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708B1 - Iot-linked vibration therapy device - Google Patents

Iot-linked vibration therap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708B1
KR102247708B1 KR1020190091117A KR20190091117A KR102247708B1 KR 102247708 B1 KR102247708 B1 KR 102247708B1 KR 1020190091117 A KR1020190091117 A KR 1020190091117A KR 20190091117 A KR20190091117 A KR 20190091117A KR 102247708 B1 KR102247708 B1 KR 102247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rope
shaft
cover hous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1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12787A (en
Inventor
김동훈
윤범철
김승민
Original Assignee
김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훈 filed Critical 김동훈
Priority to KR1020190091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708B1/en
Publication of KR20210012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7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7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1Apparatus for applying movements to the whol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5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 A61H23/0263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using rotating unbalanced mas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00Freely-suspended gymnastic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81Special movement conversion means
    • A61H2201/149Special movement conversion means rotation-linear or vice vers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61H2201/501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 A61H2201/5012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using the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81Han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가 연동된 진동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 근골격계 및 신경계 치료를 위해 로프에 설치되어 수평진동 및 수직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보조 진동장치가 포함됨으로써,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고 진동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제어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및 편의가 향상될 수 있는 IOT가 연동된 진동 치료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IOT가 연동된 진동 치료장치는, 로프에 연결되는 IOT가 연동된 진동 치료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동 치료장치는, 바이브라오실레이터; 보조 진동장치 및 상기 바이브라오실레이터와 보조 진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브라오실레이터는, 상면에 바이브라오실레이터가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를 포함하는 본체하우징; 상기 본체하우징 내부 중심에 구비되어 수평진동을 발생시키는 수평진동모듈 및 상기 본체하우징의 양측에 구비되어 수직진동을 발생시키는 수직진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진동장치는, 커버하우징; 상기 커버하우징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로프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커버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가 연동된 진동 치료장치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on therapy device in which IOT is linked, and is installed on a rope for the treatment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and the nervous system to generate horizontal and vertical vibrations, thereby improving the therapeutic effect and including an auxiliary vibration device, thereby carrying and moving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ibration treatment apparatus in which an IOT is linked, which not only can easily improve the vibration treatment effect, but is also connected to and controlled by a user terminal, thereby improving the user's use and convenience.
In the vibration therapy apparatus interlocked with IO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vibration therapy apparatus interlocked with an IOT connected to a rope, the vibration therapy apparatus includes: a vibra oscillato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uxiliary vibration device and the vibra oscillator and the auxiliary vibration device, wherein the vibra oscillator includes: a main body housing including a fixing unit so that the vibra oscillator is fixed to an upper surface; A horizontal vibration module provid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main body housing to generate horizontal vibration, and a vertical vibration modul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housing to generate vertical vibration, wherein the auxiliary vibration device includes: a cover housing; IOT is linked to one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and includes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rope and a vibration unit provided inside the cover housing to generate vibra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and controlled by a user terminal. It is a vibration therapy device.

Description

IoT가 연동된 진동 치료장치{IOT-LINKED VIBRATION THERAPY DEVICE}IoT-linked vibration therapy device {IOT-LINKED VIBRATION THERAPY DEVICE}

본 발명은 IOT가 연동된 진동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근골격계 및 신경계 치료를 위해 로프에 설치되어 수평진동 및 수직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보조 진동장치가 포함됨으로써,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고 진동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제어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및 편의가 향상될 수 있는 IOT가 연동된 진동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on therapy device in which IOT is interlocked, and more particularly, it is installed on a rope for the treatment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and the nervous system to generate horizontal and vertical vibrations, thereby improving the therapeutic effect and including an auxiliary vibration device As a result, it is easy to carry and move, and to improve the vibration treatment effect, as well as to a vibration treatment device linked with an IOT, which can be connected to and controlled by a user terminal, thereby improving the user's use and convenience.

슬링 운동은 흔들리는 줄을 이용한 능동적인 운동의 물리 치료법으로서, 1990년대 초반에 세계적으로 여러 유명한 물리치료분야의 선각자가 배출된 유럽의 노르웨이에 물리치료사와 의사들이 현대의 과학적인 이론과 기술들을 통합하여 새롭게 슬링운동치료를 개발하여 하나의 치료적 기법으로 확립을 시켰고 현재 전세계로 그 개념과 치료기법들이 확산되게 되었다.Sling exercise is an active physical therapy using a swaying string. Physical therapists and doctors in Norway in Europe, where many world-renowned physiotherapy pioneers were produced in the early 1990s, integrated modern scientific theories and techniques. A new sling exercise therapy was developed and established as a therapeutic technique, and the concept and treatment techniques are now spreading all over the world.

슬링운동 치료의 주 개념은 사람이 외부나 내부로부터 받게 되는 자극과 긴장에 대해 견뎌낼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근력 강화, 지구력 강화, 감각운동 조절 능력 그리고 심혈관계 기능을 회복시키는데 있다. 슬링운동 치료에서 사용되고 있는 치료적 요소들로는 운동학적 원리에 따라 열린 사슬(open kinetic chains) 운동과 닫힌 사슬(closed kinetic chain) 운동을 통해 운동학적 진단이 가능하며, 이완과 가동성 운동 그리고 견인치료를 이용한다.The main concept of sling exercise therapy is to strengthen muscle strength, strengthen endurance, control sensorimotor skills, and restore cardiovascular func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ability of a person to withstand stimuli and tension received from the outside or the inside. As therapeutic elements used in sling exercise therapy, kinematic diagnosis is possible through open kinetic chains and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s according to kinematic principles, and relaxation and mobility exercises and traction therapy are used. .

또한, 안정화 운동과 감각운동 조절훈련을 이용하며 환자의 개별적인 치료와 운동과 그룹 운동 방법도 사용된다. 물리치료사로부터 지도받은 운동을 가정에서 지속적으로 하도록 하는 교육 그리고 모든 치료와 운동방법이 컴퓨터 소프트웨어로 프로그램화되어 있으므로 이를 사용하기도 한다.In addition, stabilization exercise and sensorimotor control training are used, and individual treatment and exercise and group exercise methods of the patient are also used. Education to continue the exercise taught by a physical therapist at home, and because all treatments and exercise methods are programmed with computer software, they are sometimes used.

한편, 슬링의 위치와 운동하고자 하는 관절의 위치에 따라 근육과 관절에 적용되는 힘의 원리가 달라진다. 따라서, 원하는 운동 목적에 따라 슬링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형시켜 운동 치료에 적용하게 된다.Meanwhile, the principle of force applied to muscles and joints varie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sling and the position of the joint to be exercis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desired exercise purpose, the position of the sling is variously modified and applied to exercise therapy.

슬링운동 치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슬링운동 치료를 돕거나, 진동을 인체에 제공하는 등의 슬링 장치가 개발되었고, 이를 이용하는 슬링운동 치료법이 제공되고 있다. 일 예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25538호(발명의 명칭: 좌.우 견인력을 각각 측정 및 표시하는 슬링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 of the sling exercise treatment, a sling device such as assisting the sling exercise treatment or providing vibration to the human body has been developed, and a sling exercise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has been provided. For example,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6-0025538 (name of the invention: a sling device for measuring and displaying left and right traction forces) is disclosed.

종래의 슬링 장치 중 진동을 인체에 제공할 수 있는 슬링 진동 장치는 한 방향에 대한 진동만을 제공할 수 있어, 원하는 운동 목적에 따라 적용되는 힘의 원리에 맞춰 진동 방향을 조절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Among the conventional sling devices, a sling vibration device capable of providing vibration to the human body can only provide vibration in one direction, and thus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vibration direction cannot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a force applied according to a desired exercise purpos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근골격계 및 신경계 치료를 위해 로프에 설치되어 수평진동 및 수직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보조 진동장치가 포함됨으로써,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고 진동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제어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및 편의가 향상될 수 있는 IOT가 연동된 진동 치료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 is installed on a rope for the treatment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and the nervous system to generate horizontal and vertical vibrations, thereby improving the therapeutic effect and including an auxiliary vibration device. As a result,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IOT-linked vibration treatment device that is easy to carry and move and can improve the vibration treatment effect, and is connected to and controlled by a user terminal, thereby improving the user's use and convenience. have.

다만, 앞서 기술할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기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아래 기술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will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technology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로프에 연결되는 IOT가 연동된 진동 치료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동 치료장치는, 바이브라오실레이터; 보조 진동장치 및 상기 바이브라오실레이터와 보조 진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브라오실레이터는, 상면에 바이브라오실레이터가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를 포함하는 본체하우징; 상기 본체하우징 내부 중심에 구비되어 수평진동을 발생시키는 수평진동모듈 및 상기 본체하우징의 양측에 구비되어 수직진동을 발생시키는 수직진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진동장치는, 커버하우징; 상기 커버하우징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로프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커버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bration therapy apparatus linked to an IOT connected to a rope, wherein the vibration therapy apparatus includes: a vibra oscillato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uxiliary vibration device and the vibra oscillator and the auxiliary vibration device, wherein the vibra oscillator includes: a main housing including a fixing unit so that the vibra oscillator is fixed to an upper surface; A horizontal vibration module provid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main body housing to generate horizontal vibration, and a vertical vibration modul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housing to generate vertical vibration, wherein the auxiliary vibration device includes: a cover housing; A fixing member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to fix the rope, and a vibration unit provided inside the cover housing to generate vibration, and the control unit may be connected to and controlled by a user terminal.

이때, 상기 수평진동모듈은, 2개 이상의 수평구동부; 상기 수평구동부를 통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각각 결합되며, 각기 크기가 다른 2개 이상의 무게추 및 상기 수평구동부의 진동상태를 감지하는 수평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수평구동부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수평진동 세기가 조절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horizontal vibration module includes two or more horizontal driving units; A rotating shaft rotating through the horizontal driving part; The horizontal vibration intensity is adjusted by selectively operating the horizontal driving unit by the control unit and including two or more weights each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and sensing a vibration state of the horizontal driving unit and two or more weights of different sizes. Can be.

또한, 상기 수직진동모듈은, 외측에 로프가 연결되고 좌우방향으로 왕복 운동되는 수직구동부; 상기 수직구동부에 연결된 로프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수직구동부의 운동상태를 감지하는 수직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수직구동부의 왕복운동을 조절하여 수직진동 세기가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rtical vibration module, the rope is connected to the outside and a vertical driving unit reciprocat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ope connected to the vertical driving unit and a vertical sensing sensor for detecting a motion state of the vertical driving unit, and the vertical vibration intensity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vertical driving unit by the control unit. I can.

한편, 로프에 연결되는 IOT가 연동된 진동 치료장치의 보조 진동장치에 있어서, 커버하우징; 상기 커버하우징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로프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커버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uxiliary vibration device of the vibration therapy device interlocked with IOT connected to the rope, the cover housing; A fixing member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to fix the rope, and a vibration unit provided inside the cover housing to generate vibration, and the control unit may be connected to and controlled by a user terminal.

이때, 상기 고정부재는, 후면에 결합되는 베어링부; 상기 베어링부와 연결되는 샤프트 축 및 끝단에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하우징은, 상기 샤프트 축이 삽입되는 삽입홀 및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샤프트 축에 결합되며, 커버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모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xing member includes a bearing portion coupled to the rear surface; And a shaft shaft connected to the bearing part and a plurality of fixed protrusions formed at an end thereof, and the cover housing is coupled to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shaft shaft is inserted and a shaft shaf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inside the cover housing It may include a motor unit provided.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후면에 결합되는 고정축; 천장에 고정된 로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축 일 측에 형성된 상부 고정홀; 상기 고정축의 타 측에 결합되어 파지가 형성된 로프를 수직 이동시키는 하부 회전휠 및 끝단에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the fixing shaft coupled to the rear surface; An upper fixing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ing shaft so that the rope fixed to the ceiling can be inserted; It may include a lower rotation wheel that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xed shaft to vertically move the gripping rope and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formed at the ends.

또한, 상기 하부 회전휠은, 후면 상 측에 형성된 레일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하우징은, 상기 레일부에 삽입되어 하부 회전휠을 회전시키는 레일기어; 상기 레일기어에 연결되어 레일기어를 회전시키는 회동축 및 상기 커버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동축이 결합되는 모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rotation wheel includes a rail portion formed on a rear upper side, and the cover housing includes: a rail gear inserted into the rail portion to rotate the lower rotation wheel; A rotation shaft connected to the rail gear to rotate the rail gear, and a motor unit provided inside the cover housing and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may be included.

그리고, 상기 진동부는, 편심추 및 상기 편심추를 회동시키는 회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bration unit may include an eccentric weight and a rotation motor that rotates the eccentric weight.

이때, 상기 편심추는, 크기가 다른 다수개의 편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ccentric weight may include a plurality of eccentric units having different sizes.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the following effects.

IOT가 연동된 진동 치료장치는 슬링 운동 치료를 위한 장치로써, 수평진동 및 수직진동을 발생시켜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vibration therapy device linked to the IOT is a device for sling movement therapy, and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therapeutic effect by generating horizontal and vertical vibrations.

또한,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이용 및 편의에 따라 IOT가 연동된 진동 치료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trol a vibration treatment device linked to an IOT according to the user's use and convenience by being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또한, 보조 진동장치를 포함시킴으로써 진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므로 사용자가 언제든지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이점 등이 있다.In addition, by including an auxiliary vibration device, not only can the vibration effect be improved, but it is easy to carry and move, so that the user can use it at any time, regardless of the lo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가 연동된 진동 치료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브라오실레이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모듈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진동모듈을 나타낸 투영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진동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진동장치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진동장치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다.
도 7(b)는 도 7(a) 보조 진동장치의 고정부재 및 모터부의 결합을 나타낸 결합 예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진동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OT-linked vibration therap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vibra oscil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a horizontal vibr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rtical vibr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xiliary vib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side view showing an auxiliary vibr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is an exemplary side view showing an auxiliary vibr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upling of the fixing member and the motor part of the auxiliary vibration device of FIG. 7(a).
8(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bra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brat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xiliary vibr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e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exemplifi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of disclosu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use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tituent elements, such as "between" and "direct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a set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preliminary exclusion.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each drawing indicate the same members.

또한, 하기 기술될 바이브라오실레이터는 근골격 치료에 사용되는 바이브레이션과 신경계 치료에 사용되는 오실레이터의 합성어로, 수직 및 수평진동을 일으키는 장치에 본 명칭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100에 해당되는 구성요소만을 바이브라오실레이터로 기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vibra oscillator to be described below is a compound word of vibration used for musculoskeletal treatment and oscillator used for nervous system treatment, and the name may be used for devices that cause vertical and horizontal vibration, but components corresponding to 100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nn will be described as a vibra oscilla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가 연동된 진동 치료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브라오실레이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모듈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진동모듈을 나타낸 투영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OT-linked vibration therap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vibra oscil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ont view showing a horizontal vibr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rojection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rtical vibr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로프에 연결되는 IOT가 연동된 진동 치료장치(10)는 바이브라오실레이터(100), 보조 진동장치(200) 및 제어부(300a,b)를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to 4, it is confirmed that the vibration therapy device 10 to which the IOT connected to the rope is interlocked includes a vibra oscillator 100, an auxiliary vibration device 200, and the control unit 300a,b. I can.

이때, 바이브라오실레이터(100)는 상면에 바이브라오실레이터(1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링(111)이 구비된 본체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vibra oscillator 100 may include a body housing 110 having a ring 111 so that the vibra oscillator 100 may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링(111)은 본체하우징(110)이 치료를 위한 사용자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로프 등이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다.The ring 111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rope or the like can be hung and fixed so that the main housing 110 can be positioned above the user for treatment.

본체하우징(110)은 수평진동모듈(120) 및 수직진동모듈(130)이 포함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나, 이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므로, 사용자의 이용 및 편의에 따라 그 형상을 달리할 수 있다.The main body housing 110 is preferably made of a rectangular shape in which a space is formed so that the horizontal vibration module 120 and the vertical vibration module 130 can be included, but this is only one example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user The shap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 and convenience of.

또한, 본체하우징(110)의 양측 하부에는 로프(R)가 이동될 수 있도록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하우징(110)에서 로프(R)가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holes (not shown) may be formed at the lower sides of both sides of the body housing 110 so that the rope R can be moved, and the rope R can be easily moved in the body housing 110. have.

수평진동모듈(120)은 수평구동부(121), 회전축(122), 무게추(123) 및 수평감지센서(1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300a)에 의해 수평구동부(121)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수평진동의 세기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The horizontal vibration module 120 may include a horizontal driving unit 121, a rotating shaft 122, a weight 123, and a horizontal sensing sensor 124, and the horizontal driving unit 121 is selectively selected by the control unit 300a. It can be operated so that the intensity of horizontal vibration is adjusted.

수평구동부(121)는 본체하우징(110)의 내부 중심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직사각으로 형성된 본체하우징(110)이 어느 한쪽으로 무게가 편향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므로, 사용자의 이용 및 편의에 따라 그 위치를 달리 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당연할 것이다.The horizontal drive unit 121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main body housing 110, but this is to prevent the weight of the body housing 110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from deflecting to either side, according to the user's use and convenience. It will be obvious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at the location can be varied.

나아가, 수평구동부(121)는 2개 이상이 구비되어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하 수평구동부(121) 2개가 대칭된 위치에 구비된 것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기술하기로 한다.Further, it may be preferable that two or more horizontal driving units 121 are provided and installed in a symmetrical position, and hereinafter, two horizontal driving units 121 are provided in a symmetrical position,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 will do it.

회전축(122)은 2개의 수평구동부(121)에 각각 연결되어, 수평구동부(121)에 의해 회전할 수 있으며, 회전축(122)에 결합된 무게추(123)를 회전시킬 수 있다.The rotation shaft 122 is connected to the two horizontal driving units 121, respectively, can be rotated by the horizontal driving unit 121, and can rotate the weight 123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122.

무게추(123)는 회전축(122)에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회전축(122)의 개수만큼 구비되는 것이 좋으며, 각기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eight 123 is preferably provided as many as the number of rotation shafts 122 so that each can be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122, and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weights 123 is formed differently in size.

구체적으로, 무게추(123)는 회전축(122)에 각각 편심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수평구동부(121)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122)이 회전됨과 동시에 이에 결합된 무게추(123)가 회전됨으로써, 진동이 일어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weight 123 may be installed eccentrically to each of the rotation shaft 122, and the rotation shaft 122 is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orizontal driving unit 121 and the weight 123 coupled thereto is rotated. , Vibration may occur.

이러한 진동은 지면과 평행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수평 회전하는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수평진동일 수 있다.Such vibration may be a horizontal vibration generated by a horizontal rota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a state parallel to the ground.

또한, 무게추(123)의 크기를 각기 달리하는 것은 크기에 따라 수평진동의 세기가 달라지므로, 수평진동의 세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different sizes of the weights 123 are to allow the strength of the horizontal vibration to be adjusted because the strength of the horizontal vibration varies according to the size.

따라서, 사용자는 2개의 수평구동부(121)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수평진동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the user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djust the intensity of horizontal vibration by selectively operating at least one of the two horizontal driving units 121.

수평감지센서(124)는 수평구동부(121)의 진동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The horizontal sensor 124 may detect the vibration state of the horizontal driving unit 121.

즉, 수평구동부(121)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무게추(123)의 진동 세기가 달라지면, 수평감지센서(124)는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300a)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진동 세기와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무게추(123)의 진동세기가 동일하도록 수평구동부(12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vibration intensity of the weight 123 selectively operated by the horizontal drive unit 121 is different, the horizontal sensor 124 detects it, and the control unit 300a detects the vibration intensity set by the user by the user terminal.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horizontal drive unit 121 so that the vibration intensity of the weight 123 that is selectively operated is the same.

수직진동모듈(130)은 본체하우징(110)의 내부 양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수직구동부(131), 가이드부재(132) 및 수직감지센서(1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rtical vibration module 130 may be provided on both inner sides of the main housing 110, and may include a vertical driving part 131, a guide member 132, and a vertical sensing sensor 133.

이때, 수직구동부(131)는 제어부(300a)에 의해 수직구동부(131)의 왕복운동을 조절함으로써, 수직진동 세기가 조절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vertical driving unit 131 may adjust the vertical vibration intensity by adjusting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vertical driving unit 131 by the control unit 300a.

즉, 수직구동부(131)는 로프(R)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로프(R)가 상하 수직이동 함으로써, 로프(R)에 수직진동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vertical drive unit 131 can move the rope R left and right, and accordingly, the rope R moves vertically up and down, so that vertical vibration is generated in the rope R.

수직구동부(131)는 외측에 로프(R)가 연결되고, 좌우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vertical drive unit 131 may b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rope (R), so that the reciprocating moveme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s possible.

가이드부재(132)는 수직구동부(131)에 연결되어 로프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하우징(110)의 양측 하부에 형성된 홀을 통해 로프가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guide member 132 may be connected to the vertical driving part 131 to guid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ope, and accordingly, the rope may be easily moved through the holes formed at the lower sides of both sides of the main housing 110. .

이러한 이동은 수직구동부(131)에 의한 로프의 좌우방향 움직임이 가이드부재(132)를 통해 수직으로 상하 이동함으로써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수직진동이 발생되는 것이다.In this movement,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rope by the vertical drive unit 131 moves vertically up and down through the guide member 132 to generate vibration, and vertical vibration is generated.

수직감지센서(133)는 수직구동부(131)의 운동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The vertical sensor 133 may detect the motion state of the vertical driving unit 131.

즉, 수직감지센서(133)는 수직구동부(131)에 의해 신장 또는 압축되는 이동거리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제어부(300a)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진동세기 값과 수직구동부(131)에 의해 이동되는 거리를 통한 수직진동 세기가 동일하도록 수직구동부(131)의 이동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vertical detection sensor 133 can detect the moving distance extended or compressed by the vertical driving unit 131, and the control unit 300a includes a vibration intensity value and a vertical driving unit 131 set by the user by the user terminal. The moving distance of the vertical driving unit 131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vertical vibration intensity through the distance moved by is the same.

제어부(300a)는 본체하우징(11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바이브라오실레이터(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0a may be provided in the main housing 110 and may be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ibra oscillator 100.

구체적으로, 제어부(300a)로부터 바이브라오실레이터(100)의 on/off, 수평진동모듈(120)과 수직진동모듈(130)의 수평진동 및 수직진동의 세기 그리고 사용자의 바이브라오실레이터(100)의 사용기록이 사용자 단말로 송신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바이브라오실레이터(100)를 사용할 수 있으며, 치료에 필요한 기록 또는 사용자의 상태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Specifically, the on/off of the vibra oscillator 100 from the control unit 300a, the horizontal vibration and the vertical vibration intensity of the horizontal vibration module 120 and the vertical vibration module 130, and the user's vibra oscillator 100 Since the usage record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he vibra oscillator 100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grasp the record required for treatment or the user's condition.

이때, 사용자 단말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중 하나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is a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network, LTE (Long Term Evolution) network,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network,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 wide area network (WAN), a personal area network (PAN), a Bluetooth network, a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 analog broadcasting network, and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network,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사용자 단말은 모바일 단말 외 PC, 태블릿,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바이브라오실레이터와 무선연결이 가능한 디바이스 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선연결도 가능하다.Such a user terminal may be a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nnection with a vibra oscillator such as a PC, a tablet, o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other than a mobile termin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wired connection is also possible.

또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기존에 가지고 있던 단말기(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도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바이브라오실레이터(100)와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하게 하여 바이브라오실레이터(100)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으로는 사용자의 단말기가 온라인 어플 마켓(안드로이드 마켓, 애플 스토어, 통신사의 온라인마켓 등)을 통해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may be provided as a termin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smartphone, etc.) that the user already has, and at this time, the application linked with the vibra oscillator 100 is downloaded and installed, so that the vibra oscillator ( 100) can be connected. As an application provision method, the user's terminal can be downloaded and installed through an online application market (Android market, Apple store, online market of a telecommunication company, etc.).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진동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xiliary vib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고하면, 보조 진동장치(200)는 커버하우징(210), 고정부재(220) 및 진동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auxiliary vibration device 200 may include a cover housing 210, a fixing member 220, and a vibration unit 230.

보조 진동장치(200)는 바이브라오실레이터(100)가 결합된 로프(R)에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천장 등에 설치된 로프(R)에 결합됨으로써, 진동세기를 추가하여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므로,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지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auxiliary vibration device 200 can be coupled to the rope R to which the vibra oscillator 100 is coupled, as well as additionally coupled to the rope R installed on the ceiling, thereby increasing the therapeutic effect by adding vibration intensity. , Since it is easy to carry and m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anytime, anywhere, regardless of the location.

커버하우징(210)은 진동부(230)가 구비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분리가 가능한 전면 커버(210a) 및 후면 커버(210b)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ver housing 210 preferably has a space formed therein so that the vibrating unit 230 may be provided, and may be formed of a detachable front cover 210a and a rear cover 210b.

이때, 커버하우징(210)는 로프(R)가 고정될 수 있도록 일면에 고정부재(220)가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ver housing 210 may be coupled to a fixing member 220 to one surface so that the rope (R) can be fixed.

이와 같이 로프(R)가 고정부재(220)에 의해 커버하우징(2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전면 커버(210a)에는 로프(R)가 삽입되는 로프홀(211) 및 고정부재(220)가 고정되는 고정부(212)가 포함될 수 있다.In this way, in order to prevent the rope 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ver housing 210 by the fixing member 220, the rope hole 211 and the fixing member 220 into which the rope R is inserted into the front cover 210a. A fixing part 212 to which is fixed may be included.

이는 로프(R)가 로프홀(211)을 통해 삽입되면, 로프(R)를 고정부(212)에 밀착시킨 후, 고정부재(220)를 삽입하여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보조 진동장치(200)가 로프(R)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is is because when the rope R is inserted through the rope hole 211, the rope 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ing part 212, and then the fixing member 220 is inserted and fixed, so that the auxiliary vibration device 200 is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ope (R).

구체적으로, 고정부(212)는 고정부재(220)가 전면 커버(210a)에 삽입되는 경우, 돌출되지 않고 삽입된 후, 전면 커버(210a)의 표면이 매끄러울 수 있도록 전면 커버(210a)의 중앙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삽입부(212a) 및 결합부(212b)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fixing member 220 is inserted into the front cover 210a, the fixing part 212 is formed of the front cover 210a so that the surface of the front cover 210a is smooth after being inserted without protrud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is formed by being recessed, and may include an insertion portion 212a and a coupling portion 212b.

삽입부(212a)는 고정부재(220)가 결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다수개의 삽입공(212a')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insertion part 212a may be preferably made of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212a' so that the fixing member 220 is coupled and not separated.

결합부(212b)는 로프(R)가 로프홀(211)에 삽입된 후에, 로프(R)가 이동되지 않도록 다수의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212b may be preferably made of a plurality of concave-convex shapes so that the rope R is not moved after the rope R is inserted into the rope hole 211.

고정부재(2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 진동장치(200)가 로프(R)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후면에는 삽입공(212a')에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막대(미도시)와 결합부(212b)와 대응되게 다수의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The fixing member 220 may allow the auxiliary vibration device 200 to be coupled to the rope R, as described above, and a plurality of It is preferable to have a plurality of uneven shapes corresponding to the rod (not shown) and the coupling portion 212b.

후면 커버(210b)는 진동부(230)가 커버하우징(210)의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진동부(230)의 형상에 맞는 다수개의 돌출판(213)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ar cover 210b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ding plates 213 suitable for the shape of the vibration unit 230 so that the vibration unit 230 does not move inside the cover housing 210.

다만,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이므로, 돌출판(213)이 아닌 진동부(230)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정 가능한 대체형상으로 후면 커버(210b)의 내부가 이루어질 수 있다.However, since this is an example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ide of the rear cover 210b may be formed in a fixed, replaceable shape capable of preventing movement of the vibrating unit 230 other than the protruding plate 213.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진동장치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side view showing an auxiliary vibr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고하면, 고정부재(220)는 베어링부(미도시), 샤프트축(221) 및 고정 돌출부(222)를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it can be seen that the fixing member 220 includes a bearing part (not shown), a shaft shaft 221 and a fixing protrusion 222.

베어링부는 고정부재(22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샤프트축(221)이 연결되어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bearing part may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220, and the shaft shaft 221 may be connected so that it can be easily rotated.

샤프트축(221)은 일 측에 베어링부가 연결되며, 타 측에는 모터부(240)가 결합될 수 있다.The shaft shaft 221 may have a bearing part connected to one side, and a motor part 240 to the other side.

따라서, 샤프트축(221)은 모터부(240)에 의해 회전되고, 베어링부를 통해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shaft shaft 221 is rotated by the motor unit 240 and can be rotated through the bearing unit.

나아가, 샤프트축(221)은 고정부재(220) 측으로 로프(R)가 삽입되는 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shaft shaft 221 may include a hole (not shown) into which the rope R is inserted toward the fixing member 220.

이렇게 로프(R)가 샤프트축(221)의 홀에 삽입되면, 모터부(240)에 의해 회전되는 샤프트축(221)을 따라 로프(R)가 감겼다가 풀려지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로프(R)의 상하 수직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When the rope R is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shaft shaft 221 in this way, the rope R is wound and released along the shaft shaft 221 rotated by the motor unit 240. ) Vertical motion can be generated.

이러한 상하 수직운동에 의해 사용자에게 수직진동이 전달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vertical vibr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by such vertical movement.

고정 돌출부(222)는 고정부재(220)의 후면 끝단에 다수개로 구비되어 고정부재(220)가 커버하우징(210)에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커버하우징(210)은 고정 돌출부(2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 돌출부(222)와 대응되는 형상의 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protrusion 222 is provided in a plurality at the rear end of the fixing member 220 so that the fixing member 220 is fixed to the cover housing 210 so as not to be separated, and the cover housing 210 is the fixing protrusion 222 A hole (not show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rotrusion 222 may be included so that) can be inserted.

또한, 모터부(240)는 커버하우징(210)의 내부에 구비되므로, 커버하우징(210)은 샤프트축(221)이 삽입되는 삽입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otor unit 240 is provided inside the cover housing 210, the cover housing 210 may include an insertion hole (not shown) into which the shaft shaft 221 is inserted.

이때, 삽입홀은 샤프트축(221)과 접촉되지 않도록 샤프트축(221)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ertion hole is formed wider than the shaft shaft 221 so as not to contact the shaft shaft 221.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진동장치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며, 도 7(b)는 도 7(a) 보조 진동장치의 고정부재 및 모터부의 결합을 나타낸 결합 예시도이다.7(a) is an exemplary side view showing an auxiliary vibr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b) is an exemplary combination showing a combination of a fixing member and a motor part of FIG. 7(a) to be.

도 7을 참고하면, 고정부재(220)는 고정축(223), 상부 고정홀(224), 하부 회전휠(225) 및 홀(226)을 포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it can be seen that the fixing member 220 includes a fixing shaft 223, an upper fixing hole 224, a lower rotating wheel 225, and a hole 226.

고정축(223)은 일 측이 고정부재(220) 후면에 결합되며, 반대 측에는 하부 회전휠(225)이 결합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fixed shaft 223 may be coupled to the rear of the fixing member 220, and a lower rotating wheel 225 may be coupled to the opposite side.

상부 고정홀(224)은 고정축(223)에 고정부재(220) 측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천장에 고정된 로프(R)가 삽입되고, 로프(R)의 끝 부분을 매듭짓거나 상부 고정홀(224)의 크기보다 큰 부품을 로프(R)의 끝 부분에 결합시켜 상부 고정홀(224)에서 로프(R)가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upper fixing hole 224 may be formed on the fixing shaft 223 toward the fixing member 220, and the rope R fixed to the ceiling is inserted, and the end of the rope R is knotted or the upper fixing hole A part larger than the size of 224 may be coupled to the end of the rope R to prevent the rope 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fixing hole 224.

이렇게 결합된 로프(R)는 고정부재(220)의 회전에 의해 고정축(223)을 따라 감기게 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고정 돌기부(212c)에 고정부재(220)를 삽입시켜 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rope R coupled in this way is wound along the fixing shaft 223 by the rotation of the fixing member 220, and when the user reaches the desired position, the fixing member 22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rotrusion 212c. You can make it fixed in that position.

이때, 고정 돌기부(212c)는 커버하우징(210)의 전면 커버(210a)에 다수개로 구비되는 것이 좋으며, 고정부재(220)의 후면에 홀(226)이 형성되어 고정 돌기부(212c)가 삽입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212c are provided on the front cover 210a of the cover housing 210, and a hole 226 is formed in the rear of the fixing member 220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212c is inserted. I can.

하부 회전휠(225)은 파지가 형성된 로프(R')가 결합되어 수직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lower rotation wheel 225 may be vertically moved by coupling a gripping rope R'.

이러한 수직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하부 회전휠(225)은 레일부(225a)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enable such vertical movement, the lower rotation wheel 225 may include a rail portion 225a.

레일부(225a)는 하부 회전휠(225)의 후면 상 측에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커버하우징(210)에 포함된 레일기어(242), 회동축(241) 및 모터부(240)에 의해 하부 회전휠(225)을 회동시킬 수 있다.The rail part 225a is preferably formed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lower rotating wheel 225, and is lower by the rail gear 242, the rotation shaft 241, and the motor part 240 included in the cover housing 210. The rotary wheel 225 can be rotated.

이때, 레일기어(242)는 레일부(225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며, 레일부(225a)에 삽입된 후, 대응되는 형상이 서로 맞물러 이동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ail gear 242 is preferably made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ail portion 225a, and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rail portion 225a, the corresponding shapes may be meshed with each other and moved.

이러한 레일기어(242)는 회동축(241)의 일 측에 연결될 수 있으며, 모터부(240)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The rail gear 242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otation shaft 241 and may be rot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otor unit 240.

이렇게 레일부(225a)가 레일기어(242)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하부 회전휠(225)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결합된 로프(R')가 하부 회전휠(225)에 감겼다가 풀려지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로프(R')의 상하 수직운동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As the rail part 225a is moved by the rail gear 242, the lower rotating wheel 225 rotates, and the rope R'coupled thereto is wound around the lower rotating wheel 225 and then released. By repeating, it is possible to caus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rope R'.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8(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bra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brat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를 참고하면, 진동부(230)는 편심추(232), 회동모터(231) 및 제어부(300b)를 포함하고, 도 8(b)를 참고하면, 도 8(a)에 모터부(240)를 더 포함함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a), the vibration unit 230 includes an eccentric weight 232, a rotating motor 231, and a control unit 300b, and referring to FIG. 8(b), FIG. 8(a) It can be seen that the motor unit 240 is further included.

이때, 회동모터(231)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부(2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모터부(240)에 대한 설명은 상기 고정부재(220)에 대한 실시예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In this case, a power supply unit 250 for operating the rotating motor 231 may be provided, and a description of the motor unit 240 will be replaced with a description of the fixing member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편심추(232)는 및 회동모터(231)는 바이브라오실레이터(100)의 무게추(123) 및 수평구동부(121)와 동일한 작용을 할 수 있다.The eccentric weight 232 and the rotation motor 231 may function in the same way as the weight 123 and the horizontal drive unit 121 of the vibra oscillator 100.

즉, 진동부(230)의 회동모터(231)는 하나로 도시되었으나, 사용자의 이용 및 편의에 따라 그 개수를 달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편심추(232)의 무게도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That is, although the rotation motor 231 of the vibrating unit 230 is illustrated as one, the number of the rotating motors 231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user's use and convenience, and it is natural that the weight of the eccentric weight 232 may be changed accordingly.

회동모터(231)는 편심추(232)가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축(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으며, 회동모터(231)에 의해 축이 회전함으로써, 이에 결합된 편심추(232)가 회전될 수 있다.The rotation motor 231 may be connected to a shaft (not shown) so that the eccentric weight 232 can rotate, and the shaft is rotated by the rotation motor 231, so that the eccentric weight 232 coupled thereto is rotated. I can.

편심추(232)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그 크기를 달리질 경우, 무게추(123)와 마찬가지로 크기에 따라 진동의 세기도 달리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회전 운동을 통해 지면과 평행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수평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When the size of the eccentric weight 232 varies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the intensity of the vibration may vary according to the size like the weight 123, and accordingly, in a state parallel to the ground through a rotational motion. It can generate horizontal vibration while moving left and right.

제어부(300b) 또한, 바이브라오실레이터(100)의 제어부(300a)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300b may also perform the same role as the controller 300a of the vibra oscillator 100.

즉, 보조 진동장치(200)의 수직진동 및 수평진동은 제어부(300b)를 통해 그 세기가 조절될 수 있으며, 나아가 보조 진동장치(200)의 on/off 그리고 사용자의 보조 진동장치(200)의 사용기록이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됨으로써, 보조 진동장치(200)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치료에 필요한 기록 또는 사용자의 상태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at is, the vertical vibration and horizontal vibration of the auxiliary vibration device 200 can be adjusted in intensity through the control unit 300b, and further, on/off of the auxiliary vibration device 200 and the user's auxiliary vibration device 200 Since the usage record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he auxiliary vibration device 200 can be conveniently used,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record required for treatment or the state of the user can be grasped.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진동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xiliary vibr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고하면, 편심추(232)는 편심유닛(232a)으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eccentric weight 232 may be configured as an eccentric unit 232a.

편심유닛(232a)은 다수개로 이루어져 회동모터(231)의 축에 결합될 수 있으며, 축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된 편심유닛(232a)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The eccentric unit 232a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and be coupled to the shaft of the rotary motor 231,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eccentric units 232a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haft are not separated.

그리고,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수평진동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해 편심추(232)의 크기를 교체하지 않고, 편심유닛(232a)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용이하게 수평진동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nd, by adjusting the number of eccentric units 232a without changing the size of the eccentric weight 232 in order to adjust the intensity of horizontal vib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adjust the intensity of horizontal vibration. have.

이러한 편심유닛(232a)을 용이하게 커버하우징(210)에 삽입하기 위해 전면 커버(210a)에는 도어가 결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당연할 것이다.It will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 door may be coupled to the front cover 210a in order to easily insert the eccentric unit 232a into the cover housing 21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obvious to you.

10 : IOT가 연동된 진동 치료장치
100 : 바이브라오실레이터
110 : 본체하우징
120 : 수평진동모듈
121 : 수평구동부
122 : 회전축
123 : 무게추
124 : 수평감지센서
130 : 수직진동모듈
131 : 수직구동부
132 : 가이드부재
133 : 수직감지센서
200 : 보조 진동장치
210 : 커버하우징
220 : 고정부재
221 : 샤프트축
222 : 고정 돌출부
223 : 고정축
224 : 상부 고정홀
225 : 하부 회전휠
225a: 레일부
226 : 홀
230 : 진동부
231 : 회동모터
232 : 편심추
232a: 편심유닛
240 : 모터부
241 : 회동축
242 : 레일기어
10: IOT-linked vibration therapy device
100: vibra oscillator
110: main body housing
120: horizontal vibration module
121: horizontal drive unit
122: rotating shaft
123: weight
124: horizontal sensor
130: vertical vibration module
131: vertical drive unit
132: guide member
133: vertical sensor
200: auxiliary vibration device
210: cover housing
220: fixing member
221: shaft shaft
222: fixed protrusion
223: fixed shaft
224: upper fixing hole
225: lower rotating wheel
225a: rail part
226: Hall
230: vibration unit
231: rotation motor
232: eccentric weight
232a: eccentric unit
240: motor part
241: pivot shaft
242: rail gear

Claims (9)

로프에 연결되는 IOT가 연동된 진동 치료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동 치료장치는,
바이브라오실레이터;
보조 진동장치 및
상기 바이브라오실레이터와 보조 진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브라오실레이터는,
상면에 바이브라오실레이터가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를 포함하는 본체하우징;
상기 본체하우징 내부 중심에 구비되어 수평진동을 발생시키는 수평진동모듈 및
상기 본체하우징의 양측에 구비되어 수직진동을 발생시키는 수직진동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제어되고,
상기 보조 진동장치는,
커버하우징;
상기 커버하우징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로프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커버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는 진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후면에 결합되는 베어링부;
상기 베어링부와 연결되는 샤프트축 및
끝단에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하우징은,
상기 샤프트축이 삽입되는 삽입홀 및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샤프트축에 결합되며, 커버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모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가 연동된 진동 치료장치.
In the vibration therapy device linked to the IOT connected to the rope,
The vibration therapy device,
Vibra oscillator;
Auxiliary vibration device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ibra oscillator and an auxiliary vibration device,
The vibra oscillator,
A main body housing including a fixing part so that the vibra oscillator can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A horizontal vibration module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main body housing to generate horizontal vibration, and
It includes vertical vibration modul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housing to generate vertical vibration,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and controlled by a user terminal,
The auxiliary vibration device,
Cover housing;
A fixing member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to fix the rope, and
It includes a vibration unit formed inside the cover housing,
The fixing member,
A bearing portion coupled to the rear surface;
A shaft shaft connected to the bearing part,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fixed protrusions formed at the ends,
The cover hous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shaft shaft is inserted, and
IOT-linked vibration therap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the shaft shaf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includes a motor unit provided in the cover housing.
로프에 연결되는 IOT가 연동된 진동 치료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동 치료장치는,
바이브라오실레이터;
보조 진동장치 및
상기 바이브라오실레이터와 보조 진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브라오실레이터는,
상면에 바이브라오실레이터가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를 포함하는 본체하우징;
상기 본체하우징 내부 중심에 구비되어 수평진동을 발생시키는 수평진동모듈 및
상기 본체하우징의 양측에 구비되어 수직진동을 발생시키는 수직진동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제어되고,
상기 보조 진동장치는,
커버하우징;
상기 커버하우징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로프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커버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는 진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후면에 결합되는 고정축;
천장에 고정된 로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축 일 측에 형성된 상부 고정홀;
상기 고정축의 타 측에 결합되어 파지가 형성된 로프를 수직 이동시키는 하부 회전휠 및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하우징의 전면 커버에 다수개로 구비되는 고정 돌기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가 연동된 진동 치료장치.
In the vibration therapy device linked to the IOT connected to the rope,
The vibration therapy device,
Vibra oscillator;
Auxiliary vibration device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ibra oscillator and an auxiliary vibration device,
The vibra oscillator,
A main body housing including a fixing part so that the vibra oscillator can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A horizontal vibration module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main body housing to generate horizontal vibration, and
It includes vertical vibration modul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housing to generate vertical vibration,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and controlled by a user terminal,
The auxiliary vibration device,
Cover housing;
A fixing member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to fix the rope, and
It includes a vibration unit formed inside the cover housing,
The fixing member,
A fixed shaft coupled to the rear;
An upper fixing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ing shaft so that the rope fixed to the ceiling can be inserted;
A lower rotating wheel that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xed shaft to vertically move the rope on which the grip is formed, and
IOT-linked vibration therapy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le formed on the rear side and into which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provided in the front cover of the cover housing can be inserted.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진동모듈은,
외측에 로프가 연결되고 좌우방향으로 왕복 운동되는 수직구동부;
상기 수직구동부에 연결된 로프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수직구동부의 운동상태를 감지하는 수직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수직구동부의 왕복운동을 조절하여 수직진동 세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가 연동된 진동 치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vertical vibration module,
A vertical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rope and reciprocat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ope connected to the vertical drive unit, and
Including a vertical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motion state of the vertical drive,
IOT-linked vibration therap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vibration intensity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vertical drive unit by the control unit.
로프에 연결되는 IOT가 연동된 진동 치료장치의 보조 진동장치에 있어서,
커버하우징;
상기 커버하우징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로프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커버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며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진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제어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후면에 결합되는 베어링부;
상기 베어링부와 연결되는 샤프트 축 및
끝단에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하우징은,
상기 샤프트 축이 삽입되는 삽입홀 및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샤프트 축에 결합되며, 커버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모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진동장치.
In the auxiliary vibration device of the vibration therapy device interlocked with IOT connected to the rope,
Cover housing;
A fixing member that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to fix the rope, and
It includes a vibration unit provided inside the cover housing to generate vibration and having a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and controlled by a user terminal,
The fixing member,
A bearing portion coupled to the rear surface;
A shaft shaft connected to the bearing part,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fixed protrusions formed at the ends,
The cover hous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shaft shaft is inserted, and
An auxiliary vibration device comprising a motor unit coupled to the shaft shaf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provided inside the cover housing.
삭제delete 로프에 연결되는 IOT가 연동된 진동 치료장치의 보조 진동장치에 있어서,
커버하우징;
상기 커버하우징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로프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커버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며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진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제어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후면에 결합되는 고정축;
천장에 고정된 로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축 일 측에 형성된 상부 고정홀;
상기 고정축의 타 측에 결합되어 파지가 형성된 로프를 수직 이동시키는 하부 회전휠 및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하우징의 전면 커버에 다수개로 구비되는 고정 돌기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진동장치.
In the auxiliary vibration device of the vibration therapy device interlocked with IOT connected to the rope,
Cover housing;
A fixing member that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to fix the rope, and
It includes a vibration unit provided inside the cover housing to generate vibration and having a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and controlled by a user terminal,
The fixing member,
A fixed shaft coupled to the rear;
An upper fixing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ing shaft so that the rope fixed to the ceiling can be inserted;
A lower rotating wheel that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xed shaft to vertically move the rope on which the grip is formed, and
An auxiliary vibration device comprising a hole formed on a rear surface and into which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provided in a front cover of the cover housing can be inserted.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회전휠은,
후면 상 측에 형성된 레일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하우징은,
상기 레일부에 삽입되어 하부 회전휠을 회전시키는 레일기어;
상기 레일기어에 연결되어 레일기어를 회전시키는 회동축 및
상기 커버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동축이 결합되는 모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진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lower rotating wheel,
Including a rail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The cover housing,
A rail gear inserted into the rail to rotate a lower rotating wheel;
A rotation shaft connected to the rail gear to rotate the rail gear, and
And a motor unit provided inside the cover housing and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제 4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편심추 및
상기 편심추를 회동시키는 회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진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6,
The vibration unit,
Eccentric weight and
An auxiliary vibration device comprising a rotating motor that rotates the eccentric weight.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추는,
크기가 다른 다수개의 편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진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eccentric weight,
An auxiliary vibration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eccentric units of different sizes.
KR1020190091117A 2019-07-26 2019-07-26 Iot-linked vibration therapy device KR1022477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117A KR102247708B1 (en) 2019-07-26 2019-07-26 Iot-linked vibration therap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117A KR102247708B1 (en) 2019-07-26 2019-07-26 Iot-linked vibration therap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787A KR20210012787A (en) 2021-02-03
KR102247708B1 true KR102247708B1 (en) 2021-04-30

Family

ID=74572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117A KR102247708B1 (en) 2019-07-26 2019-07-26 Iot-linked vibration therap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70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429B1 (en) 2015-12-04 2017-06-0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Vibration Stimulation Apparatus
KR101838819B1 (en) * 2016-12-20 2018-03-1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Sling motion apparatus having separable soundwave vibration 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25834B1 (en) * 2007-01-08 2008-07-28 Redcord As Vibration device for use on treatment and exercise equipment, and methods for effecting vibration on such equipment
KR101903614B1 (en) * 2016-11-23 2018-10-02 사단법인 캠틱종합기술원 A gait rehabilit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429B1 (en) 2015-12-04 2017-06-0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Vibration Stimulation Apparatus
KR101838819B1 (en) * 2016-12-20 2018-03-1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Sling motion apparatus having separable soundwave vibration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787A (en) 202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4170B2 (en) Vibrationary exercise apparatus
KR101423805B1 (en) Vibration apparatus for use on therapy and exercise equipment, and a method for providing controllable vibration to such equipment
US8602951B2 (en) Variable resistance fitness chamber for rotational torque
US8517895B2 (en) Vibratory exercise device
US20100311552A1 (en) Vibrationary exercise equipment
KR101115545B1 (en) A exercise device for rehabilitation
FI126770B (en) Rehabilitation device and its use for shoulder area exercise
KR101875512B1 (en) Weight Training Equipment with Adjustable Handle Angle
KR20120087143A (en) Portable device for training, exercising and pain relief utilizing rotatable eccentric masses
CN208694155U (en) Aerobics power exerciser
KR101180093B1 (en) Green massage apparatus using power from cycle
KR102247708B1 (en) Iot-linked vibration therapy device
KR20140022993A (en) Exercise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KR101891723B1 (en) Exercise machine
KR101299086B1 (en) The air stimulate the expression upper limb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CN205586470U (en) Yoga post
KR101668041B1 (en) Sphincter training apparatus
NO329697B1 (en) Device for muscle training apparatus
KR102070264B1 (en) Vibraoscillator for musculoskeletal and nervous system treatment
KR101631863B1 (en) Apparatus for tapping the end parts of a foot
KR200477773Y1 (en) Leg exercise apparatus
KR20200044502A (en) IoT-connected Vibraoscillator
KR102122907B1 (en) Dumbbell device for deep shoulder muscle rehabilitation exercise
CN104784005B (en) Flexible drawing formula finger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N203861859U (en) Supine pulling-up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