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162B1 - 빔 선택 장치 및 빔 선택 방법 - Google Patents

빔 선택 장치 및 빔 선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162B1
KR102247162B1 KR1020150044538A KR20150044538A KR102247162B1 KR 102247162 B1 KR102247162 B1 KR 102247162B1 KR 1020150044538 A KR1020150044538 A KR 1020150044538A KR 20150044538 A KR20150044538 A KR 20150044538A KR 102247162 B1 KR102247162 B1 KR 102247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ay time
threshold value
signal
signals
se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1746A (ko
Inventor
박형숙
이용수
박윤옥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4/948,554 priority Critical patent/US9872277B2/en
Publication of KR20160081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91Space-time diversity
    • H04B7/0897Space-time diversity using beamforming per multi-path, e.g. to cope with different directions of arrival [DOA] at different multi-pa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빔 단말의 빔 선택 장치는 복수의 빔들을 통하여 수신된 복수의 신호들의 지연시간을 각각 측정하는 지연시간 측정부, 복수의 신호들 각각에 대하여, 측정된 지연시간에 기초하여 선택된 임계 값과 신호 세기를 비교하여 빔을 선택하는 빔 선택부, 및 선택된 빔에 따라 복수의 빔들을 동작시키는 스위칭형 빔 포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빔 선택 장치 및 빔 선택 방법 {Beam sel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beam in a fixed beam terminal}
본 발명은 빔 선택 장치 및 빔 선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신 빔의 세기 및 수신 빔의 가시선 존재 여부에 따라서 상이한 방식으로 빔을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트래픽의 급증으로 인하여 최근에는 밀리미터 대역을 이용해 데이터 전송률을 높이기 위한 방향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밀리미터 대역의 전파 특성 상, 전파 경로 손실을 완화하고 전파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다수의 안테나가 집합된 형태인 어레이 안테나를 이용한 빔 포밍(beam forming) 기술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다중 빔을 전송하는 셀에 속한 단말은 전파의 수신을 특정 방향으로 집중시켜 이득을 얻는 수신 빔 포밍을 수행할 수 있는데, 단말의 구현 제약으로 인해 특정 빔 포밍을 한번에 한 방향만 지원하는 고정 빔 형성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기지국이 보내는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최상의 수신 빔을 선택하고 송신할 수 있는 빔 선택기능을 가져야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빔들 중 특정한 빔을 선택하여 고정 빔을 형성하는 단말에 있어서, 수신됨 빔들의 세기 및 빔들 내의 가시선 여부에 따라서 상이한 임계 값을 적용시켜 수신 빔을 선택하는 빔 선택 장치 및 빔 선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빔 선택 장치 및 빔 선택 방법에 따르면 빔 검출 확률을 높일 수 있으며, 불필요한 스위칭 동작을 최소화함으로써 단말의 전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지국에 대하여 단말로 송신할 데이터 송신 빔의 폭을 결정하는 요소로 활용할 수 있도록 단말 내에 수신된 신호의 세기와 가시선의 존재 여부를 전송할 수 있는 빔 선택 장치 및 빔 선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빔 단말의 빔 선택 장치는 복수의 빔들을 통하여 수신된 복수의 신호들의 지연시간을 각각 측정하는 지연시간 측정부, 상기 복수의 신호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측정된 지연시간에 기초하여 선택된 임계 값과 신호 세기를 비교하여 빔을 선택하는 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빔에 따라 상기 복수의 빔들을 동작시키는 스위칭형 빔 포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빔 단말의 빔 선택 방법은 고정 빔 단말의 스위칭 형 빔 포머의 복수의 빔들을 통하여 수신된 복수의 신호들의 지연시간을 각각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신호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측정된 지연시간에 기초하여 임계 값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신호들의 신호 세기와 상기 복수의 신호들에 대하여 선택된 임계 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신호들 중 신호 세기가 상기 임계 값보다 큰 신호가 수신된 빔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빔 단말의 빔 선택 방법은 고정 빔 단말의 스위칭 형 빔 포머의 복수의 빔들을 통하여 수신된 복수의 빔들을 통하여 초기동기를 획득하여 초기 수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복수의 신호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신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신호에 대하여 상기 획득된 초기 동기에 기초하여 지연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지연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신호 내부의 가시선 성분 존재 여부에 따라 임계 값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임계 값과 상기 측정된 신호 세기를 비교하여 빔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빔 단말의 빔 선택 장치 및 빔 선택 방법은 수신 빔을 선택함에 있어서 수신 빔의 신호 세기와 수신 빔 내에 가시선 성분이 존재하는 지에 따라 달리 설정된 임계 값에 기초하기 때문에 빔 검출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최적의 빔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칭 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를 위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통해 다양한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빔 형성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선택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빔 단말의 빔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빔 형성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빔 포밍을 적용한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BS)과 복수의 단말들(UE1, UE2) 사이의 통신을 설명한다.
기지국(BS)은 동기채널 및 기준신호를 전 방향으로 송신한다.
단말(UE1, UE2)은 기지국(BS)으로부터 기준신호를 수신하여 최적의 수신 빔을 선택하는 빔 선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UE1, UE2)은 복수 개의 고정 빔을 스위칭하며 기지국(BS)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예시적으로 단말(UE1, UE2)이 4개의 고정 빔(RxB1, RxB2, RxB3, RxB4)을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단말(UE1)은 가시선과 비가시선 성분을 갖는 신호를 수신하고, 제2 단말(UE2)은 밀리미터 대역의 무선 채널이기는 하지만, 그 위치에 따라서 가시선 성분이 없이 비가시선 성분만을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밀리미터 대역의 신호는 일반적인 셀룰러 대역보다 신호 감쇄가 더 큰 폭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가시선 성분과 비가시선 성분의 세기가 크게 차이가 날 수 있다. 따라서 단말(UE1, UE2)에서 동일한 기준 값에 기초하여 빔을 선택하게 되면 검출 및 오보 확률에 영향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선택 장치 및 빔 선택 방법은 단말(UE1, UE2)이 기지국(BS)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가시선 성분이 존재하는 지에 따라 상이한 기준 값으로 빔을 선택한다.
즉, 단말(UE1, UE2) 내에 구비된 빔 선택 장치는 기지국(BS)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가시선 성분이 존재하는 지에 따라, 상이한 임계 값을 선택하여 수신한 신호의 세기와 비교함으로써 빔을 선택한다. 이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최적의 빔을 선택하기 위하여 빈번하게 발생하는 스위칭 동작을 줄일 수 있어 결론적으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선택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빔 선택 장치(10)는 고정 빔 단말 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지연시간 측정부(300), 빔 선택부(200) 및 스위칭형 빔 포머(1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연시간 측정부(300)는 스위칭형 빔 포머(100)에 구비된 복수의 빔들을 통하여 수신된 복수의 신호들의 지연시간을 각각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연시간 측정부(300)는 수신된 신호의 채널 임펄스 응답을 구하여 지연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선택 장치(10)는 초기동기 획득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초기동기 획득부(400)는 가장 큰 신호의 세기를 갖는 빔에서 획득한 타이밍 정보로 동기를 획득하고 해당 빔을 초기 수신 빔으로 정한다.
실시예에 따라, 지연시간 측정부(100)는 획득된 초기동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신호들 각각에 대하여 미세 시간 동기 블록을 동작시켜 각각의 신호들에 대한 지연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연시간 측정부(100)는 미세 시간 동기 블록을 동작시켜 채널의 변화를 추적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채널 임펄스 응답을 구하여 지연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5031137915-pat00001
여기서, Y(m)과 X(m)은 수신신호와 기지국(BS)으로부터 송신된 기준신호의 주파수 응답을 지시하며, 채널 임펄스 응답은 IFFT를 수행하여 구할 수 있다.
빔 선택부(200)는 지연시간 측정부(100)에서 측정된 지연시간에 기초하여 각 신호들에 대하여 임계 값을 선택할 수 있다. 빔 선택부(200)는 빈 선택 정보 전송부(210) 및 빔 선택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밀리미터 대역의 전파 특성은 가시선이 직진 특성이 강하고, 비가시선 성분은 가시선 성분에 비하여 20dB 이하로 매우 약하게 도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지연 시간을 토대로 수신된 신호에 가시선 성분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연시간 측정부(100)에서 측정된 지연시간이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빔 선택부(200)는 수신된 신호에 가시선 성분이 포함된 것으로, 지연시간을 가지면서 수신된다면, 빔 선택부(200)는 해당 빔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비가시선 성분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선택부(200)는 지연시간을 토대로 해당 신호에 가시선 성분이 존재하는 지에 따라서 상이한 임계 값을 선택할 수 있다. 이과 같이 가시선의 존재에 따라 임계 값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최적의 수신 빔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빔 선택부(200)는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빔에 대하여 선택된 임계 값과 신호 세기를 비교할 수 있다. 해당 신호에 대해서 선택된 임계 값보다 신호 세기가 크다면, 그 신호가 수신된 빔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빔 선택부(200)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나 RSRP(Reference Signal Receive Power) 등의 척도를 통하여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판단 근거로 정규화를 수행하지 않고 최대값으로 결정하는 데에 있어, 임계치를 결정하는 다른 블록들에도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빔 선택부(200)는 가시선의 존재 여부에 따라서 두 가지의 임계 값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수신 빔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빔 선택부(200)에서 선택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 신호 세기를 갖는 빔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빔 선택 장치(10)는 빔 선택 제어부(230)를 구비하여 반복적으로 수신 빔을 재탐색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빔 선택 제어부(230)는 초기동기 획득부(400), 지연시간 측정부(100) 등을 제어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초기동기 획득과 지연시간의 측정을 반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기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적으로 빔을 탐색하였으나 조건을 만족하는 빔을 발견하지 못한 경우, 빔 선택 제어부(230)는 빔 선택 장치(10)가 위치한 지역이 음영지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음영지역으로 판단한 경우, 빔 선택 제어부(230)는 사용자에게 음영지역에 위치하였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알림 수단을 구비하여 시각적, 청각적 출력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빔 선택부(200)는 빔 선택 정보 전송부(210)를 통하여 빔 선택 정보 및 그 신호의 세기를 기지국(BS)에 전송할 수 있다. 빔 선택 정보는 수신된 빔의 정보 및 해당 빔을 통하여 수신된 신호의 가시선 포함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BS)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빔의 폭을 조절하는 파라미터로 활용할 수 있다. 기지국(BS)은 빔을 선택하기 위한 기준신호는 전 방향으로 송신할 수 있으나, 트래픽 정보는 상향링크 수신 신호 품질이나, 기타 단말이 피드백하는 신호의 상태를 기준으로 송신 빔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빔 선택 정보 전송부(210) 및 빔 선택 제어부(230)가 빔 선택부(20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스위칭형 빔 포머(300)는 선택된 빔에 따라서 복수의 빔들을 동작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스위칭 형 빔 포머(300)는 고정 빔을 형성함으로써 단말의 이동이나 채널 환경 변화로 인하여 최적의 수신 빔이 변경되었을 경우에 빔 선택 정보에 따라서 빔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빔 선택 장치(10)는 빔을 통하여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CP 제거부(500) 및 FFT(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CP 제거부(500)는 수신된 신호의 CP(Cyclic Prefix)를 제거하고 FFT(550)는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정 빔 단말을 이용한 빔 선택 방법은 복수의 빔들을 통하여 초기동기를 획득하여 초기 수신 빔을 결정한다 (단계 S310).
고정 빔 단말의 스위칭 형 빔 포머(300)는 획득된 초기동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빔들을 통해 신호들의 지연시간을 각각 측정한다 (단계 S320). 지연시간은 도 2에 도시된 지연시간 측정부(300)에서 미세 시간 동기 블록을 동작시켜 채널 변화를 추적함에 따라 이루어지는 데, 채널 임펄스 응답을 구하여 지연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지연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와 병행하여 복수의 빔들을 통해 수신된 신호들의 신호 세기가 측정될 수 있다.
측정된 지연시간에 기초하여 수신 빔을 선택하기 위한 임계 값을 선택한다 (단계 S330). 임계 값은 수신된 신호 내에 가시선 성분이 존재하는 지에 따라 두 가지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빔 선택부(200)는 신호 세기와 선택된 임계 값을 비교하여 (단계 S340), 신호 세기가 임계 값보다 큰 경우 (단계 S340, 예), 해당 신호를 수신한 빔을 수신 빔으로 선택한다 (단계 S350).
실시예에 따라, 빔 선택부(200)는 측정된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신호를 수신한 빔에 대하여 임계 값을 비교하고 수신 빔을 선택하거나, 복수의 신호들의 신호 세기와 해당 신호에 대하여 선택된 임계 값들을 각각 비교할 수도 있다.
만일 신호 세기가 선택된 임계 값보다 작은 경우 (단계 S340, 아니오), 빔 선택부(200)는 다른 빔을 통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하여 선택된 임계 값과 비교하는 과정을 되풀이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재탐색 과정을 반복적으로 되풀이 하였으나, 예를 들어 기설정된 횟수 이상을 반복하였으나 임계 값을 초과하는 신호 세기를 갖는 빔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빔 선택부(200)는 단말이 현재 음영 지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음영 지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말 내의 시각적 또는 청각적 출력 수단을 통하여 현재 음영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빔 선택 정보 전송부(210)를 통하여, 선택된 빔의 정보 및 신호 세기를 기지국(BS)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빔 단말의 빔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 빔 단말의 스위칭 형 빔 포머의 복수의 빔들을 통하여 수신된 복수의 빔들을 통하여 초기동기를 획득하여 초기 수신 빔을 결정한다 (단계 S410). 초기동기 획득부(400)는 복수의 수신 빔들 중에서 가장 큰 신호의 세기를 갖는 빔에서 획득한 타이밍 정보로 동기를 획득하고 해당 빔을 초기 수신 빔으로 결정할 수 있다.
빔 선택부(200)는 수신된 복수의 신호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신호를 선택하고 (단계 S420), 선택된 신호, 즉 선택된 빔에 대하여 획득된 초기 동기에 기초하여 지연시간을 측정한다 (단계 S430).
상술한 바와 같이 지연시간 측정부(300)는 채널 임펄스 응답을 활용하여 지연시간을 추정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빔 선택부(200)는 측정된 지연시간에 기초하여 수신 신호 내부에 가시선 성분이 존재하는 지에 따라 임계 값을 선택하고 (단계 S440), 선택된 임계 값과 측정된 신호 세기를 비교하여 수신 빔을 선택한다 (단계 S450).
실시예에 따라, 빔 선택 정보와 신호 세기를 기지국(BS)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선택 장치 및 빔 선택 방법은 복수의 빔들을 통하여 수신된 신호들의 신호 세기를, 해당 빔을 통하여 가시선이 수신되었는 지에 따라 다른 임계 값을 선택하여 비교함으로써 수신 빔을 선택한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 빔 검출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며 최적의 빔을 선택하여 지속적으로 동작하는 단말 내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빔 선택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함에 따라서 기지국과 단말의 통신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빔 선택 장치
100 : 스위칭 형 빔 포머
200 : 빔 선택부
300 : 지연시간 측정부
400 : 초기동기 획득부

Claims (16)

  1. 복수의 빔들을 통하여 수신된 복수의 신호들의 지연시간을 각각 측정하는 지연시간 측정부;
    상기 복수의 신호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측정된 지연시간과 기설정된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에 가시선 성분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여 임계 값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임계 값과 신호 세기를 비교하여 빔을 선택하는 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빔에 따라 상기 복수의 빔들을 동작시키는 스위칭형 빔 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빔 단말의 빔 선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빔들을 통하여 초기동기를 획득하여 초기 수신 빔을 결정하는 초기동기 획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빔 단말의 빔 선택 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빔 선택부는,
    상기 신호 세기가 상기 임계 값보다 큰 경우, 해당 신호를 수신하는 빔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빔 단말의 빔 선택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들 중에서 상기 신호 세기가 상기 임계 값보다 큰 신호가 없는 경우에 반복적으로 수신 빔을 재탐색하도록 제어하는 빔 선택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빔 단말의 빔 선택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빔 선택 제어부는,
    상기 재탐색이 기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되어 선택되는 빔이 없는 경우, 해당 지역을 음영지역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빔 단말의 빔 선택 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빔의 정보를 포함하는 빔 선택 정보 및 신호 세기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빔 선택 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빔 단말의 빔 선택 장치.
  9. 고정 빔 단말의 스위칭 형 빔 포머의 복수의 빔들을 통하여 수신된 복수의 신호들의 지연시간을 각각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신호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측정된 지연시간에 기초하여 임계 값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신호들의 신호 세기와 상기 복수의 신호들에 대하여 선택된 임계 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신호들 중 신호 세기가 상기 임계 값보다 큰 신호가 수신된 빔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빔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세기가 상기 임계 값보다 큰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반복적으로 빔을 재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재탐색을 기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하여도 선택되는 빔이 없는 경우에는 음영 지역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선택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빔들을 통하여 초기동기를 획득하여 초기 수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선택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지연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초기동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신호들 각각에 대하여 미세 시간 동기 블록을 동작시켜 상기 지연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선택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빔의 정보 및 신호 세기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선택 방법.
  15. 고정 빔 단말의 스위칭 형 빔 포머의 복수의 빔들을 통하여 수신된 복수의 신호들을 통하여 초기동기를 획득하여 초기 수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복수의 신호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신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신호에 대하여 상기 획득된 초기 동기에 기초하여 지연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지연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신호 내부의 가시선 성분 존재 여부에 따라 임계 값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임계 값과 상기 측정된 신호 세기를 비교하여 빔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선택 방법.
  16. 복수의 빔들을 통하여 수신된 복수의 신호들 각각에 대하여 미세 시간 동기 블록을 동작시켜, 상기 복수의 신호들의 지연시간을 각각 측정하는 지연시간 측정부;
    상기 복수의 신호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측정된 지연시간에 기초하여 선택된 임계 값과 신호 세기를 비교하여 빔을 선택하는 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빔에 따라 상기 복수의 빔들을 동작시키는 스위칭형 빔 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빔 단말의 빔 선택 장치.
KR1020150044538A 2014-12-30 2015-03-30 빔 선택 장치 및 빔 선택 방법 KR102247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948,554 US9872277B2 (en) 2014-12-30 2015-11-23 Beam sel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beam in a fixed beam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94062 2014-12-30
KR1020140194062 2014-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746A KR20160081746A (ko) 2016-07-08
KR102247162B1 true KR102247162B1 (ko) 2021-05-03

Family

ID=56503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538A KR102247162B1 (ko) 2014-12-30 2015-03-30 빔 선택 장치 및 빔 선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1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1829A1 (ko) * 2017-05-28 2018-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자원과 사이드링크 자원을 공유하여 단말 간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112929893A (zh) * 2019-12-06 2021-06-08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接收波束切换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4947A (ja) * 2003-08-14 2005-03-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装置及び受信品質報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56207B (en) * 2003-11-24 2006-06-01 Interdigital Tech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a directional beam antenna in a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KR20130028397A (ko) * 2011-09-09 2013-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및 시스템 정보 획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IN2014KN00830A (ko) * 2011-09-16 2015-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KR102049772B1 (ko) * 2013-01-15 2019-11-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빔포밍 시스템에서 신호 측정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4947A (ja) * 2003-08-14 2005-03-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装置及び受信品質報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746A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2277B2 (en) Beam sel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beam in a fixed beam terminal
US9252893B2 (en) Methods for determining a beam-forming gain parameter, user equipment, base station, computer progra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CN109690963B (zh) 无线电通信设备的波束方向选择
KR102079590B1 (ko) 빔포밍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정보 측정 및 피드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187855B1 (ko) 빔포밍 시스템에서 셀 측정 방법 및 장치
US20160044551A1 (en) Methods and Network Nodes for Enabling Accurate Measurements
US10681674B2 (en) Beam training for a radio transceiver device
CN110100395B (zh) 一种信号传输方法和网络设备以及终端设备
CN104052700A (zh) 一种lte系统抗干扰方法和装置
US11012138B2 (en) Initiation of a beam sweep procedure
CN107872284B (zh) 无线直放站的自激检测方法及装置
CN112585881A (zh) 通信设备中的多波束接收
EP3878200B1 (en) Measurement adaptation based on channel hardening
KR102247162B1 (ko) 빔 선택 장치 및 빔 선택 방법
US10211905B2 (en) Selecting antenna combination
EP3017623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switching communications from a first channel to a second channel of higher-frequency
CN108781104B (zh) 适于辐射不同类型的天线波束的无线通信节点
US10505619B2 (en) Selecting beams based on channel measurements
EP3516783B1 (en) Beam finding procedure
CN110313136B (zh) 一种模拟波束切换方法及装置
US10848190B2 (en) Receiving device and method performed therein for handling signa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13965995A (zh) 部分带宽选择方法、系统和基站
CN112399462A (zh) 一种通信设备及无线通信方法
WO2020101756A3 (en) Method and apparatus of antenna array group selection and antenna array selection for device communications
US20220070688A1 (en) Adaptation of a beam sweep in a communications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