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143B1 - Water supplying pipe for coffee brew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Water supplying pipe for coffee brew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143B1
KR102123143B1 KR1020170182551A KR20170182551A KR102123143B1 KR 102123143 B1 KR102123143 B1 KR 102123143B1 KR 1020170182551 A KR1020170182551 A KR 1020170182551A KR 20170182551 A KR20170182551 A KR 20170182551A KR 102123143 B1 KR102123143 B1 KR 102123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ffee
water supply
supply pipe
tub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5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80222A (en
Inventor
조형래
Original Assignee
조형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형래 filed Critical 조형래
Priority to KR1020170182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143B1/en
Publication of KR20190080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2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1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의 가용성 성분의 용해 시간이 증가되도록 물과 그라인딩 된 커피와의 접촉시간을 늘려 각기 취향에 맞는 맛과 향 성분을 추출해 낼 수 있는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을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은, 물을 이용하여 커피가루로부터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커피 추출 장치에 사용되는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으로, 일단에서 타단으로 물을 안내하는 길다란 형상의 관 부재; 및 상기 관 부재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타단으로 안내된 물을 그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반사시킴과 동시에 사방으로 분출시키는 물 반사 분출 부재;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supply pipe for a coffee extraction device capable of extracting taste and flavor components suitable for each taste by increasing the contact time between water and ground coffee so as to increase the dissolution time of the soluble components of the coffee. to be. To this end, the water supply pipe for a coffee extra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 supply pipe for a coffee extraction apparatus used in a coffee extraction apparatus for extracting a coffee stock solution from coffee powder using water, and has a long shape guiding water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Tube member; And a water reflection ejection member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tube member and reflecting the water guided to the other end obliquely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simultaneously ejecting water in all directions.

Description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Water supplying pipe for coffee brewing apparatus}Water supplying pipe for coffee brewing apparatus

본 발명은 커피 추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ffee extraction device.

일반적으로, 커피 추출 장치는 로스팅(roasting) 한 커피 원두를 그라인딩(grinding) 하여 물을 가해 커피로부터 맛과 향 성분을 추출해 내는 장치를 말한다.In general, a coffee extraction device refers to a device that extracts taste and aroma components from coffee by adding water by grinding coffee beans that have been roasted.

여기서, 커피 추출은, 로스팅 된 원두의 특징, 그라인딩 된 원두의 입자, 물과 그라인딩 된 커피와의 접촉시간, 거름장치 등의 도구에 따라 커피 성분을 뽑아내는 것을 말한다. 뜨거운 물이 그라인딩 된 커피 입자에 스며 들어 가용성 성분이 용해되면 커피 입자 밖으로 용해된 성분이 용출된다. 커피 입자에 남은 가용성 성분과 뜨거운 물의 가용성 성분의 농도가 같아지는 원리를 이용한다.Here, the coffee extraction refers to extracting coffee ingredien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roasted beans, particles of ground coffee, contact time between water and ground coffee, and a filtering device. When hot water seeps into the ground coffee particles and the soluble component dissolves, the dissolved component elutes out of the coffee particles. The principle is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soluble component remaining in the coffee particles and the soluble component of hot water are the same.

이러한 커피 추출은 다음과 같이 크게 4가지의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coffee extraction can be divided into four methods as follows.

추출용기 안에 물과 커피가루를 넣어 짧은 시간 동안 끊인 후 커피가루가 가라앉는 후 음용하도록 하는 달임 방식(decoction)(예를 들어, 터키식 커피)과, 추출용기 안에 물과 커피가루를 넣고 커피 성분이 용해되기를 기다린 후 커피가루를 가라앉히고 음용하도록 하는 우려내기 방식(infusion)(예를 들어, 프렌치 프레스)과, 추출용기 안에 커피가루를 넣고 그 위에 뜨거운 물을 부어 밑의 용기에 떨어진 커피를 음용하도록 하는 여과 방식(brewing)(예를 들어, 커피메이커, 핸드드립, 워터드립)과, 분쇄된 커피가루에 뜨거운 물을 압력을 가해 통과시켜 음용하도록 하는 가압추출법(pressed extraction)(예를 들어, 모카포트, 에스프레소)이 알려져 있다.Decoction (for example, Turkish coffee) that puts water and coffee powder in the extraction container for a short period of time and then drinks it after the coffee powder sinks, and water and coffee powder in the extraction container After waiting for this to dissolve, infusion (e.g., French press) to settle and drink coffee powder, add coffee powder into the extraction container, pour hot water over it and drink the coffee dropped into the container below Filtration (e.g., coffee maker, hand drip, water drip) and pressurized extraction (e.g. Mokapot, Espresso) is known.

이 중에서 여과 방식을 이용한 커피 추출 장치가 가정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Among them, a coffee extraction device using a filtration method is generally used at home.

하지만, 기존의 여과 방식의 커피 추출 장치는, 뜨거운 물이 추출용기 안에 있는 커피가루에 오래 머물지 못하고 바로 밑의 포트 용기로 떨어져 버려서 각기 취향에 맞는 맛과 향 성분을 추출해 낼 수 없는 한계가 있다.However, the existing filtration type coffee extraction device has a limitation in that hot water does not stay in the coffee powder in the extraction container for a long time and is dropped into a pot container directly underneath, so that it is not possible to extract taste and flavor components suitable for each taste.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커피의 가용성 성분의 용해 시간이 증가되도록 물과 그라인딩 된 커피와의 접촉시간을 늘려 각기 취향에 맞는 맛과 향 성분을 추출해 낼 수 있는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supply pipe for a coffee extraction device capable of extracting a taste and flavor component suitable for each taste by increasing the contact time between water and ground coffee so that the dissolution time of the soluble component of the coffee is increased. will be.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커피의 가용성 성분의 용해 시간이 달라지도록 물과 그라인딩 된 커피와의 접촉시간을 조절하여 각기 취향에 맞는 맛과 향 성분을 추출해 낼 수 있는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ffee extracting device capable of extracting taste and aroma components according to tastes by adjusting the contact time between water and ground coffee so that the dissolution time of the soluble components of the coffee is changed.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는, 물을 이용하여 커피가루로부터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커피 추출 장치로,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 및 상기 물 공급관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물 공급관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물 조절봉;을 포함하고, 상기 물 공급관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물을 안내하는 길다란 형상의 관 부재; 및 상기 관 부재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하단으로 안내된 물을 그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반사시킴과 동시에 사방으로 분출시키는 물 반사 분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물 반사 분출 부재는, 상기 속이 빈 역 삼각뿔 형상을 가지고, 상기 관 부재와 착탈부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물 반사 분출 부재의 내면에 구비되는 암나사; 및 상기 관 부재의 하단부의 외주면에 구비되면 상기 암나사에 나사 체결되는 수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관 부재의 하단부에는 상기 물이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된다. 상기 물 조절봉의 말단부는, 그 말단으로 갈수록 그 부피가 감소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관 부재는, 전체적으로 길다란 관 형상을 하고 동일한 중심축 상에 입구와 출구를 가지고, 상기 물 조절봉은, 상기 관 부재의 입구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ffee extraction device for extracting a coffee stock solution from coffee powder using water, a water supply pipe for a coffee extraction device; And a water adjusting rod provid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side the water supply pipe and adjusting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wherein the water supply pipe is an elongated pipe member that guides water from top to bottom ; And a water reflection jet member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tube member and simultaneously reflecting the water guided to the lower end in an opposite direction and simultaneously jetting water. The water reflection jet member includes the hollow inverted triangular pyramid. It has a shape, is provided detachably through the tube member and the detachable portion, the detachable portion, a female screw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reflection jet member; And when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tube member; a male screw that is screwed to the female screw; includes,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water is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tube member. The distal end of the water adjusting rod has a shape in which its volume decreases toward the end, and the pipe member has an overall long tube shape and has an inlet and an outlet on the same central axis, and the water adjusting rod is the pipe member It is inserted movably up and down at the entran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는, 하부 받침대와 수직 지지대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수직 지지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물이 채워지며 상단에 상부 개방부와 하단에 상기 물 공급관이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개구를 가지는 물 공급 용기; 상기 수직 지지대에 구비되되 상기 복수의 물 공급관의 아래에 구비되고 커피가루를 수용하며 상기 각각의 물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상기 커피가루로부터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커피 원액 추출부; 및 상기 하부 받침대에 올려지며 상기 추출된 커피 원액을 받는 원액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 including a lower pedestal and a vertical support; A water supply container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provided on the vertical support to be movable up and down, filled with water, and having an upper opening at the top and the water supply pipe at the bottom; A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ng unit provided on the vertical support, provided below the plurality of water supply pipes, accommodating coffee powder, and extracting coffee stock liquid from the coffee powder using water supplied from each water supply pipe; And a stock solution storage container mounted on the lower pedestal and receiving the extracted coffee stock solution.

삭제delete

일 예로, 상기 물 조절봉의 말단부는 그 말단이 뾰족하도록 그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tal end of the water control rod may have an inclined shape with respect to its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distal end is pointed.

다른 예로, 상기 물 조절봉의 말단부는 그 말단으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end portion of the water control rod may have a shape that gradually decreases in diameter as it goes toward the end.

상기 커피 원액 추출부는, 상기 수직 지지대에 구비되며 통과공을 가지는 중간 받침대; 상기 중간 받침대에 지지되고 상단에 상단 개방부와 하단에 하단 개방부를 가지며 아래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내경을 가지는 관통된 형상의 여과컵; 상기 상단 개방부를 통해 상기 여과컵의 내주면에 안착되고 상기 커피가루를 수용하며 상기 각각의 물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상기 커피가루로부터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여과지; 및 상기 여과컵의 상기 하단 개방부에 구비되며 상기 추출된 커피 원액을 상기 원액 저장 용기로 산발적으로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추출 유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ffee stock extract part is provided on the vertical support, the middle pedestal having a through hole; A filter cup of a perforated shape supported on the intermediate base and having an upper opening at the upper end and a lower opening at the lower end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that becomes smaller as it goes down; A filter paper seat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cup through the upper opening portion, receiving the coffee powder, and extracting a coffee stock solution from the coffee powder using water supplied from each water supply pipe; And an extraction inducing member provided in the lower opening portion of the filter cup to induce the extracted coffee stock solution to sporadically fall into the stock solution storage container.

상기 추출 유도 부재는, 복수의 블레이드가 허브를 기준으로 그 원주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extraction guide member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blades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ub.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는, 상기 물 공급 용기의 외주면을 착탈 가능하게 감싸는 용기 파지 부재; 및 상기 용기 파지 부재를 상기 수직 지지대에 대해 상하 이동시키는 제1 상하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holding member for removably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And a first vertical transfer unit for vertically moving the container gripp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support.

상기 제1 상하 이송부는, 상기 수직 지지대에 구비되며 상하 방향으로 길다랗게 구비되는 제1 레일; 및 상기 용기 파지 부재에 구비되며 제1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제1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vertical transfer unit, the first rail is provided in the vertical support and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long rail; And a first slider provided on the container gripping member and moving along the first rail.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는, 상기 각각의 물 조절봉의 상단이 고정되어 연결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를 상기 물 공급 용기에 대해 상하 이동시키는 제2 상하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member is connected to the top of each of the water control rod is fixed; And a second vertical transfer unit for vertically moving the connection member with respect to the water supply container.

상기 제2 상하 이송부는, 상기 연결 부재의 상단에 구비되는 길다란 막대 형상의 제2 슬라이더: 상기 물 공급 용기의 상기 상부 개방부를 가로 질러 놓이는 가로 지지 부재; 및 상기 가로 지지 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고리 형상의 안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vertical transfer unit, the second slider in the shape of an elongated rod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a horizontal support member placed across the upper opening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And a ring-shaped guide member provided on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and guid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econd slider.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 및 이를 사용하는 커피 추출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ater supply pipe for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using the same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물을 이용하여 커피가루로부터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커피 추출 장치에 사용되는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으로, 길다란 형상의 관 부재와 물 반사 분출 부재를 포함하고, 물 반사 분출 부재는 관 부재의 타단에 구비되며 타단으로 안내된 물을 그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반사시킴과 동시에 사방으로 분출시키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본 발명의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이 커피가루에 파묻혀 사용될 경우 커피가루의 표면에까지 물이 반사되어 분출됨과 동시에 사방으로 분출되면서 물과 그라인딩 된 커피와의 접촉시간을 늘릴 수 있어, 커피의 가용성 성분의 용해 시간의 증가로 사용자 각기 취향에 맞는 맛과 향 성분을 추출해 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supply pipe for a coffee extraction apparatus used in a coffee extraction apparatus for extracting a coffee stock solution from coffee powder using water, comprising an elongated tubular member and a water reflection jet member, and water The reflective jet member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tube member and provides a technical configuration for simultaneously reflecting the water guided to the other end in an opposite direction and simultaneously jetting water, so that the water supply pipe for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uried in coffee powder When used, water is reflected on the surface of the coffee powder, so it is spouted and simultaneously ejected in all directions, thereby increasing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water and the ground coffee. Ingredients can be extract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부와, 물 공급 용기와, 복수의 물 공급관과, 각각의 물 조절봉과, 그리고 커피 원액 추출부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 장치치의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복수의 물 공급관을 통해 넓은 면적에 대해 균일하게 물이 공급되므로 커피 원액 추출부에 수용된 커피가루를 균일하게 우릴 수 있고, 이와 함께 커피의 가용성 성분의 용해 시간이 달라지도록 각각의 물 조절봉을 통해 물과 커피가루와의 접촉시간을 조절하여 각기 취향에 맞는 맛과 향 성분을 추출해 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provides a technical configuration of a coffee extraction device value including a support portion, a water supply container, a plurality of water supply pipes, each water control rod, and a coffee stock extract, a plurality of water supply pipes Since water is supplied uniformly over a large area, water and coffee powder can be uniformly made to the coffee powder contained in the extract portion of the coffee, and the water dissolving time of the soluble components of the coffee is changed. By adjusting the contact time with, you can extract the taste and flavor components that suit each tast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의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이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커피 추출 장치 중 커피 원액 추출부의 추출 유도 부재가 여과컵의 하단 개방부에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커피 추출 장치를 통해 커피 원액이 추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ater supply pipe for a coffe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ater supply pipe for a coffe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supply pipe for a coffee extraction device of FIG. 1 is mounted, showing a coffe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xtraction inducing member of the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on part of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of FIG. 3 is provided at a lower opening of the filter cup.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ffee stock solution is extracted through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of FIG. 3.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ater supply pipe for a coffe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130)은, 물(도 3의 10)을 이용하여 커피가루(도 3의 20)로부터 커피 원액(도 5의 30)을 추출하는 커피 추출 장치(도 3의 100)에 사용되는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 부재(131)와 물 반사 분출 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을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The water supply pipe 130 for a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ffee extracting a coffee stock solution (30 in FIG. 5) from coffee powder (20 in FIG. 3) using water (10 in FIG. 3) As a water supply pipe for a coffee extraction apparatus used in the extraction apparatus (100 in FIG. 3), as shown in FIG. 1, a pipe member 131 and a water reflection jet member 132 may be included. 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관 부재(131)는, 그 일단에서 그 타단으로 물 공급 용기(도 3의 120)의 물(도 3의 10)을 안내하는 구성요소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다란 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pipe member 131 is a component that guides water (10 in FIG. 3)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120 in FIG. 3)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and as shown in FIG. 1, has a long tube shape Can.

물 반사 분출 부재(132)는, 관 부재(131)의 타단으로 안내된 물을 그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반사시킴과 동시에 사방으로 분출시키는 구성요소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 부재(131)의 타단에 구비될 수 있다.The water reflection ejection member 132 is a component that reflects the water guided to the other end of the tube member 131 in an inclined direc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simultaneously ejects the water, as shown in FIG. 1, the tube member 131 )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예를 들어, 물 반사 분출 부재(13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 부재(131)의 타단으로 안내된 물이 그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반사됨과 동시에 사방으로 분출되도록 속이 빈 역 삼각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water reflection jet member 132, as shown in FIG. 1, is hollow inverted triangular pyramid shape so that water guided to the other end of the tube member 131 is inclinedly reflec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simultaneously ejected in all directions Can have

나아가, 물 반사 분출 부재(132)는 관 부재(131)와 연결 부재(133)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부재(13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다란 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그 일단은 물 반사 분출 부재(132)의 내면에 용접될 수 있고, 그 타단은 관 부재(131)의 타단에 용접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water reflection jet member 132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tube member 131 and the connection member 133. For example, the connecting member 133 may have an elongated bar shape, as shown in FIG. 1, one end of which can be wel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reflection jet member 132, the other end of which is a tube member It may be welded to the other end of (131).

따라서,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제공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130)이 커피가루(20)에 파묻혀 사용될 경우 커피가루(20)의 표면에까지 물(10)이 반사되어 분출됨과 동시에 사방으로 분출되면서 물(10)과 그라인딩 된 커피가루(20)와의 접촉시간을 늘릴 수 있어, 커피의 가용성 성분의 용해 시간의 증가로 사용자 각기 취향에 맞는 맛과 향 성분을 추출해 낼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se components are provided, as shown in FIG. 5, when the water supply pipe 130 for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uried in the coffee powder 20, water (10)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coffee powder 20. ) Is reflected and sprayed, and simultaneously ejected in all directions, so that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water (10) and the ground coffee powder (20) can be increased. Can be extracted.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230)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water supply pipe 230 for a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ater supply pipe for a coffe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2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부(233)가 연결 부재(도 1의 133)를 대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착탈부(233)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water supply pipe 230 for a coffe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detachable portion 233 replaces the connecting member (133 in FIG. 1) as shown in FIG. Since it is the same a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described below mainly focusing on the removable portion (233).

착탈부(233)는, 물 반사 분출 부재(132)와 관 부재(131)를 서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착탈부(23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반사 분출 부재(132)의 내면에 구비되는 암나사(233a)와, 관 부재(131)의 타단부의 외주면에 구비되면 암나사(233a)에 나사 체결되는 수나사(233b)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관 부재(131)의 타단부에는 물(도 3의 10)이 배출되는 배출공(234)이 더 형성될 수 있다.The detachable part 233 can be provided with the water reflection jet member 132 and the tube member 131 detachably. Specifically, the detachable portion 233, as shown in Figure 2, a female screw 233a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reflection jet member 132, and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tube member 131 female screw It may include a male screw (233b) that is screwed to the (233a). In particular, a discharge hole 234 through which water (10 in FIG. 3) is discharged may be further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tube member 131.

따라서, 이러한 착탈부(233)를 통해 물 반사 분출 부재(132)가 관 부재(131)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 세척이 용이할 수 있다.Therefore, the water reflection jet member 132 may be separated from the tube member 131 through the detachable portion 233, and washing may be easy.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coffe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의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이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커피 추출 장치 중 커피 원액 추출부의 추출 유도 부재가 여과컵의 하단 개방부에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5는 도 3의 커피 추출 장치를 통해 커피 원액이 추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3 shows a coffe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supply pipe for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of Figure 1 is mounted, Figure 4 is a coffee in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of Figure 3 It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xtraction inducing member of the undiluted liquid extracting part is provided at the lower opening portion of the filtration cup,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ndiluted coffee is extracted through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of FI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는, 지지부(110)와, 물 공급 용기(120)와, 복수의 물 공급관(130)과, 각각의 물 조절봉(140)과, 커피 원액 추출부(150)와, 그리고 원액 저장 용기(160)를 포함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110, a water supply container 120, a plurality of water supply pipe 130, each of the water control rod 140, and extract the coffee stock The unit 150 and a stock solution storage container 160 are included. 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지지부(110)는, 물 공급 용기(120)와 커피 원액 추출부(150)와 원액 저장 용기(160)를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The supporting part 110 is a component that supports the water supply container 120, the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ng part 150, and the stock solution storage container 160.

이러한 지지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받침대(111)와 수직 지지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받침대(111)는 수직 지지대(112)를 바닥에 대해 지지시킬 수 있고 이와 함께 원액 저장 용기(160)를 받치는 형태로 지지할 수 있고, 수직 지지대(112)는 물 공급 용기(120)와 커피 원액 추출부(150)를 실질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지지할 수 있다.3, the support 110 may include a lower pedestal 111 and a vertical support 112.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lower pedestal 111 may support the vertical support 112 with respect to the floor, along with supporting the undiluted storage container 160 in a form that supports it, and the vertical support 112, the water supply container 120 and the coffee stock extract 150 may be supported at substantially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물 공급 용기(120)는, 물을 커피 원액 추출부(150)로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The water supply container 120 is a component that supplies water to the coffee stock extract 150.

이러한 물 공급 용기(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지지대(112)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물(10)이 채워질 수 있으며, 그리고 그 상단에 상부 개방부(121)와 그 하단에 복수의 개구(122)를 가질 수 있다.3, the water supply container 120 may be provided to be vertically movable on the vertical support 112, the water 10 may be filled, and the upper opening 121 at the top thereof ) And a plurality of openings 122 at the bottom thereof.

복수의 물 공급관(130)은, 커피 원액 추출부(150)에 수용된 커피가루(20)의 넓은 면적에 대해 균일하게 물(10)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The plurality of water supply pipes 130 is a component for uniformly supplying water 10 over a large area of the coffee powder 20 accommodated in the coffee stock extract 150.

이러한 각각의 물 공급관(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공급 용기(120)의 각각의 개구(122)에 그 일단이 용접 또는 실링 부재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그 타단이 아래를 향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전체적으로 길다란 관 형상을 할 수 있다.Each of these water supply pipes 130 may have one end fixed to each opening 122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120 by a welding or sealing member, etc., as shown in FIG. And can have an elongated tubular shape as a whole.

복수의 물 조절봉(140)은, 커피 원액 추출부(150)에 수용된 커피가루(20)의 가용성 성분의 용해 시간이 달라지도록 각각의 물 공급관(13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A plurality of water control rod 14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each water supply pipe 130 so that the dissolution time of the soluble component of the coffee powder 20 accommodated in the coffee stock extract 150 is changed Element.

이러한 각각의 물 조절봉(1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공급 용기(120)의 상부 개방부(121)를 통해서 각각의 물 공급관(130)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조절봉(140)의 말단부는 그 말단으로 갈수록 그 부피가 감소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물 조절봉(140)의 말단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말단(141)이 뾰족하도록 그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물 조절봉의 말단부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그 말단으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Each of these water control rods 140, as shown in Figure 3, through the upper opening 121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120 to be provid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side of each water supply pipe 130 Can. Furthermore, as illustrated in FIG. 3,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water control rod 140 may have a shape in which its volume decreases toward the en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water adjusting rod 140 may have a shape inclined with respect to its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distal end 141 is pointed. As another example, although not shown, the end portion of the water control rod may have a shape that gradually decreases in diameter as it goes toward the end.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같이, 물 조절봉(140)이 상향 이동되면 물 조절봉(140)의 외주면과 물 공급관(130)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이 점점 커지면서 물 공급관(130)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이 점점 커질 수 있고, 이와 반대로 물 조절봉(140)이 하향 이동되면 물 조절봉(140)의 외주면과 물 공급관(130)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이 점점 작아지면서 물 공급관(130)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이 점점 작아질 수 있다. 궁극적으로, 각각의 물 조절봉(140)을 통해 물(10)과 커피가루(20)와의 접촉시간을 조절하는 것으로 각기 취향에 맞는 맛과 향 성분을 추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Thus, as shown in Figure 3, when the water control rod 140 is moved upward, the gap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control rod 14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supply pipe 130 gradually increases and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130 increases. The amount may be gradually increased, and on the contrary, when the water control rod 140 moves downward,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control rod 14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supply pipe 130 gradually decreases and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130. The amount of water can get smaller. Ultimately, by adjusting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water 10 and the coffee powder 20 through each water control rod 140, it will be possible to extract taste and flavor components suitable for each taste.

커피 원액 추출부(150)는, 상술한 각각의 물 공급관(130)으로부터 물(10)을 공급받아 이에 수용된 커피가루(20)를 사용하여 실질적으로 커피 원액(도 5의 30)을 추출시키는 구성요소이다.The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ng unit 150 is configured to extract water 10 from each of the above-described water supply pipes 130 and substantially extract the coffee stock solution (30 in FIG. 5) using the coffee powder 20 accommodated therein. Element.

이러한 커피 원액 추출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지지대(112)에 구비되되 복수의 물 공급관(130)의 아래에 구비될 수 있고, 커피가루(20)를 수용할 수 있으며, 그리고 각각의 물 공급관(13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커피가루(20)로부터 커피 원액(30)을 추출할 수 있다.This coffee stock extract 150, as shown in Figure 3, is provided on the vertical support 112, may be provided below the plurality of water supply pipe 130, can accommodate the coffee powder (20). And,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coffee stock 30 from the coffee powder 20 using water supplied from each water supply pipe 130.

예를 들어, 커피 원액 추출부(15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받침대(151), 여과컵(152), 여과지(153), 그리고 추출 유도 부재(154)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받침대(151)는 수직 지지대(112)에 구비될 수 있으며 원액 저장 용기(160)를 향해 떨어지는 커피 원액(30)의 자유 낙하를 방해지 않도록 통과공을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on unit 150, as shown in FIGS. 3 and 4, includes an intermediate base 151, a filter cup 152, a filter paper 153, and an extraction guide member 154 can do. The intermediate pedestal 151 may be provided on the vertical support 112 and may have a through hol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ree fall of the coffee stock 30 falling toward the stock storage container 160.

여과컵은, 중간 받침대(151)에 의해 파지되어 지지될 수 있고, 그 상단에 상단 개방부(152a)와 그 하단에 하단 개방부(152b)를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아래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내경을 가지는 관통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과지(153)는, 여과컵(152)의 상단 개방부(152a)를 통해 여과컵(152)의 내주면에 안착될 수 있고 커피가루(20)를 수용할 수 있으며, 그리고 각각의 물 공급관(13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10)을 이용하여 커피가루(20)로부터 커피 원액(30)을 추출할 수 있다.The filter cup may be gripped and supported by the intermediate pedestal 151, and may have an upper opening 152a at its upper end and a lower opening 152b at its lower end, and an inner diameter that becomes smaller as it goes down. It may have a through shape having a. The filter paper 153 can be sea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cup 152 through the upper opening 152a of the filter cup 152 and can accommodate coffee powder 20, and each water supply pipe 130 ) Using the water (10) supplied from the coffee powder 20 can extract the coffee stock (30).

추출 유도 부재(154)는, 여과컵(152)의 하단 개방부(152b)에 고정될 수 있으며 추출된 커피 원액(30)을 원액 저장 용기(160)로 산발적으로 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산발적인 떨어짐으로 인해 커피 원액(30)의 풍미가 더욱 풍성해지는 것을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추출 유도 부재(154)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블레이드(154b)가 허브(154a)를 기준으로 그 원주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추출 유도 부재(154)는 팬 형상(fan shape)을 가질 수 있다. 참고로, 추출 유도 부재(154)는 회전되지 않고 여과컵(152)의 하단의 내주면에 고정된 상태로 놓일 수 있다.The extraction inducing member 154 may be fixed to the lower opening 152b of the filter cup 152 and may induce the extracted coffee stock 30 to sporadically fall into the stock storage container 160. Therefore, it can be seen through experiments that the flavor of the coffee stock solution 30 is further enriched due to the sporadic dropping.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S. 3 and 4, the extraction guide member 154 has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blades 154b are dispos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ub 154a. You can. That is, the extraction guide member 154 may have a fan shape. For reference, the extraction guide member 154 may not be rotated and may be placed in a fixed stat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filter cup 152.

원액 저장 용기(160)는, 상술한 커피 원액 추출부(150)로부터 추출된 커피 원액(30)을 받아 일시적으로 저장해 두는 구성요소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받침대(111)에 올려져 놓일 수 있다.The stock solution storage container 160 is a component that temporarily stores and stores the coffee stock solution 30 extracted from the above-described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on unit 150, and as shown in FIG. 3, puts it on the lower pedestal 111 Can be set.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10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파지 부재(171)와 제1 상하 이송부(1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s 3 and 5, the container holding member 171 and the first up and down transfer unit 172 further comprises Can.

용기 파지 부재(171)는 물 공급 용기(120)의 외주면을 착탈 가능하게 감쌀 수 있고, 제1 상하 이송부(172)는 용기 파지 부재(171)를 수직 지지대(112)에 대해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제1 상하 이송부(172)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지지대(112)에 구비되며 상하 방향으로 길다랗게 구비되는 제1 레일(172a)과, 용기 파지 부재(171)에 구비되며 제1 레일(172a)을 따라 이동되는 제1 슬라이더(172b)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ainer gripping member 171 may removably wrap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120, and the first vertical transport unit 172 may move the container gripping member 171 up and down relative to the vertical support 112. .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3 and 5, the first vertical transfer unit 172 includes a first rail 172a provided on the vertical support 112 and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ontainer gripping. A first slider 172b provided on the member 171 and moved along the first rail 172a may be included.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하 이송부(172)를 이용하여 물 공급 용기(120)를 아래로 이동시켜 각각의 물 공급관(130)의 말단이 커피 원액 추출부(150)에 담긴 커피가루(20)에 어느 정도 묻힌 상태로 놓이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이러한 묻힌 정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추출되는 커피 원액(30)의 맛과 향을 다르게 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as shown in FIG. 5, the water supply container 120 is moved downward using the first up and down transfer unit 172 so that the end of each water supply pipe 130 is contained in the coffee stock extract 150 It can be placed in a state buried in the coffee powder 20 to some extent. In particular, the user will be able to vary the taste and aroma of the coffee extract 30 extracted by adjusting the degree of buried.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10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181)와 제2 상하 이송부(1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member 181 and a second vertical transfer unit 182, as shown in FIGS. 3 and 5. have.

연결 부재(181)는 각각의 물 조절봉(140)의 상단을 함께 고정하여 연결할 수 있고, 제2 상하 이송부(182)는 연결 부재(181)를 물 공급 용기(120)에 대해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제2 상하 이송부(182)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181)의 상단에 구비되는 길다란 막대 형상의 제2 슬라이더(182a)와, 물 공급 용기(120)의 상부 개방부(121)를 가로 질러 놓이는 가로 지지 부재(182b)와, 가로 지지 부재(182b)에 구비되며 제2 슬라이더(182a)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고리 형상의 안내 부재(18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181 can be connected by fixing the top of each water adjusting rod 140 together, and the second vertical transfer unit 182 can move the connecting member 181 up and down relative to the water supply container 120. have. For example, the second vertical transfer unit 182, as shown in Figures 3 and 5, a long rod-shaped second slider 182a provided on the top of the connecting member 181, and the water supply container A horizontal support member 182b placed across the upper opening 121 of the 120 and a ring-shaped guide member 182c provided in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182b and guid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econd slider 182a ) May be further included.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하 이송부(182)를 이용하여 각각의 물 조절봉(140)을 아래로 이동시켜 각각의 물 공급관(130)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이러한 물의 양을 조절하는 것으로 추출되는 커피 원액(30)의 맛과 향을 다르게 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as illustrated in FIG. 5,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each water supply pipe 130 may be adjusted by moving each water adjusting rod 140 downward using the second vertical transfer unit 182. In particular, the user will be able to vary the taste and aroma of the coffee stock solution 30 extract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water.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10: 물 20: 커피가루
30: 커피 원액 100: 커피 추출 장치
110: 지지부 111: 하부 받침대
112: 수직 지지대 120: 물 공급 용기
121: 물 공급 용기의 상부 개방부 122: 복수의 개구
130, 230: 복수의 물 공급관 131: 관 부재
132: 물 반사 분출 부재 133: 연결 부재
233: 착탈부 233a: 암나사
233b: 수나사 140: 복수의 물 조절봉
141: 물 조절봉의 말단 150: 커피 원액 추출부
151: 중간 받침대 151a: 통과공
152: 여과컵 152a: 여과컵의 상단 개방부
152b: 여과컵의 하단 개방부 153: 여과지
154: 추출 유도 부재 154a: 허브
154b: 복수의 블레이드 171: 용기 파지 부재
172: 제1 상하 이송부 172a: 제1 레일
172b: 제1 슬라이더 181: 연결 부재
182: 제2 상하 이송부 182a: 제2 슬라이더
182b: 가로 지지 부재 182c: 안내 부재
10: water 20: coffee powder
30: coffee stock solution 100: coffee brewing device
110: support 111: lower pedestal
112: vertical support 120: water supply container
121: upper opening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122: a plurality of openings
130, 230: a plurality of water supply pipe 131: pipe member
132: water reflection jet member 133: connecting member
233: detachable portion 233a: female thread
233b: male thread 140: a plurality of water control rod
141: end of the water control rod 150: coffee stock extract
151: middle support 151a: through hole
152: filter cup 152a: top opening of the filter cup
152b: lower opening of the filter cup 153: filter paper
154: extraction guide member 154a: hub
154b: plural blades 171: container gripping member
172: first vertical transfer unit 172a: first rail
172b: first slider 181: connecting member
182: 2nd up-and-down transfer part 182a: 2nd slider
182b: transverse support member 182c: guide member

Claims (3)

물을 이용하여 커피가루로부터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커피 추출 장치로,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 및
상기 물 공급관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물 공급관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물 조절봉;
을 포함하고,
상기 물 공급관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물을 안내하는 길다란 형상의 관 부재; 및
상기 관 부재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하단으로 안내된 물을 그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반사시킴과 동시에 사방으로 분출시키는 물 반사 분출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물 반사 분출 부재는,
속이 빈 역 삼각뿔 형상을 가지고,
상기 관 부재와 착탈부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물 반사 분출 부재의 내면에 구비되는 암나사; 및
상기 관 부재의 하단부의 외주면에 구비되면 상기 암나사에 나사 체결되는 수나사;
를 포함하고,
상기 관 부재의 하단부에는 상기 물이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물 조절봉의 말단부는,
그 말단으로 갈수록 그 부피가 감소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관 부재는,
전체적으로 길다란 관 형상을 하고 동일한 중심축 상에 입구와 출구를 가지고,
상기 물 조절봉은,
상기 관 부재의 입구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커피 추출 장치.
A coffee extracting device that extracts coffee stock from coffee powder using water,
A water supply pipe for a coffee extraction device; And
A water adjusting rod provid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side the water supply pipe and adjusting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Including,
The water supply pipe,
An elongated tubular member guiding water from top to bottom; And
A water reflection ejection member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tube member and simultaneously reflecting water guided to the lower end in an opposite direction and simultaneously ejecting water;
Including,
The water reflection jet member,
It has a hollow inverted triangular pyramid shape,
It is provided detachably through the tube member and the detachable portion,
The detachable portion,
A female screw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reflection jet member; And
A male screw screwed to the female screw when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tube member;
Including,
A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the water is discharged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tube member,
The distal end of the water control rod,
It has a shape in which its volume decreases toward the end,
The tube member,
Overall, it has an elongated tubular shape and has inlets and outlets on the same central axis.
The water control rod,
The tube member is insert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t the entrance
Coffee brewing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82551A 2017-12-28 2017-12-28 Water supplying pipe for coffee brewing apparatus KR1021231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551A KR102123143B1 (en) 2017-12-28 2017-12-28 Water supplying pipe for coffee brew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551A KR102123143B1 (en) 2017-12-28 2017-12-28 Water supplying pipe for coffee brew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222A KR20190080222A (en) 2019-07-08
KR102123143B1 true KR102123143B1 (en) 2020-06-26

Family

ID=67256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551A KR102123143B1 (en) 2017-12-28 2017-12-28 Water supplying pipe for coffee brew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14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1033Y1 (en) * 1996-10-23 1999-03-20 윤광렬 Instrument for extraction of tea
US20040065209A1 (en) 2002-10-08 2004-04-08 Pietro Piazza Coffee, tea, and herbal tea maker
JP2009219847A (en) 2008-03-17 2009-10-01 Masashi Otake Coffee maker having rising pipe
JP2010505583A (en) 2006-10-11 2010-02-25 オットー コリ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Unattended automatic rice cooker
KR101597969B1 (en) 2014-10-07 2016-03-07 임혜영 Extracting apparatus of dutch coffe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9359A (en) * 2017-01-09 2017-08-31 박준영 coffee extracting machine with attachable water suppling block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1033Y1 (en) * 1996-10-23 1999-03-20 윤광렬 Instrument for extraction of tea
US20040065209A1 (en) 2002-10-08 2004-04-08 Pietro Piazza Coffee, tea, and herbal tea maker
JP2010505583A (en) 2006-10-11 2010-02-25 オットー コリ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Unattended automatic rice cooker
JP2009219847A (en) 2008-03-17 2009-10-01 Masashi Otake Coffee maker having rising pipe
KR101597969B1 (en) 2014-10-07 2016-03-07 임혜영 Extracting apparatus of dutch coffe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222A (en) 201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5433B2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US7958815B2 (en) Beverage device for making a beverage with a foam layer on top
US6840158B2 (en) Device for making coffee drink having a crema layer
RU2536220C2 (en) Beverage preparation device
US7836818B2 (en) Beverage making device comprising a frothing member
US20040118290A1 (en) Brew station for coffee drinks
CN103687523A (en) Device for preparing a beverage
EP4142550A2 (en) Modular systems configurable to enable multiple methods for producing edible extractions
KR102123143B1 (en) Water supplying pipe for coffee brewing apparatus
NL1031389C2 (en) Beverage facility.
KR102027657B1 (en) Coffee brewing apparatus
US7581490B2 (en) Coffeemaker with water feed velocity decreaser
GB2475290A (en) Nozzle for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US20210267405A1 (en) Drip filter head and method
US10154752B2 (en) Capsule housing
KR102017395B1 (en) Coffee automatically brewing apparatus
KR101288241B1 (en) Water dispenser for drip coffee
US20210235917A1 (en) Beverage preparation devices, apparatus and methods
GB24313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a beverage
KR20210019970A (en) Coffee Capsule
KR102575613B1 (en) Coffee dripper water adjustment device
KR101464987B1 (en) Installation for extracting dutch coffe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