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6671A - 통신 장치, 서버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서버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6671A
KR20190016671A KR1020170100865A KR20170100865A KR20190016671A KR 20190016671 A KR20190016671 A KR 20190016671A KR 1020170100865 A KR1020170100865 A KR 1020170100865A KR 20170100865 A KR20170100865 A KR 20170100865A KR 20190016671 A KR20190016671 A KR 20190016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ser
matching
specific oper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0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2861B1 (ko
Inventor
안상일
정강식
용현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퍼커넥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퍼커넥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퍼커넥트
Priority to KR1020170100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861B1/ko
Publication of KR20190016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통신 장치는 특정 동작을 수신하는 입력부, 특정 동작이 기준 시간 이내에 입력되었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통신 장치와의 매칭을 중단하고, 새로운 매칭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메시지를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제1 통신 장치와 다른 제2 통신 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서버 및 통신 방법{COMMUNICATION DEVICE, SERVER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기재된 실시 예는 보다 효과적으로 서로 매칭될 수 있는 통신 장치, 서버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이 발전되고 전자 장치가 소형화됨에 따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단말기가 일반 소비자에게 널리 보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태블릿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단말기의 대부분은 통신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에서 검색을 수행하거나 다른 사용자와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
사용자 및 다른 사용자는 서로 이미 아는 관계일 수도 있고, 서로 모르는 관계일 수도 있다. 서버는 사용자의 단말기 및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기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서버는 사용자 및 다른 사용자가 서로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복수의 단말기 사이를 중개할 수 있다. 서버는 복수의 단말기 중에서 사용자의 단말기 및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를 서로 매칭할 수 있다. 이로써, 서버는 사용자의 단말기 및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 사이를 중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및 다른 사용자가 서로 모르는 관계인 경우에도, 서버의 중개를 통해 서로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르면 보다 서로 매칭할 수 있는 통신 장치, 서버 및 통신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단말기와 보다 긴 시간동안 연결될 수 있는 통신 장치, 서버 및 통신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개선된 사용자 경험이 제공될 수 있는 통신 장치, 서버 및 통신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방법은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와 매칭되어 영상 통화를 시작하는 단계, 제1 단말기가 제1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특정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 제1 단말기가 특정 동작이 영상 통화가 시작된 시점부터 기준 시간 이내에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와의 매칭을 유지하거나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 예에서, 판단 결과에 따라, 특정 동작이 기준 시간 이내에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와의 매칭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 예에서, 판단 결과에 따라, 특정 동작이 기준 시간 이후에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단말기가 새로운 매칭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제1 단말기는 제2 단말기와의 매칭을 중단하고, 제2 단말기와 다른 제3 단말기와 매칭되어 새로운 영상 통화를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 예에서, 제1 단말기가 제1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특정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는 제1 단말기가 제1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제1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특정 방향으로의 스와이프(swipe)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단말기가 특정 동작이 영상 통화가 시작된 시점부터 기준 시간 이내에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제1 단말기가 영상 통화가 시작된 시점으로부터 5초 이내에 스와이프 동작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 예에서, 제1 단말기가 제1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특정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는 제1 단말기가 제1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제1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의 종료 아이콘을 터치하는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 예에서, 제1 단말기가 제1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특정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는 제1 단말기가 제1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제1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특정 제스처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 예에서, 제1 단말기는 제1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특정 손짓, 특정 몸짓, 특정 얼굴 표정 또는 얼굴의 특정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특정 제스처를 입력받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방법은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와 매칭되어 영상 통화를 시작하는 단계, 제1 단말기가 제1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특정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 제1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특정 동작을 수신하기 전에, 제1 단말기가 제1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기준 개수 이상의 종결된 문장이 포함된 음성을 수신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와의 매칭을 유지하거나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 예에서, 제1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기준 개수 미만의 종결된 문장이 포함된 음성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와의 매칭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 예에서,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기준 개수 이상의 종결된 문장이 포함된 음성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단말기가 새로운 매칭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제1 단말기는 제2 단말기와의 매칭을 중단하고, 제2 단말기와 다른 제3 단말기와 매칭되어 새로운 영상 통화를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장치는 특정 동작을 수신하는 입력부, 특정 동작이 기준 시간 이내에 입력되었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통신 장치와의 매칭을 중단하거나, 새로운 매칭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메시지를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제1 통신 장치와 다른 제2 통신 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 예에서, 특정 동작이 기준 시간 이내에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는 제1 통신 장치와의 매칭을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몇몇 실시 예에서, 특정 동작이 기준 시간 이후에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는 제1 통신 장치와의 매칭을 중단하고, 새로운 매칭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통신 방법은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사이에 영상 통화가 수행되도록 매칭하는 단계, 제1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특정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특정 동작이 기준 시간 내에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특정 동작이 기준 시간 이후에 입력된 경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사이의 매칭을 중단시키고, 제2 단말기와 다른 제3 단말기와 제1 단말기 사이에 새로운 영상 통화가 수행되도록 매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 예에서, 특정 동작이 기준 시간 이내에 입력된 경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사이의 매칭을 유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르면 보다 효과적으로 서로 매칭될 수 있는 통신 장치, 서버 및 통신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단말기와 보다 긴 시간동안 연결될 수 있는 통신 장치, 서버 및 통신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개선된 사용자 경험이 제공될 수 있는 통신 장치, 서버 및 통신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가 동작하는 서버 시스템의 환경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말기가 다른 단말기와 매칭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특정 동작을 수신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특정 동작을 수신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말기가 다른 단말기와 매칭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제스처를 수신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말기가 다른 단말기와 매칭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또는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를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러한 구성요소는 상기와 같은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또는 단계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가 동작하는 서버 시스템의 환경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버 시스템의 환경은 서버(100) 및 복수의 통신 장치(210~25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는 복수의 통신 장치(210~250) 사이를 연결하는 중개 장치(mediation device)일 수 있다. 서버(100)는 복수의 통신 장치(210~25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중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0) 및 복수의 통신 장치(210~250)는 통신망과 연결될 수 있다. 서버(100)는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통신 장치(210~250)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망은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및 복합 통신망 중 하나로써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망은 3G, LTE(Long Term Evolution), 및 LTE-A 등과 같은 이동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은 와이파이(Wi-Fi),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sations System)/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또는 이더넷(Ethernet) 등과 같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은 마그네틱 보안 전송(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Z-Wave, 블루투스(Bluetooth),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또는 적외선 통신(IR, InfraRe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은 근거리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네트워크(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또는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는 복수의 통신 장치(210~250) 중 적어도 두 개의 통신 장치들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제1 통신 장치(210)로부터 통신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요청은 제1 통신 장치(210)가 다른 통신 장치와 음성 통화 세션 또는 영상 통화 세션을 성립하기 위한 요청일 수 있다. 서버(100)는 복수의 통신 장치(210~250) 중 제1 통신 장치(210)를 제외하고 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장치(230~250) 중에서 하나의 통신 장치를 랜덤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서버(100)는 정해진 기준을 기반으로, 복수의 통신 장치(210~250) 중 제1 통신 장치(210)를 제외하고 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장치(230~250) 중에서 하나의 통신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제1 통신 장치(210)의 통신 요청에 응답하여 제2 통신 장치(230)를 선택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제2 통신 장치(230)와 매칭중인 제1 통신 장치(210)로부터 새로운 매칭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서버(100)는 제3 통신 장치(250)의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제1 단말기(21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제1 통신 장치(210)로부터 특정 동작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동작은 제1 통신 장치(210)의 사용자의 터치 동작 또는 제스처(gesture) 등일 수 있다. 서버(100)는 제1 통신 장치(210)로부터 특정 동작이 기준 시간 내에 입력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특정 동작이 기준 시간 내에 입력된 경우, 서버(100)는 제1 통신 장치(210) 및 제2 통신 장치(230) 사이의 매칭을 유지할 수 있다.
반면, 특정 동작이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입력된 매칭을 중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0)는 제3 통신 장치(250)를 선택하고, 제1 통신 장치(210) 및 제3 통신 장치(250)가 통신을 수행하도록 중개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장치(210~250) 각각은 서버(100)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 세 개의 통신 장치들이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통신 장치의 개수는 세 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통신 장치(210~250)는 각각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스마트폰, 스마트 태블릿, 스마트 워치, 이동 단말, 디지털 카메라,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 중 하나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장치(210~250)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통신 장치 및 단말기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제1 단말기(210)는 중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프로필 정보를 서버(1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필 정보는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의 사진, 취미 정보, 닉네임(nickname) 정보, 키 정보, 생년월일 정보, 성별 정보, 거주 지역 정보, 또는 학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필 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는 서버(100)로부터 중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는 복수의 단말기(210~250) 중 제1 단말기(210)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230~250)의 사용자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개 서비스를 통해,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의 인간관계가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210)는 제2 단말기와 매칭되어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단말기(210)는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로부터 특정 동작을 수신할 수 있다. 만약 특정 동작이 기준 시간 내에 입력된 경우, 제1 통신 장치(210)는 및 제2 통신 장치(230) 사이의 매칭을 유지할 수 있다.
반면, 특정 동작이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입력된 경우, 제1 통신 장치(210)는 제2 통신 장치(230) 사이의 매칭을 중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통신 장치는 새로운 매칭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1 단말기(210)는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로부터 특정 동작을 수신되는 경우, 특정 동작에 대한 정보를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말기(210)는 서버(100)의 제어에 의해 제2 단말기(230)와의 매칭을 유지하거나, 새로운 단말기와 매칭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단말기(210)는 입력부(211), 제어부(212), 저장부(213), 통신부(214), 및 출력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함께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230~250)는 각각 제1 전자 장치(210)와 유사 또는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211)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211)는 제1 전자 장치(210)의 사용자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11)는 외부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211)는 예를 들어, 마이크, 카메라,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터치스크린, 버튼, 스위치, 센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는 기타 입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1)는 입력부(211)에 포함된 마이크를 통해 외부로부터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211)는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11)는 외부의 음성 재생 장치로부터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211)에 포함된 터치스크린은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입력부(211)에 포함된 카메라는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로부터 제스처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12)는 제1 단말기(2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2)는 제1 단말기(21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212)는 제1 단말기(21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2)는 입력부(211)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1 단말기(2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2)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212)는 입력부(211)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2)는 입력부(211)에 포함된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음성을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12)는 입력부(211)에 포함된 터치스크린을 통해 수신된 터치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12)는 입력부(211)에 포함된 카메라를 통해 수신된 제스처를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212)는 입력부(211)를 통해 특정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특정 동작이 기준 시간 내에 입력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동작이 기준 시간 내에 입력된 경우, 제어부(212)는 제1 단말기(210)가 제2 단말기(230)와의 영상 통화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특정 동작이 기준 시간 이후에 입력된 경우, 제어부(212)는 서버(100)에 새로운 매칭을 요구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2)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12)는 입력부(211)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따라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12)는 입력부(211)에 의해 수신된 신호 또는 저장부(213)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2)는 입력부(211)에 포함된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음성을 인코딩할 수 있다. 제어부(212)는 연산 결과가 저장부(213)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2)는 연산 결과가 출력부(215)에 의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2)는 예를 들어,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 Processing Unit, GPU),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icro Controller Unit, MCU),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2)는 중앙 처리 장치, 그래픽 처리 장치,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동되는 펌웨어, 운영 체제, 응용과 같은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212)는 그래픽 처리 장치,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서 회로망(circuitry) 또는 지식 자산(IP, Intellectual Property)과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어부(212)는 그래픽 처리 장치,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어부(102)는 그래픽 처리 장치,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와 분리된 별도의 모듈로 제공될 수 있다.
저장부(213)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13)는 제어부(212)에 의해 수행된 연산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13)는 제어부(212)에 의해 인코딩된 음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13)는 통신부(214)를 통해 외부에 전송할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통신부(214)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13)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13)는 예를 들어, 플래시(flash) 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ROM(Electrically Eras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또는 레지스터(regis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13)는 예를 들어, 파일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또는 임베디드 데이터베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4)는 외부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14)는 서버(1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230~35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214)는 제 서버(1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230~35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14)는 제어부(212)에 의해 수행된 연산 결과를 외부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4)는 저장부(213)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214)에 의해 전송될 데이터 또는 통신부(214)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는 저장부(213)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4)는 제어부(212)에서 생성된 메시지를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214)는 예를 들어, 3G 모듈, LTE 모듈, LTE-A 모듈, Wi-Fi 모듈, 와이기그(WiGig) 모듈, UWB(Ultra Wide Band) 모듈, 또는 랜카드 등과 같은 원거리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4)는 마그네틱 보안 전송(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모듈, 블루투스 모듈, NFC 모듈, RFID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Z-Wave 모듈, 또는 적외선 모듈 등과 같은 근거리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4)는 기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15)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12)는 출력부(215)가 화면을 표시하도록 출력부(215)를 제어할 수 있다. 출력부(21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출력부(215)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다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출력부(215)는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출력부(215)는 제어부(212)에 의해 수행된 연산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출력부(215)는 저장부(213)에 저장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출력부(215)는 통신부(214)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15)는 제1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음성 인식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출력부(215)는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의 평판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15)는 곡면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15)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출력부(215)는 다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15)는 입력부(211)를 통해 수신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15)는 예를 들어, 스피커(speaker)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15)는 스피커를 통해 입력부(211)로부터 수신된 음성 및 다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말기가 다른 단말기와 매칭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S110 단계에서, 제1 단말기(210)는 복수의 단말기(210~250) 중 제1 단말기(210)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230~250)중 제2 단말기(230)와 매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2 단말기(230)는 서버(100)에 의해 랜덤하게 선택될 수 있다.
S120 단계에서, 제1 단말기(210)의 입력부(211)는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로부터 특정 동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210)의 입력부(211)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제1 단말기(210)의 입력부(211)는 수신된 특정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212)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동작은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의 터치 동작 또는 제스처 중 하나일 수 있다.
S130 단계에서, 제1 단말기(210)의 제어부(212)는 특정 동작이 기준 시간 내에 입력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제1 단말기(210)의 제어부(212)가 특정 동작이 기준 시간 내에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S140 단계에서, 제1 단말기(210)의 제어부(212)는 제2 단말기(230)와의 매칭을 유지할 수 있다.
만약, 제1 단말기(210)의 제어부(212)가 특정 동작이 기준 시간 이후에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S150 단계에서, 제어부(212)는 제 새로운 매칭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메시지는 제1 단말기(210)의 통신부(214)를 통해 서버(100)에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S160 단계에서, 제1 단말기(210)는 제2 단말기(230)와의 매칭을 중단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230~250) 중 제3 단말기(250)와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단말기(250)는 서버(100)에 의해 랜덤하게 선택될 수 있다. 제1 단말기(210)가 제2 단말기(230) 또는 제3 단말기(250)와 매칭되는 방법은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말기(210)는 서버(100)의 중개에 의해 제2 단말기(230)와 매칭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특정 동작의 입력 시점에 따라, 제1 단말기(210)는 제2 단말기(230)와의 매칭을 중단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단말기(210)는 기준 시간 이상 제2 단말기(230)와 매칭된 경우에만 매칭을 중단하고, 다른 단말기와 매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말기(210) 는 보다 효과적으로 다른 단말기와 매칭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말기(210)는 제2 단말기(230)와 보다 긴 시간동안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210)는 사용자에게 개선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특정 동작을 수신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단말기(210)가 제2 단말기(230)와 매칭된 경우, 제1 단말기(210)의 디스플레이에는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215) 및 제2 단말기(230)의 사용자(235)의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215)가 제2 단말기(230)의 사용자(235)와의 매칭을 중단하고, 다른 단말기의 사용자와 매칭되고 싶은 경우,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215)는 디스플레이 상에 손가락을 터치한 뒤, 스와이프(swipe)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스와이프 동작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상에 손가락을 터치한 뒤, 손가락을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특정 방향은 한 방향으로 한정되지 않고, 좌우 방향, 상하 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 등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제1 단말기(210)의 입력부(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11)를 통해 사용자(215)의 손가락 움직임 동작을 수신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215)의 손가락 움직임 동작이 기준 시간 내에 입력되는 경우, 제1 단말기(210)의 제어부(212)는 제1 단말기(210) 및 제2 단말기(230) 사이의 매칭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말기(210)의 제어부(212)는 출력부(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15)를 통해 ‘5초 후에 넘기기 가능합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시지의 문구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즉, 사용자(215)의 손가락 움직임 동작이 기준 시간 내에 입력되는 경우, 제1 단말기(210) 및 제2 단말기(230) 사이의 매칭은 중단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도 5는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215)가 제2 단말기(230)의 사용자(235)와의 매칭을 중단하고, 다른 단말기의 사용자와 매칭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215)가 제2 단말기(230)의 사용자(235)와의 매칭을 중단하고, 다른 단말기의 사용자와 매칭되고 싶은 경우,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215)는 디스플레이 상에 손가락을 터치한 뒤, 스와이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단말기(210)의 입력부(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11)를 통해 사용자(215)의 손가락 움직임 동작을 수신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215)의 손가락 움직임 동작이 기준 시간 이후에 입력되는 경우, 도 3의 S150 단계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210)의 제어부(212)는 새로운 매칭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말기(210)의 제어부(212)는 생성된 메시지를 제1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0)는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1 단말기(210) 및 제2 단말기(230) 사이의 매칭을 중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0)는 랜덤하게 선택된 제3 단말기(250)와 제1 단말기(210)를 매칭할 수 있다. 제1 단말기(210)는 제3 단말기(250)와 매칭되는 경우, 제1 단말기(210)의 출력부(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에는 제3 단말기(250)의 사용자(255)의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특정 동작을 수신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단말기(210)가 제2 단말기(230)와 매칭된 경우, 제1 단말기(210)의 디스플레이에는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215) 및 제2 단말기(230)의 사용자(235)의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215)가 제2 단말기(230)의 사용자(235)와의 매칭을 중단하고, 다른 단말기의 사용자와 매칭되고 싶은 경우,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215)는 디스플레이 상에 ‘종료’ 아이콘을 손가락으로 터치할 수 있다.
제1 단말기(210)의 입력부(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11)를 통해 사용자(215)의 터치 동작을 수신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215)의 터치 동작이 기준 시간 내에 입력되는 경우, 제1 단말기(210)의 제어부(212)는 제1 단말기(210) 및 제2 단말기(230) 사이의 매칭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말기(210)의 제어부(212)는 출력부(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15)를 통해 ‘5초 후에 넘기기 가능합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시지의 문구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즉, 사용자(215)의 손가락 움직임 동작이 기준 시간 내에 입력되는 경우, 제1 단말기(210) 및 제2 단말기(230) 사이의 매칭은 중단되지 않고 계속 유지될 수 있다.
도 7은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215)가 제2 단말기(230)의 사용자(235)와의 매칭을 중단하고, 다른 단말기의 사용자와 매칭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215)가 제2 단말기(230)의 사용자(235)와의 매칭을 중단하고, 다른 단말기의 사용자와 매칭되고 싶은 경우,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215)는 디스플레이 상에 ‘종료’ 아이콘을 터치할 수 있다.
제1 단말기(210)의 입력부(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11)를 통해 사용자(215)의 손가락 움직임 동작을 수신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215)의 손가락 움직임 동작이 기준 시간 이후에 입력되는 경우, 도 3의 S150 단계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210)의 제어부(212)는 새로운 매칭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말기(210)의 제어부(212)는 생성된 메시지를 제1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0)는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1 단말기(210) 및 제2 단말기(230) 사이의 매칭을 중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0)는 랜덤하게 선택된 제3 단말기(250)와 제1 단말기(210)를 매칭할 수 있다. 제1 단말기(210)는 제3 단말기(250)와 매칭되는 경우, 제1 단말기(210)의 출력부(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에는 제3 단말기(250)의 사용자(255)의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말기가 다른 단말기와 매칭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S210 단계에서, 제1 단말기(210)는 복수의 단말기(210~250) 중 제1 단말기(210)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230~250)중 제2 단말기(230)와 매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2 단말기(230)는 서버(100)에 의해 랜덤하게 선택될 수 있다.
S220 단계에서, 제1 단말기(210)의 입력부(211)는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로부터 제스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210)의 입력부(211)는 카메라일 수 있다. 제1 단말기(210)의 입력부(211)는 수신된 제스처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212)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스처는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215)의 손 동작, 얼굴 표정, 또는 얼굴 움직임 중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S230 단계에서, 제1 단말기(210)의 제어부(212)는 제스처가 기준 시간 내에 입력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제1 단말기(210)의 제어부(212)가 제스처가 기준 시간 내에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S240 단계에서, 제1 단말기(210)의 제어부(212)는 제2 단말기(230)와의 매칭을 유지할 수 있다.
만약, 제1 단말기(210)의 제어부(212)가 특정 동작이 기준 시간 내에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S250 단계에서, 제어부(212)는 새로운 매칭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메시지는 제1 단말기(210)의 통신부(214)를 통해 서버(100)에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S260 단계에서, 제1 단말기(210)는 제2 단말기(230)와의 매칭을 중단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230~250) 중 제3 단말기(250)와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단말기(250)는 서버(100)에 의해 랜덤하게 선택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제스처를 수신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단말기(210)가 제2 단말기(230)와 매칭된 경우, 제1 단말기(210)의 디스플레이에는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215) 및 제2 단말기(230)의 사용자(235)의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215)가 제2 단말기(230)의 사용자(235)와의 매칭을 중단하고 다른 단말기의 사용자와 매칭되고 싶은 경우,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215)는 특정 제스처를 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215)는 제1 단말기(210)를 향해 손을 좌우로 흔드는 제스처를 취할 수 있다. 제1 단말기(210)의 입력부(예를 들어, 카메라) (211)는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215)의 특정 제스처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215)의 특정 제스처가 기준 시간 내에 입력되는 경우, 제1 단말기(210)의 제어부(212)는 제1 단말기(210) 및 제2 단말기(230) 사이의 매칭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말기(210)의 제어부(212)는 출력부(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15)를 통해 ‘5초 후에 넘기기 가능합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시지의 문구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즉, 사용자(215)의 특정 제스처가 기준 시간 내에 입력되는 경우, 제1 단말기(210) 및 제2 단말기(230) 사이의 매칭은 중단되지 않고 계속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제스처는 손을 좌우로 흔드는 제스처로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특정 못짓, 얼굴의 특정 움직임, 또는 특정 얼굴 표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은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215)가 제2 단말기(230)의 사용자(235)와의 매칭을 중단하고, 다른 단말기의 사용자와 매칭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215)가 제2 단말기(230)의 사용자(235)와의 매칭을 중단하고, 다른 단말기의 사용자와 매칭되고 싶은 경우,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215)는 특정 제스처를 취할 수 있다.
제1 단말기(210)의 입력부(예를 들어, 카메라)(211)를 통해 사용자(215)의 특정 제스처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215)의 특정 제스처가 기준 시간 이후에 입력되는 경우, 도 8의 S250 단계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210)의 제어부(212)는 새로운 매칭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말기(210)의 제어부(212)는 생성된 메시지를 제1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0)는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1 단말기(210) 및 제2 단말기(230) 사이의 매칭을 중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0)는 랜덤하게 선택된 제3 단말기(250)와 제1 단말기(210)를 매칭할 수 있다. 제1 단말기(210)는 제3 단말기(250)와 매칭되는 경우, 제1 단말기(210)의 출력부(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에는 제3 단말기(250)의 사용자(255)의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말기가 다른 단말기와 매칭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S310 단계에서, 제1 단말기(210)는 복수의 단말기(210~250) 중 제1 단말기(210)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230~250)중 제2 단말기(230)와 매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2 단말기(230)는 서버(100)에 의해 랜덤하게 선택될 수 있다.
S320 단계에서, 제1 단말기(210)의 입력부(211)는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로부터 특정 동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210)의 입력부(211)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제1 단말기(210)의 입력부(211)는 수신된 특정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212)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동작은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의 터치 동작 또는 제스처 중 하나일 수 있다.
S330 단계에서, 제1 단말기(210)의 제어부(212)는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로부터 기준 개수 이상의 종결된 문장이 포함된 음성이 수신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즉, 제1 단말기(210)의 제어부(212)는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음성에 포함되는 종결된 문장의 개수에 따라 제2 단말기(230)와의 매칭을 유지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개수가 다섯 개인 경우, 제1 단말기(210)의 제어부(212)는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로부터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취미가 무엇입니까?”, “저는 자전거 타기를 좋아합니다”, 및 “당신이 마음에 듭니다”와 같은 다섯 개의 종결된 문장을 포함하는 음성이 수신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기준 개수는 다섯 개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개수로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종결된 문장은 다양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제1 단말기(210)의 제어부(212)가 기준 개수 이상의 종결된 문장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S340 단계에서, 제1 단말기(210)의 제어부(212)는 제2 단말기(230)와의 매칭을 유지할 수 있다. 만약, 제1 단말기(210)의 제어부(212)가 기준 개수 이상의 종결된 문장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S250 단계에서, 제어부(212)는 새로운 매칭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메시지는 제1 단말기(210)의 통신부(214)를 통해 서버(100)에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S160 단계에서, 제1 단말기(210)는 제2 단말기(230)와의 매칭을 중단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230~250) 중 제3 단말기(250)와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단말기(250)는 서버(100)에 의해 랜덤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말기(210)는 서버(100)의 중개에 의해 제2 단말기(230)와 매칭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에 포함된 종결된 문장의 개수에 따라, 제1 단말기(210)는 제2 단말기(230)와의 매칭을 중단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단말기(210)는 기준 시간 이상 제2 단말기(230)와 매칭된 경우에만 매칭을 중단하고, 다른 단말기와 매칭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12를 참조하면, S410 단계에서, 서버(100)는 제1 단말기(210) 및 제2 단말기(230)를 매칭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230~250) 중에서 제2 단말기(230)를 랜덤하게 선택할 수 있다. 제1 단말기(210)가 제2 단말기(230)와 매칭되는 경우, 제1 단말기(210) 및 제2 단말기(230) 사이에는 영상 통화가 수행될 수 있다.
S420 단계에서, 서버(100)는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특정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제1 단말기(2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동작에 대한 정보는 특정 동작의 종류, 및 특정 동작이 수신된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동작은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사용자의 동작들 중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동작은 사용자의 터치 동작 또는 제스처 등일 수 있다.
S430 단계에서, 서버(100)는 제1 단말기(210)로부터 수신된 특정 동작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동작이 기준 시간 내에 입력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서버(100)가 특정 동작이 기준 시간 내에 제1 단말기(210)에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S440 단계에서, 서버(100)는 제1 단말기(210) 및 제2 단말기(230) 사이의 매칭을 유지시킬 수 있다. 만약, 서버(100)가 특정 동작이 기준 시간 이후에 제1 단말기(210)에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S450 단계에서, 서버(100)는 제1 단말기(210) 및 제2 단말기(230) 사이의 매칭을 중단시키고, 제1 단말기(210) 및 제3 단말기(250)를 매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단말기(250)는 서버(100)에 의해 랜덤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예는 컴퓨터에 의해 시작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시작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서버
210, 230, 250: 통신 장치, 단말기
211: 입력부
212: 제어부
213: 저장부
214: 통신부

Claims (16)

  1.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와 매칭되어 영상 통화를 시작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특정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특정 동작이 상기 영상 통화가 시작된 시점부터 기준 시간 이내에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와의 상기 매칭을 유지하거나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특정 동작이 상기 기준 시간 이내에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와의 매칭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특정 동작이 상기 기준 시간 이후에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가 새로운 매칭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와의 상기 매칭을 중단하고, 상기 제2 단말기와 다른 제3 단말기와 매칭되어 새로운 영상 통화를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의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특정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의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특정 방향으로의 스와이프(swipe)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특정 동작이 상기 영상 통화가 시작된 시점부터 기준 시간 이내에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영상 통화가 시작된 시점으로부터 5초 이내에 상기 스와이프 동작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의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특정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의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의 종료 아이콘을 터치하는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의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특정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의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특정 제스처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상기 사용자로부터 특정 손짓, 특정 몸짓, 특정 얼굴 표정 또는 얼굴의 특정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제스처를 입력받는 통신 방법.
  8. 제 1 항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서 시작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9.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와 매칭되어 영상 통화를 시작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특정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의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특정 동작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의 상기 사용자로부터 기준 개수 이상의 종결된 문장이 포함된 음성을 수신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와의 상기 매칭을 유지하거나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의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준 개수 미만의 상기 종결된 문장이 포함된 상기 음성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와의 상기 매칭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의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준 개수 이상의 상기 종결된 문장이 포함된 상기 음성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가 새로운 매칭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와의 상기 매칭을 중단하고, 상기 제2 단말기와 다른 제3 단말기와 매칭되어 새로운 영상 통화를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12. 특정 동작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특정 동작이 기준 시간 이내에 입력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통신 장치와의 매칭을 중단하거나, 새로운 매칭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메시지를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통신 장치와 다른 제2 통신 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동작이 상기 기준 시간 이내에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 장치와의 매칭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동작이 상기 기준 시간 이후에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1 통신 장치와의 매칭을 중단하고, 상기 새로운 매칭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통신 장치.
  15. 서버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사이에 영상 통화가 수행되도록 매칭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특정 동작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특정 동작이 기준 시간 내에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동작이 상기 기준 시간 이후에 입력된 경우,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 사이의 매칭을 중단시키고, 상기 제2 단말기와 다른 제3 단말기와 상기 제1 단말기 사이에 새로운 영상 통화가 수행되도록 매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동작이 상기 기준 시간 이내에 입력된 경우,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 사이의 매칭을 유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KR1020170100865A 2017-08-09 2017-08-09 통신 장치, 서버 및 통신 방법 KR102312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865A KR102312861B1 (ko) 2017-08-09 2017-08-09 통신 장치, 서버 및 통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865A KR102312861B1 (ko) 2017-08-09 2017-08-09 통신 장치, 서버 및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671A true KR20190016671A (ko) 2019-02-19
KR102312861B1 KR102312861B1 (ko) 2021-10-15

Family

ID=65528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865A KR102312861B1 (ko) 2017-08-09 2017-08-09 통신 장치, 서버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286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772A (ko) * 2019-05-10 2020-11-18 주식회사 하이퍼커넥트 단말기, 서버 및 그것의 동작 방법
EP3869310A1 (en) * 2020-02-21 2021-08-25 Hyperconnect, Inc.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184582B2 (en) 2019-10-01 2021-11-23 Hyperconnect, Inc.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323659B2 (en) 2017-04-17 2022-05-03 Hyperconnect Inc. Video communication device, video communication method, and video communication mediating method
US11553157B2 (en) 2016-10-10 2023-01-10 Hyperconnect In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s
US11825236B2 (en) 2020-01-31 2023-11-21 Hyperconnect Inc.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2098A (ko) * 2006-04-13 2007-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호설정 요청신호 재전송방법
KR20090087187A (ko) * 2008-02-12 2009-08-17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통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모드 전환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위한 통신 단말기
KR20100001239A (ko) * 2008-06-26 2010-01-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영상통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2098A (ko) * 2006-04-13 2007-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호설정 요청신호 재전송방법
KR20090087187A (ko) * 2008-02-12 2009-08-17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통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모드 전환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위한 통신 단말기
KR20100001239A (ko) * 2008-06-26 2010-01-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영상통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53157B2 (en) 2016-10-10 2023-01-10 Hyperconnect In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s
US11323659B2 (en) 2017-04-17 2022-05-03 Hyperconnect Inc. Video communication device, video communication method, and video communication mediating method
US11722638B2 (en) 2017-04-17 2023-08-08 Hyperconnect Inc. Video communication device, video communication method, and video communication mediating method
KR20200129772A (ko) * 2019-05-10 2020-11-18 주식회사 하이퍼커넥트 단말기, 서버 및 그것의 동작 방법
JP2020188461A (ja) * 2019-05-10 2020-11-19 ハイパーコネク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端末機、サーバ及びその動作方法(mobile、serv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716424B2 (en) 2019-05-10 2023-08-01 Hyperconnect Inc. Video call mediation method
US11184582B2 (en) 2019-10-01 2021-11-23 Hyperconnect, Inc.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825236B2 (en) 2020-01-31 2023-11-21 Hyperconnect Inc.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3869310A1 (en) * 2020-02-21 2021-08-25 Hyperconnect, Inc.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2861B1 (ko) 2021-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1315B2 (en) Video communication device and video communication method
KR20190016671A (ko) 통신 장치, 서버 및 통신 방법
US9529439B2 (en) Multi device pairing and sharing via gestures
KR102092063B1 (ko) 통신 서비스 수행 방법 및 장치
KR102283972B1 (ko) 통신 장치, 서버 및 동작 방법
CN105163366B (zh) 无线网络连接方法和装置
US9819784B1 (en) Silent invocation of emergency broadcasting mobile device
WO2015043399A1 (en) Voice aided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US20180103234A1 (en)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s
KR102282963B1 (ko) 단말기, 서버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11606397B2 (en) Serv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3203690B1 (en)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CN114071425A (zh) 电子设备间的协同方法、协同系统和电子设备
TW201730739A (zh) 資訊交互方法和裝置
CN113676395B (zh) 信息处理方法、相关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1338971A (zh) 应用测试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19525267A (ja) スマートホームの初期化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250871B2 (ja) メッセージ送信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70063751A (ko) 2차원 코드를 발생시켜 메시지에서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8130048A1 (zh) 一种添加联系人方法、电子设备及服务器
WO2023241613A1 (zh) 通话建立方法、装置、终端、系统及可读存储介质
CN104363166A (zh) 即时通信方法、装置和智能终端
CN107295167A (zh) 信息显示方法及装置
KR102293416B1 (ko) 통신 장치, 서버 및 그것의 통신 방법
WO2022199614A1 (zh) 界面输入源切换方法、装置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