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646B1 - Usability testing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services - Google Patents

Usability testing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servi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646B1
KR102200646B1 KR1020190028777A KR20190028777A KR102200646B1 KR 102200646 B1 KR102200646 B1 KR 102200646B1 KR 1020190028777 A KR1020190028777 A KR 1020190028777A KR 20190028777 A KR20190028777 A KR 20190028777A KR 102200646 B1 KR102200646 B1 KR 102200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ability
task
participant
information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7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09562A (en
Inventor
강지수
Original Assignee
강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지수 filed Critical 강지수
Priority to KR1020190028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646B1/en
Publication of KR20200109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5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6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06F11/3664Environments for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06F11/3668Software testing
    • G06F11/3696Methods or tools to render software test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서비스의 사용성 테스트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의뢰자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태스크 생성 템플릿을 사용성 테스트 서버에 요청하면, 사용성 테스트 서버가 상기 의뢰자 단말기에 태스크 생성 템플릿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의뢰자 단말기가, 수신된 태스크 생성 템플릿에 기초하여 타겟정보, 목표정보, 설문정보, 리워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하고, 입력된 태스크 생성정보를 사용성 테스트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성 테스트 서버가, 수신된 상기 태스크 생성정보에 기초하여 태스크를 생성하는 단계와, 참여자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회원 정보를 입력하면, 사용성 테스트 서버가 회원 정보를 확인하여 로그인을 승인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성 테스트 서버가 생성된 상기 태스크를 표시하면, 상기 참여자 단말기가 표시된 태스크 중 하나를 선택하여 테스트를 수행하고 테스트 결과를 상기 사용성 테스트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testing usability of an online ser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lient terminal accesses an application and requests a task creation template from a usability test server, the usability test server provides a task creation template to the client terminal, and the client terminal provides a task creation template to the received task creation template. Based on the step of inputting at least one of target information, target information, questionnaire information, and reward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input task generation information to a usability test server, the usability test server, based on the received task generation information Creating a task, when the participant terminal accesses the application and inputs member information, the usability test server verifies the member information and approves the login, and the usability test server displays the generated task, And performing a test by selecting one of the displayed tasks by the participant terminal and transmitting a test result to the usability test server.

Description

온라인 서비스의 사용성 테스트 방법 및 시스템{Usability testing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services}Usability testing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services

본 발명은 온라인 서비스의 사용성 테스트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뢰자가 사용성 테스트를 위한 태스크를 직접 등록하고 참여자가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웹 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사용성 테스트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ability testing method and system of an online ser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ability testing method and system for a web or application service in which a client can directly register a task for usability testing and a participant can perform the test.

사용성 테스트는 웹 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의 요구사항과 행동을 관찰하여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진단 방법 중 하나이다. 전통적인 리서치 방법과 달리 사용성 테스트는 실제 사용자들의 실제 제품 사용과정을 관찰하여 사용자 요구 사항을 추출하기 때문에 ICT 기업들의 서비스에 대해 주로 수행되고 있다. Usability test is one of the diagnostic methods to provide a better service by observing the user's requirements and behavior for web or application services. Unlike traditional research methods, the usability test is mainly performed on the services of ICT companies because user requirements are extracted by observing actual users' actual product use process.

선행특허로는, 등록특허 제10-1923067호(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테스트)가 있으며 사용자에게 A/B 테스트법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을 뿐이다.As a prior patent, there is Registration Patent No. 10-1923067 (Native Application Test), which only discloses an application test method according to the A/B test method to the us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특히 의뢰자가 사용성 테스트를 위한 태스크를 직접 등록하고, 특정기준을 만족하는 참여자가 테스트를 수행하여 결과리포트를 제공이 가능한 온라인 서비스의 사용성 테스트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ability testing method and system for an online service in which a client directly registers a task for usability testing, and a participant who satisfies a specific criterion performs a test and provides a result report. have.

본 발명은 의뢰자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태스크 생성 템플릿을 사용성 테스트 서버에 요청하면, 사용성 테스트 서버가 상기 의뢰자 단말기에 태스크 생성 템플릿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의뢰자 단말기가, 수신된 태스크 생성 템플릿에 기초하여 타겟정보, 목표정보, 설문정보, 리워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하고, 입력된 태스크 생성정보를 사용성 테스트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성 테스트 서버가, 수신된 상기 태스크 생성정보에 기초하여 태스크를 생성하는 단계와, 참여자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회원 정보를 입력하면, 사용성 테스트 서버가 회원 정보를 확인하여 로그인을 승인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성 테스트 서버가 생성된 상기 태스크를 표시하면, 상기 참여자 단말기가 표시된 태스크 중 하나를 선택하여 테스트를 수행하고 테스트 결과를 상기 사용성 테스트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lient terminal accesses an application and requests a task creation template from a usability test server, the usability test server provides a task creation template to the client terminal, and the client terminal provides a task creation template to the received task creation template. Based on the step of inputting at least one of target information, target information, questionnaire information, and reward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input task generation information to a usability test server, the usability test server, based on the received task generation information Creating a task, when the participant terminal accesses the application and inputs member information, the usability test server verifies the member information and approves the login, and the usability test server displays the generated task, And performing a test by selecting one of the displayed tasks by the participant terminal, and transmitting a test result to the usability test server.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태스크 생성 템플릿을 사용성 테스트 서버에 요청하고, 타겟정보, 목표정보, 설문정보, 리워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태스크 생성정보를 입력하여 사용성 테스트 서버에 전송하는 의뢰자 단말기와, 상기 의뢰자 단말기에 태스크 생성 템플릿을 제공하고, 상기 의뢰자 단말기가, 수신된 태스크 생성 템플릿에 기초하여 입력한 태스크 생성정보에 기초하여 태스크를 생성하는 사용성 테스트 서버와, 상기 사용성 테스트 서버로부터 생성된 태스크 중 하나를 선택하여 테스트를 수행하고 테스트 결과를 상기 사용성 테스트 서버에 전송하는 참여자 단말기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o an application, requests a task creation template from a usability test server, inputs task crea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arget information, target information, questionnaire information, and reward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usability test server; , A usability test server that provides a task creation template to the client terminal, and generates a task based on the task creation information inputted by the client terminal based on the received task creation template, and a task generated from the usability test server And a participant terminal that selects one of and performs a test and transmits a test result to the usability test server.

본 발명에 의하면, 의뢰자가 직접 사용성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한 태스크를 생성할 수 있어 보다 만족도가 높고 정확한 사용성 테스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client can directly create a task for performing a usability test, it is possible to obtain more satisfactory and accurate usability test results.

또한, 참여자는 사용성 테스트를 수행하고 자동으로 리워드를 수령할 수 있어 보다 성실하게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participants can perform usability tests and automatically receive rewards, so they can perform tests more faithfully.

또한, 사용성 테스트 서버는 불량참여자를 분류할 수 있어 사용성 테스트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ability test server can classify bad participants,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usability test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서비스의 사용성 테스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성 테스트 시스템의 사용성 테스트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서비스의 사용성 테스트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온라인 서비스의 사용성 테스트 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testing usability of an onlin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usability test server of a usability tes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testing usability of an onlin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diagrams illustrating a usability test system for an onlin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llustrativ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disclosed forms, and includes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herei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presence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liminarily excluded.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서비스의 사용성 테스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testing usability of an onlin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온라인 서비스의 사용성 테스트 시스템은 무선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이 가능한 사용성 테스트 서버(100), 의뢰자 단말기(200), 참여자 단말기(300)로 구성된다. 무선통신망은 근거리 통신망(LAN), 도시권통신망(MAN), 광역통신망(WAN)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usability test system for an online service is composed of a usability test server 100, a client terminal 200, and a participant terminal 300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composed of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a local area communication network (LAN), an urban area communication network (MAN), and a wide area communication network (WAN).

사용성 테스트 서버(100)는 의뢰자 단말기(200)가 사용성 테스트를 위한 태스크를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을 저장하며, 의뢰자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라 태스크 생성 템플릿을 제공할 수 있다.The usability test server 100 stores a template for the client terminal 200 to create a task for usability testing, and may provide a task creation template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client terminal 200.

의뢰자 단말기(200)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사용성 테스트를 위한 테스크가 생성되면, 참여자 단말기에 제공되어 사용성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When a task for a usability test is generated according to information input by the client terminal 200, it is provided to the participant terminal to perform a usability test.

의뢰자 단말기(200)와 참여자 단말기(300)는 휴대폰, 스마트폰, 테블릿PC, 데스크탑PC 등과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성 테스트 서버(100)와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ient terminal 200 and the participant terminal 300 may include devices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with the usability test server 100 through a network,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a desktop PC.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성 테스트 시스템의 사용성 테스트 서버의 구성도이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usability test server of a usability tes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성 테스트 서버(100)는 태스크템플릿제공부(110), 태스크생성부(120), 테스트결과검증부(130), 결과리포트생성부(140), 제어부(150), 리워드부(160), 저장부(170), 과금부(180), 통신부(190)로 구성된다.2, the usability test server 100 includes a task template providing unit 110, a task generating unit 120, a test result verification unit 130, a result report generation unit 140, a control unit 150, and a reward. It consists of a unit 160, a storage unit 170, a billing unit 180, and a communication unit 190.

태스크템플릿제공부(110)는 태스크를 생성하기 위해 의뢰자 단말기(200)에 템플릿을 제공할 수 있다. 의뢰자 단말기(200)가 사용성 테스트를 위해 생성할 태스크와 관련된 타겟정보, 목표정보, 설문정보, 리워드정보를 입력하도록 템플릿을 제공할 수 있다.The task template providing unit 110 may provide a template to the requester terminal 200 to generate a task. A template may be provided so that the client terminal 200 inputs target information, target information, questionnaire information, and reward information related to a task to be generated for the usability test.

상기 타겟정보는 사용성 테스트를 수행할 참여자들을 특정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타겟팅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특정기준은 성별, 연령대, 소득, SNS, 종료, 학력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타겟정보는 하나의 태스크에서 의뢰자가 여러 타겟정보를 선택될 수 있다. 즉, 참여자 단말기에서 의뢰자가 설정한 특정기준에 따라 태스크가 표시되거나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The target information may target participants who will perform the usability test by classifying them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For example, the specific criterion may be at least one of gender, age group, income, SNS, termination, and educ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for the target information, a client may select multiple target information in one task. That is, the task may or may not be displayed in the participant terminal according to the specific criteria set by the client.

상기 목표정보는 참여자 단말기가 수행해야할 행동을 안내하는 정보로서, 의뢰자가 서비스 사용자에게 바라는 행동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목표정보는 각 목표를 통해서 확인하고 싶은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표정보는 테스트를 수행하는 예상 소요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표정보는 각 목표를 시작할 인터넷 주소(URL)를 포함할 수 있다.The target information is information guiding an action to be performed by the participant terminal, and may be composed of actions that the client desires from the service user. The target information may include content desired to be checked through each target. In addition, the target information may include an estimated time required to perform the test. The target information may include an Internet address (URL) to start each target.

상기 설문정보는 사용성 테스트가 종료된 후 참여자에게 요청할 설문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The questionnaire information may include questionnaire content to be requested from the participant after the usability test is finished.

상기 리워드정보는 사용성 테스트를 완료한 후 참여자에게 제공할 리워드를 설정할 수 있다. The reward information may set a reward to be provided to a participant after the usability test is completed.

태스크생성부(120)는 의뢰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타겟정보, 목표정보, 설문정보, 리워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태스크 생성정보에 기초하여 태스크를 생성할 수 있다. The task generator 120 may generate a task based on task gen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arget information, target information, questionnaire information, and rewar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lient terminal 200.

태스크생성부(120)는 생성된 태스크에 대해 테스트를 수행할 타겟을 지정할 수 있다. 즉, 의뢰자가 설정한 특정기준에 부합하는 참여자에게 테스트를 수행하도록 타켓팅을 할 수 있다. 하나의 태스크에 다양한 타겟을 매칭할 수 있다. The task generator 120 may designate a target to perform a test on the generated task.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target a participant who meets the specific criteria set by the client to perform the test. Various targets can be matched to one task.

태스크생성부(120)는 태스크 별 예상시간을 자동 계산할 수 있으며, 목표 예상 소요시간과 목표 설문 예상 소요시간의 합으로 계산될 수 있다. 또한, 타겟 별 예상시간을 자동 계산할 수 있으며, 타겟 별 목표 예상 소요시간과 타겟 별 목표 성문 예상 소요시간과 최종설문 예상 소요시간의 합으로 계산될 수 있다. The task generation unit 120 may automatically calculate the estimated time for each task, and may be calculated as a sum of the estimated target time and the estimated time required for a target survey. In addition, the estimated time for each target may be automatically calculated, and may be calculated as the sum of the estimated time required for each target, the estimated time required for the target voiceprint and the estimated time required for the final survey.

테스트 결과 검증부(130)는 참여자단말기로부터 테스트가 수행되면 테스트를 수행한 참여자 정보, 목표 수행 실제 시간과 목표 수행 경로를 수집할 수 있다.When the test is performed from the participant terminal, the test result verification unit 130 may collect information on the participant who performed the test, an actual time for performing the target, and a path for performing the target.

테스트결과검증부(130)는 목표달성여부 수동확인 페이지에서 참여자가 입력한 값과, 목표달성여부 페이지에서 관리자가 입력한 값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여 점수의 합이 15가 초과하는 참여자는 불량참여자로 분류할 수 있다. The test result verification unit 130 assigns a score according to the value entered by the participant on the manual confirmation page for achieving the goal and the value entered by the administrator on the page for achieving the goal. It can be classified as

테스트결과검증부(130)는 아래의 수식에 의해 불랑참여자를 분류할 수 있다. g(%) = [(b-f)/b](%),이때, b는 태스크별 예상시간, f는 참여자가 실제로 태스크를 수행한 시간.The test result verification unit 130 may classify the bullying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g(%) = [(b-f)/b](%), where b is the estimated time per task, f is the time the participant actually performed the task.

테스트결과검증부(130)는 불량함수(g)의 크기를 비교하여 아래의 표와 같이 점수를 부여할 수 있고, 점수의 합이 -780이 되면 불량참여자로 분류할 수 있다.The test result verification unit 130 may compare the size of the defect function g and assign a score as shown in the table below, and when the sum of the scores becomes -780, it may be classified as a defective participant.

불량함수 g(%)Defective function g(%) 목표성공Goal success 목표실패Goal failure 300% ~ 300% ~ 00 -260-260 250%~299%250%~299% 5050 -130-130 200%~249%200%~249% 8080 -80-80 150%~199%150%~199% 130130 5050 100%~149%100%~149% 130130 130130 0~99%0~99% 210210 210210 -1%~-10%-1%~-10% 210210 210210 -11%~-20%-11%~-20% 130130 130130 -21%~-30%-21%~-30% 130130 5050 -31%~-50%-31%~-50% 8080 -80-80 -51%~-70%-51%~-70% 5050 -130-130 -71%~-90%-71%~-90% 00 -210-210 -91%~-100%-91%~-100% 00 -260-260

또한, 테스크결과검증부(130)는 설문조사 답변 단어의 수 또는 답변의 시간에 따라 불량참여자로 분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ask result verification unit 130 may classify as a defective participa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words to answer the questionnaire or the time of the answer.

결과리포트생성부(140)는 태스크에 포함된 목표정보, 타겟정보, 태스크별 예상 소요시간, 태스크별 평균 달성 시간, 태스크별 평균 달성률에 기초하여 결과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각 태스크를 진행한 타겟과 해당 타겟의 참여자 수를 리포트할 수 있고, 각 타겟별로 타겟에 속한 모든 참여자가 어떤 경로로 태스크를 수행했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설문 결과를 포함하는 결과 리포트에 생성할 수 있다.The result report generator 140 may generate a result report based on targe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ask, target information, estimated time required for each task, average achievement time for each task, and average achievement rate for each task. In this case, the target who performed each task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of the target may be reported, and for each target, all participants belonging to the target may display the path through which the task was performed. Furthermore, it can be generated in a result report including the survey result.

제어부(150)는 사용성 테스트 서버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관련한 프로세스의 처리를 제어하며, 사용성 테스트 서버(100)의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150 controls processing of a process related to the execution of software running in the usability test server,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usability test server 100.

리워드부(160)는 의뢰자단말기가 입력한 태스크에 따른 리워드를 계산하고, 리워드를 참여자 단말기(3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리워드는 태스크에 따른 리워드, 타겟에 따른 리워드, 테스트에 따른 리워드를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The reward unit 160 may calculate a reward according to a task input by the client terminal and provide the reward to the participant terminal 300. In this case, the reward may automatically calculate a reward for a task, a reward for a target, and a reward for a test.

저장부(170)는 의뢰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태스크 생성 템플릿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의뢰자 정보, 참여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과금부(180)는 의뢰자가 생성한 태스크에 기초하여 비용을 정산하여 청구할 수 있다. 통신부(190)는 의뢰자 단말기(200)와 참여자 단말기(300)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70 may store a task creation template to be provided to the requester terminal 200.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tore client information and participant information. The billing unit 180 may settle and charge the cost based on the task generated by the client. The communication unit 19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client terminal 200 and the participant terminal 30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서비스의 사용성 테스트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온라인 서비스의 사용성 테스트 방법은 먼저 의뢰자 단말기(200)가,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태스크 생성 템플릿을 사용성 테스트 서버(100)에 요청하면(S301), 사용성 테스트 서버(100)가 의뢰자 단말기(200)에 태스크 생성 템플릿한다(S303).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testing usability of an onlin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in the usability test method of the online service, when the client terminal 200 accesses the application and requests a task creation template from the usability test server 100 (S301), the usability test server 100 A task creation template is performed on the terminal 200 (S303).

의뢰자 단말기(200)가 수신된 태스크 생성 템플릿에 기초하여 타겟정보, 목표정보, 설문정보, 리워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태스크 생성정보를 입력하고(S305), 입력된 테스크 생성정보를 사용성 테스트 서버(100)에 전송한다(S307).The client terminal 200 inputs task gen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arget information, target information, questionnaire information, and reward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task creation template (S305), and uses the input task generation information to the usability test server. It transmits to (100) (S307).

사용성 테스트 서버(100)가 수신된 상기 태스크 생성정보에 기초하여 태스크를 생성한다(S309).The usability test server 100 generates a task based on the received task generation information (S309).

참여자 단말기(300)가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회원 정보를 입력하면(S311), 사용성 테스트 서버(100)가 회원 정보를 확인하여 로그인을 승인한다(S313).When the participant terminal 300 accesses the application and inputs member information (S311), the usability test server 100 verifies the member information and approves the login (S313).

사용성 테스트 서버(100)가 생성된 태스크를 표시하여 참여자 단말기(300)에 제공하고(S315), 상기 참여자 단말기가 표시된 태스크 중 하나를 선택하여 테스트를 수행한다(S317).The usability test server 100 displays the generated task and provides it to the participant terminal 300 (S315), and the participant terminal selects one of the displayed tasks to perform a test (S317).

참여자단말기(300)는 테스트 결과를 상기 사용성 테스트 서버에 전송한다(S319).The participant terminal 300 transmits the test result to the usability test server (S319).

사용성 테스트 서버(100)가 참여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테스트 결과에 기초하여 테스트 결과를 검증한다(S321). 사용성 테스트 서버(100)가 검증 결과에 기초하여 결과리포트를 생성하여 의뢰자 단말기(100)에 전송한다.The usability test server 100 verifies the test result based on the test result received from the participant terminal 300 (S321). The usability test server 100 generates a result report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 and transmits it to the client terminal 100.

사용성 테스트서버(100)가 테스트 결과에 기초하여 참여자 단말기(300)에 대한 리워드를 계산하고, 계산된 리워드를 참여자 단말기(300)에게 제공한다(S325).The usability test server 100 calculates a reward for the participant terminal 300 based on the test result, and provides the calculated reward to the participant terminal 300 (S325).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온라인 서비스의 사용성 테스트 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다.4 to 6 are diagrams illustrating a usability test system for an onlin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참여자 단말기(300)에서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으로서, 도 4(a)는 사용성 테스트 서버(100)에서 생성한 태스크를 도시하며, 목표정보와 소요시간, 리워드가 도시될 수 있다. 참여자 단말기(300)가 태스크를 선택하면 해당 태스크에 대한 목표정보가 구체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도 4(b)). 이때, 목표정보는 도전과제로서 여러 단계로 나누어서 도시될 수 있으며 참여자가 단계별로 목표정보에 따라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4 to 6, as an application screen displayed on the participant terminal 300, FIG. 4(a) shows a task created by the usability test server 100, and target information, time required, and rewards are shown. Can be. When the participant terminal 300 selects a task, target information for the task may be specifically shown (FIG. 4(b)). In this case, the target information may be divided into several stages as a challenge, and the participant may perform a test according to the goal information step by step.

단계별 도전과제를 선택하면, 화면 상단에는 진행중인 과제 상세보기 아이콘과, 화면 하단에는 코멘트남기기 아이콘, 도전 완료 또는 포기 아이콘, 전체화면보기 아이콘이 도시될 수 있다. 단계별 도전과제는 사용자가 생성한 태스크를 도시할 수 있으며, 예컨대 나만의 장소, 이 주의 코스 등 과제 수행에 필요한 정보가 도시될 수 있다(도 5(b)).When a step-by-step challenge is selected, an ongoing task detail view icon, a comment leave icon, a challenge completion or abandonment icon, and a full screen view icon may be shown at the bottom of the screen. The step-by-step challenge may show a task created by the user, and information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task, such as a place of my own or a course of this week, may be shown (FIG. 5(b)).

단계별 도전과제에 대한 테스트 수행 중에 축소아이콘을 선택하면 전체화면이 종료되어 화면 이동이 가능하다(도 6(a)). 참여자가 사용성 테스트를 종료하면 리워드 받기 안내 페이지가 도시될 수 있다(도 6(b)). 이때, 모든 태스크에 대한 테스트가 종료되어야 리워드를 받을 수 있다. 즉, 참여자 단말기(3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통해 사용성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If the reduction icon is selected while performing the test for the step-by-step challenge, the entire screen is ended and the screen can be moved (Fig. 6(a)). When the participant ends the usability test, a reward receiving guide page may be shown (FIG. 6(b)). At this time, you can receive rewards only when testing for all tasks is completed. That is, the participant terminal 300 may perform a usability test through the application screens shown in FIGS. 4 to 6.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ttached registration claims.

100; 사용성 테스트 서버 110; 테스트 템플릿 제공부
120; 테스트 생성부 130; 테스트 검증부
140; 결과리포트 생성부 150; 제어부
160; 리워드부 170; 저장부
180; 과금부 190; 통신부
200; 의뢰자 단말기 300; 참여자 단말기
100; Usability test server 110; Test template provider
120; Test generation unit 130; Test Verification Department
140; Result report generation unit 150; Control unit
160; Reward 170; Storage
180; Billing unit 190; Communication Department
200; Client terminal 300; Participant terminal

Claims (5)

온라인 서비스의 사용성 테스트 방법에 있어서,
의뢰자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태스크 생성 템플릿을 사용성 테스트 서버에 요청하면, 사용성 테스트 서버가 상기 의뢰자 단말기에 태스크 생성 템플릿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의뢰자 단말기가, 수신된 태스크 생성 템플릿에 기초하여 타겟정보, 목표정보, 설문정보, 리워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하고, 입력된 태스크 생성정보를 사용성 테스트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성 테스트 서버가, 수신된 상기 태스크 생성정보에 기초하여 태스크를 생성하는 단계;
참여자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회원 정보를 입력하면, 사용성 테스트 서버가 회원 정보를 확인하여 로그인을 승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성 테스트 서버가 생성된 상기 태스크를 표시하면, 상기 참여자 단말기가 표시된 태스크 중 하나를 선택하여 테스트를 수행하고 테스트 결과를 상기 사용성 테스트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성 테스트 서버가, 참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테스트 결과에 기초하여 테스트 결과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성 테스트 서버는 테스트 결과 검증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 결과 검증부는 참여자단말기로부터 테스트가 수행되면 테스트를 수행한 참여자 정보, 목표 수행 실제 시간과 목표 수행 경로를 수집하되, 목표달성여부 수동확인 페이지에서 참여자가 입력한 값과, 목표달성여부 페이지에서 관리자가 입력한 값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여 점수의 합이 15가 초과하는 참여자는 불량참여자로 분류하고, 아래의 수식에 의해 불랑참여자를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의 사용성 테스트 방법.
g(%) = [(b-f)/b](%),이때, b는 태스크별 예상시간, f는 참여자가 실제로 태스크를 수행한 시간.
In the online service usability test method,
When the client terminal accesses the application and requests a task creation template from the usability test server, the usability test server provides the task creation template to the client terminal;
Inputting, by the requester terminal, at least one of target information, target information, questionnaire information, and reward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task creation template, and transmitting the input task generation information to a usability test server;
Generating, by the usability test server, a task based on the received task generation information;
When the participant terminal accesses the application and inputs member information, the usability test server verifies the member information and approves login; And
When the usability test server displays the generated task, the participant terminal selects one of the displayed tasks, performs a test, and transmits a test result to the usability test server;
Including, by the usability test server, verifying the test result based on the test result received from the participant terminal,
The usability test server includes a test result verification unit,
When the test is performed from the participant's terminal, the test result verification unit collects information on the participant who performed the test, the actual time of the target execution, and the target execution path, but the value entered by the participant on the manual confirmation page for target achievement, and the target achievement page A method for testing usability of an online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core is assigned according to a value input by a manager, and a participant with a sum of scores exceeding 15 is classified as a bad participant, and the bad participant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g(%) = [(bf)/b](%), where b is the estimated time per task, f is the time the participant actually performed the task.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성 테스트 서버가, 검증 결과에 기초하여 결과리포트를 생성하여 의뢰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서비스의 사용성 테스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usability test server generating a result report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 and transmitting it to the client termin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성 테스트서버가, 테스트 결과에 따른 참여자 단말기에 대한 리워드를 계산하고, 계산된 리워드를 참여자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서비스의 사용성 테스트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usability testing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calculating, by the usability test server, a reward for the participant terminal according to the test result, and providing the calculated reward to the participant terminal.
온라인 서비스의 사용성 테스트 시스템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태스크 생성 템플릿을 사용성 테스트 서버에 요청하고, 타겟정보, 목표정보, 설문정보, 리워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태스크 생성정보를 입력하여 사용성 테스트 서버에 전송하는 의뢰자 단말기;
상기 의뢰자 단말기에 태스크 생성 템플릿을 제공하고, 상기 의뢰자 단말기가, 수신된 태스크 생성 템플릿에 기초하여 입력한 태스크 생성정보에 기초하여 태스크를 생성하는 사용성 테스트 서버;
상기 사용성 테스트 서버로부터 생성된 태스크 중 하나를 선택하여 테스트를 수행하고 테스트 결과를 상기 사용성 테스트 서버에 전송하는 참여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성 테스트 서버는 테스트 결과 검증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 결과 검증부는 참여자단말기로부터 테스트가 수행되면 테스트를 수행한 참여자 정보, 목표 수행 실제 시간과 목표 수행 경로를 수집하되, 목표달성여부 수동확인 페이지에서 참여자가 입력한 값과, 목표달성여부 페이지에서 관리자가 입력한 값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여 점수의 합이 15가 초과하는 참여자는 불량참여자로 분류하고, 아래의 수식에 의해 불랑참여자를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의 사용성 테스트 시스템.
g(%) = [(b-f)/b](%),이때, b는 태스크별 예상시간, f는 참여자가 실제로 태스크를 수행한 시간.
In the online service usability test system,
A requester terminal for accessing the application to request a task creation template from a usability test server, inputting task gen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arget information, target information, questionnaire information, and reward information to the usability test server;
A usability test server that provides a task creation template to the client terminal, and generates a task based on the task cre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client terminal based on the received task creation template;
Including; a participant terminal for selecting one of the tasks generated from the usability test server to perform a test and transmit a test result to the usability test server,
The usability test server includes a test result verification unit,
When the test is performed from the participant's terminal, the test result verification unit collects information on the participant who performed the test, the actual time of the target execution, and the target execution path, but the value entered by the participant on the manual confirmation page for target achievement, and the target achievement page A usability testing system for an online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core is assigned according to a value entered by an administrator, and a participant whose sum of scores exceeds 15 is classified as a bad participant, and the bad participant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g(%) = [(bf)/b](%), where b is the estimated time per task, f is the time the participant actually performed the task.
KR1020190028777A 2019-03-13 2019-03-13 Usability testing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services KR1022006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777A KR102200646B1 (en) 2019-03-13 2019-03-13 Usability testing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ser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777A KR102200646B1 (en) 2019-03-13 2019-03-13 Usability testing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ser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562A KR20200109562A (en) 2020-09-23
KR102200646B1 true KR102200646B1 (en) 2021-01-08

Family

ID=72708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777A KR102200646B1 (en) 2019-03-13 2019-03-13 Usability testing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servi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64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8654B1 (en) 2021-09-06 2023-12-27 주식회사 유저커넥트 Method for customer market research of non-face-to-face type
KR20230161716A (en) 2022-05-19 2023-11-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sing test of usability
KR102527621B1 (en) * 2022-07-11 2023-05-16 주식회사 리오랩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user-customized metaverse-based usability test
KR102484523B1 (en) * 2022-07-11 2023-01-09 주식회사 리오랩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participant's behavior in metaverse-based usability tes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1212B1 (en) * 2016-12-30 2017-12-21 (주)씽크포비엘 Method and apparatus for diy usability test
KR101811211B1 (en) 2016-12-30 2017-12-21 (주)씽크포비엘 Method and apparatus for usability test based on big data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65521B2 (en) * 2002-08-29 2010-07-27 Jeffrey F Bryant Configuration engine
KR20170059621A (en) * 2015-11-23 2017-05-31 주식회사 넥스트코어 Method and server for developing application by prototyping and usability evaluation
KR101814710B1 (en) * 2016-05-09 2018-01-04 (주)모나와 Compensation method of application tes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1212B1 (en) * 2016-12-30 2017-12-21 (주)씽크포비엘 Method and apparatus for diy usability test
KR101811211B1 (en) 2016-12-30 2017-12-21 (주)씽크포비엘 Method and apparatus for usability test based on big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562A (en)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0646B1 (en) Usability testing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services
US20230214934A1 (en) Interactive data system and process
KR101804960B1 (en) Collective intelligence convergence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4066053B (en) A kind of mobile post-sell service method
CN107194743B (en) A kind of network surveying questionnaire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US10229425B2 (en) User terminal queue with hyperlink system access
US20010053967A1 (en) Virtual summary jury trial and dispute resolution method and systems
CN108288179B (en) User preference house source calculation method and system
US20140052853A1 (en) Unmoderated Remote User Testing and Card Sorting
JP2017514241A (en)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US20220076851A1 (en) Patient and service provider remote interac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CN106878043B (en) Servic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20180158090A1 (en) Dynamic real-time service feedback communication system
Supriyanto et al. E-gov readiness assessment to determine E-government maturity phase
US20060190319A1 (en) Realtime, structured, paperless research methodology for focus groups
EP4027229A1 (en) Interactive input assistance system and interactive input assistance method
KR20200056153A (en) The matching method for a part―time job and system therefor
US20130262473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reviewing file management
US201400467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yalty related electronic communication exchange
US20150242802A1 (en) Distributed learning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a sales pitch
KR20200042656A (en) Lecturer recommendation system by lecturer evaluation with stage
KR102233665B1 (en) Method for recruiting by using job application mobile app
CN107093063A (en) A kind of manpower data network interactive approach and device
US20160148161A1 (en) System for managing online transactions involving voice talent
CN114023465A (en) Session process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