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334B1 - Smart factory system based management for industrial iot and un-iot modoule group usde zone-master and method manufacturing it - Google Patents

Smart factory system based management for industrial iot and un-iot modoule group usde zone-master and method manufacturing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334B1
KR102279334B1 KR1020190087701A KR20190087701A KR102279334B1 KR 102279334 B1 KR102279334 B1 KR 102279334B1 KR 1020190087701 A KR1020190087701 A KR 1020190087701A KR 20190087701 A KR20190087701 A KR 20190087701A KR 102279334 B1 KR102279334 B1 KR 102279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information
zone master
zon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7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10157A (en
Inventor
배종환
박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토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토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토비즈
Priority to KR1020190087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334B1/en
Publication of KR20210010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1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3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4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system universality, reconfigurability, modularit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3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data acquisition, e.g. workpiece identific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network communic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0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 G05B23/0213Modular or universal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e.g. monitoring system having modules that may be combined to build monitoring program; monitoring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legacy systems; adaptable monitoring system; using different communication protoc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존마스터를 이용한 산업공정용 IOT 및 비IOT 모듈의 그룹운영기반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대한 것으로, 지역별 또는 객체로부터 획득되는 종류별 그룹화를 통하여 공정간 모니터링 및 공정기기의 각각의 객체간의 제어 및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시스템의 관리,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모니터링 및 외부안전종합관제망 등과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서버(1)와 상기 서버(1)에 연결되고 지역별 또는 객체종류별로 그룹화하여 객체단말기(3)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서버(1)로 전송하기 위한 존마스터(2) 및 IOT모듈 및 비IOT 모듈의 운영을 위해 각각 관리가 요구되는 대상객체에 설치되어 정보를 획득하는 객체단말기(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마스터를 이용한 산업공정용 IOT 및 비IOT 모듈의 그룹운영기반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factory system based on group operation of IOT and non-IOT modules for industrial processes using a zone master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each object of monitoring between processes and process equipment through grouping by type obtained from regions or objects It is to enable more efficient operation of control and management between the two.
To this end, it is connected to the server 1 and the server 1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by being connected to the database for system management, data storage and processing, monitoring and external safety comprehensive control network, and grouped by region or object type. The zone master 2 for grasping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bject terminal 3 and transmitting it to the server 1, and the IOT module and non-IOT module are installed in the target object each management is required to obtain information To provide a smart factory system based on group operation of IOT and non-IOT modules for industrial processes using a zone mas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n object terminal (3).

Description

존마스터를 이용한 산업공정용 IOT 및 비IOT 모듈의 그룹운영기반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SMART FACTORY SYSTEM BASED MANAGEMENT FOR INDUSTRIAL IOT AND UN-IOT MODOULE GROUP USDE ZONE-MASTER AND METHOD MANUFACTURING IT} SMART FACTORY SYSTEM BASED MANAGEMENT FOR INDUSTRIAL IOT AND UN-IOT MODOULE GROUP USDE ZONE-MASTER AND METHOD MANUFACTURING IT}

본 발명은 존마스터를 이용한 산업공정용 IOT 및 비IOT 모듈의 그룹운영기반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대한 것으로, 지역별 또는 객체로부터 획득되는 종류별 그룹화를 통하여 공정간 모니터링 및 공정기기의 각각의 객체간의 제어 및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factory system based on group operation of IOT and non-IOT modules for industrial processes using a zone master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each object of monitoring between processes and process equipment through grouping by type obtained from regions or objects It is to enable more efficient operation of control and management between the two.

일반적으로 산업공정에는 IOT를 기반으로 하는 공정시설과 IOT를 기반으로 하지 않는 비IOT 기반의 공정시설이 병존하고 있다.In general, in industrial processes, IOT-based process facilities and non-IOT-based process facilities that are not based on IOT coexist.

또한, 이와 같은 산업공정에서는 그 공정의 특성상 다양한 종류의 수많은 대상객체인 기기 및 시설들이 적용되어 운용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such an industrial proces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manage because a number of various types of target objects, such as devices and facilities, are applied and operated due to the nature of the process.

이에 따라 스마트팩도리를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플랫폼을 제공하게 되는데, 동시다발적으로 여러 곳에서 발생되는 대용량의 정보인 빅데이터의 처리를 위해 그 구성이 복잡하고 운영이 난해한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Accordingly, various platforms are provided to implement Smart Factory. For the processing of big data, which is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generated in multiple places at the same time, a system with a complex configuration and difficult operation is provided.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77948호(스마트팩도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2018년 07월 09일 공개, 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는 짧은 주기로 발생되는 대용량 데이터의 정상적인 수신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은, 데이터 수집장치에 의해 수집된 수집 데이터를 데이터송수신 인터페이스 별로 정해진 수신 단위에 따라 수신하는 수신유닛; 상기 수집 데이터의 수신시간이 기록된 수신로그가 상기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 별로 저장되는 로그저장소; 및상기 수신로그에 기록된 상기 수집 데이터의 수신시간을 기초로 상기 수집 데이터의 정상 수신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77948 (interface middleware system for smart factory platform and its operating method, published on July 09, 2018,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is an interface middleware system for a smart factory platfor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monitor whether a large amount of data generated in a short period is normally received or not, receives the collected data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on device in a receiving unit determined for each data transmission/reception interface. a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according to a log storage in which a reception log in which the reception time of the collected data is recorded is stored for each data transmission/reception interface; and a monitoring unit configured to monitor whether the collected data is normally received based on the reception time of the collected data recorded in the reception log.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 1은 단순한 시간주기를 설정하여 정보를 획득하고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대용량의 정보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는 있으나, 정보의 전송에 따른 병목현상 및 기기에 대한 개별제어 또는 동일한 조건에서의 그룹화 제어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is prior art 1 provides a method of acquiring and processing information by setting a simple time period, so that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can be processed quickly, but a bottleneck according to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individual control of devices Alternatively, there was a problem in that grouping control under the same conditions was difficult.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25757호(연속공정용 대용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한 스마트팩토리 플랫폼, 2018년 03월 09일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25757 (Smart factory platform for real-time processing of large-capacity data for continuous processes, published on March 09, 201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0715호(스마트 팩토리의 이종 프로토콜을 갖는 기기간 데이터 통신 시스템, 2019년 04월 15일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970715 (Data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devices with heterogeneous protocols of a smart factory, registered on April 15, 201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존마스터를 이용한 산업공정용 IOT 및 비IOT 모듈의 그룹운영기반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산업공정용 기기 및 설비장치 등의 그룹화를 통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mart factory system based on group operation of IOT and non-IOT modules for industrial processes using zone master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thereby grouping industrial process equipment and equipmen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factory system and its operating method that can monitor and control more efficiently.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존마스터를 이용한 산업공정용 IOT 및 비IOT 모듈의 그룹운영기반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의 관리,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모니터링 및 외부안전종합관제망 등과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서버(1);와 상기 서버(1)에 연결되고 지역별 또는 객체종류별로 그룹화하여 객체단말기(3)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서버(1)로 전송하기 위한 존마스터(2); 및 IOT모듈 및 비IOT 모듈의 운영을 위해 각각 관리가 요구되는 대상객체에 설치되어 정보를 획득하는 객체단말기(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마스터를 이용한 산업공정용 IOT 및 비IOT 모듈의 그룹운영기반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 smart factory system based on group operation of IOT and non-IOT modules for industrial processes using zone master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database for system management, data storage and processing, monitoring and external safety comprehensive control network, etc. are connected A server (1) that can be used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and a zone connected to the server (1) and grouped by region or object type to identif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bject terminal (3) and transmit it to the server (1) master (2); And for the operation of the IOT module and the non-IOT module, each of the IOT and non-IOT modules for industrial processes using the zone mas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n object terminal (3) that is installed on a target object that requires management and obtains information It provides a smart factory system based on group operation.

또한, 상기 서버(1)는 시스템의 운영관리 및 입력되는 정보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부(11)와 단일개 또는 복수개의 존마스터(2)와 통신을 수행하며, 외부전산망을 통하여 관리를 위한 사용자단말기 및 외부안전종합관제망 등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단말부(12) 및 입력되고 처리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메모리부(13)로 구성되고, 상기 존마스터(2)는 서버(1)와 IOT 모듈 및 비IOT 모듈과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단말부(21)와 존마스터(2)에 공급되는 전원을 관리하는 전원관리부(22)로 구성되며, 상기 서버(1)에는 영상처리장치부(14)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마스터를 이용한 산업공정용 IOT 및 비IOT 모듈의 그룹운영기반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erver 1 communicates wit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 for processing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system and input information and a single or a plurality of zone masters 2, and a user for management through an external computer network. It consists of a communication terminal unit 12 that communicates with a terminal and an external safety control network, and a data memory unit 13 that stores input and processed information, and the zone master 2 includes a server 1 and an IOT module.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unit 21 that communicates with the non-IOT module and a power management unit 22 that manages power supplied to the zone master 2, wherein the server 1 has an image processing unit 14 ) will provide a smart factory system based on group operation of IOT and non-IOT modules for industrial processes using the zone mast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즉, 본 발명은 존마스터를 이용한 산업공정용 IOT 및 비IOT 모듈의 그룹운영기반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에 있어서,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smart factory system based on group operation of IOT and non-IOT modules for industrial processes using zone master,

시스템의 관리,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모니터링 및 외부안전종합관제망 등과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서버(1);와 A server (1)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by being connected to a database for system management, data storage and processing, monitoring, and external safety comprehensive control network; and

상기 서버(1)에 연결되고 지역별 또는 객체종류별로 그룹화하여 객체단말기(3)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서버(1)로 전송하기 위한 존마스터(2); 및 a zone master (2) connected to the server (1), grouping by region or object type, identify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bject terminal (3), and transmitting it to the server (1); and

IOT모듈 및 비IOT 모듈의 운영을 위해 각각 관리가 요구되는 대상객체에 설치되어 정보를 획득하는 객체단말기(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마스터를 이용한 산업공정용 IOT 및 비IOT 모듈의 그룹운영기반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을 제공한다.A group of IOT and non-IOT modules for industrial processes using a zone mas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n object terminal (3) that is installed on a target object that requires management for the operation of the IOT module and the non-IOT module, respectively, and acquires information It provides an operation-based smart factory system.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버(1)는 시스템의 운영관리 및 입력되는 정보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부(11)와 단일개 또는 복수개의 존마스터(2)와 통신을 수행하며, 외부전산망을 통하여 관리를 위한 사용자단말기 및 외부안전종합관제망 등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단말부(12) 및 입력되고 처리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메모리부(13)로 구성되고, 상기 존마스터(2)는 서버(1)와 IOT 모듈 및 비IOT 모듈과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단말부(21)와 존마스터(2)에 공급되는 전원을 관리하는 전원관리부(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마스터를 이용한 산업공정용 IOT 및 비IOT 모듈의 그룹운영기반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1 communicates wit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 that processes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system and the input information and a single or a plurality of zone masters 2, and performs management through an external computer network. It consists of a communication terminal unit 12 that communicates with a user terminal and an external safety comprehensive control network for communication, and a data memory unit 13 that stores input and processed information, and the zone master 2 includes a server 1 and Industrial process using a zone mast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communication terminal unit 21 that communicates with an IOT module and a non-IOT module, and a power management unit 22 that manages power supplied to the zone master 2 It provides a smart factory system based on group operation of IOT and non-IOT modules for us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버(1)에는 영상처리장치부(14)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마스터를 이용한 산업공정용 IOT 및 비IOT 모듈의 그룹운영기반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factory system based on group operation of IOT and non-IOT modules for industrial processes using a zone mas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rver 1 further includes an image processing unit 14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영상처리장치부(14)는 다중해상도를 기반으로 하여 영상정보를 처리하는 것으로 복수개의 존마스터(2)를 통하여 네트워크가 형성될 경우 전체적인 네트워크 상황을 1차 영상프레임에 표현하고, 이벤트 발생 또는 사용자가 열람을 원하는 존마스터(2)의 영상을 집중 확대하여 2차 영상프레임을 표현하여 복수개의 존마스터(2)의 전체 운영현황 및 해당 존마스터(2)의 상황을 한눈에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마스터를 이용한 산업공정용 IOT 및 비IOT 모듈의 그룹운영기반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을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14 processes image information based on multiple resolutions. When a network is formed through a plurality of zone masters 2, the overall network situation is expressed in the primary image frame, Recognize at a glance the overall operation status of a plurality of zone masters 2 and the status of the zone masters 2 by expressing the secondary video frame by intensively magnifying the video of the zone master 2 that the user wants to view or when an event occurs. It provides a smart factory system based on group operation of IOT and non-IOT modules for industrial processes using zone master, characterized in that it enable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영상처리장치부(14)는 해당 존마스터(2)에서 관리하는 객체단말기(3)의 이상유무가 발생하거나, 사용자가 열람을 원할 경우 존마스터의 해당기기에 대한 정보, 주면 기기의 영상 등을 확대하여 다단형태의 다중해상도 영상을 제공하는 3차 영상프레임을 더 추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마스터를 이용한 산업공정용 IOT 및 비IOT 모듈의 그룹운영기반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을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processing device unit 14 provides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device of the zone master and the main device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object terminal 3 managed by the zone master 2 or the user wants to view it. Provides a smart factory system based on group operation of IOT and non-IOT modules for industrial processes using Zone Mast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further add a tertiary image frame that provides a multi-stage multi-resolution image by expanding the image of d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존마스터를 이용한 산업공정용 IOT 및 비IOT 모듈의 그룹운영기반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에 있어서,In addition, in the method of operating a smart factory system based on group operation of IOT and non-IOT modules for industrial processes using the zone ma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객체별 종류를 파악하고 이를 판단 및 분류하여 그룹화할 카테고리를 생성하는 객체 분류단계(S10); 객체 분류단계(S10)에서 생성된 카테고리의 종류에 따라 객체단말기가 접속되는 존마스터(2)의 노드인 접속단자에 접속을 위한 노드그룹을 생성하는 노드그룹 생성단계(S20); 각각의 노드인 접속단자의 식별정보와 각각의 노드가 속하는 그룹을 매칭시켜 서버(1)에 등록하는 노드그룹 등록단계(S30); 서버에 등록된 노드그룹에 각각의 존마스터(2) 또는 객체에 구비되는 객체단말기(3)의 노드그룹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노드그룹 지정단계(S40); 및 사용자가 각각의 객체 및 그룹화 관리를 위한 존마스터(2)에 설정한 노드그룹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후 각각의 노드에 설정되어 있는 그룹화를 해제함으로써, 각각의 객체에 대한 개별관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노드그룹 해제단계(S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마스터를 이용한 산업공정용 IOT 및 비IOT 모듈의 그룹운영기반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보다 잘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an object classification step (S10) of identifying a type for each object, determining and classifying it, and generating a category to be grouped; a node group creation step (S20) of creating a node group for connection to a connection terminal that is a node of the zone master 2 to which the object terminal is conn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ategory created in the object classification step (S10); a node group registration step (S30) of match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connection terminal, which is each node, and a group to which each node belongs, and registering it in the server (1); a node group designation step (S40) of allowing a user to select and designate a node group of each zone master (2) or an object terminal (3) provided in an object to a node group registered in the server; and by releasing the grouping set in each node after the user obtains information on the node group set in the zone master 2 for each object and grouping management, individual management of each object can be performe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tter achieved by providing a method of operating a smart factory system based on group operation of IOT and non-IOT modules for industrial processes using a zone mas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node group release step (S50) that allows it can be done

본 발명의 존마스터를 이용한 산업공정용 IOT 및 비IOT 모듈의 그룹운영기반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공정간 기기와 같은 객체의 모니터링 및 운영시스템을 단순화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providing a smart factory system based on group operation of IOT and non-IOT modules for industrial processes using the zone ma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the monitoring and operation system of objects such as a plurality of inter-process devices can be simplified and managed efficiently. can have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서버(1)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존마스터(2)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해상도 영상처리 방법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객체그룹화에 대한 개념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구성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운영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the serv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the zone master 2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multi-resolution imag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object grou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exemplary views of a system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의 존마스터를 이용한 산업공정용 IOT 및 비IOT 모듈의 그룹운영기반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smart factory system based on group operation of IOT and non-IOT modules for industrial processes using the zone ma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서버(1)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존마스터(2)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serv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zone master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존마스터를 이용한 산업공정용 IOT 및 비IOT 모듈의 그룹운영기반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은 시스템의 관리,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모니터링 및 외부안전종합관제망 등과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서버(1)와 상기 서버(1)에 연결되고 지역별 또는 객체종류별로 그룹화하여 객체단말기(3)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서버(1)로 전송하기 위한 존마스터(2) 및 IOT모듈 및 비IOT 모듈의 운영을 위해 각각 관리가 요구되는 대상객체에 설치되어 정보를 획득하는 객체단말기(3)로 구성된다.1 to 3, the smart factory system based on group operation of IOT and non-IOT modules for industrial processes using the zone ma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atabase for system management, data storage and processing, monitoring and A server (1)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by being connected to an external safety control network, etc., which is connected to the server (1) and grouped by region or object type to identify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bject terminal (3), and then to the server (1) It consists of a zone master (2) for transmission to the mobile station, and an object terminal (3) installed in a target object to be managed, respectively, for the operation of IOT modules and non-IOT modules to obtain information.

이때, 상기와 같은 존마스터(2)는 단일개 또는 복수개가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단일 공장 또는 단일 지역에서에 설치된 IOT 모듈 또는 비IOT 모듈에 설치되는 객체단말기(3)와의 통신을 통하여 지역별 또는 입력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그룹화하여 서버(1)로 전송할 수 있거나, 복수지역에 지역별, 입력되는 정보의 종류별로 복수개의 존마스터(2)를 구비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t this time, a single or a plurality of zone masters 2 as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For example, through communication with an object terminal 3 installed in an IOT module or non-IOT module installed in a single factory or a single region, each zone Alternatively, it can be grouped according to the type of input information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1, or a plurality of zone masters 2 can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regions for each region and type of input information, and a network can be formed and managed. .

또한, 존마스터(2)를 통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조건에 따른 그룹화 및 그룹화의 해제를 통하여 외부접속자 또는 외부요인에 따른 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보안유지를 강화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rough grouping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conditions set by the user through the zone master 2 and the release of grouping, it is possible to strengthen security maintenance to prevent information leakage due to external accessors or external factors.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시스템의 구성 중 서버(1)는 중앙처리장치부(11)와 통신단말부(12) 및 데이터메모리부(13)로 구성된다.Among the configurations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erver 1 includes a central processing unit 11 , a communication terminal unit 12 , and a data memory unit 13 .

또한, 상기 서버(1)에는 영상처리장치부(14)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erver 1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image processing unit 14 .

상기 중앙처리장치부(11)는 시스템의 운영관리 및 입력되는 정보의 처리를 담당하는 것으로 이중 정보처리는 존마스터(2)를 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값에 대한 처리를 말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값과 존마스터(2)를 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값인 객체의 정보를 비교판단하는 조건처리기능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설정한 처리방법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압력될 경우 이에 해당되는 처리방법을 제공하게 된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 is in charge of system operation and management and processing of input information. The double information processing refers to processing of data values input through the zone master 2, and the condition value set by the user. A conditional processing function that compares and judges object information, which is a data value input through the zone master (2), is possible, and when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processing method set by the user is pressed, the corresponding processing method is provided. .

여기서 상기 조건처리기능은 사용자가 설정한 데이터값의 구간에 객체로부터 입력된 데이터가 해당할 경우 이를 판단하여 존마스터(2)와 연결되는 객체단말기(3)의 IOT 모듈 또는 비IOT 모듈의 상태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Here, the condition processing function determines the status of the IOT module or non-IOT module of the object terminal 3 connected to the zone master 2 by determining if the data input from the object corresponds to the range of the data value set by the user. will be judged

예를 들어, 입력된 데이터가 온도, 압력, 유량, 액위와 같은 정보가 되고, 각각의 대상 객체에 구비되는 센서를 통하여 파악되는 정보로서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구간, 압력구간, 유량구간 및 액위구간에 입력된 정보의 값이 속할 경우를 말하는 것이다.For example, the input data becomes information such as temperature, pressure, flow rate, and liquid level, and the temperature section, pressure section, flow rate section, and liquid level section set by the user as information grasped through a sensor provided in each target object. It refers to the case where the value of the information entered in .

또한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에 입력된 데이터가 해당할 경우, 이벤트상황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관리자에게 통보 또는 외부안전종합관제망에 알리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if the input data corresponds to the conditions set by the user, the event status is stored in the database, or the administrator is notified or the external safety control network is notified.

또한, 비상상황시 이에 대한 각객체인 산업공정용 기기 등의 제어명령을 전송하여 기기의 원격제어를 실시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in case of an emergency, the remote control of the device is performed by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for each object, such as an industrial process device.

상기 통신단말부(12)는 단일개 또는 복수개의 존마스터(2)와 통신을 수행하며, 외부전산망을 통하여 관리를 위한 사용자단말기 및 외부안전종합관제망 등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12 performs communication with a single or a plurality of zone masters 2 and enables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for management and an external safety comprehensive control network through an external computer network.

이때, 상기 통신단말부(12)는 극도의 보안유지가 필요한 경우 전용회선을 통한 내부전산망을 이용하게 되고, 그 외에는 외부전산망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12 uses an internal computer network through a dedicated line when it is necessary to maintain extreme security, and otherwise enables communication through an external computer network.

상기 데이터메모리부(13)는 대상객체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저장하여 DB화시키게 되는데 존마스터(2)에 대한 식별정보, 각각의 존마스터(2)에 접속되는 객체단말기(3)의 식별정보 및 입력되는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The data memory unit 13 stores information input from the target object and converts it into a DB.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zone master 2,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terminal 3 connected to each zone master 2, and The entered information is saved.

상기와 같이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으로는 객체단말기(3)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인 객체의 상태에 대한 정보 즉, 온도, 압력, 유량, 액위와 같은 정보를 객체단말기(3)의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저장하게 된다.As a method of storing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f the object, which is information input from the object terminal 3, that is, information such as temperature, pressure, flow rate, and level, is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terminal 3 to save it.

이때, 객체단말기(3)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상태가 사용자가 설정한 구간이 아닌 노멀구간일 경우 데이터메모리부(13)에 상태정보만을 저장하게 되며, 객체단말기(3)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상태가 사용자가 설정한 이벤트구간에 속할 경우 이벤트 발생여부를 식별정보와 함께 별도로 저장하여 사용자가 많은 양의 데이터를 일일이 열람하지 않고 이벤트가 발생된 구간 및 이벤트가 발생된 객체단말기(3)만의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t this time, if the state of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object terminal 3 is a normal section rather than a section set by the user, only the status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data memory unit 13, and the state of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object terminal 3 If the user belongs to the event section set by the user, the event occurrence is separately stored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does not read a large amount of data one by one, but only the section where the event occurred and the data of the object terminal 3 where the event occurred to be able to browse.

상기 영상처리장치부(14)는 다중해상도를 기반으로 하여 영상정보를 처리하는 것으로 복수개의 존마스터(2)를 통하여 네트워크가 형성될 경우 전체적인 네트워크 상황을 1차 영상프레임에 표현하고, 이벤트 발생 또는 사용자가 열람을 원하는 존마스터(2)의 영상을 집중 확대하여 2차 영상프레임을 표현하여 복수개의 존마스터(2)의 전체 운영현황 및 해당 존마스터(2)의 상황을 한눈에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The image processing unit 14 processes image information based on multiple resolutions. When a network is formed through a plurality of zone masters 2 , the overall network situation is expressed in the primary image frame, and an event occurs or a user The second image frame is expressed by intensively magnifying the video of the zone master (2) you want to view, so that the overall operation status of the plurality of zone masters (2) and the status of the zone master (2) can be recognized at a glance. .

여기서, 해당 존마스터(2)에서 관리하는 객체단말기(3)의 이상유무가 발생하거나, 사용자가 열람을 원할 경우 3차 영상프레임을 더 추가할 수 있는데, 3차 영상에는 존마스터의 해당기기에 대한 정보, 주면 기기의 영상 등을 확대하여 다단형태의 다중해상도 영상을 제공하게 된다.Here, if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object terminal 3 managed by the zone master 2 or if the user wants to view it, a tertiary image frame can be further added, and the tertiary image includes the zone master's corresponding device. Information about information and the image of the main device are enlarged to provide a multi-stage, multi-resolution image.

이때, 상기와 같이 2차 영상프레임 및 3차 영상프레임은 1차 영상프레임의 영상 중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부분 또는 존마스터(2) 또는 객체단말기(3)와 같은 대상객체를 집중적으로 확대함과 동시에 고화질의 영상을 적용함으로써, 영상처리 및 전송 등에 따른 고용량의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처리 및 전송속도 등을 향상시키며, 데이터 저장 등에 따른 추가 설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ary image frame and the tertiary image frame intensively enlarge the image part desired by the user or the target object such as the zone master 2 or the object terminal 3 among the images of the primary image frame. By applying high-quality images,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apply high-capacity data according to image processing and transmission to improve processing and transmission speed, and to minimize additional facilities for data storage.

상기와 같이 상향식 다중해상도 영상처리방법을 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하향식 다중해상도 영상처리방법 또한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Although the bottom-up multi-resolution image processing method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as described abov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top-down multi-resolution image processing method can also be applied.

이와 같은 영상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가 모니터링해야 하는 존마스터(2) 및 객체단말기(3)가 증가하여 대단위의 빅데이터 형태로 될 경우 이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자가 관리하기 위해 투자하는 시간 및 노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To provide such an image processing method, if the number of zone masters 2 and object terminals 3 to be monitored by the user increases and becomes in the form of large-scale big data, the time and effort invested by the user to manage it is to minimize

또한, 상기 영상처리장치부(14)는 비상상황 발생시 1차 영상프레임 내지 3차 영상프레임과 같이 하나의 화면상에 다중해상도 영상을 표기하는 다중해상도 및 다중영상프레임을 처리함에 있어, 비상상황 발생시, 대상객체와의 신속한 통신을 위하여 최적화된 통신선로를 확인하고, 이에 대하여 우선 회선을 확보할 수 있도록 중앙처리장치부(11)에 요청하고, 통신단말부(12)를 통하여 비상상황에 있는 대상객체와의 최적의 통신회선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14 processes multiple resolutions and multiple image frames for displaying multiple resolution images on one screen, such as a primary image frame to a tertiary image frame,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Check the optimized communication line for rapid communication with the target object, request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 to secure a priority line for this, and communicate with the target object in an emergency situ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12 to secure the optimal communication line of

또한, 대상객체의 비상상황이 감지되면, 영상처리장치부(14)에 의해 디스플레이됨과 동시에 중앙처리장치부(11)에 이를 알려 비상상황이 감지된 대상객체와 동일 그룹에 속하는 다른 대상객체들의 상황을 자동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f the target object is detected, it is display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14 and at the same time notifies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 of this, so that the situation of other target objects belonging to the same group as the target object for which the emergency situation is detected is automatically displayed. to be able to check with

이와 같은 다중해상도 영상처리방법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으나,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중앙처리장치부(11)에서 이를 판단하여 자동으로 화면에 영상처리하여 표시해주기도 한다.The multi-resolution image processing method may be manually set by the user, but when an event occurs,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 determines it and automatically processes and displays the image on the screen.

상기 서버(1)에 연결되는 존마스터(2)는 상기 서버(1)와 IOT 모듈 및 비IOT 모듈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단말부(21)와 존마스터(2)에 공급되는 전원을 관리하는 전원관리부(22)로 구성된다.The zone master 2 connected to the server 1 manages the power suppli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21 and the zone master 2 that communicate with the server 1 and the IOT module and non-IOT module. Consists of a power management unit (22).

상기 통신단말부(21)는 복수개의 아날로그접속단자(21a)와 디지털접속단자(21b)로 구성된다.Th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21 includes a plurality of analog connection terminals 21a and digital connection terminals 21b.

상기와 같이 아날로그접속단자(21a)와 디지털접속단자(21b)를 각각 구비하여 IOT 모듈 및 비IOT 모듈 모두와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아날로그 8포인트 및 디지털 16포인트의 노드를 형성하여 완성한다.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analog connection terminal 21a and the digital connection terminal 21b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connected to both the IOT module and the non-IOT module. In the present invention, nodes of 8 analog points and 16 digital points are formed and completed.

여기서 상기와 같이 아날로그 8포인트 및 디지털 16포인트의 노드는 일실시예를 들기 위한 것으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황에 따라 그 수를 달리할 수 있음을 밝혀 둔다.Here, as described above, the analog 8-point and digital 16-point nodes are for example only, and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of nodes may vary depending on the situation.

또한, 상기 아날로그단자(21a)의 경우 전력선통신 즉, PLC(Power Line Communication)기기를 적용하며, 디지털접속단자(21b)의 경우IOT기능이 구비되는 기기에 적용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analog terminal 21a, power line communication, that is, a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device is applied, and in the case of the digital connection terminal 21b, it is applied to a device equipped with an IOT function.

상기와 같은 노드에는 IOT 모듈과 비IOT 모듈을 1:1로 매칭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IOT 모듈 및 비IOT 모듈은 사용자가 모니터링 해야 하는 각각의 객체인 생산공정의 기기 및 장치 등이 될 수 있다.IOT module and non-IOT module can be matched 1:1 to connect to the node such as above, and the IOT module and non-IOT module can be devices and devices in the production process, which are respective objects that the user needs to monitor. .

또한 상기 전원관리부(22)는 상시전원 및 비상전원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상시전원으로 입력받아 구동하다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비상시 비상전원으로 변환하여 구동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ower management unit 22 is to control the regular power and the emergency power, and is driven by receiving input from the regular power in normal times, and converts the power to the emergency power in case of an emergency when power is not supplied.

이를 위해, 상시전원을 관리하는 상시전원관리모듈(22a)와 비상전원을 관리하는 비상전원관리모듈(22b)이 구비된다.To this end, a regular power management module 22a for managing the constant power and an emergency power management module 22b for managing the emergency power are provided.

이와 같이 상시전원 및 비상전원을 제어하는 것은 존마스터(2)의 관할 지역에 위치한 대상객체인 공정용기계 또는 저장시설과 같은 대상객체로부터 발생되는 정보를 외부여건에 상관없이 획득해야 하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controlling the regular power and emergency power in this way is that information generated from target objects such as process machines or storage facilities, which are target objects located in the jurisdiction of the zone master 2, must be acquired regardless of external conditions.

예를 들어, 온도 및 압력과 같은 요인의 모니터링 및 관리가 중요한 경우 비상상황시 온도 및 압력과 같은 요인이 변화되는 것을 감지하지 못해 폭발 또는 유출과 같은 위험한 상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For example, if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factors such as temperature and pressure are important, it i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dangerous situations such as explosions or spills by failing to detect changes in factors such as temperature and pressure in emergency situations.

여기서, 상기 비상전원은 외부에 구비되는 별도의 비상용 발전기 또는 존마스터(2) 내부에 구비되는 전원저장장치가 될 수 있으며, 존마스터(2) 내부에 구비되는 전원저장장치는 통상의 충전지 등이 될 수 있다.Here, the emergency power may be a separate emergency generator provided outside or a power storage device provided inside the zone master 2, and the power storage device provided inside the zone master 2 may be a conventional rechargeable battery or the like. can be

이는 상시전원이 공급될 때, 비상전원관리모듈(22b)를 통하여 상시전원 중 일부를 비상전원으로 저장하고, 상시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비상전원으로 변환하여 존마스터(2)의 구동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This is to store some of the regular power as emergency power through the emergency power management module 22b when the regular power is supplied, and convert it to emergency power when the regular power supply is stopped to maintain the operation of the zone master 2 will be.

상기 존마스터(2)와 연결되어 대상객체인 공정용기계 등에 설치되어 정보를 획득하는 객체단말기(3)는 통신기능을 구비하는 센서유니트가 될 수 있다.The object terminal 3 connected to the zone master 2 and installed on a process machine as a target object to obtain information may be a sensor unit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이와 같은 센서유니트로는 온도, 압력, 유량, 액위 등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며, 예로든 온도, 압력, 유량 및 액위 이외에도 모니터링이 필요한 현장정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With such a sensor unit, anything that can sense temperature, pressure, flow rate, liquid level, etc. is possible. For example, any field information that needs monitoring other than temperature, pressure, flow rate and liquid level is possible.

또한, 상기 센서유니트 이외에 주변기기의 정보를 추가로 획득하여 이로부터 정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예로 공정간의 영상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CCTV시스템의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information of peripheral devices other than the sensor unit is additionally acquired and information can be processed therefrom. For example, image information of a CCTV system for acquiring image information between processes can be acquired.

예를 들어, 생산자 및 현장 생산공정의 안전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설정한 평상시의 영상정보와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상황의 영상정보를 비교하여 이를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safety state of the producer and the on-site production process, and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situation in which an event occurs is compared with the usual image information set by the user, and the manager or the user is notified of this.

여기서 생산자의 작업안전과 관련한 부분에 대해서는 생산자의 작업동선의 이상유무 또는 생산자의 안면인식을 통하여 졸음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딥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생산자 안면의 특징점 특히 눈부분의 특징점을 판단하여 졸음 여부를 판단하게 되고, 생산자가 작업 중 졸경우 관리자 또는 생산자의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로 이를 알릴 수 있도록 한다.Here, for the part related to the producer's work safety, it is judged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producer's working movement or the producer's face recognition, and drowsiness is determined by using deep learning techniques to determine the features of the producer's face, especially the eyes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roducer is drowsy while working, so that it can be notified to the manager or a terminal such as the producer's mobile phone.

이는 객체단말기(3)기 이외에 존마스터(2)가 주변기기로부터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서버(1)로 전송하고, 이를 전송받은 서버(1)는 이와 같은 정보를 바탕으로 처리분석하여 작업 중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to the object terminal (3), the zone master (2) acquires information from a peripheral device 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1), and the server (1) that receives it processes and analyzes the information based on such information to analyze safety accidents during work will prevent from occurring.

이때에도, 영상처리장치부(14)를 통하여 다중해상도의 영상으로 관리화면에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Even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express the multi-resolution image on the management screen through the image processing unit 14 .

상기와 같은 존마스터를 이용한 산업공정용 IOT 및 비IOT 모듈의 그룹운영기반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객체별 종류를 파악하고 이를 판단 및 분류하여 그룹화할 카테고리를 생성하는 객체 분류단계(S10), 객체 분류단계(S10)에서 생성된 카테고리의 종류에 따라 객체단말기가 접속되는 존마스터(2)의 노드인 접속단자에 접속을 위한 노드그룹을 생성하는 노드그룹 생성단계(S20), 각각의 노드인 접속단자의 식별정보와 각각의 노드가 속하는 그룹을 매칭시켜 서버(1)에 등록하는 노드그룹 등록단계(S30), 서버에 등록된 노드그룹에 각각의 존마스터(2) 또는 객체에 구비되는 객체단말기(3)의 노드그룹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노드그룹 지정단계(S40) 및 사용자가 각각의 객체 및 그룹화 관리를 위한 존마스터(2)에 설정한 노드그룹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후 각각의 노드에 설정되어 있는 그룹화를 해제함으로써, 각각의 객체에 대한 개별관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노드그룹 해제단계(S50)로 구성된다.The operation method of the smart factory system based on group operation of IOT and non-IOT modules for industrial processes using the zone master as described above is an object classification step (S10) of identifying the type of each object, determining and classifying it, and creating a category to be grouped; A node group creation step (S20) of creating a node group for connection to a connection terminal that is a node of the zone master 2 to which an object terminal is conn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ategory created in the object classification step (S10) (S20), each node A node group registration step (S30) of match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with the group to which each node belongs and registering it in the server 1 (S30), an object provided in each zone master 2 or an object in the node group registered in the server The node group designation step (S40) allowing the user to select and designate the node group of the terminal 3 and the user obtained information about the node group set in the zone master 2 for managing each object and grouping Then, by releasing the grouping set in each node, it consists of a node group releasing step (S50) that enables individual management of each object.

1. 객체 분류단계(S10)1. Object classification step (S10)

상기 객체 분류단계(S10)는 각각의 객체에 대한 인식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각각의 객체에 대한 종류를 판단하는 것으로, 다수개의 객체의 종류를 파악하고 이를 판단 분류하여 그룹화할 카테고리를 생성하게 된다.The object classification step (S10) is to determine the type of each object based on the recognition information for each object. The types of a plurality of objects are identified, and categories to be grouped are created by determining and classifying them.

예를 들어, 객체의 종류인 기기 또는 장치의 종류로 구분하여 각각의 그룹화 카테고리를 생성하거나, 각각의 객체에 설치되는 객체단말기(3)로부터 획득되는 정보인 온도, 압력, 유량 및 액위와 같은 센싱정보의 종류로 구분하여 그룹화할 카테고리를 생성하는 것을 말한다.For example, sensing such as temperature, pressure, flow rate, and liquid level, which is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object terminal 3 installed in each object, or to create each grouping category by dividing it into the type of device or device, which is the type of object. It refers to creating categories to be grouped by classifying information types.

2. 노드그룹 생성단계(S20)2. Node group creation step (S20)

상기 노드그룹 생성단계(S20)는 객체 분류단계(S10)에서 생성된 카테고리의 종류에 따라 객체단말기가 접속되는 존마스터(2)의 노드인 접속단자에 접속을 위한 노드그룹을 생성하는 것을 말한다.The node group creation step (S20) refers to creating a node group for connection to a connection terminal that is a node of the zone master 2 to which the object terminal is conn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ategory created in the object classification step (S10).

3. 노드그룹 등록단계(S30)3. Node group registration step (S30)

상기 노드그룹 등록단계(S30)는 각각의 노드인 접속단자의 식별정보와 각각의 노드가 속하는 그룹을 매칭시켜 서버(1)에 등록하는 것을 말한다.The node group registration step (S30) refers to registering in the server 1 by match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connection terminal, which is each node, with a group to which each node belongs.

4. 노드그룹 지정과정(S40)4. Node group designation process (S40)

상기 노드그룹 지정과정(S40)은 서버에 등록된 노드그룹에 각각의 존마스터(2) 또는 객체에 구비되는 객체단말기(3)의 노드그룹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The node group designation process ( S40 ) refers to allowing a user to select and designate a node group of each zone master 2 or an object terminal 3 provided in an object to a node group registered in the server.

5. 노드그룹 해제과정(S50)5. Node group release process (S50)

상기 노드그룹 해제과정(S50)은 사용자가 각각의 객체 및 그룹화 관리를 위한 존마스터(2)에 설정한 노드그룹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후 각각의 노드에 설정되어 있는 그룹화를 해제함으로써, 각각의 객체에 대한 개별관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the node group release process (S50), the user obtains information about the node group set in the zone master 2 for each object and grouping management, and then releases the grouping set in each node, so that each This is to enable individual management of objects.

여기서, 상기 노드그룹은 사용자의 관리 및 동일한 조건 등에 의해 그룹화를 설정했던 각각의 객체에 대한 공동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Here, the node group enables joint management of each object for which grouping is set by user management and the same conditions.

예를 들어, 특정지역을 그룹화 후 해제했을 경우, 특정지역에 위치한 각각의 객체의 그룹화 정보를 이용하여 동일한 명령의 전송 또는 특정지역 그룹의 데이터 획득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온도, 압력, 유량, 액위 등의 특정 조건을 그룹화한 후 해제했을 경우, 특정 조건에 따른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For example, if a specific area is grouped and then released, the same command transmission or data acquisition of a specific area group is possible using the grouping information of each object located in the specific area, temperature, pressure, flow, This is to enable monitoring and control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when specific conditions such as liquid level are grouped and then released.

이와 같이 그룹화 및 해제를 통하여 하나의 객체가 다수개의 그룹화에 속할 수 있도록 하며, 공정상의 운영 목적에 따라 하나의 그룹이 다수의 서브 그룹으로 분할되거나, 다수의 그룹이 하나의 그룹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this way, through grouping and release, one object can belong to a plurality of groupings, and one group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groups or a plurality of groups can be combined into one group depending on the operational purpose of the process. it is to do

이는 산업 공정의 특성상 공정단위별로 기기가 구분되어지거나, 공정별로 점검이 필요한 경우 그룹화 또는 해제를 통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is is to enable monitoring and control through grouping or release when devices are classified by process uni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processes or when inspection is required for each process.

또한, 상기 노드그룹 등록단계(S30) 및 노드그룹 지정단계(S40)에는 각각 인증과정을 추가하여 비인가자가 외부에서 접속하여 네트워크에서 유통되는 데이터의 유출 및 운영자 인증, 암호키의 노출 등의 보안 취약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게 된다.In addition, an authentication process is added to the node group registration step (S30) and the node group designation step (S40), respectively, so that an unauthorized person accesses from the outside and leaks data circulated in the network, operator authentication, security vulnerabilities such as exposure of encryption keys It will further include means for preventing this from occurring.

이를 위해, 각각의 그룹화 마다 사용자 인증을 위한 중앙집권식 그룹키(Global Key)의 관리를 위한 키의 생성 및 키의 분배를 수행하고, 그룹에서 이탈 및 신규가입시 그룹키의 관리에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To this end, for each grouping, key generation and key distribution for centralized management of group keys (Global Key) for user authentication are performed, and the efficiency of group key management can be improved when leaving the group or joining a new group. let it be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존마스터를 이용한 산업공정용 IOT 및 비IOT 모듈의 그룹운영기반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By the above method, a method of operating a smart factory system based on group operation of IOT and non-IOT modules for industrial processes using the zone ma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1 : 서버 2 : 존마스터
3 : 객체단말기 11 : 중앙처리장치부
12 : 통신단말부 13 : 데이터메모리부
14 : 영상처리장치부 21 : 통신단말부
22 : 전원관리부
1: Server 2: Zone Master
3: object terminal 11: central processing unit unit
12: communication terminal unit 13: data memory unit
14: image processing unit 21: communication terminal unit
22: power management unit

Claims (4)

존마스터를 이용한 산업공정용 IOT 및 비IOT 모듈의 그룹운영기반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의 관리,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모니터링 및 외부안전종합관제망 등과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서버(1);와
상기 서버(1)에 연결되고 지역별 또는 객체종류별로 그룹화하여 객체단말기(3)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서버(1)로 전송하기 위한 존마스터(2); 및
IOT모듈 및 비IOT 모듈의 운영을 위해 각각 관리가 요구되는 대상객체에 설치되어 정보를 획득하는 객체단말기(3)로 구성되되,
상기 서버(1)는 시스템의 운영관리 및 입력되는 정보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부(11)와 단일개 또는 복수개의 존마스터(2)와 통신을 수행하며, 외부전산망을 통하여 관리를 위한 사용자단말기 및 외부안전종합관제망 등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단말부(12) 및 입력되고 처리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메모리부(13)로 구성되고,
상기 존마스터(2)는 서버(1)와 IOT 모듈 및 비IOT 모듈과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단말부(21)와 존마스터(2)에 공급되는 전원을 관리하는 전원관리부(22)로 구성되며,
상기 존마스터(2)는 단일개 또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단일 공장 또는 단일 지역에 설치된 IOT 모듈 또는 비IOT 모듈에 설치되는 객체단말기(3)와의 통신을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의 종류별로 그룹화하여 서버(1)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서버(1)에는 영상처리장치부(14)가 더 포함되되,
상기 영상처리장치부(14)는 다중해상도를 기반으로 하여 영상정보를 처리하는 것으로 복수개의 존마스터(2)를 통하여 네트워크가 형성될 경우 전체적인 네트워크 상황을 1차 영상프레임에 표현하고, 이벤트 발생 또는 사용자가 열람을 원하는 존마스터(2)의 영상을 집중 확대하여 2차 영상프레임을 표현하여 복수개의 존마스터(2)의 전체 운영현황 및 해당 존마스터(2)의 상황을 한눈에 인식할 수 있도록 하게 하며,
상기 서버(1)에서는 객체별 종류를 파악하고 이를 판단 및 분류하여 그룹화할 카테고리를 생성하는 객체 분류단계(S10);
객체 분류단계(S10)에서 생성된 카테고리의 종류에 따라 객체단말기가 접속되는 존마스터(2)의 노드인 접속단자에 접속을 위한 노드그룹을 생성하는 노드그룹 생성단계(S20);
각각의 노드인 접속단자의 식별정보와 각각의 노드가 속하는 그룹을 매칭시켜 등록하는 노드그룹 등록단계(S30);
서버에 등록된 노드그룹에 각각의 존마스터(2) 또는 객체에 구비되는 객체단말기(3)의 노드그룹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노드그룹 지정단계(S40); 및
사용자가 각각의 객체 및 그룹화 관리를 위한 존마스터(2)에 설정한 노드그룹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후 각각의 노드에 설정되어 있는 그룹화를 해제함으로써, 각각의 객체에 대한 개별관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노드그룹 해제단계(S50)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마스터를 이용한 산업공정용 IOT 및 비IOT 모듈의 그룹운영기반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In the group operation-based smart factory system of IOT and non-IOT modules for industrial processes using zone master,
A server (1)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by being connected to a database for system management, data storage and processing, monitoring, and external safety comprehensive control network; and
a zone master (2) connected to the server (1), grouping by region or object type, identify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bject terminal (3), and transmitting it to the server (1); and
It consists of an object terminal 3 that is installed on a target object that requires management for the operation of IOT module and non-IOT module, respectively, and acquires information,
The server 1 communicates with a central processing unit 11 that processes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system and processes input information and a single or a plurality of zone masters 2, and a user terminal for management through an external computer network and It is composed of a communication terminal unit 12 that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safety control network, etc., and a data memory unit 13 that stores input and processed information,
The zone master 2 includes a communication terminal unit 21 that communicates between the server 1 and an IOT module and a non-IOT module, and a power management unit 22 that manages power supplied to the zone master 2 . is composed,
The zone master 2 is composed of a single piece or a plurality, and is grouped by type of information input through communication with an object terminal 3 installed in an IOT module or a non-IOT module installed in a single factory or a single area, and the server 1 ) to perform the function of sending,
The server 1 further includes an image processing unit 14,
The image processing unit 14 processes image information based on multiple resolutions. When a network is formed through a plurality of zone masters 2 , the overall network situation is expressed in the primary image frame, and an event occurs or a user By intensively magnifying the video of the zone master (2) you want to view and expressing the second video frame, the overall operation status of the plurality of zone masters (2) and the status of the zone master (2) can be recognized at a glance. and
In the server (1), the object classification step (S10) of identifying the type of each object, determining and classifying it to create a category to be grouped;
a node group creation step (S20) of creating a node group for connection to a connection terminal that is a node of the zone master 2 to which the object terminal is conn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ategory created in the object classification step (S10);
a node group registration step (S30) of matching and registe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connection terminal, which is each node, with a group to which each node belongs;
a node group designation step (S40) of allowing a user to select and designate a node group of each zone master (2) or an object terminal (3) provided in an object to a node group registered in the server; and
After the user obtains information about the node group set in the zone master (2) for each object and grouping management, by releasing the grouping set in each node, individual management of each object can be performed. A group operation-based smart factory system of IOT and non-IOT modules for industrial processes using the zone mas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node group release step (S50) is per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부(11)는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값과 존마스터(2)를 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값인 객체의 정보를 비교 판단하는 조건 처리기능을 수행하여 존마스터(2)와 연결되는 객체단말기(3)의 IOT 모듈 또는 비IOT 모듈의 상태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에 입력된 데이터가 해당할 경우 이벤트상황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관리자에게 통보 또는 외부안전종합관제망에 알리고, 비상상황시 이에 대한 각객체인 산업공정용 기기에 제어명령을 전송하여 기기의 원격제어를 실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마스터를 이용한 산업공정용 IOT 및 비IOT 모듈의 그룹운영기반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 performs a condition processing function of comparing and judging object information, which is a data value input through the zone master 2, with a condition value set by a user, and is an object terminal connected to the zone master 2 By determining the status of the IOT module or non-IOT module in (3), if the data inputted by the user corresponds to the condition set by the user, the event status is stored in the database or notified to the manager or external safety control network, and in case of an emergency A smart factory system based on group operation of IOT and non-IOT modules for industrial processes using zone master, characterized in that by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to each object, an industrial process device, to perform remote control of the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메모리부(13)는 존마스터(2)에 대한 식별정보, 각각의 존마스터(2)에 접속되는 객체단말기(3)의 식별정보 및 입력되는 정보를 저장하게 되되,
객체단말기(3)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상태가 사용자가 설정한 구간이 아닌 노멀구간일 경우 데이터메모리부(13)에 상태정보만을 저장하게 되며, 객체단말기(3)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상태가 사용자가 설정한 이벤트구간에 속할 경우 이벤트 발생여부를 식별정보와 함께 별도로 저장하여 사용자가 많은 양의 데이터를 일일이 열람하지 않고 이벤트가 발생된 구간 및 이벤트가 발생된 객체단말기(3)만의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마스터를 이용한 산업공정용 IOT 및 비IOT 모듈의 그룹운영기반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ata memory unit 13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zone master 2,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terminal 3 connected to each zone master 2, and input information,
When the state of information input from the object terminal 3 is a normal section, not a section set by the user, only the status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data memory unit 13, and the state of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object terminal 3 is set by the user. If the event belongs to the set event section, the event occurrence is stored separately along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does not read a large amount of data one by one, but only the section where the event occurred and the data of the object terminal (3) where the event occurred. Group operation-based smart factory system of IOT and non-IOT modules for industrial processes using zone master, characterized in that it allow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관리부(22)는 상시전원을 관리하는 상시전원관리모듈(22a)과 비상전원을 관리하는 비상전원관리모듈(22b)이 구비되어, 평상시에는 상시전원으로 입력받아 구동하다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비상시 비상전원으로 변환하여 구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마스터를 이용한 산업공정용 IOT 및 비IOT 모듈의 그룹운영기반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ower management unit 22 is provided with a constant power management module 22a for managing the constant power and an emergency power management module 22b for managing the emergency power. Group operation-based smart factory system of IOT and non-IOT modules for industrial processes using zone mast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verted into emergency power in case of emergency and driven.

KR1020190087701A 2019-07-19 2019-07-19 Smart factory system based management for industrial iot and un-iot modoule group usde zone-master and method manufacturing it KR1022793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701A KR102279334B1 (en) 2019-07-19 2019-07-19 Smart factory system based management for industrial iot and un-iot modoule group usde zone-master and method manufactur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701A KR102279334B1 (en) 2019-07-19 2019-07-19 Smart factory system based management for industrial iot and un-iot modoule group usde zone-master and method manufacturing 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157A KR20210010157A (en) 2021-01-27
KR102279334B1 true KR102279334B1 (en) 2021-07-20

Family

ID=74238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701A KR102279334B1 (en) 2019-07-19 2019-07-19 Smart factory system based management for industrial iot and un-iot modoule group usde zone-master and method manufacturing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33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722B1 (en) * 2021-12-03 2022-07-01 (주)밀 Healthy-safety complex care system for vulnerable social group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175B1 (en) * 2011-09-16 2015-05-26 주식회사 케이티 Smart grid system based on cloud system and smart metering method using this
KR20140077542A (en) * 2012-12-14 2014-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emote power management system for host of cluster system
KR101835552B1 (en) * 2016-07-27 2018-03-08 주식회사 바이테크 Control center system of working environment for smart factory
KR101892350B1 (en) 2016-09-01 2018-08-27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Smart factory flatform for processing mass data of continuous process in a real time
KR20180027176A (en) * 2016-09-06 2018-03-14 주식회사 액티브디앤씨 SYSTEM FOR MANAGING SMART FACTORY BASED ON IoT
KR101970715B1 (en) 2018-11-26 2019-04-2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Data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device with heterogeneous protocol in smart fact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157A (en)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40377A (en) Internet of things remote elevator monitoring system with human face matching function
KR101386591B1 (en) CCTV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N103035041A (en) Novel field device inspection system and inspection method thereof
CN112803585B (en)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for low-voltage contact cabinet,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2279334B1 (en) Smart factory system based management for industrial iot and un-iot modoule group usde zone-master and method manufacturing it
CN115248873A (en) Cable tunnel safety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data fusion
CN112381435A (en) Gridding directional pushing management method for dynamic risk in hydropower station operation process
CN102262402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dustrial plant information
CN112134946B (en) Elevator Internet of things testing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terminal and system
CN112507169A (en) Patro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07612755A (en) The management method and its device of a kind of cloud resource
KR102265090B1 (en) A smart factory management system with a management platform for industrial iot and un-iot modoule group using zone-master
CN111302177A (en) Equipment running state feedback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CN114034972B (en) Intelligent cable fault determin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image data
CN207148847U (en) A kind of equipment monitoring system of all-dimensional multi-angle
CN114548929A (en) On-site inspection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KR102416751B1 (en) Smart factory risk factor detection system
CN111736539B (en) Monitoring data display method, device, system, server and storage medium
CN114139930A (en) Asset management system
KR20120013004A (en) System for managing electric power plant and method thereof
CN112188155B (en) Emergency monitoring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transformer substation and computer equipment
CN117676571A (en) Operation management platform is connected to thing networking
CN115809950B (en) Machine room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platform and management method
CN117539674B (en) Exception handl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4666240B (en) Visual monitoring station intelligent managemen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