛(17)을 턴온(turn-on) 또는 턴오프(turn-off) 제어한다. 압력이 검출되면 IR 발광유닛(17)이 턴 온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0) 상에 빛의 조사가 시작되며, 그에 대응하여 IR 수광유닛(16)이 위치코드(210)를 획득하기 시작하고 좌표 계산부(14a)가 좌표정보를 획득하여 전자펜 제어부재(14)가 펜팁 이동에 따른 일련의 좌표정보를 스마트 단말장치(30)로 제공하기 시작한다. 압력이 미검출되면 IR 발광유닛(17)이 턴 오프되어 빛의 조사가 중단되고, 그에 따라 전자펜 제어부재(14)가 좌표정보를 스마트 단말장치(30)로 제공하는 것도 중단된다.The hardware controller 14b of the electronic pen controller 14 controls the hardware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as a whole. In particular, the IR light emitting unit 17 is turned on or turned off in response to pressur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ressure sensing unit 13 . When the pressure is detected, the IR light emitting unit 17 turns on and starts radiating light on the display panel 200. In response, the IR light receiving unit 16 starts acquiring the location code 210, and the coordinate calculation unit 14a acquires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electronic pen control unit 14 starts providing a series of coordin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en tip to the smart terminal device 30. When the pressure is not detected, the IR light emitting unit 17 is turned off to stop irradiation of light, and accordingly, the electronic pen controller 14 stops providing coordinate information to the smart terminal device 30 .

스마트 단말장치(30) 측에서는 단말 통신부(31)를 통해 전자펜(10)으로부터 일련의 좌표정보를 수신하고, 단말 제어부(32)의 궤적 산출부(32a)가 일련의 좌표정보를 기초로 광학식 전자펜(10)의 펜팁(12)이 이동한 궤적을 산출한다. 단말 제어부(32)의 궤적 표시부(32b)는 펜팁(12)의 이동궤적을 단말 패널부(33)에 표시한다. 이때, 단말 패널부(33)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대응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On the side of the smart terminal device 30, a series of coordinat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pen 10 through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31, and the trajectory calculation unit 32a of the terminal control unit 32 calculates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pen tip 12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based on the series of coordinate information. The trajectory display unit 32b of the terminal control unit 32 displays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pen tip 12 on the terminal panel unit 33 . At this time, it is common that the terminal panel unit 33 corresponds to the display panel 2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전자펜은 동작 모드로서 필기 모드(writing mode)와 지우개 모드(erasing mode)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필기 모드는 전자펜 펜팁(12)의 이동궤적을 따라 단말 패널부(33) 상에 필기 궤적을 생성하는 동작 모드이다. 반대로, 지우개 모드는 이전에 생성하였던 필기 궤적을 전자펜 펜팁(12)의 이동궤적을 따라 삭제하는 동작 모드이다. Electronic pens generally have a writing mode and an erasing mode as operation modes. The writing mode is an operation mode that generates a writing trajectory on the terminal panel unit 33 along the moving trajectory of the pen tip 12 of the electronic pen. Conversely, the eraser mode is an operation mode for deleting a previously created writing trajectory along the moving trajectory of the electronic pen tip 12 .

종래에 지우개 기능을 구현하는 일 예는 전용 버튼(미도시)을 펜바디(11)에 설치하여 이 버튼이 눌리면 지우개 모드로 진입하고 이 버튼이 릴리즈되면 필기 모드로 진입하는 것이다. 이 첫번째 방식은 전자펜(10)의 펜바디(11)에 물리적으로 버튼을 설치해야 하므로 전자펜(10)의 하드웨어 구조가 복잡해지고 미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One conventional example of implementing an eraser function is to install a dedicated button (not shown) on the pen body 11 to enter an eraser mode when the button is pressed and to enter a writing mode when the button is released. This first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hardware structure of the electronic pen 10 is complicated and the aesthetic feeling is poor because the button must be physically installed on the pen body 11 of the electronic pen 10 .

종래에 지우개 기능을 구현하는 다른 예는 단말 패널부(33)의 표시화면 일 측에 지우개 아이콘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전자펜으로 이 지우개 아이콘을 클릭하면 지우개 모드로 진입하는 것이다. [도 3]은 전자펜 시스템에서 두번째 방식에 따라 지우개 기능을 구현하는 예시도이다. 이 두번째 방식은 지우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전자펜(10)을 툴바까지 이동해야 하므로 대형 디스플레이를 채택한 경우에는 사용이 불편하고 내용 흐름이 끊기는 단점이 있다. Another example of conventionally implementing the eraser function is to display an eraser icon on one side of the display screen of the terminal panel unit 33 and enter the eraser mode when the user clicks the eraser icon with an electronic pen. [Fig. 3] is an exemplary view of implementing an eraser fun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method in the electronic pen system. In this second method, since the electronic pen 10 must be moved to the toolbar in order to use the eraser function, it is inconvenient to use when a large display is adopted and the flow of content is interrupted.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81302호 "전자지우개, 지우개 겸용 전자펜, 코드가 인쇄된 매체"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81302 "Electronic Eraser, Eraser Combined Electronic Pen, Code Printed Media"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89989호 "지우개, 컬러펜 및 프리젠더 기능을 구비한 전자칠판용 전자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89989 "Electronic pen for electronic blackboard with eraser, color pen and presenter function"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027590호 "전자칠판용 전자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27590 "Electronic pen for electronic board"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광학식 전자펜에 대해 지우개 기능을 구현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enerally provide a technique for implementing an eraser function for an optical electronic pen.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학식 전자펜에서 전용 버튼을 설치하거나 툴바를 설치하지 않고 전자펜 내부에 설치된 압력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조작 형태를 해석하여 지우개 모드로 진입하거나 혹은 지우개 모드로부터 이탈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광학식 전자펜에 대해 지우개 기능을 구현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particula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ology for realizing an eraser function for an optical electronic pen by interpreting a user's operation form by a pressure sensor installed inside the electronic pen and controlling the optical electronic pen to enter or leave the eraser mode without installing a dedicated button or a toolbar.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 사항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른 해결 과제가 이해될 수 있다.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other problems can be understood from the description of this specifica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펜 내부에 설치된 압력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조작 형태를 해석하여 지우개 모드로 진입하거나 혹은 지우개 모드로부터 이탈하도록 제어하는 기술을 제시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technique of controlling a user's operation type to be analyzed by a pressure sensor installed inside the electronic pen to enter or leave the eraser mode.

본 발명에 따른 압력센서를 이용한 지우개 기능을 갖는 광학식 전자펜은, 펜팁(12)에 인가된 필압을 각자 센싱하는 셋 이상의 압력센서 배열(13a ~ 13d)이 광학식 전자펜(10)의 수직 단면에 배열 형성된 압력센싱유닛(13); 사용자가 광학식 전자펜(10)의 펜팁(12)을 화면에 대고 누르는 상태로 펜팁(12)이 형성한 제스쳐 패턴인 필압 인가 패턴이 미리 설정된 제 1 방향 회전 패턴 또는 제 2 방향 회전 패턴임을 일정 시간구간 동안에 압력센서 배열(13a ~ 13d)에서 센싱되는 일련의 필압의 감지 순서에 기초하여 식별하는 필압패턴 식별부(14c); 필압 인가 패턴이 제 1 방향 회전 패턴 또는 제 2 방향 회전 패턴임에 각각 대응하여 광학식 전자펜(10)의 동작 모드를 필기 모드와 지우개 모드 간에 스위칭 제어하는 지우개 제어부(14f);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n optical electronic pen having an eraser function using a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ree or more pressure sensor arrays 13a to 13d respectively sensing the pen pressure applied to the pen tip 12, a pressure sensing unit 13 arranged on a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A pen pressure pattern identification unit 14c for discriminating that a pen pressure application pattern, which is a gesture pattern formed by the pen tip 12 while the user presses the pen tip 12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against the screen, is a preset rotation pattern in a first direction or a rotation pattern in a second direction based on a sequence of sensing a series of pen pressures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arrays 13a to 13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 eraser control unit 14f for switching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between the writing mode and the eraser mode in response to the pen pressure application pattern being the rotation pattern in the first direction or the rotation pattern in the second direction, respectivel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르면 광학식 전자펜의 하드웨어를 단순화하고 전자펜 디자인을 단순화한 상태로 광학식 전자펜에 지우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n eraser function can be implemented in an optical electronic pen while simplifying the hardware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and simplifying the design of the electronic pen.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직관적으로 지우개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어 광학식 전자펜의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raser function can be intuitively activated,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도 1]은 일반적인 광학식 전자펜의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광학식 전자펜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전자펜 시스템에서 지우개 기능을 구현하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위한 광학식 전자펜 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전자펜의 지우개 기능 제공 프로세스의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압력센싱유닛이 압력센서 배열로 구성된 일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광학식 전자펜의 동작 모드 천이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전자펜의 지우개 기능 제공 프로세스의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광학식 전자펜의 동작 모드 천이 순서도.
[Figure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general optical electronic pen.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general optical electronic pen system.
[Figure 3] is an example of implementing an eraser function in a conventional electronic pen system.
[Figure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ptical electronic pen system for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of a process of providing an eraser function of an optical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pressure sensing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ressure sensor array.
[Fig. 7] is an operation mode transition flowchart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 chart of a process of providing an eraser function of an optical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operation mode transition flowchart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기술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portions overlapping with those of the prior art may be omitted.

[도 4]는 본 발명을 위한 광학식 전자펜 시스템의 일 실시예 구성이다. [Figure 4] is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n optical electronic pen system for the present invention.

[도 2]와 비교하면, 본 발명을 위한 광학식 전자펜 시스템은 필압패턴 식별부(14c), 필압레벨 산출부(14d), 필압시간 산출부(14e), 지우개 제어부(14f), 자이로 센서(15)를 더 구비한다. Compared with FIG. 2 , the optical electronic pen system for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en pressure pattern identification unit 14c, a pen pressure level calculator 14d, a pen pressure time calculator 14e, an eraser controller 14f, and a gyro sensor 15.

필압패턴 식별부(14c)는 광학식 전자펜(10)의 펜팁(12)이 그 압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형성하는 제스쳐 패턴(필압 인가 패턴)을 식별하는 구성요소이다. The pen pressure pattern identification unit 14c is a component that identifies a gesture pattern (pen pressure application pattern) formed by the pen tip 12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in a state where the pressure is applied.

필압레벨 산출부(14d)는 광학식 전자펜(10)의 펜팁(12)에 인가되는 필압 인가 레벨을 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The pen pressure level calculator 14d is a component that calculates a pen pressure application level applied to the pen tip 12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

필압시간 산출부(14e)는 광학식 전자펜(10)의 펜팁(12)에 일정 이상의 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의 지속시간(필압 인가 시간)을 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The pen pressure time calculation unit 14e is a component that calculates a duration (pen pressure application time) in a state in which a certain or more p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pen tip 12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

지우개 제어부(14f)는 필압 인가 패턴, 필압 인가 레벨, 필압 인가 시간 등에 의해 광학식 전자펜(10)의 동작 모드를 필기 모드와 지우개 모드 간에 스위칭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The eraser controller 14f is a componen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mode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to be switched between a writing mode and an eraser mode according to a pen pressure application pattern, a pen pressure application level, and a pen pressure application time.

자이로 센서(15)는 광학식 전자펜(10)의 물리적인 움직임을 센싱하는 구성요소로서, 이는 광학식 전자펜(10)에 대해 필기 조작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지우개 제어부(14f)가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The gyro sensor 15 is a component that senses the physical movement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and is used by the eraser control unit 14f to determine whether a writing operation is being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도 4]에는 필압패턴 식별부(14c), 필압레벨 산출부(14d), 필압시간 산출부(14e), 지우개 제어부(14f)가 광학식 전자펜(10)에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들 중에서 일부는 스마트 단말장치(30)에 구비될 수도 있다. 4 shows that the pen pressure pattern identification unit 14c, the pen pressure level calculator 14d, the pen pressure time calculator 14e, and the eraser control unit 14f are provided in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but some of them may also be included in the smart terminal device 30.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전자펜의 지우개 기능 제공 프로세스의 순서도이다. [도 5]의 제 1 실시예는 광학식 전자펜(10)에 구비된 다수의 압력센서를 사용하여 압력 패턴 기반으로 지우개 기능을 활성화 또는 해제하는 방식이다. 5 is a flowchart of a process of providing an eraser function of an optical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mbodiment of FIG. 5 is a method of activating or canceling an eraser function based on a pressure pattern using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provided in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

단계 (S100) : 먼저, 광학식 전자펜(10)의 압력센싱유닛(13)에 구비된 압력센서 배열(13a ~ 13d)이 펜팁(12)에 인가된 필압을 센싱한다. Step S100: First, the pressure sensor arrays 13a to 13d provided in the pressure sensing unit 13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sense the pen pressure applied to the pen tip 12.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위해서는 압력센싱유닛(13)이 압력센서 배열(13a ~ 13d)을 구비한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압력센싱유닛(13)이 압력센서 배열(13a ~ 13d)로 구성된 일 실시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4개의 압력센서(13a ~ 13d)가 배열(array)을 형성하고 있다. For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sensing unit 13 has pressure sensor arrays 13a to 13d. 6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pressure sensing unit 13 is composed of pressure sensor arrays 13a to 13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four pressure sensors 13a to 13d form an array.

단계 (S110) : 다음으로, 일정 시간구간(예: 2초) 동안에 센싱되는 일련의 필압에 기초하여 필압패턴 식별부(14c)가 필압 인가 패턴을 식별한다. Step S110: Next, the pen pressure pattern identification unit 14c identifies a pen pressure application pattern based on a series of pen pressures sen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g, 2 seconds).

예를 들어, 사용자가 광학식 전자펜(10)의 펜팁(12)을 바닥에 대고 누르는 상태로 펜팁(12)을 중심으로 광학식 전자펜(10)을 시계 방향으로(clockwise) 360도 돌리면 압력센서 배열(13a ~ 13d)에서는 (13a) - (13b) - (13c) - (13d) - (13a)의 순서로 필압을 감지하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광학식 전자펜(10)의 펜팁(12)을 바닥에 대고 누르는 상태로 펜팁(12)을 중심으로 광학식 전자펜(10)을 반시계 방향으로(counter-clockwise) 360도 돌리면 압력센서 배열(13a ~ 13d)에서는 (13a) - (13d) - (13c) - (13b) - (13a)의 순서로 필압을 감지하게 된다. For example, when a user turns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clockwise 360 degrees around the pen tip 12 while pressing the pen tip 12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against the floor, the pressure sensor arrays 13a to 13d sense the pen pressure in the order of (13a) - (13b) - (13c) - (13d) - (13a). Conversely, when the user rotates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counter-clockwise 360 degrees around the pen tip 12 while pressing the pen tip 12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against the floor, the pressure sensor arrays 13a to 13d sense the pen pressure in the order of (13a) - (13d) - (13c) - (13b) - (13a).

이처럼 필압패턴 식별부(14c)는 필압 인가 패턴을 식별하게 되는데, 이는 사용자가 광학식 전자펜(10)의 펜팁(12)을 바닥에 대고 누르는 상태로 광학식 전자펜(10)에 대해 어떠한 제스쳐를 취했는지와 연관되어 있다. As such, the pen pressure pattern identification unit 14c identifies the pen pressure application pattern, which is related to what kind of gesture the user made with respect to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while pressing the pen tip 12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against the floor.

단계 (S120) : 다음으로, 지우개 제어부(14f)는 필압 인가 패턴에 기초하여 광학식 전자펜(10)의 동작 모드를 필기 모드와 지우개 모드 간에 스위칭 제어한다. 즉, 광학식 전자펜(10)의 펜팁(12)을 바닥에 대고 누르는 상태로 사용자가 광학식 전자펜(10)에 대해 취한 제스쳐를 해석하여 필기 모드와 지우개 모드 간에 스위칭 제어한다. Step S120: Next, the eraser control unit 14f switches the operation mode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between the writing mode and the eraser mode based on the pen pressure application pattern. That is, by interpreting a gesture made by the user with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while pressing the pen tip 12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against the floor, switching between the writing mode and the eraser mode is controlled.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광학식 전자펜의 동작 모드 천이 순서도이다. [도 7]의 전체 과정은 [도 5]에서 단계 (S120)에 대응한다. 7 is an operation mode transition flowchart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 process of [Fig. 7] corresponds to step S120 in [Fig. 5].

단계 (S200) : 먼저, 지우개 제어부(14f)는 광학식 전자펜(10)의 동작 모드를 필기 모드로 초기 설정한다. Step S200: First, the eraser control unit 14f initially sets the operation mode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to the writing mode.

단계 (S210 ~ S230) : 다음으로, 지우개 제어부(14f)는 필압패턴 식별부(14c)에 의한 필압 인가 패턴의 식별을 대기한다. 즉, 사용자가 펜팁(12)을 바닥에 대고 누르는 상태로 어떠한 제스쳐를 취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다. 지우개 제어부(14f)는 (S210)에서 식별된 필압 인가 패턴이 미리 설정된 제 1 방향 회전 패턴, 예컨대 (13a) - (13b) - (13c) - (13d) - (13a)이면 광학식 전자펜(10)의 동작 모드를 지우개 모드로 스위칭 설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다시 앞으로 되돌아간다. Steps (S210 to S230): Next, the eraser controller 14f waits for the pen pressure application pattern to be identified by the pen pressure pattern identification unit 14c. That is, it waits until the user takes a gesture while pressing the pen tip 12 against the ground. The eraser control unit 14f switches the operation mode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to the eraser mode if the pen pressure application pattern identified in step S210 is a preset rotation pattern in the first direction, for example, (13a) - (13b) - (13c) - (13d) - (13a), otherwise it returns to the forward direction.

단계 (S240 ~ S260) : 바로 이전의 (S230)에 의해 광학식 전자펜(10)의 동작 모드는 지우개 모드로 설정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지우개 제어부(14f)는 필압패턴 식별부(14c)에 의한 필압 인가 패턴의 식별을 대기한다. 지우개 제어부(14f)는 (S240)에서 식별된 필압 인가 패턴이 미리 설정된 제 2 방향 회전 패턴, 예컨대 (13a) - (13d) - (13c) - (13b) - (13a)이면 광학식 전자펜(10)의 동작 모드를 필기 모드로 스위칭 설정(즉, 지우개 모드 해제)한 후에 (S21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S240)으로 진행한다. Steps S240 to S260: The operation mode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is set to the eraser mode by the previous step S230. In this state, the eraser controller 14f waits for identification of the pen pressure application pattern by the pen pressure pattern identification unit 14c. If the pen pressure application pattern identified in (S240) is a preset second direction rotation pattern, for example, (13a) - (13d) - (13c) - (13b) - (13a), the operation mode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is switched to the writing mode (i.e., the eraser mode is released), and then proceeds to step S210. Otherwise, it proceeds to step S240.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전자펜의 지우개 기능 제공 프로세스의 순서도이다. [도 8]의 제 2 실시예는 광학식 전자펜(10)의 펜팁(12)에 인가되는 압력 레벨에 대응하여 지우개 기능을 활성화 또는 해제하는 방식이다. 8 is a flowchart of a process of providing an eraser function of an optical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mbodiment of [ FIG. 8 ] is a method of activating or canceling the eraser function in response to the level of pressure applied to the pen tip 12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

단계 (S300) : 먼저, 광학식 전자펜(10)의 압력센싱유닛(13)이 펜팁(12)에 인가된 필압을 센싱한다. Step (S300): First, the pressure sensing unit 13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senses the pen pressure applied to the pen tip 12.

단계 (S310) : 이때, 광학식 전자펜(10)의 필압레벨 산출부(14d)가 필압 인가 레벨을 산출한다. 즉, 압력센싱유닛(13)에 인가되는 압력의 강도를 산출하는 것이다. 제 2 실시예에서는 펜팁(12)에 인가되는 압력을 정확하게 산출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 압력센싱유닛(13)은 FSR(Force Sensitive Resistor) 방식의 압력센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SR 압력센서는 물리적인 힘이나 무게 등에 따라 저항 값이 바뀌는 성질을 이용한 센서이다. Step S310: At this time, the pen pressure level calculator 14d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calculates the pen pressure application level. That is, the strength o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ressure sensing unit 13 is calculated. In the second embodiment, it is important to accurately calculat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en tip 12, and for this purpose, the pressure sensing unit 13 is preferably composed of a force sensitive resistor (FSR) type pressure sensor. The FSR pressure sensor is a sensor that uses the property that the resistance value changes depending on physical force or weight.

단계 (S320) : 또한, 광학식 전자펜(10)의 필압시간 산출부(14e)가 필압 인가 시간을 산출한다. 바람직하게는 필압레벨 산출부(14d)가 산출한 필압 인가 레벨이 특정 임계값을 초과한 상태에서는 지속 시간을 측정하여 필압 인가 시간으로 산출한다. Step S320: In addition, the pen pressure time calculator 14e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calculates the pen pressure application time. Preferably, in a state where the pen pressure application level calculated by the pen pressure level calculator 14d exceeds a specific threshold, the duration is measured and calculated as the pen pressure application time.

단계 (S330) : 다음으로, 지우개 제어부(14f)는 필압 인가 레벨과 필압 인가 시간에 기초하여 광학식 전자펜(10)의 동작 모드를 필기 모드와 지우개 모드 간에 스위칭 제어한다. Step S330: Next, the eraser controller 14f switches the operation mode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between the writing mode and the eraser mode based on the pen pressure application level and the pen pressure application time.

일 실시예로서, 지우개 제어부(14f)는 필기 모드 상태에서 필압 인가 레벨이 특정 임계치를 초과한 상태가 특정 임계시간동안 유지되는 경우에 지우개 모드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우개 제어부(14f)는 지우개 모드 상태에서 필압 인가 레벨이 특정 임계치를 초과한 상태가 특정 임계시간동안 유지되는 경우에 지우개 모드를 해제하고 필기 모드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지우개 제어부(14f)는 지우개 모드 상태에서 일정 시간(예: 10초)이 경과하는 타임아웃이 발생되는 경우에 지우개 모드를 해제하고 필기 모드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eraser control unit 14f may be configured to switch to the eraser mode when a state in which the pen pressure application level exceeds a specific threshold value is maintained for a specific threshold time in the writing mode state. In addition, the eraser controller 14f may be configured to release the eraser mode and switch to the writing mode when the pen pressure application level exceeds a specific threshold value is maintained for a specific threshold time in the erase mode state. In addition, the eraser control unit 14f may be configured to release the eraser mode and switch to the writing mode when a timeout occurs in which a certain amount of time (eg, 10 seconds) elapses in the eraser mode state.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광학식 전자펜의 동작 모드 천이 순서도이다. [도 9]의 전체 과정은 [도 8]에서 단계 (S330)에 대응한다. [Fig. 9] is an operation mode transition flowchart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 process of [FIG. 9] corresponds to step S330 in [FIG. 8].

단계 (S400) : 먼저, 지우개 제어부(14f)는 광학식 전자펜(10)의 동작 모드를 필기 모드로 초기 설정한다. Step S400: First, the eraser controller 14f initially sets the operation mode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to the writing mode.

단계 (S410) : 다음으로, 지우개 제어부(14f)는 광학식 전자펜(10)의 필기 조작 중단을 대기한다. 제 2 실시예는 펜팁(12)에 인가되는 압력 레벨에 대응하는 방식인데, 사용자가 광학식 전자펜(10)을 정상 사용하는 동안에는 필압이 인가되기 마련이므로, 필기 조작이 일어하는 동안에는 동작 모드 전환을 하지 않는 것이다. Step S410: Next, the eraser controller 14f waits for the writing operation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to be stopped. The second embodiment is a method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level applied to the pen tip 12. Since the pen pressure is applied while the user normally uses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the operation mode is not switched while writing operation occurs.

광학식 전자펜(10)의 필기 조작이 진행 중인지 아니면 필기 조작이 중단되었는지 여부의 판단에는 자이로 센서(15)가 양호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15)의 센싱 값으로부터 전자펜(10)이 현재 지속적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광학식 전자펜(10)의 동작 모드 제어를 하지 않고 필기 모드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gyro sensor 15 may be preferably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writing operation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is in progress or whether the writing operation has been stopped.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from the sensing value of the gyro sensor 15 that the electronic pen 10 is currently continuously moving, it is preferable to fix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to the writing mode without controlling the operation mode.

단계 (S420 ~ S440) : 다음으로, 지우개 제어부(14f)는 필압레벨 산출부(14d)와 필압시간 산출부(14e)에 의한 필압 인가 레벨 및 필압 인가 시간의 산출을 대기한다. (S420, S430)에서 산출된 필압 인가 레벨과 필압 인가 시간이 각각에 대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계값(임계레벨, 임계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지우개 제어부(14f)는 광학식 전자펜(10)의 동작 모드를 지우개 모드로 스위칭 설정하는 것이다. 필압 인가 레벨에 의해서만 판단하는 경우에는 실수로 동작 모드 전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므로 필압 인가 시간까지 확인하는 것이다. Steps (S420 to S440): Next, the eraser controller 14f waits for the pen pressure level calculator 14d and the pen pressure time calculator 14e to calculate the pen pressure application level and the pen pressure application time. When the pen pressure application level and the pen pressure application time calculated in (S420 and S430) exceed preset threshold values (threshold level and threshold time), the eraser control unit 14f switches the operation mode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to the eraser mode. In the case of judging only by the pen pressure application level,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an operation mode conversion by mistake, so the pen pressure application time is also checked.

한편, 위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S420)으로 진행하여 지우개 제어부(14f)는 필기 모드 상태에서 필압 인가 레벨과 필압 인가 시간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above condition is not satisfied, proceeding to step S420, the eraser controller 14f continues to monitor the pen pressure application level and the pen pressure application time in the writing mode.

압력센싱유닛(13)이 FSR 압력센서로 구현된 경우, 필압레벨 산출부(14d)는 필압 인가 레벨을 일정 범위의 디지털 값, 예컨대 0 내지 4096 까지의 디지털 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때, 0 값은 압력이 없을 때이고, 4096 값은 펜팁(12)을 측정 가능한 가장 강하게 눌렀을 때를 의미한다. (S420 ~ S430)은 필압레벨 산출부(14d)가 3000 이상의 필압 인가 레벨을 산출하는 상태가 2초 이상 유지되면 동작 모드가 필기 모드에서 지우개 모드로 스위칭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When the pressure sensing unit 13 is implemented as an FSR pressure sensor, the pen pressure level calculation unit 14d may calculate the pen pressure applied level as a digital value within a certain range, for example, from 0 to 4096. At this time, a value of 0 means no pressure, and a value of 4096 means when the pen tip 12 is pressed the most measurably. (S420 to S430) may be configured to switch the operation mode from the writing mode to the eraser mode when the state in which the pen pressure level calculation unit 14d calculates the pen pressure application level of 3000 or more is maintained for 2 seconds or longer.

단계 (S450 ~ S480) : 바로 이전의 (S440)에 의해 광학식 전자펜(10)의 동작 모드는 지우개 모드로 설정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지우개 제어부(14f)는 필압레벨 산출부(14d)와 필압시간 산출부(14e)에 의한 필압 인가 레벨 및 필압 인가 시간의 산출을 대기한다. (S450, S460)에서 산출된 필압 인가 패턴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지우개 제어부(14f)는 광학식 전자펜(10)의 동작 모드를 필기 모드로 스위칭 설정한 후에 (S420)으로 진행한다. 또는, 지우개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예: 10초)이 경과하는 타임아웃이 발생하는 경우에 지우개 제어부(14f)는 광학식 전자펜(10)의 동작 모드를 필기 모드로 스위칭 설정한 후에 (S420)으로 진행한다. Steps (S450 to S480): The operation mode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is set to the eraser mode by the previous step (S440). In this state, the eraser controller 14f waits for the pen pressure level calculator 14d and the pen pressure time calculator 14e to calculate the pen pressure application level and the pen pressure application time. When the pen pressure application pattern calculated in (S450 and S460) exceeds a preset threshold value, the eraser control unit 14f switches the operation mode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to the writing mode, and then proceeds to (S420). Alternatively, when a timeout in which a preset time (eg, 10 seconds) elapses occurs while entering the eraser mode, the eraser control unit 14f switches the operation mode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to the writing mode, and then proceeds to step S420.

한편, 위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S450)로 진행하여 지우개 제어부(14f)는 지우개 모드 상태에서 필압 인가 레벨과 필압 인가 시간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above condition is not satisfied, proceeding to step S450, the eraser controller 14f continues to monitor the pen pressure application level and the pen pressure application time in the eraser mode.

압력센싱유닛(13)이 FSR 압력센서로 구현되는 위의 실시예를 가정하면, (S450 ~ S480)은 필압레벨 산출부(14d)가 3000 이상의 필압 인가 레벨을 산출하는 상태가 2초 이상 유지되면 동작 모드가 지우개 모드에서 필기 모드로 스위칭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suming the above embodiment in which the pressure sensing unit 13 is implemented as an FSR pressure sensor, in (S450 to S480), the operation mode may be configured to switch from the eraser mode to the writing mode when the state in which the pen pressure level calculation unit 14d calculates the pen pressure application level of 3000 or more is maintained for 2 seconds or more.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휘발성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비휘발성 기록매체로는 다양한 형태의 스토리지 장치가 존재하는데 예컨대 하드디스크, SSD, CD-ROM, NAS, 자기테이프, 웹디스크, 클라우드 디스크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특정의 절차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non-volatile recording medium. Various types of storage devices exist as such non-volatile recording media, such as hard disks, SSDs, CD-ROMs, NAS, magnetic tapes, web disks, cloud disk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in order to execute a specific procedure in combination with hardware.

10 : 광학식 전자펜
13 : 압력센싱유닛
14 : 전자펜 제어부재
14a : 좌표 계산부
14b : 하드웨어 제어부
14c : 필압패턴 식별부
14d : 필압레벨 산출부
14e : 필압시간 산출부
14f : 지우개 제어부
15 : 자이로 센서
16 : IR 수광유닛
17 : IR 발광유닛
18 : 무선통신유닛
30 : 스마트 단말장치
31 : 단말 통신부
32 : 단말 제어부
33 : 단말 패널부
10: optical electronic pen
13: pressure sensing unit
14: Electronic pen control component
14a: coordinate calculation unit
14b: hardware control unit
14c: pen pressure pattern identification unit
14d: pen pressure level calculator
14e: pen pressure time calculator
14f: eraser control unit
15: Gyro sensor
16: IR light receiving unit
17: IR light emitting unit
18: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0: smart terminal device
31: terminal communication unit
32: terminal control unit
33: terminal panel unit

Claims (6)

펜팁(12)에 인가된 필압을 각자 센싱하는 셋 이상의 압력센서 배열(13a ~ 13d)이 광학식 전자펜(10)의 수직 단면에 배열 형성된 압력센싱유닛(13);
사용자가 광학식 전자펜(10)의 펜팁(12)을 화면에 대고 누르는 상태로 펜팁(12)이 형성한 제스쳐 패턴인 필압 인가 패턴이 미리 설정된 제 1 방향 회전 패턴 또는 제 2 방향 회전 패턴임을 일정 시간구간 동안에 상기 압력센서 배열(13a ~ 13d)에서 센싱되는 일련의 필압의 감지 순서에 기초하여 식별하는 필압패턴 식별부(14c);
상기 필압 인가 패턴이 상기 제 1 방향 회전 패턴 또는 상기 제 2 방향 회전 패턴임에 각각 대응하여 광학식 전자펜(10)의 동작 모드를 필기 모드와 지우개 모드 간에 스위칭 제어하는 지우개 제어부(14f);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압력센서를 이용한 지우개 기능을 갖는 광학식 전자펜.
a pressure sensing unit 13 in which three or more pressure sensor arrays 13a to 13d respectively sensing pen pressure applied to the pen tip 12 are arranged on a vertical end surface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A pen pressure pattern identification unit 14c for discriminating that a pen pressure application pattern, which is a gesture pattern formed by the pen tip 12 while the user presses the pen tip 12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against the screen, is a preset rotation pattern in a first direction or a rotation pattern in a second direction, based on a sequence of sensing a series of pen pressures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arrays 13a to 13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 eraser control unit 14f for switching an operation mode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between a writing mode and an eraser mode in response to the pen pressure application pattern being the rotation pattern in the first direction or the rotation pattern in the second direction;
An optical electronic pen having an eraser function using a pressure sensor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우개 제어부(14f)는,
광학식 전자펜(10)의 동작 모드를 필기 모드로 초기 설정하고,
광학식 전자펜(10)의 동작 모드가 필기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필압패턴 식별부(14c)가 식별한 필압 인가 패턴이 미리 설정된 제 1 방향 회전 패턴이면 광학식 전자펜(10)의 동작 모드를 지우개 모드로 스위칭 설정하고,
광학식 전자펜(10)의 동작 모드가 지우개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필압패턴 식별부(14c)가 식별한 필압 인가 패턴이 미리 설정된 제 2 방향 회전 패턴이면 광학식 전자펜(10)의 동작 모드를 필기 모드로 스위칭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를 이용한 지우개 기능을 갖는 광학식 전자펜.
The method of claim 1,
The eraser control unit 14f,
The operation mode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is initially set to a writing mode,
In a state where the operation mode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is set to the writing mode, if the pen pressure application pattern identified by the pen pressure pattern identification unit 14c is a preset rotation pattern in a first direction, the operation mode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is switched to the eraser mode,
An optical electronic pen having an eraser function using a pressure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switch and set the operation mode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to the writing mode when the pen pressure application pattern identified by the pen pressure pattern identification unit 14c is a preset second direction rotation pattern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mode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is set to the eraser mod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 회전 패턴은 광학식 전자펜(10)의 펜팁(12) 중심의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의 어느 하나로 설정되고,
상기 제 2 방향 회전 패턴은 광학식 전자펜(10)의 펜팁(12) 중심의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의 다른 하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를 이용한 지우개 기능을 갖는 광학식 전자펜.
The method of claim 2,
The rotation pattern in the first direction is set to one of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s centered on the pen tip 12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The optical electronic pen having an eraser function using a pressure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pattern in the second direction is set to the other one of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pen tip 12 of the optical electronic pen 1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178753A 2022-12-19 2022-12-19 an optical digital pen of providing eraser mode by use of pressure sensor KR1025598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8753A KR102559810B1 (en) 2022-12-19 2022-12-19 an optical digital pen of providing eraser mode by use of pressure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8753A KR102559810B1 (en) 2022-12-19 2022-12-19 an optical digital pen of providing eraser mode by use of pressure sens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9810B1 true KR102559810B1 (en) 2023-07-26

Family

ID=87427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8753A KR102559810B1 (en) 2022-12-19 2022-12-19 an optical digital pen of providing eraser mode by use of pressure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810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590A (en) 2004-02-16 2004-04-01 주식회사 이공에스티 control method and pen for electronic copy board
KR20160089989A (en) 2015-01-21 2016-07-29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Electronic pen for electronic board with eraser, color pen and free gender functions
KR20170081302A (en) 2016-01-02 2017-07-12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Electronic eraser, electronic pen with electronic eraser and media printing code
KR20190010080A (en) * 2017-07-20 2019-01-30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Motion based electronic board and writing method
JP2021039514A (en) * 2019-09-02 2021-03-11 富士通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put control program, and input control method
KR102328569B1 (en) * 2021-08-03 2021-11-19 (주)티에프프로젝트 A multipurpose pe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590A (en) 2004-02-16 2004-04-01 주식회사 이공에스티 control method and pen for electronic copy board
KR20160089989A (en) 2015-01-21 2016-07-29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Electronic pen for electronic board with eraser, color pen and free gender functions
KR20170081302A (en) 2016-01-02 2017-07-12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Electronic eraser, electronic pen with electronic eraser and media printing code
KR20190010080A (en) * 2017-07-20 2019-01-30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Motion based electronic board and writing method
JP2021039514A (en) * 2019-09-02 2021-03-11 富士通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put control program, and input control method
KR102328569B1 (en) * 2021-08-03 2021-11-19 (주)티에프프로젝트 A multipurpose p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53697C (en) Detecting touch on a curved surface
CA2753903C (en) Detecting touch on a curved surface
US8730169B2 (en) Hybrid pointing device
US20120019488A1 (en) Stylus for a touchscreen display
US20190018585A1 (en) Touch operation method based on interactive electronic white board and system thereof
US20100207910A1 (en) Optical Sensing Screen and Panel Sensing Method
US20070075983A1 (en) Method for gesture detection on a touchpad
US11893169B2 (en) Multi-functional stylus
US20120162061A1 (en) Activation objects for interactive systems
US8581847B2 (en) Hybrid pointing device
US20230418397A1 (en) Mouse input function for pen-shaped writing, reading or pointing devices
KR102559810B1 (en) an optical digital pen of providing eraser mode by use of pressure sensor
KR102145824B1 (en) Inferface method of smart touch pad and device therefor
JP2019046088A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pointer display method, and program
TW201734719A (en) Pen-typed navigation device and related navigation module
KR102472784B1 (en) method of providing hovering for an optical digital pen by use of a gyro sensor
CN107291269B (en) Pen type navigation device and navigation module thereof
KR102429967B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display edge processing for an optical digital pen by use of a gyro sensor
CN117215422B (en) Display ed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of optical electronic pen based on gyroscope sensor
KR102587998B1 (en) pressure sensor calibration method of an optical digital pen by use of tilt angle
KR102478738B1 (en) optical digital pen by use of light scattering
US8760403B2 (en) Hybrid human-interface device
US20240004483A1 (en) Input device with optical sensors
KR20140066378A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10038900A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of mobile device including multiplex key unit, and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