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753B1 - Evacuation path guidance system - Google Patents

Evacuation path guidanc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753B1
KR101705753B1 KR1020160109358A KR20160109358A KR101705753B1 KR 101705753 B1 KR101705753 B1 KR 101705753B1 KR 1020160109358 A KR1020160109358 A KR 1020160109358A KR 20160109358 A KR20160109358 A KR 20160109358A KR 101705753 B1 KR101705753 B1 KR 101705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rol
evacuation route
evacuation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3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04913A (en
Inventor
최태식
윤승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익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익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익성
Priority to KR1020160109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753B1/en
Publication of KR20170004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9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7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발명은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벽에 설치되어 대피 경보를 안내하는 음성출력 멘트를 출력하거나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방향을 LED로 점등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단말, 상기 건물의 설계 도면을 전달받아 저장하고 있고, 저장된 상기 건물의 설계 도면에 따라 대피 경로를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대피 경로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단말에서 출력할 음성출력 멘트와 대피 경로를 안내할 방향을 각각 지정하여 저장하는 서버, 그리고 상기 서버가 상기 건물의 설계 도면에 따라 생성한 상기 대피 경로를 상기 건물의 설계 도면에 매핑하여 대피 상황을 출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단말에서 출력할 음성출력 멘트와 대피 경로를 안내할 방향을 제어하는 관제 및 제어 단말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화재 발생 시 화재가 발생한 구역에 대응하여 설정된 대피 경로에 따라 음성멘트와 대피방향을 출력하므로, 원활한 대피 경로 안내가 가능하고, 변화하는 화재 상황에서도 설정된 대피 경로에 따라 수정된 대피 경로 안내가 가능하여 적응적인 대피 경로 안내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which comprises at least one guide terminal installed on a wall of a building for outputting a voice output message for guiding a evacuation alarm or illuminating a direction guiding the evacuation route with an LED, And a direction to guide the evacuation route and the evacuation route to be outputted from the at least one guidance terminal according to the generated evacuation route are designated respectively And the server maps the evacuation route generated by the server according to the design drawing of the building to the design drawing of the building to output the evacuation situation and outputs the evacuation message to be output from the at least one guidance terminal And a control and control terminal for controlling a direction to guide the route. Accordingly, the voice guidance and the evacuation direction are outputted according to the evacuation route set in correspondence with the zone where the fire occurred in the event of fire, so that it is possible to guide smooth evacuation routes and to provide a modified evacuation route in accordance with the evacuation rout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daptive evacuation route guidance.

Description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EVACUATION PATH GUIDANCE SYSTEM}{EVACUATION PATH GUIDANCE SYSTEM}

본발명은 재난 상황 시 건물 내에서 활용할 수 있는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that can be utilized in a building in a disaster situation.

인구의 증가와 함께 많은 사람들이 모인 장소, 빌딩이나 시설, 대형 운송수단 등 다양한 곳에서 크고작은 사고나 재난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다수의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밀집되어 있는 공간 예컨대, 빌딩이나 지하철 역, 대형 선박과 같은 운송수단 등에서 재난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대규모의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With the increase in population, big and small accidents and disasters occur in various places such as places where people gather, buildings and facilities, and large-scale transportation. Especially, when a disaster occurs in a space where a large number of people are relatively densely packed, such as a building, a subway station, or a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a large ship, there is a risk that large-scale casualty damage may occur.

따라서 이러한 공간에는 재난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 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비상상황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사람들에게 경고하거나 사람들의 대피를 유도할 수 있는 시스템들이 널리 이용되고 있고, 한국등록특허(등록번호 10-0766955,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화재사고 감시, 대처관리 시스템", 이하 '종래기술')가 개시되어 있다.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the casualties caused by emergencies such as disasters, systems that can detect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and warn people or evacuate people are widely used in such spaces. 10-0766955, " Fire Accident Monitoring and Countermeasure Management System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 ", hereinafter " Prior Art ").

상기 종래기술의 주요 특징은 다양한 무선통신패턴을 통해 화재감지 데이터, 기기 제어 데이터 등을 전송하면서 화재사고 발생상황에 맞추어 무선 노드들을 제어/구동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사람들의 대피 유도를 위해 곳곳에 대피유도 발광기를 구비하여 대피방향으로 화살표가 발광할 수 있도록 하여 사람들이 안전지대를 용이하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 main feature of the prior art is that it can control / drive wireless nodes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 fire accident while transmitting fire detection data, device control data and the like through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patterns. In particular, And the escape guiding light emitters are provided so that the arrows can emit light in the evacuation direction so that people can easily find the safety zone.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과 같이 대피유도 발광기를 통해 대피유도를 수행하는 경우, 특히 빌딩 등의 공간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연기 등으로 인해 사람들의 시야가 극히 제한적이 되는 특성상 상기 대피유도 발광기의 화살표 방향을 구분하기가 쉬운 일이 아니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재발생시 발생하는 유독한 연기를 피하기 위해서는 대피할 때 낮은 자세를 유지해야 하며, 이러한 연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람들의 시야를 확보하는데 큰 장애물이 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evacuation induc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evacuation guiding light emitters as in the prior art, particularly when a fire occurs in a space such as a building, due to smoke and the like, the visual field of people is extremely limit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distinguish. In order to avoid the toxic smoke that occurs when a fire occurs,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 low posture when evacuating. Such a smoke may be a great obstacle for securing the view of people as described above.

상기 종래기술 외에도 기존의 비상상황의 대처관리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구내 방송 등을 이용하여 비상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경보음을 발생하거나, 사람들의 대피를 권하는 대피안내방송을 송출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대피안내방송의 경우, 관리실 등에서 관리자가 직접 대피안내방송을 수행하거나, 미리 저장된 음성방송이 반복적으로 출력되도록 구현됨에 그치고 있어, 건물 내에 있던 사람들은 화재가 정확히 어느 위치에서 발생하였는지 알 수 없어 대피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the existing emergency management systems generally generate an alarm sound by using an internal broadcasting or the like to notify an occurrence of an emergency situation, or send out an evacuation announcement that encourages people to evacuate. In the case of evacuation announcement broadcasting, the administrator performs the evacuation announcement broadcast directly in the management room, or the previously stored voice broadcasting is repeatedly outputted. Therefore, the people in the building can not know exactly where the fire occurr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be efficiently performed.

따라서, 비상상황 시 대피 경로를 효율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ystem that can efficiently guide the evacuation route in an emergency situation.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건물의 구조에 따른 비상경로를 미리 설계하고 있고, 비상상황이 발생했을 때, 미리 설계한 비상경로를 안내하여 비상상황 시 효율적인 대피 경로를 제안하며, 이로 인해,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mergency evacuation route in an emergency situation by guiding an emergency route designed in advance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To reduce the damage.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비상경로 안내 상황과 건물 내 상황을 매핑하여 상황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황데이터를 이용하여 비상상황 시 구조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mergenc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n emergency route guidance system configured to generate emergency emergency route guidance information by mapping state information of an emergency route to a building;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은 건물의 벽에 설치되어 대피 경보를 안내하는 음성출력 멘트를 출력하거나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방향을 LED로 점등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단말, 상기 건물의 설계 도면을 전달받아 저장하고 있고, 저장된 상기 건물의 설계 도면에 따라 대피 경로를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대피 경로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단말에서 출력할 음성출력 멘트와 대피 경로를 안내할 방향을 각각 지정하여 저장하는 서버, 그리고 상기 서버가 상기 건물의 설계 도면에 따라 생성한 상기 대피 경로를 상기 건물의 설계 도면에 매핑하여 대피 상황을 출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단말에서 출력할 음성출력 멘트와 대피 경로를 안내할 방향을 제어하는 관제 및 제어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guide terminal installed on a wall of a building for outputting a voice output message for guiding a evacuation alarm or illuminating a direction guiding the evacuation route with an LED, The design drawing is received and stored, and the evacuation route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design drawing of the stored building, and a direction to guide the voice output message and evacuation route to be outputted from the at least one guidance terminal according to the generated evacuation route And the server maps the evacuation route generated by the server according to the design drawing of the building to the design drawing of the building to output the evacuation state and outputs the evacuation situation to the at least one guidance terminal And a control and control terminal for controlling a direction for guiding the evacuation route.

한 예에서, 상기 관제 및 제어 단말과 상기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단말의 음성출력 멘트 상황과 대피 경로를 안내할 방향 점등 상황을 인터넷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단말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하거나 출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단말에서 출력할 음성출력 멘트와 대피 경로를 안내할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인터넷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단말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xample, the control and control terminal and the server receive and store the voice output status of the at least one guidance terminal and the direction lighting status for guiding the evacuation route from the at least one guidance terminal via the Internet,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direction of guiding the voice output message and the evacuation route to be outputted from the at least one guidance terminal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at least one guidance terminal through the Internet.

이때, 상기 관제 및 제어 단말은 휴대용 전자기기인 것이 좋다.At this time, the control and control terminal is preferably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한 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단말은 연기 감지를 위한 센서, 화재 감지를 위한 센서를 포함하여 연기 감지 및 화재 감지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단말에 접속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단말로부터 연기 감지 및 화재 감지 정보를 전달받아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xample, the at least one guidance terminal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smoke and a sensor for detecting fire, and outputs smoke detection and fire detection information. The at least one guidanc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guidance terminal,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smoke detection and fire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a fire has occurred.

상기 중앙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안내 단말과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단말이 각각 출력할 음성출력 멘트와 대피 경로를 안내할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각각 생성하며, 생성된 각각의 제어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entral terminal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guide termi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direction of guiding the voice output message and the evacuation route to be outputted by the at least one guide terminal, respectively, To the at least one guidance terminal.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단말과 상기 중앙 단말은 BLE 또는 LoRa 기술의 무선통신을 통해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at least one information terminal and the central terminal communicate via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BLE or LoRa technology.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CCTV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CCTV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건물의 설계 도면에 매핑하여 상기 관제 및 제어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CTV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for capturing an image, wherein the server maps an image photographed in the CCTV to a design drawing of the building and transmits the mapping to the control and control terminal.

상기 관제 및 제어 단말은 이동통신을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control and control terminal accesses the server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서버는 건물의 설계 도면을 바탕으로 비상상황 시 대피경로를 미리 생성하고 있고, 중앙 단말은 비상상황 발생 시 적어도 하나의 안내 단말을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안내 단말을 통해 대피경로를 출력한다. 이로 인해, 비상상황 시 신속한 대피경로를 출력할 수 있고, 건물의 구조를 고려한경로 안내를 수행하므로, 효과적인 대피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the server generates the evacuation route in advance in the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the design drawing of the building, and the central terminal controls at least one guidance terminal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and transmits the evacuation route through at least one guidance terminal Outpu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utput a quick evacuation route in an emergency situation, and route guidance is taken in consider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thereby providing effective evacuation guidance.

그리고, 서버에서 생성한 대피경로를 건물 내 상황과 매핑하여 생성한 상황데이터를 관제 및 제어 단말에서 전달받아 이를 활용하여 효과적인 인명구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ituation data generated by mapping the evacuation route generated by the server to the inside situation of the building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and control terminal, and an effective life sav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using the received situation data.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의 안내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의 안내 단말의 출력 예시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의 서버에서 대피경로를 생성할 때 사용하는 이차원의 건물의 설계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의 서버에서 대피경로를 생성할 때 사용하는 삼차원의 건물의 설계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의 서버에서 생성한 대피경로를 나타낸 삼차원의 건물 설계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guidance terminal of the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exemplary output of a guide terminal of an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design of a two-dimensional building used when a evacuation route is generated in a server of the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chematic view of a three-dimensional building used for generating a evacuation route in a server of the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three-dimensional building design diagram illustrating a evacuation route generated by a server of the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은 중앙 단말(200)에 연결된 복수 개의 안내 단말(100; 101, 102, 105) 및 복수 개의 CCTV(400; 401, 405), 중앙 단말(200)과 인터넷(300)을 통해 연결되는 서버(600), 그리고 중앙 단말(200)과 인터넷(300)을 통해 연결되는 관제 및 제어 단말(5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 terminals 100 (101, 102, 105) connected to the central terminal 200, A server 600 connected to the central terminal 200 through the Internet 300 and a controller 600 connected to the central terminal 200 through the Internet 300. The CCTV 400 includes a plurality of CCTVs 400 and 401, 500).

이때, 복수 개의 안내 단말(100; 101, 102, 105)은 복수 개 형성되되, 그 개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guide terminals 100 (101, 102, and 105) are formed, but the number is not limited.

이러한 복수 개의 안내 단말(100; 101, 102, 105)은 건물의 내벽에 장착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복도의 벽에 부착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좋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guide terminals 100 (101, 102, and 105) are formed to be mounted on the inner wall of a building, and preferably have a structure attached to a wall of a hallway.

*도 2를 참고로 하여 안내 단말(100)의 구조를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안내 단말(100)은 통신부(1100), 제어부(1200), 음성출력부(1300), LED출력부(1400), 그리고 저장부(1500)를 포함한다.The guide terminal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0, a control unit 1200, an audio output unit 1300, an LED output unit 1400, And a storage unit 1500.

통신부(1100)는 무선통신 모듈로서, 중앙 단말(200)과 무선통신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100 i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entral terminal 200.

한 예에서, 통신부(1100)는 지그비(Zigbee), 6LoWPAN, BLE 또는 저전력 광역 네트워크인 LoRa 기술을 통해 무선통신을 수행한다.In one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100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LoRa technology, which is a Zigbee, 6LoWPAN, BLE, or low power wide area network.

이러한 통신부(1100)는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중앙 단말(20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제어부(1200)로 전달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100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central terminal 2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unit 1200.

제어부(1200)는 통신부(1100), 음성출력부(1300), LED 출력부(1400), 그리고 저장부(1500)와 각각 연결되어 위치하고, 통신부(1100)가 중앙 단말(20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음성출력부(1300) 및 LED출력부(1400)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200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1100, the audio output unit 1300, the LED output unit 1400 and the storage unit 1500. The communication unit 1100 controls the control And controls the voice output unit 1300 and the LED output unit 1400 in response to the signal.

이때, 제어부(1200)는 통신부(110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부(1500)에 저장된 음성출력 멘트를 음성출력부(1300)에 출력하도록 제어하거나, 저장부(1500)에 저장된 점등지점을 LED출력부(1400)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200 controls the voice output unit 1300 to output the voice output sentenc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100, Point to the LED output unit 1400. [0157]

한 예에서, 제어부(1200)가 통신부(110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따라음성출력부(1300)의 음성 출력 및 LED출력부(1400)의 출력이 제어됨에 있어서, 복수 개의 안내 단말(10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음성출력부(1300) 및 LED출력부(1400)는 제어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음성멘트와 출력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0 controls the audio output of the audio output unit 1300 and the output of the LED output unit 140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100, A plurality of voice output units 1300 and an LED output unit 1400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controlled to output different voice commands and output screen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바람직하게는, 인접하는 두 개의 안내단말(100)에서한 개의 안내단말(101)은 제어신호에 따라 진행방향을 화면 출력하고 대피안내 음성을 출력하도록 제어될 수 있으나, 다른 한 개의 안내단말(102)은 제어신호에 따라 진행할 수 있는 경로가 없음을 화면으로 출력하고 대피방향이 아니라는 음성멘트를 출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Preferably, one guide terminal 101 of two adjacent guide terminals 100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the progress direction and output the evacuation guidance voic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but the other guidance terminal 102 Can be controlled to output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re is no path to proce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nd output a voice message indicating that the path is not the evacuation direction.

이처럼, 복수 개의 안내 단말(100)은 통신부(1100)를 통해 중앙 단말(20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고, 각각의 안내 단말(100)은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부(1500)에 저장된 점등지점 및 음성출력 멘트를 이용하여 LED출력부(1400)와 음성출력부(1300)를 제어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guide terminals 100 receives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entral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0, and each guide terminal 100 receives the control signal from the lighting poi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0, And controls the LED output unit 1400 and the voice output unit 1300 using the voice output command.

저장부(1500)는 위에서 이미 설명한 것처럼, 음성출력부(1300)에서 출력할 음성출력 멘트를 저장하고 있고, LED출력부(1400)에서 출력할 화면에 대한 LED 점등위치를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120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안내 단말(100) 제어를 위한 음성출력 멘트와 LED 점등위치를 각각 출력하여 음성출력부(1300) 및 LED출력부(1400)로 각각 전달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torage unit 1500 stores an audio output item to be output from the audio output unit 1300, stores an LED lighting position for a screen to be output from the LED output unit 1400, And outputs the voice output command and LED lighting position for controlling the guidance terminal 100 to the voice output unit 1300 and the LED output unit 1400, respectively.

그리고, 안내 단말(100)은 연기 감지를 위한 센서와 화재 감지를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1200)는 센서들로부터 전달받은 감지 정보를 토대로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화재발생여부에 따라 미리 저장된 안내 단말(100) 가동 알고리즘에 따라 LED출력부(1400) 및 음성출력부(1300)의 출력을 제어한다.In addition, the guide terminal 100 further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smoke and a sensor for detecting fire, and the controller 1200 determines whether a fire has occurred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s, And controls outputs of the LED output unit 1400 and the voice output unit 13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algorithm of the guidance terminal 100 previously stored in advance.

이때, 안내 단말(100) 가동 알고리즘은 저장부(1500)에 저장된 출력 제어신호로서, 화재가 발생한 상황에서 각각의 위치에 설치된 복수 개의 안내 단말(100)의 출력을 각각 제어하는 신호이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algorithm of the guidance terminal 100 is an output control signal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0, and i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outputs of the plurality of guide terminals 100 installed at respective positions in a situation where a fire occurs.

도 3을 참고로 하여 저장부(1500)에 저장되어 안내 단말(100)의 LED출력부(1400)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 예를 설명하면, 도 3의 (a) 내지 (d)에 도시한 것처럼 오른쪽, 왼쪽, 위쪽, 아래쪽을 각각 향하는 화살표를 출력하거나 (e)에 도시한 것처럼 X자를 출력할 수 있다.An example of a screen that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0 and output to the LED output unit 1400 of the guide terminal 100 with reference to FIG. 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 to 3 It is possible to output an arrow pointing to the right side, left side, upper side and lower side, respectively, or output X characters as shown in (e).

이때, (a) 내지 (d)에 도시한 화살표는 진행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화면으로서, 복수 개의 LED가 점등되는 형태로 화면 출력되는 것이 좋고, 연기가 낀 상황에서도 식별 가능한 LED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In this case, the arrows shown in (a) to (d) are screens for guiding the progress direction, and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LED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in a lighted form, .

그리고 이때, LED출력부(1400)가 제어부(1100)에 의해 (a) 내지 (d) 중 어느 한 화면을 출력할 때, 녹색 또는 청색 계열의 빛을 출력하는 것이 좋다.At this time, when the LED output unit 1400 outputs any one of the screens (a) to (d) by the control unit 1100, it is preferable to output green or blue light.

그리고, LED출력부(1400)가 제어부(1100)에 의해 (e)와 같은 화면을 출력할 때, 붉은 계열의 빛을 출력하는 것이 좋다.When the LED output unit 1400 outputs a screen like (e) by the control unit 1100, it is preferable to output red-based light.

한 예에서, 음성출력부(1300)는 스피커부로 형성되어 음성멘트를 출력하는 것이 좋다.In one example, the audio output unit 1300 may be formed as a speaker unit and output a voice message.

도 2 및 도 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구조를 갖는 안내 단말(100)은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형태를 한정하지는 않으며, 내부에 통신부(1100)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기 위해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The guide terminal 100 having the structu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s shown in FIG. 3, but it is not limited in its shape, and may include a component such as a communication unit 1100 It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so as to include the above-mentioned structure.

그리고 한 예에서, 안내 단말(100)의 무선 형태의 설치를 위해서, 전원부를 더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In one example, a power supply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for wireless installation of the guide terminal 100.

계속해서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의 중앙 단말(200)을 설명하면, 중앙 단말(200)은 위에서 이미 설명한 것처럼, 복수 개의 안내 단말(100)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데, 이때, 중앙 단말(200)은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안내 단말(100)과 무선통신을 통해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것이 좋다.The center terminal 200 of the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s described above, the central terminal 200 is controlled by a plurality of guide terminals 100 In this case, the central terminal 20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o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plurality of guide terminals 1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한 예에서, 중앙 단말(200)은 안내 단말(100)의 통신부(1100)와 동일하게 지그비(Zigbee), 6LoWPAN, BLE 또는 저전력 광역 네트워크인 LoRa 기술을 통해 무선통신을 수행한다.In one example, the central terminal 200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LoRa technology, which is Zigbee, 6LoWPAN, BLE or a low-power wide area network, in the same manner as the communication unit 1100 of the guide terminal 100.

바람직한 예에서, 중앙 단말(200)은 안내 단말(100)의 통신부(1100)와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을 갖는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안내 단말(100)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좋다.In a preferred example, the central terminal 20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having the same communication protocol as the communication unit 1100 of the guiding terminal 100, and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guiding terminal 1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

그리고 이때, 중앙 단말(200)이 복수 개의 안내 단말(100)로 전송하는 제어신호는 각각의 안내 단말(100)를 제어하기 위한 서로 다른 제어신호로서, 각각의 안내 단말(100)로 전송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terminal 200 to the plurality of guide terminals 100 may be transmitted to the guide terminals 100 as different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guide terminals 100 have.

그러나, 다른 한 예에서, 중앙 단말(200)은 복수 개의 안내 단말(100)을 제어하는 제어신호에 각각의 안내 단말(100)을 나타내는 식별코드를 포함시켜 하나의 제어신호로서 복수 개의 안내 단말(100)에 각각 전달하고, 하나의 제어신호를 전달받은 복수 개의 안내 단말(100)에서는 안내 단말(100)을 나타내는 식별코드를 판별하여 자신의 안내 단말(100)에 대한 제어신호를 추출함으로써 해당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However, in another example, the central terminal 200 may include an identification code indicating each guidance terminal 100 in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guidance terminals 100, The plurality of guide terminals 100 having received the one control signal discriminates the identification code indicating the guide terminal 100 and extracts the control signal for the guide terminal 100 of the guide terminal 100, Control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signal.

중앙 단말(200)에서 안내 단말(100)로 전달하는 제어신호는 복수 개의 안내 단말(100)의 음성출력 및 LED점등 출력을 제어하는 신호이며, 중앙 단말(200)에서 건물 내의 화재를 감지했을 때 해당 제어신호를 안내 단말(100)로 전달하거나, 관제 및 제어단말(500) 또는 서버(60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해당 제어신호를 안내 단말(100)로 전달할 수 있다.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terminal 200 to the guidance terminal 100 i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audio output and the LED lighting output of the plurality of guide terminals 100. When the center terminal 200 detects a fire in the building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to the guidance terminal 100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and control terminal 500 or the server 600. [

그리고 이때, 중앙 단말(200)은 인터넷(300)을 통해 관제 및 제어단말(500) 또는 서버(60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central terminal 200 can receive a signal from the control and control terminal 500 or the server 600 through the Internet 300. [

이러한 중앙 단말(200)은 복수 개의 안내 단말(100)의 식별번호를 미리 알고 있어, 식별번호에 따라 해당 안내 단말(100)로 제어신호를 각각 전송할 수 있다.The central terminal 200 knows the identification numbers of the plurality of guide terminals 100 in advance and can transmit control signals to the guide terminals 100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numbers.

그리고 이때, 중앙 단말(200)은 복수 개의 CCTV(400; 401, 405)와 연결되어 복수 개의 CCTV(4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달받아 화재발생여부 판단에 이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entral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CTV 400 (401, 405) and receives images photographed from a plurality of CCTVs 400, and can be used for judging whether a fire has occurred or not.

또한, 중앙 단말(200)은 복수 개의 CCTV(4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대피하지 못한 인원의 수를 확인하고, 해당 CCTV(400)의 촬영 구간에 확인된 구조대상 인원 수를 정보로서 매핑하여 저장한다.In addition, the central terminal 200 confirms the number of persons who can not evacuate using the images photographed by the plurality of CCTVs 400, and maps the number of resident target persons identified in the photographing period of the CCTV 400 as information And stores it.

이때, 저장된 구조대상 인원 수 정보는 서버(600) 또는 관제 및 제어 단말(500)로 전달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ored structure target number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600 or the control and control terminal 500.

그리고, 중앙 단말(200)과 복수 개의 CCTV(400)는 유선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central terminal 200 and the plurality of CCTVs 400 may have a wired connection structure.

다른 한 예에서, 복수 개의 CCTV(400)는 중앙 단말(200)과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여 형성됨으로써 촬영된 영상을 중앙 단말(200)으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plurality of CCTVs 400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entral terminal 200, thereby wirelessly transmitting the captured images to the central terminal 200.

그리고,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의 서버(600)는 중앙 단말(200)과 인터넷(300)을 통해 연결되고, 중앙 단말(200)로부터 안내 단말(100)들의 구동상황 또는 CCTV(400)의 촬영 영상을 전달받아 저장한다.The server 600 of the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the central terminal 200 through the Internet 30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entral terminal 200 through the central terminal 200, And receives and stores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CCTV 400. [

한 예에서, 서버(600)가 중앙 단말(200)로부터 안내 단말(100)들의 구동상황 또는 CCTV(400)의 촬영 영상을 전달받을 때, 서버(600)는 인터넷(300)을 통해 해당 데이터를 전달받는다.In one example, when the server 600 receives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guidance terminals 100 or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CCTV 400 from the central terminal 200, the server 600 transmits the data through the Internet 300 Receive.

그리고, 서버(600)는 안내 단말(100)로 전달할 제어신호를 직접 생성하여 인터넷(300)을 통해 중앙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The server 600 may directly generate a control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guide terminal 100 and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central terminal 200 through the Internet 300. [

서버(600)는 건물의 설계 도면을 미리 전달받아 저장하고 있고, 저장된 건물의 설계 도면을 토대로 화재상황 발생시 대피경로를 생성하여 이를 저장하고, 생성된 대피경로에 따른 안내 단말(100)의 출력 제어신호를 생성한다.The server 600 receives the design drawings of the building in advance and stores them. The server 600 creates and stores the evacuation route in the event of a fire situation based on the design drawings of the stored building, and controls the output control of the guid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vacuation route Signal.

이때, 서버(600)에서 생성 및 저장하는 대피경로는 서로 다른 화재상황에 대해 상이하게 생성되므로, 서버(600)가 서로 다른 대피경로에 따라 안내 단말(100)의 출력 제어신호도 상이하게 생성함은 물론이다.At this time, since the evacuation paths generated and stored in the server 600 are generated differently for different fire situations, the server 600 generates different output control signals of the guidance terminal 100 according to different evacuation routes Of course.

예로써, 서버(600)는 건물의 설계 도면에 소화기, 소화전, 비상계단 등의 위치를 매핑함으로써 가공된 건물의 설계 도면으로 저장하는 것이 좋다.For example, the server 600 may preferably store the design drawings of the processed building by mapping positions of fire extinguishers, fire hydrants, and emergency stairs to the design drawings of the buildings.

그리고 이때, 서버(600)는 건물의 설계 도면에 복수 개의 안내 단말(100)의 위치를 매핑함으로써 가공된 건물의 설계 도면으로 저장하는 것이 좋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rver 600 stores the design drawings of the processed buildings by mapping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guide terminals 100 to the design drawings of the buildings.

한 예에서, 서버(600)가 전달받아 저장하였다가 대피경로 생성에 이용되는 건물의 설계 도면은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이차원 도면이거나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삼차원 도면일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design drawings of buildings used for generating the evacuation route after being received and stored by the server 600 may be a two-dimensional diagram as shown in FIG. 4 or a three-dimensional diagram as shown in FIG.

도 4를 참고로 하여 이차원 형태의 건물의 설계 도면을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벽으로 둘러싸인 1관(2600b), 2관(2600c), 3관(2600d), 4관(2600e)과, 복수 개의 소화기(2300a, 2300b, 2300c, 2300d, 2300e)들, 복수 개의 소화전(2400a, 2400b, 2400c, 2400d)들, 복수 개의 비상구(2100a, 2100b, 2100c, 2100d)들, 화장실(2200a, 2200b), 그리고 엘리베이터(E/V, 2500)의 위치를 나타내고, 빈 공간(2600a)의 위치도 나타내고 있다.Referring to FIG. 4, a design drawing of a two-dimensional building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wall 2600b, the two pipes 2600c, the three pipes 2600d, the four pipes 2600e, A plurality of fire extinguishers 2400a, 2400b, 2400c and 2400d, a plurality of emergency exits 2100a, 2100b, 2100c and 2100d, toilet rooms 2200a and 2200b, elevators 2200a and 2300b, 2300c and 2300d and 2300e, (E / V) 2500, and also shows the position of the empty space 2600a.

따라서, 서버(600)는 이러한 이차원 형태의 건물의 설계 도면을 이용하여 화재가 발생했을 때의 대피 경로를 생성하는데, 이때, 비상구(2100a, 2100b, 2100c, 2100d)로 대피하도록 경로를 생성하는 것이 좋고, 화재가 발생하기 쉬운 인화성 물질이 있는 곳(예로써, 매점과 가까이 위치한 공간(2600a))은 대피경로에 포함되지 않도록 대피 경로를 생성하는 것이 좋다.Accordingly, the server 600 generates the evacuation route when a fire occurs by using the design drawings of the two-dimensional building. At this time, the server 600 generates a route to evacuate to the exit 2100a, 2100b, 2100c, and 2100d It is good practice to create a evacuation route where good, flammable materials that are susceptible to fire (for example, space 2600a near the stall) are not included in the evacuation route.

그리고 이때, 서버(600)가 2관(2600c)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생성하는 대피 경로와 1관(2600b)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생성하는 대피 경로는 서로 상이하다.At this time, the evacuation route generated when the server 600 generates a fire in the second pipe 2600c and the evacuation route generated when the fire occurs in the first pipe 2600b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그리고, 도 5를 참고로 하여 서버(600)가 삼차원 형태의 건물의 설계 도면을 이용하여 대피 경로를 생성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서버(600)는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삼차원 형태의 건물의 설계 도면을 이용하여 건물의 구조를 파악하고, 특정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 따른 대피경로를 도 6과 같이 생성하여 저장한다.5, the server 600 generates an evacuation route using a design drawing of a three-dimensional building. The server 600 includes a three-dimensional building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is grasped by using the design drawing of FIG. 6, and the evacuation route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 fire at a specific point is generated and stored as shown in FIG.

한 예에서, 서버(600)가 삼차원 형태의 건물의 설계 도면을 이용하여 대피 경로를 생성하는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건물 구조에서 특정 벽(2600')에 설치된 특정 안내 단말(100a)의 형성 위치를 나타내므로, 안내 단말(100a)의 설치 높이에 따라 화재가 발생한 정확한 위치 및 대피경로 안내를 상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one embodiment, in the embodiment in which the server 600 generates the evacuation route using the design drawing of the three-dimensional building, as shown in FIG. 5, the specific guidance terminal installed in the specific wall 2600 ' 100a of the guiding terminal 100a, it is possible to form the guiding position of the guiding terminal 100a differently from the exact position where the fire occurred and the evacuation route guidance.

예로써, 낮은 높이에 설치된 이동 단말(100)과 높은 위치에 설치된 이동 단말(100)을 구성하여 높은 위치에 설치된 이동 단말(100)에서 화재를 감지한 경우, 화재가 높은 위치에서 발생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는 화재 연기가 분포되지 않았을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위치에 설치된 이동 단말(100)보다는 낮은 위치에 설치된 이동 단말(100)을 이용하여 음성멘트를 출력하거나 대피경로를 점등하여 출력하는 것이 대피 경로 안내에 효율적일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mobile terminal 100 installed at a low height and a mobile terminal 100 installed at a high position are configured to detect a fire in a mobile terminal 100 installed at a high position, And fire smoke may not be distributed in the lower position. Therefore, it is effective to output a voice message using the mobile terminal 100 install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mobile terminal 100 installed at a higher position, or to output the voice message and output the evacuation route.

자세하게는, 도 5에 도시한 건물의 삼차원 설계 도면(3000a)은 하나의 벽(2600')에 설치된 이동 단말(100a)과 다른 하나의 벽(2600")에 설치된 이동 단말(100b)의 정보를 각각 구비하고 있고, 비상계단(2)의 위치와 건물 내에 위치하여 대피할 사람(1a)의 위치 정보까지 포함하므로, 도 6에서처럼 화재 발생 시, 건물의 삼차원 설계 도면(3000b)은 화재가 발생한 지점(2)을 참고로 하여 대피경로를 생성하며, 생성된 대피경로에 따라 각각의 이동단말(100a, 100b)을 점등한다. More specifically, the three-dimensional design drawing 3000a of the building shown in Fig. 5 shows the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a installed on one wall 2600 'and the mobile terminal 100b installed on the other wall 2600 " And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stairs 2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erson 1a to be evacuated are also included in the building. Thus, when a fire occurs as shown in FIG. 6, the three- Generates the evacuation route with reference to the evacuation route 2, and lights the mobile terminals 100a and 100b according to the generated evacuation route.

이때,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대피경로를 안내하는 건물의 삼차원 설계 도면(3000b)에서는 하나의 벽(2600')에 설치된 이동 단말(100a)은 한 방향의 화살표를 점등하고 있고, 다른 하나의 벽(2600")에 설치된 이동 단말(100b)은 진입금지 표시를 점등함으로써, 대피할 사람(1b)은 각 벽에 설치된 이동 단말에 점등된 표시를 확인하며 대피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 in the three-dimensional design drawing 3000b of the building guiding the evacuation route, the mobile terminal 100a installed on one wall 2600 'lights an arrow in one direction, The mobile terminal 100b installed on the wall 2600 " lights up the prohibition of entry, so that the person 1b to be evacuated can move along the evacuation route by confirming the lighting indication on the mobile terminal installed on each wall.

*그리고, 관제 및 제어 단말(500)은 중앙 단말(200)로부터 안내 단말(100)들의 구동상황 또는 CCTV(400)의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출력한다.The control and control terminal 500 receives and displays the driving status of the guide terminals 100 or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CCTV 400 from the central terminal 200 in real time.

한 예에서, 관제 및 제어 단말(500)은 중앙 단말(200)로부터 전달받은 안내 단말(100)들의 구동상황을 건물의 설계 도면에 매핑하여 출력하거나, 다른 한 예에서, 관제 및 제어 단말(500)은 안내 단말(100)들의 구동상황을 CCTV(400)의 촬영 영상을 취합 및 통합하여 하나의 화면으로서 출력한다.In one example, the control and control terminal 500 maps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guide terminals 100 received from the central terminal 200 to the design drawing of the building and outputs the same, or in another example, the control and control terminal 500 Collects and integrates the photographed images of the CCTV 400 with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guide terminals 100 and outputs them as one screen.

그리고 이때, 관제 및 제어 단말(500)은 인터넷(300)을 통해 안내 단말(100)들로부터 일련의 데이터를 전달받는 것이 좋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and control terminal 500 receives a series of data from the guide terminals 100 through the Internet 300.

한 예에서, 관제 및 제어 단말(500)은 비상상황을 통괄하는 상황실 또는 소방대책본부에 설치되는 것이 좋고, 모니터를 구비하여 건물의 설계 도면, 구조대상 인원 수 정보가 매핑된 건물의 설계 도면, 안내 단말(100)의 구동상황이 매핑된 건물의 설계 도면 또는 CCTV(400)의 촬영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control and control terminal 500 is preferably installed in a control room or a fire prevention countermeasure center that manages an emergency situation. The control and control terminal 500 may include a monitor, a design drawing of the building to which the structure number information is mapped, The design drawing of the building to which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guidance terminal 100 is mapped or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CCTV 400 can be output.

이러한 관제 및 제어 단말(500)은 서버(600)와 마찬가지로 안내 단말(100)로 전달할 제어신호를 직접 생성하여 인터넷(300)을 통해 중앙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Like the server 600, the control and control terminal 500 directly generates a control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guide terminal 100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central terminal 200 through the Internet 300.

한 예에서, 관제 및 제어 단말(500)은 휴대용 전자기기로 형성되어, 건물의 설계 도면과 화재상황, 그리고 대피내역 등을 전달받아 휴대용 전자기기 상에 출력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control and control terminal 500 is formed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an receive design drawings, fire conditions, evacuation details, and the like of the building, and output it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이때, 관제 및 제어 단말(500)은 스마트폰, 태블릿 피씨 또는 노트북일 수 있고, 3G/CDMA 또는 LTE 통신을 통해 인터넷(300)에 접속하여 중앙 단말(200)과 서버(600)로부터 데이터들을 전달받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and control terminal 500 may be a smart phone, a tablet PC, or a notebook, and may connect to the Internet 300 through 3G / CDMA or LTE communication to transmit data from the central terminal 200 and the server 600 Can receive.

다른 한 예에서, 관제 및 제어 단말(500)은 상황실 또는 소방대책본부에 형성되는 단말로 형성되어 소방주파수 또는 재난망을 이용하여 중앙단말(200) 및 서버(600)에 접속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control and control terminal 500 may be formed as a terminal formed in a situation room or a fire prevention center,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entral terminal 200 and the server 600 using a fire frequency or a disaster network.

관제 및 제어 단말(500)이 스마트폰, 태블릿 피씨 또는 노트북인 경우, 관제 및 제어 단말(500)은 서버(600)에 접속하는 권한이 부여된 아이디(ID) 및 비밀번호(password)를 통해 서버(600)에 접속하는 것이 좋다.When the control and control terminal 500 is a smart phone, a tablet PC, or a notebook, the control and control terminal 500 accesses the server 600 through an ID and a password that are authorized to access the server 600 600).

그리고 이때, 관제 및 제어 단말(500)은 서비스 제공업자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서버(600)로부터 건물의 설계 도면, 구조대상 인원 수 정보가 매핑된 건물의 설계 도면, 안내 단말(100)의 구동상황이 매핑된 건물의 설계 도면 또는 CCTV(400)의 촬영 영상을 전달받아 출력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 and control terminal 500 accesses a web page provided by the service provider and receives a design drawing of the building, a design drawing of the building to which the structure target number information is mapped, And outputs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CCTV 400 or the design drawing of the mapped building.

다른 한 예에서, 관제 및 제어 단말(500)은 서비스 제공업자가 제공하는 프로그램인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하고, 설치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600)에 접속하여 건물의 설계 도면, 구조대상 인원 수 정보가 매핑된 건물의 설계 도면, 안내 단말(100)의 구동상황이 매핑된 건물의 설계 도면 또는 CCTV(400)의 촬영 영상을 전달받아 출력한다.In another example, the control and control terminal 500 downloads and installs an application, which is a program provided by a service provider, and accesses the server 600 through the installed application to obtain a design drawing of the building, A design drawing of the building to which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guidance terminal 100 is mapped, or a photographed image of the CCTV 400, and outputs the photographed image.

이때, 서버(600)는 건물의 각 층에 대한 설계도 및 이에 따른 대피경로를 각각 형성하여, 관제 및 제어 단말(500)은 다른 층의 설계도를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다른 층에 대한 설계도 및 대피상황 등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rver 600 forms a design for each layer of the building and a corresponding evacuation path, so that the control and control terminal 50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outputting the design of another layer, Evacuation status and so on.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이 이러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건물의 설계 도면을 바탕으로 대피 경로를 형성할 수 있어, 화재 발생 시 대피 경보를 단순히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건물 설계 구조에 따른 최적화된 대피 경로를 안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has such a structure, it is possible to form a evacuation route based on the design drawing of the building, It is effective not only to output but also to guide an optimized evacuation route according to each building design structure.

그리고, 화재 발생 시 화재가 발생한 구역에 대응하여 설정된 대피 경로에 따라 음성멘트와 대피방향을 출력하므로, 원활한 대피 경로 안내가 가능하고, 변화하는 화재 상황에서도 설정된 대피 경로에 따라 수정된 대피 경로 안내가 가능하여 적응적인 대피 경로 안내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voice memo and the evacuation direction are outputted according to the evacuation route set in correspondence with the zone where the fire occurred in the event of fire, it is possible to guide smooth evacuation routes, and a modified evacuation route guid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daptive evacuation route guidance.

또한, 안내 중인 대피 경로 안내 상황과 구조 대상 인원 수, 그리고 CCTV 현황 등을 서버(600) 또는 관제 및 제어 단말(500)에서 실시간 확인할 수 있고, 서버(600) 또는 관제 및 제어 단말(500)을 이용하여 안내할 대피 경로를 수정하거나 제어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대피 경로 안내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The server 600 or the control and control terminal 500 can confirm in real time the situation of the evacuation route guidance in the guidance, the number of members to be rescued and the status of the CCTV and the server 600 or the control and control terminal 500 It is possible to modify or control the evacuation route to be guided by using the guidance information, thereby enabling a more effective evacuation route guidanc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100 : 안내 단말 200 : 중앙 단말
300 : 인터넷 400 : CCTV
500 : 관제 및 제어 단말 600 : 서버
100: guide terminal 200: central terminal
300: Internet 400: CCTV
500: control and control terminal 600: server

Claims (6)

건물의 벽에 설치되어 대피 경보를 안내하는 음성출력 멘트를 출력하거나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방향을 LED로 점등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단말,
상기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CCTV,
상기 건물의 설계 도면에 따라 대피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대피 경로에 따라 상기 안내 단말에서 출력할 음성출력 멘트와 대피 경로를 안내할 방향을 지정하여 저장하는 서버,
휴대용 전자기기로서, 상기 서버가 생성한 상기 대피 경로를 상기 건물의 설계 도면에 매핑하여 대피 상황을 출력하고, 상기 안내 단말에서 출력할 음성출력 멘트 및 대피 경로 안내방향을 제어하는 관제 및 제어 단말, 그리고
상기 CCTV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대피하지 못한 인원 수를 해당 CCTV의 촬영 구간에 대한 구조 대상 인원 수의 정보로서 매핑하여 상기 서버에 전달하는 중앙 단말
을 포함하며,
상기 관제 및 제어단말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건물의 설계 도면에 매핑된 상기 구조 대상 인원 수를 전달받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At least one guidance terminal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building for outputting a voice output message for guiding the evacuation alarm or illuminating the direction guiding the evacuation route with an LED,
A CCTV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for capturing an image,
A server for designating and storing a voice output message to be output from the guide terminal and a direction for guiding the evacuation route according to the generated evacuation route in accordance with the design drawing of the build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control and control terminal for outputting an evacuation state by mapping the evacuation route generated by the server to a design drawing of the building, and controlling an audio output ment and an evacuation route guiding direction to be output from the guide terminal, And
A central terminal for mapping the number of persons who have not been evacuated to the CCTV by using the captured image as th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persons to be rescanned for the CCTV shooting section,
/ RTI >
And the control and control terminal receives and outputs the number of the structural target persons mapped to the design drawing of the building from the ser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및 제어 단말과 상기 서버는,
인터넷을 통해 상기 안내 단말의 음성출력 멘트 출력 상황과 대피 경로를 안내할 방향 점등 상황을 전달받아 저장하거나 출력하거나,
상기 안내 단말에서 출력할 음성출력 멘트와 대피 경로를 안내할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인터넷을 통해 상기 안내 단말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and control terminal and the server,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voice output event output state of the guidance terminal and the direction lighting state for guiding the evacuation route through the Internet,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guiding the voice output message and the evacuation route to be outputted from the guide terminal and delivers the control signal to the guide terminal via the Intern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단말은 연기 감지를 위한 센서, 화재 감지를 위한 센서를 포함하여 연기 감지 및 화재 감지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단말에 접속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단말로부터 연기 감지 및 화재 감지 정보를 전달받아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information terminal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a smoke and a sensor for detecting a fire to output smoke detection and fire detection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guidance terminal and receiving a smoke detection and fire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at least one guidance terminal to determine whether a fire has occur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안내 단말과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단말이 각각 출력할 음성출력 멘트와 대피 경로를 안내할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각각 생성하며, 생성된 각각의 제어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entral terminal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guide termi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direction of guiding the voice output message and the evacuation route to be outputted by the at least one guide terminal, respectively, To the at least one guidanc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단말과 상기 중앙 단말은 BLE 또는 LoRa 기술의 무선통신을 통해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guidance terminal and the central terminal communicate via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BLE or LoRa technolog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및 제어 단말은 이동통신을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and control terminal accesses the server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KR1020160109358A 2016-08-26 2016-08-26 Evacuation path guidance system KR1017057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358A KR101705753B1 (en) 2016-08-26 2016-08-26 Evacuation path guidanc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358A KR101705753B1 (en) 2016-08-26 2016-08-26 Evacuation path guidance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139 Division 2015-07-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913A KR20170004913A (en) 2017-01-11
KR101705753B1 true KR101705753B1 (en) 2017-02-22

Family

ID=57833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358A KR101705753B1 (en) 2016-08-26 2016-08-26 Evacuation path guidanc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75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066B1 (en) 2017-09-21 2018-01-12 강해일 LED lamp system having disaster warning and training function
KR20190048233A (en) * 2017-10-31 2019-05-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Integrated plan method for emergency exit indicating lights
KR102053373B1 (en) 2018-06-04 2019-12-06 한영철 Real-time on-site alarm system for disaster using ultra power-saving wireless sensor networ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040B1 (en) 2017-01-23 2018-08-30 김영배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vacuation route
KR101868115B1 (en) * 2017-02-06 2018-07-18 경기엔지니어링(주) Disaster control communication system
KR101844472B1 (en) * 2017-05-10 2018-04-02 김경수 Remote disaster prevention system
KR101895569B1 (en) * 2017-06-23 2018-09-0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evacuation guide system and method using virtual reality and context awareness algorithm
KR101845942B1 (en) * 2017-07-06 2018-04-05 주식회사 한국건설방재연구원 System for sensing dangerous situation and providing evacuation notice
KR101950722B1 (en) * 2017-08-28 2019-02-2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An emergency evacuation system
CN108600397B (en) * 2018-07-03 2023-08-15 东北大学 LoRa-based wireless LED intelligent evacuation ind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CN108922110A (en) * 2018-07-26 2018-11-30 郑州云海信息技术有限公司 A kind of building fire-fighting intelligent guidance system and method based on cloud computing
KR102121672B1 (en) 2018-12-17 2020-06-1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shortest providing evacuation route
KR102035568B1 (en) * 2019-03-25 2019-11-08 주식회사 예람 Fire management system using fire detecting device combination-typed smart adaptor
KR102077468B1 (en) * 2019-10-15 2020-04-07 주식회사 세일시스템 wireless local broadcasting system using CCTV
KR102382725B1 (en) * 2019-12-27 2022-04-04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re suppression and evacuation guidance system
KR102182423B1 (en) * 2020-07-20 2020-11-24 주식회사 삼인에이치엔티 System for information of escape way using a e-paper when the disaster occurence
KR102559180B1 (en) * 2022-11-29 2023-07-25 (주)디라직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emergency guidance combining public address system and IoT speakers
KR102636062B1 (en) * 2023-06-01 2024-02-14 (주)오에스엘이엔지 Movable fire detector and system for detecting fire using the same
CN117499905B (en) * 2023-12-27 2024-03-12 环球数科集团有限公司 Emergent relief of disaster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LDSW techniqu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488B1 (en) 2012-09-13 2014-01-21 최성열 Fire fight safety system connected to mobile device for architectur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735B1 (en) * 2009-10-28 2011-11-04 한국 전기안전공사 System for controling intelligence direction escape
KR20140003687A (en) * 2012-06-22 2014-01-10 정정애 Fire, emergency voice alarm and voice evacuation device
KR20140124462A (en) * 2013-04-17 2014-10-27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A Fire Evacuees' Contex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A System theref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488B1 (en) 2012-09-13 2014-01-21 최성열 Fire fight safety system connected to mobile device for architectur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066B1 (en) 2017-09-21 2018-01-12 강해일 LED lamp system having disaster warning and training function
WO2019059439A1 (en) * 2017-09-21 2019-03-28 강해일 Led lamp system having disaster warning and disaster training function
CN109819676A (en) * 2017-09-21 2019-05-28 姜海溢 LED illumination lamp system with disaster alert and disaster training function
KR20190048233A (en) * 2017-10-31 2019-05-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Integrated plan method for emergency exit indicating lights
KR102019371B1 (en) 2017-10-31 2019-09-0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Integrated plan method for emergency exit indicating lights
KR102053373B1 (en) 2018-06-04 2019-12-06 한영철 Real-time on-site alarm system for disaster using ultra power-saving wireless sensor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913A (en) 201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753B1 (en) Evacuation path guidance system
KR101608971B1 (en) Emergency sensing and acting system using LED lighting module
KR101772806B1 (en) Emergency shunting incitement method of automatically transforming escape direction according to fire located, and system of the same
KR20170106665A (en) An intelligence type emergency shunting incitement method and system of the same
KR100971623B1 (en) Device for automatic disaster warning and evacuation guide of high building
KR101631090B1 (en) The fire perception system and the fire fighting system using building modeling data
KR101684374B1 (en) Integrated fire control system equipped with fire detection capabilities of the House of Commons
KR101444395B1 (en) Method and system of automatic intelligent control that can cope with emergency
KR102086564B1 (en) Intelligent evacuation guidance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US7948368B2 (en) Method for evacuating buildings divided into sections
KR101324849B1 (en) System and method for saving a life using mobile terminal
KR101725802B1 (en) ICT based intelligence type shunting incitement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KR101018583B1 (en) System for prevention of fires
KR101252570B1 (en) Automatic fire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camera and integrated notifying device for the same
JP6395395B2 (en) Support system
KR200475222Y1 (en) Apparatus for Emergency Evacuation Guiding
KR102302316B1 (en) Video providing system for the location of the fire site of the building and the firefighting equipment
KR20210010703A (en) An accident management system for underground parking lot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200082064A (en) Method of providing fire evacuation service and fire evacuation system performing the same
KR20110116569A (en) Central control system to escape from disaster area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KR101807265B1 (en) fire-prevention system possible earthquake observation
KR102049083B1 (en) Smart emergency light system with guidance function using laser
KR102063919B1 (en) Building disaster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disaster notification using the same
US20170091889A1 (en) Flexible destination setting and route indication system
JP6084717B1 (en) Evacuation guidan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