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142B1 - High power input coupler for accelerating tube - Google Patents

High power input coupler for accelerating tub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142B1
KR102267142B1 KR1020190093020A KR20190093020A KR102267142B1 KR 102267142 B1 KR102267142 B1 KR 102267142B1 KR 1020190093020 A KR1020190093020 A KR 1020190093020A KR 20190093020 A KR20190093020 A KR 20190093020A KR 102267142 B1 KR102267142 B1 KR 102267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tube
acceleration
coupler module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0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14934A (en
Inventor
김도윤
이종화
김대희
김기도
정호원
김은산
김경렬
박성희
방정배
윤준영
장시원
박종식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코넥스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코넥스알 filed Critical 사단법인 코넥스알
Priority to KR1020190093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142B1/en
Publication of KR20210014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9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1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7/00Details of devic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5H9/00, H05H11/00, H05H13/00
    • H05H7/14Vacuum chambers
    • H05H7/18Cavities; Resona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2242/00Auxiliary systems
    • H05H2242/10Coo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article Accel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커플러 모듈, 제2 커플러 모듈 및 제3 커플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속관용 고출력 입력커플러로서, 상기 제1 커플러 모듈은 몸체의 일단이 원통형상으로 가속관에 연결되는 가속관연결부와; 상기 가속관연결부의 중심에 위치하여 고에너지의 RF신호를 가속관으로 방출시키는 안테나부재와; 상기 안테나부재를 결합시키도록 상기 가속관연결부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안테나팁부재와; 상기 가속관연결부와 상기 제2 커플러 모듈의 RF 윈도우부재사이에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제1 커플러 모듈의 몸체를 형성하고 내부가 중공인 아우터튜브부재와; 상기 아우터튜브부재의 내부 중심에 내부가 중공인 봉형상으로 형성되고 몸체의 둘레를 따라 내부의 냉각기체를 배출시키는 다공성홀이 다수개 형성되는 인너튜브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관용 고출력 입력커플러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가속관용 입력커플러의 안테나 인너부재의 내외측에 천공구멍을 다수개 형성하여 가속된 고주파 빔에 의해 발생된 고열을 외부로 신속히 배출시키므로써, 장시간 고열의 빔에 의해 안테나 인너부재의 내벽이 부딪혀 손상되는 멀티팩팅을 최소화하므로 그에 따라 고출력 입력커플러의 내구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high-output input coupler for an acceleration tu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coupler module, a second coupler module, and a third coupler module, wherein the first coupler module has an acceleration tube connection part in which one end of the body is connected to the acceleration tube in a cylindrical shape. Wow; an antenna member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accelerator tube connection portion to emit a high-energy RF signal to the accelerator tube; an antenna tip member formed in the center of the accelerator pipe connection part to couple the antenna member; an outer tube member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between the accelerator pipe connection part and the RF window member of the second coupler module to form a body of the first coupler module and having a hollow inside; Acceleration tu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ner tube member which is form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outer tube member in the shape of a hollow rod and has a plurality of porous holes for discharging cooling gas therein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dy. A high-power input coupler is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forms a plurality of perforated holes on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antenna inner member of the input coupler for the acceleration tube to quickly discharge the high heat generated by the accelerated high-frequency beam to the outside, so that the antenna inner by the high-heat beam for a long time As it minimizes multi-factoring that is damaged by colliding with the inner wall of the member, it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durability of the high-output input coupler.

Description

가속관용 고출력 입력커플러 {HIGH POWER INPUT COUPLER FOR ACCELERATING TUBE}High-power input coupler for acceleration tube {HIGH POWER INPUT COUPLER FOR ACCELERATING TUBE}

본 발명은 가속관용 고출력 입력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속관용 입력커플러의 안테나 인너부재의 내외측에 천공구멍을 다수개 형성하여 가속된 고주파 빔에 의해 발생된 고열을 외부로 신속히 배출시키는 가속관용 고출력 입력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power input coupler for an acceleration tube, and in particular, a high-output for an acceleration tube that rapidly discharges high heat generated by an accelerated high-frequency beam to the outside by forming a plurality of perforated holes on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antenna inner member of the input coupler for the acceleration tube. It is about the input coupler.

일반적으로 초전도 가속기 시스템에서는 하전 입자 빔이 가속 공동 내에 유도되어, 고주파의 전자파가 입력 커플러를 통해 도입된다. 그리고 상기 공동 내의 하전 입자는, 공동 내에 발생한 고주파 전계에 의해 가속된다. 또한 상기 입력 커플러는 고주파 발생기(예를 들어 클라이스트론)에서 발생하여 도파관에 의해 전반된 고주파를 공동 내에 도입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와 같은 입력 커플러 즉, RF 파워 커플러는 매우 높은 출력의 고주파 파워를 하전 입자(charged particle) 가속을 위해 빔 진행 방향으로 복수로 배치된 캐비티(cavity) 중 일부 캐비티에 전달하기 위한 일종의 도파관이다. RF 파워 커플러는 매우 높은 주파수와 파워를 전달하기 때문에 RF 신호 경로의 부품이 매우 높은 온도로 상승할 수 있고, 높은 절연이 요구되며, 캐비티 측 진공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진공 차폐 성능도 뛰어나야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입력 커플러에는 동축형 커플러와 사각형 도파관형 커플러의 2종류가 있다. In general, in a superconducting accelerator system, a charged particle beam is guided into an acceleration cavity, and a high-frequency electromagnetic wave is introduced through an input coupler. And the charged particles in the cavity are accelerated by the high-frequency electric field generated in the cavity. The input coupler also introduces into the cavity a high frequency generated by a high frequency generator (eg klystron) and propagated by the waveguide. In other words, the input coupler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RF power coupler, is a type of transmitting high-frequency power of a very high output to some of the cavities arranged in a plurality of cavities in the beam propagation direction for charged particle acceleration. it is a waveguide Because RF power couplers transmit very high frequencies and powers, components in the RF signal path can rise to very high temperatures, require high insulation, and have excellent vacuum shielding performance due to the high degree of vacuum on the cavity side. Furthermore, there are two types of the input coupler, a coaxial coupler and a square waveguide coupler.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 입력커플러의 일례를 도 1를 참고로 설명하면, 입력커플러는 대개의 경우 제1 커플러 모듈(70), 제2 커플러 모듈(71) 및 제3 커플러 모듈(7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커플러 모듈(70)은 캐비티(73)와 RF연결되는 루프를 형성하는 루프 커플러(74) 및 일측에 안테나 부재루프 커플러(74)의 일단이 연결되고, 축 중심에 안테나 부재(74)의 타단이 놓이도록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인 축 대칭 형상인 제1외측 컨덕터(7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커플러 모듈(71)은 윈도우(7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 커플러 모듈(72)은 RF 파워 소스가 연결된다. Then, when an example of the conventional input coupler as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the input coupler usually includes a first coupler module 70 , a second coupler module 71 and a third coupler module 72 . do. At this time, the first coupler module 70 has a loop coupler 74 forming a loop connected to the cavity 73 and RF, and one end of the antenna member loop coupler 74 is connected to one side, and an antenna member ( It is formed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74 is placed, and includes a first outer conductor 75 having an axially symmetrical shape with a hollow inside. And the second coupler module 71 includes a window 76 . In addition, the third coupler module 72 is connected to an RF power source.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입력커플러의 작용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3 커플러 모듈(72)을 통해 고주파로 하전된 입자가 유입되어 제2 커플러 모듈(71)을 경유하여 제1 커플러 모듈(70)의 공동내로 입력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커플러 모듈(70)의 공동 내부 RF 윈도우(76)를 경계로 하여 진공상태로 유지되며. 이때 상기 공동 내에서는 유입된 하전입자가 고진공 영역에서 매우 빠른 속도로 교번하는 전기장에 노출된 다음 안테나 부재(74)를 통해 가속관으로 방출된다. On the other hand, schematically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input coupler as described above, the high-frequency charged particles are introduced through the third coupler module 72 and the first coupler module 70 via the second coupler module 71 . is entered into the cavity of Here, it is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with the RF window 76 inside the cavity of the first coupler module 70 as a boundary. At this time, the charged particles introduced in the cavity are exposed to the alternating electric field at a very high speed in the high vacuum region, and then are emitted to the accelerator tube through the antenna member 74 .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입력 커플러는 입력 커플러의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인 RF 윈도우가 진공 영역과 대기 영역을 차폐하여 RF 신호를 전달하는 피드스루(feedthrough)에 해당하며, 높은 주파수의 신호가 부도체를 관통하기 때문에 발열이 심하게 나타난다. 특히, 상기와 같은 종래 입력 커플러의 제1 커플러 모듈(70)의 진공 측의 노출면에서 반복되는 하전 입자의 방출 및 충돌에 의한 방전 파괴(discharge breakdown) 등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다. 이를 멀티팩팅(multipacting)이라고 표현되기도 하며, RF 신호의 파워가 매우 높으므로 멀티팩팅이 발생하면 눈사태효과(avalanche) 등에 의해 높은 에너지의 방전으로 내부표면이 파손되는 일이 빈번하다. 이로 인해 RF 신호가 정상적으로 전달되지 않거나, 내부 표면의 파손으로 빔 라인, 예컨대, 통상 10 torr 이하인 캐비티 내부 공간의 진공도 유지가 곤란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input coupler as described above corresponds to a feedthrough in which an RF window, one of the main components of the input coupler, shields a vacuum region and an atmospheric region to transmit an RF signal, and a high frequency signal uses an insulator. Because it penetrates, the heat is severe. In particular, the conventional input coupler may be easily damaged by discharge breakdown due to repeated discharge and collision of charged particles from the exposed surface of the vacuum side of the first coupler module 70 of the input coupler. This is sometimes referred to as multipacing, and since the power of the RF signal is very high, when multi-factoring occurs, the inner surface is frequently damaged by high energy discharge due to an avalanche effect or the like. This causes a problem that the RF signal is not transmitted normally, or that it may be difficult to maintain a vacuum degree of a beam line, for example, a cavity interior space of 10 torr or less, due to damage to the inner surface.

또한, 입력 커플러는 일단측에서 도파관과 접속되며, 타단측에서 가속 공동과 접속된다. 가속 공동은 운전시 진공으로 유지됨과 함께, 예를 들어 약 4K까지 냉각되며, 가속 공동에 접속된 입력 커플러도 일부가 극저온으로 냉각된다. Further, the input coupler is connected to the waveguide at one end and to the acceleration cavity at the other end. The acceleration cavity is maintained in a vacuum during operation, and is cooled to, for example, about 4K, and a part of the input coupler connected to the acceleration cavity is also cryogenically cooled.

가속 공동은, 상술한 바와 같이 운전시에 있어서 극저온으로 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입력 커플러로부터 가속 공동측으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해, 입력 커플러에 대하여 열부하 대책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Since the acceleration cavity needs to be kept at a cryogenic temperature during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block the heat transferred from the input coupler to the acceleration cavity side, it is necessary to take measures against a thermal load on the input coupler.

RF 윈도우(76)가 설치되는 경우, 입력 커플러의 내도체 내부에 냉각수를 흐르게 하여, 제 1 커플러 모듈(70)의 제1 외측 컨덕터(75)에 둘러싸인 제1 내측 컨덕터에서 발생한 열을 수랭에 의해 냉각할 수 있다. 그러나, RF 윈도우(76)이 냉각수에 의해 약 80K로 극저온으로 유지된다는 점에서, 제1 내측 컨덕터 내부에 흐르게 하는 냉각수를 물로 하면, RF 윈도우(76)보다도 가속 공동측에 있어서 제1 내측 컨덕터 내부에서 물이 응고될 우려가 있다. 그 결과, 제1 내측 컨덕터에서 발생한 열이 냉각되지 않게 되고, RF 윈도우(76)를 통해 제1 외측 컨덕터(75)측으로 전달되어, 열 손실이 발생한다.When the RF window 76 is installed, cooling water flows inside the inner conductor of the input coupler, and heat generated in the first inner conductor surrounded by the first outer conductor 75 of the first coupler module 70 is cooled by water cooling. can be cooled However, since the RF window 76 is kept at a cryogenic temperature of about 80K by the cooling water, when the cooling water flowing inside the first inner conductor is water, the inside of the first inner conductor on the side of the acceleration cavity rather than the RF window 76 There is a risk of water coagulation. As a result, the heat generated in the first inner conductor is not cooled, and is transferred to the first outer conductor 75 side through the RF window 76, resulting in heat loss.

이로 인해, 내도체(55)를 냉각하는 열매체로서 통상 냉각 기체 등이 사용되나, 냉각 기체는 열 용량이 작고 냉각 성능이 낮다. For this reason, although a cooling gas or the like is usually used as a heating medium for cooling the inner conductor 55, the cooling gas has a small heat capacity and low cooling performance.

이를 감안하여 냉각 기체에 의한 효율적인 냉각 방식을 위한 다양한 구조가 시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consideration of this, various structures have been attempted for an efficient cooling method using a cooling gas.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발명된 것으로, 가속관용 입력커플러의 안테나 인너부재의 내외측에 천공구멍을 다수개 형성하여 가속된 고주파 빔에 의해 발생된 고열을 외부로 신속히 배출시키므로써, 장시간 고열의 빔에 의해 안테나 인너부재의 내벽이 부딪혀 손상되는 멀티팩팅을 최소화하는 가속관용 고출력 입력커플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by forming a plurality of perforated holes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antenna inner member of the input coupler for the acceleration tube, the high heat generated by the accelerated high-frequency beam is released to the outsid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output input coupler for an acceleration tube that minimizes multi-factoring damage caused by the inner wall of an antenna inner member collided by a beam of high heat for a long time by discharging it quickly.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테나 인너부재의 다공성 천공구멍의 대응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가속관용 입력커플러의 아우터튜브부재의 내측위치에 스파이럴형상으로 가공된 홈을 다수개 형성하므로써, 고출력 입력커플러의 냉각효율을 상당히 향상시키는 가속관용 고출력 입력커플러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by forming a plurality of spiral-shaped grooves in the inner position of the outer tube member of the input coupler for the acceleration tub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rous perforation hole of the inner member of the antenna, thereby providing high output inpu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output input coupler for an accelerator tube that significantly improves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coupler.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제1 커플러 모듈, 제2 커플러 모듈 및 제3 커플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속관용 고출력 입력커플러로서, 상기 제1 커플러 모듈은 몸체의 일단이 원통형상으로 가속관에 연결되는 가속관연결부와; 상기 가속관연결부의 중심에 위치하여 고에너지의 RF신호를 가속관으로 방출시키는 안테나부재와; 상기 안테나부재를 결합시키도록 상기 가속관연결부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안테나팁부재와; 상기 가속관연결부와 상기 제2 커플러 모듈의 RF 윈도우부재사이에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제1 커플러 모듈의 몸체를 형성하고 내부가 중공인 아우터튜브부재와; 상기 아우터튜브부재의 내부 중심에 내부가 중공인 봉형상으로 형성되고 몸체의 둘레를 따라 내부의 냉각기체를 배출시키는 다공성홀이 다수개 형성되는 인너튜브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관용 고출력 입력커플러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s a high-output input coupler for an acceleration tu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coupler module, a second coupler module and a third coupler module, the first coupler module has one end of the body cylindrical an acceleration pipe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acceleration pipe upwards; an antenna member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accelerator tube connection portion to emit a high-energy RF signal to the accelerator tube; an antenna tip member formed in the center of the accelerator pipe connection part to couple the antenna member; an outer tube member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between the accelerator pipe connection part and the RF window member of the second coupler module to form a body of the first coupler module and having a hollow inside; Acceleration tu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ner tube member which is form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outer tube member in the shape of a hollow rod and has a plurality of porous holes for discharging cooling gas therein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dy. A high-power input coupler is provided.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인너튜브부재에는 일정 직경을 갖는 다공성홀이 안테나부재측으로 근접될수록 단위면적당 더 집중 배치시킬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porous hole having a certain diameter in the inner tube member may be more concentrated per unit area as it approaches the antenna member side.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인너튜브부재의 다공성홀은 안테나부재측으로 근접될수록 다공성홀의 직경크기를 더 크게 형성시킬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as the porous hole of the inner tube member approaches the antenna member, the diameter of the porous hole may be larger.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튜브부재는 몸체의 내부표면에 일정크기의 가이드홈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outer tube member may have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of a predetermined siz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이 경우에, 상기 아우터튜브부재의 가이드홈은 내측표면이 일정기울기를 갖도록 스파이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guide groove of the outer tube member may be formed in a spiral shape so that the inner surface ha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인너튜브부재의 다공성홀의 대응되는 위치에 아우터튜브부재의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a guide groove of the outer tube member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rous hole of the inner tube member.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인너튜브부재의 다공성홀은 인너튜브부재의 원통형 몸체 둘레중 1/3, 1/2, 2/3 면 중 어느 하나에만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porous hole of the inner tube member may be selectively formed on only one of 1/3, 1/2, and 2/3 surfaces of the cylindrical body of the inner tube member.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가속관용 입력커플러의 안테나 인너부재의 내외측에 천공구멍을 다수개 형성하여 가속된 고주파 빔에 의해 발생된 고열을 외부로 신속히 배출시키므로써, 장시간 고열의 빔에 의해 안테나 인너부재의 내벽이 부딪혀 손상되는 멀티팩팅을 최소화하므로 그에 따라 고출력 입력커플러의 내구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a plurality of perforated holes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antenna inner member of the input coupler for the acceleration tube, the high heat generated by the accelerated high-frequency beam is rapidly discharg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Since multi-factoring that is damaged by collision with the inner wall of the antenna inner member is minimized, the durability of the high-output input coupler is maximized accordingly.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안테나 인너부재의 다공성 천공구멍의 대응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가속관용 입력커플러의 아우터튜브부재의 내측위치에 스파이럴형상으로 가공된 홈을 다수개 형성하므로써, 안테나 인너부재의 다공성 천공구멍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열을 스파이얼형상의 가공홈을 따라 몸체의 외부로 신속히 발산시키므로 그에 따라 고출력 입력커플러의 냉각효율을 상당히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by forming a plurality of spiral-shaped grooves in the inner position of the outer tube member of the input coupler for the acceleration tub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rous perforation hole of the inner antenna member, the porosity of the inner member of the antenna Since the high heat discharged from the drilling hole is rapidly dissipat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along the spiral-shaped machining groove, there is also an effect of significantly improving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high-output input coupler.

도 1은 종래 입력커플러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속관용 고출력 입력커플러의 일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속관용 고출력 입력커플러의 일부를 분해한 개략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속관용 고출력 입력커플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속관용 고출력 입력커플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위한 설명도이다.
1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input coupler.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high-output input coupler for an acceleration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in which a part of a high-output input coupler for an acceleration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assembled.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high-output input coupler for an acceleration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anatory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high-output input coupler for an acceleration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related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속관용 고출력 입력커플러의 일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속관용 고출력 입력커플러의 일부를 분해한 개략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속관용 고출력 입력커플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속관용 고출력 입력커플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high-output input coupler for an acceleration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in which a part of the high-output input coupler for an acceleration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assembled, and FIG. 4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high-output input coupler for an acceleration tube, and FIG. 5 is an explanatory view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the high-output input coupler for an acceleration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입력커플러(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플러 모듈(2), 제2 커플러 모듈(3) 및 제3 커플러 모듈(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커플러 모듈(2)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의 일단이 원통형상으로 가속관(가속 공동인 캐비티 부재; 도시안됨)에 연결되는 가속관연결부(5)와, 상기 가속관연결부(5)의 중심에 위치하여 고에너지의 RF신호를 가속관으로 방출시키는 안테나부재(6)와, 상기 안테나부재(6)를 결합시키도록 상기 가속관연결부(5)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안테나팁부재(7)와; 상기 가속관연결부(5)와 RF 윈도우부재(8)사이에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제1 커플러 모듈(2)의 몸체를 형성하고 그 내부표면에 일정크기의 가이드홈(9A-N)이 다수개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인 아우터튜브부재(10)와; 상기 아우터튜브부재(10)의 내부 중심에 내부가 중공인 봉형상으로 형성되고 몸체의 둘레를 따라 내부의 냉각기체를 배출시키는 다공성홀(11A-N)이 다수개 형성되는 인너튜브부재(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 the input coupl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coupler module 2 , a second coupler module 3 and a third coupler module 4 . 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3 to 4, the first coupler module 2 has one end of the body in a cylindrical shape and is connected to an acceleration pipe (a cavity member that is an acceleration cavity; not shown). And, the antenna member 6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accelerator tube connecting portion 5 and emitting a high-energy RF signal to the accelerator tube, and the accelerator tube connecting portion 5 so as to couple the antenna member 6 An antenna tip member 7 formed in the center; 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between the accelerator pipe connection part 5 and the RF window member 8 to form the body of the first coupler module 2, and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9A-N of a certain size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an outer tube member 10 formed and having a hollow inside; The inner tube member 12 is form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outer tube member 10 in the shape of a hollow rod and has a plurality of porous holes 11A-N for discharging the cooling gas therein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dy. is comprised of

아우터튜브부재(10)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제이며, 표면에는 구리 도금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스테인리스에는 구리도금이 가능하고, 그 예로서는 SUS316L, SUS304를 들 수 있다. 인너튜브부재(12)는 무산소 구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 기체는 불활성 기체로서 질소 가스일 수 있으며, 상기 냉각 기체는 제3 커플러 모듈(4)의 내측 컨덕터(25)와 연결되는 냉매 삽입 포트(미도시)로부터 공급될 수 있으며, 냉각 기체는 내측 컨덕터(25)와 제2 커플러 모듈(3)의 내측 컨덕터를 통과하여 상기 인너튜브부재(12)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RF 소스는 제3 커플러 모듈(4)과 연결되는 전송선로 연결부(미도시)를 통해 고주파의 RF 신호가 입력 커플러에 인가될 수 있다. The outer tube member 10 is made of, for example, stainless steel, and a surface thereof may be plated with copper. Moreover, copper plating is possible for stainless steel, and SUS316L and SUS304 are mentioned as an example. The inner tube member 12 may be formed of oxygen-free copper. The cooling gas may be nitrogen gas as an inert gas, and the cooling gas may be supplied from a refrigerant insertion port (not shown) connected to the inner conductor 25 of the third coupler module 4 , and the cooling gas may be supplied from the inside It may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inner tube member 12 through the conductor 25 and the inner conductor of the second coupler module (3). In addition, the RF source may apply a high-frequency RF signal to the input coupler through a transmission line connection part (not shown) connected to the third coupler module 4 .

여기서, 상기 인너튜브부재(12)에는 일정 직경을 갖는 다공성홀(11A-N)이 안테나부재(6)측으로 근접될수록 단위면적당 더 많이 집중배치되게 형성시키므로써, 안테나부재(6)의 주변의 고열을 외부로 신속히 배출시키게 되므로 인너튜브부재(12)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고열이 RF 주파수가 안테나부재(6)를 통해 가속관으로 방출되는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대한 차단시킨다. 안테나부재(6)측으로 갈수록 냉각기체가 더 많이 유출되도록 하는 이유는 일반적인 상전도 가속관용 커플러와 달리 2-4K의 초전도에서 운용되는 가속관과 결합됨에 따라 상온과 전력으로 인한 열부하를 저감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커플러 모듈(2)과 접속되는 가속관인 캐비티 부재에 근접할수록 하전 입자의 방전 및 충돌이 높아져 제1 커플러 모듈(2) 내부 온도가 높아지므로, 다공성홀(11A-N)을 안테나부재(6)측으로 갈수록 보다 조밀하게 배치함으로써, 제1 커플러 모듈(2)의 내부 전체를 균일한 온도로 냉각할 수 있으며, 또한 냉각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Here, in the inner tube member 12, porous holes 11A-N having a certain diameter are formed to be more concentrated per unit area as the closer to the antenna member 6 is, the higher the heat around the antenna member 6 is rapidly discharg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high heat generated inside the inner tube member 12 prevents the RF frequency from affecting the function of being emitted to the accelerator tube through the antenna member 6 as much as possible. The reason for allowing more cooling gas to flow toward the antenna member 6 is that it is combined with an acceleration tube operated in 2-4K superconductivity, unlike a normal normal-conducting accelerator coupler, so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thermal load due to room temperature and power. have. Specifically, the closer to the cavity member, which is an acceleration tube connected to the first coupler module 2, the higher the discharge and collision of the charged particles, the higher the temperature inside the first coupler module 2, so the porous hole 11A-N is used as an antenna member. By disposing more densely toward the (6) side, the entire interior of the first coupler module 2 can be cooled to a uniform temperature, and cooling efficiency can be maximized.

또한 상기 인너튜브부재(12)의 다공성홀(11A-N)은 안테나부재(6)측으로 근접될수록 단위면적당 다공성홀(11A-N)의 직경크기를 더 크게 하여 열이 더 신속히 배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다공성홀(11A-N)의 직경크기를 더 넓히는 구조를 채용하는 것은 상술한 이유와 마찬가지로, 제1 커플러 모듈(2)의 내부 전체를 균일한 온도로 냉각할 수 있으며, 또한 냉각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as the porous hole 11A-N of the inner tube member 12 approaches the antenna member 6, the diameter of the porous hole 11A-N per unit area becomes larger so that heat is discharged more quickly. have. Adopting a structure that further widens the diameter of the porous hole 11A-N can cool the entire interior of the first coupler module 2 to a uniform temperature, as well as the above-mentioned reason, to maximize cooling efficiency it is for

도 3 내지 도 5의 실시예에서는 다공성홀(11A-N)을 인너튜브부재(12)의 둘레를 따라 전부 형성한 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1 커플러 모듈(2)에 있어서 냉각이 집중적으로 필요한 부분 및 설계 사항 등에 따라, 상기 인너튜브부재(12)의 다공성홀(11A-N)을 인너튜브부재(12)의 원통형 몸체 둘레중 1/3, 1/2, 2/3 면에만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더라도, 냉각 기체는 유동성이 우수하므로, 다공성홀(11A-N)의 가공 편이성을 충족함과 동시에 제1 커플러 모듈(2) 내부를 균일한 저온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3 to 5 illustrates a structure in which the porous holes 11A-N are formed entire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tube member 12, but cooling is concentrated in the first coupler module 2 Depending on the necessary parts and design matters, the porous holes 11A-N of the inner tube member 12 may be formed only on 1/3, 1/2, and 2/3 sides of the circumference of the cylindrical body of the inner tube member 12. may be Even in this way, since the cooling gas has excellent fluidity, it is possible to satisfy the processing convenience of the porous holes 11A-N and cool the inside of the first coupler module 2 to a uniform low temperature.

더 나아가, 상기 아우터튜브부재(10)의 가이드홈(9A-N)은 내측표면이 일정기울기를 갖도록 스파이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다공성홀(11A-N)로부터 유출된 냉각 기체가 난류를 형성하지 않고, 상기 아우터튜브부재(10)와 상기 이너튜브부재(12) 사이를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흐를 수 있어, 상기 제 1 커플러 모듈(2) 내부 전체를 균일하게 냉각하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제2 커플러 모듈(3) 측으로 배출도 원활하게 실현될 수 있다. Furthermore, the guide grooves 9A-N of the outer tube member 10 may be formed in a spiral shape so that the inner surface thereof ha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ccording to this, the cooling gas flowing out from the porous holes 11A-N can flow between the outer tube member 10 and the inner tube member 12 with a certain direction without forming turbulence, so that the first Not only contributes to uniformly cooling the entire inside of the coupler module 2, but also discharge to the second coupler module 3 side can be realized smoothly.

더 나아가, 상기 인너튜브부재(12)의 다공성홀(11A-N)의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아우터튜브부재(10)의 가이드홈(9A-N)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다공성홀(11A-N)의 유출 부분과 상기 가이드홈(9A-N)의 오목 부분이 대응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다공성홀(11A-N)로부터 유출된 냉각 기체가 상기 가이드홈(9A-N)의 오목 부분에 분사되어 원활한 유체 흐름 방향을 가질 수 있어 냉각 효율 및 외부 배출을 달성할 수 있다. Furthermore, guide grooves 9A-N of the outer tube member 10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orous holes 11A-N of the inner tube member 12 . Specifically, the outlet portion of the porous hole (11A-N) and the concave portion of the guide groove (9A-N)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Accordingly, the cooling gas flowing out from the porous hole 11A-N may be injected into the concave portion of the guide groove 9A-N to have a smooth fluid flow direction, thereby achieving cooling efficiency and external discharge.

한편, 상기 아우터튜브부재(10)의 전단에는 초전도 가속관 연결플랜지(13)가 구비되는 한편 그 반대편에는 외벽 연결플랜지(14)가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ront end of the outer tube member (10) is provided with a superconducting acceleration pipe connecting flange (13), while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n outer wall connecting flange (14).

그리고 상기 아우터튜브부재(10)에는 루프를 쇄교하는 자속(magnetic flux)이 통과하는 루프의 조리개(iris) 영역을 조정함으로써 캐비티에 전달되는 RF신호와 캐비티 내의 RF 전자기장의 매칭 정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연결기구가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outer tube member 10 has an iris area of the loop through which magnetic flux linking the loop passes, so that the degree of matching between the RF signal transmitted to the cavity and the RF electromagnetic field within the cavity can be adjusted. A connecting mechanism may be provided.

그리고 상기 제2 커플러 모듈(3)에는 RF 윈도우부재(8)가 구비되어 RF 윈도우부재(8)의 중심축 및 외주면을 냉각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커플러 모듈(3)은 전기절연체로 이루어지고, 제2 커플러 모듈(3)의 외주면과 동축인 RF 윈도우부재(8)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 커플러 모듈(4)은 반원 형상의 두 개의 전기절연체가 조립되어 형성되고 외주면과 동축인 제2 관통구멍(16)을 포함하는 환형인 지지디스크(15) 및 RF 파워 소스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3 커플러 모듈(4)에는 지지디스크(15)를 고정하도록 형성된 전송선로 연결 플랜지(17)를 포함하고, RF파워 소스가 연결되는 RF입력 플랜지(18)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RF 윈도우부재(8)는 세라믹 소재로 이루어진다.And the second coupler module (3) is provided with an RF window member (8) is formed to cool the central axis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F window member (8). In addition, the second coupler module 3 is made of an electrical insulator, and the RF window member 8 coaxial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upler module 3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In addition, the third coupler module 4 is formed by assembling two semicircular electrical insulators and is provided with an annular support disk 15 and an RF power source including a second through hole 16 coaxial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 Here, the third coupler module 4 includes a transmission line connection flange 17 formed to fix the support disk 15 and includes an RF input flange 18 to which an RF power source is connected. In addition, the RF window member 8 is made of a ceramic material.

한편 상기 제2커플러 모듈(20)의 내측 컨덕터와 외측 컨덕터는 고주파(예컨대 352 MHz), 고전압(예컨대 250 kW)인 RF신호가 전달되는 피드 스루에 해당되며, 전기절연체 소재로 일정 간격이 되도록 띄워진 상태로 지지된다. 내측 컨덕터는 상기 인너튜브부재(12)와 결합될 수 있으며, 외측 컨덕터는 외벽 연결플랜지(14)와 나사 결합 등의 체결 방식을 통해, 상기 아우터튜브부재(10)와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RF 윈도우부재(8)는 일측면이 10 torr 이하인 고진공 상태이며, 고진공 영역에서 매우 빠른 속도로 교번하는 전기장에 노출되기 때문에 방전 파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멀티팩팅으로 설명하기도 하며, RF신호가 불안정해지거나, 발생 부위의 국부적인 발열 상승이 초래되기도 한다. 이때 상기와 같은 멀티팩팅을 방지하기 위한 대표적인 해결 방법으로 질화티타늄(TiN)을 수 나노미터 이하의 두께로 얇게 코팅하거나, 알루미나 파우더의 순도를 99% 이상으로 확보하고, 고주파에 의한 반응을 감소시키기 위해 마그네슘(Mg) 성분을 최대한 배제하는 소결 방법 및 소결 후 등방성 가열 압축(HIP: Hot Isotropic Pressing) 처리를 추가로 실시하여 세라믹 내부 기공(void)을 최대한 제거하는 방법 등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conductor and the outer conductor of the second coupler module 20 correspond to a feed-through through which a high-frequency (eg 352 MHz), high-voltage (eg, 250 kW) RF signal is transmitted. supported in a true state. The inner conductor may be coupled to the inner tube member 12 , and the outer conductor may be connected to the outer tube member 10 through a fastening method such as screw coupling with the outer wall connection flange 14 . In particular, since the RF window member 8 is in a high vacuum state with one side of 10 torr or less, and is exposed to an alternating electric field at a very high speed in a high vacuum region, discharge destruction may occur. This phenomenon is sometimes explained as multi-factoring, and the RF signal becomes unstable or the localized heat rise in the generated area is caused. At this time, as a representative solution to prevent multi-factoring as described above, thinly coating titanium nitride (TiN) to a thickness of several nanometers or less, or securing the purity of alumina powder to 99% or more, and reducing the reaction by high frequency There are a sintering method that maximally excludes harmful magnesium (Mg) component and a method of maximally removing internal voids in the ceramic by additionally performing an isotropic hot pressing (HIP) treatment after sintering.

그리고 상기 질화티타늄 코팅은 표면의 이차전자 방출특성(SEY: Secondary Emission Yield)을 크게 낮춰 멀티팩팅의 확률을 낮추지만, 상기 RF 윈도우부재(8)를 관통하여 전달되는 RF신호의 반사를 최소화하기 위해 그 두께는 얇을수록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커플러 모듈(2), 제2 커플러 모듈(3) 및 제3 커플러 모듈(4)은 용접 또는 나사 결합 등의 방법으로 연결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 커플러 모듈(3)의 RF 윈도우부재(8)를 통해 전달되는 RF신호의 전송 효율, RF신호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RF 윈도우부재(8)의 발열을 적극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titanium nitride coating significantly lowers the secondary electron emission characteristic (SEY) of the surface to lower the probability of multi-factoring, but to minimize the reflection of the RF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RF window member 8 It is so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is thin. In addition, the first coupler module 2 , the second coupler module 3 , and the third coupler module 4 may be connected by welding or screw coupling. At this time, in order to secure the transmission efficiency of the RF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RF window member 8 of the second coupler module 3 and the RF signal quality, it is preferable to actively suppress the heat generation of the RF window member 8 .

이때, 등방성 가열 압축 처리에 의해 RF 윈도우부재(8)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면 열팽창에 의해 내부 기공이 실질적으로 드러나 RF신호에 노출될 수 있다. 특히, 하전 입자 가속을 통해 높은 빔 에너지를 갖도록 높은 파워의 RF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이러한 발열을 억제하지 않으면 충분히 큰 RF에너지를 가속 공동인 캐비티 부재에 전달할 수 없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RF window member 8 is excessively increased by the isotropic heating and compression process, the internal pores are substantially exposed by thermal expansion and exposed to the RF signal. In particular, when a high-power RF signal is transmitted so as to have high beam energy through acceleration of charged particles, it is impossible to transmit sufficiently large RF energy to the cavity member, which is the acceleration cavity, unless such heat generation is suppressed.

따라서, RF 윈도우부재(8)의 외주면에 인접한 양측면의 영역을 메탈라이징(metalizing)하여 금속과의 결합성을 향상시키고, 해당 영역에 조립될 수 있도록 형성된, 링 형상이며 코바(KOVAR) 소재인, 외측 링(19)을 양측에 브레이징(brazing)으로 결합시킨다. Therefore, by metalizing the area of both sides adjacen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F window member 8, the bondability with the metal is improved, and the ring-shaped and KOVAR material is formed so that it can be assembled in the corresponding area, The outer ring 19 is coupled to both sides by brazing.

여기서, 상기 RF 윈도우부재(8)는 진공 측으로 배치되는 한 측면이 질화티타늄(TiN)으로 코팅된다. 질화티타늄이 코딩된 적어도 한 측면은 코바 소재의 외측 링(19)에 의해서 제2 외측 컨덕터(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Here, one side of the RF window member 8 disposed toward the vacuum side is coated with titanium nitride (TiN). At least one side surface coded with titanium nitri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outer conductor 20 by an outer ring 19 made of cobar material.

상기 코바 소재는 열팽창계수가 크게 차이나는 세라믹 소재와 금속 소재 사이의 열팽창을 흡수하는 대표적인 소재로서 열팽창계수의 비선형성으로 인해 이들 이종 재질 간의 결합에 사용되어 밀봉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KOBA material is a representative material for absorbing thermal expansion between a ceramic material and a metal material having a larg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and is used for bonding between these dissimilar materials due to the nonlinearity of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to secure sealing properties.

한편, RF 윈도우부재(8)와 외벽 연결플랜지(14) 사이에는 제1 커플러 모듈(2)와 RF 윈도우부재(8) 사이의 진공도를 계측하기 위한 진공계측장치 연결 포트(24), 제1 커플러 모듈(2)에서 RF 신호로 여기되는 전자 관련 특성을 계측하는 전자 계측장치 연결 포트 및 아크방전 계측장치 연결 포트 등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RF window member 8 and the outer wall connection flange 14, a vacuum measuring device connection port 24 for measuring the degree of vacuum between the first coupler module 2 and the RF window member 8, the first coupler An electronic measuring device connection port and an arc discharge measuring device connection port for measuring electronic-related characteristics excited by an RF signal in the module 2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본 발명의 장치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입력커플러(1)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제1 커플러 모듈(2)의 외벽 연결플랜지(14)에 제2 커플러 모듈(3)의 제2 전단 연결플랜지(21)를 결합시킨 후 나사체결 혹은 용접등의 방식으로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결합된 제2 커플러 모듈(3)의 제2 후단 연결플랜지(22)에 제3 커플러 모듈(4)의 제3 전단 연결플랜지(23)를 결합시킨후 나사체결 혹은 용접등의 방식으로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 커플러 모듈(3)의 일단에 구비된 진공 계측장비 연결포트(24)에 진공계측장비(도시안됨)를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제3 커플러 모듈(4)의 전송선로 연결플랜지(17)에 전송선로를 연결시킨다. In order to couple the input coupl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fter coupling the second front end connecting flange 21 of the second coupler module 3 to the outer wall connecting flange 14 of the first coupler module 2, screw They are connected by means of fastening or welding. And after coupling the third front end connecting flange 23 of the third coupler module 4 to the second rear end connecting flange 22 of the second coupler module 3 coupled as described above, screw fastening or welding, etc. combine with And a vacuum measuring device (not shown) is coupled to the vacuum measuring device connection port 24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coupler module 3 . In addition, a transmission line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line connection flange 17 of the third coupler module 4 .

한편 상기 본 발명의 가속관용 고출력 입력커플러(1)는 입자가속기에 결합되는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입자가속기 특히 선형가속기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해보면, 선형가속기는 그 시작점에서 전자총에 의해서 전자를 발생시키고 가속관을 통하여 고출력 고주파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전자를 빛의 속도로 가속하는 장치인데, 이러한 선형가속기 끝단에서 빛의 속도에 도달한 전자는 전송관(BTL: beam transfer line: 도시안됨)과 입사장치(injection system: 도시안됨)을 통해서 저장링(도시안됨)에 입사된다. 이때, 상기 저장링에 입사된 전자를 저장링의 진공파이프(본원발명의 입력커플러 대응) 내에서 연속으로 회전시켜 위에서 설명한 메커니즘에 의해서 방사광을 만든다. 여기서, 상기 저장링은 전자의 궤도를 원형으로 만들어주고 (횡방향의 가속을 담당) 궤도를 조절하는 전자석들과 초고진공의 환경을 제공하는 진공장치, 방사광의 방사로 잃은 에너지를 보충해주는 고주파 공명장치(RF cavity) 등과 각종 제어장치들로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본원발명의 입력커플러(1)와 같은 고주파 가속공동장치는 저장링내의 선형부분(straight section)에 설치되어 전자빔이 지나갈 때 방사광과 각종 손실로 잃어버린 에너지만큼을 보충해 주어, 전자빔이 장시간동안 저장링을 회전하게하면서 방사광을 발생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입력커플러(1)의 동축선로(25)를 통해 전송되는 고주파 전력은 진공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세라믹의 RF 윈도우부재(8)를 통하여 내부가 둥글게 비어 있는 제1 커플러 모듈(2)로 입사된다. 이때, 상기 입사된 고주파는 가속공동 양단의 전극 사이에 수 백 킬로볼트의 전압을 여기되는데, 정확한 위상을 가지고 이 전극 사이를 동과하는 전자들은 가속되게 된다. 예컨대, 상기 가속과정에서 500 MHz의 주파수를 가지고 사인파형으로 변화하는 전장에서 받는 에너지는 전극사이를 통과하는 전자빔의 위상에 따라 달라지는데, 제1 커플러 모듈(2)의 내부를 통과한 후의 전자의 에너지가 저장링의 광학계에 의해 폐궤도를 이루며 회전할 수 있는 전자의 에너지 범위에만 들어있으면 회전운동 중에 잃어버리지 않고 다시 가속공동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이 에너지범위를 가속공동에 들어올 때의 전자빔의 에너지와 그 때 공동에 인가되는 고주파 위상과의 관계로 나타내면 폐곡선을 이루는데 이것을 "고주파 버켓"(RF bucket)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상기 버켓에서 정의되는 에너지와 위상을 가지는 전자는 저장되어 계속 회전운동을 하지만 어떤 이유로 (충돌이나 불안정성 등) 이 범위를 벗어나면 그 에너지를 잃어버리게 되어 저장전류가 점차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입력커플러(1)에서 전자빔을 입사할 경우에도 입사점에 원하는 버켓이 통과할 때 버켓이 정의하는 에너지를 가지고 전자빔이 도달할 수 있도록 전자총의 발사시간이나 입사장치 작동시간 등을 조정한다. On the other hand, the high-power input coupler (1) for the accelerator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coupled to the particle accelerator. Here, the particle accelerator, especially the linear accelerator, is briefly described. The linear accelerator is a device that generates electrons by an electron gun at the starting point and accelerates the electrons to the speed of light by using a high-power high-frequency generator through an acceleration tube. Electrons reaching the speed of light at the tip of the linear accelerator are incident on a storage ring (not shown) through a transmission tube (BTL: beam transfer line: not shown) and an injection system (not shown). At this time, the electrons incident on the storage ring are continuously rotated in the vacuum pipe of the storage ring (corresponding to the input couple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generate radiation by the mechanism described above. Here, the storage ring makes the orbit of electrons circular (responsible for lateral acceleration) and controls the orbit, a vacuum device that provides an ultra-high vacuum environment, and a high-frequency resonance that supplements the energy lost by the radiation of radiation. It consists of an RF cavity and various control devices. For example, a high-frequency acceleration joint device such as the input coupl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traight section in the storage ring to compensate for the energy lost due to radiation and various losses when the electron beam passes, so that the electron beam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While rotating the storage ring, it generates radiation. And the high-frequency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coaxial line 25 of the input coupler 1 as described above is the first coupler module 2 with an empty inside through the RF window member 8 made of ceramic for maintaining a vacuum state. is entered into At this time, the incident high frequency excites a voltage of several hundred kilovolts between the electrodes at both ends of the acceleration cavity, and electrons passing between the electrodes with the correct phase are accelerated. For example, the energy received from the electric field that has a frequency of 500 MHz and changes to a sinusoidal waveform in the acceleration process varies depending on the phase of the electron beam passing between the electrodes. If it is contained in the energy range of electrons that can rotate while forming a closed orbit by the optical system of the storage ring, it can reach the acceleration cavity again without losing it during rotational motion. If this energy range is expresse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ergy of the electron beam when it enters the accelerating cavity and the high-frequency phase applied to the cavity at that time, a closed curve is formed, which is called “RF bucket”. And the electrons having the energy and phase defined in the bucket are stored and continue to rotate, but if for some reason (collision or instability, etc.) is out of this range, the energy is lost and the storage current is gradually reduced. Therefore, even when the electron beam is incident from the input coupler 1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esired bucket passes to the incident point, the firing time of the electron gun or the operation time of the injection device is adjusted so that the electron beam can reach the bucket with energy defined by the bucket. Adjust.

즉,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입력커플러(1)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제3 커플러 모듈(4)의 후단으로 고주파의 하전입자가 공급되면 이 고주파의 하전입자는 상기 입자가속기처럼 전계와 자계의해 운동을 하면서 가속되고 그 가속된 하전입자는 상기 제2 커플러 모듈(3)의 RF 윈도우부재(8)를 경유하여 초진공상태에 있는 제1 커플러 모듈(2)의 인너튜브부재(12)의 내부로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1 커플러 모듈(2)의 인너튜브부재(12)는 하전입자를 더욱더 가속하여 가속관연결부(5)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안테나팁부재(7)를 경유하여 안테나부재(6)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가속관연결부(5)의 중심에 위치한 안테나부재(6)는 안테나팁부재(7)를 경유하여 입력된 고에너지의 RF신호를 가속관으로 방출시킨다. That is, if the operation of the input coupl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schematically more specifically described, first, when the high-frequency charged particles are supplied to the rear end of the third coupler module 4, the high-frequency charged particles are Like the particle accelerator, it is accelerated while moving by an electric field and a magnetic field, and the accelerated charged particles pass through the RF window member 8 of the second coupler module 3 and are in an ultra-vacuum state of the first coupler module (2). It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inner tube member (12). And as described above, the inner tube member 12 of the first coupler module 2 further accelerates the charged particles to the antenna member 6 via the antenna tip member 7 formed in the center of the acceleration pipe connection part 5. forward to Then, the antenna member 6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accelerator pipe connection part 5 emits a high-energy RF signal input via the antenna tip member 7 to the acceleration pipe.

이때, 상기와 같이 제1 커플러 모듈(2)의 내부에는 전자빔을 가속시키기 위해 초고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제1 커플러 모듈(2)의 내부 진공상태를 안정시키기위해 요구되는 저온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냉각기체를 충진하게 된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an ultra-high vacuum state is maintained inside the first coupler module 2 to accelerate the electron beam, and the low temperature required to stabilize the internal vacuum state of the first coupler module 2 is always constant. It is filled with cooling gas to maintain it.

이 과정에서 고열로 대전된 하전 입자가 멀티팩팅(multipacting)에 의해 제1 커플러 모듈(2)의 내부 진공 노출면에 반복적으로 충돌 및 방출되기 때문에 고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고열의 방전에 의해 내부표면이 파손될 우려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본발명에 의한 입력커플러(1)는 상기와 같은 고열을 냉각하기위해 먼저, 제1 커플러 모듈(2)의 아우터튜브부재(10)의 내부 중심에 위치한 인너튜브부재(12)가 1차로 내부에 발생된 고열의 냉각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게한다. 즉, 상기 인너튜브부재(12)는 몸체의 내외측 둘레를 따라 다공성홀(11A-N)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너튜브부재(12)는 상기 다공성홀(11A-N)을 통해 고열의 냉각기체를 외부로 신속히 배출시킨다. In this process, high heat is generated because charged particles charged with high heat are repeatedly collided and released on the internal vacuum exposed surface of the first coupler module 2 by multipacting, and the internal surface is caused by such high heat discharge. There is a risk of this being damaged. Therefore, in the input coupl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ool the high heat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inner tube member 12 locat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outer tube member 10 of the first coupler module 2 is 1 The high-temperature cooling gas generated inside the vehicl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at is, since the inner tube member 12 has a plurality of porous holes 11A-N formed along the inner and outer circumferences of the body, the inner tube member 12 is heated through the porous holes 11A-N. The cooling gas is quickly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때, 상기 인너튜브부재(12)의 다공성홀(11A-N)은 다른 실시예로, 안테나부재(6)측으로 근접될수록 단위면적당 다공성홀(11A-N)의 직경크기를 더 크게 형성하므로, 열이 더 신속히 배출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인너튜브부재(12)의 다공성홀(11A-N)을 내부 조건에 따라 인너튜브부재(12)의 원통형 몸체 둘레중 1/3, 1/2, 2/3 면에만 형성시키므로 상기 다공성홀(11A-N)을 통해 고열의 냉각기체를 외부로 신속히 배출시킨다. At this time, the porous hole 11A-N of the inner tube member 12 is another embodiment, and the closer to the antenna member 6 side, the larger the diameter of the porous hole 11A-N per unit area is formed. This may be expelled more quickly. In addition, since the porous holes 11A-N of the inner tube member 12 are formed only on 1/3, 1/2, and 2/3 sides of the circumference of the cylindrical body of the inner tube member 12 according to internal conditions, the porous holes Through (11A-N), the high-temperature cooling gas is quickly discharged to the outside.

다시말해서, 상기 인너튜브부재(12)에는 일정 직경을 갖는 다공성홀(11A-N)이 안테나부재(6)측으로 근접될수록 단위면적당 더 많이 집중배치되게 형성시키므로써, 안테나부재(6)의 주변의 고열을 외부로 신속히 배출시키게 되므로 인너튜브부재(12)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고열이 RF 주파수가 안테나부재(6)를 통해 가속관으로 방출되는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대한 차단시킨다.In other words, in the inner tube member 12, the porous holes 11A-N having a certain diameter are formed to be more concentrated per unit area as the closer to the antenna member 6 is, the more the periphery of the antenna member 6 is. Since the high heat is rapid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high heat generated inside the inner tube member 12 blocks the RF frequency from affecting the function of being emitted to the accelerator tube through the antenna member 6 as much as possible.

한편, 상기와 같이 인너튜브부재(12)가 몸체에 형성된 다공성홀(11A-N)을 통해 고열을 배출할 경우 상기 인너튜브부재(12)를 내장하고 있는 아우터튜브부재(10) 역시 몸체에 형성된 가이드홈(9A-N)을 통해 상기 인너튜브부재(12)를 통해 배출된 고열의 냉각기체를 외부로 신속히 배출시킨다. 즉, 상기 아우터튜브부재(10)는 그 내부표면에 일정기울기를 갖도록 스파이럴형상으로 일정크기의 가이드홈(9A-N)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인너튜브부재(12)의 다공성홀(11A-N)에서 배출되는 고열의 냉각기체를 상기 스파이럴형상의 가이드홈(9A-N)의 형상을 따라 외부로 완전히 배출시키므로 제1 입력커플러(1)의 진공상태를 안정화시킨다. 이과정에서 상기 아우터튜브부재(10)의 가이드홈(9A-N)이 상기 인너튜브부재(12)의 다공성홀(11A-N)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너튜브부재(12)의 다공성홀(11A-N)에서 배출되는 고열의 냉각기체가 즉시 상기 가이드홈(9A-N)을 따라 이동하게되므로 고열을 더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ner tube member 12 discharges high heat through the porous holes 11A-N formed in the body as described above, the outer tube member 10 having the inner tube member 12 is also formed in the body. The high-heat cooling gas discharged through the inner tube member 12 through the guide grooves 9A-N is rapid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at is, the outer tube member 10 has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9A-N of a certain size in a spiral shape to have a certain inclination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At this time, the porous hole of the inner tube member 12 Since the high-heat cooling gas discharged from 11A-N is completely discharged to the outside along the shape of the spiral-shaped guide groove 9A-N, the vacuum state of the first input coupler 1 is stabilized. In this process, since the guide grooves 9A-N of the outer tube member 10 are form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porous holes 11A-N of the inner tube member 12, the inner tube member 12 Since the cooling gas of high heat discharged from the porous hole 11A-N immediately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9A-N, the high heat can be discharged more quickly.

1 : 입력커플러 2 : 제1 커플러 모듈
3 : 제2 커플러 모듈 4 : 제3 커플러 모듈
5 : 가속관연결부 6 : 안테나부재
7 : 안테나팁부재 8 : RF 윈도우부재
9A-B: 가이드홈 10: 아우터튜브부재
11: 다공성홀 12: 인너튜브부재
13: 초전도 가속관 연결플랜지 14: 저온유지모듈 외벽 연결플랜지
15: 지지디스크 16: 제2 관통구멍
17: 전송선로 연결 플랜지 18: RF입력 플랜지
19: 외측 링 20: 제2 외측 컨덕터
21: 제2 전단 연결플랜지 22: 제2 후단 연결플랜지
23: 제3 전단 연결플랜지 24: 진공 계측장비 연결포트
25: 동축선로
1: input coupler 2: first coupler module
3: second coupler module 4: third coupler module
5: Acceleration pipe connection part 6: Antenna member
7: antenna tip member 8: RF window member
9A-B: guide groove 10: outer tube member
11: Porous hole 12: Inner tube member
13: superconducting acceleration pipe connection flange 14: low temperature maintenance module outer wall connection flange
15: support disk 16: second through hole
17: transmission line connection flange 18: RF input flange
19: outer ring 20: second outer conductor
21: second front end connecting flange 22: second rear end connecting flange
23: third front end connection flange 24: vacuum measuring equipment connection port
25: coaxial line

Claims (7)

제1 커플러 모듈, 제2 커플러 모듈 및 제3 커플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속관용 고출력 입력커플러로서,
상기 제1 커플러 모듈은 몸체의 일단이 원통형상으로 가속관에 연결되는 가속관연결부와; 상기 가속관연결부의 중심에 위치하여 고에너지의 RF신호를 가속관으로 방출시키는 안테나부재와; 상기 안테나부재를 결합시키도록 상기 가속관연결부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안테나팁부재와; 상기 가속관연결부와 상기 제2 커플러 모듈의 RF 윈도우부재사이에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제1 커플러 모듈의 몸체를 형성하고 내부가 중공인 아우터튜브부재와; 상기 아우터튜브부재의 내부 중심에 내부가 중공인 봉형상으로 형성되고 몸체의 둘레를 따라 내부의 냉각기체를 배출시키는 다공성홀이 다수개 형성되는 인너튜브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아우터튜브부재는 몸체의 내부표면에 일정크기의 가이드홈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튜브부재의 가이드홈은 내측표면이 일정기울기를 갖도록 스파이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관용 고출력 입력커플러.
A high-output input coupler for an acceleration tube comprising a first coupler module, a second coupler module, and a third coupler module,
The first coupler module includes an acceleration pipe connection part having one end of the body connected to the acceleration pipe in a cylindrical shape; an antenna member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accelerator tube connection portion to emit a high-energy RF signal to the accelerator tube; an antenna tip member formed in the center of the accelerator pipe connection part to couple the antenna member; an outer tube member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between the accelerator pipe connection part and the RF window member of the second coupler module to form a body of the first coupler module and having a hollow inside; It is form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outer tube member in the shape of a hollow rod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n inner tube member in which a plurality of porous holes for discharging cooling gas inside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dy,
The outer tube member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of a predetermined siz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The guide groove of the outer tube member is a high-output input coupler for an acceleration tub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urface is formed in a spiral shape to have a certain inclin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튜브부재에는 일정 직경을 갖는 다공성홀이 안테나부재 측으로 근접될수록 단위면적당 더 집중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관용 고출력 입력커플러.
The method of claim 1,
A high-power input coupler for acceleration tub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tube member has a porous hole having a certain diameter, which is arranged more concentrated per unit area as it approaches the antenna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튜브부재의 다공성홀은 안테나부재측으로 근접될수록 다공성홀의 직경크기를 더 크게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관용 고출력 입력커플러.
The method of claim 1,
The porous hole of the inner tube member is a high-output input coupler for acceleration tube, characterized in that the larger the diameter of the porous hole as it approaches the antenna memb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튜브부재의 다공성홀의 대응되는 위치에 아우터튜브부재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관용 고출력 입력커플러.
The method of claim 1,
A high-output input coupler for an acceleration tube, characterized in that a guide groove of the outer tube member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rous hole of the inner tube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튜브부재의 다공성홀은 인너튜브부재의 원통형 몸체 둘레중 1/3, 1/2, 2/3 면 중 어느 하나에만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관용 고출력 입력커플러.
The method of claim 1,
The porous hole of the inner tube member is a high-power input coupler for an acceleration tube, characterized in that only one of 1/3, 1/2, and 2/3 surfaces of the cylindrical body of the inner tube member are selectively formed.
KR1020190093020A 2019-07-31 2019-07-31 High power input coupler for accelerating tube KR1022671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020A KR102267142B1 (en) 2019-07-31 2019-07-31 High power input coupler for accelerating tu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020A KR102267142B1 (en) 2019-07-31 2019-07-31 High power input coupler for accelerating tub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934A KR20210014934A (en) 2021-02-10
KR102267142B1 true KR102267142B1 (en) 2021-06-18

Family

ID=74561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020A KR102267142B1 (en) 2019-07-31 2019-07-31 High power input coupler for accelerating tub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14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852B1 (en) * 2022-10-04 2024-03-25 주식회사 한울이엔지 RF Power Coupler Including Antenna With Improved Cooling Cfficiency and Performan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19621A1 (en) * 2015-04-30 2016-11-03 Harris Corporation Radio frequency and fluid coupler for a subterranean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KR101950891B1 (en) * 2017-12-26 2019-02-21 주식회사 다원시스 RF Power Coupl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74630B1 (en) * 2012-10-27 2014-03-18 Wayne Douglas Cornelius On-axis RF coupler and HOM damper for superconducting accelerator caviti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19621A1 (en) * 2015-04-30 2016-11-03 Harris Corporation Radio frequency and fluid coupler for a subterranean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KR101950891B1 (en) * 2017-12-26 2019-02-21 주식회사 다원시스 RF Power Coup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934A (en) 202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kamoto et al. Development of 170 and 110 GHz gyrotrons for fusion devices
US5811943A (en) Hollow-beam microwave linear accelerator
US4400650A (en) Accelerator side cavity coupling adjustment
US6864633B2 (en) X-ray source employing a compact electron beam accelerator
US74113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frequency cavity
WO2018052518A2 (en) Vacuum electron device drift tube
US11961692B2 (en) Bi-metallic anode for amplitude modulated magnetron
Huang et al. Development of fundamental power couplers for 166.6 MHz superconducting quarter-wave beta= 1 proof-of-principle cavities
KR102267142B1 (en) High power input coupler for accelerating tube
US7208890B2 (en) Multi-section particle accelerator with controlled beam current
CN111066117B (en) Electron gun adjustment and heat dissipation in vacuum
Mutoh et al. ICRF heating system in LHD
JP2005050646A (en) High-frequency electron gun
Ives et al. Development of a high power CW waterload for Gaussian mode gyrotrons
Arbuzov et al. RF system of the CW race-track microtron-recuperator for FELs
JP4533588B2 (en) Klystron equipment
US3374390A (en) Traveling-wave tube having a slow-wave structure of the cloverleaf type wherein the height of the cloverleaf sections are tapered
JP3133379B2 (en) Gyrotron oscillation tube
US7973621B2 (en) Hom damped high-frequency resonator
Schaffer High Power UHF Components for DESY
Boussard et al. THE 100 HHz RF SYSTEN FOR THE CERM COLLIDER
Sakanaka et al. High-power test of a 714-MHz HOM-damped cavity for the ATF damping ring
Piosczyk et al. Development of multi-megawatt gyrotrons at Forschungszentrum Karlsruhe
Frischholz et al. Design and Construction of a 500 kW CW, 400 MHz Klystron to be used as RF Power Source for LHC/RF Component Tests
Read et al. High peak power gyroklystron with an inverted magnetron injection gu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