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370B1 - 컴퓨터 프로그램의 콘텐츠 복사 및 붙여넣기 실행 시스템, 그 방법 및 그 실행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컴퓨터 프로그램의 콘텐츠 복사 및 붙여넣기 실행 시스템, 그 방법 및 그 실행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370B1
KR102179370B1 KR1020200071817A KR20200071817A KR102179370B1 KR 102179370 B1 KR102179370 B1 KR 102179370B1 KR 1020200071817 A KR1020200071817 A KR 1020200071817A KR 20200071817 A KR20200071817 A KR 20200071817A KR 102179370 B1 KR102179370 B1 KR 102179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paste
copy
virtual butt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희진
Original Assignee
신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희진 filed Critical 신희진
Priority to KR1020200071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3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3User-generated data transfer, e.g. clipboards, dynamic data exchange [DDE], object linking and embedding [O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0098Register arrangements
    • G06F9/3012Organisation of register space, e.g. banked or distributed register file
    • G06F9/3013Organisation of register space, e.g. banked or distributed register file according to data content, e.g. floating-point registers, address regi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프로그램의 콘텐츠 복사 및 붙여넣기 실행 시스템, 그 방법 및 그 실행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는 문자열, 자료, 파일 및 객체를 포함하는 콘텐츠 중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콘텐츠들에 대한 별도의 메모리 기능을 지원하여 필요 시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붙여넣기 하는데 있다.
일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복사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 선택된 해당 콘텐츠를 복사하는 콘텐츠 복사부; 상기 콘텐츠 복사부를 통해 복사된 콘텐츠를 각각 저장하되, 복사된 콘텐츠에 대한 식별정보를 부여한 후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붙여넣기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붙여넣기하는 콘텐츠 붙여넣기부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콘텐츠 복사 및 붙여넣기 실행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컴퓨터 프로그램의 콘텐츠 복사 및 붙여넣기 실행 시스템, 그 방법 및 그 실행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SYSTEM FOR EXECUTING COPY AND PASTE OF CONTENTS OF COMPUTER PROGRAM,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STORED PROGRAM EXECUTABLE BY COMPUTER THE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콘텐츠 복사 및 붙여넣기 실행 시스템, 그 방법 및 그 실행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는 문자열, 자료, 파일 및 객체를 포함하는 콘텐츠의 복사 및 붙여넣기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객체 지향형(object-oriented) 운영 체계 프로그램(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 운영 체계 프로그램 등)은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 또는 서로 다른 응용 프로그램간의 선택된 정보를 복사하거나 이동하기 위하여 클립보드
(clipboard)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이는 객체 지향형 프로그램이 갖는 개체 연결 및 포함(OLE: Object Linking and Embedding), 동적 자료 교환(DDE: Dynamic Data Exchange) 등의 기술에 의하여 하나의 작업 대상인 객체(object)를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필요한 영역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클립보드는 자신의 프로그램 내부 또는 하나의 프로그램에서 다른 프로그램으로 복사 또는 이동시키기 위하여 선택된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일례로, 클립보드는 사용자가 '복사(COPY)' 또는 '잘라내기(CUT)' 명령 또는 이에 대응하는 핫키를 선택함으로써 활성화된다. 이러한 명령 또는 핫키는 텍스트, 그래픽 이미지 및 임의의 다른 종류의 정보들(예를 들어 파일 등)을 클립보드에 저장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붙여넣기(PASTE)' 명령 또는 이에 대응하는 핫키를 선택하여 클립보드에 저장된 정보를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으로 복사하거나 이동시킨다.
그러나, 클립보드는 한번에 하나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정보를 복사하거나 잘라내어 붙여넣기 작업을 하려면, 첫 번째 정보를 선택하여 복사 또는 잘라내기를 수행해야 하며, 이어서 대상 위치(destination)로 이동하여 붙여넣기 동작을 수행한 다음, 계속해서 두 번째 정보를 복사하고 붙여넣기 하는 등의 반복 작업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임의의 데이터를 편집하는 경우에 하나의 정보만을 기억하는 클립보드를 이용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521338호(등록일자: 2005년10월06일) 등록특허공보 제10-0497376호(등록일자: 2005년06월16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는 문자열, 자료, 파일 및 객체를 포함하는 콘텐츠 중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콘텐츠들에 대한 별도의 메모리 기능을 지원하여 필요 시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붙여넣기 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콘텐츠 복사 및 붙여넣기 실행 시스템, 그 방법 및 그 실행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의 콘텐츠 복사 및 붙여넣기 실행 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복사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 선택된 해당 콘텐츠를 복사하는 콘텐츠 복사부; 상기 콘텐츠 복사부를 통해 복사된 콘텐츠를 각각 저장하되, 복사된 콘텐츠에 대한 식별정보를 부여한 후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붙여넣기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붙여넣기하는 콘텐츠 붙여넣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 복사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사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 해당 콘텐츠의 선택영역 상에 메모리 복사 가상 버튼과 클립보드 복사 가상 버튼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플로팅시켜 표시하는 복사 가상 버튼 표시부; 상기 메모리 복사 가상 버튼의 선택 시 상기 콘텐츠 저장부를 호출하여 선택영역 내에 포함된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지시하는 콘텐츠 저장 지시부; 및 상기 클립보드 복사 가상 버튼의 선택 시 컴퓨터 운영체제에 의해 클립보드로 복사되도록 하는 클립보드 복사 연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저장부는, 상기 콘텐츠 복사부를 통해 복사된 콘텐츠의 종류와 순서에 따른 식별정보를 부여하여 복사된 해당 콘텐츠를 저장하되,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그룹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며, 각 그룹 내 콘텐츠의 복사 순서에 따른 식별정보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붙여넣기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붙여넣기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 메모리 붙여넣기 가상 버튼과 클립보드 붙여넣기 가상 버튼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플로팅시켜 표시하는 붙여넣기 가상 버튼 표시부; 상기 메모리 붙여넣기 가상 버튼의 선택 시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그룹정보와 식별정보를 각각 선택 가능하도록 플로팅시켜 표시하며, 특정 그룹정보와 식별정보의 선택 시 선택된 그룹 내 식별정보로 부여된 콘텐츠를 붙여넣기하는 콘텐츠 붙여넣기 실행부; 및 상기 클립보드 붙여넣기 가상 버튼의 선택 시 상기 클립보드 복사 연동부를 통해 복사된 콘텐츠를 붙여넣기하는 클립보드 붙여넣기 연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붙여넣기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붙여넣기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 메모리 붙여넣기 가상 버튼과 클립보드 붙여넣기 가상 버튼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플로팅시켜 표시하는 붙여넣기 가상 버튼 표시부; 상기 메모리 붙여넣기 가상 버튼의 선택 시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그룹정보와 콘텐츠 미리보기정보를 각각 선택 가능하도록 플로팅시켜 표시하며, 특정 그룹정보와 콘텐츠 미리보기정보의 선택 시 선택된 그룹 내 콘텐츠 미리보기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붙여넣기하는 콘텐츠 붙여넣기 실행부; 및 상기 클립보드 붙여넣기 가상 버튼의 선택 시 상기 클립보드 복사 연동부를 통해 복사된 콘텐츠를 붙여넣기하는 클립보드 붙여넣기 연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의 콘텐츠 복사 및 붙여넣기 실행 시스템은, 상기 콘텐츠 붙여넣기 실행부를 통해 표시되는 그룹정보와 식별정보를 드래그 앤 드랍 및 삭제 아이콘 버튼 선택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삭제하여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를 삭제하는 콘텐츠 삭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저장부는, 상기 콘텐츠 삭제부를 통해 삭제된 콘텐츠에 대한 식별정보를 유지하고, 상기 콘텐츠 복사부를 통한 새로운 콘텐츠의 저장 명령 시 콘텐츠 없이 유지되는 식별정보에 새로운 콘텐츠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붙여넣기 실행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붙여넣기 명령과 동시에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해당 식별정보와 매칭된 콘텐츠를 즉시 붙여넣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의 콘텐츠 복사 및 붙여넣기 실행 방법은, 콘텐츠 복사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복사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 선택된 해당 콘텐츠를 복사하는 콘텐츠 복사 단계; 콘텐츠 저장부가, 상기 콘텐츠 복사 단계를 통해 복사된 콘텐츠를 각각 저장하되, 복사된 콘텐츠에 대한 식별정보를 부여한 후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 단계; 및 콘텐츠 붙여넣기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붙여넣기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 상기 콘텐츠 저장 단계를 통해 저장된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붙여넣기하는 콘텐츠 붙여넣기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의 콘텐츠 복사 및 붙여넣기 실행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는 문자열, 자료, 파일 및 객체를 포함하는 콘텐츠 중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콘텐츠들에 대한 별도의 메모리 기능을 지원하여 필요 시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붙여넣기 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콘텐츠 복사 및 붙여넣기 실행 시스템, 그 방법 및 그 실행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의 콘텐츠 복사 및 붙여넣기 실행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복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복사부의 콘텐츠 복사 및 저장 기능에 대한 실행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붙여넣기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붙여넣기 실행부의 그룹 및 식별정보의 일반 표시를 통한 콘텐츠의 붙여넣기 기능에 대한 실행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붙여넣기 실행부의 그룹 및 식별정보의 미리보기 표시를 통해 콘텐츠의 붙여넣기 기능에 대한 실행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삭제부의 콘텐츠 삭제 기능에 대한 실행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의 콘텐츠 복사 및 붙여넣기 실행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복사 단계의 구성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붙여넣기 단계의 구성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의 콘텐츠 복사 및 붙여넣기 실행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복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복사부의 콘텐츠 복사 및 저장 기능에 대한 실행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붙여넣기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붙여넣기 실행부의 그룹 및 식별정보의 일반 표시를 통한 콘텐츠의 붙여넣기 기능에 대한 실행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붙여넣기 실행부의 그룹 및 식별정보의 미리보기 표시를 통해 콘텐츠의 붙여넣기 기능에 대한 실행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삭제부의 콘텐츠 삭제 기능에 대한 실행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의 콘텐츠 복사 및 붙여넣기 실행 시스템(1000)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는 문자열, 자료, 파일 및 객체를 포함하는 콘텐츠의 복사 및 붙여넣기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PC, 테블릿 PC, 스마트 폰 등의 컴퓨터 장치에 프로그램 패치 형태로 설치되어 각종 컴퓨터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의 콘텐츠 복사 및 붙여넣기 실행 시스템(1000)은 도 1을 참조하면, 콘텐츠 복사부(100), 콘텐츠 저장부(200), 콘텐츠 붙여넣기부(300) 및 콘텐츠 삭제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콘텐츠 복사부(100)는, 컴퓨터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복사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예를 들어, Ctrl+c, 복사하기 메뉴 선택 등) 선택된 해당 콘텐츠를 복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콘텐츠는 문자열, 자료, 파일, 객체(이미지, 이모티콘 등)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컴퓨터 프로그램 상에서 보다 다양한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 복사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사 가상 버튼 표시부(110), 콘텐츠 저장 지시부(120) 및 클립보드 복사 연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사 가상 버튼 표시부(110)는, 컴퓨터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사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예를 들어, Ctrl+c, 복사하기 메뉴 선택 등) 해당 콘텐츠의 선택영역 상에 메모리 복사 가상 버튼과 클립보드 복사 가상 버튼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플로팅시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복사하고자 하는 문자열을 드래그하여 선택하면, '메모리 복사'를 나타내는 가상 버튼과 '클립보드 복사'를 나타내는 가상 버튼이 각각 표시될 수 있으며, 이 중 '메모리 복사'를 나타내는 가상 버튼이 선택되면 컴퓨터 운영체제에 의한 클립보드 복사가 아닌, 별도의 메모리 공간에 저장되기 위한 문자열 복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복사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선택하면, '메모리 복사'를 나타내는 가상 버튼과 '클립보드 복사'를 나타내는 가상 버튼이 각각 표시될 수 있으며, 이 중 '메모리 복사'를 나타내는 가상 버튼이 선택되면 컴퓨터 운영체제에 의한 클립보드 복사가 아닌, 별도의 메모리 공간에 저장되기 위한 이미지 복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복사하고자 하는 파일을 선택하면, '메모리 복사'를 나타내는 가상 버튼과 '클립보드 복사'를 나타내는 가상 버튼이 각각 표시될 수 있으며, 이 중 '메모리 복사'를 나타내는 가상 버튼이 선택되면 컴퓨터 운영체제에 의한 클립보드 복사가 아닌, 별도의 메모리 공간에 저장되기 위한 파일 복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저장 지시부(120)는, 복사 가상 버튼 표시부(110)에 의해 제공되는 메모리 복사 가상 버튼의 선택 시 콘텐츠 저장부(200)를 호출하여 선택영역 내에 포함된 콘텐츠를 콘텐츠 저장부(200)에 저장하도록 지시할 수 있으며, 이때, 저장되는 콘텐츠는 콘텐츠 저장부(200)에 의해 콘텐츠 별로 특정 그룹으로 분류되며 식별정보가 부여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클립보드 복사 연동부(130)는, 클립보드 복사 가상 버튼의 선택 시 컴퓨터 운영체제에 의해 클립보드로 복사되도록 하는 것으로, 컴퓨터 운영체제의 프로그램에 따라 일반적인 복사 모드로 동작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콘텐츠 저장부(200)는, 콘텐츠 복사부(100)를 통해 복사된 콘텐츠를 각각 저장하되, 복사된 콘텐츠에 대한 식별정보를 부여한 후 저장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콘텐츠 저장부(300)는, 콘텐츠 복사부(100)를 통해 복사된 콘텐츠의 종류와 순서에 따른 식별정보를 부여하여 복사된 해당 콘텐츠를 저장하되,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그룹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며, 각 그룹 내 콘텐츠의 복사 순서에 따른 식별정보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열에 대한 '메모리 복사'의 가상 버튼이 선택되면 문자열 복사에 대한 저장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때, 문자열은 콘텐츠 중 '그룹 1'로 분류되고, '그룹 1' 내에서 첫 번째 복사 대상인 경우 '1번'이라는 식별정보가 부여된 상태로 해당 문자열이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컴퓨터 장치의 각종 프로그램 사용 간에 원하는 또 다른 문자열을 추가로 저장하고자 한다면 상기와 같은 복사 과정을 거친 후 두 번째 복사 대상에 해당됨에 따라 '그룹 1'이라는 그룹정보와 '2번'이라는 식별정보가 부여된 후 컴퓨터 장치의 메모리에 할당된 저장 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에 대한 '메모리 복사'의 가상 버튼이 선택되면 이미지 복사에 대한 저장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때, 이미지는 콘텐츠 중 '그룹 2'로 분류되고, '그룹 2' 내에서 첫 번째 복사 대상인 경우 '1번'이라는 식별정보가 부여된 상태로 해당 이미지가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컴퓨터 장치의 각종 프로그램 사용 간에 원하는 또 다른 이미지를 추가로 저장하고자 한다면 상기와 같은 복사 과정을 거친 후 두 번째 복사 대상에 해당됨에 따라 '그룹 2'라는 그룹정보와 '2번'이라는 식별정보가 부여된 후 컴퓨터 장치의 메모리에 할당된 저장 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에 대한 '메모리 복사'의 가상 버튼이 선택되면 파일 복사에 대한 저장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때, 파일은 콘텐츠 중 '그룹 3'으로 분류되고, '그룹 3' 내에서 첫 번째 복사 대상인 경우 '1번'이라는 식별정보가 부여된 상태로 해당 파일이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컴퓨터 장치의 각종 프로그램 사용 간에 원하는 또 다른 문자열을 추가로 저장하고자 한다면 상기와 같은 복사 과정을 거친 후 두 번째 복사 대상에 해당됨에 따라 '그룹 3'이라는 그룹정보와 '2번'이라는 식별정보가 부여된 후 컴퓨터 장치의 메모리에 할당된 저장 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붙여넣기부(300)는, 컴퓨터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붙여넣기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 콘텐츠 저장부(200)에 저장된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붙여넣기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콘텐츠 붙여넣기부(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붙여넣기 가상 버튼 표시부(310), 콘텐츠 붙여넣기 실행부(320) 및 클립보드 붙여넣기 연동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붙여넣기 가상 버튼 표시부(3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붙여넣기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예를 들어, Ctrl+v, 붙여넣기 메뉴 선택 등) 메모리 붙여넣기 가상 버튼과 클립보드 붙여넣기 가상 버튼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플로팅시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서작성 프로그램의 작성 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붙여넣기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메모리 붙여넣기'의 가상 버튼과 '클립보드 붙여넣기'의 가상 버튼이 플로팅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 붙여넣기'의 가상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이전에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는데, 이때 각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그룹정보 'G1', 'G2', 'G3'와 식별정보 '1, 2, 3, 4, 5', '1, 2, 3', '1, 2'를 각각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붙여넣기 실행부(320)는, 메모리 붙여넣기 가상 버튼의 선택 시 콘텐츠 저장부(200)에 저장된 그룹정보와 식별정보를 각각 선택 가능하도록 플로팅시켜 표시하며, 특정 그룹정보와 식별정보의 선택 시 선택된 그룹 내 식별정보로 부여된 콘텐츠를 붙여넣기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정보 'G1', 'G2', 'G3'와 식별정보 '1, 2, 3, 4, 5', '1, 2, 3', '1, 2' 중 G1의 '1'을 선택하면 문자열 그룹 중 1번과 매칭된 문자열이 문서에 붙여넣기되고, G2의 '1'을 선택하면 이미지 그룹 중 1번과 매칭된 문자열이 문서에 붙여넣기되고, G3의 '1'을 선택하면 파일 그룹 중 1번과 매칭된 문자열이 문서에 붙여넣기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붙여넣기 실행부(320)는, 메모리 붙여넣기 가상 버튼의 선택 시 콘텐츠 저장부(200)에 저장된 그룹정보와 콘텐츠 미리보기정보를 각각 선택 가능하도록 플로팅시켜 표시하며, 특정 그룹정보와 콘텐츠 미리보기정보의 선택 시 선택된 그룹 내 콘텐츠 미리보기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붙여넣기 할 수 있다.
즉, '메모리 붙여넣기'의 가상 버튼 선택 시 각 그룹 별로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미리보기정보가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열 그룹 1에 저장된 문자열들이 작은 이미지로 각각 표시되고, 해당 이미지가 선택되면 그와 관련하여 저장되어 있는 문자열이 붙여넣기될 수 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그룹 2에 저장된 이미지들이 작은 이미지로 각각 표시되고, 해당 이미지가 선택되면 그와 관련하여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가 붙여넣기될 수 있으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그룹 3에 저장된 파일들이 작은 이미지로 각각 표시되고, 해당 이미지가 선택되면 그와 관련하여 저장되어 있는 파일이 붙여넣기될 수 있다. 이때, 붙여넣기 된 파일은 아이콘 형태로 붙여넣기 되어 해당 아이콘 선택 시 해당 파일이 실행되는 형태로 제공되거나, 파일 내 저장된 내용들이 모두 붙여넣기되는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붙여넣기 실행부(3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붙여넣기 명령과 동시에 콘텐츠 저장부(200)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해당 식별정보와 매칭된 콘텐츠를 즉시 붙여넣기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여 '메모리 붙여넣기'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식별정보가 가리키는 숫자가 어떠한 콘텐츠인지 사용자가 미리 알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자주 사용하는 콘텐츠인 경우에는 그룹정보와 식별정보를 잘 알고 있으므로, 시간 절약을 위하여 해당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며, 이러한 경우 콘텐츠에 대한 그룹정보와 식별정보가 선택 가능하도록 플로팅되나 '메모리 붙여넣기'의 가상 버튼 선택 후 그룹정보와 식별정보를 핫축키로 사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입력하면 즉시 해당 콘텐츠가 문서에 붙여넣기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G11'은 그룹 1의 1번 콘텐츠를 나타내는 것으로 'G11'에 해당하는 문자열이 즉시 붙여넣기되고, 'G21'은 그룹 2의 1번 콘텐츠를 나타내는 것으로 'G21'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즉시 붙여넣기되고, 'G31'은 그룹 3의 1번 콘텐츠를 나타내는 것으로 'G31'에 해당하는 파일이 즉시 붙여넣기될 수 있다.
상기 클립보드 붙여넣기 연동부(330)는, 클립보드 붙여넣기 가상 버튼의 선택 시 클립보드 복사 연동부(130)를 통해 복사된 콘텐츠를 붙여넣기할 수 있다. 즉, 클립보드 붙여넣기 가상 버튼의 선택 시 컴퓨터 운영체제에 의해 클립보드로 복사되도록 하는 것으로, 컴퓨터 운영체제의 프로그램에 따라 일반적인 복사 모드로 동작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콘텐츠 삭제부(400)는, 콘텐츠 붙여넣기 실행부를 통해 표시되는 그룹정보와 식별정보를 드래그 앤 드랍 및 삭제 아이콘 버튼 선택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삭제하여 콘텐츠 저장부(200)에 저장된 콘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콘텐츠 미리보기(식별정보 플로팅 타입도 동일함) 플로팅 창에서 삭제하고자 하는 미리보기 이미지를 해당 창 밖으로 드래그 앤 드랍하면 자동 삭제될 수 있으며, 미리보기 이미지 별 별도의 삭제 아이콘(해당 이미지의 우측 상단에 x자 표시로 구현 가능)을 선택하여 삭제할 수도 있다.
한편, 콘텐츠 저장부(200)는, 콘텐츠 삭제부(400)를 통해 삭제된 콘텐츠에 대하여 식별정보를 유지하고, 콘텐츠 복사부(100)를 통한 새로운 콘텐츠의 저장 명령 시 콘텐츠 없이 유지되는 식별정보에 새로운 콘텐츠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열 그룹 1에서 '1~5번'의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사용자가 '3번' 콘텐츠를 삭제한 후, 새로운 문자열을 복사/저장하는 경우 해당 문자열에 '6번'의 식별정보가 부여되는 것이 아니라 콘텐츠가 비어 있는 '3번'의 식별정보가 부여될 수 있다. 이후, '1~5번'의 식별정보에 콘텐츠가 모두 매칭되어 있은 경우 새로운 문자열을 복사/저장하게 되면 해당 문자열은 '6번'의 식별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의 콘텐츠 복사 및 붙여넣기 실행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복사 단계의 구성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붙여넣기 단계의 구성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의 콘텐츠 복사 및 붙여넣기 실행 시스템(1000)은 도 14를 참조하면, 콘텐츠 복사 단계(S100), 콘텐츠 저장 단계(S200), 콘텐츠 붙여넣기 단계(S300) 및 콘텐츠 삭제 단계(S400)를 포함한다.
상기 콘텐츠 복사 단계(S100)에서는, 컴퓨터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복사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예를 들어, Ctrl+c, 복사하기 메뉴 선택 등) 선택된 해당 콘텐츠를 복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콘텐츠는 문자열, 자료, 파일, 객체(이미지, 이모티콘 등)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컴퓨터 프로그램 상에서 보다 다양한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 복사 단계(S1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사 가상 버튼 표시 단계(S110), 콘텐츠 저장 지시 단계(S120) 및 클립보드 복사 연동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사 가상 버튼 표시 단계(S110)에서는, 컴퓨터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사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예를 들어, Ctrl+c, 복사하기 메뉴 선택 등) 해당 콘텐츠의 선택영역 상에 메모리 복사 가상 버튼과 클립보드 복사 가상 버튼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플로팅시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복사하고자 하는 문자열을 드래그하여 선택하면, '메모리 복사'를 나타내는 가상 버튼과 '클립보드 복사'를 나타내는 가상 버튼이 각각 표시될 수 있으며, 이 중 '메모리 복사'를 나타내는 가상 버튼이 선택되면 컴퓨터 운영체제에 의한 클립보드 복사가 아닌, 별도의 메모리 공간에 저장되기 위한 문자열 복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복사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선택하면, '메모리 복사'를 나타내는 가상 버튼과 '클립보드 복사'를 나타내는 가상 버튼이 각각 표시될 수 있으며, 이 중 '메모리 복사'를 나타내는 가상 버튼이 선택되면 컴퓨터 운영체제에 의한 클립보드 복사가 아닌, 별도의 메모리 공간에 저장되기 위한 이미지 복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복사하고자 하는 파일을 선택하면, '메모리 복사'를 나타내는 가상 버튼과 '클립보드 복사'를 나타내는 가상 버튼이 각각 표시될 수 있으며, 이 중 '메모리 복사'를 나타내는 가상 버튼이 선택되면 컴퓨터 운영체제에 의한 클립보드 복사가 아닌, 별도의 메모리 공간에 저장되기 위한 파일 복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저장 지시 단계(S120)에서는, 복사 가상 버튼 표시 단계(S110)에 의해 제공되는 메모리 복사 가상 버튼의 선택 시 콘텐츠 저장 단계(S200)를 호출하여 선택영역 내에 포함된 콘텐츠를 콘텐츠 저장 단계(S200)에 저장하도록 지시할 수 있으며, 이때, 저장되는 콘텐츠는 콘텐츠 저장 단계(S200)를 통해 콘텐츠 별로 특정 그룹으로 분류되며 식별정보가 부여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클립보드 복사 연동 단계(S130)는, 클립보드 복사 가상 버튼의 선택 시 컴퓨터 운영체제에 의해 클립보드로 복사되도록 하는 단계로, 컴퓨터 운영체제의 프로그램에 따라 일반적인 복사 모드로 동작되도록 한다.
상기 콘텐츠 저장 단계(S200)에서는, 콘텐츠 복사 단계(S100)를 통해 복사된 콘텐츠를 각각 저장하되, 복사된 콘텐츠에 대한 식별정보를 부여한 후 저장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콘텐츠 저장부(300)는, 콘텐츠 복사 단계(S100)를 통해 복사된 콘텐츠의 종류와 순서에 따른 식별정보를 부여하여 복사된 해당 콘텐츠를 저장하되,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그룹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며, 각 그룹 내 콘텐츠의 복사 순서에 따른 식별정보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열에 대한 '메모리 복사'의 가상 버튼이 선택되면 문자열 복사에 대한 저장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때, 문자열은 콘텐츠 중 '그룹 1'로 분류되고, '그룹 1' 내에서 첫 번째 복사 대상인 경우 '1번'이라는 식별정보가 부여된 상태로 해당 문자열이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컴퓨터 장치의 각종 프로그램 사용 간에 원하는 또 다른 문자열을 추가로 저장하고자 한다면 상기와 같은 복사 과정을 거친 후 두 번째 복사 대상에 해당됨에 따라 '그룹 1'이라는 그룹정보와 '2번'이라는 식별정보가 부여된 후 컴퓨터 장치의 메모리에 할당된 저장 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에 대한 '메모리 복사'의 가상 버튼이 선택되면 이미지 복사에 대한 저장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때, 이미지는 콘텐츠 중 '그룹 2'로 분류되고, '그룹 2' 내에서 첫 번째 복사 대상인 경우 '1번'이라는 식별정보가 부여된 상태로 해당 이미지가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컴퓨터 장치의 각종 프로그램 사용 간에 원하는 또 다른 이미지를 추가로 저장하고자 한다면 상기와 같은 복사 과정을 거친 후 두 번째 복사 대상에 해당됨에 따라 '그룹 2'라는 그룹정보와 '2번'이라는 식별정보가 부여된 후 컴퓨터 장치의 메모리에 할당된 저장 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에 대한 '메모리 복사'의 가상 버튼이 선택되면 파일 복사에 대한 저장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때, 파일은 콘텐츠 중 '그룹 3'으로 분류되고, '그룹 3' 내에서 첫 번째 복사 대상인 경우 '1번'이라는 식별정보가 부여된 상태로 해당 파일이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컴퓨터 장치의 각종 프로그램 사용 간에 원하는 또 다른 문자열을 추가로 저장하고자 한다면 상기와 같은 복사 과정을 거친 후 두 번째 복사 대상에 해당됨에 따라 '그룹 3'이라는 그룹정보와 '2번'이라는 식별정보가 부여된 후 컴퓨터 장치의 메모리에 할당된 저장 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붙여넣기 단계(S300)에서는, 컴퓨터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붙여넣기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 콘텐츠 저장 단계(S200)에 저장된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붙여넣기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콘텐츠 붙여넣기 단계(S30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붙여넣기 가상 버튼 표시 단계(S310), 콘텐츠 붙여넣기 실행 단계(S320) 및 클립보드 붙여넣기 연동 단계(S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붙여넣기 가상 버튼 표시 단계(S310)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붙여넣기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예를 들어, Ctrl+v, 붙여넣기 메뉴 선택 등) 메모리 붙여넣기 가상 버튼과 클립보드 붙여넣기 가상 버튼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플로팅시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서작성 프로그램의 작성 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붙여넣기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메모리 붙여넣기'의 가상 버튼과 '클립보드 붙여넣기'의 가상 버튼이 플로팅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 붙여넣기'의 가상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이전에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는데, 이때 각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그룹정보 'G1', 'G2', 'G3'와 식별정보 '1, 2, 3, 4, 5', '1, 2, 3', '1, 2'를 각각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붙여넣기 실행 단계(S320)에서는, 메모리 붙여넣기 가상 버튼의 선택 시 콘텐츠 저장 단계(S200)를 통해 저장된 그룹정보와 식별정보를 각각 선택 가능하도록 플로팅시켜 표시하며, 특정 그룹정보와 식별정보의 선택 시 선택된 그룹 내 식별정보로 부여된 콘텐츠를 붙여넣기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정보 'G1', 'G2', 'G3'와 식별정보 '1, 2, 3, 4, 5', '1, 2, 3', '1, 2' 중 G1의 '1'을 선택하면 문자열 그룹 중 1번과 매칭된 문자열이 문서에 붙여넣기되고, G2의 '1'을 선택하면 이미지 그룹 중 1번과 매칭된 문자열이 문서에 붙여넣기되고, G3의 '1'을 선택하면 파일 그룹 중 1번과 매칭된 문자열이 문서에 붙여넣기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붙여넣기 실행 단계(S320)는, 메모리 붙여넣기 가상 버튼의 선택 시 콘텐츠 저장 단계(S200)를 통해 저장된 그룹정보와 콘텐츠 미리보기정보를 각각 선택 가능하도록 플로팅시켜 표시하며, 특정 그룹정보와 콘텐츠 미리보기정보의 선택 시 선택된 그룹 내 콘텐츠 미리보기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붙여넣기 할 수 있다.
즉, '메모리 붙여넣기'의 가상 버튼 선택 시 각 그룹 별로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미리보기정보가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열 그룹 1에 저장된 문자열들이 작은 이미지로 각각 표시되고, 해당 이미지가 선택되면 그와 관련하여 저장되어 있는 문자열이 붙여넣기될 수 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그룹 2에 저장된 이미지들이 작은 이미지로 각각 표시되고, 해당 이미지가 선택되면 그와 관련하여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가 붙여넣기될 수 있으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그룹 3에 저장된 파일들이 작은 이미지로 각각 표시되고, 해당 이미지가 선택되면 그와 관련하여 저장되어 있는 파일이 붙여넣기될 수 있다. 이때, 붙여넣기 된 파일은 아이콘 형태로 붙여넣기 되어 해당 아이콘 선택 시 해당 파일이 실행되는 형태로 제공되거나, 파일 내 저장된 내용들이 모두 붙여넣기되는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붙여넣기 실행 단계(S3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붙여넣기 명령과 동시에 콘텐츠 저장 단계(S200)를 통해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해당 식별정보와 매칭된 콘텐츠를 즉시 붙여넣기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여 '메모리 붙여넣기'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식별정보가 가리키는 숫자가 어떠한 콘텐츠인지 사용자가 미리 알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자주 사용하는 콘텐츠인 경우에는 그룹정보와 식별정보를 잘 알고 있으므로, 시간 절약을 위하여 해당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며, 이러한 경우 콘텐츠에 대한 그룹정보와 식별정보가 선택 가능하도록 플로팅되나 '메모리 붙여넣기'의 가상 버튼 선택 후 그룹정보와 식별정보를 핫축키로 사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입력하면 즉시 해당 콘텐츠가 문서에 붙여넣기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G11'은 그룹 1의 1번 콘텐츠를 나타내는 것으로 'G11'에 해당하는 문자열이 즉시 붙여넣기되고, 'G21'은 그룹 2의 1번 콘텐츠를 나타내는 것으로 'G21'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즉시 붙여넣기되고, 'G31'은 그룹 3의 1번 콘텐츠를 나타내는 것으로 'G31'에 해당하는 파일이 즉시 붙여넣기될 수 있다.
상기 클립보드 붙여넣기 연동 단계(S330)는, 클립보드 붙여넣기 가상 버튼의 선택 시 클립보드 복사 연동 단계(S130)를 통해 복사된 콘텐츠를 붙여넣기할 수 있다. 즉, 클립보드 붙여넣기 가상 버튼의 선택 시 컴퓨터 운영체제에 의해 클립보드로 복사되도록 하는 것으로, 컴퓨터 운영체제의 프로그램에 따라 일반적인 복사 모드로 동작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콘텐츠 삭제 단계(S400)에서는, 콘텐츠 붙여넣기 실행부를 통해 표시되는 그룹정보와 식별정보를 드래그 앤 드랍 및 삭제 아이콘 버튼 선택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삭제하여 콘텐츠 저장 단계(S200)를 통해 저장된 콘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콘텐츠 미리보기(식별정보 플로팅 타입도 동일함) 플로팅 창에서 삭제하고자 하는 미리보기 이미지를 해당 창 밖으로 드래그 앤 드랍하면 자동 삭제될 수 있으며, 미리보기 이미지 별 별도의 삭제 아이콘(해당 이미지의 우측 상단에 x자 표시로 구현 가능)을 선택하여 삭제할 수도 있다.
한편, 콘텐츠 저장 단계(S200)에서는, 콘텐츠 삭제 단계(S400)를 통해 삭제된 콘텐츠에 대하여 식별정보를 유지하고, 콘텐츠 복사 단계(S100)를 통한 새로운 콘텐츠의 저장 명령 시 콘텐츠 없이 유지되는 식별정보에 새로운 콘텐츠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열 그룹 1에서 '1~5번'의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사용자가 '3번' 콘텐츠를 삭제한 후, 새로운 문자열을 복사/저장하는 경우 해당 문자열에 '6번'의 식별정보가 부여되는 것이 아니라 콘텐츠가 비어 있는 '3번'의 식별정보가 부여될 수 있다. 이후, '1~5번'의 식별정보에 콘텐츠가 모두 매칭되어 있은 경우 새로운 문자열을 복사/저장하게 되면 해당 문자열은 '6번'의 식별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콘텐츠 복사 및 붙여넣기 실행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해당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각각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콘텐츠 복사 및 붙여넣기 실행 시스템, 그 실행 방법 및 그 실행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콘텐츠 복사 및 붙여넣기 실행 시스템
100: 콘텐츠 복사부
110: 복사 가상 버튼 표시부
120: 콘텐츠 저장 지시부
130: 클립보드 복사 연동부
200: 콘텐츠 저장부
300: 콘텐츠 붙여넣기부
310: 붙여넣기 가상 버튼 표시부
320: 콘텐츠 붙여넣기 실행부
330: 클립보드 붙여넣기 연동부
400: 콘텐츠 삭제부
S1000: 콘텐츠 복사 및 붙여넣기 실행 방법
S100: 콘텐츠 복사 단계
S110: 복사 가상 버튼 표시 단계
S120: 콘텐츠 저장 지시 단계
S130: 클립보드 복사 연동 단계
S200: 콘텐츠 저장 단계
S300: 콘텐츠 붙여넣기 단계
S310: 붙여넣기 가상 버튼 표시 단계
S320: 콘텐츠 붙여넣기 실행 단계
S330: 클립보드 붙여넣기 연동 단계
S400: 콘텐츠 삭제 단계

Claims (7)

  1.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는 문자열, 자료, 파일 및 객체를 포함하는 콘텐츠의 복사 및 붙여넣기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복사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 선택된 해당 콘텐츠를 복사하는 콘텐츠 복사부;
    상기 콘텐츠 복사부를 통해 복사된 콘텐츠를 각각 저장하되, 복사된 콘텐츠에 대한 식별정보를 부여한 후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붙여넣기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붙여넣기하는 콘텐츠 붙여넣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복사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사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 해당 콘텐츠의 선택영역 상에 메모리 복사 가상 버튼과 클립보드 복사 가상 버튼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플로팅시켜 표시하는 복사 가상 버튼 표시부;
    상기 메모리 복사 가상 버튼의 선택 시 상기 콘텐츠 저장부를 호출하여 선택영역 내에 포함된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지시하는 콘텐츠 저장 지시부; 및
    상기 클립보드 복사 가상 버튼의 선택 시 컴퓨터 운영체제에 의해 클립보드로 복사되도록 하는 클립보드 복사 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저장부는,
    상기 콘텐츠 복사부를 통해 복사된 콘텐츠의 종류와 순서에 따른 식별정보를 부여하여 복사된 해당 콘텐츠를 저장하되,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그룹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며, 각 그룹 내 콘텐츠의 복사 순서에 따른 식별정보를 부여하고,
    상기 콘텐츠 붙여넣기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붙여넣기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 메모리 붙여넣기 가상 버튼과 클립보드 붙여넣기 가상 버튼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플로팅시켜 표시하는 붙여넣기 가상 버튼 표시부;
    상기 메모리 붙여넣기 가상 버튼의 선택 시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그룹정보와 콘텐츠 미리보기정보를 각각 선택 가능하도록 플로팅시켜 표시하며, 특정 그룹정보와 콘텐츠 미리보기정보의 선택 시 선택된 그룹 내 콘텐츠 미리보기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붙여넣기하는 콘텐츠 붙여넣기 실행부; 및
    상기 클립보드 붙여넣기 가상 버튼의 선택 시 상기 클립보드 복사 연동부를 통해 복사된 콘텐츠를 붙여넣기하는 클립보드 붙여넣기 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콘텐츠 붙여넣기 실행부를 통해 표시되는 그룹정보와 식별정보를 드래그 앤 드랍 및 삭제 아이콘 버튼 선택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삭제하여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를 삭제하는 콘텐츠 삭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저장부는,
    상기 콘텐츠 삭제부를 통해 삭제된 콘텐츠에 대한 식별정보를 유지하고, 상기 콘텐츠 복사부를 통한 새로운 콘텐츠의 저장 명령 시 콘텐츠 없이 유지되는 식별정보에 새로운 콘텐츠를 매칭시켜 저장하고,
    상기 콘텐츠 붙여넣기 실행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붙여넣기 명령과 동시에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해당 식별정보와 매칭된 콘텐츠를 즉시 붙여넣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콘텐츠 복사 및 붙여넣기 실행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붙여넣기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붙여넣기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 메모리 붙여넣기 가상 버튼과 클립보드 붙여넣기 가상 버튼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플로팅시켜 표시하는 붙여넣기 가상 버튼 표시부;
    상기 메모리 붙여넣기 가상 버튼의 선택 시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그룹정보와 식별정보를 각각 선택 가능하도록 플로팅시켜 표시하며, 특정 그룹정보와 식별정보의 선택 시 선택된 그룹 내 식별정보로 부여된 콘텐츠를 붙여넣기하는 콘텐츠 붙여넣기 실행부; 및
    상기 클립보드 붙여넣기 가상 버튼의 선택 시 상기 클립보드 복사 연동부를 통해 복사된 콘텐츠를 붙여넣기하는 클립보드 붙여넣기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콘텐츠 복사 및 붙여넣기 실행 시스템.
  5. 삭제
  6.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는 문자열, 자료, 파일 및 객체를 포함하는 콘텐츠의 복사 및 붙여넣기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콘텐츠 복사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복사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 선택된 해당 콘텐츠를 복사하는 콘텐츠 복사 단계;
    콘텐츠 저장부가, 상기 콘텐츠 복사 단계를 통해 복사된 콘텐츠를 각각 저장하되, 복사된 콘텐츠에 대한 식별정보를 부여한 후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 단계; 및
    콘텐츠 붙여넣기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붙여넣기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 상기 콘텐츠 저장 단계를 통해 저장된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붙여넣기하는 콘텐츠 붙여넣기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복사 단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사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 해당 콘텐츠의 선택영역 상에 메모리 복사 가상 버튼과 클립보드 복사 가상 버튼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플로팅시켜 표시하는 복사 가상 버튼 표시 단계;
    상기 메모리 복사 가상 버튼의 선택 시 상기 콘텐츠 저장부를 호출하여 선택영역 내에 포함된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지시하는 콘텐츠 저장 지시 단계; 및
    상기 클립보드 복사 가상 버튼의 선택 시 컴퓨터 운영체제에 의해 클립보드로 복사되도록 하는 클립보드 복사 연동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저장 단계는,
    상기 콘텐츠 복사 단계를 통해 복사된 콘텐츠의 종류와 순서에 따른 식별정보를 부여하여 복사된 해당 콘텐츠를 저장하되,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그룹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며, 각 그룹 내 콘텐츠의 복사 순서에 따른 식별정보를 부여하고,
    상기 콘텐츠 붙여넣기 단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붙여넣기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 붙여넣기 가상 버튼 표시부가, 메모리 붙여넣기 가상 버튼과 클립보드 붙여넣기 가상 버튼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플로팅시켜 표시하는 붙여넣기 가상 버튼 표시 단계;
    상기 메모리 붙여넣기 가상 버튼의 선택 시 콘텐츠 붙여넣기 실행부가,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그룹정보와 콘텐츠 미리보기정보를 각각 선택 가능하도록 플로팅시켜 표시하며, 특정 그룹정보와 콘텐츠 미리보기정보의 선택 시 선택된 그룹 내 콘텐츠 미리보기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붙여넣기하는 콘텐츠 붙여넣기 실행 단계; 및
    상기 클립보드 붙여넣기 가상 버튼의 선택 시 클립보드 붙여넣기 연동부가, 상기 클립보드 복사 연동 단계를 통해 복사된 콘텐츠를 붙여넣기하는 클립보드 붙여넣기 연동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콘텐츠 삭제부가, 상기 콘텐츠 붙여넣기 실행부를 통해 표시되는 그룹정보와 식별정보를 드래그 앤 드랍 및 삭제 아이콘 버튼 선택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삭제하여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를 삭제하는 콘텐츠 삭제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저장 단계는,
    상기 콘텐츠 삭제부를 통해 삭제된 콘텐츠에 대한 식별정보를 유지하고, 상기 콘텐츠 복사 단계를 통한 새로운 콘텐츠의 저장 명령 시 콘텐츠 없이 유지되는 식별정보에 새로운 콘텐츠를 매칭시켜 저장하고,
    상기 콘텐츠 붙여넣기 실행 단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붙여넣기 명령과 동시에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해당 식별정보와 매칭된 콘텐츠를 즉시 붙여넣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콘텐츠 복사 및 붙여넣기 실행 방법.
  7.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는 문자열, 자료, 파일 및 객체를 포함하는 콘텐츠의 복사 및 붙여넣기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콘텐츠 복사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복사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 선택된 해당 콘텐츠를 복사하는 콘텐츠 복사 단계; 콘텐츠 저장부가, 상기 콘텐츠 복사 단계를 통해 복사된 콘텐츠를 각각 저장하되, 복사된 콘텐츠에 대한 식별정보를 부여한 후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 단계; 및 콘텐츠 붙여넣기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붙여넣기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 상기 콘텐츠 저장 단계를 통해 저장된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붙여넣기하는 콘텐츠 붙여넣기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복사 단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사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 해당 콘텐츠의 선택영역 상에 메모리 복사 가상 버튼과 클립보드 복사 가상 버튼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플로팅시켜 표시하는 복사 가상 버튼 표시 단계; 상기 메모리 복사 가상 버튼의 선택 시 상기 콘텐츠 저장부를 호출하여 선택영역 내에 포함된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지시하는 콘텐츠 저장 지시 단계; 및 상기 클립보드 복사 가상 버튼의 선택 시 컴퓨터 운영체제에 의해 클립보드로 복사되도록 하는 클립보드 복사 연동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저장 단계는, 상기 콘텐츠 복사 단계를 통해 복사된 콘텐츠의 종류와 순서에 따른 식별정보를 부여하여 복사된 해당 콘텐츠를 저장하되,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그룹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며, 각 그룹 내 콘텐츠의 복사 순서에 따른 식별정보를 부여하고, 상기 콘텐츠 붙여넣기 단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붙여넣기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 붙여넣기 가상 버튼 표시부가, 메모리 붙여넣기 가상 버튼과 클립보드 붙여넣기 가상 버튼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플로팅시켜 표시하는 붙여넣기 가상 버튼 표시 단계; 상기 메모리 붙여넣기 가상 버튼의 선택 시 콘텐츠 붙여넣기 실행부가,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그룹정보와 콘텐츠 미리보기정보를 각각 선택 가능하도록 플로팅시켜 표시하며, 특정 그룹정보와 콘텐츠 미리보기정보의 선택 시 선택된 그룹 내 콘텐츠 미리보기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붙여넣기하는 콘텐츠 붙여넣기 실행 단계; 및 상기 클립보드 붙여넣기 가상 버튼의 선택 시 클립보드 붙여넣기 연동부가, 상기 클립보드 복사 연동 단계를 통해 복사된 콘텐츠를 붙여넣기하는 클립보드 붙여넣기 연동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콘텐츠 삭제부가, 상기 콘텐츠 붙여넣기 실행부를 통해 표시되는 그룹정보와 식별정보를 드래그 앤 드랍 및 삭제 아이콘 버튼 선택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삭제하여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를 삭제하는 콘텐츠 삭제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저장 단계는, 상기 콘텐츠 삭제부를 통해 삭제된 콘텐츠에 대한 식별정보를 유지하고, 상기 콘텐츠 복사 단계를 통한 새로운 콘텐츠의 저장 명령 시 콘텐츠 없이 유지되는 식별정보에 새로운 콘텐츠를 매칭시켜 저장하고, 상기 콘텐츠 붙여넣기 실행 단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붙여넣기 명령과 동시에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해당 식별정보와 매칭된 콘텐츠를 즉시 붙여넣기하는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20200071817A 2020-06-12 2020-06-12 컴퓨터 프로그램의 콘텐츠 복사 및 붙여넣기 실행 시스템, 그 방법 및 그 실행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2179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817A KR102179370B1 (ko) 2020-06-12 2020-06-12 컴퓨터 프로그램의 콘텐츠 복사 및 붙여넣기 실행 시스템, 그 방법 및 그 실행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817A KR102179370B1 (ko) 2020-06-12 2020-06-12 컴퓨터 프로그램의 콘텐츠 복사 및 붙여넣기 실행 시스템, 그 방법 및 그 실행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370B1 true KR102179370B1 (ko) 2020-11-16

Family

ID=73679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817A KR102179370B1 (ko) 2020-06-12 2020-06-12 컴퓨터 프로그램의 콘텐츠 복사 및 붙여넣기 실행 시스템, 그 방법 및 그 실행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3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0659A1 (ko) * 2022-10-13 202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상태에 기반하여, 시각적 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376B1 (ko) 2002-12-24 2005-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클립보드 실행장치 및 다중클립보드 실행방법
KR100521338B1 (ko) 1998-08-21 2005-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클립보드 기능을 위한 복수 개의 핫키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 및 동작 방법
KR20120055876A (ko) * 2010-11-24 2012-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다중 클립보드 제어 방법
KR20130085285A (ko) * 2012-01-19 2013-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클립보드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40007163A (ko) * 2012-07-09 2014-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장치에 클립보드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13905B1 (ko) * 2014-04-07 2016-04-21 주식회사 카카오 컨텐츠에 포함된 요소의 클립보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WO2018125650A1 (en) * 2016-12-28 2018-07-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viding insertion feature with clipboard manager applicatio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338B1 (ko) 1998-08-21 2005-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클립보드 기능을 위한 복수 개의 핫키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 및 동작 방법
KR100497376B1 (ko) 2002-12-24 2005-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클립보드 실행장치 및 다중클립보드 실행방법
KR20120055876A (ko) * 2010-11-24 2012-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다중 클립보드 제어 방법
KR20130085285A (ko) * 2012-01-19 2013-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클립보드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40007163A (ko) * 2012-07-09 2014-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장치에 클립보드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13905B1 (ko) * 2014-04-07 2016-04-21 주식회사 카카오 컨텐츠에 포함된 요소의 클립보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WO2018125650A1 (en) * 2016-12-28 2018-07-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viding insertion feature with clipboard manager applic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0659A1 (ko) * 2022-10-13 202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상태에 기반하여, 시각적 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32557B2 (ja) Guiの機能を変更する方法及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
US5764873A (en) Lazy drag of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objects
US8635549B2 (en) Directly assigning desktop backgrounds
US5140677A (en) Computer user interface with window title bar mini-icons
US5847707A (en) Icon menu display devices and methods
US7603628B2 (en) User interface for and method of managing icons on group-by-group basis using skin image
JP3817306B2 (ja) 文書編集システム及び文書編集方法
US5577188A (en) Method to provide for virtual screen overlay
JPH0685145B2 (ja) 複数の選択されたオブジェクトの位置表示方法
US6961907B1 (en) “Append” extension to cut and copy commands for a clipboard function in a computer system
US20100146431A1 (en) Object picker with window splitter
JPH08185301A (ja) 直接操作のための補助装置及び方法
JP2007304669A (ja) 電子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4341886A (ja) ファイル管理装置及びファイル管理方法
JP2007133568A (ja) 多層ワーク支援装置、多層ワーク支援装置の割当方法並びに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79370B1 (ko) 컴퓨터 프로그램의 콘텐츠 복사 및 붙여넣기 실행 시스템, 그 방법 및 그 실행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JP200817647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08191790A (ja) プラント監視制御システム及びプラント監視制御プログラム
JP2002543519A (ja) 計算機の動作
JP2006318297A (ja) 診療支援装置、診療支援方法並びに診療支援プログラム
JPH0628145A (ja) アイコン処理方法
JP2007304769A (ja) 素材貼付装置
EP425415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683234B2 (ja) 文書作成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954688A (ja) Gui設計支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