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8723B1 - System for managing logistics based on delivery base using movable goods keeping device - Google Patents

System for managing logistics based on delivery base using movable goods keep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8723B1
KR102278723B1 KR1020200170345A KR20200170345A KR102278723B1 KR 102278723 B1 KR102278723 B1 KR 102278723B1 KR 1020200170345 A KR1020200170345 A KR 1020200170345A KR 20200170345 A KR20200170345 A KR 20200170345A KR 102278723 B1 KR102278723 B1 KR 102278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torage device
delivery
product storage
packag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3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78723B9 (en
Inventor
최동호
최지성
Original Assignee
(주)에프엠에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프엠에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에프엠에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170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72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723B1/en
Publication of KR102278723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723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4Contents retaining means
    • B65D90/0073Storage ra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managing logistics based on a delivery base using a movable products keeping apparatus, which comprises: a truck which includes a movable products keeping apparatus providing a low-temperature storage space by power supply for keeping a plurality of delivery products at a low temperature, and a transport vehicle which separably loads and transports the movable products keeping apparatus in a loading box; and a loading/unloading equipment which loads or unloads the movable products keeping apparatus on or from the transport vehicle. The movable products keeping apparatus is loaded on the transport vehicle in an apparatus management space where the plurality of delivery products are warehoused into the low-temperature storage space. The movable products keeping apparatus is unloaded by the loading/unloading equipment at a delivery base where the plurality of delivery products are released from the low-temperature storage space. The movable products keeping apparatus includes a fork hole. The loading/unloading equipment is fixed and installed on the delivery base. The loading/unloading equipment includes: a fork which can be inserted into the fork hole; and a fork driver which moves the fork horizontally and vertically.

Description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를 이용한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 {SYSTEM FOR MANAGING LOGISTICS BASED ON DELIVERY BASE USING MOVABLE GOODS KEEPING DEVICE}Delivery base-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product storage system {SYSTEM FOR MANAGING LOGISTICS BASED ON DELIVERY BASE USING MOVABLE GOODS KEEPING DEVICE}

본 발명은 물류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 오피스텔, 사무소 건물 및 공공장소 등의 거점에 설치되어서 배송 상품들 각각이 수령인에게 최종적으로 전달되기 전에 보관되는 배송거점 보관장치를 이용한 물류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gistics management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is installed in bases such as apartments, officetels, office buildings, and public places, so that each of the delivered products is stored before being finally delivered to the recipient. Logistics using a storage device It's about management skills.

콜드체인(Cold Chain)은 농산물 등의 신선식품을 산지에서 수확한 다음 최종 소비지까지 저장 및 운송되는 과정에서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하여 신선도와 품질을 유지하는 시스템이다. 콜드체인 시스템에서 배송 물품은 일반적으로 냉장 차량에 의해 배송되어서 저온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만, 배송 마지막 단계에서 물품이 수령인에게 바로 전달되지 못하고 장시간 방치될 경우 물품의 신선도가 떨어지게 된다. 때문에, 물품이 수령인에게 바로 전달되지 못할 경우에도 물품이 저온으로 유지되도록 특수 용기와 냉매를 이용한 냉장 포장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특수 용기와 냉매를 이용한 종래의 냉장 포장은 비용 및 환경 측면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Cold Chain is a system that maintains freshness and quality by keeping the temperature at a low temperature in the process of harvesting fresh food such as agricultural products from the production area and then storing and transporting it to the final consumption destination. In a cold chain system, delivered goods are generally delivered by a refrigerated vehicle so that the low-temperature state is kept stable, but in the final stage of delivery, if the goods are not delivered immediately to the recipient and are left for a long time, the freshness of the goods deteriorates. Therefore, refrigerated packaging using a special container and refrigerant is used so that the goods are kept at a low temperature even when the goods cannot be delivered to the recipient immediately. However, conventional refrigerated packaging using such a special container and refrigerant is a problem in terms of cost and environment.

본 발명의 기술분야와 관련된 선행특허로서 공개특허 제10-1995874호에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택배 보관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선행특허의 택배 보관 장치는 다수의 보관함, 택배물품에 부착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에 포함된 수령인 정보를 읽는 리더기 및 보관함의 개폐를 자동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콜드체인 시스템에서 신선식품을 보관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As a prior patent related to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1995874 discloses a parcel storage device installed in a multi-family house such as an apartment. The parcel storage device of the preceding paten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torage boxes, a reader that reads recipient information included in barcodes or QR codes attached to parcels, and a control unit that automatically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storage boxes. Not suitable for storag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995874 "공동주택의 무인택배 시스템" (2019.07.04.)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Registration No. 10-1995874 "Unmanned delivery system for apartment houses" (2019.07.0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를 이용한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gistics management system based on a delivery base using a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상기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개의 배송품들을 저온 보관하기 위하여 외부 전원에 의해 저온으로 유지되는 저온 보관 공간을 한정하는 적재함; 및 화물 적재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운송차량의 상기 화물 적재 플레이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치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함은, 상기 복수개의 배송품들이 상기 저온 보관 공간으로 입고되는 장치 관리 장소에서 상기 운송차량에 상차되어서 상기 장치 고정부에 의해 상기 화물 적재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운송차량에 상차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배송품들이 상기 저온 보관 공간으로부터 출고되는 배송 거점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운송차량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배송 거점에서 상기 운송차량으로부터 분리되어 하차된 상태로, 상기 입고된 복수개의 배송품들의 출고가 완료될 때까지 상기 배송 거점에서 상기 복수개의 배송품들의 보관 및 출고를 위하여 이용되는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ading box defining a low temperature storage space maintained at a low temperature by an external power source in order to store a plurality of delivered products at a low temperature; and a device fixing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cargo loading plate of the transportation vehicle having a cargo loading plate, wherein the loading box is the transportation vehicle at a device management location where the plurality of delivery products are stored in the low temperature storage space. It is loaded on the and is coupled to the cargo loading plate by the device fixing unit, and in the state loaded on the transportation vehicle, the plurality of shipments are moved from the low-temperature storage space to the delivery base where they are shipped, and power is supplied from the transportation vehicle. , In the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transport vehicle at the delivery base and disembarked, a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used for storage and release of the plurality of delivered products at the delivery base until the delivery of the received plurality of delivered products is completed. is provided

상기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개의 배송품들을 저온 보관하기 위하여 외부 전원에 의해 저온으로 유지되는 저온 보관 공간을 제공하는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와, 상기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를 적재함으로 분리 분리가능하게 적재하여 운반하는 운송차량을 구비하는 탑차; 및 상기 적재함을 운송차량에 대해 상차하거나 하차하는 상하차 장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배송품들이 상기 저온 보관 공간으로 입고되는 장치 관리 장소에서 상기 운송차량에 상차되며, 상기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배송품들이 상기 저온 보관 공간으로부터 출고되는 배송 거점에서 상기 상하차 장비에 의해 하차되며, 상기 운송차량에 상차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배송품들이 상기 배송 거점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운송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that provides a low temperature storage space maintained at a low temperature by an external power source to store a plurality of delivered products at a low temperature; a vehicle having a transport vehicle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in a detachable manner; and loading/unloading equipment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loading box with respect to the transport vehicle, wherein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is loaded onto the transport vehicle at a device management location where the plurality of delivered products are stored in the low-temperature storage space, and the mobile product The storage device is unloaded by the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at the delivery base where the plurality of delivered products are shipped from the low-temperature storage space, and while the plurality of delivered products are moved to the delivery base while being loaded on the transport vehicle, power from the transport vehicle A logistics management system based on delivery bases that receive

상기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품을 포장용기에 포장하여 상기 상품의 수령인에게 배송하기 위한 물류 시스템으로서, 상기 포장용기와 상기 포장용기에 포장된 상품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배송품들이 보관되는 상품 보관 공간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들; 상기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를 운송장치를 이용하여 장치 관리 장소로부터 배송 거점으로 운송하거나 상기 배송 거점으로부터 상기 장치 관리 장소로 운송하는 보관장치 운송자가 사용하는 보관장치 운송자 단말기; 상기 배송품을 상기 장치 관리 장소에서 상기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에 입고하는 상품 입고자가 사용하는 입고자 단말기; 및 상기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 상기 보관장치 운송자 단말기 및 상기 입고자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서 상기 상품 및 포장용기의 물류를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입고자 단말기에 상기 장치 관리 장소에 위치하는 상기 복수개의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들 중 상기 배송품의 입고를 위해 선정된 특정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보관장치 운송자 단말기에 상기 특정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가 설치될 특정 배송 거점의 위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ogistics system for packaging a product in a packaging container and delivering it to a recipient of the product, wherein the packaging container and the packaging container a plurality of movable product storage devices that provide a product storage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delivered products including packaged products are stored; a storage device transporter terminal used by a storage device transporter for transporting the portable product storage device from a device management location to a delivery base using a transport device or transporting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from the delivery base to the device management location; a wearer terminal used by a product wearer who puts the delivered product into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at the device management location; and a management server connected to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the storage device transporter terminal and the wear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manage the logistics of the goods and packaging containers, wherein the management server is connected to the wearer terminal to the device Transmitting data on a specific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selected for warehousing of the delivered product among the plurality of movable product storage devices located in a management location, and a specific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to be installed in the storage device transporter terminal A distribution base-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that transmits location data of a delivery base is provided.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장치 관리 장소에서 배송품들이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에 입고되고,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는 전기상용차와 같은 운송차량에 의해 배송 거점으로 운송된 후 하차되어서 배송품의 수령인에게 전달되는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를 이용한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achieved. Specifically, at the device management location, the delivered goods are stored in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and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is transported to the delivery base by a transport vehicle such as an electric commercial vehicle, and then alighted and delivered to the recipient of the delivered product. A logistics management system based on a delivery base is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이 적용되는 예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의 구성에서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가 배송 거점에서 운송차량으로부터 하차되는 두 가지 실시예를 각각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의 구성에서 상품 수령장치의 일예가 세대별 출입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상품 수령장치에 상품이 보관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의 구성에서 물류관리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tribution base-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xample in which the distribution base-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shown in FIG. 1 is applied.
FIG.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delivery base-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shown in FIG. 1 .
4 and 5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two embodiments in which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is disembarked from the transport vehicle at the delivery base in the system shown in FIG. 2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example of a product receiving device is installed at the door of each househol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distribution base-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shown i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roduct is stored in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shown in FIG. 6 .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logistics management server in the configuration of the delivery base-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shown in FIG. 1 .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elivery base-based logistics management method using the delivery base-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shown in FIG. 1 .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품"은 신선식품뿐만 아니라, 의약품, 반도체, 화학물질 등 배송 가능한 모든 물품을 포함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present invention, "product" includes not only fresh food, but also all deliverable goods such as medicines, semiconductors, and chemicals.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의 구성이 블록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100)은, 배송 상품들이 보관되고 운송차량에 의해 이동이 가능한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와, 배송 거점(A)에 설치되고 배송 상품이 주문자에 의해 수령되기 전까지 보관되는 복수개의 상품 수령장치(120)와,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 및 상품 수령장치(12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서 전체적인 물류를 관리하는 관리서버(190)와,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품을 주문하고 수령하는 주문자가 사용하는 주문자 단말기(130)와,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를 운송차량을 이용하여 장치 관리 장소(Z)에서 배송 거점(A)으로 운송하거나 배송 거점(A)에서 장치 관리 장소(Z)로 운송하는 보관장치 운송자가 사용하는 보관장치 운송자 단말기(135)와,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주문자가 주문한 상품을 공급하고 상품을 포장용기에 포장하여 배송품을 준비하는 상품 공급자가 사용하는 상품 공급자 단말기(140)와,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품 공급자가 준비한 배송품을 운반하여 장치 관리 장소(Z)에 위치하는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에 입고하는 상품 입고자가 사용하는 상품 입고자 단말기(150)와,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배송 거점(A)에 설치된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에 입고된 배송품을 출고하여 상품을 상품 수령장치(120)에 입고하고 상품과 분리된 사용후 포장용기를 배송 거점(A)에 설치된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에 입고하는 전달자가 사용하는 전달자 단말기(160)와,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품의 포장에 사용되는 포장용기를 관리하는 포장용기 관리자가 사용하는 포장용기 관리자 단말기(170)와,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에 입고된 사용후 포장용기를 출고하여 포장용기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포장용기 회수자가 사용하는 포장용기 회수자 단말기(181)와,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포장용기 관리자가 제공하는 포장용기를 상품 공급자에게 운송하는 포장용기 운송자가 사용하는 포장용기 운송자 단말기(185)를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tribution base-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he delivery base-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100 includes a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n which delivered products are stored and can be moved by a transport vehicle, and is installed at the delivery base A and the delivered products are delivered to the orderer. A plurality of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which is stored before being received by the management server 190, which is connected to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and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manage the overall logistics; The management server 190 is connected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orderer terminal 130 used by the orderer who orders and receives the product and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are delivered from the device management location (Z) using a transport vehicle. The storage device transporter terminal 135 used by the storage device transporter transported to the base (A) or transported from the delivery base (A) to the device management location (Z) and the management server 190 are connected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orderer It is connected to the product provider terminal 140 used by the product supplier who supplies the ordered product, packages the product in a packaging container and prepares the delivery product, and the management server 19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ports the delivery product prepared by the product provider. The goods wearer terminal 150 used by the goods wearer who wears the goods in the mobile goods storage device 110 located at the device management place (Z)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9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delivery base (A) A portab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nstalled in the delivery base (A) to release the delivered goods stored in the portab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nstalled in the warehouse, put the product into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and store the used packaging container separated from the product. The forwarder terminal 160 used by the forwarder who wears the product, and the management server 190 and the packaging container manager terminal 170 used by the packaging container manager who is connected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manages the packaging used for packaging of goods. And,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9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used by the packaging container collector who releases the packaging container after being stored in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and delivers it to the packaging container manager. The packaging container collector terminal 181 and the management server 190 are connected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packaging container transporter terminal 185 used by the packaging container transporter to transport the packaging container provided by the packaging container manager to the product supplier. includ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100)이 적용되는 예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100)에 의한 물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2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xample in which the distribution base-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100 shown in FIG. 1 is applied. With reference to FIG. 2 , the logistics by the delivery base-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100 shown in FIG. 1 will be schematically described as follows.

주문자(R)는 상품 판매 시스템(미도시)에 접속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G)을 주문한다. 여기서 상품(G)은 신선식품과 같이 저온 보관이 요구되는 상품인 것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주문자(R)가 주문한 상품(G)을 수령하는 수령인이 바로 주문자(R)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상품(G)을 주문한 주문자(R)와 상품(G)을 수령하는 수령인은 다를 수도 있다. 주문자(R)는 상품(G)의 주문 및 수령을 위해 주문자 단말기(도 1의 130)를 사용한다.The orderer R accesses the product sales system (not shown) and orders the product G to be purchased. Here, the product (G) is described as a product requiring low temperature storage, such as fresh foo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is embodiment, it is described that the recipient who receives the product (G) ordered by the orderer (R) is the orderer (R), but the orderer (R) who ordered the product (G) and the recipient who receives the product (G) are different may be The orderer R uses the orderer terminal 130 in FIG. 1 for ordering and receiving the product G.

상품 공급자(E)는 상품 판매 시스템(미도시)을 통해 판매되는 상품(G)을 공급한다. 상품 공급자(E)는 주문자(R)로부터 주문받은 상품(G)을 포장하여 배송품(P)을 준비한다. 상품 공급자(E)는 상품(G)의 공급을 위하여 상품 공급자 단말기(도 1의 140)를 사용한다. 배송품(P)은 저온용 포장용기(B)와, 저온용 포장용기(B)의 내부 공간을 저온으로 유지하는 보냉 수단(C)과, 저온용 포장용기(B)의 내부 공간에 수납된 상품(G)을 포함한다. The product supplier E supplies the product G to be sold through a product sales system (not shown). The product supplier (E) prepares the delivery product (P) by packaging the product (G) ordered from the orderer (R). The product supplier E uses the product provider terminal 140 in FIG. 1 to supply the product G. The delivery product (P) is a product stored in the low temperature packaging container (B), the cooling means (C) for maintaining the inner space of the low temperature packaging container (B) at a low temperature, and the inner space of the low temperature packaging container (B) (G).

보관장치 운송자(W)는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를 운송차량(165)을 이용하여 장치 관리 장소(Z)에서 배송 거점(A)으로 운송하거나 배송 거점(A)에서 장치 관리 장소(Z)로 운송한다. 보관장치 운송자(W)는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의 운송을 위하여 보관장치 운송자 단말기(도 1의 135)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운송차량(165)으로 전기 상용차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운송차량(165)으로 전기 상용차가 사용됨으로써,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에 상품의 저온 보관을 위한 전원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운송차량(165)은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의 상차 및 하차를 위한 적절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운송차량(165)은 화물을 운반하는 화물 차량으로서, 화물이 적재되는 화물 적재 플레이트(166)를 구비한다. 화물 적재 플레이트(166)에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가 분리 가능하게 적재되어서 운송차량(165)은 탑차를 형성하게 된다. 즉, 운송차량(165)에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가 결합된 상태가 탑차인 것이다. 장치 관리 장소(Z)에 위치하는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는 배송 거점(A)으로의 운송 전 상품 입고자(D)에 의한 상품(G)의 입고를 위해 대기 중인 것(이하, 이를 '운송대상 상품 보관장치'라 함)이거나, 배송 거점(A)으로부터 회수되어서 사용 후 처리를 위해 대기 중인 것(이하, 이를 '사용후 상품 보관장치'라 함)일 수 있다. 배송 거점(A)에 위치하는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는 보관된 배송품(P)의 출고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의 것(이하, 이를 '사용중 상품 보관장치'라 함)이거나, 보관된 배송품(P)이 모두 출고된 상태의 것(이하, 이를 '회수대상 상품 보관장치'라 함)일 수 있다.The storage device transporter (W) transports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from the device management location (Z) to the delivery point (A) using the transport vehicle 165 or from the delivery location (A) to the device management location (Z) transported to The storage device transporter (W) uses the storage device transporter terminal (135 in FIG. 1) for transport of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n this embodiment, it will be described that an electric commercial vehicle is used as the transport vehicle 165 . As the electric commercial vehicle is used as the transport vehicle 165 , power for low-temperature storage of goods can be stably supplied to the portable goods storage device 110 . In addition, the transport vehicle 165 may be provided with an appropriate means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 The transport vehicle 165 is a cargo vehicle for transporting cargo, and includes a cargo loading plate 166 on which cargo is loaded.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s detachably loaded on the cargo loading plate 166 so that the transport vehicle 165 forms a vehicle. That is, the state in which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s coupled to the transport vehicle 165 is the top vehicle.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located in the device management place (Z) is waiting for the stocking of the product (G) by the product wearer (D) before transportation to the delivery base (A) (hereinafter referred to as ' It may be referred to as 'a storage device for goods to be transported') or a product that has been recovered from the delivery base (A) and is waiting for processing after us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used product storage device').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located at the delivery base (A) is a state in which the stored delivery product (P) is shipp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roduct storage device in use'), or a stored delivery product ( P)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all shipped (hereinafter, this is referred to as a 'recovery target product storage device').

본 실시예에서 운송차량(165)으로 전기 상용차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운송차량(165)으로서 수소 전기차 또는 일반 상용차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it is described that an electric commercial vehicle is used as the transport vehicle 165 in this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the transportation vehicle 165, a hydrogen electric vehicle or a general commercial vehicle may be used, and this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품 입고자(D)는 상품 공급자(E)가 준비한 배송품(P)을 운반하여 장치 관리 장소(Z)에 위치하는 운송대상 상품 보관장치(110)에 입고한다. 상품 입고자(D)는 배송품(P)의 운반을 위하여 상품 입고자 단말기(도 1의 150)를 사용한다.The goods wearer (D) transports the delivery goods (P) prepared by the goods supplier (E) and puts them in the transport target goods storage device 110 located in the device management place (Z). The goods wearer (D) uses the goods wearer terminal (150 in FIG. 1) to transport the delivered goods (P).

전달자(T)는 배송 거점(A)에 설치된 사용중 상품 보관장치(110)에서 배송품(P)을 출고하여 포장용기(B), 보냉 수단(C) 및 상품(G) 중 상품(G)만을 상품 수령장치(120)에 입고하고, 남은 사용후 포장용기(B)와 보냉 수단(C)을 배송 거점(A)에 설치된 사용중 상품 보관장치(110)에 입고하여 보관한다.The forwarder (T) releases the delivered product (P) from the in-us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nstalled at the delivery base (A), and only the product (G) of the packaging container (B), the cooling means (C) and the product (G) is a product It is stored in the receiving device 120, and the remaining used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oling means (C) are stored in the in-us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nstalled at the delivery base (A).

포장용기 관리자(M)는 상품(G)의 포장에 사용되는 포장용기(B)와 보냉 수단(C)을 관리한다. 포장용기 관리자(M)는 포장용기(B)와 보냉 수단(C)의 관리를 위하여 포장용기 관리자 단말기(도 1의 170)를 사용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저온용 포장용기(B)는 상품(G)이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고 상부가 개방된 용기 몸체와, 용기 몸체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용기 몸체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구비한다. 저온용 포장용기(B)는 우수한 단열 성능을 갖도록 단열재가 내부 공간을 에워싸도록 구성된다. 보냉 수단(C)은 상변화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을 이용한 것 또는 아이스팩 등으로서, 저온용 포장용기(B)의 내부 공간을 저온으로 유지하는 모든 수단을 포함한다. 보냉 수단(C)은 저온용 포장용기(B)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포장용기(B)의 덮개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품(G)이 상온 보관 가능한 것일 경우에는, 단열이 요구되지 않는 일반적인 상온용 포장용기가 사용되고 보냉 수단(C)은 필요없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장용기가 등록번호 10-1646059에 개시된 구성과 같은 용기인 것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packaging container manager (M) manages the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oling means (C) used for packaging of the product (G). The packaging container manager (M) uses the packaging container manager terminal (170 in FIG. 1) for management of the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oling means (C). Although not shown, the low-temperature packaging container (B) provides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product (G) is accommodated,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and the container body having an open upper part to open and close the open upper part of the container body. provide a cover. The packaging container for low temperature (B) is configured so that the insulating material surrounds the inner space so as to have excellent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The cooling means (C) is one using a phase change material (PCM) or an ice pack, and includes all means for maintaining the inner space of the low temperature packaging container (B) at a low temperature. The cooling means (C) is preferably used by be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temperature packaging container (B), and in this embodiment, it will be described as being used by be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cover of the packaging container (B). If the product (G) can be stored at room temperature, a general room temperature packaging container that does not require insulation is used and the cooling means (C) is not required. In this embodiment, the packaging container is described a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disclosed in Registration No. 10-1646059,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포장용기 회수자(S)는 장치 관리 장소(Z)에 위치하는 사용후 상품 보관장치(110)에 보관된 사용후 포장용기(B)와 보냉 수단(C)을 회수하여 포장용기 관리자(M)에게 전달한다. 포장용기 회수자(S)는 포장용기(B)와 보냉 수단(C)의 회수를 위하여 포장용기 회수자 단말기(도 1의 181)를 사용한다. 포장용기 관리자(M)는 포장용기 회수자(S)에 의해 회수된 사용후 포장용기(B)와 보냉 수단(C)을 재사용을 위해 처리한다.The packaging container collector (S) collects the used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ld storage means (C) stored in the used product storage device 110 located at the device management place (Z), and the packaging container manager (M) pass it on to The packaging container collector (S) uses the packaging container collector terminal (181 in FIG. 1) to recover the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oling means (C). The packaging container manager (M) processes the used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oling means (C) recovered by the packaging container collector (S) for reuse.

포장용기 운송자(F)는 포장용기 관리자(M)가 제공하는 포장용기(B)와 보냉 수단(C)을 상품 공급자(E)에게 운송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포장용기는 통신 수단을 구비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용기로서, 포장용기의 위치가 관리서버(도 1의 190)에 의해 실시간으로 확인된다. 포장용기는 복수개가 쌓여서 적재(네스팅, nesting)될 수 있는 구조이다. 포장용기 운송자(F)는 포장용기(B)와 보냉 수단(C)의 운송을 위하여 포장용기 운송자 단말기(도 1의 185)를 사용한다.The packaging container transporter (F) transports the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ld storage means (C) provided by the packaging container manager (M) to the product supplier (E). All packaging container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rnet-of-Things-based containers provided with communication means, and the location of the packaging containers is checked in real time by the management server (190 in FIG. 1). A packaging container is a structure that can be stacked and stacked (nesting). The packaging container transporter (F) uses the packaging container transporter terminal (185 in FIG. 1) for transport of the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ld storage means (C).

이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100)을 각 구성 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ow,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the distribution base-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each configuration.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는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보관장치 운송자(W)에 의해 운송되어서 장치 관리 장소(Z)에 위치하거나 배송 거점(A) 또는 배송 거점(A)에 가까운 위치에 임시로 설치되어서 거점 보관함의 역할을 한다.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에는 상품 입고자(D)에 의해 입고되는 배송품(P)이 보관된다. 배송 거점(A)은 아파트 단지와 같은 공동주택의 지하 주차장, 마을 회관과 같은 마을의 공공건물 또는 지하철역 등 주요 교통 거점 등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가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복수개의 거점들 각각에 설치되어서 복수개의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들이 구비된다. 장치 관리 장소(Z)에서는 상품 입고자(D)에 의한 배송품(P)의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로의 입고가 이루어진다.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9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is transported by the storage device transporter W, and is located at the device management location Z, or a delivery base A or a delivery base. It is temporarily installed in a location close to (A) and serves as a base storage box. The delivery product P received by the product wearer D is stored in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 The delivery point (A) includes an underground parking lot in a multi-family house such as an apartment complex, a public building in a town such as a town hall, or a major transportation hub such as a subway station. Although only one movab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s shown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movable product storage devices 110 are provided by being installed at each of a plurality of bases. In the device management location (Z), the delivery of the product (P) by the product wearer (D) to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s made.

도 3에는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의 일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형 상품 보관 장치(110)는 내부에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물품 보관 공간(111a)을 제공하는 물품 보관부(110a)와, 물품 보관부(110a)의 하부에 위치하는 기초부(116)를 구비한다.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는 운송차량(도 2의 165)의 화물 적재 플레이트(166)에 적재되어서 탑차의 적재함을 형성한다.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는 운송차량(도 2의 165)에 분리 가능하게 적재된다. 그에 따라, 운송차량(도 2의 165)은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를 적재하지 않은 상태로 운행이 가능하다. 운송차량(도 2의 165)이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를 적재하지 않은 상태로 운행하는 경우에, 전체 무게가 감소되고, 배터리 소모가 감소된다. 또한, 운송차량(도 2의 165)에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가 분리 가능하게 적재되므로, 운송차량(도 2의 165)은 지속적으로 운행이 가능하며, 다른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들의 운송도 가능해진다. 3 schematically shows an embodiment of the portab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 Referring to FIG. 3 ,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ncludes an article storage unit 110a that provides an article storage space 111a for storing goods therein, and a base positioned below the article storage unit 110a. A portion 116 is provided. The movab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s loaded on the cargo loading plate 166 of the transport vehicle ( 165 in FIG. 2 ) to form a loading box of the vehicle.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s detachably loaded on the transport vehicle ( 165 in FIG. 2 ). Accordingly, the transport vehicle ( 165 in FIG. 2 ) can be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s not loaded. When the transport vehicle ( 165 in FIG. 2 ) is operated without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loaded, the overall weight is reduced and battery consumption is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s detachably loaded on the transport vehicle (165 in FIG. 2 ), the transport vehicle ( 165 in FIG. 2 ) can continuously operate, and the Transportation is also possible.

물품 보관부(110a)는 내부에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물품 보관 공간(111a)을 제공한다. 물품 보관 공간(111a)은 배송품(P)을 보관하기 위한 상품 보관 공간(111)과, 회수 대상인 회수품을 보관하기 위한 회수품 보관 공간(115)을 포함한다.The article storage unit 110a provides an article storage space 111a for storing articles therein. The article storage space 111a includes a product storage space 111 for storing the delivered product P, and a recovered product storage space 115 for storing a collection object to be collected.

상품 보관 공간(111)은 저온 보관 상품(G)을 포함하는 저온 배송품(P)을 보관하기 위하여 저온으로 유지되는 저온 보관 공간(112)과, 상온 보관 상품(G')을 포함하는 상온 배송품(P')을 보관하기 위해 상온으로 유지되는 상온 보관 공간(113)으로 분리된다. 저온 배송품(P)은 저온용 포장용기(B)과, 저온용 포장용기(B)에 수납된 저온 보관 상품(G)과, 보냉 수단(C)을 구비한다. 저온용 포장용기(B)는 저온용 용기 몸체(B1)과, 보냉 수단(C)이 결합된 저온용 용기 덮개(B2)를 구비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보냉 수단(C)이 용기 덮개(B2)에 결합된 상태를 확인하는 접촉 센서와 같은 결합 확인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사물인터넷 기반인 포장용기(B)는 보냉 수단(C)의 결합상태를 확인하여, 관리서버(190)로 전송하고 관리서버(190)는 포장용기(B)와 보냉 수단(C)의 결합상태를 전달자 단말기(160) 및 포장용기 회수자 단말기(181)에 전송하여, 사용후 포장용기(B)의 운반시 보냉 수단(C)의 분실을 방지하고, 전달자(T)에 의한 입고 작업성 및 회수자(S)에 의한 회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온 배송품(P')은 상온용 포장용기(B'), 상온용 포장용기(B')에 수납된 상온 보관 상품(G')을 구비한다. 상온용 포장용기(B')는 상온용 용기 몸체(B1')와, 상온용 용기 덮개(B2')를 구비한다. 상품 보관 공간(111)은 배송품(P, P')을 개별적으로 보관하기 위해 복수개의 배송품 보관 구역들로 분할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는 보관 구역 별로 배송품(P)의 보관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보관 구역 별 사용 상태를 관리서버(190)로 전송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는 배송품(P, P')에 부착된 RFID 태그와 같은 전자 태그에 저장된 물품 정보를 읽어들이는 전자 태그 리더기를 구비할 수 있다. 배송품(P, P')이 상품 입고자(D)에 의해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에 입고되거나, 전달자(T)에 의해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으로부터 출고될 때, 그 내역이 관리서버(190)로 전송되어서 저장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저온 보관 공간(112)은 냉장 보관 공간과 냉동 보관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는 상품 보관 공간(111)을 적절한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온도 센서 및 온도 조절 장치를 구비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저온 보관 공간(112)에 PCM 모듈과 같은 수동형 저온 유지 수단이 장착되어 있어서, 정전 시에도 일정시간 냉장/냉동 온도가 유지될 수 있고, 축냉기능을 통하여 전력 에너지 사용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채소류의 냉해로 인한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약 5℃로 보관 공간의 온도를 유지하는 PCM 모듈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는 운송차량(165)에 의해 장치 관리 장소(Z)로부터 배송 거점(A)으로 운송 중 전기상용차인 운송차량(165)으로부터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받게 된다.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는 보관되는 보관되는 배송품(P, P')이 거치되는 거치대(114)를 구비하며,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거치대(114)에 거치되는 배송품(P, P')의 포장용기(B, B')를 거치대(114)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배송품 고정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운송차량(165)에 의해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가 운송될 때, 배송품(P, P')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배송품 고정수단은 외부의 제어장치에 의해 전체적으로 동시에 체결 및 해제가 가능한 전기적 고정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는 달리, 배송품(P, P')이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로부터 출고되는 과정에서 배송품(P, P')을 출고하는 사람에 의해 배송품 고정수단이 개별적으로 해제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The product storage space 111 includes a low-temperature storage space 112 maintained at a low temperature to store a low-temperature delivery product (P) including a low-temperature storage product (G), and a room-temperature delivery product including a room-temperature storage product (G') ( It is separated into a room temperature storage space 113 maintained at room temperature to store P'). The low-temperature delivery product (P) includes a low-temperature packaging container (B), a low-temperature storage product (G) accommodated in the low-temperature packaging container (B), and a cooling means (C). The low-temperature packaging container (B) includes a low-temperature container body (B1) and a low-temperature container cover (B2) to which the cooling means (C) is coupled. Although not shown, a coupling confirmation sensor such as a contact sensor for confirming a state in which the cooling means (C) is coupled to the container cover (B2) may be provided. The IoT-based packaging container (B) checks the coupling state of the cooling means (C), and transmits it to the management server 190, and the management server 190 connects the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oling means (C). is transmitted to the forwarder terminal 160 and the packaging container collector terminal 181 to prevent the loss of the cooling means (C) when transporting the packaging container (B) after use, and to improve warehousing workability by the forwarder (T) and The collection workability by the collector S can be improved. The room temperature delivery product (P') includes a room temperature packaging container (B') and a room temperature storage product (G') stored in the room temperature packaging container (B'). The packaging container for room temperature (B') includes a container body (B1') for room temperature and a container cover (B2') for room temperature. The product storage space 111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elivery product storage areas to individually store the delivery products P and P'. Although not shown,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the storage state of the delivery product P for each storage area, and transmits the usage state for each storage area to the management server 190 . Although not shown, the portab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may include an electronic tag reader that reads product information stored in an electronic tag such as an RFID tag attached to the delivered products P and P'. When the delivered products (P, P') are stored in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by the product wearer (D) or shipped from the portab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by the forwarder (T), the details are stored in the management server It is sent to (190) and stored. Although not shown, the low temperature storage space 112 may be divided into a cold storage space and a frozen storage space. Although not shown, the movab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and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to maintain the product storage space 111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Although not shown, since a passive low-temperature maintaining means such as a PCM module is mounted in the low-temperature storage space 112, the refrigeration/freezing temperature can be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ven during a power outage, and power energy consumption can be reduced through the cooling function. can In particular, a PCM module that maintains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space at about 5° C. may be used to prevent deterioration in quality due to the cold damage of vegetables.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s stably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transport vehicle 165 , which is an electric commercial vehicle, during transport from the device management location Z to the delivery base A by the transport vehicle 165 .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ncludes a holder 114 on which the stored delivery products P, P' are mounted, and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delivery products (P, P') mounted on the holder 114 . It may further include a delivery product fixing means for firmly fixing the packaging containers (B, B ') of the cradle (114). This is to prevent shaking of the delivered products (P, P') when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s transported by the transport vehicle 165 . It is preferable that the delivery product fixing means is an electrical fixing device that can be simultaneously fastened and released as a whole by an external control device. On the contrary, in the process in which the delivered goods (P, P') are shipped from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the delivery fixing means may be individually released by the person who releases the delivered goods (P, P'), and this also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는 상품 보관 공간(111)에 보관되는 배송품(P, P')이 포장용기(B, B')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포장용기(B, B') 없이 1차 포장만 된 상태의 상품(G, G')일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In this embodiment, the delivered goods (P, P') stored in the product storage space 111 are described as having the packaging containers (B, B'), but, unlike this, the primary without the packaging containers (B, B') It may be a packaged product (G, G'), which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회수품 보관 공간(115)에는 회수 대상인 회수품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다. 회수품은 포장용기(B, B')를 구성하는 용기 몸체(B1, B1') 및 용기 덮개(B2, B2')와, 보냉 수단(C)을 포함한다. 회수품 보관 공간(115)은 회수품을 종류별로 보관하기 위한 복수개의 회수 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품 보관 공간(115)은 복수개의 저온용 용기 몸체(B1)들이 적층되어서 보관될 수 있는 제1 회수 공간(115a)과, 복수개의 상온용 용기 몸체(B1')들이 적층되어서 보관될 수 있는 제2 회수 공간(115b)와, 복수개의 상온용 용기 덮개(B2')들과 보냉 수단(C)이 결합된 복수개의 저온용 용기 덮개(B2)들이 함께 적층되어서 보관될 수 있는 제3 회수 공간(115c)으로 분할될 수 있다.The recovered product storage space 115 is a space for storing recovered products to be recovered. The recovered product includes a container body (B1, B1') and a container cover (B2, B2') constituting the packaging container (B, B'), and a cooling means (C). The recovered product storage space 115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covery spaces for storing recovered products by type. For example, as shown, the collection space 115 includes a first recovery space 115a in which a plurality of low-temperature container bodies B1 can be stacked and stored, and a plurality of room-temperature container bodies B1'. ), a second recovery space 115b that can be stacked and stored, a plurality of container covers for room temperature (B2') and a plurality of container covers for low temperature (B2) in which the cooling means (C) are combined are stacked together. It may be divided into a third recovery space 115c that can be stored.

기초부(116)는 물품 보관부(110a)를 아래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기초부(116)에는 운송차량(165)의 화물 적재 플레이트(166)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치 고정부가 구비된다.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가 장치 고정부에 의해 운송차량(165)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가 운송차량(165)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서 운송차량(165)과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가 탑차를 형성하게 되며, 장치 고정부(미도시)가 운송차량(165)과 분리된 상태에서는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가 운송차량(165)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다. 기초부(116)에는 지게차와 같은 포크리프트 장치를 이용한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의 운송차량(165)에 대한 상차 및 하차를 위한 포크홀(117)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의 상차 및 하차에 지게차와 같은 포크리프트 장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운송차량(165)에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의 상차 및 하차를 위한 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The base part 116 stably supports the article storage part 110a from below. Although not shown, the base part 116 is provided with a device fixing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cargo loading plate 166 of the transport vehicle 165 . In a state in which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s coupled to the transport vehicle 165 by the device fixing unit, the movab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s firmly fixed to the transport vehicle 165 to store the transport vehicle 165 and the mobile product. The device 110 forms a vehicle, and in a state in which the device fixing part (not shown) is separated from the transport vehicle 165 ,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can be separated from the transport vehicle 165 . A fork hole 117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transport vehicle 165 of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using a forklift device such as a forklift is formed in the base portion 116 . In this embodiment, it is described that a forklift device such as a forklift is used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but unlike this,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movab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n the transport vehicle 165 A device may be provided, which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는 운송차량(165)에 하나의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가 적재되어서 운송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의 크기에 따라 복수개(예를 들어, 2개 내지 6개)의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가 하나의 운송차량(165)에 적재되어서 운송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In this embodiment, on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s loaded and transported in the transport vehicle 165 , but unlike this, a plurality (eg, two to two or mor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ovab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 6) of the movab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may be loaded and transported in one transport vehicle 165, which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가 운송차량(165)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가 재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 형태의 배터리를 구비하여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에 구비되는 배터리는 운송차량(165) 또는 다른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서 충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described that the portab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receives power from the transport vehicle 165 , but unlike this, the portab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ncludes a rechargeable battery type battery to power itself. can be supplied, which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provided in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may be charged by being connected to the transport vehicle 165 or other external power source.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에는 배송품(P, P') 및 회수품을 반입·반출하는 사용자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인증을 거쳐서 배송품(P, P') 및 회수품에 대한 반입·반출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는 무인 자동화 시스템인 통상적인 방식의 키오스크(kiosk)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may be provided with a user interface for users who bring in/out of the delivered products (P, P') and recovered products. After authentication through the user interface, the delivery and export of goods (P, P') and recalled goods are carried out. As the user interface, a conventional kiosk system that is an unmanned automation system may be used.

도 4에는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가 운송차량(165)에 의해 배송 거점에 도착하여 운송차량(165)으로부터 하차되는 일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배송 거점에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가 설치되는 장소에는 운송차량(165)으로부터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를 하차하거나 배송 거점에 설치된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를 운송차량(165)에 상차하기 위한 장치 상하차 장비(175)가 설치된다. 장치 상하차 장비(175)는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의 포크홀(도 3의 117)에 삽입될 수 있는 포크(176)와, 포크(176)를 수평 및 상하 이동시키는 포크 구동기(177)를 구비한다. 하차 작업시,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를 적재한 운송차량(165)가 장치 상하차 장비(175)의 측면에 정차하면, 포크(176)가 포크 구동기(177)에 의해 수평이동하여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의 포크홀(도 3의 117)에 끼워지고 포크 구동기(177)에 의해 약간 상승한 후 설치 위치까지 수평이동한 뒤 하강하여 설치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장치 상하차 장비(175)는 배송 거점에 설치된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를 운송차량(165)에 상차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장치 상하차 장비(175)는 공간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운송차량(165)의 측면에서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를 상차 및 하차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4 schematically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arrives at a delivery base by the transport vehicle 165 and gets off the transport vehicle 165 . Referring to FIG. 4 , at the location where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s installed at the delivery base, the portab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s unloaded from the transport vehicle 165 or the portab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nstalled at the delivery base is transported. A device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175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vehicle 165 is installed. The device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175 includes a fork 176 that can be inserted into a fork hole (117 in FIG. 3) of the movab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and a fork driver 177 that horizontally and vertically moves the fork 176. be prepared During the unloading operation, when the transport vehicle 165 loaded with the movab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stops on the side of the device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175 , the fork 176 moves horizontally by the fork driver 177 to store the movable product It is inserted into the fork hole (117 of FIG. 3) of the device 110, and is installed by moving horizontally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after slightly rising by the fork driver 177 and then descending. In a similar manner, the device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175 is used to load and unload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nstalled at the delivery base on the transport vehicle 165 . The device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175 is preferably provided to load and unload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from the side of the transport vehicle 165 as shown in order to increase space utiliz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no.

도 5에는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가 운송차량(165)에 의해 배송 거점에 도착하여 운송차량(165)으로부터 하차되는 다른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운송차량(165)은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를 하차하기 위한 장치 상하차 장비(167)를 더 구비한다. 장치 상하차 장비(167)는 운송차량(165)의 화물 적재 플레이트(166)이 인출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가이드(168)와, 이동 가이드(168)를 따라서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를 수평 및 수직이동 시키는 이송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이송부(미도시)는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의 포크홀(도 3의 117)에 끼워지는 포크 및 포크를 이동시키는 포크 구동기를 구비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장치 상하차 장비(167)는 배송 거점에 설치된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를 운송차량(165)에 상차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장치 상하차 장비(167)는 공간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운송차량(165)의 측면에서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를 상차 및 하차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5 schematically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arrives at a delivery base by the transport vehicle 165 and gets off the transport vehicle 165 . Referring to FIG. 5 , the transport vehicle 165 further includes a device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167 for unloading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 The device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167 horizontally and horizontally moves the movab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along the movement guide 168 in which the cargo loading plate 166 of the transport vehicle 165 is installed to be withdrawn and the movement guide 168. A transfer unit (not shown) for vertical movement is provided. The transfer unit (not shown) may include a fork fitted into the fork hole ( 117 in FIG. 3 ) of the movab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and a fork driver for moving the fork. In a similar manner, the device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167 is used to load and unload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nstalled at the delivery base on the transport vehicle 165 . The device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167 is preferably provided to load and unload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from the side of the transport vehicle 165 as shown in order to increase space utiliz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no.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는 상하차 작업성을 높이기 위하여 캐스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의 이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를 이동시키는 레일 구조가 사용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movab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may further include a caster in order to increase loading and unloading workability. In addition, a rail structure for moving the movab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may be used to improve the mobility of the movab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상품 수령장치(120)들 각각은 배송 거점(A)에 설치되고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품 수령장치(120)에는 상품(G)이 주문자(R)에 의해 수령되기 직전까지 보관된다. 전달자(T)는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로부터 배송품(P)을 출고하고, 배송품(P)에서 상품(G)을 분리하여 상품 수령장치(120)에 입고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상품 수령장치(120)의 하나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상품 수령장치(120)가 세대별 출입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상품 수령장치(120)에 상품(G)이 보관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품 수령장치(120)는 세대별 출입문(K)에 고정되는 장치 설치부(121)와, 장치 설치부(12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품 보관부(122)를 포함한다.1 and 2 , each of the plurality of product receiving devices 120 is installed at the delivery base A and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9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stores the product G until just before it is received by the orderer R. The forwarder T releases the delivered product P from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 separates the product G from the delivered product P, and puts it in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 6 and 7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is installed at the door of each household,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roduct G is stored in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shown in FIG. . 6 and 7 ,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includes a device installation unit 121 fixed to the door K for each household, and a product storage unit 122 movably installed in the device installation unit 121 . ) is included.

장치 설치부(121)는 세대별 출입문(K)에 고정되어서 설치된다. 장치 설치부(121)에 상품 보관부(122)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품 보관부(122)는 장치 설치부(121)에 의해 출입문(K)을 사이에 두고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된다. 장치 설치부(121)에 상품 보관부(122)는 경우에 따라 이동이 불가하도록 고정될 수도 있다.The device installation unit 121 is installed by being fixed to the door K for each household. The product storage unit 122 is movably coupled to the device installation unit 121 . The product storage unit 122 is guided to be movable with the door K interposed therebetween by the device installation unit 121 . In some cases, the product storage unit 122 may be fixed to the device installation unit 121 so that it cannot be moved.

상품 보관부(122)는 장치 설치부(121)에 출입문(K)을 사이에 두고 안쪽과 바깥쪽을 오갈 수 있도록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품 보관부(122)는 내부에 상품(G)이 수용되는 상품 수용 공간(125)을 제공하는 보관 몸체(123)와, 보관 몸체(123)에서 출입문(K)을 사이에 두고 바깥쪽에 설치되는 외측 도어(124)와, 보관 몸체(123)에서 출입문(K)을 사이에 두고 안쪽에 설치되는 내측 도어(미도시)를 구비한다.The product storage unit 122 is movably coupled to the device installation unit 121 to mov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with the door K interposed therebetween. The product storage unit 122 includes a storage body 123 that provides a product accommodating space 125 in which the product G is accommodated, and is installed outside the storage body 123 with the door K interposed therebetween. It includes an outer door 124 and an inner door (not shown) installed inside the storage body 123 with the door (K) interposed therebetween.

보관 몸체(123)는 내부에 상품(G)이 수용되는 상품 수용 공간(125)을 제공한다. 상품 수용 공간(125)는 세대 외부에서 출입문(K) 바깥쪽에 위치하는 외측 도어(124)를 통해 접근할 수 있고, 세대 내부에서 출입문(K) 안쪽에 위치하는 내측 도어(미도시)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보관 몸체(123)는 장치 설치부(121)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세대 외부 쪽 또는 세대 내부 쪽으로 이동한다.The storage body 123 provides a product accommodating space 125 in which the product G is accommodated. The product accommodating space 125 can be accessed from the outside of the household through the outer door 124 located outside the door K, and accessed through the inner door (not shown) located inside the door K from the inside of the household. can do. The storage body 123 is slidably coupled to the device installation part 121 to move toward the outside of the household or the inside of the household.

외측 도어(124)는 보관 몸체(123)에서 세대 외부인 출입문(D) 바깥쪽에 위치한다. 외측 도어(124)를 통해 전달자(도 2의 T)는 상품(G)을 상품 수용 공간(125)에 입고할 수 있다.The outer door 124 is located outside the door (D) that is outside the household in the storage body 123 . Through the outer door 124 , the transmitter (T in FIG. 2 ) may put the product G into the product accommodation space 125 .

내측 도어(미도시)는 보관 몸체(123)에서 세대 내부인 출입문(K) 안쪽에 위치한다. 내측 도어(미도시)를 통해 주문자(도 2의 R)는 상품(G)을 상품 수용 공간(125)으로부터 출고할 수 있다.The inner door (not shown) is located inside the entrance door K, which is the inside of the household in the storage body 123 . Through the inner door (not shown), the orderer (R in FIG. 2 ) may release the product G from the product accommodating space 125 .

본 실시예에서는 상품의 입고 및 출고를 위하여 외측 도어(124)와 내측 도어(미도시)가 각각 별도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보관 몸체(123)의 상부 또는 측면에 하나의 도어 만이 구비될 수 있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 경우, 전달자(도 2의 T)가 상품(G)을 입고할 때는 보관 몸체(123)가 세대 외부 쪽으로 이동하여 도어가 출입문(K)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세대 내부에서 주문자가 상품을 출고할 때는 보관 몸체(123)가 세대 내부 쪽으로 이동하여 도어가 출입문(K)의 안쪽에 위치하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described that the outer door 124 and the inner door (not shown) are separately provided for stocking and leaving the product, but, unlike this, only one door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r the side of the storage body 123 . and this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when the sender (T in Fig. 2) receives the product (G), the storage body 123 moves toward the outside of the household so that the door is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door (K), and the orderer can release the product from inside the household. When the storage body 123 moves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ehold, the door is located inside the door K.

상품 수령장치(120)는 상품 보관 공간(125)의 온도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29)를 더 포함한다.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further includes a display 129 for displaying information such as a temperature of the product storage space 125 .

상품 수령장치(120)는 상품 보관부(122)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캐스터(127)를 더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캐스터(127)가 세대 외측에만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세대 내측에 설치되거나, 세대 외측과 내측 모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further includes a caster 127 for facilitating movement while stably supporting the product storage unit 122 . In the drawings, the casters 127 are shown to be installed only on the outside of the household, but unlike this, they may be installed inside the household or both outside and inside the household, which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품 수령장치(120)는 내부 공간의 온도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를 더 포함한다.Although not shown,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further includes a cooling device for cooling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도 6 및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상품 수령장치(120)가 세대의 출입문(K)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세대의 출입문(K)과는 구조적으로 분리되어서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 경우, 인접한 복수의 세대들 하나의 상품 수령장치(120)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6 and 7,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is described as being installed at the door (K) of the household, but unlike this, it may be installed structurally separated from the door (K) of the household, and this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on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may be shared and used by a plurality of adjacent households, which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주문자 단말기(130)는 상품(G)을 주문하고 최종적으로 수령하는 주문자(R)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주문자 단말기(130)는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 보관장치 운송자 단말기(135), 상품 공급자 단말기(140), 상품 입고자 단말기(150) 및 전달자 단말기(160)와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주문자(R)는 주문자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상품 판매 시스템(미도시)에 접속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G)을 주문하며, 주문자 단말기(130)를 통해 주문한 상품(G)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주문자 단말기(130)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피씨, 스마트폰 등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든 정보 통신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 the orderer terminal 130 is a terminal used by the orderer R who orders and finally receives the product G, and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9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o. The orderer terminal 130 can communicate with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 the storage device transporter terminal 135 , the product provider terminal 140 , the product wearer terminal 150 and the delivery terminal 16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connected The orderer R orders the product G to be purchased by accessing the product sales system (not shown) using the orderer terminal 130 , and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oduct G ordered through the orderer terminal 130 . can be provided. The ordering terminal 130 may include any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wired/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a desktop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tablet PC, and a smart phone.

보관장치 운송자 단말기(135)는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를 운송차량(165)을 이용하여 장치 관리 장소(Z)에서 배송 거점(A)으로 운송하거나 배송 거점(A)에서 장치 관리 장소(Z)로 운송하는 보관장치 운송자(W)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보관장치 운송자 단말기(135)는 주문자 단말기(130), 상품 공급자 단말기(140), 상품 입고자 단말기(150), 포장용기 관리자 단말기(170) 및 포장용기 운송자 단말기(185)와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보관장치 운송자(W)는 보관장치 운송자 단말기(135)를 통해 관리서버(190)로부터 장치 관리 장소(Z)에 위치한 운송대상 상품 보관장치(110)의 운송 지시 메시지 및 배송 거점(A)에 설치된 회수대상 상품 보관장치(110)의 회수 지시 메시지를 전송받는다. 또한, 보관장치 운송자(W)는 보관장치 운송자 단말기(135)를 통해 운송대상 상품 보관장치(110)의 운송 위치 및 회수대상 상품 보관장치(110)의 설치 위치에 대한 운송 정보 데이터도 전송받는다.The storage device transporter terminal 135 transports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from the device management location (Z) to the delivery point (A) using the transport vehicle (165) or from the delivery location (A) to the device management location (Z) ) as a terminal used by the transporter (W) of the storage device for transporting to ), and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9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storage device transporter terminal 135 communicates with the orderer terminal 130 , the product provider terminal 140 , the product wearer terminal 150 , the packaging container manager terminal 170 , and the packaging container transporter terminal 185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possible to be connected. The storage device transporter (W) is installed in the transport instruction message and delivery base (A) of the transport target product storage device 110 located in the device management place (Z) from the management server 190 through the storage device transporter terminal 135 A collection instruction message of the collection target product storage device 110 is received. In addition, the storage device transporter (W) is also transmitted through the storage device transporter terminal 135, the transport information data on the transport location of the transport target product storage device 110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recovery target product storage device 110 is transmitted.

상품 공급자 단말기(140)는 판매 대상 상품(G)을 공급하고 상품(G)을 보냉 수단(C)을 구비하는 포장용기(B)에 포장하여 배송품(P)을 준비하는 상품 공급자(E)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품 공급자 단말기(140)는 주문자 단말기(130), 상품 입고자 단말기(150), 포장용기 관리자 단말기(170) 및 포장용기 운송자 단말기(185)와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품 공급자 단말기(140)는 판매 상품(G)의 배송을 위한 배송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서버(190)로 전송한다. 상품 공급자 단말기(140)가 생성하는 배송 정보는 수령자의 주소, 배송품(P)의 배송 예정 일시, 배송품(P)의 수량, 배송품(P)의 크기, 배송품(P)의 식별정보 및 배송품(P)의 보관 온도 대역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품 공급자 단말기(140)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피씨, 스마트폰 등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든 정보 통신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 공급자(E)는 상품 공급자 단말기(140)를 통해 배송되는 상품(G)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품 공급자(E)는 상품 공급자 단말기(140)를 이용하여 포장용기 관리자 단말기(170)에 접속하여 필요한 수량의 포장용기(B) 및 보냉 수단(C)의 공급을 요청할 수 있다.The product supplier terminal 140 supplies the product for sale (G) and packages the product (G) in a packaging container (B) provided with a cooling means (C) to prepare a delivery product (P) by the product supplier (E) As a terminal to be used, it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9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product supplier terminal 140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orderer terminal 130 , the product wearer terminal 150 , the packaging container manager terminal 170 , and the packaging container transporter terminal 185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product provider terminal 140 generates delivery information for delivery of the product G for sale and transmits it to the management server 190 . The delivery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roduct provider terminal 140 includes the address of the recipient, the expected delivery date and time of the delivery product (P), the quantity of the delivery product (P), the size of the delivery product (P),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product (P), and the delivery product (P) ) and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orage temperature bands. The product provider terminal 140 may include any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wired/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a desktop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tablet PC, and a smart phone. The product provider E may check the location of the product G delivered through the product provider terminal 140 in real time. The product supplier (E) may access the packaging container manager terminal 170 using the product provider terminal 140 to request the supply of the required amount of the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oling means (C).

상품 입고자 단말기(150)는 상품 공급자(E)가 준비한 배송품(P)을 운반하여 장치 관리 장소(Z)에 대기중인 운송대상 상품 보관장치(110)에 입고하는 상품 입고자(D)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품 입고자 단말기(150)는 상품 공급자 단말기(140)와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품 입고자(D)는 관리서버(190)로부터 상품 입고자 단말기(150)를 통해 배송 정보 및 운송대상 상품 보관장치(110)의 이용 정보를 제공받는다. 상품 입고자 단말기(150)로는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가 용이한 정보 통신 기기가 사용된다.The product wearer terminal 150 is used by the product wearer (D) who transports the delivery product (P) prepared by the product supplier (E) and puts it into the storage device 110 for the product to be transported waiting at the device management place (Z) It is a terminal that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9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product wearer terminal 150 may also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product provider terminal 14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goods wearer D receives delivery information and usage information of the transport target goods storage device 110 through the goods wearer terminal 150 from the management server 190 . As the goods wearer terminal 150, an easily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is used.

전달자 단말기(160)는 사용중 상품 보관장치(110)에 입고된 배송품(P)을 출고하여 상품(G)을 주문자(R)가 사용하는 상품 수령장치(120)에 입고하고 상품(G)과 분리된 사용후 포장용기(B)를 보냉 수단(C)과 함께 사용중 상품 보관장치(110)에 입고하는 전달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달자 단말기(160)는 보관장치 운송자 단말기(135) 및 주문자 단말기(130)와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전달자(T)는 전달자 단말기(160)를 통해 사용중 상품 보관장치(110)의 배송 거점(A) 설치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달자(T)는 공동주택에서 고용한 인력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관리서버(190)의 운영자가 고용한 인력일 수도 있다. 전달자 단말기(160)로는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가 용이한 정보 통신 기기가 사용된다.The forwarder terminal 160 releases the delivered product (P) that is stored in the product storage device 110 during use, puts the product (G) into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used by the orderer (R), and separates the product (G) from the product (G). It is a terminal used by a forwarder who puts the used packaging container (B) together with the cooling means (C) in the product storage device 110 during use, and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9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forwarder terminal 160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storage transporter terminal 135 and the orderer terminal 13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forwarder T checks whether the delivery base A of th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s installed during use through the forwarder terminal 160 . In this embodiment, the forwarder (T) is described as a manpower employed in the apartment house, but may be a manpower employed by the operator of the management server 190 differently from this. An easily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is used as the transmitter terminal 160 .

포장용기 관리자 단말기(170)는 상품(G)의 포장에 사용되는 포장용기(B)와 함께 보냉 수단(C)을 관리하는 포장용기 관리자(M)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포장용기 관리자 단말기(170)는 포장용기 회수자 단말기(181), 포장용기 운송자 단말기(185) 및 상품 공급자 단말기(140)와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포장용기 관리자(M)는 포장용기 관리자 단말기(170)를 통해 관리서버(190)로부터 포장용기(B)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며, 상품 공급자 단말기(140)로부터 필요한 포장용기(B)와 보냉 수단(C)의 정보를 제공받는다. 포장용기 관리자 단말기(170)는 포장용기(B)와 보냉 수단(C)에 대한 정보를 종류, 용량 및 사용 상태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한다. 포장용기 관리자 단말기(170)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피씨, 스마트폰 등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든 정보 통신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포장용기 관리자(M)는 포장용기(B)의 재활용을 위하여 회수된 포장용기(B)를 세척하며, 보냉 수단(C)의 재활용을 위하여 보냉 수단(C)의 냉매 물질을 냉각시키거나 재포장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상태로 처리한다.The packaging container manager terminal 170 is a terminal used by the packaging container manager (M) who manages the cold storage means (C) together with the packaging container (B) used for packaging of the product (G), the management server 190 and Communication is possible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packaging container manager terminal 170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packaging container collector terminal 181 , the packaging container transporter terminal 185 , and the product provider terminal 14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packaging container manager (M) check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ackaging container (B) from the management server 190 through the packaging container manager terminal 170, and the necessary packaging container (B) and cold storage means from the product supplier terminal 140 (C) information is provided. The packaging container manager terminal 170 classifies and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oling means (C) according to the type, capacity, and use state. The packaging container manager terminal 170 may include any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wired/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a desktop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tablet PC, and a smart phone. The packaging container manager (M) washes the recovered packaging container (B) for recycling of the packaging container (B), and cools or repackages the refrigerant material of the cooling means (C) for recycling of the cooling means (C) so that it can be reused.

포장용기 회수자 단말기(181)는 장치 관리 장소(Z)에 위치하는 사용후 상품 보관장치(110)에 입고된 사용후 포장용기(B)와 보냉 수단(C)을 출고하여 포장용기 관리자(M)에게 전달하는 포장용기 회수자(S)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포장용기 회수자 단말기(181)는 사용후 상품 보관장치(110) 및 포장용기 관리자 단말기(170)와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포장용기 회수자(M)는 포장용기 회수자 단말기(181)를 통해 관리서버(190)가 제공하는 포장용기 회수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포장용기 회수자 단말기(181)로는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가 용이한 정보 통신 기기가 사용된다. The packaging container collector terminal 181 releases the used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oling means (C), which are stored in the used product storage device 110 located at the device management place (Z), and the packaging container manager (M) ) as a terminal used by the packaging container collector (S) to deliver it, and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9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enable communication. The packaging container collector terminal 181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post-use product storage device 110 and the packaging container manager terminal 17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packaging container collector M checks the packaging container recovery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anagement server 190 through the packaging container collector terminal 181 . As the packaging container collector terminal 181, an easily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is used.

포장용기 운송자 단말기(185)는 포장용기 관리자(M)가 제공하는 포장용기(B)와 보냉 수단(C)을 상품 공급자(E)에게 배송하는 포장용기 운송자(F)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포장용기 운송자 단말기(185)는 포장용기 관리자 단말기(170) 및 상품 공급자 단말기(140)와도 통신이 가능하게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다. 포장용기 운송자(F)는 포장용기 운송자 단말기(185)를 통해 포장용기(B)와 보냉 수단(C)의 운송에 필요한 포장용기 배송 정보를 관리서버(190)로부터 제공받는다. 포장용기 운송자 단말기(185)로는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가 용이한 정보 통신 기기가 사용된다.The packaging container transporter terminal 185 is a terminal used by the packaging container transporter (F) that delivers the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ld storage means (C) provided by the packaging container manager (M) to the product supplier (E), and management It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server 19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packaging container transporter terminal 185 is connected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the packaging container manager terminal 170 and the product provider terminal 140 . The packaging container transporter (F) receives the packaging container delivery information required for transportation of the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ld storage means (C) from the management server 190 through the packaging container transporter terminal 185 . As the packaging container transporter terminal 185, a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is used.

관리서버(190)는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 상품 수령장치(120), 주문자 단말기(130), 보관장치 운송자 단말기(135), 상품 공급자 단말기(140), 상품 입고자 단말기(150), 전달자 단말기(160), 포장용기 관리자 단말기(170), 포장용기 회수자 단말기(181) 및 포장용기 운송자 단말기(185)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와 상품 수령장치(120)를 이용한 상품(G)의 배송 및 포장용기(B)의 회수와 공급을 포함한 전체적인 물류를 관리한다. 관리서버(190)의 구성이 블록도로서 도시된 도 6을 참조하면, 관리서버(190)는 제어부(191)와, 보관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92)와,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93)와, 용기 정보 데이터베이스(194)와, 상품 공급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5)와, 용기 관리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6)와,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7)와, 통신부(198)를 포함한다.The management server 190 includes a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 a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 an orderer terminal 130 , a storage device transporter terminal 135 , a product provider terminal 140 , a product wearer terminal 150 , It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forwarder terminal 160, the packaging container manager terminal 170, the packaging container collector terminal 181, and the packaging container transporter terminal 185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o that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and product receipt It manages the overall logistics including delivery of the product (G) and the collection and supply of the packaging container (B) using the device 120 . Referring to FIG. 6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nagement server 190 as a block diagram, the management server 190 includes a control unit 191, a storage device information database 192, an order information database 193, and container information. It includes a database 194 , a product supplier information database 195 , a container manager information database 196 , a user information database 197 , and a communication unit 198 .

도 1,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91)는 보관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92),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93), 용기 정보 데이터베이스(194), 상품 공급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5), 용기 관리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6) 및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7)와 데이터를 주고받고, 통신부(198)를 통해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 상품 수령장치(120), 주문자 단말기(130), 보관장치 운송자 단말기(135), 상품 공급자 단말기(140), 상품 입고자 단말기(150), 전달자 단말기(160), 포장용기 관리자 단말기(170), 포장용기 회수자 단말기(181) 및 포장용기 운송자 단말기(185)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면서 물류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하드웨어적으로 제어부(191)는 메모리에 저장된 물류 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중앙처리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91)의 기능은 도 9에 도시된 물류관리 방법을 통해 상세하게 후술될 것이다.1, 2 and 8, the control unit 191 includes a storage device information database 192, an order information database 193, a container information database 194, a product supplier information database 195, and container manager information. Data is exchanged with the database 196 and the user information database 197, and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the orderer terminal 130, and the storage device transporter terminal 135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98. ), product supplier terminal 140, product wearer terminal 150, delivery terminal 160, packaging container manager terminal 170, packaging container collector terminal 181 and packaging container transporter terminal 185 and data Execute the logistics management program while giving and receiving. In terms of hardware, the control unit 191 may be configured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in which a material management program stored in a memory is executed. The function of the control unit 191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through the logistics management method shown in FIG. 9 .

보관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92)는 하드웨어적으로 메모리장치로 구성되며, 보관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92)에는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와 상품 수령장치(120)의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보관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92)에 저장되는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에 대한 정보는 복수개의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들 각각에 대한 식별번호, 현재 위치, 현재 상태(운송대상, 사용후, 사용중 및 회수대상의 상태), 복수개의 배송품 보관 구역들 각각에 대한 실시간 사용 상태 및 회수품 보관 공간에 보관된 실시간 회수품 보관량 등을 포함한다. 보관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92)에 저장되는 상품 수령장치(120)에 대한 정보는 상품 수령장치(120)의 식별번호, 설치 위치(주소) 및 사용 상태 등을 포함한다. 보관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92)에서의 데이터 입출력은 제어부(191)에 의해 제어된다.The storage device information database 192 is configured as a hardware memory device, and data related to information of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and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are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information database 192 . The information on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information database 192 includes an identification number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movable product storage devices 110 , a current location, and a current state (transportation target, after use, in use). and the status of the recovery target), the real-time usage statu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elivery product storage areas, and the real-time storage amount of recovered products stored in the recovered product storage space. The information on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information database 192 includes an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 an installation location (address), and a usage state. Data input/output in the storage device information database 192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91 .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93)는 하드웨어적으로 메모리장치로 구성되며,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93)에는 주문자(R)가 상품 판매 시스템을 통해 상품(G)을 주문하면서 생성된 주문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부(191)는 상품 배송에 필요한 배송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93)에서의 데이터 입출력은 제어부(191)에 의해 제어된다.The order information database 193 is configured as a hardware memory device, and data related to order information generated while the orderer R orders the product G through the product sales system is stored in the order information database 193 . . Based on the order information, the controller 191 generates delivery information necessary for product delivery. Data input/output in the order information database 193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91 .

용기 정보 데이터베이스(194)는 하드웨어적으로 메모리장치로 구성되며, 용기 정보 데이터베이스(194)에는 포장용기(B) 및 보냉 수단(C)의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용기 정보 데이터베이스(194)에 저장되는 포장용기(B)의 정보는 포장용기의 용도, 크기, 실시간 위치 및 사용 상태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용기 정보 데이터베이스(194)에서의 데이터 입출력은 제어부(191)에 의해 제어된다.The container information database 194 is configured as a hardware memory device, and data related to the information of the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oling means (C) are stored in the container information database 194 . The information of the packaging container (B) stored in the container information database 194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the use, size, real-time location and use state of the packaging container. Data input/output in the container information database 194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91 .

상품 공급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5)는 하드웨어적으로 메모리장치로 구성되며, 상품 공급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5)에는 상품 공급자(E)의 기본 정보(이름, 주소, 연락처 등) 및 상품 공급자(E)가 필요로 하는 포장용기(B) 및 보냉 수단(C)의 정보 등이 저장된다. 상품 공급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5)에서의 데이터 입출력은 제어부(191)에 의해 제어된다.The product supplier information database 195 is configured as a hardware memory device, and the product supplier information database 195 requires basic information (name, address, contact information, etc.) of the product supplier E and the product supplier E. Information of the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oling means (C) are stored. Data input/output in the product supplier information database 195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91 .

용기 관리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6)는 하드웨어적으로 메모리장치로 구성되며, 용기 관리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6)에는 포장용기 관리자(M)의 기본 정보(이름, 주소, 연락처 등) 등이 저장된다. 용기 관리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6)에서의 데이터 입출력은 제어부(191)에 의해 제어된다.The container manager information database 196 is configured as a hardware memory device, and basic information (name, address, contact information, etc.) of the packaging container manager M is stored in the container manager information database 196 . Data input/output in the container manager information database 196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91 .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7)는 하드웨어적으로 메모리장치로 구성되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7)에는 주문자(R)의 정보(이름, 주소, 연락처 등), 상품 입고자(D)의 정보(이름, 연락처 등), 보관장치 운송자(W)의 정보(이름, 주소, 연락처 등), 전달자(T)의 정보(이름, 연락처 등), 포장용기 회수자(S)의 정보(이름, 연락처 등) 및 포장용기 운송자(F)의 정보(이름, 연락처 등)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7)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어부(191)는 주문자(R), 보관장치 운송자(W), 상품 입고자(D) 및 전달자(T)에게 배송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안내하게 되고, 포장용기 회수자(S) 및 포장용기 운송자(F)에게 포장용기(B)와 보냉 수단(C)의 회수 및 공급 과정에 필요한 정보를 안내하게 된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7)에서의 데이터 입출력은 제어부(191)에 의해 제어된다. The user information database 197 is configured as a hardware memory device, and the user information database 197 contains information (name, address, contact information, etc.) of the orderer (R) and information (name, contact information) of the purchaser (D). etc.), storage device carrier (W) information (name, address, contact information, etc.), forwarder (T) information (name, contact information, etc.), packaging container collector (S) information (name, contact information, etc.) and packaging Data related to information (name, contact information, etc.) of the container transporter F is stored. Using the data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database 197, the control unit 191 guides the orderer (R), the storage device transporter (W), the goods wearer (D) and the forwarder (T) the information necessary in the delivery process. ,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recovery and supply process of the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oling means (C) will be provided to the packaging container collector (S) and the packaging container transporter (F). Data input/output in the user information database 197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91 .

통신부(198)는 제어부(191)에 의해 제어되어서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 상품 수령장치(120), 주문자 단말기(130), 보관장치 운송자 단말기(135), 상품 공급자 단말기(140), 상품 입고자 단말기(150), 전달자 단말기(160), 포장용기 관리자 단말기(170), 포장용기 회수자 단말기(181) 및 포장용기 운송자 단말기(185)와의 통신에 사용된다.The communication unit 198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91, so that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the orderer terminal 130, the storage device transporter terminal 135, the product provider terminal 140, the product It is used for communication with the wearer terminal 150 , the forwarder terminal 160 , the packaging container manager terminal 170 , the packaging container collector terminal 181 , and the packaging container transporter terminal 185 .

도 9에는 도 1에 도시된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100)을 이용한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배송거점 기반 물류 관리 시스템(100)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배송품(P)에 대한 배송 정보가 접수되는 배송 정보 접수 단계(S110)와, 배송 정보 접수 단계(S110)를 통해 접수된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들 중에서 배송품(P)이 입고될 특정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가 선택되는 보관장치 선정 단계(S115)와, 보관장치 선정 단계(S115)를 통해 특정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가 선정된 후 상품 입고자(D)에게 배송품(P)의 입고가 지시되는 입고 지시 단계(S120)와, 입고대상 배송품(P)들이 보관장치 선정 단계(S115)를 통해 선정된 특정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에 모두 입고되었는지가 확인되는 입고 확인 단계(S125)와, 입고 확인 단계(S125)를 통해 입고대상 배송품(P)들이 특정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에 모두 입고되었음이 확인된 후 보관장치 운송자(W)에게 특정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의 지정된 배송 거점(A)으로의 운송을 지시하는 보관장치 운송 지시 단계(S130)와, 특정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가 지정된 배송 거점(A)에 설치되었음이 확인되는 보관장치 거점 설치 확인 단계(S135)와, 전달자(T)에게 상품(G)을 상품 수령장치(120)에 입고할 것을 지시하는 상품 전달 지시 단계(S140)와, 상품(G)이 상품 수령장치(120)에 입고되었음이 확인되는 상품 입고 확인 단계(S145)와, 상품(G)이 이동형 상품 수령장치(120)에 입고된 후 남은 사용후 포장용기(B)와 보냉 수단(C)이 이동형 상품 보관 보관장치(110)에 입고되었는지가 확인되는 용기 입고 확인 단계(S150)와,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에 입고된 배송품(P)이 모두 출고되고 사용후 포장용기(B)와 보냉 수단(C)이 모두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에 입고되었는지가 확인되는 회수 조건 확인 단계(S155)와, 회수 조건 확인 단계(S155)에서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의 회수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에 보관장치 운송자(W)에게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에 대한 회수가 지시되는 보관장치 회수 지시 단계(S160)를 포함한다.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istribution base-based logistics management method using the delivery base-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100 shown in FIG. 1 . Referring to FIG. 9 , the delivery base-based logistics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delivery base-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100 shown in FIG. 1 , and delivery information for the delivery product P is received. On the basis of the delivery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delivery information receiving step (S110) and the delivery information receiving step (S110), a specific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to which the delivery product (P) is to be receiv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movable product storage devices 110 . ) is selected through the storage device selection step (S115) and the storage device selection step (S115), after the specific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s selected, the product wearer (D) is instructed to wear the delivery product (P) A stocking instruction step (S120) and a stocking confirmation step (S125) in which it is confirmed that all of the goods to be delivered (P) are stocked in the specific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selected through the storage device selection step (S115) (S125), and warehousing After it is confirmed that all of the goods to be delivered (P) are stocked in the specific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through the confirmation step (S125), the designated delivery base of the specific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to the storage device transporter W A storage device transport instruction step (S130) for instructing transport to A), and a storage device base installation confirmation step (S135) in which it is confirmed that a specific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s installed at the designated delivery base (A); A product delivery instruction step (S140) instructing the forwarder (T) to put the product (G) into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and product receipt in which it is confirmed that the product (G) has been received in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Confirmation step (S145), and whether the product (G) is stored in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after the remaining used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oling means (C) are stored in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n the confirmed container stocking confirmation step (S150), the delivery product (P) stored in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s all shipped out, and the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oling means (C) are all transported to the portab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after use. ) in the recovery condition check step (S15) 5) and when the recovery condition of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s satisfied in the recovery condition check step (S155), the storage device collection instructs the storage transporter W to collect the movab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and an instruction step (S160).

배송정보 접수 단계(S110)에서는 상품(G)의 배송을 위해 상품 공급자 단말기(140)에서 생성된 배송품(P)에 대한 배송정보가 관리서버(190)에 접수된다. 배송정보 접수 단계(S110)는 상품 공급자 단말기(140)가 관리서버(190)에 접속하여 배송정보를 전송하고 관리서버(190)가 이를 접수함으로써 수행된다. 배송정보 접수 단계(S110)를 통해 접수되는 배물품(P)에 대한 배송정보는 주문자(R)의 주소, 배송품(P)의 배송 예정 일시, 배송 물품의 수량, 배송품(P)의 크기, 배송품(P)의 식별정보 및 배송품(P)의 보관 온도 대역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송정보 접수 단계(S110)를 통해 접수된 배송정보는 주문자 단말기(130), 상품 입고자 단말기(150) 및 전달자 단말기(160)로도 전송되어서 주문자(R), 상품 입고자(D) 및 전달자(T)가 확인할 수도 있다.In the delivery information receiving step (S110), delivery information on the delivery product (P) generated by the product provider terminal 140 for delivery of the product (G) is received by the management server 190 . The delivery information reception step ( S110 ) is performed when the product provider terminal 140 accesses the management server 190 to transmit delivery information and the management server 190 receives it. Delivery information for the shipment (P) received through the delivery information receiving step (S110) is the address of the orderer (R), the expected delivery date and time of the delivery product (P), the quantity of the delivered product, the size of the delivered product (P), and the delivered product It may include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P) and the storage temperature band of the delivery product (P). Although not shown, the delivery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delivery information reception step (S110) is also transmitted to the orderer terminal 130, the product wearer terminal 150 and the forwarder terminal 160, so that the orderer (R), the product wearer ( D) and the sender (T) may confirm.

보관장치 선정 단계(S115)에서는 배송정보 접수 단계(S110)를 통해 접수된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장치 관리 장소(Z) 내에서 운송 대기중인 복수개의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들 중 배송품(P)이 보관될 특정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가 관리서버(190)에 의해 선정된다. 보관장치 선정 단계(S115)에서 선정되는 특정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는 배송품(P)의 배송지에 대응하는 배송 거점(A)에 설치될 장치이다. 보관장치 선정 단계(S115)에서 선정된 특정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의 이용 정보(식별정보 및 장치 관리 장소(Z)의 위치(주소))는 관리서버(190)에 의해 상품 입고자 단말기(150)로 전달된다. 보관장치 선정 단계(S115)에서는 특정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의 선택과 함께, 특정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에서 배송품(P)이 보관되는 보관 위치(보관 구역)도 함께 선정되며, 선정된 보관 위치도 상품 입고자 단말기(150)로 전달된다.In the storage device selection step (S115), on the basis of the delivery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delivery information receiving step (S110), the delivery product (P) among the plurality of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s 110 waiting for transport in the device management place (Z) The specific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to be stored is selected by the management server 190 . The specific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selected in the storage device selection step S115 is a device to be installed in the delivery base A corresponding to the delivery destination of the delivered product P. The use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address) of the device management place (Z)) of the specific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selected in the storage device selection step (S115) is provided by the management server 190 to the product wearer terminal ( 150). In the storage device selection step (S115), along with the selection of the specific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the storage location (storage area) where the delivery product P is stored in the specific movab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s also selected, and the selected The storage location is also transmitted to the goods wearer terminal 150 .

입고 지시 단계(S120)에서는 보관장치 선정 단계(S115)를 통해 특정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가 선정된 후 상품 입고자 단말기(150)를 통해 상품 입고자(D)에게 배송품(P)의 입고가 지시된다. 입고 지시 단계(S120)는 보관장치 선정 단계(S115)를 통해 선정된 특정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 및 보관 위치 정보를 관리서버(190)가 상품 입고자 단말기(150)를 통해 상품 입고자(D)에게 전송함으로써 수행된다. 입고 지시 단계(S120)를 통해 상품 입고자(D)는 선정된 특정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 및 배송품(P)의 보관 위치를 확인하게 된다. 입고 지시 단계(S120)를 통해 안내되는 배송품(P)의 보관 정보는 주문자 단말기(130) 및 전달자 단말기(140)로도 전송된다.In the warehousing instruction step (S120), after the specific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s selected through the storage device selection step (S115), the delivery of the product P to the product wearer D through the product wearer terminal 150 is directed In the stocking instruction step (S120), the specific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and storage location information selected through the storage device selection step (S115), the management server 190, through the product wearer terminal 150, the product wearer ( D) by sending Through the stocking instruction step (S120), the product wearer (D) confirms the storage location of the selected specific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and the delivery product (P). The storag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product P guided through the wearing instruction step S120 is also transmitted to the orderer terminal 130 and the forwarder terminal 140 .

입고 확인 단계(S125)에서는 입고대상 배송품(P)들이 보관장치 선정 단계(S115)를 통해 선정된 특정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에 모두 입고되었는지가 확인된다. 입고 확인 단계(S125)는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에 의해 확인되며, 확인된 입고 정보는 관리서버(190)에 저장된다.In the stock confirmation step (S125), it is checked whether all of the goods to be delivered (P) are stocked in the specific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selected through the storage device selection step (S115). The wearing confirmation step (S125) is confirmed by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and the confirmed wearing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anagement server 190.

보관장치 운송 지시 단계(S130)에서는 입고 확인 단계(S125)를 통해 입고대상 배송품(P)들이 특정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에 모두 입고되었음이 확인된 후 보관장치 운송자(W)에게 특정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의 지정된 배송 거점(A)으로의 운송이 지시된다. 보관장치 운송 지시 단계(S130)는 관리서버(190)가 특정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에 입고대상 배송품(P)들이 모두 입고되었음을 확인한 후 보관장치 운송자 단말기(135)로 특정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가 설치될 지정 배송 거점(A)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운송지시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된다. 보관장치 운송 지시 단계(S130)를 통해 운송지시 메시지를 전송받은 보관장치 운송자(W)는 운송차량(165)인 전기상용차에 특정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를 상차하여 지정된 배송 거점(A)으로 운송하고, 지정된 배송 거점(A)에서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을 하차하여 설치하게 된다. 운송차량(165)에 의한 운송 과정에서 이동형 상품보관장치(110)는 운송차량(165)인 전기사용차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작동하고, 배송 거점(A)에 하차된 후에는 설치 위치에서 전원을 공급받아서 작동한다.In the storage device transportation instruction step (S130), after it is confirmed that all of the goods to be delivered (P) are stocked in the specific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through the stock confirmation step (S125), the storage device transporter W gives a specific movable product Transport to the designated delivery point A of the storage device 110 is instructed. In the storage device transport instruction step (S130), the management server 190 confirms that all of the delivery items P are stocked in the specific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and then returns the storage device transporter terminal 135 to the specific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 110) is performed by transmitting a transport instruction message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signated delivery base A to be installed. The storage device transporter (W), which has received the transport instruction message through the storage device transport instruction step (S130), loads the specific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on the electric commercial vehicle, which is the transport vehicle 165, to the designated delivery base (A). It is transported and installed by disembarking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at the designated delivery base (A). In the process of transport by the transport vehicle 165,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receives power from an electric vehicle, which is the transport vehicle 165, and operates, and after getting off at the delivery base A, power is supplied at the installation location. supplied and works.

보관장치 거점 설치 확인 단계(S135)에서는 특정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가 지정된 배송 거점(A)에 설치되었음이 확인된다. 보관장치 거점 설치 확인 단계(S135)는 보관장치 운송자(W)가 보관장치 운송자 단말기(135)를 이용하여 관리서버(190)에 설치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를 관리서버(190)가 확인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보관장치 운송자(W)가 전송하는 설치 확인 메시지는 전달자(T)와 주문자(R)에게도 전송될 수 있다.In the storage device base installation confirmation step (S135), it is confirmed that the specific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s installed at the designated delivery base A. The storage device base installation confirmation step (S135) is to be performed by the storage device transporter (W) sending an installation confirmation message to the management server 190 using the storage device transporter terminal 135 and the management server 190 confirming it. can The installation confirmation message sent by the storage transporter (W) may also be transmitted to the forwarder (T) and the orderer (R).

상품 전달 지시 단계(S140)에서는 보관장치 거점 설치 확인 단계(S135)를 통해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가 지정된 배송 거점(A)에 설치되었음이 확인된 후 전달자(T)에게 상품(G)을 상품 수령장치(120)에 입고할 것이 지시된다. 상품 전달 지시 단계(S140)는 관리서버(190)가 전달자 단말기(160)로 상품 전달 지시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된다. 상품 전달 지시 메시지를 확인한 전달자(T)는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에서 해당 배송품(P)을 출고하여 주문자(R)에 대응하는 상품 수령장치(120)가 위치하는 지점으로 운반하고 포장용기(B)와 상품(G)을 분리하여 상품(G)은 상품 수령장치(120)에 입고하고 남은 사용후 포장용기(B)와 보냉 수단(C)은 거점 보관장치(110)에 보관한다.In the product delivery instruction step (S140), after it is confirmed that the portab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s installed at the designated delivery base (A) through the storage device base installation confirmation step (S135), the product (G) is sent to the forwarder (T) It is instructed to stock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The product delivery instruction step S140 is performed by the management server 190 transmitting a product delivery instruction message to the forwarder terminal 160 . The forwarder (T), who has confirmed the product delivery instruction message, releases the corresponding delivered product (P) from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transports it to the point where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corresponding to the orderer (R) is located, and transports it to a packaging container ( B) and the product (G) are separated, the product (G) is put into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and the remaining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oling means (C) are stored in the base storage device (110).

상품 입고 확인 단계(S145)에서는 상품(G)이 상품 수령장치(120)에 입고되었음이 확인된다. 상품 입고 확인 단계(S145)는 상품 수령장치(120)가 상품(G)의 입고를 확인하고 이 신호를 관리서버(190)로 전송함으로써 수행되거나, 전달자 단말기(160)를 통해 전달자(T)가 상품(G)의 입고 확인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In the goods receipt confirmation step ( S145 ), it is confirmed that the goods (G) have been received in the goods receiving device (120). The product receipt confirmation step (S145) is performed by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confirming the stocking of the product G and transmitting this signal to the management server 190, or the forwarder T through the forwarder terminal 160 It may be performed by sending a confirmation message wearing the product (G).

용기 입고 확인 단계(S150)에서는 상품(G)이 상품 수령장치(120)에 입고된 후 남은 사용 후 포장용기(B)와 보냉 수단(C)이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에 입고되었음이 확인된다. 용기 입구 확인 단계(S150)는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가 사용 후 포장용기(B)와 보냉 수단(C)의 입고를 확인하고 이 신호를 관리서버(190)로 전송함으로써 수행되거나, 전달자 단말기(160)를 통해 전달자(T)가 사용 후 포장용기(B)와 보냉 수단(C)의 입고 확인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In the container stock confirmation step (S150), it is confirmed that the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oling means (C) remaining after the product (G) is received in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are stored in the portab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do. The container entrance confirmation step (S150) is performed by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checking the stocking of the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oling means (C) after use and transmitting this signal to the management server 190, or the delivery terminal Through (160), the forwarder (T) can be performed by transmitting a confirmation message of the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ld storage means (C) after use.

회수 조건 확인 단계(S155)에서는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의 회수 조건이 확인된다. 회수 조건은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에 입고된 배송품(P)이 모두 출고되고 사용후 포장용기(B)와 보냉 수단(C)이 모두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에 입고되었는지 여부이다. 회수 조건 확인 단계(S155)에서 회수 조건는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 또는 관리서버(19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In the recovery condition check step S155 , the recovery condition of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s checked. The recovery condition is whether or not all of the delivered goods P stored in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are shipped out, and both the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oling means C are stocked in the portab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after use. In the recovery condition check step S155 , the recovery condition may be performed by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or the management server 190 .

보관장치 회수 지시 단계(S160)에서는 회수 조건 확인 단계(S155)에서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의 회수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에 보관장치 운송자(W)에게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에 대한 회수가 지시된다. 보관장치 회수 지시 단계(S160)는 관리서버(190)가 보관장치 운송자 단말기(135)로 보관장치 회수 지시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된다. 보관장치 회수 지시 메시지를 전송받은 보관장치 운송자(W)는 배송 거점(A)에 설치된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110)를 운송차량(165)을 이용하여 장치 관리 장소(Z)로 운송한다.In the storage device recovery instruction step (S160), if the recovery condition of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s satisfied in the recovery condition check step (S155), the storage device transporter W can collect the portab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directed The storage device recovery instruction step (S160) is performed by the management server 190 transmitting a storage device recovery instruction message to the storage device transporter terminal 135. The storage device transporter W, having received the storage device recovery instruction message, transports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110 installed at the delivery base A to the device management location Z using the transport vehicle 165 .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the above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or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lso belo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
110 :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
120 : 상품 수령장치
130 : 주문자 단말기
135 : 보관장치 운송자 단말기
140 : 상품 공급자 단말기
150 : 상품 입고자 단말기
160 : 전달자 단말기
170 : 포장용기 관리자 단말기
181 : 포장용기 회수자 단말기
185 : 포장용기 운송자 단말기
190 : 관리서버
191 : 제어부
192 : 보관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
193 :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
194 : 용기 정보 데이터베이스
195 : 상품 공급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196 : 용기 관리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197 :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198 : 통신부
100: Distribution base 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110: portable product storage device
120: product receiving device
130: orderer terminal
135: storage device transporter terminal
140: product provider terminal
150: product wearer terminal
160: forwarder terminal
170: packaging container manager terminal
181: packaging container collector terminal
185: packaging container transporter terminal
190: management server
191: control unit
192: storage device information database
193: Order Information Database
194: container information database
195: commodity supplier information database
196: container manager information database
197: user information database
198: Ministry of Communications

Claims (21)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복수개의 배송품들을 저온 보관하기 위하여 전원에 의해 저온으로 유지되는 저온 보관 공간을 제공하는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와, 상기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를 적재함으로 분리가능하게 적재하여 운반하는 운송차량을 구비하는 탑차; 및
상기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를 상기 운송차량에 대해 상차하거나 하차하는 상하차 장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배송품들이 상기 저온 보관 공간으로 입고되는 장치 관리 장소에서 상기 운송차량에 상차되며,
상기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배송품들이 상기 저온 보관 공간으로부터 출고되는 배송 거점에서 상기 상하차 장비에 의해 하차되며,
상기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는 포크홀을 구비하며,
상기 상하차 장비는 상기 배송 거점에 고정되어서 설치되며,
상기 상하차 장비는 상기 포크홀에 삽입될 수 있는 포크와, 상기 포크를 수평 및 상하 이동시키는 포크 구동기를 구비하는,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
A vehicle comprising: a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for providing a low-temperature storage space maintained at a low temperature by a power source to store a plurality of delivered products at a low temperature; and
and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for loading or unloading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with respect to the transport vehicle,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is loaded onto the transport vehicle at a device management location where the plurality of delivered products are stored in the low-temperature storage space,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is unloaded by the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at a delivery base where the plurality of delivered products are shipped from the low-temperature storage space,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is provided with a fork hole,
The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is fixed and installed at the delivery base,
The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includes a fork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fork hole, and a fork driver for horizontally and vertically moving the fork,
Distribution base 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복수개의 배송품들을 저온 보관하기 위하여 전원에 의해 저온으로 유지되는 저온 보관 공간을 제공하는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와, 상기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를 적재함으로 분리가능하게 적재하여 운반하는 운송차량을 구비하는 탑차; 및
상기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를 상기 운송차량에 대해 상차하거나 하차하는 상하차 장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배송품들이 상기 저온 보관 공간으로 입고되는 장치 관리 장소에서 상기 운송차량에 상차되며,
상기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배송품들이 상기 저온 보관 공간으로부터 출고되는 배송 거점에서 상기 상하차 장비에 의해 하차되며,
상기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는 포크홀을 구비하며,
상기 상하차 장비는 상기 운송차량에 설치되며,
상기 운송차량은 상기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가 적재되는 화물 적재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상하차 장비는 상기 화물 적재 플레이트에 인출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가이드와, 상기 이동 가이드를 따라서 상기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를 수평 및 수직 이동 시키는 이송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포크홀에 끼워지는 포크와, 상기 포크를 이동시키는 포크 구동기를 구비하는,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
A vehicle comprising: a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for providing a low-temperature storage space maintained at a low temperature by a power source to store a plurality of delivered products at a low temperature; and
and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for loading or unloading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with respect to the transport vehicle,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is loaded onto the transport vehicle at a device management location where the plurality of delivered products are stored in the low-temperature storage space,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is unloaded by the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at a delivery base where the plurality of delivered products are shipped from the low-temperature storage space,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is provided with a fork hole,
The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is installed in the transport vehicle,
The transport vehicle includes a cargo loading plate on which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is loaded,
The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includes a movement guide installed on the cargo loading plate so as to be able to withdraw, and a transfer unit for horizontally and vertically moving the movable product storage device along the movement guide,
The transfer unit includes a fork fitted in the fork hole, and a fork driver for moving the fork,
Distribution base 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는 상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further comprises a battery for supplying the power,
Distribution base 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는 상기 운송차량에 상차된 상태로 상기 복수개의 배송품들이 상기 배송 거점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운송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The mobile product storage device receives power from the transport vehicle while the plurality of delivered products are moved to the delivery base while being loaded onto the transport vehicle,
Distribution base 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170345A 2020-12-08 2020-12-08 System for managing logistics based on delivery base using movable goods keeping device KR1022787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345A KR102278723B1 (en) 2020-12-08 2020-12-08 System for managing logistics based on delivery base using movable goods keep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345A KR102278723B1 (en) 2020-12-08 2020-12-08 System for managing logistics based on delivery base using movable goods keep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8723B1 true KR102278723B1 (en) 2021-07-19
KR102278723B9 KR102278723B9 (en) 2024-01-11

Family

ID=77125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345A KR102278723B1 (en) 2020-12-08 2020-12-08 System for managing logistics based on delivery base using movable goods keep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72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5111A (en) * 1994-05-25 1995-12-05 M B C Kk Transporting vehicle with sorting function
JP2001074352A (en) * 1999-09-07 2001-03-23 Fuji Electric Co Ltd On-vehicle cold and heat insulation box
KR20080101362A (en) * 2007-05-17 2008-11-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hysical distribution forwarding apparatus from physical distribution store and forwarding method thereof
KR101995874B1 (en) 2018-07-19 2019-07-04 정화찬 Manless Parcel Delivery Service System for Apartment Hou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5111A (en) * 1994-05-25 1995-12-05 M B C Kk Transporting vehicle with sorting function
JP2001074352A (en) * 1999-09-07 2001-03-23 Fuji Electric Co Ltd On-vehicle cold and heat insulation box
KR20080101362A (en) * 2007-05-17 2008-11-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hysical distribution forwarding apparatus from physical distribution store and forwarding method thereof
KR101995874B1 (en) 2018-07-19 2019-07-04 정화찬 Manless Parcel Delivery Service System for Apartment Ho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8723B9 (en) 202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3288B1 (en) Pickup locations with modifiable storage compartment configurations and corresponding door operations
US10216188B2 (en) Autonomous ground vehicles based at delivery locations
US11810048B2 (en) Unmanned delivery system by unmanned delivery vehicle
CN105009004B (en) Inventory system with attachable inventory's retainer
CN114269663B (en) Multi-zone automatic warehousing system
KR102413558B1 (en) System for managing logistics based on delivery base for providing resource circulation and customized service by recycling and reusing cold chain packaging articles
KR102368672B1 (en) System for managing logistics based on delivery base for providing resource circulation and customized service by recycling and reusing cold chain packaging articles
US200500618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unattended delivery
WO2017041145A1 (en) An access controlled cabinet and access controlled cabinet delivery system and method
US11361277B2 (en) Integrated container conveyance system
US20150227882A1 (en) Mobile pickup locations
JP5811040B2 (en) Operation method of article sorting equipment and article sorting equipment
WO2006030713A1 (en) Article load device
US20170007058A1 (en) Delivery Methods and Receptacle Apparatus Delivery Receptacle Enclosure
ES2689951T3 (en) Stationary or mobile station to provide consumer goods, in particular fresh and frozen foods
KR102413557B1 (en) System for managing logistics based on delivery base for providing resource circulation and customized service by recycling and reusing cold chain packaging articles
CN114127762A (en) Article management system, logistics system, server device, and article management method
CN111788441A (en) Environment control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20033461A (en) System for managing logistics based on delivery base using robot
KR102278723B1 (en) System for managing logistics based on delivery base using movable goods keeping device
US20230085105A1 (en) Intelligent actively cooled tote
KR20210067856A (en) Distribution management method based on delivery base using delivery goods low temperature keeping device
EP3144202A1 (en) Mobile device for distributing goods and assembly comprising it
CN113396116A (en) Low-temperature logistics system
JP2003118842A (en) Physical distribu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