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103B1 - Power supply device for camping in out door - Google Patents

Power supply device for camping in out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103B1
KR102152103B1 KR1020200002995A KR20200002995A KR102152103B1 KR 102152103 B1 KR102152103 B1 KR 102152103B1 KR 1020200002995 A KR1020200002995 A KR 1020200002995A KR 20200002995 A KR20200002995 A KR 20200002995A KR 102152103 B1 KR102152103 B1 KR 102152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lumnar body
unit
power suppl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9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종율
Original Assignee
선인기술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인기술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선인기술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2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10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1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1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using digital techniqu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device module which supplies power outdoors such as an apartment, a collective building, a large mart, an outdoor location of a single building, a camping site, or the li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wer supply device of a column structure is implemented as a structure for supplying power in outdoor lodgings such as a camping location for camping. By having a device storing auxiliary power through solar power generation by itself, camping location guidance, status guidance, warning signals and voice guidance in case of emergency are implemented without supplying main power to maximize convenience of use.

Description

실외용 기둥형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device for camping in out door}Power supply device for camping in out door

본 발명은 아파트, 집합건물, 대형마트, 단독건축물의 실외개소나, 캠핑장등의 야외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 모듈의 구조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device module for supplying power outdoors such as an apartment, a collective building, a large mart, an outdoor location of a single building, or a camping site.

일반적으로 현대인의 생활환경은 경제와 문화가 고도로 발달하면서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주 5일 근무제의 확산과 가계 소득 증가에 따라 각 가정의 가계지출에서 레저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하며 앞으로도 국내 레저관련 비용지출은 더욱 늘어나는 추세이다.In general, the living environment of modern people is expected to improve the standard of living as the economy and culture are highly developed, and the proportion of leisure expenses in household expenditure will increase as the spread of the 5-day work week and the increase in household income. Related expenditures are on the rise.

그러나, 현재 국내 관광지의 주변 인프라 시설은 상기와 같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레저인구의 증가율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the current infrastructure facilities around domestic tourist attractions are not able to keep up with the explosive increase of the leisure population as described above.

이로 인하여 휴가철을 비롯한 여름 성수기의 국내 관광지의 풍경은 많은 인파로 인해서 인산인해를 이루고 특히 숙박시설에는 예약을 하지 않을 경우 숙소를 구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For this reason, the scenery of domestic tourist destinations during the peak summer season including the vacation season is crowded due to the large crowds, and in particular, it is not possible to find a lodging facility if a reservation is not made.

특히, 휴가철을 비롯한 성수기에 유명 관광지에서의 숙박시설은 이용료가 비싼 편이어서 가계지출에서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고, 또한, 사람이 많이 찾지 않는 국내 관광지에서는 주변 인프라 시설이 부족하여 숙박시설을 이용하기 힘든 실정이다.In particular, during peak seasons including holiday seasons, accommodation facilities in famous tourist destinations tend to be expensive, which intensifies the economic burden of household expenses. In addition, in domestic tourist destinations where many people are not visited, the nearby infrastructure facilities are insufficient to use accommodation facilities. It is a difficult situation.

그래서 근래에는 트레일러 또는 개조된 차량의 내부에 조리시설 및 샤워시설, 화장실, 침대 등 각종 생활편의 시설을 구비하여 어느 곳에서나 자유롭게 캠핑을 즐길 수 있도록 설계된 캠핑트레일러 또는 캠핑카가 보급되고 있다.이와 함께, 전국의 유명 관광지에는 오토 캠핑장을 갖추고서 숙박시설에 대한 부담 없이 관광과 레저를 즐길 수 있도록 하여 오토 캠핑 족들을 유치하고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a camping trailer or camping car designed to be able to enjoy camping freely anywhere by providing various convenience facilities such as cooking facilities, shower facilities, toilets, beds, etc. inside a trailer or a modified vehicle has been spreading. Auto camping sites are installed in famous tourist spots across the country so that you can enjoy sightseeing and leisure without the burden of accommodation facilities, attracting auto campers.

그러므로 캠핑트레일러 또는 캠핑카를 이용하면 전국의 유명 관광지에서 운영하는 오토 캠핑장을 이용할 수 있고, 관광지의 숙박시설에 구애 받지 않고 어디에서든지 자유롭게 캠핑과 레저를 즐길 수 있게 된다.Therefore, if you use a camping trailer or a camping car, you can use auto camping sites operated by famous tourist spots nationwide, and you can freely enjoy camping and leisure anywhere, regardless of the accommodation facilities of the tourist destination.

이러한 실외지에서 숙박을 하는 장소로 사용하는 장소에서는, 사용자가 자체 배터리나 발전기를 구비하고 있지 않는한, 이용지에서 외부 전력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설치가 필수적이게 된다.In such a place used as a place to stay in an outdoor place, it is essential to install a power supply device that allows the user to receive and use external power from the place of use, unless the user has its own battery or generator.

캠핑카와 같이 기본 설비 시설이나 전원공급배터리를 장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러한 전원공급장치의 경우, 캠핑을 위한 캠핑장소에 각각 배치되고, 사용자가 전원코드를 꼽아서 사용하는 용도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을 뿐, 그외 편의사항을 제공하고 있지는 못한 실정이다.Except for the case of installing basic facilities such as camping cars or power supply batteries, these power supply devices are each arranged in a camping place for camping, and perform the function for the purpose of plugging in the power cord by the user. However, there is no other convenience provided.

특히, 야외 캠핑장의 경우, 어두운 밤에 도착하여 예약장소를 찾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며, 실외에 배치되는 구조물인바, 사전에 결제를 수행한 이후에, 사용전력에 대한 정산이 정확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며, 화재나 홍수, 가스질식 등의 다양한 비상위험시 실외지에서 제대로된 안내가 이루어지지 않아 피해가 커지게 되는 위험성에 대한 대비도 필요한 실정이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outdoor camping grounds, it is a reality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a reservation place after arriving in the dark, and since it is a structure that is placed outdoors, the settlement of the power used is frequently inaccurate after payment has been made. In the event of various emergency risks such as fire, flood, gas suffocation, etc., it is also necessary to prepare for the danger of increased damage due to not being properly guided in outdoor areas.

한국등록특허 제10-1715575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15575 한국공개특허 제2016-010902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6-010902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아파트나 집합건물, 건축구조물의 외부에서의 전원공급 또는 캠핑을 위한 캠핑장소와 같은 야외 숙박지에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조물로 기둥형 구조의 전원공급장치를 구현하되, 자체적으로 태양발전을 통해 보조전원을 저장하는 장치를 구비하여, 메인 전원의 공급없이도 캠핑장의 위치안내, 상태 안내, 비상상황시 경고신호 및 음성안내를 구현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ly power from the outside of an apartment, a collective building, or a building structure, or to a structure for supplying power in an outdoor lodging place such as a camping place for camping. Implement a power supply device of a columnar structure, but with a device that stores auxiliary power through solar power by itself, and implements location guidance, status guidance, warning signals and voice guidance in case of emergency without supplying main power. It is to provide a power supply device that can maximize the convenience of us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캠핑장에서 사용하는 전력량을 자동으로 계측할 수 있도록 하며, 무선통신망을 이용하는 이용료 및 전력사용에 대한 과금을 자동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구축을 가능하게하여, 사용자의 편리한 야외 숙박지의 이용을 도울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measure the amount of power used in the camping ground, and to enable the construction of a system to automatically implement billing for the us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use of power, the user It is to provide a device that can help in the use of convenient outdoor accommodations in the city.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구조에서와 같이, 아파트, 집합건물, 대형마트, 단독건축물의 실외개소나, 캠핑장등 실외개소에 독립적으로 배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기둥형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structure shown in Figs. 1 to 7, outdoor places such as apartments, collective buildings, large marts, and independent buildings, outdoor places such as camping grounds, etc. In a column-type power supply device that is arranged independently of and supplies power,

지반에 하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10)와 상기 고정부(110) 상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기둥형 몸체(120);A fixing part 110 fixing the lower part to the ground and a columnar body 120 protruding upward on the fixing part 110;

상기 기둥형 몸체(120)의 내부를 경유하는 외부 전원공급선에 연결되며, 말단에 타 전원공급선과 연결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콘센트부(122)와,An outlet portion 122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line passing through the interior of the columnar body 120 and provided at an end to be connected to other power supply lines,

상기 콘센트부(122)의 노출면을 수용하며, 상기 기둥형 몸체(120)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기둥형 몸체에 일부가 내삽되는 구조로 결합되는 콘센트함(130);An outlet box 130 that receives the exposed surface of the outlet part 122,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columnar body 120, and is coupled to the columnar body in a structure in which a part is inserted into the columnar body;

상기 기둥형 몸체(120)의 상단에 마련되는 태양광패널모듈(140);A solar panel module 140 provided on the top of the columnar body 120;

상기 태양광패널모듈(140)에서 공급되는 충전전력을 저장하면 내부 전원저장부(150);An internal power storage unit 150 when storing charging power supplied from the solar panel module 140;

상기 기둥형 몸체(120)의 내부에 발광소자부(161)가 실장되며, 상기 발광소자부(161)과 이격되며, 상기 기둥형몸체(120)의 표면에 결합되는 표시패널부(162)를 구비하며, A light emitting device part 161 is mounted inside the columnar body 120, spaced apart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part 161, and a display panel part 162 coupled to the surface of the columnar body 120 Equipped,

상기 내부 전원저장부(150)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바탕으로 발광 또는 점멸 신호를 수행하는 발광표시모듈(160);A light-emitting display module 160 for performing a light emission or flashing signal based on the power supplied from the internal power storage unit 150;

상기 콘센트부에 외부 사용 전원공급선이 연결되는 경우, 이에 대한 전원공급을 개시 및 종료에 따른 사용전력량을 측정하고, 상기 발광표시모듈(160)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며, 외부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모듈(C);When an external power supply line is connected to the outlet, the power supply is started and the amount of power used according to the termination is measured,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light-emitting display module 160 is performed, and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terminal is performed. A control module (C);

상기 기둥형 몸체(120)의 하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소화기의 안착여부를 감지하는 안착센서(S1) 및 사용여부를 감지하는 하중센서(S2)를 구비하는 안착부(P)가 마련되는 소화기비치함(170)Arranged in the inner space under the columnar body 120, a seating part (P) having a seating sensor (S1) detecting whether or not a fire extinguisher is seated and a load sensor (S2) detecting whether the fire extinguisher is installed is provided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70)

을 포함하는,Containing,

야외 숙박지용 기둥형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le-type power supply for outdoor lodg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아파트나 집합건물, 건축구조물의 외부에서의 전원공급 또는 캠핑을 위한 캠핑장소와 같은 야외 숙박지에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조물로 기둥형 구조의 전원공급장치를 구현하되, 자체적으로 태양발전을 통해 보조전원을 저장하는 장치를 구비하여, 메인 전원의 공급없이도 캠핑장의 위치안내, 상태 안내, 비상상황시 경고신호 및 음성안내를 구현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wer supply device having a columnar structure is implemented as a structure for supplying power from an outdoor lodging area such as an apartment, a collective building, or a camping place for camping, It is equipped with a device that stores auxiliary power through solar power by itself, and can maximize the convenience of use by implementing location guidance, status guidance, warning signals and voice guidance in case of emergency without supply of main power.

나아가, 아파트나 집합건물, 건축구조물의 외부에서의 전원공급 또는 캠핑장에서 사용하는 전력량을 자동으로 계측할 수 있도록 하며, 무선통신망을 이용하는 이용료 및 전력사용에 대한 과금을 자동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구축을 가능하게하여, 사용자의 편리한 야외 숙박지의 이용을 도울 수 있다.Furthermore, it is a system that automatically measures the power supply from the outside of apartments, collective buildings, and construction structures or the amount of power used in camping grounds, and automatically implements billing for use and power us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By enabling construction, it is possible to help users use convenient outdoor accommodation.

또한, 야외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기상재해, 홍수로 인한 수해 등의 긴급상황이 심야에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자동 센서의 계측에 따라 각 숙박지에 실시간으로 경고 및 안내, 대피 안내를 가이드할 수 있어 이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even if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fire, weather disaster, flood damage, etc. that may occur in an outdoor environment occurs at night, warnings and guidance, and evacuation guidance can be guided to each lodging area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of automatic sensors.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ensure the safety of user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용 기둥형 전원공급장치의 측면 개념도이며, 도 2는 정면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용 기둥형 전원공급장치의 제어모듈에 대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용 기둥형 전원공급장치의 전체 구성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비치함의 구현 예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표시모듈의 측단면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표시모듈의 표시 이미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1 is a side conceptual diagram of an outdoor columnar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conceptual diagram.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 module of an outdoor columnar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outdoor columnar power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implementation of a fire extinguisher beach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emitting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isplay image of a light emitting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being ad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es no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용 기둥형 전원공급장치(이하, '본 발명'이라 한다.)의 측면 개념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정면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side conceptual diagram of an outdoor columnar power supply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conceptual diagram of FIG. 1.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실외지로서 야외 캠핑장을 설치 장소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파트나 단독주택 등의 주거 공간(건물)의 배치 장소의 외부, 집합건물의 외부나 단독건물의 외부와 같은 실외장소에도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an outdoor camping site as an outdoor site as a preferred embodi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outside of a place where a residential space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or detached house is placed, or outside of a collective building It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to outdoor places such as outside of a single buildin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지반에 하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10)와 상기 고정부(110) 상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기둥형 몸체(120)와, 상기 기둥형 몸체(120)의 내부를 경유하는 외부 전원공급선에 연결되며, 말단에 타 전원공급선과 연결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콘센트부(122)와, 상기 콘센트부(122)의 노출면을 수용하며, 상기 기둥형 몸체(120)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기둥형 몸체에 일부가 내삽되는 구조로 결합되는 콘센트함(130), 상기 기둥형 몸체(120)의 상단에 마련되는 태양광패널모듈(140), 상기 태양광패널모듈(140)에서 공급되는 충전전력을 저장하면 내부 전원저장부(150), 상기 기둥형 몸체(120)의 내부에 발광소자부(161)가 실장되며, 상기 발광소자부(161)과 이격되며, 상기 기둥형몸체(120)의 표면에 결합되는 표시패널부(162)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 전원저장부(150)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바탕으로 발광 또는 점멸 신호를 수행하는 발광표시모듈(160), 상기 콘센트부에 외부 사용 전원공급선이 연결되는 경우, 이에 대한 전원공급을 개시 및 종료에 따른 사용전력량을 측정하고, 상기 발광표시모듈(160)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며, 외부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모듈(C), 상기 기둥형 몸체(120)의 하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소화기의 안착여부를 감지하는 안착센서(S1) 및 사용여부를 감지하는 하중센서(S2)를 구비하는 안착부(P)가 마련되는 소화기비치함(170)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1 and 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ing part 110 for fixing a lower part to the ground, a columnar body 120 protruding upward on the fixing part 110, and the columnar body ( 12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line passing through the interior of the outlet unit 122, which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other power supply lines at the end thereof, and accommodates the exposed surface of the outlet unit 122, and the columnar body ( 120) An outlet box 130 protruding to the outside and coupled in a structure in which a part is inserted into the columnar body, a solar panel module 140 provided on the top of the columnar body 120, and the solar panel When the charging power supplied from the module 140 is stored, the internal power storage unit 150,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161 is mounted inside the columnar body 12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161 , A light-emitting display module 160 having a display panel unit 162 coupled to the surface of the columnar body 120, and performing a light emission or flashing signal based on power supplied from the internal power storage unit 150 ), when an external power supply line is connected to the outlet unit, measure the amount of power used according to the start and end of power supply to the outlet, perform a control operation of the light-emitting display module 160, and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terminal A control module (C) that performs the operation,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under the column-shaped body 120, and has a seating sensor (S1) detecting whether the fire extinguisher is seated, and a load sensor (S2) detecting whether to use It may be implemented in a structure including a fire extinguisher beach box 170 in which the seating part P is provided.

상기 기둥형 몸체(120)은 금속재질로 구현되며, 외표면은 방수 방청을 위한 코팅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일예로, SUS재질이나 스틸재질의 금속재로 구성되며, 내부는 비어 있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둥형 몸체(120)의 경우, 통상적으로 80cm~2m 내외의 길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키에 맞는 높이를 설정하고, 후술하는 발광표시모듈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columnar body 120 is implemented with a metal material, and the outer surface is preferably made to perform a coating treatment for waterproof rust prevention, and as an example, it is composed of a metal material made of SUS material or steel material, and the inside is empty. It can be formed into a structure that is there. In the case of the columnar body 120, it may be implemented with a length of about 80cm to 2m, and this is to set a height suitable for the user's height and to increase the visibility of the light emitting display module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기둥형 몸체(120)의 하부에는 지반에 고정을 하기 위한 고정부(110)이 플레이트 형상으로 배치되며, 더욱 지면에 고정력을 높이기 위해 콘크리트 구조물(118)에 절곡형 고정바(112)를 인입하고, 상기 고정부(110)와 볼트 고정을 통해 강한 결합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 fixing part 110 for fixing to the ground is arranged in a plate shape under the column-shaped body 120, and a bending-type fixing bar 112 is inserted into the concrete structure 118 to further increase the fixing force on the ground. And, it may be possible to implement a strong coupling force through the fixing unit 110 and the bolt fixing.

특히, 상기 기둥형 몸체(120)의 상부에는 상기 기둥형 몸체(120)의 내부를 경유하는 외부 전원공급선(114)에 연결되며, 말단에 타 전원공급선과 연결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콘센트부(122)가 구비되며, 상기 콘센트부(122)의 노출면을 수용하며, 상기 기둥형 몸체(120)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기둥형 몸체에 일부가 내삽되는 구조로 결합되는 콘센트함(130)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upper portion of the columnar body 12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line 114 passing through the interior of the columnar body 120, the outlet portion 122 provided to be connected to other power supply lines at the end Is provided, receiving the exposed surface of the outlet unit 122,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columnar body 120, the outlet box 130 coupled in a structure in which a part is inserted into the columnar body is disposed Make it possible.

상기 콘센트함(130)은 외부의 접지전원을 위한 커넥터가 연결되는 콘센트(122)의 접지부가 마련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전면부에는 덮개(134)가 배치되어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덮개(134)는 손잡이부(132)가 마련되여, 전면으로 잡아 당겨 열거나, 상부로 슬라이딩 구조로 구현하여 열리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상기 덮개(134)의 개폐여부는 우천시의 경우, 콘센트 함 내부로 빗물이 침투하거나 오염물질이 투입되는 것이 막기 위해 상시 닫힌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는바, 상기 덮개(134)의 열림 상태의 표시는 후술하는 제어모듈(C)의 장치상황모니터링부(218)을 통해 실시간 감지될 수 있도록 하고, 설정된 시간 이상의 덮개 열림상태가 유지되는 경우에는, 발광표시모듈(160)을 통해 덮개 열림상태를 발광, 문자, 음성안내를 병합하는 신호로 이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덮개(134)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는 감지센서(미도시)를 장착하고, 덮개의 개폐 여부를 실시간으로 제어모듈(C)을 통해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outlet box 130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a ground portion of the outlet 122 to which a connector for external ground power is connected is provided, and a cover 134 is disposed on the front portion to be implemented in a structur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o be. The cover 134 is provided with a handle portion 132 to be opened by pulling it to the front surface, or to be implemented as a sliding structure upward to be opened. In addition, whether the cover 134 is opened or closed should be kept in a closed state in order to prevent rain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outlet box or entering contaminants in the case of rain, and the open state of the cover 134 The display can be detected in real time through the device status monitoring unit 218 of the control module C,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when the cover open state is maintained for more than a set time, the cover open state is measured through the light-emitting display module 160. It is possible to notify the user with a signal that combines light emission, text, and voice guidance.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o mount a detection sensor (not shown) that senses whether the cover 134 is opened or closed, and monitor whether the cover is opened or closed through the control module C in real time.

또한, 상기 콘센트함(130)의 하부 부분에는 전선거치홈이 마련되어, 도 1과 같이, 사용자가 전력을 사용하기 위한 코드를 콘센트에 결속하는 경우, 전원선이 상기 전선거치홈을 경유하여 외부로 나갈 수 있도록 하여, 덮개의 밀폐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wire mounting groove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utlet box 130, and as shown in FIG. 1, when a user binds a cord for using power to an outlet, the power line passes through the wire mounting groove to the outside.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exit, thereby increasing the hermeticity of the cover.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콘센트함(130)은 상기 기동형 몸체(120)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G))을 따라 좌우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콘센트함의 하부에는 베어링부(B:도 1)가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 홈(G)을 통해 상기 베어링부(B)가 이동을 하게 되며, 좌우 방향으로 일정 부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원을 사용하는 장소에 따라 사용자가 코드를 연결하는 방향 측면에서 편리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전원공급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장점이 구현된다.In addition, the outlet box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formed in a structure capable of movable left and right along the guide groove (G) formed in the movable body 120. To this end, a bearing part (B: Fig. 1)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outlet box, and the bearing part (B) moves through the guide groove (G), and it is preferable to move a certain par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Do. This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in that power can be supplied by moving it in a convenient direction in terms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connects the cord depending on the location where the power is used.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기둥형 몸체(120)에는 고리형 구조물로 전원선을 거치하는 형광형 거치고리부(126)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거치고리부(126)에 사용자가 코드를 연결하고, 전원선이 전선거치홈을 경유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사용자의 발에 전원선이 걸리거나 빗물이 있는 장소에 전원선이 노출되어 감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원선은 상기 거치고리부(126)에 끼움결합하여 일정부분 기둥형 몸체(120)의 표면에 거치되는 구조로 가이드 되도록 하여, 전원선이 바닥에 무방비하게 노출되어 사용자가 위험에 노출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거치고리부는, 표면에 형광물질 처리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야간에 기둥형 몸체의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전선의 위치를 정확하게 야간에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적인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Further,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columnar body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fluorescent type mounting ring part 126 for mounting the power line in an annular structure. This is because when the user connects the cord to the mounting hook part 126 and the power lin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 mounting groove, the power line is caught on the user's foot or the power line is exposed to rainwater. 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from occurring, the power line is fitted to the mounting hook 126 and guided to a structure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columnar body 120, so that the power line is unprotectedly exposed to the floor. As a result, user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danger.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mounting hook portion is treated with a fluorescent substance on the surface, which enables the position of the columnar body to be accurately identified at night, thereby preventing the user from colliding, and accurately positioning the electric wire. It will be possible to implement complex functions that can be identified even at night.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둥형 몸체(120)의 상단에 태양광패널모듈(140)을 마련하여, 주간에 상기 태양광패널모듈(140)을 통해 충전되는 전력을 내부 전원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발광소자나 무선통신부, 표시패널부, 제어모듈의 동작에 필요한 소정의 전원을 상기 내부 전원 저장부(150)에 의해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외부 전원이 일시적으로 정전이 되거나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도, 경고신호의 발신과 상태신호의 모니터링등의 동작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solar panel module 140 on the upper end of the pillar-shaped body 120, the internal power storage unit 150 to the power charged through the solar panel module 140 during the day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store it in. This allows the internal power storage unit 150 to supply predetermined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display panel unit, and the control module, which ar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external power is temporarily cut off. This is to ensure smooth operation such as transmission of warning signals and monitoring of status signals, even in situations where it becomes unusable or unavailabl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콘센트부에 외부 사용 전원공급선이 연결되는 경우, 이에 대한 전원공급을 개시 및 종료에 따른 사용전력량을 측정하고, 상기 발광표시모듈(160)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며, 외부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모듈(C)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xternal power supply line is connected to the outlet unit, the power supply is started and the amount of power used according to the end is measured,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display module 160 is performed, and the external terminal It is possible to have a control module (C)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모듈(C)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태양광패널모듈(140)에서 생성된 전력을 상기 내부 전원저장부(150)에 저장되는 전력량을 표시하는 충전전력량표시부(212)와, 상기 내부 전원저장부(150)를 통해서 구동되는 상기 발광표시모듈(160)의 사용전력량과, 상기 콘센트부(122)를 통해 사용하는 사용전력량을 산출하는 사용전력 산출부(214), 상기 기둥형 몸체(120)가 배치되는 야외 숙박지의 이용시작시간과 종류시간을 정산하여 산출하는 이용시간 산출부(216), 상기 태양광패널모듈(140)과 발광표시모듈(160), 소화기비치함(170)의 상태정보의 수신 및 표시를 포함하는 상기 기둥형 전원공급장치 전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정상작동여부를 표시하는 장치상황모니터링부(218)를 포함하는 전력량제어모듈(210)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control module (C), as shown in Figure 3, the power generated by the solar panel module 140 is a charging power amount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amount of power stored in the internal power storage unit 150 ( 212), and a power use calculation unit 214 that calculates the amount of power used by the light emitting display module 160 driven through the internal power storage unit 150 and the amount of power used through the outlet unit 122 , A usage time calculation unit 216 that calculates and calculates the usage start time and type time of the outdoor accommodation where the columnar body 120 is arranged, the solar panel module 140 and the light-emitting display module 160, a fire extinguisher A power amount control module 210 including a device status monitoring unit 218 that monitors the overall state of the columnar power supply including reception and 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of the stock box 170 to indicate whether it is operating normally. Include.

나아가, 상기 제어모듈(C)은 상기 기둥형 몸체(120)에 장착된 상기 콘센트부(122)의 사용을 위해 전력연결을 수행하여 발생하는 체크인신호를 수신하는 체크인신호수신부(222)와, 상기 장치상황모니터링부(218)에서 감지한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발광표시모듈(160)의 표시신호를 결정하여 송출하는 발광신호제어부(224), 상기 표시신호와 연동하는 음성신호를 매칭하여 송출하는 음량신호제어부(226)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제어모듈(220)을 구비할 수 있다.Further, the control module (C) includes a check-in signal receiving unit 222 for receiving a check-in signal generated by performing power connection for use of the outlet unit 122 mounted on the pillar-shaped body 120, and the Based on the control signal sensed by the device status monitoring unit 218, the light-emitting signal control unit 224 determines and transmits a display signal of the light-emitting display module 160, and transmits a matching voice signal interlocked with the display signal. A status information control module 220 including a volume signal control unit 226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제어모듈(C)은 상기 전력량제어모듈(210)과 상기 상태정보제어모듈(220)의 제어신호를 외부의 사용자단말에 송출하거나, 외부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232)와 상기 전력량제어모듈(210)에서 산출되는 사용 전력량 및 이용시간을 포함하는 정보를 바탕으로 정산할 비용을 산출하는 과금내역산출부(234), 상기 과금내역산출부(234)를 통해 정산된 비용을 외부 결제수단과 무선 또는 유선연결되어 결제정보를 처리하는 결제부(236)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C)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of the power amount control module 210 and the state information control module 220 to an external user terminal,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32 for receiving an external control signal and Based on the information including the amount of power used and the use time calculated by the power amount control module 210, the billing details calculation unit 234, which calculates the cost to be settled, and the cost calculated through the billing details calculation unit 234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payment unit 236 for processing payment information by wireless or wired connection with an external payment method.

이상의 제어부(C)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전원공급장치가 설치된 예약장소에 체크인하는 경우, 이에 대한 체크인 이후의 전력사용을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도록 하며, 체크아웃까지의 시간에 따른 이용비용, 전력사용에 따른 과금내용을 정산하여 사용자의 단말을 통해 접속되는 결제수단을 통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When a user checks in to a reserved place where the powe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he above control unit (C) enables real-time check of power usage after check-in, and the usage cost and power according to the time until check-out. It is possible to settle the billing details according to the use so that the payment can be made through a payment method connected through the user's terminal.

편의사항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에 설치하여 구성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전원공급장치를 운영하는 제어모듈(C)을 통해 공급되는 실시간 전력사용 및 기타 편의사항, 결제 등의 상황을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모듈(C)에서 수신되는 상태 정보나 경고신호 등의 정보를 발광표시모듈(160)을 통해 전원공급장치에서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도 동일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운영될 수 있다.In order to enhance convenience, when a program provided through an application is installed and configured in a user terminal, real-time power use and other conveniences supplied through the control module (C) operating the powe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ayment You can make it possible to solve situations such as efficiently. Furthermore, when information such as status information or warning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module C is provided from the power supply device through the light-emitting display module 160, the sam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

이러한 정보의 전송은 본 발명의 무선통신부(232)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원공급장치내에서 와이파이(WIFI)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모듈을 설치하여 이에 대한 무선통신을 사용자 단말이 사용하는 경우, 이에 대한 과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transmission of such information may be implemen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32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referably, a module that provides WiFi wireless communication is installed in the power supply so that the user terminal us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If so, it is also possible to allow charging for this.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1, 도 2,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기둥형 몸체(120)의 하부에 소화기 비치함(170)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2, and 4,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ire extinguisher mounting 17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lumnar body 120.

상기 소화기 비치함(170)은, 상기 기둥형 몸체(120)의 하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소화기의 안착여부를 감지하는 안착센서(S1) 및 사용여부를 감지하는 하중센서(S2)를 구비하는 안착부(P)가 마련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The fire extinguisher compartment 170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under the columnar body 120 and includes a seating sensor (S1) detecting whether the fire extinguisher is seated and a load sensor (S2)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fire extinguisher is installed. It can be implement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mounting portion (P) is provided.

도 4는 소화기 비치함(170)의 내부 구성에 대한 구성블록도이며, 도 5는 소하기 비치함(170)의 설치 구성의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equipped with 170, Figure 5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installation configur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equipped with 170.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소화기비치함(170)은, 상기 기둥형 몸체(120)의 내측에 공간부를 마련하고, 상기 공간부를 밀폐형 구조로 구현하는 케이싱부(R)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싱부(R)의 전면부에 개폐동작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윈도우부(w)와 상기 공간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소화기가 안착되는 안착부(17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70 includes a space part inside the columnar body 120 and a casing part R for implementing the space part in a sealed structur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window portion (w) coupl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casing portion (R) to enable a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and a seating portion (172) disposed under the space portion to seat a fire extinguisher.

즉,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안착부(172)의 중심부에 소화기와 접촉하여 소화기의 안착여부를 감지하는 안착센서(S1) 및 사용여부를 감지하는 하중센서(S2)가 배치되며, 상기 케이싱부(R) 내측에 연기감지센서(S3) 및 열감지센서(S4), 수위감지센서(S6)를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부(w)의 상단에 분리센서(S5)가 배치되어, 각각의 센서의 정보가 상기 제어모듈(C)의 센서신호수집부(219)로 전달되도록 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5, a seating sensor (S1) for detecting whether the fire extinguisher is seated by contacting the fire extinguisher in contact with a fire extinguisher in the center of the seating portion 172 and a load sensor (S2) detecting whether the fire extinguisher is used are disposed, A smoke detection sensor (S3), a heat detection sensor (S4), and a water level detection sensor (S6) are included inside the casing part (R), and a separation sensor (S5)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window part (w), The information of each sensor is transmitted to the sensor signal collection unit 219 of the control module (C).

상기 안착센서(S1)의 경우, 기둥형 몸체(120)에 상시 비치되어야할 소화기의 장착여부(분실 등)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하중센서(S 2)는 소화기의 중량 증감에 따른 변동을 계측하여 소화기의 사용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eating sensor (S1), it is possible to check in real time whether or not a fire extinguisher is installed (lost, etc.) to be always provided on the column-shaped body 120, and the load sensor (S 2) is The fluctuation can be measured so that the use of a fire extinguisher can be checked.

나아가, 상기 연기감지센서(S3) 및 열감지센서(S4)의 경우, 기둥형 몸체(120)이 배치되는 장소에 화재나 유독가스의 누출상황을 감지하여 해당 정보를 제어모듈(C)로 송신하고, 이에 따른 경고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 모니터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in the case of the smoke detection sensor (S3) and the heat detection sensor (S4), it detects the leakage of fire or toxic gas in the place where the columnar body 120 is arranged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module (C).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basic monitoring information for transmitting a warning signal accordingly.

아울러, 상기 수위감지센서(S6)의 경우, 상기 케이싱부(R)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야외지에서 계곡근처의 경우, 야간에 갑작스런 강우로 인해 발생하는 홍수나 수해의 위험성을 대비하는 것으로, 잠을 자고 있는 사용자들이 대피하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물이 일정 수위 이상 상기 케이싱부(R)의 내측에 차오르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이에 대한 감지신호를 제어모듈로 전송하여 경고신호를 즉시 송출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water level sensor (S6), it is disposed inside the casing unit (R), and in the case of the outdoor area near the valley, it is to prepare for the risk of flood or flood damage caused by sudden rainfall at night. , In order to prevent a situation in which sleeping users cannot evacuate, when detecting that water is filled inside the casing unit R above a certain level, a warning signal is immediately transmitted by transmitting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module. Make it possible to transmit.

나아가, 상기 윈도우부(w)의 상단에 분리센서(S5)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소화기의 사용을 위해 상기 윈도우부를 여는 경우, 이에 대한 상태 정보를 파악하여 제어모듈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소화기의 분실등의 문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하중감지센서와 더불어 소화기의 상태정보를 명확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Furthermore, a separation sensor S5 may be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window unit w, which, when the window unit is opened for the use of a fire extinguisher, can be identified and provided to the control module. Since problems such as loss of fire extinguishers can be accurately identified, it is possible to clearly monitor the status information of fire extinguishers along with load detection sensors.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표시모듈(160)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 개념도이며, 도 7은 상기 발광표시모듈(160)의 표시패널부(162)에 표시되는 경고 신호나 상태 정보 신호의 예시문자를 도시한 것이다.6 is a cross-sectional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ight emitting display module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xample of a warning signal or a status information signal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unit 162 of the light emitting display module 160 It shows the text.

구체적으로는, 상기 발광표시모듈(160)은, 상기 센서신호수집부(219)에서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분석된 내부 또는 외부의 상태 정보를 상기 표시패널부(162)로 디스플레이하도록 구동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정보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a) 기둥형 몸체가 배치되는 이용 장소에 대한 정보(녹색 LED 작동), (b) 사용상태 여부를 알리는 정보(청색 LED 작동), (c) 화재상황을 알리는 경고 표시(적색 LED 작동, 점멸, 음성경고 병행), (d) 비상 응급상황 발생(사용자 부상 등: 적색 LED 신호 작동), (e) 홍수, 수해 상황의 발생(적색 LED 작동, 점멸, 음성경고 병행), (f) 낙뢰 위험 경고 신호(적색 LED 작동, 점멸, 음성경고 병행) 등 상태에 따라 발광소자의 발광 빛(R, G, B, 점멸)과 음성 스피커와 연동하는 음성경고신호의 송출로 상태 정보를 신속하게 알릴 수 있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light-emitting display module 160 is driven to display internal or external status information analyzed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ensor signal collection unit 219 on the display panel unit 162. As shown in FIG. 7, the displayed status information includes (a) information on the location where the columnar body is placed (green LED operation), (b)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state of use (blue LED operation), ( c) Fire warning indication (red LED operation, flashing, voice warning combined), (d) emergency emergency situation (user injury, etc.: red LED signal operation), (e) flood, flooding situation (red LED) Operation, flashing, voice warnings), (f) lightning hazard warning signals (red LED operation, flashing, voice warnings), etc. Depending on the statu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emitting element (R, G, B, flashing) and the voice speaker are interlocked. It is possible to quickly notify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route of the voice warning signal.

이러한 상기 발광표시모듈(160)의 경우, 기둥형 몸체(120)의 상단부에 매립형 구조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In the case of the light-emitting display module 160, it can be installed in a buried structure at the upper end of the columnar body 120.

구체적으로, 상기 발광표시모듈(160)은, 발광소자(LED)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163)이 상기 기둥형 몸체(120)의 내부 공간부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나아가, 상기 인쇄회로기판(163)을 안착하는 하우징모듈(165)이 상기 인쇄회로 기판을 지지하여 안착시킬 수 있도록 절곡된 구조로 배치되며, 그 전면부에는 표시패널부(162)가 배치되어, 기둥형 몸체(120)의 외면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Specifically, the light emitting display module 160 is disposed such that the printed circuit board 163 on which the light emitting device (LED) is mounted faces the inner space of the columnar body 120. Further, the housing module 165 on which the printed circuit board 163 is mounted is arranged in a bent structure to support and seat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display panel part 162 is arranged on the front side thereof, It is to be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ar body 120.

특히, 상기 하우징모듈(165)은 열전달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구현되어, 상기 기둥형몸체에 접촉하는 접촉단(164)을 통해 연결되어 열발산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발광소자의 발광과 점멸 등의 상시 동작으로 인해, 과도한 열이 축적될 수 있으며, 이는 주간이나 여름 등의 고온의 상황에서는 더욱 심해지게 되어, 발광소자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금속재질의 기둥형 몸체와 내부의 비어 있는 공간부에 동시에 열을 전달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열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을 구현하기 위함이다.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housing module 165 is implemented with a metal material having a high heat transfer rate and is connected through a contact end 164 in contact with the columnar body to increase heat dissipation efficiency. This may cause excessive heat to accumulate due to the constant operation such as light emission and flashing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which becomes more severe in high temperature conditions such as daytime or summer, so that the problem of shortening the lif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can be solved. This is to realize the advantage of maximizing the heat dissipation function that allows heat to be simultaneously transferred and discharged to the columnar body of metal and the empty space inside.

이상의 본 발명의 기둥형 전원공급장치의 경우, 캠핑을 위한 캠핑장소와 같은 야외 숙박지에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조물로 기둥형 구조의 전원공급장치를 구현하되, 자체적으로 태양발전을 통해 보조전원을 저장하는 장치를 구비하여, 메인 전원의 공급없이도 캠핑장의 위치안내, 상태 안내, 비상상황시 경고신호 및 음성안내를 구현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구현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pillar-type powe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illar-type power supply device is implemented as a structure for supplying power from an outdoor lodging area such as a camping place for camping, but stores auxiliary power through solar power by itself. The advantage of maximizing the convenience of use is realized by providing a device to provide location guidance, status guidance, warning signals and voice guidance in case of emergency without supply of main power.

특히, 캠핑장에서 사용하는 전력량을 자동으로 계측할 수 있도록 하며, 무선통신망을 이용하는 이용료 및 전력사용에 대한 과금을 자동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구축을 가능하게하여, 사용자의 편리한 야외 숙박지의 이용을 도울 수 있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 system that automatically measures the amount of electricity used in the camping ground, and automatically implements billing for the us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use of electricity,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use convenient outdoor accommodation. I can help.

또한, 야외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기상재해, 홍수로 인한 수해 등의 긴급상황이 심야에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자동 센서의 계측에 따라 각 숙박지에 실시간으로 경고 및 안내, 대피 안내를 가이드할 수 있어 이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ven if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fire, weather disaster, flood damage, etc. that may occur in an outdoor environment occurs at night, warnings and guidance, and evacuation guidance can be guided to each lodging area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of automatic sensors. User safety can be ensur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transform it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100: 기둥형 전원공급장치
110: 고정부
120: 기둥형 몸체
130: 콘센트함
140: 태양광패널모듈
150: 내부 전원저장부
160: 발광표시모듈
170: 소화기비치함
C: 제어모듈
100: column power supply
110: fixing part
120: columnar body
130: outlet box
140: solar panel module
150: internal power storage unit
160: light-emitting display module
170: fire extinguisher
C: control module

Claims (5)

실외에 독립적으로 배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기둥형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지반에 하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10)와 상기 고정부(110) 상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기둥형 몸체(120);
상기 기둥형 몸체(120)의 내부를 경유하는 외부 전원공급선에 연결되며, 말단에 타 전원공급선과 연결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콘센트부(122)와,
상기 콘센트부(122)의 노출면을 수용하며, 상기 기둥형 몸체(120)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기둥형 몸체에 일부가 내삽되는 구조로 결합되는 콘센트함(130);
상기 기둥형 몸체(120)의 상단에 마련되는 태양광패널모듈(140);
상기 태양광패널모듈(140)에서 공급되는 충전전력을 저장하면 내부 전원저장부(150);
상기 기둥형 몸체(120)의 내부에 발광소자부(161)가 실장되며, 상기 발광소자부(161)과 이격되며, 상기 기둥형몸체(120)의 표면에 결합되는 표시패널부(162)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 전원저장부(150)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바탕으로 발광 또는 점멸 신호를 수행하는 발광표시모듈(160);
상기 콘센트부에 외부 사용 전원공급선이 연결되는 경우, 이에 대한 전원공급을 개시 및 종료에 따른 사용전력량을 측정하고, 상기 발광표시모듈(160)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며, 외부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모듈(C);
상기 기둥형 몸체(120)의 하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소화기의 안착여부를 감지하는 안착센서(S1) 및 사용여부를 감지하는 하중센서(S2)를 구비하는 안착부(P)가 마련되는 소화기비치함(170);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표시모듈(160)은,
상기 제어모듈(C)에서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분석된 내부 또는 외부의 상태 정보를 상기 표시패널부(162)로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며, 상기 발광소자부(161)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163)은 상기 기둥형 몸체(120)의 내부 공간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163)을 안착하는 하우징모듈(165)은 열전달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구현되어, 상기 기둥형몸체에 접촉하는 접촉단(164)을 통해 연결되어 열발산효율을 높이도록 하고,
상기 콘센트함(130)은 하부에 베어링부(B)가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부(B)가 상기 기둥형 몸체(120)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G)을 따라 좌우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기둥형 몸체(120)에는 고리형 구조물로 전원선을 거치하는 형광형 거치고리부(126)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실외용 기둥형 전원공급장치.
In a column-type power supply that is independently arranged outdoors and supplies power,
A fixing part 110 fixing the lower part to the ground and a columnar body 120 protruding upward on the fixing part 110;
An outlet portion 122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line passing through the interior of the columnar body 120 and provided at an end to be connected to other power supply lines,
An outlet box 130 that receives the exposed surface of the outlet part 122,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columnar body 120, and is coupled to the columnar body in a structure in which a part is inserted into the columnar body;
A solar panel module 140 provided on the top of the columnar body 120;
An internal power storage unit 150 when storing charging power supplied from the solar panel module 140;
A light emitting device part 161 is mounted inside the columnar body 120, spaced apart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part 161, and a display panel part 162 coupled to the surface of the columnar body 120 A light-emitting display module 160 configured to perform a light-emitting or flashing signal based on power supplied from the internal power storage unit 150;
When an external power supply line is connected to the outlet, the power supply is started and the amount of power used according to the termination is measured,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light-emitting display module 160 is performed, and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terminal is performed. A control module (C);
Arranged in the inner space under the columnar body 120, a seating part (P) having a seating sensor (S1) detecting whether or not a fire extinguisher is seated and a load sensor (S2) detecting whether the fire extinguisher is installed is provided. Including; fire extinguisher beach box 170;
The light-emitting display module 160,
The printed circuit board 163 on which the display panel unit 162 displays internal or external status information analyzed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control module C,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161 is mounted thereon. Is disposed to face the inner space of the columnar body 120, and the housing module 165 on which the printed circuit board 163 is mounted is implemented with a metal material having a high heat transfer rate, and contacts the columnar body. It is connected through the stage 164 to increase the heat dissipation efficiency,
The outlet box 130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 bearing part (B) is formed in the lower part, and the bearing part (B) is formed in a structure capable of moving left and right along a guide groove (G) formed in the columnar body 120, ,
The columnar body 120 is an outdoor columnar power supply device provided with at least one fluorescent mounting hook portion 126 for mounting a power line in an annular struc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C)은,
상기 태양광패널모듈(140)에서 생성된 전력을 상기 내부 전원저장부(150)에 저장되는 전력량을 표시하는 충전전력량표시부(212);
상기 내부 전원저장부(150)를 통해서 구동되는 상기 발광표시모듈(160)의 사용전력량과, 상기 콘센트부(122)를 통해 사용하는 사용전력량을 산출하는 사용전력 산출부(214);
상기 기둥형 몸체(120)가 배치되는 야외 숙박지의 이용시작시간과 종류시간을 정산하여 산출하는 이용시간 산출부(216);
상기 태양광패널모듈(140)과 발광표시모듈(160), 소화기비치함(170)의 상태정보의 수신 및 표시를 포함하는 상기 기둥형 전원공급장치 전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정상작동여부를 표시하는 장치상황모니터링부(218);
를 포함하는 전력량제어모듈(210)과,
상기 기둥형 몸체(120)에 장착된 상기 콘센트부(122)의 사용을 위해 전력연결을 수행하여 발생하는 체크인신호를 수신하는 체크인신호수신부(222);
상기 장치상황모니터링부(218)에서 감지한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발광표시모듈(160)의 표시신호를 결정하여 송출하는 발광신호제어부(224);
상기 표시신호와 연동하는 음성신호를 매칭하여 송출하는 음량신호제어부(226);
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제어모듈(220); 및
상기 전력량제어모듈(210)과 상기 상태정보제어모듈(220)의 제어신호를 외부의 사용자단말에 송출하거나, 외부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232);와
상기 전력량제어모듈(210)에서 산출되는 사용 전력량 및 이용시간을 포함하는 정보를 바탕으로 정산할 비용을 산출하는 과금내역산출부(234);
상기 과금내역산출부(234)를 통해 정산된 비용을 외부 결제수단과 무선 또는 유선연결되어 결제정보를 처리하는 결제부(236);
를 포함하는 ,
실외용 기둥형 전원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module (C),
A charging power amount display unit 212 displaying the amount of power stored in the internal power storage unit 150 with the power generated by the solar panel module 140;
A power use calculation unit 214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power used by the light emitting display module 160 driven through the internal power storage unit 150 and the amount of power used through the outlet unit 122;
A use time calculation unit 216 for calculating a use start time and a type time of the outdoor accommodation where the columnar body 120 is arranged;
Monitoring the overall state of the columnar power supply device including the reception and display of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solar panel module 140, the light-emitting display module 160, and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70 to indicate whether it is operating normally. Device status monitoring unit 218;
Power amount control module 210 including a,
A check-in signal receiving unit 222 for receiving a check-in signal generated by performing power connection for use of the outlet unit 122 mounted on the pillar-shaped body 120;
A light-emitting signal control unit 224 for determining and transmitting a display signal of the light-emitting display module 160 based on the control signal detected by the device status monitoring unit 218;
A volume signal control unit 226 that matches and transmits a voice signal interlocked with the display signal;
Status information control module 220 including a;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32 that transmits control signals of the power amount control module 210 and the state information control module 220 to an external user terminal or receives an external control signal; and
A billing details calculation unit 234 for calculating a cost to be settled based on information including the amount of power used and the amount of use time calculated by the power amount control module 210;
A payment unit 236 for processing payment information by wirelessly or wired connection of the cost calculated through the billing details calculation unit 234 to an external payment means;
Containing,
Outdoor pole power supply.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비치함(170)은,
상기 기둥형 몸체(120)의 내측에 공간부를 마련하고, 상기 공간부를 밀폐형 구조로 구현하는 케이싱부(R);
상기 케이싱부(R)의 전면부에 개폐동작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윈도우부(w);
상기 공간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소화기가 안착되는 안착부(172);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172)의 중심부에 소화기와 접촉하여 소화기의 안착여부를 감지하는 안착센서(S1) 및 사용여부를 감지하는 하중센서(S2)가 배치되며,
상기 케이싱부(R) 내측에 연기감지센서(S3) 및 열감지센서(S4), 수위감지센서(S6)를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부(w)의 상단에 분리센서(S5)가 배치되어, 각각의 센서의 정보가 상기 제어모듈(C)의 센서신호수집부(219)로 전달되는,
실외용 기둥형 전원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fire extinguisher beach box 170,
A casing part (R) which provides a space part inside the columnar body 120 and implements the space part in a sealed structure;
A window portion (w) coupl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casing portion (R) to enable a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ncludes; a seating portion 172 disposed under the space portion to seat a fire extinguisher,
A seating sensor (S1) for detecting whether the fire extinguisher is seated in contact with the fire extinguisher and a load sensor (S2) for detecting whether the fire extinguisher is seated ar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seating portion 172,
A smoke detection sensor (S3), a heat detection sensor (S4), and a water level detection sensor (S6) are included inside the casing part (R), and a separation sensor (S5)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window part (w), Information of each sensor is transmitted to the sensor signal collection unit 219 of the control module (C),
Outdoor pole power supply.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002995A 2020-01-09 2020-01-09 Power supply device for camping in out door KR1021521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995A KR102152103B1 (en) 2020-01-09 2020-01-09 Power supply device for camping in out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995A KR102152103B1 (en) 2020-01-09 2020-01-09 Power supply device for camping in out do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2103B1 true KR102152103B1 (en) 2020-09-04

Family

ID=72470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995A KR102152103B1 (en) 2020-01-09 2020-01-09 Power supply device for camping in out 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10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09286A (en) * 2020-12-07 2021-03-16 中国科学院新疆生态与地理研究所 Meteorological early warning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8498A (en) * 2002-09-26 2004-04-15 Osaki Electric Co Ltd Electric power selling system apparatus and electric power selling method
KR20160028002A (en) * 2014-08-29 2016-03-11 주식회사 오엠플렛폼 Security platform system implementing plug-and-play function of surveillance control device
KR20160109023A (en) 2015-03-09 2016-09-21 전기수 System of monitoring food car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15575B1 (en) 2016-10-12 2017-03-13 주식회사 희성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KR20180001365A (en) * 2016-06-27 2018-01-04 김유민 A shelter using solar
KR102018988B1 (en) * 2018-07-13 2019-09-24 (주)샤픈고트 Smart Fire Extinguisher hold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8498A (en) * 2002-09-26 2004-04-15 Osaki Electric Co Ltd Electric power selling system apparatus and electric power selling method
KR20160028002A (en) * 2014-08-29 2016-03-11 주식회사 오엠플렛폼 Security platform system implementing plug-and-play function of surveillance control device
KR20160109023A (en) 2015-03-09 2016-09-21 전기수 System of monitoring food car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001365A (en) * 2016-06-27 2018-01-04 김유민 A shelter using solar
KR101715575B1 (en) 2016-10-12 2017-03-13 주식회사 희성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KR102018988B1 (en) * 2018-07-13 2019-09-24 (주)샤픈고트 Smart Fire Extinguisher hold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09286A (en) * 2020-12-07 2021-03-16 中国科学院新疆生态与地理研究所 Meteorological early warn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7084B1 (en) Power supply device within fire detecting sensors for camping in out door
KR102554731B1 (en) A mobile safety box for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at construction sites
CN110081399B (en) Wisdom street lamp system and wisdom street lamp
KR102152103B1 (en) Power supply device for camping in out door
JP2009153784A (en) Device for specifying location of fire fighting water sources
JP2013164695A (en) Evacuation guidance system
JP2010097241A (en) Autonomous disaster prediction sensor
JP5490202B2 (en) Evacuation guidance device and alarm device
KR20130005143A (en) Environment and disaster monitoring apparatus using solar communication network
US7557704B2 (en) Emergency location identification system
CN112085925A (en) Early warning rescue equipment, installation method thereof and early warning system
KR102152104B1 (en) Power supply device within enhanced hybrid power system for outdoor
KR101808324B1 (en) System for preventing forest fire or disaster
KR20200067492A (en) Systerm for managing parking lots
KR101345417B1 (en)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camping ground
CN210039122U (en) Roadside parking space monitoring and indicating device
JP3857043B2 (en) Point mark
CN212572714U (en) Speech-based fire fighting channel monitoring device for property management
JP2009134707A (en) Alarm device and alarm system
KR20150091921A (en) Security system having a indefendent source
CN212965800U (en) Intelligent building monitoring devic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terminal
CN211264422U (en) Fire-fighting linkage control system
KR20220045528A (en) Camping site safety management data system
CN210797826U (en) Intelligent primary-secondary well lid and system
KR102600316B1 (en) Electric shock accident prevention system for apartment hous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