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277B1 - Power supply driving circuit and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ower supply driving circuit and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277B1
KR102322277B1 KR1020150080802A KR20150080802A KR102322277B1 KR 102322277 B1 KR102322277 B1 KR 102322277B1 KR 1020150080802 A KR1020150080802 A KR 1020150080802A KR 20150080802 A KR20150080802 A KR 20150080802A KR 102322277 B1 KR102322277 B1 KR 102322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control
control current
control signal
pow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8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44239A (en
Inventor
김해봉
구만원
이주현
김성환
유순건
하주완
홍주표
정병호
이세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Priority to KR1020150080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277B1/en
Priority to PCT/KR2016/003418 priority patent/WO2016182205A2/en
Publication of KR20160144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2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2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tim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10Protection of ligh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20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전원 구동 장치는 제어전류를 생성하는 제어전류 생성 회로; 및 상기 제어전류를 수신하고, PWM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전류의 전류패스를 형성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파워 스위치를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power driving device and a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The power driving device includes a control current generation circuit for generating a control current; and a gate driver configured to receive the control current, generate a control signal by forming a current path of the control current in response to a PWM signal, and drive a power switch using the control signal.

Figure R1020150080802
Figure R1020150080802

Description

전원 구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POWER SUPPLY DRIVING CIRCUIT AND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POWER SUPPLY DRIVING CIRCUIT AND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원 구동 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를 줄일 수 있는 전원 구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driving circu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driving circuit capable of reducing 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and a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전원 구동 회로는 파워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으로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을 레귤레이션한다. 일례로, 엘이디(LED)를 광원으로 이용하는 조명 장치는 컨버터를 포함하고, 전원 구동 회로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에 대응하여 컨버터의 파워 스위치를 구동한다.In general, a power driving circuit regulates power supplied to a load by a switching operation of a power switch. For example, a lighting device using an LED as a light source includes a converter, and a power driving circuit drives a power switch of the converter in response to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signal.

한편, 자동차는 다양한 용도의 조명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차량의 양측 후방에 설치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가 조명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utomobiles are provided with lighting devices for various purposes, and rear combination lamp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vehicle may be included in the lighting device.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는 방향지시램프, 제동램프, 테일램프, 후진램프 등을 포함하며 후방에서 뒤따르는 타 차량의 운전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의사 및 주행상태를 알리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The rear combination lamp includes a direction indicator lamp, a braking lamp, a tail lamp, a reverse lamp, and the like, and is used as a means to notify the driver of another vehicle following from the rear of the driving intention and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최근, 고휘도 엘이디(LED:Light Emitted Diode)의 급속한 발전으로 엘이디를 채용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및 헤드 램프가 개발되고 있다. 엘이디를 광원으로 채용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는 디자인이 다변화되고 있고, 사용하는 엘이디 개수도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Rece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a high-brightness LED (Light Emitted Diode), a rear combination lamp and a head lamp employing an LED are being developed. The design of rear combination lamps employing LEDs as light sources is diversifying, and the number of LEDs used is also increasing.

한편, 조명 장치의 엘이디 채널은 컨버터로부터 출력전압을 제공받는다. 컨버터는 PWM(Pulse Width Modulation)신호에 대응하여 반복적으로 스위칭하는 파워 스위치를 포함하고, 파워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으로 출력전압을 엘이디 채널에 제공한다.Meanwhile, the LED channel of the lighting device receives an output voltage from the converter. The converter includes a power switch that repeatedly switches in response to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signal, and provides an output voltage to the LED channel through a switching operation of the power switch.

그런데, 파워 스위치의 반복적인 스위칭은 급격한 전압 변화를 수반하기 때문에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를 발생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조명 장치 및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에 엘이디 채널을 채용하기 위해서는 반복적인 스위칭에 의한 EMI를 줄일 수 있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However, since the repetitive switching of the power switch accompanies a sudden voltage change, it may act as a major cause of 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Therefore, in order to employ an LED channel in a lighting device and a rear combination lamp of a vehicle, a technology capable of reducing EMI due to repetitive switching is urgently requir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컨버터의 파워 스위치 구동을 위한 제어신호(GATE)의 상승 및 하강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를 줄일 수 있는 전원 구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driving circuit capable of reducing 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by controlling the rise and fall times of a control signal (GATE) for driving a power switch of a converter and a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but it has a purpos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제어전류를 통해서 제어신호(GAET)의 상승 및 하강 시간을 조절하여 스위칭 시간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는 전원 구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driving circuit capable of accurately controlling the switching time by adjusting the rise and fall times of the control signal GAET through a control current, and a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have.

본 발명의 전원 구동 회로는, 제어전류를 생성하는 제어전류 생성 회로; 및 상기 제어전류를 수신하고, PWM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전류의 전류패스를 형성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파워 스위치를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부;를 포함한다.A power supply driving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trol current generation circuit for generating a control current; and a gate driver configured to receive the control current, generate a control signal by forming a current path of the control current in response to a PWM signal, and drive a power switch using the control signal.

본 발명의 조명 장치는, 엘이디 모듈; 상기 엘이디 모듈에 제공되는 출력전압을 레귤레이션하는 컨버터; 및 PWM신호에 대응하여 제어전류의 전류패스를 형성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신호를 통해서 상기 컨버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ligh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LED module; a converter for regulating the output voltage provided to the LED module; and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by forming a current path of the control current in response to the PWM signal, and controlling the converter through the control signal.

본 발명의 전원 구동 회로는, 전류를 생성하는 전류생성부; 상기 전류생성부와 전류미러 구조를 갖고, 상기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제1제어전류 및 상기 제2제어전류를 생성하며, 상기 제1제어전류 및 상기 제2제어전류를 제공하는 전류 조절부; 및 상기 제1제어전류 및 상기 제2제어전류를 제공받고, PWM신호에 대응하여 풀업 및 풀다운 구동하며, 상기 풀업 및 풀다운 구동에 대응하여 제1전류패스 및 제2전류패스를 형성하여 상기 제1제어전류 및 상기 제2제어전류를 파워 스위치에 제공하는 게이트 구동부;를 포함한다.A power driving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rrent generator for generating a current; a current control unit having the current generation unit and a current mirror structure, generating the first control current and the second control current using the current, and providing the first control current and the second control current; and receiving the first control current and the second control current, performing pull-up and pull-down driving in response to a PWM signal, and forming a first current path and a second current path in response to the pull-up and pull-down driving to form the first and a gate driver providing a control current and the second control current to the power switch.

본 발명은 PWM신호에 대응하여 일정한 제어전류를 갖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제어신호를 통해서 컨버터의 출력전압 레귤레이션을 제어하므로 파워 스위치의 반복적인 스위칭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를 줄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control signal having a constant control current in response to the PWM signal and controls the output voltage regulation of the converter through the control signal, thereby reducing 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that may occur due to repetitive switching of the power switch. can

본 발명은 제어전류를 통해서 제어신호의 상승 및 하강 시간 조절이 가능하므로 게이트 구동부의 출력 임피던스 편차와 무관하게 파워 스위치의 스위칭 시간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파워 스위치의 스위칭에 의해 발생하는 EMI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ise and fall times of the control signal can be adjusted through the control current, the switching time of the power switch can be accurately controlled regardless of the output impedance deviation of the gate driver.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EMI characteristics generated by the switching of the power switch.

도 1은 본 발명의 조명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어부에 구비된 전원 구동 회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ligh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power driving circuit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of FIG. 1 .
FIG. 3 is a timing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ocess of FIG. 2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limited to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should be interpreted in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matter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다.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provided. there may be

도 1은 본 발명의 조명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엘이디 채널을 갖는 조명 장치에 적용할 수 있고, 도 1의 실시예는 차량의 조명 장치 중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RCL)에 적용된 것을 나타낸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ligh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a lighting device having an LED channel, and the embodiment of FIG. 1 shows that it is applied to a rear combination lamp (RCL) among lighting devices of a vehicle.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RCL), 컨버터(10), 및 제어부(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this embodiment includes a rear combination lamp RCL, a converter 10 , and a controller 20 .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RCL)는 복수개의 엘이디 채널을 갖는 하나의 엘이디 모듈(50)을 포함한다. 엘이디 모듈(50) 내의 복수개의 엘이디 채널은 병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는 하나의 제어부(20)가 엘이디 모듈(50)의 제1 내지 제8채널(CH1~CH8)의 엘이디를 구동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The rear combination lamp RCL includes one LED module 50 having a plurality of LED channels. A plurality of LED channels in the LED module 50 may be configured in parallel. 1 illustrates that one control unit 20 drives the LEDs of the first to eighth channels CH1 to CH8 of the LED module 50 .

차량 제어부(30) 방향지시신호, 급제동신호, 제동신호, 테일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밧데리 전압(VB)이 컨버터(10)에 전달되도록 제어하고, 급제동신호 또는 제동신호에 대응하여 딤신호(DIM)를 제어부(20)에 전달한다.The vehicle controller 30 controls the battery voltage VB to be transmitted to the converter 10 in response to at least one of a direction indication signal, a sudden braking signal, a braking signal, and a tail signal, and a dim signal in response to the sudden braking signal or the braking signal (DIM)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0 .

컨버터(10)는 차량 제어부(30)로부터 공급되는 밧데리 전압(VB)을 이용하여 출력전압(VOUT)을 생성하고, 출력전압(VOUT)을 엘이디 모듈(50)에 공급한다. 일례로, 컨버터(10)는 벅 컨버터가 이용될 수 있다.The converter 10 generates an output voltage VOUT using the battery voltage VB supplied from the vehicle control unit 30 , and supplies the output voltage VOUT to the LED module 50 . As an example, the converter 10 may be a buck converter.

제어부(20)는 차량의 밧데리로부터 내부전압(VIN)이 공급되면 딤신호(DIM)의 로직 상태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값을 통해서 엘이디 모듈(50)의 제1 내지 제8채널(CH1~CH8)을 점등 또는 점멸시킨다.When the internal voltage VIN is supplied from the vehicle battery, the control unit 20 uses a preset value in response to the logic state of the dim signal DIM through the first to eighth channels CH1 to CH8 of the LED module 50. turns on or blinks.

이러한 제어부(20)는 제1 내지 제8채널(CH1~CH8)의 피드백 전압단(FB1~FB8)과 채널저항단(RCH1~RCH8) 사이에 전류경로를 형성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칭부는 채널 구동부(GD)의 구동신호(VGD)에 대응하여 피드백 전압단(FB1~FB8)과 채널저항단(RCH1~RCH8) 사이에 전류경로를 형성한다. 스위칭부는 채널 스위치(FET)들이 이용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0 includes a switching unit for forming or blocking a current path between the feedback voltage terminals FB1 to FB8 and the channel resistance terminals RCH1 to RCH8 of the first to eighth channels CH1 to CH8. can The switching unit forms a current path between the feedback voltage terminals FB1 to FB8 and the channel resistance terminals RCH1 to RCH8 in response to the driving signal VGD of the channel driver GD. For the switching unit, channel switches (FETs) may be used.

도 1에 도시된 VIN은 제어부(20)의 동작을 위한 내부전압이고, SEN은 컨버터(10)에 흐르는 전류를 센싱한 센싱전압이며, GATE는 출력전압(VOUT)의 레귤레이션을 위한 제어신호이다.VIN shown in FIG. 1 is an internal voltage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20 , SEN is a sensing voltage sensing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nverter 10 , and GATE is a control signal for regulating the output voltage VOUT.

본 발명은 PWM(Pulse Width Modulation)신호의 라이징(Rising) 및 폴링(Falling) 시점에 컨버터(10)에 구비된 파워 스위치(FET_P)의 드레인 전압이 그라운드 전압으로 떨어지는 시간과 그라운드 전압에서 내부전압(VIN)으로 올라가는 시간을 조절하여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를 줄일 수 있는 전원 구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time when the drain voltage of the power switch (FET_P) provided in the converter 10 falls to the ground voltage at the time of rising and falling of the PWM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and the internal voltag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driving circuit capable of reducing 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by controlling the rising time to VIN, and a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도 2는 도 1의 제어부(20)에 구비된 전원 구동 회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회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는 제어전류 생성 회로 및 게이트 구동부(205)를 포함한다. 제어전류 생성 회로는 전류생성부(203) 및 전류조절부(204)를 포함한다.FIG. 2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power driving circuit provided in the controller 20 of FIG. 1 . Referring to FIG. 2 , this embodiment includes a control current generating circuit and a gate driver 205 . The control current generating circuit includes a current generating unit 203 and a current adjusting unit 204 .

전류생성부(203)는 내부 또는 외부의 저항을 통해 전류를 생성한다. 전류생성부(203)는 가변저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류의 크기는 파워 스위치(FET_P)의 크기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The current generator 203 generates a current through an internal or external resistance. The current generator 203 may include a variable resistor, and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may be set to correspond to the magnitude of the power switch FET_P.

전류조절부(204)는 전류생성부(203)와 전류 미러(Current Mirror) 구조를 갖는다. 전류조절부(204)는 전류생성부(203)의 전류를 이용하여 제어전류(I1,I2)를 생성한다. 게이트 구동부(205)의 풀업 및 풀다운 구동에 대응하여 제어전류(I1,I2)의 전류패스가 형성된다. 일례로, 제어전류(I1)의 전류패스는 게이트 구동부(205)가 풀업 구동할 때 형성되고, 제어전류(I2)의 전류패스는 게이트 구동부(205)가 풀다운 구동할 때 형성된다. 제어전류(I1,I2)의 크기는 파워 스위치(FET_P)의 크기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The current control unit 204 has a current generation unit 203 and a current mirror structure. The current controller 204 generates control currents I1 and I2 using the current of the current generator 203 . Current paths of the control currents I1 and I2 are formed in response to the pull-up and pull-down driving of the gate driver 205 . For example, the current path of the control current I1 is formed when the gate driver 205 pulls up, and the current path of the control current I2 is formed when the gate driver 205 pulls down. The size of the control currents I1 and I2 may be set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power switch FET_P.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어전류 생성 회로는 PWM신호의 라이징(Rising) 시점에 제어전류(I1)를 게이트 구동부(205)의 풀업 구동부(PMOS)에 제공하고, PWM신호의 폴링(Falling) 시점에 제어전류(I2)를 게이트 구동부(205)의 풀다운 구동부(NMOS)에 제공한다. 여기서, 제어신호(GATE)의 상승 및 하강 시간은 제어전류(I1,I2)의 크기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The control current generating circui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rovides the control current I1 to the pull-up driver (PMOS) of the gate driver 205 at the rising time of the PWM signal, and the control current at the falling time of the PWM signal (I2) is provided to the pull-down driver NMOS of the gate driver 205 . Here, the rising and falling times of the control signal GATE may be set to correspond to the magnitudes of the control currents I1 and I2.

게이트 구동부(205)는 PWM신호에 대응하여 제어신호(GATE)를 파워 스위치(FET_P)에 제공한다. 게이트 구동부(205)는 PWM신호에 대응하여 딜레이(Delay) 등에 의해 신호를 중첩되지 않도록 출력하는 신호중첩 방지회로(Non-Overlap Circuit)(NOC1,NOC2)를 포함하고, 신호중첩 방지회로(NOC1,NOC2)의 신호에 대응하여 제어신호(GATE)를 풀업 및 풀다운 구동하는 풀업 구동부(PMOS)와 풀다운 구동부(NMOS)를 포함한다. 풀업 구동부(PMOS)가 풀업 구동시 제어전류(I1)에 의해 제어신호(GATE)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랫(Flat) 구간을 갖고 상승하고, 풀다운 구동부(NMOS)가 풀다운 구동시 제어전류(I2)에 의해 제어신호(GATE)가 플랫 구간을 갖고 하강한다.The gate driver 205 provides the control signal GATE to the power switch FET_P in response to the PWM signal. The gate driver 205 includes a Non-Overlap Circuit (NOC1, NOC2) for outputting signals not to be overlapped by a delay or the like in response to the PWM signal, and the signal overlap prevention circuit NOC1, It includes a pull-up driver PMOS and a pull-down driver NMOS that pull-up and pull-down the control signal GATE in response to the signal of NOC2 . When the pull-up driver PMOS drives the pull-up, the control signal GATE rises with a flat section as shown in FIG. 3 by the control current I1 when the pull-down driver NMOS drives the pull-down drive. By (I2), the control signal GATE has a flat section and falls.

제어신호(GATE)의 상승 및 하강 시간은 제어전류(I1,I2)의 크기에 대응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일례로, 제어신호(GATE)는 PWM신호의 라이징 시점에 제어전류(I1)에 의해 설정된 슬로프를 갖고 상승하다가 게이트-드레인 사이의 캐패시터(Cgd)가 방전되는 동안 플랫 구간을 갖는다. 캐패시터(Cgd)의 방전이 완료되면 제어신호(GATE)는 다시 제어전류(I1)에 의해 설정된 슬로프를 갖고 상승한다. 파워 스위치(FET_P)의 턴온에 의해 제어전류(I1)의 전류패스가 차단되면 제어신호(GATE)는 상승을 멈춘다. The rise and fall times of the control signal GATE may be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magnitudes of the control currents I1 and I2. For example, the control signal GATE rises with a slope set by the control current I1 at the rising time of the PWM signal, and has a flat section while the gate-drain capacitor Cgd is discharged. When the discharge of the capacitor Cgd is completed, the control signal GATE rises again with a slope set by the control current I1. When the current path of the control current I1 is blocked by turning on the power switch FET_P, the control signal GATE stops rising.

그리고, 제어신호(GATE)는 PWM신호의 폴링 시점에 제어전류(I2)에 의해 설정된 슬로프를 갖고 하강하다가 게이트-드레인 사이의 캐패시터(Cgd)가 충전되는 동안 플랫 구간을 갖는다. 캐패시터(Cgd)의 충전이 완료되면 제어신호(GATE)는 제어전류(I2)에 의해 설정된 슬로프를 갖고 다시 하강한다. 파워 스위치(FET_P)의 턴오프에 의해 제어전류(I2)의 전류패스가 차단되면 제어신호(GATE)는 하강을 멈춘다.In addition, the control signal GATE has a slope set by the control current I2 at the polling time of the PWM signal and falls while having a flat section while the gate-drain capacitor Cgd is being charged. When the charging of the capacitor Cgd is completed, the control signal GATE falls again with a slope set by the control current I2. When the current path of the control current I2 is cut off by turning off the power switch FET_P, the control signal GATE stops fall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어전류(I1,I2)를 이용하여 제어신호(GATE)의 상승 및 하강 시간을 목표한 시간으로 정확히 설정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ising and falling times of the control signal GATE can be accurately set to a target time by using the control currents I1 and I2.

본 발명은 PWM신호의 천이 시점에 제어전류(I1,I2)에 의해 제어신호(GATE)의 상승 및 하강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파워 스위치(FET_P)의 드레인 전압이 그라운드전압으로 내려가는 시간과 그라운드 전압이 내부전압으로 올라가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파워 스위치(FET_P)의 드레인-소스 전압이 바뀌는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파워 스위치(FET_P)의 반복적인 스위칭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EMI를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rise and fall times of the control signal GATE by the control currents I1 and I2 at the transition time of the PWM signal, the time for the drain voltage of the power switch FET_P to fall to the ground voltage and the ground voltage are internally The voltage rise time can be adjusted. EMI that may be caused by repetitive switching of the power switch FET_P may be reduced by adjusting the time for which the drain-source voltage of the power switch FET_P changes.

도 2 및 도 3를 참고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

먼저 PWM신호의 라이징(Rising) 시점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operation at the rising time of the PWM signal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게이트 구동부(205)는 PWM신호가 라이징시 풀업 구동부(PMOS)가 턴온되고, 풀업 구동부(PMOS)의 턴온에 의해 제어전류(I1)의 전류패스가 형성된다. 제어전류(I1)의 전류패스에 의해 파워 스위치에(FET_P)의 게이트-소스 사이의 캐패시터(Cgs)가 충전되고, 캐패시터(Cgs)의 충전에 의해 제어신호(GATE)는 슬로프(Slope)를 갖고 상승한다. 2 and 3 , in the gate driver 205 , when the PWM signal rises, the pull-up driver PMOS is turned on, and a current path of the control current I1 is formed by the turn-on of the pull-up driver PMOS. The capacitor Cgs between the gate and the source of the power switch FET_P is charged by the current path of the control current I1, and the control signal GATE has a slope by charging the capacitor Cgs. rises

제어신호(GATE)가 일정 레벨에 도달하면 파워 스위치에(FET_P)는 턴온되기 시작하고, 파워 스위치에(FET_P)의 턴온에 의해 파워 스위치(FET_P)의 게이트-드레인 사이의 캐패시터(Cgd)가 방전되기 시작하며, 캐패시터(Cgd)의 방전에 의해 제어신호(GATE)는 상승하지 않고 플랫(Flat) 구간을 갖는다. 캐패시터(Cgd)의 방전이 완료되면 제어신호(GATE)는 다시 슬로프를 갖고 상승하고, 제어신호(GATE)가 일정 레벨에 도달하면 파워 스위치에(FET_P)가 턴온되어 제어전류(I1)의 전류패스는 차단된다. 일례로, 제어신호(GATE)가 하프 전원전압(VDD)에 도달할 때 파워 스위치(FET_P)의 턴온에 의해 캐패시터(Cgd)가 방전되기 시작하며, 제어신호(GATE)가 전원전압(VDD)에 도달할 때 파워 스위치(FET_P)의 턴온에 의해 제어전류(I1)의 전류패스가 차단된다.When the control signal GATE reaches a certain level, the power switch FET_P starts to turn on, and the gate-drain capacitor Cgd of the power switch FET_P is discharged by turning on the power switch FET_P. and the control signal GATE does not rise due to the discharge of the capacitor Cgd and has a flat section. When the discharge of the capacitor Cgd is completed, the control signal GATE rises again with a slope, and when the control signal GATE reaches a certain level, the power switch FET_P is turned on and the current path of the control current I1 is is blocked For example, when the control signal GATE reaches the half power supply voltage VDD, the capacitor Cgd starts to be discharged by turning on the power switch FET_P, and the control signal GATE is applied to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When reaching, the current path of the control current I1 is cut off by turning on the power switch FET_P.

이와 같이 제어신호(GATE)는 PWM신호의 라이징 시점에 슬로프를 갖고 상승하다가 게이트-드레인 사이의 캐패시터(Cgd)가 방전되는 동안 플랫 구간을 갖는다. 그리고, 캐패시터(Cgd)의 방전이 완료되면 제어신호(GATE)는 다시 슬로프를 갖고 상승한다. 그리고, 파워 스위치에(FET_P)의 턴온에 의해 제어전류(I1)의 전류패스가 차단되면 제어신호(GATE)는 상승을 멈춘다.As such, the control signal GATE rises with a slope at the rising time of the PWM signal, and has a flat section while the gate-drain capacitor Cgd is discharged. Then, when the discharge of the capacitor Cgd is completed, the control signal GATE rises again with a slope. Then, when the current path of the control current I1 is blocked by turning on the power switch FET_P, the control signal GATE stops rising.

다음으로, PWM신호의 폴링(Falling) 시점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operation at the time of the fall of the PWM signal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게이트 구동부(205)는 PWM신호가 폴링 시점에 풀다운 구동부(NMOS)가 턴온되고, 풀다운 구동부(NMOS)의 턴온에 의해 제어전류(I2)의 전류패스가 형성된다. 제어전류(I2)의 전류패스에 의해 파워 스위치에(FET_P)의 게이트-소스 사이의 캐패시터(Cgs)가 방전되고, 캐패시터(Cgs)의 방전에 의해 제어신호(GATE)는 슬로프를 갖고 하강한다.2 and 3 , in the gate driver 205, the pull-down driver NMOS is turned on when the PWM signal falls, and a current path of the control current I2 is formed by the turn-on of the pull-down driver NMOS. . The capacitor Cgs between the gate and source of the power switch FET_P is discharged by the current path of the control current I2, and the control signal GATE falls with a slope by the discharge of the capacitor Cgs.

제어신호(GATE)가 일정 레벨에 도달하면 파워 스위치에(FET_P)가 턴오프되기 시작하고, 파워 스위치에(FET_P)의 턴오프에 의해 파워 스위치(FET_P)의 게이트-드레인 사이의 캐패시터(Cgd)는 충전되기 시작하며 캐패시터(Cgd)의 충전에 의해 제어신호(GATE)는 하강하지 않고 플랫(Flat) 구간을 갖는다. 캐패시터(Cgd)의 충전이 완료되면 제어전류(I2)에 의해 제어신호(GATE)는 다시 슬로프를 갖고 하강하고, 제어신호(GATE)가 일정 레벨에 도달하면 파워 스위치에(FET_P)는 완전 턴오프되어 제어전류(I2)의 전류패스가 차단된다. 일례로, 제어신호(GATE)가 하프 전원전압(VDD)에 도달할 때 파워 스위치(FET_P)의 턴오프에 의해 캐패시터(Cgd)가 충전되기 시작하며, 제어신호(GATE)가 접지전압(GND)에 도달할 때 파워 스위치(FET_P)의 턴오프에 의해 제어전류(I2)의 전류패스가 차단된다.When the control signal GATE reaches a certain level, the power switch FET_P starts to turn off, and the gate-drain capacitor Cgd of the power switch FET_P is turned off by the power switch FET_P is turned off. starts to be charged, and the control signal GATE does not fall due to charging of the capacitor Cgd and has a flat section. When the charging of the capacitor Cgd is completed, the control signal GATE falls again with a slope by the control current I2, and when the control signal GATE reaches a certain level, the power switch FET_P is completely turned off. Thus, the current path of the control current I2 is cut off. For example, when the control signal GATE reaches the half power supply voltage VDD, the capacitor Cgd starts to be charged by turning off the power switch FET_P, and the control signal GATE becomes the ground voltage GND. When , the current path of the control current I2 is cut off by turning off the power switch FET_P.

이와 같이 제어신호(GATE)는 PWM신호의 폴링시 슬로프를 갖고 하강하다가 게이트-드레인 사이의 캐패시터(Cgd)가 충전되는 동안 플랫 구간을 갖는다. 그리고, 캐패시터(Cgd)의 충전이 완료되면 제어신호(GATE)는 슬로프를 갖고 다시 하강한다. 그리고, 파워 스위치에(FET_P)의 턴오프에 의해 제어전류(I2)의 전류패스가 차단되면 제어신호(GATE)는 하강을 멈춘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signal GATE has a slope when the PWM signal falls, and has a flat section while the gate-drain capacitor Cgd is being charged. Then, when the charging of the capacitor Cgd is completed, the control signal GATE has a slope and falls again. Then, when the current path of the control current I2 is blocked by turning off the power switch FET_P, the control signal GATE stops fall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은 PWM신호의 천이 시점에 제어신호(GATE)의 상승 및 하강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파워 스위치(FET_P)의 드레인 전압이 그라운드전압으로 내려가는 시간과 그라운드 전압이 내부전압(VIN)으로 올라가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rise and fall times of the control signal GATE at the transition time of the PWM signal, the time for the drain voltage of the power switch FET_P to fall to the ground voltage and the time for the ground voltage to rise to the internal voltage VIN. can be adjusted.

본 발명은 파워 스위치(FET_P)의 드레인-소스 전압이 바뀌는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파워 스위치(FET_P)의 반복적인 스위칭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를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EMI) that may be caused by repetitive switching of the power switch FET_P can be reduced by adjusting the time when the drain-source voltage of the power switch FET_P is changed.

본 발명은 제어전류를 통해서 제어신호(GATE)의 상승 및 하강 시간 조절이 가능하므로 게이트 구동부의 출력 임피던스 편차와 무관하게 스위칭 시간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파워 스위치(FET_P)의 스위칭에 의해 발생하는 EMI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ise and fall times of the control signal GATE can be adjusted through the control current, the switching time can be accurately controlled regardless of the output impedance deviation of the gate driver.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MI characteristics generated by the switching of the power switch FET_P can be improved.

10 : 컨버터 20 : 제어부
30 : 차량 제어부 RCL :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50 : 엘이디 모듈 GD : 채널 구동부
FET : 채널 스위치
10: converter 20: control unit
30: vehicle control unit RCL: rear combination lamp
50: LED module GD: Channel driver
FET: Channel switch

Claims (13)

제어전류를 생성하는 제어전류 생성 회로; 및
상기 제어전류를 제공받고, PWM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전류를 갖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파워 스위치를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신호는 상승 구간 및 하강 구간 각각에 플랫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플랫 구간은 상기 제어전류의 크기에 대응하는, 전원 구동 회로.
a control current generation circuit for generating a control current; and
a gate driver receiving the control current, generating a control signal having the control current in response to a PWM signal, and driving a power switch using the control signal;
including,
The control signal includes a flat section in each of a rising section and a falling section, wherein the flat section corresponds to the magnitude of the control curr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제어전류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승 및 하강 시간이 설정되는 전원 구동 회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signal is
A power driving circuit in which rise and fall times are set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control curr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전류 생성 회로는
전류를 생성하는 전류생성부; 및
상기 전류생성부와 전류미러 구조를 갖고, 상기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전류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전류를 상기 게이트 구동부에 제공하는 전류조절부;
를 포함하는 전원 구동 회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current generation circuit comprises:
a current generator for generating a current; and
a current controller having the current generator and a current mirror structure, generating the control current using the current, and providing the control current to the gate driver;
A power driving circuit comprising a.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생성부는
내부 또는 외부의 가변저항을 통해 상기 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전류는 상기 파워 스위치의 크기에 대응하여 값이 설정되는 전원 구동 회로.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urrent generator
A power driving circuit that generates the current through an internal or external variable resistor, and the current is set to a value corresponding to a size of the power switc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상기 PWM신호에 대응하여 풀업 및 풀다운 구동하고, 상기 풀업 및 상기 풀다운 구동에 대응하여 제1전류패스 및 제2전류패스를 형성하며, 상기 제1전류패스 및 상기 제2전류패스에 의한 제1제어전류 및 제2제어전류를 상기 파워 스위치에 제공하는 전원 구동 회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ate driver
Pull-up and pull-down driving is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PWM signal, and a first current path and a second current path are formed in response to the pull-up and pull-down driving, and first control by the first current path and the second current path A power driving circuit for providing a current and a second control current to the power switch.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상기 제1제어전류를 통해서 상기 파워 스위치의 드레인 전압이 그라운드 전압으로 떨어지는 시간을 조절하고, 상기 제2제어전류를 통해서 상기 파워 스위치의 그라운드 전압이 내부전압으로 올라가는 시간을 조절하는 전원 구동 회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gate driver
A power driving circuit for controlling a time for which the drain voltage of the power switch falls to a ground voltage through the first control current and for controlling a time for the ground voltage of the power switch to rise to an internal voltage through the second control current.
엘이디 모듈;
상기 엘이디 모듈에 제공되는 출력전압을 레귤레이션하는 컨버터; 및
PWM신호에 대응하여 제어전류를 갖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신호를 통해서 상기 컨버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신호는 상승 구간 및 하강 구간 각각에 플랫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플랫 구간은 상기 제어전류의 크기에 대응하는, 조명 장치.
LED module;
a converter for regulating the output voltage provided to the LED module; and
a control unit generating a control signal having a control current in response to the PWM signal and controlling the converter through the control signal;
including,
The control signal includes a flat section in each of the rising section and the falling section, the flat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control current, the lighting devic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전류를 생성하도록 설정된 조명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A lighting device configured to generate a current and generate the control current by using the curren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제어전류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승 및 하강 시간이 설정되는 조명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signal is a lighting device in which rise and fall times are set in response to the magnitude of the control curren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류를 생성하는 전류생성부;
상기 전류생성부와 전류미러 구조를 갖고, 상기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전류를 생성 및 제공하는 전류조절부; 및
상기 제어전류를 제공받고, 상기 PWM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전류에 의해 상승 및 하강 시간이 설정되는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컨버터의 파워 스위치를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부;
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a current generator for generating a current;
a current control unit having the current generation unit and a current mirror structure, and generating and providing the control current using the current; and
a gate driver configured to receive the control current, generate the control signal for which rise and fall times are set by the control current in response to the PWM signal, and drive a power switch of the converter;
A lighting device comprising a.
전류를 생성하는 전류생성부;
상기 전류생성부와 전류미러 구조를 갖고, 상기 전류를 이용하여 제1제어전류 및 제2제어전류를 생성하며, 상기 제1제어전류 및 상기 제2제어전류를 제공하는 전류 조절부; 및
상기 제1제어전류 및 상기 제2제어전류를 제공받고, PWM신호에 대응하여 풀업 및 풀다운 구동하며, 상기 풀업 및 풀다운 구동에 대응하여 제1전류패스 및 제2전류패스를 형성하여 상기 제1제어전류 및 상기 제2제어전류를 파워 스위치에 제공하고, 상기 제1제어전류 및 상기 제2제어전류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게이트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는 상승 구간 및 하강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상승 구간은 상기 제1제어전류의 크기에 대응하는 제1 플랫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하강 구간은 상기 제2제어 전류의 크기에 대응하는 제2 플랫 구간을 포함하는, 전원 구동 회로.
a current generator for generating a current;
a current controller having the current generator and a current mirror structure, generating a first control current and a second control current using the current, and providing the first control current and the second control current; and
receiving the first control current and the second control current, performing pull-up and pull-down driving in response to a PWM signal, and forming a first current path and a second current path in response to the pull-up and pull-down driving to form the first control A gate driver providing a current and the second control current to a power switch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rol current and the second control current
including,
The control signal includes a rising section and a falling section,
The rising section includes a first flat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first control current, and the falling section includes a second flat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second control curren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상기 제1전류패스가 형성되면 상기 제1제어전류에 의해 상승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전류패스가 형성되면 상기 제2제어전류에 의해 하강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파워 스위치를 구동하는 전원 구동 회로.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gate driver
When the first current path is formed, a control signal rising by the first control current is generated, and when the second current path is formed, the control signal falling by the second control current is generated, and the control signal A power driving circuit for driving the power switch using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의 상승 및 하강 시간은 상기 제1제어전류 및 상기 제2제어전류의 크기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전원 구동 회로.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rising and falling times of the control signal are set according to the magnitudes of the first control current and the second control current.
KR1020150080802A 2015-05-13 2015-06-08 Power supply driving circuit and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3222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802A KR102322277B1 (en) 2015-06-08 2015-06-08 Power supply driving circuit and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PCT/KR2016/003418 WO2016182205A2 (en) 2015-05-13 2016-04-01 Lighting device and driving circuit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802A KR102322277B1 (en) 2015-06-08 2015-06-08 Power supply driving circuit and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239A KR20160144239A (en) 2016-12-16
KR102322277B1 true KR102322277B1 (en) 2021-11-08

Family

ID=57735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802A KR102322277B1 (en) 2015-05-13 2015-06-08 Power supply driving circuit and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27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710B1 (en) * 2020-11-18 2021-06-07 주식회사 리산테크 Smart converter for lamp control with improved thd and emi and lamp control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3587A (en) * 2004-02-19 2007-08-16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レクティファイアー コーポレイション DC-DC voltage regulator whose switching frequency is responsive to the loa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8805B2 (en) * 2005-03-22 2008-05-27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Single-stage digital power converter for driving LE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3587A (en) * 2004-02-19 2007-08-16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レクティファイアー コーポレイション DC-DC voltage regulator whose switching frequency is responsive to the lo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239A (en) 2016-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0241B2 (en) Buck convert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8476570B (en) Multi-LED string dimming control
EP2410820A2 (en) Semiconductor light source lighting circuit and control method
EP2846608B1 (en) Converter and method of operating a converter for supplying current to a light emitting means
EP3235683B1 (en) Light-emitting element driving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light-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light-emitting device, and vehicle
US11310890B2 (en) Vehicle lamp control apparatus
US8476838B2 (en) Light source lighting circuit and lamp system for vehicle
EP2745624B1 (en) Led driver
KR102322277B1 (en) Power supply driving circuit and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0036694B (en) Adaptive turn-off delay time compensation for LED controllers
JP5882761B2 (en)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device, light emitting device, vehicle
US10834799B2 (en) Vehicle lamp control apparatus
KR102373176B1 (en) Apparatus for driving led for vehicle
JP2021002440A (en) Lighting control device, lighting control method, and vehicular lighting fixture
CN111083836B (en) Car light control device
JP2015174549A (en) Vehicular lighting fixture and drive unit for the same
US20050237043A1 (en) Power circuit
EP2919559B1 (en) Driving apparatus of light emitting load and light emitting apparatus for vehicle
US11569809B2 (en) Load drive control device
CN111163546B (en) Car light control device
NL2015922B1 (en) Control circuit for an LED fixture.
KR102074667B1 (en) Apparatus for driving led for vehicle
WO2018061817A1 (en) Gate driving circuit and light emission device having same
KR20150050123A (en)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apparatus and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appratus
JP6696301B2 (en) Vehicle lamp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