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089B1 - Method, terminal and program of language education for infants - Google Patents

Method, terminal and program of language education for infa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089B1
KR102129089B1 KR1020180075235A KR20180075235A KR102129089B1 KR 102129089 B1 KR102129089 B1 KR 102129089B1 KR 1020180075235 A KR1020180075235 A KR 1020180075235A KR 20180075235 A KR20180075235 A KR 20180075235A KR 102129089 B1 KR102129089 B1 KR 102129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onant
image
word
syllable
vow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2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02105A (en
Inventor
김서영
Original Assignee
김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서영 filed Critical 김서영
Priority to KR1020180075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089B1/en
Publication of KR20200002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1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0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68Morphological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문자 교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어 또는 단어가 포함된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어를 구성하는 각 음절에 존재하는 자음, 모음 및 종성(받침자음)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각 음절에서 추출된 자음 또는 모음의 기본발음의 음성을 자음, 모음, 종성(받침자음)의 순서로 복수 회 출력한 후, 해당 음절의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teaching a character for children, receiving a word or an image containing a word, extracting consonants, vowels, and finality (consonants) present in each syllable constituting the word in each syllable. And outputting the voice of the basic consonant of the extracted consonant or vowel in the order of consonant, vowel, and final (consonant), and then outputting the voice of the corresponding syllable.

Description

유아용 문자 교육 방법, 단말 및 프로그램 {METHOD, TERMINAL AND PROGRAM OF LANGUAGE EDUCATION FOR INFANTS}METHOD, TERMINAL AND PROGRAM OF LANGUAGE EDUCATION FOR INFANTS}

본 발명은 유아용 문자 교육 방법, 단말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education method, terminal and program for infants.

사람은 영아에서 유아기로 넘어가면서 언어를 학습하게 된다.A person learns a language from an infant to an infant.

이때, 교육 방법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대부분의 사람들이 인지하고 있지만, 유아들이 흥미와 호기심을 느끼게 하면서 언어를 교육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At this time, most people realize that the teaching method is very important, but it is not easy to educate the language while making the children feel interested and curious.

실제로, 많은 유아들이 언어 교육 과정에서 단조로운 패턴의 반복들로 인하여 흥미를 가지지 못하여 언어를 제때 학습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In fact, many young children frequently fail to learn language in a timely manner due to repetition of monotonous patterns in the language education process.

유아들은 어른과 다르기 때문에 필요에 의해 언어를 학습하지 않기 때문에 유아들이 흥미를 느끼고 호기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언어 교육 방법이 필요하다.Because young children are different from adults, they do not learn the language as needed, so a language education method is needed to make them interested and curious.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0880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나, 상술한 문제점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은 제시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The technology that is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30880, etc., but a fundamental solution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has not been proposed.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아용 문자 교육 방법, 단말 및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may provide a method for teaching a child's text, a terminal, and a program.

또한, 본 발명은 단어를 구성하는 각 음절에 존재하는 자음, 모음 및 종성(받침자음)의 기본발음을 이용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유아용 문자 교육 방법, 단말 및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text education method, a terminal, and a program for an infant to output a voice using basic consonants, vowels, and final consonants (consonants) present in each syllable constituting a word.

또한, 본 발명은 단어에 포함된 자음과 모음들을 분리하여 학습하며, 자음들에 매칭되는 동물의 이미지를 자음의 모양으로 보여주는 유아용 문자 교육 방법, 단말 및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ethod, terminal, and program for teaching children's characters by learning consonants and vowels included in a word separately and showing an image of an animal matching the consonants in the shape of a consonan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문자 교육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유아용 문자 교육 방법으로서,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또는 입력된 영상이나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인식하여 상기 객체가 의미하는 단어를 추출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단어가 입력되면, 상기 단어에 포함된 각 음절에 존재하는 자음과 모음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단어에서 추출된 자음과 모음의 이미지를 화면의 제1위치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위치에 출력된 자음 또는 모음에 대한 상기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의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해당 자음 또는 모음이 제2위치로 이동되는 동안 해당 자음 또는 모음의 기본발음의 음성을 복수 회 출력하는 단계; 상기 각 음절을 구성하는 자음과 모음 모두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되면, 해당 음절의 음성을 1회 이상 출력하는 단계; 상기 단어를 구성하는 모든 음절이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단어의 음성을 1회 이상 출력하는 단계; 상기 단어에서 추출된 자음 또는 모음의 기본발음의 음성을 자음, 모음, 종성의 순서로 출력 속도를 매회 증가시키며 복수 회 출력한 후 최종적으로 해당 음절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절 출력 단계; 및 상기 단어를 구성하는 각 음절의 음성을 순서대로 출력하되, 출력 속도를 매회 증가시키며 복수 회 출력한 후 최종적으로 상기 단어의 음성을 출력하는, 단어 출력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위치에 상기 단어의 그림자, 반투명 이미지, 실루엣, 또는 테두리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가이드를 제공하고, 상기 기본발음은 해당 자음 또는 해당 모음만으로 발음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method for teaching children's charac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teaching children's characters performed by a computer, and recognizes an object included in an image or image photographed or input through a photographing unit. Extracting a consonant and a vowel present in each syllable included in the word, when extracting a word that the object means or when a word is input from the user; Outputting an image of consonants and vowels extracted from the word at a first position on the screen; When a drag input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is received for a consonant or vowel output at the first position, while the corresponding consonant or vowel is being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a voice of the basic consonant or vowel of the vowel is generated. Outputting multiple times; When all of the consonants and vowels constituting each syllable are moved from a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outputting the voice of the corresponding syllable one or more times; If all the syllables constituting the word are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outputting the voice of the word one or more times; A syllable output step of increasing the output speed of the consonant or vowel extracted from the word in the order of consonant, vowel, and finality each time, and outputting the voice of the corresponding syllable finally; And outputting the voice of each syllable constituting the word in order, increasing the output speed each time, outputting the voice multiple times, and finally outputting the voice of the word, and outputting the word to the second position. A shadow, a translucent image, a silhouette, or a border of a word is displayed to provide a guide to the user, and the basic pronunciation is pronounced only with a corresponding consonant or a corresponding vowel.

또한, 상기 자음이 초성인 경우, 해당 자음의 기본발음은 해당 자음과 "으"를 합한 발음이고, 상기 자음이 종성인 경우, 해당 자음의 기본발음은 "으"에 해당 자음을 종성으로 합한 발음이고, 상기 모음의 기본발음은 해당 모음과 자음 "ㅇ"를 합한 발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consonant is a consonant, the basic consonant of the consonant is the pronunciation of the consonant and "U", and when the consonant is a final consonant, the basic consonant of the consonant is the "U" and the consonant is the consonant. And, the basic pronunciation of the vowe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owel and consonant "ㅇ" combined pronunci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각 음절에서 추출된 자음 또는 종성 각각을 해당 자음으로 시작하는 이름을 가진 동물 또는 캐릭터의 이미지와 매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음절 출력 단계는, 상기 음절의 음성과 이미지를 함께 출력하되, 자음과 종성의 이미지는 상기 매칭된 이미지를 이용하고, 상기 음절의 음성과 이미지를 함께 출력하되, 상기 자음의 이미지와 상기 음절에 포함된 자음의 이미지는 상기 매칭된 이미지를 이용하고, 상기 단어 출력 단계는, 상기 단어의 음성과 이미지를 함께 출력하되, 상기 음절 및 단어에 포함된 자음의 이미지는 상기 매칭된 이미지를 이용하고, 상기 동물 이미지 또는 캐릭터 이미지는 해당 동물 또는 캐릭터의 이름의 첫 음절 자음의 형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matching each consonant or species extracted from each syllable with an image of an animal or character having a name starting with the corresponding consonant, wherein the step of outputting the syllable outputs the voice and the image of the syllable together. , Consonant and Jongsung images use the matched image, and output the voice and image of the syllable together, but the image of the consonant and the consonant image included in the syllable use the matched image, and the word In the output step, the voice and the image of the word are output together, but the image of the consonant included in the syllable and the word uses the matched image, and the animal image or character image is the first syllable of the name of the animal or character. Characterized by the same consonant shape.

또한, 상기 매칭 단계는, 상기 각 음절에서 추출된 자음 또는 종성과 동일한 자음으로 시작되는 동물 또는 캐릭터 단어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동물 또는 캐릭터 단어의 이미지를 매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atching step includes: selecting an animal or character word starting with a consonant identical to a consonant or a final consonant extracted from each syllable; And matching an image of the selected animal or character word.

또한, 상기 각 음절에서 추출된 자음이 쌍자음인 경우, 해당 쌍자음으로 시작하는 이름을 가진 동물 또는 캐릭터의 이미지를 선택하되, 해당 쌍자음과 동일한 쌍자음으로 시작되는 동물 또는 캐릭터 단어가 없을 경우, 해당 쌍자음을 구성하는 자음과 동일한 자음으로 시작되는 동물 또는 캐릭터 단어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쌍자음 이미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when the consonant extracted from each syllable is a paired consonant, an image of an animal or character having a name starting with the paired consonant is selected, but when there is no animal or character word starting with the same paired consonant , Forming a paired consonant image using an image of an animal or character word starting with the same consonant constituting the corresponding consonant.

삭제delet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문자 교육 단말은,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나 입력된 영상 또는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인식하여 상기 객체가 의미하는 단어가 추출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단어가 입력되면, 상기 단어에 포함된 각 음절에 존재하는 자음과 모음을 추출하는 추출부; 및 각 음절에서 추출된 자음 또는 모음의 기본발음의 음성을 자음, 모음, 종성의 출력 속도를 매회 증가시키며 복수 회 출력한 후 최종적으로 해당 음절의 음성을 출력하고, 상기 단어를 구성하는 각 음절의 음성을 순서대로 출력하되, 출력 속도를 매회 증가시키며 복수 회 출력한 후 최종적으로 상기 단어의 음성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단어에서 추출된 자음과 모음의 이미지를 화면의 제1위치에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자음 또는 모음에 대한 상기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의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해당 자음 또는 모음이 제2위치로 이동되는 동안 해당 자음 또는 모음의 기본발음의 음성을 복수 회 출력하고, 상기 각 음절을 구성하는 자음과 모듬 모두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되면, 해당 음절의 음성을 1회 이상 출력하고, 상기 단어를 구성하는 모든 음절이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단어의 음성을 1회 이상 출력하고, 상기 제2위치에 상기 단어의 그림자, 반투명 이미지, 실루엣, 또는 테두리가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가이드를 제공하고, 상기 기본발음은 해당 자음 또는 해당 모음만으로 발음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character education terminal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an object included in an image or an input image or an image captured through a photographing unit, or a word meaning the object is extracted, Or, when a word is input from the user, an extraction unit that extracts consonants and vowels present in each syllable included in the word; And the consonant extracted from each syllable or the basic pronunciation of the vowel, increases the output speed of the consonant, vowel, and finality each time, outputs multiple times, and finally outputs the voice of the corresponding syllable, and of each syllable constituting the word. It outputs the voices in order, increases the output speed each time, outputs multiple times, and finally includes an output unit that outputs the voice of the word, and the output unit displays the image of the consonants and vowels extracted from the words on the screen. When output to the 1st position and a drag input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is received for the output consonant or vowel, while the corresponding consonant or vowel is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the When a voice is output a plurality of times, and all the consonants and assortments constituting each syllable are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voice of the corresponding syllable is output at least once, and all syllables constituting the word are first. When moving from the location to the second location, the voice of the word is output at least once, and the shadow, translucent image, silhouette, or border of the word is displayed at the second location to provide a guide to the user, and the basic pronunciation Is pronounced only with the corresponding consonant or vowel.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is, another method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system,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may be further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문자 교육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언급된 유아용 문자 교육 방법을 실행하며, 매체에 저장된다.The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a hardware computer to execute the aforementioned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method and stored in a medium.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아들이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문자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that allows infants to learn letters with interest and curiosit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어에 포함된 자음과 모음들을 분리하여 학습하며, 자음들에 매칭되는 동물의 이미지를 자음의 모양으로 보여줌으로써, 아이들이 좋아하는 동물, 캐릭터를 이용하여 언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earning by separating consonants and vowels included in a word, and showing an image of an animal matching the consonants in the form of a consonant, thereby learning a language using animals and characters that children like. It has the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문자 교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문자 교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문자 교육 방법을 이용하여 자음, 모음, 음절, 단어의 이미지 및 음성을 출력하는 것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단어에 포함된 자음이 쌍자음인 경우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문자 교육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자음 또는 모음에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는 것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자음 이미지를 변환하는 것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자음 이미지를 변환하는 것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1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teaching a character for an inf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teaching a character for a chil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9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outputting consonants, vowels, syllables, and images of words and voices using a method for teaching children's tex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consonant included in a word is a double consonant.
11 is a block diagram of a character education terminal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that a drag input is received in a consonant or vowel.
1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converting a first consonant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converting a second consonant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are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skilled person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other than the components mention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mentioned.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sense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사람은 영아에서 유아기로 넘어가면서 언어를 학습하게 된다.A person learns a language from an infant to an infant.

유아기 때 언어의 교육 방법과 교육 시기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대부분의 사람(부모)들이 인지하고 있지만, 유아들이 흥미와 호기심을 느끼게 하면서 언어를 교육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While most people (parents) recognize that the teaching method and timing of language is very important in early childhood, it is not easy to educate the language while making the children feel interested and curious.

실제로, 많은 유아들이 언어 교육 과정에서 단조로운 패턴의 반복들로 인하여 흥미를 가지지 못하여 언어를 제때 학습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In fact, many young children frequently fail to learn language in a timely manner due to repetition of monotonous patterns in the language education process.

어른들이 외국어를 학습할 때는 해당 언어의 필요성을 느끼고 학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유아들의 경우는 이와 전혀 다르다.When adults learn a foreign language, they often feel the need for the language and learn it. However, this is not the case for infants.

이와 같이, 유아들은 필요에 의해 언어를 학습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유아들이 흥미를 느끼고 호기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언어 교육 방법이 필요할 것이다.As such, since the children are not learning the language as needed, a language education method that allows the children to be interested and curious may be needed.

최근 컴퓨터, 태블릿, 스마트폰, 노트북과 같은 단말 장치들이 보급화 되었지만, 이를 이용한 언어 교육 방법들은 위에서 언급한 단조로움을 피하지 못하고 있다.Recently, terminal devices such as computers, tablets, smart phones, and notebooks have been popularized, but language education methods using the same have not avoided the monotony mentioned above.

이에,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의미를 간략히 설명한다. 그렇지만 용어의 설명은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명시적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사항으로 기재하지 않은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의미로 사용하는 것이 아님을 주의해야 한다.Prior to description, the meaning of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scription of terms is intend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is not us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explicitly described as a limi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음절: 하나의 종합된 음의 느낌을 주는 말소리의 단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기린" 단어는 "기"와 "린" 2개의 음절을 포함하고, "특허" 단어는 "특"과 "허" 2개의 음절을 포함한다.Syllable: A unit of speech that gives a feeling of a synthesized sound. For example, the word "giraffe" includes two syllables "ki" and "lin", and the word "patent" includes two syllables "special" and "huh".

자음: 한글에서 자음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을 포함한다.Consonants: Consonants in Hangul include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쌍자음: 한글에서 쌍자음은 ㄲ, ㄸ, ㅃ, ㅆ, ㅉ를 포함한다.Binary consonants: In Korean, binary consonants include ㄲ, ㄸ, ㅃ, ㅆ, and ㅉ.

모음: 한글에서 모음은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를 포함한다.Vowels: In Korean, vowels include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초성: 음절의 구성에서 처음 소리인 자음을 의미한다.Choseong: It means the first consonant sound in the composition of syllables.

중성: 음절의 구성에서 중간 소리인 모음을 의미한다.Neutral: A vowel that is an intermediate sound in the composition of syllables.

종성: 음절의 구성에서 마지막 소리인 자음으로, 종성(받침자음), 받침소리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종성과 종성(받침자음)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었다.Jongseong: Consonant, the last sound in the composition of syllables, means Jongseong (consonant consonant) and consonant sound. Therefor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jongseong” and “jongseong” are used interchangeab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문자 교육 방법의 흐름도이다.1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teaching a character for an inf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문자 교육 방법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ure 1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flow of the character education method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서버(10)를 주체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서 주체는 서버(10)가 될 수도 있고, 단말(20)이 될 수도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the server 10 as the main subject,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ject may be the server 10 or the terminal 20.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이미지'는 2D 이미지, 3D 이미지, GIF와 같이 움직이는 이미지, 영상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된다.In addition, "image"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comprehensive sense including 2D images, 3D images, moving images such as GIFs, images, and the lik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출력부(150), 출력수단은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과 같은 단말(20)에서 디스플레이부(화면)과 음성출력수단(스피커)를 의미한다.The output unit 150 and output means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 a display unit (screen) and a voice output unit (speaker) in a terminal 20 such as a computer, a smart phone, a tablet, and a laptop.

유아용 문자 교육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수행된다.The method of teaching children's characters is performed by a computer.

먼저, 서버(10)가 단어 또는 단어가 포함된 이미지를 수신한다. (S510단계)First, the server 10 receives a word or an image containing a word. (Step S510)

보다 상세하게는, 서버(10)가 단말(20)의 출력부(150)를 통해서 하나 이상의 단어 목록을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그 중 하나를 선택받을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rver 10 may provide a list of one or more words through the output unit 150 of the terminal 20, and one of them may be selected from the user.

또한, 서버(10)가 단말(20)을 통해서 사용자로부터 특정 단어를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10 may directly receive a specific word from the user through the terminal 20.

또한, 서버(10)가 단말(20)을 통해 입력 또는 촬영되는 영상이나 이미지에서 단어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10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recognizing a word from an image or image input or photographed through the terminal 20.

예를 들어, 서버(10)가 단말(20)의 촬영부(카메라)를 통해 특정 객체가 촬영된 영상 또는 이미지를 수신하면, 해당 객체에서 단어를 인식하고, 해당 단어를 통해서 차후 단계들을 진행하여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rver 10 receives an image or image in which a specific object is photograph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camera) of the terminal 20, the object is recognized by a word, and subsequent steps are performed through the word. You can proceed with learning.

또 다른 실시예로, 서버(10)가 단말(20)의 촬영부(카메라)를 통해 특정 객체가 촬영된 영상 또는 이미지를 수신하면, 해당 영상 또는 이미지 내에 포함된 객체를 인식하고 분석하여, 객체가 의미하는 단어를 추출하고, 해당 단어를 통해서 차후 단계들을 진행하여 학습을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server 10 receives an image or image in which a specific object is photograph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camera) of the terminal 20, the object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image or image is analyzed and analyzed. The word that means means can be extracted and the subsequent steps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corresponding word to learn.

예를 들어, 사용자(부모, 유아 등)가 단말(20)의 촬영부(카메라)를 이용하여 버스를 촬영하고, 서버(10)가 해당 영상 또는 이미지를 수신하면, 이를 분석하여 영상 또는 이미지 내에 버스(객체)가 있다는 것을 판단하고, 버스라는 단어를 통해서 학습을 진행하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a user (parent, infant, etc.) photographs a bus using the photographing unit (camera) of the terminal 20, and the server 10 receives the corresponding image or image, analyzes it and analyzes the image or image. It is judged that there is a bus (object), and learning is conducted through the word bus.

S510단계 다음으로, 서버(10)가 S510단계에서 수신된 단어를 구성하는 각 음절에 존재하는 자음 또는 모음을 추출한다. (S530단계)Next to step S510, the server 10 extracts consonants or vowels present in each syllable constituting the word received in step S510. (Step S530)

예를 들어, S510단계에서 "가지"라는 단어가 수신되면, "가지" 단어에는 각각 "가", "지" 2개의 음절이 포함되어 있다.For example, when the word "branch" is received in step S510, the "branch" word includes two syllables "a" and "ji", respectively.

그리고, "가" 음절에 존재하는 자음 "ㄱ"과 모음 "ㅏ"가 추출되고, "지" 음절에 존재하는 자음 "ㅈ"와 모음 "ㅣ"가 추출된다.Then, the consonant "a" and the vowel "ㅏ" present in the "a" syllable are extracted, and the consonant "ㅈ" and the vowel "ㅣ" present in the "ji" syllable are extracted.

또 다른 예로, S510단계에서 "학교"라는 단어가 수신되면, "학교" 단어에는 각각 "학", "교" 2개의 음절이 포함되어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word "school" is received in step S510, the "school" word includes two syllables "school" and "school", respectively.

그리고, "학" 음절에 존재하는 자음 "ㅎ"과 모음 "ㅏ"와 종성(받침자음) "ㄱ"이 추출되고, "교" 음절에 존재하는 자음 "ㄱ"과 모음 "ㅛ"가 추출된다.Then, the consonant "ㅎ" and vowel "ㅏ" and the final (consonant) "a" present in the "hak" syllable are extracted, and the consonant "a" and vowel "ㅛ" present in the "kyo" syllable are extracted. .

이와 같이, 모든 단어를 구성하는 음절들에는 자음과 모음은 필수적으로 포함되어 있지만, 종성(받침자음)의 경우에는 존재할 수도 있고,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S530단계는 단어를 구성하는 각 음절에 존재하는 자음, 모음 또는 종성(받침자음)을 추출하는 프로세스로 진행된다.As described above, consonants and vowels are essentially included in syllables constituting all words, but in the case of finality (consonants), they may or may not exist, so step S530 includes each syllable constituting the word. It proceeds with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existing consonants, vowels, or species (consonants).

또 다른 말로, 단어를 구성하는 각 음절에 존재하는 자음 및 모음을 추출하되, 종성(받침자음)이 존재하면 종성(받침자음)도 추출하는 것을 의미한다.In other words, it means extracting the consonants and vowels present in each syllable constituting a word, but also extracting the final consonant (consonant) if the final consonant (consonant) exists.

S530단계 다음으로, 서버(10)가 S530단계에서 각 음절에서 추출된 자음 또는 모음의 기본발음의 음성을 자음, 모음, 종성(받침자음)의 순서로 복수 회 출력한 후, 해당 음절의 음성을 출력하도록 한다. (S550단계)Next to step S530, the server 10 outputs the consonant or vowel basic consonant voice extracted from each syllable in step S530 in the order of consonants, vowels, and finality (consonants), and then outputs the voice of the corresponding syllable. Output it. (Step S550)

이때, 추출된 자음 또는 모음이란 S530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음과 모음 또는 자음과 모음과 받치자음을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extracted consonant or vowel means consonants and vowels or consonants and vowels and consonants as described in step S530.

이때, 기본발음은 해당 자음 또는 해당 모음만으로 발음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basic pronunciation is pronounced only with the corresponding consonant or the corresponding vowel.

보다 상세하게는, 기본발음은 자음이 초성인 경우, 해당 자음의 기본발음은 해당 자음과 "으"를 합한 발음이고, 자음이 종성인 경우, 해당 자음의 기본발음은 "으"에 해당 자음을 종성으로 합한 발음이고, 모음의 기본발음은 해당 모음과 자음 "ㅇ"를 합한 발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if the basic consonant is a consonant, the basic consonant of the consonant is the pronunciation of the consonant plus "U", and if the consonant is a final consonant, the basic consonant of the consonant is "U" It is a pronunciation combined with Jongsung, and the basic pronunciation of the vowel is characterized by a combination of the vowel and the consonant "ㅇ".

그리고, 자음의 기본발음은 해당 자음과 "으"를 합한 발음이고, 모음의 기본발음은 해당 모음과 자음 "ㅇ"를 합한 발음이고, 종성(받침자음)의 기본발음은 "으"에 해당 종성(받침자음)을 합한 발음일 수 있다.And, the basic pronunciation of the consonant is the pronunciation of the consonant plus "U", the basic pronunciation of the vowel is the pronunciation of the vowel and the consonant "ㅇ", and the basic pronunciation of the final consonant (consonant) corresponds to the "U" It can be a combined pronunciation of (consonant).

단어 "학교"를 예로 들어 S550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Taking the word "school" as an example, step S5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단어 "학교"를 구성하는 음절은 "학"과 "교"이다.The syllables that make up the word "school" are "school" and "school".

그리고, "학"에서 추출된 자음 또는 모음은 자음 "ㅎ", 모음 "ㅏ", 종성(받침자음) "ㄱ"이다.And, the consonants or vowels extracted from "hak" are consonants "ㅎ", vowels "ㅏ", and final (consonants) "a".

따라서, 자음 "ㅎ"의 기본발음 "흐", 모음 "ㅏ"의 기본발음 "아", 종성(받침자음) "ㄱ"의 기본발음 "윽"의 순서로 복수 회 출력되고, 마지막으로 음절 "학"의 음성이 출력된다.Therefore, the basic pronunciation of the consonant "he", "h", the basic pronunciation of the vowel "ㅏ", "ah", the basic pronunciation of the final consonant "a", "uh" are output multiple times in order, and finally the syllable " The voice of the crane” is output.

이때, 보다 나은 효과를 위해서, "흐", "아", "윽"의 음성이 출력되는 출력 속도를 증가시킨 후에 최종적으로 "학"의 음성이 출력되도록 한다.At this time, for better effect, after increasing the output speed at which the voices of “h”, “ah”, and “uh” are output, the voice of “hak” is finally output.

예를 들어, 유아가 듣기에 초반에는 "흐, 아, 윽"으로 들리지만, 출력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하, 윽"과 유사하게 들릴 것이고, 출력속도가 더 증가함에 따라서 "학"과 유사하게 들리게 될 것이다.For example, early in the hearing, the infant sounds “h, ah, ugh”, but as the output speed increases, it will sound similar to “ha, ugh”, and similar to “hak” as the output speed increases further. It will sound good.

그리고, 최종적으로 음절 "학"의 음성이 출력되기 때문에, 유아는 이를 통해서 음절의 구성과 발음이 이루어지는 것을 배우게 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voice of the syllable "hak" is finally output, the infant exerts an effect of learning the composition and pronunciation of the syllable through this.

음절 "학"의 음성이 출력된 후에는, "교"에 대해서 위와 동일한 프로세스로 진행될 것이다.After the voice of the syllable "hak" is output, it will proceed to the same process as above for "kyo".

이때, 음절 "교"에서 추출된 자음 또는 모음은 자음 "ㄱ"의 기본발음 "그", 모음 "ㅛ"의 기본발음 "요"일 것이다.At this time, the consonant or vowel extracted from the syllable "Gyo" will be the basic consonant "he" of the consonant "ㄱ" and the basic consonant "yo" of the vowel "ㅛ".

따라서, "그"와 "요"의 음성이 순서대로 복수 회 출력된 후에, 마지막으로 음절 "교"의 음성이 출력되게 된다.Therefore, after the voices of "he" and "yo" are output multiple times in order, the voice of the syllable "kyo" is finally output.

이와 같은 흐름으로 S510단계, S530단계 및 S550단계의 진행이 마무리된다.The progress of steps S510, S530, and S550 is completed in this flow.

그리고, 또 다른 예로 S550단계는 아래와 같은 세부 단계들이 포함될 수 있다.And, as another example, step S550 may include the following detailed steps.

S550단계는 상기 각 음절에서 추출된 자음 또는 모음의 기본발음의 음성을 복수 회 출력하는, 자모음 출력 단계 (S552단계), 상기 추출된 자음 또는 모음의 기본발음의 음성을 자음, 모음, 종성(받침자음)의 순서로 복수 회 출력한 후, 해당 음절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절 출력 단계 (S554단계) 및 상기 각 음절의 음성을 순서대로 복수 회 출력한 후, 상기 단어의 음성을 출력하는, 단어 출력 단계 (S556단계)가 포함될 수 있으며, 아래에서 이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In step S550, a consonant output step (step S552), which outputs a voice of a basic consonant of a consonant or vowel extracted from each syllable multiple times, a consonant, vowel, and finality of the voice of the basic consonant of the extracted consonant or vowel ( After outputting a plurality of times in the order of a consonant), outputting a voice of the corresponding syllable, a step of outputting a syllable (step S554) and outputting the voice of each syllable multiple times in sequence, and then outputting the voice of the word, A word output step (step S556) may be included,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S552단계는 자모음 출력 단계로, 음절과 단어를 학습시키기 전에 자음, 모음, 종성(받침자음)의 발음의 학습을 먼저 진행하는 단계이다.The step S552 is a step of outputting a consonant, and is a step of first learning pronunciation of consonants, vowels, and final consonants (consonants) before learning syllables and words.

S530단계에서 단어의 각 음절에서 추출된 자음 또는 모음의 기본발음의 음성을 순서대로 출력한다.In step S530, the consonant extracted from each syllable of the word or the basic pronunciation of the vowel is sequentially output.

위와 동일하게 단어 "학교"를 통해 예를 들도록 한다.As above, let's give an example through the word "school".

음절 "학"에서 추출된 자음 또는 모음인 자음 "ㅎ", 모음 "ㅏ", 종성(받침자음) "ㄱ", 그리고, 음절 "교"에서 추출된 자음 또는 모음인 자음 "ㄱ", 모음 "ㅛ"의 기본발음의 음성을 복수 회 출력하도록 한다.Consonant "ㅎ", consonant or vowel extracted from syllable "hak", vowel "ㅏ", final (consonant) "a", and consonant or vowel "a", vowel extracted from syllable "kyo" The voice of the basic pronunciation of ㅛ" should be output multiple times.

따라서, 서버(10)는 단말(20)을 통해 "흐, 흐, 흐, 흐, 흐", "아, 아, 아, 아, 아", "윽, 윽, 윽, 윽, 윽", "그, 그, 그, 그, 그", "요, 요, 요, 요, 요"와 같은 음성을 출력하게 된다.Therefore, the server 10 through the terminal 20, "h, h, h, h, h", "ah, ah, ah, ah, ah", "uh, ugh, ugh, ugh, ugh, ugh", " He, he, he, he, he", "yo, yo, yo, yo, yo" will output the voice.

S552단계 다음으로, 자모음을 통해 음절의 발음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해서 학습을 진행하게 된다.Next to step S552, learning is performed on how to pronounce syllables through a consonant.

서버(10)가 단어의 각 음절에서 추출된 자음 또는 모음의 기본발음의 음성을 자음, 모음, 종성(받침자음)의 순서로 복수 회 출력한 후, 해당 음절의 음성을 출력한다. (S554단계)The server 10 outputs a consonant extracted from each syllable of a word or a basic vowel of a vowel multiple times in the order of consonants, vowels, and finality (consonants), and then outputs the voice of the corresponding syllable. (Step S554)

따라서, 자음 "ㅎ"의 기본발음 "흐", 모음 "ㅏ"의 기본발음 "아", 종성(받침자음) "ㄱ"의 기본발음 "윽"의 순서로 복수 회 출력되고, 마지막으로 음절 "학"의 음성이 출력된다.Therefore, the basic pronunciation "h" of the consonant "he", the basic pronunciation "ah" of the vowel "ㅏ", and the basic pronunciation "uh" of the final (consonant) "a" are output multiple times in order, and finally the syllable " The voice of the crane” is output.

그리고, "그"와 "요"의 음성이 순서대로 복수 회 출력된 후에, 마지막으로 음절 "교"의 음성이 출력되게 된다.Then, after the voices of "he" and "yo" are output multiple times in order, the voice of the syllable "kyo" is finally output.

S554단계 다음으로, 각 음절의 발음을 통해서 단어의 발음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해서 학습을 진행하게 된다.Next, in step S554, learning is performed on how to pronounce a word through the pronunciation of each syllable.

서버(10)가 상기 단어의 각 음절의 음성을 순서대로 복수 회 출력한 후, 상기 단어의 음성을 출력한다. (S556단계)After the server 10 outputs the voice of each syllable of the word a plurality of times in sequence, it outputs the voice of the word. (Step S556)

따라서, 서버(10)는 음절 "학"과 음절 "교"를 순서대로 복수 회 출력한 후에 최종적으로 단어 "학교"의 음성을 출력한다.Accordingly, the server 10 outputs the syllable "hak" and the syllable "kyo" multiple times in order, and finally outputs the voice of the word "school".

예를 들어, "학, 교, 학, 교, 학, 교"의 음성이 출력되고, 최종적으로 "학교"의 음성이 출력되는 것을 의미한다.For example, it means that the voice of "school, school, school, school, school, school" is output, and finally the voice of "school" is output.

서버(10)는 상기 S552단계, S554단계, S556단계에서 각각의 음성이 출력되는 횟수마다 출력 속도를 증가될 수 있다.The server 10 may increase the output speed for each number of times each voice is output in steps S552, S554, and S556.

이상으로 음성을 통한 문자 교육에 대해서 설명하였고, 아래에서는 또 다른 실시예를 통해서 음성과 이미지를 함께 이용하여 문자를 교육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Text education through voice has been described above, and a method of teaching text using voice and image together through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문자 교육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문자 교육 방법을 이용하여 자음, 모음, 음절, 단어의 이미지 및 음성을 출력하는 것을 예시한 예시도이다.2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teaching a character for a chil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to 9 are images of consonants, vowels, syllables, and words using a method for teaching a character for a chi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he output of voice.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문자 교육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ures 2 to 9, it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 education method for infan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서버(10)를 주체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서 주체는 서버(10)가 될 수도 있고, 단말(20)이 될 수도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the server 10 as the main subject,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ject may be the server 10 or the terminal 20.

이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위에서 도 1을 통해 설명된 사항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the description of the items described through FIG. 1 above will be omitted.

먼저, 서버(10)가 단말(20)로부터 단어 또는 단어가 포함된 이미지를 수신한다. (S610단계)First, the server 10 receives a word or an image containing a word from the terminal 20. (Step S610)

S610단계 다음으로, 서버(10)가 단어를 구성하는 각 음절에서 추출된 자음 또는 종성(받침자음) 각각을 해당 자음으로 시작하는 이름을 가진 동물 또는 캐릭터 이미지와 매칭한다. (S630단계)Next, in step S610, the server 10 matches each consonant or final (consonant) extracted from each syllable constituting a word with an animal or character image having a name starting with the corresponding consonant. (Step S630)

예를 들어, "가지"라는 단어에 포함된 자음 "ㄱ", "ㅈ" 각각을 해당 자음으로 시작하는 이름을 가진 동물 또는 캐릭터의 이미지와 매칭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ㄱ"로 시작하는 동물 또는 캐릭터는 기린, 강아지, 고래, 곰 등이 있고, "ㅈ"로 시작하는 동물 또는 캐릭터는 지브라, 재규어, 잠자리, 족제비, 쥐 등이 있으므로, 그 중에서 하나를 매칭(선택)하도록 한다.For example, it means matching each of the consonants "a" and "ㅈ" contained in the word "branch" with an image of an animal or character having a name that starts with the consonant. Therefore, animals or characters that begin with "ㄱ" include giraffes, puppies, whales, bears, etc. Animals or characters that begin with "ㅈ" include zebras, jaguar, dragonflies, weasels, rats, etc. Match (select).

S630단계는 아래의 단계들을 포함하여 보다 세부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Step S630 may be performed in more detail, including the following steps.

서버(10)가 단어를 구성하는 각 음절의 자음, 모음, 종성(받침자음)을 추출한다. (S633단계)The server 10 extracts consonants, vowels, and finality (consonants) of each syllable constituting a word. (Step S633)

예를 들어, "가지"라는 단어가 수신되면, "가지" 단어에는 각각 "가", "지" 2개의 음절이 포함되어 있다.For example, when the word "branch" is received, the word "branch" includes two syllables "a" and "ji", respectively.

그리고, "가" 음절에 존재하는 자음 "ㄱ"과 모음 "ㅏ"가 추출되고, "지" 음절에 존재하는 자음 "ㅈ"와 모음 "ㅣ"가 추출된다.Then, the consonant "a" and the vowel "ㅏ" present in the "a" syllable are extracted, and the consonant "ㅈ" and the vowel "ㅣ" present in the "ji" syllable are extracted.

S633단계 다음으로, 서버(10)가 상기 각 음절에서 추출된 자음 또는 종성(받침자음) 각각을 동일한 자음으로 시작하는 이름을 가진 동물 또는 캐릭터 단어를 선택한다. (S635단계)Next, in step S633, the server 10 selects an animal or character word having a name starting with each consonant or final (consonant) extracted from each syllable with the same consonant. (Step S635)

예를 들어, 기린, 강아지, 고래, 곰 등과 같이 "가"의 자음 "ㄱ"과 동일한 자음으로 시작되는 동물 또는 캐릭터 단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고, "지"의 자음 "ㅈ"와 동일한 자음으로 시작되는 동물 또는 캐릭터 단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For example, choose one of the animal or character words that begin with the same consonant as "a" in the consonant of "A", such as a giraffe, puppy, whale, bear, etc., and start with the same consonant as "ㅈ" Choose one of the animal or character words to become.

S635단계 다음으로, S633단계에서 선택된 동물 또는 캐릭터 단어의 이미지를 선택한다.Step S635 Next, an image of the animal or character word selected in step S633 is selected.

예를 들어, S633단계에서 "기린"을 선택했다면, "기린"으로 저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 중 하나를 매칭(선택)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고, "지브라"를 선택하였다면, "지브라"로 저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 중 하나를 매칭(선택)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For example, if "Giraffe" is selected in step S633, a process of matching (selecting) one of one or more images stored as "Giraffe" is performed. If "Zebra" is selected, it is stored as "Zebra". The process of matching (selecting) one of the one or more images.

이상으로, S630단계의 하위 단계들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escription of the sub-steps in step S630 is completed, and the process proceeds to the next step.

다음으로, 서버(10)가 단어를 구성하는 각 음절에서 추출된 자음 또는 모음의 이미지와 기본발음의 음성을 자음, 모음, 종성(받침자음)의 순서로 복수 회 출력한 후, 해당 음절의 이미지와 음성을 출력한다. (S650단계)Next, the server 10 outputs a consonant or vowel image extracted from each syllable constituting a word and a voice of a basic pronunciation in the order of consonants, vowels, and finality (consonants) multiple times, and then the image of the corresponding syllable And outputs the voice. (Step S650)

이때, 자음 또는 종성(받침자음)의 이미지는 S637단계에서 매칭된 이미지를 이용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image of the consonant or the final consonant (base consonant) is used in step S637.

그리고, 동물 이미지 또는 캐릭터 이미지는 해당 동물 또는 캐릭터의 이름의 첫 음절 자음의 형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nimal image or character imag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first syllable consonant in the name of the animal or character.

S650단계 이전까지는 교육을 위해 선행되는 단계들이었다면, S660단계는 실제 문자 교육을 실시하는 단계이다.If it was a step prior to the education until step S650, the step S660 is a step of performing actual text education.

예를 들어, "가지"의 단어에서 "ㄱ", "ㅏ", "ㅈ", "ㅣ"의 순서대로 해당 자음 또는 모음의 이미지 또는 음성을 1회 이상씩 출력하여 유아가 순서대로 자음과 모음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중요한 것은 각 자음의 이미지를 자음 그 자체를 사용하지 않고, S630단계에서 매칭된 이미지를 이용하게 된다.For example, in the word "branch", the image or voice of the corresponding consonant or vowel is output one or more times in the order of "ㄱ", "ㅏ", "ㅈ", and "ㅣ". To learn. At this time, the important thing is to use the matched image in step S630, instead of using the consonant itself for the image of each consonant.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ㄱ"은 "기린"의 이미지를 사용하며, "기린"이 "ㄱ"의 형상과 동일하고, 도 5를 참조하면, "ㅈ"은 "지브라"(얼룩말)의 이미지를 사용하며, "지브라"가 "ㅈ"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띄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 "a" uses an image of "giraffe", "giraffe" is the same as "a", and referring to FIG. 5, "ㅈ" is "zebra" ( Zebra's image, and you can see that "Zebra" has the same shape as "ㅈ".

그리고, 시각과 청각을 모두 활용하여 교육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자음, 모음, 종성(받침자음)의 이미지와 함께 해당하는 자음 또는 모음의 발음(독음)의 기본발음의 음성을 출력(출력)한다.Then, in order to be able to proceed with education using both visual and auditory, output the sound of the basic consonant of the corresponding consonant or pronunciation of the vowel (reading) along with the image of the consonant, vowel, and final (consonant). do.

이때, 자음, 모음, 종성(받침자음)의 기본음성은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 진다.At this time, the basic voice of the consonant, vowel, and final (consonant) is made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in FIG. 1.

S650단계는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tep S65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following steps.

서버(10)가 상기 단어를 구성하는 각 음절에서 추출된 자음 또는 모음의 이미지와 기본발음의 음성을 복수 회 출력한다. (자모음 출력 단계: S653단계)The server 10 outputs a consonant or vowel image extracted from each syllable constituting the word and a voice of a basic pronunciation multiple times. (A vowel output step: S653 step)

이때, 각 자음 및 종성(받침자음)의 이미지는 상기 매칭된 이미지를 이용한다.At this time, the image of each consonant and final (consonant) uses the matched image.

이에 대한 상세한 예시도는 도 3 내지 도 6에 예시되어 있다.Detailed illustration of this is illustrated in FIGS. 3 to 6.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음 "ㄱ"의 이미지 및 음성("그")을 표출하는것을 예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음 "ㅏ"의 이미지 및 음성("아")을 표출하는 것을 예시하나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음 "ㅈ"의 이미지 및 음성("즈")을 표출하는 것을 예시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음 "ㅣ"의 이미지 및 음성("이")을 표출하는 것을 예시한 예시도이다.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the expression of the image and voice ("he") of the consonant "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image of the vowel "ㅏ"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voice ("Ah") is shown as an example, but is an exemplary diagram, Figure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he expression of the image and voice ("Z") of the consonant "ㅈ"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the expression of the image and voice ("this") of the vowel "ㅣ"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ㄱ", "ㅏ", "ㅈ", "ㅣ"의 순서대로 자모음이 순서대로 표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vowels are sequentially displayed in the order of “ㄱ”, “ㅏ”, “ㅈ”, and “ㅣ”.

이때, "ㄱ"의 이미지는 S630단계에서 선택된 "기린"의 이미지를 이용하고, "ㅈ"의 이미지는 S630단계에서 선택된 "지브라"의 이미지를 이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At this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image of "a" uses the image of "giraffe" selected in step S630, and the image of "ㅈ" uses the image of "zebra" selected in step S630.

또한, "ㄱ" 자음은 "그", "그", "그"와 같이 음성이 출력(표출)되고, "ㅈ" 자음은 "즈", "즈", "즈"와 같이 음성이 출력(표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음성의 출력 횟수는 셋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a" consonant is output (expressed) as "he", "he", "he", and the "ㅈ" consonant is output as "z", "z", "z" Can be seen). At this time, the number of times the voice is output may vary depending on the setting.

S663단계 다음으로, 서버(10)가 해당 단어를 구성하는 각 음절에서 추출된 자음 또는 모음의 이미지와 기본발음의 음성을 자음, 모음, 종성(받침자음)의 순서로 복수 회 출력한 후, 해당 음절의 이미지와 음성을 출력한다. (음절 출력 단계: S655단계)Next, in step S663, the server 10 outputs the consonant or vowel image extracted from each syllable constituting the word and the voice of the basic consonant multiple times in the order of consonants, vowels, and finality (consonants), followed by the corresponding Outputs the syllable image and voice. (Syllable output stage: S655 stage)

이에 대한 상세한 예시는 도 7 및 도 8에 예시되어 있다.Detailed examples of this are illustrated in FIGS. 7 and 8.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절 "가"의 이미지 및 음성을 표출하는 것을 예시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절 "지"의 이미지 및 음성을 표출하는 것을 예시한 예시도이다.7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the display of an image and a voice of a syllable “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showing an image and a voice of a syllable “p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illustrated example.

이와 같이, "가", "지"의 순서대로 음절이 순서대로 표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Thus, it can be seen that syllables are displayed in order in the order of "A" and "G".

따라서, 서버(10)는 자음 "ㄱ"의 기본발음 "그"와 이미지(도 3), 모음 "ㅏ"의 기본발음 "아"와 이미지(도 4)가 순서대로 복수 회 출력된 후, 최종적으로 음절 "가"의 음성 "가"와 이미지(도 7)가 출력한다.Therefore, the server 10 outputs the consonant "a" as the basic consonant "he" and the image (FIG. 3) and the vowel "기본" as the basic pronoun "A" and the image (FIG. 4) multiple times in order, and finally As the syllable "A", the voice "A" and the image (Figure 7) are output.

그 후에, 서버(10)는 자음 "ㅈ"의 기본발음 "즈"와 이미지(도 5), 모음 "ㅣ"의 기본발음 "이"와 이미지(도 6)가 순서대로 복수 회 출력된 후, 최종적으로 음절 "지"의 음성 "지"와 이미지 (도 8)가 출력한다.Subsequently, the server 10 outputs the basic pronunciation "Z" and image (FIG. 5) of the consonant "ㅈ" and the basic pronunciation "I" and image (FIG. 6) of the vowel "ㅣ" in multiple times in order, Finally, the voice "paper" of the syllable "paper" and the image (Figure 8) are output.

이를 통해서, 유아는 자음, 모음, 종성(받침자음)의 이미지와 발음이 어떻게 되는 지에 대해서 시각과 청각을 통해 학습하게 되고, 자음, 모음, 종성(받침자음)이 합쳐진 음절에 대해서 학습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the infant learns how to image and pronounce consonants, vowels, and consonants (consonants) through vision and hearing, and can learn about syllables that combine consonants, vowels, and consonants (consonants). do.

S655단계 다음으로, 서버(10)가 상기 단어를 구성하는 각 음절의 이미지와 음성을 순서대로 복수 회 출력한 후, 해당 단어의 이미지와 음성을 출력한다. (S657단계)Next, in step S655, the server 10 outputs the image and voice of each syllable constituting the word a plurality of times in sequence, and then outputs the image and voice of the word. (Step S657)

이때, 각 음절 및 단어에 포함된 자음의 이미지는 상기 매칭된 이미지를 이용한다.In this case, the matched image is used as an image of consonants included in each syllable and word.

이에 대한 상세한 예시는 도 9에 예시되어 있다.A detailed example of this is illustrated in FIG. 9.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어 "가지"의 이미지 및 음성을 표출하는 것을 예시한 예시도이며, "가지"의 단어가 표출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9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he expression of the image and voice of the word "bra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 be seen that the word of "branch" is being displayed.

이때, 단어 "가지"에 포함된 자음 "ㄱ"의 이미지는 S630단계에서 선택된 "기린"의 이미지를 이용하고, 자음 "ㅈ"의 이미지는 S630단계에서 선택된 "지브라"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표출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At this time, the image of the consonant "ㄱ" included in the word "branch" is expressed using the image of "giraffe" selected in step S630, and the image of the consonant "ㅈ" is expressed using the image of "zebra" selected in step S630. You can see that there is.

따라서, 서버(10)는 음절 "가"의 이미지(도 7)와 음성("가"), 음절 "지"의 이미지(도 8)와 음성("지)를 순서대로 복수 회 출력한 후, 해당 단어의 이미지(도 9)와 음성("가지")을 출력하도록 한다.Therefore, the server 10 outputs the images of the syllable "A" (FIG. 7) and the voice ("A") and the images of the syllable "G" (FIG. 8) and the voice ("J)" in order, multiple times. The image of the word (FIG. 9) and the voice ("branch") are output.

이를 통해서, 유아는 음절의 이미지와 발음이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서 시각과 청각을 통해 학습하게 되고, 각각의 음절이 합쳐진 단어에 대해서 학습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the infant learns how the images and pronunciation of syllables are visually and aurally, and learns words combined with each syllable.

위에서 설명한 S650단계의 하위 단계들은 위와 같은 순서로 실시될 수도 있고, 순서가 혼재되어 이용될 수도 있따. 이와 같은 단계들의 순서에 대해서는 발명의 실시자가 교육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용이하게 선택하도록 한다.The sub-steps of step S650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in the above order, or the order may be mixed and used. Regarding the order of these steps, the pract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elect the education efficiency.

도 10은 단어에 포함된 자음이 쌍자음인 경우를 예시한 예시도이다.10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consonant included in a word is a double consonant.

도 10을 참조하면, 서버(10)는 단어를 구성하는 각 음절에서 추출된 자음이 쌍자음인 경우, 해당 쌍자음으로 시작하는 이름을 가진 동물 또는 캐릭터의 이미지를 선택하되, 해당 쌍자음과 동일한 쌍자음으로 시작되는 동물 또는 캐릭터 단어가 없을 경우, 해당 쌍자음을 구성하는 자음과 동일한 자음으로 시작되는 동물 또는 캐릭터 단어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쌍자음 이미지를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10, when the consonant extracted from each syllable constituting a word is a paired consonant, the server 10 selects an image of an animal or character having a name starting with the paired consonant, but is identical to the corresponding paired consonant. If there is no animal or character word starting with a double consonant, an image of the animal or character word starting with the same consonant as the consonant constituting the corresponding double consonant is formed.

바람직하게는, 해당 쌍자음과 동일한 쌍자음으로 시작되는 동물 또는 캐릭터 단어가 없을 경우, 해당 쌍자음을 구성하는 자음과 동일한 자음으로 시작되는 동물 또는 캐릭터 단어의 이미지를 2개 사용하여 쌍자음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Preferably, when there is no animal or character word starting with the same consonant as the corresponding consonant, the image of the consonant using two images of the animal or character words starting with the same consonant constituting the corresponding consonant is used. It means to form.

따라서, 도 10과 같이 쌍자음 "ㅉ"로 시작되는 동물 또는 캐릭터 단어가 없을 경우, 해당 쌍자음을 구성하는 자음 "ㅈ"와 동일한 자음으로 시작되는 "지브라" 단어를 대체 선택하여 이용하고, "지브라"의 이미지를 2개 합하여 쌍자음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Therefore, if there is no animal or character word starting with the double consonant "ㅉ" as shown in FIG. 10, the word "Zebra" starting with the same consonant as the consonant "ㅈ" constituting the paired consonant is selected and used. Two images of zebra" can be combined to form a consonant image.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문자 교육 단말(20)의 블록도이다.11 is a block diagram of a character education terminal 20 for childr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문자 교육 단말(20)은 수신부(110), 추출부(130) 및 출력부(1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1, the character education terminal 20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ption unit 110, an extraction unit 130, and an output unit 150.

수신부(110)는 단어 또는 단어가 포함된 이미지를 수신한다.The reception unit 110 receives a word or an image including the word.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20)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서 단어의 목록을 디스플레이 하고, 사용자로부터 그 중 하나를 선택받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t may mean that a list of words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means of the terminal 20 and one of them is selected from the user.

또한, 단말(20)의 디스플레이 수단 또는 입력 수단을 통해서 특정 단어를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Further, a specific word may be directly input through the display means or input means of the terminal 20.

또한, 단말(20)의 촬영부(카메라)를 통해 특정 객체가 촬영되면, 해당 촬영 영상 또는 이미지에서 단어를 인식하고, 해당 단어를 통해서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specific object is photographed through a photographing unit (camera) of the terminal 20, a word may be recognized in the photographed image or image, and learning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word.

또 다른 실시예로, 단말(20)의 촬영부(카메라)를 통해 특정 객체가 촬영되면, 해당 촬영 영상 또는 이미지 내에 포함된 객체를 인식하고 분석하여, 객체가 무슨 단어를 의미하는지 추출하고, 해당 단어를 통해서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a specific object is photographed through a photographing unit (camera) of the terminal 20, an object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image or image is recognized and analyzed to extract what word the object means, and Learning can be conducted through words.

추출부(130)는 상기 단어를 구성하는 각 음절에 존재하는 자음, 모음, 및 종성(받침자음)을 추출한다.The extracting unit 130 extracts consonants, vowels, and finality (consonants) present in each syllable constituting the word.

출력부(150)는 상기 추출부(130)를 통해 상기 각 음절에서 추출된 자음 또는 모음의 기본발음의 음성을 자음, 모음, 종성(받침자음)의 순서로 복수 회 출력한 후, 해당 음절의 음성을 출력한다.The output unit 150 outputs the consonant, vowel, or basic vowel voice of the consonant extracted from each syllable through the extractor 130 in the order of consonants, vowels, and finality (consonants), and then outputs the corresponding syllable. Outputs voice.

이때, 자음의 기본발음은 해당 자음과 "으"를 합한 발음이고, 모음의 기본발음은 해당 모음과 자음 "ㅇ"를 합한 발음이고, 종성(받침자음)의 기본발음은 "으"에 해당 종성(받침자음)을 합한 발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basic pronunciation of the consonant is the pronunciation of the sum of the consonant and "U", the basic pronunciation of the vowel is the pronunciation of the vowel and the consonant "ㅇ", and the basic pronunciation of the final consonant (consonant) corresponds to the "U" It is characterized by a combined pronunciation of (consonants).

유아용 문자 교육 단말(20)은 도 2 내지 도 10을 통해 설명하였던 유아용 문자 교육 방법을 실시하는 장치로, 도 2 내지 도 10을 통해 설명되었던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The early childhood text education terminal 20 is an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early childhood text education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0, and may further include compon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0.

하지만, 이에 대한 설명은 중복되는 설명이므로 생략하도록 한다.However,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cause it is a duplicate description.

도 12는 자음 또는 모음에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는 것을 예시한 예시도이다.12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that a drag input is received in a consonant or vowel.

도 12를 참조하면, 각 음절에서 추출된 자음 또는 모음의 이미지를 화면의 제1위치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자음 또는 모음에 대한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의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면, 제2위치로 이동되는 동안 해당 자음 또는 모음의 기본발음의 음성을 복수 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2, outputting an image of a consonant or vowel extracted from each syllable to a first location on the screen, and receiving a drag input from the first location to the second location for the output consonant or vowel, And outputting a voice of the basic consonant of the corresponding consonant or vowel multiple times while moving to the second position.

도 12와 같이 제1위치(화면의 아래 부분)에 단어 "가지"의 자음과 모음이 "ㄱㅏㅈㅣ"로 출력되었다.As shown in FIG. 12, the consonant and vowel of the word "branch" were output as "ㄱㅏㅈㅣ" at the first position (lower part of the screen).

그리고, 사용자(유아)로부터 자음 "ㄱ"에 대한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여 제2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In addition, it is illustrated that a drag input for the consonant "a" is received from the user (infant) and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이때, 자음 "ㄱ"이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드래그되어 이동되는 동안에 단말의 음성 출력 수단을 통해서 해당 자음 "ㄱ"의 기본발음이 복수 회 출력된다.At this time, while the consonant "a" is dragged and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basic pronunciation of the consonant "a" is output multiple times through the voice output means of the terminal.

이때, 제2위치에는 해당 자음 또는 모음의 그림자, 반투명 이미지, 실루엣, 테두리가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가이드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a shadow, a translucent image, a silhouette, and a border of the corresponding consonant or vowel may be displayed at the second position to provide a guide to the user.

따라서, 사용자(유아)는 자음 또는 모음을 선택하여 드래그 함으로써 제2위치로 이동시키면 된다는 것을 인지하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infant) recognizes that the consonant or vowel is selected and dragged to move to the second position.

이때, 본인이 직접 특정 자음 또는 모음을 선택하여 드래그 하여 이동시키고, 그 과정에서 해당 자음 또는 모음의 기본발음의 음성이 출력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교육 방법보다 나은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user selects and moves a specific consonant or vowel by hand, and in the process, the voice of the basic consonant of the consonant or vowel is output, thereby exhibiting a better effect than a general education method.

또 다른 실시예로, 각 음절을 구성하는 자음과 모음 모두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되면, 해당 음절의 음성을 1회 이상 출력하도록 한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all of the consonants and vowels constituting each syllable are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voice of the syllable is output one or more times.

그리고, 해당 단어를 구성하는 모든 음절이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되면, 해당 단어의 음성을 1회 이상 출력하도록 한다.Then, when all the syllables constituting the word are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voice of the word is output one or more time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통해서, 동물 또는 캐릭터의 원본 이미지를 입력받았을 때 어떻게 자음의 형상으로 동물 또는 캐릭터의 원본 이미지를 변환하는지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verting an original image of an animal or character into a consonant shape when an original image of an animal or character is received throug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자음 이미지를 변환하는 것을 예시한 예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자음 이미지를 변환하는 것을 예시한 예시도이다.1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converting a first consonant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converting a second consonant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음 이미지를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A method of converting a consonant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and 14.

서버(10)가 단말(20)로부터 동물 또는 캐릭터의 원본 이미지를 수신한다.The server 10 receives the original image of the animal or character from the terminal 20.

그리고, 서버(10)는 수신된 동물 또는 캐릭터의 원본 이미지를 통해서 해당 동물 또는 캐릭터 이름의 첫 음절 자음을 추출한다.Then, the server 10 extracts the first syllable consonant of the corresponding animal or character name through the received original image of the animal or character.

또 다른 예로, 단말(20)로부터 동물 또는 캐릭터의 원본 이미지를 수신할 때, 해당 동물 또는 캐릭터 이름의 첫 음절 자음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an original image of an animal or character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20, the first syllable consonant of the corresponding animal or character name may be input.

다음으로, 서버(10)가 단말(20)로부터 수신된 동물 또는 캐릭터의 원본 이미지에서 머리, 몸통, 다리의 이미지를 추출한다.Next, the server 10 extracts the image of the head, torso, and legs from the original image of the animal or character received from the terminal 20.

다음으로, 서버(10)가 해당 단어에 포함된 각 자음을 제1자음 또는 제2자음 중 하나로 분류한다.Next, the server 10 classifies each consonant included in the word as either a first consonant or a second consonant.

이때, 제1자음은 상측에 가로선이 포함된 자음이고, 제2자음은 상측에 가로선이 포함되지 않은 자음이다.At this time, the first consonant is a consonant that includes a horizontal line on the upper side, and the second consonant is a consonant that does not include a horizontal line on the upper side.

예를 들어, ㄱ, ㄷ, ㄹ, ㅁ, ㅂ, ㅈ, ㅊ, ㅋ, ㅎ은 상측에 가로선을 포함하기 때문에 제1자음이고, ㄴ, ㅅ, ㅇ은 상측에 가로선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제2자음이다.For example, ㄱ, ㄷ, ㄹ, ㅁ, ㅂ, ㅈ, ㅊ, ㅋ, ㅎ is the first consonant because it includes a horizontal line at the top, and ㄴ, ㅅ, ㅇ is a second because it does not include the horizontal line at the top. Consonant.

서버(10)는 해당 자음이 제1자음이면, 제1자음의 상측 가로선에 상기 추출된 머리 이미지를 합성한다.If the corresponding consonant is the first consonant, the server 10 synthesizes the extracted head image on the horizontal line above the first consonant.

그리고, 해당 제1자음의 상측 가로선을 제외한 영역을 기 설정된 비율로 나누고, 윗부분에 상기 추출된 몸통 이미지를 합성하고, 아랫부분에 상기 추출된 다리 이미지를 합성한다.Then, the area except the upper horizontal line of the first consonant is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ratio, the extracted torso image is synthesized in the upper part, and the extracted leg image is synthesized in the lower part.

이와 같이 제1자음의 상측 가로선을 제외한 영역을 기 설정된 비율로 2 부분으로 나누는 것은 각각의 제1자음마다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In this way, dividing the area except the upper horizontal line of the first consonant into two parts at a preset ratio may be set for each first consonant.

이를 통해, 도 3와 같이 기린의 머리 이미지가 "ㄱ"의 상측 가로선에 합성되고, 그 외 영역이 둘로 나누어져 각각 몸통 이미지, 다리 이미지가 합성될 수 있다.Through this, as shown in FIG. 3, the head image of the giraffe is synthesized on the upper horizontal line of "a", and the other regions are divided into two, so that the torso image and the leg image can be respectively synthesized.

그 외에, 서버(10)는 해당 자음이 제2자음이면, 제2자음을 기 설정된 비율로 3개의 영역으로 나누고, 윗부분에 상기 추출된 몸통 이미지를 합성하고, 중간부분에 상기 추출된 몸통 이미지를 합성하고, 아랫부분에 상기 추출된 다리 이미지를 합성한다.In addition, if the corresponding consonant is the second consonant, the server 10 divides the second consonant into three regions at a preset ratio, synthesizes the extracted torso image in the upper portion, and extracts the extracted torso image in the middle portion. Synthesizing and synthesizing the extracted leg image in the lower part.

동일한 이미지를 통해 반복적으로 학습할 경우, 학습자(유아)가 지루해할 수 있고, 유아가 특정 동물이나 캐릭터를 선호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방법을 안출하였다.When learning repeatedly through the same image, the learner (infant) may be bored, and the infant may prefer a particular animal or character, thus devising this method.

이와 같이, 동물 또는 캐릭터의 원본 이미지를 자음에 맞춰서 변환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유아의 부모 등)가 직접 이미지를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since the original image of the animal or character can be converted according to the consonant, the user (such as the parent of the infant) can directly customize the image.

위에서 설명한 자음 이미지를 변환하는 방법의 흐름을 단계별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The steps of how to convert the consonant image described above are summarized as follows.

서버(10)가 단말(20) 또는 외부 서버(10)로부터 동물 또는 캐릭터의 원본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The server 10 receiving an original image of an animal or character from the terminal 20 or the external server 10;

서버(10)가 상기 수신된 동물 또는 캐릭터의 원본 이미지에서 머리, 몸통 및 다리의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The server 10 extracts the image of the head, torso and legs from the original image of the received animal or character;

서버(10)가 상기 수신된 동물 또는 캐릭터의 원본 이미지를 통해 해당 동물 또는 캐릭터 이름의 첫 음절 자음을 추출하는 단계;The server 10 extracting the first syllable consonant of the corresponding animal or character name through the received original image of the animal or character;

서버(10)가 상기 추출된 각 자음을 제1자음 또는 제2자음 중 하나로 분류하되, 상기 제1자음은 상측에 가로선이 포함된 자음이고, 상기 제2자음은 상측에 가로선이 포함되지 않은 자음인, 자음 분류 단계;The server 10 classifies each extracted consonant as either a first consonant or a second consonant, wherein the first consonant is a consonant with a horizontal line at the upper side, and the second consonant is a consonant with no horizontal line at the upper side. Phosphorus, consonant classification step;

서버(10)가 상기 자음이 제1자음인 경우, 제1자음의 상측 가로선에 상기 머리 이미지를 합성하고, 상기 상측 가로선을 제외한 영역을 일정 비율로 2개 영역으로 나누고, 각각 몸통 이미지와 다리 이미지를 합성하고, 상측 가로선을 제외한 영역에 몸통 이미지 및 다리 이미지를 합성하고,When the consonant is the first consonant, the server 10 synthesizes the head image on the upper horizontal line of the first consonant, divides the area excluding the upper horizontal line into two areas at a constant rate, and respectively expresses the torso image and the leg image. And synthesize the torso image and leg image in the area except the upper horizontal line.

상기 자음이 제2자음인 경우, 제2자음을 일정 비율로 3개 영역으로 나누고, 각각의 영역에 머리 이미지, 몸통 이미지 및 다리 이미지를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consonant is the second consonant, the method may include dividing the second consonant into three regions at a predetermined rate, and synthesizing a head image, a torso image, and a leg image in each region.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아들이 주입식으로 언어를 학습하는 것이 아니고, 유아들이 흥미와 호기심을 가질 수 있는 동물, 캐릭터의 형상을 하고 있는 자음들을 통해서 학습을 진행하여 언어 학습 효과를 상승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effect of raising the language learning effect by progressing learning through consonants in the form of animals and characters that infants may have interest and curiosity, rather than infants learning language by injection Exerts.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아들이 주입식으로 언어를 학습하는 것이 아니고, 유아들이 흥미와 호기심을 가질 수 있는 동물, 캐릭터의 형상을 하고 있는 자음들을 통해서 학습을 진행하여 언어 학습 효과를 상승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effect of raising the language learning effect by progressing learning through consonants in the form of animals and characters that infants may have interest and curiosity, rather than infants learning language by injection Exerts.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문자 교육 방법은, 하드웨어인 서버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character education method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or application) to be executed in combination with a hardware server, and stored in a medium.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rogram is C, C++, JAVA, machine language, etc., in which a processor (CPU) of the computer can be read through a device interface of the computer in order for the computer to read the program and execute the methods implemented as a program. It may include a code (Code) coded in the computer language of the. Such code may include functional code related to a function defining functions required to execute the above methods, and control code related to an execution procedure necessary for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to execute the function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cedure. can do. In addition, the code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reference-related code to which location (address address) of the internal or external memory of the computer should be referred to additional information or media necessary for the computer's processor to perform the functions. have. Also, when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needs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computer or server in the remote to execute the functions, the code can be used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computer or server in the remote using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omputer. It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related code for whether to communicate, what information or media to transmit and receive when communicating.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The storage medium refers to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that can be read by a device, rather than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time, such as registers, caches, and memory. Specifically, examples of the medium to be stored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 That is, the program may be stored in various recording media on various servers that the computer can access or various recording media on the computer of the user. In addition, the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hrough a network to store computer-readable codes in a distributed manner.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The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directly in hardware,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Software modules include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flash memory, hard disk, removable disk, CD-ROM, or It may reside on any type of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well known in the art.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서버
20: 단말
110: 수신부
130: 추출부
150: 출력부
10: Server
20: terminal
110: receiver
130: extraction unit
150: output unit

Claims (10)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유아용 문자 교육 방법으로서,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또는 입력된 영상이나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인식하여 상기 객체가 의미하는 단어를 추출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단어가 입력되면, 상기 단어에 포함된 각 음절에 존재하는 자음과 모음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단어에서 추출된 자음과 모음의 이미지를 화면의 제1위치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위치에 출력된 자음 또는 모음에 대한 상기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의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해당 자음 또는 모음이 제2위치로 이동되는 동안 해당 자음 또는 모음의 기본발음의 음성을 복수 회 출력하는 단계;
상기 각 음절을 구성하는 자음과 모음 모두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되면, 해당 음절의 음성을 1회 이상 출력하는 단계;
상기 단어를 구성하는 모든 음절이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단어의 음성을 1회 이상 출력하는 단계;
상기 단어에서 추출된 자음 또는 모음의 기본발음의 음성을 자음, 모음, 종성의 순서로 출력 속도를 매회 증가시키며 복수 회 출력한 후 최종적으로 해당 음절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절 출력 단계; 및
상기 단어를 구성하는 각 음절의 음성을 순서대로 출력하되, 출력 속도를 매회 증가시키며 복수 회 출력한 후 최종적으로 상기 단어의 음성을 출력하는, 단어 출력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위치에 상기 단어의 그림자, 반투명 이미지, 실루엣, 또는 테두리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가이드를 제공하고,
상기 기본발음은 해당 자음 또는 해당 모음만으로 발음되는 것인, 유아용 문자 교육 방법.
A computer-assisted method for teaching children's characters,
The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or image captured or input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is recognized to extract the word meaning of the object, or when a word is input from the user, a consonant and vowel present in each syllable included in the word are extracted. Extracting;
Outputting an image of consonants and vowels extracted from the word at a first position on the screen;
When a drag input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is received for a consonant or vowel output at the first position, while the corresponding consonant or vowel is being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a voice of the basic consonant or vowel of the vowel is generated. Outputting multiple times;
When all of the consonants and vowels constituting each syllable are moved from a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outputting the voice of the corresponding syllable one or more times;
If all the syllables constituting the word are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outputting the voice of the word one or more times;
A syllable output step of increasing the output speed of the consonant or vowel extracted from the word in the order of consonant, vowel, and finality each time, and outputting the voice of the corresponding syllable finally; And
And outputting the speech of each syllable constituting the word in order, increasing the output speed each time, outputting the speech multiple times, and finally outputting the speech of the word.
Provide a guide to the user by displaying the shadow, translucent image, silhouette, or border of the word at the second position,
The basic pronunciation is pronounced only with the corresponding consonant or the corresponding vowel, a method for teaching children's charact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이 초성인 경우, 해당 자음의 기본발음은 해당 자음과 "으"를 합한 발음이고,
상기 자음이 종성인 경우, 해당 자음의 기본발음은 "으"에 해당 자음을 종성으로 합한 발음이고,
상기 모음의 기본발음은 해당 모음과 자음 "ㅇ"를 합한 발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문자 교육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consonant is a consonant, the basic consonant of the consonant is the pronunciation of the consonant combined with "U",
When the consonant is a final consonant, the basic consonant of the consonant is the pronunciation of the sum of the consonant as the final consonant,
The basic pronunciation of the vowe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nunciation of the consonant and the consonant "ㅇ", the character education method for infant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음절에서 추출된 자음 또는 종성 각각을 해당 자음으로 시작하는 이름을 가진 동물 또는 캐릭터의 이미지와 매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음절 출력 단계는,
상기 음절의 음성과 이미지를 함께 출력하되, 자음과 종성의 이미지는 상기 매칭된 이미지를 이용하고,
상기 음절의 음성과 이미지를 함께 출력하되, 상기 자음의 이미지와 상기 음절에 포함된 자음의 이미지는 상기 매칭된 이미지를 이용하고,
상기 단어 출력 단계는,
상기 단어의 음성과 이미지를 함께 출력하되, 상기 음절 및 단어에 포함된 자음의 이미지는 상기 매칭된 이미지를 이용하고,
상기 동물 이미지 또는 캐릭터 이미지는 해당 동물 또는 캐릭터의 이름의 첫 음절 자음의 형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문자 교육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nd matching each consonant or species extracted from each syllable with an image of an animal or character having a name starting with the corresponding consonant,
The syllable output step,
The voice and image of the syllable are output together, but the matched image is used for the image of the consonant and the final character,
The voice and image of the syllable are output together, but the matched image is used for the image of the consonant and the image of the consonant included in the syllable,
The word output step,
The voice and image of the word are output together, but the matched image is used for the image of the consonant included in the syllable and the word.
The animal image or character im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first syllable consonant of the name of the animal or character, the character education method for infant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단계는,
상기 각 음절에서 추출된 자음 또는 종성과 동일한 자음으로 시작되는 동물 또는 캐릭터 단어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동물 또는 캐릭터 단어의 이미지를 매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아용 문자 교육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matching step,
Selecting an animal or character word starting with a consonant identical to a consonant or a final consonant extracted from each syllable; And
And matching an image of the selected animal or character wor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음절에서 추출된 자음이 쌍자음인 경우, 해당 쌍자음으로 시작하는 이름을 가진 동물 또는 캐릭터의 이미지를 선택하되,
해당 쌍자음과 동일한 쌍자음으로 시작되는 동물 또는 캐릭터 단어가 없을 경우, 해당 쌍자음을 구성하는 자음과 동일한 자음으로 시작되는 동물 또는 캐릭터 단어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쌍자음 이미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아용 문자 교육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If the consonant extracted from each syllable is a paired consonant, select an image of an animal or character having a name starting with the paired consonant,
If there is no animal or character word starting with the same consonant as the corresponding consonant, further comprising forming an image of the consonant using the image of the animal or character word starting with the same consonant constituting the corresponding consonant. How to do, character education for toddlers.
삭제delete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나 입력된 영상 또는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인식하여 상기 객체가 의미하는 단어가 추출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단어가 입력되면, 상기 단어에 포함된 각 음절에 존재하는 자음과 모음을 추출하는 추출부; 및
각 음절에서 추출된 자음 또는 모음의 기본발음의 음성을 자음, 모음, 종성의 출력 속도를 매회 증가시키며 복수 회 출력한 후 최종적으로 해당 음절의 음성을 출력하고, 상기 단어를 구성하는 각 음절의 음성을 순서대로 출력하되, 출력 속도를 매회 증가시키며 복수 회 출력한 후 최종적으로 상기 단어의 음성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단어에서 추출된 자음과 모음의 이미지를 화면의 제1위치에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자음 또는 모음에 대한 상기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의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해당 자음 또는 모음이 제2위치로 이동되는 동안 해당 자음 또는 모음의 기본발음의 음성을 복수 회 출력하고,
상기 각 음절을 구성하는 자음과 모듬 모두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되면, 해당 음절의 음성을 1회 이상 출력하고,
상기 단어를 구성하는 모든 음절이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단어의 음성을 1회 이상 출력하고,
상기 제2위치에 상기 단어의 그림자, 반투명 이미지, 실루엣, 또는 테두리가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가이드를 제공하고,
상기 기본발음은 해당 자음 또는 해당 모음만으로 발음되는 것인, 유아용 문자 교육 단말.
Consonants and vowels that exist in each syllable included in the word, when a word that the object means is extracted or a word is input from the user by recognizing an object included in the captured image or the input image or image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And
After increasing the output speed of consonants, vowels, and final vowels each time by extracting the consonant extracted from each syllable or the vowel of a basic vowel each time, outputs the speech of the corresponding syllable finally, and the speech of each syllable constituting the word. It outputs in order, including an output unit that increases the output speed each time and outputs multiple times, and finally outputs the voice of the word.
The output unit,
The image of the consonant and vowel extracted from the word is output to the first position on the screen,
When a drag input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is received for the output consonant or vowel, while the consonant or vowel is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a voice of the basic consonant or vowel of the vowel is output a plurality of times. ,
When all of the consonants and assortments constituting each syllable are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voice of the corresponding syllable is output at least once,
When all the syllables constituting the word are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voice of the word is output at least once,
A shadow, translucent image, silhouette, or border of the word is displayed on the second position to provide a guide to the user,
The basic pronunciation is pronounced only with the corresponding consonant or the corresponding vowel, a character education terminal for infants.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항, 제2항,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저장 매체에 저장된, 유아용 문자 교육 프로그램.A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infants, stored in a storage medium to execute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2, 5 to 7 in combination with a computer that is hardware.
KR1020180075235A 2018-06-29 2018-06-29 Method, terminal and program of language education for infants KR1021290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235A KR102129089B1 (en) 2018-06-29 2018-06-29 Method, terminal and program of language education for infa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235A KR102129089B1 (en) 2018-06-29 2018-06-29 Method, terminal and program of language education for infant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969A Division KR102222035B1 (en) 2020-06-25 2020-06-25 Method, terminal and program of language education for infa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105A KR20200002105A (en) 2020-01-08
KR102129089B1 true KR102129089B1 (en) 2020-07-01

Family

ID=69154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235A KR102129089B1 (en) 2018-06-29 2018-06-29 Method, terminal and program of language education for infa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08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3055B1 (en) * 2022-07-26 2022-12-30 주식회사 모두의연구소 Method for converting text of character to simple voice and appratus and system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487B1 (en) * 2008-09-29 2012-02-21 배의봉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english
KR20160086166A (en) * 2015-01-09 2016-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80000990A (en) * 2016-06-24 2018-01-04 정현욱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english phonic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유아한글도 브레인나우~), 레지나, https://blog.naver.com/reginayun/221124449676(2017.10.24.)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105A (en)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53052B (en) Virtual human face animation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Joy et al. SignQuiz: a quiz based tool for learning fingerspelled signs in indian sign language using ASLR
US9478143B1 (en) Providing assistance to read electronic books
CN103838866B (en) A kind of text conversion method and device
Arsan et al. Sign language converter
Engwall et al. Designing the user interface of the computer-based speech training system ARTUR based on early user tests
Oliveira et al. Automatic sign language translation to improve communication
KR100953979B1 (en) Sign language learning system
Bouzid et al. An avatar based approach for automatically interpreting a sign language notation
KR102043419B1 (en) Speech recognition based training system and method for child language learning
KR102222035B1 (en) Method, terminal and program of language education for infants
EP3171354A1 (en) Language learning system utilizing component unit, more segmented than phoneme, or various games
US20140278428A1 (en) Tracking spoken language using a dynamic active vocabulary
KR2014007107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earning pronunciation of foreign language using phonetic symbol
US20170148341A1 (en) Methodology and system for teaching reading
KR102129089B1 (en) Method, terminal and program of language education for infants
KR20160109377A (en) Korean orthography teaching-learning method and tools including the same
CN109473007B (en) English natural spelling teaching method and system combining phonemes with sound side
EP3799012A1 (en) Device and program for performing new training
KR102266265B1 (en) Method, terminal and program of language education for infants
KR102002508B1 (en) Language-based game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ognitive abilities data
KR102389153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voice responsive e-book
KR20180130743A (en) Methode and system for memorizing vocabulary by association
US201603074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ditory capacity development for language processing
CN109933762B (en) Courseware making method, courseware making device, courseware making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