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180B1 - A wireless emergency bell and an accident management system for underground parking lot and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wireless emergency bell and an accident management system for underground parking lot and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8180B1
KR102248180B1 KR1020190086461A KR20190086461A KR102248180B1 KR 102248180 B1 KR102248180 B1 KR 102248180B1 KR 1020190086461 A KR1020190086461 A KR 1020190086461A KR 20190086461 A KR20190086461 A KR 20190086461A KR 102248180 B1 KR102248180 B1 KR 102248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bell
emergency
underground parking
parking lo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4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10703A (en
Inventor
강성권
최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림
Priority to KR1020190086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180B1/en
Publication of KR20210010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7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1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04N5/23206
    • H04N5/2329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또는 단지의 지하 주차장에 구비된 다수의 무선 비상벨(100)을 이용한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시스템으로서, 비상벨 버튼(130)이 클릭된 경우, 상기 비상벨 버튼(130)마다 할당된 고유의 비상벨 ID를 포함한 비상 신호를 송신하는, 다수의 무선 비상벨(100); 및 상기 비상 신호를 수신하는 관제 서버(610); 를 포함하며, 상기 관제 서버(610)는, 상기 비상 신호에 응답하여, 미리 결정된 방법에 따라, 지하 주차장에 구비된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구비되되, 상기 장치는, 조명(400) 또는 CCTV(500)를 포함하는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n underground parking lot accident management system using a plurality of wireless emergency bells 100 provided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of a building or complex, when the emergency bell button 130 is clicked, assigned to each emergency bell button 130 A plurality of wireless emergency bells 100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signal including a unique emergency bell ID; And a control server 610 for receiving the emergency signal. Including, the control server 610,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etho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a device provided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is provided, the device, the lighting 400 or CCTV To provide an underground parking accident management system including 500.

Figure R1020190086461
Figure R1020190086461

Description

무선 비상벨과 이를 포함한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A wireless emergency bell and an accident management system for underground parking lot and method using the same}A wireless emergency bell and an accident management system for underground parking lot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물 또는 단지의 지하 주차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 accident that may occur in an underground parking lot of a building or complex.

차량 보급률 증가 및 지상 면적의 다양한 활용 추세에 따라, 건물 또는 단지의 지하 주차장은 크기나 깊이 면에서 대규모화되었다. 지하 10층보다 더 깊은 주차장이 사용되는 건물이 등장하였으며, 대부분의 아파트 단지는 지하 레벨에서 각 동의 지하가 연결되어 넓고 복잡한 구조의 지하 주차장이 사용되고 있다. With the increase in vehicle penetration and the trend of various uses of the ground area, the underground parking lot of a building or complex has been enlarged in size and depth. Buildings that use a parking lot deeper than the 10th basement level have appeared, and in most apartment complexes, the basement of each building is connected at the basement level, and a wide and complex underground parking lot is used.

대규모화되는 지하 주차장의 장점은 주차 면적 확보이나, 화재 및 강도 등의 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비가 어렵다는 치명적인 단점을 갖는다. 이에, 비상벨을 이용한 안전 사고 관리 시스템이 사용된다.The advantage of a large-scale underground parking lot has a fatal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a parking area or prepare quickly in case of accidents such as fire or robbery. Thus, a safety accident management system using an emergency bell is used.

유선 비상벨 시스템이 널리 사용된다. 지하 주차장 내 일정 간격으로 관제실과 유선으로 연결된 비상벨이 설치된다. 사고 발생시 사고자 또는 목격자(이하, "사용자"라 칭함)가 비상벨의 버튼을 클릭하면 관제실과 자동으로 유선 통화가 이루어진다. 몇몇 비상벨은, 자동으로 경광 LED를 점등시키거나, 내장된 사이렌을 작동시키기도 한다. Wired emergency bell systems are widely used. Emergency bells connected to the control room by wire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In the event of an accident, when an accident or a witness (hereinafter, referred to as "user") clicks the emergency bell button, a wired call is automatically made with the control room. Some emergency bells automatically light a beacon LED or even activate a built-in siren.

이러한 기존의 비상벨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The existing emergency bell system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자동화 기능이 제한적이다. 대부분의 비상벨 시스템의 자동화 기능은 비상벨 자체 경광 LED를 점등시키거나 사이렌을 작동시켜 비상벨 주변에 경고를 줄 뿐이다. 이는 기존의 화재 감지기와 유사한 시스템인데, 사용자가 진정으로 필요한 기능들, 예를 들어 화재 발생으로 모든 조명이 꺼져 어두운 지하 주차장에서 자신의 피난 방향을 알려주는 기능이나, 또는 주변에 다른 사람이 아무도 없는 강도 상황에서 경찰 등에 자동으로 연락을 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하지는 못한다. First, the automation function is limited. The automation function of most emergency bell systems only gives a warning around the emergency bell by turning on the alarm LED of the emergency bell itself or by operating a siren. This is a system similar to a conventional fire detector, with functions that the user really needs, such as the ability to tell his or her evacuation direction in a dark underground parking lot when all lights are turned off in the event of a fire, or It cannot provide functions such as automatically contacting the police in a robbery situation.

둘째, 관제실에서 수동으로 많은 작업을 해야 하므로, 관제실에 미숙련자가 있을 경우 또는 관제실 내 근무자의 근무 태도가 양호하지 못한 경우 적극적이고 신속한 사고 대처가 어렵다. 예를 들어, 화재 발생을 목격한 목격자가 비상벨을 이용하여 관제실에 이를 공지하였어도, 관제실에 사람이 없거나 미숙련자가 있었다면 목격자와 주민 등을 대피시키고 방재 관청에 연락하는 등의 조치가 불가능하다.Second, since a lot of work has to be done manually in the control room, it is difficult to actively and promptly respond to accidents when there is an unskilled person in the control room or when the working attitude of the worker in the control room is not good. For example, even if a witness who witnessed a fire announces it to the control room using an emergency bell, if there are no people in the control room or there are unskilled persons, it is impossible to take measures such as evacuating the witnesses and residents and contacting the disaster prevention office.

셋째, 비상벨 자체가 작동을 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장기간 미 사용시 또는 점검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라면, 비상벨에 전력을 공급하는 건전지 등의 방전이 그 이유가 될 수 있다. 더욱이, 화재와 같은 극한 상황이 발생하였다면, 방전이 되지 않아도 유선 통신 라인의 소실로 상황 전파가 어려울 가능성도 있다. Thir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emergency bell itself will not work. If it is not used for a long time or if the inspection is not performed properly, discharge of the battery that supplies power to the emergency bell may be the reason. Moreover, if an extreme situation such as a fire occur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is difficult to propagate the situation due to the loss of the wired communication line even if there is no discharge.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882968호(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82968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 제1995-162928호(Patent Document 2) Japanese Laid-Open Patent No. 1995-162928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165403호(Patent Document 3)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54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점차 대규모화되는 지하 주차장에서 사고를 안정적이고 능동적이며 신속하게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capable of stably, actively and quickly managing accidents in an underground parking lot that is gradually increasing in scale.

구체적으로, 화재 등의 극한 상황에서, 통신 라인의 소실, 공급 전력원의 방전 등을 대비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Specifically, it is intended to propose a system capable of preparing for the loss of a communication line and a discharge of a supply power source in extreme situations such as a fire.

관제실에 미숙련자가 있거나, 또는 사람이 없는 경우에도, 많은 부분을 자동화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인 사고 대처가 가능한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Even if there are unskilled persons in the control room or there are no people, we would like to propose a system that enables rapid and efficient accident response by automating many parts.

아울러, 다양한 사고에 대해서도, 각 사고마다 맞춤형 대처가 가능한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화재 사고와 같은 대형 사고시에는 건물 또는 단지 전체에 신속한 경고가 전달될 수 있으면서도, 단순 접촉 교통사고나 강도 사고 등의 발생시에는 경고가 필요한 장소 및 인력에게만 제한적으로 경고를 전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In addition, for various accidents, we would like to propose a system that can be customized for each accident.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large accident such as a fire accident, a quick warning can be delivered to the entire building or complex, but in the case of a simple contact traffic accident or a robbery accident, a system that can provide a warning only to places and personnel that require warning. I would like to propos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물 또는 단지의 지하 주차장에 구비된 다수의 무선 비상벨(100)을 이용한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시스템으로서, 비상벨 버튼(130)이 클릭된 경우, 상기 비상벨 버튼(130)마다 할당된 고유의 비상벨 ID를 포함한 비상 신호를 송신하는, 다수의 무선 비상벨(100); 및 상기 비상 신호를 수신하는 관제 서버(610); 를 포함하며, 상기 관제 서버(610)는, 상기 비상 신호에 응답하여, 미리 결정된 방법에 따라, 지하 주차장에 구비된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구비되되, 상기 장치는, 조명(400) 또는 CCTV(500)를 포함하는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n underground parking lot accident management system using a plurality of wireless emergency bells 100 provided in an underground parking lot of a building or complex, and the emergency bell button 130 is clicked. If so, a plurality of wireless emergency bells 100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signal including a unique emergency bell ID assigned to each emergency bell button 130; And a control server 610 for receiving the emergency signal. Including, the control server 610,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etho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a device provided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is provided, the device, the lighting 400 or CCTV To provide an underground parking accident management system including 500.

또한, 상기 조명 제어 모듈(612)은, 상기 비상 신호에 포함된 비상벨 ID에 따라 미리 결정되어 있는 무선 비상벨 주변 조명을 자동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비상 신호에 포함된 비상벨 ID에 따라 미리 결정되어 있는 무선 비상벨로부터 가장 인접한 피난로에 이르는 대피로 조명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ighting control module 612 automatically controls the surrounding lighting of the wireless emergency bell, which is predetermined according to the emergency bell ID included in the emergency signal, or according to the emergency bell ID included in the emergency signal. It is desirable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lighting of the evacuation route from a predetermined wireless emergency bell to the nearest evacuation route.

또한, 상기 관제 서버(610)는, 상기 지하 주차장에 구비된 CCTV(500)를 제어하는 CCTV 제어 모듈(613)을 더 포함하며, 상기 CCTV 제어 모듈(613)은, 상기 비상 신호에 포함된 비상벨 ID에 따라 미리 결정되어 있는 방식으로 CCTV(500)의 감지 방향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rol server 610, further comprises a CCTV control module 613 for controlling the CCTV 500 provided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the CCTV control module 613, the emergency signal included in the emergency signal It is preferable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detection direction of the CCTV 500 in a manner predetermined according to the bell ID.

또한, 상기 관제 서버(610)는, 상기 지하 주차장의 건물 또는 단지에 구비된 안내 방송 스피커(700)에 미리 결정된 안내 방송을 전송하는 안내 방송 모듈(615)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server 610 further includes an announcement module 615 for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announcement to the announcement speaker 700 provided in the building or complex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또한, 상기 관제 서버(610)는, 미리 결정된 외부 단말기(800)에 미리 결정된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을 자동으로 전송하는 외부 통화 모듈(616)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server 610 further includes an external call module 616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text message or voice to the predetermined external terminal 800.

또한, 상기 무선 비상벨(100)은, 충전지(115); 상기 비상벨 버튼(130); 상기 비상벨 버튼(130)이 클릭된 경우 상기 관제 서버(610)에 상기 비상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충전지(115)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신호 송수신부(150); 상기 충전지(115)를 충전하는, 저조도 LED 광 셀(110); 및 상기 비상벨 버튼(130)과 연계되어, 상기 충전지(115)를 충전하는, 압전 소자(1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the rechargeable battery 115; The emergency bell button 130; When the emergency bell button 130 is clicked,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emergency signal to the control server 610 and to receive power from the rechargeable battery 115, a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unit 150; A low-illuminance LED light cell 110 for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115; And a piezoelectric element 140 connected to the emergency bell button 130 to charge the rechargeable battery 115.

또한, 상기 무선 비상벨(100)은,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170); 및 상기 조도 센서(170)에서 감지된 조도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규칙에 의해 결정된 조도의 빛을 상기 무선 비상벨(100) 주변에 제공하며, 상기 충전지(115)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LED 조명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an illuminance sensor 170 for sensing ambient illuminance; And light of the illuminance determined by a predetermined rule based on the illuminance sensed by the illuminance sensor 170 to the vicinity of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and receiving power from the rechargeable battery 115, an LED lighting unit (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160).

또한, 상기 무선 비상벨(100)은, 상기 신호 송수신부(150)를 통해 상기 관제 서버(610)와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한 통화부(1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further includes a call unit 120 capable of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server 610 through the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unit 150.

또한, 상기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시스템은, 중계기(200); 및 상기 중계기(200)를 통해 상기 관제 서버(610)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유선 통화 장치(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호 송수신부(150)는 상기 중계기(200)를 통해 무선으로 상기 관제 서버(610)에 상기 비상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유선 통화 장치(300)는 상기 무선 비상벨(100)이 설치된 위치 인근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accident management system, the repeater 200; And a wired communication device 300 connected by wire to the control server 610 through the repeater 200, wherein the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unit 150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control server through the repeater 200. The emergency signal is transmitted to 610, and the wired communication device 300 is preferably located near a location where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is installed.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건물 또는 단지의 지하 주차장에 구비된 다수의 무선 비상벨(100)을 이용한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방법으로서, (a) 무선 비상벨(100)이 관제 서버(610)에 비상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b) 상기 관제 서버(610)가 상기 비상 신호에 포함된 비상벨 ID를 이용하여 상기 비상 신호를 송신한 상기 무선 비상벨(100)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관제 서버(610)가 상기 무선 비상벨(100) 또는 상기 무선 비상벨 인근에 위치하는 유선 통화 장치(300)와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 (d) 상기 관제 서버(610)에 미리 결정된 다수의 시나리오 중 어느 하나의 시나리오가 입력되는 단계; 및 (e) 상기 입력된 시나리오마다 미리 결정되어 있는 다음의 행동 규칙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행동 규칙은, '가' 상기 비상 신호에 포함된 비상벨 ID에 따라 미리 결정되어 있는 상기 무선 비상벨(100)의 주변 조명을 자동으로 제어, '나' 상기 비상 신호에 포함된 비상벨 ID에 따라 미리 결정되어 있는 대피로 조명을 자동으로 제어, '다' 상기 지하 주차장의 건물 또는 단지에 구비된 안내 방송 스피커(700)에 상기 입력된 시나리오마다 미리 결정된 안내 방송을 전송, '라' 미리 결정된 외부 단말기(800)에, 상기 입력된 시나리오마다 미리 결정된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을 자동으로 전송을 포함하는,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n underground parking accident management method using a plurality of wireless emergency bells 100 provided in an underground parking lot of a building or complex, (a) a wireless emergency bell (100) ) Transmitting an emergency signal to the control server 610; (b) checking, by the control server 610,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to which the emergency signal is transmitted using the emergency bell ID included in the emergency signal; (c) transmitting and receiving, by the control server 610, a communication signal with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or a wired communication device 300 located near the wireless emergency bell; (d) input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scenarios into the control server 610; And (e) performing any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action rules predetermined for each of the input scenarios, wherein the action rule is'A' in advance according to the emergency bell ID included in the emergency signal. Automatically controls the ambient lighting of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that has been determined,'I' automatically controls the lighting of a predetermined evacuation route according to the emergency bell ID included in the emergency signal,'C', the underground parking lot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announcement for each of the input scenarios to the announcement speaker 700 provided in a building or complex of,'D' to a predetermined external terminal 800, a predetermined text message or voice for each of the inputted scenarios. Provides a method of accident management in underground parking lots, including automatic transmission.

또한, 상기 시나리오는, 화재, 강도 및 교통 사고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된 시나리오가 화재인 경우, 상기 행동 규칙 '가', '나', '다' 및 '라'가 수행되고, 상기 입력된 시나리오가 강도인 경우, 적어도 상기 행동 규칙 '라'가 수행되고, 그리고 상기 입력된 시나리오가 교통 사고인 경우, 적어도 상기 행동 규칙 '가'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cenario includes a fire, a robbery, and a traffic accident, and when the input scenario is a fire, the behavior rules'A','B','C' and'D' are performed, and the inputted When the scenario is a robbery,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the action rule'D' is performed, and when the input scenario is a traffic accident, at least the action rule'A' is performed.

또한, 상기 (b) 단계 이후에, 상기 관제 서버(610)가, 상기 비상 신호에 포함된 비상벨 ID에 따라 미리 결정되어 있는 방식으로 CCTV(500)의 감지 방향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after the step (b), the control server 610 automatically controls the detection direction of the CCTV 500 in a predetermined manner according to the emergency bell ID included in the emergency signal. It is preferable to include.

또한, 상기 (d) 단계는, 상기 관제 서버(610)가 상기 비상 신호에 포함된 비상벨 ID에 따라 미리 결정된 CCTV의 영상을 분석하여, 미리 결정된 다수의 시나리오 중 어느 하나의 시나리오인지 자동으로 판단하여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step (d), the control server 610 analyzes the video of the CCTV, which is predetermined according to the emergency bell ID included in the emergency signal, and automatically determines whether it is one of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scenarios.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step of inputting.

또한, 상기 행동 규칙 '가'는, 상기 비상 신호에 포함된 비상벨 ID에 따라 미리 결정되어 있는 상기 무선 비상벨(100)의 주변 조명을 자동으로 제어하되, 상기 입력된 시나리오마다 미리 결정되어 있는 색상으로 주변 조명이 제어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ehavior rule'A' automatically controls the ambient lighting of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which is predetermined according to the emergency bell ID included in the emergency signal, but is predetermined for each input scenario. It is preferable that the ambient lighting is controlled by color.

본 발명에 따른 토대를 이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The use of the found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지하 주차장에서 사고를 안정적이고 능동적이며 신속하게 관리할 수 있다. 특히, 대규모 지하 주차장에서도 적은 관리자만으로도 충분한 관리가 가능하다. Accidents can be managed reliably, actively and quickly in underground parking lots. In particular, even in a large underground parking lot, sufficient management is possible with only a few managers.

유선 통신 라인이 소실될 수 있는 화재와 같이 극한 상황에서도, 비상 신호의 전파 및 통신이 가능하다. Even in extreme situations, such as a fire where wired communication lines may be lost, it is possible to propagate and communicate emergency signals.

저조도 LED 광 셀을 채택하여, 조도가 낮은 지하 주차장에서도 반영구적인 상시 충전이 가능하며, 그럼에도 만약을 대비한 압전 소자를 채택하여, 비상 신호의 전파는 완전 방전 상황에서도 항시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By adopting a low-illuminance LED light cell, semi-permanent constant charging is possible even in an underground parking lot with low illumination, and nevertheless, by adopting a piezoelectric element in case of emergency,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propagation of emergency signals is always possible even in a complete discharge situation.

관제실에 미숙련자가 있거나, 또는 사람이 없는 경우에도, 상황의 전파, 유관 부서 등에 대한 연락, 사용자에 대한 안내가 자동으로 가능하다. Even if there are unskilled persons in the control room or there are no peopl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spread the situation, contact related departments, and guide users.

다양한 사고에 대하여 적합한 대처가 가능하다. 화재, 강도, 교통 사고 등 다양한 사고 시나리오에 맞추어 최적화된 행동 규약으로 조명, CCTV, 통신 등이 효율적으로 제어된다. Appropriate coping is possible for various accidents. Lighting, CCTV, communication, etc. are efficiently controlled with the code of action optimized for various accident scenarios such as fire, robbery, and traffic accid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무선 비상벨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무선 비상벨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행동 규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시나리오마다 다르게 수행되는 행동 규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표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무선 비상벨의 다양한 설치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emergency bell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wireless emergency bell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of a method using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behavior rules performed in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table for explaining behavior rules performed differently for each scenario in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various installation methods of the wireless emergency bell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지하 주차장"은 무선 비상벨이 설치되는 장소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지하"와 "주차장"은 설명을 위한 대표적인 예시에 불과하며, 그 위치가 반드시 지표면(ground level)보다 낮을 필요가 없으며, 그 장소에 반드시 주차용 구획이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지표면 기준으로 지상이지만 조도가 낮은 건물 내 주차 공간(예컨대, 필로티에 의해 구획되는 주차 공간), 또는 대규모 공연용 지하 공간 등에도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규정된 범위 내라면 어느 공간이든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underground parking lot" refers to a place where a wireless emergency bell is installed, and "underground" and "parking lot" are only representative examples for explanation, and the location must be lower than the ground level. There is no need, and there is no need to have a parking compartment in the place. For example,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parking space (e.g., a parking space partitioned by piloti) in a building with low illumination but above ground based on the ground surface, or to an underground space for a large scale performance, and the appended claims Any space within the range defined by it should be understoo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단지"는 둘 이상의 건물의 그룹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지하 주차장은 하나의 건물의 지하 주차장일 수도 있으며, 또는 둘 이상의 건물의 그룹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지하 주차장(예를 들어, 아파트 단지 또는 공장형 빌딩 단지의 공용 지하 주차장)일 수도 있다. In the following, "just" means a group of two or more buildings. Therefore, the underground parking lot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underground parking lot of one building, or an underground parking lot commonly used in a group of two or more buildings (for example, a public underground parking lot of an apartment complex or a factory building complex). May be.

이하에서, "시나리오"는 다양한 지하 주차장 내 사고를 카테고리화하여 분류한 것으로, 예를 들어, 화재, 강도, 교통사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다른 어떠한 분류가 더 포함될 수도 있으며, 또는 세부 분류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형 화재와 소형 화재, 대형 교통사고와 접촉사고, 침수, 붕괴 등으로 더 구분될 수도 있다. Hereinafter, "scenario" is classified by categorizing accidents in various underground parking lots, and may include, for example, fire, robbery, traffic accident, and the like. Of course, this is exemplary, and any other classification may be further included, or a detailed classification may be further included. For example, it may be further divided into large fires and small fires, large traffic accidents and contact accidents, flooding, and collapse.

이하에서, "통신 신호"는 통화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신호는 물론 통화를 위해 송수신되는 정보를 모두 지칭한다. 따라서,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은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communication signal" refers to all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for a call as well as a signal required to perform a call. Therefor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communication signal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making a voice call.

이하에서, "행동 규약"은 미리 결정되어 있는 시스템의 작동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행동 규약을 실행한다는 것의 의미는 미리 결정된 작동 순서 및 방법 등에 따라 다양한 작동이 정의된 바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Hereinafter, the "conformity of action" means a predetermined operating protocol of the system. Therefore, the meaning of executing the code of conduct described below means that various operations are performed as defin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rder and method of operations.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사고 관리 시스템의 설명Description of the incident management system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시스템을 설명한다. 1 to 3, an accident management system for an underground parking l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지하 주차장에 설치되는 무선 비상벨(100), 지하 주차장에 당연히 존재하는 조명(400) 및 CCTV(500)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유선 통화 장치(300)가 더 추가될 수 있다(도 9b를 참조하여 후술). 중계기(200)가 지하 주차장에 위치할 수도 있고, 또는 지상 내지 다른 장소에 위치할 수도 있다.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emergency bell 100 installed in an underground parking lot, a lighting 400 and CCTV 500 naturally present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 wired call device 300 may be further added (to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9B). The repeater 200 may be located in an underground parking lot, or may be located on the ground or in another place.

관제실(600)에는, 관제 서버(610), 모니터링 장치(620), 수동 제어 장치(630) 및 통화 장치(640)가 위치한다. 관제 서버(610)는 건물 또는 단지에 설치된 안내 방송 스피커(700) 및 미리 결정된 외부 단말기(800)와 통신 가능하다. In the control room 600, a control server 610, a monitoring device 620, a manual control device 630, and a call device 640 are located. The control server 610 can communicate with the announcement speaker 700 installed in a building or complex and a predetermined external terminal 800.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무선 비상벨(1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무선 비상벨(100)은 지하 주차장에 비교적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된다(도 5 참조). 지하 주차장과 같이 습도가 높고 먼지가 많은 환경에서도 장기간 안정적으로 작동되는 것이 중요하므로, 녹 방지는 물론 방진, 방습 처리가 된 부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plurality of wireless emergency bells 100 are installed at relatively regular intervals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see FIG. 5). Since it is important to operate stably for a long period of time even in a high humidity and dusty environment such as an underground parking lot, it is preferable to use parts that have been treated with dust and moisture-proof treatment as well as rust prevention.

무선 비상벨(100)은 사용자가 비상벨 버튼(130)을 클릭할 경우 비상 신호를 관제실(600)의 관제 서버(610)에 자동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비상 신호는 각 무선 비상벨(100)마다 고유하게 할당된 비상벨 ID를 포함한다. 관제실(600)의 관제 서버(610)는 비상벨 ID마다 그 위치를 이미 알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관제실(600)에서 비상 신호를 수신할 경우, 어느 무선 비상벨(100)에서 전송한 것인지를 즉각 확인할 수 있으며, 아울러 어느 위치에서 비상 신호가 전송된 것인지도 즉각 확인할 수 있다.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performs a function of automatically transmitting an emergency signal to the control server 610 of the control room 600 when the user clicks the emergency bell button 130. The emergency signal includes an emergency bell ID that is uniquely assigned to each wireless emergency bell (100). The control server 610 of the control room 600 already knows the location of each emergency bell ID. Therefore, when an emergency signal is received in the control room 600,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check which wireless emergency bell 100 is transmitted from, and at which position the emergency signal is transmitted can be immediately confirmed.

무선 비상벨(100)은 비상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재와 같은 상황에서 유선 통신선이 소실될 수 있기 때문이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transmits an emergency signal wirelessly. This is because wired communication lines may be lost in situations such as fire.

무선 비상벨(100)은 비상 신호를 관제 서버(610)에 무선으로 직접 송신할 수도 있고, 또는 중계기(200)에 무선으로 송신한 후, 중계기(200)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관제 서버(610)에 송신할 수도 있다. 중계기(200)의 사용 여부는 설치되는 건물 및 지하 주차장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변경될 수 있다.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may directly transmit an emergency signal to the control server 610 wirelessly, or afte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emergency signal to the repeater 200, the repeater 200 is wired or wirelessly the control server 610 You can also send it to. Whether or not the repeater 200 is used can be flexibly chang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building to be installed and the underground parking lot.

무선 비상벨(100)은 저조도 LED 광 셀(110), 충전지(115), 통화부(120), 비상벨 버튼(130), 압전 소자(140), 신호 송수신부(150), LED 조명부(160) 및 조도 센서(170)를 포함한다.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includes a low-illuminance LED light cell 110, a rechargeable battery 115, a call unit 120, an emergency bell button 130, a piezoelectric element 140, a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unit 150, an LED lighting unit 160 ) And an illuminance sensor 170.

다른 실시예에서, 사이렌 출력부(미도시) 내지 경광등(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경광등(미도시)은 LED 조명부(160)와 일체화된 것이거나, 이를 이용한 것일 수도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a siren output unit (not shown) or a warning light (not shown) may be further included. The warning light (not shown) may be integrated with the LED lighting unit 160 or may be used.

저조도 LED 광 셀(110)은 지하 주차장의 낮은 조도에서도 지속적으로 전력을 생산하여 충전지(115)를 충전한다. 관리가 잘 이루어지지 못한 건물에서도 사고 시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건전지와 같이 교환이 필요한 부품을 대체하는 것이다. 저조도 LED 광 셀(110)은 빛을 가장 잘 받을 수 있도록, 무선 비상벨(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illuminance LED light cell 110 charges the rechargeable battery 115 by continuously generating power even in the low light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It is to replace parts that need to be replaced, such as batteries, so that it can be used stably in the event of an accident even in poorly managed buildings.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illuminance LED light cell 110 is located above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so as to best receive light.

충전지(115)는 평상시 저조도 LED 광 셀(110)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하며, 무선 비상벨(100) 사용시 전력이 필요한 부품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후술하는 압전 소자(140)로부터 일시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The rechargeable battery 115 is charg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low-illuminance LED light cell 110 at normal times, and supplies power to parts that require power when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is used. In addition, power may be temporarily supplied from the piezoelectric element 140 to be described later.

통화부(120)는 신호 송수신부(150)와 연동되어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여 관제실과 통화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통화부(120)에는 마이크 및 스피커가 포함될 수 있다. 후술하는 유선 통화 장치(300)를 사용할 경우 무선 비상벨(100)에서 생략될 수도 있다. The call unit 120 is interlocked with the signal transceiving unit 150 to transmit and receive a communication signal to perform a call with the control room. For example, the call unit 120 may include a microphone and a speaker. In the case of using the wired communication device 300 to be described later, it may be omitted from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비상벨 버튼(130)은 사용자가 클릭할 수 있는 버튼으로서, 무선 비상벨(100)의 외부에 가장 잘 드러나는 곳에 위치한다. The emergency bell button 130 is a button that can be clicked by a user, and is located in a place that is bes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압전 소자(140)는 비상벨 버튼(130)에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충전지(1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비상벨 버튼(130)을 1회 내지 수회 클릭한 경우 충전지(115)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는, 충전지(115)에 충전된 전력량이 부족한 경우이나 긴급 상황 전달에 필요한 경우 전력 공급에 중요하게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압전 소자(140)는 충전지(115)가 아닌 신호 송수신부(15)에 직접 연결되어, 다른 곳(예를 들어, LED 조명부(160) 등)에 사용되는 전력을 최소화하고 오직 비상 신호 전달에만 사용될 수도 있다. The piezoelectric element 140 is physically connected to the emergency bell button 13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chargeable battery 115, so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rechargeable battery 115 when the user clicks the emergency bell button 130 once or several times. Supply. This is importantly used for power supply when the amount of power charged in the rechargeable battery 115 is insufficient or when it is necessary to transmit an emergency situation. In another embodiment, the piezoelectric element 14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ignal transceiving unit 15, not the rechargeable battery 115, to minimize power used in other places (eg, the LED lighting unit 160, etc.), and only It can also be used for emergency signaling only.

신호 송수신부(150)는 비상 신호를 관제 서버(61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여 통화부(120)를 통해 사용자가 관제실(600)과 통화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unit 150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 emergency signal to the control server 610. In some embodiments, a user may perform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communication signal to make a call with the control room 600 through the call unit 120.

LED 조명부(160)는 LED를 포함하여 주변에 조명을 제공한다. 사고마다, 즉 각 시나리오마다 다른 조도 또는 다른 색깔로 점등되거나 점멸되어 무선 비상벨(100) 주변에 이를 효과적으로 알려줄 수도 있다. The LED lighting unit 160 provides lighting to the surroundings, including LEDs. For each accident, that is, for each scenario, it may be lit or flashed in a different illumination or color, so that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may be effectively informed of this.

조도 센서(170)는 무선 비상벨(100) 주변의 조도를 감지한다. 감지된 조도에 따라 LED 조명부(160)의 밝기가 조절되어 충전지(115)의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lluminance sensor 170 detects illuminance around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It is desirable to minimiz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rechargeable battery 115 by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LED lighting unit 160 according to the sensed illuminance.

중계기(200)는 무선 비상벨(100)과 관제 서버(610) 사이의 무선 통신에 도움을 준다. 통신시, 무선 비상벨(100)은 중계기(200)와 무선 통신하고, 중계기(200)는 관제 서버(6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중계기(200)와 관제 서버(610) 사이의 유선 라인은 방염 처리되거나, 방재 구획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스템이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중계기(200)가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The repeater 200 helps in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and the control server 610. During communication,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may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repeater 200, and the repeater 200 may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server 610 by wire or wirelessly. It is preferable that the wired line between the repeater 200 and the control server 610 is flame-proofed or in a disaster prevention zone. The repeater 200 may not be used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system is installed.

유선 통화 장치(300)는 관제 서버(610)와 유선으로 통화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중계기(200)를 통해 관제 서버(200)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한 내용은 아래의 다른 실시예 부분에서 후술한다.The wired call device 300 is a device that performs a call with the control server 610 by wir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server 200 by wire through the repeater 200.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section on other examples below.

조명(400)과 CCTV(500)는 지하 주차장에 구비되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든 족하다. 다만, 관제 서버(610)에 의해 조명(400)의 점멸, 밝기, 색깔 등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CCTV(500)의 지향 방향에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ghting 400 and CCTV 500 are sufficient as long as they are provided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However,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blinking, brightness, color, etc. of the lighting 400 by the control server 610, and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direction of the CCTV 500.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관제실(600)에 위치하는 설비들을 설명한다. The facilities located in the control room 600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FIG. 1.

관제 서버(610)는 무선 비상벨(100)와 정보 통신을 수행하고 행동 규칙에 따라 적절한 행동을 수행한다. The control server 610 performs information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and performs an appropriate action according to an action rule.

관제 서버(610)는, 신호 수신 모듈(611), 조명 제어 모듈(612), CCTV 제어 모듈(613), 비상벨 통화 모듈(614), 안내 방송 모듈(615) 및 외부 통화 모듈(616)을 포함한다. The control server 610 includes a signal reception module 611, a lighting control module 612, a CCTV control module 613, an emergency bell call module 614, an announcement module 615, and an external call module 616. Includes.

신호 수신 모듈(611)은 무선 비상벨(100)로부터 비상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비상 신호에서 비상벨 ID가 확인되고 이에 따라 후술하는 행동 규약들의 실행 여부 및 제어되는 조명(400)과 CCTV(500)가 결정된다. The signal receiving module 611 receives an emergency signal from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The emergency bell ID is checked from the received emergency signal, and accordingly, whether or not to execute the code of conduct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controlled lighting 400 and CCTV 500 are determined.

한편, 신호 수신 모듈(611)은 비상 신호를 수신한 경우 어떠한 사고인지, 즉 어떠한 시나리오인지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다. 수동 확인의 경우, 관제실(600)에 위치한 관리자가 시나리오를 직접 입력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자동 확인이 경우, 무선 비상벨(100)에서 비상벨 버튼(130)을 입력한 사용자가 시나리오를 식별하는 방식으로 입력된 것일 수도 있으며(예를 들어, 화재시 버튼을 1번 누르고, 강도시 버튼을 2번 누르는 방식), 또는 지능형 영상 분석 시스템이 무선 비상벨(100)의 인근의 CCTV(500) 영상을 자동 분석하여 결정한 것일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지능형 영상 분석 시스템은 종래 알려진 어떠한 방식이어도 무방하다.On the other hand, the signal receiving module 611 may manually or automatically check what kind of accident, that is, what kind of scenario, when receiving an emergency signal. In the case of manual verification, a manager located in the control room 600 may directly input a scenario. In this case, the automatic confirmation may be input in a way that the user who has entered the emergency bell button 130 in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identifies the scenario (for example, press the button once in case of fire, and the button in case of robbery) Press twice), or the intelligent video analysis system may be determined by automatically analyzing the video of the CCTV 500 in the vicinity of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The intelligent image analysis system used here may be any conventionally known method.

조명 제어 모듈(612)은 조명(400)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조명 제어 모듈(612)이 조명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식은, 주변 조명 제어와 대피로 조명 제어로 구분할 수 있다. 조명 제어 모듈(612)에는 비상벨 ID에 따라 어떠한 조명을 주변 조명으로 제어할 것인지가 미리 결정되어 있고, 비상벨 ID에 따라 여기에 가장 인접한 피난로가 미리 결정되어 있어서 해당 비상벨 위치에서 피난로에 이르는 대피로에 설치된 조명들이 제어 대상인 대피로 조명이 된다는 것이 미리 결정되어 있다. 따라서, 신호 수신 모듈(611)이 비상 신호를 수신하고 비상벨 ID를 확인한 경우, 확인된 비상벨 ID에 따라 주변 조명을 점등하는 행동 규약이 실행된다면 자동으로 주변 조명이 점등되고 대피로 조명을 점등한다는 실행된다면 자동으로 대피로 조명이 점등될 수 있다. The lighting control module 612 automatically controls the lighting 400. A method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lighting by the lighting control module 612 may be divided into ambient lighting control and evacuation route lighting control. In the lighting control module 612, which lighting is to be controlled as ambient lighting according to the emergency bell ID, and the nearest evacuation route is determin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emergency bell ID. It is pre-determined that the lights installed in the evacuation route become the lighting of the evacuation route to be controlled. Therefore, when the signal receiving module 611 receives an emergency signal and checks the emergency bell ID, if the code of conduct for lighting the surrounding lights according to the confirmed emergency bell ID is executed, the surrounding lights are automatically turned on and the lights on the evacuation route are turned on. The evacuation route lights can be turned on automatically if it is executed.

CCTV 제어 모듈(613)은 CCTV(500)를 자동으로 제어한다. CCTV 제어 모듈(613)의 자동 목적은, 다양한 방향을 지향하는 CCTV(500)들 중 무선 비상벨(100) 인근의 CCTV(500)가 비상 신호가 수신된 무선 비상벨(100)을 감지하도록 지향 방향을 변경하는 것이다. CCTV 제어 모듈(613)에는 비상벨 ID에 따라 어떠한 CCTV를 어떠한 방향으로 지향시킬 것인지 미리 결정되어 있다. 따라서, 신호 수신 모듈(611)이 비상 신호를 수신하고 비상벨 ID를 확인한 경우, 확인된 비상벨 ID에 따라 미리 결정되어 있는 방식으로 CCTV(500)의 감지 방향을 자동으로 제어하게 된다. The CCTV control module 613 automatically controls the CCTV 500. The automatic purpose of the CCTV control module 613 is oriented so that the CCTV 500 near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among the CCTV 500 oriented in various directions detect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in which the emergency signal has been received. It is to change direction. In the CCTV control module 613, it is determined in advance which CCTV is directed in which direction according to the emergency bell ID. Accordingly, when the signal receiving module 611 receives the emergency signal and checks the emergency bell ID, the detection direction of the CCTV 500 is automatically controlled in a manner that is pre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firmed emergency bell ID.

비상벨 통화 모듈(614)은 무선 비상벨(100)과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여 무선 비상벨(100)을 사용한 사용자와 통화를 수행한다. The emergency bell call module 614 transmits and receives a communication signal with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to perform a call with a user who has used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안내 방송 모듈(615)은 지하 주차장이 구비된 건물 또는 단지 내 안내 방송 스피커(700)를 통해 안내 방송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안내 방송 메시지는 각 시나리오마다 미리 결정되어 있어서, 어떠한 시나리오인지 확인되고 안내 방송을 전달하겠다는 행동 규약이 확인된 경우 즉각적으로 전달된다. The announcement module 615 performs a function of delivering announcements through the announcement speaker 700 in a building or complex equipped with an underground parking lot. Since the announcement message is predetermined for each scenario, it is immediately delivered when a certain scenario is confirmed and a code of conduct to deliver the announcement is confirmed.

외부 통화 모듈(616)은 외부 단말기(800)에 미리 결정된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외부 단말기(800)는, 해당 건물 또는 단지의 관리자 단말기(810), 경찰서, 소방서, 지방자치단체 등 방재 관청 단말기(820), 해당 건물 또는 단지 내 모든 입주민 단말기(83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나리오가 화재 상황인 것이 확인되었다면, 관리자 단말기(810)와 방재 관청 단말기(820)와 입주민 단말기(830)에 상황을 전달하는 문자 메시지가 자동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다른 예를 들어, 시나리오가 강도 상황인 것이 확인되었다면, 관리자 단말기(810)와 방재 관청 단말기(820) 중 경찰서의 단말기에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이 자동으로 전송될 수 있다. 어떠한 단말기에 전송할 것인지 여부는 각 시나리오 별로 미리 결정되어 있다. The external call module 616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text message or voice to the external terminal 800. The external terminal 800 may be an administrator terminal 810 of a corresponding building or complex, a terminal 820 for disaster prevention such as a police station, a fire station, a local government, etc., and all resident terminals 830 in the corresponding building or complex. For example, if it is confirmed that the scenario is a fire situation, a text message conveying the situation may be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manager terminal 810, the disaster prevention office terminal 820, and the resident terminal 830. For example, , If it is confirmed that the scenario is a robbery situation, a text message or voice may be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a terminal of the police station among the administrator terminal 810 and the disaster prevention office terminal 820. Whether to transmit to which terminal is determined in advance for each scenario.

모니터링 장치(620)는 관제실(600)에 위치하는 종래의 일반적인 모니터일 수 있다. 여기에는 지도 출력부(621)와 영상 출력부(623)가 포함된다. The monitoring device 620 may be a conventional general monitor located in the control room 600. This includes a map output unit 621 and an image output unit 623.

지도 출력부(621)는 지하 주차장의 지도와 더불어 무선 비상벨(100)의 위치를 표시한다. 도 5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무선 비상벨(100)에서 비상 신호가 수신된 경우, 비상 신호에 포함된 비상벨 ID를 이용하여 어느 비상벨에서 비상 신호사가 송신된 것인지를 지도와 함께 출력한다. The map output unit 621 displays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along with the map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It may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5. In addition, when an emergency signal is received from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the emergency signal from which emergency signal is transmitted is output with a map using the emergency bell ID included in the emergency signal.

영상 출력부(623)는 다수의 CCTV(500)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다수의 모니터에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무선 비상벨(100)에서 비상 신호가 수신된 경우 CCTV 제어 모듈(613)이 해당 무선 비상벨(100)로 CCTV(500)의 감지 방향을 자동으로 변경시키는데, 이 때에 감지 방향이 변경된 CCTV(500)가 촬영한 영상을 우선적으로 또는 강조하여 출력할 수 있다. The image output unit 623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outputs images captured by a plurality of CCTVs 500 to a plurality of monitors. When an emergency signal is received from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the CCTV control module 613 automatically changes the detection direction of the CCTV 500 to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and at this time, the CCTV 500 ) Can be output with priority or emphasis.

수동 제어 장치(630)는 조명(400)과 CCTV(500)를 수동으로 제어하는 장치로서, 수동 제어 신호가 입력된 경우, 조명 제어 모듈(612)과 CCTV 제어 모듈(613)의 자동 제어에 우선하여 조명(400)과 CCTV(50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manual control device 630 is a device that manually controls the lighting 400 and the CCTV 500, and when a manual control signal is input,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lighting control module 612 and the CCTV control module 613 is given priority. Thu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lighting 400 and the CCTV 500.

통화 장치(640)는 스피커와 마이크를 포함하여, 무선 비상벨(100) 노또는 유선 통화 장치(600)와 통화를 수행하게 한다. The call device 640 includes a speaker and a microphone to perform a call with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or the wired call device 600.

사고 관리 방법의 설명Description of Incident Management Methods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With reference to FIGS. 4 to 8, an accident management method for an underground parking l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평상시, 무선 비상벨(100)은 저조도 LED 광 셀(110)에 의하여 충전지(115)를 충전하는 상태이다. 또한, 조도 센서(170)에 의해 감지된 조도에 기반하여 사용 전력을 최소화하면서 적절한 조도로 LED 조명부(160)가 점등된 상태이다. 사고시 사용자가 무선 비상벨(100)을 신속하게 확인하기 위함이다. Normally,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is in a state in which the rechargeable battery 115 is charged by the low-illuminance LED light cell 110. In addition, the LED lighting unit 160 is turned on with an appropriate illuminance while minimizing the power used based on the illuminance sensed by the illuminance sensor 170. This is for the user to quickly check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in case of an accident.

사용자가 사고를 인지하여 무선 비상벨(100)의 비상벨 버튼(130)을 클릭하면 충전지(115)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은 신호 송수신부(150)가 비상 신호를 관제 서버(610)에 전송한다. 비상 신호는 비상벨 ID를 포함한 신호이다. 충전지(115)는 저조도 LED 광 셀(110)에 의해 항시 충전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전력이 부족하다면 압전 소자(140)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아 비상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When a user recognizes an accident and clicks the emergency bell button 130 of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the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unit 150 receiving power from the rechargeable battery 115 transmits an emergency signal to the control server 610. The emergency signal is a signal including the emergency bell ID. The rechargeable battery 115 is preferably kept in a state of being charged by the low-illuminance LED light cell 110 at all times, but if power is insufficient, it may receive power by the piezoelectric element 140 and transmit an emergency signal.

관제실(600)의 관제 서버(610)는 비상 신호를 수신하고, 여기에 포함된 비상벨 ID를 확인하여 비상벨 위치를 확인한다(도 5). 이 때에 모니터링 장치(620)에서 비상벨의 위치가 출력된다. The control server 610 of the control room 600 receives an emergency signal and checks the emergency bell ID included therein to check the emergency bell location (FIG. 5). At this time,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bell is output from the monitoring device 620.

관제 서버(610)의 CCTV 제어 모듈(613)은 해당 비상벨 ID에 미리 결정되어 있는 정보에 따라 CCTV(500)를 감지 방향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이와 동시에, 관제실(600)은 통화 장치(640)를 통하여 무선 비상벨(100) 또는 유선 통화 장치(300)에 통신신호를 전송하여 사용자와 통화를 시작할 수 있다. The CCTV control module 613 of the control server 610 automatically controls the detection direction of the CCTV 500 according to information predetermined in the corresponding emergency bell ID. At the same time, the control room 600 may start a call with the user by transmitting a communication signal to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or the wired call device 300 through the call device 640.

이제, 시나리오가 확인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동도 또는 자동으로 확인될 수 있다. Now, the scenario is confirmed.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confirmed manually or automatically.

관제 서버(610)는 시나리오마다 미리 결정된 방식으로 행동 규약을 수행한다. 수행되는 행동 규약은 아래의 네 가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server 610 performs a code of conduct in a predetermined manner for each scenario. The code of conduct to be performed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four.

'가' 비상 신호에 포함된 비상벨 ID에 따라 미리 결정되어 있는 무선 비상벨(100)의 주변 조명을 자동으로 제어Automatically controls the ambient lighting of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which is determin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emergency bell ID included in the'A' emergency signal

'나' 비상 신호에 포함된 비상벨 ID에 따라 미리 결정되어 있는 무선 비상벨(100)로부터 가장 인접한 피난로에 이르는 대피로 조명을 자동으로 제어Automatically control the lighting of the evacuation route from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to the nearest evacuation route according to the emergency bell ID included in the'B' emergency signal

'다' 지하 주차장의 건물 또는 단지에 구비된 안내 방송 스피커(700)에 상기 입력된 시나리오마다 미리 결정된 안내 방송을 전송'C' Transmits a predetermined announcement for each of the input scenarios to the announcement speaker 700 provided in the building or complex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라' 미리 결정된 외부 단말기(800)에, 입력된 시나리오마다 미리 결정된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을 자동으로 전송, 'D' Automatically transmits a predetermined text message or voice to the predetermined external terminal 800 for each input scenario,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동 규약 '가'는 비상 신호가 송신된 무선 비상벨(100) 주변의 조명을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화재 상황시 도움을 주는 것은 물론, 인명 구조를 위하여 사람의 위치를 확인하는데 도움을 준다. As shown in FIG. 6, the code of conduct'A' is to control the lighting around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to which the emergency signal is transmitted to be turned on. It not only helps in the event of a fire, but also helps to check the location of people for the sake of saving lives.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동 규약 '나'는 비상 신호가 송신된 무선 비상벨(100)로부터 가장 인접한 피난로에 이르는 대피로 조명을 자동으로 점등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의 대피 동선을 효율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특히, 연기가 많은 화재 상황시 도움을 줄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code of conduct'I' can efficiently inform the user's evacuation route by controlling the light of the evacuation route from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to which the emergency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nearest evacuation route to be automatically turned on. have. In particular, it can be helpful in a smoky fire situation.

어떠한 행동 규약이 실행될지 여부는 시나리오마다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다.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화재, 강도, 교통사고의 시나리오가 미리 준비되어 있는 경우이다. 화재 시나리오 시에는, 행동 규약 전부가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도 시나리오 시에는, 적어도 관리자 단말기(810)와 방재 관청 단말기(820)에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이 전달되어야 하나, 주변 조명과 대피로 조명이 필요할지 여부는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강도 피해자가 상황을 인지한 경우라면 주변 조명이 필요하고 조도가 낮은 지하 주차장이라면 대피로 조명이 필요하겠지만, 강도 목격자가 무선 비상벨(100)을 이용한 것이라면 오히려 해당 조명이 방해될 수도 있다. 교통사고 시나리오 시에는 주변 조명이 점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외부 단말기를 통한 통신 필요 여부는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명 피해가 있는 사고라면 연결이 필요하나,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Which code of conduct will be implemented may be predetermined for each scenario.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For example, a fire, robbery, or traffic accident scenario has been prepared in advance. In a fire scenario, it is desirable that the entire code of conduct is implemented. In the case of a robbery scenario, a text message or voice should be transmitted to at least the administrator terminal 810 and the disaster prevention office terminal 820, but whether ambient lighting and evacuation lighting are required may vary depending on the situation. For example, if the victim of a robbery recognizes the situation, ambient lighting is required, and if an underground parking lot with low illumination, lighting as an evacuation route may be required, but if a burglar witness uses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the lighting may be obstructed. have. In the case of a traffic accident scenario, it is desirable to turn on the ambient lighting, and whether or not communication through an external terminal is required may vary depending on the situation. For example, a connection may be necessary for an accident involving personal injury, but may not be necessary otherwise.

이러한 시나리오는 오직 예시적인 것이며, 다양한 시나리오가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해당 시나리오마다 조명, 방송, 외부 단말기 통신 중 어떠한 것이 수행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충분히 변경될 수 있다. Such a scenario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scenarios are possible. In addition, determining which of lighting, broadcasting, and external terminal communication is to be performed for each corresponding scenario can be sufficiently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양한 실시예Various examples

본 발명의 다양하게 변형된 실시예를 설명한다.Various modifi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일 실시예에서, 무선 비상벨(100)이 송신하는 비상 신호는 충전량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제실(600)의 모니터링 장치(620)는 비상 신호가 송신된 무선 비상벨(100)의 비상벨 ID(즉, 비상벨 위치)와 아울러 충전량을 출력한다. 충전된 충전량을 통해, 해당 무선 비상벨(100)의 향후 통화 가능 시간을 관제실(600)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대형 화재와 같이 대피에 시간이 걸리어 해당 위치에서 장시간 대기하는 것이 필요하여 사용자를 안심시키고 적절한 이동 시점을 알려주도록 장시간 통화를 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는데, 충전량을 통하여 관제실(600)이 이를 확인하여 적절한 대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mergency signal transmitted by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may further include charge amount information. The monitoring device 620 of the control room 600 outputs the emergency bell ID (ie, the emergency bell position) of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to which the emergency signal is transmitted, as well as the amount of charge. Through the charged amount, it is possible to check the possible future call time of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in the control room 600. As it takes a long time to evacuate, such as a large fire, it may be necessary to wait for a long time at the location, so it may be necessary to make a long call to reassure the user and inform the appropriate time of movement.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pe with it.

일 실시예에서, 사고 시나리오가 관제실에서 직접 입력되는 대신, CCTV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자동으로 인지될 수 있다. 여기에는 종래 알려진 지능형 영상 분석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비상벨(100)에 사고 시나리오별로 다수의 비상벨 버튼(130)이 구비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비상벨 버튼(130)을 누르는 것만으로도 어떠한 시나리오인지 자동으로 확인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비상벨(100)의 비상벨 버튼(130)을 누르는 횟수마다 시나리오가 미리 결정되어 있고, 이에 대한 안내가 무선 비상벨(100)에서 제공되어 있어서, 관제실에서는 비상 신호를 수신하기만 하면 어떠한 시나리오인지 자동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ccident scenario may be automatically recognized by analyzing CCTV images instead of being directly input from the control room. Here, a conventionally known intelligent image analysis method may be used. In another embodiment, since a plurality of emergency bell buttons 130 are provided for each accident scenario in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the user can automatically check what scenario it is just by pressing the emergency bell button 130. . In another embodiment, a scenario is predetermined for each number of times the emergency bell button 130 of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is pressed, and guidance for this is provided by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so that an emergency signal is transmitted in the control room. You can also automatically check what scenario it is by simply receiving it.

일 실시예에서, 행동 규칙 '가'에서, 비상 신호에 포함된 비상벨 ID에 따라 미리 결정되어 있는 무선 비상벨(100)의 주변 조명을 자동으로 제어하되, 입력된 시나리오마다 미리 결정되어 있는 색상으로 주변 조명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 시나리오에서는 황색 등으로, 강도 시나리오에서는 경광등과 같이 적색/청색 등이 교번적으로 점등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n the behavior rule'A', the ambient lighting of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which is predetermined according to the emergency bell ID included in the emergency signal,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ut a color predetermined for each input scenario The ambient lighting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in a fire scenario, a yellow light may be turned on, and in an intensity scenario, a red/blue light may be alternately lit, such as a warning light.

일 실시예에서, 유선 통화 장치(300)가 활용될 수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 통화 장치(300) 없이 무선 비상벨(100)의 통화부(120)를 통하여 관제실(600)과 사용자가 통화할 수도 있으나,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 통화 장치(300)가 무선 비상벨(100)이 설치된 위치 인근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유선 통화 장치(300)를 사용하여 관제실(600)과 통화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비상벨(100)이 통화부(12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유선 통화 장치(300)는 중계기(200)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ne embodiment, the wired telephone device 300 may be utilized. As shown in FIG. 9A, the control room 600 and the user may make a call through the call unit 120 of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without the wired call device 300, but as shown in FIG. 9B, Since the call device 300 is located near the location where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is installed, the user can make a call with the control room 600 using the wired call device 300. In this case,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and the call unit 120 may be omit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wired call device 300 is connected to the repeater 200 by wire.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are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s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from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examples are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100: 무선 비상벨
110: 저조도 LED 광 셀
115: 충전지
120: 통화부
130: 비상벨 버튼
140: 압전 소자
150: 신호 송수신부
160: LED 조명부
170: 조도 센서
200: 중계기
300: 유선 통화 장치
400: 조명
500: CCTV
600: 관제실
610: 관제 서버
611: 신호 수신 모듈
612: 조명 제어 모듈
613: CCTV 제어 모듈
614: 비상벨 통화 모듈
615: 안내 방송 모듈
616: 외부 통화 모듈
620: 모니터링 장치
621: 지도 출력부
623: 영상 출력부
630: 수동 제어 장치
632: 조명 수동 제어부
633: CCTV 수동 제어부
640: 통화 장치
700: 안내 방송 스피커
800: 외부 단말기
810: 관리자 단말기
820: 방재 관청 단말기
830: 입주민 단말기
100: wireless emergency bell
110: low-light LED light cell
115: rechargeable battery
120: Monetary Department
130: emergency bell button
140: piezoelectric element
150: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unit
160: LED lighting unit
170: illuminance sensor
200: repeater
300: wired calling device
400: lighting
500: CCTV
600: control room
610: control server
611: signal receiving module
612: lighting control module
613: CCTV control module
614: emergency bell call module
615: announcement module
616: external call module
620: monitoring device
621: map output unit
623: video output unit
630: manual control device
632: lighting manual control
633: CCTV manual control unit
640: call device
700: announcement speaker
800: external terminal
810: administrator terminal
820: Disaster Prevention Office Terminal
830: resident terminal

Claims (13)

건물 또는 단지의 지하 주차장에 구비된 다수의 무선 비상벨(100)을 이용한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시스템으로서,
비상벨 버튼(130)이 클릭된 경우, 상기 비상벨 버튼(130)마다 할당된 고유의 비상벨 ID를 포함한 비상 신호를 송신하는, 다수의 무선 비상벨(100); 및
상기 비상 신호를 수신하는 관제 서버(610); 를 포함하며,
상기 관제 서버(610)는,
상기 비상 신호에 응답하여, 미리 결정된 방법에 따라, 지하 주차장에 구비된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구비되되,
상기 장치는, 조명(400) 또는 CCTV(500)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비상벨(100)은,
충전지(115);
상기 비상벨 버튼(130);
상기 비상벨 버튼(130)이 클릭된 경우 상기 관제 서버(610)에 상기 비상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충전지(115)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신호 송수신부(150);
상기 충전지(115)를 충전하는, 저조도 LED 광 셀(110); 및
상기 비상벨 버튼(130)과 연계되어, 상기 충전지(115)를 충전하는, 압전 소자(140)를 포함하는,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시스템.
As an underground parking lot accident management system using a plurality of wireless emergency bells 100 provided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of a building or complex,
When the emergency bell button 130 is clicked, a plurality of wireless emergency bells 100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signal including a unique emergency bell ID assigned to each of the emergency bell buttons 130; And
A control server 610 for receiving the emergency signal; Including,
The control server 610,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etho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a device provided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is provided,
The device includes a lighting 400 or CCTV 500,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Rechargeable battery 115;
The emergency bell button 130;
When the emergency bell button 130 is clicked,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emergency signal to the control server 610 and to receive power from the rechargeable battery 115, a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unit 150;
A low-illuminance LED light cell 110 for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115; And
In connection with the emergency bell button 130, including a piezoelectric element 140 for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115,
Underground parking lot accident managemen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610)는 조명 제어 모듈(612)을 포함하며,
상기 조명 제어 모듈(612)은,
상기 비상 신호에 포함된 비상벨 ID에 따라 미리 결정되어 있는 무선 비상벨 주변 조명을 자동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비상 신호에 포함된 비상벨 ID에 따라 미리 결정되어 있는 무선 비상벨로부터 가장 인접한 피난로에 이르는 대피로 조명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server 610 includes a lighting control module 612,
The lighting control module 612,
Automatically controls the wireless emergency bell ambient lighting predetermined according to the emergency bell ID included in the emergency signal, 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lighting of the evacuation route from the wireless emergency bell predetermined according to the emergency bell ID included in the emergency signal to the nearest evacuation route,
Underground parking lot accident managemen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610)는, 상기 지하 주차장에 구비된 CCTV(500)를 제어하는 CCTV 제어 모듈(613)을 더 포함하며,
상기 CCTV 제어 모듈(613)은,
상기 비상 신호에 포함된 비상벨 ID에 따라 미리 결정되어 있는 방식으로 CCTV(500)의 감지 방향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server 610 further includes a CCTV control module 613 for controlling the CCTV 500 provided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The CCTV control module 613,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detection direction of the CCTV 500 in a predetermined manner according to the emergency bell ID included in the emergency signal,
Underground parking lot accident managemen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610)는, 상기 지하 주차장의 건물 또는 단지에 구비된 안내 방송 스피커(700)에 미리 결정된 안내 방송을 전송하는 안내 방송 모듈(615)을 더 포함하는,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server 610 further includes an announcement module 615 for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announcement to the announcement speaker 700 provided in the building or complex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Underground parking lot accident managemen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610)는, 미리 결정된 외부 단말기(800)에 미리 결정된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을 자동으로 전송하는 외부 통화 모듈(616)을 더 포함하는,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server 610 further includes an external call module 616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text message or voice to the predetermined external terminal 800,
Underground parking lot accident management system.
제 1 항에 따른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상기 무선 비상벨로서,
상기 충전지(115);
상기 비상벨 버튼(130);
상기 비상벨 버튼(130)이 클릭된 경우 상기 관제 서버(610)에 상기 비상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충전지(115)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상기 신호 송수신부(150);
상기 충전지(115)를 충전하는, 상기 저조도 LED 광 셀(110); 및
상기 비상벨 버튼(130)과 연계되어, 상기 충전지(115)를 충전하는, 상기 압전 소자(140)를 포함하는,
무선 비상벨.
As the wireless emergency bell used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accid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1,
The rechargeable battery 115;
The emergency bell button 130;
When the emergency bell button 130 is clicked, the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unit 150 may transmit the emergency signal to the control server 610 and receive power from the rechargeable battery 115;
The low-illuminance LED light cell 110 for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115; And
In connection with the emergency bell button 130, includ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140 for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115,
Wireless emergency be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비상벨(100)은,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170); 및
상기 조도 센서(170)에서 감지된 조도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규칙에 의해 결정된 조도의 빛을 상기 무선 비상벨(100) 주변에 제공하며, 상기 충전지(115)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LED 조명부(160)를 더 포함하는,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An illuminance sensor 170 for sensing ambient illuminance; And
An LED lighting unit 160 that provides light of an illuminance determined by a predetermined rule based on the illuminance sensed by the illuminance sensor 170 around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and receives power from the rechargeable battery 115 ) Further comprising,
Underground parking lot accident managemen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비상벨(100)은, 상기 신호 송수신부(150)를 통해 상기 관제 서버(610)와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한 통화부(1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시스템은,
중계기(200); 및
상기 중계기(200)를 통해 상기 관제 서버(610)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유선 통화 장치(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호 송수신부(150)는 상기 중계기(200)를 통해 무선으로 상기 관제 서버(610)에 상기 비상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유선 통화 장치(300)는 상기 무선 비상벨(100)이 설치된 위치 인근에 위치하는,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further includes a call unit 120 capable of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server 610 through the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unit 150,
The underground parking lot accident management system,
Repeater 200; And
Further comprising a wired call device 300 connected to the control server 610 through the repeater 200 by wire,
The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unit 150 transmits the emergency signal to the control server 610 wirelessly through the repeater 200,
The wired call device 300 is located near the location where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is installed,
Underground parking lot accident management system.
건물 또는 단지의 지하 주차장에 구비된 다수의 무선 비상벨(100)을 이용한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비상벨(100)은,
충전지(115);
비상벨 버튼(130);
비상벨 버튼(130)이 클릭된 경우 관제 서버(610)에 비상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충전지(115)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신호 송수신부(150);
상기 충전지(115)를 충전하는, 저조도 LED 광 셀(110); 및
상기 비상벨 버튼(130)과 연계되어, 상기 충전지(115)를 충전하는, 압전 소자(140)를 포함하며,
(a) 무선 비상벨(100)이 상기 관제 서버(610)에 상기 비상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b) 상기 관제 서버(610)가 상기 비상 신호에 포함된 비상벨 ID를 이용하여 상기 비상 신호를 송신한 상기 무선 비상벨(100)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관제 서버(610)가 상기 무선 비상벨(100) 또는 상기 무선 비상벨 인근에 위치하는 유선 통화 장치(300)와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
(d) 상기 관제 서버(610)에 미리 결정된 다수의 시나리오 중 어느 하나의 시나리오가 입력되는 단계; 및
(e) 상기 입력된 시나리오마다 미리 결정되어 있는 다음의 행동 규칙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 상기 비상 신호에 포함된 비상벨 ID에 따라 미리 결정되어 있는 상기 무선 비상벨(100)의 주변 조명을 자동으로 제어
'나' 상기 비상 신호에 포함된 비상벨 ID에 따라 미리 결정되어 있는 대피로 조명을 자동으로 제어
'다' 상기 지하 주차장의 건물 또는 단지에 구비된 안내 방송 스피커(700)에 상기 입력된 시나리오마다 미리 결정된 안내 방송을 전송
'라' 미리 결정된 외부 단말기(800)에, 상기 입력된 시나리오마다 미리 결정된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을 자동으로 전송,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방법.
As an underground parking lot accident management method using a plurality of wireless emergency bells 100 provided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of a building or complex,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Rechargeable battery 115;
Emergency bell button 130;
When the emergency bell button 130 is clicked,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 emergency signal to the control server 610 and to receive power from the rechargeable battery 115, a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unit 150;
A low-illuminance LED light cell 110 for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115; And
In connection with the emergency bell button 130, including a piezoelectric element 140 for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115,
(a)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transmitting the emergency signal to the control server (610);
(b) checking, by the control server 610,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to which the emergency signal is transmitted using the emergency bell ID included in the emergency signal;
(c) transmitting and receiving, by the control server 610, a communication signal with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or a wired communication device 300 located near the wireless emergency bell;
(d) input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scenarios into the control server 610; And
(e) including the step of performing any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behavioral rules predetermined for each of the input scenarios,
'A' Automatically controls the ambient lighting of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which is predetermined according to the emergency bell ID included in the emergency signal
'B' Automatically controls the lighting of a predetermined evacuation route according to the emergency bell ID included in the emergency signal.
'C' Transmits a predetermined announcement for each of the input scenarios to the announcement speaker 700 provided in the building or complex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D' automatically transmits a predetermined text message or voice to the predetermined external terminal 800 for each of the input scenarios,
How to manage accidents in underground parking lot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시나리오는, 화재, 강도 및 교통 사고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된 시나리오가 화재인 경우, 상기 행동 규칙 '가', '나', '다' 및 '라'가 수행되고,
상기 입력된 시나리오가 강도인 경우, 적어도 상기 행동 규칙 '라'가 수행되고, 그리고
상기 입력된 시나리오가 교통 사고인 경우, 적어도 상기 행동 규칙 '가'가 수행되는,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above scenarios include fire, robbery and traffic accidents,
If the input scenario is a fire, the behavior rules'A','B','C'and'D' are performed,
When the input scenario is a strength, at least the behavior rule'D' is performed, and
When the input scenario is a traffic accident, at least the behavior rule'A' is performed,
How to manage accidents in underground parking lot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에,
상기 관제 서버(610)가, 상기 비상 신호에 포함된 비상벨 ID에 따라 미리 결정되어 있는 방식으로 CCTV(500)의 감지 방향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After step (b),
The control server 610,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detection direction of the CCTV 500 in a predetermined manner according to the emergency bell ID included in the emergency signal,
How to manage accidents in underground parking lot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관제 서버(610)가 상기 비상 신호에 포함된 비상벨 ID에 따라 미리 결정된 CCTV의 영상을 분석하여, 미리 결정된 다수의 시나리오 중 어느 하나의 시나리오인지 자동으로 판단하여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ep (d),
Including the step of the control server 610 analyzing the video of the CCTV predetermined according to the emergency bell ID included in the emergency signal, automatically determining and input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scenarios,
How to manage accidents in underground parking lot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행동 규칙 '가'는,
상기 비상 신호에 포함된 비상벨 ID에 따라 미리 결정되어 있는 상기 무선 비상벨(100)의 주변 조명을 자동으로 제어하되, 상기 입력된 시나리오마다 미리 결정되어 있는 색상으로 주변 조명이 제어되는 것인,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above rule of conduct'go' is,
The ambient lighting of the wireless emergency bell 100 is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emergency bell ID included in the emergency signal, but the ambient lighting is controlled in a predetermined color for each of the input scenarios,
How to manage accidents in underground parking lots.
KR1020190086461A 2019-07-17 2019-07-17 A wireless emergency bell and an accident management system for underground parking lot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22481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461A KR102248180B1 (en) 2019-07-17 2019-07-17 A wireless emergency bell and an accident management system for underground parking lot and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461A KR102248180B1 (en) 2019-07-17 2019-07-17 A wireless emergency bell and an accident management system for underground parking lot and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703A KR20210010703A (en) 2021-01-28
KR102248180B1 true KR102248180B1 (en) 2021-05-06

Family

ID=74239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461A KR102248180B1 (en) 2019-07-17 2019-07-17 A wireless emergency bell and an accident management system for underground parking lot and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18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6786A (en) 2022-07-07 2024-01-16 주식회사 휴맥스팍스 Server,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departure information by detecting accident in parking are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420B1 (en) * 2021-11-01 2022-09-05 (주)비앤와이이엔지 Fire sprinkler pipe fixing system for apartment buildings
KR102502922B1 (en) * 2022-12-02 2023-02-23 주식회사 엔키텍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larming and monitoring of emergency situation
KR102662452B1 (en) * 2023-09-22 2024-05-02 주식회사 에스앤에이치솔루션 Smart Emergency Bell Device and Alert System Using the Same
KR102614695B1 (en) * 2023-09-26 2023-12-14 주식회사 에스앤에이치솔루션 Smart Emergency Bell Device and Alert System Us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562B1 (en) 2007-06-19 2007-10-23 (주)유셀네트웍스 Emergency alarm system and method
KR101528815B1 (en) * 2014-12-12 2015-06-19 (주)지준시스템 Lighting apparatud for crime using partition wall moldbar and method and system for parking lot integration solution having application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and using the same
KR101853872B1 (en) 2016-12-09 2018-06-08 김서현 Apparatus f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emergency door and Cloud-based emergency do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918B1 (en) * 2011-05-09 2013-01-04 마명철 Remote security system with wireless emergency bell apparatus
KR102100411B1 (en) * 2016-10-28 2020-04-16 주식회사 투윈스컴 Using image monitoring system, such as emergency call button and fire detection sensor and park displa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562B1 (en) 2007-06-19 2007-10-23 (주)유셀네트웍스 Emergency alarm system and method
KR101528815B1 (en) * 2014-12-12 2015-06-19 (주)지준시스템 Lighting apparatud for crime using partition wall moldbar and method and system for parking lot integration solution having application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and using the same
KR101853872B1 (en) 2016-12-09 2018-06-08 김서현 Apparatus f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emergency door and Cloud-based emergency do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6786A (en) 2022-07-07 2024-01-16 주식회사 휴맥스팍스 Server,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departure information by detecting accident in parking are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703A (en) 202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8180B1 (en) A wireless emergency bell and an accident management system for underground parking lot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827733B1 (en) An intelligence type emergency shunting incitement method and system of the same
KR101803806B1 (en) Social security network system having portable lighting for combing wireless disaster fire detection and security accident prevention
KR101772806B1 (en) Emergency shunting incitement method of automatically transforming escape direction according to fire located, and system of the same
KR101705753B1 (en) Evacuation path guidance system
KR101684374B1 (en) Integrated fire control system equipped with fire detection capabilities of the House of Commons
KR101725802B1 (en) ICT based intelligence type shunting incitement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CN109819676B (en) LED illuminating lamp system with disaster alarm and disaster training functions
US20200152035A1 (en) Remote disaster prevention system
KR101950793B1 (en) A system for detecting fire automatic
KR101957637B1 (en) Parking enforcement system using bus inform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KR200463282Y1 (en) Advertising apparatus with emergency warning function
KR20200065936A (en) Real-time monitoring system equipped with camera module for communication
KR102276548B1 (en) Mesh type Bluetooth emergency bell system
KR101527725B1 (en) System to manage fire fighting facilities and method for managing thereof
KR101992973B1 (en) Tunnel management system
KR20100002104A (en) Unification wireless digital system for preventing disasters
KR102429226B1 (en) Safe return system using a Smart security light switche
JP5002549B2 (en) Abnormal equipment detection system
KR20190025440A (en) Control System for Emergency Handling
KR102113419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porting disaster using automatic video call switching
KR20090078854A (en) Integrated security cctv system using intranet or internet for rapid response to an emergency calling
KR102605754B1 (en) Emergency bell system with check device function
KR101674575B1 (en) Unattended image pole and Early fire protection system with the pole
KR102266482B1 (en) Fire detector and fire detec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