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396B1 - Project task management method that provides an online work-based optimized task operation and apparatus of the same - Google Patents

Project task management method that provides an online work-based optimized task operation and apparatus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396B1
KR102315396B1 KR1020210080435A KR20210080435A KR102315396B1 KR 102315396 B1 KR102315396 B1 KR 102315396B1 KR 1020210080435 A KR1020210080435 A KR 1020210080435A KR 20210080435 A KR20210080435 A KR 20210080435A KR 102315396 B1 KR102315396 B1 KR 102315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
task
source data
evalu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04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민우
장정식
정구영
서형준
최의호
원동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Priority to KR1020210080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39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3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8Staff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8Performance of employee with respect to a job fun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ject-based task management method for a crowdsourcing-based project executed by a device. The method includes: a step of grouping tasks executing the project into task groups based on the number of the tasks; a step of evenly distributing source data executing the project to the task groups; a step of calculating an evaluation score processing the source data of each of the task groups from the execution of the project to the evaluation using an evaluation function determined based on the type of the project; and a step of distributing the remaining source data not processed at the evaluation time point to the task group corresponding to the highest evaluation score among the task groups. The evaluation function is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one evaluation element and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evaluation element. The at least one evaluation element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labor cost required for the source data processing, the time consumed per result data in the data redistribution period, the quality of the result data, the normalized progress rate of outputting the result data, and the level of difficulty of processing the source data. The weight is determined based on the type of the project.

Description

온라인 워크 기반 최적화된 태스크 운영 방안을 제공하는 프로젝트 태스크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PROJECT TASK MANAGEMENT METHOD THAT PROVIDES AN ONLINE WORK-BASED OPTIMIZED TASK OPERATION AND APPARATUS OF THE SAME}A project task management method that provides an online work-based optimized task operation method and a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프로젝트에 포함된 태스크를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라인 워크 기반 프로젝트 태스크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aging a task included in a projec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nline work-based project task management method.

기업 활동의 일부 과정에 일반 대중을 참여시키는 크라우드 소싱 기반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수집 및 가공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 An increasing number of companies are collecting and processing large amounts of data based on crowdsourcing that engages the general public in some processes of business activities.

크라우드 소싱은 대중(crowd)와 아웃소싱(outsourcing)의 합성어로, 기업 활동 일부 과정에 대중을 참여시키는 것을 의미한다.Crowdsourcing is a compound word of crowd and outsourcing, and refers to involving the public in some process of business activities.

이러한 크라우드 소싱은 최근 디지털 장터에서 거래되는 기간제 근로의 의미를 갖는 긱 경제(Gig economy)에 적합한 구조로서, 기업이 수요자의 요구에 즉각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 디멘드(On demand)에 최적화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This crowdsourcing is a structure suitable for the gig economy, which has the meaning of fixed-term work traded in the recent digital marketplace, and is optimized for on demand, in which companies provide services immediately to the needs of consumers. may be provided.

이를 통해 기업의 활동에 대중들을 참여시키면 기업 입장에서는 참신한 아이디어와 실질적인 의견을 들을 수 있고, 대중들은 피드백 참여에 관한 보수를 받을 수 있으며 클라우드 및 AI 기반의 RPA 기술과 인지(Cognitive), 분석(Smart Analysis)을 결합한 디지털 워크 포스를 이용하여 고품질의 프로젝트 결과를 수요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Through this, if the public is involved in the company's activities, new ideas and practical opinions can be heard from the company's point of view, and the public can be paid for participating in feedback, and RPA technology based on cloud and AI, cognitive and Analysis) combined with Digital Workforce can be used to provide high-quality project results to consumers.

또한, 크라우드 소싱을 이용하면 외부 전문업체에 맡겨서 직접 물건을 만들거나 서비스를 하는 것보다 대중들이 직접 참여하여 원하는 결과물을 이끌어내면 개발 비용도 저렴하게 들고, 잠재 고객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using crowdsourcing has the advantage of lowering development costs and obtaining potential customers if the public participates directly to produce the desired results rather than entrusting it to an external professional to make or service a product.

최근에는 크라우드 소싱이 데이터 라벨링 자동화, 분산처리 설계, 온라인 비대면 관리 등 데이터 라벨링 서비스와 인적자원관리(HR Tech)에 이용되며 더 나아가 자율주행과 영상 학습 등 인공지능 솔루션 고도화를 위해 대량의 정형화된 학습 데이터가 필요한 산업 분야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Recently, crowdsourcing has been used for data labeling services such as data labeling automation, distributed processing design, online non-face-to-face management,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HR Tech). It is being actively used in industries that require learning data.

다만, 크라우드 소싱을 이용한 프로젝트의 수행시 프로젝트의 난이도가 너무 높아 대중이 해당 프로젝트에 참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when performing a project using crowdsourcing, the difficulty of the project is too high, and the public cannot participate in the project.

한편 특정 프로젝트의 경우 작업자가 참여하고 싶어도 각 프로젝트에 이용되는 소스 데이터에 포함된 컨텐츠의 작업 난이도가 높아 이를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specific project, even if the worker wants to participate, it is difficult to perform the task due to the high difficulty of the content included in the source data used for each project.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solving these problems.

또한 프로젝트를 적절한 태스크로 분할하여 많은 대중들이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될 수 있는 실정이다.It may also be desirable to have a way to divide the project into appropriate tasks so that a large number of the public can participate in the project.

더 나아가 프로젝트 상의 태스크를 적절하게 관리하게 위해서는 태스크를 적절하게 평가하는 방법이 필요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Furthermore, in order to properly manage the tasks on the project, a method for properly evaluating the tasks is required, but research on this is insufficient.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95956호, 2014.08.04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95956, 2014.08.0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프로젝트별 컨텐츠의 난이도를 분석하고 컨텐츠의 난이도가 높은 경우 적절한 난이도로 이를 분할하여 많은 작업자가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워크 기반 프로젝트 분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nline work-based project division method that analyzes the difficulty of content for each project and divides it into an appropriate level of difficulty when the difficulty of the content is high so that many workers can participate in the project, and a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will do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프로젝트 상의 테크스를 난이도 별로 적절하게 분할하여 많은 수의 작업자를 해당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온라인 워크 기반 프로젝트 태스크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nline work-based project task management method in which the tech on the project is appropriately divided by difficulty to induce a large number of workers to participate in the corresponding projec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프로젝트 상의 태스크를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최적의 상태로 관리하기 위하여 각각의 태스크를 평가하는 온라인 워크 기반 프로젝트 태스크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한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nline work-based project task management method for evaluating each task in order to manage the tasks on the project in an optimal state in carrying out the project, and a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기반 태스크 관리 방법은,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크라우드 소싱 기반 프로젝트 태스크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A project-based task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for managing a crowdsourcing-based project task performed by an apparatus,

상기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복수의 태스크를 상기 복수의 태스크 개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태스크 그룹으로 그루핑 하는 단계; 상기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소스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태스크 그룹에 균등하게 분배하는 단계; 상기 프로젝트의 종류를 기초로 결정된 평가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젝트 수행 시점부터 평가 시점까지 상기 복수의 태스크 그룹 각각의 상기 소스 데이터를 처리하는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평가 시점에서 처리되지 않은 나머지 소스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태스크 그룹 중 가장 높은 평가 점수에 대응되는 태스크 그룹에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grouping a plurality of tasks for performing the project into a plurality of task groups based o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tasks; evenly distributing the source data for performing the project to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calculating an evaluation score for processing the source data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from the project execution time to the evaluation time point by using an evaluation function determined based on the type of the project; Distributing the remaining source data not processed at the time of the evaluation to a task group corresponding to the highest evaluation score among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상기 평가 함수는, 적어도 하나의 평가 요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평가요소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기초로 결정되고,The evaluation function is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one evaluation factor and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evaluation factor,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평가 요소는, 상기 소스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소모되는 인건 비용, 상기 데이터 재분배 기간에서 상기 결과 데이터 당 소모된 시간, 상기 결과 데이터의 품질, 상기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정규화 된 진행 속도 및 상기 소스 데이터를 처리하는 난이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The at least one evaluation factor includes a labor cost consumed for processing the source data, a time consumed per result data in the data redistribution period, a quality of the result data, a normalized progress rate for outputting the result data, and the at least one of the difficulty levels of processing the source data;

상기 가중치는, 상기 프로젝트의 종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The weight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type of the project.

상기 평가 시점은, 주기를 갖는 데이터 재분배 기간의 합으로 결정되고,The evaluation time is determined by the sum of the data redistribution periods having a period,

상기 데이터 재분배 기간의 주기는, 상기 소스 데이터가 상기 복수의 태스크 그룹에 균등하게 분배된 시점부터 상기 복수의 태스크 그룹 각각이 미리 결정된 비율의 소스 데이터를 처리한 시간 중 최대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The period of the data redistribution period may be determined as a maximum value from a time point when the source data is equally distributed to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and a time during which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processes the source data at a predetermined rati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스크 관리 방법은, 상기 프로젝트 시작 시점부터 상기 데이터 재분배 기간 마다 상기 복수의 태스크 그룹의 평가 점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재분배 기간 마다 상기 복수의 태스크 그룹 각각의 평가 점수의 합에 대한 특정 태스크 그룹의 평가 점수의 비율을 기초로 나머지 소스 데이터를 재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task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etermining evaluation scores of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for each data redistribution period from the project start time; and redistributing the remaining source data based on a ratio of the evaluation score of a specific task group to the sum of the evaluation scor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for each data redistribution period.

상기 나머지 소스 데이터를 재분배 단계는, 상기 복수의 태스크 그룹 각각에 대응되는 평가 점수의 합이 최대 값이 되는 시점까지 반복되어 수행될 수 있다.The redistributing of the remaining source data may be repeatedly performed until a point in time when a sum of evaluation scor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becomes a maximum value.

상기 평가 시점은, 상기 복수의 태스크 그룹 각각에 대응되는 평가 점수의 합이 최대 값이 되는 시점으로 결정될 수 있다.The evaluation time may be determined as a time when the sum of evaluation scor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becomes a maximum value.

상기 소모되는 비용은, 분배된 상기 소스 데이터를 기초로 결정된 상기 결과 데이터 수에 대한 상기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데 지급되는 총 포인트의 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The consumed cost may be determined as the sum of the total points paid for outputting the result data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result data determined based on the distributed source data.

상기 데이터 재분배 기간에서 상기 결과 데이터 당 소모된 시간은, The time consumed per result data in the data redistribution period is,

상기 데이터 재분배 기간 동안 출력된 상기 결과 데이터 수에 대한 상기 결과 데이터의 작업 시간 및 검수 시간의 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It may be determined as the sum of the work time and inspection time of the result data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result data output during the data redistribution period.

상기 결과 데이터의 품질은, 분배된 상기 소스 데이터를 기초로 결정된 상기 결과 데이터 수에 대한 상기 결과 데이터의 반려 횟수의 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The quality of the result data may be determined as a sum of the number of rejections of the result data to the number of result data determined based on the distributed source data.

상기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정규화 된 진행 속도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재분배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태스크 그룹 각각이 실제 상기 소스 데이터를 처리한 시간에 대한 상기 소스 데이터로부터 출력된 상기 결과 데이터의 수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The normalized progress rate for outputting the result data is based on the number of result data output from the source data for the time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actually processed the source data during the plurality of data redistribution periods can be decided.

상기 소스 데이터를 처리하는 난이도는, 상기 복수의 태스크 그룹 각각에 참여한 작업자 수에 대한 미리 결정된 레벨 이하에 대응되는 작업자 수로 결정될 수 있다.The difficulty of processing the source data may be determined as the number of workers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level or less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workers participating in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워크 기반 프로젝트 태스크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는 프로젝트별 컨텐츠의 난이도를 분석하고 컨텐츠의 난이도가 높은 경우 적절한 난이도로 이를 분할하여 많은 작업자가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n online work-based project task management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 the difficulty of the content for each project, and if the difficulty of the content is high, divide it into an appropriate difficulty level so that many workers can participate in the project. c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워크 기반 프로젝트 태스크 관리 방법은, 프로젝트 상의 테크스를 난이도 별로 적절하게 분할하여 많은 수의 작업자를 해당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The online work-based project task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duce a large number of workers to participate in the project by appropriately dividing the tech on the project by difficulty lev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워크 기반 프로젝트 태스크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는 프로젝트 상의 태스크를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최적의 상태로 관리하기 위하여 각각의 태스크를 평가할 수 있다.The online work-based project task management method and the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valuate each task in order to manage the tasks on the project in an optimal state in carrying out the proj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워크 기반 프로젝트 태스크 관리 방법은, 실제 수행 통한 결과를 이용해서 태스크를 분할 또는 조정해 나감으로써 사전에 예상하지 못한 상황이나 변수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The online work-based project task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influence of unexpected situations or variables in advance by dividing or adjusting the task using the results of actual execu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워크 기반 프로젝트 태스크 관리 방법은, 설명된 과정을 통해 쌓인 데이터를 활용해서 최초 작업 분할 구성을 최적화하고, 이를 통해 최적화된 구성을 찾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The online work-based project task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timizes the initial work division configuration by using the data accumulated through the described process, thereby reducing the time required to find the optimized configuration.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워크 기반 프로젝트 분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는 프로젝트 별로 적절한 난이도의 컨텐츠로 분할하여 적절한 단가를 산출 가능할 수 있다.The online work-based project division method and the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apable of calculating an appropriate unit price by dividing the content into content having an appropriate difficulty for each proj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워크 기반 프로젝트 분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는 많은 작업자들이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프로젝트 상에서 결과데이터를 받는 시간 단축시킬 수 있다.The online work-based project divi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many workers to participate in the project and receive result data on the projec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온라인 워크 기반 프로젝트 태스크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태스크를 그루핑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머지 소스 데이터를 각 태스크 그룹에 분배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태스크를 더욱 세분화여 소스 데이터를 처리하고 이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태스크의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스크의 개수로 형성된 복수의 태스크 그룹에 소스데이터를 분배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 시점 및 데이터 재분배 기간에 관련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태스크의 평가 점수에 기초하여 소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 점수에 기초하여 각 태스크 그룹의 동작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 함수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와 해당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컨텐츠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기초로 프로젝트를 분할하는 전체적인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그룹을 서브 컨텐츠 그룹으로 분할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체크리스트에 따른 작업시간을 산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의 참가에 따른 작업시간을 산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작업 시간에 따라 분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2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online work-based project task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grouping tasks constituting a pro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tributing sourc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tributing the remaining source data to each task gro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processing source data by further subdividing a t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lculating an evaluation score for the sam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calculating an evaluation score of each t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tributing source data to a plurality of task groups formed by the number of tas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related to an evaluation time point and a data redistribution peri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tributing source data based on an evaluation score of each t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etermining an operation of each task group based on an evaluation sc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ents of an evalu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ject and contents constituting the pro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verall operation of dividing a project based on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viding a content group into sub content grou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calculating a working time according to a data check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calculating a working time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of an op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viding content according to work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to 21 are flowchar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component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will have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specifically defined explicitly.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의미를 간략히 설명한다. 그렇지만 용어의 설명은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명시적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사항으로 기재하지 않은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의미로 사용하는 것이 아님을 주의해야 한다.Before the description, the meaning of the terms used herein will be briefly described.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scription of terms is for the purpose of helping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is not used in the meaning of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explicitly describ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명세서에서 '장치'는 연산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모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장치는 컴퓨터 및 이동 단말기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수신하여 정보처리를 수행하는 서버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노트북 PC,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device' includes various devices capable of providing a result to a user by performing an arithmetic process. For example, devices may be in the form of computers and mobile terminals. The computer may be in the form of a server that receives a request from a client and processes information.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system, a notebook PC, a slate PC, a tablet PC, and an ultrabook. ), a wearable device, for example, a watch-type terminal (smartwatch), a glass-type terminal (smart glass), a head mounted display (HMD), and the like.

본 발명은 크라우딩 소싱 기반으로 수행되는 프로젝트에 있어서 많은 참여자가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효율적인 프로젝트를 운영하기 위한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fficiently operating a project in which many participants participate in a project performed based on crowding sourcing, and a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로젝트의 진행 전 또는 진행 중 난이도 편차가 큰 소스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다른 경로로 처리할 수 있다.To this e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source data having a large deviation in difficulty before or during the project may be filtered and processed through a different pat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트의 진행 전 또는 진행 중 필터링된 소스 데이터 관련 태스크를 적정 난이도의 여러 서브 태스크로 분할 및 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vide and adjust the task related to the source data filtered before or during the progress of the project into several sub-tasks of appropriate difficulty.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1개의 빅 태스크와 여러 개의 서브 태스크 중 유리한 하나의 방식을 비교 평가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mpare and evaluate an advantageous method among one big task and a plurality of sub-tasks.

이하에서는 도1내지 도11에서는 각 태스크의 평가를 기반으로 프로젝트의 태스크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고,Hereinafter, in FIGS. 1 to 11, a method of managing the task of the project based on the evaluation of each task will be described,

도12a내지 도16에서는 컨텐츠의 난이도 별 그루핑을 통하여 프로젝트의 태스크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A method of managing a project task through grouping by difficulty of content will be described in FIGS. 12A to 16 .

또한 도17내지 도21에서는 본 발명의 동작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17 to 21,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chronologically.

본 명세서에서 작업자 단말(30)은 상기 장치(10)에서 상기 프로젝트의 단가 예측이 완료된 후에 상기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작업자가 사용하는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 단말(30)은 상기 장치(10)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사이트 등을 통해 플랫폼에 오픈된 상기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worker terminal 30 may be a device used by the worker performing the project after the unit price prediction of the project is completed in the device 10 . Here, the worker terminal 30 may participate in the project opened on the platform through an application or website provided by the device 10 .

본 명세서에서 의뢰 서버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장치에 특정 프로젝트를 수행할 것을 의뢰하는 컴퓨팅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quest server may refer to a computing device that requests the device performing the project to perform a specific project.

의뢰 서버(20)는 인공지능 학습데이터의 생성을 위한 소스 데이터의 수집 또는 데이터 어노테이션 등을 목적으로 온라인 워크 기반 프로젝트를 의뢰하는 서버일 수 있다.The request server 20 may be a server that requests an online work-based project for the purpose of collecting source data or data annotation for the gener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data.

본 명세서에서 태스크는 전체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하위 동작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task may mean a set of sub-operations for performing the entire project.

본 명세서에서 평가 함수 및 평가 점수는 태스크의 관리를 위하여 태스크를 평가하는 방법 및 평가를 통하여 도출되는 출력 점수를 의미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evaluation function and evaluation score may refer to a method for evaluating a task for managing the task and an output score derived through evaluation.

본 명세서에서 소스 데이터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urce data may refer to data input to perform a project.

본 발명에서 컨텐츠는, 해당 프로젝트상에서 소스 데이터에 포함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tent may mean data for performing a project included in source data on a corresponding project.

본 명세서에서 탐색 윈도우는, 평가 함수 및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각 태스크를 평가하는 프로젝트의 구성 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earch window may refer to a component of a project that evaluates each task using an evaluation function and an evaluation score.

본 명세서에서 결과 데이터는 소스 데이터가 프로젝트에 입력되었을 때 출력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result data may refer to data output when source data is input to a proj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온라인 워크 기반 프로젝트 태스크 관리 장치(10)의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online work-based project task management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10)는 메모리(120), 통신부(110), 및 제어부(130)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n apparatus 10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emory 120 , a communication unit 110 , and a control unit 130 .

또한 장치(10)는 의뢰서버(20) 및 작업자 단말(3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Also, the device 10 may communicate with the request server 20 and the operator terminal 30 .

메모리(120)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The memory 120 may store various data for performing a project.

구체적으로 메모리(120)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소스데이터와 각 태스크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 점수 등을 저장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emory 120 may store source data for performing a project and an evaluation score for evaluating each task.

메모리(120)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메모리(120)는 제어부(130)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memory 120 is a non-volatile memory device or RAM (such as a cache, read only memory (ROM), programmable ROM (P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and flash memory (Flash memory). It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of a volatile memory device such as a random access memory, a hard disk drive (HDD), or a storage medium such as a CD-ROM,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memory 120 may be a memory implemented as a chip separate from the processor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controller 130 , or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hip with the processor.

통신부(110)는 의뢰서버(20) 및 작업자 단말(3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communicate with the request server 20 and the worker terminal 30 .

통신부(11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that enable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특히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in addition to the Wifi module and the Wireless broadband module,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an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UMTS). system),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Long Term Evolution (LTE), etc.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제어부(130)는 태스크 관리부(131), 중앙 프로세서(133), 소스데이터 분배부(132), 탐색 윈도우 관리부(134), 최적화 태스크 판단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may include a task management unit 131 , a central processor 133 , a source data distribution unit 132 , a search window management unit 134 , and an optimization task determination unit 135 .

탐색 윈도우 관리부(134)는 평가 함수 판단부(136)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The search window manager 134 may additionally include an evaluation function determiner 136 .

제어부(130)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복수개의 태스크를 형성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may form a plurality of tasks for performing a proj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트는 소스 데이터로 제공되는 이미지의 객체에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ject may mean performing a specific operation on an object of an image provided as source data.

작업형태는 바운딩 박스(Bounding box) 작업,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 작업, 센티멘트(Sentiment) 작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work type may include a bounding box work, a segmentation work, a sentiment work, and the like.

여기서, 먼저, 바운딩 박스 작업은 상기 이미지에서 작업대상을 바운딩 박스로 선택하는 작업일 수 있다.Here, first, the bounding box task may be a task of selecting a work target as a bounding box in the image.

다음으로, 세그멘테이션 작업은 이미지에서 테두리를 따라 상기 작업대상을 분류하는 작업일 수 있다.Next, the segmentation task may be a task of classifying the work object along a border in the image.

그 다음으로, 센티멘트 텍스트에서 상기 작업대상 조건에 따라 문장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분류하는 작업일 수 있다.Next, it may be a task of classifying a sentence or at least one word in the sentiment text according to the work target condition.

제어부(130)는, 복수개의 태스크를 제1그룹과 복수의 태스크로 구성되는 제2그룹으로 그루핑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may group the plurality of tasks into a first group and a second group including the plurality of task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그룹에 대응되는 제1단위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대부분의 태스크를 그루핑 한 빅 태스크(Big task)를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unit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up may mean a big task in which most tasks for performing a project are grouped.

반면 제2 그룹에 대응되는 제2 단위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복수의 태스크를 분할하여 그루핑 되는 서브 태스크(Sub task)를 의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uni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roup may mean a sub task grouped by dividing a plurality of tasks for performing a project.

즉, 제1 단위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많은 수의 태스크, 즉 빅 태스크를 의미하며, 제2 단위는 제1 단위보다는 적은 수의 태스크로 그루핑되는 서브 태스크를 의미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unit may mean a large number of tasks for performing a project, that is, a big task, and the second unit may mean a sub-task grouped into a smaller number of tasks than the first unit.

제어부(130)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소스 데이터 중 일부의 소스 데이터를 상기 제1태스크 그룹및 상기 제2그룹에 분배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may distribute some of the source data used to perform the project to the first task group and the second group.

분배된 소스 데이터는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각 그룹에서 처리될 수 있다.The distributed source data may be processed in each group for a predetermined time.

제어부(130)는 본격적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기전 각 그룹을 평가하기 위하여 소스 데이터 중 일부를 각 그룹에 분해하여 소스 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In order to evaluate each group before carrying out the project in earnest, the controller 130 may decompose some of the source data into each group to process the source data.

일 실시예에 다르면 제어부(130) 중 소스 데이터 분배부(132)는 프로젝트에 수행되는 소스 데이터의 절반을 제1 그룹에 분배하고 나머지 절반을 제1 그룹에 분배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ource data distribution unit 132 of the control unit 130 may distribute half of the source data performed on the project to the first group and the other half to the first group.

제어부(130)는 프로젝트에 대응하여 결정된 평가함수를 이용하여 제1 태스크 그룹과 상기 제2 태스크 그룹 각각이 소스 데이터를 처리하는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may calculate an evaluation score for processing the source data of each of the first task group and the second task group by using the evaluation function determined in response to the project.

한편 이러한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데 있어서 프로세서는 미리 형성된 복수의 탐색 윈도우가 제1태스크 그룹 및 제2 태스크 그룹에 각각 매칭되어 평가 점수를 산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in calculating the evaluation score,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plurality of pre-formed search windows to match the first task group and the second task group, respectively, to calculate the evaluation score.

구체적으로 제어부(130)에는 탐색 윈도우 관리부(134)가 마련되며, 각 탐색 관리부 관리부에는 평가 함수 판단부가 포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30 is provided with a search window management unit 134 , and each search management unit management unit may include an evaluation function determination unit.

제어부(130)는 이러한 기능적 구조를 통하여 평가 함수를 이용하여 각 그룹의 소스 데이터 처리결과를 평가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may evaluate the source data processing result of each group by using the evaluation function through this functional structure.

제어부(130)가 이용하는 평가 함수에는 소스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비용, 시간, 출력 데이터의 품질 및 프로젝트 진행 속도를 고려할 수 있다.The evaluation function used by the controller 130 may consider cost and time required to process the source data, the quality of output data, and the speed of the project.

제어부(130)는 평가 점수에 기초하여 소스 데이터 중 처리되지 않은 나머지 소스 데이터를 상기 제1태스크 그룹 또는 상기 제2 태스크 그룹에 분배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may distribute the remaining unprocessed source data among the source data to the first task group or the second task group based on the evaluation score.

여기서 나머지 소스데이터는 평가 점수가 산출되는데 이용된 소스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소스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remaining source data may refer to the remaining source data excluding the source data used to calculate the evaluation score.

한편 제어부(130)가 각각의 태스크 및 태스크가 포함된 그룹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평가 함수를 이용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30 may use the evaluation function to evaluate each task and the group including the task.

평가 함수는 소스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소모되는 비용, 소스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데 소모되는 소모 시간, 결과 데이터의 품질,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진행 속도, 각 태스크 그룹의 작업 수행 난이도를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evaluation function considers the cost consumed for processing the source data, the time consumed for outputting the result data based on the source data, the quality of the result data, the progress speed of outputting the result data, and the difficulty of performing the task of each task group can be formed by

한편 상술한 동작 이외에 제어부(130)는 처음부터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태스크 개수에 기초하여 태스크 그룹을 달리 결정하여 최적화 태스크 그룹을 결정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e optimization task group by differently determining the task group based on the number of tasks for performing the project from the beginning.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복수의 태스크를 복수의 태스크 개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태스크 그룹으로 그루핑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30 may group a plurality of tasks for performing a project into a plurality of task groups based o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tasks.

즉 제어부(130)는 프로젝트의 파일럿을 수행하는 시작 시점부터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태스크에 개수에 기초하여 각 태스크를 달리 그루핑 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 unit 130 may group each task differently based on the number of tasks for performing the project from the start of performing the pilot of the proj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태스크가 10개라면 태스크를 10가지 방법으로 나누어 그루핑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re are 10 tasks, the task can be grouped by dividing it into 10 methods.

제어부(130)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소스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태스크 그룹에 균등하게 분배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스 데이터의 재분배가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재분배가 이루어지기 전 최초의 시점에서는 제어부가 데이터를 균등하게 분배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may equally distribute the source data for performing the project to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ource data may be redistributed, but at the first point in time before the redistribution is performed, the controller may evenly distribute the data.

한편 제어부(130)는 프로젝트의 종류를 기초로 결정된 평가 함수를 이용하여 프로젝트 수행 시점부터 평가 시점까지 상기 복수의 태스크 그룹 각각의 소스 데이터를 처리하는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130 may calculate an evaluation score for processing the source data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from the time of project execution to the time of evaluation by using the evaluation function determined based on the type of the project.

평가 함수는 수행되는 프로젝트에 따라 달리 결정될 수 있다.The evaluation function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roject being performed.

평가 시점은 제어부가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최적의 태스크 구조를 결정하는 시점을 의미할 수 있다.The evaluation time point may mean a time point at which the control unit determines an optimal task structure for performing a proje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가 시점은 태스크 그룹 각각의 평가 점수의 최대 값을 형성하는 시점을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valuation time point may mean a time point at which the maximum value of the evaluation score of each task group is formed.

제어부(130)는 평가 시점에서 처리되지 않은 나머지 소스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태스크 그룹 중 가장 높은 평가 점수에 대응되는 태스크 그룹에 분배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평가 시점에서 가장 효율이 좋은 태스크 그룹에 남은 소스 데이터를 모두 분배함으로서 최적화된 태스크 그룹에 가장 많은 소스 데이터를 분배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may distribute the remaining source data that has not been processed at the time of evaluation to a task group corresponding to the highest evaluation score among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That is, the controller may distribute the most source data to the optimized task group by distributing all remaining source data to the most efficient task group at the time of evaluation.

한편 상술한 평가 함수는 적어도 하나의 평가 요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평가요소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evaluation funct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one evaluation factor and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evaluation factor.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평가 요소는, 상기 소스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소모되는 인건 비용, 상기 데이터 재분배 기간에서 상기 결과 데이터 당 소모된 시간, 상기 결과 데이터의 품질, 상기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정규화 된 진행 속도 및 상기 소스 데이터를 처리하는 난이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t least one evaluation factor includes a labor cost consumed for processing the source data, a time consumed per result data in the data redistribution period, the quality of the result data, a normalized progress rate for outputting the result data, an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difficulty of processing the source data.

또한 가중치는, 프로젝트의 종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제어부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weight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type of the project.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trol un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에 도시된 장치(10)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At least one component may be added or deleted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components of the device 10 shown in FIG. 1 . In addition,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mutual positions of the components may be changed corresponding to the performance or structure of the system.

한편, 도 1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한다.Meanwhile, each component shown in FIG. 1 means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software and/o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and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태스크를 그루핑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grouping tasks constituting a pro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하면 프로젝트 수행 시 프로젝트 상에는 여러 개의 태스크가 존재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전체 태스크가 6개인 것을 전제하고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2 , several tasks may exist on the project when the project is performed. In FIG. 2,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re are six total tasks for performing the project.

한편 제어부는 모든 태스크(T21)는 하나의 그룹(G21)으로 그루핑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2에서는 T21이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모든 태스크가 하나의 단위로 그루핑 된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may group all tasks T21 into one group G21. Specifically, in FIG. 2 , all tasks for which T21 performs a project may form a group in which one unit is grouped.

또한 프로세서는 여러 개의 태스크(T22, T23)를 다른 단위(G22)으로 그루핑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may group several tasks (T22, T23) into different units (G22).

즉 제어부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복수의 태스크를 제1 단위(T21) 및 제2 단위(T22, T23)로 그루핑할 수 있다. 도2에서는 제1 단위(T21)는 6개의 태스크를 그루핑 한 빅 태스크의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ler may group the plurality of tasks for performing the project into a first unit T21 and a second unit T22 and T23. In FIG. 2 , the first unit T21 may mean a unit of a big task in which six tasks are grouped.

반면 제2 단위(T22, T23)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6개의 태스크 중 3개의 태스크의 단위로 그루핑 한 서브 태스크의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units T22 and T23 may mean a unit of a sub-task grouped as a unit of three tasks among six tasks for performing a project.

또한 제어부는 제1 단위로 그루핑 된 태스크를 이용하여 일부 소스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1 태스크 그룹(G21)을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first task group G21 for processing some source data by using the task grouped in the first unit.

상기 제2 단위로 그루핑 된 태스크를 이용하여 다른 일부 소스데이터를 처리하는 제2 태스크 그룹(G22)을 결정할 수 있다.A second task group G22 that processes some other source data may be determined by using the task grouped in the second unit.

한편 제어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탐색 윈도우를 통하여 프로젝트에 대응하여 결정된 평가함수를 기반으로, 제1 및 제2 태스크 그룹 각각의 상기 소스 데이터의 처리 결과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Meanwhile, the controller may calculate an evaluation score for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source data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task groups based on the evaluation function determined in response to the project through the search window as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related thereto will be provided later.

한편 도2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복수의 태스크 중 상기 제1 단위로 그루핑 된 태스크의 개수는 복수의 태스크 중 상기 제2 단위로 그루핑된 태스크의 개수를 초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 , the number of tasks grouped in the first unit among the plurality of tasks may be provided to exceed the number of tasks grouped in the second unit among the plurality of tasks.

즉 도 2에서는 제1단위의 태스크의 개수는 6개이며, 제2단위의 태스크의 개수가 3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That is, in FIG. 2 , the number of tasks in the first unit is six, and the number of tasks in the second unit is three.

도 2에서 프로젝트에 포함된 태스크를 나타낸 것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프로젝트에 포함된 태스크의 종류와 개수 및 그루핑 방법에 있어서 그 제한은 없다.In FIG. 2 , the task included in the project is mere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 is no limitation thereto in the type and number of tasks included in the project and the grouping method.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A and 3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tributing sourc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를 참고하면 제어부는 프로젝트에 이용되는 소스 데이터(D31) 중 일부(D31-1, D31-2)를 각 그룹에 분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A , the controller may distribute some of the source data D31 used for the project D31-1 and D31-2 to each group.

제어부는 소스데이터 중에서 일부 해당하는 소스 데이터(D31)를 각 그룹에 분배할 수 있다. 일부 소스데이터(D31)를 통하여 제어부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각 그룹을 평가하는 파일럿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istribute the source data D31 corresponding to some of the source data to each group. Through some source data D31, the control unit may perform a pilot for evaluating each group performing a project.

도 3a를 참고하면 제어부는 소스 데이터의 절반을 빅 태스크(T311)로 그루핑 된 제1 태스크 그룹(G311)에 대응시키고 나머지 소스 데이터를 서브 태스크(T312, T313)로 그루핑 된 제2 태스크 그룹(T312)에 대응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3A , the control unit corresponds half of the source data to the first task group G311 grouped as the big task T311 and the remaining source data to the second task group T312 grouped as the sub tasks T312 and T313. ) can be matched.

제어부는 각 소스 데이터가 분배된 태스크 그룹상에서 파일럿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perform a pilot operation on a task group to which each source data is distributed.

한편 제어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그룹에 대응된 탐색 윈도우를 통하여 각 그룹의 소스 데이터 처리 결과를 평가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may evaluate the result of processing the source data of each group through the search window corresponding to each group.

제어부는 미리 형성된 탐색 윈도우(W311, W312)를 통하여 소스 데이터를 기초로 수행된 각 그룹의 데이터 처리 결과의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alculate the evaluation score of the data processing result of each group performed based on the source data through the search windows W311 and W312 formed in advance.

즉, 탐색 윈도우(W311, W312)는 장치에 미리 형성되며, 각 그룹의 소스 데이터 처리 결과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That is, the search windows W311 and W312 are previously formed in the device, and the result of processing the source data of each group can be monito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3과 같이 각 그룹이 소스 데이터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제1 탐색 윈도우(W311)가 제1 태스크 그룹(G311)에 포함된 태스크의 동작을 평가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제2 탐색 윈도우(W312)가 제2 태스크 그룹(G312)에 포함된 서브 태스크의 동작을 평가하여 평가 점수를 도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each group processes source data as shown in FIG. 3 , the first search window W311 evaluates the operation of the task included in the first task group G311, The second search window W312 may derive an evaluation score by evaluating the operation of the sub-task included in the second task group G312.

도 3a는 태스크를 두 종류의 단위로 나누어 그룹을 형성한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그룹의 종류를 나누는 동작에는 그 제한이 없다.Although FIG. 3A shows that a group is formed by dividing the task into two types of units, the operation of dividing the type of the group is not limited thereto.

도3b를 참고하면 제어부가 6개의 태스크(T321)로 그루핑 된 태스크 그룹(G321), 3개의 태스크(T322, T323)로 그루핑 된 태스크 그룹(G322) 및 2개의 태스크(T324, T325, T326)로 그루핑 된 그룹(G323)을 형성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Referring to Figure 3b, the control unit is a task group (G321) grouped with six tasks (T321), a task group (G322) grouped with three tasks (T322, T323) and two tasks (T324, T325, T326) It shows that a grouped group (G323) is formed.

도 3b의 경우에는 최초 소스 데이터(D21)가 3등분되어 각 그룹에 전달될 수 있다.In the case of FIG. 3B , the first source data D21 may be divided into thirds and transmitted to each group.

또한 각 그룹은 각각 달리 그루핑 된 태스크를 통하여 소스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탐색 윈도우는 3개(W321, W322, W333)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group may process source data through differently grouped tasks, and in this case, three search windows (W321, W322, W333) may be provided.

즉 제어부가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각 태스크를 다른 형태로 그루핑하여 최적화된 태스크의 그루핑 형태를 판단하는 동작이라면 그 동작의 제한은 없다.That is, as long as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grouping form of the optimized task by grouping each task performing the project in a different form,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operation.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머지 소스 데이터를 각 태스크 그룹에 분배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A and 4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tributing the remaining source data to each task gro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를 참고하면, 제어부는 상술한 동작을 기초로 산출된 평가 점수에서 제1 태스크 그룹(G411)의 평가 점수가 제2 태스크 그룹(G412)의 평가 점수보다 높은 경우, 나머지의 소스 데이터(D41)를 제1 태스크 그룹에 분배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A , when the evaluation score of the first task group G411 is higher than the evaluation score of the second task group G412 in the evaluation score calculated based o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remaining source data D41 ) can be distributed to the first task group.

여기서 나머지 소스 데이터는 각 그룹의 소스 데이터 처리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각 그룹에서 처리된 소스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remaining source data may mean the remaining data except for the source data processed in each group for a predetermined time in order to evaluate the source data processing capability of each group.

도 4a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빅 태스크에서 수행하는 것이 태스크를 분할하는 것보다 더 효율적인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로 프로세서는 남은 소스 데이터(D41)를 제1 태스크 그룹(G411)에 분배할 수 있다.4A shows a case in which performing a project in one big task is more efficient than dividing the task, and the processor may distribute the remaining source data D41 to the first task group G411. .

제어부는 해당 프로젝트 수행을 위해서는 많은 수의 태스크로 그루핑 된 빅 태스크(T411)로 소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남은 소스 데이터(D41)를 제1 태스크 그룹(G411)에 분배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istribute the remaining source data D41 to the first task group G411 in order to process the source data as a big task T411 grouped into a large number of tasks in order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project.

한편 도 4b를 참고하면 제2 태스크 그룹(G422)의 평가 점수가 제1 태스크 그룹(G421)의 평가 점수보다 높은 경우, 나머지 소스 데이터(D42)를 제2 태스크 그룹(G422)에 분배하는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4B , when the evaluation score of the second task group G422 is higher than the evaluation score of the first task group G421, the operation of distributing the remaining source data D42 to the second task group G422 is performed. is indicating

제어부는 6개의 태스크(T432)로 그루핑되어 소스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1 태스크 그룹(G421과 3개의 태스크(T422, T423)로 그루핑되어 소스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2 태스크 그룹(G422)의 소스 데이터 처리 결과를 평가할 수 있고, 그 결과 제2 태스크 그룹의 평가 점수가 높으면 남은 소스 데이터(D42)를 제2 태스크 그룹(G422)에 분배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is grouped into six tasks T432 to process source data in a first task group G421 and three tasks T422 and T423 to process source data of a second task group G422 The result may be evaluated, and as a result, if the evaluation score of the second task group is high, the remaining source data D42 may be distributed to the second task group G422.

이 때 제어부는 나머지 소스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1 태스크 그룹(G421)에 포함된 태스크의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may stop the operation of the task included in the first task group G421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source data.

이후 제어부는 제2 태스크 그룹(G422)에 대한 태스크를 달리 그루핑하여 최적화된 태스크 그룹을 결정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된 설명은 후술한다.Thereafter,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an optimized task group by grouping the tasks for the second task group G422 differently,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태스크를 더욱 세분화여 소스 데이터를 처리하고 이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processing source data by further subdividing a t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lculating an evaluation score for the same.

제어부는 도 4b와 같이 태스크를 분할하여 그루핑 한 태스크 그룹의 소스 데이터 평가점수가 높은 경우에는 태스크를 추가적으로 분할하여 그루핑하고 소스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When the source data evaluation score of the task group grouped by dividing the task as shown in FIG. 4B is high, the control unit may additionally divide and group the task and process the source data.

도 4b 및 도 5를 함께 참고하면 제2 태스크 그룹(G422)의 평가 점수가 제1 태스크 그룹(G421)의 평가 점수보다 높은 경우, 제어부는 제2 태스크 그룹(G422)에 포함된 태스크를 더 적은 수로 분할하여 다른 그룹(G51, G52)을 형성할 수 있다.4B and 5 together, when the evaluation score of the second task group G422 is higher than the evaluation score of the first task group G421, the control unit reduces the number of tasks included in the second task group G422. It is possible to form different groups G51 and G52 by dividing by numbers.

즉, 상술한 동작에서 다수의 태스크로 그루핑되어 소스 데이터를 처리하는 태스크 그룹의 평가 점수가 높은 것이 의미하는 것은 해당 프로젝트에서 여러 개의 태스크로 나누어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을 의미한다.That is, i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a high evaluation score of a task group that is grouped into a plurality of tasks and processes source data means that it is efficient to divide the operation into several tasks in the corresponding project.

따라서 제어부는 기존보다 태스크를 더 분할하여 각 태스크를 더 작은 단위로 분할하여 소스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Therefore, the control unit can process the source data by dividing the task more than before and dividing each task into smaller units.

도 4b 및 도 5에서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태스크가 6개인 경우로서, 기존의 태스크 3개씩 그루핑되어 소스 데이터를 처리한 제2그룹(G422)이 태스크 3개씩 그루핑되어 소스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3 태스크 그룹(G51)과 태스크가 2개씩 그루핑되어 소스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4 태스크 그룹(G52)으로 변경되어 각 소스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In FIGS. 4B and 5 , as a case in which there are six tasks for performing the project, the second group G422, which is grouped by three existing tasks and processed source data, is grouped by three tasks, and a third task for processing source data The group G51 and the task are grouped by two and are changed to a fourth task group G52 that processes source data, indicating that each source data is processed.

이 경우 제어부는 제3 태스트 그룹(G51)과 제4 태스크 그룹(G52)의 평가 점수를 비교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may compare the evaluation scores of the third task group G51 and the fourth task group G52.

제3 태스크 그룹(G51)의 평가 점수가 제4 태스크 그룹(G52)의 평가 점수가 높은 경우는 제3 태스크 그룹(G51)의 태스크 그루핑이 최적화된 것으로 판단되므로 제어부는 제3 태스크 그룹(G51)의 태스크 그루핑 형태로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evaluation score of the third task group G51 is higher than the evaluation score of the fourth task group G52, it is determined that the task grouping of the third task group G51 is optimized. The project can be carried out in the form of task grouping of

반면, 제4 태스크 그룹(G52)의 평가 점수가 높은 경우에는, 제어부는 제4 태스크 그룹(G52)을 구성하는 태스크를 더 세분화하여 그루핑 한 태스크 그룹을 형성하여 소스 데이터의 처리 결과를 평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valuation score of the fourth task group G52 is high,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subdivide the tasks constituting the fourth task group G52 to form a grouped task group to evaluate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source data. .

제어부는 이러한 동작을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최적화된 태스크 그루핑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rmine an optimized task grouping form by continuously repeating this operation.

또한 제어부는 2개씩 그루핑 된 태스크 그룹의 평가 점수가 높은 경우 제어부는 2개씩 그루핑 된 태스크 그룹을 다시 한 개씩 그루핑 된 태스크 그룹으로 변경하여 소스 데이터 처리 결과를 비교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valuation score of the task group grouped by two is high, the controller may change the task group grouped by two into a task group grouped by one, and compare the source data processing results.

이러한 동작과 같이 각 태스크 하나씩 세분화하여 그루핑하고, 각 태스크 그룹의 평가점수의 합을 비교하고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최적화된 태스크의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Like this operation, each task is grouped one by one, and the sum of the evaluation scores of each task group is compared, and a task group optimized for carrying out the project can be determined.

프로세서는 각 태스크 그룹의 평가 접수가 최대 값이 될 때가지 태스크의 세분화를 반복할 수 있다. The processor may repeat the subdivision of the task until the evaluation acceptance of each task group reaches a maximum value.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태스크의 평가 점수(S61, S62, S63)를 산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calculating evaluation scores ( S61 , S62 , and S63 ) of each t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는 수행하는 프로젝트에 대응되는 평가 함수를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an evaluation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project to be performed.

제어부는 각 태스크 그룹의 일정 단위 기간 프로젝트의 수행 후에 각 태스크에 대한 평가 점수(S61, S62, S63)를 산출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alculate the evaluation scores S61, S62, and S63 for each task after the project is performed for a certain unit period of each task group.

제어부가 사용하는 평가 함수는 소스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소모되는 비용, 상기 소스 데이터를 기초로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데 소모되는 소모 시간, 결과 데이터의 품질, 상기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진행 속도 및 각 태스크 그룹의 작업 수행 난이도를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evaluation function used by the control unit includes the cost consumed for processing the source data, the time consumed for outputting the result data based on the source data, the quality of the result data, the progress speed of outputting the result data, and the value of each task group. It may be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difficulty of performing the task.

도 6에서는 프로세서가 빅 태스크 단위로 구성된 제1 태스크 그룹의 평가 점수(S61)를 산출하고, 각 서브 태스크 단위로 구성된 제2 태스크 그룹의 평가 점수(S62, S63)를 산출한 것을 나타낼 수 있다. 6 , it may be shown that the processor calculates the evaluation score S61 of the first task group composed of the big task unit and the evaluation score S62 and S63 of the second task group composed of each sub-task unit.

프로세서는 빅 태스크 단위의 소스 데이터 처리 평가 점수(S61)과 제2 태스크 그룹을 구성하는 서브 태스크 단위의 평가 점수를 비교하여 어떤 태스크의 그루핑 형태가 해당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효율적인지 결정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compare the source data processing evaluation score S61 of the big task unit with the evaluation score of the sub-task unit constituting the second task group to determine which grouping form of the task is effective in performing the corresponding project.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스크의 개수로 형성된 복수의 태스크 그룹에 소스데이터를 분배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tributing source data to a plurality of task groups formed by the number of tas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고하면, 제어부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복수의 태스크를 여러 개의 태스크 그룹(G71, G72, G73, G74, G75)으로 그루핑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controller may group a plurality of tasks for performing a project into a plurality of task groups G71, G72, G73, G74, and G75.

도 7에서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태스크 개수가 6개인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내며 태스크가 6개이므로 6개의 태스크 그룹으로 그루핑 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7 shows an embodiment when the number of tasks for performing a project is six, and since there are six tasks, it is shown that the group is grouped into six task groups.

도 7에서는 태스크의 개수대로 태스크 그루핑이 수행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그루핑 되는 태스크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태스크 개수가 N개로 마련되는 경우, 생성될 수 있는 태스크의 개수는 N!개로 형성될 수 있다.7 shows that task group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asks, but there is no limit to the number of grouped tasks. The number of existing tasks may be formed by N!

제어부는 각 태스크의 평가를 위해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소스 데이터(D7)를 복수의 태스크 그룹에 균등하게 분배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equally distribute the source data D7 for performing the project to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for evaluation of each task.

태스크 그룹의 평가 최초에는 제어부가 각 소스 데이터를 각 태스크 그룹에 균등하게 분배하여 태스크 평가를 시작할 수 있다.Evaluation of task group Initially, the control unit may start task evaluation by equally distributing each source data to each task group.

한편 제어부에 마련된 탐색 윈도우는 각 태스크 그룹의 소스 데이터 처리를 평가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arch window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may evaluate source data processing of each task group.

한편 제어부는 프로젝트의 종류를 기초로 결정된 평가 함수를 이용하여 프로젝트 수행 시점부터 평가 시점까지 상기 복수의 태스크 그룹 각각의 상기 소스 데이터를 처리하는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may calculate an evaluation score for processing the source data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from a project execution time to an evaluation time point by using an evaluation function determined based on the type of the project.

한편 평가 시점까지 각 태스크 그룹의 평가가 완료되면 평가 시점에서 처리되지 않은 나머지 소스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태스크 그룹 중 가장 높은 평가 점수에 대응되는 태스크 그룹(D76)에 분배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evaluation of each task group is completed by the evaluation time, the remaining source data not processed at the evaluation time may be distributed to the task group D76 corresponding to the highest evaluation score among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도 7에서는 5개의 태스크로 그루핑된 태스크 그룹의 평가 점수가 가장 높은 경우로 제어부는 평가 시점까지 처리되지 않은 소스 데이터를 모두 5개의 태스크로 그루핑된 태스크 그룹(D76)에 분배할 수 있다.In FIG. 7 , when the evaluation score of the task group grouped into five tasks is the highest, the control unit may distribute source data not processed until the evaluation time point to the task group D76 grouped with all five tasks.

한편 제어부가 태스크를 그루핑하고 소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것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도7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동작의 제한은 없다.Meanwhile, grouping tasks and distributing source data by the control unit is only a bas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is not limit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 시점 및 데이터 재분배 기간에 관련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related to an evaluation time point and a data redistribution peri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는 평가 시점까지 각 태스크의 처리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the control unit may evaluate the processing capability of each task until the time of evaluation.

이러한 평가 시점은 복수의 태스크 그룹 각각에 대응되는 평가 점수의 합이 최대 값이 되는 시점(T)으로 결정될 수 있다.The evaluation time may be determined as a time point T at which the sum of evaluation scor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becomes the maximum value.

구체적으로 제어부가 소스 데이터를 특정 비율로 각 태스크에 분배한 경우 각 태스크의 평가 점수의 합이 최대가 되는 시점(T)을 산출할 수 있는데 제어부는 해당 시점을 평가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control unit distributes the source data to each task at a specific ratio, the time point T at which the sum of the evaluation scores of each task becomes the maximum may be calculated, and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time point as the evaluation time point.

또한 평가 시점은 주기를 갖는 데이터 재분배 기간의 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valuation time may be determined as the sum of data redistribution periods having periods.

도 8에서는 주기가 t로 마련된 복수의 데이터 재분배 기간을 나타내고 있다.8 shows a plurality of data redistribution periods provided with a period of t.

도 8에서는 6번의 재분배 기간의 합으로 평가 시점(T)이 결정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8 shows that the evaluation time T is determined by the sum of the six redistribution periods.

한편 데이터 재분배 기간의 주기는, 소스 데이터가 복수의 태스크 그룹에 균등하게 분배된 시점부터 복수의 태스크 그룹 각각이 미리 결정된 비율의 소스 데이터를 처리한 시간 중 최대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eriod of the data redistribution period may be determined as the maximum value from the time when the source data is equally distributed to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and the time during which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processes the source data at a predetermined ratio.

예를 들어 그 비율이 0.1인 경우, 제어부는, 분배한 소스 데이터 중 0.1의 소스 데이터를 결과 데이터로 출력하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ratio is 0.1, the controller may measure a time for outputting source data of 0.1 among the distributed source data as result data.

태스크 그룹에 따라 0.1의 소스 데이터를 처리하는 시간은 각각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각 태스크 그룹에서 소모되는 시간 중 가장 긴 시간을 데이터 재분배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task group, the processing time of 0.1 source data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Her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longest time consumed in each task group as the data redistribution time.

제어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스 데이터 각각을 태스크 그룹 각각에 분배할 수 있고, 각 태스크 그룹 평가에 이용되는데 소모되는 소스 데이터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may distribute each of the source data to each task group, and may determine the amount of source data consumed to be used for evaluation of each task group.

한편 제어부는 프로젝트 시작 시점부터 데이터 재분배 기간 마다 복수의 태스크 그룹의 평가 점수를 결정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evaluation scores of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for each data redistribution period from the start of the project.

제어부는 해당 데이터 재분배 기간 마다 점수에 기초하여 각 소스 데이터를 재분배 할 수 있으며, 나머지 소스 데이터를 재분배 단계는, 상기 복수의 태스크 그룹 각각에 대응되는 평가 점수의 합이 최대 값이 되는 시점, 즉 평가 시점 까지 반복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redistribute each source data based on the score for each data redistribution period, and the redistribution of the remaining source data is performed when the sum of the evaluation scor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becomes the maximum value, that is, the evaluation It can be repeated up to a point in time.

도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태스크의 평가 점수에 기초하여 소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tributing source data based on an evaluation score of each t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는 평가 점수에 기초하여 소스 데이터를 복수의 그룹에 재분배 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redistribute the source data to a plurality of groups based on the evaluation score.

제어부는 재분배 기간 마다 각 태스크 그룹에 소드 데이터를 재분배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각 태스크 그룹을 평가하는 최초의 시점에는 각 소스 데이터를 각 태스크 그룹에 균등하게 분배할 수 있으나, 소스 데이터를 균등하게 분배한 시점 이후부터 재분배 기간이 도래하면 각 태스크 그룹의 평가 점수에 비례하여 남은 소스 데이터를 분배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redistribute the sword data to each task group for each redistribution period.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may equally distribute each source data to each task group at the initial time point for evaluating each task group, but when the redistribution period arrives after the time point at which the source data is equally distributed, the evaluation score of each task group The remaining source data can be distributed in proportion to .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하기의 수학식1을 기초로 소스 데이터를 재분배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ler may redistribute the source data based on Equation 1 below.

Figure 112021071458798-pat00001
Figure 112021071458798-pat00001

수학식1을 참고하면 Ts는 재분배되는 소스데이터의 총량을 의미하며, Tl은 특정 태스크 그룹에 분배되는 소스 데이터의 양을 의미하며 Pl은 특정 태스크 그룹의 평가 점수를 의미할 수 있다. N은 태스크 그룹의 총 숫자를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to Equation 1, Ts may mean the total amount of redistributed source data, Tl may mean the amount of source data distributed to a specific task group, and Pl may mean an evaluation score of a specific task group. N may mean the total number of task groups.

즉 제어부는 각 태스크 그룹(G71, G72, G73, G74)의 평가 점수의 총합(P1+P2+P3+P4)에서 해당 태스크 그룹에 해당하는 평가점수 만큼의 소스 데이터를 분배함으로서 평가 점수가 높은 태스크 그룹에는 많은 소스 데이터를 할당하고 소스데이터가 적은 태스크 그룹에는 적은 소스 데이터를 할당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distributes the source data as much as the evaluation score corresponding to the task group from the sum (P1+P2+P3+P4) of the evaluation scores of each task group (G71, G72, G73, G74). A large amount of source data can be assigned to a group and a small amount of source data can be assigned to a task group with a small amount of source data.

즉 제어부는 프로젝트 시작 시점부터 데이터 재분배 기간 마다 상기 복수의 태스크 그룹의 평가 점수를 결정하고, 데이터 재분배 기간 마다 상기 복수의 태스크 그룹 각각의 평가 점수의 합에 대한 특정 태스크 그룹의 평가 점수의 비율을 기초로 재분배되지 않은 나머지 소스 데이터를 분배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evaluation score of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for each data redistribution period from the start of the project, and the ratio of the evaluation score of a specific task group to the sum of the evaluation scor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for each data redistribution period Based on You can distribute the remaining source data that has not been redistributed with

데이터 재분배 기간과 평가 시점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data redistribution period and evaluation time have been described above,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도 9에서 설명한 남은 소스 데이터를 재분배하는 동작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여 소스 데이터를 재분배하는 동작의 제한은 없다.Meanwhile, the operation of redistributing the remaining source data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operation of redistributing the source data.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 점수에 기초하여 각 태스크 그룹(G81, G82, G83)의 동작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etermining an operation of each task group (G81, G82, G83) based on an evaluation sc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프로젝트의 종류를 기초로 결정된 평가 함수를 이용하여 프로젝트 수행 시점부터 평가 시점까지 복수의 태스크 그룹 각각(G101, G102, G103)의 상기 소스 데이터를 처리하는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may calculate an evaluation score for processing the source data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G101, G102, G103) from the time of project execution to the time of evaluation by using the evaluation function determined based on the type of the project.

제어부는 평가 시점에서 처리되지 않은 나머지 소스 데이터(D10)를 복수의 태스크 그룹 중 가장 높은 평가 점수에 대응되는 태스크 그룹에 분배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istribute the remaining source data D10 that is not processed at the time of evaluation to a task group corresponding to the highest evaluation score among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도 10은 첫번째 태스크 그룹(G101)의 평가 점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즉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제어부는 각 태스크 그룹(G101, G102, G103)을 형성하였고, 평가 시점에서는 첫번째 태스크 그룹(G101)의 평가 점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산출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10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evaluation score of the first task group G101 is the highest. That is, in performing the project, the control unit forms each task group G101, G102, and G103, and at the time of evaluation, the evaluation score of the first task group G101 is calculated as the highest.

따라서 제어부는 나머지 소스 데이터(D10)를 첫번째 태스크 그룹(G101)에 분배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may distribute the remaining source data D10 to the first task group G101.

상술한 동작을 기초로 제어부는 복수의 태스크로 해당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경우 평가 점수가 높은 태스크에 소스 데이터를 몰아주어 최적화된 방법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다.Based o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when a corresponding project is performed with a plurality of tasks, the control unit may perform the project in an optimized method by driving source data to a task having a high evaluation score.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 함수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ents of an evalu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평가 함수(F11)는, 소스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소모되는 비용(P11), 소스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데 소모되는 소모 시간(T11), 결과 데이터의 품질(Q11), 및 상기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진행 속도(V11), 및 프로젝트의 난이도(D11)와 각 변수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평가 함수는 하기의 수학식2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The evaluation function F11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ost P11 consumed for processing the source data, the time consumed for outputting the result data based on the source data T11, and the quality of the result data Q11. , and a progress speed (V11) of outputting the result data, and a difficulty (D11) of the project, and a weight corresponding to each variable. Such an evaluation funct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Equation 2 below.

Figure 112021071458798-pat00002
Figure 112021071458798-pat00002

수학식2를 참고하면, Pn은 각 태스크의 평가 점수를 의미하며, w1 내지 w4는 프로젝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가중치를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to Equation 2, Pn may mean an evaluation score of each task, and w1 to w4 may mean weights determined based on a project.

또한 NC는 비용을 의미하고, NWT는 소모시간, NR은 품질을 의미하고 NS는 프로젝트의 진행 속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LWN은 각 태스크 그룹에 반영되는 작업의 난이도를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NC means cost, NWT means time consumed, NR means quality, and NS means project progress speed. In addition, LWN may mean the difficulty of the task reflected in each task group.

여기서 소모되는 비용은, 하기의 수학식3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Here, the cost consumed may be determined based on Equation 3 below.

Figure 112021071458798-pat00003
Figure 112021071458798-pat00003

수학식3을 참고하면 rk는 결과 데이터의 수를 의미하고 vk는 프로젝트 수행에 있어 결과 데이터 출력에 지급된 포인트의 수를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to Equation 3, rk may mean the number of result data, and vk may mean the number of points paid to output the result data in project execution.

즉 비용은 분배된 상기 소스 데이터를 기초로 결정된 상기 결과 데이터 수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데 지급되는 총 포인트의 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That is, the cost may be determined as the sum of the total points paid for outputting result data for the number of result data determined based on the distributed source data.

여기서 소모 시간은 하기의 수학식4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Here, the consumption time may be determined based on Equation 4 below.

Figure 112021071458798-pat00004
Figure 112021071458798-pat00004

수학식4를 참고하면 Ti1는 결과 데이터의 출력 시간을 의미하고 Ti2는 해당 결과 데이터의 검수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to Equation 4, Ti1 may mean an output time of the result data, and Ti2 may mean an inspection time of the corresponding result data.

즉, 소모 시간은 소스 데이터를 기초로 결정된 결과 데이터 수에 대한 결과 데이터의 출력 시간 및 검수 시간의 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That is, the consumption time may be determined as the sum of the output time and the inspection time of the result data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result data determined based on the source data.

또한 결과 데이터의 품질은, 하기의 수학식5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Also, the quality of the result data may be determined based on Equation 5 below.

Figure 112021071458798-pat00005
Figure 112021071458798-pat00005

수학식5를 참고하면 rk는 결과 데이터의 수를 의미하고 jk는 각 결과 데이터의 검수시 반려 횟수를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to Equation 5, rk may mean the number of result data, and jk may mean the number of rejections upon inspection of each result data.

즉 데이터의 품질은 분배된 상기 소스 데이터를 기초로 결정된 상기 결과 데이터 수에 대한 상기 결과 데이터의 반려 횟수의 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That is, the quality of data may be determined as the sum of the number of rejections of the result data to the number of result data determined based on the distributed source data.

한편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진행 속도는 하기의 수학식6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speed of outputting the result data may be determined based on Equation 6 below.

Figure 112021071458798-pat00006
Figure 112021071458798-pat00006

수학식6을 참고하면 NS는 진행 속도를 의미할 수 있고 Tr은 데이터 재분배 기간 중 실제 데이터를 처리한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to Equation 6, NS may mean a progress speed, and T r may mean a time during which actual data is processed during a data redistribution period.

Dr는 소스 데이터를 기초로 출력된 결과 데이터의 수를 의미할 수 있다.D r may mean the number of result data output based on the source data.

즉 진행 속도는 각 태스크 그룹의 소스 데이터 처리 능력을 평가하는 주기, 즉 데이터 재분비 주기안에서 실제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소모된 시간에 대한 출력된 결과 데이터의 수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That is, the progress rate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output result data for the time spent processing actual data in the period for evaluating the source data processing capability of each task group, that is, the data redistribution period.

한편 난이도는 하기의 수학식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fficulty level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21071458798-pat00007
Figure 112021071458798-pat00007

수학식7을 참고하면 LWN은 난이도를 의미하고, Pbeg는 낮은 레벨의 작업자 참여수를 의미하고 Ptot은 전체 참여 작업자 수를 의미한다.Referring to Equation 7, LWN means difficulty, P beg means the number of low-level workers participating, and P tot means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ting workers.

즉 제어부는 복수의 태스크 그룹 각각에 참여한 작업자 수에 대한 미리 결정된 레벨 이하에 대응되는 작업자 수로 난이도를 결정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difficulty level as the number of worker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workers participating in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level.

한편 상술한 평가함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일 예시에 불과하며 평가함수의 형태 및 동작에 대한 제한은 없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evaluation function is only an example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form and operation of the evaluation function.

상술한 동작은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태스크의 구성을 달리하는 태스크 관리를 통하여 프로젝트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동작을 설명하였다.The above-described operation described the operation of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the project through task management in which the configuration of the task for performing the project is different.

이하에서는 프로젝트에 이용되는 소스 데이터의 컨텐츠의 변경을 통한 태스크 관리로 프로젝트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for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the project by task management through changing the contents of the source data used in the project will be described.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와 해당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컨텐츠를 나타낸 도면이다.12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ject and contents constituting the pro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2a을 참고하면, 해당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소스 데이터가 필요하여 각 작업 컨텐츠(C121, C122, C123)는 소스 데이터(C12)를 미리 결정된 기준 단위로 분할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A , since source data is required to perform a corresponding project, each work content C121 , C122 , and C123 may mean that the source data C12 is divided into predetermined reference units.

예를 들어 소스 데이터가 이미지인 경우 기준 단위의 작업 컨텐츠는 이미지의 한장으로 결정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ource data is an image, the work content of the reference unit may be determined as one image.

도12a에서는 소스 데이터(C12)로서 이미지를 기초로 각 작업 컨텐츠에 바운딩 박스 작업을 수행하고 이에 라벨링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12A shows that a bounding box operation is performed on each work content based on an image as the source data C12 and a label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reon.

한편 이러한 바운딩 박스 작업, 라벨링을 수행하는 것이 오브젝트의 수나 바운딩 박스 및 라벨링의 종류에 따라서 난이도가 높게 결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difficulty in performing the bounding box work and labeling may be determined to be high depending on the number of objects or the type of bounding box and labeling.

제어부는 소스 데이터(C12)의 종류 및 소스 데이터에 처리될 작업을 기초로 각 컨텐츠의 난이도 점수를 결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난이도 점수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작업 대상 오브젝트도 고려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difficulty score of each content based on the type of the source data C12 and the task to be processed on the source data. Additionally, the work target object may be considered in determining the difficulty score.

각 작업 난이도는 하기의 수학식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Each task difficulty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21071458798-pat00008
Figure 112021071458798-pat00008

수학식 8을 참고하면 diff는 각 작업 컨텐츠의 난이도를 의미하고 ntarget은 작업을 수행한 오브젝트의 수를 의미하며, ntot는 소스 데이터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총 수를 의미하고 D는 처리 작업의 종류의 수를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to Equation 8, diff means the difficulty of each task content, n target means the number of objects that have performed the task, n tot means the total number of objects included in the source data, and D is the processing task It can mean the number of kinds.

예를 들어 소스 데이터에 바운딩 작업 및 라벨링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소스 데이터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수가 10개이고 바운딩을 수행하여야 하는 오브젝트가 2개, 라벨링 작업을 수행하는 오브젝트가 1개이면 난이도는 1로 결정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performing bounding and labeling operations on source data, if the number of objects included in the source data is 10, there are 2 objects that need to be bounded, and there is only 1 object that performs labeling, the difficulty is set to 1. can be decided.

한편 이러한 난이도를 산출하는데 있어서, 소스 데이터가 이미지에 해당하는 경우, 소스 데이터의 전처리를 수행하는 전처리 라이브러리의 종류에 기초하여 각 작업 컨텐트의 작업 난이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Meanwhile, in calculating the difficulty, when the source data corresponds to an image, the task difficulty score of each task content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type of the pre-processing library that pre-processes the source data.

예를 들어 소스 데이터가 이미지인 경우 전처리 과정에서 scikit-image, Numpy, Scipy, PIL/Pilow, OpenCV-Pyrthon, SimpleCV, Mahotas, SimpleITK, pgmagick, Pycairo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소스 데이터가 이미지인 경우에 한하여 라이브러리 종류를 고려하여 난이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ource data is an image, scikit-image, Numpy, Scipy, PIL/Pilow, OpenCV-Pyrthon, SimpleCV, Mahotas, SimpleITK, pgmagick, Pycairo, etc. can be used in the preprocessing process, but only when the source data is an image A difficulty score can be calculated by considering the library type.

소스 데이터를 기초로 처리해야할 오브젝트의 수가 많고 작업 컨텐츠 상의 오브젝트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난이도가 높게 결정될 수 있다. When the number of objects to be processed based on the source data is large and the amount of objects on the work content is large, the difficulty may be determined to be high.

작업 컨텐츠 각각에 대응되는 난이도 점수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복수개의 그룹(G121, G122)으로 그루핑 할 수 있다.At least one content may be grouped into a plurality of groups G121 and G122 based on a difficulty score corresponding to each work cont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컨텐츠 그룹(G101)은 각 컨텐츠의 난이도 점수가 미리 결정된 점수를 초과한 컨텐츠들의 그룹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컨텐츠 그룹(G122)는 난이도 점수가 미리 결정된 점수 미만인 컨텐츠들의 그룹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tent group G101 may be formed as a group of contents in which the difficulty score of each content exceeds a predetermined score, and the second content group G122 has a predetermined difficulty score. It may be formed into a group of content that is less than a score.

한편 제2 컨텐츠 그룹은 적정 난이도로 평가되어 추후 프로젝트를 오픈하여 작업이 바로 수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ontent group is evaluated with an appropriate level of difficulty, so that the project can be opened later and the work can be performed immediately.

반면 제1 컨텐츠 그룹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분할되어 서브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content group may be divided to form subgroups a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기초로 프로젝트를 분할하는 전체적인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12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verall operation of dividing a project based on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소스 데이터(S12)를 추출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extract the source data S12 used to perform the project.

한편 제어부는 의뢰 서버로부터 소스 데이터(S12)를 기초로 가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C12)를 추출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may extract at least one content C12 processed based on the source data S12 from the request server.

또한 제어부는 해당 프로젝트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소스 데이터 상에서 해당 프로젝트 및 컨텐츠에 이용되는 오브젝트(Ob12)를 추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analyze the project. Also, the controller may extract an object Ob12 used for a corresponding project and content from the source data.

한편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C12)의 종류 및 오프젝트(Ob12) 수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난이도 점수를 결정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difficulty score of the at least one content based on the type of the at least one content C12 and the number of objects Ob12.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각각에 대응되는 난이도 점수(D12)를 산출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alculate a difficulty score D12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at least one content.

또한 제어부는 난이도 점수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복수개의 그룹으로 그루핑 할 수 있다(G12).Also, the controller may group at least one content into a plurality of groups based on the difficulty score (G12).

이러한 컨텐츠 자체의 분할 및 그루핑으로 인하여 각 컨텐츠는 통합적으로 제공될 때 보다 낮은 난이도로 제공될 수 있다.Due to the division and grouping of the content itself, each content may be provided with a lower difficulty than when it is provided integrally.

제어부는 복수의 그룹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난이도 점수의 총합이 미리 결정된 난이도 점수를 초과하는 고난이도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rmine a high difficulty group in which the sum of the difficulty scores of the at least one content among the plurality of groups exceeds a predetermined difficulty score.

이러한 고난이도 그룹은 컨텐츠가 분할되어 그루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난이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This high difficulty group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a high level of difficulty even though the contents are divided and grouped.

이 경우 제어부는 고난이도 그룹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복수의 서브 그룹으로 분할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may divide at least on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high difficulty group into a plurality of subgroups.

한편 소스 데이터가 이미지인 경우, 소스 데이터에 수행되는 작업은 상기 오브젝트의 바운딩 박스 작업, OCR, 라벨링 및 세그멘테이션 작업 중 적어도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source data is an image, an operation performed on the source data may be determined as at least one of a bounding box operation, OCR, labeling, and segmentation operation of the object.

바운딩 박스 작업은 상기 이미지에서 작업대상을 바운딩 박스로 선택하는 작업일 수 있다.The bounding box operation may be an operation of selecting a work target as a bounding box in the image.

라벨링 작업은 오브젝트에 특정 의미나 문자를 매칭 시키는 작업을 의미할 수 있다.The labeling operation may refer to an operation of matching a specific meaning or character to an object.

OCR(optical character reader)은 소스 데이터 상에서 타이핑된 문자를 판독하는 작업을 의미할 수 있다.An optical character reader (OCR) may refer to an operation of reading typed characters on source data.

세그멘테이션 작업은 이미지에서 테두리를 따라 상기 작업대상을 분류하는 작업일 수 있다.The segmentation operation may be an operation of classifying the work object along a border in an image.

제어부는 상술한 동작을 기초로 컨텐츠를 난이도 별로 그루핑하여 프로젝트를 생성(P12)하고, 각 프로젝트에 작업자를 매칭할 수 있다(H12).The control unit may create a project by grouping the contents by difficulty based o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P12), and match a worker to each project (H12).

또한 제어부는 매칭된 프로젝트와 작업자를 기초로 각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작업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T12).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calculate the working time required to perform each project based on the matched project and the worker (T12).

오브젝트는 작업을 진행해야 할 대상으로 의뢰 서버(20)에서 설정한 이미지 또는 텍스트 내에 포함된 객체일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 내에서 상기 작업대상에 해당하는 오브젝트는 기 설정된 사람, 차량, 고양이, 개 및 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텍스트 내에서 상기 작업대상에 해당하는 오브젝트는 상기 텍스트 내의 기 설정된 단어, 문장, 구절, 키워드 등의 일부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object may be an object included in an image or text set by the request server 20 as a target for which work should be performed. For example,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work target in the image may include a preset person, vehicle, cat, dog, cup,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work target in the text may include some characters such as preset words, sentences, phrases, and keywords in the text.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그룹을 서브 컨텐츠 그룹으로 분할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viding a content group into sub content grou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는 복수의 컨텐츠 그룹(G131, G132)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난이도 점수의 총합이 미리 결정된 난이도 점수를 초과하는 고난이도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a high difficulty group in which the sum of the difficulty scores of at least one content among the plurality of content groups G131 and G132 exceeds a predetermined difficulty score.

도13에서는 제1 컨텐츠 그룹(G131)이 고난이도 그룹으로 결정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13 shows that the first content group G131 is determined to be a high difficulty group.

난이도가 높지 않은 컨텐츠 그룹(G132)은 바로 프로젝트가 오픈되어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For the content group G132, which is not of high difficulty, a project may be opened immediately and work may be performed.

한편 난이도가 높은 고난이도 그룹으로 판단된 컨텐츠 그룹(G131)은 서브 그룹(SG131, SG132)으로 분할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ent group G131 determined to be a high difficulty group with high difficulty may be divided into subgroups SG131 and SG132.

한편 제어부는 분할된 서브 그룹(SG131, SG132)의 난이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may calculate the difficulty level of the divided subgroups SG131 and SG132.

즉 제어부는 제1 컨텐츠 그룹(G131)으로부터 분할된 서브 그룹(SG131, SG132)에 대응되는 작업 난이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ler may calculate a task difficulty score corresponding to the subgroups SG131 and SG132 divided from the first content group G131.

한편 서브 그룹에 대응되는 작업 난이도 점수가 미리 결정된 기준 난이도 점수를 초과하면, 프로세서는 서브 그룹에 대응되는 작업 난이도 점수가 미리 결정된 기준 난이도 점수 미만이 될 때까지 서브 그룹을 분할하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task difficulty score corresponding to the subgroup exceeds the predetermined reference difficulty score, the processor may repeat the operation of dividing the subgroup until the task difficulty score corresponding to the subgroup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difficulty score. have.

예를 들어 도13을 참고하면, 프로세서가 각 작업 컨텐츠를 그루핑하였며, 제1 컨텐츠 그룹(G131)의 난이도 점수의 총합이 미리 결정된 난이도 점수를 초과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3 , the processor groups each work content, and the sum of the difficulty scores of the first content group G131 may exceed a predetermined difficulty score.

이러한 경우에는 해당 그룹의 난이도가 높아 많은 작업자의 참여가 어려운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may mean a case in which it is difficult for many workers to participate because the difficulty of the group is high.

프로세서는 이러한 고난이도 그룹(G131)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복수의 서브 그룹(SG131, SG132)으로 분할 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divide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high difficulty group G131 into a plurality of subgroups SG131 and SG132.

서브 그룹이 지속적으로 분할되어 분할된 그룹(SG1311, SG1312, SG1313, SG1314)에 대응되는 난이도 점수가 미리 결정된 기준 난이도 미만인 경우 프로세서는 프로젝트를 오픈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subgroup is continuously divided and the difficulty score corresponding to the divided group (SG1311, SG1312, SG1313, SG1314)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difficulty level, the processor may open the project and perform the work.

한편 분할된 그룹 각각 별도의 서브 프로젝트를 형성하고 작업자(H1311, H1312, H1313, H1314, H1315)는 각 그룹에 참여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each of the divided groups forms a separate sub-project, and the workers H1311, H1312, H1313, H1314, and H1315 can participate in each group to perform work.

또한 프로세서는 이와 같이 제1 컨텐츠 그룹 및 제2 컨텐츠 그룹으로부터 각각 출력된 결과 데이터를 병합하여 프로젝트에 대응되는 결과 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Also, the processor may form result data corresponding to the project by merging the result data respectively output from the first content group and the second content group as described above.

한편 제어부는 오브젝트의 갯수, 난이도 점수를 기초로 상기 복수개의 그룹 및 복수개의 서브 그룹에 대응되는 단가를 산출할 수 있다. 해당 그룹의 난이도 점수가 낮거나 처리해야할 오브젝트의 숫자가 적은 경우는 단가를 낮게 산출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may calculate a unit price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groups and the plurality of subgroups based on the number of objects and the difficulty score. When the difficulty score of the corresponding group is low or the number of objects to be processed is small, the unit price can be calculated low.

즉 컨텐츠를 분할하므로서 컨텐츠 별로 작업자가 해당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는데 같은 컨텐츠라도 처리해야 할 오브젝트의 숫자가 많거나 해당 컨텐츠의 난이도 점수가 높은 경우에는 프로세서가 해당 그룹의 단가를 그에 대응하여 높게 산출할 수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 content is divided, the worker can participate in the project by content. Even with the same content, if the number of objects to be processed is large or the difficulty score of the content is high, the processor can calculate the unit price of the group correspondingly higher. have.

한편 도 13에서 설명한 동작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컨텐츠의 종류 및 개수나 이러한 컨텐츠가 그루핑되는 동작에는 제한이 없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described in FIG. 13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type and number of contents or the operation of grouping such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체크리스트에 따른 작업시간을 산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calculating a working time according to a data check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고하면,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클라이언트는 작업 수행 전에 클라이언트가 데이터 체크리스트를 통하여 소스 데이터의 종류, 소스 데이터에 처리할 처리 작업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는 데이터 체크리스트를 통하여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적합한 HR(Human resource)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HR정보와 관련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Referring to FIG. 14 , a client performing a project may input a type of source data, a processing task to be processed in the source data, and the like through a data checklist by the client before performing the task. In addition, the client can input human resource (HR) information suitable for carrying out the project through the data checklist. A detailed description related to HR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는 데이터 체크리스트(DC14)를 통하여 소스 데이터가 이미지인지 여부를 입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lient may input whether the source data is an image through the data checklist DC14.

도12에서는 클라이언트가 처리하고자 하는 소스 데이터(SD14)가 이미지이며(I141), 해당 소스 데이터에서 수행되는 작업이 마스킹, 라벨링 및 OCR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I142). 클라이언트가 입력한 정보는 제어부가 수집할 수 있다.12 shows a case where the source data SD14 to be processed by the client is an image (I141), and operations performed on the source data are masking, labeling, and OCR (I142).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client may be collected by the control unit.

제어부는 클라이언트가 데이터 체크리스트로 입력한 정보를 기초로 해당 소스 데이터 및 소스 데이터를 구성하는 컨텐츠의 난이도 점수를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difficulty score of the corresponding source data and content constituting the source data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client into the data checklist.

예를 소스 데이터 상에서 클라이언트가 OCR등의 작업을 입력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는 각 컨텐츠의 난이도 점수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OCR의 객체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lient does not input a task such as OCR on the source data, the processor may not evaluate the object of OCR in determining the difficulty score of each content.

즉, 프로세서는 도14와 같이 사용자가 데이터 체크리스트를 통해 입력한 정보를 기초로 각 컨텐츠의 난이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That is, the processor may calculate the difficulty information of each content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data checklist as shown in FIG. 14 .

도1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의 참가에 따른 작업시간을 산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calculating a working time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of an op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5를 참고하면, 제어부는 미리 결정된 인적 풀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그룹에 참여하는 작업자의 숫자를 산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 the controller may calculate the number of workers participating in a plurality of groups using a predetermined human pool.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미리 결정된 데이터 체크리스트를 통하여 프로젝트에 적합한 HR(Huma Resource)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HR정보는 "라벨링 작업을 5회 이상 수행한 작업자"등과 같은 조건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이러한 HR 정보를 담고 있는 풀(Pool)이 마련될 수 있고 프로세서는 해당 풀 안에서 클라이언트가 입력한 HR 정보와 대응되는 작업자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may receive HR (Huma Resource)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project from the client through the predetermined data checklist. For example, HR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under conditions such as "a worker who performed labeling work 5 or more times". On the other hand, a pool containing such HR information may be prepared in the database of the system performing the project, and the processor may determine the number of workers corresponding to the HR information input by the client in the pool.

즉 제어부는 HR정보와 대응되는 작업자를 미리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하여 복수개의 그룹에 참여하는 작업자를 산출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may calculate the workers participating in the plurality of groups by searching for workers corresponding to the HR information in a database stored in advance.

도 15에서는 이렇게 검색된 작업자가 각 컨텐츠에 대응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FIG. 15 shows that the worker searched in this way corresponds to each content.

구체적으로 도 15에 표시된 제1 작업 컨텐츠(C151)에는 제1 작업자(H151)들이 대응되었다.Specifically, the first workers H151 corresponded to the first work content C151 shown in FIG. 15 .

또한 제2 작업 컨텐츠(C152)에는 제1 작업자 (H152)들이 대응되었다.Also, the first workers H152 correspond to the second work content C152.

또한 제3 작업 컨텐츠(C153)에는 제1 작업자(H153)들이 대응되었다.Also, the first workers H153 corresponded to the third work content C153.

한편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데이터 정보와 작업자의 수를 기초로 복수개의 그룹에 대응되는 작업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Meanwhile, in this case, the processor may calculate the working hour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groups based on the data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nd the number of worke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시간은 하기의 수학식을 기초로 산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ing time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21071458798-pat00009
Figure 112021071458798-pat00009

수학식 9을 참고하면, T는 각 그룹의 작업 시간을 의미하고 N은 각 그룹에 포함된 컨텐츠의 수를 의미하며, R은 단위 컨텐츠당 소모되는 작업 시간을 의미하고, H는 해당 그룹의 작업자를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to Equation 9, T denotes the working time of each group, N denotes the number of contents included in each group, R denotes the working time consumed per unit content, and H denotes the working time of the corresponding group. can mean

즉 작업 시간은 복수개의 그룹에 포함된 컨텐츠의 개수, 기준 시간 및 작업자의 수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That is, the working time may be determined using the number of contents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groups, the reference time, and the number of workers.

한편 이러한 작업 시간 또한 프로젝트를 분할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동작과 관련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On the other hand, this working time can also be used to divide the project, and a detailed description related to this ope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작업 시간에 따라 분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viding content according to work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는 복수개의 그룹 중 상기 작업 시간이 미리 결정된 작업시간을 초과하는 지연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a delay group in which the working time exceeds a predetermined working time from among the plurality of groups.

도 16에서는 C162가 지연 컨텐츠 그룹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설명하도록 한다.In FIG. 16 , it is determined that C162 corresponds to the delayed content group and described.

도 16와 같은 케이스는 프로세서가 난이도를 낮추기 위하여 작업 컨텐츠의 난이도를 기초로 기초로 전체 프로젝트를 분할하여 각 그룹의 난이도는 각 그룹의 컨텐츠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많은 시간이 걸리는 그룹이 발생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16, the processor divides the entire project based on the difficulty of the work content in order to lower the difficulty, and the difficulty of each group means that a group that takes a lot of time to process the content of each group occurs. have.

예를 들면 이러한 많은 시간이 소모되는 그룹은 해당 컨텐츠에 많은 오브젝트가 포함된 경우로 제어부는 지연 그룹(C162)에 포함되는 오브젝트의 개수를 기초로 지연 그룹(C162)을 서브 그룹(C162-1, C162-2)으로 분할할 수 있다.For example, such a time-consuming group is a case in which many objects are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the controller assigns the delay group C162 to the subgroups C162-1, C162-1, based on the number of objects included in the delay group C162. C162-2).

즉 도 16에서는 지연 그룹(C162)에 포함된 작업 컨텐츠에 많은 오브젝트가 포함되어 있어 이를 수행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므로 지연 그룹(C162)을 서브 그룹(C162-1, C162-2)으로 분할하여 해당 그룹의 프로젝트 수행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That is, in FIG. 16, since many objects are included in the work content included in the delay group C162, and it takes a lot of time to perform this, the delay group C162 is divided into subgroups C162-1 and C162-2. It can shorten the project execution time of the group.

한편 제어부는 각 산출된 작업 시간 및 난이도 점수를 기초로 프로젝트에 대응되는 최적화 작업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may calculate the optimization work time corresponding to the project based on each calculated work time and difficulty score.

제어부는 복수의 그룹의 작업 시간의 합이 상기 최적화 작업시간에 도달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그룹(C162)를 서브 컨텐츠 그룹(C162-1, C162-2)으로 분할 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divide the at least one content group C162 into sub content groups C162-1 and C162-2 so that the sum of the working hours of the plurality of groups reaches the optimization working time.

제어부는 분할 전 그룹의 작업시간이 분할 후 각 그룹의 작업시간의 합보다 큰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한하여 각 그룹의 분할을 지속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inue the division of each group only when the condition that the working time of the group before division i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working hours of each group after division is satisfied.

이러한 동작은 하기의 수학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Such an operation may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21071458798-pat00010
Figure 112021071458798-pat00010

수학식10을 참고하면 Tbefore는 분할 전 그룹의 작업 시간을 나타내며, Tafter1 및 Tafter2는 분할 후 각 그룹의 작업 시간을 나타낸다. Referring to Equation 10, T before indicates the working time of the group before division, and T after1 and T after2 indicate the working time of each group after division.

제어부는 수학식2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만 각 그룹의 분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각 그룹의 최적화 작업 시간을 도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perform the division of each group only when the condition of Equation 2 is satisfied, and based on this, may derive the optimization working time of each group.

한편 도 16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컨텐츠 분할은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각 컨텐츠를 분할하는 기초가 되는 값의 제한은 없다.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divi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6 is only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 is no limitation on a value that is a basis for dividing each conten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동작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ime series.

도17 내지 도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17 to 22 are flowchar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7을 참고하면, 제어부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복수개의 태스크 그룹를 형성할 수 있다(S1701).Referring to FIG. 17 , the controller may form a plurality of task groups for performing a project ( S1701 ).

또한 프로세서는 각 태스크를 제1 태스크 그룹과 제2 태스크 그룹으로 그루핑할 수 있다(S1702).In addition, the processor may group each task into a first task group and a second task group (S1702).

이후 제어부는 미리 마련된 탐색 윈도우를 이용하여 각 태스크 그룹의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S1703). Thereafter, the control unit may calculate the evaluation score of each task group by using a search window prepared in advance (S1703).

제어부는 이렇게 산출된 평가 점수를 기초로 각 소스 데이터를 분배할 수 있다(S1704).The controller may distribute each source data based on the evaluation score calculated in this way (S1704).

도18을 참고하면, 프로세서가 각 태스크가 포함된 그룹의 평가 점수를 산출한 뒤, 제2 태스크 그룹과 제1 태스크 그룹의 평가 점수를 비교할 수 있다(S1801).Referring to FIG. 18 , after the processor calculates the evaluation score of the group including each task, the evaluation score of the second task group and the first task group may be compared ( S1801 ).

제1 태크스 그룹의 평가 점수가 제2 태스크 그룹의 평가 점수보다 크면(S1802) 프로세서가 남은 소스 데이터를 제1 태스크 그룹에 분배할 수 있다(S1803).If the evaluation score of the first task group is greater than the evaluation score of the second task group (S1802), the processor may distribute the remaining source data to the first task group (S1803).

반면 제2 태스크 그룹의 평가 점수가 제1 태스크 그룹의 평가점수보다 크면 남은 소스 데이터를 제2 태스크 그룹에 분배할 수 있다(S1804).On the other hand, if the evaluation score of the second task group is greater than the evaluation score of the first task group, the remaining source data may be distributed to the second task group (S1804).

제어부는 이렇게 분배된 소스 데이터를 기초로 이후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다(S1805).The control unit may perform a subsequent project based on the distributed source data (S1805).

도19을 참고하면, 프로세세는 소스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S1901). 또한 이후 각 소스 데이터에 포함된 컨텐츠에서 오브젝트를 추출할 수 있다(S1902).Referring to FIG. 19 , the processor may extract source data (S1901). Also, it is possible to extract an object from the contents included in each source data thereafter (S1902).

또한 프로세서는 각 컨텐츠의 오브젝트 개수와 컨텐츠의 개수 등을 기초로 난이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S1903).Also, the processor may calculate a difficulty score based on the number of objects and the number of contents of each content (S1903).

또한 프로세서는 난이도 점수를 이용하여 각 컨텐츠를 그루핑할 수 있다(S1904).In addition, the processor may group each content by using the difficulty score (S1904).

한편 이렇게 그루핑된 특정 컨텐츠 그룹의 난이도 점수가 기준 값을 초과하면, 해당 컨텐츠 그룹을 서브 컨텐츠 그룹으로 분할하여 난이도 점수를 낮출 수 있다(S1905, S1906). 다만 컨텐츠로 그루핑된 그룹이 적절한 난이도 점수를 갖는 경우에는 해당 그룹을 기초로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다(S1907).Meanwhile, when the difficulty score of the specific grouped content group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e difficulty score may be lowered by divid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group into sub content groups (S1905 and S1906). However, if the group grouped by content has an appropriate difficulty score, the project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group (S1907).

도20를 참고하면, 제어부가 프로젝트를 오픈하면(S2001), 프로젝트는 해당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작업자를 산출할 수 있다(S2002).Referring to FIG. 20 , when the control unit opens a project (S2001), the project may calculate a worker who performs the corresponding project (S2002).

또한 프로세서는 작업자와 각 컨텐츠의 개수 그리고 미리 결정된 기준 시간을 기초로 작업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S2003). 다만 이 경우에도 특정 그룹의 작업 시간이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하면(S2004), 각 컨텐츠에 포함된 오브젝트 수를 기초로 그룹을 분할하여 서브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S2005).In addition, the processor may calculate the working time based on the number of workers, each content, and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S2003). However, even in this case, if the working time of a specific group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S2004), subgroups may be formed by dividing the group based on the number of objects included in each content (S2005).

다만 특정 그룹이 작업 시간이 기준 값 미만인 경우에는 해당 그룹의 작업 시간이 적절한 것으로 파악되어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다(S2006).However, if the working time of a specific group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working time of the group is appropriate and the project can be performed (S2006).

도21을 참고하면, 그룹이 서브 컨텐츠 그룹으로 분할된 이후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Referring to FIG. 21 , an operation after a group is divided into sub content groups is shown.

그룹이 서브 컨텐츠 그룹으로 분할 된 이후(S2101)에도 해당 서브 그룹의 난이도 기준 값 이상인 경우(S2102) 제어부는 해당 서브 그룹의 난이도를 낮추기 위하여 그룹의 분할을 지속할 수 있다.Even after the group is divided into sub-content groups (S2101), if the difficulty level of the corresponding sub-group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S2102), the controller may continue to divide the group in order to lower the difficulty of the corresponding sub-group.

한편 서브 컨텐츠 그룹의 난이도가 기준 값 미만의 난이도에 대응되면 제어부는 해당 그루핑을 기초로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다(S2103).On the other hand, if the difficulty level of the sub content group corresponds to the difficulty level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may perform the project based on the corresponding grouping (S2103).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The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relation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directly in hardware, as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hardware, or by a combination thereof. A software module may contain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flash memory, hard disk, removable disk, CD-ROM, or It may reside in any type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장치
110: 통신부
120: 메모리
130: 제어부
20: 의뢰 서버
30: 작업자 단말
10: device
110: communication department
120: memory
130: control unit
20: request server
30: operator terminal

Claims (10)

프로젝트 태스크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크라우드 소싱 기반 프로젝트 태스크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복수의 태스크를 상기 복수의 태스크 개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태스크 그룹으로 그루핑 하는 단계;
상기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소스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태스크 그룹에 균등하게 분배하는 단계;
상기 프로젝트의 종류를 기초로 결정된 평가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젝트 수행 시점부터 평가 시점까지 상기 복수의 태스크 그룹 각각의 상기 소스 데이터를 처리하는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평가 시점에서 처리되지 않은 나머지 소스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태스크 그룹 중 가장 높은 평가 점수에 대응되는 태스크 그룹에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 함수는,
적어도 하나의 평가 요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평가요소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기초로 결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평가 요소는,
상기 소스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소모되는 인건 비용, 데이터 재분배 기간에서 상기 결과 데이터 당 소모된 시간, 상기 결과 데이터의 품질, 상기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정규화 된 진행 속도 및 상기 소스 데이터를 처리하는 난이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가중치는, 상기 프로젝트의 종류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평가 시점은,
주기를 갖는 데이터 재분배 기간의 합으로 결정되고,
상기 데이터 재분배 기간의 주기는,
상기 소스 데이터가 상기 복수의 태스크 그룹에 균등하게 분배된 시점부터 상기 복수의 태스크 그룹 각각이 미리 결정된 비율의 소스 데이터를 처리한 시간 중 최대 값으로 결정되고,
상기 프로젝트 시작 시점부터 상기 데이터 재분배 기간 마다 상기 복수의 태스크 그룹의 평가 점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재분배 기간 마다 상기 복수의 태스크 그룹 각각의 평가 점수의 합에 대한 특정 태스크 그룹의 평가 점수의 비율을 기초로 나머지 소스 데이터를 재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나머지 소스 데이터를 재분배 단계는, 상기 복수의 태스크 그룹 각각에 대응되는 평가 점수의 합이 최대 값이 되는 시점까지 반복되어 수행되고,
상기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상기 복수의 테스크가 N개인 경우 상기 복수의 태스크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태스크 개수는 1부터 N!개 중 하나로 결정되는 프로젝트 태스크 관리 방법
A method for managing crowdsourcing-based project tasks performed by a project task management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grouping a plurality of tasks for performing the project into a plurality of task groups based o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tasks;
evenly distributing the source data for performing the project to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calculating an evaluation score for processing the source data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from the time of project execution to the time of evaluation by using an evaluation function determined based on the type of the project;
Distributing the remaining source data not processed at the time of the evaluation to a task group corresponding to the highest evaluation score among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The evaluation function is
It is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one evaluation factor and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evaluation factor,
The at least one evaluation factor is
At least one of labor cost consumed for processing the source data, time consumed per result data in a data redistribution period, quality of the result data, a normalized progress rate for outputting the result data, and difficulty of processing the source data including,
The weight is determined based on the type of the project,
The evaluation time is
is determined as the sum of the data redistribution periods with the period,
The period of the data redistribution period is,
It is determined as the maximum value from the time when the source data is equally distributed to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during which time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processes the source data of a predetermined ratio;
determining evaluation scores of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for each data redistribution period from the project start time; and
Redistributing the remaining source data based on the ratio of the evaluation score of a specific task group to the sum of the evaluation scor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for each data redistribution period;
The step of redistributing the remaining source data is repeatedly performed until the sum of the evaluation scor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becomes a maximum value,
Whe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tasks performing the project is N, the number of tasks inclu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is determined to be one of 1 to 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시점은,
상기 복수의 태스크 그룹 각각에 대응되는 평가 점수의 합이 최대 값이 되는 시점으로 결정되는,
프로젝트 태스크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evaluation time is
It is determined as the time when the sum of the evaluation scor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becomes the maximum value,
How to manage project task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되는 비용은,
분배된 상기 소스 데이터를 기초로 결정된 상기 결과 데이터 수에 대한 상기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데 지급되는 총 포인트의 합으로 결정되는 프로젝트 태스크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cost consumed is
A project task management method determined as the sum of the total points paid for outputting the result data for the number of result data determined based on the distributed source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재분배 기간에서 상기 결과 데이터 당 소모된 시간은,
상기 데이터 재분배 기간 동안 출력된 상기 결과 데이터 수에 대한 상기 결과 데이터의 작업 시간 및 검수 시간의 합으로 결정되는 프로젝트 태스크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time consumed per result data in the data redistribution period is,
Project task management method determined by the sum of the work time and inspection time of the result data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result data output during the data redistribution peri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데이터의 품질은,
분배된 상기 소스 데이터를 기초로 결정된 상기 결과 데이터 수에 대한 상기 결과 데이터의 반려 횟수의 합으로 결정되는 프로젝트 태스크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quality of the result data is,
Project task management method determined by the sum of the number of rejections of the result data to the number of result data determined based on the distributed source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정규화 된 진행 속도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재분배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태스크 그룹 각각이 실제 상기 소스 데이터를 처리한 시간에 대한 상기 소스 데이터로부터 출력된 상기 결과 데이터의 수를 기초로 결정되는,
프로젝트 태스크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normalized progress rate of outputting the result data is,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result data output from the source data for a time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actually processed the source data during the plurality of data redistribution periods;
How to manage project task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데이터를 처리하는 난이도는,
상기 복수의 태스크 그룹 각각에 참여한 작업자 수에 대한 미리 결정된 레벨 이하에 대응되는 작업자 수로 결정되는 프로젝트 태스크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difficulty of processing the source data is,
Project task management method determined by the number of worker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workers participating in each of the plurality of task groups below a predetermined level

KR1020210080435A 2021-06-21 2021-06-21 Project task management method that provides an online work-based optimized task operation and apparatus of the same KR1023153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435A KR102315396B1 (en) 2021-06-21 2021-06-21 Project task management method that provides an online work-based optimized task operation and apparatus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435A KR102315396B1 (en) 2021-06-21 2021-06-21 Project task management method that provides an online work-based optimized task operation and apparatus of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5396B1 true KR102315396B1 (en) 2021-10-20

Family

ID=78268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0435A KR102315396B1 (en) 2021-06-21 2021-06-21 Project task management method that provides an online work-based optimized task operation and apparatus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539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5956A (en) 2013-01-25 2014-08-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image-knowledge contents based on crowdsourcing
KR102164844B1 (en) * 2020-05-07 2020-10-14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Method for evaluating workers using the unit of work difficulty of crowdsourcing based project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training data generation
KR102164769B1 (en) * 2020-06-01 2020-10-15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Method for measuring competence using the number of inspection pass of crowdsourcing based project for artificial intelligence training data generation
KR102244697B1 (en) * 2020-05-18 2021-04-26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Project curation method considering worker’s tendency of crowdsourcing based project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training data gener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5956A (en) 2013-01-25 2014-08-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image-knowledge contents based on crowdsourcing
KR102164844B1 (en) * 2020-05-07 2020-10-14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Method for evaluating workers using the unit of work difficulty of crowdsourcing based project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training data generation
KR102244697B1 (en) * 2020-05-18 2021-04-26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Project curation method considering worker’s tendency of crowdsourcing based project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training data generation
KR102164769B1 (en) * 2020-06-01 2020-10-15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Method for measuring competence using the number of inspection pass of crowdsourcing based project for artificial intelligence training data gener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 Popkova et al. Will industry 4.0 and other innovations impact Russia’s development?
Berhil et al. A review paper on artificial intelligence at the service of human resources management
Hartl A Characterization of Culture Change in the Context of Digital Transformation.
Ogbuokiri et al. Implementing bigdata analytics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 (SME) regional growth
Gryshova et al. A model for selection of a management team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and development of the business organizations
Rodriguez Intersectionality and qualitative research
Eryesil et al. The role of strategic flexibility for achieving sustainable competition advantage and its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Girsang et al. Stock price prediction using lstm and search economics optimization
Martinez-de-Pison et al. Searching parsimonious solutions with GA-PARSIMONY and XGBoost in high-dimensional databases
KR102315396B1 (en) Project task management method that provides an online work-based optimized task operation and apparatus of the same
KR102315395B1 (en) Project task management method that provides an online work-based optimized task operation and apparatus of the same
KR102315394B1 (en) Project task management method that provides an online work-based optimized task operation and apparatus of the same
KR10231980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the amount of Project Rewards based on an Machine Learning
Walker Customer‐driven breakthroughs using QFD and policy deployment
Yurynets et al. Neural Network Modeling of the Social and Economic, Investment and Innovation Policy of the State.
Shpak et al. Strategy and Tactics of International Digitalization and Intellectualization of Economic Relations.
Shlafman et al. Modern theoretical foundations of formation of the market of innovative technologies in the context of the concept of neoindustrialization
Podvezko et al. Use and choice of preference functions for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of socio-economical processes
Mankolli et al. Candidate Engagement Success Prediction Using Machine Learning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s
Harmon et al. Overview of a labour market microsimulation model
Mesároš et al. Developing of managerial competencies trough ERP systems in Slovak construction companies
US201802041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mployment candidate analysis
Oliinyk Digital transformation of management processes in state and public organizations: features, direc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development
Temirkhanova RISK MANAGEMENT OF OIL AND GAS COMPANY IN TERMS OF STRATEGIC TRANSFORMATIONS
Trzeciak Analysis of risk management processes in the IT indus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