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118B1 - Dust cover film and head-up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ust cover film and head-up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118B1
KR102205118B1 KR1020190104964A KR20190104964A KR102205118B1 KR 102205118 B1 KR102205118 B1 KR 102205118B1 KR 1020190104964 A KR1020190104964 A KR 1020190104964A KR 20190104964 A KR20190104964 A KR 20190104964A KR 102205118 B1 KR102205118 B1 KR 102205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dust cover
reflective polarizing
adhesive layer
polariz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49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혜룡
조장희
박종원
김영원
민지홍
노재헌
유종원
이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엠에스
Priority to KR1020190104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118B1/en
Priority to PCT/KR2020/010934 priority patent/WO202104030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1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dust cover film included in a head-up display device. The dust cover film includes: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of which a first contraction rate of one surface is higher than a second contraction rate of the other surface; a first uniaxial oriented polyester (PET) film bonded to the one surfac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by a first bonding layer; and a second uniaxial oriented PET film bond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by a second bonding layer. The first bonding layer can be formed to have a contraction rate smaller than the first contraction rate, and the second bonding layer can be formed to have a contraction rate larger than the second contraction rate. Therefore, the dust cover film can well withstand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Description

더스트 커버필름 및 이를 구비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DUST COVER FILM AND HEAD-UP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Dust cover film and head-up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DUST COVER FILM AND HEAD-UP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더스트 커버필름 및 이를 구비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변형 없이 출력되는 영상의 투과가 우수한 더스트 커버필름 및 이를 구비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ver film and a head-up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foreign matters from penetrating into the head-up display device, and excellent transmission of an output image without deformation of the head-up display device. It relates to a dust cover film and a head-up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 장치는 자동차, 비행기 등 운송수단의 투명한 앞 유리창의 안쪽에 영상을 표시한다.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한 상태에서 다양한 정보를 읽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예를 들어,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차량의 속도, 엔진 상태, 운행 도움말, 운행경로, 경고 메시지 등 핵심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 head-up display device displays an image on the inside of a transparent windshield of a vehicle such as a vehicle or airplane. The head-up display device helps the driver to read a variety of information while looking ahead. For example, the vehicle head-up display may display key information such as vehicle speed, engine status, driving help, driving route, and warning messages.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로 고급 차량에 탑재되는 전자부품이었는데, 최근에는 일반 양산 차량에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또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독립 시스템으로 발전되어 왔지만, 최근 음성 인식, 동작 인식 기술이 결합되어 교육/오락 기능을 탑재되기도 한다.Head-up display devices were mainly electronic components mounted on high-end vehicles, but recently they are widely applied to general mass-produced vehicles. In addition, although the head-up display device has been developed as an independent system, recently, voice recognition and motion recognition technologies are combined to provide an education/entertainment function.

예를 들어,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장치는 운전석 전방의 계기판 내측에 설치되어 주행 정보 이미지를 표시하는 액정 패널과, 액정 패널을 조명하는 발광부 또는 백라이트 유닛, 액정 패널에 표시된 주행 정보 이미지를 적절한 크기로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초점을 조절해주는 광학계 및 광학계에 의해 조절된 주행 정보 이미지를 차량의 전면 유리창에 반사시켜 차량의 전면 유리창에 주행 정보 이미지가 표시되게 하는 반사거울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is installed inside an instrument panel in front of a driver's seat to display a driving information image, a light emitting unit or a backlight unit that illuminates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a driving information image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panel in an appropriate size. It may include an optical system that adjusts the focus by expanding or contracting, and a reflective mirror that reflects the driving information image adjusted by the optical system to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to display the driving information image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액정 패널, 발광부, 광학계, 반사거울 등은 박스 형상의 하우징에 내장되는데, 하우징에는 반사거울을 통해 반사되는 이미지 광이 차량의 전면 유리창 쪽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개구부가 형성된다. 개구부에는 더스트(dust)와 같은 이물질이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더스트 커버가 장착된다.A liquid crystal panel, a light-emitting unit, an optical system, a reflective mirror, and the like are built into a box-shaped housing. An opening of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in the housing so that image light reflected through the reflective mirror can be irradiated toward the front windshield of the vehicle. A dust cover is mounted at the opening to prevent foreign matter such as dust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housing.

운송수단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에 장시간 노출되는 운송수단의 특성상 장기간 성능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It is very difficult to maintain long-term performance of 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 vehicle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for a long tim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더스트 커버필름 및 이를 구비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열에 의해 유발되는 변형을 최소화하고, 열을 외부로 원활히 순환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잘 견디는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 dust cover film and a head-up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 deformation caused by heat and smoothly circulate heat to the outside. And, it is possible to secure durability that well withstands the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더스트 커버필름은 일 면의 제1 수축률이 타 면의 제2 수축률보다 높게 형성된 반사편광필름, 상기 반사편광필름의 상기 일 면에 제1 접착층에 의해 접합되는 제1 일축연신 PET(polyester) 필름 및 상기 반사편광필름의 상기 타 면에 제2 접착층에 의해 접합되는 제2 일축연신 PET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접착층은 상기 제1 수축률보다 작은 수축률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제2 수축률보다 큰 수축률로 형성될 수 있다.A dust cover fil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in which a first shrinkage rate of one surface is higher than a second shrinkage rate of the other surface, and a first adhesive layer bonded to the one surfac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It may include a uniaxially oriented PET (polyester) film and a second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bond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by a second adhesive layer. Here, the first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with a shrinkage rate smaller than the first shrinkage rate,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with a larger shrinkage rate than the second shrinkage rat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더스트 커버필름 및 이를 구비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광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ust cover film and a head-up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may minimize light loss of an image output from the head-up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더스트 커버필름 및 이를 구비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열에 의해 유발되는 변형을 최소화하고 열을 외부로 원활히 순환시킬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잘 견딜 수 있다.The dust cover film and the head-up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minimize deformation caused by heat, smoothly circulate heat to the outside, and can well withstand an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조 및 광경로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스트 커버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광편광필름의 제조과정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편광필름의 벤딩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더스트 커버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스트 커버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더스트 커버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더스트 커버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더스트 커버필름의 평면도이다.
1 illustrates a structure and an optical path of a head-up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ust cover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semi-optical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bending state of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ust cover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of a dust cover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of a dust cover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of a dust cover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of a dust cover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발명에 대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하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된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 및 이에 상응한 기능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Hereinafter, the operating principl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describing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used in the following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of the terms used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functions corresponding t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조 및 광경로를 도시한다.1 illustrates a structure and an optical path of a head-up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1)은 영상 출력부(10), 제1 반사경(20), 제2 반사경(30), 더스트 커버필름(40) 및 운송수단의 앞 유리부(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d-up display system 1 may include an image output unit 10, a first reflector 20, a second reflector 30, a dust cover film 40, and a windshield part 50 of a vehicle. .

영상 출력부(10)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출력한다. 일 예로, 영상 출력부(1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출력부(10)에서 출력되는 광은 기 정의된 광축을 가지는 편광(선편광)일 수 있다.The image output unit 10 outputs an image includ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For example, the image output unit 10 may be implement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Here, the light output from the image output unit 10 may be polarized light (linearly polarized light) having a predefined optical axis.

제1 반사경(20) 및 제2 반사경(30)은 영상 출력부(10)로부터 출력된 광을 반사한다. 이에 따라, 광 경로(60)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영상 출력부(10)로부터 출력된 광이 편광인 경우, 제1 반사경(20) 및 제2 반사경(30)은 해당 편광을 반사할 수 있다.The first reflector 20 and the second reflector 30 reflect light output from the image output unit 10. Accordingly, the optical path 60 may be formed. For example, when light output from the image output unit 10 is polarized light, the first reflector 20 and the second reflector 30 may reflect the polarized light.

더스트 커버필름(40)은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를 보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더스트 커버필름(40)은 먼지, 열, 습기,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The dust cover film 40 may protect the interior of the head-up display device. Specifically, the dust cover film 40 may protect the head-up display device from dust, heat, moisture, and external shock.

더스트 커버필름(40)은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의 영상이 외부로 향하는 광 경로(60) 중 일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더스트 커버필름(40)은 광 투과율을 높이기 위해 일반적으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dust cover film 40 may be located in a part of the optical path 60 through which the image inside the head-up display device goes to the outside. Therefore, the dust cover film 40 may be formed of a generally transparent material to increase light transmittance.

영상 출력부(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이 기 정의된 광축을 가지는 편광인 경우 더스트 커버필름(40)은 상기 특정 광축의 투과에 적합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광 경로(60)를 통과하는 광의 투과율을 최대화할 수 있다. 이 경우, 고 선명도 및 고 휘도의 영상이 앞 유리부(5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When the image output from the image output unit 10 is polarized light having a predefined optical axis, the dust cover film 40 must be formed to be suitable for transmission of the specific optical axis. Accordingly, the transmittance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optical path 60 can be maximized. In this case, an image with high definition and high brightness may be displayed on the windshield 50.

여기서, 더스트 커버필름(40)은 상부로 볼록하거나 하부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dust cover film 40 may be convex upward or concave downwar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스트 커버필름의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ust cover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더스트 커버필름(40')은 제1 일축연신 PET(polyester) 필름(21), 제1 접착층(22), 반사편광필름(23), 제2 접착층(24) 및 제2 일축연신 PET 필름(25)을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cover film 40' includes a first uniaxially stretched PET (polyester) film 21, a first adhesive layer 22,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a second adhesive layer 24, and a second uniaxially stretched PET film 25. ) Can be included.

반사편광필름(23)은 반사특성과 편광특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반사편광필름(23)은 2차원 면의 x축 및 y축 방향으로 굴절율이 동일한 고분자층이 수 십에서 수백 층까지 적층되고, 2차원 면의 x축 및 y축 중 한 방향으로 굴절율이 다른 고분자층이 수십에서 수백 층까지 적층됨으로써 반사특성과 편광특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may have reflective characteristics and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at the same time. As an example, in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a polymer layer having the same refractive index in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s of the two-dimensional surface is stacked up to several tens to hundreds of layers, and the refractive index in one of the x-axis and y-axis of the two-dimensional surface By laminating tens to hundreds of these different polymer layers, it is possible to have both reflective and polarizing properties.

반사편광필름(23)은 광의 일부는 투과하고 다른 일부 또는 나머지를 반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사편광필름(23)은 기 정의된 광축을 가지는 편광을 투과하고, 상기 기 정의된 광축과 상이한 광축을 가지는 광을 반사할 수 있다.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may transmit a part of light and reflect another part or rest of the light. Specifically,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may transmit polarized light having a predefined optical axis, and reflect light having an optical axis different from the predefined optical axis.

일 예로, 반사편광필름(23)은 영상 출력부에서 조사되는 제1 편광은 투과하고, 상기 제1 편광과 다른 광축을 가지는 제2 편광은 반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may transmit a first polarized light irradiated from the image output unit, and may reflect a second polarized light having an optical ax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polarized light.

상기 일 예에서, 제1 편광 및 제2 편광은 기설정된 광축을 가지는 선편광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편광은 수평 편광(S 편광)이고, 제2 편광은 제2 편광은 수직 편광(P 편광)일 수 있다.In the above example, the first polarized light and the second polarized light may be linearly polarized light having a preset optical axis. For example, the first polarized light may be horizontal polarized light (S polarized light), and the second polarized light may be vertical polarized light (P polarized light).

이 경우, 반사편광필름(23)은 상기 선편광의 편광방향(광축) 및 반사편광필름(23)의 광 투과축이 평행하게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선편광의 투과율을 극대화할 수 있어 앞 유리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휘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반사편광필름(23)은 상기 선편광의 광축과 다른 광축을 가지는 광들을 반사하기 때문에 일반 편광필름에 비교하여 영상의 휘도 손실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may be arranged so that the polarization direction (optical axis)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the light transmission axis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are aligned in parallel.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transmittance of linearly polarized light, thereby minimizing luminance loss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windshield. In addition, since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reflects light having an optical ax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the luminance loss of an image may be further reduced compared to a general polarizing film.

제1 일축연신 PET 필름(21) 및 제2 일축연신 PET 필름(25)은 반사편광필름(23)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1 일축연신 PET 필름(21) 및 제2 일축연신 PET 필름(25)은 기 정의된 광축을 가지는 편광을 투과할 수 있다.The first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21 and the second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25 may protect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In addition, the first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21 and the second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25 may transmit polarized light having a predefined optical axis.

여기서, 제1 일축연신 PET 필름(21) 및 제2 일축연신 PET 필름(25)의 광 투과축은 반사편광필름(23)의 광 투과축과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일축연신 PET 필름(21) 및 제2 일축연신 PET 필름(25)을 투과하는 광의 투과 축은 제1 일축연신 PET 필름(21) 및 제2 일축연신 PET 필름(25)의 연신 방향의 수직 방향일 수 있다. 제1 일축연신 PET 필름(21)의 광 투과축, 제2 일축연신 PET 필름의 광 투과축(25) 및 반사편광필름(23)의 광 투과축이 일치되는 경우 영상의 편광에 의한 휘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Here, the light transmission axes of the first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21 and the second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25 may be arranged to coincide with the light transmission axis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Here, the transmission axis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21 and the second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25 is in the stretching direction of the first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21 and the second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25 It can be a vertical direction. When the light transmission axis of the first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21, the light transmission axis 25 of the second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and the light transmission axis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coincide, the luminance loss due to polarization of the image is reduced. Can be minimized.

일 예로, 제1 일축연신 PET 필름(21) 및 제2 일축연신 PET 필름(25)은 이축연신 PET와 비교하여 고분자 사슬이 일 방향으로 정렬되어 연신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일축연신 PET 필름(21) 및 제2 일축연신 PET 필름(25)을 투과하는 광의 투과 축은 제1 일축연신 PET 필름(21) 및 제2 일축연신 PET 필름(25)의 연신 방향의 수직 방향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uniaxially stretched PET film 21 and the second uniaxially stretched PET film 25 may be stretched by aligning polymer chains in one direction compared to biaxially stretched PET. Here, the transmission axis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21 and the second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25 is in the stretching direction of the first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21 and the second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25 It can be a vertical direction.

제1 접착층(22)은 반사편광필름(23)의 일 측에 제1 일축연신 PET 필름(21)을 접합하는데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 접착층(24)은 반사편광필름(23)의 타 측에 제2 일축연신 PET 필름(25)을 접합하는데 제공될 수 있다.The first adhesive layer 22 may be provided to bond the first uniaxially stretched PET film 21 to one sid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In addition, the second adhesive layer 24 may be provided to bond the second uniaxially stretched PET film 25 to the other sid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일 예로, 제1 접착층(22) 및 제2 접착층(24)은 경화제가 첨가된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일 수 있다. 여기서,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는 자외선(ultraviolet ray, UV) 경화성 고분자 수지, 열 경화성 고분자 수지, 또는 자외선 및 열 경화성 고분자 수지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경화제의 함량은 태양광에 의한 백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0.01 pt 내지 1 pt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adhesive layer 22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4 may be an acrylic polymer resin to which a curing agent is added. Here, the acrylic polymer resin may be one of an ultraviolet (ultraviolet ray, UV) curable polymer resin, a thermosetting polymer resin, or an ultraviolet ray (UV) curable polymer resin. In addition, the content of the curing agent may be 0.01 pt to 1 pt in order to prevent clouding caused by sunlight.

일 예로, 제1 일축연신 PET 필름(21)의 일 측 또는 제2 일축연신 PET 필름(25)의 일 측은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one side of the first uniaxially stretched PET film 21 or one side of the second uniaxially stretched PET film 25 may be dispos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head-up display device.

이 경우, 외부의 충격으로부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제1 일축연신 PET 필름(21)의 일 측 및 제2 일축연신 PET 필름(25)의 일 측 중 적어도 하나에는 경도(hardness)가 HB(brinell harness) 이상인 하드코팅(hard coating) 층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드코팅 층의 두께는 최소 0.5 ㎛ 이상일 수 있으며, 1 ㎛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하드코팅 층은 제1 일축연신 PET 필름(21) 및 제2 일축연신 PET 필름(25)보다 경도가 높으면서 투명한 아크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in order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part due to external impact, at least one of one side of the first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21 and one side of the second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25 has a hardness of HB (brinell harness) or more, a hard coating layer may be disposed.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ing layer may be at least 0.5 μm or more, and may be formed to be 1 μm or more. In addition, the hard coating layer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acrylic material having a higher hardness than the first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21 and the second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25.

일 예로, 제1 일축연신 PET 필름(21)의 일 면 또는 제2 일축연신 PET 필름(25)의 일 면에서의 굴절률 차이로 계면반사가 일어날 수 있다. 계면반사를 감소시키기 위해, 제1 일축연신 PET 필름(21)의 일 측 및 제2 일축연신 PET 필름(25)의 일 측 중 적어도 하나에는 반사방지(anti-reflection) 층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반사방지 층은 복수의 박막이 증착 형성되거나 나방눈(moth eye) 반사방지 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interfacial reflection may occur due to a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on one surface of the first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21 or one surface of the second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25. In order to reduce interfacial reflection, an anti-reflection layer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one side of the first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21 and one side of the second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25. Here, as the antireflection layer, a plurality of thin films may be deposited or a moth eye antireflection pattern may be disposed.

일 예로, 제1 일축연신 PET 필름(21)의 일 측 및 제2 일축연신 PET 필름(25)의 일 측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적외선을 반사하고 가시광선을 투과시키는 열 반사경(hot mirror) 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더스트 커버필름(40')으로 적외선이 투과되면 적외선의 열에 의해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의 반사경, 영상출력부 등의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더스트 커버필름(40')에 열 반사경을 배치함으로써 가시광선은 투과시키고 적외선은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For example, at least one of one side of the first uniaxially stretched PET film 21 and one side of the second uniaxially stretched PET film 25 is further provided with a hot mirror layer that reflects infrared rays and transmits visible light. Can be placed. When infrared rays are transmitted through the dust cover film 40 ′, the reflector inside the head-up display device and the image output unit may be deteriorated due to the heat of the infrared rays. By disposing the heat reflector on the dust cover film 40', visible light can be transmitted and infrared light can be selectively blocked.

일 예로, 제1 일축연신 PET 필름(21)의 연신이 형성된 방향 및 제2 일축연신 PET 필름(25)의 연신이 형성된 방향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일축연신 PET 필름(21)의 광축 및 제2 일축연신 PET 필름(25)의 광축이 평행하게 배치되어 높은 편광 투과율을 확보할 수 있다.For example, a direction in which the stretching of the first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21 is formed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stretching of the second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25 is formed may be parallel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optical axis of the first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21 and the optical axis of the second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25 are arranged in parallel to ensure high polarization transmittance.

수학식 1은 더스트 커버필름(40')의 편광효율(polarized light efficiency, EP)(또는 투과효율)을 측정하기 위한 식이다.Equation 1 is an equation for measuring polarized light efficiency (EP) (or transmission efficiency) of the dust cover film 40'.

Figure 112019087944152-pat00001
Figure 112019087944152-pat00001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스트 커버필름(40')에 대한 성능 실험은 더스트 커버필름(40')의 중심을 기준으로 더스트 커버필름(40')을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를 참조하면, 더스트 커버필름(40')의 편광효율은 85% 이상이다. 상기 실험에서, 더스트 커버필름(40')의 광 투과축 및 출력되는 영상의 광축이 이루는 각도(

Figure 112019087944152-pat00002
)가 커질수록 영상의 휘도는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erformance experiment for the dust cover film 4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as performed in a manner of rotating the dust cover film 40 ′ based on the center of the dust cover film 40 ′. . Referr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polarization efficiency of the dust cover film 40' is 85% or more. In the above experiment, the angle formed by the light transmission axis of the dust cover film 40 ′ and the optical axis of the output image (
Figure 112019087944152-pat00002
It can be seen that as) increases, the luminance of the image decreases.

상술한 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스트 커버필름(4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한편, 더스트 커버필름(40')에 포함되는 반사편광필름(23)은 양 측면의 서로 다른 수축률로 인해 열이 가해지는 경우 큰 수축률을 가지는 면을 내측으로 하여 벤딩(banding)되기 쉽다. 이 경우, 영상 출력부(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의 편광은 더스트 커버필름(40')에 의해 왜곡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반사편광필름(23)이 굴곡 변형되는 특성에 대해 설명하고, 반사편광필름(23)의 이러한 변형을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더스트 커버필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the dust cover film 4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Meanwhile, when heat is applied due to different shrinkage rates on both sides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included in the dust cover film 40 ′, it is easy to bend with the side having a large shrinkage inward. In this case, the polarization of the image output from the image output unit 10 may be distorted by the dust cover film 40 ′. Hereinafter, a characteristic in which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is bent and deformed will be described, and a dust cover fil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mpensating for such deformation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광편광필름의 제조과정을 도시한다.3 shows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semi-optical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반사편광필름(300)은 합성수지 스택이 팽창된 상태에서 적층되고, 냉각 과정에서 경화 및 수축된다.3,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300 is laminated while the synthetic resin stack is expanded, and cured and contracted during cooling.

일 예로, 반사편광필름(300)은 가열된 상태에서 냉각롤(A)에 밀착되어 냉각되는 제1 면(310)과, 복수의 적층면 중 제1 면(310)에서 가장 먼 거리에 배치되고, 공기에 노출되어 제1 면(310)에 비해 서서히 냉각되는 제2 면(320)을 포함한다.As an example,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300 is disposed at the farthest distance from the first surface 310, which is cooled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cooling roll A in a heated state, and the first surface 310 of the plurality of stacked surfaces. , And a second surface 320 that is exposed to air and gradually cooled compared to the first surface 310.

여기서, 제1 면(310)은 냉각롤(A)에 의해 빠르게 경화되므로 상대적으로 수축이 크고, 제2 면(320)은 공기에 의해 서서히 냉각되어 경화되므로 상대적으로 수축이 작다. 즉, 제1 면(310)의 수축률(I1)이 제2 면(320)의 수축률(I2)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다.Here, since the first surface 310 is rapidly cured by the cooling roll A, the contraction is relatively large, and the second surface 320 is gradually cooled and cured by air, so that the contraction is relatively small. That is, the shrinkage rate I1 of the first surface 310 is relatively greater than the shrinkage rate I2 of the second surface 32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편광필름의 벤딩 상태를 도시한다.4 shows a bending state of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반사편광필름(400)의 제1 면(410)의 수축률은 제2 면(420)의 수축률보다 크다. 이에 따라, 반사편광필름(400)에 열이 가해지는 경우, 제1 면(410)의 수축률이 제2 면(420)의 수축률보다 크기 때문에, 벤딩 축(B)을 중심으로 제1 면(410) 방향으로 오목하게(또는 제2 면(420) 방향으로 볼록하게) 벤딩될 수 있다. 여기서, 반사편광필름(400)의 벤딩 축(B)은 반사편광필름(400)의 중심축 위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벤딩 축(B)은 반사편광필름(400)의 중심 축에 따라 반사편광필름(400)의 내부에 있거나, 도 4와 같이 반사편광필름(400)의 외부에 있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shrinkage rate of the first surface 410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400 is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surface 420. Accordingly, when heat is applied to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400, since the shrinkage rate of the first surface 410 is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surface 420, the first surface 410 around the bending axis B ) Direction (or convex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420). Here, the bending axis B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400 may be on the central axis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400. For example, the bending axis B may be inside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400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400, or may be outside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400 as shown in FIG. 4.

이하에서, 반사편광필름(300, 400)이 제1 면(310, 410) 방향으로 오목하게 벤딩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1 접착층(22) 및 제2 접착층(22)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하여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2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2 for minimizing bending deformation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s 300 and 400 in a concave direction toward the first surfaces 310 and 410 will be described.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for configurations that overlap with the above-described contents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더스트 커버필름의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ust cover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스트 커버필름의 평면도이다.6 is a plan view of a dust cover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더스트 커버필름(40'')은 제1 일축연신 PET 필름(21'), 제1 접착층(22'), 반사편광필름(23'), 제2 접착층(24') 및 제2 일축연신 PET 필름(25')을 포함할 수 있다.5 and 6, the dust cover film 40 ″ includes a first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21 ′, a first adhesive layer 22 ′,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and a second adhesive layer 24. ') and a second uniaxially stretched PET film 25'.

반사편광필름(23')은 일 면의 제1 수축률이 타 면의 제2 수축률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일 면은 반사편광필름(23')의 양 면 중 제1 일축연신 PET 필름(21')에 더 가까운 면으로 정의되고, 상기 타 면은 반사편광필름(23')의 양 면 중 제2 일축연신 PET 필름(2')에 더 가까운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may have a first shrinkage ratio of one surface greater than a second shrinkage ratio of the other surface. For example, the one surface is defined as a surface closer to the first uniaxially stretched PET film 21 ′ among both surfaces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and the other surface is both surfaces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It may be defined as a surface closer to the second uniaxially stretched PET film 2'.

제1 일축연신 PET 필름(21')은 반사편광필름(23')의 일 면에 제1 접착층(22')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The first uniaxially stretched PET film 21 ′ may be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by a first adhesive layer 22 ′.

제2 일축연신 PET 필름(25')은 반사편광필름(23')의 타 면에 제2 접착층(24')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The second uniaxially stretched PET film 25 ′ may be bond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by a second adhesive layer 24 ′.

일 예로, 제1 접착층(22') 및 제2 접착층(24')은 복수의 접착제 라인(22', 24')이 기 정의된 이격 거리로 배치되는 라인(line) 패턴(22', 24')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라인 패턴의 이격 거리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층에 의해 유입되는 열이 순환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rst adhesive layer 22 ′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4 ′ are line patterns 22 ′ and 24 ′ in which a plurality of adhesive lines 22 ′ and 24 ′ are disposed at a predefined distance. ) Can be formed. In this case, heat introduced by the air layer formed by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line pattern may be circulated.

상술한 라인 패턴(22', 24')의 기 정의된 이격 거리는 반사편광필름(23')의 중앙으로부터 반사편광필름(23')의 측면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라인 패턴(22', 24')은 반사편광필름(23')의 중앙으로부터 반사편광필름(23')의 측면 방향으로 갈수록 조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반사편광필름(23')은 열에 의해 일 측으로 벤딩 변형되는 경우 반사편광필름(23')의 중앙부 보다 측부에 더 큰 힘이 발생되며, 더스트 커버필름(40'')이 상부로 볼록 또는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경우에는 중앙부 보다 측부에 벤딩되는 힘이 보다 더 강하게 발생되므로, 반사편광필름(23')의 중앙부 보다 측부에 더 많은 라인 패턴(22', 24')을 배치함으로써 반사편광필름(23')의 측부는 제1 일축연신 PET 필름(21') 및 제2 일축연신 PET 필름(25')에 더 강하게 결착되어 벤딩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제1 접착층(22') 및 제2 접착층(24')이 투명 성분으로 구성되더라도 광 왜곡이 일부 발생할 수 있는데, 반사편광필름(23')의 중앙부 보다 측부에 더 많은 라인 패턴(22', 24')을 배치함으로써 반사편광필름(23')의 중앙부에 대한 광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predefined separation distances of the above-described line patterns 22 ′ and 24 ′ may be formed to decrease from the center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toward the sid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Accordingly, the line patterns 22 ′ and 24 ′ may be more densely disposed from the center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toward the sid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When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is bent to one side by heat, a greater force is generated on the side than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and the dust cover film 40' is convex upward or downward. In the case of concave formation, since the bending force is generated at the side portion more strongly than the central portion,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is formed by arranging more line patterns 22 ′ and 24 ′ on the side than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The side of') is more strongly bonded to the first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21 ′ and the second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25 ′ to minimize bending deformation. In addition, even if the first adhesive layer 22 ′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4 ′ are composed of a transparent component, some light distortion may occur, and there are more line patterns 22 ′ on the sid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than in the center. , 24'), it is possible to minimize distortion of light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또한, 제1 접착층(22')또는 라인 패턴(22')은 반사편광필름(23')의 상기 일 면의 제1 수축률보다 작은 수축률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편광필름(23')의 상기 일 면은 반사편광필름(23')의 상기 타 면보다 수축률이 커 반사편광필름(23')은 상기 일 면이 오목하게 굴곡되는데, 제1 접착층(22')또는 라인 패턴(22')이 반사편광필름(23')의 상기 일 면의 제1 수축률보다 작은 수축률로 형성되는 경우, 반사편광필름(23')의 상기 일 면이 오목하게 굴곡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dhesive layer 22 ′ or the line pattern 22 ′ may be formed with a shrinkage rate smaller than the first shrinkage rate of the one surfac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The one sid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has a higher shrinkage ratio than the other sid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so that the one sid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is bent concave,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22' Alternatively, when the line pattern 22' is formed with a shrinkage rate smaller than the first shrinkage rate of the one sid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the concave bending of the one sid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is suppressed as much as possible. can do.

또한, 제2 접착층(24')또는 라인 패턴(24')은 반사편광필름(23')의 상기 타 면의 제2 수축률보다 큰 수축률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편광필름(23')의 상기 타 면은 반사편광필름(23')의 상기 일 면보다 수축률이 작아 반사편광필름(23')은 상기 타 면이 볼록하게 굴곡되는데, 제2 접착층(24')또는 라인 패턴(24')이 반사편광필름(23')의 상기 타 면의 제2 수축률보다 큰 수축률로 형성되는 경우, 반사편광필름(23')의 상기 타 면이 볼록하게 굴곡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adhesive layer 24 ′ or the line pattern 24 ′ may be formed with a greater shrinkage rate than the second shrinkage rate of the other surfac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The other surfac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has a smaller shrinkage than that of the one surfac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so that the other surfac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is convexly bent,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24 ′ Alternatively, when the line pattern 24 ′ is formed with a larger shrinkage rate than the second shrinkage rate of the other surfac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the other surfac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is prevented from being convexly curved. can do.

한편, 상술한 라인 패턴(22', 24')의 길이 방향(C)은 도 4에서 반사편광필름(400)의 벤딩 축(B)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라인 패턴(22', 24')은 반사편광필름(400)의 벤딩되는 힘을 억제하여 반사편광필름(400)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Meanwhile, the length direction C of the above-described line patterns 22 ′ and 24 ′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bending axis B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400 in FIG. 4. Accordingly, the above-described line patterns 22 ′ and 24 ′ can minimize the deformation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400 by suppressing the bending forc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400.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더스트 커버필름의 평면도이다.7 is a plan view of a dust cover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라인 패턴(22'', 24'')의 외측(71, 72)에는 복수의 접착제 라인이 격자로 배치된 격자 패턴(71, 7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라인 패턴(22'', 24'')이 격자 패턴(71, 72)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도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라인 패턴(22'', 24'')과 격자 패턴(71, 72)을 각기 정의한다.Referring to FIG. 7, a grid pattern 71 and 72 in which a plurality of adhesive lines are arranged in a grid may be formed on the outer sides 71 and 72 of the line patterns 22 ″ and 24 ″. Here, the line patterns 22 ″ and 24 ″ may be defined as including the lattice patterns 71 and 72, bu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line patterns 22 ″ and 24 ″ and the grid patterns ( 71 and 72) are defined respectively.

도 7에서는, 반사편광필름(23')의 측부에 접착제로 형성되는 격자 패턴(71, 72)이 배치됨으로써 반사편광필름(23')의 측부는 제1 일축연신 PET 필름(21') 및 제2 일축연신 PET 필름(25')에 더 강하게 결착되어 벤딩 변형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In FIG. 7, grating patterns 71 and 72 formed of an adhesive ar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so that the sid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is a first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21 ′ and 2 Bending deformation can be prevented as much as possible by binding more strongly to the uniaxially stretched PET film 25'.

여기서, 제1 접착층(22'')의 격자 패턴(71, 72)은 반사편광필름(23')의 일 면의 제1 수축률보다 작은 수축률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사편광필름(23')의 상기 일 면은 반사편광필름(23')의 상기 타 면보다 수축률이 커 반사편광필름(23')은 상기 일 면이 오목하게 굴곡되는데, 제1 접착층(22'')의 격자 패턴(71, 72)이 반사편광필름(23')의 상기 일 면의 제1 수축률보다 작은 수축률로 형성되는 경우, 반사편광필름(23')의 상기 일 면이 오목하게 굴곡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Here, the lattice patterns 71 and 72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2 ″ may be formed with a shrinkage rate smaller than the first shrinkage rate of one surfac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Accordingly, the one surfac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has a higher shrinkage than the other surfac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and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has a concave curved surface. 22'') of the grid patterns 71 and 72 are formed with a shrinkage ratio smaller than the first shrinkage ratio of the one sid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the one side of the reflective polarization film 23' is concave. You can suppress bending as much as possible.

또한, 제2 접착층(24'')의 격자 패턴(71, 72)은 반사편광필름(23')의 타 면의 제2 수축률보다 큰 수축률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사편광필름(23')의 상기 타 면은 반사편광필름(23')의 상기 일 면보다 수축률이 작아 반사편광필름(23')은 상기 타 면이 볼록하게 굴곡되는데, 제2 접착층(24'')의 격자 패턴(71, 72)이 반사편광필름(23')의 상기 타 면의 제2 수축률보다 큰 수축률로 형성되는 경우, 반사편광필름(23')의 상기 타 면이 볼록하게 굴곡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ttice patterns 71 and 72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24 ″ may be formed with a greater shrinkage rate than the second shrinkage rate of the other surfac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Accordingly, the other surfac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has a smaller shrinkage ratio than that of the one surfac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is convexly bent,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 24'') is formed with a larger shrinkage ratio than the second shrinkage of the other sid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the other sid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is convex. You can suppress bending as much as possible.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더스트 커버필름의 평면도이다.8 is a plan view of a dust cover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제1 접착층(22''')은 반사편광필름(23')의 라인 패턴(82)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착제 라인(8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착제 라인(81)은 반사편광필름(23')의 일 면의 제1 수축률보다 작은 수축률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first adhesive layer 22 ″′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first adhesive line 81 disposed orthogonal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ine pattern 82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can do. The at least one first adhesive line 81 may be formed with a shrinkage rate smaller than the first shrinkage rate of one surfac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상술한 도 8의 예에서, 반사편광필름(23')의 라인 패턴(82) 및 제1 접착제 라인(81)이 각각 라인 패턴(82)의 길이 방향과 라인 패턴(82)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반사편광필름(23')을 지지함으로써, 반사편광필름(23')이 반사편광필름(23')의 일 면의 상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벤딩되는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the example of FIG. 8 described above, the line pattern 82 and the first adhesive line 81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are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ine pattern 82 and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ine pattern 82, respectively. By supporting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in the same direc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deformation in which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is concavely bent in the upward direction of one surfac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더스트 커버필름의 평면도이다.9 is a plan view of a dust cover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제2 접착층(24''')은 반사편광필름(23')의 라인 패턴(92)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착제 라인(91)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second adhesive layer 24 ″′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second adhesive line 91 dispos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ine pattern 92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can do.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착제 라인(91)은 반사편광필름(23')의 타 면의 제2 수축률보다 큰 수축률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second adhesive line 91 may be formed with a greater shrinkage rate than the second shrinkage rate of the other surfac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상술한 도 9의 예에서, 반사편광필름(23')의 라인 패턴(92) 및 제2 접착제 라인(91)이 각각 라인 패턴(92)의 길이 방향과 라인 패턴(92)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반사편광필름(23')을 지지함으로써, 반사편광필름(23')이 반사편광필름(23')의 타 면의 상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벤딩되는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the example of FIG. 9 described above, the line pattern 92 and the second adhesive line 91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are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ine pattern 92 and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ine pattern 92, respectively. By supporting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in the same direction, deformation in which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is convexly bent in the upward direction of the other surfac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can be minimized.

상술한 도 8 및 도 9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착제 라인(81)의 두께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착제 라인(91)의 두께는 라인 패턴(82, 92)에 포함된 복수의 접착제 라인(82, 92)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착제 라인(81)의 폭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착제 라인(91)의 폭은 라인 패턴(82, 92)에 포함된 복수의 접착제 라인(82, 92)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8 and 9 described above, the thickness of the at least one first adhesive line 81 and the thickness of the at least one second adhesive line 91 are a plurality of adhesive lines included in the line patterns 82 and 92 ( 82, 92) may be formed thicker than the thickness.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at least one first adhesive line 81 and the width of the at least one second adhesive line 91 are less than the widths of the plurality of adhesive lines 82 and 92 included in the line patterns 82 and 92 It can be formed widely.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착제 라인(81)은 반사편광필름(23')의 일 면에서부터 외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벤딩되는 힘을 억제 또는 지지하는 힘을 더 크게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착제 라인(91)은 반사편광필름(23')의 타 면에서부터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벤딩되는 힘을 억제 또는 지지하는 힘을 더 크게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t least one first adhesive line 81 may exert a greater force of suppressing or supporting a force that is concavely bent outward from one surfac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In addition, the at least one second adhesive line 91 may exert a greater force of suppressing or supporting a force that is convexly bent outward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

또한, 상술한 도 8 및 도 9에서, 라인 패턴(82)에 포함된 복수의 접착제 라인(82)의 두께 및 폭 중 적어도 하나는 라인 패턴 (92)에 포함된 복수의 접착제 라인(92)의 두께 및 폭 중 적어도 하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FIGS. 8 and 9 described above,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and width of the plurality of adhesive lines 82 included in the line pattern 82 is of the plurality of adhesive lines 92 included in the line pattern 92. It may be formed larger than at least one of thickness and width.

또한, 상술한 도 8 및 도 9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착제 라인(81)의 두께 및 폭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접착제 라인(91)의 두께 및 폭 중 적어도 하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FIGS. 8 and 9 described above,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and width of the at least one first adhesive line 81 may be larger than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and width of the second adhesive line 91.

이에 따라, 라인 패턴(82)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착제 라인(81)은 반사편광필름(23')의 타 면보다 더 큰 수축력을 가진 반사편광필름(23')의 일 면의 수축력을 효과적으로 억제해줄 수 있다.Accordingly, the line pattern 82 or at least one first adhesive line 81 effectively suppresses the shrinking force of one sid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having a greater shrinking force than the other sid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Can do it.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더스트 커버필름(40, 40', 40'')에 포함되는 제1 접착층(22, 22', 22'', 22''') 및 제2 접착층(24, 24', 24'', 24''')은 반사편광필름(23, 23')과 제1 일축연신 PET 필름(21, 21')을 접착하고, 반사편광필름(23, 23')과 제2 일축연신 PET 필름(24, 24')을 접착할 뿐만 아니라,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공기층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열을 배출하여 온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층은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화시켜줄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first adhesive layers 22, 22', 22'', 22''' included in the dust cover films 40, 40', 4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 24, 24', 24``, 24''') is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23') and the first uniaxially stretched PET film (21, 21') is adhered, and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23') And the second uniaxially stretched PET films 24 and 24 ′ are not only adhered, but also the air layer is formed to discharge heat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air layer to adjust the temperature. This air layer can mitigate the impact from the outside.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더스트 커버필름(40, 40', 40'')을 포함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열에 의해 유발되는 변형을 최소화하고 열을 외부로 원활히 순환시킬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잘 견딜 수 있다.The head-up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dust cover films 40, 40', 4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deformation caused by heat and smoothly circulate heat to the outside. It can withstand the impact applied from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s generally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disclosure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idea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disclosure.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 1
영상 출력부: 10
제1 반사경: 20
제2 반사경: 30
더스트 커버피름: 40
앞 유리부: 50
광 경로: 60
더스트 커버필름: 40, 40', 40''
제1 일축연신 PET 필름: 21, 21'
제2 일축연신 PET 필름: 25, 25'
제1 접착층: 22, 22', 22'', 22'''
제2 접착층: 24, 24', 24'', 24'''
반사편광필름: 23, 23'
Head-up display system: 1
Video output: 10
1st reflector: 20
Second reflector: 30
Dust Cover Film: 40
Windshield: 50
Optical path: 60
Dust Cover Film: 40, 40', 40''
First uniaxially stretched PET film: 21, 21'
2nd uniaxially stretched PET film: 25, 25'
First adhesive layer: 22, 22', 22'', 22'''
Second adhesive layer: 24, 24', 24'', 24'''
Reflective polarizing film: 23, 23'

Claims (15)

일 면의 제1 수축률이 타 면의 제2 수축률보다 높게 형성된 반사편광필름;
상기 반사편광필름의 상기 일 면에 제1 접착층에 의해 접합되는 제1 일축연신 PET(polyester) 필름; 및
상기 반사편광필름의 상기 타 면에 제2 접착층에 의해 접합되는 제2 일축연신 PET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층은, 상기 제1 수축률보다 작은 수축률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제2 수축률보다 큰 수축률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은,
열을 순환하는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복수의 접착제 라인이 기 정의된 이격 거리로 배치되는 라인(line) 패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접착층의 라인 패턴의 외측에는 복수의 접착제 라인이 격자로 배치된 제1 격자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착층의 라인 패턴의 외측에는 복수의 접착제 라인이 격자로 배치된 제2 격자 패턴이 형성되는, 더스트 커버필름.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in which a first shrinkage rate on one side is higher than a second shrinkage rate on the other side;
A first uniaxially stretched PET (polyester) film bonded to the one surfac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by a first adhesive layer; And
Including; a second uniaxially stretched PET film bond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by a second adhesive layer,
The first adhesive layer is formed with a shrinkage rate smaller than the first shrinkage rate,
The second adhesive layer is formed with a greater shrinkage rate than the second shrinkage rate,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A plurality of adhesive lines are formed in a line pattern arranged at a predefined distance so that an air layer circulating heat is formed,
A first grid pattern in which a plurality of adhesive lines are arranged in a grid is formed outside the line pattern of the first adhesive layer,
A second grid pattern in which a plurality of adhesive lines are arranged in a grid is formed outside the line pattern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패턴의 상기 기 정의된 이격 거리는,
상기 반사편광필름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반사편광필름의 측면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되는, 더스트 커버필름.
The method of claim 1,
The predefined separation distance of the line pattern is,
A dust cover film that decreases from the center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toward the sid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은,
상기 라인 패턴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수축률보다 작은 수축률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착제 라인을 더 포함하는, 더스트 커버필름.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dhesive layer,
The dust cover film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first adhesive line dispos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ine pattern and formed with a shrinkage rate smaller than the first shrinkage r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라인 패턴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수축률보다 큰 수축률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착제 라인을 더 포함하는, 더스트 커버필름.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adhesive layer,
The dust cover film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second adhesive line dispos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ine pattern and formed with a greater shrinkage rate than the second shrinkage r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의 라인 패턴은,
상기 제2 접착층의 라인 패턴보다 두껍고, 폭이 넓게 형성되는, 더스트 커버 필름.
The method of claim 1,
The line pattern of the first adhesive layer,
A dust cover film that is thicker than the line pattern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and has a wider width.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은,
경화제가 첨가된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로 형성된, 더스트 커버필름.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Dust cover film formed of acrylic polymer resin added with a curing agen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0.01 pt 내지 1pt 함량인, 더스트 커버필름.
The method of claim 9,
The curing agent is 0.01 pt to 1 pt content, the dust cover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일축연신 PET필름 및 상기 제2 일축연신 PET 필름 중 적어도 하나의 일 면에는 경도(hardness)가 HB(brinell harness) 이상인 하드코팅(hard coating) 층이 배치된, 더스트 커버필름.
The method of claim 1,
A dust cover film in which a hard coating layer having a hardness of HB or higher is dispos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rst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and the second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일축연신 PET필름 및 상기 제2 일축연신 PET 필름 중 적어도 하나의 일 면에는 계면반사를 감소시키기는 반사방지(anti-reflection) 층이 배치된, 더스트 커버필름.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rst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and the second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has an anti-reflection layer for reducing interfacial reflection is disposed, the dust cover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일축연신 PET필름 및 상기 제2 일축연신 PET 필름 중 적어도 하나의 일 면에는 적외선을 반사하고 가시광선을 투과시키는 열 반사경(hot mirror) 층이 배치된, 더스트 커버필름.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rst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and the second uniaxially oriented PET film is a heat reflector (hot mirror) layer that reflects infrared and transmits visible light is disposed, the dust cover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일축연신 PET의 연신 방향 및 상기 제2 일축연신 PET의 연신 방향은 서로 평행한, 더스트 커버필름.
The method of claim 1,
The stretching direction of the first uniaxially stretched PET and the stretching direction of the second uniaxially stretched PET are parallel to each other, the dust cover film.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및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더스트 커버필름을 포함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A head-up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dust cover film of any one of claims 1, 3 to 6, and 9 to 14.

KR1020190104964A 2019-08-27 2019-08-27 Dust cover film and head-up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2051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964A KR102205118B1 (en) 2019-08-27 2019-08-27 Dust cover film and head-up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PCT/KR2020/010934 WO2021040302A1 (en) 2019-08-27 2020-08-17 Dust cover film and head-up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964A KR102205118B1 (en) 2019-08-27 2019-08-27 Dust cover film and head-up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5118B1 true KR102205118B1 (en) 2021-01-20

Family

ID=74304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964A KR102205118B1 (en) 2019-08-27 2019-08-27 Dust cover film and head-up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05118B1 (en)
WO (1) WO2021040302A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2945A (en) * 2008-08-20 2010-03-03 주식회사 엘지화학 Pressure-sensitive adhesive
KR20160148915A (en) * 2015-06-17 2016-12-27 주식회사 엘엠에스 Condensing Module for Banding Reduction and Back Light Unit Having the Same
JP2019086622A (en) * 2017-11-06 2019-06-06 株式会社ポラテクノ Polarizing member and head-up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7768A (en) * 2002-08-16 2004-03-11 Fuji Photo Film Co Ltd Polariz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758432B1 (en) * 2014-08-29 2017-07-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2945A (en) * 2008-08-20 2010-03-03 주식회사 엘지화학 Pressure-sensitive adhesive
KR20160148915A (en) * 2015-06-17 2016-12-27 주식회사 엘엠에스 Condensing Module for Banding Reduction and Back Light Unit Having the Same
JP2019086622A (en) * 2017-11-06 2019-06-06 株式会社ポラテクノ Polarizing member and head-up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0302A1 (en)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3793B2 (en) Lightweight eyepiece for head mounted display
KR102255145B1 (en) Semi-transmissive reflective sheet, light guide plate, and display device
US20150241619A1 (en) Lightguide device with outcoupling structures
KR102118016B1 (en) Continuous optical film laminate, roll of continuous optical film laminate and IP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6638077B2 (en) Head-up display device and video display device therefor
JP6459921B2 (en) Head-up display device
JP5539545B2 (en) Lens array sheet manufacturing method
KR101665263B1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CN108508602B (en) Solar load management head-up display system and device
WO2016098705A1 (en) Projection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ojection member
KR101665239B1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US20150153494A1 (en) Composite optical sheet and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KR101813753B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JP2017102289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16141775A (en) Laminated glass and head-up display system
JP6659994B2 (en) Display device
KR102205118B1 (en) Dust cover film and head-up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6880474B2 (en) Louver film,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ganic EL display device, louver film manufacturing method, liquid crystal display manufacturing method, and organic EL display manufacturing method
JP2016200716A (en) Liquid crystal display
CN216848388U (en) Head-up display device
KR101802578B1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JP6565458B2 (en) Optical sheet, display device
JP2018205640A (en) Optical sheet, image source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0085586A (en) Light diffusion sheet, liquid crystal video source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6665566B2 (en) Light guide plate and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