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926B1 - Setting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and program - Google Patents

Setting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and progr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926B1
KR102352926B1 KR1020190140057A KR20190140057A KR102352926B1 KR 102352926 B1 KR102352926 B1 KR 102352926B1 KR 1020190140057 A KR1020190140057 A KR 1020190140057A KR 20190140057 A KR20190140057 A KR 20190140057A KR 102352926 B1 KR102352926 B1 KR 102352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setting
terminal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0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53417A (en
Inventor
데츠히로 마츠야마
다케시 스기야마
마사히로 후쿠하라
아키라 오츠키
마유 기시다
야스후미 신야시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53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4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9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2Multivendor or multi-standard integ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설정용 통신 장치(20)는, 정보 단말(10)과 제 1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 1 통신부(21)와, 설비 시스템(5)에 포함되는 기기 단말(30a)과 제 1 통신 방식과는 상이한 제 2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 2 통신부(22)와, 기기 단말(30a)과 제 1 통신 방식 및 제 2 통신 방식 중 어느 것과도 상이한 제 3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 3 통신부(23)를 구비한다.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21) that communicates with the information terminal (10) by a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a device terminal (30a) included in the facility system (5) and a first communication metho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2 communicating with a different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a third communication unit 23 communicating with the device terminal 30a in a third communication method different from any of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be prepared

Description

설정용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정보 단말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SETTING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AND PROGRAM}Control methods and programs for communication devices, communication systems, and information terminals for setting

본 개시는, 기기 단말의 통신 설정 등을 행하는 설정용 통신 장치, 이 설정용 통신 장치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정보 단말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setting communication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setting and the like of a device terminal, a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etting communication device, and a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an information terminal.

종래, 조명 시스템의 제어 설정을 행하기 위한 설정용 통신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런 종류의 설정용 통신 장치의 일례로서, 특허문헌 1에는, 조명 시스템이 구비하는 기기 단말(조명 기기 단말)의 제어 설정을 행하는 설정용 통신 장치(외부 설정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조명 시스템에서는, 상기 설정용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기기 단말의 제어 데이터의 변경을 행하고 있다.DESCRIPTION OF RELATED ART Conventionally, the communication apparatus for setting for performing control setting of a lighting system is known. As an example of this type of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external setting device) that performs control setting of a device terminal (lighting device terminal) included in a lighting system. In this lighting system, the control data of an apparatus terminal is changed using the said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1-102183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102183

기기 단말의 다양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동일한 설정용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각종 기기 단말에 제어 설정 등을 행하고 싶다고 하는 요망이 있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설정용 통신 장치에서는, 설정용 통신 장치에서 미리 정해진 설정밖에 행할 수 없고, 각 기기 단말에 따른 설정을 행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While the number of device terminals is being diversified, there is a desire to perform control setting and the like in various device terminals using the sam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However, in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there is a problem that only a predetermined setting can be performed in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and it is difficult to perform setting according to each device terminal.

그래서, 본 개시는, 기기 단말에 따른 설정을 간단하고 쉽게 행할 수 있는 설정용 통신 장치 및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는, 설정용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기기 단말에 따른 설정을 간단하고 쉽게 행할 수 있는 정보 단말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setting that can perform simple and easy setting according to a device termina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method and a program for controlling an information terminal that can simply and easily perform setting according to a device terminal using a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본 개시의 설정용 통신 장치의 일 태양은, 정보 단말과 제 1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 1 통신부와, 설비 시스템에 포함되는 기기 단말과 상기 제 1 통신 방식과는 상이한 제 2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 2 통신부와, 상기 기기 단말과 상기 제 1 통신 방식 및 상기 제 2 통신 방식 중 어느 것과도 상이한 제 3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 3 통신부를 구비한다.One aspec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n information terminal by a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a device terminal included in a facility system, which communicates with a second communication method different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a third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device terminal in a third communication method different from any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본 개시의 통신 시스템의 일 태양은, 상기 설정용 통신 장치와, 상기 기기 단말과, 상기 정보 단말을 구비한다.One aspect of the communication system of this indication is provided with the said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the said apparatus terminal, and the said information terminal.

본 개시의 정보 단말의 제어 방법의 일 태양은, 상기 설정용 통신 장치와 통신하는 정보 단말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기기 단말의 통신 설정 또는 제어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상기 취득 스텝에서 취득한 상기 설정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스텝을 포함한다.One aspect of the inform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control method of an information terminal that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comprising: an acquisition step of acquiring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communication setting or control setting of the device terminal; and a storage step of storing the setting information acquired in the step.

본 개시의 프로그램의 일 태양은, 상기 정보 단말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One aspect of the program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information terminal.

본 개시와 관련되는 설정용 통신 장치 등은, 기기 단말에 따른 설정을 간단하고 쉽게 행할 수 있다.The setting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can perform simple and easy setting according to the device terminal.

도 1은 실시의 형태의 제 1 실시예와 관련되는 통신 시스템이 구비하는 기기 단말, 설정용 통신 장치 및 정보 단말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실시의 형태의 제 1 실시예와 관련되는 통신 시스템이 구비하는 기기 단말, 설정용 통신 장치 및 정보 단말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실시의 형태의 정보 단말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실시의 형태의 설정용 통신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의 형태의 설정용 통신 장치에서 송수신되는 통신 정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실시의 형태의 제 1 실시예와 관련되는 정보 단말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은 실시의 형태의 제 1 실시예와 관련되는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실시의 형태의 제 1 실시예와 관련되는 정보 단말에 표시되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의 형태의 제 1 실시예와 관련되는 정보 단말에 표시되는 화상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의 형태의 제 2 실시예와 관련되는 통신 시스템이 구비하는 기기 단말, 설정용 통신 장치 및 정보 단말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실시의 형태의 제 2 실시예와 관련되는 통신 시스템이 구비하는 기기 단말, 설정용 통신 장치 및 정보 단말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12는 실시의 형태의 제 2 실시예와 관련되는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실시의 형태의 제 2 실시예와 관련되는 정보 단말에 표시되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의 형태의 제 3 실시예와 관련되는 통신 시스템이 구비하는 기기 단말, 설정용 통신 장치 및 정보 단말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5는 실시의 형태의 제 3 실시예와 관련되는 통신 시스템이 구비하는 기기 단말, 설정용 통신 장치 및 정보 단말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16은 실시의 형태의 정보 단말에 표시되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실시의 형태의 정보 단말에 표시되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정보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마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실시의 형태의 정보 단말에 표시되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실시의 형태의 정보 단말에 표시되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실시의 형태의 정보 단말에 표시되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실시의 형태의 정보 단말에 표시되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실시의 형태의 정보 단말에 표시되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실시의 형태의 정보 단말에 표시되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설정용 통신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설정용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육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apparatus terminal, the communication apparatus for setting, and the information terminal with which the communication system which concerns on 1st Example of embodiment is equipped.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vice terminal, a setting communication device, and an information terminal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embodiment.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information terminal of embodiment.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communication apparatus for setting of embodiment.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commun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6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embodiment.
Fig.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embodiment.
Fig. 8 is a diagram show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embodiment.
Fig. 9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embodiment.
Fig.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device terminal, a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and an information terminal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xample of the embodiment.
Fig.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vice terminal, a setting communication device, and an information terminal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xample of the embodiment.
Fig. 12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embodiment.
Fig. 13 is a diagram show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xample of the embodiment.
Fig. 1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device terminal, a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and an information terminal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embodiment.
Fig. 1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vice terminal, a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and an information terminal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embodiment.
It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terminal of embodiment.
It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terminal of embodiment.
Fig. 18 is a diagram showing mark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information terminal of Fig. 17;
It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terminal of embodiment.
It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terminal of embodiment.
It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terminal of embodiment.
It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terminal of embodiment.
It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terminal of embodiment.
It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terminal of embodiment.
Fig. 2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26 is a six-dimensional view showing a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설정용 통신 장치에서는, 설정용 통신 장치에서 미리 정해진 설정밖에 행할 수 없고, 각 기기 단말에 따른 설정을 행하기 어렵다.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의 형태의 통신 시스템은, 각 기기 단말에 따른 설정의 편집을 스마트폰 등의 정보 단말에서 행하고, 정보 단말에서 편집된 설정 정보를, 각 기기 단말의 통신 방식에 적응한 설정용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각 기기 단말에 송신하는 형태를 갖고 있다. 이 통신 시스템은, 많은 실시예를 취할 수 있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많은 실시예 중, 이하에 나타내는 제 1 실시예,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only a predetermined setting can be performed in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and it is difficult to perform setting according to each device terminal.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e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performs editing of settings for each device terminal in an inform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and adapts the setting information edited in the information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method of each device terminal. It has a form of transmitting to each device terminal using a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Although this communication system can take many embodiments, in this embodiment, the 1st Embodiment, 2nd Embodiment, and 3rd Embodiment shown below are taken as an example among many Embodiments and demonstrated.

이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의 형태는, 모두 본 개시의 일 구체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의 실시의 형태에서 나타내어지는 수치, 형상, 재료, 구성 요소, 구성 요소의 배치 위치 및 접속 형태, 스텝, 스텝의 순서 등은, 일례이고, 본 개시를 한정하는 주지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 중, 본 개시의 일 형태와 관련되는 실현 형태를 나타내는 독립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임의의 구성 요소로서 설명된다. 본 개시의 실현 형태는, 현행의 독립 청구항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독립 청구항에 의해서도 표현될 수 있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is demonstrated concretely, referring drawings. In addition, all embodiment described below shows one specific example of this indication. Numerical values, shapes, materials, components, arrangement positions and connection forms of components, steps, order of steps, etc. shown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disclosure. In addition, among the components in the following embodiment, the component which is not described in the independent claim which shows the realization mode which concerns on one aspect of this indication is demonstrated as arbitrary components. The implementation form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existing independent claims, and may also be expressed by other independent claims.

또, 각 도면은 모식도이고, 반드시 엄밀하게 도시된 것이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화되는 경우가 있다.In addition, each drawing is a schematic diagram, and is not necessarily shown strictly. In addition, in each figure, about the substantially same structure, the same code|symbol is attached|subjected, and overlapping description may be abbreviate|omitted or simplified.

(실시의 형태)(Embodiment)

[1. 제 1 실시예와 관련되는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One. Schematic configuration of communication system related to the first embodiment]

우선, 실시의 형태의 제 1 실시예와 관련되는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First,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도 1은 제 1 실시예와 관련되는 통신 시스템(1)이 구비하는 기기 단말(30a, 30b, 30c), 설정용 통신 장치(20) 및 정보 단말(10)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통신 시스템(1)이 구비하는 기기 단말(30a~30c), 설정용 통신 장치(20) 및 정보 단말(10)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device terminals 30a, 30b, 30c, a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and an information terminal 10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system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vice terminals 30a to 30c,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and the information terminal 10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system 1 .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1)은, 정보 단말(10)과, 설정용 통신 장치(20)와, 설비 시스템(5)을 구비한다. 설비 시스템(5)은, 복수의 기기 단말(30a, 30b, 30c)과, 관리 장치(40)를 구비한다.1 and 2 , the communication system 1 of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n information terminal 10 , a setting communication device 20 , and an equipment system 5 . The facility system 5 includes a plurality of device terminals 30a , 30b , 30c and a management device 40 .

기기 단말(30a~30c)은, 다른 기기와 통신 가능한 전기 기기이고, 예컨대, 조명 기기, 조명 컨트롤러, 공조 기기, 공조 컨트롤러, 사람 감지 센서 또는 조광 센서이다. 제 1 실시예에서는, 기기 단말(30a, 30b)이 조명 기기이고, 기기 단말(30c)이 조명 컨트롤러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도 1에서는, 3대의 기기 단말(30a~30c)이 건물의 조영재(천정 등)(50)에 설치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100대 이상의 기기 단말이 설치되는 일이 있다.The device terminals 30a to 30c are electrical device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other devices, and are, for example, lighting devices, lighting controllers, air conditioning devices, air conditioning controllers, human detection sensors, or lighting sensors. In the first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device terminals 30a and 30b is a lighting device and the device terminal 30c is a lighting controller will be described. In Fig. 1, three device terminals 30a to 30c are installed on a contrast material (ceiling or the like) 50 of a building, but in reality, 100 or more device terminals may be installed.

관리 장치(40)는, 기기 단말(30a~30c)의 작동 제어를 행하기 위한 관리 서버이다. 관리 장치(40)는, 각 기기 단말(30a~30c)과 유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 관리 장치(40)는, 기기 단말의 대수에 따라, 건물 내에 복수 마련되어 있더라도 좋다. 기기 단말(30c)이 조명 컨트롤러인 경우, 기기 단말(30c)은 각 기기 단말(30a, 30b)에 무선으로 접속 가능하더라도 좋다.The management device 40 is a management server for performing operation control of the device terminals 30a to 30c. The management device 40 is connected to each device terminal 30a to 30c by wire. In addition, a plurality of management devices 40 may be provided in a building according to the number of device terminals. When the device terminal 30c is a lighting controller, the device terminal 30c may be wirelessly connectable to each device terminal 30a, 30b.

정보 단말(10)은, 예컨대, 태블릿 단말이나 스마트폰이다. 정보 단말(10)은, 기기 단말(30a~30c)의 통신 설정 또는 제어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를 편집하는 휴대 단말이다.The information terminal 10 is, for example, a tablet terminal or a smartphone. The information terminal 10 is a portable terminal which edits the setting information regarding the communication setting or control setting of the device terminals 30a-30c.

통신 설정은, 예컨대, 통신을 행하기 위해 필요한 식별 정보를 설정하는 어드레스 설정, 기기 단말(30a)과 다른 기기 단말(30c)의 연결짓기를 행하는 페어링 설정, 어드레스 설정에 의해 설정된 어드레스와 건물 내에 있어서의 기기 단말(30a~30c)의 레이아웃 정보를 관련짓는 매핑 설정이다. 제어 설정은, 예컨대, 기기 단말(30a)의 조광, 조색, 점등, 소등의 제어, 스케줄 제어, 및, 군 제어(그룹 제어)에 관한 설정이다.Communication setting includes, for example, address setting for se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necessary for communication, pairing setting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the device terminal 30a and another device terminal 30c, and the address set by the address setting and the building. It is a mapping setting that relates the layout information of the device terminals 30a to 30c. The control settings are, for example, settings related to control of dimming, toning, lighting, and extinguishing of the device terminal 30a, schedule control, and group control (group control).

정보 단말(10)에는, 설정 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가 저장되어 있다. 정보 단말(10)을 사용하는 유저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를 이용하여 설정 정보를 편집함으로써, 각종 기기 단말에 따른 설정 정보의 편집을 간단하고 쉽게 행할 수 있다.In the information terminal 10, application software for editing setting information is stored. The user who uses the information terminal 10 can edit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various device terminals simply and easily by editing the setting information using application software.

설정용 통신 장치(20)는, 정보 단말(10)에서 편집된 설정 정보를, 각 기기 단말(30a~30c)에 대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각 기기 단말(30a~30c)에 송신하는 설정기(기기 설정 장치)이다.The setting communication device 20 for setting transmits the setting information edited by the information terminal 10 to each device terminal 30a to 30c using a communication method corresponding to each device terminal 30a to 30c. It is a device (device setting device).

예컨대 설정용 통신 장치(20)는, 제 1 통신 방식의 통신 c1의 일례인 2.4㎓대 또는 5㎓대의 주파수를 이용한 무선 통신으로, 정보 단말(10)에서 편집된 설정 정보를 정보 단말(10)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설정용 통신 장치(20)는, 제 2 통신 방식의 통신 c2의 일례인 적외선 통신으로, 상기 설정 정보를 각 기기 단말(30a~30c)에 송신한다.For example, the setting communication device 20 is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 frequency of 2.4 GHz band or 5 GHz band, which is an example of communication c1 of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transmits the setting information edited in the information terminal 10 to the information terminal 10 receive from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transmits the setting information to each device terminal 30a to 30c by infrared communication which is an example of communication c2 of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구체적으로는 유저는, 정보 단말(10)과 설정용 통신 장치(20)의 거리가 50㎝ 이내가 되도록, 한손으로 정보 단말(10)을 소지하고, 다른 한손으로 설정용 통신 장치(20)를 소지한다. 그리고, 유저는, 정보 단말(10) 및 설정용 통신 장치(20)의 양쪽을 보면서 설정용 통신 장치(20)를 손가락으로 조작하여, 정보 단말(10)로부터 받은 상기 설정 정보를 기기 단말(30a~30c)의 각각에 송신한다. 이 설정용 통신 장치(20)에 의하면, 기기 단말(30a~30c)의 통신 설정 또는 제어 설정을 간단하고 쉽게 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ser holds the information terminal 10 with one hand and holds the communication device 20 for setting with the other han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information terminal 10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is within 50 cm. possess And the user operates the communication apparatus 20 for setting with a finger while looking at both the information terminal 10 and the communication apparatus 20 for setting, and the said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terminal 10 is transmitted to the device terminal 30a ~30c) is sent to each. According to this setting communication device 20, communication setting or control setting of the device terminals 30a to 30c can be performed simply and easily.

[2. 제 1 실시예와 관련되는 기기 단말, 설정용 통신 장치, 정보 단말의 각 구성][2. Each configuration of the device terminal,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and the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다음으로, 제 1 실시예와 관련되는 기기 단말(30a~30c), 설정용 통신 장치(20), 정보 단말(1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Next, each configuration of the device terminals 30a to 30c,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and the information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전술한 바와 같이, 예컨대, 기기 단말(30a, 30b)은 조명 기기이고, 기기 단말(30c)은 조명 컨트롤러이다. 또, 여기서는 기기 단말(30a~30c) 중, 기기 단말(30a)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device terminals 30a and 30b are lighting devices, and the device terminals 30c are lighting controllers. Note that, among the device terminals 30a to 30c, the device terminal 30a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ere.

기기 단말(30a)은, 광원인 출력부(38)와, 기기 제어부(35)와, 기기 통신부(31)를 구비하고 있다. 출력부(38) 및 기기 통신부(31)의 각각은, 기기 제어부(35)에 접속되어 있다.The device terminal 30a includes an output unit 38 serving as a light source, a device control unit 35 , and a device communication unit 31 . Each of the output unit 38 and the device communication unit 31 is connected to the device control unit 35 .

기기 통신부(31)는, 적외선 모듈 및 무선 모듈을 갖고 있다. 기기 통신부(31)는, 적외선을 이용한 통신 c2로, 설정용 통신 장치(20)와 통신 가능하다. 또한, 기기 통신부(31)는, 제 3 통신 방식의 통신 c3의 일례인 920㎒대의 특정 소전력 무선으로, 설정용 통신 장치(20)와 통신 가능하다. 기기 통신부(31)는, 설정용 통신 장치(20)로부터 송신된 통신 설정 또는 제어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The device communication unit 31 has an infrared module and a wireless module. The device communication unit 31 i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setting communication device 20 by communication c2 using infrared rays. In addition, the device communication unit 31 can communicate with the setting communication device 20 by using a specific low-power radio of 920 MHz band, which is an example of communication c3 of the third communication method. The device communication unit 31 receives the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setting or the control setting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

기기 제어부(35)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기 제어부(35)의 메모리에는, 자신의 통신 어드레스가 보존되어 있다. 통신 어드레스는, 예컨대, 기기 단말(30a)의 MAC 어드레스(Media Access Control address)이더라도 좋다.The device control unit 35 is constituted by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a memory, and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In the memory of the device control unit 35, its own communication address is stored. The communication address may be, for example, the MAC address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of the device terminal 30a.

기기 제어부(35)는, 기기 단말(30a)의 각종 설정이 행하여질 때에, 기기 통신부(31)에서 수신한 설정 정보를 취득한다. 예컨대, 기기 단말(30a)에 어드레스 설정이 행하여질 때, 기기 단말(30a)은, 설정용 통신 장치(20)로부터 송신된 관리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관리 어드레스는, 기기 단말(30a~30c)을 관리하기 위해 할당된 어드레스이고, 예컨대, 간단하고 쉬운 숫자 또는 알파벳으로 구성된다. 기기 제어부(35)는, 상기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출력부(38)를 제어한다.The device control unit 35 acquires the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evice communication unit 31 when various settings of the device terminal 30a are made. For example, when address setting is performed in the device terminal 30a, the device terminal 30a acquires the management address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20 for setting. The management address is an address assigned to manage the device terminals 30a to 30c, and is composed of, for example, simple and easy numbers or alphabets. The device control unit 35 controls the output unit 38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출력부(38)는, 예컨대, 백색광, 적색광, 녹색광 또는 청색광을 발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갖고 있다. 출력부(38)는, 기기 제어부(35)에 의해 조광 제어 및 조색 제어된다.The output unit 38 ha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that emit, for example, white light, red light, green light, or blue light. The output unit 38 is controlled to be dimmed and controlled by the device control unit 35 .

도 3은 정보 단말(10)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formation terminal 10 .

정보 단말(10)은, 기기 단말(30a)의 통신 설정 또는 제어 설정 등의 설정 정보를 편집한다. 정보 단말(10)은, 통신부(11), 제어부(15), 표시 입력부(17)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부(11) 및 표시 입력부(17)의 각각은, 제어부(15)에 접속되어 있다.The information terminal 10 edits setting information such as communication setting or control setting of the device terminal 30a. The information terminal 1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 , a control unit 15 , and a display input unit 17 . Each of the communication unit 11 and the display input unit 17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5 .

통신부(11)는, 무선 모듈을 갖고 있다. 통신부(11)는, 제 1 통신 방식의 통신 c1로 설정용 통신 장치(20)와 통신 가능하다. 제 1 통신 방식이란, 예컨대, IEEE 802.15.1에서 규격화된 2.4㎓대 또는 5㎓대의 주파수를 이용한 통신 방식이다. 또, 통신부(11)는, 설정용 통신 장치(20)와는 무선으로 통신하지만, 기기 단말(30a~30c)과는 무선으로 통신하지 않는다.The communication unit 11 has a radio module. The communication unit 11 can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20 for setting by communication c1 of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is, for example, a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frequency of 2.4 GHz band or 5 GHz band standardized in IEEE 802.15.1. Moreover, although the communication part 11 communicates wirelessly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20 for setting, it does not communicate with the device terminals 30a-30c wirelessly.

표시 입력부(17)는, 예컨대, 터치 패널이다. 표시 입력부(17)는, 기기 단말(30a)의 레이아웃 정보, 기기 단말(30a)의 관리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 및, 기기 단말(30a)의 동작 정보 등을 표시 및 입력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유저는, 표시 입력부(17)를 이용하여, 각 기기 단말(30a)의 관리 어드레스 등의 설정 정보를 편집할 수 있다. 예컨대, 유저는,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기 단말(30a)에는 "0001"이라고 하는 관리 어드레스를 할당하고, 기기 단말(30b)에는, "0002"라고 하는 관리 어드레스를 할당할 수 있다. 정보 단말(10)에서 편집된 설정 정보는, 제어부(15)의 메모리에 기억된다.The display input unit 17 is, for example, a touch panel. The display input unit 17 is a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nd inputting layout information of the device terminal 30a, information regarding the management address of the device terminal 30a,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terminal 30a, and the like. The user can use the display input unit 17 to edit setting information such as the management address of each device terminal 30a.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A, the user assigns a management address of "0001" to the device terminal 30a, and assigns a management address "0002" to the device terminal 30b. can The setting information edited in the information terminal 10 is stored in the memory of the control unit 15 .

제어부(15)는, CPU,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15)의 메모리에는, 설정 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가 저장되어 있다. 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의 제공원에 의해 적당히 버전업된다. 유저는, 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를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기기 단말에 따른 설정 정보의 편집을 간단하고 쉽게 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 is constituted by a CPU, a memory,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and the like. Application software for editing setting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emory of the control unit 15 . This application software is appropriately upgraded by the provider of the application software. By using this application software, the user can simply and easily edit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various device terminals.

제어부(15)는, 기기 단말(30a)의 각종 설정이 행하여질 때에, 통신부(11) 및 설정용 통신 장치(20)를 거쳐서 기기 단말(30a)에 통신 설정 또는 제어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를 송신한다. 예컨대, 기기 단말(30a)에 어드레스 설정이 행하여질 때, 정보 단말(10)은, 표시 입력부(17)에 의해 편집되어, 메모리에 기억된 관리 어드레스를 송신한다.When various settings of the device terminal 30a are made, the control unit 15 transmits the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setting or control setting to the device terminal 30a via the communication unit 11 and the setting communication device 20 . do. For example, when address setting is performed in the device terminal 30a, the information terminal 10 transmits the management address edited by the display input unit 17 and stored in the memory.

표시 입력부(17)에는,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보 단말(10) 및 설정용 통신 장치(20)의 사이의 통신 c1을 개시하기 위한 통신 개시 키(17a)가 마련되어 있다. 정보 단말(10)은, 표시 입력부(17)를 거쳐서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조작을 접수함으로써, 설정용 통신 장치(20)와 통신 확립한다.The display input part 17 is provided with the communication start key 17a for starting the communication c1 between the information terminal 10 and the communication apparatus 20 for setting, as shown to FIG.3(b). The information terminal 10 establishes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20 for setting by receiving an operation for starting communication via the display input unit 17 .

제어부(15)는, 통신 확립된 상태에서, 설정용 통신 장치(20)가 유저로부터 소정의 조작을 접수했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설정용 통신 장치(20)는, 소정의 조작을 접수한 경우에, 조작 입력을 접수한 것을 나타내는 접수 신호를, 정보 단말(10)에 송신한다. 정보 단말(10)은, 접수 신호를 수신하면, 즉 설정용 통신 장치(20)가 소정의 조작을 접수하면, 메모리에 기억된 설정 정보를 설정용 통신 장치(20)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5)는, 통신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로서, 관리 어드레스를 설정용 통신 장치(20)에 송신한다.The control unit 15 monitors whether or not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has received a predetermined operation from the user in the communication established state. When a predetermined operation is accepted,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transmits, to the information terminal 10 , an acceptance signal indicating that the operation input has been accepted. The information terminal 10 transmits the setting information memorize|stored in the memory to the communication apparatus 20 for setting, when receiving an acceptance signal, ie, when the communication apparatus 20 for setting accepts a predetermined|prescribed operation.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5 transmits the management address to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as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communication setting.

설정용 통신 장치(20)는, 정보 단말(10)에서 편집된 설정 정보를, 기기 단말(30a)에 대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기기 단말(30a)에 송신한다. 또, 설정용 통신 장치(20)는, 상기 설정 정보를 기기 단말(30a)에 전송하기 위한 중계기로서의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The setting communication device 20 transmits the setting information edited by the information terminal 10 to the device terminal 30a using a communication method corresponding to the device terminal 30a. Moreover,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is also equipped with the function as a repeater for transmitting the said setting information to the device terminal 30a.

도 4는 설정용 통신 장치(20)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 is a figure which shows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0 for setting.

설정용 통신 장치(20)는, 제 1 통신부(21)와, 제 2 통신부(22)와, 제 3 통신부(23)와, 장치 제어부(25)와, 기억부(26)와, 조작 입력부(27)를 구비한다. 제 1 통신부(21), 제 2 통신부(22), 제 3 통신부(23), 기억부(26), 조작 입력부(27)의 각각은, 장치 제어부(25)에 접속되어 있다.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21 ,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2 , a third communication unit 23 , a device control unit 25 , a storage unit 26 , an operation input unit ( 27) is provided. Each of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 ,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 ,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23 , the storage unit 26 , and the operation input unit 27 is connected to the device control unit 25 .

제 1 통신부(21)는, 무선 모듈을 갖고 있다. 제 1 통신부(21)는, 정보 단말(10)과 제 1 통신 방식으로 통신 c1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 has a radio modul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 can perform communication c1 with the information terminal 10 in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제 2 통신부(22)는, 적외선 LED 등의 발신기를 갖고 있다. 제 2 통신부(22)는, 기기 단말(30a)과 제 2 통신 방식으로 통신 c2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제 2 통신부(22)는, 기기 단말(30a)과, 기기 단말(30a)의 통신 설정 또는 제어 설정에 관한 정보 통신을 행한다. 제 2 통신 방식의 통신 c2는, 지향성을 갖는 적외선 통신이므로, 유저는 제 2 통신부(22)를 기기 단말(30a)에 향하게 한 상태에서 통신함으로써, 기기 단말(30a)에만 필요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 has a transmitter such as an infrared LE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 is capable of performing communication c2 with the device terminal 30a in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Specifically,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 performs information communication between the device terminal 30a and the communication setting or control setting of the device terminal 30a. Since communication c2 of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is infrared communication having directivity, the user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 facing the device terminal 30a, so that information necessary only for the device terminal 30a can be transmitted. .

제 3 통신부(23)는, 무선 모듈을 갖고 있다. 제 3 통신부(23)는, 각 기기 단말(30a)과 제 3 통신 방식으로 통신 c3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 3 통신 방식의 통신 c3은, 설정용 통신 장치(20) 및 기기 단말(30a)이 상대의 통신 어드레스를 서로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 통신 확립된다.The third communication unit 23 has a radio module.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23 can perform communication c3 with each device terminal 30a in the third communication method. In addition, communication c3 of the 3rd communication method is established communication when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and the device terminal 30a hold each other's communication addresses.

조작 입력부(27)는, 설정용 통신 장치(20)의 하우징의 표면에 마련되어 있다. 조작 입력부(27)는, 예컨대, 1개의 조작 키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The operation input unit 27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0 for setting. The operation input unit 27 is configured by, for example, one operation key.

기억부(26)는, 제 1 통신부(21)를 거쳐서 정보 단말(10)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기억한다. 이 정보는, 정보 단말(10)에서 편집된 상기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기억부(26)에는, 설정용 통신 장치(20)의 자신의 통신 어드레스가 보존되어 있다. 이 통신 어드레스는, 설정용 통신 장치(20)의 MAC 어드레스이더라도 좋다.The storage unit 26 stores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information terminal 10 via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 . This information includes the setting information edited in the information terminal 10 . Further, in the storage unit 26, the communication address of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is stored. This communication address may be the MAC address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0 for setting.

장치 제어부(25)는, CPU,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The device control unit 25 is constituted by a CPU, a memory,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and the like.

장치 제어부(25)는, 기기 단말(30a)의 각종 설정이 행하여질 때에, 정보 단말(10)로부터 송신된 설정 정보를 받고, 순간, 받은 설정 정보를 기기 단말(30a)에 전송한다. 예컨대, 기기 단말(30a)에 어드레스 설정이 행하여질 때, 장치 제어부(25)는, 정보 단말(10)로부터 받은 관리 어드레스를 기기 단말(30a)에 송신한다.The device control unit 25 receives the sett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nformation terminal 10 when various settings of the device terminal 30a are performed, and instantly transmits the received setting information to the device terminal 30a. For example, when address setting is performed in the device terminal 30a, the device control unit 25 transmits the management address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terminal 10 to the device terminal 30a.

구체적으로는, 장치 제어부(25)는, 조작 입력부(27)가 유저로부터 소정의 조작을 접수한 후, 전술한 접수 신호를, 제 1 통신부(21)를 거쳐서 정보 단말(10)에 송신한다. 정보 단말(10)은, 접수 신호를 수신하면, 메모리에 기억된 설정 정보를 설정용 통신 장치(20)에 송신한다. 그리고 장치 제어부(25)는, 제 1 통신부(21)를 거쳐서 수신한 설정 정보를, 제 2 통신부(22)를 거쳐서 기기 단말(30a)에 송신한다.Specifically, after the operation input unit 27 accepts a predetermined operation from the user, the device control unit 25 transmits the above-described acceptance signal to the information terminal 10 via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 . The information terminal 10 transmits the setting information memorize|stored in the memory to the communication apparatus 20 for setting, when receiving an acceptance signal. Then, the device control unit 25 transmits the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 to the device terminal 30a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 .

또, 상기에서는 장치 제어부(25)가 상기 접수 신호를 정보 단말(10)에 송신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그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정보 단말(10)이 설정용 통신 장치(20)에 대하여 제 1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정기적으로 체크를 행하고, 설정용 통신 장치(20)가 소정의 조작을 접수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더라도 좋다.In addition, although the example in which the apparatus control part 25 transmits the said acceptance signal to the information terminal 10 was shown above,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information terminal 10 may periodically check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using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has received a predetermined operation.

즉, 제 2 통신부(22)는, 조작 입력부(27)가 소정의 조작을 접수한 후에, 제 1 통신부(21)가 정보 단말(10)로부터 송신된 소정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기기 단말(30a)과 통신한다. 소정의 정보란, 기기 단말(30a)의 통신 설정 또는 제어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이다. 이 소정의 정보는, 조작 입력부(27)가 소정의 조작을 접수한 것을 제 1 통신부(21)가 정보 단말(10)에 통지함으로써, 정보 단말(10)로부터 제 1 통신부(21)에 송신된다.That is,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 receives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nformation terminal 10 after the operation input unit 27 receives the predetermined opera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 is a device terminal. communicate with (30a).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communication setting or control setting of the device terminal 30a. This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information terminal 10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 notifies the information terminal 10 that the operation input unit 27 has accepted the predetermined operation. .

또한, 장치 제어부(25)는, 설정용 통신 장치(20)로부터 관리 어드레스를 송신할 때에, 설정용 통신 장치(20)의 통신 어드레스를 동시에 송신한다. 그에 대하여, 기기 단말(30a)은, 자신의 통신 어드레스를 설정용 통신 장치(20)에 답신한다. 이것에 의해, 설정용 통신 장치(20) 및 기기 단말(30a)이 상대의 통신 어드레스를 서로 보유하는 상태가 되고, 설정용 통신 장치(20) 및 기기 단말(30a)이 제 3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c3으로 통신 확립된다.In addition, when transmitting the management address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 the device control unit 25 simultaneously transmits the communication address of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 In contrast, the device terminal 30a returns its own communication address to the communication device 20 for setting. Thereby,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and the device terminal 30a are in a state in which the communication address of the other party is mutually held,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and the device terminal 30a are connected by the third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with communication c3.

이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설정용 통신 장치(20)는, 정보 단말(10)과 제 1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 1 통신부(21)와, 설비 시스템(5)에 포함되는 기기 단말(30a)과 제 1 통신 방식과는 상이한 제 2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 2 통신부(22)와, 기기 단말(30a)과 제 1 통신 방식 및 제 2 통신 방식 중 어느 것과도 상이한 제 3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 3 통신부(23)를 구비하고 있다.In this way,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of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21 that communicates with the information terminal 10 in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a device terminal 30a included in the facility system 5 .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2 communicating with a second communication method different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a third communication method different from any of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with the device terminal 30a A third communication unit 23 is provided.

이것에 의하면, 설정용 통신 장치(20)는, 정보 단말(10)로부터 제 1 통신 방식으로 수신한 정보를, 제 2 통신 방식으로 기기 단말(30a)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설정용 통신 장치(20)는, 제 3 통신 방식으로 기기 단말(30a)과 정보 통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이 설정용 통신 장치(20)에 의하면, 정보 단말(10)에서 편집된 통신 설정 및 제어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를, 제 1 통신 방식으로 받고, 제 2 통신 방식으로 기기 단말(30a)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그 후, 제 3 통신 방식으로 상기 설정 정보를 간단하고 쉽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기기 단말(30a)에 따른 설정을 간단하고 쉽게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can transmit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terminal 10 by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to the device terminal 30a by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may perform information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 terminal 30a in the third communication method.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the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setting and control setting edited in the information terminal 10 is receiv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to the device terminal 30a by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It becomes possible to transmit. Further, thereafter, it becomes possible to simply and easily change the setting information in the third communication method. Thereby, setting according to the device terminal 30a can be performed simply and easily.

또한, 설정용 통신 장치(20)에서 송수신되는 통신 정보는, 이하에 나타내는 특징을 갖고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apparatus 20 for setting has the characteristic shown below.

도 5는 설정용 통신 장치(20)에서 송수신되는 통신 정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commun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

도 5에는, 제 1 통신 방식으로 송수신되는 통신 정보 ic1, 제 2 통신 방식으로 송수신되는 통신 정보 ic2, 제 3 통신 방식으로 송수신되는 통신 정보 ic3이 나타내어지고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각 통신 정보 ic1, ic2, ic3에 포함되는 기기 단말(30a)의 제어 커맨드는, 공통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통신 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작성되는 기기 단말(30a)의 제어 커맨드는, 제 2 통신 방식 또는 제 3 통신 방식의 각각의 통신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작성되는 기기 단말(30a)의 제어 커맨드와 동일한 커맨드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각 통신 정보 ic1, ic2, ic3에 포함되는 기기 단말(30a)의 제어 커맨드를 공통화함으로써, 상이한 통신 방식의 사이에서 행하여지는 커맨드의 변환 프로세스를 생략할 수 있다.Fig. 5 shows communication information ic1 transmitted and receiv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information ic2 transmitted/receiv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information ic3 transmitted/received in the third communication method. As shown in this figure, the control commands of the device terminal 30a included in each communication information ic1, ic2, and ic3 have commonality. Specifically, the control command of the device terminal 30a created based on the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is the control command of the device terminal 30a created based on each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or the third communication method. It contains the same commands as the control commands of In this way, by commonizing the control commands of the device terminal 30a included in the respective communication information ic1, ic2, and ic3, the command conversion process performed between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can be omitted.

[3. 제 1 실시예와 관련되는 정보 단말의 제어 방법][3.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다음으로, 기기 단말(30a)에 통신 설정 등이 행하여질 때의 정보 단말(10)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Next, the control method of the information terminal 10 when communication setting etc. are performed in the device terminal 30a is demonstrated, referring FIG.

도 6은 제 1 실시예와 관련되는 정보 단말(10)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6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information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우선, 정보 단말(10)은, 설정용 통신 장치(20)와 통신 확립한다(스텝 S10). 구체적으로 정보 단말(10)은, 통신 개시 키(17a)(도 3의 (b) 참조)에 의한 조작을 접수함으로써, 설정용 통신 장치(20)와 통신 확립한다. 정보 단말(10)은, 설정용 통신 장치(20)와 통신 확립한 상태에서, 설정용 통신 장치(20)가 소정의 조작을 접수했는지 여부를 감시한다.First, the information terminal 10 establishes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20 for setting (step S10). Specifically, the information terminal 10 establishes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20 for setting by accepting an operation by the communication start key 17a (refer to FIG. 3B ). The information terminal 10 monitors whether or not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has received a predetermined operation in a state in which communication has been established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20 for setting.

한편, 정보 단말(10)은, 기기 단말(30a)에 설정해야 할 설정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20). 이 설정 정보는, 기기 단말(30a)의 통신 설정 또는 제어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이다. 이들 설정 정보는, 표시 입력부(17)를 이용하여 입력된다. 정보 단말(10)에는, 예컨대 통신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로서,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기 단말(30a)의 관리 어드레스가 입력된다.On the other hand, the information terminal 10 acquires the setting information to be set in the device terminal 30a (step S20). This setting information is setting information regarding the communication setting or control setting of the device terminal 30a. These setting information is input using the display input unit 17 . The management address of the device terminal 30a is input to the information terminal 10 as, for example,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communication settings, as shown in FIG. 3A .

다음으로, 정보 단말(10)은, 취득한 설정 정보를 기억한다(스텝 S30). 구체적으로는, 정보 단말(10)은, 스텝 S20에서 취득한 설정 정보를 제어부(15)의 메모리에 기억한다.Next, the information terminal 10 stores the acquired setting information (step S30). Specifically, the information terminal 10 stores the setting information acquired in step S20 in the memory of the control unit 15 .

다음으로, 정보 단말(10)은, 설정용 통신 장치(20)와 통신 확립된 상태에서, 설정용 통신 장치(20)가 소정의 조작을 접수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0). 구체적으로 정보 단말(10)은, 전술한 접수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에 의해, 소정의 조작을 접수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설정용 통신 장치(20)가 소정의 조작을 접수하지 않은 경우는(S40에서 아니오), 스텝 S40으로 돌아간다.Next, the information terminal 1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ommunication apparatus 20 for setting has received a predetermined|prescribed operation in the state which communication was established with the communication apparatus 20 for setting (step S40). Specifically, the information terminal 10 determines whether or not a predetermined operation has been accepted based on whether the above-described acceptance signal has been received. When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does not accept the predetermined operation (NO in S40), it returns to step S40.

설정용 통신 장치(20)가 소정의 조작을 접수한 경우는(S40에서 예), 정보 단말(10)에 기억한 설정 정보를 설정용 통신 장치(20)에 송신한다(스텝 S50). 구체적으로는, 정보 단말(10)은, 어드레스 설정에 관한 정보로서, 관리 어드레스를 설정용 통신 장치(20)에 송신한다. 이후, 스텝 S10~S50이 반복됨으로써, 복수의 기기 단말에 대한 통신 설정 등이 행하여진다.When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accepts a predetermined operation (YES in S40), it transmits the setting information memorized in the information terminal 10 to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step S50). Specifically, the information terminal 10 transmits the management address to the communication device 20 for setting as information related to address setting. Thereafter, by repeating steps S10 to S50, communication setting for a plurality of device terminals and the like are performed.

[4. 제 1 실시예와 관련되는 통신 시스템의 동작][4.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ystem related to the first embodiment]

상기에서는, 통신 시스템(1)이 구비하는 정보 단말(10)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하에서는, 통신 시스템(1)의 전체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Although the control method of the information terminal 10 with which the communication system 1 is equipped was demonstrated above, below, the operation|movement of the whole communication system 1 is demonstrated.

도 7은 제 1 실시예와 관련되는 통신 시스템(1)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정보 단말(10)에 표시되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ystem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8 is a diagram show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terminal 10 .

통신 시스템(1)은, 정보 단말(10), 설정용 통신 장치(20) 및 복수의 기기 단말(30a, 30b)을 구비하고 있다. 정보 단말(10)은, 설정용 통신 장치(20)와 통신 확립하고, 설정용 통신 장치(20)가 소정의 조작을 접수했는지 여부를 감시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The communication system 1 is equipped with the information terminal 10, the communication apparatus 20 for setting, and some device terminal 30a, 30b. The information terminal 10 establishes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and is in a state of monitoring whether or not the communication device 20 for setting has received a predetermined operation.

우선, 정보 단말(10)의 표시 입력부(17)에,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용 통신 장치(20)에 대한 조작 입력을 재촉하는 화면이 표시된다. 실제로는 유저에게 재촉하는 화면으로서, 설정용 통신 장치(20)를, 통신 설정 등의 설정 대상인 기기 단말에 향하게 하고, 그 후, 설정용 통신 장치(20)의 조작 입력부(27)를 누르도록 재촉하는 화면이 표시된다. 이 화면을 본 유저는,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보 단말(10) 및 설정용 통신 장치(20)를, 설정 대상인 기기 단말(30a)의 아래로 이동시킨다.First, on the display input unit 17 of the information terminal 10, a screen for prompting an operation inpu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8A. In reality, as a screen prompting the user, the setting communication device 20 is directed to a device terminal as a setting target such as communication setting, and thereafter, the user is prompted to press the operation input unit 27 of the setting communication device 20 . screen is displayed. The user who saw this screen moves the information terminal 10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20 for setting under the device terminal 30a which is a setting object, as shown to Fig.1 (a).

다음으로, 설정용 통신 장치(20)의 조작 입력부(27)가 눌리면, 조작 입력부(27)가 조작된 것을 나타내는 접수 신호가 정보 단말(10)에 송신된다(통신 c1). 정보 단말(10)은, 접수 신호를 접수하면, 기기 단말(30a)에 관한 설정 정보(예컨대 기기 단말(30a)의 관리 어드레스 및 레이아웃 정보)를 설정용 통신 장치(20)에 송신한다(통신 c1).Next, when the operation input part 27 of the communication apparatus 20 for setting is pressed, the acceptance signal which shows that the operation input part 27 has been operated is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terminal 10 (communication c1). When the information terminal 10 receives the acceptance signal, it transmits setting information regarding the device terminal 30a (eg, management address and layout information of the device terminal 30a) to the communication device 20 for setting (communication c1). ).

설정용 통신 장치(20)는, 이 설정 정보를 접수하면,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 정보를 기기 단말(30a)에 송신한다(통신 c2). 그리고, 기기 단말(30a)은, 접수한 설정 정보를 기기 제어부(35)의 메모리에 기억한다. 또한, 기기 단말(30a)은, 설정 정보를 접수한 경우, 점멸 등의 동작을 행함으로써, 설정 정보를 접수한 것을 외부에 알린다. 이것에 의해, 기기 단말(30a)에 대한 관리 어드레스의 설정이 종료된다.When the setting communication device 20 receives this setting information, it transmits the setting information to the device terminal 30a as shown in Fig. 8(b) (communication c2). Then, the device terminal 30a stores the received setting information in the memory of the device control unit 35 . In addition, when receiving the setting information, the device terminal 30a notifies the outside that the setting information has been received by performing an operation such as blinking. This completes the setting of the management address for the device terminal 30a.

다음으로, 유저는,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보 단말(10) 및 설정용 통신 장치(20)를, 다음의 설정 대상인 기기 단말(30b)의 아래로 이동시킨다. 유저는, 이들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복수의 기기 단말(30a, 30b)에 통신 설정 등을 행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1(b), a user moves the information terminal 10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20 for setting under the device terminal 30b which is the next setting object. By repeating these operations, a user can perform communication setting etc. in some device terminal 30a, 30b.

또, 설정용 통신 장치(20)는, 상기 설정 정보를 기기 단말(30a)에 송신할 때에, 자신의 통신 어드레스를 송신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설정용 통신 장치(20)가 자신의 통신용의 어드레스를 기기 단말(30a)에 송신하고(통신 c2), 또한, 기기 단말(30a)이 기기 단말(30a)의 통신 어드레스를 설정용 통신 장치(20)에 답신함으로써(통신 c3), 그 후에는, 설정용 통신 장치(20)와 기기 단말(30a)이 제 3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c3으로 서로 통신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ransmitting the setting information to the device terminal 30a,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may transmit its own communication address.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transmits its own communication address to the device terminal 30a (communication c2), and further, the device terminal 30a sets the communication address of the device terminal 30a to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By replying to (20) (communication c3), thereafter,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and the device terminal 30a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communication c3 by the third communication method.

또한, 설정용 통신 장치(20)는, 설정 정보를 받은 것을 나타내는 수령 정보를 기기 단말(30a)로부터 수신하고(통신 c3), 그 수령 정보를 정보 단말(10)에 송신하더라도 좋다(통신 c1). 정보 단말(10)은, 표시 입력부(17)에 수령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설정 정보가 기기 단말(30a)에 송신된 것을 알릴 수 있다.Further,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may receive, from the device terminal 30a, receip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setting information has been received (communication c3), and transmit the receipt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terminal 10 (communication c1). . The information terminal 10 can notify that the setting information has been transmitted to the device terminal 30a by displaying the receipt information on the display input unit 17 .

또한, 정보 단말(10)에 저장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는, 설정 정보를 송신한 후에 관리 어드레스를 자동적으로 증가시키는(increment) 기능, 예컨대, 다음에 통신 설정하는 관리 어드레스를 "0001"로부터 "0002"로 자동으로 변경하는 기능을 갖고 있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관리 어드레스의 편집 입력을 생력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software stored in the information terminal 10 has a function of automatically incrementing the management address after transmitting the setting information, for example, changing the management address for the next communication setting from "0001" to "0002" It would be nice to have a function to automatically change it. In this way, the edit input of the management address can be saved.

또한, 정보 단말(10)은, 설정 정보를 설정 대상과 상이한 기기 단말에 설정한 경우에, 그것을 취소하기 위한 기능을 갖고 있더라도 좋다. 도 9에, 잘못된 설정을 취소하기 위한 일례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terminal 10 may have the function for canceling|cancelling, when setting information is set to the device terminal different from the setting object. Fig. 9 shows an example for canceling an erroneous setting.

도 9는 제 1 실시예와 관련되는 정보 단말(10)에 표시되는 화상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유저는, 도 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 재시도" 키를 누른 후, 도 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소" 키를 누름으로써, 이미 행한 설정을 취소할 수 있다.Fig. 9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user can cancel the setting already made by pressing the "retry setting" key as shown in FIG. 9(a) and then pressing the "cancel" key as shown in FIG. 9(b).

[5. 효과 등][5. effect, etc.]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설정용 통신 장치(20)는, 정보 단말(10)과 제 1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 1 통신부(21)와, 설비 시스템(5)에 포함되는 기기 단말(30a)과 제 1 통신 방식과는 상이한 제 2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 2 통신부(22)와, 기기 단말(30a)과 제 1 통신 방식 및 제 2 통신 방식 중 어느 것과도 상이한 제 3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 3 통신부(23)를 구비하고 있다.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21 that communicates with the information terminal 10 by a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a device terminal 30a included in the facility system 5 .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2 communicating with a second communication method different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a third communication method different from any of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with the device terminal 30a A third communication unit 23 is provided.

이것에 의하면, 설정용 통신 장치(20)는, 정보 단말(10)로부터 제 1 통신 방식으로 수신한 정보를, 제 2 통신 방식으로 기기 단말(30a)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설정용 통신 장치(20)는, 제 3 통신 방식으로 기기 단말(30a)과 정보 통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이 설정용 통신 장치(20)에 의하면, 정보 단말(10)에서 편집된 통신 설정 및 제어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를, 제 1 통신 방식으로 받고, 제 2 통신 방식으로 기기 단말(30a)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그 후, 제 3 통신 방식으로 상기 설정 정보를 간단하고 쉽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기기 단말(30a)에 따른 설정을 간단하고 쉽게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can transmit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terminal 10 by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to the device terminal 30a by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may perform information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 terminal 30a in the third communication method.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the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setting and control setting edited in the information terminal 10 is receiv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to the device terminal 30a by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It becomes possible to transmit. Further, thereafter, it becomes possible to simply and easily change the setting information in the third communication method. Thereby, setting according to the device terminal 30a can be performed simply and easily.

또한, 제 1 통신부(21)는, 무선을 이용한 제 1 통신 방식으로 통신 c1을 행하더라도 좋다.In additio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 may perform communication c1 in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using radio.

이것에 의하면, 정보 단말(10) 및 설정용 통신 장치(20)를 통신할 때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이것에 의해, 기기 단말(30a)에 따른 설정을 간단하고 쉽게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he convenience at the time of communicating the information terminal 10 and the communication apparatus 20 for setting improves. Thereby, setting according to the device terminal 30a can be performed simply and easily.

또한, 제 1 통신부(21)는, 2.4㎓대 또는 5㎓대의 주파수를 이용한 제 1 통신 방식으로 통신 c1을 행하고, 제 2 통신부(22)는, 적외선을 이용한 제 2 통신 방식으로 통신 c2를 행하고, 제 3 통신부(23)는, 920㎒대의 특정 소전력 무선을 이용한 제 3 통신 방식으로 통신 c3을 행하더라도 좋다.In additio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 performs communication c1 in a first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frequency of 2.4 GHz band or 5 GHz band,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 performs communication c2 in a seco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infrared rays, ,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23 may perform communication c3 in the third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specific low-power radio in the 920 MHz band.

예컨대, 제 1 통신부(21)에서 2.4㎓대 또는 5㎓대의 주파수를 이용한 통신 c1을 행함으로써, 정보 단말(10) 및 설정용 통신 장치(20)의 사이에서 정보를 교환할 때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통신부(22)에서 적외선을 이용한 통신 c2를 행함으로써, 송신해야 할 정보를 기기 단말(30a)에 적확하게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 3 통신부(23)에서 920㎒대의 특정 소전력 무선을 이용함으로써, 전력 소비량을 삭감할 수 있다.For example, by performing communication c1 using a frequency of 2.4 GHz band or 5 GHz band i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 the convenienc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the information terminal 10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is improved. can be improved In addition, by performing communication c2 using infrared rays i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 ,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transmit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device terminal 30a. In addition, by using a specific low-power radio in the 920 MHz band in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23,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또한, 제 2 통신부(22)는, 제 2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기기 단말(30a)의 통신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의 통신을 기기 단말(30a)과 행하더라도 좋다.In addi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 may communicate with the device terminal 30a the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setting of the device terminal 30a using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이와 같이 설정용 통신 장치(20)의 제 2 통신부(22)가 제 2 통신 방식의 통신 c2를 행함으로써, 기기 단말(30a)의 통신 설정을 간단하고 쉽게 행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 of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performs communication c2 of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setting of the device terminal 30a can be performed simply and easily.

또한, 제 3 통신부(23)는, 제 3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기기 단말(30a)의 통신 설정 또는 제어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의 통신을 기기 단말(30a)과 행하더라도 좋다.In addition,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23 may communicate with the device terminal 30a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setting or control setting of the device terminal 30a using the third communication method.

이와 같이 설정용 통신 장치(20)의 제 3 통신부(23)가 제 3 통신 방식의 통신 c3을 행함으로써, 기기 단말(30a)의 통신 설정 또는 제어 설정을 간단하고 쉽게 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23 of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performs communication c3 of the third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setting or control setting of the device terminal 30a can be performed simply and easily.

또한, 기기 단말(30a)은, 조명 기기, 조명 컨트롤러, 공조 기기, 공조 컨트롤러 및 사람 감지 센서 중 적어도 1개이더라도 좋다.The device terminal 30a may be at least one of a lighting device, a lighting controller, an air conditioning device, an air conditioning controller, and a person detection sensor.

이것에 의하면, 설정용 통신 장치(20)를 이용하여, 조명 기기, 조명 컨트롤러, 공조 기기, 공조 컨트롤러 및 사람 감지 센서의 각 기기 단말에 따른 설정을 간단하고 쉽게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etting according to each device terminal of a lighting device, a lighting controller, an air conditioning device, an air conditioning controller, and a person detection sensor can be performed simply and easily using the communication device 20 for setting.

또한, 설정용 통신 장치(20)는, 소정의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입력부(27)를 더 구비하고, 제 2 통신부(22) 및 제 3 통신부(23) 중 적어도 한쪽은, 조작 입력부(27)가 소정의 조작을 접수한 후, 기기 단말(30a)과 통신하더라도 좋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further includes an operation input unit (27) for accept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and at least on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 and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23) is an operation input unit (27) After accepting the predetermined operation, it may communicate with the device terminal 30a.

이것에 의하면, 설정용 통신 장치(20)의 소정의 조작에 의해, 기기 단말(30a)에 따른 설정을 간단하고 쉽게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etting according to the device terminal 30a can be performed simply and easily by a predetermined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

또한, 설정용 통신 장치(20)는, 소정의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입력부(27)를 더 구비하고, 제 2 통신부(22) 및 제 3 통신부(23) 중 적어도 한쪽은, 조작 입력부(27)가 소정의 조작을 접수한 후, 제 1 통신부(21)가 정보 단말(10)로부터 송신된 소정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기기 단말(30a)과 통신하더라도 좋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further includes an operation input unit (27) for accept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and at least on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 and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23) is an operation input unit (27) After accepting the predetermined operation,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 receives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nformation terminal 10, it may communicate with the device terminal 30a.

이것에 의하면, 설정용 통신 장치(20) 및 정보 단말(10)을 이용하여, 기기 단말(30a)에 따른 설정을 간단하고 쉽게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etting according to the device terminal 30a can be performed simply and easily using the setting communication device 20 and the information terminal 10 .

또한, 상기 소정의 정보는, 조작 입력부(27)가 소정의 조작을 접수한 것을 제 1 통신부(21)가 정보 단말(10)에 통지함으로써, 정보 단말(10)로부터 제 1 통신부(21)에 송신되더라도 좋다.Further,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information terminal 10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 notifying the information terminal 10 that the operation input unit 27 has accepted the predetermined operation. It may be sent.

이것에 의하면, 설정용 통신 장치(20) 및 정보 단말(10)을 이용하여, 기기 단말(30a)에 따른 설정을 확실히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etting according to the device terminal 30a can be reliably performed using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and the information terminal 10 .

또한, 설정용 통신 장치(20)는, 제 1 통신부(21)를 거쳐서 정보 단말(10)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26)를 더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Moreover, the communication apparatus 20 for setting may further be provided with the storage part 26 which memorize|stores the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information terminal 10 via the 1st communication part 21. As shown in FIG.

이것에 의하면, 기기 단말(30a)에 설정하는 설정 정보를 간단하고 쉽게 기입하거나 읽어내거나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etting information to be set in the device terminal 30a can be written or read simply and easily.

또한, 제 1 통신부(21)를 거쳐서 취득한 정보는, 기기 단말(30a)의 통신 설정 또는 제어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1st communication part 21 may contain the setting information regarding the communication setting or control setting of the device terminal 30a.

이것에 의하면, 기기 단말(30a)의 통신 설정 또는 제어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를 간단하고 쉽게 기입하거나 읽어내거나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setting or control setting of the device terminal 30a can be written or read simply and easily.

또한, 제 1 통신 방식, 제 2 통신 방식 및 제 3 통신 방식으로 송수신되는 각각의 통신 정보 ic1, ic2, ic3에 포함되는 기기 단말의 제어 커맨드는, 공통성을 갖고 있더라도 좋다.In addition, the control commands of the device terminals included in each of the communication information ic1, ic2, ic3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third communication method may have commonality.

이것에 의하면, 상이한 통신 방식의 사이에서 행하여지는 커맨드의 변환 프로세스를 생략할 수 있고, 기기 단말(30a)의 제어 설정을 간단하고 쉽게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he command conversion process performed between different communication systems can be omitted, and the control setting of the device terminal 30a can be performed simply and easily.

또한, 제 1 통신 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작성되는 기기 단말(30a)의 제어 커맨드는, 제 2 통신 방식 또는 제 3 통신 방식의 각각의 통신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작성되는 기기 단말(30a)의 제어 커맨드와 동일한 커맨드를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In addition, the control command of the device terminal 30a created based on the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is a control command of the device terminal 30a created based on each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or the third communication method. The same command as the command may be included.

이것에 의하면, 상이한 통신 방식의 사이에서 행하여지는 커맨드의 변환 프로세스를 생략할 수 있고, 기기 단말(30a)의 제어 설정을 간단하고 쉽게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he command conversion process performed between different communication systems can be omitted, and the control setting of the device terminal 30a can be performed simply and easily.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통신 시스템(1)은, 상기 설정용 통신 장치(20)와, 기기 단말(30a)과, 정보 단말(10)을 구비한다.The communication system 1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said setting communication apparatus 20, the device terminal 30a, and the information terminal 10. As shown in FIG.

이것에 의하면, 기기 단말(30a)에 따른 설정을 간단하고 쉽게 행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1)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communication system 1 in which setting according to the device terminal 30a can be performed simply and easily.

또한,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 단말(10)의 제어 방법은, 상기 설정용 통신 장치(20)와 통신하는 정보 단말(10)의 제어 방법으로서, 기기 단말(30a)의 통신 설정 또는 제어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취득 스텝에서 취득한 설정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스텝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information terminal 10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a control method of the information terminal 10 which communicates with the said communication apparatus 20 for setting, Comprising: Communication setting or control of the device terminal 30a It includes an acquisition step of acquiring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setting, and a storage step of storing the setting information acquired in the acquisition step.

이와 같이, 정보 단말(10)에 상기 설정 정보가 기억됨으로써, 기기 단말(30a)로부터 상기 설정 정보를 읽어내어 편집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storing the setting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terminal 10 , the setting information can be read and edited from the device terminal 30a.

또한, 정보 단말(10)의 제어 방법은, 기억 스텝에서 기억한 설정 정보를, 제 1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설정용 통신 장치(20)에 송신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information terminal 10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setting information memorize|stored in the storage step to the communication apparatus 20 for setting using a 1st communication method.

이와 같이, 설정 정보를 설정용 통신 장치(20)에 송신함으로써, 설정용 통신 장치(20)를 이용하여, 기기 단말(30a)에 따른 설정을 간단하고 쉽게 행할 수 있다.In this way, by transmitting the setting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 setting according to the device terminal 30a can be performed simply and easily using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

또한,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프로그램은, 상기 정보 단말(10)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Further,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rogram for causing the computer to execute the control method of the information terminal 10 .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보 단말(10)의 제어 방법을 실행함으로써, 설정용 통신 장치(20)를 이용하여, 기기 단말(30a)에 따른 설정을 간단하고 쉽게 행할 수 있다.By executing the control method of the information terminal 10 using this program, setting according to the device terminal 30a can be performed simply and easily using the communication device 20 for setting.

[6. 제 2 실시예와 관련되는 통신 시스템의 구성][6. Configuration of the communication system related to the second embodiment]

다음으로, 실시의 형태의 제 2 실시예와 관련되는 통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사람 감지 센서인 기기 단말(30c)에 통신 설정 등을 행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 In the second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communication settings and the like are performed in the device terminal 30c serving as a human sensor will be described.

도 10은 제 2 실시예와 관련되는 통신 시스템(1)이 구비하는 기기 단말(30a, 30b, 30c), 설정용 통신 장치(20) 및 정보 단말(10)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통신 시스템(1)이 구비하는 기기 단말(30a~30c), 설정용 통신 장치(20) 및 정보 단말(10)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Fig.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device terminals 30a, 30b, 30c,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and the information terminal 10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system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vice terminals 30a to 30c,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and the information terminal 10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system 1 .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1)은, 정보 단말(10)과, 설정용 통신 장치(20)와, 설비 시스템(5)을 구비한다. 설비 시스템(5)은, 복수의 기기 단말(30a~30c)과, 관리 장치(40)를 구비한다.10 and 11 , the communication system 1 of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n information terminal 10 , a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 and an equipment system 5 . The equipment system 5 includes a plurality of device terminals 30a to 30c and a management device 40 .

관리 장치(40)는, 각 기기 단말(30a~30c)과 유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기기 단말(30c)은, 각 기기 단말(30a, 30b)에 무선 통신 c4로 접속 가능하다.The management device 40 is connected to each device terminal 30a to 30c by wire. The device terminal 30c can be connected to each of the device terminals 30a and 30b by wireless communication c4.

기기 단말(30c)은, 사람을 검출하고, 조명 기기인 기기 단말(30a, 30b)을 조광 제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기기 단말(30c)은, 사람을 검지하는 입력부(37)와, 기기 제어부(35)와, 기기 통신부(31)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부(37) 및 기기 통신부(31)의 각각은, 기기 제어부(35)에 접속되어 있다.The device terminal 30c has a function of detecting a person and controlling the lighting of the device terminals 30a and 30b that are lighting devices. The device terminal 30c includes an input unit 37 that detects a person, a device control unit 35 , and a device communication unit 31 . Each of the input unit 37 and the device communication unit 31 is connected to the device control unit 35 .

기기 단말(30c)의 기기 통신부(31)는, 설정용 통신 장치(20)로부터 송신된 통신 설정 또는 제어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The device communication unit 31 of the device terminal 30c receives the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setting or the control setting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

입력부(37)는, 사람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이다. 입력부(37)는, 예컨대, 화상 센서, 적외선 센서 또는 열 센서이다.The input unit 37 is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person. The input unit 37 is, for example, an image sensor, an infrared sensor, or a thermal sensor.

기기 단말(30c)의 기기 제어부(35)는, 입력부(37)에 입력된 정보에 근거하여, 기기 단말(30a, 30b)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기기 제어부(35)는, 기기 통신부(31)에서 수신한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기기 단말(30c)의 통신 설정 등을 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기 제어부(35)는, 예컨대, 기기 단말(30c)과, 기기 단말(30a, 30b)의 페어링 설정이 행하여질 때, 설정용 통신 장치(20)로부터 송신된 페어링 지시 신호를 취득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기기 제어부(35)는, 기기 단말(30c)과 기기 단말(30a~30c)의 페어링 설정을 개시한다.The device control unit 35 of the device terminal 30c controls the device terminals 30a and 30b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to the input unit 37 . In addition, the device control unit 35 performs communication settings and the like of the device terminal 30c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evice communication unit 31 . Specifically, the device control unit 35 acquires a pairing instru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when, for example, pairing setting between the device terminal 30c and the device terminals 30a and 30b is performed. . As a result, the device control unit 35 starts pairing settings between the device terminal 30c and the device terminals 30a to 30c.

정보 단말(10)은, 기기 단말(30a~30c)의 통신 설정 또는 제어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를 편집하는 휴대 단말이다. 정보 단말(10)의 제어부(15)는, 기기 단말(30c)의 각종 설정이 행하여질 때에, 통신부(11) 및 설정용 통신 장치(20)를 거쳐서 기기 단말(30c)에, 통신 설정 또는 제어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를 송신한다. 예컨대, 페어링 설정이 행하여질 때, 정보 단말(10)은, 페어링 지시 신호를 기기 단말(30c)에 송신한다.The information terminal 10 is a portable terminal which edits the setting information regarding the communication setting or control setting of the device terminals 30a-30c. When various settings of the device terminal 30c are made, the control unit 15 of the information terminal 10 sends the communication setting or control to the device terminal 30c via the communication unit 11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20 for setting. Transmits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setting. For example, when pairing setting is made, the information terminal 10 transmits a pairing instruction signal to the device terminal 30c.

설정용 통신 장치(20)는, 정보 단말(10)에서 편집된 설정 정보를, 기기 단말(30c)에 대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기기 단말(30c)에 송신하는 설정기이다.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is a setting device that transmits the setting information edited by the information terminal 10 to the device terminal 30c using a communication method corresponding to the device terminal 30c.

제 1 통신부(21)는, 정보 단말(10)과 제 1 통신 방식으로 통신 c1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통신부(22)는, 기기 단말(30c)과 제 2 통신 방식으로 통신 c2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3 통신부(23)는, 기기 단말(30c)과 제 3 통신 방식으로 통신 c3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 can perform communication c1 with the information terminal 10 in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 is capable of performing communication c2 with the device terminal 30c in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23 is capable of performing communication c3 with the device terminal 30c in the third communication method.

장치 제어부(25)는, 기기 단말(30c)의 각종 설정이 행하여질 때에, 정보 단말(10)로부터 송신된 설정 정보를 받고, 순간, 받은 설정 정보를 기기 단말(30c)에 전송한다. 예컨대, 기기 단말(30c)에 페어링 설정이 행하여질 때, 장치 제어부(25)는, 정보 단말(10)로부터 받은 페어링 지시 신호를 기기 단말(30c)에 송신한다.The device control unit 25 receives the sett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nformation terminal 10 when various settings of the device terminal 30c are made, and instantly transmits the received setting information to the device terminal 30c. For example, when pairing setting is performed in the device terminal 30c, the device control unit 25 transmits a pairing instru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terminal 10 to the device terminal 30c.

구체적으로는, 장치 제어부(25)는, 조작 입력부(27)가 유저로부터 소정의 조작을 접수한 후, 전술한 접수 신호를, 제 1 통신부(21)를 거쳐셔 정보 단말(10)에 송신한다. 정보 단말(10)은, 접수 신호를 수신하면, 메모리에 기억된 설정 정보를 설정용 통신 장치(20)에 송신한다. 그리고 장치 제어부(25)는, 제 1 통신부(21)를 거쳐서 수신한 설정 정보를, 제 2 통신부(22)를 거쳐서 기기 단말(30c)에 송신한다.Specifically, the device control unit 25 transmits the above-described acceptance signal to the information terminal 10 via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 after the operation input unit 27 accepts a predetermined operation from the user. . The information terminal 10 transmits the setting information memorize|stored in the memory to the communication apparatus 20 for setting, when receiving an acceptance signal. Then, the device control unit 25 transmits the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via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 to the device terminal 30c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 .

다음으로, 제 2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ystem 1 of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12는 제 2 실시예와 관련되는 통신 시스템(1)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정보 단말(10)에 표시되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2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ystem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13 is a diagram show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terminal 10 .

통신 시스템(1)은, 정보 단말(10), 설정용 통신 장치(20) 및 복수의 기기 단말(30a~30c)을 구비하고 있다. 정보 단말(10)은, 설정용 통신 장치(20)와 통신 확립하고, 설정용 통신 장치(20)가 소정의 조작을 접수했는지 여부를 감시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The communication system 1 is equipped with the information terminal 10, the communication apparatus 20 for setting, and some device terminal 30a-30c. The information terminal 10 establishes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and is in a state of monitoring whether or not the communication device 20 for setting has received a predetermined operation.

우선, 정보 단말(10)의 표시 입력부(17)에, 도 1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용 통신 장치(20)에 대한 조작 입력을 재촉하는 화면이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유저에게 재촉하는 화면으로서, 설정용 통신 장치(20)를, 통신 설정 등의 설정 대상인 기기 단말에 향하게 하고, 그 후, 설정용 통신 장치(20)의 조작 입력부(27)를 누르도록 재촉하는 화면이 표시된다. 이 화면을 본 유저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보 단말(10) 및 설정용 통신 장치(20)를, 설정 대상인 기기 단말(30c)의 아래로 이동시킨다.First, on the display input unit 17 of the information terminal 10, a screen for prompting an operation inpu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20 for setting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13A. Specifically, as a screen prompting the user, the setting communication device 20 is directed to a device terminal as a setting target for communication setting, and thereafter, the operation input unit 27 of the setting communication device 20 is pressed. A prompt screen is displayed. The user who saw this screen moves the information terminal 10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20 for setting under the device terminal 30c which is a setting object, as shown in FIG.

다음으로, 설정용 통신 장치(20)의 조작 입력부(27)가 눌리면, 조작 입력부(27)가 조작된 것을 나타내는 접수 신호가 정보 단말(10)에 송신된다(통신 c1). 정보 단말(10)은, 접수 신호를 접수하면, 기기 단말(30c)에 관한 설정 정보(예컨대 페어링 준비 정보)를 설정용 통신 장치(20)에 송신한다(통신 c1).Next, when the operation input part 27 of the communication apparatus 20 for setting is pressed, the acceptance signal which shows that the operation input part 27 has been operated is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terminal 10 (communication c1). Upon receiving the acceptance signal, the information terminal 10 transmits setting information (eg, pairing preparat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device terminal 30c to the communication device 20 for setting (communication c1).

설정용 통신 장치(20)는, 이 설정 정보를 접수하면, 설정 정보를 기기 단말(30c)에 송신한다(통신 c2). 그리고, 기기 단말(30c)은, 도 1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수한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기기 단말(30a, 30b)로부터 통신 어드레스를 수집한다(무선 통신 c4). 기기 단말(30a, 30b)은, 통신 어드레스를 수집하는 지시를 접수하면, 각자의 통신 어드레스를 기기 단말(30c)에 답신한다. 기기 단말(30c)은, 답신된 통신 어드레스를 설정용 통신 장치(20)에 송신한다(통신 c3). 또한 설정용 통신 장치(20)는, 수신한 기기 단말(30a, 30b)의 통신 어드레스를 정보 단말(10)에 전송한다(통신 c1). 이것에 의해, 도 13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보 단말(10)의 화면에, 기기 단말(30c)과 통신 가능한 기기 단말이 표시된다.When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receives this setting information, it transmits the setting information to the device terminal 30c (communication c2). Then, as shown in Fig. 13B, the device terminal 30c collects communication addresses from the device terminals 30a and 30b based on the received setting information (wireless communication c4). When the device terminals 30a and 30b receive the instruction to collect the communication addresses, they return their respective communication addresses to the device terminal 30c. The device terminal 30c transmits the returned communication address to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communication c3). Further,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transmits the received communication addresses of the device terminals 30a and 30b to the information terminal 10 (communication c1). Thereby, as shown in FIG.13(c), the device terminal which can communicate with the device terminal 30c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information terminal 10. As shown in FIG.

이 화면에서 유저는, 기기 단말(30c)과 페어링시켜야 할 기기 단말을 선택한다. 기기 단말을 선택하면, 정보 단말(10)의 표시 입력부(17)에, 설정용 통신 장치(20)에 대한 조작 입력을 재촉하는 화면이 다시 표시된다. 여기서 설정용 통신 장치(20)의 조작 입력부(27)가 눌리면, 조작 입력부(27)가 조작된 것을 나타내는 접수 신호가 정보 단말(10)에 송신된다(통신 c1). 정보 단말(10)은, 접수 신호를 접수하면, 기기 단말(30c)에 관한 설정 정보(예컨대 페어링 지시 정보)를 설정용 통신 장치(20)에 송신한다(통신 c1). 설정용 통신 장치(20)는, 이 설정 정보를 접수하면, 설정 정보를 기기 단말(30c)에 송신한다(통신 c2).On this screen, the user selects a device terminal to be paired with the device terminal 30c. When the device terminal is selected, on the display input unit 17 of the information terminal 10 , a screen prompting an operation inpu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20 for setting is displayed again. Here, when the operation input unit 27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0 for setting is pressed, an acceptance signal indicating that the operation input unit 27 has been operated is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terminal 10 (communication c1). Upon receiving the acceptance signal, the information terminal 10 transmits setting information (eg, pairing instruct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device terminal 30c to the communication device 20 for setting (communication c1). When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receives this setting information, it transmits the setting information to the device terminal 30c (communication c2).

그리고, 기기 단말(30c)은, 도 13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수한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기기 단말(30a, 30b)과의 페어링을 실행한다(무선 통신 c4). 페어링이 종료되면, 기기 단말(30c)은, 페어링이 종료된 것을 통지하는 종료 신호를 설정용 통신 장치(20)에 송신하고(통신 c3), 설정용 통신 장치(20)는, 수신한 종료 신호를 정보 단말(10)에 전송한다(통신 c1). 이것에 의해, 도 13의 (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보 단말(10)에, 페어링 설정이 종료된 것이 표시된다.Then, as shown in Fig. 13E, the device terminal 30c performs pairing with the device terminals 30a and 30b based on the received setting information (wireless communication c4). Upon completion of pairing, device terminal 30c transmits, to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an end signal notifying that pairing is complete (communication c3), and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receives the received en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terminal 10 (communication c1). Thereby, as shown in FIG.13(f), it is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terminal 10 that pairing setting is complete|finished.

이와 같이, 실시예 2의 설정용 통신 장치(20)는, 정보 단말(10)과 제 1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 1 통신부(21)와, 설비 시스템(5)에 포함되는 기기 단말(30c)과 제 1 통신 방식과는 상이한 제 2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 2 통신부(22)와, 기기 단말(30c)과 제 1 통신 방식 및 제 2 통신 방식 중 어느 것과도 상이한 제 3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 3 통신부(23)를 구비하고 있다.In this way, the communication device 20 for settin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the information terminal 10 a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 that communicates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device terminal 30c included in the facility system 5 .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2 communicating with a second communication method different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a third communication method different from any of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with the device terminal 30c A third communication unit 23 is provided.

예컨대, 이 설정용 통신 장치(20)에 의하면, 정보 단말(10)에서 편집된 통신 설정 및 제어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를, 제 1 통신 방식으로 받고, 제 2 통신 방식으로 기기 단말(30c)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그 후에 있어서, 제 3 통신 방식으로 상기 설정 정보를 간단하고 쉽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기기 단말(30c)에 따른 설정을 간단하고 쉽게 행할 수 있다.For example, according to this setting communication device 20, the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setting and control setting edited in the information terminal 10 is receiv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to the device terminal 30c by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It becomes possible to transmit. Also, thereafter, it becomes possible to simply and easily change the setting information in the third communication method. Thereby, setting according to the device terminal 30c can be performed simply and easily.

[7. 제 3 실시예와 관련되는 통신 시스템의 구성][7. Configuration of communication system related to the third embodiment]

다음으로, 실시의 형태의 제 3 실시예와 관련되는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에 대하여,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3 실시예에서는, 제 2 실시예에서 나타낸 기기 단말(30c) 대신에, 기기 단말(30d)에 제어 설정 등을 행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기 단말(30d)은, 예컨대 벽 스위치이다.Next,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and 15 . In the third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control setting or the like is performed on the device terminal 30d instead of the device terminal 30c shown in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device terminal 30d is, for example, a wall switch.

도 14는 제 3 실시예와 관련되는 통신 시스템(1)이 구비하는 기기 단말(30a, 30b, 30d), 설정용 통신 장치(20) 및 정보 단말(10)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5는 통신 시스템(1)이 구비하는 기기 단말(30a, 30b, 30d), 설정용 통신 장치(20) 및 정보 단말(10)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Fig. 1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device terminals 30a, 30b, and 30d, the setting communication device 20, and the information terminal 10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system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1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vice terminals 30a, 30b, 30d,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and the information terminal 10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system 1 .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1)은, 정보 단말(10)과, 설정용 통신 장치(20)와, 설비 시스템(5)을 구비한다. 설비 시스템(5)은, 복수의 기기 단말(30a, 30b, 30d)과, 관리 장치(40)를 구비한다.14 and 15 , the communication system 1 of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n information terminal 10 , a setting communication device 20 , and an equipment system 5 . The facility system 5 includes a plurality of device terminals 30a , 30b , 30d and a management device 40 .

관리 장치(40)는, 각 기기 단말(30a, 30b, 30d)과 유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기기 단말(30d)은, 각 기기 단말(30a, 30b)과 유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기기 단말(30d)은, 설정용 통신 장치(20)와 2선식의 유선으로 접속되어 있다.The management device 4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device terminals 30a, 30b, and 30d by wire. The device terminal 30d is connected to each of the device terminals 30a and 30b by wire. In addition, the device terminal 30d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20 for setting by a two-wire type wire.

기기 단말(30d)은, 기기 단말(30a, 30b)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이다. 기기 단말(30d)은, 전원의 온오프를 전환하는 입력부(37)와, 기기 제어부(35)와, 기기 통신부(31)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부(37) 및 기기 통신부(31)의 각각은, 기기 제어부(35)에 접속되어 있다.The device terminal 30d is a switch that turns on/off the power of the device terminals 30a and 30b. The device terminal 30d includes an input unit 37 for switching power on/off, a device control unit 35 , and a device communication unit 31 . Each of the input unit 37 and the device communication unit 31 is connected to the device control unit 35 .

기기 단말(30d)의 기기 통신부(31)는, 설정용 통신 장치(20)로부터 송신된 제어 설정 등에 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 입력부(37)는, 예컨대, 스냅 스위치 또는 전환 버튼이다. 기기 단말(30d)의 기기 제어부(35)는, 입력부(37)에 입력된 정보에 근거하여, 기기 단말(30a, 30b)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기기 제어부(35)는, 기기 통신부(31)에서 수신한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기기 단말(30d)의 제어 설정 등을 행한다.The device communication unit 31 of the device terminal 30d receives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control settings and the like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 The input unit 37 is, for example, a snap switch or a changeover button. The device control unit 35 of the device terminal 30d controls the device terminals 30a and 30b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to the input unit 37 . In addition, the device control unit 35 performs control settings and the like of the device terminal 30d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evice communication unit 31 .

정보 단말(10)은, 기기 단말(30a, 30b, 30d)의 제어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를 편집하는 휴대 단말이다. 정보 단말(10)의 제어부(15)는, 기기 단말(30d)의 각종 설정이 행하여질 때에, 통신부(11) 및 설정용 통신 장치(20)를 거쳐서 기기 단말(30d)에 제어 설정 등에 관한 설정 정보를 송신한다.The information terminal 10 is a portable terminal that edits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control settings of the device terminals 30a, 30b, and 30d. When various settings of the device terminal 30d are made, the control unit 15 of the information terminal 10 sends the device terminal 30d via the communication unit 11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20 for setting settings related to control settings and the like. send information

설정용 통신 장치(20)는, 정보 단말(10)에서 편집된 설정 정보를, 기기 단말(30d)에 대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기기 단말(30d)에 송신하는 설정기이다.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is a setting device that transmits the setting information edited by the information terminal 10 to the device terminal 30d using a communication method corresponding to the device terminal 30d.

제 1 통신부(21)는, 정보 단말(10)과 제 1 통신 방식으로 통신 c1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통신부(22)는, 적외선 송신부(22a) 및 적외선 수신부(22b)를 갖고, 기기 단말(30d)과 제 2 통신 방식으로 통신 c2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3 통신부(23)는, 무선 통신부(23a) 및 유선 통신부(23b)를 갖고, 기기 단말(30c)과 제 3 통신 방식으로 통신 c3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3 실시예의 제 3 통신부(23)는, 무선 및 유선의 양쪽의 모듈을 갖고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 can perform communication c1 with the information terminal 10 in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 includes an infrared transmitter 22a and an infrared receiver 22b, and is capable of performing communication c2 with the device terminal 30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23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3a and a wired communication unit 23b, and is capable of performing communication c3 with the device terminal 30c in the third communication method.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23 of the third embodiment has both wireless and wired modules.

장치 제어부(25)는, 기기 단말(30d)의 각종 설정이 행하여질 때에, 정보 단말(10)로부터 송신된 설정 정보를 받고, 순간, 받은 설정 정보를 기기 단말(30d)에 전송한다. 예컨대, 기기 단말(30d)에 제어 설정이 행하여질 때, 장치 제어부(25)는, 정보 단말(10)로부터 받은 제어 설정 신호를 기기 단말(30d)에 송신한다.The device control unit 25 receives the sett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nformation terminal 10 when various settings of the device terminal 30d are made, and instantly transmits the received setting information to the device terminal 30d. For example, when control setting is performed in the device terminal 30d, the device control unit 25 transmits the control setting signal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terminal 10 to the device terminal 30d.

구체적으로는, 장치 제어부(25)는, 조작 입력부(27)가 유저로부터 소정의 조작을 접수한 후, 전술한 접수 신호를, 제 1 통신부(21)를 거쳐서 정보 단말(10)에 송신한다. 정보 단말(10)은, 접수 신호를 수신하면, 메모리에 기억된 설정 정보를 설정용 통신 장치(20)에 송신한다. 그리고 장치 제어부(25)는, 제 1 통신부(21)를 거쳐서 수신한 설정 정보를, 제 2 통신부(22)를 거쳐서 기기 단말(30d)에 송신한다.Specifically, after the operation input unit 27 accepts a predetermined operation from the user, the device control unit 25 transmits the above-described acceptance signal to the information terminal 10 via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 . The information terminal 10 transmits the setting information memorize|stored in the memory to the communication apparatus 20 for setting, when receiving an acceptance signal. Then, the device control unit 25 transmits the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 to the device terminal 30d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 .

이와 같이, 실시예 3의 설정용 통신 장치(20)는, 정보 단말(10)과 제 1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 1 통신부(21)와, 설비 시스템(5)에 포함되는 기기 단말(30d)과 제 1 통신 방식과는 상이한 제 2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 2 통신부(22)와, 기기 단말(30d)과 제 1 통신 방식 및 제 2 통신 방식 중 어느 것과도 상이한 제 3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 3 통신부(23)를 구비하고 있다.In this way,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the information terminal 10 a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 that communicates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device terminal 30d included in the facility system 5 .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2 that communicates with a second communication method different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a third communication method that communicates with the device terminal 30d in a third communication method different from any of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 third communication unit 23 is provided.

예컨대, 이 설정용 통신 장치(20)에 의하면, 정보 단말(10)에서 편집된 통신 설정 및 제어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를, 제 1 통신 방식으로 받고, 제 2 통신 방식으로 기기 단말(30c)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그 후에 있어서, 제 3 통신 방식(유선)으로 상기 설정 정보를 간단하고 쉽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기기 단말(30d)에 따른 설정을 간단하고 쉽게 행할 수 있다.For example, according to this setting communication device 20, the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setting and control setting edited in the information terminal 10 is receiv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to the device terminal 30c by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It becomes possible to transmit. In addition, thereafter, it becomes possible to simply and easily change the setting information in the third communication method (wired). Thereby, setting according to the device terminal 30d can be performed simply and easily.

또한, 제 1 통신부(21)는, 2.4㎓대 또는 5㎓대의 주파수를 이용한 제 1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행하고, 제 2 통신부(22)는, 적외선을 이용한 제 2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행하고, 제 3 통신부(23)는, 유선을 이용한 제 3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행하더라도 좋다.In additio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 performs communication by a first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frequency of 2.4 GHz band or 5 GHz band,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 performs communication by a seco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infrared rays,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23 may perform communication using a third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wire.

예컨대, 제 1 통신부(21)에서 2.4㎓대 또는 5㎓대의 주파수를 이용한 통신 c1을 행함으로써, 정보 단말(10) 및 설정용 통신 장치(20)의 사이에서 정보를 교환할 때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통신부(22)에서 적외선을 이용한 통신 c2를 행함으로써, 송신해야 할 정보를 기기 단말(30d)에 적확하게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 3 통신부(23)에서 유선 통신을 행함으로써,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지고, 송신해야 할 정보를 기기 단말(30d)에 적확하게 송신할 수 있다.For example, by performing communication c1 using a frequency of 2.4 GHz band or 5 GHz band i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 the convenienc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the information terminal 10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0 is improved. can be improved In addition, by performing the communication c2 using infrared rays i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 th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can be accurately transmitted to the device terminal 30d. In addition, by performing wired communication in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23 , it is less likely to be affected by noise, and th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can be accurately transmitted to the device terminal 30d.

(정보 단말에 표시되는 화상의 예)(Example of image displayed on information terminal)

다음으로, 정보 단말(10)에 표시되는 화상의 예에 대하여, 도 16~도 24를 이용하면서 설명한다. 또, 도 16~도 24에서는, 설정용 통신 장치(20)를 설정기로서, 정보 단말(10)을 스마트폰으로서, 기기 단말(30c)을 조광 센서로서, 기기 단말(30a, 30b)을 조명 기구로서 표기하고 있다.Next, the exampl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terminal 10 is demonstrated, using FIGS. 16-24. 16 to 24, the communication device 20 for setting is a setting device, the information terminal 10 is a smartphone, the device terminal 30c is a dimming sensor, and the device terminals 30a and 30b are illuminated. marked as an instrument.

우선, 정보 단말(스마트폰)(10)과 설정용 통신 장치(설정기)(20)의 통신 확립을 행하는 장면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a scene in which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information terminal (smartphone) 10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setter) 20 will be described.

도 16은 정보 단말(10)에 표시되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8의 화상이 표시되기 전에, 정보 단말(10)에 표시되는 화상이다. 또, 도 16의 (c)에 나타내는 홈 화면은, 도 8의 화상의 후에도 표시될 수 있다.1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terminal 10 . Fig. 16 is an image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terminal 10 before the image of Fig. 8 is displayed. In addition, the home screen shown in FIG. 16(c) can be displayed after the image of FIG.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가 기동되면, 통신 I/F(인터페이스)인 설정기의 전원을 확인하고, 전원이 들어가 있지 않은 경우는 전원을 넣는 것을 유저에게 재촉하는 화상이 표시된다. 설정기의 전원이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스마트폰에서 "접속 설정을 개시한다"를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스마트폰의 통신 c1(예컨대 Bluetooth : 등록상표)이 온으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유저에게 확인시키는 화상이 표시된다. 스마트폰의 통신 c1이 온으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소정의 조작을 접수하면, 도 1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기의 번호(또는 어드레스, 명칭)가 표시된다. 그리고, 스마트폰에 표시된 설정기의 번호 중에서, 스마트폰에 접속해야 할 설정기를 선택한다. 이것에 의해, 스마트폰과 설정기가 제 1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 확립한다.When the application software of the smartphone is started, the power of the setting device that is the communication I/F (interface) is checked, and if the power is not turned on, an image prompting the user to turn on the power is displayed. When an input for selecting “start connection setting” is received from the smartphone while the power of the setting device is turned on, the user is checked whether or not communication c1 (e.g., Bluetooth: registered trademark) of the smartphone is turned on An image to be displayed is displayed. When a predetermined operation is received while the communication c1 of the smartphone is turned on, the number (or address, name) of the setter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16A. Then, from among the number of the setter displayed on the smartphone, a setter to be connected to the smartphone is selected. Thereby, the smartphone and the setter establish communication by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스마트폰과 설정기의 통신이 확립되면, 도 1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마트폰에 "데이터 보존ㆍ관리"라고 하는 화상이 표시된다. 여기서 "데이터를 신규 작성"을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도 16의 (c)에 나타내는 홈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도 16(b)에서 "직전의 데이터를 사용"을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직전에 사용한 설정 데이터를 적용한 후에, 도 16의 (c)에 나타내는 홈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도 16(b)에서 "스마트폰 본체로부터"나 "설정기로부터"를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스마트폰 본체나 설정기에 보존된 설정 데이터를 선택시키는 화면을 표시시키고, 선택된 설정 데이터를 적용한 후에, 도 16의 (c)에 나타내는 홈 화면이 표시된다. 또, 보존되어 있는 설정 데이터가 1개밖에 없는 경우에는, 설정 데이터를 선택시키는 화면을 생략하더라도 좋다.When communication between the smartphone and the setting device is established, as shown in Fig. 16B, an image of "data storage/management" is displayed on the smartphone. Here, when an input for selecting "create new data" is received, the home screen shown in Fig. 16C is displayed. In addition, when an input for selecting "use the previous data" in FIG. 16(b) is received, after applying the setting data used immediately before, the home screen shown in FIG. 16(c) is displayed. In addition, when an input for selecting “from the smartphone body” or “from the setting device” is received in Fig. 16(b), a screen for selecting the setting data saved in the smartphone body or the setting device is displayed, and the selected setting data is saved After application, the home screen shown in Fig. 16C is displayed. In addition, when there is only one saved setting data, the screen for selecting the setting data may be omitted.

다음으로, 홈 화면으로부터 설정용 통신 장치(설정기)(20)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장면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scene in which information regarding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setter) 20 is displayed from the home screen will be described.

도 17은 정보 단말(10)에 표시되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정보 단말(10)의 화면에 표시되는 마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도 8의 화상이 표시되기 전에 정보 단말(10)에 표시되는 화상이다. 또,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홈 화면은, 도 8의 화상의 후에도 표시될 수 있다.17 :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terminal 10. As shown in FIG. FIG. 18 is a diagram showing mark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information terminal 10 of FIG. 17 . 17 and 18 are images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terminal 10 before the image of FIG. 8 is displayed. In addition, the home screen shown in FIG. 17 and FIG. 18 can be displayed after the image of FIG.

스마트폰과 설정기가 통신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도 17의 (a)에 나타내는 "설정기와의 접속 상태 : 접속됨"을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스마트폰의 화면에는, 설정기의 전지 잔량 및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의 소프트웨어 버전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설정기의 전지 잔량 및 소프트웨어 버전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과 설정기가 접속 중일 때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기와의 접속 상태 : 접속됨"의 문자의 옆에, 전지 잔량을 나타내는 마크가 표시되므로, 유저는 이 마크에 의해서도 설정기의 전지 잔량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또, 유저가 설정기가 놓여 있는 장소를 파악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예컨대, 설정기의 화면에서 "설정기를 찾는다"를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설정기로부터 "삐삐-"라고 하는 전자음이 복수 회 명동(鳴動)된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설정기가 놓여 있는 장소를 알 수 있다.In the case where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smartphone and the setter, when an input for selecting "connected with the setter: connected" shown in Fig. 17A is received, the screen of the smart phone displays the remaining battery power of the setter and information about the software version of the application software is displayed. Thereby, the user can know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of the setter and information about the software version. In addition, when the smartphone and the setter are being connected, as shown in Fig. 18, a mark indicating the remaining battery power is displayed next to the character of "connected with setter: connected", so the user can also use this mark to set the setter You can find information about the remaining battery power of Also, if the user does not know where the setter is placed, for example, upon receiving an input for selecting "find a setter" on the screen of the setter, an electronic sound "beep-" is emitted from the setter several times. It becomes Myeong-dong. Thereby, the user can know the place where the setting machine is placed.

스마트폰과 설정기가 통신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도 17의 (b)에 나타내는 "설정기와의 접속 상태 : 미접속"을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스마트폰의 화면에 "접속" 아이콘이 표시된다. 화면 상의 "접속" 아이콘이 눌리면, 재차, 스마트폰과 설정기의 접속이 시행된다.In the case where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and the setter is not established, when an input for selecting "connected state with the setter: not connected" shown in FIG. 17(b) is received, a "connected" ic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phone is displayed When the "connection" icon on the screen is press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smartphone and the setter is executed again.

다음으로, 홈 화면으로부터 데이터의 보존 및 기기 단말의 보수를 행하는 장면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scene in which data is saved from the home screen and maintenance of the device terminal is performed will be described.

도 19 및 도 20은 정보 단말(10)에 표시되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은 도 8의 화상이 표시되기 전에 정보 단말(10)에 표시되는 화상이다. 또, 도 19의 (a)에 나타내는 홈 화면은, 도 8의 화상의 후에도 표시될 수 있다.19 and 20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terminal 10 . 19 and 20 are images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terminal 10 before the image of FIG. 8 is displayed. Also, the home screen shown in FIG. 19A can be displayed after the image in FIG. 8 .

스마트폰에서 도 19의 (a)에 나타내는 "데이터 보존ㆍ관리"를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도 1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이터 보존ㆍ관리"의 화면으로 이행한다. 이 화면에서 "설정기로부터"를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설정기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내는 메뉴로 이행하고, "설정기에"를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설정기에 데이터를 보존하는 메뉴로 이행한다.When the smartphone receives an input for selecting "data storage/management" shown in FIG. 19(a), it shifts to the "data storage/management" screen as shown in FIG. 19(b). On this screen, when an input for selecting "from setter" is received, the menu moves to a menu for reading data from the setter, and when an input for selecting "from setter" is received, it shifts to a menu for saving data from setter .

한편, 스마트폰에서 도 19의 (a)에 나타내는 "보수"를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스마트폰의 화면에는, 도 19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명 기구 등의 보수를 행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된다. 예컨대 이 화면 상에 있어서 "기구 동작 확인"을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조명 기구의 밝기를 바꿀 수 있는 슬라이드 바가 표시된다. 유저는, 슬라이더 바를 사용하여 조명 기구의 동작 확인을 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n input for selecting "repair" shown in Fig. 19 (a) is received by the smartphone,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as shown in Fig. 19 (c), a screen for performing maintenance of lighting fixtures, etc. is displayed. For example, if an input for selecting "confirmation of appliance operation" is received on this screen, a slide bar capable of changing the brightness of the lighting fixture is displayed. A user can confirm operation|movement of a lighting fixture using a slider bar.

또한 도 19의 (c)에 있어서, "기구 초기화"를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조명 기구의 설정을 공장 출하 때로 되돌리기 위한 화면이 표시된다. "무선 출력 정지"를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조광 센서의 무선 출력을 일시적으로 정지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된다. "조광 센서 데이터 복구"를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조광 센서의 설정 데이터를 보존 상태로 복구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된다. "설정 모드 해제"를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조광 센서의 설정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된다. "무선 페어링 강제 소거"를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무선 페어링을 강제 소거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된다.Moreover, in FIG.19(c), when an input for selecting "initialization of appliance" is received, the screen for returning the setting of a lighting fixture to the time of factory shipment is displayed. When an input for selecting "stop radio output" is received, a screen for temporarily stopping the radio output of the dimming sensor is displayed. When an input for selecting "restore light sensor data" is received, a screen for restoring the setting data of the light sensor to a saved state is displayed. When an input for selecting "cancel setting mode" is received, a screen for canceling the setting mode of the dimming sensor is displayed. When an input for selecting "Force clearing of wireless pairing" is received, a screen for forcibly erasing wireless pairing is displayed.

또한, 도 19의 (c) 및 도 20의 (a)에 나타내는 보수 화면에서 "기기 번호 체크"를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도 2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광 센서 번호 및 조광 회로 번호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된다. 도 20의 (b)에서 "빈자리 체크"를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도 20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광 센서 번호 및 조광 회로 번호의 각각에 대하여, 미사용의 번호의 수 및 미사용 번호가 표시된다. 도 20의 (b)에서 "중복 체크"를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도 20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복하고 있는 조광 회로의 수, 중복하고 있는 조광 회로의 번호, 및, 그 조광 회로에 포함되는 조광 센서 번호가 표시된다.Moreover, when an input which selects "device number check" is received on the maintenance screen shown to Fig.19(c) and Fig.20(a), as shown to Fig.20(b), the light control sensor number and light control circuit A screen to check the status of the number is displayed. When an input for selecting "vacancy check" is received in Fig. 20 (b), as shown in Fig. 20 (c), the number of unused numbers and unused numbers for each of the dimming sensor number and the dimming circuit number is displayed. When an input for selecting "duplication check" is received in FIG. 20(b), as shown in FIG. 20(d), the number of overlapping dimming circuits, the number of overlapping dimming circuits, and the dimming thereof The dimming sensor number included in the circuit is indicated.

다음으로, 기기 단말(30c)(조광 센서)의 통신 설정을 행하는 장면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scene which performs communication setting of the device terminal 30c (light control sensor) is demonstrated.

도 21 및 도 22는 정보 단말(10)에 표시되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21은 도 8의 화상이 표시되기 전에 정보 단말(10)에 표시되는 화상이다. 또, 도 21의 (a)에 나타내는 홈 화면은, 도 8의 화상의 후에도 표시될 수 있다.21 and 22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terminal 10 . Moreover, FIG. 21 is an image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terminal 10 before the image of FIG. 8 is displayed. In addition, the home screen shown in Fig. 21A can be displayed after the image of Fig. 8 .

스마트폰에서, 도 21의 (a)에 나타내는 "조광 센서 설정"을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스마트폰에는, 도 2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기의 "통신" 버튼(조작 입력부)의 조작 입력을 재촉하는 화상이 표시된다. "통신" 버튼이 눌리면, 설정기는, 적외선을 이용한 통신 c2에 의해 조광 센서와 통신한다. "통신" 버튼은, 예컨대 조작 입력부(27)이다.When an input for selecting "light control sensor setting" shown in Fig. 21 (a) is received on the smartphone, as shown in Fig. 21 (b), the "communication" button (operation input unit) of the setting device is received on the smartphone. ) to prompt the operation input is displayed. When the "communication" button is pressed, the setter communicates with the dimming sensor by communication c2 using infrared rays. The "communication" button is, for example, the operation input unit 27 .

스마트폰의 화면에는, 도 21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광 센서와 조명 기구의 통신 c4에 사용되는 주파수가 표시된다. 스마트폰에서 "OK"를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도 21의 (d)에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된다. 도 21의 (d)의 화면 안의 "무선 페어링 설정"을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도 21의 (e)에 나타내는 조광 회로 ID의 선택에 들어간다. 이 화면에서 예컨대 "조광 회로 ID 1"을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도 21의 (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광 회로 ID 1"에 대응하는 조명 기구의 설정을 변경하는 화상이 표시된다.The frequency used for the communication c4 of a light control sensor and a lighting fixture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a smartphone, as shown to FIG.21(c). When an input for selecting "OK" is received by the smartphone, the screen shown in Fig. 21(d) is displayed. When an input for selecting "wireless pairing setting" in the screen of FIG.21(d) is received, selection of the dimming circuit ID shown to FIG.21(e) will be started. When an input for selecting "dimmer circuit ID1" is received on this screen, for example, as shown in FIG.21(f), the image which changes the setting of the lighting fixture corresponding to "dimmer circuit ID1" is displayed.

여기서 도 2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광 회로 ID 변경"을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도 2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조명 기구의 식별 번호가 행렬 형상으로 늘어서는 화상이 표시된다. 이 화면 상에서 "조광 회로 ID 1"에 대응하는 조명 기구가 선택되고, "등록한다"를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조광 회로 ID 1"에 대응하는 조명 기구가 등록된다.Here, when an input for selecting "light control circuit ID change" is received as shown to Fig.22(a), as shown to Fig.22(b), the image in which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several lighting fixtures is lined up in a matrix form is displayed. On this screen, the lighting fixture corresponding to "light control circuit ID1" is selected, and when an input for selecting "registration" is received, the lighting fixture corresponding to "light control circuit ID1" is registered.

한편, 도 22의 (a)에 나타내는 "추가"를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도 22의 (c)에 나타내는 페어링의 설정 화면에 들어간다. 이 설정 화면에서 "확실 설정(적외선 있음)"을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스마트폰에는, 도 22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기의 "통신" 버튼의 조작 입력을 재촉하는 화상이 표시된다. "통신" 버튼이 눌리면, 설정기는, 적외선을 이용한 통신 c2에 의해 조명 기구와 통신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n input for selecting "addition" shown in FIG. 22A is received, the pairing setting screen shown in FIG. 22C is entered. When an input for selecting "Confirm setting (with infrared rays)" is received on this setting screen, as shown in FIG. is displayed When the "communication" button is pressed, the setter communicates with the lighting fixture by communication c2 using infrared rays.

페어링해야 할 복수의 조명 기구에 대하여 이들 조작을 순차적으로 행하고, 조작이 모두 종료되면, 도 22의 (d)에 나타내는 "종료"라고 하는 아이콘이 표시되고, "종료"를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도 22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광 회로 ID 1"에 대응하는 조명 기구의 식별 번호가 표시된다. 그리고 스마트폰에서 "페어링 실행"을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조광 센서와 조명 기구의 페어링이 실행된다.These operations are sequentially performed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lighting fixtures to be paired, and when all the operations are completed, an icon "End" shown in FIG. 22(d) is displayed, and an input for selecting "End" , as shown in FIG. 22(e),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lighting fixture corresponding to "light control circuit ID 1" is displayed. And when an input for selecting "pairing execution" is received from the smartphone, pairing of the dimming sensor and the lighting fixture is executed.

다음으로, 조명 기구를 조광 제어하기 위한 제어 어드레스 설정을 행하는 장면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컨대, 조명 기구의 조광 제어를 유선 통신의 시스템에서 행하는 경우는, 조광 센서 및 조명 기구의 페어링 설정을 행함과 아울러, 유선 통신에 있어서의 제어 어드레스 설정을 행할 필요가 있다. 또, 유선 통신은, 예컨대 다중 전송 방식에 의한 조명 기구 등의 부하의 제어 형태로서, 2개의 신호선을 이용하여 어드레스의 송수신을 행하면서 부하를 제어하는 형태 등을 이용할 수 있다.Next, the scene which performs control address setting for dimming control of a lighting fixture is demonstrated. For example, when performing dimming control of a lighting fixture with the system of wired communication, while performing pairing setting of a dimming sensor and a lighting fixture, it is necessary to perform control address setting in wire communication. In the wired communication, for example, as a control mode of a load such as a lighting fixture by a multiplex transmission method, a mode in which the load is controlled whil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ddresses using two signal lines can be used.

도 23은 정보 단말(10)에 표시되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3 :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terminal 10. As shown in FIG.

도 2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마트폰에서 "제어 어드레스 설정"을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도 2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어드레스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된다. 제어 어드레스의 설정을 행해야 할 계통 1의 "조광 제어"의 슬라이드 바가 온으로 전환되면, 도 23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통 1의 제어 어드레스의 기입 화면이 표시된다. 여기서, 도 23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00-2"라고 하는 제어 어드레스가 기입되고, "설정"을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계통 1의 제어 어드레스의 설정 입력이 종료된다. 또 그때, 다른 조광 회로 또는 터미널 유닛과 중복하지 않는 제어 어드레스를 기입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도 23의 (e)에 나타내는 "설정 내용을 송신"을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스마트폰에서 설정 입력된 제어 어드레스가, 조명 기구 및 관리 장치(40)에 설정된다.As shown in Fig. 23(a), when an input for selecting "set control address" is received from the smartphone, a screen for setting the control address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23(b). . When the slide bar of "light control control" of system 1 for which control address setting is to be performed is turned on, as shown in Fig. 23(c), a screen for writing control address of system 1 is displayed. Here, as shown in Fig. 23(d), a control address of "00-2" is written, and when an input for selecting "setting" is received, the setting input of the control address of the system 1 is finished. Also at that time, it is necessary to write a control address that does not overlap with other dimming circuits or terminal units. Next, when an input for selecting "transmit the setting contents" shown in FIG.23(e) is received, the control address set by the smartphone is set in the lighting fixture and the management apparatus 40. As shown in FIG.

다음으로, 기기 단말(조명 기구)(30a)의 조도 제어 설정을 행하는 장면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scene which performs the illuminance control setting of the apparatus terminal (lighting equipment) 30a is demonstrated.

도 24는 정보 단말(10)에 표시되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terminal 10 .

우선, 도 2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도 제어 설정"을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스마트폰은, 도 2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광 센서와 페어링하고 있는 조명 기구의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도 2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등 개시"를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조광 센서와 페어링하고 있는 조명 기구가 점등한다. 도 24의 (d)에는, 조명 기구가 몇 럭스로 점등하고 있는지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OK"를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도 24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도를 조정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된다. 이 화면 상에서, 목표로 하는 조도, 및, 상한 하한의 조광률을 조정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4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 내용을 송신"을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하면, 스마트폰에서 설정 입력한 이들 조도 제어 설정이, 조명 기구 및 관리 장치(40)에 설정된다.First, when an input for selecting "illuminance control setting" is received as shown in FIG.24(a), as shown in FIG.24(b), the smartphone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lighting fixture paired with the light sensor as shown in FIG.24(b). acquire And when an input which selects "lighting start" is received as shown to FIG.24(c), the lighting fixture paired with the light control sensor will light. In Fig. 24(d), it is displayed at what lux the lighting equipment is lit. And when an input for selecting "OK" is received, a screen for adjusting the illuminance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24E. On this screen, it is possible to adjust and input the target illuminance and the illuminance rate of the upper limit and lower limit. When an input for selecting "transmit setting contents" is received as shown in FIG.24(e), these illuminance control settings set and inputted with a smartphone are set in the lighting fixture and the management apparatus 40. As shown in FIG.

(그 외의 형태)(Other forms)

이상, 설정용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정보 단말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대하여, 실시의 형태에 근거하여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상기의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상기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당업자가 생각해 내는 각종 변형을 실시하여 얻어지는 형태나, 본 개시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 및 기능을 임의로 조합함으로써 실현되는 형태도 본 개시에 포함된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control method and program of the communication apparatus for setting, a communication system, and an information terminal were demonstrated based on embodiment, this indication is not limited to said embodiment. For example, a form obtained by performing various modifications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ome up with with respect to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and a form realized by arbitrarily combining the constituent elements and functions of the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d in this disclosure.

본 실시의 형태의 제 2 통신 방식은, 적외선 통신으로 한정되지 않고, 레이저 광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 1대1로 대응을 취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방식이더라도 좋다.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infrared communication, and may be a communication method capable of one-to-one correspondence such as laser light or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또한, 설정용 통신 장치는,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내는 외관을 갖고 있더라도 좋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may have the external appearance shown in FIG.25 and FIG.26.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의 플로차트에서 설명된 처리의 순서는, 일례이다. 복수의 처리의 순서는 변경되더라도 좋고, 복수의 처리는 병행하여 실행되더라도 좋다.In addition, the procedure of the process demonstrated in the flowchart of the said embodiment is an example. The order of the plurality of processes may be changed, and the plurality of processes may be executed in parallel.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제어부 등의 구성 요소는, 각 구성 요소에 적합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되더라도 좋다. 각 구성 요소는, CPU 또는 프로세서 등의 프로그램 실행부가, 하드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되더라도 좋다.Further,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omponents such as the control unit may be realized by executing a software program suitable for each component. Each component may be realized by a program execution unit such as a CPU or a processor reading and executing a software program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such as a hard disk or semiconductor memory.

또한, 제어부 등의 구성 요소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더라도 좋다. 예컨대, 제어부 등의 구성 요소는, 회로(또는 집적 회로)이더라도 좋다. 이들 회로는, 전체적으로 1개의 회로를 구성하더라도 좋고, 각각 별개의 회로이더라도 좋다. 또한, 이들 회로는, 각각, 범용적인 회로이더라도 좋고, 전용 회로이더라도 좋다.In addition, components, such as a control part,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For example, a component such as a control unit may be a circuit (or an integrated circuit). These circuits may constitute one circuit as a whole, or may be separate circuits respectively. In addition, each of these circuits may be a general-purpose circuit or a dedicated circuit.

또한, 본 개시의 전반적 또는 구체적인 태양은, 시스템, 장치, 방법, 집적 회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CD-ROM 등의 기록 매체로 실현되더라도 좋다. 또한, 시스템, 장치, 방법, 집적 회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의 임의의 조합으로 실현되더라도 좋다.In addition, general or specific asp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realized in a system, apparatus, method, integrated circuit, computer program, or recording medium such as a computer-readable CD-ROM. In addition, it may be realized by any combination of a system, an apparatus, a method, an integrated circuit, a computer program, and a recording medium.

예컨대, 본 개시는, 상기 실시의 형태의 정보 단말이 행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실현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에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단말 등의 휴대 단말에 인스톨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또한, 본 개시는, 이와 같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인 기록 매체로서 실현되더라도 좋다.For example,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realized as a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the processing performed by the information terminal of the above embodiment. Such programs include application programs installed in portable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or tablet terminals. In addition,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realized as a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in which such a program is recorded.

1 : 통신 시스템
5 : 설비 시스템
10 : 정보 단말
20 : 설정용 통신 장치
21 : 제 1 통신부
22 : 제 2 통신부
23 : 제 3 통신부
26 : 기억부
27 : 조작 입력부
30a, 30b, 30c, 30d : 기기 단말
c1 : 제 1 통신 방식의 통신
c2 : 제 2 통신 방식의 통신
c3 : 제 3 통신 방식의 통신
c4 : 무선 통신
ic1, ic2, ic3 : 통신 정보
1: Communication system
5: Equipment system
10: information terminal
20: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21: first communication unit
22: second communication unit
23: third communication unit
26: memory
27: operation input unit
30a, 30b, 30c, 30d: device terminal
c1: communica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c2: communic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c3: communication of the third communication method
c4: wireless communication
ic1, ic2, ic3: communication information

Claims (19)

정보 단말과 제 1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 1 통신부와,
설비 시스템에 포함되는 기기 단말과 상기 제 1 통신 방식과는 상이한 제 2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 2 통신부와,
상기 기기 단말과 상기 제 1 통신 방식 및 상기 제 2 통신 방식 중 어느 것과도 상이한 제 3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 3 통신부와,
소정의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입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통신부는, 상기 조작 입력부가 상기 소정의 조작을 접수한 것을 나타내는 접수 신호를 상기 정보 단말에 송신한 후, 상기 정보 단말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통신부는, 상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동일한 상기 기기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제 2 통신부에 대응한 상기 제 2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 3 통신부는, 상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동일한 상기 기기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제 3 통신부에 대응한 상기 제 3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설정용 통신 장치.
a first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information terminal in a first communication metho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a device terminal included in the facility system in a second communication method different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 third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device terminal in a third communication method different from any of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 operation input unit for receiv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o the information terminal, an acceptance signal indicating that the operation input unit has accepted the predetermined operation, and then receives predetermined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terminal;
When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receive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es with the same device terminal in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or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when receiving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communicates with the same device terminal in the third communication method corresponding to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on device for setu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부는, 무선을 이용한 상기 제 1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행하는 설정용 통신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is a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that performs communication in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using radio.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부는, 2.4㎓대 또는 5㎓대의 주파수를 이용한 상기 제 1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행하고,
상기 제 2 통신부는, 적외선을 이용한 상기 제 2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행하고,
상기 제 3 통신부는, 920㎒대의 특정 소전력 무선을 이용한 상기 제 3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행하는
설정용 통신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performs communication in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frequency of 2.4 GHz band or 5 GHz b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performs communication in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infrared rays,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performs communication in the third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specific low-power radio of 920 MHz band.
Communication device for setu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부는, 2.4㎓대 또는 5㎓대의 주파수를 이용한 상기 제 1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행하고,
상기 제 2 통신부는, 적외선을 이용한 상기 제 2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행하고,
상기 제 3 통신부는, 유선을 이용한 상기 제 3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행하는
설정용 통신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performs communication in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frequency of 2.4 GHz band or 5 GHz b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performs communication in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infrared rays,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performs communication using the third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wir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up.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부는, 상기 제 2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기기 단말의 통신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의 통신을 상기 기기 단말과 행하는 설정용 통신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device terminal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setting of the device terminal by using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신부는, 상기 제 3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기기 단말의 통신 설정 또는 제어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의 통신을 상기 기기 단말과 행하는 설정용 통신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device terminal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communication setting or control setting of the device terminal using the third communication method.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단말은, 조명 기기, 조명 컨트롤러, 공조 기기, 공조 컨트롤러 및 사람 감지 센서 중 적어도 1개인 설정용 통신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device terminal is at least one of a lighting device, a lighting controller, an air conditioning device, an air conditioning controller, and a human sens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부를 거쳐서 상기 정보 단말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더 구비하는 설정용 통신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information terminal via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부를 거쳐서 취득한 정보는, 상기 기기 단말의 통신 설정 또는 제어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설정용 통신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includes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communication setting or control setting of the device terminal.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방식, 상기 제 2 통신 방식 및 상기 제 3 통신 방식으로 송수신되는 각각의 통신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기기 단말의 제어 커맨드는, 공통성을 갖는 설정용 통신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in which a control command of the device terminal included in each commun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third communication method has a commonality.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작성되는 상기 기기 단말의 제어 커맨드는, 상기 제 2 통신 방식 또는 상기 제 3 통신 방식의 각각의 통신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작성되는 상기 기기 단말의 제어 커맨드와 동일한 커맨드를 포함하는 설정용 통신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control command of the device terminal created based on the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is the same as the control command of the device terminal created based on each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or the third communication method A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s including commands.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설정용 통신 장치와,
상기 기기 단말과,
상기 정보 단말
을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device terminal;
the information terminal
A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설정용 통신 장치와 통신하는 정보 단말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기기 단말의 통신 설정 또는 제어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상기 취득 스텝에서 취득한 상기 설정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스텝
을 포함하는 정보 단말의 제어 방법.
A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ormation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comprising:
an acquisition step of acquiring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communication setting or control setting of the device terminal;
A storage step of storing the setting information acquired in the acquisition step
Control method of an inform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스텝에서 기억한 상기 설정 정보를, 상기 제 1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설정용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는 정보 단말의 제어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transmitting the set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step to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using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청구항 16에 기재된 정보 단말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A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the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6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용 통신 장치는, 상기 정보 단말과 통신 확립된 상태에서, 상기 소정의 조작을 접수했는지 여부가 상기 정보 단말에 의해 감시되고, 상기 소정의 조작을 접수한 경우에, 상기 접수 신호를 상기 정보 단말에 송신하는
설정용 통신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In a state in which communication with the information terminal is established,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etting is monitored by the information terminal whether or not the predetermined operation is accepted, and when the predetermined operation is received, the recep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sending to the terminal
Communication device for setup.
KR1020190140057A 2018-11-08 2019-11-05 Setting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235292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10596 2018-11-08
JP2018210596 2018-11-08
JPJP-P-2019-188923 2019-10-15
JP2019188923A JP7308453B2 (en) 2018-11-08 2019-10-15 SETTING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AND PROGRA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417A KR20200053417A (en) 2020-05-18
KR102352926B1 true KR102352926B1 (en) 2022-01-18

Family

ID=70724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057A KR102352926B1 (en) 2018-11-08 2019-11-05 Setting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and program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308453B2 (en)
KR (1) KR102352926B1 (en)
TW (1) TWI766202B (e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2183A (en) 1999-09-30 2001-04-13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Illumination control system
JP2014195227A (en) 2013-03-29 2014-10-09 Enegate Co Ltd Electric apparatus remote control system
KR20150145369A (en) * 2014-06-18 2015-12-30 라임아이 주식회사 Wireless telecommunication apparatus in order for m 2 m being capable of remote managing and method therefor
US20150370272A1 (en) 2014-06-23 2015-12-24 Google Inc. Intelligent configuration of a smart environment based on arrival time
JP6376015B2 (en) * 2015-03-24 2018-08-22 ソニー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732249B1 (en) * 2015-04-16 2017-05-1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universal remocon based on network communication
CN206226486U (en) * 2016-08-02 2017-06-06 九阳股份有限公司 A kind of intelligent appliance and intelligent appliance system
JP2018028249A (en) 2016-08-19 2018-02-22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Opening/closing control system and opening/closing control method
CN108198399A (en) * 2018-01-19 2018-06-22 荣如 A kind of general integrated based remote controller of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08453B2 (en) 2023-07-14
TW202037093A (en) 2020-10-01
JP2020077624A (en) 2020-05-21
KR20200053417A (en) 2020-05-18
TWI766202B (en) 202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2266B2 (en) Signal conversion device and smart home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EP3042548B2 (en) Tablet-based commissioning tool for addressable lighting
US9812006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infrared remote controls of home appliances
US20140064738A1 (en) Smart gateway and smart home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US20170359884A1 (en) Communication address setting method, operation terminal, and lighting system
US20140369231A1 (en) Smart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registering home devices
CN104160717B (en) Communication means, portable terminal, the action initialization system of household electric appliances and household electric appliances
US9832846B2 (en) Electrical apparatus management system
CN104122999B (en) Intelligent device interaction and system
JP2011076875A (en) Lighting control system
US20130271380A1 (en) Display integrated control systems and display integrated input device
JP2010097390A (en) Data rewriting system
US2013016916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grouped devices
KR20120005315A (en) Integrated control system of home electric appliance
KR102352926B1 (en) Setting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23155287A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system, load control system,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program
JP2013255107A (en) Controller, control terminal, remote control system, and program for making processor perform communication method
KR102213312B1 (en) Lighting apparatus, terminal, lighting system, information terminal, pairing method of lighting apparatus and program
JP2017060096A (en) Operation unit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1139548B1 (en) Apparatus for reproduction of remote controller
KR102034094B1 (e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registrating lighting at a display unit of lighting controlling system
JP2019192538A (en) Terminal device, lighting fixture, information terminal, pairing method, and program
WO2022201707A1 (en) Lighting system, terminal device, and mapping setting method for lighting system
TW201807672A (en) Pairing learning system and learning method for pairing system replaces an electronic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remote controller from the original manufacturer
JP2017097446A (en) Table seat information input termin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