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950B1 - 음성 메시지 출력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성 메시지 출력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950B1
KR102140950B1 KR1020140028781A KR20140028781A KR102140950B1 KR 102140950 B1 KR102140950 B1 KR 102140950B1 KR 1020140028781 A KR1020140028781 A KR 1020140028781A KR 20140028781 A KR20140028781 A KR 20140028781A KR 102140950 B1 KR102140950 B1 KR 102140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terminal
voice message
outputt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6567A (ko
Inventor
오길훈
이재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8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950B1/ko
Publication of KR20150106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1Transcoding devices; Rate adapta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메시지 출력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메시지 수신 시 현재 프레즌스 정보가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해 지정된 프레즌스 정보일 경우, 수신된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되, 기 설정된 키워드는 출력되지 않도록 음성 메시지를 변환한 후 출력할 수 있는 음성 메시지 출력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메신저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상대방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 및 어느 하나의 상대방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 기반 메시지가 수신되면, 현재 프레즌스(presence)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프레즌스 정보가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해 지정된 프레즌스 정보일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되, 상기 메시지에 기 설정된 키워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키워드는 출력되지 않도록 상기 음성 메시지를 변환한 후, 상기 오디오 처리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 메시지 출력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METHOD FOR OUTPUTTING OF VOICE MESSAGE IN INSTANT MESSENGER,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음성 메시지 출력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메시지 수신 시 현재 프레즌스 정보가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해 지정된 프레즌스 정보일 경우, 수신된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되, 기 설정된 키워드는 출력되지 않도록 음성 메시지를 변환한 후 출력할 수 있는 음성 메시지 출력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정보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 개인용 컴퓨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단말들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이동통신 단말은 기본적인 음성 통신 기능에서 더 나아가 최근에는 데이터 통신,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 음악 또는 동영상 파일 재생, 게임, 방송 시청 등 다양한 기능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에서 실행될 수 있는 기능의 증대를 위한 기술 개발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하드웨어 개량 기술은 물론 소프트웨어 개량 기술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단말을 이용하여 통신망에 접속한 후 다수의 사용자와 메시지를 송수신함으로써, 대화를 진행할 수 있는 메신저 프로그램의 사용 빈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메신저 프로그램을 일반적으로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운전 중과 같은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 즉각적인 메시지 확인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33603호, 2007년 06년 22일 등록 (명칭: 모바일 멀티미디어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모바일 멀티미디어 메신저 서비스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특히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메시지 수신 시 현재 프레즌스 정보가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해 지정된 프레즌스 정보일 경우, 수신된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되, 기 설정된 키워드는 출력되지 않도록 음성 메시지를 변환한 후 출력할 수 있는 음성 메시지 출력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메신저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상대방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 및 어느 하나의 상대방 단말로부터 통신부를 통해 메신저 프로그램 기반 메시지가 수신되면, 현재 프레즌스(presence)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프레즌스 정보가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해 지정된 프레즌스 정보일 경우, 수신된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되, 메시지에 기 설정된 키워드가 포함되는 경우, 기 설정된 키워드는 출력되지 않도록 음성 메시지를 변환한 후, 오디오 처리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수신된 메시지의 텍스트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되, 텍스트에 기 설정된 키워드가 포함되는 경우, 기 설정된 키워드는 출력되지 않도록 처리한 후 텍스트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물리적 정보를 센싱할 수 있는 물리적 센서 또는 논리적 정보를 센싱할 수 있는 논리적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센서부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현재 프레즌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확인된 프레즌스 정보가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해 지정된 프레즌스 정보일 경우, 미리 설정된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한 조건 정보를 확인하여, 현재 조건 정보가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한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경우, 수신된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장치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연결된 하나 이상의 단말 간의 메시지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서비스 통신부; 및 서비스 통신부를 통해 어느 하나의 제1 단말로부터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 창을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로 전송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2 단말의 현재 프레즌스(presence)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프레즌스 정보가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해 지정된 프레즌스 정보일 경우, 수신된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되, 메시지에 기 설정된 키워드가 포함되는 경우, 기 설정된 키워드는 출력되지 않도록 음성 메시지를 변환한 후, 변환된 음성 메시지를 서비스 통신부를 통해 제2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어부는 수신된 메시지의 텍스트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되, 텍스트에 기 설정된 키워드가 포함되는 경우, 기 설정된 키워드는 출력되지 않도록 처리한 후 텍스트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한 조건 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는 확인된 프레즌스 정보가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해 지정된 프레즌스 정보일 경우, 제2 단말에 의해 지정된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한 조건 정보를 확인하여 현재 조건 정보가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한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경우, 수신된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시스템은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현재 프레즌스 정보를 포함하여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한 조건 정보를 설정한 후 설정된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한 조건 정보를 메신저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 및 어느 하나의 상대방 단말로부터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단말로 전송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단말의 현재 프레즌스(presence) 정보를 확인한 후, 확인된 프레즌스 정보가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한 프레즌스 정보일 경우,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한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지 판단한 후, 만족하는 경우, 수신된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되, 메시지에 기 설정된 키워드가 포함되는 경우 기 설정된 키워드는 출력되지 않도록 음성 메시지를 변환하고, 변환된 음성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는 메신저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출력 방법은 단말이 어느 하나의 상대방 단말로부터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단말이 현재 프레즌스(presence)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된 프레즌스 정보가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해 지정된 프레즌스 정보일 경우, 단말이 수신된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 및 단말이 변환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에서 메시지에 기 설정된 키워드가 포함되는 경우, 기 설정된 키워드는 출력되지 않도록 음성 메시지를 변환할 수 있다.
또한, 현재 프레즌스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물리적 정보를 센싱할 수 있는 물리적 센서 또는 논리적 정보를 센싱할 수 있는 논리적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현재 프레즌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는 확인된 프레즌스 정보가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해 지정된 프레즌스 정보일 경우, 단말이 현재 조건 정보가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한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현재 조건 정보가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한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경우, 단말이 수신된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출력 방법은 메신저 서비스 장치가 어느 하나의 상대방 단말로부터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어느 하나의 단말로 전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메신저 서비스 장치가 단말의 현재 프레즌스(presence)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된 프레즌스 정보가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한 프레즌스 정보일 경우, 메신저 서비스 장치가 수신된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되, 메시지에 기 설정된 키워드가 포함되는 경우, 기 설정된 키워드는 출력되지 않도록 음성 메시지를 변환하는 단계; 메신저 서비스 장치가 변환된 음성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단말이 수신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출력 방법은 단말이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현재 프레즌스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한 조건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단말이 설정된 조건 정보를 메신저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메신저 서비스 장치가 어느 하나의 상대방 단말로부터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단말로 전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메신저 서비스 장치가 단말의 현재 프레즌스 정보를 확인하여, 확인된 프레즌스 정보가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한 프레즌스 정보일 경우, 현재 조건 정보가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메신저 서비스 장치가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경우, 수신된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되, 메시지에 기 설정된 키워드가 포함되는 경우, 기 설정된 키워드는 출력되지 않도록 음성 메시지를 변환하는 단계; 메신저 서비스 장치가 변환된 음성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단말이 수신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추가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출력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성 메시지 출력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메시지 수신 시 현재 프레즌스 정보가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해 지정된 프레즌스 정보일 경우, 수신된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운전 중 등과 같이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수신된 메시지의 확인이 어려운 상황일 경우, 이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어떠한 상황에서라도 신속한 메시지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신된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여 출력 시 지정된 키워드에 대하여 무음 처리, 비프음 처리 등을 수행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여러 사람들과 함께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사생활 침해 없이 음성 메시지의 출력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출력 방법을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프로그램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출력 방법을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단말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등의 이동 단말기는 물론, 스마트 TV(Smart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통신망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이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단말로 적용 가능하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출력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메신저 시스템(100)은 다수의 단말(10), 메신저 서비스 장치(20) 및 통신망(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다수의 단말(10)은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하나 이상의 상대방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하거나 컨텐츠를 송수신하여 공유할 수 있는 장치로,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메신저 프로그램은 메신저 서비스 장치(2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Instant Messaging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메신저 프로그램은 메신저 서비스 장치(20)로부터 다운로드되어 단말(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단말(10)이 메신저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있지 않더라도, 메신저 서비스 장치(20)에 접속하여 클라우드 서비스 방식으로 메신저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단말(10)은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화면(예컨대, 초기 화면, 대화 창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신저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실행되거나 특정 이벤트 발생 시 실행될 수 있다. 예컨대 상대방으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될 때 또는 메신저 서비스 장치(20)로부터 특정 정보가 수신될 때 등과 같이 특정 이벤트 발생 시 단말(10)의 메신저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은 어느 하나의 상대방 단말로부터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가 수신되면, 현재 프레즌스(presence)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프레즌스 정보가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해 지정된 프레즌스 정보일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되, 상기 메시지에 기 설정된 키워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키워드는 출력되지 않도록 상기 음성 메시지를 변환한 후 이를 출력하는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단말(10)에서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며,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단말(10a) 및 제2 단말(10b)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신저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의 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메신저 서비스 장치(20)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다수의 단말(10) 사이의 메시지 또는 컨텐츠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메신저 서비스 장치(20)는 제1 단말(10a)의 사용자로부터 메시지가 입력되면,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 창을 통해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2 단말(10b)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단말(10b)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1 단말(10a)로 표시하는 과정의 전반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메신저 서비스 장치(2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현재 대화 창을 통해 송수신되고 있는 메시지 또는 컨텐츠를 저장하고,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단말(10a)과 하나 이상의 제2 단말(10b)이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 창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제1 단말(10a)의 대화 창 화면에서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 예컨대, 일 방향으로의 스와이프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대화 창 화면을 통해 송수신된 메시지 또는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언제든지 저장된 메시지 또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어느 하나의 단말(10)의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 또는 컨텐츠는 상기 단말(10) 내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메신저 서비스 장치(20)에 저장되고 관리될 수 있다.
또한, 단말(10)의 사용자는 자신이 상대방과 주고받은 메시지 또는 컨텐츠 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메신저 서비스 장치(20)에 접속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은 단말(10)을 통해 메신저 서비스 장치(20)에 별도의 로그인 등의 절차를 거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그인 등의 절차를 거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메신저 서비스 장치(20)에 연결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의 사용자는 미리 메신저 서비스 장치(20)로부터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메신저 프로그램의 일 실행 화면을 통해 즉시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의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의 일 실행 화면에 표시되는 특정 객체, 명령에 대한 선택 입력이 감지될 때 메신저 서비스 장치(20)에 바로 접속할 수도 있다.
또한,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송수신된 메시지 또는 컨텐츠는 단말(10)과 메신저 서비스 장치(20)에 동시에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메시지 또는 특정 컨텐츠만을 메신저 서비스 장치(2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메신저 서비스 장치(20)는 다수의 단말(10)로 메신저 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가입된 사용자들을 사용자 식별자로 구분하고 각각의 가입된 사용자들에 대해 상태, 수신모드, 메시지 수신자 리스트 및 가입자 환경 정보를 관리하고, 인터넷에 접속 중인(On-line) 사용자들 간에 IM 대화 메시지를 전달을 위한 IM 대화 세션, 즉 대화 채널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메신저 서비스 장치(20)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호 처리 및 MSRP(Message Session Relay Protocol) 릴레이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수의 단말, 예컨대 제1 단말(10a) 및 제2 단말(10b) 간에 채팅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장치(20)는 어느 하나의 단말, 예컨대 제1 단말(10a)로부터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 창을 통해 연결된 어느 하나의 단말, 예컨대 제2 단말(10b)로 전송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2 단말(10b)의 현재 프레즌스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프레즌스 정보가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해 지정된 프레즌스 정보일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되, 상기 메시지에 기 설정된 키워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키워드는 출력되지 않도록 상기 음성 메시지를 변환한 후, 변환된 상기 음성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10b)로 전송되는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메신저 서비스 장치(2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장치의 집합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파일 처리를 위한 파일 서버, 단말(10)로 관련된 정보를 자동적으로 푸쉬(push)할 수 있는 푸쉬 서버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시스템 설계 방식에 따라 다양한 서버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서버에 대응하는 기능을 하나의 모듈로써 하나의 메신저 서비스 장치(20) 내에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말(10) 및 메신저 서비스 장치(20)의 주요 구성 및 보다 구체적인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하도록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 및 메신저 서비스 장치(20)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서의 대화 창을 통해 연결된 상태란 다수의 단말(10) 사이에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 경로, 즉 세션(session)이 연결된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단말(10a)이 대화를 진행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제2 단말(10b)을 선택하여 대화 창을 생성하는 행위, 제1 단말(10a)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제2 단말(10b)로 전송하는 행위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단말(10) 및 메신저 서비스 장치(20)는 통신망(30)을 통해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되며, 이때의 통신망(30)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은 제어부(11), 입력부(12), 표시부(13), 저장부(14), 오디오처리부(15), 센서부(16) 및 통신부(17)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어부(11)는 어플리케이션 제공모듈(11a), 메신저 제공모듈(11b), 메시지 변환모듈(11c) 및 프레즌스 정보 확인모듈(11d)을 포함하고, 저장부(14)는 메신저 프로그램(14a)과 어플리케이션(14b)을 포함한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입력부(12)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단말(1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1)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12)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는 표시부(13)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12)는 다른 단말과 메신저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입력 신호 등을 감지하여 제어부(11)로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부(12)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지원한다. 또한,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화면에서 대화 창으로 화면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상대방으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등을 지원한다.
표시부(13)는 단말(1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3)는 단말(10)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3)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3)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구성된 경우, 표시부(13)는 입력부(12)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13)는 메신저 서비스를 위한 실행 화면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3)는 상대방과의 대화를 진행하는 화면, 프레즌스 정보에 따라 메신저 서비스의 대화 내용을 음성 메시지로 출력함을 알리는 화면 등이 표시된다.
저장부(14)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단말(1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14)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0)은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11)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14)는 단말(10)을 부팅시키는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메신저 서비스를 위한 프레즌스 정보를 확인하는 프로그램, 운전 중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4)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14b)과 메신저 서비스를 위한 메신저 프로그램(14a)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오디오처리부(15)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SPK)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1)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오디오처리부(15)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형식의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하여 제어부(11)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처리부(15)는 제어부(11)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형식의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처리부(15)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메신저 서비스와 관련된 기능 실행에 따른 효과음 또는 실행음을 출력한다. 또한, 오디오처리부(15)는 메신저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고, 마이크 기능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감지하여 제어부(10)로 전달한다.
센서부(16)는 구비된 다양한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프레즌스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센서부(16)는 물리적 센서 및 논리적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물리적 센서는 단말에 구비되는 각종 하드웨어 리소스, 예컨대, 자이로스코프(Gyroscope), 가속도(Accelerometer) 센서, 조도(Light) 센서, 근접(Proximity) 센서, 자기(Magnetic) 센서, 카메라, 위치 센서, 마이크로폰, 적외선(Infrared) 센서, 기울기 센서 등을 포함하는 각종 센서와,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등과 같은 위치 측정에 이용되는 리소스가 될 수 있다. 물리적 센서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자이로스코프는 단말의 전후, 좌우, 위아래로 회전할 때의 각속도(회전속도)를 검출한다. 또한, 가속도 센서는 사용자의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인 힘을 측정한다. 또한, 조도 센서는 단말 주변 빛의 밝기를 감지하고, 자동 또는 수동으로 화면의 밝기를 조절하거나, 시간대를 추측할 수 있는 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자기 센서는 자기 신호를 검출하는 센서로 자침, 코일형 자기 센서, 고체 자기 센서, 동명형 자기 센서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위치 센서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센서로 GPS 센서 등이 포함된다. 특히, GPS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GPS위성으로부터 GPS신호를 수신하여 단말의 위도 및 경도 등의 위치 정보를 파악한다. 위치 정보는 상술한 GPS 센서 이외에도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과 같은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측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3곳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정밀위치를 파악하는 삼각법 등을 이용하여 단말(10)의 현재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센서는 빛을 발광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물체의 움직임 등과 같은 물리적 신호를 감지하여 신호 처리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물리적 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센싱 데이터는 위치 및 속도 데이터, 근접 여부 정보, 움직임 변화량, 단위 면적당 광도, 휴대폰의 방향, 자기장의 세기, 주변 소리의 크기, 잔여 배터리량 및 충전 케이블 연결 유무, 검색 가능한 무선 인터넷 정보, 인근의 블루투스 기기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센싱 데이터는 전술한 정보를 포함하는 다차원 값으로 표현된 이산 데이터일 수 있다. 여기에서, 센싱 데이터는 각 차원의 값은 서로 상이한 형태(heterogeneous)일 수 있고, 또는 같은 형태(homoogeneous)라도 값의 크기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논리적 센서는 단말의 동작 히스토리 정보를 수집하는 소프트웨어적 센서를 의미한다. 이러한, 논리적 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센싱 데이터는 구동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또는 구동한 어플리케이션 히스토리 정보, 인터넷 접속 정보, 네트워크 접속 정보, 컨텐츠 정보, 통화 히스토리 정보, 송수신 메시지 정보, 인터넷 접속 정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정보, 사용자 입력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16)는 상술한 센서 외에도 프레즌스 정보 수집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7)는 메신저 서비스 장치(20)와 통신망(3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부(17)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부(17)는 무선통신 모듈(미도시) 및 유선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단말(10)이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메신저 서비스 장치(20)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을 통해 통신망(30)에 접속하여, 메신저 서비스 장치(20)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17)는 다른 단말과 및 메신저 서비스 장치(20)와 통신하여 메신저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어부(11)는 단말(1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하드웨어적으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MPU(Micro Processing Unit)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로딩 데이터가 로딩되는 실행 메모리(예컨대, 레지스터 및/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 상기 프로세서와 메모리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들을 입출력하는 버스(BUS)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적으로 단말(10)에 기 정의된 기능, 다시 말해 메신저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소정의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Routine) 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1)는 메신저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메신저 프로그램과 관련된 다양한 동작 수행을 위한 하드웨어 구성 및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가 가능한 구성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3)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어부(11)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기능 수행을 위해 단말(10) 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와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즉, 제어부(11)는 입력부(12), 표시부(13), 저장부(14), 오디오처리부(15), 센서부(16) 및 통신부(17)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각 구성 요소에 전원 공급 및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1)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실행된 메신저 프로그램에서 대화 창을 생성 및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대화 창이 표시되면, 상기 대화 창을 통해 연결된 상대방 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대방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11)는 통신부(17)를 통해 어느 하나의 상대방 단말로부터 메신저 프로그램 기반 메시지가 수신되면, 센서부(16)를 통해 센싱된 정보를 기초로 현재 프레즌스 정보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센서부(16)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분석한 결과, 기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이동 중이거나, 핸즈프리(Hands Free) 또는 블루투스(BT) 등의 기능을 실행 중인지 확인하는 등 여러 가지 정보를 통해 제어부(11)는 사용자의 현재 프레즌스 정보를 확판단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1)는 확인 결과를 반영하여 현재 프레즌스 정보를 결정한다.
또한, 제어부(11)는 미리 기 설정된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한 조건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조건 정보에 포함된 프레즌스 정보를 기초로 현재 프레즌스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후, 제어부(11)는 확인된 프레즌스 정보가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해 지정된 프레즌스 정보일 경우(예컨대, 운전 중), 수신된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를 변환한다. 이때, 상기 수신된 메시지는 바람직하게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1)는 상기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11)는 TTS(Text-To-Speech)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TTS는 문자 음성 자동변환 기술로서, 문자(텍스트)를 바로 소리로 바꿔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한다.
또한, 제어부(11)는 상기 음성 메시지로 변환 시 메시지에 기 설정된 키워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키워드는 출력되지 않도록 상기 음성 메시지를 변환, 예컨대 상기 기 설정된 키워드는 무음 처리하거나, 비프음으로 변환한 후, 변환된 음성 메시지가 오디오 처리부(15)를 출력되는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수행을 위해 제어부(11)는 어플리케이션 제공모듈(11a), 메신저 제공모듈(11b), 메시지 변환모듈(11c) 및 프레즌스 정보 확인모듈(11d)을 포함한다. 특히, 어플리케이션 제공모듈(11a)은 메신저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거나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을 적용하여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메신저 제공모듈(11b)은 메신저 서비스를 위한 모든 기능을 수행한다. 즉, 메신저 제공모듈(11b)은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다른 단말과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메시지 변환모듈(11c)은 사용자가 운전 중인 경우, 상대방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의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음성 메시지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음성으로 입력되는 메시지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상대방 단말로 전송한다. 또한, 프레즌스 정보 확인모듈(11d)은 메신저 서비스에서 대화 메시지 발생 시 현재 상태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며, 프레즌스 정보 확인을 위하여 다수의 센서 또는 내부에 설정된 기능을 확인하여 현재 상태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프레즌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2를 통해 단말(10)의 주요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2를 통해 도시된 구성요소가 모두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단말(1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 단말(10)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를 통해 도시된 단말(10)의 주요 구성요소의 위치는 얼마든지 편의상 또는 다른 이유로 바뀔 수 있음이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장치(2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메신저 서비스 장치(20)는 서비스 제어부(21), 서비스 저장부(22) 및 서비스 통신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통신부(23)는 하나 이상의 단말(10)과 메신저 프로그램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서비스 통신부(23)는 어느 하나의 단말과 연결된 다른 단말 사이에 송수신되는 메시지 또는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통신부(23)는 어느 하나의 단말(10)로부터 다양한 정보에 대한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서비스저장부(22)는 메신저 서비스 장치(20)의 기능 실행에 따른 모든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저장부(22)는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대화 메시지를 변환하는 프로그램 및 프레즌스 정보를 확인하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또한, 서비스저장부(22)는 메신저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22a), 메신저 사용자 정보(22b), 어플리케이션(22c) 등을 저장한다. 즉, 서비스 저장부(22)는 메신저 프로그램 및 메신저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서비스 저장부(23)는 메신저 시스템(100) 내의 하나의 저장소일 수 있고, 메신저 시스템(100) 외부에 위치하여 메신저 서비스 장치(20)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별도의 데이터 저장 장치일 수도 있다.
서비스 제어부(21)는 본 발명의 메신저 서비스 장치(2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어부(21)는 메신저 프로그램과 관련된 다양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제어부(21)는 다수의 단말(10)로 메신저 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가입된 사용자들을 사용자 식별자로 구분하고 각각의 가입된 사용자들에 대해 상태, 수신모드, 메시지 수신자 리스트 및 가입자 환경 정보를 관리하고, 인터넷에 접속 중인(On-line) 사용자들 간에 IM 대화 메시지를 전달을 위한 IM 대화 세션, 즉 대화 채널을 관리하게 된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21)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호 처리 및 MSRP(Message Session Relay Protocol) 릴레이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수의 단말, 예컨대 제1 단말(10a) 및 제2 단말(10b) 간에 메시지 또는 컨텐츠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어부(21)는 어느 하나의 단말, 예컨대 일정 기간 동안 제1 단말(10a)로부터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 창을 통해 연결된 어느 하나의 상대방 단말, 예컨대 제2 단말(10b)로 전송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2 단말(10b)의 현재 프레즌스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프레즌스 정보가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해 지정된 프레즌스 정보일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되, 상기 메시지에 기 설정된 키워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키워드는 출력되지 않도록 상기 음성 메시지를 변환한 후, 변환된 상기 음성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통신부(23)를 통해 상기 제2 단말(10b)로 전송되는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정을 지원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서비스 제어부(21)는 메신저 제공모듈(11a), 어플리케이션 제공모듈(11b), 메시지 변환모듈(21c) 및 프레즌스 정보 확인모듈(21d)을 포함한다. 특히, 메신저 제공모듈(21a)은 메신저 서비스를 위한 모든 기능을 수행한다. 즉, 메신저 제공모듈(21a)은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단말기들 간의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제공모듈(21b)은 단말기들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메시지 변환모듈(21c)은 수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운전 중인 경우, 발신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대화 메시지의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음성 메시지로 수신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레즌스 정보 확인모듈(21d)은 메신저 서비스에서 메시지 발생 시 해당 단말의 현재 프레즌스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출력 방법은 후술할 화면 예시도를 통해 보다 더 명확히 이해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장치(20)에 대해 설명하였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신저 서비스 장치(20)는 서버 기반 컴퓨팅 방식 또는 클라우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메신저 시스템(100)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능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북 및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에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IT(Information Technology)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서비스, 데이터 등을 온 디맨드(On demand)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수의 단말(10)과 메신저 서비스 장치(20) 사이에 송수신되는 모든 정보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저장되고, 언제 어디서든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단말(10) 또는 메신저 서비스 장치(20)에 탑재되는 메모리는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록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예시적인 장치 구성을 기술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다른 유형의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출력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단말(10)은 전원이 공급되면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장치의 각 구성에 필요로 하는 전원을 분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말(10)은 S101 단계에서 대기 상태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대기 상태는 메신저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후, 단말(10)은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S103), 상대방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105). 이때, 상대방 단말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됨과 동시에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도 있다.
이후, 단말(10)은 상기 상대방 단말과 연결된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 창을 통해 상기 상대방 단말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기 이전에, 먼저 사용자의 현재 프레즌스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S107).
여기서, 프레즌스 정보는 수집된 물리적 정보 또는 논리적 정보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는데, 물리적 정보 또는 논리적 정보를 기초로 생성되는 과정은 공지된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리적 정보의 센싱이 가능한 물리적 센서, 예컨대, 단말에 구비되는 각종 하드웨어 리소스, 예컨대, 자이로스코프(Gyroscope), 가속도(Accelerometer) 센서, 조도(Light) 센서, 근접(Proximity) 센서, 자기(Magnetic) 센서, 카메라, 위치 센서, 마이크로폰, 적외선(Infrared) 센서, 기울기 센서 등을 포함하는 각종 센서와,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등과 같은 위치 측정에 이용되는 리소스를 통해, 단말(10)은 현재 위치 및 속도 데이터, 근접 여부 정보, 움직임 변화량, 단위 면적당 광도, 휴대폰의 방향, 자기장의 세기, 주변 소리의 크기, 잔여 배터리량 및 충전 케이블 연결 유무, 검색 가능한 무선 인터넷 정보, 인근의 블루투스 기기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논리적 정보의 센싱이 가능한 논리적 센서를 통해 구동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또는 구동한 어플리케이션 히스토리 정보, 인터넷 접속 정보, 네트워크 접속 정보, 컨텐츠 정보, 통화 히스토리 정보, 송수신 메시지 정보, 인터넷 접속 정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정보, 사용자 입력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단말(10)은 사용자의 상황을 추론하여 프레즌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수집된 저차원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프레즌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저차원 상황 정보를 고차원 상황 정보로 추론한 후, 최종적인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하여 프레즌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저차원 상황 정보는 수집된 상황 정보 그 자체, 즉 원 데이터(raw data)를 의미한다. 예컨대, 센서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 값이 될 수 있다. 반면, 고차원 상황 정보는 저차원 상황 정보를 일정 규칙에 따라서 추론한 값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가속도 센서를 통해 수집된 가속도 데이터 값(예컨대, 9.8m/s2)은 사용자의 저차원 상황 정보가 될 수 있다. 단말(10)은 이러한 수집된 저차원 상황 정보를 일정 규칙에 따라 고차원 상황 정보를 추론할 수 있는 데, 전술한 예에서, 가속도 센서를 통해 수집된 원 데이터가 특정 임계 값 이상일 경우, “뛴다”로 판단하는 것과 같이, 일정 규칙에 따라 저차원 상황 정보를 추론하여 생성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온도, 습도와 같은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를 통해 수집된 주변 환경 정보의 값이 일정 임계 값 이상일 경우, 단말(10)은 저차원 상황 정보를 기초로 고차원 상황 정보, 즉, “사용자가 외부에 있다”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실행되고 있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다이어트 관련 어플리케이션일 경우, “다이어트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이 저차원 상황 정보이며, 상기 저차원 상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는 다이어트에 관심이 많다”라는 고차원 상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최종적인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하는 단계는 생성된 고차원 정보를 기초로 최종적인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하는 것으로, 전술한 예에서, 생성된 고차원 상황 정보, 즉 “뛴다”, “사용자가 외부에 있다”, “사용자는 다이어트에 관심이 많다”라는 고차원 상황 정보를 기초로, 단말(10)은 “사용자가 다이어트를 위해 외부에서 뛰고 있다”를 최종적인 사용자의 상황으로 인식하고, 이에 대한 프레즌스 정보, 즉 '운동 중'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될 수 있는 프레즌스 정보는 운동 중, 운전 중, 회의 중, 공부 중 등 다양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아울러, 단말(10)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한 조건 정보에 포함된 프레즌스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프레즌스 정보가 확인되면, 단말(10)은 확인된 프레즌스 정보가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해 지정된 프레즌스 정보인 지 여부를 판단한다(S109). 여기서 지정된 프레즌스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메신저 프로그램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현재 프레즌스 정보가 운전 중이고,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해 지정된 프레즌스 정보가 운전 중일 경우, 현재 프레즌스 정보가 지정된 프레즌스 정보이므로, 단말(10)은 현재 사용자의 상황이 상대방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므로, 상대방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게 된다.
이때, 단말(10)은 공지된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할 수 있다(S111). 이후, 단말(10)은 음성으로 변환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게 된다(S113). 이때, 상기 음성 메시지를 출력함과 동시에 단말(10)은 메신저 프로그램의 해당 대화 창을 통해 상대방 단말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때 대화 창을 통해 현재 음성 메시지가 함께 출력되고 있음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S109 단계에서 사용자의 현재 프레즌스 정보가 지정된 프레즌스 정보가 아닐 경우, 메신저 프로그램의 해당 대화 창을 통해 상대방 단말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게 된다(S115).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출력 방법은 상기 S111 단계에서, 메시지에 기 설정된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당 키워드는 출력되지 않도록 음성 메시지를 변환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출력 방법을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10)은 전원이 공급되면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장치의 각 구성에 필요로 하는 전원을 분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말(10)은 SS01 단계에서 대기 상태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대기 상태는 메신저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후, 단말(10)은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SS03), 상대방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S05). 이때, 상대방 단말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됨과 동시에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도 있다.
이후, 단말(10)은 상기 상대방 단말과 연결된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 창을 통해 상기 상대방 단말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기 이전에, 먼저 사용자의 현재 프레즌스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S107).
이후, 단말(10)은 사용자의 현재 프레즌스 정보가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해 지정된 프레즌스 정보일 경우, 단말(10)은 현재의 조건 정보가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한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11). 여기서,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한 조건 정보는 사전에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는 정보로, 예컨대 음성 메시지 출력 시간, 일자, 지정 상대방, 프레즌스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한 조건 정보 중 시간 정보가 '낮 12시 ~ 2시'로 지정되어 있을 경우, 단말(10)은 현재 조건 정보, 즉 현재 시간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조건 정보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만족하는 지 확인하게 된다. 예컨대 현재 시간이 오후 1시일 경우, 상기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한 조건 정보에 포함되므로, 단말(10)은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한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단말(10)은 현재 조건 정보가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한 조건 정보를 만족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대방 단말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되,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텍스트에 기 설정된 키워드가 포함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S215), 기 설정된 키워드가 포함되는 경우, 해당 키워드를 무음 처리 또는 비프음 처리 등을 수행하고(S217), 변환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게 된다(S219).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출력 방법을 지원하는 메신저 프로그램 및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한 조건 정보를 설정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프로그램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먼저, 도 5a은 사용자 단말, 예컨대 제1 단말(10a)에서의 메신저 프로그램 대화 창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메신저 프로그램 대화 창 화면은 상단 영역(501), 메시지 표시 영역(502), 하단 영역(50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메신저 프로그램 대화 창 화면 상단 영역(501)에는 메신저 프로그램 대화 창 화면을 통해 연결된 상대방에 대한 정보(예컨대, 프로필 사진, 닉네임 등)가 표시되는 영역(504)이 표시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른 사용자를 더 추가할 수 있는 메뉴 버튼, 사용자 간의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를 진행할 수 있는 통화 버튼, 현재의 대화 창 화면을 벗어나기 위한 버튼 등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메신저 프로그램 대화 창이 그룹 대화에 대한 대화 창일 경우, 상기 상대방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504)은 그룹 대화에 참여하고 있는 사용자 수, 그룹 대화 명이 표시될 수도 있다.
메시지 표시 영역(502)에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509)와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510)가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대방과 사용자간의 송수신된 메시지의 구분을 위해,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509)가 화면 좌측에 표시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510)는 화면 우측에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메시지와 함께 메시지가 수신된 시간 또는 메시지가 입력된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더하여, 메시지 표시 부분에 표시되는 메시지들은 일자별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메신저 프로그램 대화 창 화면 하단 영역(503)에는 대화 창 화면을 통해 연결된 상대방 단말과 다양한 정보, 예컨대 사진, 음악 등의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컨텐츠 공유 화면 표시 메뉴(505), 상대방 단말로 이모티콘, 스티커 등을 전송하기 위한 메뉴(506), 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란(507)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메신저 프로그램 대화 창 화면 하단 부분(620)에는 상기 입력란(504)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를 상기 대화 창 화면을 통해 연결된 상대방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버튼(508)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송 버튼(508)은 상기 입력란(507)에 커서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 즉, 상기 입력란(507)을 터치 입력한 경우에만, 상기 전송 버튼(508)이 활성화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음성 메시지 생성을 위한 버튼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입력된 메시지를 기 설정된 입력 방식, 예컨대 메시지 표시 영역(502)으로의 드래그하는 것과 같이, 기 설정된 입력 방식에 따라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전송 버튼(508)은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대화 창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란(507)에 소정의 입력, 예컨대 터치 입력을 하게 되면, 단말(10)은 상기 입력란(507)에 커서(511)를 활성화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입력란(504)을 통해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음을 인지시키게 된다. 또한, 메신저 구현 방식에 따라 메신저 프로그램 대화 창 화면 하단 부분(603)에 텍스트 입력 영역(512)이 활성화되어 표시될 수 이으며, 메신저 프로그램 대화 창 화면 하단 부분(503)은 소정 위로 올라가고 메시지 표시 영역(502)은 텍스트 입력 영역(512)이 표시된 부분만큼 소정 부분 축소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술한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이전 단계로 돌아가기 버튼(메신저 프로그램 내 삽입되어 표시되거나, 단말(10) 고유의 버튼을 이용할 수 있음)의 입력을 감지하게 되면, 텍스트 입력 영역(512)을 비활성화하여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며, 한 번 더 이전 단계로 돌아가기 버튼의 입력이 감지되면, 현재의 대화 창 화면을 벗어나, 메신저 프로그램의 일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 창 화면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한 조건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메뉴(513)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메뉴(513)을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단말(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한 조건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화면(514)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수신된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는 날짜(515), 요일(516), 시간(517), 무음처리 키워드(518), 프레즌스 정보(519), 상대방 정보(5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 창에서 상기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한 조건 정보를 설정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신저 프로그램의 초기 화면 등을 통해 상기 조건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한 조건 정보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 메뉴 입력 방식이 아니라, 지정된 핫키(hot key)의 입력, 지정된 터치 입력 등 다양한 형태의 입력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출력 방법은 단말(10)의 제어 하에 이뤄질 수 있으나, 메신저 서비스 장치(20)의 제어 하에 이뤄질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출력 방법을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단말(10a)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메신저 프로그램을 시작하고(S301),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한 조건 정보를 설정한다(S303). 이후, 제1 단말(10a)은 설정된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한 조건 정보를 메신저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한다.
이후, 메신저 서비스 장치(20)은 제1 단말(10a)과 제2 단말(10b) 사이의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대화 채널을 설정하고, 설정된 대화 채널을 통해 제2 단말(10b)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307).
이후, 메신저 서비스 장치(20)는 제1 단말(10a)로 현재 프레즌스 정보를 요청하고(S309), 제1 단말(10a)로부터 프레즌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11).
이후, 메신저 서비스 장치(20)는 제1 단말(10a)의 현재 프레즌스 정보가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한 지정된 프레즌 정보일 경우(S313), 제1 단말(10a)의 현재 조건 정보, 예컨대 현재 시간, 일자 등의 조건 정보를 확인한 후 현재의 조건 정보가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한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17). 여기서,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한 조건 정보는 사전에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는 정보로, 예컨대 음성 메시지 출력 시간, 일자, 지정 상대방, 프레즌스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10a)의 현재 조건 정보가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한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경우, 메신저 서비스 장치(20)는 제2 단말(10b)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되,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기 설정된 키워드가 포함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S321),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당 키워드는 무음 처리 또는 비프음 처리를 수행하고(S323), 변환된 음성 메시지를 제1 단말(10a)로 전송한다(S325).
이를 수신한 제1 단말(10a)은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음성 메시지 출력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메시지 수신 시 현재 프레즌스 정보가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해 지정된 프레즌스 정보일 경우, 수신된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운전 중 등과 같이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수신된 메시지의 확인이 어려운 상황일 경우, 이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어떠한 상황에서라도 신속한 메시지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신된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여 출력 시 지정된 키워드에 대하여 무음 처리, 비프음 처리 등을 수행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여러 사람들과 함께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사생활 침해 없이 음성 메시지의 출력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출력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음성 메시지 출력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성 메시지 출력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메시지 수신 시 현재 프레즌스 정보가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해 지정된 프레즌스 정보일 경우, 수신된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되, 기 설정된 키워드는 출력되지 않도록 음성 메시지를 변환한 후 출력할 수 있는 음성 메시지 출력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메시지 수신 시 현재 프레즌스 정보가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해 지정된 프레즌스 정보일 경우, 수신된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운전 중 등과 같이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수신된 메시지의 확인이 어려운 상황일 경우, 이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어떠한 상황에서라도 신속한 메시지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메신저 서비스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단말 11: 제어부 12: 입력부
13: 표시부 14: 저장부 15: 오디오처리부
16: 센서부 17: 통신부 20: 메신저 서비스 장치
21: 서비스 제어부 22: 서비스 저장부
23: 서비스 통신부 30: 통신망
100: 메신저 시스템

Claims (15)

  1. 메신저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상대방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 및
    어느 하나의 상대방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 기반의 메시지를 수신하고, 현재의 프레즌스 정보가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해 지정된 프레즌스 정보인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기 오디오 처리부를 통해 출력하되, 수신된 메시지에 기 설정된 키워드가 포함되는 경우, 기 설정된 키워드를 무음 처리 또는 비프음 처리를 통해 기 설정된 키워드가 출력되지 않도록 처리하며, 기 설정된 키워드를 제외하고 수신된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단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의 프레즌스 정보가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해 지정된 프레즌스 정보인 경우, 미리 설정된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한 조건 정보를 확인하고, 현재 조건 정보가 상기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한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4.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연결된 제1 단말과 제2 단말 간의 메시지 송수신을 지원하는 서비스 통신부; 및
    상기 서비스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단말로 전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단말의 현재 프레즌스 정보가 음성 메시지 출력을 위해 지정된 프레즌스 정보인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고, 상기 음성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되, 수신된 메시지에 기 설정된 키워드가 포함되는 경우, 기 설정된 키워드를 무음 처리 또는 비프음 처리를 통해 기 설정된 키워드가 출력되지 않도록 처리하며, 기 설정된 키워드를 제외하고 수신된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는 서비스 제어부;
    를 포함하는 메신저 서비스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40028781A 2014-03-12 2014-03-12 음성 메시지 출력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140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781A KR102140950B1 (ko) 2014-03-12 2014-03-12 음성 메시지 출력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781A KR102140950B1 (ko) 2014-03-12 2014-03-12 음성 메시지 출력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567A KR20150106567A (ko) 2015-09-22
KR102140950B1 true KR102140950B1 (ko) 2020-08-04

Family

ID=54245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781A KR102140950B1 (ko) 2014-03-12 2014-03-12 음성 메시지 출력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950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603B1 (ko) 2004-11-03 2007-06-28 주식회사 씬멀티미디어 모바일 멀티미디어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모바일 멀티미디어 메신저 서비스 방법
WO2011094734A2 (en) * 2010-02-01 2011-08-04 Jumptap, Inc. Integrated advertising system
KR20130011352A (ko) * 2011-07-21 2013-01-3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음성 기반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 장치, 이를 위한 음성 기반 메시지 서비스 방법
KR20130141243A (ko) * 2012-06-15 2013-12-2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멀티디바이스 환경에서 위치기반의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567A (ko) 2015-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2624B2 (en) Automated messaging
US1195440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notifications and textual data associated with applications
WO2015124033A1 (zh) 视频交互方法、终端、服务器及系统
CN108055408B (zh) 一种应用程序控制方法及移动终端
KR102081233B1 (ko) 메신저 제어 방법을 위한 장치
WO2017050068A1 (zh) 交互系统、方法、客户端及后台服务器
KR20170112556A (ko) 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34675A (ko) 사용자 시연을 통하여 명령들을 학습하고 실행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WO2018157812A1 (zh) 一种实现视频分支选择播放的方法及装置
US10439974B2 (en) Sharing of activity metadata via messaging systems
US936330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oice communication
KR20150108096A (ko) 메신저 프로그램과 어플리케이션 연동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WO2017012423A1 (zh) 一种显示即时通信消息的方法和终端
WO2016116041A1 (zh) 一种信息推荐的管理方法、装置和系统
KR20140107736A (ko) 음성 메시지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EP304466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deterministic control of foreground access of the user interface
KR20190016671A (ko) 통신 장치, 서버 및 통신 방법
KR20150106481A (ko) 메시지 기반 키워드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40120982A (ko) 메시지 분석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131752B1 (ko) 메신저 프로그램에서의 정보 백업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1876394B1 (ko) 단말기에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122801A (ko) 메시지 서비스에서의 비밀 메시지 전송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212072B1 (ko) 메시지 기반 키워드 추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1363866B1 (ko) 음성 메시지 생성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140950B1 (ko) 음성 메시지 출력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