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002B1 - Integrat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ing lidar sensor - Google Patents

Integrat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ing lidar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002B1
KR102265002B1 KR1020190121588A KR20190121588A KR102265002B1 KR 102265002 B1 KR102265002 B1 KR 102265002B1 KR 1020190121588 A KR1020190121588 A KR 1020190121588A KR 20190121588 A KR20190121588 A KR 20190121588A KR 102265002 B1 KR102265002 B1 KR 102265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ar sensor
control unit
integrated
change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5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40195A (en
Inventor
강성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오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오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오케이
Publication of KR20200040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1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0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1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act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06Discriminating between target movement or movement in an area of interest and other non-signicative movements, e.g. target movements induced by camera shake or movements of pets, falling leaves, rotating f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3Arrangements allowing camera rotation to change view, e.g. pivoting camera, pan-tilt and zoom [PTZ]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시설물의 감시영역에 설치되고,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Point Cloud data)를 수집하는 라이다 센서와, 라이다 센서에 의해 수집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모듈과, 전송모듈로부터 전송되는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와 형상을 분석하는 분석모듈과, 분석신호에 대응하여 프로그램의 제어로직에 따라 알람 활성화 유무, 오경보 신호 검출 유무에 따라 알람 활성화 및 형상 검출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검출신호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라이다 센서 기반 시설물 관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감시영역에 설치된 CCTV 및 적외선 카메라를 통한 기존의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한 개의 센서가 가지는 감지 영역을 라이다 센서를 통해 극대화 하고 주야 상관없이 정확한 위치정보 기반의 침입경로 추적이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monitoring area of a security facility, a lidar sensor for collecting point cloud data, a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point cloud data collected by the lidar sensor, and the transmission module An analysis module that receives point cloud data and analyzes location information and shape, and selectively outputs alarm activation and shape det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whether an alarm is activated or a false alarm signal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control logic of the program in response to the analysis signal It provides a lidar sensor-based facility control system including a detection signal module. According to the abov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the existing method through CCTV and infrared cameras installed in the surveillance area, the detection area of one sensor is maximized through the lidar sensor, and accurate location information-based intrusion path tracking is possible regardless of day or night. Do.

Description

라이다센서를 이용한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 {Integrat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ing lidar sensor}{Integrat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ing lidar sensor}

본 발명은 라이다센서를 이용한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라이다센서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보안이나 화재관리 등 건축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을 통합관리 할 수 있는 라이다센서를 이용한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ing a lidar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a lidar sensor capable of integrated management of various situations that may occur in a building, such as building security or fire management, using the lidar sensor. It relates to the integrat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ed.

일반적으로 라이다(LiDAR : Light Detection And Ranging)는 빛을 이용하여 타겟을 탐지하고 타겟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라이다는 기능에 있어서 레이더(RADAR : Radio Detection And Ranging)와 유사하지만, 전파를 이용하는 레이더와 달리 빛을 이용한다는 차이가 있다. In general,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uses light to detect a target and measure the distance to the target, and such a lidar is similar to radar (RADAR: Radio Detection And Ranging) in its function. However, unlike radar that uses radio waves,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it uses light.

이에 상기한 라이다를 이용한 다양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라이다를 이용한 라이다센서장치에 대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3020호는 송출 방향을 변경하면서 각각의 송출 방향에 대응하는 레이저 광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레이저 광을 송출하는 송신부와, 상기 레이저 광이 개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반사광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반사광에 포함된 레이저 광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반사광에 대응하는 레이저 광의 송출 방향을 식별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라이다 센서 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Accordingly, various devices using the lidar have been developed, and as an example of a technology for a lidar sensor device using such a lidar,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73020 discloses a laser corresponding to each emission direction while changing the transmission direction. A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laser light including photo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reflected light that is reflected back by the laser light on an object, and a corresponding to the reflected light based on the laser ligh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reflected light A lidar sensor device including a signal processing unit for identifying a direction in which laser light is emitted has been disclosed.

한편, 사무실, 빌딩, 주택 등 중요 시설이 있는 건축물에는 외부로부터 불법으로 침입해 오는 인원을 감지하기 위해 CCTV 및 적외선 카메라를 활용하여 사적 재산 및 인명을 보호하기 위하여, 침입자를 감지할 경우 경보를 발생함과 동시에 보안업체에 통보하는 보안시스템장치를 설치한다. Meanwhile, in buildings with important facilities such as offices, buildings, and houses, CCTV and infrared cameras are used to detect illegal intruders from the outside to protect private property and human life, and an alarm is generated when an intruder is detected. At the same time, a security system device that notifies the security company is installed.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보안시스템장치는, 야간의 경우 감지이미지가 육안으로 식별이 어려울 정도로 정확하지 않아 정확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고, 단순 침입감지에만 그 기능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 또는 노후화 등 건축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관리를 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conventional security system device, it is difficult to obtain accurate information because the detection image is not so accurate that it is difficult to identify it with the naked eye at night, and since its function is limited to simple intrusion detection, it can occur in buildings such as fire or aging.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manage various possibl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3020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773020

본 발명은 라이다센서를 통하여 정확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며, 보안은 물론 화재 및 건축물의 노후화도 관리할 수 있어 건축무에 대한 다양한 통합관리가 가능한 라이다센서를 이용한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reliable data by acquiring accurate information through the lidar sensor, and can manage not only security but also fire and deterioration of buildings, so that various integrated management of architectural work is possible using a lidar sensor. It aims to provide a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건축물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광원을 이용하여 대상체의 위치와 형상을 감지하는 라이다센서부와;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라이다센서부를 구동 제어하고, 상기 라이다센서부로부터 수신된 감지데이터를 전송하는 센서제어부와; 상기 센서제어부로부터 수집된 상기 감지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통합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다센서를 이용한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 frame portion fixedly installed in a building; a lidar sensor unit installed on the frame unit and configured to sense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object using a light source; a senso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lidar sensor uni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ensed data received from the lidar sensor uni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tegrat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ing a lidar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tegrated control unit that analyzes the sensed data collected from the sensor control unit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여기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건축물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라이다센서부가 결합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센서제어부의 구동신호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frame unit, the support frame fixed to the building, the lidar sensor unit is couple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rotating frame rotated by a driving signal of the sensor control unit. can

이때, 상기 회전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라이다센서부를 수평 또는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회전축부와, 상기 라이다센서부가 결합되고, 상기 라이다센서부를 제1회전축부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1회전축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회전축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otating fram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and a first rotating shaft unit for rotating the lidar sensor unit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the lidar sensor unit is coupled, and the lidar sensor unit is forme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rotational shaft portion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rotational shaft portion so as to rotate about a rotational axis orthogonal to the rotational axis of the first rotational shaft portion.

상기 통합제어부는, 상기 감지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대상체들의 위치변화를 시계열적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체들을 객체(object)별로 구분하여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integrated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time-series measurements of changes in the positions of the objects through the sensed data, and to classify and analyze the objects for each object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

상세하게, 상기 객체는, 상기 위치변화가 설정된 제한값 보다 미만인 구조물과, 상기 위치변화가 설정된 제한값 이상이고, 상기 위치변화에 주기성이 있는 설치물과, 상기 위치변화가 설정된 제한값 이상이고, 상기 위치변화에 주기성이 없되, 정지시간이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독립객체와, 상기 위치변화가 설정된 제한값 이상이고, 상기 위치변화에 주기성이 없되, 정지시간이 설정된 기준값 미만인 이동객체로 각각 구분될 수 있다.In detail, the object includes a structure in which the position change is less than a set limit value, a structure in which the position chang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limit value, and a periodicity in the position change, and the position change is more than a set limit value, and the position change An independent object having no periodicity but having a stop time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t reference value, and a moving object having a change in position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limit value and having no periodicity in the change in position but having a stop time less than a set reference value, may be distinguished.

이에, 상기 통합제어부는, 상기 대상체가 구조물로 구분되는 경우, 상기 구조물 경계선 사이의 상대각도 변화가 발생하고, 상기 구조물의 누적된 상대각도 변화량이 선형성을 갖는 경우 상기 구조물의 전단변형이 진행되고 있는 것임을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integrated control unit, when the object is divided into a structure, a relative angle change between the structure boundaries occurs, and when the accumulated relative angle change of the structure has linearity, shear deformation of the structure is in progress. It can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at it is.

또한, 상기 통합제어부는, 상기 대상체가 구조물로 구분되는 경우, 상기 구조물 경계선 사이의 상대각도 변화가 없으나 중력방향에 대한 변화가 있는 경우 상기 구조물의 부동침하가 발생되고 있는 것임을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control unit, when the object is divided into a structure, there is no change in the relative angle between the boundary lines of the structure, but if there is a change in the direction of gravity, it can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at the floating settlement of the structure is occurring. .

또한, 상기 통합제어부는, 상기 대상체가 구조물로 구분되는 경우, 상기 구조물면의 형상변화가 발생하고, 상기 구조물의 누적된 형상변화량이 증가되는 경우 상기 구조물에 균열이 진행되는 것임을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control unit, when the object is divided into a structure, a shape change of the structure surface occurs, and when the accumulated shape change amount of the structure increases, it can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at the structure is cracked have.

여기서, 상기 통합제어부는, 상기 구조물의 전단변형량 또는 부동침하량 또는 균열량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구조물에 대한 감지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고 알람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integrated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collect and store sensing data for the structure and output an alarm signal when the amount of shear deformation or floating settlement or cracking of the structur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상기 라이다센서부는, 복수의 행열로 배열되는 조사유닛들을 통하여 상기 대상체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광조사부와, 상기 광조사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수신유닛들을 통하여 조사된 후 반사되는 상기 레이저를 수신하는 광수신부와, 상기 광수신부에 수신되는 레이저광들을 통하여 생성된 상기 감지데이터를 상기 센서제어부로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lidar sensor unit receives the laser reflected after being irradiated through a light irradiation unit configured to irradiate a laser to the object through irradiation units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receiving units configur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ight irradiation unit and a data transmitter configured to transmit the sensed data generated through the laser beams received by the light receiver to the sensor controller.

상기 통합제어부는, 상기 대상체를 감지하여, 상기 대상체가 이동객체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객체에 대한 감지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integrated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e object and, when the object is determined to be a moving object, collect and store sensing data for the moving object.

상기 통합제어부는, 상기 이동객체의 위치정보를 외부 CCTV관리센터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이동객체 인근 CCTV가 상기 이동객체를 확대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integrated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to an external CCTV management center server so that a CCTV near the moving object may enlarge the moving object.

상기 통합제어부는, 택배드론의 착륙지점에 대한 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택배드론으로 착륙지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integrated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set a location for the landing point of the delivery drone, and to transmit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landing point to the delivery drone.

상기 통합제어부는, 상기 감지데이터의 광반사율을 측정하여, 상기 광반사율의 변화도와 상기 광반사율 변화도의 비정형성을 통하여 연기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연기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integrated control unit measures the light reflectivity of the sensed data, determines whether smoke is generated through the variation of the light reflectivity and the irregularity of the light reflectance gradient, and outputs an alarm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smoke has occurred. can be configured.

이때, 상기 통합제어부는, 상기 감지데이터에서 상기 광반사율의 변화도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지 여부로 판단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tegrated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degree of change of the light reflectivity in the sensed data is within a preset range.

또한, 상기 통합제어부는, 상기 광반사율의 변화도가 비정형성을 갖는 여부로 판단될 수 있다.Also, the integrated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degree of change of the light reflectance has irregularity.

한편, 상기 통합제어부는, 상기 조사유닛로부터 조사되는 동일에너지의 출력레이저에 대한 상기 수신유닛을 통하여 수신되는 수광레이저들 사이의 수신에너지를 비교 측정하고, 상기 수신에너지들 사이의 차이값이 기 설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수신에너지들 사이의 차이값이 상기 기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대상체가 설치물 또는 독릭객체인지 판단하고, 상기 대상체가 설치물 또는 독립객체로 판단되면 상기 대상체를 조사하는 조사유닛을 판별하여, 해당 상기 조사유닛의 레이저출력량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integrated control unit compares and measures the received energy between the light-receiving lasers received through the receiving unit with respect to the output laser of the same energy irradiated from the irradiation unit, and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received energies is prese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value, and if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received energie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valu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bject is an installation or an independent object, and when the object is determined to be an installation or an independent object, the object is irradiated By determining the unit, it may be configured to reduce the laser output amount of the irradiation unit.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다센서를 이용한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integrat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ing the lidar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라이다센서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감지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어, 신뢰성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신뢰성이 높기 때문에 불필요한 경고음 및 오작동 (동물 혹은 바람 등)을 최소할 수 있다. First, by using the lidar sensor, more accurate detection data can be obtained, so reliable information can be obtained, and because the reliability is high, unnecessary warning sounds and malfunctions (animals or winds, etc.) can be minimized.

둘째, 외부침입에 대한 보안은 물론 건축물에 발생하는 화재 및 건축물의 노후화도 관리할 수 있어 건축물 전반에 대한 효율적인 통합관리가 가능하다. Second, it is possible to manage not only security against external intrusion, but also fire and deterioration of buildings, so that efficient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entire building is possible.

셋째, 건축구조물의 부동침하와 전단변형을 판단할 수 있음은 물론, 건축구조물의 구조물면에 발생된 균열도 판단하여 건축구조물의 효과적인 노후화 관리가 가능하다. Thir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not only the floating settlement and shear deformation of the building structure, but also the effective aging management of the building structure by judging the cracks generated on the structural surface of the building structure.

넷째, 회전프레임을 통하여 라이다센서가 가질 수 있는 감지영역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어 감지영역을 극대화할 수 있다.Fourth, the blind spot of the detection area that the lidar sensor may have can be minimized through the rotating frame, so that the detection area can be maximized.

다섯째, 대상체를 각각의 구조물, 설치물, 독립객체 및 이동객체별로 구분하고, 각 객체별로 해당하는 외부인 침입, 구조물의 균열, 부동침하 또는 전단변형 등에 대응하여 감지 제어함으로써 감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Fifth, the dete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classifying the object by each structure, installation, independent object, and moving object, and controlling the detection and control in response to the intrusion of an outsider corresponding to each object, cracks in the structure, floating subsidence, or shear deformation.

여섯째, 이미지왜곡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여 보다 정확한 감지데이터의 확보가 가능하여 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Sixth, by preventing image distortion from occurring, it is possible to secure more accurate sensing data, thereby improving data reliability.

일곱째, 주야 상관없이 정확한 위치정보 기반의 침입경로 추적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위치 정보와 물체 형상을 종합하여 유용한 알람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CCTV와 적외선 카메라와는 달리 신뢰성과 보안시설물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Seventh, it is possible to track an intrusion path based on accurate location information regardless of day or night, as well as provide useful alarm information by synthesizing location information and object shape to provide reliable and efficient management of security facilities, unlike existing CCTVs and infrared cameras. is possible

여덟째, 라이다센서를 통하여 침입자 파악은 물론 침투 위치 및 침투 및 탈출경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또 감지 영역을 간단한 조작만으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를 극대화 할 수 있다.Eighth, through the lidar sensor, not only can the intruder be identified, but also the infiltration location and the infiltration and escape route can be accurately identified, and the detection area can be easily controlled with a simple operation, thereby maximizing user convenience.

아홉째, 감지영역이 광범위하기 때문에 센서를 과다하게 설치할 필요 없으며, 보안 해지 및 잠금에 대한 승인을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제어할 수 있어 편의성이 좋다.Ninth, since the detection area is wide, there is no need to install excessive sensors, and it is convenient becaus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pproval of security cancellation and locking with a simple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센서를 이용한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라이다센서를 이용한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에서 지지프레임과 회전프레임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라이다센서를 이용한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에서 통합제어부가 대상체를 각 객체별로 구분하는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도 4는 도 3의 통합제어부가 대상체를 구조물로 판단되는 경우 구조물의 전단변형 또는 부동침하를 판단하기 위한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도 5는 도 3의 통합제어부가 대상체를 구조물로 판단되는 경우 구조물의 균열을 판단하기 위한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도 6은 도 3의 통합제어부가 대상체가 이동객체로 판단되는 경우 감지데이터의 수집 및 저장 과정을 나타내튼 절차도이다.
도 7은 도 3의 통합제어부가 대상체가 설치물인 경우 이미지왜곡을 보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tegrat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ing a lidar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upport frame and the rotating frame in the integrat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ing the lidar sensor of FIG. 1 .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flow for the integrated control unit to classify an object for each object in the building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sing the lidar sensor of FIG. 1 .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flow for determining shear deformation or floating settlement of a structure when the integrated control unit of FIG. 3 determines that the object is a structure.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flow for determining a crack of a structure when the integrated control unit of FIG. 3 determines that the object is a structure.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llecting and storing sensing data when the integrated controller of FIG. 3 determines that the object is a moving object.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rrecting image distortion when the object of the integrated control unit of FIG. 3 is an install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센서를 이용한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이하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이라 한단)은, 프레임부(100)와, 라이다센서부(200)와, 센서제어부(300)와, 통합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integrat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building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sing a lidar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unit 100 and a lidar sensor unit. 200 , a sensor control unit 300 , and an integrated control unit 400 may be included.

상기 프레임부(100)는, 건축물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라이다센서부(200)가 결합하여 라이다센서부(200)의 위치를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frame part 100 is fixedly installed in a building, and the lidar sensor part 200 is coupled to serve to fix and support the position of the lidar sensor part 200 .

상기 프레임부(100)는, 지지프레임(110)과, 회전프레임(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rame part 100 may include a support frame 110 and a rotating frame 120 .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센서제어부(300)의 설치위치에 해당하는 건축물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구성은 건축물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의 프레임이 적용 가능하고, 또한 앵커볼트 등을 통하여 건축물에 고정 설치가 가능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 the support frame 110 is fixed to a building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ensor control unit 300 . Here, as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frame 110, if it can be fixedly installed in a building, various types of frames are applicable, and it is also possible to be fixedly installed in the building through anchor bolts, etc.,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상기 회전프레임(120)은,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결합되고, 상기 라이다센서부(200)가 결합된다.The rotating frame 120 is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110 , and the lidar sensor unit 200 is coupled thereto.

한편, 상기 라이다센서부(200)는, 넓은 감지영역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직진성을 갖는 광원의 특성 및 건축구조물의 구조적인 특징 등으로 인하여 감지사각영역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 때문에, 이러한 감지사각영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보다 많은 라이다센서부(200)들을 설치하여 이를 보완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라이다센서부(200) 과다 설치 등으로 비용 상승은 물론 앵커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으로 인한 건축물의 손상을 초래하고 건축물의 미관을 저하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lidar sensor unit 200 has a wide sensing area, there is inevitably a sensing blind area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source having straightness an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structure. 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the detection blind area, it is possible to supplement this by installing more lidar sensor units 200 . However, in this case, the cost increase due to excessive installation of the lidar sensor unit 200, etc., as well as damage to the building due to coupling means such as anchor bolts, and lowering the aesthetics of the building.

이에, 본 발명은 라이다센서부(200)를 많이 설치하는 대신, 라이다센서부(200)가 결합되는 회전프레임(120)이 회전되도록 하여 라이다센서부(200)의 감지영역을 확대시키고, 이를 통해 감지사각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enlarges the sensing area of the lidar sensor unit 200 by rotating the rotation frame 120 to which the lidar sensor unit 200 is coupled, instead of installing a lot of the lidar sensor unit 200 . , through which it can be configured to minimize the detection blind area.

이에 상기한 회전프레임(120)의 회전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회전프레임(120)은,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센서제어부(300)의 구동신호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제어된다. Accordingly, looking at the rotation configuration of the rotation frame 120 , the rotation frame 1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110 , and is controlled to be rotated by a driving signal of the sensor control unit 300 . do.

상세하게, 상기 회전프레임(120)은, 제1회전축부(121)와, 제2회전축부(122)를 포함하여 2축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rotation frame 120 may include a first rotation shaft part 121 and a second rotation shaft part 122 so as to be capable of two-axis rotation.

상기 제1회전축부(121)는,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라이다센서부(200)를 수평 또는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The first rotation shaft unit 12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110 , and is configured to rotate the lidar sensor unit 200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제2회전축부(122)는, 일측은 상기 제1회전축부(121)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라이다센서부(200)가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라이다센서부(200)를 상기 제1회전축부(121)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1회전축부(12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part 122, one sid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part 121, and the lidar sensor part 200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and the lidar sensor part according to the rotation. 200 is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rotational shaft portion 121 to rotate about a rotational axis orthogonal to the rotational axis of the first rotational shaft portion 121 .

한편, 상기 제1회전축부(121)와 상기 제2회전축부(122)의 구성은, 각각 상기 센서제어부(300)의 구동신호에 의하여 구동 제어되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회전구동부와 연결되어 축회전 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공지의 회전기어부를 포함하는 구성 등 상기한 2축회전 구성이라면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rotation shaft part 121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part 122 is a rotation driving part which is driven and controlled by a driving signal of the sensor control part 300, respectively, and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driving part to rotate the shaf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otation shaft and a body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and various configurations may be applied if the above-described two-axis rotation configuration, such 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known rotation gear unit.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회전프레임(120)은, 제1회전축부(121)와 제2회전축부(122)를 통하여 상기 라이다센서부(200)를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상기 라이다센서부(200)의 감지영역을 최대한 확대할 수 있으며, 감지사각영역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the rotating frame 120 can rotate the lidar sensor unit 200 in a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the first rotating shaft part 121 and the second rotating shaft part 122 as well as vertically. Since it can be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detection area of the lidar sensor unit 200 can be enlarged as much as possible, and the detection blind area can also be minimized.

한편, 도면에서, 상기 제1회전축부(121)는, 수평한 방향으로 위치하여 일측이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결합하고,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대하여 가상의 수평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drawing, the first rotation shaft part 121 is position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ne side is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110 , and can be rotated about a virtual horizontal rotation axi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frame 110 . are tightly coupled.

그리고 상기 제2회전축부(122)는,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져 상측이 상기 제1회전축부(121)의 타측 하부에 결합하고, 상기 제1회전축부(121)에 대하여 가상의 수직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한 방향 및 수직한 방향이라 함은 횡방향 및 종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수평수직 방향뿐만 아니라 경사진 방향까지 포함하고 있음은 물론이다.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portion 122 is er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side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rotation shaft portion 121, and a virtual vertical rotation axis with respect to the first rotation shaft portion 121 as a center rotatably coupled. Here,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refer to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f course include not only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but also the inclined directions.

이에 따르면 상기 센서제어부(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축부(121)와 제2회전축부(122)를 통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함은 물론 수평한 방향으로도 회전하여 감지영역을 확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감지사각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the sensor control unit 300 not only rot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first rotation shaft part 121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part 122 as shown, but also rotat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a sensing area. It can be enlarged, and thus the detection blind area can be minimized.

한편, 상기한 제1회전축부(121)와 제2회전축부(122)는 각각 수평 및 수직하게 위치하고 있으나, 다양한 형태로도 설치가능하며, 상기한 서로 다른 방향의 2축회전이 가능하다면 다양한 설계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first rotation shaft part 121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part 122 are position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respectively, they can be installed in various shapes, and if the above-described two-axis rotation in different directions is possible, various designs is of course possible.

상기 라이다센서부(200)는, 상기 프레임부(100)에 설치되고, 광원을 이용하여 대상체의 위치와 형상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The lidar sensor unit 200 is installed on the frame unit 100 and is configured to detect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object using a light source.

상세하게, 상기 라이다센서부(200)는, 광조사부(210)와, 광수신부(220)와, 데이터전송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lidar sensor unit 200 may include a light irradiation unit 210 , a light receiving unit 220 , and a data transmission unit 230 .

상기 광조사부(210)는, 복수의 행열로 배열되는 조사유닛들을 통하여 상기 대상체에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사유닛은, 레이저 광원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은 공지의 레이저조사수단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The light irradiation unit 210 is configured to irradiate a laser to the object through irradiation units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Here, the irradiation unit, is configured to irradiate a laser light source, such a configuration can be applied to the configuration of a known laser irradiating means.

상기 광수신부(220)는, 수신유닛들을 포함하여 조사유닛들을 통하여 조사된 후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신유닛들은, 상기 광조사부(210)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조사유닛으로부터 조사되어 반사된 레이저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light receiving unit 220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laser reflected after being irradiated through the irradiation units, including the receiving units. Here, the receiving units are configur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ight irradiator 210, and are configured to receive the laser irradiated and reflected from the irradiating unit.

여기서, 상기 광수신부(220)는, 반사된 레이저를 수신함은 물론, 반사된 레이저의 에너지정보 등 상기 레이저의 다양한 정보도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Here, the light receiving unit 220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reflected laser, as well as to receive various information of the laser, such as energy information of the reflected laser.

한편, 상기 조사유닛과 수신유닛들은, 공지의 VCSEL(vertical-cavity surface-emitting laser)와 같이 행열로 이루어진 광원을 조사하는 구성과 대응되며, 이들의 개수와 배열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 감지범위와 설치위치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rradiation unit and the receiving unit correspond to the configuration of irradiating a light source consisting of a matrix, such as a known VCSEL (vertical-cavity surface-emitting laser), and the number and arrangement thereof can be set in various ways. Of course, it can be designed in various ways in consideration of the detection range and installation location.

상기 데이터전송부(230)는, 상기 광수신부(220)에 수신되는 레이저광들을 통하여 생성된 상기 감지데이터를 상기 센서제어부(3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The data transmitter 230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sensed data generated through the laser beams received by the light receiver 220 to the sensor controller 300 .

여기서, 상기 감지데이터는, 조사된 레이저의 에너지정보와 수신된 레이저의 에너지정보를 포함하며, 레이저의 조사 후 수신된 시간 등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ensed data includes energy information of the irradiated laser and energy information of the received laser, and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a received time after irradiating the laser.

상기 센서제어부(300)는, 상기 통합제어부(4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라이다센서부(200)의 광수신부(220)와 광조사부(210)를 구동 제어하고, 상기 라이다센서부(200)의 데이터전송부(230)로부터 수신된 감지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The sensor control unit 300 drives and controls the light receiving unit 220 and the light irradiation unit 210 of the lidar sensor unit 20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and the lidar sensor It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sensed data received from the data transmission unit 230 of the unit 200 .

또한, 상기 센서제어부(300)는, 상기 통합제어부(4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프레임부(100)에 구동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sensor control unit 300 is configured to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and transmit a driving signal to the frame unit 100 .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상기 센서제어부(300)로부터 수집된 감지데이터를 분석하고,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analyzes the sensed data collected from the sensor control unit 300 and serves to transmit a control signal.

즉,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상기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으로 감지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센서제어부(300)로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프레임부(100)와 라이다센서부(200)의 구동을 제어한다. That is,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analyzes the sensed data in a configuration that controls the overall building management system,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sensor control unit 300 to the frame unit 100 and the lidar sensor unit. (200) control the driv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상기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제어하여, 외부인 침입, 화재, 건축물의 균열 또는 기울어짐 등 건축물의 통합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의 효율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controls the integrat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as a whole to perform integrated management of buildings such as intrusion from outsiders, fires, cracks or inclinations of buildings, and the efficient management is required

이에,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상기 감지데이터를 통하여 대상체들의 위치변화를 시계열적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에 따라 각각의 객체(object)들로 구분하여 감지되는 대상체들을 이동가능성 여부에 따라 객체들로 구분하고, 구분된 객체별로 행동특성 및 변화특성 등의 분석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효율적으로 관리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measures changes in the positions of the objects in time series through the sensed data, classifies them into individual objects according to the measured results, and moves the sensed object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y are movable. It can be configured to efficiently manage and control objects by classifying them into objects and analyzing them according to analysis criteria such a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change characteristics for each divided object.

이러한 객체별 통합제어부(400)의 제어를 살펴봄에 앞서 우선, 상기 객체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Before examining the control of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for each object, first, the object will be examined.

상기 객체는, 구조물과, 설치물과, 독립객체와, 이동객체로 구분할 수 있다. The object may be divided into a structure, an installation, an independent object, and a moving object.

먼저, 상기 구조물은, 상기 위치변화가 설정된 제한값 보다 미만인 구성으로, 이때의 제한값은 구조물의 기울어짐을 고려한 이동을 고려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구조물은, 그 위치가 거의 고정된 구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건축물이 대표적인 예로 구성할 수 있다. First, the structure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osition change is less than a set limit value, and the limit value at this time considers the movement in consideration of the inclination of the structure. Accordingly, the structure may represent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osition is almost fixed, and a building may be configur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다음으로, 상기 설치물은, 위치변화가 설정된 제한값 이상이고, 위치변화에 주기성이 있는 구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위치변화의 주기성은 일정 주기를 갖고 그 위치변화가 일정패턴으로 발생되는 것을 포함하며, 통상 건축물에 설치된 개폐도어 등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Next, the installation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osition chang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limit value, and the position change has periodicity. Here, the periodicity of the location change includes that the location change has a certain period and that the location change occurs in a certain pattern, and may include a configuration such as an opening/closing door normally installed in a building.

상기 독립객체는, 위치변화가 설정된 제한값 이상이고, 위치변화에 주기성이 없되, 정지시간이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구성을 나타낸다. 즉, 상기 독립객체는, 구조물과 분리되어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위치변화는 있으나 일정한 패턴이 없는 구성으로, 건축물에 설치된 소화기나, 가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dependent object represent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hange in posi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limit value, there is no periodicity in the change in position, and the stop tim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t reference value. That is, since the independent object can move separately from the structure, it has a location change but does not have a certain pattern, and may include a fire extinguisher or furniture installed in a building.

상기 이동객체는, 위치변화가 설정된 제한값 이상이고, 위치변화에 주기성이 없되, 정지시간이 설정된 기준값 미만인 구성을 나타낸다. 이에 따르면 상기 이동객체는, 건축물에서 특정 주기성을 갖지 않고 이동함은 물론, 정지시간이 길지 않아 이동성이 잦은 구성을 나타내며, 사람이나 동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oving object represent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hange in posi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limit value, there is no periodicity in the change in position, and the stop time is less than a set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this, the moving object not only moves without a specific periodicity in a building, but also exhibits a configuration with frequent mobility because the stop time is not long, and may include a person, an animal, or the like.

이하에서는, 상기 통합제어부(400)가 대상체를 객체별로 구분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a process in which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classifies an object by object will be described.

우선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대상체들의 위치변화량과 위치변화의 주기성 및 대상체의 정지시간을 통하여 대상체를 각 객체별로 구분할 수 있다. First, the integrated controller 400 may classify the object for each object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object, the periodicity of the change in position, and the stopping time of the object.

여기서, 상기 위치변화량은, 설정된 시간 동안 대상체의 위치변화량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위치변화에 대한 주기성은, 이러한 위치변화가 등장시점부터 사라지는 시점까지 반복적인 주기성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Here, the position change amount means the position change amount of the object for a set time. And the periodicity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change means that the position change has a repetitive periodicity from the time of appearance to the time of disappearance.

도 3을 참조하면, 이렇게 객체구분 기준이 설정되면,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우선 감지데이터를 수집하고(S11), 수집된 감지데이터를 통하여 판단하고자 하는 대상체를 특정한다(S12). Referring to FIG. 3 , when the object classification criterion is set in this way,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first collects sensed data (S11), and specifies an object to be determined through the collected sensed data (S12).

그런 다음,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특정된 해당 대상체에 대한 객체를 구분하기 위하여, 먼저 대상체의 위치변화량과 제한값을 비교하여, 대상체의 위치변화량이 제한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3). Then, in order to classify the specified object for the corresponding object, the integrated controller 400 first compares the position change amount of the object with the limit value, and determines whether the position change amount of the objec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limit value (S13).

여기서, 상기 제한값은 극히 작은 값으로서, 위치변화량이 제한값 미만이라는 것은 그 위치가 거의 고정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대상체가 건축물과 같은 구조물인 경우 상기 제한값은 이러한 구조물의 기울어짐을 고려한 값이라 할 수 있다. Here, the limit value is an extremely small value, and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position is less than the limit value, the position is almost fixed, and when the object is a structure such as a building, the limit value is a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inclination of the structure. .

한편, 상기에서,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대상체의 위치변화량이 제한값 미만이면, 상기 대상체를 구조물로 판단한다(S15).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변화량이 제한값 미만이라는 것을 그 위치가 고정된 것이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대상체는 그 위치가 고정된 건축물과 같은 구조물임을 나타낼 수 있다. Meanwhile, in the above,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object is less than the limit value,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determines that the object is a structure ( S15 ).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is fixed when the amount of position change is less than the limit value, and in this case, the object can indicate that the position is a fixed structure, such as a building.

반면, 상기에서 대상체의 위치변화량이 제한값 이상이면, 다음 과정으로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대상체의 위치변화에 주기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On the other hand, if the amount of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objec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limit value,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periodicity in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object in the following process (S14).

이때,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상기 대상체의 위치변화에 주기성이 있는 경우 상기 대상체를 설치물로 판단한다(S16). 이는, 상기한 대상체의 위치변화가 주기성을 갖는 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건축물에 설치된 회전도어와 같이 위치이동패턴을 갖는 다는 것으로 이러한 경우 설치물로 판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 In this case,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determines that the object is an installation when there is a periodicity in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object (S16). This is because, as described above, that the position change of the object has a periodicity means that it has a position movement pattern like a rotating door installed in a building, and in this case, it can be determined as an installation.

반면,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상기 대상체의 위치변화에 주기성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대상체가 독립객체인지 또는 구동객체인지를 구분하기 위하여, 대상체의 정지시간을 측정하고, 대상체의 정지시간이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7).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no periodicity in the position change of the object,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measures the stop time of the object in order to distinguish whether the object is an independent object or a driving object, and the stop time of the object is a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abnormal (S17).

이에,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대상체의 정지시간이 기준값 이상이면 독립객체로 판단하고(S18), 대상체의 정지시간이 기준값 미만이면 구동객체로 판단한다(S19).Accordingly,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determines that the object is an independent object if the stop time of the objec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S18), and determines that the object is a driven object if the stop time of the object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S19).

이하에서는, 상기 통합제어부(400)의 각 객체별 다양한 세부 제어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various detailed control methods for each object of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대상체가 구조물로 판단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면, 구조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설치된 건축물에 해당되는 것으로, 이러한 구조물의 경우 안전상의 관리 또는 변형을 포함하는 노후화 관리가 필요하다.First, looking at the case where the object is determined to be a structure, the structure corresponds to the fixedly installed building as described above, and in the case of such a structure, safety management or aging management including deformation is required.

이에,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구조물에 수평력이 작용하여 구조물 수직부재와 수평부재 사이의 경사도가 변형되는 전단변형과, 지반 부동침하에 의해 발생되는 구조물의 기울어짐과, 구조물의 외력이나 노후화에 의해 발생되는 균열을 각각 분석하고 점검하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the shear deformation in which the inclination between the structure vertical member and the horizontal member is deformed by the horizontal force acting on the structure, the inclination of the structure caused by the floating subsidence of the ground, and the external force or deterioration of the structure Analyze and inspect each crack caused by

여기서, 상기 부동침하(부등침하)라 함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유발되는 구조물 지지기반의 균등하지 않는 상태에 의하여 구조물의 침하량이 동일하지 않아 구조물 전체가 기울어지는 모든 침하를 지칭한다. 또한, 균열이라 함은 벽체, 기둥, 슬라브, 보 등의 구조부재에 발생되는 크랙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의 박리, 압축파괴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Here, the floating settlement (unequal settlement) refers to all settlements in which the entire structure is inclined because the amount of settlement of the structure is not the same due to the uneven state of the support base of the structure caused by various causes. In addition, the term "crack" is used to include not only cracks occurring in structural members such as walls, columns, slabs, beams, but also peeling of concrete, compression fracture, and the like.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통합제어부(400)가 이러한 구조물의 전단변형 또는 부동침하 또는 균열을 각각 판단하는 경우에 대하여 각각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a case in which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determines shear deformation or floating settlement or cracking of such a structure will be described, respectively.

우선, 구조물의 전단변형을 판단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First, a case of determining the shear deformation of a structure will be described.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대상체가 구조물로 판단되면(S21), 구조물의 경계선 사이의 상대각도들을 측정하고, 이러한 상대각도 변화를 측정한다(S22). 이때, 측정대상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물의 구조부재를 그 대상으로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when the object is determined to be a structure ( S21 ), the integrated controller 400 measures relative angles between the boundary lines of the structure and measures the change in the relative angle ( S22 ). In this case, the measurement target may be the structural member of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이 후,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구조물 경계선 사이의 상대각도 변화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S23), 이러한 구조물의 상대각도 변화가 발생되면 구조물의 누적된 상대각도 변화량을 측정하고, 이러한 상대각도 변화량이 선형성을 갖고 있는지 판단한다(S24).Thereafter,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determines whether the relative angle between the boundary lines of the structure changes (S23), and when the relative angle change of the structure occurs, the accumulated relative angle change amount of the structure is measured, and the relative angl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mount of change has linearity (S24).

이때,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구조물의 누적된 상대각도 변화량이 선형성을 갖고 있다고 판단되면, 해당 구조물은 전단변형이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한다(S26). 이는, 구조물의 누적된 상대각도 변화량이 선형성을 갖는 다는 것은, 해당 구조물은 기울어짐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 At this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ccumulated relative angle change amount of the structure has linearity,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determines that the structure undergoes shear deformation (S26). This is because the fact that the accumulated relative angle change of the structure has linearity can be determined that the structure is tilting.

반면,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구조물의 누적된 상대각도 변화량이 선형성을 갖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이전의 구조물 경계선 사이의 상대각도 측정을 다시 실시한다(S22).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ccumulated relative angle change amount of the structure does not have linearity,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performs the measurement of the relative angle between the previous structure boundary lines again (S22).

한편, 상기한 바에 따라 구조물의 전단변형이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이러한 구조물에 대한 감지데이터를 누적하여 수집 및 저장한다(S28).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hear deformation of the structure proceeds as described above,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accumulates, collects and stores the sensed data for the structure (S28).

이 후 상기 구조물에 대한 누적된 감지데이터를 통해 구조물의 전단변형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 구조설계안전상의 위험범위에 속하게 되면, 이를 통합관리자에게 알람신호를 출력하여(S29) 안전점검을 실시하도록 한다. Afterwards, if the shear deformation of the structure is out of the set range through the accumulated detection data for the structure and falls within the risk range for structural design safety, an alarm signal is output to the integrated manager (S29) to conduct a safety check.

다음으로, 상기 구조물의 부동침하를 판단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Next, a case of determining the floating settlement of th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이에 앞서, 구조물의 부동침하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부동침하는 구조물의 기초지반이 비균일하게 침하함에 따라 구조물 전체가 기울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부동침하는 구조물 경계선 사이의 상대각도 변화를 통하여 판단할 수 없다. 때문에, 이러한 부동침하를 판단하기 위하여 구조물 구조부재의 중력방향에 대한 위치(방향)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부동침하를 판단할 수 있다.Prior to this, looking at the floating settlement of the structure, the floating settlement means that the entire structure inclines as the base ground of the structure settles non-uniformly, and this floating settlement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change of the relative angle between the boundary lines of the structure. can't Therefore, in order to determine the floating settlement, a change in the position (direction) of the structural member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gravity is measured, and the floating settlement can be determined through this.

이에, 먼저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대상체가 구조물로 판단되면(S21), 구조물의 경계선 사이의 상대각도 변화를 측정(S22)하여, 구조물 경계선 사이의 상대각도 변화 여부를 판단(S23)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Accordingly, first, when the object is determined to be a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S21),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measures the change in relative angle between the boundary lines of the structure (S22) to determine whether the relative angle between the boundary lines of the structure changes. (S23) is performed.

그리고 이때,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구조물의 상대각도 변화가 없다고 판단되면, 다음으로 구조물의 중력방향 변화가 있는지를 판단한단(S25).And at this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change in the relative angle of the structure,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direction of gravity of the structure next (S25).

만약, 이때 구조물의 중력방향 변화가 없으면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구조물에 대하여 특정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고, 구조물 경계선 사이의 상대각도 변화를 지속적으로 측정한다.If there is no change in the direction of gravity of the structure at this time,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determines that there is no specific problem with the structure, and continuously measures the change in the relative angle between the boundary lines of the structure.

반면, 상기에서 구조물의 중력방향 변화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구조물의 부동침하가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한다(S27). 이때,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부동침하 발생을 판단하는데 있어 만약 구조물 내에 복수의 라이다센서부(200)가 장착된 경우, 각 라이다센서부(200)에서 측정된 부동침하량의 일치정도에 따라 이를 구조물의 부동침하 또는 개별 라이다센서의 지지하자로 판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change in the direction of gravity of the structure,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determines that the floating settlement of the structure occurs (S27). At this time,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in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floating settlement, if a plurality of lidar sensor parts 200 are mounted in the structure, the degree of agreement of the floating settlement amount measured by each lidar sensor part 200 Accordingly, it can be judged as the floating settlement of the structure or the support defect of the individual lidar sensor.

한편, 상기한 바에 따라 구조물의 부동침하가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상기한 구조물에 대한 감지데이터를 누적하여 수집 및 저장하고(S28), 이후 해당 구조물의 부동침하량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 구조안전상의 설정 위험범위 내에 속하게 되면, 이를 통합관리자에게 알람신호를 출력하여 안전점검을 실시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loating settlement of the structure occurs as described above,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accumulates, collects and stores the sensing data for the structure (S28), and thereafter, the amount of the floating settlement of the structure If it goes out of the set range and falls within the set risk range for structural safety, it outputs an alarm signal to the integrated manager to carry out safety check.

다음으로, 구조물의 균열을 판단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Next, a case of judging a crack in a structure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구조물의 균열을 판단하기 위하여 구조물로 판단되는 대상체의 구조물면의 형상변화를 감지하고, 구조물면의 형상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형상변화량이 증가하는지 여부를 통하여 판단한다.First,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detects a change in the shape of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of the object determined to be a structure in order to determine the crack of the structure, and when the change in the shape of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occur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mount of change in the shape increases. do.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대상체가 구조물로 판단되면(S31), 구조물면의 형상을 감지한다(S32).Referring to FIG. 5 ,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detects the shape of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bject is a structure ( S31 ).

그리고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구조물면의 형상변화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33). And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determines whether the shape of the structure surface is changed (S33).

여기서,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구조물면의 형상변화가 없다고 판단되면, 구조물면의 형상을 지속적으로 감지하고(S32), 반면 구조물면의 형상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구조물면의 누적된 형상변화량이 기 설정된 변화량 범위 내에서 선형성을 갖는지 그 여부를 판단한다(S34).He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change in the shape of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continuously detects the shape of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S32).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a change in the shape of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the accumulated shape change amount of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has linearity within this preset variation range (S34).

이때,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누적된 형상변화량이 기 설정된 변화량 범위 내에서 선형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는 건축물의 내장재 또는 외장재의 파손이나, 구조물 오염 등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구조물면의 형상을 지속적으로 감지한다(S32).At this time, when the accumulated shape change does not have linearity within the preset change amount range,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determines that it is caused by damage to the interior or exterior materials of the building, contamination of the structure, etc., and determines the shape of the structure surface. Continuously detects (S32).

하지만,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구조물면의 누적된 형상변화량이 기 설정된 변화량 범위 내에서 선형적으로 증가하게 되면 해당 구조물에 균열이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한다(S35). However,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determines that the crack progresses in the structure when the accumulated shape change amount of the structure surface increases linearly within the preset change amount range (S35).

이는 시간이 지날수록 매우 느린 속도로 진행되는 균열의 특성을 감안할 때 구조물면의 형상변화량이 기 설정된 변화량 범위 내에서 증가한다는 것은 구조물에 균열이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given the characteristics of cracks that progress at a very slow rate as time goes by, increasing the amount of change in the shape of the structure surface within the preset change range may mean that the crack is progressing in the structure.

상기한 바에 따라 구조물의 균열이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해당 구조물에 대한 감지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고(S36), 이후 상기 구조물의 형상변화량이 구조설계안전상의 위험범위에 속하게 되면, 이를 통합관리자에게 알람신호를 출력하여(S37) 안전점검을 실시하도록 한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rack of the structure is progressing as described above,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collects and stores the detection data for the structure (S36), and thereafter, the amount of change in the shape of the structure falls within the risk range for structural design safety. If it belongs, it outputs an alarm signal to the integrated manager (S37) to conduct a safety check.

한편, 전술에서는 상기 통합제어부(400)가 대상체가 구조물인 경우 구조물의 전단변형 또는 부동침하 또는 균열을 판단하는 경우에 대하여 나타내었다.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ase in which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determines the shear deformation or floating settlement or cracking of the structure when the object is a structure has been described.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대상체가 이동객체인 경우 상기 통합제어부(400)의 분석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n analysis process of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when the object is a moving objec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우선, 이동객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자유이동이 가능한 사람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렇게 대상체가 이동객체인 경우에는 보안 등을 위하여 이동객체의 데이터를 수집 및 감시할 필요가 있다. First, a moving object can be classified as a person who can move freely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when the object is a moving object, it is necessary to collect and monitor data of the moving object for security and the like.

이에,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먼저 대상체를 감지하고(S41), 대상체가 이동객체로 판단되는지 여부를 분석한다(S42). 이 과정에서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대상체가 이동객체로 판단되면 해당 이동객체에 대한 감지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고(S43), 대상체가 이동객체가 아닌 경우에는 다시 대상체를 감지한다.Accordingly, the integrated controller 400 first detects the object (S41) and analyzes whether the object is determined to be a moving object (S42). In this process, when the object is determined to be a moving object, the integrated controller 400 collects and stores sensing data for the corresponding moving object (S43), and when the object is not a moving object,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detects the object again.

한편, 여기서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감시 보안 작업을 위하여, 이동객체로 판단되는 대상체의 위치이동을 감지하여 이동객체의 위치이동이 중지되면, 감지데이터의 수집 및 저장을 중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here,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for efficient and economical monitoring and security work, detects the movement of the object determined to be a moving object, and stops the collection and storage of the sensed data when the movement of the moving object is stopped. can do.

나아가,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수집된 상기 이동객체의 감지데이터 정보를 외부 CCTV관리센터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이동객체 인근 CCTV가 상기 이동객체를 확대 촬영하도록 하여, 이동객체의 보다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transmits the collected detection data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to the external CCTV management center server, so that the CCTV near the moving object takes an enlarged picture of the moving object, so that more accurate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can be configured to obtain

한편, 이하에서는 이미지왜곡 등을 보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보다 정확한 감지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Meanwhile, in the following,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configured to correct image distortion and can acquire more accurate sensed data will be described.

우선, 본 발명은 출력레이저와 이에 반사되는 수광레이저를 통하여 감지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통해 건축물의 통합관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었음은 전술한 바 있다.First, it has been described above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cquire sensing data through an output laser and a light-receiving laser that is reflected thereto, and to perform integrated management of a building through this.

이를 고려하여 볼 때, 상기한 대상체가 광원의 반사 등에 영향을 주는 소재로 이루어진 경우, 해당 대상체에 반사된 광원의 에너지만 다른 대상체에 반사된 광원의 에너지에 비하여 현저히 높으므로, 수신되는 레이저 사이의 간섭에 의해 반사소재 대상체 주변의 감지왜곡을 발생시켜 감지데이터의 정확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In consideration of this, when the object is made of a material that affects the reflection of the light source, only the energy of the light source reflected on the object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energy of the light source reflected on the other object, so The interference may cause sensing distortion around the reflective material object, thereby reducing the accuracy of the sensing data.

가령, 대상체가 유리 또는 거울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감지데이터는, 대상체가 출력레이저를 반사시키는 과정에서 수광레이저의 수신에너지가 높게 되고, 이렇게 높은 수신에너지는 다른 수광레이저에게 간섭을 일으키게 되어 감지데이터의 정확성을 저하시킴은 물론, 이미지왜곡 등과 같은 현상을 야기 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object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glass or a mirror, in the sensed data, the received energy of the light receiving laser becomes high while the object reflects the output laser, and this high received energy causes interference with other light receiving lasers. It may cause phenomena such as image distortion as well as lowering the accuracy of the sensed data.

때문에, 본 발명은, 이러한 간섭 등으로 인하여 이미지왜곡이 발생될 수 있는 점을 감안하여,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considering that image distortion may occur due to such interference,

이를 예방하도록 출력에너지와 수신에너지의 차이가 설정값보다 큰 해당 조사유닛의 레이저출력량을 감소시키고, 이에 대응하여 반사되는 수신에너지도 감소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한 감지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output energy and the received energy can be configured to reduce the laser output amount of the corresponding irradiation unit greater than the set value, and to reduce the received energy reflected in response thereto, so that more accurate sensing data can be obtained.

나아가, 본 발명은 이러한 이미지왜곡을 보정하는 과정에서 그 대상체를 설치물 또는 독립객체로 그 대상을 한정하여 나타내기로 한다. 이는, 구조물의 경우 설정초기 해당 구조물이 갖고 있는 데이터를 통하여 보정설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며, 이동이 잦은 이동객체인 경우 보정데이터의 효용성이 적기 때문이다. 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correcting such image distortion, the object is limited to an installation or an independent object. 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a structure, correction setting is possible through the data of the structure at the initial stage of setting, and in the case of a moving object that moves frequently, the utility of the correction data is small.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통합제어부(400)의 이미지왜곡 보정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an imag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4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먼저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조사유닛로부터 조사되는 동일에너지의 출력레이저에 대한 수신유닛을 통하여 수광레이저들 사이의 수신에너지를 비교 측정하고(S51), 이에 수신에너지들 사이의 차이값이 설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2). First,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compares and measures the received energy between the light-receiving lasers through the receiving unit for the output laser of the same energy irradiated from the irradiation unit (S51), and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received energies is se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value is greater than the value (S52).

여기서, 상기 설정값은 간섭 등으로 인하여 이미지왜곡이 발생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에너지 차이값으로서 이는 감지데이터를 이용한 통합제어부(400)의 알고리즘과, 수신유닛의 성능 등에 따라 그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다.Here, the set value is an energy difference value by which it can be determined that image distortion may occur due to interference, etc., and the set value is set according to the algorithm of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using the sensed data and the performance of the receiving unit. can

상기한 과정에서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상기 수신에너지들 사이의 차이값이 기 설정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대상체가 설치물 또는 독립객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3). 이러한 대상체의 객체 판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효과적인 데이터처리 및 관리를 하기 위한 것으로, 이미지왜곡이 단시간에 일시적인 경우에는 이에 보정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것이 비효율적이기 때문이다.In the above proces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ceived energie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determines whether the object is an installation or an independent object (S53). This is because the object determination of the object is for effective data processing and managemen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inefficient to apply the correction algorithm to the case where the image distortion is temporary in a short time.

이에 따라, 대상체가 설치물 또는 독립객체인 경우,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해당 대상체를 조사하는 조사유닛을 판별한다(S54). 여기서, 해당 대상체를 조사하는 조사유닛 판별은, 회전프레임(120)으로 인한 조사유닛의 위치이동 등을 고려한 알고리즘을 통하여 판별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object is an installation or an independent object,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determines the irradiation unit for irradiating the object (S54). Here, the determination of the irradiation unit for irradiating the object may be determined through an algorithm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irradiation unit due to the rotation frame 120 .

상기한 과정에 의하여, 해당 대상체를 조사하는 조사유닛이 판별되면,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해당 조사유닛의 레이저출력량을 감소시켜(S55) 수신에너지들 사이의 차이값이 적정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이미지왜곡을 보정한다(S56).When the irradiation unit that irradiates the object is determined by the above process,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reduces the laser output amount of the irradiation unit (S55)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ceived energies is maintained within an appropriate range. and corrects image distortion through this (S56).

여기서, 상기 조사유닛의 레이저출력량의 감소값은, 출력에너지와 수신에너지 차이값과, 다른 수광레이저의 수신에너지값 등과 비교하여 그 값을 설정할 수 있다. Here, the reduction value of the laser output amount of the irradiation unit may be set by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output energy and the received energy, and the received energy value of the other light-receiving lasers.

한편, 상기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은, 전술한 건축물의 균열 또는 기울어짐 감지와, 외부인의 침입에 따른 보안을 비롯하여, 드론을 이용한 택배시스템과 연계하여 드론택배의 효율적인 관리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building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detection of cracks or inclinations of the above-described building, security according to the intrusion of an outsider, and also possible efficient management of drone delivery in connection with the delivery system using a drone.

이를 위하여,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해당 건축물에서 택배드론의 착륙지점에 대한 위치를 설정하고, 이렇게 설정된 착륙지점의 위치정보를 해당 택배드론이나 드론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여 효율적인 드론택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sets the location of the landing point of the delivery drone in the building,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anding point set in this way to the delivery drone or the drone management system to make efficient drone delivery. It can be configured to

더불어, 상기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은, 건축물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감지하고 이에 따른 화재알람을 실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fire occurring in a building and implement a fire alarm accordingly.

이를 위해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상기 감지데이터의 광반사율을 측정하고, 상기 광반사율의 변화도와 광반사율 변화도의 비정형성을 통하여 연기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연기가 발생된 것으로 분석되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범위의 광반사율 변화도는 통상 연기입자에 의하여 측정되는 광반사율 변화 범위를 나타낸다.To this end,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measures the light reflectivity of the sensed data, determines whether smoke is generated through the irregularity of the degree of change of the light reflectivity and the degree of change of the light reflectance, and when it is analyzed that smoke is generated, a fire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n alarm signal by determining that has occurred. Here, the degree of change in light reflectance in the preset range indicates a range of change in light reflectance measured by smoke particles.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수광레이저 전체에 대한 광반사율의 변화도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연기발생을 판단한다. 이는, 이동객체나 독립객체에 의한 광반사율 저하인지 여부를 구분하기 위함이다.As described above,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determines whether smoke is generat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degree of change in light reflectivity for the entire light-receiving laser is within a preset range. This is to distinguish whether the light reflectance is lowered by a moving object or an independent object.

또한,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이러한 광반사율 변화도가 비정형성을 갖는지 여부에 따라 연기발생을 판단한다. 이는, 주변조도 등의 변화와 연기에 의해 유발되는 광반사율 저하를 구분하기 위하여 연기의 확산특성을 이용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determines the smoke gener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light reflectance gradient has irregularity. This is to use the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smoke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changes in ambient illuminance, etc. and a decrease in light reflectance caused by smoke.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통합제어부는, 연기가 발생하게 되면 연기 입자에 의하여 광반사율이 저하되고, 연기의 확산 특성에 의하여 광반사율 변화도가 비정형성을 갖게 되는 것을 감안하여, 이러한 광반사율 변화도와 광반사율 변화도의 비정형성을 포함하는 특성을 통하여 연기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대한 안전점검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tegrated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reduce the light reflectance due to smoke particles when smoke is generated, and considering that the light reflectance change rate is irregular due to the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smoke, the light reflectance change rate and Through the characteristics including irregularity of the light reflectance gradien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smoke is generated and to conduct a safety check.

여기서, 상기 알람신호는, 건축물 내 화재경보 스피커 또는 관리자단말기로 전송되어 시각 및 청각적으로 알람을 발생하고, 외부 소방기관으로 알람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Here, the alarm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a fire alarm speaker or a manager terminal in a building to generate an alarm visually and aurally, and may transmit an alarm signal to an external fire engine.

이는, 화재 시 발생되는 연기는 조사되는 레이저의 광반사율을 저하시키는 것을 감안한 것으로서, 상기 통합제어부(400)는, 광반사율이 설정범위로 낮으면 연기가 발생된 것으로 보고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This is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smoke generated during a fire lowers the light reflectivity of the irradiated laser, and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00 considers that smoke has occurred and determines that a fire has occurred if the light reflectivity is low within a set range. .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which are merely exemplar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한편, 상기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은, 이하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building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may be configur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below.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은, 라이다센서와, 전송모듈과, 분석모듈과, 검출신호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Looking at this, the building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lidar sensor, a transmission module, an analysis module, and a detection signal module.

먼저, 상기 라이다 센서는 보안시설물의 특정 감시영역의 중앙에 설치되는 라이다 센서의 TX모듈과 수집된 포인트 클라우드(Point Cloud) 데이터를 수신하여 침입여부를 판단하여 경보를 발령하는 RX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First, the lidar sensor consists of a TX module of the lidar sensor installed in the center of a specific monitoring area of a security facility, and an RX module that receives the collected point cloud data,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intrusion, and issues an alarm. can

상세하게, 상기 라이다 센서는 측정 영역 중앙에 TX모듈과, 수집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Point Cloud data)를 수신하여 침입여부를 판단하여 경보를 발령하는 RX모듈을 포함하여 설치될 수 있다.In detail, the lidar sensor may be installed including a TX module in the center of the measurement area, and an RX module that receives the collected point cloud data,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intrusion, and issues an alert.

상기 전송모듈은, 라이다 센서에 의해 수집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분석 모듈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The transmission module serves to transmit the point cloud data collected by the lidar sensor to the analysis module.

상기 분석모듈은, 상기 TX모듈에서 전송되는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받아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유무 분석과 형상의 존재 여부를 분석하여 분석된 정보를 검출신호처리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The analysis module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point cloud data transmitted from the TX module, analyze whether lo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and analyze whether there is a shape and transmit the analyzed information to the detection signal processing unit.

상기 검출신호모듈은 분석 모듈과 분석신호에 대응하여 프로그램의 제어로직에 따라 알람 활성화 유무, 오경보 신호 검출 유무에 따라 알람 활성화 및 형상 검출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The detection signal module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output alarm activation and shape det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whether an alarm is activated or a false alarm signal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control logic of the program in response to the analysis module and the analysis signal.

이하에서는, 상기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에 의한 위치기반 추적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a location-based tracking system by the integrat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ll be described.

상기한 위치기반 추적 시스템은, 위치정보 기반 침입자 추적 감지하는 기술로 기존의 고정형 영상 카메라를 통한 감시자의 실시간 모니터링과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침입자 감지 시스템과 달리 위치기반 정보를 기준으로 물체나 사람의 변곡점 발생 시 x,y,z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한 침입경로 추적 시스템을 나타낸다. The above-described location-based tracking system is a technology for tracking and detecting intruder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Unlike the intruder detection system using an infrared sensor and real-time monitoring of a supervisor through a conventional fixed video camera, an inflection point of an object or person is generated based on location-based information. It represents an intrusion path tracking system based on time x, y, z location information.

상기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은 기존 CCTV에서 특화된 확장된 감지 영역을 가지며, 건물 이외의 구간에도 확장된 감지 적용범위(coverage)와, 건물 이외의 상공 및 주변 침입 가능 경로에 대한 광범위한 감지 적용범위(coverage)를 포함하고, 드론 등의 소형 비행 디바이스 등장으로 상공 및 건물 주변에 대한 감지의 필요성에 부합할 수 있다. The building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has a specialized extended detection area in the existing CCTV, extended detection coverage to sections other than buildings, and a wide range of detection coverage for possible intrusion paths in the sky and surrounding areas other than buildings And, with the advent of small flying devices such as drones, it is possible to meet the need for sensing in the sky and around buildings.

상기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은, 드래그 보안 솔루션 잠금해제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드래그 보안 해제 잠금 솔루션과, 센치미터 급 구획 설정을 통한 보안 해제 잠금 솔루션과, 구축된 3D 빌딩 외벽면의 위치를 기반으로 보안 해재 잠금 드래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The building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may have a drag security solution unlock function, and a drag security release lock solution, a security release lock solution through centimeter class division setting, and security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constructed 3D building exterior wall A release lock and drag function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은, 보안잠금해지 알고리즘과, 프로그램 상에서 일정 구간 혹은 구역 마우스 드래그를 통한 보안 해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building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urity lock release algorithm and a security release algorithm through a mouse drag in a certain section or area on the program.

한편, 상기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은, 라이다 센서 설치 위치가 센서 커버리지 최대 200m도 가능하며, 한 개의 센서로 감지 가능한 범위가 최대 200m로 기존의 CCTV 혹은 적외선 카메라의 추적 범위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the building can maximize the tracking range of the existing CCTV or infrared camera with a lidar sensor installation location of up to 200m, and a detection range of up to 200m with one sensor.

바람직하게, 상기 라이다 센서는, 건물 중앙 출입구 기준으로 지상에서부터 8:2 정도의 위치에 라이다 센서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설치 위치에 따라 커버리지를 최적화할 수 있고, 부착 각도와 라이다 성능에 따라 기능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Preferably, the lidar sensor is preferably attached to the lidar sensor at a position of about 8:2 from the ground based on the central entrance of the building, and coverage can be optimiz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the attachment angle and lidar performance This can lead to functional improvement.

한편, 상기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은 건물 노후화 관리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라이다 센서 기반 시설물 관제 시스템은 침입자 감지에 추가로 건물 벽면 균열 및 침식 형태 등의 노후화 관리를 할 수 있고, 건물 외벽의 기울기 정도 및 균열 정도를 최초 DB화 한 후 일정 주기로 기울기 균열 정도를 측정하여 차이값에 대한 정보 데이터 베이스 구축할 수 있는 발판이 되고, 이후 건물 설계 기준 및 유지 보수 기준을 설정하여 초과되는 부분에 대해서 경고음을 발생하는 시스템 구현에 이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uilding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may also perform a building aging management function. In other words, the lidar sensor-based facility control system can manage aging such as cracks and erosion types in the building wall in addition to detecting intruders, and after initializing the inclination degree and crack degree of the building exterior wall into a DB, tilt cracks at a certain period By measuring the degree, it becomes a stepping stone to build an information database on the difference value, and then it can be used to implement a system that generates a warning sound for the part that is exceeded by setting building design standards and maintenance standards.

나아가, 상기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은, 드론 택배 등의 무인 서비스를 위한 위치정보 기반의 정확한 착륙 좌표 설정 기능 추가하여, 드론 택배와 관련하여 드론택배 관리 시스템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building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an be used as a drone delivery management system in relation to drone delivery by adding a function of setting accurate landing coordinate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for unmanned services such as drone delivery.

상기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은 라이다와 CCTV를 연동한 영상 추적 시스템으로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라이다 센서 기반 시설물 관제 시스템은 라이다에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감지된 침입 흔적 및 변동 사항을 CCTV로 전송하고 카메라를 해당 위치로 이동하여 영상 추적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The building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an also be applied as a video tracking system linked with lidar and CCTV. The lidar sensor-based facility control system may be implemented to transmit the intrusion traces and changes detecte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in the lidar to the CCTV, and move the camera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to track the image.

이를 위해, 라이다 감지 신호 CCTV 전송하고, 취득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의 변경점을 위치 정보로 CCTV 프로세서에 전달하고 CCTV는 이를 감지하여 3D 빌딩맵(Building map)을 통해 해당 지점으로 이동하여 줌인하고, 줌인 후 계속적인 변동사항 감지 시 CCTV 영상을 추적하여 해당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lidar detection signal CCTV is transmitted, and the change point of the acquired point cloud data is transmitted to the CCTV processor a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CCTV detects it and moves to the corresponding point through a 3D building map to zoom in and zoom in. Then, when continuous changes are detected, the corresponding function can be implemented by tracking the CCTV image.

상기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은, 라이다로 구축된 빌딩 3D 모델과 CCTV 영상 장치를 연동 시스템으로 적용될 수 있다.The building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may be applied as an interlocking system with a 3D model of a building constructed with lidar and a CCTV imaging device.

이때, 라이다와 CCTV를 연동한 영상 추적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라이다 CCTV 연동 기술(알고리즘)은, 라이다 빌딩 외벽 3D DB를 구축하고(100), 위치정보값 추출 후 변환하고, CCTV 입력 단에 위치정보 송출하고, 수신된 위치정보 빌딩 외벽 지도상 매핑하고, 변동 발생 지점으로 CCTV 이동하고, 줌인(x4, x 8)하고, 변동사항 없을 시 이동 해제하고, 변동사항 발생 시 CCTV 추적 시스템 설정 후 경로를 따라 영상 녹화하는 과정을 거친다. At this time, the lidar CCTV interworking technology (algorithm) for implementing a video tracking system interlocking lidar and CCTV is to construct a 3D DB on the exterior wall of the lidar building (100), extract and convert the location information value, and input the CCTV Sends location information to , maps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on the outer wall map of the building, moves the CCTV to the point of change, zooms in (x4, x 8), releases the movement when there is no change, and sets the CCTV tracking system when there is a change After that, it goes through the process of video recording along the path.

또한,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은, 3D 모델링 빌딩 3D 데이터를 불러오는 DB와 연동하여 위치분석신호를 받아 검출신호처리부로 전송하는 라이다 통신 모듈과 CCTV 시설물 측 통신모듈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검출신호처리부로 전송하는 CCTV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integrat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receives the output signal of the LIDAR communication module that receives the location analysis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detection signal processing unit by interworking with the DB that calls the 3D modeling building 3D data, and the CCTV facility side communication module, and sends it to the detection signal processing unit. It includes a CCTV communication module that transmits.

이하에서는, 라이다 위치 정보를 이용한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라이다 센서 기반 시설물 관제 시스템은 빌딩 외부 혹은 내부 3D 정보를 이용한 화재 발생 경보 장치로 적용될 수 있으며, 취득한 위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라이다의 반사율을 측정하여 화재 현상 발생 시 상황을 바로 인지하고 경보를 울리는 시스템으로, 감지 경보 발생 시 119 긴급 호출하도록 구성된다. Hereinafter, a fire detection system using lidar location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The lidar sensor-based facility control system can be applied as a fire alarm device using 3D information outside or inside a building, and by measuring the reflectivity of the lidar based on the acquired location data, it immediately recognizes the situation in the event of a fire and issues an alarm. The ringing system is configured to make an emergency call to 119 when a detection alarm occurs.

또한, 상기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은, 라이다 센서를 통한 화재 감지 자동 추적하고, 화재 발생에 대한 센서의 추적 반응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화재 감지 후 라이다 응답 방식과 정보 검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uilding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may automatically track fire detection through a lidar sensor, and detect a lidar response method and information after fire detection for implementing a sensor tracking response system for fire occurrence.

또한, 라이다 센서 기반 시설물 관제 시스템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은, 화재 감지 시 경고 알람을 발생 시키고, 알람 이후 위치 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하여 119에 자동으로 위치 및 화재 규모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dar sensor-based facility control system,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buildings, generates a warning alarm when a fire is detected, displays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map after the alarm, and automatically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and fire size to 119 automatically. have.

100 : 프레임부 110 : 지지프레임
120 : 회전프레임 121 : 제1회전축부
122 : 제2회전축부 200 : 라이다센서부
210 : 광조사부 220 : 광수신부
230 : 데이터전송부 300 : 센서제어부
400 : 통합제어부
100: frame part 110: support frame
120: rotating frame 121: first rotating shaft part
122: second rotation shaft unit 200: lidar sensor unit
210: light irradiation unit 220: light receiving unit
230: data transmission unit 300: sensor control unit
400: integrated control unit

Claims (16)

건축물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광원을 이용하여 대상체의 위치와 형상을 감지하는 라이다센서부와;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라이다센서부를 구동 제어하고, 상기 라이다센서부로부터 수신된 감지데이터를 전송하는 센서제어부와;
상기 센서제어부로부터 수집된 상기 감지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통합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건축물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라이다센서부가 결합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센서제어부의 구동신호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전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라이다센서부를 수평 또는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회전축부와,
상기 라이다센서부가 결합되고, 상기 라이다센서부를 제1회전축부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1회전축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회전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통합제어부는,
상기 감지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대상체의 위치변화를 시계열적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체를 객체(object)별로 구분하여 분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객체는,
상기 위치변화가 설정된 제한값 보다 미만인 구조물과,
상기 위치변화가 설정된 제한값 이상이고, 상기 위치변화에 주기성이 있는 설치물과,
상기 위치변화가 설정된 제한값 이상이고, 상기 위치변화에 주기성이 없되, 정지시간이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독립객체와,
상기 위치변화가 설정된 제한값 이상이고, 상기 위치변화에 주기성이 없되, 정지시간이 설정된 기준값 미만인 이동객체로 각각 구분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다센서를 이용한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
a frame unit fixedly installed in a building;
a lidar sensor unit installed in the frame unit and configured to sense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object using a light source;
a senso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lidar sensor uni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ensed data received from the lidar sensor unit;
and an integrated control unit that analyzes the sensed data collected from the sensor control unit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he frame part,
a support frame fixed to the building;
The lidar sensor unit is couple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rotating frame rotated by a driving signal of the sensor control unit:
The rotating frame is
A first rotating shaft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to rotate the lidar sensor unit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The lidar sensor unit is coupled, and comprises a second rotating shaft portion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rotational shaft portion to rotate the lidar sensor portion about a rotational axis orthogonal to the rotational axis of the first rotational shaft portion:
The integrated control unit,
It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object in time series through the sensing data, and to classify and analyze the object by object according to the measured result:
The objec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position change is less than a set limit value;
An installation in which the position chang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limit value, and there is a periodicity in the position change;
an independent object in which the position chang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limit value, there is no periodicity in the position change, and the stop tim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t reference value;
The integrat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ing a lidar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chang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limit value, and there is no periodicity in the position change, but each is classified as a moving object whose stop time is less than a set reference valu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제어부는,
상기 대상체가 구조물로 구분되는 경우,
상기 구조물 경계선 사이의 상대각도 변화가 발생하고, 상기 구조물의 누적된 상대각도 변화량이 선형성을 갖는 경우 상기 구조물의 전단변형이 진행되고 있는 것임을 판단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다센서를 이용한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tegrated control unit,
When the object is classified as a structure,
Integrated management of buildings using a lidar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at the shear deformation of the structure is in progress when the relative angle change between the structure boundary lines occurs and the accumulated relative angle change amount of the structure has linearity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제어부는,
상기 대상체가 구조물로 구분되는 경우,
상기 구조물 경계선 사이의 상대각도 변화가 없으나 중력방향에 대한 변화가 있는 경우 상기 구조물의 부동침하가 발생되고 있는 것임을 판단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다센서를 이용한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tegrated control unit,
When the object is classified as a structure,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relative angle between the boundary lines of the structure, but there is a change in the direction of gravity, the integrat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ing a lidar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at the floating settlement of the structure is occurr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제어부는,
상기 대상체가 구조물로 구분되는 경우,
상기 구조물의 구조물면의 형상변화가 발생하고, 상기 구조물의 누적된 형상변화량이 증가되는 경우 상기 구조물에 균열이 진행되는 것임을 판단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다센서를 이용한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tegrated control unit,
When the object is classified as a structure,
A building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sing a lidar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at a crack progresses in the structure when the shape change of the structure surface of the structure occurs and the accumulated shape change amount of the structure increases.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제어부는,
상기 구조물의 전단변형량 또는 부동침하량 또는 균열량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구조물에 대한 감지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고 알람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다센서를 이용한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8,
The integrated control unit,
If the amount of shear deformation or floating settlement or cracking amount of the structur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the integrat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ing a lidar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collect and store the detection data for the structure and output an alarm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다센서부는,
복수의 행열로 배열되는 조사유닛들을 통하여 상기 대상체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광조사부와,
상기 광조사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수신유닛들을 통하여 조사된 후 반사되는 상기 레이저를 수신하는 광수신부와,
상기 광수신부에 수신되는 레이저광들을 통하여 생성된 상기 감지데이터를 상기 센서제어부로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다센서를 이용한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lidar sensor unit,
a light irradiator for irradiating a laser to the object through irradiation units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laser reflected after being irradiated through receiving units configur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ight irradiation unit;
The integrat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ing a lidar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at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sensed data generated through the laser beams received by the light receiver to the sensor controll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제어부는,
상기 대상체를 감지하여, 상기 대상체가 이동객체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객체에 대한 감지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다센서를 이용한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tegrated control unit,
A building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sing a lidar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detect the object and collect and store the sensed data for the moving object when the object is determined to be a moving objec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제어부는,
상기 이동객체의 위치정보를 외부 CCTV관리센터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이동객체 인근 CCTV가 상기 이동객체를 확대 촬영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다센서를 이용한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integrated control unit,
The integrat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ing a lidar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by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to an external CCTV management center server, the CCTV near the moving object is configured to enlarge the moving objec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제어부는,
택배드론의 착륙지점에 대한 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택배드론으로 착륙지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다센서를 이용한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tegrated control unit,
A building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sing a lidar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set the location of the landing point of the delivery drone and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landing point to the delivery dro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제어부는,
상기 감지데이터의 광반사율을 측정하여, 상기 광반사율의 변화도와 상기 광반사율 변화도의 비정형성을 통하여 연기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연기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다센서를 이용한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tegrated control unit,
Measuring the light reflectivity of the sensed data, determining whether smoke is generated through the irregularity of the degree of change of the light reflectance and the degree of change of the light reflectance, and outputting an alarm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smoke has occurred Building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sing lidar sensor.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제어부는,
상기 감지데이터에서 상기 광반사율의 변화도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지 여부로 연기 발생 여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다센서를 이용한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integrated control unit,
Building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sing a lidar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smoke is generated based on whether the degree of change of the light reflectivity in the detection data is within a preset rang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제어부는,
상기 광반사율의 변화도가 비정형성을 갖는지 여부로 연기 발생 여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다센서를 이용한 건축물 통합관리 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integrated control unit,
A building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sing a lidar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whether smoke is generated based on whether the degree of change of the light reflectance has irregularity.
KR1020190121588A 2018-10-05 2019-10-01 Integrat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ing lidar sensor KR10226500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19267 2018-10-05
KR1020180119267 2018-10-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195A KR20200040195A (en) 2020-04-17
KR102265002B1 true KR102265002B1 (en) 2021-06-16

Family

ID=70460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588A KR102265002B1 (en) 2018-10-05 2019-10-01 Integrat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ing lidar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00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678B1 (en) * 2021-03-09 2022-09-01 최지훈 A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sing CCTV and LiDAR Sensor
KR102338631B1 (en) * 2021-03-23 2021-12-14 주식회사 인더바인종합건설 Serv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building is defective and operation methods thereof
EP4303626A1 (en) * 2022-07-05 2024-01-10 AGC Glass Europe Drone detection device
CN115330002B (en) * 2022-10-14 2023-01-31 山东力拓智能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building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168B1 (en) * 2016-02-03 2016-06-22 주식회사 싸인텔레콤 The apparatus of smart camera with lidar senser module
JP2017106769A (en) * 2015-12-08 2017-06-15 太陽誘電株式会社 Displacement amount measuring method for building, displacement amount measuring device, and attaching jig
KR101872285B1 (en) 2017-08-24 2018-07-31 비제이엠텍(주) Bridge lifting and lowering using three dimensional surface measuring lider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1300A (en) * 2006-09-04 2008-03-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Structure diagnostic system by lidar and diagnostic method
KR101773020B1 (en) 2015-09-25 2017-09-1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Ladar sensor device
KR20180065196A (en) * 2016-12-07 2018-06-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lf-driving information in intersection without signal lam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06769A (en) * 2015-12-08 2017-06-15 太陽誘電株式会社 Displacement amount measuring method for building, displacement amount measuring device, and attaching jig
KR101632168B1 (en) * 2016-02-03 2016-06-22 주식회사 싸인텔레콤 The apparatus of smart camera with lidar senser module
KR101872285B1 (en) 2017-08-24 2018-07-31 비제이엠텍(주) Bridge lifting and lowering using three dimensional surface measuring lider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195A (en) 2020-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5002B1 (en) Integrat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ing lidar sensor
US5910767A (en) Intruder detector system
US8294881B2 (en) Security system using LADAR-based sensors
AU2003304100B2 (en) Automatic detection and monitoring of perimeter physical movement
CN1168652C (en) A safety system for detecting small objects approaching closing doors
US20110006897A1 (en) Infrared motion sensor system and method
JP5097045B2 (en) Construction site security system
KR101463764B1 (en) Object detection sensor and security service system
CN110240074B (en) Tower crane equipment, and projection prompting method and device for tower crane equipment hanging object area
CN112757300A (en) Robot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JP2005045712A (en) Monitor system
US11921253B2 (en) Obstacle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JP5539060B2 (en) Monitoring sensor
US8508366B2 (en) Scanning security detector
CN112880733B (en) Height limiting protective frame state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JP2012038078A (en) Monitoring sensor
CA2520091C (en) Detection system, method for detecting objects and computer program therefor
JP5590992B2 (en) Monitoring sensor
EP3195282B1 (en) A method guarding an object or area, a guarding unit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2188933B1 (en) obstacle detection and monitoring system
JP6726043B2 (en) Object detection sensor and monitoring system
EP4210013A1 (en) Time-of-flight based 3d surveillance system with flexible surveillance zone definition functionality
KR102600127B1 (en) Submersion detection system
KR102357380B1 (e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system of entrance door using face recognition
CN115953871A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invasion of foreign objects in temporary pl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