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234B1 -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ystem - Google Patents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234B1
KR102274234B1 KR1020200133149A KR20200133149A KR102274234B1 KR 102274234 B1 KR102274234 B1 KR 102274234B1 KR 1020200133149 A KR1020200133149 A KR 1020200133149A KR 20200133149 A KR20200133149 A KR 20200133149A KR 102274234 B1 KR102274234 B1 KR 102274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information
exit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1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성계
박영우
주형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시원이엔지
박영우
주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시원이엔지, 박영우, 주형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시원이엔지
Priority to KR1020200133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23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2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06K2209/1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40/00Transportation facility access, e.g. fares, tolls or p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provides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ystem in which data stored in a parking lot is upgraded in real time based on a parking lot electronic map and provided to a driver's smart terminal,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parking one-stop service are improved to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in an indoor parking lot to which GPS signals do not reach well, and a shortest distance empty parking area is provided to the driver's smart terminal when a vehicle number is recognized by a parking lot entrance camera, so that a parking navigation system having failed at the parking lot in the related art is provided like an outdoor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provides a parking service that enables drivers to search for real-time parking spaces, discounts, find my car, make automatic payments, and search for surrounding traffic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Description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시스템{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ystem}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ystem

본 발명은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차장 전자지도를 기반으로 주차장 주차 현황 저장 데이터를 운전자의 스마트단말에 실시간 업그레이드를 제공하고, 기존 주차 원스톱 서비스 단점 개선하여 GPS 신호가 잘 닿지 않는 옥내 주차장에서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주차장 입구 카메라로 출입 차량번호 인식시 최단 거리 빈 주차구획을 운전자의 스마트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주차장 내에서 기존에 제공하지 못하는 주차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마치 옥외에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같이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provides real-time upgrade of parking lot parking status storage data to a driver's smart terminal based on an electronic parking lot map, and improves the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parking one-stop service to provide GPS Not only does it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in an indoor parking lot where signals do not reach well, but it also provides the driver's smart terminal with the shortest-distance vacant parking lot when the parking lot entrance camera recognizes the entry/exit license plate number, thereby providing parking navigation that cannot be provided in the existing parking lo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ystem to provide the system like an outdoor navigation system.

종래의 전자지도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GPS 신호가 닿는 옥외를 중심으로 차량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지형 및 지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A conventional navigation system using an electronic map provides information on terrain and feature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a vehicle centered on an outdoor area where a GPS signal reaches.

그러나 차량을 주차하기 위해서 주차구역에 대한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현재 제공되지 못하거나 미흡한 실정이다.However, in order to park a vehicle, a navigation system for a parking area is currently not provided or insufficient.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주차장 전자지도를 기반으로 주차장 주차 현황 저장 데이터를 운전자의 스마트단말에 실시간 업그레이드를 제공하고, 기존 주차 원스톱 서비스 단점 개선하여 GPS 신호가 잘 닿지 않는 옥내 주차장에서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주차장 입구 카메라로 출입 차량번호 인식시 최단 거리 빈 주차구획을 운전자의 스마트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주차장 내에서 기존에 제공하지 못하는 주차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마치 옥외에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같이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Accordingly, in the relevant technology field, based on the parking lot electronic map, real-time upgrade of the parking status storage data to the driver's smart terminal is provided, and the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parking one-stop service are improved to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in an indoor parking lot where GPS signals are not easily reached. In addition to providing a parking navigation system that cannot be provided in the parking lot in the past, it provides a parking navigation system that cannot be provided in the parking lot as if it were an outdoor navigation system by providing the shortest distance empty parking area to the driver's smart terminal when the parking lot entrance camera recognizes the access vehicle number Technology development is required to do this.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5-0092768호 "주차관리 시스템(parking management system)"은 별도의 로그인 과정 없이 유저로부터 주차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시되는 영상의 차량 이미지를 클릭(터치) 작업만으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접속한 유저 및 차량을 매칭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로그인 과정이 생략되어 사용의 편의성을 현저히 높임과 동시에 사고위험이 절감되며, 매칭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고, 주차 감지, 입출차 단속, 요금정산 및 결제 서비스 등의 주차관련 서비스를 일괄적으로 관리 및 운용할 수 있으며, 차량단속부가 주차면들 각각에 설치됨과 동시에 주차요금 결제가 주차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주차장 진입 및 진출 시 불필요한 차량대기로 인한 시간소모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고, 주차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주차요금 결제 시 주차시작시점, 주차경과시간(t), 주차종료시점, 시간당 주차요금정보, 결제하여야 할 주차요금정보 등을 포함하는 주차관려정보를 전시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및 결제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주차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In this related prior art,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15-0092768 "parking management system" clicks the vehicle image of the video displayed through the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from the user without a separate login process ( Because it is possible to match users and vehicles connected through the application with only a touch) operation, a separate login process is omitted, significantl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reducing the risk of accidents, increasing the accuracy of matching, parking detection, It is possible to collectively manage and operate parking-related services such as entry and exit enforcement, fee settlement and payment service, and the vehicle enforcement unit is installed in each parking area and at the same time, the parking fee payment is configured to be performed through the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When entering and exiting, time consumption due to unnecessary vehicle waiting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nd when the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pays parking fees, parking start time, parking elapsed time (t), parking end time, hourly parking fee information, and parking to be paid It relates to a parking management system that can increase convenience of use and reliability of payment by displaying parking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ing rate information.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6-0169974호 "차량 주차관리 방법(Parking control method for vehicle)"은 카메라에 촬영되는 영상의 실시간 비교 기술에 기반하는 차량의 주차관리 방법으로, 주차장으로 출입하는 차량의 관리를 수행하는 차량 주차관리 방법에 있어서, 주차장 내 주차면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 단계;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저장 단계; 상기 저장된 영상과 현재 촬영된 영상을 비교하는 영상비교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영상과 상기 현재 촬영된 영상이 차이가 있는 경우, 차량의 존부를 판단하는 주차확인 단계; 로 구성되는 차량 주차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16-0169974 "Parking control method for vehicle" is a parking management method of a vehicle based on a real-time comparison technology of images captured by a camera. In the vehicle parking management method for performing the management of the vehicle, the image taking step of taking an image of the parking surface in the parking lot; an image storage step of storing the captured image; an image comparison step of comparing the stored image with the currently captured image; and when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stored image and the currently photographed image, a parking confirm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vehicle exists; It relates to a vehicle parking management method consisting of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8-0017371호 "주차안내시스템(PARKING GUIDE SYSTEM)"은 다수의 주차공간으로 구획된 주차장에 구비되어 차량의 진입을 인식하는 차량인식부와, 차량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차량의 차량정보를 획득하는 차량정보부와, 차량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차량에 주차공간을 안내하는 주차안내부와, 차량정보부 및 주차안내부를 상기 다수의 주차공간 중 어느 하나의 주차공간까지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주차공간들 중 차량이 주차되지 않은 주차공간의 주차정보를 제공하는 주차정보부를 포함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08-0017371 "PARKING GUIDE SYSTEM" is provided in a parking lot divided into a number of parking spaces and a vehicl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entry of a vehicle, and a vehicle recognition unit A vehicle information unit for obtaining vehicle information of a vehicle recognized by a vehicle information unit, a parking guide unit for guiding a parking space to a vehicle recognized by a vehicle recognition unit, and a vehicle information unit and a parking guide unit for parking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arking spaces It relates to a technology including a moving unit that moves to a space and a parking information unit that provides parking information of a parking space in which a vehicle is not parked among parking spaces.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8-0140976호 "주차안내 전광판(LED sign board with parking enterance board)"은 주거자용, 방문자용으로 구분하여 자동 안내를 가능토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18-0140976 "Parking guide sign board (LED sign board with parking enterance board)" relates to a technology that enables automatic guidance by dividing into residential and visitor use.

그러나 위 기술들은 주차장 전자지도를 기반으로 차량과 관련된 주차장 내부의 현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 technologies have a limitation in that they cannot provide real-time data on the status of the inside of the parking lot related to the vehicle based on the parking lot electronic map.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5-0092768호 "주차관리 시스템(parking management system)"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15-0092768 "Parking management system"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6-0169974호 "차량 주차관리 방법(Parking control method for vehicle)"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16-0169974 "Parking control method for vehic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8-0017371호 "주차안내시스템(PARKING GUIDE SYSTEM)"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8-0017371 "PARKING GUIDE SYSTEM"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8-0140976호 "주차안내 전광판(LED sign board with parking enterance board)"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18-0140976 "LED sign board with parking enterance board"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차장 전자지도를 기반으로 주차장 주차 현황 저장 데이터를 운전자의 스마트단말에 실시간 업그레이드를 제공하고, 기존 주차 원스톱 서비스 단점 개선하여 GPS 신호가 잘 닿지 않는 옥내 주차장에서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주차장 입구 카메라로 출입 차량번호 인식시 최단 거리 빈 주차구획을 운전자의 스마트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주차장 내에서 기존에 제공하지 못하는 주차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마치 옥외에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같이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real-time upgrade of the parking status storage data to the driver's smart terminal based on the parking lot electronic map, and improves the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parking one-stop service. In addition to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in the parking lot, the parking navigation system that cannot be provided in the parking lot can be used outdoors by providing the shortest distance empty parking area to the driver's smart terminal when the vehicle number is recognized by the parking lot entrance camera. It is to provide a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ystem to provide with a navigation system.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에게 전용 앱을 통해 실시간 주차 공간 조회, 할인, 내차찾기, 자동 결제까지 가능토록 해주는 주차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ystem for providing a parking service that enables real-time parking space inquiry, discount, finding my car, and even automatic payment through a dedicated app to the driver.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시스템은, 차량(100), 출입차 관리 장치(200)에 복수개가 형성되는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 네트워크(300), 주차장 관리 단말(400),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서버(600), 운전자 스마트단말(700)을 포함하는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시스템(1)에 있어서,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서버(600)는, 차량(100)의 실시간 위치정보에 주차장 전자지도 상에 실시간 표시한 실시간 위치 기반 주차장 전자지도 정보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차량(100)에 탑승된 운전자 스마트단말(7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610)를 제어함으로써, 차량(100)에 탑승한 운전자는 운전자 스마트단말(700)을 통해 현재의 주차장에서의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모듈(623); 및 차량번호 인식카메라(250)를 통한 주차 시점으로부터, 주차장 디바이스 유닛(500)을 구성하는 차량 인식 센서부(520)로부터 차량(100)에 대한 주차 인식을 주차장 관리 단말(400)을 통해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610)를 제어한 뒤, 차량 관리 DB(631)에 저장된 차량 번호를 메타 데이터로 한 검색을 통해 동일한 차량 번호를 추출한 뒤, 추출된 차량 번호와 함께 저장된 차량 번호 입차 인식 시간과 함께, 주차 인식에 따른 차량 번호 주차 인식 시간을 함께 차량 관리 DB(631)에 다시 차량 번호를 메타데이터로 저장하는 주차 인식 모듈(62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100, a plurality of access blocking device units 200a, and a network 300 formed in the vehicle access management device 200. ), the parking management terminal 400,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erver 600, in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ystem 1 including the driver smart terminal 700,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erver 600 is , Transceiver unit to transmit real-time location-based parking lot electronic map information displayed in real-time on the parking lot electronic map to th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0 to the driver smart terminal 700 riding in the vehicle 100 through the network 300 By controlling the 610, the driver riding in the vehicle 100 is a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module 623 that allows the driver to check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current parking lot through the smart terminal 700; And from the parking point through the vehicle number recognition camera 250, the parking recognition for the vehicle 100 from the vehicle recognition sensor unit 520 constituting the parking lot device unit 500 through the parking lot management terminal 400 network ( After controlling the transceiver 610 to receive through 300), the same vehicle number is extracted through a search using the vehicle number stored in the vehicle management DB 631 as metadata, and the vehicle number stored together with the extracted vehicle number A parking recognition module 624 for storing the vehicle number as metadata again in the vehicle management DB 631 together with the vehicle number parking recognition time according to the parking recognition, together with the entrance recognition ti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이때,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서버(600)는, 운전자 스마트단말(100)에 의한 주차장 식별번호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630)에 각 주차구역의 주차 셀에 차량(100)의 주차 여부를 추출하여 네트워크(300)를 통해 운전자 스마트단말(100)로 실시간으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610)를 제어하는 정보 제공모듈(628);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erver 600, when receiving the parking lot identification number by the driver smart terminal 100 through the network 300, the vehicle 100 in the parking cell of each parking area in the database 630 ), an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628 for controlling the transceiver 610 to extract the parking status and transmit it in real time to the driver's smart terminal 100 through the network 3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또한, 정보 제공모듈(628)은, 운전자 스마트단말(100)의 전용앱인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앱에 대한 실행을 통한 네트워크(300)를 거친 액세스에 따라 주차구역의 주차 셀에 대한 주차 할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628, the parking discount information for the parking cell of the parking area according to the access through the network 300 through the execution of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app that is a dedicated app of the driver's smart terminal 100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또한, 정보 제공모듈(628)은, 운전자 스마트단말(100)로부터 제공된 단말식별번호에 따라 현재의 차량(100)의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630) 상에서 추출한 뒤, 내차찾기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628 extrac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vehicle 100 from the database 630 according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provided from the driver's smart terminal 100, and then provides the Find My Car information. do.

또한, 정보 제공모듈(628)은, 주차 요금 정산 모듈(627)에 의해 제공된 주차요금에 대해서 운전자 스마트단말(100) 상에서 선불 또는 후불 방식으로 모바일 결제가 수행되도록 모바일 결제 시스템과 운전자 스마트단말(100) 간의 모바일 결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628 includes a mobile payment system and a driver smart terminal 100 so that mobile payment is performed in a prepaid or postpaid manner on the driver smart terminal 100 for the parking fee provided by the parking fee settlement module 627 . ), characterized in that it performs a mobile payment betwee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시스템은, 주차장 전자지도를 기반으로 주차장 주차 현황 저장 데이터를 운전자의 스마트단말에 실시간 업그레이드를 제공하고, 기존 주차 원스톱 서비스 단점을 개선하여 GPS 신호가 잘 닿지 않는 옥내 주차장에서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주차장 입구 카메라로 출입 차량번호 인식시 최단 거리 빈 주차구획을 운전자의 스마트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주차장 내에서 기존에 제공하지 못하는 주차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마치 옥외에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같이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real-time upgrade of the parking status storage data to the driver's smart terminal based on the parking lot electronic map, and improves the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parking one-stop service so that the GPS signal is It not only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in hard-to-reach indoor parking lots, but also provides the shortest-distance vacant parking lot to the driver's smart terminal when the car number is recognized with the parking lot entrance camera, thereby providing a parking navigation system that cannot be provided in the existing parking lot. It can be provided like an outdoor navigation system.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시스템은, 운전자에게 전용 앱을 통해 실시간 주차 공간 조회, 할인, 내차찾기, 자동 결제, 주변교통현황 조회까지 가능토록 해주는 주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driver with a parking service that enables real-time parking space inquiry, discount, finding my car, automatic payment, and nearby traffic status inquiry through a dedicated app.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시스템(1) 중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서버(6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시스템(1) 중 출입차 관리 장치(2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시스템(1) 중 주차장 디바이스 유닛(5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erver 600 of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access control apparatus 200 of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parking lot device unit 500 of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one component 'transmits' data or signal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directly transmit the data or signal to another component, and through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This means that data or signals can be transmitted to other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시스템(1)은 차량(100), 출입차 관리 장치(200)에 복수개가 형성되는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 네트워크(300), 주차장 관리 단말(400), 주차장 디바이스 유닛(500),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서버(600), 운전자 스마트단말(700), 그리고 빅데이터 서버(800)를 포함할 수 있다. 1 is a view showing a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ystem 1 includes a vehicle 100, a plurality of access blocking device units 200a formed in the vehicle access management device 200, a network 300, and a parking lot management terminal ( 400 ), a parking lot device unit 500 , a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erver 600 , a driver smart terminal 700 , and a big data server 800 .

여기서 네트워크(30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300)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네트워크(300)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그 밖의 5G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출입차 관리 장치(200), 주차장 관리 단말(400),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서버(600), 운전자 스마트단말(700), 그리고 빅데이터 서버(80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Here, the network 300 is a high-speed backbone network of a large-scale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large-capacity, long-distance voice and data services, and may be a next-generation wired or wireless network for providing the Internet or high-speed multimedia services. When the network 300 i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may be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s an example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re may be 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typ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network 300 may include a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Meanwhile, although the WCDMA network is taken as an example, it may be a 3G LTE network, a 4G network, other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5G, and other IP-based IP networks. The network 300 includes the entrance/exit management device 200, the parking lot management terminal 400,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erver 600, the driver's smart terminal 700, and the big data server 800, and other systems. It serves to transmit signals and data to each other.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시스템(1) 중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서버(6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시스템(1) 중 출입차 관리 장치(2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시스템(1) 중 주차장 디바이스 유닛(5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erver 600 of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vehicle access management device 200 of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parking lot device unit 500 of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출입차 관리 장치(200)는 차단 장치(210), 주차권 출력장치(220), 차량 번호 인식 장치(230), 제 1 MCU(Micro Controller Unit)(240), 유무선 통신부(250) 및 음향출력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차단 장치(210)는 입차 방향 차단 장치(210a), 출차 방향 차단 장치(210b)로 구분될 수 있으며, 입차 방향 차단 장치(210a)에는 입차 차량 인식 센서(211a)가 형성되며, 출차 방향 차단 장치(210b)에는 출차 방향 인식 센서(211b)가 형성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3 , the entrance/exit management device 200 includes a blocking device 210 , a parking ticket output device 220 , a vehicle number recognition device 230 , a first microcontroller unit (MCU) 240 , wired/wireless 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250 and a sound output unit 260 . In addition, the blocking device 210 may be divided into an entrance direction blocking device 210a and an exit direction blocking device 210b, and an entrance vehicle recognition sensor 211a is formed in the entrance direction blocking device 210a, and blocking the exit direction A vehicle taking-out direction recognition sensor 211b may be formed in the device 210b.

여기서, 입차 차량 인식 센서(211a) 및 출차 방향 인식 센서(211b)는 모두 카메라이거나, 입차 방향 차단 장치(210a) 및 출차 방향 차단 장치(210b)로 진입하는 바닥면에 형성된 압력 센서일 수 있다. Here, both the entering vehicle recognition sensor 211a and the exiting direction recognition sensor 211b may be cameras or a pressure sensor formed on the floor that enters the entrance direction blocking device 210a and the exiting direction blocking device 210b.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주차장 디바이스 유닛(500)은 표시등(510), 차량 인식 센서부(520), 제 2 MCU(530)를 포함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4 , the parking lot device unit 500 may include an indicator light 510 , a vehicle recognition sensor unit 520 , and a second MCU 530 .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서버(600)는 송수신부(610), 제어부(620) 및 데이터베이스(630)를 포함하며, 제어부(620)는 입차 제어 모듈(621), 주차구역 분석 모듈(622),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모듈(623), 주차 인식 모듈(624), 출차 인식 모듈(625), 출구 안내 모듈(626), 주차 요금 정산 모듈(627), 정보 제공모듈(628)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2 ,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erver 600 includes a transceiver 610 , a control unit 620 and a database 630 , and the control unit 620 includes an entrance control module 621 , parking Zone analysis module 622,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module 623, parking recognition module 624, exit recognition module 625, exit guidance module 626, parking fee settlement module 627,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 628) may be included.

여기서, 입차 제어 모듈(621)은 출입차 관리 장치(200) 중 입차 방향 차단 장치(210a)에 형성된 입차 차량 인식 센서(211a)에 의한 차량(100)에 대한 인식, 그리고 출입차 관리 장치(200) 중 입차 방향 차량 번호 인식 장치(230a)에 의한 주차 차량 번호 인식이 완료되면, 출입차 관리 장치(200)로부터 네트워크(300)를 통한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요청을 수신하도록 송수신부(610)를 제어할 수 있다.Here, the entrance control module 621 recognizes the vehicle 100 by the entrance vehicle recognition sensor 211a formed in the entrance direction blocking device 210a of the entrance/exit control device 200, and the entrance/exit management device 200 ), when the recognition of the parking vehicle number by the vehicle number recognition device 230a in the entry direction is completed, the transceiver 610 to receive a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request through the network 300 from the entry/exit management device 200 can be controlled

이후, 입차 제어 모듈(621)은 인식된 차량 번호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차량 번호 입차 인식 시간을 데이터베이스(630)의 차량 관리 DB(631)에 저장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vehicle entrance control module 621 may store the vehicle number entrance recognition time in the vehicle management DB 631 of the database 630 by using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as metadata.

주차구역 분석 모듈(622)은 데이터베이스(630)의 주차구역 DB(632)에 저장된 주차구역에 대한 정보 중 빈 주차구역의 식별번호를 추출한 뒤, 추출된 빈 주차구역 식별번호가 단수인 경우, 추출된 빈 주차구역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주차구역 정보"를 출입차 관리 장치(200)로 네트워크(3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610)를 제어함으로써, 출입차 관리 장치(200) 상에서 제 1 MCU(240)의 제어에 따라 주차권 출력장치(220)를 통해 주차구역 식별번호를 용지로 출력하며(또는 용지 출력 없이 차량번호 인식 카메라(250)를 통해 인식하며), 음향출력부(260)를 통해 주차구역 식별번호 음성 정보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주차구역 식별번호는 숫자로 구분된 '층수 정보', 영문자로 구분된 '구분 구역 정보', 숫자로 구분된 '주차 셀 정보'로 형성됨으로써, 위치 정보를 인식시킬 수 있다. 즉, 주차구역 식별번호는 위치 정보로 층수 정보(제 1 층 내지 제 n 층)(n은 2 이상의 자연수), 구분 구역 정보(문자 체계의 순열, 예, A 구역 내지 Z 구역), 주차 셀 정보(제 1 셀 내지 제 m 셀)(m은 n과 같거나 다른 2 이상의 자연수)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예로 "1A12"와 같이 1층의 A 구분 구역 중 12 번째 주차 셀로 설정될 수 있다.The parking area analysis module 622 extract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empty parking area from among the information about the parking area stored in the parking area DB 632 of the database 630, and if the extracted empty parking area identification number is singular, it is extracted By controlling the transceiver 610 to transmit "parking area information" including the empty parking area identification number to the entrance/exit control device 200 through the network 300, the first Outputs the parking area identification number on paper through the parking ticket output device 220 under the control of the MCU 240 (or recognizes it through the vehicle number recognition camera 250 without paper output), and the sound output unit 260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voice information of the parking area identification number. Here, the parking area identification number is formed of 'number of floors information' divided by numbers, 'zone information divided by English letters', and 'parking cell information' divided by numbers, so that location information can be recognized. That is, the parking area identification number is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floor number information (1st floor to nth floor)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division zone information (permutation of character system, eg, zone A to zone Z), parking cell information (1st cell to mth cell) (m is a natural number equal to or different from n 2 or more), for example, "1A12" may be set as the 12th parking cell among the division A on the first floor.

주차구역 분석 모듈(622)은 데이터베이스(630)의 주차구역 DB(632)에 저장된 주차구역에 대한 정보 중 빈 주차구역의 식별번호를 추출한 뒤, 추출된 빈 주차구역 식별번호가 복수인 경우, 차량 번호 인식 장치(230)에 의한 차량 번호 인식이 완료된 지점으로부터 복수의 주차구역 식별번호 각각에 해당하는 주차구역까지의 거리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The parking area analysis module 622 extract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empty parking area from among the information about the parking area stored in the parking area DB 632 of the database 630, and when the extracted empty parking area identification number is plural, the vehicle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point where the vehicle number recognition is completed by the number recognition device 230 to the parking are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arking area identification numbers may be calculated.

보다 구체적으로, 주차구역 분석 모듈(622)은 추출된 빈 주차구역의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에 포함된 층수 정보, 구분 구역 정보, 주차 셀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의 차량 인식 위치로부터 근접 거리에 해당하는 주차 셀 정보를 갖는 빈 주차구역의 식별번호를 거리가 가까운 것을 기준으로 오름 차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arking zone analysis module 622 analyzes the number of floors information, division zone information, and parking cel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empty parking zone, and is located in proximity from the current vehicle recognition location. Identification numbers of empty parking areas having corresponding parking cell information may be sorted in ascending order based on the closest distance.

여기서, 주차구역 분석 모듈(622)은 층수 정보를 주차장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된 경우, 현재의 차량 인식 위치에 해당하는 층수와의 차이값에 따른, 현재의 차량 인식 위치로부터 층간 이동을 위해 이동해야 하는 거리 정보(층간 이동 거리) 분석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Here, the parking area analysis module 622 moves the floor number information for inter-floor movement from the current vehicle recognition posi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value from the number of floors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vehicle recognition position when the parking lot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loors. It can be used to analyze distance information (movement distance between floors).

주차구역 분석 모듈(622)은 구분 구역 정보를 층간 이동 거리 분석 이후 층간 이동을 위해 이동된 거리 정보에 추가하여, 층간 이동을 완료한 지점으로부터 차량(100)이 주차를 위해 이동을 해야하는 층수 정보의 층 구조에서 구분 구역으로 이동해야 하는 거리 정보(구분 구역 이동 거리 정보) 분석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The parking area analysis module 622 adds the division zone information to the distance information moved for inter-floor movement after the inter-floor movement distance analysis, and the number of floors the vehicle 100 needs to move for parking from the point where the inter-floor movement is completed. It can be used to analyze the distance information that needs to be moved to the division area in the floor structure (division area movement distance information).

주차구역 분석 모듈(622)은 주차 셀 정보를 구분 구역 거리 정보 분석 이후 층간 이동 거리 정보, 구분 구역 이동 거리 정보에 추가하여, 구분 구역 이동을 완료한 지점으로부터 차량(100)이 주차를 위해 이동을 해야하는 구분 구역 정보에 따른 구역 구조에서 주차 셀로 이동해야 하는 거리 정보(주차 셀 이동 거리 정보) 분석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The parking area analysis module 622 adds the parking cell information to the inter-floor movement distance information and the division area movement distance information after the division area distance information analysis, and the vehicle 100 moves for parking from the point where the division area movement is completed. It can be used to analyze the distance information that needs to be moved to the parking cell (parking cell movement distance information) in the zone structure according to the division zone information to be divided.

여기서, 주차구역 분석 모듈(622)은 실측 주차장 3D 모델링 맵 정보를 주차구역 DB(632)로부터 추출한 뒤, 추출된 실측 주차장 3D 모델링 맵 상에서 현재의 차량 인식 위치로부터 각 빈 주차구역의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까지의 경로 정보를 생성한 뒤, 생성된 경로 정보 상에서 경로 정보 상에서 현재의 차량 인식 위치로부터 층간 이동 거리 정보, 층간 이동이 완료된 지점으로부터 구분 구역 이동 거리 정보, 구분 구역 이동이 완료된 지점으로부터 주차 셀 이동 거리 정보를 순차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Here, the parking area analysis module 622 extracts the measured parking lot 3D modeling map information from the parking area DB 632, and corresponds to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each empty parking area from the current vehicle recognition position on the extracted actual 3D parking lot 3D modeling map After generating route information to the location information to It is to sequentially analyze the moving distance information of the parking cell.

이에 따라, 주차구역 분석 모듈(622)은 현재의 차량 인식 위치에서 각 추출된 빈 주차구역의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분석시, 각 주차구역의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층간 이동 거리 정보, 구분 구역 이동 거리 정보, 주차 셀 이동 거리 정보를 합산한 "총 이동 거리 정보"를 생성한 뒤, 현재의 차량 인식 위치로부터 근접 거리에 해당하는 주차 셀 정보를 갖는 빈 주차구역의 식별번호를 거리가 가까운 것을 기준으로 오름 차순으로 정렬한 뒤, 근거리를 우선순위로 한 빈 주차 셀에 해당하는 빈 주차구역의 식별번호를 추출하여 생성된 "빈 주차 셀 단위 정보"를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모듈(623)로 통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parking area analysis module 622 analyzes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each extracted empty parking area from the current vehicle recognition position, information on the inter-floor movement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each parking area, classification After generating "total travel distance information" that sums up the area movement distance information and the parking cell movement distance information,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an empty parking area having parking cel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ximity distance from the current vehicle recognition position After sorting in ascending order based on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module (623), the "empty parking cell unit information" generated by extract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empty park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empty parking cell with priority in the short distance is extracted. may be notified b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주차구역 분석 모듈(622)은 미리 설정된 임계거리 범위 내에서 근접 거리에 해당하는 주차 셀 정보를 갖는 빈 주차구역의 식별번호가 복수로, 즉 두 개 이상의 총 이동 거리 정보 간의 거리 차가 미리 설정된 임계거리(약, 5m 내지 10m) 이내인 것이 있는 경우, 혼잡도 정보를 반영하여 하나의 주차구역 식별번호를 최종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king area analysis module 622 includes a plurality of identification numbers of empty parking areas having parking cel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ximity distance within a preset threshold distance range, that is, two or more total travel distances. When there is a distance difference between information within a preset threshold distance (about 5 m to 10 m), one parking area identification number may be finally extracted by reflecting the congestion level information.

이 경우, 주차구역 분석 모듈(622)은 추출된 빈 주차구역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주차 셀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예, 5~10m) 내로 이미 주차구역 안내를 제공받은 다른 차량(100)에 대한 위치정보가 감지되는 경우, 위치정보가 감지된 수량에 비례하는 정량적 수치에 해당하는 혼잡도 가중치를 생성하여 혼잡도 가중치가 낮은 것을 우선순위로 안내를 수행함으로써, 먼저 안내된 차량(100)에 의한 주차 셀의 선점 가능성을 추가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arking area analysis module 622 is located within a preset radius (eg, 5 to 10 m) from a parking cell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empty parking area identification number for another vehicle 100 that has already been provided with a parking area guide. When information is sensed, by generating a congestion weight corresponding to a quantitative value proportional to the detected quantity of location information and guiding the one with a low congestion weight as a priority, the parking cell by the vehicle 100 guided first Information can be provided by adding the possibility of preemption.

이에 따라,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모듈(623)은 "빈 주차 셀 단위 정보"를 출입차 관리 장치(200)로 네트워크(3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610)를 제어함으로써, 출입차 관리 장치(200) 상에서 제 1 MCU(240)의 제어에 따라 주차권 출력장치(220)를 통해 주차구역 식별번호와 각 총 이동 거리 정보를 용지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뿐만 아니라, 출입자 관리 장치(200) 상에서 제 1 MCU(240)에 의한 NFC 장치부(220a) 제어를 통해 운전자 스마트단말(700)로 NFC 태그 방식으로 주차구역 식별번호와 각 총 이동 거리 정보를 운전자 스마트단말(700)로 제공되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module 623 controls the transceiver 610 to transmit "empty parking cell unit information" to the entrance/exit management device 200 through the network 300, thereby controlling the entrance/exit control device. In addition to controlling to output the parking area identification number and each total distance information on paper through the parking ticket output device 220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first MCU 240 on the 200 1 Through the control of the NFC device unit 220a by the MCU 240, the parking area identification number and each total travel distance information are provided to the driver smart terminal 700 in an NFC tag method to be output to the driver smart terminal 700. can

이후,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모듈(623)은 "빈 주차 셀 단위 정보"를 출입차 관리 장치(200)로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주차장의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주차장 전자지도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800)에 대한 요청을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6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주차장 전자지도에는 표시 및 통신부(510) 및 차량 인식 센서부(520)로 이루어지는 주차장 디바이스 유닛(500)을 구성하는 표시 및 통신부(510)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fter that,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module 623 transmits the "empty parking cell unit information" to the entrance/exit management device 200, and provides an electronic map of the parking lot corresponding to the serial number of the parking lot through the network 300. The transceiver 610 may be controlled to receive through a request to the big data server 800 . Here, the parking lot electronic map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and communication unit 510 constituting the parking lot device unit 500 including the display and communication unit 510 and the vehicle recognition sensor unit 520 .

이후,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모듈(623)은 "빈 주차 셀 단위 정보"를 제공한 차량(100)을 운전하는 운전자 스마트단말(700)에 대한 입차 차량 인식 센서(211a)에 추가로 형성된 NFC 장치부(220a)를 통한 인식을 통해 운전자 스마트단말(700)의 단말식별번호(IMEI)가 인식되면, 출입차 관리 장치(200)로 네트워크(300)를 통해 운전자 스마트단말(700)의 단말식별번호(IMEI)와, "빈 주차 셀 단위 정보", 주차장 전자지도를 함께 "주차 유도 단위 정보"로 차량 관리 DB(631)에 저장할 수 있다.Thereafter,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module 623 is an NFC device additionally formed in the vehicle recognition sensor 211a for the driver smart terminal 700 driving the vehicle 100 providing "empty parking cell unit information" When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MEI) of the driver's smart terminal 700 is recognized through recognition through the unit 220a,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driver's smart terminal 700 through the network 300 to the entrance/exit management device 200 (IMEI), "empty parking cell unit information", and a parking lot electronic map may be stored in the vehicle management DB 631 together as "parking guidance unit information".

이후,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모듈(623)은 복수의 주차장 디바이스 유닛(500)의 표시 및 통신부(510) 각각와 운전자 스마트단말(700) 간의 근거리 통신를 통한 RTT(Roud Trip Time) 측정 방식을 통해 주차장 전자지도 상에서 운전자 스마트단말(700)이 내부에 있는 차량(100)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주차 유도 단위 정보"에 포함된 운전자 스마트단말(700)의 단말식별번호(IMEI)를 메타데이터로 함께 실시간 위치정보를 "주차 유도 단위 정보"에 저장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module 623 is a parking lot electronic through the display and communication unit 510 of the plurality of parking lot device units 500 and RTT (Roud Trip Time) measurement method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between each and the driver smart terminal 700 On the map, the driver smart terminal 700 receives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0 inside, and convert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MEI) of the driver smart terminal 700 included in "parking guidance unit information" to metadata. Together,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stored in "parking guidance unit information".

즉, 복수의 주차장 디바이스 유닛(500)은 주차장의 각 주차 셀에 하나씩 형성됨으로써, 복수의 표시 및 통신부(510)에 의한 RTT 측정을 통해 가장 근접한 주차 셀의 위치를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모듈(623)이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RTT 측정시 한번을 수행하지 않고 복수번 수행하여 오차를 줄일 뿐만 아니라,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에 있어서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두 개의 표시 및 통신부(510)와 운전자 스마트단말(700) 간의 삼각 측량법에 의해 측정된 운전자 스마트단말(700)의 이웃하는 두 개의 표시 및 통신부(510)와의 RTT 값에 대한 수치 보정을 통해 운전자 스마트단말(700)의 각 표시 및 통신부(510)와의 거리에 대한 실시간 위치정보에 대한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다.That is, a plurality of parking lot device units 500 are formed one by one in each parking cell of the parking lot,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losest parking cell through the RTT measurement by the plurality of display and communication unit 510 is determined by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module 623 ) not only can be confirmed, but also reduce errors by performing multiple times instead of once when measuring RTT, and also cause interference i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o the two display and communication units 510 and the driver's smart terminal Each display and communication unit 510 of the driver smart terminal 700 through numerical correction for the RTT value with the two neighboring displays and the communication unit 510 of the driver's smart terminal 700 measured by triangulation between 700 Accuracy of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about distance from and can be secured.

이후,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모듈(623)은 주차 유도 단위 정보에 포함된 차량(100)의 실시간 위치정보에 주차장 전자지도 상에 실시간 표시한 실시간 위치 기반 주차장 전자지도 정보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차량(100)에 탑승된 운전자 스마트단말(7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610)를 제어함으로써, 차량(100)에 탑승한 운전자는 운전자 스마트단말(700)을 통해 현재의 주차장에서의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fter that,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module 623 transmits real-time location-based parking lot electronic map information displayed in real-time on the parking lot electronic map to th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0 included in the parking guidance unit information through the network 300 . By controlling the transceiver 610 to transmit to the smart terminal 700 of the driver riding in the vehicle 100, the driver riding in the vehicle 100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current parking lot through the driver smart terminal 700 you can check it out.

여기서,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모듈(623)은 전자지도 정보에 실시간 위치정보와 함께, "빈 주차 셀 단위 정보"에 대한 보정된 정보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운전자 스마트단말(700)로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module 623 provides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electronic map information, as well as the corrected information for "empty parking cell unit information" to the driver's smart terminal 700 through the network 300 in real time. can provide

즉,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모듈(623)은 전자지도 정보에 실시간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출입차 관리 장치(200)에서 제공된 빈 주차구역에 해당하는 주차 셀 각각과의 거리 변화를 반영하여 거리 변화가 반영된 각 주차구역의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층간 이동 거리 정보, 구분 구역 이동 거리 정보, 주차 셀 이동 거리 정보를 합산한 "실시간 총 이동 거리 정보"를 생성한 뒤, 현재의 차량 인식 위치로부터 근접 거리에 해당하는 주차 셀 정보를 갖는 빈 주차구역의 식별번호를 거리가 가까운 것을 기준으로 오름 차순으로 정렬한 뒤, 근거리를 우선순위로 한 빈 주차 셀에 해당하는 빈 주차구역의 식별번호를 추출하여 생성된 "실시간 빈 주차 셀 단위 정보"를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모듈(623)로 통지할 수 있다.That is,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module 623 reflects the distance change with each of the parking cells corresponding to the empty parking areas provided by the access management device 200 based on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electronic map information, so that the distance changes are After generating “real-time total distance information” that sums up the moving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floors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each reflected parking area, the moving distance information in the division area, and the moving distance information in the parking cell, After sorting the identification numbers of empty parking areas with the corresponding parking cell information in ascending order based on the closest distance,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empty park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empty parking cell with priority in the short distance is extracted. "Real-time empty parking cell unit information" may be notified to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module 623 .

이에 따라,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모듈(623)은 "실시간 빈 주차 셀 단위 정보"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운전자 스마트단말(7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610)를 제어함으로써, 운전자 스마트단말(700) 상에서 차량(100)의 이동 변화엥 따른 주차구역 식별번호와 각 총 이동 거리 정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module 623 controls the transceiver 610 to transmit "real-time empty parking cell unit information" to the driver smart terminal 700 through the network 300, thereby making the driver smart terminal ( 700), the parking area identification number according to the movement change of the vehicle 100 and the total movement distance information may be output.

주차 인식 모듈(624)은 주차권 출력장치(200)를 통해 주차구역 식별번호가 인쇄된 용지에 해당하는 주차권이 출력된 시점으로부터, 주차장 디바이스 유닛(500)을 구성하는 차량 인식 센서부(520)로부터 차량(100)에 대한 주차 인식을 주차장 관리 단말(400)을 통해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610)를 제어한 뒤, 입차 제어 모듈(621)에 의해 차량 관리 DB(631)에 저장된 차량 번호를 메타 데이터로 한 검색을 통해 동일한 차량 번호를 추출한 뒤, 추출된 차량 번호와 함께 저장된 차량 번호 입차 인식 시간과 함께, 주차 인식에 따른 차량 번호 주차 인식 시간을 함께 차량 관리 DB(631)에 다시 차량 번호를 메타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The parking recognition module 624 is from the time when the parking ticket corresponding to the paper on which the parking area identification number is printed through the parking ticket output device 200 is output, from the vehicle recognition sensor unit 520 constituting the parking lot device unit 500 After controlling the transceiver 610 to receive the parking recognition for the vehicle 100 through the network 300 through the parking lot management terminal 400, the vehicle management DB 631 by the entrance control module 621 After extracting the same vehicle number through a search using the stored vehicle number as metadata, the vehicle number parking recognition time according to the parking recognition along with the vehicle number entry recognition time stored together with the extracted vehicle number vehicle management DB (631) The license plate number can be stored as metadata again.

한편, 주차장 디바이스 유닛(500)의 제 2 MCU(530)는 차량 인식 센서부(520)로부터 차량(100)에 대한 주차 인식에 따라 현재 차량(100)이 주차된 주차 셀을 포함하는 구분 구역의 모든 주차 셀이 만차된 경우, 표시 및 통신부(510)의 색상을 제 1 색상(녹색)에서 제 2 색상(적색)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하고, 구분 구역에 대한 만차 정보를 표시 및 통신부(510)를 제어하여 주차장 관리 단말(400)로 전송함으로써, 주차장 관리 단말(400)에 의해 네트워크(300)를 통해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서버(600)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MCU 530 of the parking lot device unit 500 according to the parking recognition of the vehicle 100 from the vehicle recognition sensor unit 520 of the division area including the parking cell in which the current vehicle 100 is parked. When all the parking cells are full, control to change the color of the display and communication unit 510 from the first color (green) to the second color (red), and display and communicate the full information for the division zone 510 By controlling and transmitting it to the parking lot management terminal 400 , it can be provided to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erver 600 through the network 300 by the parking lot management terminal 400 .

여기서 차량 인식 센서부(520)는 하나의 주차 셀 중 차량(100)을 인식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압력 센서이거나 카메라로 형성되어 영상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차량 인식 센서부(520)가 압력 센서를 기반으로 형성시 차량(100)에 대한 사람이나 기타의 객체와 달리 인식되도록 하기 위해 주차 셀에 해당하는 테두리 중 미리 설정된 영역 또는 주차 셀 내부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복수 개의 지점에 형성함으로써, 차량(100)이 일반적으로 4개의 바퀴로 형성됨으로써, 동시 접촉 지점이 발생한다는 점을 활용하여 설계될 수 있다. Here, the vehicle recognition sensor unit 52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or cameras formed in a preset area for recognizing the vehicle 100 among one parking cell to perform image recognition. That is, when the vehicle recognition sensor unit 520 is formed based on the pressure sensor, in order to be recognized differently from a person or other object for the vehicle 100, a preset area of the border corresponding to the parking cell or a preset area inside the parking cell. By forming at a plurality of points in a set area, the vehicle 100 is generally formed of four wheels, so that it can be designed by taking advantage of the fact that simultaneous contact points occur.

출차 인식 모듈(625)은 주차 인식 모듈(624)에 의해 주차 인식을 수신한 이후, 주차장 디바이스 유닛(500)을 구성하는 차량 인식 센서부(520)로부터 차량(100)에 대한 출차 인식을 주차장 관리 단말(400)을 통해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610)를 제어한 뒤, 입차 제어 모듈(621)에 의해 차량 관리 DB(631)에 저장된 메타 데이터에 대한 검색을 통해 동일한 차량 번호를 추출한 뒤, 추출된 차량 번호와 함께 저장된 차량 번호 입차 인식 시간과 함께 출차 인식된 차량 번호 출차 인식 시간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After receiving the parking recognition by the parking recognition module 624, the un-parking recognition module 625 manages the un-parking recognition for the vehicle 100 from the vehicle recognition sensor unit 520 constituting the parking lot device unit 500. After controlling the transceiver 610 to receive through the network 300 through the terminal 400, the same vehicle number through the search for metadata stored in the vehicle management DB 631 by the vehicle entrance control module 621 After extracting, it is possible to store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exit recognition time together with the vehicle number entry recognition time stored together with the extracted vehicle number.

한편, 주차장 디바이스 유닛(500)은 주차장 디바이스 유닛(500)을 구성하는 차량 인식 센서부(520)로부터 차량(100)에 대한 출차 인식에 따라 현재 차량(100)이 주차된 주차 셀을 포함하는 구분 구역의 모든 주차 셀의 만차가 해제된 경우, 표시 및 통신부(510)의 색상을 제 2 색상(적색)에서 제 1 색상(녹색)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하고, 구분 구역에 대한 만차 해제 정보를 표시 및 통신부(510)를 제어하여 주차장 관리 단말(400)로 전송함으로써, 주차장 관리 단말(400)에 의해 네트워크(300)를 통해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서버(600)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arking lot device unit 500 includes a parking cell in which the current vehicle 100 is parked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the vehicle 100 from the vehicle recognition sensor unit 520 constituting the parking lot device unit 500 . When all parking cells in the zone are full, the display and communication unit 510 controls to change the color from the second color (red) to the first color (green), and displays and cancels full information for the zone By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510 and transmitting it to the parking lot management terminal 400 , it can be provided to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erver 600 through the network 300 by the parking lot management terminal 400 .

출구 안내 모듈(626)은 현재의 출입차 관리 장치(200)를 구성하는 차단 장치(210), 주차권 출력장치(220), 차량 번호 인식 장치(230)가 하나의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으로 형성되어 복수로 구성되어 입출차 구역이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 현재의 주차구역에 해당하는 주차 셀로부터 가장 인접한 출구에 대한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The exit guide module 626 includes the blocking device 210, the parking ticket output device 220, and the vehicle number recognition device 230 constituting the current entry/exit control device 200 as one access blocking device unit 200a. When a plurality of entry/exit zones are formed, a guide to the nearest exit from a parking cell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arking zone may be performed.

보다 구체적으로, 출구 안내 모듈(626)은 주차 인식 모듈(624)에 의해 운전자 스마트단말(700)로 운전자 스마트단말(700)의 단말식별번호를 이용한 네트워크(300)를 통한 액세스나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으로의 액세스에 따른 주차 완료 질의에 따라 주차 완료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주차 완료 인식 이후에 운전자 스마트단말(700) 상의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앱 상으로의 출차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300)를 통해 출차 요청이 수신되도록 송수신부(610)를 제어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exit guide module 626 is accessed through the network 300 us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driver smart terminal 700 to the driver smart terminal 700 by the parking recognition module 624 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y receiving a parking completion response according to a parking completion query according to access to the parking lot, after parking completion recognition, the driver's smart terminal 700 requests an exit through the network 300 according to the exit request on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app. The transceiver 610 may be controlled to receive this.

이후, 출구 안내 모듈(626)은 현재의 차량(100)이 위치하는 주차 셀의 주차구역 식별번호를 운전자 스마트단말(700)의 단말식별번호를 이용해 차량 관리 DB(631)에서 추출한 뒤, 주차구역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위치정보를 주차 구역 DB(632))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After that, the exit guide module 626 extracts the parking area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parking cell in which the current vehicle 100 is located from the vehicle management DB 631 us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driver's smart terminal 700, and then the parking area Loc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may be extracted from the parking area DB (632)).

이후, 출구 안내 모듈(626)은 주차장 전자지도 상에서 주차 셀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복수의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 각각으로 이동하는 경로에 해당하는 층간 이동을 위한 층간이동통로 이동 거리 정보, 층간이동통로 상에서의 이동 거리 정보, 층간이동통로 출구에서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으로의 이동 거리 정보를 합산한 "출구 거리 정보"를 생성한 뒤, 주차 셀의 위치정보로부터 출구 거리 정보가 근접한 것을 기준으로 오름 차순으로 정렬한 뒤, 근거리를 우선순위로 한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의 식별번호를 추출하여 생성된 "출구 단위 정보"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운전자 스마트단말(7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610)를 제어할 수 있다. After that, the exit guide module 626 is inter-floor movement path movement distance information for inter-floor movement corresponding to the path mov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access blocking device units 200a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arking cell on the parking lot electronic map, between floors After generating "exit distance information" that sums the movement distance information on the movement passage and the movement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inter-floor passage exit to the access blocking device unit 200a, it is determined that the exit distance information is close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arking cell After sorting in ascending order based on the criteria, the "exit unit information" generated by extract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access blocking device unit 200a with the short-distance priority is transmitted to the driver's smart terminal 700 through the network 300. The transceiver 610 may be controlled to do so.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출구 안내 모듈(626)은 미리 설정된 임계거리 범위 내에서 근접 거리에 해당하는 출구 거리 정보를 갖는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의 식별번호가 복수에 해당하는, 즉 두 개 이상의 출구 거리 정보 간의 거리 차가 미리 설정된 임계거리(약, 5m 내지 10m) 이내인 것이 있는 경우, 혼잡도 정보를 반영하여 하나의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의 식별번호를 최종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it guide module 626 has a plurality of identification numbers of the access blocking device unit 200a having exit dista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oximity distance within a preset threshold distance range, that is, two When the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two or more exit distance information is within a preset threshold distance (about 5 m to 10 m),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one access blocking device unit 200a may be finally extracted by reflecting the congestion level information.

즉, 출구 안내 모듈(626)은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출구 거리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거리 내에 있는 복수의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의 식별번호가 추출되는 경우, 혼잡도 정보를 반영하여 혼잡도가 높은 것을 후순위로 조정하는 순위 조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exit guide module 626 reflects the congestion information when the identification numbers of the plurality of access blocking device units 200a within the preset threshold distance for the exit dista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iority are extracted, indicating that the degree of congestion is high. It is possible to perform a ranking adjustment procedure that adjusts to a sub-priority.

보다 구체적인 예시로, 출구 안내 모듈(626)은 출차를 원하는 하나의 차량(100)과 동일한 층수에 해당하는 다른 차량(100)의 운전자가 운영하는 운전자 스마트단말(700)에 대해서 현재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공한 "출구 단위 정보" 상에 최우선순위(또는 미리 설정된 순위 내에)에 해당하는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의 식별번호가, 이후에 출차를 원하는 상기 하나의 차량(100)에게 제공한 "출구 단위 정보" 상에 최우선순위(또는 미리 설정된 순위 내에)에 해당하는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의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정량적 수치에 비례하는 제 1 혼잡도 가중치를 생성함으로써, 차량(100) 간의 동일 층수에서의 주차 동선의 간섭을 최소한이 되도록 예방할 수 있다. As a more specific example, the exit guide module 626 is a preset time from the present for the driver smart terminal 700 operated by the driver of the other vehicle 100 corresponding to the same number of floors as the one vehicle 100 that wants to get out.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access blocking device unit 200a corresponding to the highest priority (or within a preset priority) on the "exit unit information" provided within By generating a first congestion weight proportional to the quantitative value match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access blocking device unit 200a corresponding to the highest priority (or within a preset priority) on the "exit unit information", the same between the vehicles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terference of the parking flow in the number of floors to a minimum.

또한, 출구 안내 모듈(626)은 출구 안내 모듈(626)은 출차를 원하는 하나의 차량(100)과 동일한 층수가 아닌 것에 해당하는 다른 차량(100)의 운전자가 운영하는 운전자 스마트단말(700)에 대해서 현재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섭 시간" 이내에 제공한 "출구 단위 정보" 상에 최우선순위(또는 미리 설정된 순위 내에)에 해당하는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의 식별번호가, 이후에 출차를 원하는 상기 하나의 차량(100)에게 제공한 "출구 단위 정보" 상에 최우선순위(또는 미리 설정된 순위 내에)에 해당하는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의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경우, 하나의 차량(100)에서 최우선순위(또는 미리 설정된 순위 내에)에 해당하는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의 위치정보로 도달하는 제 1 거리 정보와, 다른 하나의 차량(100)에서 최우선순위(또는 미리 설정된 순위 내에)에 해당하는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의 위치정보로 도달하는 제 2 거리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it guide module 626 is the exit guide module 626 to the driver smart terminal 700 operated by the driver of the other vehicle 100 corresponding to not the same number of floors as the one vehicle 100 wanting to exit.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access blocking device unit 200a corresponding to the highest priority (or within the preset priority) on the “exit unit information” provided within the preset “interference time” from the present is the one that wants to get out later When matching with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access blocking device unit 200a corresponding to the highest priority (or within a preset priority) on the "exit unit information" provided to the vehicle 100 of The first distance information reached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blocking device unit 200a corresponding to the priority (or within the preset priority), and the highest priority (or within the preset priority) in the other vehicle 100 Second distance information reach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blocking device unit 200a may be calculated.

이후, 출구 안내 모듈(626)은 제 1 거리 정보와 제 2 거리 정보 간의 차이 값에 대해서 빅데이터 기반으로 측정된 주차장 내의 차량(100) 들의 평균속력 정보로 디비젼 연산(division operation)을 수행한 결과치와, 상기 미리 설정된 "간섭 시간" 간의 차이값에 반비례하는 근접도에 해당하는 정량적 수치에 비례하는 제 2 혼잡도 가중치를 생성함으로써, 차량(100) 간의 다른 층수에서의 동일한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로 출구가 쏠려서 출차 시간 지연을 초래하는 출차의 동선의 간섭을 최소한이 되도록 예방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exit guide module 626 performs a division operation with the average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s 100 in the parking lot measured based on big data on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first distan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distance information. And, by generating a second congestion weight proportional to a quantitative value corresponding to proximity that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preset "interference time", the same access blocking device unit 200a at different number of floors between vehicles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o a minimum the interference of the movement line of the exit, which causes the exit time delay due to the incline of the exit.

이후, 출구 안내 모듈(626)은 복수의 추출된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의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출차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 분석시의 주차장 전자지도 상에서 주차 셀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복수의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 각각으로 이동하는 경로에 해당하는 층간 이동을 위한 층간이동통로 이동 거리 정보, 층간이동통로 상에서의 이동 거리 정보, 층간이동통로 출구에서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으로의 이동 거리 정보를 합산한 "출구 거리 정보"의 정량적 수치에, 동일한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에 대한 제 1 내지 제 2 혼잡도 가중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생성되는 경우 각 생성된 혼잡도 가중치를 멀티플라이(multiply) 하여 최종적으로 연산되는 정량적 분석 수치가 작은 것을 기준으로 오름 차순으로 정렬한 뒤, 최소값에 해당하는 정량적 분석 수치에 해당하는 출구 영역 정보에 해당하는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로의 이동 경로 정보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운전자 스마트단말(7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610)를 제어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exit guide module 626 performs a plurality of entrances and exits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arking cells on the parking lot electronic map when analyzing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exit are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plurality of extracted access blocking device units 200a. Information on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inter-floor movement passage for inter-floor movement corresponding to the path moving to each of the blocking device units 200a, information on the movement distance on the inter-floor movement passage, and the movement distance from the exit of the inter-floor passage to the access blocking device unit 200a When at least one or more of the first to second congestion level weights for the same access blocking device unit 200a are generated to the quantitative value of “exit distance information” that is the summed information, each generated congestion level weight is multiplied by After sorting in ascending order based on the smallest quantitative analysis value calculated finally, the movement path information to the access blocking device unit 200a corresponding to the exit are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quantitative analysis value corresponding to the minimum value is transferred to the network 300 ), the transceiver 610 may be controlled to transmit to the driver's smart terminal 700 .

주차 요금 정산 모듈(627)은 출입차 관리 장치(200) 중 출차 방향 차단 장치(210b)에 형성된 출차 방향 인식 센서(211b)에 의한 차량(100)에 대한 인식, 그리고 출입차 관리 장치(200) 중 출차 방향 차량 번호 인식 장치(230a)에 의한 출차 차량 번호 인식이 완료되면, 출입차 관리 장치(200)로부터 네트워크(300)를 통한 주차 요금 정산 요청을 수신하도록 송수신부(61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arking fee settlement module 627 recognizes the vehicle 100 by the exit direction recognition sensor 211b formed in the exit direction blocking device 210b of the entrance/exit control device 200, and the entrance/exit management device 200 When the exiting vehicle number recognition by the vehicle number recognition device 230a in the exit direction is completed, the transceiver 610 can be controlled to receive a parking fee settlement request through the network 300 from the entry/exit management device 200. have.

주차 요금 정산 모듈(627)은 입차 제어 모듈(621)에 의해 데이터베이스(630)의 차량 관리 DB(631)에 저장된 정보 중 출차 차량으로 인식한 차량 번호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차량 번호 입차 인식 시간, 차량 번호 주차 인식 시간, 출차를 위한 주차 셀 이탈 시간, 출입차 관리 장치(200) 중 출차 방향 차량 번호 인식 장치(230a)에 의해 인식된 차량 번호 출차 인식 시간을 추출한 뒤, 추출된 차량 번호 입차 인식 시간으로부터 차량 번호 주차 인식 시간까지에 대한 제 1 주차 요금과, 차량 번호 주차 인식 시간으로부터 출차를 위한 주차 셀 이탈 시간까지에 대한 제 2 주차 요금, 출차를 위한 주차 셀 이탈 시간으부터 차량 번호 출차 인식 시간까지의 제 3 주차 요금을 개별적으로 연산할 수 있다.The parking fee settlement module 627 uses the vehicle number recognized as the exiting vehicle amo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vehicle management DB 631 of the database 630 by the entrance control module 621 as metadata, the vehicle number entry recognition time, the vehicle After extracting the number parking recognition time, the parking cell departure time for exiting the vehicle, the vehicle number exit recognition time recognized by the vehicle number recognition device 230a in the exit direction of the exit management device 200, the extracted vehicle number entry recognition time The first parking fee for from the vehicle number parking recognition time, the second parking fee for the parking cell departure time for exiting from the vehicle number parking recognition time, and the vehicle number exit recognition time from the parking cell departure time for exiting Up to 3rd parking fee can be calculated individually.

여기서, 제 2 주차 요금은 차량(100) 운전자에 의한 의지에 상관없이 설정되는 각 시간 단위로 동일하게 부여되는 요금에 해당하는 제 1 주차 요금 및 제 3 주차 요금은 주차장 내에서 운전자의 의지로 시간을 늘릴거나 줄일 수 있는 시간에 대한 과징적 요금으로 미리 설정된 요율이 적용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parking fee is the first parking fee and the third parking fee, which are the same rates for each time unit that is set regardless of the will of the driver of the vehicle 100, and the third parking fee is the time of the driver's will in the parking lot. A pre-set rate may be applied as a punitive fee for the time that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주차 요금을 위한 추출된 차량 번호 입차 인식 시간으로부터 차량 번호 주차 인식 시간의 "제 1 정량적 수치"와, 각 주차구역의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층간 이동 거리 정보, 구분 구역 이동 거리 정보, 주차 셀 이동 거리 정보를 합산한 "총 이동 거리 정보"에 대해서 빅데이터 기반으로 측정된 주차장 내의 차량(100) 들의 평균속력 정보로 디비젼 연산(division operation)을 수행한 비교치에 해당한 "제 2 정량적 수치"와의 비교를 통해 "제 2 정량적 수치"가 "제 1 정량적 수치"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지체 시간 임계치를 초과하고, 주차를 위한 혼잡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혼잡도 이내인 경우, 주차 요금 정산 모듈(627)은 미리 설정된 요율 기본 요율에 패널티를 추가하여 징수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quantitative numerical value" of the vehicle number parking recognition time from the extracted vehicle number entry recognition time for the first parking fee, information on the inter-floor movement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each parking area, and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division area "Total movement distance information" that sums up information and parking cell movement dista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parison value obtained by performing division operation with the average speed information of vehicles 100 in the parking lot measured based on big data When the "second quantitative value" exceeds the delay time threshold preset for the "first quantitative value" through comparison with the "second quantitative value", and the congestion level for parking is within the preset threshold congestion level, the parking fee settlement module 627 may be collected by adding a penalty to the preset rate basic rate.

유사한 방식으로 제 3 주차 요금을 위한 출차를 위한 주차 셀 이탈 시간으부터 차량 번호 출차 인식 시간까지의 "제 3 정량적 수치"와, 주차장 전자지도 상에서 주차 셀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복수의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 각각으로 이동하는 경로에 해당하는 층간 이동을 위한 층간이동통로 이동 거리 정보, 층간이동통로 상에서의 이동 거리 정보, 층간이동통로 출구에서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으로의 이동 거리 정보를 합산한 "출구 거리 정보"에 대해서 빅데이터 기반으로 측정된 주차장 내의 차량(100) 들의 평균속력 정보로 디비젼 연산(division operation)을 수행한 비교치에 해당한 "제 4 정량적 수치"와의 비교를 통해 "제 4 정량적 수치"가 "제 3 정량적 수치"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지체 시간 임계치를 초과하고, 출차를 위한 혼잡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혼잡도 이내인 경우, 주차 요금 정산 모듈(627)은 미리 설정된 요율 기본 요율에 패널티를 추가하여 징수할 수 있다. In a similar manner, a plurality of access blocking devices based on the “third quantitative value” from the parking cell departure time for exiting for the third parking fee to the vehicle number exit recognition tim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arking cell on the parking lot electronic map Information on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inter-floor movement passage for inter-floor movement corresponding to the path moving to each unit 200a, movement distance information on the inter-floor movement passage, and movement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inter-floor passage exit to the access blocking device unit 200a Through comparison with the "fourth quantitative value" corresponding to the comparison value obtained by performing division operation with the average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s 100 in the parking lot measured based on big data for the summed "exit distance information" When the "fourth quantitative value" exceeds the delay time threshold preset for the "third quantitative value" and the congestion level for getting out is within the preset threshold congestion level, the parking fee settlement module 627 sets the preset rate basic rate may be collected by adding a penalty to

정보 제공모듈(628)은 운전자 스마트단말(100)에 의한 주차장 식별번호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630)에 각 주차구역의 주차 셀에 차량(100)의 주차 여부를 추출하여 네트워크(300)를 통해 운전자 스마트단말(100)로 실시간으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610)를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628 receives the parking lot identification number by the driver's smart terminal 100 through the network 300, the database 630 extracts whether the vehicle 100 is parked in the parking cell of each parking area. Thu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ransceiver 610 to transmit in real time to the driver's smart terminal 100 through the network 300 .

또한, 정보 제공모듈(628)은 운전자 스마트단말(100)의 전용앱인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앱에 대한 실행을 통한 네트워크(300)를 거친 액세스에 따라 주차구역의 주차 셀에 대한 주차 할인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운전자 스마트단말(100)로부터 제공된 단말식별번호에 따라 현재의 차량(100)의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630) 상에서 추출한 뒤, 내차찾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628 provides parking discount information for the parking cell of the parking area according to the access via the network 300 through execution of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app, which is a dedicated app of the driver's smart terminal 100. In addition to providing it,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vehicle 100 from the database 630 according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provided from the driver's smart terminal 100 and then provide the Find My Car information.

또한, 정보 제공모듈(628)은 주차 요금 정산 모듈(627)에 의해 제공된 주차요금에 대해서 운전자 스마트단말(100) 상에서 선불 또는 후불 방식으로 모바일 결제가 수행되도록 모바일 결제 시스템과 운전자 스마트단말(100) 간의 모바일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628 includes a mobile payment system and a driver smart terminal 100 so that mobile payment is performed in a prepaid or postpaid manner on the driver smart terminal 100 for the parking fee provided by the parking fee settlement module 627 . Mobile payments between the two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through the Internet). also includes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in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hrough a network, so that the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nd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these are on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 :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시스템 100 : 차량
200 : 출입차 관리 장치 200a : 출입 차단 장치 유닛
250 : 챠량번호 인식 카메라 300 : 네트워크
400 : 주차장 관리 단말 500 : 주차장 디바이스 유닛
600 :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서버 610 : 송수신부
620 : 제어부 621 : 입차 제어 모듈
622 : 주차구역 분석 모듈 623 :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모듈
624 : 주차 인식 모듈 625 : 출차 인식 모듈
626 : 출구 안내 모듈 627 : 주차 요금 정산 모듈
628 : 정보 제공모듈 630 : 데이터베이스
700 : 운전자 스마트단말 800 : 빅데이터 서버
1: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ystem 100: Vehicle
200: access control device 200a: access blocking device unit
250: vehicle number recognition camera 300: network
400: parking lot management terminal 500: parking lot device unit
600: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erver 610: transceiver
620: control unit 621: entrance control module
622: parking area analysis module 623: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module
624: parking recognition module 625: parking recognition module
626: exit guidance module 627: parking fee settlement module
628: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630: database
700: driver smart terminal 800: big data server

Claims (5)

차량(100), 출입차 관리 장치(200)에 복수개가 형성되는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 네트워크(30), 주차장 관리 단말(400),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서버(600), 운전자 스마트단말(700)을 포함하는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시스템(1)에 있어서,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서버(600)는,
차량(100)의 차시간 위치정보에 주차장 전자지도 상에 실시간 표시한 실시간 위치 기반 주차장 전자지도 정보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차량(100)에 탑승된 운전자 스마트단말(7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610)를 제어함으로써, 차량(100)에 탑승한 운전자는 운전자 스마트단말(700)을 통해 현재의 주차장에서의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모듈(623);
차량번호 인식카메라(250)를 통한 주차 시점으로부터, 주차장 디바이스 유닛(500)을 구성하는 차량 인식 센서부(520)로부터 차량(100)에 대한 주차 인식을 주차장 관리 단말(400)을 통해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610)를 제어한 뒤, 차량 관리 DB(631)에 저장된 차량 번호를 메타 데이터로 한 검색을 통해 동일한 차량 번호를 추출한 뒤, 추출된 차량 번호와 함께 저장된 차량 번호 입차 인식 시간과 함께, 주차 인식에 따른 차량 번호 주차 인식 시간을 함께 차량 관리 DB(631)에 다시 차량 번호를 메타데이터로 저장하는 주차 인식 모듈(624);
주차 인식 모듈(624)에 의해 주차 인식을 수신한 이후, 주차장 디바이스 유닛(500)을 구성하는 차량 인식 센서부(520)로부터 차량(100)에 대한 출차 인식을 주차장 관리 단말(400)을 통해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610)를 제어한 뒤, 차량 관리 DB(631)에 저장된 메타 데이터에 대한 검색을 통해 동일한 차량 번호를 추출한 뒤, 추출된 차량 번호와 함께 저장된 차량 번호 입차 인식 시간과 함께 출차 인식된 차량 번호 출차 인식 시간을 함께 저장하는 출차 인식 모듈(625); 및
현재의 출입차 관리 장치(200)를 구성하는 차단 장치(210), 주차권 출력장치(220), 차량 번호 인식 장치(230)가 하나의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으로 형성되어 복수로 구성되어 입출차 구역이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 현재의 주차구역에 해당하는 주차 셀로부터 가장 인접한 출구에 대한 안내를 수행하되,
주차 인식 모듈(624)에 의해 운전자 스마트단말(700)로 운전자 스마트단말(700)의 단말식별번호를 이용한 네트워크(300)를 통한 액세스나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으로의 액세스에 따른 주차 완료 질의에 따라 주차 완료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주차 완료 인식 이후에 운전자 스마트단말(700) 상의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앱 상으로의 출차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300)를 통해 출차 요청이 수신되도록 송수신부(610)를 제어하며,
현재의 차량(100)이 위치하는 주차 셀의 주차구역 식별번호를 운전자 스마트단말(700)의 단말식별번호를 이용해 차량 관리 DB(631)에서 추출한 뒤, 주차구역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위치정보를 주차 구역 DB(632))로부터 추출하고,
주차장 전자지도 상에서 주차 셀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복수의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 각각으로 이동하는 경로에 해당하는 층간 이동을 위한 층간이동통로 이동 거리 정보, 층간이동통로 상에서의 이동 거리 정보, 층간이동통로 출구에서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으로의 이동 거리 정보를 합산한 "출구 거리 정보"를 생성한 뒤, 주차 셀의 위치정보로부터 출구 거리 정보가 근접한 것을 기준으로 오름 차순으로 정렬한 뒤, 근거리를 우선순위로 한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의 식별번호를 추출하여 생성된 "출구 단위 정보"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운전자 스마트단말(7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610)를 제어하며,
미리 설정된 임계거리 범위 내에서 근접 거리에 해당하는 출구 거리 정보를 갖는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의 식별번호가 복수에 해당하는, 즉 두 개 이상의 출구 거리 정보 간의 거리 차가 미리 설정된 임계거리 이내인 것이 있는 경우, 혼잡도 정보를 반영하여 하나의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의 식별번호를 최종적으로 추출하며,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출구 거리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거리 내에 있는 복수의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의 식별번호가 추출되는 경우, 혼잡도 정보를 반영하여 혼잡도가 높은 것을 후순위로 조정하는 순위 조정 절차를 수행하며,
출차를 원하는 하나의 차량(100)과 동일한 층수에 해당하는 다른 차량(100)의 운전자가 운영하는 운전자 스마트단말(700)에 대해서 현재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공한 "출구 단위 정보" 상에 최우선순위(또는 미리 설정된 순위 내에)에 해당하는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의 식별번호가, 이후에 출차를 원하는 상기 하나의 차량(100)에게 제공한 "출구 단위 정보" 상에 최우선순위(또는 미리 설정된 순위 내에)에 해당하는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의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정량적 수치에 비례하는 제 1 혼잡도 가중치를 생성함으로써, 차량(100) 간의 동일 층수에서의 주차 동선의 간섭을 최소한이 되도록 예방하며,
출차를 원하는 하나의 차량(100)과 동일한 층수가 아닌 것에 해당하는 다른 차량(100)의 운전자가 운영하는 운전자 스마트단말(700)에 대해서 현재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섭 시간" 이내에 제공한 "출구 단위 정보" 상에 최우선순위(또는 미리 설정된 순위 내에)에 해당하는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의 식별번호가, 이후에 출차를 원하는 상기 하나의 차량(100)에게 제공한 "출구 단위 정보" 상에 최우선순위(또는 미리 설정된 순위 내에)에 해당하는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의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경우, 하나의 차량(100)에서 최우선순위(또는 미리 설정된 순위 내에)에 해당하는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의 위치정보로 도달하는 제 1 거리 정보와, 다른 하나의 차량(100)에서 최우선순위(또는 미리 설정된 순위 내에)에 해당하는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의 위치정보로 도달하는 제 2 거리 정보를 연산하며,
제 1 거리 정보와 제 2 거리 정보 간의 차이 값에 대해서 빅데이터 기반으로 측정된 주차장 내의 차량(100) 들의 평균속력 정보로 디비젼 연산(division operation)을 수행한 결과치와, 상기 미리 설정된 "간섭 시간" 간의 차이값에 반비례하는 근접도에 해당하는 정량적 수치에 비례하는 제 2 혼잡도 가중치를 생성함으로써, 차량(100) 간의 다른 층수에서의 동일한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로 출구가 쏠려서 출차 시간 지연을 초래하는 출차의 동선의 간섭을 최소한이 되도록 예방하며,
복수의 추출된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의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출차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 분석시의 주차장 전자지도 상에서 주차 셀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복수의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 각각으로 이동하는 경로에 해당하는 층간 이동을 위한 층간이동통로 이동 거리 정보, 층간이동통로 상에서의 이동 거리 정보, 층간이동통로 출구에서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으로의 이동 거리 정보를 합산한 "출구 거리 정보"의 정량적 수치에, 동일한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에 대한 제 1 내지 제 2 혼잡도 가중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생성되는 경우 각 생성된 혼잡도 가중치를 멀티플라이(multiply) 하여 최종적으로 연산되는 정량적 분석 수치가 작은 것을 기준으로 오름 차순으로 정렬한 뒤, 최소값에 해당하는 정량적 분석 수치에 해당하는 출구 영역 정보에 해당하는 출입 차단 장치 유닛(200a)로의 이동 경로 정보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운전자 스마트단말(7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610)를 제어하는 출구 안내 모듈(62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시스템.
The vehicle 100, the access blocking device unit 200a, the network 30, the parking lot management terminal 400,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erver 600, and the driver's smart terminal formed in a plurality of the vehicle 100, the entrance/exit control device 200 In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ystem (1) including 700,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erver 600 includes,
Transceiver unit to transmit the real-time location-based parking lot electronic map information displayed in real time on the parking lot electronic map to the vehicle 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0 to the smart terminal 700 of the driver riding in the vehicle 100 through the network 300 By controlling the 610, the driver riding in the vehicle 100 is a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module 623 that allows the driver to check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current parking lot through the smart terminal 700;
From the parking point through the license plate recognition camera 250, the parking recognition for the vehicle 100 from the vehicle recognition sensor unit 520 constituting the parking lot device unit 500 through the parking lot management terminal 400 network 300 ), after controlling the transceiver 610 to receive through, extracting the same vehicle number through a search using the vehicle number stored in the vehicle management DB 631 as metadata, and entering the vehicle number stored together with the extracted vehicle number A parking recognition module 624 for storing the vehicle number as metadata again in the vehicle management DB 631 together with the recognition time and the vehicle number parking recognition time according to the parking recognition;
After receiving the parking recognition by the parking recognition module 624, the vehicle recognition sensor unit 520 constituting the parking lot device unit 500 to recognize the vehicle 100 from the parking lot management terminal 400 through the network After controlling the transceiver 610 to receive through 300 , the same vehicle number is extracted through a search for metadata stored in the vehicle management DB 631 , and the vehicle number entered with the extracted vehicle number is recognized a vehicle un-parking recognition module 625 for storing the vehicle number and the un-parking recognition time together with the time; and
The blocking device 210 , the parking ticket output device 220 , and the vehicle number recognition device 230 constituting the current entry/exit control device 200 are formed as one entry blocking device unit 200a and configured in plurality to enter and exit. When a plurality of car zones are formed, guidance is provided to the nearest exit from the parking cell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arking zone,
Parking according to the parking completion query according to access through the network 300 us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driver smart terminal 700 to the driver smart terminal 700 by the parking recognition module 624 or access to th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y receiving the completion response, the transceiver 610 is controlled so that the exit request is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300 according to the exit request on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app on the driver's smart terminal 700 after recognition of parking completion, and ,
After extracting the parking area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parking cell in which the current vehicle 100 is located from the vehicle management DB 631 us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driver's smart terminal 700, the loc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parking area identification number is parked zone DB (632)),
On the electronic map of the parking lot,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arking cell, interfloor movement distance information for inter-floor movement corresponding to the path mov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access blocking device units 200a, movement distance information on the inter-floor movement passage, inter-floor movement After generating "exit distance information" that sums up the movement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moving passage exit to the access blocking device unit 200a, sorting in ascending order based on the proximity of the exit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arking cell, Controls the transceiver 610 to transmit the "exit unit information" generated by extract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access blocking device unit 200a that prioritizes the short distance to the driver smart terminal 700 through the network 300, ,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access blocking device unit 200a having exit dista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ximity distance within the preset threshold distance range corresponds to a plurality of identification numbers, that is, the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wo or more exit distance information is within the preset threshold distance. If there i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one access blocking device unit 200a is finally extracted by reflecting the congestion level information, and the exit dista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iority is within a preset threshold distance a plurality of access blocking device units 200a When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is extracted, a ranking adjustment procedure is performed that reflects the congestion level information and adjusts the high congestion level to a lower priority,
The highest priority on the "exit unit information" provided within a preset time from the present for the driver smart terminal 700 operated by the driver of another vehicle 100 corresponding to the same number of floors as the one vehicle 100 that wants to exit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access blocking device unit 200a corresponding to (or within a preset priority) has the highest priority (or preset priority) on the "exit unit information" provided to the one vehicle 100 that wants to get out later By generating a first congestion degree weight proportional to a quantitative value match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access blocking device unit 200a corresponding to (in the ranking), the interference of the parking flow between the vehicles 100 on the same number of floors is prevented to a minimum and
"Exit unit information" provided within a preset "interference time" from the present for the driver smart terminal 700 operated by the driver of another vehicle 100 corresponding to not the same number of floors as the one vehicle 100 that wants to exit ",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access blocking device unit 200a corresponding to the highest priority (or within a preset priority) is the highest priority on the "exit unit information" provided to the one vehicle 100 that wants to get out later When matching with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access blocking device unit 200a corresponding to the priority (or within the preset ranking), the access blocking device unit corresponding to the highest priority (or within the preset ranking) in one vehicle 100 ( The first distance information reach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200a) and the second distance reach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blocking device unit 200a corresponding to the highest priority (or within a preset priority) in another vehicle 100 calculat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first distan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distance information, the result of performing a division operation with the average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s 100 in the parking lot measured based on big data, and the preset "interference time" By generating a second congestion weight that is proportional to a quantitative value corresponding to proximity that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vehicles, the exit is directed to the same access blocking device unit 200a on different floors between vehicles 100, resulting in a delay in exiting time. Prevents interference in the movement of the vehicle to a minimum,
Mov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access blocking device units 200a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arking cell on the parking lot electronic map when analyzing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exit are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plurality of extracted access blocking device units 200a "Exit distance information" that sums up the movement distance information of the inter-floor movement passage for inter-floor movement corresponding to the route, movement distance information on the inter-floor movement passage, and movement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inter-floor passage exit to the access blocking device unit 200a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second congestion weights for the same access blocking device 200a is generated in the quantitative value of , the quantitative analysis value finally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generated congestion weights is small After sorting in ascending order based on that, the movement route information to the access blocking device unit 200a corresponding to the exit are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quantitative analysis value corresponding to the minimum value is transferred to the driver smart terminal 700 through the network 300. an exit guide module 626 for controlling the transceiver 610 to transmit to;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ystem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서버(600)는,
운전자 스마트단말(100)에 의한 주차장 식별번호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630)에 각 주차구역의 주차 셀에 차량(100)의 주차 여부를 추출하여 네트워크(300)를 통해 운전자 스마트단말(100)로 실시간으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610)를 제어하는 정보 제공모듈(628);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erver 600,
When receiving the parking lot identification number by the driver's smart terminal 100 through the network 300, extract whether the vehicle 100 is parked in the parking cell of each parking area in the database 630 through the network 300 an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628 for controlling the transceiver 610 to transmit in real time to the driver's smart terminal 100;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청구항 2에 있어서, 정보 제공모듈(628)은,
운전자 스마트단말(100)의 전용앱인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앱에 대한 실행을 통한 네트워크(300)를 거친 액세스에 따라 주차구역의 주차 셀에 대한 주차 할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628),
One-stop automatic,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parking discount information for the parking cell of the parking area according to the access via the network 300 through the execution of the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app, which is a dedicated app of the driver's smart terminal 100 parking guidance system.
청구항 3에 있어서, 정보 제공모듈(628)은,
운전자 스마트단말(100)로부터 제공된 단말식별번호에 따라 현재의 차량(100)의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630) 상에서 추출한 뒤, 내차찾기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628,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fter extra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vehicle 100 from the database 630 according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provided from the driver's smart terminal 100, and then providing the Find My Car informa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정보 제공모듈(628)은,
주차 요금 정산 모듈(627)에 의해 제공된 주차요금에 대해서 운전자 스마트단말(100) 상에서 선불 또는 후불 방식으로 모바일 결제가 수행되도록 모바일 결제 시스템과 운전자 스마트단말(100) 간의 모바일 결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628,
For the parking fee provided by the parking fee settlement module 627, mobile payment is performed between the mobile payment system and the driver smart terminal 100 so that the mobile payment is performed in a prepaid or postpaid manner on the driver's smart terminal 100, characterized in that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ystem.
KR1020200133149A 2020-10-15 2020-10-15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ystem KR1022742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149A KR102274234B1 (en) 2020-10-15 2020-10-15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149A KR102274234B1 (en) 2020-10-15 2020-10-15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234B1 true KR102274234B1 (en) 2021-07-07

Family

ID=76861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149A KR102274234B1 (en) 2020-10-15 2020-10-15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23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86721A (en) * 2022-03-23 2022-04-22 蔚来汽车科技(安徽)有限公司 Path planning method, system and medium for power swapping station and power swapping station
CN115457799A (en) * 2022-08-16 2022-12-09 安徽鸿杰威尔停车设备有限公司 Intelligent garage parking stall push system based on 5G communication
CN116665481A (en) * 2023-06-02 2023-08-29 杭州绿城信息技术有限公司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method for linkage video position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0753A (en) * 2012-11-12 2014-05-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ystem for guiding parking position and method thereof
KR20200043828A (en) * 2018-10-18 2020-04-28 주식회사 아르맹 Park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parking area designation,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0753A (en) * 2012-11-12 2014-05-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ystem for guiding parking position and method thereof
KR20200043828A (en) * 2018-10-18 2020-04-28 주식회사 아르맹 Park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parking area designation, and method thereof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8-0017371호 "주차안내시스템(PARKING GUIDE SYSTEM)"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5-0092768호 "주차관리 시스템(parking management system)"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6-0169974호 "차량 주차관리 방법(Parking control method for vehic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8-0140976호 "주차안내 전광판(LED sign board with parking enterance boar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86721A (en) * 2022-03-23 2022-04-22 蔚来汽车科技(安徽)有限公司 Path planning method, system and medium for power swapping station and power swapping station
CN115457799A (en) * 2022-08-16 2022-12-09 安徽鸿杰威尔停车设备有限公司 Intelligent garage parking stall push system based on 5G communication
CN115457799B (en) * 2022-08-16 2023-09-22 安徽鸿杰威尔停车设备有限公司 Intelligent garage parking stall push system based on 5G communication
CN116665481A (en) * 2023-06-02 2023-08-29 杭州绿城信息技术有限公司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method for linkage video positioning
CN116665481B (en) * 2023-06-02 2024-05-14 杭州绿城信息技术有限公司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method for linkage video position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4234B1 (en) One-stop automatic parking guidance system
CN110864690B (en) Indoor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suitable for vehicle image recognition
KR101641326B1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CA2843287C (en) Method of using virtual gantries to optimize the charging performance of in-vehicle parking systems
CN107644542B (en) Parking space information-based navigation method and remot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4461977B2 (en) Road congestion degree prediction system and road congestion degree prediction apparatus
JP4705259B2 (en) Roa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road information processing software,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and road information database creation method
KR102187313B1 (en) A shared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KR100905801B1 (en) The vehicles location announcing system using RF-ID in an underground parking lot and vehicles location announcing method using the same
CN115497331B (en) Parking method, device and equipment and vehicle
CN113903185A (en) AVP automatic passenger-riding-substituting parking schedul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2073661B1 (en) A parking guiding system for decentralized parking
KR102163706B1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parking area designation, and method thereof
KR101835757B1 (en) Method for perceiving vehicle information based on adhesive parking management module and parking management device for using the adhesive parking management module
KR102393619B1 (en) System for producing parking map using deep-learning
KR102320495B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aying Parking Lots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249450B1 (en) Collecting system of the parking fee
KR102266617B1 (en)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parking lot
KR20190119945A (en) Smart car in-and-out management system
KR102187314B1 (en) A shared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CN112581749B (en) Method, system,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for obtaining vehicle resource occupation information
CN210627506U (en) Intelligent parking lot charging management system
US20220349715A1 (en) Vehicle location analysis method and navigation device
KR20220135565A (en) Indoor and outdoor continuous positioning switching device including domain and actor
KR102214846B1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GPS and GPS unit for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