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7597B1 - Preveting apparatus for accumulation of alien substance with output controlling function in relation to sensing of alien substance - Google Patents

Preveting apparatus for accumulation of alien substance with output controlling function in relation to sensing of alien subst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7597B1
KR102317597B1 KR1020190134354A KR20190134354A KR102317597B1 KR 102317597 B1 KR102317597 B1 KR 102317597B1 KR 1020190134354 A KR1020190134354 A KR 1020190134354A KR 20190134354 A KR20190134354 A KR 20190134354A KR 102317597 B1 KR102317597 B1 KR 102317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haft
movable body
motor
foreign substan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3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50126A (en
Inventor
정성대
김동환
Original Assignee
리셋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셋컴퍼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리셋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4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597B1/en
Priority to PCT/KR2019/017641 priority patent/WO2021085744A1/en
Publication of KR20210050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1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5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002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1/00Cleaning flexible or delicate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11/04Cleaning flexible or delicate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plate glass, e.g. prior to manufacture of windsh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10Clean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유닛의 제1, 2 이동체에 의하여 왕복하고, 제2 유닛은 제1, 2 이동체의 이동 및 제3 유닛의 제1 브러시 회전에 구동력을 전달하며, 제3 유닛은 회전하는 제1 브러시와 함께 제1, 2 이동체와 연동 왕복하는 제2 브러시에 의하여 대상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제4 유닛은 제2 유닛의 가동을 제어하는 구조로부터, 대상면에 적층되는 이물질의 종류나 양 등에 따라 구동전달계의 출력량을 조절함으로써 불필요한 동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에너지의 효율적인 관리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이물질 감지에 따른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ciprocates by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bodies of the first unit, the second unit transmits driving force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bodies and the rotation of the first brush of the third unit, and the third unit is the rotating second unit. The second brush, which interlocks and reciprocates with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odies together with the first brush, removes foreign substances from the target surface, and the fourth unit determines the type of foreign substances stacked on the target surface from the structure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uni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eign material stacking prevention device having an outpu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foreign material detection, which minimizes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and promotes efficient energy management by adjusting the output amount of a drive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amount.

Description

이물질 감지에 따른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PREVETING APPARATUS FOR ACCUMULATION OF ALIEN SUBSTANCE WITH OUTPUT CONTROLLING FUNCTION IN RELATION TO SENSING OF ALIEN SUBSTANCE}Foreign object stacking prevention device with outpu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foreign material detection

본 발명은 이물질 감지에 따른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상면에 적층되는 이물질의 종류나 양 등에 따라 구동전달계의 출력량을 조절함으로써 불필요한 동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에너지의 효율적인 관리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이물질 감지에 따른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eign material stacking prevention device having an outpu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foreign material detection, and more particularly, by adjusting the output amount of a drive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type or amount of foreign material stacked on a target surfac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is minimized, It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accumulation of foreign substances having an outpu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foreign substances so that energy can be efficiently managed.

동절기에 눈 내리는 양이 막대한 지역인 호설지대에서는, 내린 눈의 하중이 지붕의 면적에 비례하여 증대되기 때문에, 이러한 지역의 건축물 지붕에 눈과 같은 이물질이 쌓일 경우 지붕은 그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무너져 내리거나 지붕 위에 쌓인 눈이 낙하함에 따라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In heavy snow regions, where the amount of snow falls in winter, the load of snow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roof area. In many cases, human casualties occurred as snow accumulated on the roof fell.

한편, 빗물의 이용은 물 부족 문제의 해결, 강우 시 유출량 저감에 의한 침수피해 방지, 도시 물 순환의 건전성 확보 등 다양한 목적과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mportance of the use of rainwater is being emphasized for various purposes and aspects, such as solving the water shortage problem, preventing flood damage by reducing the amount of runoff during rainfall, and securing the soundness of urban water circulation.

강우패턴도 시간당 수 mm의 낮은 강우강도로부터 시간당 수십 mm의 폭우까지 넓은 분포를 보이며, 통상 5mm 이상의 강우가 있을 경우 포집하여 이용 가능한 유효강우로 본다.The rainfall pattern also shows a wide distribution from a low rainfall intensity of a few millimeters per hour to a heavy rainfall of several tens of millimeters per hour.

강우의 시점이 불규칙한 측면을 고려할 때 빗물 포집시설은 가급적 관리자의 상시 감시나 펌프, 센서 등 복잡한 장치가 없고 비가 오면 별도의 조작 없이 자연적으로 처리되고 포집되도록 하는 것이 응용성 측면에서 중요하다.Considering the irregular timing of rainfall, rainwater collection facilities do not have complex devices such as constant monitoring by managers or pumps and sensors as much as possible, and it is important in terms of applicability that rainwater is treated and collected naturally without additional manipulation.

한편, 태양광은 화석원료 등의 기존 에너지원과는 달리 지구 온난화를 유발하는 온실가스 배출, 소음, 환경파괴 등의 위험성이 없는 청정 에너지원이며 고갈의 염려도 없으며, 여타 풍력이나 해수력과 달리 태양광 발전설비는 설치가 자유롭고 유지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On the other hand, solar power is a clean energy source that does not have risks such as greenhouse gas emissions, noise,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that cause global warming, unlike existing energy sources such as fossil raw materials, and there is no concern about exhaustion.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free to install and having low maintenance costs.

하지만,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리콘 태양전지의 경우 태양광 모듈의 온도가 올라갈 경우 1℃ 당 0.5%의 출력 감소가 발생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most widely used silicon solar cell, when the temperature of the solar module rises, an output decrease of 0.5% per 1°C occurs.

이러한 온도 상승은 태양광 발전의 발전 효율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This temperature rise is a major cause of lowering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f solar power generation.

또한, 이러한 태양광 모듈은 황사, 악천후시 쌓인 눈이나 흘러내리는 빗물 또는 토사 등으로 인하여 오물이 태양 전지판에 쉽게 쌓일 수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In addition, such a solar module has a disadvantage that dirt may be easily accumulated on the solar panel due to yellow sand, snow accumulated during bad weather, rainwater, or silt.

태양광 모듈에 오물이 쌓일 경우 태양광 모듈은 광흡수율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따라서 발전효율 또한 저하될 수 있다.When dirt accumulates on the photovoltaic module, the light absorption rate of the photovoltaic module is significantly lowered, and thus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may also be lowered.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등록특허 제10-1340039호의 "태양광 모듈 세척 장치를 구비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하 '선행기술')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Invented from the above point of view, there may be mentioned the same thing as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having a solar module washing device" (hereinafter 'prior art') of Patent Registration No. 10-1340039.

선행기술은 태양광 모듈을 세척하기 위한 스프링클러와, 적설 제거용 압축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에어 콤프레셔와, 스프링클러에 물을 공급하는 펌프와, 태양광 모듈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도 측정 센서와, 적설 여부 감지를 위한 적설 센서와, 용수 회수 장치와, 제어부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하는 구조이다.The prior art includes a sprinkler for washing a solar module, an air compressor for spraying compressed air for snow removal, a pump for supplying water to the sprinkler, a pollution measurement sensor for measuring the pollution level of the solar module, and detection of snow accumulation It has a structure including a snow load sensor, a water recovery device, a control unit, and a monitoring system.

그러나, 선행기술은 지속적인 감시 및 관리 감독이 필요한 개소가 너무 많으며,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 예컨대 적설 또는 강우 등에 의한 태양광 모듈 표면의 오염에 대응하여 적절한 구동 출력을 조절하기 힘들다는 한계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there are too many places requiring continuous monitoring and supervision, and it has a complicated structure, and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appropriate driving output in response to contamination of the solar module surface by various kinds of foreign substances, for example, snow or rain. had limitations.

등록특허 제10-1340039호Registered Patent No. 10-13403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대상면에 적층되는 이물질의 종류나 양 등에 따라 구동전달계의 출력량을 조절함으로써 불필요한 동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에너지의 효율적인 관리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이물질 감지에 따른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minimiz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and promote efficient energy management by adjusting the output amount of the drive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type or amount of foreign substances stacked on the target surfa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accumulation of foreign substances having an outpu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foreign substanc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상면에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레일과, 상기 대상면에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1 레일과 평행한 제2 레일과, 상기 제1 레일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왕복 가능한 제1 이동체와, 상기 제2 레일에 장착되어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왕복 가능한 제2 이동체를 포함하는 제1 유닛;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이동체와 상기 제2 이동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양단부를 가지는 제1 축과,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이동체와 상기 제2 이동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양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축과 평행한 제2 축과, 상기 제1 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축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상기 제1 축에 전달하는 제1 모터와, 상기 제2 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이동체 및 상기 제2 이동체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상기 제2 축에 전달하는 제2 모터를 포함하는 제2 유닛; 상기 제1 축에 장착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모 다발을 구비한 제1 브러시와, 상기 제1 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축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이동체 및 상기 제2 이동체에 각각 장착되는 양단부를 가지는 브러시 지지 프레임에 각각 장착되는 제2 브러시를 포함하는 제3 유닛; 및 상기 대상면의 일측에 구비되거나 상기 제1 이동체 또는 상기 제2 이동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대상면에 이물질이 적층되는 것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와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의 가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제4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감지에 따른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rail disposed along a first direction on a target surface, a second rail disposed along a first direction on the target surface and parallel to the first rail, a first movable body mounted on the first rail and reciprocable in the first direction along the first rail; and a second movable body mounted on the second rail and reciprocable in the first direction along the second rail. a first unit to a first shaft disposed in a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having both ends rotatably supported by the first movable body and the second movable body, respectively, and disposed in the second direction, the first movable body and the first movable body A second shaft having both ends rotatably supported by a second movable body and parallel to the first shaft, and a first shaft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to transmit a driving force for rotation of the first shaft to the first shaft a second unit including a motor and a second motor connected to the second shaft to transmit driving force for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bodies to the second shaft; a first brush having a plurality of hair bundles mounted on the first shaft and arranged radially, and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haft with respect to the first shaft and mounted on the first movable body and the second movable body, respectively a third unit including a second brush each mounted to a brush support frame having both ends; and a detection sens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arget surface 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or second movable body to detect in real time that foreign substances are deposited on the target surface, the detection sensor, the first motor and the A foreign material stacking prevention device having an outpu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foreign matter det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ourth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motor and includ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can provide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이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1 모터의 rpm을 조절하거나, 상기 이물질이 상기 대상면에 적층된 양에 따라 상기 제1 모터의 출력량을 조절하거나, 상기 대상면에 상기 이물질이 적층되는 속도에 따른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의 가동 패턴을 저장 또는 분석하여 상기 대상면이 형성된 지역에 맞는 제어 로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controller adjusts the rpm of the first motor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foreign material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or adjusts the output amount of the first motor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foreign material stacked on the target surface, or , by storing or analyzing the operation patterns of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according to the speed at which the foreign material is stacked on the target surface to generate a control logic suitable for the area where the target surface is formed.

이때,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2 축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제1 원추기어와, 상기 제2 축과 직교하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이동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수직 전달축과, 상기 제1 수직 전달축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원추기어와 맞물리는 제2 원추기어와, 상기 제1 이동체의 하면으로부터 관통되어 노출된 상기 제1 수직 전달축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제1 피니언과, 상기 제1 레일의 측면을 따라 장착되어 상기 제1 피니언이 맞물리는 제1 랙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second unit includes a first conical gear mounted on one end of the second shaft, and a thir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shaft and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 first vertical transmission shaft rotatably supported by a first movable body, a second conical gear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first vertical transmission shaft and engaged with the first conical gear, and penetrat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movable body to expose and a first pinion mount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transmission shaft, and a first rack gear mounted along a side surface of the first rail to engage the first pinion.

그리고,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2 축의 타단부에 장착되는 제3 원추기어와, 상기 제2 축과 직교하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이동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수직 전달축과, 상기 제2 수직 전달축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3 원추기어와 맞물리는 제4 원추기어와, 상기 제2 이동체의 하면으로부터 관통되어 노출된 상기 제2 수직 전달축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제2 피니언과, 상기 제2 레일의 측면을 따라 장착되어 상기 제2 피니언이 맞물리는 제2 랙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econd unit, a third conical gear moun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haft, and the second shaft and is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thir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econd direction are arranged, the A second vertical transmission shaft rotatably supported by a second movable body, a fourth conical gear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transmission shaft and engaged with the third conical gear, and the second vertical transmission shaft are expose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movable body and a second pinion mounted to a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transmission shaft, and a second rack gear mounted along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rail to engage the second pinion.

그리고, 상기 제1 브러시와 상기 제2 브러시의 모 다발을 구성하는 모(毛)에는 세라믹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eramic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hairs constituting the hair bundles of the first brush and the second brush.

또한, 상기 제1 이동체 또는 상기 제2 이동체의 상면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터미널 바와, 상기 터미널 바의 선단부 양측에 각각 함몰 형성되는 단자 고정홈과, 상기 단자 고정홈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원호 형상의 선단부를 가지는 제1 접속 단자편과, 상기 제1 레일 또는 상기 제2 레일의 단부에 장착되며 외부 전원과 연결되며, 내부에 충방전 회로가 구비된 도킹스테이션 박스와, 상기 도킹스테이션 박스의 일측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1 접속 단자편의 출입을 허용하는 단자 슬롯과, 상기 도킹스테이션 박스에 내장되어 상기 충방전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접속 단자편이 상기 단자 슬롯을 통해 삽입되면 접촉하여 상기 충방전 회로와 상기 컨트롤러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 접속 단자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terminal bar extending from one end of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vable body or the second movable body to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terminal fixing grooves respectively recess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end of the terminal bar, and in the terminal fixing groove A first connection terminal piece coupled to each oth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having an elastically deformable arc-shaped tip, mounted on an end of the first rail or the second rail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 docking station box having a discharging circuit, a terminal slot that is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docking station box to allow entry and exit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piece, is built into the docking station box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discharging circuit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piece contacting when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piece is inserted through the terminal slot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harge/discharge circuit and the controller to each other.

아울러, 상기 제1 레일 및 상기 제2 레일 각각의 하면과 마주보는 상면을 가지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받침지지 바와, 상기 복수의 받침지지 바의 양단부 상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제1 레일 및 상기 제2 레일의 하면과 접촉하고, 상기 제1 레일 및 상기 제2 레일을 받침 지지하는 스페이서 브라켓과, 상기 스페이서 브라켓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1 레일 및 상기 제2 레일을 향하여 서로 마주보게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받침지지 바의 양단부 상면에 고정되는 바닥 설편과, 상기 바닥 설편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동시에 직교하는 제3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장자리 규제편과, 상기 가장자리 규제편 각각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제1 레일 및 상기 제2 레일을 향하여 서로 마주보게 절곡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받침지지 바 각각의 상면과 평행한 상부 걸림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upport bars having upper surfaces facing the lower surfaces of each of 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rail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respectively, ar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s of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a spacer bracket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lower surfaces of 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rail and supports and supports 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rail, and from the lower end of the spacer bracket toward 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rail A bottom tongue extending to face each other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s of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and an edge regulating piece protruding from one edge of the bottom tongue in a third direction at the same time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nd,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edge regulating pieces toward 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rail to face each oth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upper engaging piece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hieved.

우선, 본 발명은 감지센서가 실시간으로 강설 및 강우를 감지하여 대상면을 포함한 패널 표면에 적층되는 이물질의 종류에 맞게 회전하는 제1 브러시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모터의 속도를 자동으로 변경함으로써, 최소한의 전력으로도 대상면에 쌓인 각종 오염물질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될 것이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on sensor detects snowfall and rainfall in real time and automatically changes the speed of the first motor that transmits the driving force to the rotating first brush according to the type of foreign material stacked on the panel surface including the target surface. , it will be possible to reliably remove various contaminants accumulated on the target surface with minimal power.

특히, 본 발명은 감지센서와 컨트롤러의 연계에 따른 액티브(Active 방식) 센서 시스템을 채용함으로써, 강설량 및 강우량에 따른 제1 모터의 구동 민감도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possible to finely adjust the driving sensitivity of the first motor according to the amount of snowfall and rainfall by adopting an active sensor system according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detection sensor and the controller.

이러한 감지센서와 컨트롤러의 연계는 내리는 눈과 비의 양에 따른 제1 모터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하고 컨트롤러에 구비된 PCB의 사용전력량에 따른 부하를 감소시키는 효과 또한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The connection between the detection sensor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output of the first motor according to the amount of snow and rain, thereby minimizing the power consumption and reducing the load according to the amount of power used by the PCB provided in the controller. There will b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강설량이 많은 호설지대나 강우량이 많은 열대지방 등 다양한 기후 환경을 가진 각 지역별로 관리들이 눈과 비가 내리는 속도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동 패턴을 저장하고 분석할 수 있음은 물론, 최적화된 이물질 제거를 위한 제어 로직을 생성할 수도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ficials can store and analyze the operation pattern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peed of snow and rain in each region having various climatic environments, such as heavy snow regions with heavy snowfall or tropical regions with heavy rainfall. Of course,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such as being able to generate control logic for optimized foreign material remov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감지에 따른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의 주요부인 제4 유닛의 작동 과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블록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감지에 따른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사시 개념도이며, 도 2(b)는 평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감지에 따른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의 구동전달 계통의 파악을 위하여 도시한 것으로, 부분 평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감지에 따른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의 구동전달 계통의 파악을 위하여 도시한 것으로, 아래에서 비스듬히 올려다 본 시점에서 바라본 부분 사시 개념도
도 5는 도 3의 V-V' 선을 따라 절개한 부분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감지에 따른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의 주요부인 제3 유닛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감지에 따른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의 각 부 결합 구조 파악을 위하여 대상면을 포함한 패널 및 사이드 커버 박스와 코어 커버 박스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1 is a block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fourth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an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accumulation of foreign substances having an outpu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foreign subst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n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accumulation of foreign substances having an outpu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foreign subst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a)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 concept diagram
3 is a partial plan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drive transmission system of an apparatus for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stacked having an outpu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detection of foreign subst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perspective conceptual view as viewed from the viewpoint obliquely looking up from the bottom as shown for understanding the drive transmission system of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accumulation of foreign substances having an outpu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foreign subst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viewed from a portion cut along the line VV' of FIG. 3, and the overall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third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the device for preventing the accumulation of foreign substances having an outpu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foreign subst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ometric conceptual diagram showing
6 is a state in which the panel including the target surface and the side cover box and the core cover box are removed in order to determine the coupling structure of each part of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stacking having an outpu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foreign subst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ometric conceptual diagram of the city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ul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Accordingly,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components, well-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have not been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obscuring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terms used (referred to)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nd elements and operations referred to as 'comprising (or hav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and operations. .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Also,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감지에 따른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의 주요부인 제4 유닛(400)의 작동 과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블록 개념도이다.First, FIG. 1 is a block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fourth unit 400 , which is a main part of an apparatus for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stacked with an outpu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detecting foreign subst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감지에 따른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사시 개념도이며, 도 2(b)는 평면 개념도이다.And, Figure 2 shows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foreign matter stacking prevention device having an outpu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foreign matter det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a) is a perspective view, Figure 2 (b) is a flat conceptual diagram.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감지에 따른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의 구동전달 계통의 파악을 위하여 도시한 것으로, 부분 평면 개념도이다.And, FIG. 3 is a partial plan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drive transmission system of an apparatus for preventing a foreign material stacking having an outpu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detecting a foreign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감지에 따른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의 구동전달 계통의 파악을 위하여 도시한 것으로, 아래에서 비스듬히 올려다 본 시점에서 바라본 부분 사시 개념도이다.And, FIG. 4 is a partial perspective conceptual view as viewed from the viewpoint obliquely looking up from the bottom as shown for grasping the drive transmission system of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accumulation of foreign substances having an outpu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foreign subst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

또한, 도 5는 도 3의 V-V' 선을 따라 절개한 부분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감지에 따른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의 주요부인 제3 유닛(300)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In addition, FIG. 5 is a view taken from a portion cut along the line VV' of FIG. 3, and the third unit 300, which is a main part of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stacked, has an outpu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foreign subst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s a perspective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upling relationship of

아울러,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감지에 따른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의 각 부 결합 구조 파악을 위하여 대상면(500)을 포함한 패널(510) 및 사이드 커버 박스(610)와 코어 커버 박스(620)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In addition, FIG. 6 is a panel 510 and a side cover box including a target surface 500 in order to determine the coupling structure of each part of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stacked having an outpu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foreign subst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610 and the core cover box 620 are removed.

참고로, 도면상에서 화살표 I, I' 방향은 후술할 제1 방향을, 화살표 II, II' 방향은 후술할 제2 방향을, 화살표 III, III' 방향은 후술할 제3 방향을 각각 가리킨다.For reference, in the drawings, arrows I and I′ indicate a first direction to be described later, arrows II and II′ indicate a second direction to be described later, and arrows III and III′ indicate a third direction to be described later, respectively.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닛(100)의 제1, 2 이동체(130, 140)에 의하여 왕복하고, 제2 유닛(200)은 제1, 2 이동체(130, 140)의 이동 및 제3 유닛(300)의 제1 브러시(310)의 회전에 구동력을 전달하며, 제3 유닛(300)은 회전하는 제1 브러시(310)와 함께 제1, 2 이동체(130, 140)와 연동 왕복하는 제2 브러시(320)에 의하여 대상면(500)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제4 유닛(400)은 제2 유닛(200)의 가동을 제어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bodies 130 and 140 of the first unit 100 reciprocate, and the second unit 200 performs the movement and second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bodies 130 and 140 . A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brush 310 of the three units 300 , and the third unit 300 reciprocates with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bodies 130 and 140 together with the rotating first brush 310 .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brush 320 removes foreign substances from the target surface 500 , and the fourth unit 400 has a structure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unit 200 .

우선, 제1 유닛(100)은 대상면(500)에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레일(110)과, 대상면(500)에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제1 레일(110)과 평행한 제2 레일(120)과, 제1 레일(110)에 장착되어 제1 레일(110)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왕복 가능한 제1 이동체(130)와, 제2 레일(120)에 장착되어 제2 레일(120)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왕복 가능한 제2 이동체(140)를 포함하는 것이다.First, the first unit 100 includes a first rail 110 disposed along a first direction on a target surface 500 , and a first rail 110 disposed along a first direction on the target surface 500 , The parallel second rail 120, the first movable body 130 mounted on the first rail 110 and reciprocating in the first direction along the first rail 110, and the second rail 120 are mounted on It includes a second movable body 140 reciprocating in the first direction along the second rail 120 .

그리고, 제2 유닛(200)은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 이동체(130)와 제2 이동체(14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양단부를 가지는 제1 축(210)과, 제2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 이동체(130)와 제2 이동체(14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양단부를 가지며 제1 축(210)과 평행한 제2 축(22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unit 200 is disposed in a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has both ends rotatably supported by the first movable body 130 and the second movable body 140 , respectively, a first shaft 210 . and a second shaft 220 dispos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having both ends rotatably supported by the first movable body 130 and the second movable body 140 , respectively, and parallel to the first shaft 210 . have.

또한, 제2 유닛(200)은 제1 축(210)과 연결되어 제1 축(210)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1 축(210)에 전달하는 제1 모터(230)와, 제2 축(220)과 연결되어 제1 이동체(130) 및 제2 이동체(140)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2 축(220)에 전달하는 제2 모터(24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unit 200 includes a first motor 230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210 to transmit a driving force for rotation of the first shaft 210 to the first shaft 210 , and a second shaft. It may include a second motor 240 connected to 220 to transmit driving force for movement of the first movable body 130 and the second movable body 140 to the second shaft 220 .

한편, 제3 유닛(300)은 제1 축(210)에 장착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모 다발을 구비한 제1 브러시(310)와, 제1 축(210)을 기준으로 제1 축(210)의 양측에 배치되어 제1 이동체(130) 및 제2 이동체(140)에 각각 장착되는 양단부를 가지는 브러시 지지 프레임(330, 330)에 각각 장착되는 제2 브러시(32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hird unit 300 is mounted on the first shaft 210, the first brush 310 having a plurality of hair bundles disposed radially, and the first shaft (210) based on the first shaft (210). A second brush 320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210 and mounted on the brush support frames 330 and 330 having both ends respectively mounted on the first movable body 130 and the second movable body 140 may be included. .

또한, 제4 유닛(400)은 대상면(500)의 일측에 구비되거나 제1 이동체(130) 또는 제2 이동체(140)의 일측에 구비되어 대상면(500)에 이물질이 적층되는 것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감지센서(410)와, 감지센서(410)와 제1 모터(230) 및 제2 모터(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모터(230)와 제2 모터(240)의 가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420)를 포함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ourth unit 40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arget surface 500 or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movable body 130 or the second movable body 140 to monitor the stacking of foreign substances on the target surface 500 in real time. A detection sensor 410 for sensing, the detection sensor 410, the first motor 230 and the second motor 24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motor 230 and the second motor 240 It will include a controller 420 that do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also be applied to the following various embodiments.

우선, 대상면(500)은, 건축물의 지붕, 태양광 모듈의 집광 패널, 건축 구조물의 유리 표면, 건축물의 경사진 지붕, 경사지의 인도 또는 경사지의 도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제3 유닛(300)의 제1, 2 브러시(310, 320)를 이용하여 표면에 쌓인 다양한 이물질을 쓸어내어 제거할 수 있는 대상면(500)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First, the target surface 500 may be any one of a roof of a building, a light collecting panel of a solar module, a glass surface of a building structure, a sloping roof of a building, a sidewalk or a road on a slope, and the third unit ( If the target surface 500 can be removed by sweeping away various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on the surface using the first and second brushes 310 and 320 of 300), it can be applied to any kind of thing.

한편, 컨트롤러(420)는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감지센서(410)에 의하여 감지된 이물질의 종류에 따라 제1 모터(230)의 rpm을 조절하거나, 이물질이 대상면(500)에 적층된 양에 따라 제1 모터(230)의 출력량을 조절하는 제어를 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1 , the controller 420 adjusts the rpm of the first motor 230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foreign material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410 , or the foreign material is stacked on the target surface 500 . It may be possible to control the amount of output of the first motor 230 according to the amount.

참고로, 도 1의 그래프에서 기재된 제1 내지 제3 측정값은 감지센서(410)가 감지하고 측정한 대상면(500)에 적층되는 이물질의 종류에 따른 후술할 전위차 측정값이라 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first to third measurement values described in the graph of FIG. 1 may be potential difference measurement values to be described later depending on the type of foreign material stacked on the target surface 500 detected and measured by the detection sensor 410 .

아울러, 도 1의 그래프에서 X축은 이물질이 적층되는 동안 감지센서(410)가 측정을 지속한 시간(측정시간)을 나타내며, Y축은 감지센서(410)에 의하여 감지되는 이물질에 포함된 수분량 및 해당 센서에 닿은 이물질에 포함된 수분의 양에 따른 전압 변화인 전위차를 측정한 값(전위차 측정값)을 나타낸다.In addition, in the graph of FIG. 1 , the X axis indicates the time (measurement time) that the detection sensor 410 continues to measure while the foreign material is stacked, and the Y axis indicates the amount of moisture contained in the foreign material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410 and the corresponding Indicates the measured potential difference (potential difference measurement value), which is a voltage change depending on the amount of moisture contained in the foreign material that has touched the sensor.

따라서, 컨트롤러(420)는 대상면(500)에 이물질이 적층되는 속도에 따른 제1 모터(230) 및 제2 모터(240)의 가동 패턴을 저장 또는 분석하여 대상면(500)이 형성된 지역에 맞는 제어 로직을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the controller 420 stores or analyzes the operation patterns of the first motor 230 and the second motor 240 according to the speed at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deposited on the target surface 500 to be stored in the area where the target surface 500 is formed. You will be able to create the appropriate control logic.

따라서, 강설량 또는 강우량을 포함하여 대상면(500)에 적층되는 이물질의 종류, 예컨대 눈이나 빗물 또는 토사 등에 따라 후술할 제2 모터(240)의 rpm이나 출력을 조절한다든가, 후술할 제2 모터(240)와 함께 제1 모터(230)의 가동 순서를 조절한다든가 하는 식의 가동 패턴과 제어 로직을 상황과 기후 환경에 맞게 수립하고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ly, the rpm or output of the second motor 240 to be described later is adjusted or the second motor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the type of foreign material stacked on the target surface 500 including snowfall or rainfall, for example, snow, rainwater, or soil. An operation pattern and control logic such as adjusting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first motor 230 together with 240 may be established and genera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climate environment.

즉, 컨트롤러(420)는 도 1의 그래프와 같이 전위차 측정값이 크거나 작음에 따라 후술할 제1 모터(230)의 출력을 키우거나 줄이는 신호를 제1 모터(230)에 전달함으로써 일정한 rpm과 출력으로 가동되는 것에 비하여 동력 및 에너지의 불필요한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controller 420 transmits a signal to increase or decrease the output of the first motor 2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the first motor 230 according to a large or small potential difference measurement value as shown in the graph of FIG. It is possible to minimize unnecessary consumption of power and energy compared to operation with output.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보면, 대상면(500)에 눈이나 비가 많이 내리게 된다면, 감지센서(410)에 의하여 감지되는 전위차 값은 커지게 되므로, 컨트롤러(420)는 제2 모터(240)의 출력을 100%에 가깝게 올릴 수 있을 것이다.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if a lot of snow or rain falls on the target surface 500 , the potential difference value sensed by the detection sensor 410 increases, so the controller 420 controls the output of the second motor 240 . can be raised close to 100%.

반대로, 눈이나 비가 내린 양이 적다면, 이에 따라 감지센서(410)에 의하여 감지되는 전위차 값은 작아지게 되므로, 컨트롤러(420)는 제2 모터(240)의 출력을 줄이는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Conversely, if the amount of snow or rain is small, the potential difference value sensed by the detection sensor 410 is reduced accordingly, so that the controller 420 can control the output of the second motor 240 in a way that reduces will be.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2와 같이 구동전달계, 즉 제1, 2 축(210, 220)과 제1, 2 모터(230, 240)가 대기 중에 노출되어 수분이나 이물질이 유입됨으로 인한 오작동 및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사이드 커버 박스(610)와 코어 커버 박스(62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 the drive transmission system,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shafts 210 and 220 and the first and second motors 230 and 240 are exposed to the atmosphere, and malfunctions and failures due to the inflow of moisture or foreign substances are prevented. In order to prevent the occurrence in advance, the side cover box 610 and the core cover box 620 may be further provided.

사이드 커버 박스(610)는 제1 이동체(130) 및 제2 이동체(140)와 결합되어 제1 모터(230) 및 제2 모터(240)와 제1 축(210) 및 제2 축(220)의 양단부를 수용하는 것이다.The side cover box 610 is coupled to the first movable body 130 and the second movable body 140 so that the first motor 230 and the second motor 240 and the first shaft 210 and the second shaft 220 are combined. to accommodate both ends of

코어 커버 박스(620)는 사이드 커버 박스(610)에 양단부가 결합되며 제1 축(210)과 제2 축(220)과 제1 브러시(310)와 제2 브러시(320)를 수용하는 것이다.Both ends of the core cover box 620 are coupled to the side cover box 610 and accommodate the first shaft 210 , the second shaft 220 , and the first brush 310 and the second brush 320 .

여기서, 감지센서(410)는 눈이나 비 또는 토사 등의 이물질의 접촉을 가장 먼저 감지할 수 있도록 사이드 커버 박스(610)의 상면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detection sensor 410 is preferab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cover box 610 so as to first detect the contact of a foreign substance such as snow, rain, or soil.

이때, 컨트롤러(420)는 사이드 커버 박스(610)에 수용됨으로써,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 화학적인 충격으로부터 보호받고, 수분과 이물질의 유입에 따른 오작동 및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At this time, by being accommodated in the side cover box 610, the controller 420 will be protected from physical and chemical shocks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it will be possible to prevent malfunctions and failures due to the inflow of moisture and foreign substances.

한편, 제2 유닛(200)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구조의 구동전달계에 의하여 제1 이동체(130)의 이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1 이동체(130)측으로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S. 3 and 4 , the second unit 200 can transmit the driving force required for the movement of the first movable body 130 to the first movable body 130 by the drive transmission system having the following structure. will be.

우선, 제1 원추기어(251)가 제2 축(220)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제2 축(220)과 직교하는 제1 수직 전달축(252)이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 이동체(1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First, the first conical gear 251 is mounted on one end of the second shaft 220 , and the first vertical transmission shaft 252 orthogonal to the second shaft 220 is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is disposed in the third direction and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first movable body 130 .

그리고, 제1 수직 전달축(252)의 상단부에는 제2 원추기어(253)가 장착되어 제1 원추기어(251)와 맞물리게 되며, 제1 피니언(254)이 제1 이동체(130)의 하면으로부터 관통되어 노출된 제1 수직 전달축(252)의 하단부에 장착된다.Then, the second conical gear 253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vertical transmission shaft 252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conical gear 251 , and the first pinion 254 is mov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movable body 130 . It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transmission shaft 252 exposed through penetration.

이러한 제1 피니언(254)은 제1 레일(110)의 측면을 따라 장착되는 제1 랙기어(255)와 맞물리게 됨으로써, 제1 피니언(254)과 제1 랙기어(255)는 제2 모터(240)로부터 제2 축(220)을 통하여 구동력이 전달되는 최종 목적 지점으로서 기능하게 된다.The first pinion 254 is engaged with the first rack gear 255 mounted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rail 110, so that the first pinion 254 and the first rack gear 255 are connected to the second motor ( It functions as a final destination point at which the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from 240 to the second shaft 220 .

여기서, 제1 이동체(130)의 하면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제1 이동휠(131)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1 레일(110)의 양측면을 따라 함몰 형성된 제1 안내홈(111)에 구름 접촉 가능하게 맞물리고, 제1 안내홈(111)과 제1 이동휠(131)의 맞물림에 따라 제1 이동체(130)는 제2 모터(24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제1 레일(110)상을 왕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Here, a plurality of first moving wheels 131 are rotatably mounted along both side edg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moving body 130 , and in the first guide grooves 111 recessed along both sides of the first rail 110 . The first moving body 130 receives the driving force from the second motor 240 according to the engagement between the first guide groove 111 and the first moving wheel 131 and is engaged so as to b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first rail 110 . The prize will be round-trip.

한편, 제2 유닛(200)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구조의 구동전달계에 의하여 제2 이동체(140)의 이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2 이동체(140)측으로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S. 3 and 4 , the second unit 200 can transmit the driving force necessary for the movement of the second movable body 140 to the second movable body 140 by the drive transmission system having the following structure. will be.

우선, 제3 원추기어(261)가 제2 축(220)의 타단부에 장착되고, 제2 축(220)과 직교하는 제2 수직 전달축(이하 미도시, 제1 수직 전달축(252)의 구조 참고)이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 이동체(14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First, the third conical gear 261 is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haft 220, and a second vertical transmission shaft perpendicular to the second shaft 220 (hereinafter not shown, the first vertical transmission shaft 252) ) is dispos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thir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econd direction and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second moving body 140 .

그리고, 제2 수직 전달축의 상단부에는 제4 원추기어(263)가 장착되어 제3 원추기어(261)와 맞물리게 되며, 제2 피니언(264)이 제2 이동체(140)의 하면으로부터 관통되어 노출된 제2 수직 전달축의 하단부에 장착된다.In addition, a fourth conical gear 263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transmission shaft to engage the third conical gear 261 , and the second pinion 264 penetrat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movable body 140 and is exposed. It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transmission shaft.

이러한 제2 피니언(264)은 제2 레일(120)의 측면을 따라 장착되는 제2 랙기어(265)와 맞물리게 됨으로써, 제2 피니언(264)과 제2 랙기어(265)는 제2 모터(240)로부터 제2 축(220)을 통하여 구동력이 전달되는 최종 목적 지점으로서 기능하게 된다.The second pinion 264 is engaged with the second rack gear 265 mounted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rail 120, so that the second pinion 264 and the second rack gear 265 are connected to the second motor ( It functions as a final destination point at which the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from 240 to the second shaft 220 .

여기서, 제2 이동체(140)의 하면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제2 이동휠(141)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2 레일(120)의 양측면을 따라 함몰 형성된 제2 안내홈(121)에 구름 접촉 가능하게 맞물리고, 제2 안내홈(121)과 제2 이동휠(141)의 맞물림에 따라 제2 이동체(140)는 제2 모터(24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제2 레일(120)상을 왕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Here, a plurality of second moving wheels 141 are rotatably mounted along both side edg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moving body 140 , and in the second guide grooves 121 recessed along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rail 120 . The second moving body 140 receives the driving force from the second motor 240 according to the engagement between the second guide groove 121 and the second moving wheel 141 and is engaged so as to b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second rail 120 . The prize will be round-trip.

한편, 제1 브러시(310)와 제2 브러시(320)의 모 다발을 구성하는 모(毛)에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세라믹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5 , a ceramic coating layer is preferably formed on the hairs constituting the hair bundles of the first brush 310 and the second brush 320 .

세라믹 코팅층은 금속 산화물계 바인더(binder) 무기질 필러(filler)를 균일하게 분산시켜 액화한 후 모의 표면에 도포 또는 침지시키고, 저온 또는 고온 가열 처리함으로써, 제1 브러시(310)와 제2 브러시(320)의 모 다발을 구성하는 모(毛)의 내열성과 내마모성 및 내식성을 높이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이다.The ceramic coating layer is formed by uniformly dispersing and liquefying a metal oxide-based binder, inorganic filler, and then applying or immersing it on the surface of the hair, and heat-treating it at a low or high temperature, so that the first brush 310 and the second brush 320 are liquefied. ) is formed to increase the heat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and corrosion resistance of the hair constituting the hair bundle.

한편, 본 발명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제1 레일(110) 또는 제2 레일(120)의 양단부 외측과, 제1 이동체(130) 또는 제2 이동체(220)의 일측에 장착되며, 제1 방향에 따른 제1 이동체(130) 및 제2 이동체(140)의 왕복 스트로크의 시점과 종점을 규정함과 동시에, 제2 모터(220)의 정방향 회전 또는 역방향 회전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스트로크 관리수단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4,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both ends of the first rail 110 or the second rail 120 and one side of the first movable body 130 or the second movable body 220, Stroke management to define the start and end points of the reciprocating strokes of the first and second moving objects 130 and 140 in the first direction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second motor 220 rotates forward or backward. It may be possible to provide more means.

이러한 스트로크 관리수단은, 크게 리미트 스위치(180)와 스위치 접촉 브라켓(190)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roke management means may include a limit switch 180 and a switch contact bracket 190 largely.

리미트 스위치(180)는 스위치 접촉 브라켓(190)의 단부와 접촉하여 제1 이동체(130) 및 제2 이동체(140)의 이동 방향과 제2 모터(220)의 회전 방향을 절환하기 위한 접촉편(181)을 구비할 수 있다.The limit switch 18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nd of the switch contact bracket 190 to switc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moving body 130 and the second moving body 140 and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second motor 220, a contact piece ( 181) can be provided.

스트로크 관리수단의 보다 상세하고 구체적인 작동 메커니즘에 관하여는 본 출원인이 기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2023989호의 "자동화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와 대동소이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등록특허 제10-2023989호의 내용을 참조하기로 하며, 편의상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s for the more detailed and specific operation mechanism of the stroke management means,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Automated Foreign Matter Stacking Prevention Device" of Patent Registration No. 10-2023989, which the applicant has previously applied for and registered. The contents will be referred to, an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한편, 본 발명은 효율적인 전원 관리와 외부 전원이 상시 연결되지 않더라도 충방전에 따른 자체적인 구동이 가능하도록 도 6과 같은 도킹스테이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ocking station as shown in FIG. 6 to enable efficient power management and autonomous driving according to charging and discharging even when external power is not always connected.

이러한 도킹스테이션은 크게 터미널 바(710)와 단자 고정홈(711)과 제1 접속 단자편(720)과 도킹스테이션 박스(730)와 단자 슬롯(731) 및 제2 접속 단자편(이하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The docking sta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terminal bar 710, a terminal fixing groove 711, a first connection terminal strip 720, a docking station box 730, a terminal slot 731,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strip (not shown below). may include.

우선, 터미널 바(710)는 제1 이동체(130) 또는 제2 이동체(140)의 상면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며, 단자 고정홈(711)은 이러한 터미널 바(710)의 선단부 양측에 각각 함몰 형성되는 것이다.First, the terminal bar 710 is formed to extend from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vable body 130 or the second movable body 140 to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terminal fixing groove 711 is such a terminal bar 710 . It is to be formed by depressions on both sides of the front end of each.

제1 접속 단자편(720)은 단자 고정홈(711)에 각각 결합되어 컨트롤러(4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원호 형상의 선단부를 가지는 것이다.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pieces 720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terminal fixing grooves 711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420, and have an elastically deformable arc-shaped tip.

도킹스테이션 박스(730)는 제1 레일(110) 또는 제2 레일(120)의 단부에 장착되며 외부 전원과 연결되며, 내부에 충방전 회로(이하 미도시)가 구비된 것이며, 단자 슬롯(731)은 이러한 도킹스테이션 박스(730)의 일측면에 관통 형성되어 제1 접속 단자편(720)의 출입을 허용하는 것이다.The docking station box 730 is mounted on the end of the first rail 110 or the second rail 120 and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has a charging/discharging circuit (not shown below) therein, and a terminal slot 731 . ) is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docking station box 730 to allow entry and exit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piece 720 .

제2 접속 단자편은 도킹스테이션 박스(730)에 내장되어 충방전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접속 단자편(720)이 단자 슬롯(731)을 통해 삽입되면 접촉하여 충방전 회로와 컨트롤러(420)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piece is built in the docking station box 73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e/discharge circuit, and when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piece 720 is inserted through the terminal slot 731, it contacts the charge/discharge circuit and the controller ( 420) is provided to electrically connect each other.

여기서, 원호 형상인 제1 접속 단자편(720) 선단부 한 쌍의 폭은, 제1 접속 단자편(720)이 단자 슬롯(731)에 출입하기 전의 상태일 때, 단자 슬롯(731)의 폭보다 크거나 같은 것이, 더욱 정확하고 확실한 전기적 접촉에 따른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바람직하다.Here, the width of the pair of tip ends of the arc-shaped first connection terminal piece 720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terminal slot 731 when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piece 720 is in a state before entering and exiting the terminal slot 731 . Greater than or equal to, is preferred for more accurate and reliable electrical connection according to electrical contact.

한편, 본 발명은 대상면(500)을 포함하는 패널(510)을 용이하게 설치하고, 설치후 정확한 위치에 안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 6과 같은 고정 구조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structure as shown in FIG. 6 so that the panel 510 including the target surface 500 can be easily installed and seated and fixed in an accurate position after installation. .

전술한 고정 구조는 받침지지 바(150)와 스페이서 브라켓(160)과 바닥 설편(161)과 가장자리 규제편(170)과 상부 걸림편(171)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fixing structure may include a support bar 150 , a spacer bracket 160 , a bottom tongue piece 161 , an edge regulating piece 170 , and an upper locking piece 171 .

우선, 받침지지 바(150)는 제1 레일(110) 및 제2 레일(120) 각각의 하면과 마주보는 상면을 가지며, 제2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복수로 이격 배치되어 제1, 2 레일(110, 120)을 포함하여 제2 내지 제4 유닛(200, 300, 400) 및 패널(510)의 하중을 균일하게 분산 지지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First, the support bar 150 has an upper surface facing the lower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rail 110 and the second rail 120,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in the second direction in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rails ( 110 and 120, including the second to fourth units 200, 300, 400, and the panel 510 are provided to uniformly distribute and support the load.

그리고, 스페이서 브라켓(160)은 복수의 받침지지 바(150)의 양단부 상면에 각각 장착되어 제1 레일(110) 및 제2 레일(120)의 하면과 접촉하고, 제1 레일(110) 및 제2 레일(120)을 받침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In addition, the spacer bracket 16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s of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150 , respectively, to contact the lower surfaces of the first rail 110 and the second rail 120 , and the first rail 110 and the second rail 120 , respectively. It is provided to perform a role of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2 rail 120 .

그리고, 바닥 설편(161)은 스페이서 브라켓(160)의 하단부로부터 제1 레일(110) 및 제2 레일(120)을 향하여 서로 마주보게 연장되어 복수의 받침지지 바(150)의 양단부 상면에 고정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bottom tongue piece 161 extends from the lower end of the spacer bracket 160 toward the first rail 110 and the second rail 120 to face each other and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150 . will be.

또한, 가장자리 규제편(170)은 바닥 설편(161)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동시에 직교하는 제3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edge regulating piece 170 protrudes from one edge of the bottom tongue piece 161 in a thir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t the same time.

아울러, 상부 걸림편(171)은 가장자리 규제편(170) 각각의 상단부로부터 제1 레일(110) 및 제2 레일(120)을 향하여 서로 마주보게 절곡 연장되어 복수의 받침지지 바(150) 각각의 상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upper locking piece 171 is bent and extended to face each other from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edge regulating pieces 170 toward the first rail 110 and the second rail 120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support bars 150 . It is arranged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따라서, 대상면(500)을 형성하는 패널(510)의 하면은 복수의 받침지지 바(150) 각각의 상면과 접촉함과 동시에, 가장자리 규제편(170)에 의하여 제1 레일(110) 및 제2 레일(120)과 평행한 패널(510)의 양측 가장자리 면이 접촉 정렬되고, 상부 걸림편(171)에 의하여 패널(510)의 가장자리 상면이 걸림 고정될 것이다.Accordingly, the lower surface of the panel 510 forming the target surface 50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150 ,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rail 110 and the second rail 110 by the edge regulating piece 170 . 2 The side edge surfaces of the panel 510 parallel to the rail 120 are align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edge of the panel 510 is caught and fixed by the upper locking piece 171 .

즉, 패널(510)은 태양광 패널(510)이나 샌드위치 패널(510) 등 지붕 마감재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That is, the panel 510 may be a roof finishing material such as a solar panel 510 or a sandwich panel 510 .

여기서, 패널(510)의 두께는 상부 걸림편(171)의 하면과 복수의 받침지지 바(150) 각각의 상면 사이의 거리, 즉 가장자리 규제편(170)의 높이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Here, the thickness of the panel 510 may be defin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locking piece 171 and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150 , that is, the height of the edge regulating piece 170 .

따라서, 패널(510)의 다양한 두께에 대응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 규제편(170)의 길이를 맞춰 제작하여 현장에서 설치 및 시공하는데 편의를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refore,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for installation and construction in the field by manufacturing the length of the edge regulating piece 170 to correspond to the various thicknesses of the panel 510 .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1, 2 레일(110, 120)과 받침지지 바(150)와 스페이서 브라켓(160)과 가장자리 규제편(170)과 상부 걸림편(171)과 제1, 2 랙기어(255, 265)와 브러시 지지 프레임(330)과 사이드 커버 박스(610) 및 코어 커버 박스(620) 등 대기중에 노출되는 부품들은 모두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고온 또는 저온 환경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rails 110 and 120, the support bar 150, the spacer bracket 160, the edge regulating piece 170, the upper engaging piece 171, and the first and second rack gears ( 255, 265), the brush support frame 330, the side cover box 610, and the core cover box 620 are all parts exposed to the air, such as aluminum, aluminum alloy, or stainless steel, so that they are all made of aluminum, aluminum alloy, or stainless steel.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use i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대상면에 적층되는 이물질의 종류나 양 등에 따라 구동전달계의 출력량을 조절함으로써 불필요한 동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에너지의 효율적인 관리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이물질 감지에 따른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utpu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foreign substances to minimiz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and to promote efficient energy management by adjusting the output amount of the drive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type or amount of foreign substances stacked on the target surface. It can be seen that the basic technical idea is to provide a device for preventing the accumulation of foreign substances.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And,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y other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also possible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제1 유닛
110...제1 레일
111...제1 안내홈
120...제2 레일
121...제2 안내홈
130...제1 이동체
131...제1 이동휠
140...제2 이동체
141...제2 이동휠
150...받침지지 바
160...스페이서 브라켓
161...바닥 설편
170...가장자리 규제편
171...상부 걸림편
180...리미트 스위치
181...접촉편
190...스위치 접촉 브라켓
200...제2 유닛
210...제1 축
220...제2 축
230...제1 모터
240...제2 모터
251...제1 원추기어
252...제1 수직 전달축
253...제2 원추기어
254...제1 피니언
255...제1 랙기어
261...제3 원추기어
263...제4 원추기어
264...제2 피니언
265...제2 랙기어
300...제3 유닛
310...제1 브러시
320...제2 브러시
330, 330...브러시 지지 프레임
400...제4 유닛
410...감지센서
420...컨트롤러
500...대상면
510...패널
610...사이드 커버 박스
620...코어 커버 박스
710...터미널 바
711...단자 고정홈
720...제1 접속 단자편
730...도킹스테이션 박스
731...단자 슬롯
100...first unit
110...First rail
111...First Information Home
120...2nd rail
121...Second Information Home
130... the first moving body
131...First moving wheel
140...Second moving body
141...2nd moving wheel
150...support bar
160...spacer bracket
161...
170...Edge regulation
171...top jamming
180...limit switch
181...Contact
190...switch contact bracket
200...2nd unit
210... 1st axis
220...2nd axis
230...first motor
240...second motor
251...First conical gear
252...first vertical transmission axis
253...Second conical gear
254...first pinion
255...1st rack gear
261...Third conical gear
263...4th conical gear
264...2nd pinion
265...2nd rack gear
300...3rd unit
310...first brush
320...second brush
330, 330...Brush support frame
400...4th unit
410...sensing sensor
420...controller
500...target plane
510...panel
610...side cover box
620...core cover box
710...Terminal bar
711...Terminal fixing groove
720 ... first connection terminal block
730...Docking Station Box
731...terminal slot

Claims (7)

대상면에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레일과, 상기 대상면에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1 레일과 평행한 제2 레일과, 상기 제1 레일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왕복 가능한 제1 이동체와, 상기 제2 레일에 장착되어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왕복 가능한 제2 이동체를 포함하는 제1 유닛;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이동체와 상기 제2 이동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양단부를 가지는 제1 축과,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이동체와 상기 제2 이동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양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축과 평행한 제2 축과, 상기 제1 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축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상기 제1 축에 전달하는 제1 모터와, 상기 제2 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이동체 및 상기 제2 이동체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상기 제2 축에 전달하는 제2 모터를 포함하는 제2 유닛;
상기 제1 축에 장착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모 다발을 구비한 제1 브러시와, 상기 제1 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축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이동체 및 상기 제2 이동체에 각각 장착되는 양단부를 가지는 브러시 지지 프레임에 각각 장착되는 제2 브러시를 포함하는 제3 유닛; 및
상기 대상면의 일측에 구비되거나 상기 제1 이동체 또는 상기 제2 이동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대상면에 이물질이 적층되는 것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와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의 가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제4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레일 및 상기 제2 레일 각각의 하면과 마주보는 상면을 가지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받침지지 바와, 상기 복수의 받침지지 바의 양단부 상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제1 레일 및 상기 제2 레일의 하면과 접촉하고, 상기 제1 레일 및 상기 제2 레일을 받침 지지하는 스페이서 브라켓과, 상기 스페이서 브라켓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1 레일 및 상기 제2 레일을 향하여 서로 마주보게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받침지지 바의 양단부 상면에 고정되는 바닥 설편과, 상기 바닥 설편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동시에 직교하는 제3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장자리 규제편과, 상기 가장자리 규제편 각각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제1 레일 및 상기 제2 레일을 향하여 서로 마주보게 절곡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받침지지 바 각각의 상면과 평행한 상부 걸림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감지에 따른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
A first rail disposed on the target surface in a first direction, a second rail disposed along the first direction on the target surface and parallel to the first rail, and mounted on the first rail to support the first rail a first unit including a first movable body reciprocable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movable body mounted on the second rail and reciprocable in the first direction along the second rail;
a first shaft disposed in a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having both ends rotatably supported by the first movable body and the second movable body, respectively, and disposed in the second direction, the first movable body and the first movable body A second shaft having both ends rotatably supported by a second movable body and parallel to the first shaft, and a first shaft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to transmit a driving force for rotation of the first shaft to the first shaft a second unit including a motor and a second motor connected to the second shaft to transmit driving force for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bodies to the second shaft;
a first brush having a plurality of hair bundles mounted on the first shaft and arranged radially, and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haft with respect to the first shaft and mounted on the first movable body and the second movable body, respectively a third unit including a second brush each mounted to a brush support frame having both ends; and
a detection sens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arget surface 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movable body or the second movable body to detect in real time that foreign substances are stacked on the target surface, the detection sensor,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vable body A fourth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motor and includ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A plurality of support bars having upper surfaces facing the lower surfaces of each of 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rail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respectively, ar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s of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a spacer bracket in contact with lower surfaces of 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rail and supporting 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rail; and facing each other from a lower end of the spacer bracket toward 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rail A bottom tongue piece extending to look at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s of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and an edge regulating piece protruding from one edge of the bottom tongue piece in a third direction at the same time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Foreign matter det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upper engaging piece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edge regulating pieces toward 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rail to face each other and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A device for preventing the accumulation of foreign substances with an outpu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이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1 모터의 rpm을 조절하거나,
상기 이물질이 상기 대상면에 적층된 양에 따라 상기 제1 모터의 출력량을 조절하거나,
상기 대상면에 상기 이물질이 적층되는 속도에 따른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의 가동 패턴을 저장 또는 분석하여 상기 대상면이 형성된 지역에 맞는 제어 로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감지에 따른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is
Adjusting the rpm of the first motor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foreign matter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or adjust the output amount of the first motor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foreign matter is stacked on the target surface,
By storing or analyzing the operation patterns of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according to the speed at which the foreign substances are stacked on the target surface, a control logic suitable for the area in which the target surface is formed is generated. Foreign matter stacking prevention device with output control fun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2 축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제1 원추기어와,
상기 제2 축과 직교하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이동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수직 전달축과,
상기 제1 수직 전달축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원추기어와 맞물리는 제2 원추기어와,
상기 제1 이동체의 하면으로부터 관통되어 노출된 상기 제1 수직 전달축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제1 피니언과,
상기 제1 레일의 측면을 따라 장착되어 상기 제1 피니언이 맞물리는 제1 랙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감지에 따른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unit is
a first conical gear mounted on one end of the second shaft;
a first vertical transmission shaft orthogonal to the second axis, dispos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thir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econd direction, and rotatably supported by the first movable body;
a second conical gear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vertical transmission shaft and engaged with the first conical gear;
a first pinion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transmission shaft expose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movable body;
The device for preventing the stacking of foreign substances having an outpu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foreign substanc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unted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rail and further comprises a first rack gear to which the first pinion is engag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2 축의 타단부에 장착되는 제3 원추기어와,
상기 제2 축과 직교하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이동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수직 전달축과,
상기 제2 수직 전달축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3 원추기어와 맞물리는 제4 원추기어와,
상기 제2 이동체의 하면으로부터 관통되어 노출된 상기 제2 수직 전달축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제2 피니언과,
상기 제2 레일의 측면을 따라 장착되어 상기 제2 피니언이 맞물리는 제2 랙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감지에 따른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unit is
a third conical gear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haft;
a second vertical transmission shaft orthogonal to the second axis, disposed in a thir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nd rotatably supported by the second moving body;
a fourth conical gear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transmission shaft and engaged with the third conical gear;
a second pinion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transmission shaft expose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movable body;
The device for preventing the stacking of foreign substances having an outpu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foreign substanc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unted along the side of the second rail and further comprises a second rack gear to which the second pinion is engag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러시와 상기 제2 브러시의 모 다발을 구성하는 모(毛)에는 세라믹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감지에 따른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evice for preventing the deposition of foreign substances having an outpu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foreign substances, characterized in that a ceramic coating layer is formed on hairs constituting the hair bundles of the first brush and the second brush.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체 또는 상기 제2 이동체의 상면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터미널 바와,
상기 터미널 바의 선단부 양측에 각각 함몰 형성되는 단자 고정홈과,
상기 단자 고정홈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원호 형상의 선단부를 가지는 제1 접속 단자편과,
상기 제1 레일 또는 상기 제2 레일의 단부에 장착되며 외부 전원과 연결되며, 내부에 충방전 회로가 구비된 도킹스테이션 박스와,
상기 도킹스테이션 박스의 일측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1 접속 단자편의 출입을 허용하는 단자 슬롯과,
상기 도킹스테이션 박스에 내장되어 상기 충방전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접속 단자편이 상기 단자 슬롯을 통해 삽입되면 접촉하여 상기 충방전 회로와 상기 컨트롤러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 접속 단자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감지에 따른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erminal bar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by extending from one end of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or second moving body;
terminal fixing grooves respectively recess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end of the terminal bar;
a first connection terminal piece coupled to the terminal fixing groov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having an elastically deformable arc-shaped tip portion;
a docking station box mounted on the end of the first rail or the second rail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he docking station box having a charge/discharge circuit therein;
a terminal slot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docking station box to allow entry and exit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piece;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piece embedded in the docking station box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discharging circuit, and contacting when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piece is inserted through the terminal slot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harging/discharging circuit and the controller to each other A foreign material stacking prevention device having an output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foreign material det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삭제delete
KR1020190134354A 2019-10-28 2019-10-28 Preveting apparatus for accumulation of alien substance with output controlling function in relation to sensing of alien substance KR1023175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354A KR102317597B1 (en) 2019-10-28 2019-10-28 Preveting apparatus for accumulation of alien substance with output controlling function in relation to sensing of alien substance
PCT/KR2019/017641 WO2021085744A1 (en) 2019-10-28 2019-12-12 Apparatus for preventing accumulation of foreign bodies, having function of controlling output according to detection of foreign bod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354A KR102317597B1 (en) 2019-10-28 2019-10-28 Preveting apparatus for accumulation of alien substance with output controlling function in relation to sensing of alien subst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126A KR20210050126A (en) 2021-05-07
KR102317597B1 true KR102317597B1 (en) 2021-10-26

Family

ID=75716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354A KR102317597B1 (en) 2019-10-28 2019-10-28 Preveting apparatus for accumulation of alien substance with output controlling function in relation to sensing of alien substan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17597B1 (en)
WO (1) WO202108574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390B1 (en) * 2023-03-30 2023-09-14 리셋컴퍼니 주식회사 Surface cleaning robot of phtovltaic module which be able to move up, down, left and righ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94994A (en) * 2013-03-29 2014-10-09 Kowa Co Ltd Detachable solar panel clean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67666A1 (en) * 2011-03-31 2013-03-21 Fu-Chang Liao Automatic machine for cleaning wallboards
KR101307796B1 (en) * 2013-04-04 2013-09-12 인테그라글로벌 주식회사 Apparatus for cleaning and coling solar panel
KR101340039B1 (en) 2013-10-21 2013-12-10 (주)세화에너지산업 Photovoltaic system with apparatus for cleaning solar cell
KR101683284B1 (en) * 2014-02-24 2016-12-07 편도현 Simple structure of the solar panel cleaning equipment
KR101718365B1 (en) * 2015-06-24 2017-03-22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US20190009313A1 (en) * 2017-07-08 2019-01-10 Geetanjali Umesh Choori Robotic waterless cleaning and inspection system with an assistive robotic docking train system and method
KR20190116849A (en) * 2018-04-05 2019-10-15 주식회사 코포스 Cleaning apparatus for solar cel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94994A (en) * 2013-03-29 2014-10-09 Kowa Co Ltd Detachable solar panel clea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126A (en) 2021-05-07
WO2021085744A1 (en)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17616B (en) Cleaning device and photovoltaic array
US20140109334A1 (en) Solar panel cleaning system
US20190009313A1 (en) Robotic waterless cleaning and inspection system with an assistive robotic docking train system and method
CN105414069B (en) Cleaning device
US9157661B2 (en) Service device for maintenance of a solar panel arrangement
KR102299213B1 (en)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of solar panel array and cleaning method thereof
CN205762538U (en) Cleaning device and photovoltaic array
KR101061881B1 (en) Washing apparatus of solar cell
KR102328972B1 (en) Cleaning apparatus for solar cell panels
EP2422889A1 (en) Cleaning device for solar panels
CN105149253A (en) Solar cell panel cleaning device and system
CN105057246B (en) Cleaning device
JP2012190953A (en) Solar cell panel cleaning device and solar cell panel cleaning method
WO2014196480A1 (en) Solar panel cleaning device
JP2015013281A (en) Solar panel cleaning device
US20160065123A1 (en) Method of operating a photovoltaic module array
KR101919946B1 (en) Automatic Cleaning System using Smart Environment Sensor
KR102360131B1 (en) Cleaning Device fot Solar Panel
KR20210056033A (en) Apparatus for cleaning panel
KR102165533B1 (en) Unmanned robot for structural diagnosis using surface cleaning function and vibration sensor
KR102317597B1 (en) Preveting apparatus for accumulation of alien substance with output controlling function in relation to sensing of alien substance
CN108772318A (en) A kind of solar panels intelligence snow removing dedusting robot and its control method
CN109773800B (en) Photovoltaic cell panel cleaning system
KR101965812B1 (en) Solar Panel Cooling System
KR20130088345A (en) A solar photovoltaic cleaning and cool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