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326B1 - 비산방지 데코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체 - Google Patents

비산방지 데코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326B1
KR102174326B1 KR1020190012987A KR20190012987A KR102174326B1 KR 102174326 B1 KR102174326 B1 KR 102174326B1 KR 1020190012987 A KR1020190012987 A KR 1020190012987A KR 20190012987 A KR20190012987 A KR 20190012987A KR 102174326 B1 KR102174326 B1 KR 102174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organic
layer
film
shatterproof
scat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5637A (ko
Inventor
이경민
이강규
옥병주
빙광은
이용욱
최기섭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하이테크앤마케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하이테크앤마케팅(주)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하이테크앤마케팅(주)
Priority to KR1020190012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326B1/ko
Priority to CN201911390943.9A priority patent/CN111505747B/zh
Publication of KR20200095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B32B17/06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1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only one glass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339Specific part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being colored or ti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2Bonding of a preformed macromolecular material to the same or other solid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leather, e.g. using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2Prim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0623Sulfides, selenides or tellu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08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4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 C23C14/20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on organic substr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361/00 - C08J2377/00
    • C08J23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J23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무기 비드를 포함하는 확산층; 및 상기 기재층의 타면 상에 배치되고 무기 증착물을 포함하는 무기증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 비드는 Si 및 T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0.01㎛ 내지 1㎛의 입경을 갖는 비산방지 데코 필름은, 금속 질감의 입체적인 색상을 구현하면서, 유리에 합지되어 강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비산방지 데코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체{ANTI-SCATTERING DECO FILM AND LAMINATE COMPRISING SAME}
본 발명은 유리 기재, 전자기기 케이스 등에 적용되어 비산방지 및 데코레이션 기능을 하는 필름에 관한 것이다.
전기전자 분야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 목적, 휴대성, 편의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며, 특히 소비자들이 디스플레이의 용도에 따른 디자인을 중시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의 다양한 디자인이 연구되고 있다. 최근 전기전자 분야에서 각광받는 디자인은 금속(metal) 디자인이며, 최근 출시되는 모바일, 통신 전자기기 등의 색상, 외형 등에 금속 디자인이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금속은 금속 고유의 광택, 우수한 휘도 등에 의해 디자인 측면에서는 각광받는 소재이나, 전파를 차단하고, 중량이 무겁고, 제작 비용이 높다는 등의 단점을 갖는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금속 대신 유리를 사용한 디스플레이가 개발되고 있다. 유리는 금속 대비 제작 비용이 적게 들고, 중량감이 낮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유리는 강도가 낮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어, 유리로 제작된 디스플레이의 강도를 높이고, 나아가 디자인 개선을 위해 색을 구현할 수 있는 비산방지 필름을 적용하는 방법 등이 연구되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110325호는 투명필름 및 아조(azo)계 염료를 포함하는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는 비산방지 필름을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096860호는 400~700nm에서 최대 흡수율을 갖는 유색염료를 포함하는 하드코팅층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들은 필름의 투명성, 내구성 등과 관련된 물성만을 개시하고 있을 뿐, 디자인, 특히 다양한 색상 구현과 관련해서는 전혀 개시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11032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096860호
기존의 유리 비산방지 기능을 갖는 데코레이션 필름(이하 데코 필름)은, 필름 제작 상의 한계로 인해 단색 혹은 그라데이션으로 2차원적인 색상 외에, 금속 질감과 같은 디자인과 입체적인 색상을 구현해내지 못하였다.
한편 채도 향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기존의 디스플레이용 확산 시트는 대체로 낮은 굴절률의 고분자 비드를 사용하므로 광의 산란율이 높지 않고, 디스플레이에 구비된 광원에 의존하여 광 투과율을 높게 설정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라 추가의 광원 없이 자연광을 반사하여 높은 채도의 색상을 구현하기 어렵다.
이에 본 발명자들이 연구한 결과, 다양한 층 설계를 통해 비산방지 필름에 금속 질감을 부여하고, 입경이 조절된 무기 입자를 구비한 확산층에 의해 반사색의 채도를 높여, 유리에 적용 시에 입체적인 색상을 구현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 질감의 입체적인 색상을 구현하면서, 유리에 합지되어 강도를 높일 수 있는 비산방지 데코 필름 및 이와 유리의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무기 비드를 포함하는 확산층; 및 상기 기재층의 타면 상에 배치되고 무기 증착물을 포함하는 무기증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 비드는 Si 및 T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0.01㎛ 내지 1㎛의 입경을 갖는, 비산방지 데코 필름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비산방지 데코 필름은 상기 무기증착층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광학 투명 접착제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에 따라, 유리 기재; 및 상기 유리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광학 투명 접착제층이 접하도록 부착된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비산방지 데코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산방지 데코 필름은 유리 기재에 적용되어 강도를 향상시키고, 무기증착층에 의해 금속 질감을 부여하면서 금속 대비 저비용, 경량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비산방지 데코 필름의 확산층에 의해 반사색의 채도를 향상시키고 파스텔 톤의 색상 구현이 가능하여 심미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산방지 데코 필름의 프라이머층에 염료 또는 안료를 포함하여 가시광 영역의 색상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산방지 데코 필름은 디스플레이, 자동차, 가전 등 여러 범위의 데코레이션 산업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비산방지 데코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비산방지 데코 필름과 유리 기재의 적층체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비산방지 데코 필름]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비산방지 데코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산방지 데코 필름(100)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층(104); 상기 기재층(104)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무기 비드를 포함하는 확산층(106); 및 상기 기재층(104)의 타면 상에 배치되고 무기 증착물을 포함하는 무기증착층(103)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 비드는 Si 및 T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0.01㎛ 내지 1㎛의 입경을 갖는다.
또한 상기 비산방지 데코 필름(100)은 상기 기재층(104)과 상기 확산층(106) 사이에 프라이머층(10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산방지 데코 필름(100)은 상기 무기증착층(103)의 타면에 광학 투명 접착제층(102)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광학 투명 접착제층(102)의 표면은 이형층(101)과 합지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성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기재층
상기 기재층(104)은 다른 기능층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 층이다.
상기 기재층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구체적으로 투명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미드(PI), 환형 올레핀 중합체(COP),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카보네이트(PC) 및 폴리프로필렌(PP)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층의 고분자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미드(PI) 및 환형 올레핀 중합체(CO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터치스크린 패널의 강화 유리 등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우수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층은 광학적 특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높은 투명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층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85% 이상, 구체적으로 95%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10㎛ 내지 200㎛, 구체적으로는 23㎛ 내지 100㎛일 수 있다.
확산층
상기 확산층(106)은 상기 기재층(104)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무기 비드를 포함하여 반사색의 채도를 향상시킨다.
상기 확산층은 무기 비드를 포함하며, 만약 일반적인 고분자 비드를 사용할 경우 광의 굴절에 의한 산란 정도가 낮아 반사색의 채도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
상기 무기 비드의 소재는 Si 및 T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무기 비드는 Si 및 Ti 중 적어도 하나의 무기 성분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 비드는 SiO2 및 TiO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비드의 굴절률은 예를 들어 1.6 내지 2.0, 1.6 내지 1.8, 또는 1.65 내지 1.7일 수 있다. 이에 반해 기존의 일반적인 확산 시트에 사용되는 고분자 비드의 굴절률은 대체로 1.5 이하이다.
상기 무기 비드의 입경은 0.01㎛ 내지 1㎛이고, 만약 이보다 클 경우 무기 비드로 인해 광 투과량이 줄어들어 휘도가 낮아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 비드의 입경은 0.01㎛ 내지 0.5㎛, 0.01㎛ 내지 0.3㎛, 0.01㎛ 내지 0.1㎛, 0.01㎛ 내지 0.05㎛, 또는 0.1㎛ 내지 0.5㎛일 수 있다.
이에 반해, 일반적인 고분자 비드의 경우 대체로 3㎛ 이상의 큰 입경을 가지므로 확산층에 고분자 비드를 첨가 시에는 광 투과율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무기 비드의 함량은 상기 확산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 중량%, 0.5 내지 2 중량%, 0.5 내지 1 중량%, 1 내지 3 중량%, 1.5 내지 3 중량%, 또는 1 내지 2 중량%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 비드는 상기 확산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바람직한 범위 내일 때, 반사색의 채도를 향상시키고 파스텔 톤의 색상을 부여하는데 보다 유리하다.
상기 확산층은 상기 무기 비드가 분산된 바인더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열경화성 수지, UV 경화성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산층은 550nm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율이 60% 내지 90%, 70% 내지 90%, 또는 70% 내지 80%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층은 헤이즈가 10% 내지 30%, 10% 내지 20%, 또는 15% 내지 20% 범위일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확산층은 70% 내지 90%의 투과율 및 10% 내지 20%의 헤이즈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반해 일반적인 고분자 비드를 사용하는 확산 시트의 경우, 고분자 비드의 큰 입경으로 인해 광 투과율을 높이기 어렵고, 고분자 비드의 낮은 굴절률로 인해 광의 산란 정도가 크지 않아 헤이즈도 높이기 어렵다.
즉, 본 발명의 데코 필름은 확산층이 1㎛ 이하의 작은 입경을 갖는 무기 비드를 포함하므로, 비드 첨가에 의해 광 투과율 저하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무기 비드의 큰 굴절률에 의해 광의 산란 효과가 증가하므로, 기존의 낮은 굴절률 및 큰 입경의 고분자 비드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확산 시트에 비해, 보다 밝으면서 높은 채도를 갖는 반사색을 구현할 수 있다.
무기증착층
상기 무기증착층(103)은 상기 기재층(104)의 타면 상에 배치되고, 무기 증착물을 포함하여 금속 질감을 부여하면서도 휘도 및 반사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무기 증착물은 무기 단일 물질, 무기 산화물 및 무기 황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무기 단일 물질은 금속, 비금속, 준금속 및 희토류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기 단일 물질은 주기율표의 3주기 내지 7주기에 속하는 금속, 비금속, 준금속 및 희토류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 단일 물질은 Al, Si, Sc, Ti, V, Cr, Mn, Co, Cu, Zn, Ge, Rb, Nb, Mo, In, Sn 및 Sb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무기 산화물 및 상기 무기 황화물은 단순입방, 면심입방 및 체심입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격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 산화물 및 상기 무기 황화물은 산소(O) 혹은 황(S)과 이온 결합이나 공유 결합을 통하여 단순입방, 면심입방 혹은 체심입방 구조 등의 격자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무기 산화물은 금속, 비금속, 준금속 및 희토류 금속의 산화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 산화물은 Li, Al, K, Ti, V, Cr, Mn, Co, Zn, Sr, Nb, Mo, In, Si, Sn, Sb 및 C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 산화물은 Li, K, Sr, Nb, Si 및 C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황화물은 주기율표의 3족 내지 12족에 속하는 무기 성분의 황화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 황화물은 Ti, V, Cr, Mn, Co, Zn, Nb 및 Mo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증착층은 스퍼터링(sputtering) 또는 전자빔 증착(electron-beam evaporation)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기증착층의 두께는 10nm 내지 100nm, 10nm 내지 50nm, 30nm 내지 70nm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증착층은 10nm 내지 50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일 때 층간의 부착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적정 수준의 휘도 및 금속 광택을 갖는데 유리하다.
프라이머층
상기 기재층(104)과 상기 확산층(106) 사이에 프라이머층(10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105)은 상기 기재층(104)과 상기 확산층(106)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열경화성 수지, UV 경화성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등을 주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염료 또는 안료를 포함하여 가시광 영역의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라이머층은 안료분산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안료분산체는 안료, 및 히드록실기 및 카르보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3개 내지 8개 갖는 올리고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당 업계에서 통용되는 것으로 가시광 영역의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면 제한하지 않으며, 예컨대, 안트라퀴논계,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등일 수 있다. 상기 안료는 350nm 내지 500nm 또는 400nm 내지 650nm의 파장 영역에서 최대흡수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료의 평균 입경은 30nm 내지 150nm, 구체적으로 30nm 내지 100nm일 수 있다.
상기 히드록실기 및 카르복실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3개 내지 8개 갖는 올리고머 화합물의 예로는 N-비닐피롤리돈,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싸이클로데칸디메탄올 디아크릴레이트 등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싸이클로데칸디메탄올 디아크릴레이트 등일 수 있다.
상기 안료분산체의 함량은 상기 프라이머층 또는 이의 제조를 위한 프라이머층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 5 내지 20 중량%, 0.1 내지 10 중량%, 또는 0.2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일 때, 가시광 전 영역에서의 색상을 구현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2㎛ 내지 3㎛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일 때 가시광 영역의 색상을 구현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 슬롯다이 코팅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광학 투명 접착제층
상기 비산방지 데코 필름(100)은 상기 무기증착층(103)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광학 투명 접착제층(102)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투명 접착제층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를 포함하며 유리와 같은 투명 기재에 대한 접착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투명 접착제층은 공기층을 없애고 시인성을 향상시키며 단열성을 높여줄 수 있다.
상기 광학 투명 접착제층은 접착제 수지 및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자외선에 의해 황변되지 않고 UV 흡수제의 분산성이 양호한 수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제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알키드 수지, 아미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수지는 단독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혹은 2종 이상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광학 특성, 내후성, 기재와의 밀착성 등이 우수한 아크릴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제는 상기 접착제 수지를 경화시킬 수 있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자외선에 의해 황변되지 않는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에폭시 경화제 및 아지리딘 경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화제는 광학 투명 접착제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2 내지 0.5 중량%, 0.3 내지 0.5 중량%, 0.3 내지 0.45 중량%, 또는 0.35 내지 0.4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접착력 저하 또는 내열 및 내습 환경에서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이외에도, 상기 광학 투명 접착제층은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광개시제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개시제는 벤조페논(benzophenone)계, 티옥산톤(thioxanthone)계, α-하이드록시 케톤(α-hydroxy ketone)계, 케톤(ketone)계, 페닐 글리옥실레이트(phenyl glyoxylate)계 및 아크릴 포스파인 옥사이드(acryl phosphine oxide)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광학 투명 접착제층은, 유리 파손시 유리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유리에 대해 10 N/inch 이상의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학 투명 접착제층은 유리에 대해 10 내지 30 N/inch의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일 때, 충분한 비산방지 효과 및 공정 불량시 유리의 재활용을 위한 리워크 공정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 광학 투명 접착제층은, 공정 및 외부 이물에 의한 눌림성을 억제하기 위해, -40℃ 이상의 유리전이 온도, 구체적으로 -40℃ 내지 -15℃, 또는 -30℃ 내지 -15℃의 유리전이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광학 투명 접착제층의 두께는 10㎛ 내지 30㎛, 15㎛ 내지 25㎛, 15㎛ 내지 20㎛, 또는 15㎛ 내지 17㎛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눌림에 의한 불량을 방지하고 접착력을 유지하는데 유리하다.
이형층
상기 광학 투명 접착제층(102)의 표면은 이형층(101)과 합지될 수 있다.
상기 이형층은 추후 유리 디스플레이에 부착을 위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이형층의 재질로는 에폭시계, 에폭시-멜라민계, 아미노알키드계, 아크릴계, 멜라민계, 실리콘계, 불소계, 셀룰로오스계, 요소 수지계, 폴리올레핀계, 파라핀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물성
상기 비산방지 데코 필름은 금속 질감을 보이면서 금속으로 재현이 불가능한 다양한 입체적인 컬러의 색좌표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산방지 데코 필름은 CIE 표색계에 따른 L*, a* 및 b* 값이 조절된 반사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산방지 데코 필름의 반사색의 L* 값은 25 내지 90, 50 내지 90, 70 내지 80, 60 내지 70, 50 내지 60, 또는 45 내지 5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산방지 데코 필름의 반사색의 a* 값은 5 내지 60, 10 내지 45, 30 내지 60, 15 내지 40, 20 내지 50, 또는 15 내지 4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산방지 데코 필름의 반사색의 b* 값은 5 내지 40, 5 내지 20, 5 내지 30, 10 내지 40, 15 내지 40, 또는 10 내지 20일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비산방지 데코 필름은 CIE 표색계에 따른 25 내지 60의 L* 값, 13 내지 30의 a* 값 및 10 내지 25의 b* 값의 반사색을 가질 수 있다.
[적층체]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비산방지 데코 필름과 유리 기재의 적층체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는 유리 기재(200); 및 상기 유리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광학 투명 접착제층(102)이 접하도록 부착된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비산방지 데코 필름(100)을 포함한다.
상기 비산방지 데코 필름(100)은 앞서 설명한 일 구현예에 따른 비산방지 데코 필름과 동일한 구성 및 특성을 갖는다.
상기 유리 기재(200)는 디스플레이, 자동차, 가전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 기재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강화 유리를 사용할 수 있고 300 ㎛ 내지 70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층체는 추가의 기능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층체는 상기 비산방지 데코 필름의 확산층(106) 상에 몰드패턴층(301), 무기증착층(302) 및 차광인쇄층(303)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몰드패턴층
상기 몰드패턴층(301)은 사용자가 의도하는 패턴(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한 층이다.
예를 들어 상기 몰드패턴층(301)은 상기 확산층(106)의 일면에 원재료를 인몰드 사출 성형 후 UV 경화시켜 패턴화될 수 있다.
상기 몰드패턴층의 원재료는 우레탄아크릴계 올리고머, 아민계 모노머, 카복실계 모노머 등을 주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드패턴층의 두께는 10㎛ 내지 20㎛, 구체적으로 10㎛ 내지 17㎛, 또는 15㎛ 내지 17㎛일 수 있다.
무기반사층
상기 무기반사층(302)은 상기 유리 기재(200)를 통해 입사된 광을 반사시키고 금속 광택을 부여한다.
상기 무기반사층은 비전도성 무기물을 스퍼터링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반사층은 비전도성 진공 증착(non-conductive vacumn metalizing; NCVM)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전도성 무기물은 Nb, Si 및 T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Nb, Si일 수 있다.
상기 무기반사층의 두께는 0.01㎛ 내지 0.1㎛, 구체적으로 0.02㎛ 내지 0.05㎛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일 때 층간의 부착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적정 수준의 금속 광택을 제공하기에 유리하다.
차광인쇄층
상기 차광인쇄층(303)은 광을 차단하여 반사 효율을 더욱 높인다.
상기 차광인쇄층은 기호에 따라 원하는 사진, 패턴, 다양한 색상, 문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광인쇄층은 블랙잉크, 예컨대, HS chemical사의 블랙잉크(제품명:Black)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광인쇄층의 두께는 10㎛ 내지 50㎛, 구체적으로 15㎛ 내지 20㎛일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코팅액의 제조
우레탄아크릴계 올리고머(UV1700B, Nippon Gohsei사) 80 중량부 및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M340, 미원사) 15 중량부를 혼합하고, 여기에 광개시제(1-184, Ciba사) 5 중량부를 더 첨가한 뒤 혼합하여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프라이머액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코팅액에 안료(r177, y139)를 포함하는 안료분산체를 첨가한 뒤 혼합하여 프라이머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비드 분산액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코팅액에 30 nm 입경의 TiO2 비드를 다양한 함량(하기 표 1 및 2 참조)으로 첨가한 뒤 혼합하여 비드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비산방지 데코 필름의 제조 - 무기 산화물 증착
두께 100㎛ PET 필름의 일면에 대해 니오븀 및 규소를 순차적으로 스퍼터링하여 산화니오븀(Nb2O5) 및 산화규소(SiO2)의 무기증착층을 30nm 두께로 형성하였다. 상기 무기증착층의 표면에 광학 투명 접착제(OCA, SKC HT&M사)를 코팅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PET 필름의 타면에 상기 제조예 2에서 얻은 프라이머액을 메이어바(Mayer bar)를 이용하여 3㎛ 두께로 도포하고, 80℃에서 2분간 건조 후 UV 경화(광량 0.4J)시켜 프라이머층을 제조하였다. 상기 프라이머층의 표면에 상기 제조예 3에서 얻은 비드 분산액을 메이어바를 이용하여 3㎛ 두께로 도포하고, 80℃에서 2분간 건조 후 0.4 J의 광량으로 UV 경화시켜 확산층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내지 6: 비산방지 데코 필름의 제조 - 무기 황화물 증착
두께 100㎛ PET 필름의 일면에 황화아연(ZnS) 파우더용 도가니가 구비된 증착로에서 전자빔 증착 방법으로 30nm 두께의 황화아연(ZnS) 무기증착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무기증착층의 표면에 광학 투명 접착제(OCA, SKC HT&M사)를 코팅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PET 필름의 타면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3과 동일한 방식으로 프라이머층 및 확산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1: 비산방지 데코 필름의 제조 (확산층에 비드 미첨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되, 상기 확산층의 제조를 위해 상기 제조예 3의 비드 분산액 대신 상기 제조예 1의 코팅액을 사용하여 TiO2 비드가 첨가되지 않은 확산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2: 비산방지 데코 필름의 제조 ( 확산층에 비드 미첨가)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되, 상기 확산층의 제조를 위해 상기 제조예 3의 비드 분산액 대신 상기 제조예 1의 코팅액을 사용하여 TiO2 비드가 첨가되지 않은 확산층을 형성하였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비산방지 데코 필름들에 대하여 확산층의 표면을 차광시킨 다음 분광광도계(U-4100, HITACHI사)를 사용하여 550nm 파장의 반사광의 색 좌표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구 분 확산층 내
비드 함량
무기증착층
성분
무기증착층
두께
반사색
L* a* b*
실시예 1 1.0 중량% Nb2O5/SiOx 30 nm 32 15 11
실시예 2 1.5 중량% Nb2O5/SiOx 30 nm 32 17 13
실시예 3 2.0 중량% Nb2O5/SiOx 30 nm 32 20 22
비교예 1 0 중량% Nb2O5/SiOx 30 nm 32 8 7
구 분 확산층 내
비드 함량
무기증착층
성분
무기증착층
두께
반사색
L* a* b*
실시예 4 1.0 중량% ZnS 30 nm 40 18 15
실시예 5 1.5 중량% ZnS 30 nm 40 22 18
실시예 6 2.0 중량% ZnS 30 nm 40 23 19
비교예 2 0 중량% ZnS 30 nm 40 11 8
상기 표에서 보듯이, 실시예에 따른 비산방지 데코 필름들은 확산층을 적용해 반사색의 채도를 높일 수 있었으며, 특히 확산층 내 비드 함량이 증가할수록 반사색의 a* 및 b* 값이 증가하여 채도가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확산층에 비드가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의 필름은 a* 및 b* 값이 낮아 광의 산란이 거의 없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와 비교예의 필름을 비교할 때, 확산층의 비드 첨가 여부에 따라 반사색의 L* 값의 차이가 없었으므로, 비드 첨가에 의해 광의 투과율이 저하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무기증착층을 통해 금속의 질감 및 반사율을 극대화할 수 있었으며, 상기 표 1 및 표 2를 비교할 때, 무기증착층의 재료에 따라 반사색의 L* 값이 달라졌으므로 다양한 휘도를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비산방지 데코 필름은 금속 질감을 나타내면서 금속으로 재현이 불가능한 다양한 입체적인 컬러의 색좌표를 구현하고, 필름이 가진 유연한 특성을 통해 다양한 용도에 적용이 가능하여, 디스플레이, 자동차, 가전 등 여러 범주의 데코레이션 산업에 적용이 가능하다.
100: 비산방지 데코 필름, 101: 이형층,
102: 광학 투명 접착제층, 103: 무기증착층,
104: 기재층, 105: 프라이머층,
106: 확산층, 200: 유리 기재,
301: 몰드패턴층, 302: 무기반사층,
303: 차광인쇄층

Claims (15)

  1.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무기 비드를 포함하는 확산층; 및
    상기 기재층의 타면 상에 배치되고 무기 증착물을 포함하는 무기증착층을 포함하는 비산방지 데코 필름으로서,
    상기 무기 비드는 Si 및 T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0.01㎛ 내지 1㎛의 입경을 갖고,
    상기 비산방지 데코 필름은 CIE 표색계에 따른 25 내지 60의 L* 값, 13 내지 30의 a* 값 및 10 내지 25의 b* 값의 반사색을 갖는, 비산방지 데코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비드가 상기 확산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 중량%로 포함되는, 비산방지 데코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비드가 Si 및 Ti 중 적어도 하나의 무기 성분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비산방지 데코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층이 70% 내지 90%의 투과율 및 10% 내지 20%의 헤이즈를 갖는, 비산방지 데코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증착층이 10nm 내지 50nm의 두께를 갖는, 비산방지 데코 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증착층이 스퍼터링 또는 전자빔 증착에 의해 형성되는, 비산방지 데코 필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증착물이 무기 단일 물질, 무기 산화물 및 무기 황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비산방지 데코 필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단일 물질이
    금속, 비금속, 준금속 및 희토류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비산방지 데코 필름.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산화물 및 상기 무기 황화물이
    단순입방, 면심입방 및 체심입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격자 구조를 갖는, 비산방지 데코 필름.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산화물이 Li, Al, K, Ti, V, Cr, Mn, Co, Zn, Sr, Nb, Mo, In, Si, Sn, Sb 및 C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고,
    상기 무기 황화물이 Ti, V, Cr, Mn, Co, Zn, Nb 및 Mo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비산방지 데코 필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 데코 필름이 상기 기재층과 상기 확산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라이머층이 염료 또는 안료를 포함하는, 비산방지 데코 필름.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고분자 수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미드(PI) 및 환형 올레핀 중합체(CO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비산방지 데코 필름.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 데코 필름이 상기 무기증착층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광학 투명 접착제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비산방지 데코 필름.
  15. 유리 기재; 및
    상기 유리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광학 투명 접착제층이 접하도록 부착된 제 14 항의 비산방지 데코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
KR1020190012987A 2019-01-31 2019-01-31 비산방지 데코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체 KR102174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987A KR102174326B1 (ko) 2019-01-31 2019-01-31 비산방지 데코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체
CN201911390943.9A CN111505747B (zh) 2019-01-31 2019-12-30 防止飞散的装饰薄膜及包含其的层叠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987A KR102174326B1 (ko) 2019-01-31 2019-01-31 비산방지 데코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637A KR20200095637A (ko) 2020-08-11
KR102174326B1 true KR102174326B1 (ko) 2020-11-05

Family

ID=71863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987A KR102174326B1 (ko) 2019-01-31 2019-01-31 비산방지 데코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74326B1 (ko)
CN (1) CN111505747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3600A (ja) 2013-04-30 2014-11-17 凸版印刷株式会社 飛散防止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パネル
KR101738493B1 (ko) 2016-11-02 2017-06-08 에스케이씨하스디스플레이필름(유) 비산방지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8899A (ja) * 1996-10-28 1998-05-19 Nippon Kayaku Co Ltd 光拡散機能を有するガラス飛散防止フィルム
TWI511885B (zh) * 2009-04-20 2015-12-11 Toyo Aluminium Kk 積層體、包裝體、包裝用薄片、包裝材料、標籤及容器
CN101941314A (zh) * 2009-07-08 2011-01-1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具有金属质感的壳体的制作方法及由该方法制得的壳体
KR101823713B1 (ko) 2013-03-07 2018-01-31 (주)엘지하우시스 광학적 특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비산 방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96860A (ko) 2014-02-17 2015-08-26 (주)엘지하우시스 색소를 포함하는 하드코팅층 코팅용 조성물, 하드코팅층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KR102088684B1 (ko) * 2016-02-23 2020-03-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산방지 필름용 하드코팅 조성물, 비산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6003951B (zh) * 2016-05-20 2019-03-22 张家港康得新光电材料有限公司 装饰膜及其制备方法
KR101859733B1 (ko) * 2016-10-26 2018-05-21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금속 광택을 갖는 유색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의 후면 커버
KR101998356B1 (ko) * 2018-08-31 2019-07-09 에스케이씨하이테크앤마케팅(주) 데코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3600A (ja) 2013-04-30 2014-11-17 凸版印刷株式会社 飛散防止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パネル
KR101738493B1 (ko) 2016-11-02 2017-06-08 에스케이씨하스디스플레이필름(유) 비산방지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505747B (zh) 2023-01-24
CN111505747A (zh) 2020-08-07
KR20200095637A (ko) 202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493B1 (ko) 비산방지 필름
TWI460742B (zh) 透明導電膜
JP5151234B2 (ja) 加飾成形品
KR102137183B1 (ko) 다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체
KR101948273B1 (ko) 비산방지 데코 필름
KR102594849B1 (ko) 장식 부재
KR101752847B1 (ko) 자가 복원 기능을 갖는 외부용 변색필름
KR102214938B1 (ko) 터치 윈도우용 일체형 데코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터치 윈도우용 일체형 데코필름
KR100858049B1 (ko) 무색의 반사색상을 갖고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저반사필름
CN114763417B (zh) 变色装饰片及其制造方法
US20100330331A1 (en) Panel for a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102169467B1 (ko) 고연신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42431B1 (ko) 다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체
KR20140083593A (ko) 금속 외관 효과를 구현한 인테리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174326B1 (ko) 비산방지 데코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체
JP6667854B1 (ja) 成形用加飾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加飾成形体
KR102578783B1 (ko) 펄 질감을 갖는 비산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40019605A1 (en) Optical laminate and article
KR101439590B1 (ko) 금속외관 효과를 구현하는 인테리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2154177A (ja) 半透過積層板
KR102489782B1 (ko) 장식 부재 및 장식 부재의 제조방법
JPS62284740A (ja) 微細すだれ状防眩シ−ト
JP2005181547A (ja)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ショーウィンドウ窓材
KR20230172083A (ko) 유기반사층을 갖는 비산방지 데코레이션용 다층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6950246B2 (ja) 金属調加飾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