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522B1 - Smart door lock - Google Patents

Smart door 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8522B1
KR102308522B1 KR1020200014179A KR20200014179A KR102308522B1 KR 102308522 B1 KR102308522 B1 KR 102308522B1 KR 1020200014179 A KR1020200014179 A KR 1020200014179A KR 20200014179 A KR20200014179 A KR 20200014179A KR 102308522 B1 KR102308522 B1 KR 102308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iometric information
door
identification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1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00334A (en
Inventor
최병윤
유동주
우윤식
이성국
김재희
전용기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14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522B1/en
Publication of KR20210100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3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5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1/00Locks with visible indication as to whether the lock is locked or unlock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07C9/25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electronical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2Comprising means for indicating the status of the l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입력유닛, 입력유닛을 센싱하는 센서유닛, 문의 개방 및 잠금을 구동하는 잠금유닛, 기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인식된 생체정보를 식별하는 식별유닛, 문에 결합되되, 빛이 점등되는 LED유닛 및 센서유닛, 잠금유닛, 식별유닛 및 LED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문에 근접한 입력유닛을 센서유닛이 센싱했을 경우에만, 식별유닛이 구동되어 기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인지 식별하되, LED유닛은 센서유닛이 입력유닛을 센싱하였을 경우 및 식별유닛이 인식한 생체 정보가 기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일 경우에만 점등되고, LED유닛은 문으로부터 탈거가 가능하여, LED유닛의 교체가 용이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door lock, and relates to a user-portable input unit, a sensor unit for sensing the input unit, a locking unit for driving door opening and locking, and identification for identify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recognized biometric information of a previously registered user A unit, coupled to the door, including an LED unit and a sensor unit, a lock unit, an identific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ED unit that light is turned on, and only when the sensor unit senses an input unit close to the door, the identification unit It is driven and identifies whether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is already registered, but the LED unit is lit only when the sensor unit senses the input unit and when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identification unit is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previously registered user, the LED unit It can be removed from the silver door, so it is easy to replace the LED unit.

Description

스마트 도어락 {SMART DOOR LOCK}Smart door lock {SMART DOOR LOCK}

본 발명은 스마트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입력유닛, 입력유닛을 센싱하는 센서유닛, 문의 개방 및 잠금을 구동하는 잠금유닛, 기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인식된 생체정보를 식별하는 식별유닛, 문에 결합되되, 빛이 점등되는 LED유닛 및 센서유닛, 잠금유닛, 식별유닛 및 LED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문에 근접한 입력유닛을 센서유닛이 센싱했을 경우에만, 식별유닛이 구동되어 기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인지 식별하되, LED유닛은 센서유닛이 입력유닛을 센싱하였을 경우 및 식별유닛이 인식한 생체 정보가 기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일 경우에만 점등되고, LED유닛은 문으로부터 탈거가 가능하다. 이로 인해, LED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door lock. More specifically, a user-portable input unit, a sensor unit for sensing the input unit, a locking unit for driving door opening and locking, an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a previously registered user and recognized biometric information, coupled to the door However, it includes an LED unit and a sensor unit, a lock unit, an identific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ED unit, where the light is turned on, and only when the sensor unit senses an input unit close to the door, the identification unit is driven and registered However, the LED unit is lit only when the sensor unit senses the input unit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identification unit is the registered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nd the LED unit can be removed from the door. possible. For this reas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replacement of the LED unit is easy.

기계식 도어락의 경우 열쇠를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근래에는 대부분 비밀번호나 지문 입력을 통해 문을 열 수 있는 전기 작동식 도어락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the case of mechanical door locks, since it is inconvenient to carry a key, electric-operated door locks that can open the door by inputting a password or fingerprint are widely used in recent years.

전기 작동식 도어락은 일반적으로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본체, 본체와 연결되는 외측 레버 및 내측 레버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체에는 도어락의 잠금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회로기판이 내장되어 있다.An electrically operated door lock is generally composed of a main body that can input a number, an outer lever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an inner lever, and the main body has a built-in circuit board that can electrically control the lock of the door lock.

종래의 전기 작동식 도어락은 입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잠금 해제를 위한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단순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즉, 종래의 도어락 시스템은 단순히 현관 단속에만 사용되며 방범에는 사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별도의 방범 시스템을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The conventional electrically operated door lock performs a simple function of generating an electric signal for unlocking when the input password matches. That is, the conventional door lock system is simply used only to crack down on the entrance and is not used for crime prevention.

최근 들어, 1인 가구의 증가 등으로 인해 혼자 거주하는 여성들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도어락의 맹점은 재산상의 피해는 물론 신체적 위험까지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는 사회적으로도 매우 심각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Recently, in a situation where the number of women living alone is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e blind spots of these door locks can expose not only property damage but also physical risks, which is a very serious social problem. have.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방범 시스템이 구성되어야 하지만, 개인 주택 특히, 1인 가구를 위한 원룸 등에서는 각 방 별로 고가의 방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separate crime prevention system must be configured, but in a private house, particularly, a studio for single-person household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build an expensive crime prevention system for each room.

이를 위해, 사용자 또는 외부에 위험을 알리기 위해 LED 또는 음성 발생 기능을 함께 갖춘 전기 작동식 도어락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To this end, the development of an electrically operated door lock equipped with an LED or a voice generating function in order to inform the user or the outside of the danger is being actively developed.

그러나, 센서, 제어장치 등이 도어락에 내장되어 구동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교체가 어렵고, 이에 사용이 지속적으로 이용되지 않아 보안에 효과가 미비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However, since the sensor, the control device, etc. are built-in and driven in the door lock,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directly replace it, and the use thereof is not continuously used,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curity effect is insufficient.

따라서, 비밀번호의 노출이 쉬운 점 및 보안 취약한 종래의 문제점과 동시에 LED 및 음성 기능을 추가하여 외부에 위험을 알리는 기능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단순화 및 관리의 간편성이 극대화된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device that maximizes simplification and ease of management in order to continuously use the function to inform the outside of danger by adding LED and voice functions at the same time as the conventional problems of easy password exposure and weak security. .

KR 10-2014-0020545 AKR 10-2014-0020545 A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도어락의 LED유닛의 탈거를 가능하게 하여 손쉽게 교체를 유도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입력유닛, 입력유닛을 센싱하는 센서유닛, 문의 개방 및 잠금을 구동하는 잠금유닛, 기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인식된 생체정보를 식별하는 식별유닛, 문에 결합되되, 빛이 점등되는 LED유닛 및 센서유닛, 잠금유닛, 식별유닛 및 LED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문에 근접한 입력유닛을 센서유닛이 센싱했을 경우에만, 식별유닛이 구동되어 기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인지 식별하되, LED유닛은 센서유닛이 입력유닛을 센싱하였을 경우 및 식별유닛이 인식한 생체 정보가 기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일 경우에만 점등되고, LED유닛은 문으로부터 탈거가 가능하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duce easy replacement by enabling the removal of the LED unit of the smart door lock. To this end, a user-portable input unit, a sensor unit for sensing the input unit, a locking unit for driving the door opening and locking, an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a previously registered user and the recognized biometric information, is coupled to the door ,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LED unit and a sensor unit, a lock unit, an identification unit, and an LED unit on which the light is turned on, and only when the sensor unit senses an input unit close to the door, the identification unit is driven and registered Identifies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but the LED unit is lit only when the sensor unit senses the input unit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identification unit is the previously registered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nd the LED unit can be removed from the door do.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은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입력유닛; 상기 입력유닛을 센싱하는 센서유닛; 문의 개방 및 잠금을 구동하는 잠금유닛; 기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인식된 생체정보를 식별하는 식별유닛; 상기 문에 결합되되, 빛이 점등되는 LED유닛; 및 상기 센서유닛, 상기 잠금유닛, 상기 식별유닛 및 상기 LED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문에 근접한 상기 입력유닛을 상기 센서유닛이 센싱했을 경우에만, 상기 식별유닛이 구동되어 기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인지 식별하되, 상기 LED유닛은 상기 센서유닛이 상기 입력유닛을 센싱하였을 경우 및 상기 식별유닛이 인식한 생체 정보가 기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일 경우에만 점등되되, 상기 LED유닛은 상기 문으로부터 탈거가 가능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mart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r-portable input unit; a sensor unit sensing the input unit; a locking unit for driving the door opening and locking; an identification unit that identifies the previously registered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nd the recognized biometric information; Doedoe coupled to the door, the light is lit LED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nsor unit, the lock unit, the identification unit, and the LED unit, wherein only when the sensor unit senses the input unit close to the door, the identification unit is driven to Identifies whether it is biometric information of a registered user, but the LED unit is lit only when the sensor unit senses the input unit and when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identification unit is biometric information of a previously registered user, the LED The unit is removable from the door.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센서유닛이 상기 입력유닛을 센싱하였을 경우, 제1 제어부는 제1 신호를 발신하되, 제1 잠금부가 해제되어 상기 식별유닛이 구동되고, 상기 식별유닛이 인식한 생체 정보가 기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일치할 경우에 제2 제어부는 제2 신호를 발신하되, 제2 잠금부가 해제되어 상기 문이 개방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nsor unit senses the input unit, the first control unit transmits a first signal, but the first lock unit is released to drive the identification unit,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identification unit is displayed. When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previously registered user is matched, the second control unit transmits a second signal, and the second lock unit is released to open the door.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식별유닛이 인식한 생체 정보가 기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인지의 식별이 3회 초과할 경우, 상기 LED유닛의 점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dentification of whether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identification unit is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a previously registered user exceeds three times, the LED unit is turned o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입력유닛의 근접유무를 판단하는 센서부; 및 알림 기능을 구비한 알림부;로 구비되되, 상기 알림부는 상기 LED유닛과 함께 구동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the sensor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roximity of the input unit; And a notification unit having a notification function; provided with, the notification unit is driven together with the LED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센서유닛은, 비콘(Beacon) 기능으로 상기 입력유닛을 식별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identifies the input unit with a beacon fun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식별유닛은, 생체 정보 인식 모듈을 기반으로 구동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fication unit is driven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LED유닛은, AC 컨버터 회로부; DC 컨버터 회로부; 상기 AC 컨버터 회로부를 수용하는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DC 컨버터 회로부를 수용하는 제2 프레임부로 구비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를 잇는 연결부;로 구비되되,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는 상기 연결부에 의해 펼침과 닫힘이 반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D unit comprises: an AC converter circuit; DC converter circuitry; a frame part having a first frame part accommodating the AC converter circuit part and a second frame part accommodating the DC converter circuit part;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irst frame part and the second frame part,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frame part and the second frame part are repeated by the connection part.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입력유닛은, 사용자의 눈; 및 휴대 가능한 스마트키;로 구비되되, 상기 스마트키는 휴대폰,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노트북 컴퓨터 및 스마트 밴드 중 하나 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the user's eyes; and a portable smart key; the smart key is one of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smart pad, a notebook computer, and a smart ban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부의 외측면을 따라 코팅층이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ating layer is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락에 의하면 제1 제어부에 의해 제1 신호가 발신됨과 동시에 LED유닛이 1차 식별이 완료하였음을 의미하며 점등된 후에, 제어유닛은 식별유닛을 구동하여 제2 제어부가 제2 신호를 발신하여 제2 잠금부를 해제하여 최종적으로 문이 개방될 수 있고, 동시에 LED유닛이 2차적으로 점등되어 문의 개방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어 사용자는 진행 과정을 암시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mart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signal is transmitted by the first control unit, it means that the LED unit has completed the primary identification. After being lit, the control unit drives the identification unit so that the second control unit sends the second signal By sending a message, the door can finally be opened by releasing the second lock, and at the same time, the LED unit is turned on secondarily to inform the user of the opening of the door. there is

또한, 식별유닛은 생체 정보 인식 모듈에서 인식한 생체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하여, 도어락 장치로 전송하여 출입 가능한 사용자임을 판단하여 문을 개방하므로, 사용자는 비밀번호를 누르거나 키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고, 사용자 생체 정보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에만 문이 개방될 수 있으므로, 출입 보안 시스템에 대한 보안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unit stores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in the memory of the user terminal, transmits it to the door lock device, determines that the user can enter and opens the door, so that the user does not need to press a password or use a key Therefore,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and since the door can be opened only when user biometric information authentication is completed, security for the access security system can be increased.

또한, 사용자가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 내의 부품(AC 컨버터 회로부 등)을 교체하는 경우에는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를 펼쳐 해당 부품만을 교체하고, 다시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를 접어 문에 내장 또는 결합시키면 되므로, 작업자가 아닌 거주자 및 사용자가 직접 교체할 수 있어 장치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replaces the parts (such as the AC converter circuit part) in the first frame part and the second frame part, unfold the first frame part and the second frame part to replace only the corresponding parts, and again the first frame part and the second frame part Since the frame part can be built-in or combined with the door by folding it, residents and users, not workers, can directly replace it,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devic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가 접힘이 가능하므로, AC 컨버터 회로부 및 DC 컨버터 회로부 또한 각각 결합 및 분리된다. 이로 인해, 종래의 회로기판과는 다르게 단면적이 1/2로 축소되어 컨버터의 소형화를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frame part and the second frame part are foldable, the AC converter circuit part and the DC converter circuit part are also coupled and separated, respectively. For this reason, unlike the conventional circuit board, the cross-sectional area is reduced to 1/2, so that the miniaturization of the converter can be construct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부, 램프부, 카메라부 및 LED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부가 합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부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부에 내장되는 컨버터 회로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박스부의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블록도이다.
1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frame unit, a lamp unit, a camera unit, and an LED unit are comb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for carrying out the ste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tched.
5 is a view showing an unfolded state of the fram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onverter circuit part built in the frame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view of th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thu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or addition is not exclud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도어락은 입력유닛(100), 센서유닛(200), 잠금유닛(300), 프레임유닛(400), 연결유닛(500), 컨버터 회로유닛(600), 진단유닛(700), 램프유닛(800), 카메라유닛(900) 및 LED유닛(1000)를 포함한다.The smart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100, a sensor unit 200, a lock unit 300, a frame unit 400, a connection unit 500, a converter circuit unit 600, a diagnosis unit 700, It includes a lamp unit 800 , a camera unit 900 , and an LED unit 1000 .

입력유닛(100)은 스마트키(110) 및 사용자의 눈(120)을 포함한다.The input unit 100 includes a smart key 110 and the user's eyes 120 .

스마트키(110)는 스마트 ECU, Receiver, 실내 안테나, 실외 안테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스마트키(110)는 휴대가 가능한 기기일 수 있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는 다양한 단말기를 포함한다. 스마트키(11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Navigation), 태블릿 PC 및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와 같은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 기능과 스마트 잠금 장치 및 보안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장치일 수 있다.The smart key 110 includes a smart ECU, a receiver, an indoor antenna, an outdoor antenna,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smart key 110 may be a portable device. It includes various terminals capable of running a service application. The smart key 110 i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smart pad,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 navigation (Navigation) ), tablet PCs, smart watches, and various wearable devices such as smart band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 types of devices capable of dri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a smart lock device, and a separate application capable of executing a security service.

센서유닛(200)은 문(1)에 내장되고, 센서부(210) 및 알림부(220)를 포함한다. 센서부(210)는 문(1) 반경에 진입한 사용자의 스마트키(110)를 센싱하게 된다. The sensor unit 200 is built into the door 1 , and includes a sensor unit 210 and a notification unit 220 . The sensor unit 210 senses the smart key 110 of the user who has entered the radius of the door 1 .

즉, 센서부(210)는 스마트키(110)의 근접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That is, the sensor unit 210 determines whether the smart key 110 is in proximity.

이때, 센서부(210)는 기 설정된 특정 범위 안에 스마트키(110)가 들어올 때, 스마트키(110)가 근접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or unit 210 determines that the smart key 110 is close when the smart key 110 enters within a preset specific range.

또한,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서의 센서부(210)는 비콘 기능으로 실시될 수 있다.In addition, in detail, the sensor unit 210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beacon function.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센서부(210)는 비콘(Beacon) 기능을 통해 문(1) 근처 반경에 노출된 접근자를 판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출입이 가능한 사람인지 여부를 1차적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된다.In detail, the sensor unit 210 can determine an accessor exposed in a radius near the door 1 through a beacon function, and can primarily identify whether or not a person can enter through this. do.

비콘(Beacon) 기능은, 근거리에 있는 스마트 기기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블루투스 비콘(Bluetooth Beacon)이라고도 불리우며,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가 포함된 정보 패킷을 보낼 수 있고, 특정 건물의 내부에서 위치추정을 하고자 할 때, RSSI(Received Signal Sterangth Indicatior) 값을 전송하거나 사전에 알려진 비콘의 출력 신호 세기와 신호 강도로 사용될 수 있다.The Beacon function i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can automatically recognize a smart device in a short distance and transmit necessary data. Also called a Bluetooth Beacon, it i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can It can be used to transmit a Received Signal Sterangth Indicator (RSSI) value or to use a previously known output signal strength and signal strength of a beacon when estimating a location inside a specific building.

따라서, 출입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문(1) 근처로 진입하면서, 스마트키(1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비콘 기능을 통해 UUID 고유 식별자를 센서부(210)에 지속적으로 신호를 보낼 수 있고, 센서부(210)는 이를 감지 및 인식하여 출입 가능한 사람인지 판별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who wants to enter and exit can continuously send a signal to the sensor unit 210 with the UUID unique identifier through the beacon function of the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smart key 110 while entering the vicinity of the door 1, and the sensor unit ( 210) detects and recognizes this to determine whether a person can enter or exit.

또한, 알림부(220)는 스마트키(110)가 센서부(210)의 특정 범위에 들어왔을 때, 알람을 울리게 된다. 알림부(220)의 구성으로 인해, 사용자는 스마트키(110)가 센서부(210)의 범위에 들어와서, 후술할 제1 잠금부(310)를 해제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오작동의 확률을 낮추고 불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하여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Also, the notification unit 220 sounds an alarm when the smart key 110 enters a specific range of the sensor unit 210 .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notification unit 220 , the user may recognize that the smart key 110 may come into the range of the sensor unit 210 and release the first lock unit 310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Due to thi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robability of a malfunction is lowered and the convenience is increased by preventing unnecessary operation.

센서유닛(200) 중 센서부(210)는 스마트키(110)가 센싱되어 센서부(210)에 스마트키(110)가 근접하였다고 판단하면, 후술할 제1 제어부(C1)에 제1 신호를 전달한다. 본 발명에서 제1 신호라 함은, 스마트키(110)가 센서부(210)에 근접하여 제1 잠금부(310)를 해제하여도 되는 상태라는 것을 알리기 위한 신호이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When the sensor unit 210 of the sensor unit 200 senses the smart key 110 and determines that the smart key 110 approaches the sensor unit 210, it sends a first signal to the first control unit C1 to be described later. transmi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ignal is a signal for informing that the smart key 110 is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locking unit 310 may be released in proximity to the sensor unit 210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provided later.

또한, 센서부(210)는 스마트키(110)를 센싱하였을 경우, 1차적 식별이 완료되었다는 의미에서 LED유닛(1000)이 점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nsor unit 210 senses the smart key 110 , the LED unit 1000 may be turned on in the sense that the primary identification is completed.

LED유닛(1000)은 문(1)에 외부를 향해 점등되도록 결합되어진다.The LED unit 1000 is coupled to the door 1 so as to be lit toward the outside.

일 예로, 센서부(210)가 스마트키(110)가 센싱되어 후술할 제1 제어부(C1)에 제1 신호가 전달됨과 동시에 LED유닛(1000)에도 1차적으로 점등되어 사용자에게 1차적 식별이 완료되었음을 암시할 수 있고, 일 예로, 초록색일 수 있고, 2초 이상 점등될 수 있다. 단,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이 가능하도록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적절하게 설계되어질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ensor unit 210 senses the smart key 110 and transmits a first signal to the first control unit C1 to be described later, and at the same time the LED unit 1000 is also primarily lit to provide the user with primary identification. It may imply completion, for example, may be green, and may be lit for 2 seconds or mor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may be appropriately designe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to enable setting by the user.

다음으로, 식별유닛(900)에 의해 2차 식별이 진행되어질 수 있다.Next, secondary identification may be performed by the identification unit 900 .

식별유닛(900)은 사용자의 지문 정보, 홍채 정보, 음성 정보 및 얼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여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식별유닛(900)은 생체 정보와 관련된 신호를 출력하는 생체 정보 센싱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unit 900 may acquire and recognize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user's fingerprint information, iris information, voice information, and face information. To this end, the identification unit 900 may include a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module (not shown) that outputs a signal related to biometric informa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식별유닛(900)은 센서부(210)가 스마트키(110)를 센싱하여 1차적 식별이 완료된 후에, 제어유닛(C)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문(1) 내부에 생체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생체 정보 인식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생체 정보 인식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생체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Therefore, the identification unit 9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riven by the control unit (C) after the sensor unit 210 senses the smart key 110 and the primary identification is completed, and is located inside the door (1). A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program for recognizing biometric information may be installed,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may be recognized by driv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program.

상세하게는, 지문 센서, 마이크 및 카메라 등이 문(1)의 내부 또는 문(1)의 일부에 결합되는 도어락에 결합될 수 있고, 지문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생체 정보로 인식할 수 있으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생체 정보로 인식할 수 있으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사용자의 홍채 정보 또는 얼굴 정보 등을 생체 정보로 인식할 수 있다.In detail, a fingerprint sensor, a microphone, and a camera may be coupled to a door lock coupled to the interior of the door 1 or a part of the door 1, and the user's fingerprin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fingerprint sensor is recognized as biometric information. The user's voic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may be recognized as biometric information, and iris information or face information of the user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may be recognized as biometric information.

따라서, 제1 제어부(C1)에 의해 제1 신호가 발신됨과 동시에 LED유닛(1000)이 1차 식별이 완료하였음을 의미하며 점등된 후에, 제어유닛(C)은 식별유닛(900)을 구동하여 일 예로, 기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사용자의 식별된 얼굴을 판단하게 되고, 제2 제어부(C2)가 제2 신호를 발신하여 제2 잠금부(320)를 해제하여 최종적으로 문(1)이 개방될 수 있고, 동시에 LED유닛(1000)이 2차적으로 점등되어 문(1)의 개방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Therefore, at the same time that the first signal is transmitted by the first control unit (C1), the LED unit 1000 means that the primary identification is completed and is turned on, then the control unit (C) drives the identification unit (900) to For example,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user and the identified face of the user are determined, and the second control unit C2 transmits a second signal to release the second lock unit 320 and finally the door (1). This can be opened, and at the same time, the LED unit 1000 is secondarily lit to inform the user of the opening of the door (1).

이를 위해, 식별유닛(900)은 생체 정보 인식 모듈에서 인식한 생체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미도시)의 메모리에 저장하여, 생체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를 출입문 개방이 가능한 사용자로 등록할 수 있고, 생성된 등록값은 도어락 장치로 전송하여 출입 가능한 사용자임을 판단하여 문(1)의 개방을 구동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identification unit 900 stores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in the memory of the user terminal (not shown), so that the user who has entered the biometric information can be registered as a user who can open the door, and generates The registered value is transmitted to the door lock device to determine that the user can enter and exit, and can drive the opening of the door (1).

이와 같이, 사용자는 비밀번호를 누르거나 키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고, 사용자 생체 정보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에만 문(1)이 개방될 수 있으므로, 출입 보안 시스템에 대한 보안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user does not need to press a password or use a key,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and the door 1 can be opened only when user biometric information authentication is completed, so the security of the access security system can be improved. can be increased

또한, 사용자의 정보를 기준으로 이중 식별 작업을 통해 문(1)을 개방하므로, 보안성이 더욱 증대되고, 이와 동시에 LED유닛(1000)의 점등으로 사용자는 진행과정을 암시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증대된다.In addition, since the door 1 is opened through the double identification operation based on the user's information, the security is further increased, and at the same time, the user can hint the progress by lighting the LED unit 1000,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do.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도어락의 출입 여부 진행 단계를 서술하도록 한다.With reference to FIG. 2, the step of progressing whether the smart door lock enters or exi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센서부가 특정범위 내에서 스마트키의 근접유무를 파악하였는가(S101) 단계로, 센서부(210)는 문(1) 반경에 진입한 사용자의 스마트키(110)를 센싱하여 1차적 식별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서술한 내용으로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First, in a step S101 whether the sensor unit detects the proximity of the smart key within a specific range, the sensor unit 210 senses the user's smart key 110 who has entered the radius of the door 1 to perform primary identification. be able to do In order to prevent a duplicate description of thi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에, 제1 잠금부 해제(S102) 단계로, 센서부(210)의 사용자의 스마트키(110)를 센싱 및 식별함에 따라, 제1 제어부(C1)는 제1 신호를 발신하여 제1 잠금부(310)를 해제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step of releasing the first locking unit (S102), as the smart key 110 of the user of the sensor unit 210 is sensed and identified, the first control unit C1 transmits a first signal to the first lock unit (310) can be released.

다음으로, LED 1차 점등(S103) 단계로, 제1 잠금부(310)의 해제와 동시에 LED유닛(1000)은 1차 점등을 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1차 식별이 완료되었음을 즉각 인지할 수 있다.Next, in the LED primary lighting (S103) step, the LED unit 1000 at the same time as the release of the first lock 310 is the primary lighting. Accordingly, the user can immediately recognize that the current primary identification has been completed.

다음으로, 식별유닛에서 인식한 생체 정보가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동일한가(S104) 단계로, 1차 식별 후에, 식별유닛(900)에 의해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인식한 생체 정보가 식별되어 이중으로 출입 가능한 사람인지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서술한 내용으로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Next, in the step of whether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identification unit is the same as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user (S104), after the first identification,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registered by the identification unit 900 and the recognized biometric information are identified This makes it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person can double-entry. This is to omit the detailed description in order to prevent a duplicat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tent.

따라서, 제2 잠금부 해제(S105) 단계로, 식별유닛(900)에 의해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인지의 유무를 판단에 따라, 제2 제어부(C2)는 제2 신호를 발신하여 제2 잠금부(320)를 해제하게 된다.Accordingly, in the step of unlocking the second locking unit (S105),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or not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is registered by the identification unit 900, the second control unit C2 transmits a second signal to lock the second The unit 320 is released.

다음으로, LED 2차 점등(S106) 단계로, 제2 잠금부(320)의 해제와 동시에 LED유닛(1000)은 2차 점등을 하게 되고, 2차 점등과 상이한 색일 수도 있고, 상이한 방법으로 점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2차 식별이 완료되었음을 인식하고, 문(1)이 개방됨을 대응할 수 있게 된다.Next, in the LED secondary lighting (S106) step, at the same time as the release of the second locking unit 320, the LED unit 1000 turns on the secondary lighting, and may be of a different color from the secondary lighting, and is lit in a different way. can be Accordingly,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secondary identification has been completed, and can respond to the door 1 being opened.

이때, 본 발명에서는 식별유닛에서 인식한 생체 정보가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동일한가(S104)단계에서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인식된 생체 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다시 LED 1차 점등(S103)단계로 진입하게 되는데, 진입 횟수를 3회로 제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identification unit is the same as the registered user's biometric information (S104), when the registered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nd the recognized biometric information do not match, the LED primary lights up again (S103) ), which has the characteristic that the number of entries can be limited to 3 times.

다시 말해, 식별유닛(900) 생체정보를 인식하여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식별하는 횟수는 3회 이하로 제한되고, 3회 초과 시에, LED유닛 점등 및 알림부 구동(S107)의 단계로 진행되어 비상사태임을 사용자에게 또한 외부인에게 즉각 알릴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the number of times the identification unit 900 recognizes the biometric information and identifies it with the registered user's biometric information is limited to 3 or less, and when it exceeds 3 times, the LED unit lights up and the notification unit is driven (S107) In the process,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notify the user and outsiders that it is an emergency.

여기서, 알림부(220) 및 LED유닛(1000)은 건물 내의 관리실과 연동될 수 있고, 스마트키(110)의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에 따라 외부인(지인, 이웃, 경비원, 보안업체직원, 경찰 및 소방관 등)에게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연동(일 예로, 일정시간 동안 경보음과 함께 음성통화의 자동 연결 기능 등)을 하여 위험 상황에 빠른 대응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전기적 제어 구동은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설계 및 변경되어질 수 있다.Here, the notification unit 220 and the LED unit 1000 may be interlocked with the management room in the building, and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installed application of the smart key 110, outsiders (acquaintances, neighbors, security guards, security company employees, police and firefighters) etc.) so that it can be linked (for example, an automatic connection function of voice calls with an alarm soun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tc.) to induce a quick response to a dangerous situation. Such electrically controlled driving may be designed and chang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방범 취약 거주지역에 대해서도 또한 1인 가구에 대해서도 저가의 장치로 충분한 보안 및 방범에 대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sufficient security and crime prevention can be dealt with with a low-cost device even for a residential area vulnerable to crime prevention and for single-person households.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센서부가 특정 범위 내에서 스마트키의 근접 유무를 파악하는 단계(S101)에서 다른 실시 예로, 센서부는 사용자 눈(120)과 스마트키(110)의 기준거리를 통해 제1 잠금부(310)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step (S101) of determining whether the sensor unit is close to the smart key within a specific r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other embodiment, the sensor unit first locks through the reference distance between the user's eyes 120 and the smart key 110 It allows the unit 310 to be released.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기준 거리는 도 1에서 사용자 눈(120)과 스마트키(110)가 위치한 사용자의 주머니와의 수직 거리일 수 있다.In detail, the reference dist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user's eyes 120 and the user's pocket where the smart key 110 is located in FIG. 1 .

따라서, 센서부(210)는 사용자가 문(1)으로부터 특정 범위 내에 도달하면 눈(120) 및 스마트키(110)의 위치를 식별하고, 이의 수직거리(기준거리)를 산출하여 설정 값 이하일 경우, 제1 잠금부(310)를 해제할 수 있다. 이는, 예시로 1인가구의 주거자가 여성일 경우, 일반 남성의 눈과 골반의 수직 거리가 짧은 점을 기반으로, 여성임을 판별할 수 있고, 설정 값 이상일 경우 남성임을 판별하여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눈(120)과 스마트키(110)의 위치에 따른 기준거리가 초기에 설정되는 값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질 수 있고, 이상, 이하 또는 특정 범위 내로 한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nsor unit 210 identifies the positions of the eyes 120 and the smart key 110 when the user arrives within a specific range from the door 1, calculates the vertical distance (reference distance) thereof, and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 the first locking unit 310 may be released. For example, when the resident of a single-person household is a woman,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person is a woman based on the short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eyes and the pelvis of a normal man, and when the value is greater than the set valu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person is a man, thereby improving security. . Here, the value at which the reference distance is initially set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the user's eyes 120 and the smart key 110 may be set by the user, and may be limited to more than, less than, or within a specific range.

이와 같이, 1차적 식별을 위해 초기 설정 값을 구체적으로 한정하여 보안 및 방범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s such,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security and crime prevention by specifically limiting the initial setting value for primary identification.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1차적 식별 및 2차적 식별에 따라 상이한 색으로 점등되는 LED유닛(1000)은 본 발명에서 문(1)에 독립적으로 내장되고, 교체가 용이한 특징이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D unit 1000 that is lit with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primary identification and the secondary identification is independently built in the door 1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asy to replace.

이하, LED유닛(1000)의 구동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3 및 4를 참조하도록 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3 and 4 in order to describe the operation of the LED unit 1000 in detail.

프레임 유닛(400)은 제1 프레임부(410) 및 제2 프레임부(420)로 구비된다.The frame unit 400 includes a first frame portion 410 and a second frame portion 420 .

제1 프레임부(410)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프레임부(410)의 상면에는 AC 컨버터 회로부(610)가 결합된다.The first frame part 410 is preferably in the form of a box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 AC converter circuit unit 61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unit 410 .

이와 마찬가지로, 제2 프레임부(420)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제1 프레임부(410)와 제2 프레임부(420)의 형상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제1 프레임부(410)와 제2 프레임부(420)가 접혀서 맞닿을 때 합치될 수 있어 소형화의 장점이 있으며, 돌출되는 부분이 발생되지 않아 파손 등의 위험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Likewi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frame part 420 has a box shape with an open upper surface. More preferably, the shapes of the first frame part 410 and the second frame part 420 are the same. For this reason, the first frame portion 410 and the second frame portion 420 can be matched when they are folded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ere is an advantage of miniaturization,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protruding portion is not generated,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damage.

이때, 제1 프레임부(410)와 제2 프레임부(420)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격된 제1 프레임부(410)와 제2 프레임부(420)를 연결유닛(500)이 잇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프레임부(410)와 제2 프레임부(42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기 때문에, 제1 프레임부(410) 또는 제2 프레임부(420)가 접혀 맞닿을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frame part 410 and the second frame part 4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spaced apart first frame part 410 and the second frame part 420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unit ( 500) will follow.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frame part 410 and the second frame part 4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first frame part 410 or the second frame part 420 can be folded and abutted. .

연결유닛(500)는 도 3과 같이, 한 쌍으로 구비되는 제1 연결부(510) 및 후술할 AC 컨버터 회로부(610) 및 DC 컨버터 회로부(620)를 잇는 제2 연결부(520)로 구비된다. As shown in FIG. 3 , the connection unit 50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art 510 provided as a pair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520 connecting an AC converter circuit part 610 and a DC converter circuit part 620 to be described later.

제1 연결부(510)는 제1 프레임부(410) 및 제2 프레임부(420)를 연결한다. 좀 더 상세하게 도 4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510)는 제1 막대부(511), 제2 막대부(512), 제1 조인트부(513), 제2 조인트부(514) 및 제3 조인트부(515)를 구비한다.The first connection part 510 connects the first frame part 410 and the second frame part 420 . Referring to FIG. 4 in more detail, the first connection part 510 includes a first bar part 511 , a second bar part 512 , a first joint part 513 , a second joint part 514 , and a second joint part 514 . 3 A joint portion 515 is provided.

제1 막대부(511)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2 프레임부(420)와 인접한 제1 프레임부(410)의 단부에 위치된다.The first bar part 511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located at an end of the first frame part 410 adjacent to the second frame part 420 .

제2 막대부(512)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 프레임부(410)와 인접한 제2 프레임부(420)의 단부에 위치된다.The second bar part 512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located at an end of the second frame part 420 adjacent to the first frame part 410 .

제1 조인트부(513)는 제1 프레임부(410) 및 제1 막대부(511)를 동시에 관통하여 연결하는 관절 역할을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조인트부(514)는 제2 프레임부(420)와 제2 막대부(512)를 동시에 관통하며, 제3 조인트부(515)는 제1 막대부(511)와 제2 막대부(512)를 동시에 관통한다.The first joint part 513 serves as a joint for simultaneously passing through and connecting the first frame part 410 and the first bar part 511 . Similarly, the second joint portion 514 passes through the second frame portion 420 and the second rod portion 512 at the same time, and the third joint portion 515 includes the first rod portion 511 and the second rod portion. It passes through the portion 512 at the same time.

이와 같이, 제1 조인트부(513) 내지 제3 조인트부(515)가 형성됨에 따라, 제1 막대부(511) 및 제2 막대부(512)는 틸팅 동작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제1 프레임부(410) 및 제2 프레임부(420)가 도 3과 같이 접혀 합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s the first joint part 513 to the third joint part 515 are formed, the first bar part 511 and the second bar part 512 can tilt operation, and thus, the first The frame part 410 and the second frame part 420 may be folded and matched as shown in FIG. 3 .

또한, 제1 연결부(510)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제1 프레임부(410)와 제2 프레임부(420)를 잇는 지지력이 증대되어 반복되는 접힘과 펼침 동작에도 수명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on part 510 is provided as a pai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supporting force connecting the first frame part 410 and the second frame part 420 is increased and repeated folding.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lifespan is increased even in the operation and unfolding operation.

또한, 사용자가 제1 프레임부(410) 및 제2 프레임부(420) 내의 부품(AC 컨버터 회로부(610) 등)을 교체하는 경우에는 제1 프레임부(410) 및 제2 프레임부(420)를 펼쳐 해당 부품만을 교체하고, 다시 제1 프레임부(410) 및 제2 프레임부(420)를 접어 문(1)에 내장 또는 결합시키면 되므로, 작업자가 아닌 거주자 및 사용자가 직접 교체할 수 있어 장치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replaces the components (such as the AC converter circuit unit 610) in the first frame unit 410 and the second frame unit 420, the first frame unit 410 and the second frame unit 420 The device can be replaced by a resident and a user, not a worker, because only the corresponding parts are replaced, and the first frame part 410 and the second frame part 420 are folded again to be built-in or combined in the door 1 . It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도 5를 참조하여, AC 컨버터 회로부(610), DC 컨버터 회로부(620), 제2 연결부(520), 진단유닛(700) 및 램프유닛(800)의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The configuration and effects of the AC converter circuit unit 610 , the DC converter circuit unit 620 , the second connection unit 520 , the diagnostic unit 700 , and the lamp unit 8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LED 조명을 점등하기 위한 종래의 컨버터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회로 기판에 AC 컨버터 회로와 DC 컨버터 회로가 결합되어 있다. 이때, AC 컨버터 회로와 DC 컨버터 회로는 분리가 가능하지만, 종래에는 하나의 회로기판에 각 회로를 모두 결합하여 사용되어졌다.In a conventional converter for lighting an LED light, an AC converter circuit and a DC converter circuit are basically combined on a single circuit board. At this time, although the AC converter circuit and the DC converter circuit can be separated, conventionally, each circuit is combined on one circuit board and used.

이때, 본 발명에서는 AC 컨버터 회로와 DC 컨버터 회로를 분리하고, AC 컨버터 회로가 결합되는 AC 컨버터 회로부(회로기판 포함)와 DC 컨버터 회로가 결합되는 DC 컨버터 회로부(회로기판 포함)을 별도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AC 컨버터 회로부와 DC 컨버터 회로부는 제2 연결부(520)를 통해 연결되며, 접힘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C converter circuit and the DC converter circuit are separated, and the AC converter circuit part (including the circuit board) to which the AC converter circuit is coupled and the DC converter circuit part (including the circuit board) to which the DC converter circuit is coupled are separately separated. characterized. In addition, the AC converter circuit part and the DC converter circuit part are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art 520 , and a folding operation is possible.

AC 컨버터 회로부(610)는 제1 프레임부(410)의 상면에 결합된다. AC 컨버터 회로부(610)의 일측은 전원(P)과 연결된 AC 전선(A)과 연결되고, AC 컨버터 회로부(610)의 타측은 제2 연결부(520)와 연결된다.The AC converter circuit unit 61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unit 410 . One side of the AC converter circuit unit 610 is connected to the AC wire A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P, and the other side of the AC converter circuit unit 6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unit 520 .

이와 마찬가지로, DC 컨버터 회로부(620)는 제2 프레임부(420)의 상면에 결합된다. DC 컨버터 회로부(620)의 일측은 제2 연결부(520)와 연결되고, DC 컨버터 회로부(620)의 타측은 DC 전선(D)과 연결된다.Likewise, the DC converter circuit unit 62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unit 420 . One side of the DC converter circuit unit 62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unit 520 , and the other side of the DC converter circuit unit 620 is connected to the DC wire (D).

전원(P) - AC 전선(A) - AC 컨버터 회로부(610) - 제2 연결부(520) - DC 컨버터 회로부(620) - DC 전선(D) - LED유닛(1000) 순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최종적으로 LED유닛(1000)은 문(1)의 손잡이(10)가 결합된 측면에서 점등하게 된다(도 1 참조).Power (P) - AC wire (A) - AC converter circuit part (610) - second connection part (520) - DC converter circuit part (620) - DC wire (D) - LED unit (1000) in the order of power is supplied and finally As a result, the LED unit 1000 is lit on the side to which the handle 10 of the door 1 is coupled (see FIG. 1).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 프레임부(410) 및 제2 프레임부(420)가 접힘이 가능하므로, AC 컨버터 회로부(610) 및 DC 컨버터 회로부(620) 또한 각각 결합 및 분리된다. 이로 인해, 종래의 회로기판과는 다르게 단면적이 1/2로 축소되어 컨버터의 소형화를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제2 연결부(520)는 일 예로 접힘 가능한 PCB 케이블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frame part 410 and the second frame part 420 are foldable, the AC converter circuit part 610 and the DC converter circuit part 620 are also coupled and separated, respectively. For this reason, unlike the conventional circuit board, the cross-sectional area is reduced to 1/2, and thus the converter can be miniaturized. Here, the second connection part 520 may be, for example, a foldable PCB cabl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DC 컨버터 회로부(620)에는 회로부의 과전압을 측정하는 진단유닛(70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단유닛(700)는 DC 컨버터 회로부(620)에 결합된 램프유닛(800)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C converter circuit unit 620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diagnosis unit 700 for measuring the overvoltage of the circuit unit. Also, the diagnosis unit 700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lamp unit 800 coupled to the DC converter circuit unit 620 .

진단유닛(700)는 DC 컨버터 회로부(620)의 일 지점에 결합되어,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과 전압인 경우)를 판단하여 램프유닛(800)가 점등되도록 한다. 전기적 구성은 공지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diagnosis unit 700 is coupled to a point of the DC converter circuit unit 620 , and determines when the reference voltag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overvoltage) so that the lamp unit 800 is turned on. Since the electrical configuration is a well-known technolog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램프유닛(800)의 점등만으로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컨버터가 수명이 다하거나 문제가 발생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어 교체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수명 예측이 가능하며, 과전압으로 인한 미연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Due to this configuration, only by turning on the lamp unit 800, the user can visually know that the life of the converter has expired or a problem has occurred, so that the convenience of replacement is increased, the lifespan can be predicted, and accidents due to overvoltage are not prevented. It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램프유닛(800)은 손잡이(10)가 결합되는 문(1)의 측면에서 일부 노출되도록 결합된다. 일 예로, 진단유닛(700)로부터 과전압 판단이 없는 일반적인 경우에는 무색으로 나타날 수 있고, 진단유닛(700)로부터 과전압으로 판단되는 경우 빨강 계열의 보편적으로 경고를 암시하는 계열의 색으로 반복적으로 점등하는 등의 구동으로 교체 시기가 표출될 수 있다.The lamp unit 800 is coupled to be partially exposed from the side of the door 1 to which the handle 10 is coupled. For example, in a general case where there is no overvoltage determination from the diagnosis unit 700, it may appear colorless, and when it is determined as overvoltage from the diagnosis unit 700, it is repeatedly lit in a red series color suggesting a general warning. The replacement time can be expressed by driving such as.

박스유닛(1100)는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하는 박스 형태로, 집안 내부를 향하는 문(1)의 측면에 일부 삽입될 수 있고, 문(1)에 돌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The box unit 1100 is in the form of a box having a hollow part therein, and may b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side of the door 1 facing the inside of the house, and may be coupled to protrude from the door 1 .

따라서, 제1 프레임부(410) 및 제2 프레임부(420) 내의 부품(AC 컨버터 회로부(610) 등)을 교체하는 경우에 박스유닛(1100)만을 탈거하여 교체시키면 되므로 편리성이 더욱 더 증가된다.Therefore, in the case of replacing parts (such as the AC converter circuit unit 610) in the first frame unit 410 and the second frame unit 420, only the box unit 1100 needs to be removed and replaced, so the convenience is further increased. do.

또한, 박스유닛(1100) 내에는 AC 전선 및 DC 전선이 삽입된다.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을 박스유닛(1100) 내에 삽입하여 AC 전선 및 DC 전선을 AC 컨버터 회로부(610)와 DC 컨버터 회로부(620)에 각각 연결하기만 하면 컨버터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n AC wire and a DC wire are inserted into the box unit 1100 . When the user inserts the smart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o the box unit 1100 and connects the AC wires and the DC wires to the AC converter circuit unit 610 and the DC converter circuit unit 620, respectively, the converter function can be performed.

따라서, 도 6과 같이, 박스유닛(1100) 내부에 제1 프레임부(410), 제2 프레임부(420) 및 제1 연결부(510)를 삽입하여 LED유닛(1000)를 점등시킬 수 있고, 스위치를 추가하여 LED유닛(1000)의 구동을 한층 더 손쉽게 구동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6, the LED unit 1000 can be turned on by inserting the first frame part 410, the second frame part 420,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510 inside the box unit 1100, By adding a switch, the driving of the LED unit 1000 can be more easily driven.

이와 같은 구성은 후술할 박스유닛(1100)에 본 발명에 따른 제1 프레임부(410) 및 제2 프레임부(420)로 구성된 컨버터를 삽입할 경우, 접힌 상태로 박스유닛(1100)에 삽입하여 LED유닛(1000)과 독립적으로 각각 설치될 수 있으므로, 컨버터의 수명이 다하여 컨버터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박스유닛(1100) 내부의 컨버터만을 분리하여 교체하면 되므로,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작업자의 안전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In this configuration, when inserting the converter composed of the first frame portion 410 and the second frame portion 4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o the box unit 110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inserted into the box unit 1100 in a folded state. Since the LED unit 1000 can be install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when the converter life is over and the converter is to be replaced, only the converter inside the box unit 1100 needs to be separated and replaced, thereby reducing the working time and improving the safety of workers. There are advantages to increasing.

다시 말해, 교체가 용이하며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작업 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In other words, it is easy to replace,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and has the advantage of shortening the working time.

상기 스마트 도어락은 프레임부의 외측면을 따라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반사 방지, 지문 방지(anti-fingerprint) 및 먼지부착 방지 효과가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mart door lock may have a coating layer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The coating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xcellent in anti-reflection, anti-fingerprint and anti-dust effect.

스마트 도어락은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하는 만큼, 정전기 발생에 의해 주변 먼지 등이 부착되는 문제가 있으며, 빛에 의한 반사 작용으로 스마트 도어락의 작동을 방해할 수 있다.Since the smart door lock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surrounding dust is attached due to the generation of static electricity, and the operation of the smart door lock may be hindered by the reflection action by light.

이에 본 발명의 상기 코팅층은 대전 방지층으로,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여 먼지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ating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ntistatic lay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static electricity to prevent the adhesion of dust.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 조성물은 유기 용매, 불소 수지, 전도성 필러, 그라파이트, 다정큼나무 추출물 및 낭인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ating composition for forming the coating layer may include an organic solvent, a fluororesin, a conductive filler, graphite, an extract of dandelion tree, and an extract of nangin.

상기 불소 수지는 플루오린(불소)을 포함한 올레핀을 중합시켜 얻어진 합성 수지의 총칭이다. 내열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하며, 마찰계수가 작은 것이 특징이다. 구체적으로 화학약품에 견디는 내구력이나 전기 절연성이 높고, 표면의 마찰계수가 기존물질로서는 가장 낮으며, 고온에서도 안정된 불연성을 위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일반 플리스틱에 비하여 내열성, 내저온성, 전기절연성, 고주파 특성 등이 매우 우수하며, 비점착성과 저마찰 특성 또한 존재한다. 불소 수지는 상기 뛰어난 특성 때문에 화학공업, 전기 및 전자공업, 기계공업은 물론 우주개발이나 항공 산업에서부터 가정 용품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The fluororesin is a generic term for synthetic resins obtained by polymerizing olefins containing fluorine (fluorine). It is characterized by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and a small coefficient of friction. Specifically, it has high durability and electrical insulation to withstand chemicals, has the lowest surface friction coefficient as an existing material, and is used as an engineering plastic for stable non-combustibility even at high temperatures. Compared to general plastics, it has excellent heat resistance, low temperature resistance, electrical insulation, high frequency characteristics, etc., and also has non-adhesive properties and low friction properties. Fluorine resin has been applied in a wide variety of fields from chemical industry, electrical and electronic industry, mechanical industry, as well as space development and aviation industry to household products because of the excellent properties.

상기 불소 수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 에틸렌(polytetrafluoro ethylene, PTFE), 테트라프루오르에틸렌 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 공중합체(Tetrafluoroethylene 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FEP), 에틸렌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공중합체(Ethylene tetrafluoroethylene copolymer, ETFE), 퍼플루오르폴리에테르(perfluoropolyether, PFPA) 및 퍼플루오르알콕시 폴리머(Perfluoralkoxy polymer, PFA)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fluororesin is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tetrafluoroethylene 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FEP), ethylene tetrafluoroethylene copolymer (ETFE), perfluoropolyether I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erfluoropolyether, PFPA) and perfluoralkoxy polymer (PFA),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전도성 필러는 실리카, 알루미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나이지만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전도성 필러의 입자 직경은 30 내지 50㎛이지만,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전도성 필러는 전기 전도성을 나타낼 수 있다. The conductive fill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a, alumina, and mixtures thereof, preferably alumina,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nductive filler has a particle diameter of 30 to 50 μm,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The conductive filler may exhibit electrical conductivity.

상기 그라파이트는 소량 포함되어, 코팅층 내의 대전 방지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라파이트는 고가의 전도성 필러인 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 내의 코팅층에는 소량 포함되어, 지속적인 대전방지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The graphite may be included in a small amount to continuously maintain the antistatic effect in the coating layer. Considering that graphite is an expensive conductive filler, it is included in a small amount in the coating layer in the present invention to maintain a continuous antistatic effect.

상기 다정큼나무 (Raphiolepis indica var. umbellata (Thunb.) Ohashi)는 해안가 산기슭에 자라는 상록관목으로 높이가 2 내지 4m에 달하고 잔가지가 윤생한다. 잎은 호생하지만 가지 끝에서 총생하는 것 같이 보이고 장타원형 또는 도란상이며 둔두이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백색으로 4 내지 6월에 원추화서로 달린다. 열매는 이과로 둥글며 검게 익는다.The sweet tree (Raphiolepis indica var. umbellata (Thunb.) Ohashi) is an evergreen shrub that grows at the foot of a mountain along the coast, reaching a height of 2 to 4 m, and its twigs are whorled. The leaves are alternate, but they look like they grow together at the tips of branches, are oblong or obovate, and have dull serrations on the edges. Flowers are white and run in panicles from April to June. The fruits are round and ripen black.

다정큼나무의 열매는 혈관을 확장시키고 혈류를 개선하는 효능이 있어서 불규칙한 심장 박동이나, 고혈압, 흉통과 같은 심장질환에 사용된다.The fruit of the sweet berry has the effect of dilating blood vessels and improving blood flow, so it is used for heart diseases such as irregular heartbeat, high blood pressure, and chest pain.

상기 낭인(Persicaria senticosa (Meisn.) H.Gross ex Nakai )은 들에 자라는 일년생 덩굴식물로 길이 1 내지 2m에 달하고 줄기는 사각형이며 붉은 빛이 돌고 가시가 있다. 잎은 호생하며 삼각형이고 예두이며 심장저이고 양면에 털이 있다. 꽃은 양성화로 7 내지 8월에 가지 끝에 둥글게 모여 달리고 꽃자루에 선모가 있다. 열매는 수과로 흑색이며 꽃받침으로 싸여 있다. 전초를 여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사용한다.The nangin (Persicaria senticosa (Meisn.) H. Gross ex Nakai ) is an annual vine that grows in the field and reaches 1 to 2 m in length, and the stem is square, red and has thorns. The leaves are alternate, triangular, acute, heart-bottomed, and hairy on both sides. Flowers are bisexual, clustered at the tip of branches in July to August, and have glandular hairs on the peduncle. Fruits are aqua, black, and covered with calyx. It is collected in summer and dried in the sun for use.

상기 유기 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헥세인, 프로페인, 톨루엔, 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The organic solven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anol, methanol, butanol, hexane, propane, toluene, phenol, and mixtures thereof.

상기 코팅 조성물은 유기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불소 수지 40 내지 80 중량부, 전도성 필러 30 내지 50 중량부, 그라파이트 5 내지 10 중량부, 다정큼나무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및 낭인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ating composition i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organic solvent, 40 to 80 parts by weight of a fluororesin, 30 to 50 parts by weight of a conductive filler, 5 to 10 parts by weight of graphite, 1 to 5 parts by weight of an extract of dandelion tree, and 1 to 5 parts by weight of an extract of nangin may include wealth.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 효과로 대전 방지 효과가 극대화되어 먼지부착 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In the case of the above range, the antistatic effect is maximized due to the synergistic effect by the interaction of each component, and thus the dust adhesion prevention effect can be improved. However, when it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 synergistic effect is rapidly reduced or there is almost no synergistic effect.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스마트 도어락의 표면 코팅층Surface coating layer of smart door lock

1. 코팅층을 구성하는 천연 추출물의 제조1. Preparation of natural extract constituting the coating layer

상기 탈취 물질을 구성하는 천연 추출물인 페퍼민트 추출물(ME), 댕댕이나무 추출물(LE) 및 수리취 추출물(SE)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정큼나무 추출물(RE) 및 낭인 추출물(PE) 추출물을 제조하였다.The extracts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natural extracts of peppermint extract (ME), oleifera extract (LE), and hydrangea extract (SE), which constitute the deodorizing material, and extracts from serrata oleracea (RE) and cypress extract (PE). .

2. 코팅 조성물의 제조2. Preparation of coating composition

톨루엔 및 페놀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유기 용매에 불소 수지, 전도성 필러, 그라파이트 및 다정큼나무 추출물(RE) 및 낭인 추출물(PE)을 하기 표 1과 같이 혼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Toluene and phenol were mixed in an organic solvent in a weight ratio of 1:1, and a fluororesin, conductive filler, graphite, and an extract of P. oleifera (RE) and nangin extract (PE) were mixed as shown in Table 1 below to prepare a coating composition.

C1C1 C2C2 C3C3 C4C4 C5C5 C6C6 C7C7 C8C8 C9C9 C10C10 C11C11 C12C12 C13C13 유기용매organic solvent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ETFEETFE 2020 3030 4040 6060 8080 100100 6060 6060 6060 6060 6060 6060 6060 알루미나alumina 1010 2020 3030 4040 5050 6060 4040 4040 4040 4040 4040 4040 4040 그라파이트graphite 1One 33 55 77 1010 1515 77 77 77 77 77 77 77 RERE -- -- -- -- -- -- 33 -- 0.70.7 1One 33 55 77 PEPE -- -- -- -- -- -- -- 33 0.70.7 1One 33 55 77

(단위: 중량부)(Unit: parts by weight)

상기 알루미나는 입자 직경이 30 내지 50㎛이다.The alumina has a particle diameter of 30 to 50 μm.

3. 코팅층의 제조3. Preparation of coating layer

스마트 도어락의 외관 프레임과 동일한 재질의 기판에 상기 C1 내지 C13의 코팅 조성물을 도포한 후, 경화시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The coating composition of C1 to C13 was applied to the substrat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exterior frame of the smart door lock, and then cured to form a coating layer.

실험예 1Experimental Example 1

대전방지 효과 실험Antistatic effect test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일면에 C1 내지 C13의 코팅 조성물이 형성된 코팅층에 대해, Resistance Meter SIMCO 저항기 ST-4(25℃, 상대습도 50%)를 이용하여 표면전기저항을 측정하였다. For the coating layer in which the coating composition of C1 to C13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display, the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was measured using a Resistance Meter SIMCO resistor ST-4 (25° C., 50% relative humidity).

비교예로,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디스플레이에 대한 표면전기저항도 함께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As a comparative example, the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display on which the coating layer is not formed was also measu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표면전기저항
(Ω/cm2)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Ω/cm 2 )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7.4×1011 내지 1.6×1012 7.4×10 11 to 1.6×10 12 C1C1 7.5×109 내지 3.4×1010 7.5×10 9 to 3.4×10 10 C2C2 6.4×109 내지 1.4×1010 6.4×10 9 to 1.4×10 10 C3C3 7.2×108 내지 6.1×109 7.2×10 8 to 6.1×10 9 C4C4 4.4×107 내지 2.1×108 4.4×10 7 to 2.1×10 8 C5C5 6.5×107 내지 4.5×108 6.5×10 7 to 4.5×10 8 C6C6 1.4×109 내지 1.6×1010 1.4×10 9 to 1.6×10 10 C7C7 7.4×109 내지 2.4×1010 7.4×10 9 to 2.4×10 10 C8C8 7.8×109 내지 5.8×1010 7.8×10 9 to 5.8×10 10 C9C9 6.4×109 내지 8.1×1010 6.4×10 9 to 8.1×10 10 C10C10 3.4×106 내지 5.5×107 3.4×10 6 to 5.5×10 7 C11C11 4.0×105 내지 2.8×106 4.0×10 5 to 2.8×10 6 C12C12 4.1×106 내지 2.1×107 4.1×10 6 to 2.1×10 7 C13C13 1.1×109 내지 5.8×1010 1.1×10 9 to 5.8×10 10

상기 표 2에 따르면,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비교예에 비해, C1 내지 C13의 표면전기저항이 낮으므로, 전기전도도가 우수하여, 우수한 대전방지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able 2,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coating layer is not formed, since the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of C1 to C13 is low, the electrical conductivity is excellent,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an excellent antistatic effect is exhibited.

또한, 상기 코팅 조성물은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불소 수지 40 내지 80 중량부, 전도성 필러 30 내지 50 중량부, 그라파이트 5 내지 10, 다정큼나무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및 낭인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우수한 대전 방지 상승효과가 나타나는 바, 먼지부착 방지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the coating composition i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organic solvent, 40 to 80 parts by weight of a fluororesin, 30 to 50 parts by weight of a conductive filler, 5 to 10 parts by weight of graphite, 1 to 5 parts by weight of an extract of dandelion tree, and 1 to 5 parts by weight of an extract of nangin In the case of including the part, an excellent antistatic synergistic effect by the interaction of each component appears, and it can be seen that the dust adhesion prevention effect is excellent.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s within the scope of the

100 : 입력유닛, 110 : 스마트키,
120 : 눈, 200 : 센서유닛,
210 : 센서부, 220 : 알림부,
300 : 잠금유닛, 400 : 프레임유닛,
410 : 제1 프레임부, 420 : 제2 프레임부,
500 : 연결유닛, 510 : 제1 연결부,
520 : 제2 연결부, 600 : 컨버터 회로유닛,
610 : AC 컨버터 회로부, 620 : DC 컨버터 회로부,
700 : 진단유닛, 800 : 램프유닛,
900 : 식별유닛, 1000 : LED 유닛,
1100 : 박스유닛.
100: input unit, 110: smart key,
120: eyes, 200: sensor unit,
210: sensor unit, 220: notification unit,
300: lock unit, 400: frame unit,
410: a first frame portion, 420: a second frame portion,
500: a connection unit, 510: a first connection part,
520: second connection unit, 600: converter circuit unit;
610: AC converter circuit unit, 620: DC converter circuit unit,
700: diagnostic unit, 800: lamp unit,
900: identification unit, 1000: LED unit,
1100: box unit.

Claims (9)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입력유닛;
상기 입력유닛을 센싱하는 센서유닛;
문의 개방 및 잠금을 구동하는 잠금유닛;
기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인식된 생체정보를 식별하는 식별유닛;
상기 문에 결합되되, 빛이 점등되는 LED유닛; 및
상기 센서유닛, 상기 잠금유닛, 상기 식별유닛 및 상기 LED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문에 근접한 상기 입력유닛을 상기 센서유닛이 센싱했을 경우에만, 상기 식별유닛이 구동되어 기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인지 식별하되,
상기 LED유닛은 상기 센서유닛이 상기 입력유닛을 센싱하였을 경우 및 상기 식별유닛이 인식한 생체 정보가 기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일 경우에만 점등되되,
상기 LED유닛은 상기 문으로부터 탈거가 가능하고,
상기 센서유닛이 상기 입력유닛을 센싱하였을 경우, 제1 제어부는 제1 신호를 발신하되, 제1 잠금부가 해제되어 상기 식별유닛이 구동되고,
상기 식별유닛이 인식한 생체 정보가 기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일치할 경우에 제2 제어부는 제2 신호를 발신하되, 제2 잠금부가 해제되어 상기 문이 개방되고,
상기 식별유닛이 인식한 생체 정보가 기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인지의 식별이 3회 초과할 경우, 상기 LED유닛의 점등되고,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입력유닛의 근접유무를 판단하는 센서부; 및
알림 기능을 구비한 알림부;로 구비되되,
상기 알림부는 상기 LED유닛과 함께 구동되고,
상기 센서유닛은,
비콘(Beacon) 기능으로 상기 입력유닛을 식별하는
상기 식별유닛은,
생체 정보 인식 모듈을 기반으로 구동되고,
상기 LED유닛은,
AC 컨버터 회로부;
DC 컨버터 회로부;
상기 AC 컨버터 회로부를 수용하는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DC 컨버터 회로부를 수용하는 제2 프레임부로 구비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를 잇는 연결부;로 구비되되,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는 상기 연결부에 의해 펼침과 닫힘이 반복되는
스마트 도어락.
a user-portable input unit;
a sensor unit sensing the input unit;
a locking unit for driving the door opening and locking;
an identification unit that identifies the previously registered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nd the recognized biometric information;
Doedoe coupled to the door, the light is lit LED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nsor unit, the lock unit, the identification unit, and the LED unit; includes,
Only when the sensor unit senses the input unit close to the door, the identification unit is driven to identify whether it is biometric information of a previously registered user,
The LED unit is lit only when the sensor unit senses the input unit and when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identification unit is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a previously registered user,
The LED unit is removable from the door,
When the sensor unit senses the input unit, the first control unit transmits a first signal, but the first lock unit is released to drive the identification unit,
When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identification unit matches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user, the second control unit transmits a second signal, the second locking unit is released and the door is opened,
When the identification of whether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identification unit is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user exceeds three times, the LED unit is turned on,
The sensor unit is
a sensor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input unit is in proximity; and
A notification unit having a notification function; provided as a
The notification unit is driven together with the LED unit,
The sensor unit is
To identify the input unit with a beacon function
The identification unit is
It is driven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The LED unit is
AC converter circuitry;
DC converter circuitry;
a frame part having a first frame part accommodating the AC converter circuit part and a second frame part accommodating the DC converter circuit part;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irst frame part and the second frame par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frame part and the second frame part are repeated by the connection part.
smart door lock.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유닛은,
사용자의 눈; 및
휴대 가능한 스마트키;로 구비되되,
상기 스마트키는 휴대폰,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노트북 컴퓨터 및 스마트 밴드 중 하나 인 것인
스마트 도어락.

According to claim 1,
The input unit is
user's eyes; and
Provided with a portable smart key;
The smart key is one of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smart pad, a notebook computer, and a smart band
smart door lock.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외측면을 따라 코팅층이 형성되는
스마트 도어락.
9. The method of claim 8,
A coating layer is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part
smart door lock.
KR1020200014179A 2020-02-06 2020-02-06 Smart door lock KR1023085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179A KR102308522B1 (en) 2020-02-06 2020-02-06 Smart door 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179A KR102308522B1 (en) 2020-02-06 2020-02-06 Smart door 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334A KR20210100334A (en) 2021-08-17
KR102308522B1 true KR102308522B1 (en) 2021-10-01

Family

ID=77466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179A KR102308522B1 (en) 2020-02-06 2020-02-06 Smart door 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52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285B1 (en) 2021-12-02 2023-10-2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Door lock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381Y1 (en) * 2005-05-12 2005-08-17 주식회사 바이오엔터 Door lock apparatus
KR100893104B1 (en) * 2003-12-29 2009-04-14 사전트 매뉴팩츄어링 캄파니 Exit device with lighted touchpad
KR101696199B1 (en) * 2016-04-14 2017-01-23 주식회사 화성 Wireless Lock System Based BLE
KR101993062B1 (en) * 2017-12-27 2019-06-25 한달 Double lock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465A (en) * 2008-07-22 2010-02-01 주식회사 미래인식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entrance using pin and biometrics
KR101414773B1 (en) 2012-08-09 2014-07-03 주식회사 서우 Openning and closing method for digital door lock, and mobile telecomunication terminal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104B1 (en) * 2003-12-29 2009-04-14 사전트 매뉴팩츄어링 캄파니 Exit device with lighted touchpad
KR200392381Y1 (en) * 2005-05-12 2005-08-17 주식회사 바이오엔터 Door lock apparatus
KR101696199B1 (en) * 2016-04-14 2017-01-23 주식회사 화성 Wireless Lock System Based BLE
KR101993062B1 (en) * 2017-12-27 2019-06-25 한달 Double lock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334A (en) 202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8522B1 (en) Smart door lock
CN201532571U (en) High-integration intelligent household system
CN107909781A (en) Cloud alarm supplying system and method
CN102945590A (en) Home security system based on wireless sensing network
CN108298388A (en) Elevator customer is identified using intelligent mobile terminal and operates the method and system of elevator
CN107088059A (en) A kind of Intelligent bracelet and APP platform remote processing methods
CN205722309U (en) Fall detection intelligent heating floor
CN106846724A (en) A kind of locator and its locator alarm method
CN107846335A (en) A kind of intelligent domestic system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CN110335437A (en) A kind of wisdom house security system based on block chain
CN105913597A (en) Domestic household intelligent anti-intrusion security protection system
CN204374643U (en) Zigbee wireless sensor Intelligent home monitoring system and Zigbee wireless speech Acoustic control remote controller
CN107083909B (en) Intelligent door security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EP1457996A3 (en) Dry water-resistant coaxial cab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N107885150A (en) Intelligent switch with warning function
CN108154581A (en) A kind of automatic security protection control system based on intelligent door
CN207228957U (en) Door with power device
CN205540170U (en) Intelligence home safety burglar alarm communication system
CN205810334U (en) A kind of smart electronics doorplate
CN205656446U (en) Intelligent home robot
CN209377269U (en) A kind of luminous lighting carpet
CN212322385U (en) Wisdom conflagration prevention and control early warning monitoring audio alert device
CN204759118U (en) System for intelligent control is carried out to identification
CN210274322U (en) Remote intelligent monitoring equipment used in hospital
CN205384708U (en) Room security alarm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