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740B1 - 관심지점 리스트에 대한 구독과 리뷰 정보에 기초하여 보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관심지점 리스트에 대한 구독과 리뷰 정보에 기초하여 보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5740B1
KR102235740B1 KR1020200051718A KR20200051718A KR102235740B1 KR 102235740 B1 KR102235740 B1 KR 102235740B1 KR 1020200051718 A KR1020200051718 A KR 1020200051718A KR 20200051718 A KR20200051718 A KR 20200051718A KR 102235740 B1 KR102235740 B1 KR 102235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terest
point
user
receip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1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7504A (ko
Inventor
이건수
구동현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1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740B1/ko
Publication of KR20200047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7504A/ko
Priority to KR1020210032393A priority patent/KR1023382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관심지점 리스트에 대한 구독과 리뷰 정보에 기초하여 보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보상 제공 방법은, 영수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방문이 증명된 적어도 하나의 관심지점을 포함하는 관심지점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및 다른 사용자에 의한 상기 관심지점 리스트의 구독과 영수증을 이용한 방문 증명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대상으로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관심지점 리스트에 대한 구독과 리뷰 정보에 기초하여 보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WARD BASED ON FOLLOW AND REVIEW INFORMATION FOR LIST OF POINT OF INTEREST}
아래의 설명은 관심지점에 대한 리뷰를 바탕으로 보상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식이나 요리 관련 정보에 대해 대중의 관심도가 크게 증가하는 사회적 추세로 인해 과거에는 일부 미식가들 사이에서 입소문으로 전해지던 일부 숨은 맛집에 대한 정보를 일반인들도 TV, 잡지 등 각종 매체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통해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맛집 정보는 인터넷을 통해 지역별, 메뉴별, 가격별 등으로 자연스럽게 데이터가 구축되어 검색 사이트를 통한 검색만으로도 간편하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예컨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3038호(공개일 2013년 10월 15일)에는 고객의 단말기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 범위 내의 상점 정보를 추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맛집 정보에는 해당 음식점의 주요 메뉴, 음식 사진, 가격, 맛 등에 대한 정보는 물론, 음식점이 위치한 지역, 지도 등의 정보를 포함하며 인터넷 상에서는 주로 블로그 등을 통해 게시물의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영수증을 기반으로 방문 확인이 증명된 관심지점 리스트를 생산하여 발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관심지점 리스트를 구독하는 구독자의 방문에 따른 리뷰 정보에 기초하여 리스트 생산자에게 보상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컴퓨터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보상 제공 방법에 있어서, 영수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방문이 증명된 적어도 하나의 관심지점을 포함하는 관심지점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및 다른 사용자에 의한 상기 관심지점 리스트의 구독과 영수증을 이용한 방문 증명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대상으로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상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보상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관심지점 리스트에 대한 권리로서 저작권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관심지점 리스트에 대한 권리를 가진 사용자에게 상기 관심지점 리스트의 구독 또는 방문 증명에 따른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보상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영수증이 업로드되면 업로드된 영수증에서 상기 관심지점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관심지점의 방문을 증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보상 제공 방법은, 상기 업로드된 영수증에서 추출된 정보를 상기 관심지점에 대한 리뷰 정보로서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리뷰 정보가 저장된 관심지점의 리스트를 바탕으로 상기 관심지점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증명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영수증이 이미지 파일로 업로드되면 상기 이미지 파일로부터 단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정보를 상기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한 단말의 정보와 비교하여 본인 방문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증명하는 단계는, 영수증에서 추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지점의 위치 정보 및 방문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및 영수증을 업로드한 단말의 위치 기록에 상기 관심지점의 위치 정보 및 방문 시간과 대응되는 이력이 존재하면 본인 방문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관심지점의 관리자로부터 상기 관심지점 리스트에 대한 스폰서로서 제공받은 보상금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관심지점 리스트의 구독과 방문 증명에 따른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보상 제공 방법은, 상기 관심지점 리스트와 관련된 알림과 리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관심지점의 어드민 페이지 또는 상기 관리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상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영수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방문이 증명된 적어도 하나의 관심지점을 포함하는 관심지점 리스트를 추천하고, 다른 사용자에 의한 상기 관심지점 리스트의 구독과 영수증을 이용한 방문 증명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대상으로 보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영수증을 기반으로 방문 확인이 증명된 관심지점 리스트를 생산하여 발행하고 관심지점 리스트를 구독하는 구독자의 방문에 따른 리뷰 정보에 기초하여 리스트 생산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모델을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관심지점에 대해 더욱 유용한 서비스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관심지점 리스트를 생산하는 과정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관심지점 리스트에 대한 구독과 리뷰 정보에 기초하여 리스트 생산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과정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리스트 생산자에게 스폰서가 제공하는 보상금을 제공하는 과정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본인 방문을 확인하는 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본인 방문을 확인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관심지점에 대한 리뷰를 바탕으로 보상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심지점 리스트에 대한 구독과 리뷰 정보에 기초하여 보상을 제공하는 모델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개시되는 것들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은 영수증을 기반으로 방문 확인이 증명된 관심지점 리스트를 생산 및 발행하고 이러한 관심지점 리스트를 구독하는 구독자의 방문에 따른 리뷰 정보에 기초하여 리스트 생산자에게 보상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유용성, 효율성, 서비스 확대, 서비스 품질 개선 등의 측면에 있어서 상당한 장점들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등이 있다. 일례로 도 1에서는 전자 기기(110)의 예로 스마트폰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110)는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시스템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제1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으며, 서버(160) 역시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제2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서버(150)는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목적하는 서비스(일례로, 장소 추천 서비스 등)를 제1 서비스로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160)는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구동을 위한 파일을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배포하는 서비스를 제2 서비스로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전자 기기에 대한 예로서 전자 기기(110), 그리고 서버(15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이나 서버(160) 역시 상술한 전자 기기(110) 또는 서버(150)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전자 기기(110)와 서버(150)는 메모리(211, 221), 프로세서(212, 222), 통신 모듈(213, 22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1, 221)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 SSD,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는 메모리(211, 221)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전자 기기(110)나 서버(15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1, 221)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전자 기기(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특정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전자 기기(1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1, 2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13, 223)을 통해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160))이 네트워크(17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 2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1, 221) 또는 통신 모듈(213, 223)에 의해 프로세서(212, 22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222)는 메모리(211, 2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3, 223)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전자 기기(110)와 서버(15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전자 기기(110) 및/또는 서버(150)가 다른 전자 기기(일례로 전자 기기(120)) 또는 다른 서버(일례로 서버(160))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110)의 프로세서(212)가 메모리(2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 통신 모듈(2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버(15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150)의 프로세서(22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223)과 네트워크(170)를 거쳐 전자 기기(110)의 통신 모듈(213)을 통해 전자 기기(11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13)을 통해 수신된 서버(150)의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은 프로세서(212)나 메모리(211)로 전달될 수 있고, 컨텐츠나 파일 등은 전자 기기(11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입출력 장치(215)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카메라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haptic feedback device)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215)는 전자 기기(110)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서버(15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4)는 서버(150)와 연결되거나 서버(150)가 포함할 수 있는 입력 또는 출력을 위한 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110)의 프로세서(212)가 메모리(21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150)나 전자 기기(12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컨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110) 및 서버(15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10)는 상술한 입출력 장치(21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110)가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모듈,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전자 기기(11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관심지점 리스트에 대한 구독과 리뷰 정보에 기초하여 보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관심지점은 지도 상의 주요 시설물을 포괄하여 의미할 수 있고, 특히 맛집이나 인기 장소 등 장소 기반의 추천 대상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소 추천 서비스 플랫폼에서 관심지점에 대한 영수증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방문을 증명하고 방문이 증명된 사용자의 리뷰에 대해 보상을 제공하는 모델을 구축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버(150)는 장소 추천 서비스에서의 보상 모델을 구현함으로써 관심지점에 대한 사용자 리뷰에 대해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서버(150)는 클라이언트(client)인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을 대상으로 장소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역할을 한다. 서버(150)는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상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관심지점에 대한 장소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장소 추천 서비스 플랫폼은 관심지점 등록, 관심지점 제공(추천, 노출, 광고 등), 관심지점에 대한 타겟팅 요소 간의 매칭, 관심지점의 정렬, 관심지점 제공에 따른 과금, 관심지점 리뷰에 대한 수익 분배 등을 수행하는 서버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서버(150)의 프로세서(222)는 도 4에 따른 보상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문 증명부(310), 정보 수집부(320), 장소 추천부(330), 및 보상 제공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선택적으로 프로세서(222)에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프로세서(222)의 기능의 표현을 위해 분리 또는 병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22) 및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도 4의 보상 제공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S410 내지 S440)을 수행하도록 서버(1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2) 및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21)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서버(15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222)에 의해 수행되는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가 관심지점에 대한 사용자의 방문을 증명하도록 상술한 명령에 따라 서버(150)를 제어하는 프로세서(222)의 기능적 표현으로서 이용자 방문 증명부(310)가 이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222)는 서버(150)의 제어와 관련된 명령이 로딩된 메모리(221)로부터 필요한 명령을 읽어들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읽어들인 명령은 프로세서(222)가 이후 설명될 단계들(S410 내지 S440)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410)에서 방문 증명부(310)는 관심지점에 대한 영수증을 판독하여 사용자의 방문을 증명할 수 있다. 사용자는 관심지점에서 발급받은 영수증을 카메라 촬영 등을 통해 서비스 플랫폼에 제출, 즉 업로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미리 촬영된 영수증 이미지 혹은 촬영을 통해 실시간으로 획득한 영수증 이미지를 서버(150)에 업로드할 수 있다. 이에, 방문 증명부(310)는 업로드된 영수증을 판독하여 판독 결과로부터 특정된 관심지점에 대해 사용자의 방문을 확인함으로써 관심지점에 대한 사용자 방문 확인을 증명할 수 있다. 일례로, 방문 증명부(310)는 문자 판독 기능(예컨대, OCR(optical character reader) 등)을 제공할 수 있고, 문자 판독 기능을 통해 업로드된 영수증에서 관심지점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관심지점의 사용자 방문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방문 증명부(310)는 영수증을 기반으로 한 방문 증명에 있어 사용자 본인이 방문했음을 확인하여 본인 방문에 한하여 유효한 방문으로 인정할 수 있다. 본인 방문임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후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S420)에서 정보 수집부(320)는 영수증에서 추출된 정보를 사용자가 방문한 관심지점에 대한 리뷰 정보로서 수집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320)는 관심지점에 대한 리뷰 정보를 해당 영수증 이미지와 이를 업로드한 사용자 정보와 매칭하여 플랫폼 상의 데이터베이스(database)에 저장 및 유지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320)는 사용자가 제출한 영수증으로부터 관심지점 정보, 방문 정보, 메뉴 정보 등을 포함한 리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리뷰 정보는 영수증에서 추출된 정보는 물론이고, 영수증에서 추출된 정보와 관련된 인터넷 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심지점이 식당인 경우 관심지점 정보는 식당 이름(상호), 전화번호, 주소, 업종 등의 기본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방문 정보는 사용자가 식당을 방문한 일시, 방문한 총 인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메뉴 정보는 사용자가 주문한 개별 메뉴 별 수량과 가격 정보, 지불 총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320)는 영수증으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관심지점이 플랫폼 상에 등록된 장소인지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등록 여부와 보상 수준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버(150)는 플랫폼에 사전 등록한 관심지점의 업종, 주소, 전화번호, 메뉴, 메뉴 별 가격 등을 플랫폼 상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유지할 수 있고, 영수증으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상의 기존 정보를 갱신하거나 새로운 정보를 등록할 수 있고 리뷰 집계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는 관심지점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위치의 업종이나 전화번호 변경 여부 등을 얻어 데이터베이스 상의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50)는 영수증으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누적하여 관심지점과 관련된 기록(예컨대, 방문자 수, 총 매출 현황, 메뉴 별 매출 순위 등)을 집계할 수 있다. 또한, 서버(150)는 영수증으로부터 수집한 관심지점 정보가 데이터베이스 상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관심지점을 신규 관심지점으로 등록할 수 있다. 플랫폼 상의 데이터베이스 상에 관심지점 별로 메뉴 리스트를 유지하게 되는데, 마찬가지로 영수증으로부터 수집한 메뉴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신규 메뉴로 등록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서버(150)는 서비스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관심지점 각각에 대한 평가 정보(예컨대, 평점, 코멘트, 사진 등)를 수집할 수 있고, 이때 영수증을 통해 방문 확인이 증명된 사용자의 평가 정보는 가중치를 적용하여 플랫폼에 반영할 수 있다. 서버(150)는 관심지점에 대한 평가 정보를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제공하게 되는데, 이때 영수증을 통해 방문 확인이 증명된 사용자의 평가 정보의 경우 다른 평가 정보와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단계(S430)에서 장소 추천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관심지점을 포함하는 관심지점 리스트를 생산하여 추천할 수 있다. 장소 추천부(33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가 방문한 관심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관심지점을 포함하는 관심지점 리스트를 발행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발행된 관심지점 리스트를 서비스 이용자들이 구독 가능한 컨텐츠 형태로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장소 추천부(330)는 관심지점과 관련된 기록을 바탕으로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특정 목적이나 테마 등의 관심지점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심지점의 방문이 증명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예컨대, 나이, 성별, 거주지, 관심사 등)를 추천을 위한 기준 데이터로 활용하고, 이를 통해 플랫폼에서 '데이트 장소', '가족모임 장소' 등 다양한 목적의 관심지점을 추천할 수 있다. 그리고, 장소 추천부(330)는 관심지점의 개별 메뉴 별 기록, 예컨대 메뉴 별 매출 순위 등을 바탕으로 해당 관심지점에서의 '인기 메뉴'를 추천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단계(S440)에서 보상 제공부(340)는 관심지점 리스트에 대한 구독과 리뷰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관심지점 리스트를 생산한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보상 제공부(340)는 사용자가 방문한 관심지점으로 이루어진 관심지점 리스트에 대해 해당 작성자에게 저작권을 부여할 수 있고, 관심지점 리스트에 대해 다른 사용자의 구독 여부, 구독자 수, 구독자의 관심지점 방문에 따른 리뷰 등을 고려하여 해당 관심지점 리스트에 대한 저작권을 가진 사용자에게 플랫폼에서 얻는 수익 일부를 일정 기간 동안 분배할 수 있다. 관심지점 리스트에 대한 구독과 리뷰 정보에 기초하여 보상을 제공하는 구체적인 방법과 과정에 대해서는 이후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보상 제공부(340)는 플랫폼 상에 등록되지 않은 관심지점에 대해 영수증을 기반으로 한 리뷰 정보를 최초로 등록한 사용자에게 플랫폼에서 얻는 일정 부분에 대한 수익 일부를 일정 기간 동안 분배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수익 분배 비율이나 수익 분배 기간은 사용자가 플랫폼에 기여하는 정도에 따라 정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저작권을 가진 관심지점 리스트가 많은 사용자일수록 혹은 관심지점 리스트의 구독자가 많은 사용자일수록 많은 수익이 분배될 수 있다.
도 5는 관심지점 리스트를 생산하는 과정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_A(510)는 자신이 방문한 관심지점 POI_1의 영수증을 카메라 촬영 등을 통한 이미지 파일 형태로 장소 추천 서비스 플랫폼(550)에 업로드할 수 있다. 영수증 업로드를 통해 관심지점 POI_1에 대한 사용자_A(510)의 방문을 증명할 수 있다.
장소 추천 서비스 플랫폼(550)에서는 사용자_A(510)가 업로드한 관심지점 POI_1의 영수증을 판독하여 판독 결과로부터 관심지점 정보, 방문 정보, 메뉴 정보를 포함한 리뷰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장소 추천 서비스 플랫폼(550)은 사용자_A(510)의 방문이 증명된 관심지점 POI_1에 대한 리뷰 정보를 사용자_A(510)의 식별 정보 및 영수증 이미지 파일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장소 추천 서비스 플랫폼(550)은 서비스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관심지점 POI_1을 추천함에 있어 사용자_A(510)가 업로드한 영수증에서 얻은 리뷰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장소 추천 서비스 플랫폼(550)은 관심지점 POI_1에 대해 영수증 업로드를 통해 리뷰 정보를 등록한 사용자_A(510)에게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장소 추천 서비스 플랫폼(550)은 관심지점 POI_1이 플랫폼 상에 존재하지 않은 관심지점인 경우 최초로 리뷰 정보를 등록한 사용자_A(510)에게 플랫폼 수익의 일부를 분배할 수 있다.
장소 추천 서비스 플랫폼(550)은 사용자_A(510)의 요청에 따라 영수증으로 방문이 증명된 적어도 하나의 관심지점을 관심지점 리스트(501)로 생산하여 구독 가능한 리스트로 발행할 수 있다. 관심지점 리스트(501)는 사용자_A(510)에 의해 직접 선택되거나 혹은 소정 기준(위치, 업종, 최근 리뷰 순 등)에 따라 분류된 관심지점(예를 들어, POI_1~POI_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소 추천 서비스 플랫폼(550)은 관심지점 리스트(501)를 발행한 사용자_A(510)에게 관심지점 리스트(501)에 대한 권리인 저작권을 부여할 수 있다. 관심지점 리스트(501)에 대한 권리 인정 기간은 사전에 정해진 일정 기간(예컨대, 1년)으로 설정되며 해당 기간 동안 사용자_A(510)에게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장소 추천 서비스 플랫폼(550)은 서비스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관심지점 리스트(501)를 추천할 수 있으며, 서비스 이용자들은 관심지점 리스트(501)를 구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_A(510)가 자신이 방문한 관심지점의 영수증을 촬영하여 장소 추천 서비스 플랫폼(550)에 업로드하면 장소 추천 서비스 플랫폼(550)은 영수증에서 추출된 정보를 사용자_A(510)가 방문한 관심지점의 리뷰 정보로서 자동 저장하고 리뷰 정보가 저장된 관심지점의 리스트를 바탕으로 외부에 공개하는 관심지점 리스트(501)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관심지점 리스트에 대한 구독과 리뷰 정보에 기초하여 리스트 생산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과정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_B(620)는 사용자_A(510)가 장소 추천 서비스 플랫폼(550) 상에 생산한 관심지점 리스트(501)를 구독할 수 있다.
사용자_B(620)가 사용자_A(510)가 발행한 관심지점 리스트(501)에 포함된 관심지점, 예를 들어 POI_2의 영수증을 장소 추천 서비스 플랫폼(550)에 업로드함으로써 관심지점 POI_2에 대한 사용자_B(620)의 방문을 증명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장소 추천 서비스 플랫폼(550)은 사용자_B(620)가 업로드한 관심지점 POI_2의 영수증을 판독하여 판독 결과로부터 관심지점 정보, 방문 정보, 메뉴 정보를 포함한 리뷰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장소 추천 서비스 플랫폼(550)은 서비스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관심지점 POI_2를 추천함에 있어 사용자_B(620)가 업로드한 영수증에서 얻은 리뷰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사용자_A(510)에 의해 생산된 관심지점 리스트(501)에 대해 사용자_B(620)가 영수증 업로드를 통해 방문했음을 증명하면 해당 리스트(501)에 대해 사용자_A(510)의 권리가 인정되는 기간 동안 장소 추천 서비스 플랫폼(550)에서 발생하는 수익의 일정 부분을 사용자_A(510)에게 배분함으로써 관심지점 리스트(501)에 대한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_A(510)에 의해 생산된 관심지점 리스트(501)에 대해 영수증 업로드를 통해 방문이 증명된 사용자_B(620) 또한 관심지점 POI_2의 방문 리뷰에 대한 보상으로서 수익 분배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_B(620)는 사용자_A(510)가 발행한 관심지점 리스트(501)를 구독할 수 있고 자신이 구독 중인 리스트(501)에 포함된 관심지점에 대해 영수증 업로드를 통한 방문 리뷰를 남길 수 있다. 이에, 장소 추천 서비스 플랫폼(550)은 사용자_B(620)가 구독하는 관심지점 리스트(501)의 생산자인 사용자_A(510)에게 사용자_B(620)의 구독과 방문 리뷰에 따른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관심지점 리스트에 대해 구독과 방문 리뷰가 결합된 보상 모델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독에 대한 보상과 방문 리뷰에 대한 보상을 구분하여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장소 추천 서비스 플랫폼(550)은 수익 배분의 일례로 관심지점에 대한 광고 등으로 발생하는 플랫폼의 수익을 배분할 수 있으며, 다른 예로는 리스트 생산자에게 주어지는 보상에 대해 관심지점의 관리자(예컨대, 업주)가 스폰서로서 일정 금액의 보상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리스트 생산자에게 스폰서가 제공하는 보상금을 제공하는 과정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장소 추천 서비스 플랫폼(550)은 사용자_A(510)에 의해 생산된 관심지점 리스트(501)에 대해 해당 리스트(501)에 포함된 관심지점의 업주를 대상으로 리스트의 생성, 구독, 방문 리뷰 등에 대해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심지점 POI_2가 포함된 관심지점 리스트(501)가 생산되거나 관심지점 POI_2가 포함된 관심지점 리스트(501)의 구독자가 추가되거나 관심지점 POI_2가 포함된 관심지점 리스트(501)를 구독하는 사용자_B(620)가 관심지점 POI_2를 방문하면 관심지점 POI_2의 어드민(admin) 페이지나 관심지점 POI_2의 업주 단말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관심지점 POI_2의 업주는 관심지점 리스트(501)에 대한 스폰서가 되어 관심지점 리스트(501)의 생산자인 사용자_A(510)에게 제공되는 보상금을 직접 제안할 수 있고, 장소 추천 서비스 플랫폼(550)은 사용자_A(510)를 대상으로 관심지점 리스트(501)에 대해 관심지점 POI_2의 업주가 제안한 보상금을 표시하고 해당 리스트 생산자인 사용자_A(510)에게 해당 금액을 보상할 수 있다.
장소 추천 서비스 플랫폼(550)은 관심지점에 대해 리스트 생성, 구독, 방문 리뷰 등이 발생하면 해당 관심지점의 업주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영수증을 통한 리뷰 정보를 바탕으로 관심지점을 방문한 사용자의 연령 분포, 성별 분포, 평균 지불 금액 등을 포함하는 리포트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관심지점의 업주는 장소 추천 서비스 플랫폼(550) 상의 관심지점 리스트를 특정하여 보상금을 지원하는 등 타겟팅된 마케팅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본인 방문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본인 방문을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한 단계(S410)에 포함되어 방문 증명부(3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8은 사용자 본인 방문을 확인하는 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S801)에서 방문 증명부(310)는 사용자 단말, 예를 들어 전자 기기(110)로부터 영수증 이미지 파일이 업로드되면 영수증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정보로부터 단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EXIF 정보는 카메라에 사용되는 영상 파일 포맷으로, 카메라 모델명, 촬영 노출 정도 등의 기본적인 정보와 함께, 경위도 좌표, 표고, 촬영 방위각 등 위치 및 공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802)에서 방문 증명부(310)는 영수증 이미지 파일로부터 획득한 단말 정보와 영수증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하는 실제 전자 기기(110)의 단말 정보를 비교하여 두 단말 정보의 일치 여부에 따라 본인 방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방문 증명부(310)는 영수증 이미지 파일의 업로드 시점에 영수증을 촬영한 단말 정보와 영수증을 실제로 업로드하는 단말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경우 업로드된 영수증이 사용자 본인의 촬영에 의한 영수증인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 본인 방문임을 인정할 수 있다.
도 9는 사용자 본인 방문을 확인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S901)에서 방문 증명부(310)는 전자 기기(110)로부터 영수증 이미지 파일이 업로드되면 영수증 이미지 파일로부터 해당 이미지 촬영 시점의 위치 정보, 즉 영수증 촬영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일례로, 방문 증명부(310)는 영수증 이미지 파일에 태깅된 위치 정보 혹은 영수증 이미지 파일의 EXIF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S902)에서 방문 증명부(310)는 업로드된 영수증 이미지 파일을 문자 판독 기능을 통해 판독함으로써 영수증에서 관심지점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영수증에서 추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관심지점의 위치 정보와 방문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방문 증명부(310)는 영수증 판독 결과로부터 관심지점의 주소와 방문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단계(S903)에서 방문 증명부(310)는 영수증 촬영 위치가 영수증에서 추출된 관심지점의 주소 부근일 때 전자 기기(110)로부터 수집된 위치 기록을 이용하여 관심지점의 방문 시간의 일정 시간 전후로 전자 기기(110)의 위치 정보가 관심지점의 위치 정보의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한 이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방문 증명부(310)는 전자 기기(110)의 위치 기록에 영수증 정보와 대응되는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본인 방문에 의한 영수증임을 증명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방문 증명부(310)는 영수증에 표시된 시간의 전후 일정 시간(예컨대, 1시간) 이내에 사용자가 영수증에 표시된 POI 장소 근처에 위치했던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가 실제 방문한 관심지점으로 판단함으로써 사용자 본인 방문임을 인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영수증을 기반으로 한 방문 증명에 있어 사용자 본인이 방문했음을 확인하여 본인 방문에 한하여 유효한 방문으로 인정함으로써 영수증을 이용한 방문 증명의 어뷰징(abusing)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서버(150)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영수증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가 업로드하는 다른 사진에 관련 관심지점 정보를 자동으로 태깅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영수증을 업로드한 기록은 플랫폼 상에 저장 및 유지되고 업로드된 영수증에 대해 사용자 본인 방문임이 확인된 것으로 가정한다. 서버(150)는 사용자가 장소 추천 서비스와 동일 도메인 내, 혹은 장소 추천 서비스와 연동 가능한 관련 서비스(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등)를 통해 타 사진을 업로드할 때 해당 사진에 동일 사용자가 기존에 업로드한 영수증의 관심지점 정보를 자동 태깅할 수 있다. 일례로, 서버(150)는 영수증이 촬영된 단말 정보와 타 사진이 촬영된 단말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혹은 (플랫폼 상의 딥러닝 혹은 기존 정보를 활용하여 영수증을 업로드한 사용자 정보를 알고 있다고 가정할 때) 타 사진에 영수증을 업로드한 사용자 본인이 포함된 경우, 타 사진의 EXIF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와 기존에 업로드된 영수증의 관심지점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사진에 맵핑된 관심지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영수증 정보를 이용하여 타 사진에 자동으로 맵핑된 관심지점 정보는 사진 검색에서 활용 가능하며, 검색 시 사진들에 대해 해당 관심지점의 검색 결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장소 추천 서비스 또는 장소 추천 서비스와 연동 가능한 다른 서비스를 통해 사진을 업로드할 때 동일 사용자가 기존에 업로드한 영수증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진에 관심지점 정보를 자동 태깅할 수 있고 이를 사진 검색 시 활용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영수증을 기반으로 방문 확인이 증명된 관심지점 리스트를 생산하여 발행하고 관심지점 리스트를 구독하는 구독자의 방문에 따른 리뷰 정보에 기초하여 리스트 생산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모델을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관심지점에 대해 더욱 유용한 서비스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8)

  1. 컴퓨터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관심지점에 대한 리뷰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수증의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이미지로부터 문자 판독 기능을 통해, 상기 영수증과 연관된 관심지점에 대한 관심지점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관심지점에 대한 방문 정보 및 상기 관심지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메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수증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영수증 정보에 기반하여, 관심지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관심지점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방문을 증명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방문이 증명된 상기 관심지점과 연관하여 상기 방문 정보 및 상기 메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리뷰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증명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기록에, 상기 문자 판독 기능을 통해 추출된 상기 영수증 정보에 포함된 상기 관심지점의 제2 위치 정보로부터 소정의 반경 이내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기록에 상기 제2 위치 정보로부터 소정의 반경 이내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관심지점에 대해 상기 사용자가 방문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리뷰 정보 관리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명하는 단계는,
    상기 관심지점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영수증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관심지점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관심지점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방문을 증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리뷰 정보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영수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관심지점과 관련된 기록을 집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리뷰 정보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관심지점에서 주문한 메뉴, 상기 주문한 메뉴의 수량, 상기 주문한 메뉴의 가격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관심지점에서 지불한 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리뷰 정보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지점 정보는 상기 관심지점의 이름, 전화번호, 주소 및 업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리뷰 정보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관심지점을 방문한 방문 시간 정보 및 상기 관심지점을 방문한 인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리뷰 정보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영수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관심 지점을 포함하는 관심지점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관심지점 리스트를, 다른 사용자에게, 상기 다른 사용자들이 구독 가능한 형태의 컨텐츠로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리뷰 정보 관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명하는 단계는,
    상기 관심지점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영수증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관심지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관심지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관심지점을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된 관심지점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방문을 증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리뷰 정보 관리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수증 정보는 상기 메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관심지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관심 지점에 대응하는 정보로서 상기 메뉴 정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가 상기 관심지점에서 주문한 메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관심지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관심 지점에 대응하는 정보로서 상기 메뉴를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리뷰 정보 관리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영수증에 의해 상기 관심지점에 대한 방문이 증명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관심지점에 대한 평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평가 정보에 대해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뷰 정보는 상기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리뷰 정보 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뷰 정보가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됨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평가 정보는 상기 관심지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관심지점과 연관된 리뷰 정보에 포함된 가중치가 부여되지 않은 평가 정보와는 구분하여 표시되고,
    상기 가중치가 부여되지 않은 평가 정보는 영수증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심지점에 대한 방문이 증명되지 않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것인, 리뷰 정보 관리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명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의 이미지 파일로부터 상기 이미지를 생성한 단말의 제1 단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2 단말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관심지점에 대해 상기 사용자가 방문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리뷰 정보 관리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명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의 이미지 파일로부터 상기 이미지를 생성한 시점의 제1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 정보와 상기 제2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위치 정보가 상기 제2 위치 정보 부근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기록에 상기 제2 위치 정보로부터 소정의 반경 이내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리뷰 정보 관리 방법.
  15. 삭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영수증 정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가 상기 관심지점을 방문한 방문 시간의 전 또는 후의 소정의 시간 범위 내의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기록에 상기 소정의 반경 이내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리뷰 정보 관리 방법.
  17. 제1항의 리뷰 정보 관리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8.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수증의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로부터, 상기 영수증과 연관된 관심지점에 대한 관심지점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관심지점에 대한 방문 정보 및 상기 관심지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메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수증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영수증 정보에 기반하여, 관심지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관심지점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방문을 증명하고,
    방문이 증명된 상기 관심지점과 연관하여 상기 방문 정보 및 상기 메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리뷰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기록에, 문자 판독 기능을 통해 추출된 상기 영수증 정보에 포함된 상기 관심지점의 제2 위치 정보로부터 소정의 반경 이내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기록에 상기 제2 위치 정보로부터 소정의 반경 이내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관심지점에 대해 상기 사용자가 방문한 것으로 결정하는, 컴퓨터 시스템.
KR1020200051718A 2020-04-28 2020-04-28 관심지점 리스트에 대한 구독과 리뷰 정보에 기초하여 보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235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718A KR102235740B1 (ko) 2020-04-28 2020-04-28 관심지점 리스트에 대한 구독과 리뷰 정보에 기초하여 보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0210032393A KR102338213B1 (ko) 2020-04-28 2021-03-12 관심지점 리스트에 대한 구독과 리뷰 정보에 기초하여 보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718A KR102235740B1 (ko) 2020-04-28 2020-04-28 관심지점 리스트에 대한 구독과 리뷰 정보에 기초하여 보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193A Division KR102197392B1 (ko) 2018-08-17 2018-08-17 관심지점 리스트에 대한 구독과 리뷰 정보에 기초하여 보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393A Division KR102338213B1 (ko) 2020-04-28 2021-03-12 관심지점 리스트에 대한 구독과 리뷰 정보에 기초하여 보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504A KR20200047504A (ko) 2020-05-07
KR102235740B1 true KR102235740B1 (ko) 2021-04-02

Family

ID=70734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1718A KR102235740B1 (ko) 2020-04-28 2020-04-28 관심지점 리스트에 대한 구독과 리뷰 정보에 기초하여 보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57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829B1 (ko) * 2020-12-23 2021-12-09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이용한 여행 도슨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662991B1 (ko) * 2024-02-01 2024-05-03 주식회사 그위피파트너스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맞춤형 술집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0294A (ko) * 2008-12-29 2010-07-08 조근우 사업장에 대한 평가시스템 및 방법
KR20130033500A (ko) * 2011-09-06 2013-04-04 전동기 상점 코드를 이용한 고객 재방문 유도를 위한 혜택 제공 방법
KR20170001864A (ko) * 2015-06-26 2017-01-05 주식회사 씽크풀 디지털 이미지의 유효성 검증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504A (ko)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71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social networking interactions using online consumer browsing behavior, buying patterns, advertisements and affiliate advertising, for promotions, online coupons, mobile services, products, goods and services, entertainment and auctions, with geospatial mapping technology
US101025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utilizing predicting, and implementing online consumer browsing behavior, buying patterns, social networking communications, advertisements and communications, for online coupons, products, goods and services, auctions, and service providers using geospatial mapping technology, and social networking
TWI439954B (zh) 有條件奬勵的呈現、追蹤與兌現
JP7284302B2 (ja) 関心地点リストの購読とレビュー情報とに基づいて報酬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2365967B1 (ko) 위치 데이터가 포함된 컨텐츠를 이용한 추천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4528138A (ja) ビジネス向け紹介プログラム
KR101981136B1 (ko) 추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235740B1 (ko) 관심지점 리스트에 대한 구독과 리뷰 정보에 기초하여 보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017598B1 (ko) 소셜 네트워크에서의 인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240154801A1 (en) System for Certificating and Synchronizing Virtual World and Physical World
KR102118462B1 (ko) 관심지점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필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091538B1 (ko) 수익을 창출하는 채색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095068A (ko) 부동산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27830B1 (ko) 관심지점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필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105231B1 (ko)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102338213B1 (ko) 관심지점 리스트에 대한 구독과 리뷰 정보에 기초하여 보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089374B1 (ko) 온라인 광고 중개 시스템 및 온라인 광고 중개 방법
KR102188592B1 (ko) 스팟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277673B1 (ko) 검색 기반의 수집 지원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06122A (ko)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행사장 별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관심사를 분석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JP2009211422A (ja) 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
KR20230005068A (ko) 팬덤 활동에 대한 보상 방법 및 장치
KR20230012804A (ko) 결제 정보 공유 및 정산을 위한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90114243A (ko) 식별 데이터 초기화를 이용하는 사용자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44451A (ko) 사용자의 검색 히스토리를 이용하여 검색광고를 추가 노출 및 과금하는 검색 히스토리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