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395B1 - Coffee automatically brew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offee automatically brew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395B1
KR102017395B1 KR1020170182528A KR20170182528A KR102017395B1 KR 102017395 B1 KR102017395 B1 KR 102017395B1 KR 1020170182528 A KR1020170182528 A KR 1020170182528A KR 20170182528 A KR20170182528 A KR 20170182528A KR 102017395 B1 KR102017395 B1 KR 102017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coffee
vertical
supply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5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80210A (en
Inventor
조형래
Original Assignee
조형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형래 filed Critical 조형래
Priority to KR1020170182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395B1/en
Publication of KR20190080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2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3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1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making tea or the like, e.g. where the infusion liquid is kept a certain time in the filter before flowing o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의 가용성 성분의 용해 시간이 달라지도록 물과 그라인딩 된 커피와의 접촉시간을 다단으로 제어하며 조절하여 각기 취향에 맞는 맛과 향 성분을 추출해 낼 수 있는 커피 자동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커피 자동 추출 장치는, 하부 받침대와 수직 지지대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수직 지지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물이 채워지며 상단에 상부 개방부와 하단에 복수의 개구를 가지는 물 공급 용기; 상기 각각의 개구에 일단이 구비되고 타단이 아래를 향하며 길다란 관 형상을 하는 각각의 물 공급관; 상기 상부 개방부를 통해서 상기 각각의 물 공급관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물 공급관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각각의 물 조절봉; 상기 수직 지지대에 구비되되 상기 복수의 물 공급관의 아래에 구비되고 커피가루를 수용하며 상기 각각의 물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상기 커피가루로부터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커피 원액 추출부; 및 상기 물 공급관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이 조절되도록 상기 복수의 물 조절봉을 상하 이동시키는 제1 상하 이송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ffee automatic extraction device that can extract the taste and flavor components according to each taste by controlling and controlling the contact time of the water and the ground coffee in multiple stages so that the dissolution time of the soluble components of the coffee is different. That is a technical challenge. To this end, the automatic coffee extra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including a lower support and a vertical support; A water supply container provided on the vertical support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filled with water and having an upper opening at a top and a plurality of openings at a bottom thereof; Respective water supply pipes having one end in each of the openings and the other end thereof having a long tubular shape; Respective water adjusting rods which are provid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side the respective water supply pipes through the upper openings and adjust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ipes; A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ng unit provided on the vertical support and provided below the plurality of water supply pipes to receive coffee powder and extracting the coffee stock solution from the coffee powder using water supplied from the respective water supply pipes; And a first vertical transfer part configured to vertically move the plurality of water adjusting rods so that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is adjusted.

Description

커피 자동 추출 장치{Coffee automatically brewing apparatus}Coffee automatic brewing apparatus {Coffee automatically brewing apparatus}

본 발명은 커피 추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ffee extraction device.

일반적으로, 커피 추출 장치는 로스팅(roasting) 한 커피 원두를 그라인딩(grinding) 하여 물을 가해 커피로부터 맛과 향 성분을 추출해 내는 장치를 말한다.In general,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refers to a device for extracting the taste and flavor components from the coffee by grinding the ground coffee (grinding) roasted coffee beans.

여기서, 커피 추출은, 로스팅 된 원두의 특징, 그라인딩 된 원두의 입자, 물과 그라인딩 된 커피와의 접촉시간, 거름장치 등의 도구에 따라 커피 성분을 뽑아내는 것을 말한다. 뜨거운 물이 그라인딩 된 커피 입자에 스며 들어 가용성 성분이 용해되면 커피 입자 밖으로 용해된 성분이 용출된다. 커피 입자에 남은 가용성 성분과 뜨거운 물의 가용성 성분의 농도가 같아지는 원리를 이용한다.Here, coffee extraction refers to extracting the coffee ingredien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asted beans, the grains of the ground beans,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water and the ground coffee, and the filtering device. When hot water penetrates the ground coffee particles and the soluble components dissolve, the dissolved components elute out of the coffee particles. Use the principle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soluble components remaining in the coffee particles and the soluble components in the hot water are the same.

이러한 커피 추출은 다음과 같이 크게 4가지의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Such coffee extraction can be divided into four ways as follows.

추출용기 안에 물과 커피가루를 넣어 짧은 시간 동안 끊인 후 커피가루가 가라앉는 후 음용하도록 하는 달임 방식(decoction)(예를 들어, 터키식 커피)과, 추출용기 안에 물과 커피가루를 넣고 커피 성분이 용해되기를 기다린 후 커피가루를 가라앉히고 음용하도록 하는 우려내기 방식(infusion)(예를 들어, 프렌치 프레스)과, 추출용기 안에 커피가루를 넣고 그 위에 뜨거운 물을 부어 밑의 용기에 떨어진 커피를 음용하도록 하는 여과 방식(brewing)(예를 들어, 커피메이커, 핸드드립, 워터드립)과, 분쇄된 커피가루에 뜨거운 물을 압력을 가해 통과시켜 음용하도록 하는 가압추출법(pressed extraction)(예를 들어, 모카포트, 에스프레소)이 알려져 있다.A decoction (for example, Turkish coffee) that puts water and coffee powder in the brewing container for a short period of time and then dries the coffee powder after it has settled down. Wait for it to dissolve and then mix in an infusion (for example, French press) to allow the coffee powder to sink and drink, and to pour coffee powder into the brew container and pour hot water over it Brewing (e.g. coffee makers, hand drips, water drips), and compressed extraction (e.g. Mokapot, espresso) are known.

이 중에서 여과 방식을 이용한 커피 추출 장치가 가정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Among them, a coffee extraction device using a filtration method is commonly used in homes.

하지만, 기존의 여과 방식의 커피 추출 장치는, 뜨거운 물이 추출용기 안에 있는 커피가루에 오래 머물지 못하고 바로 밑의 포트 용기로 떨어져 버려서 각기 취향에 맞는 맛과 향 성분을 추출해 낼 수 없는 한계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filtration coffee extraction device, there is a limit that the hot water does not stay in the coffee powder in the extraction container for a long time to fall into the pot container directly below to extract the taste and flavor components according to each taste.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커피의 가용성 성분의 용해 시간이 달라지도록 물과 그라인딩 된 커피와의 접촉시간을 다단으로 제어하며 조절하여 각기 취향에 맞는 맛과 향 성분을 추출해 낼 수 있는 커피 자동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ffee automatic extraction device that can extract the taste and flavor components according to each taste by controlling and adjusting the contact time of the water and the ground coffee in multiple stages so that the dissolution time of the soluble components of the coffee is different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 추출 장치는, 하부 받침대와 수직 지지대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수직 지지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물이 채워지며 상단에 상부 개방부와 하단에 복수의 개구를 가지는 물 공급 용기; 상기 각각의 개구에 일단이 구비되고 타단이 아래를 향하며 길다란 관 형상을 하는 각각의 물 공급관; 상기 상부 개방부를 통해서 상기 각각의 물 공급관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물 공급관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각각의 물 조절봉; 상기 수직 지지대에 구비되되 상기 복수의 물 공급관의 아래에 구비되고 커피가루를 수용하며 상기 각각의 물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상기 커피가루로부터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커피 원액 추출부; 및 상기 물 공급관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이 조절되도록 상기 복수의 물 조절봉을 상하 이동시키는 제1 상하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 조절봉의 말단부는 그 말단으로 갈수록 그 부피가 감소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물 공급관은 전체적으로 길다란 관 형상을 하고 동일한 중심축 상에 입구와 출구를 가지고, 상기 물 조절봉은 상기 물 공급관의 입구에 삽입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utomatic coffe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including a lower support and a vertical support; A water supply container provided on the vertical support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filled with water and having an upper opening at a top and a plurality of openings at a bottom thereof; Respective water supply pipes having one end in each of the openings and the other end thereof having a long tubular shape; Respective water adjusting rods which are provid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side the respective water supply pipes through the upper openings and adjust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ipes; A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ng unit provided on the vertical support and provided below the plurality of water supply pipes to receive coffee powder and extracting the coffee stock solution from the coffee powder using water supplied from the respective water supply pipes; And a first vertical transfer part configured to vertically move the plurality of water adjusting rods so that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is adjusted, and the end portion of the water adjusting rod has a shape in which its volume decreases toward the end thereof. The water supply pipe has a generally long tubular shape and has an inlet and an outlet on the same central axis, and the water adjusting rod is inserted into the inlet of the water supply pipe.

상기 제1 상하 이송부는, 상기 복수의 물 조절봉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상하 이동 안내부; 상기 제1 상하 이동 안내부를 따라 상기 복수의 물 조절봉을 상하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1 구동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의 물 조절봉의 상하 높이를 다단으로 제어하는 제1 다단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vertical transfer unit, the first vertical movement guide for guid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water control rod; A first driving part which vertically moves the plurality of water adjusting rods along the first vertical movement guide part; And a first multi-stage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unit and controlling up and down heights of the plurality of water adjusting rods in multiple stages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상기 제1 상하 이동 안내부는, 상기 각각의 물 조절봉의 상단이 고정되어 연결되는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의 상단에 구비되는 길다란 막대 형상의 제1 슬라이더: 상기 물 공급 용기의 상기 상부 개방부를 가로 질러 놓이는 가로 지지 부재; 및 상기 가로 지지 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고리 형상의 안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vertical movement guide portion, the connecting member to which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water control rod is fixedly connected; An elongated rod-shaped first slider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a horizontal support member lying across the upper opening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And an annular guide member provided in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irst slider.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슬라이더에 구비되는 제1 랙; 상기 안내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랙에 기어 맞물리는 제1 피니언; 및 상기 제1 피니언을 회동시키는 제1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riving unit may include a first rack provided in the first slider; A first pinion rotatably provided at the guide member and gear-engaged with the first rack; And a first motor for rotating the first pinion.

상기 제1 다단 제어부는, 상기 제1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변 저항; 및 상기 가변 저항을 조절하는 누름 버튼 또는 회전 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ulti-stage control unit may include a variable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motor; And a push button or a rotary knob for adjusting the variable resistance.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 추출 장치는, 상기 물 공급관의 타단이 상기 커피가루에 파묻히는 정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물 공급 용기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2 상하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utomatic coffe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vertical transfer unit for vertically moving the water supply container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is buried in the coffee powder.

상기 제2 상하 이송부는, 상기 물 공급 용기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상하 이동 안내부; 상기 제2 상하 이동 안내부를 따라 상기 물 공급 용기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 및 상기 제2 구동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물 공급 용기의 상하 높이를 다단으로 제어하는 제2 다단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vertical transfer unit, the second vertical movement guide for guid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A second driving part which vertically moves the water supply container along the second vertical movement guide part; And a second multistage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unit and configured to control the vertical height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in multiple stages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상기 제2 상하 이동 안내부는, 상기 물 공급 용기의 외주면을 착탈 가능하게 감싸는 용기 파지 부재; 상기 수직 지지대에 구비되며 상하 방향으로 길다랗게 구비되는 레일; 및 상기 용기 파지 부재에 구비되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제2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vertical movement guide portion, the container holding member for detachably wrapp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A rail provided on the vertical support and provid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slider provided on the container holding member and moved along the rail.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레일에 구비되는 제2 랙; 상기 제2 슬라이더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 랙에 기어 맞물리는 제2 피니언; 및 상기 제2 피니언을 회동시키는 제2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rive unit, a second rack provided on the rail; A second pinion rotatably provided at the second slider and gear-engaged with the second rack; And a second motor for rotating the second pinion.

상기 제2 다단 제어부는, 상기 제2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변 저항; 및 상기 가변 저항을 조절하는 누름 버튼 또는 회전 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multi-stage control unit may include a variable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motor; And a push button or a rotary knob for adjusting the variable resistance.

삭제delete

일 예로, 상기 물 조절봉의 말단부는 그 말단이 뾰족하도록 그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tal end of the water control rod may have a shap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distal end is pointed.

다른 예로, 상기 물 조절봉의 말단부는 그 말단으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distal end of the water control rod may have a shape that gradually decreases in diameter toward the distal end.

상기 커피 원액 추출부는, 상기 수직 지지대에 구비되며 통과공을 가지는 중간 받침대; 상기 중간 받침대에 지지되고 상단에 상단 개방부와 하단에 하단 개방부를 가지며 아래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내경을 가지는 관통된 형상의 여과컵; 상기 상단 개방부를 통해 상기 여과컵의 내주면에 안착되고 상기 커피가루를 수용하며 상기 각각의 물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상기 커피가루로부터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여과지; 및 상기 여과컵의 상기 하단 개방부에 구비되며 상기 추출된 커피 원액을 상기 원액 저장 용기로 산발적으로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추출 유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ffee liquor extracting unit, an intermediate pedestal provided on the vertical support and having a through hole; A perforated filtration cup supported by the intermediate pedestal and having a top opening at the top and a bottom opening at the bottom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that gradually decreases downwardly; A filter paper sea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cup through the upper opening and receiving the coffee powder and extracting the coffee stock solution from the coffee powder using water supplied from the respective water supply pipes; And an extraction guide member provided at the lower opening of the filtration cup to guide the extracted coffee stock solution to the stock solution container sporadically.

상기 추출 유도 부재는, 복수의 블레이드가 허브를 기준으로 그 원주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extraction guide member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blades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ub.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 추출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coffe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부와, 물 공급 용기와, 복수의 물 공급관과, 각각의 물 조절봉과, 커피 원액 추출부와, 그리고 제1 상하 이송부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복수의 물 공급관을 통해 넓은 면적에 대해 균일하게 물이 공급되므로 커피 원액 추출부에 수용된 커피가루를 균일하게 우릴 수 있고, 이와 함께 커피의 가용성 성분의 용해 시간이 달라지도록 각각의 물 조절봉과 제1 상하 이송부를 통해 물과 커피가루와의 접촉시간을 다단으로 제어하며 조절하여 각기 취향에 맞는 맛과 향 성분을 추출해 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chnical configuration including a support portion, a water supply container, a plurality of water supply pipes, respective water adjusting rods, a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on portion, and a first vertical transfer portion is provided. Since water is supplied uniformly over a large area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the coffee powder contained in the coffee liquor extraction part can be evenly spread, and the water adjusting rods and the first upper and lower transfer parts are changed so that the dissolution time of the soluble components of the coffee is changed. Through controlling the contact time between water and coffee powder in multiple stages,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taste and flavor components that suit each tast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 추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피 자동 추출 장치 중 커피 원액 추출부의 추출 유도 부재가 여과컵의 하단 개방부에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피 자동 추출 장치를 통해 커피 원액이 추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1 모터와 제1 다단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이다.
도 6은 도 1의 "B"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제2 모터와 제2 다단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utomatic coffe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xtract inducing member of the coffee liquor extracting part of the automatic coffee extraction device of FIG. 1 is provided at the lower opening of the filter cup.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ffee raw liquid is extracted through the automatic coffee extraction device of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1.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motor and a first multistage control unit.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1.
7 is a block illustrating a second motor and a second multi-stage control uni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 추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피 자동 추출 장치 중 커피 원액 추출부의 추출 유도 부재가 여과컵의 하단 개방부에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커피 자동 추출 장치를 통해 커피 원액이 추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utomatic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tract inducing member of the coffee liquid extract extract of the automatic coffee extracting apparatus of Figure 1 is provided with a lower opening of the filter cup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ffee raw liquid is extracted through the automatic coffee extraction device of FIG. 1.

도 4는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제1 모터와 제1 다단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이다. 도 6은 도 1의 "B"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제2 모터와 제2 다단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이다.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1, and FIG. 5 is a block illustrating a first motor and a first multistage control unit. 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1, and FIG. 7 is a block illustrating a second motor and a second multistage control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 추출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10)와, 물 공급 용기(120)와, 복수의 물 공급관(130)과, 각각의 물 조절봉(140)과, 커피 원액 추출부(150)와, 원액 저장 용기(160)와, 그리고 제1 상하 이송부(17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Automatic coffee extra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5, the support 110, the water supply container 120, a plurality of water supply pipe 130 and , Each of the water adjusting rod 140, the coffee solution extracting unit 150, the stock solution storage container 160, and the first up and down transfer unit 170. 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지지부(110)는, 물 공급 용기(120)와 커피 원액 추출부(150)와 원액 저장 용기(160)를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The support unit 110 is a component that supports the water supply container 120, the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on unit 150, and the stock solution storage container 160.

이러한 지지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받침대(111)와 수직 지지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받침대(111)는 수직 지지대(112)를 바닥에 대해 지지시킬 수 있고 이와 함께 원액 저장 용기(160)를 받치는 형태로 지지할 수 있고, 수직 지지대(112)는 물 공급 용기(120)와 커피 원액 추출부(150)를 실질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지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support 110 may include a lower pedestal 111 and a vertical support 112.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lower pedestal 111 may support the vertical support 112 with respect to the floor, and together with the form of supporting the stock solution container 160, and the vertical support 112 may support the water supply container 120 and the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on unit 150 at substantially vertical intervals.

물 공급 용기(120)는, 물을 커피 원액 추출부(150)로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The water supply container 120 is a component that supplies water to the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on unit 150.

이러한 물 공급 용기(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지지대(112)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물(10)이 채워질 수 있으며, 그리고 그 상단에 상부 개방부(121)와 그 하단에 복수의 개구(122)를 가질 수 있다.This water supply container 120, as shown in Figure 1, may be provided to move vertically to the vertical support 112, the water 10 may be filled, and the upper opening 121 on the top ) And a plurality of openings 122 at the bottom thereof.

복수의 물 공급관(130)은, 커피 원액 추출부(150)에 수용된 커피가루(20)의 넓은 면적에 대해 균일하게 물(10)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The plurality of water supply pipes 130 are components for uniformly supplying the water 10 to a large area of the coffee powder 20 accommodated in the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ng unit 150.

이러한 각각의 물 공급관(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공급 용기(120)의 각각의 개구(122)에 그 일단이 용접 또는 실링 부재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그 타단이 아래를 향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전체적으로 길다란 관 형상을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one end of each of the water supply pipes 130 may be fixed to each opening 122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120 by a welding or sealing member, and the other end thereof may be lowered. It can be turned into a long, generally long tubular shape.

복수의 물 조절봉(140)은, 커피 원액 추출부(150)에 수용된 커피가루(20)의 가용성 성분의 용해 시간이 달라지도록 각각의 물 공급관(13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The plurality of water adjusting rod 140 is configured to adjust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each water supply pipe 130 so that the dissolution time of the soluble components of the coffee powder 20 accommodated in the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on unit 150 is different. Element.

이러한 각각의 물 조절봉(1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공급 용기(120)의 상부 개방부(121)를 통해서 각각의 물 공급관(130)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조절봉(140)의 말단부는 그 말단으로 갈수록 그 부피가 감소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물 조절봉(140)의 말단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말단(141)이 뾰족하도록 그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물 조절봉의 말단부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그 말단으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Each of the water adjusting rod 140, as shown in Figure 1, through the upper opening 121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120 is to be provided to be moved up and down inside the respective water supply pipe 130. Can be. Furthermore, as shown in FIG. 1, the distal end of the water control rod 140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volume thereof decreases toward the distal end. For example, the distal end of the water control rod 140, as shown in Figure 1, may have a shap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distal end 141 is sharp. As another example, the distal end of the water control rod, although not shown, may have a shape that gradually decreases in diameter toward the distal end.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같이, 물 조절봉(140)이 상향 이동되면 물 조절봉(140)의 외주면과 물 공급관(130)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이 점점 커지면서 물 공급관(130)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이 점점 커질 수 있고, 이와 반대로 물 조절봉(140)이 하향 이동되면 물 조절봉(140)의 외주면과 물 공급관(130)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이 점점 작아지면서 물 공급관(130)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이 점점 작아질 수 있다. 궁극적으로, 각각의 물 조절봉(140)을 통해 물(10)과 커피가루(20)와의 접촉시간을 조절하는 것으로 각기 취향에 맞는 맛과 향 성분을 추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 when the water adjusting rod 140 is moved upward, the gap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adjusting rod 14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supply pipe 130 is gradually increased,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130 is increased. The amount may be increased and, on the contrary, when the water control rod 140 is moved downward, the gap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control rod 14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supply pipe 130 is gradually reduced and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130. The amount of water can get smaller. Ultimately, by adjusting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water 10 and the coffee powder 20 through each of the water adjusting rod 140, it will be possible to extract the taste and aroma components according to each taste.

커피 원액 추출부(150)는, 상술한 각각의 물 공급관(130)으로부터 물(10)을 공급받아 이에 수용된 커피가루(20)를 사용하여 실질적으로 커피 원액(도 3의 30)을 추출시키는 구성요소이다.The coffee solution extracting unit 150 receives water 10 from each of the water supply pipes 130 described above, and substantially extracts the coffee solution (30 in FIG. 3) using the coffee powder 20 accommodated therein. Element.

이러한 커피 원액 추출부(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지지대(112)에 구비되되 복수의 물 공급관(130)의 아래에 구비될 수 있고, 커피가루(20)를 수용할 수 있으며, 그리고 각각의 물 공급관(13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커피가루(20)로부터 커피 원액(30)을 추출할 수 있다.The coffee solution extracting unit 150, as shown in Figure 1, is provided on the vertical support 112, but may be provided under a plurality of water supply pipe 130, can accommodate the coffee powder 20 And, using the water supplied from each water supply pipe 130 can extract the coffee stock solution 30 from the coffee powder 20.

예를 들어, 커피 원액 추출부(15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받침대(151), 여과컵(152), 여과지(153), 그리고 추출 유도 부재(154)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받침대(151)는 수직 지지대(112)에 구비될 수 있으며 원액 저장 용기(160)를 향해 떨어지는 커피 원액(30)의 자유 낙하를 방해지 않도록 통과공을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coffee liquor extracting unit 150, as shown in FIGS. 1 and 2, includes an intermediate pedestal 151, a filter cup 152, a filter paper 153, and an extraction guide member 154. can do. The intermediate pedestal 151 may be provided in the vertical support 112 and may have a through hole so as not to prevent free fall of the coffee stock solution 30 falling toward the stock solution storage container 160.

여과컵은, 중간 받침대(151)에 의해 파지되어 지지될 수 있고, 그 상단에 상단 개방부(152a)와 그 하단에 하단 개방부(152b)를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아래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내경을 가지는 관통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과지(153)는, 여과컵(152)의 상단 개방부(152a)를 통해 여과컵(152)의 내주면에 안착될 수 있고 커피가루(20)를 수용할 수 있으며, 그리고 각각의 물 공급관(13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10)을 이용하여 커피가루(20)로부터 커피 원액(30)을 추출할 수 있다.The filter cup may be gripped and supported by the intermediate pedestal 151 and may have an upper opening 152a at its upper end and a lower opening 152b at its lower end, and an inner diameter that gradually decreases downward. It may have a penetrated shape having a. The filter paper 153 may be sea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cup 152 through the top opening 152a of the filter cup 152 and may receive the coffee powder 20, and each water supply pipe 130 The coffee stock solution 30 may be extracted from the coffee powder 20 by using the water 10 supplied from).

추출 유도 부재(154)는, 여과컵(152)의 하단 개방부(152b)에 고정될 수 있으며 추출된 커피 원액(30)을 원액 저장 용기(160)로 산발적으로 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산발적인 떨어짐으로 인해 커피 원액(30)의 풍미가 더욱 풍성해지는 것을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추출 유도 부재(15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블레이드(154b)가 허브(154a)를 기준으로 그 원주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추출 유도 부재(154)는 팬 형상(fan shape)을 가질 수 있다. 참고로, 추출 유도 부재(154)는 회전되지 않고 여과컵(152)의 하단의 내주면에 고정된 상태로 놓일 수 있다.The extraction guide member 154 may be fixed to the lower opening 152b of the filtration cup 152 and guide the extracted coffee stock solution 30 to the stock solution storage container sporadically. Therefore, it can be seen through experiments that the sprinkling of the coffee juice 30 becomes more rich due to this sporadic fall. For example, the extraction guide member 154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blades 154b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ub 154a as shown in FIGS. 1 and 2. Can be. That is, the extraction guide member 154 may have a fan shape. For reference, the extraction guide member 154 may be placed fix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filter cup 152 without being rotated.

원액 저장 용기(160)는, 상술한 커피 원액 추출부(150)로부터 추출된 커피 원액(30)을 받아 일시적으로 저장해 두는 구성요소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받침대(111)에 올려져 놓일 수 있다.The stock solution storage container 160 is a component that temporarily receives the coffee stock solution 30 extracted from the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on unit 150 described above and temporarily stores the stock solution 30, and as shown in FIG. 1, is placed on the lower pedestal 111. Can be set.

제1 상하 이송부(170)는, 물 공급관(130)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복수의 물 조절봉(140)을 상하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제1 상하 이송부(170)는, 도 1,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하 이동 안내부(171), 제1 구동부(172), 그리고 제1 다단 제어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vertical transfer unit 170 is a component for vertically moving the plurality of water adjusting rods 140 so that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130 i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3 to 5, the first vertical transfer unit 170 may include a first vertical movement guide unit 171, a first driver 172, and a first multistage control unit ( 173).

제1 상하 이동 안내부(171)는 복수의 물 조절봉(14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할 수 있고, 제1 구동부(172)는 제1 상하 이동 안내부(171)를 따라 복수의 물 조절봉(140)을 상하 이동시킬 수 있으며, 그리고 제1 다단 제어부()는 제1 구동부(17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복수의 물 조절봉(140)의 상하 높이를 다단으로 제어할 수 있다.The first vertical movement guide 171 may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water adjusting rods 140, and the first driving unit 172 may be the plurality of water adjusting rods along the first vertical movement guide 171. The first multi-stage control unit 14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unit 172 and control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water adjusting rods 140 in multiple stages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Can be.

구체적으로, 제1 상하 이동 안내부(171)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물 조절봉(140)의 상단이 고정되어 연결되는 연결 부재(171a)와, 연결 부재(171a)의 상단에 구비되는 길다란 막대 형상의 제1 슬라이더(171b)와, 물 공급 용기(120)의 상부 개방부(121)를 가로 질러 놓이는 가로 지지 부재(171c)와, 그리고 가로 지지 부재(171c)에 구비되며 제1 슬라이더(171b)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고리 형상의 안내 부재(171d)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and 4, the first vertical movement guide part 171 includes a connection member 171a to which the upper end of each water control rod 140 is fixedly connected, and a connection member ( The long rod-shaped first slider 171b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171a,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171c lying across the upper opening 121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120, and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171c. ) May include an annular guide member 171d for guiding vertical movement of the first slider 171b.

또한, 제1 구동부(17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더(171b)에 구비되는 제1 랙(rack)(172a)과, 안내 부재(171d)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제1 랙(172a)에 기어 맞물리는 제1 피니언(pinion)(172b)과, 그리고 제1 피니언(172b)을 회동시키는 제1 모터(172c)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제1 구동부(172)로, 리니어 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 LM 가이드, 볼 스크류(ball-screw) 등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모터(172c)는 전원 플러그를 통해 외부 콘센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도 있고, 장치의 내부에 별도로 마련되는 2차 전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first driving unit 172 is rotatably provided to the first rack 172a and the guide member 171d provided in the first slider 171b. A first pinion 172b geared to the first rack 172a and a first motor 172c for rotating the first pinion 172b may be included. As another example, although not shown, as the first driving unit 172, a linear actuator, an LM guide, a ball screw, or the like may be used.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first motor 172c may be supplied with power from an external outlet through a power plug, or may be supplied with a secondary battery provided separately in the device.

또한, 제1 다단 제어부(173)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모터(172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변 저항(미도시)과, 가변 저항을 조절하는 누름 버튼 또는 회전 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illustrated, the first multi-stage control unit 173 may include a variable resistor (not show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motor 172c, and a push button or a rotary knob (not shown) for adjusting the variable resistor. It may include.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하 이송부(17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각의 물 조절봉(140)을 자동으로 하향 이동시켜 각각의 물 공급관(130)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을 다단으로 제어하며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물의 양을 다단으로 제어하며 조절하는 것으로 추출되는 커피 원액(30)의 맛과 향을 다르게 할 수 있을 것이다.Thus, as shown in Figure 3, by using the first up and down conveying unit 170, each of the water adjusting rod 140 is automatically moved downward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f the water discharged from each water supply pipe 130 The quantity can be controlled and controlled in multiple stages.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vary the taste and aroma of the coffee extract 30 extracted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in multiple stage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 추출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공급관(130)의 타단이 커피 원액 추출부(150)에 수용된 커피가루에 파묻히는 정도가 조절되도록 물 공급 용기(120)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2 상하 이송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omatic coffee extra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1, the oth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130 is in the coffee powder housed in the coffee raw liquid extraction unit 150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vertical transfer unit 180 for moving the water supply container 120 up and down to adjust the degree of embedding.

예를 들어, 제2 상하 이송부(180)는, 도 1, 도 3, 도 6,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하 이동 안내부(181), 제2 구동부(182), 그리고 제2 다단 제어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상하 이동 안내부(181)는 물 공급 용기(12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할 수 있고, 제2 구동부(182)는 제2 상하 이동 안내부(181)를 따라 물 공급 용기(120)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으며, 그리고 제2 다단 제어부(183)는 제2 구동부(18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물 공급 용기(120)의 상하 높이를 다단으로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S. 1, 3, 6, and 7, the second vertical transfer unit 180 may include the second vertical movement guide unit 181, the second driving unit 182, and the second vertical transfer unit 180. It may include a two-stage control unit 183. The second vertical movement guide 181 may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120, and the second driving unit 182 may move the water supply container 120 along the second vertical movement guide 181. It can be moved up and down, and the second multi-stage control unit 18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drive unit 182 and can control the vertical height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120 in multiple stages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구체적으로, 제2 상하 이동 안내부(181)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공급 용기(120)의 외주면을 착탈 가능하게 감싸는 용기 파지 부재(181a)와, 수직 지지대(112)에 구비되며 상하 방향으로 길다랗게 구비되는 레일(181b)과, 그리고 용기 파지 부재(181a)에 구비되며 레일(181b)을 따라 이동되는 제2 슬라이더(181c)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6, the second vertical movement guide part 181 includes a container holding member 181a that detachably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120, and the vertical support 112. ) And a rail 181b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slider 181c provided in the container holding member 181a and moved along the rail 181b.

또한, 제2 구동부(182)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81b)에 구비되는 제2 랙(182a)과, 제2 슬라이더(181c)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제2 랙(182a)에 기어 맞물리는 제2 피니언(182b)과, 그리고 제2 피니언(182b)을 회동시키는 제2 모터(182c)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제2 구동부(182)로, 리니어 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 LM 가이드, 볼 스크류(ball-screw) 등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모터(182c)는 전원 플러그를 통해 외부 콘센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도 있고, 장치의 내부에 별도로 마련되는 2차 전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second driving unit 182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second rack 182a provided on the rail 181b and the second slider 181c, and the second drive unit 182 is rotatable. A second pinion 182b geared to the rack 182a, and a second motor 182c for rotating the second pinion 182b. As another example, although not shown, as this second drive unit 182, a linear actuator, an LM guide, a ball screw, or the like may be used.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motor 182c may be supplied with power from an external outlet through a power plug, or may be supplied with a secondary battery provided separately in the device.

또한, 제2 다단 제어부(183)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모터(182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변 저항(미도시)과, 가변 저항을 조절하는 누름 버튼 또는 회전 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multi-stage control unit 183 may include a variable resistor (not show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motor 182c and a push button or a rotary knob (not shown) for adjusting the variable resistance. It may include.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하 이송부(18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물 공급 용기(120)를 자동으로 하향 이동시켜 각각의 물 공급관(130)의 말단이 커피 원액 추출부(150)에 담긴 커피가루(20)에 파묻히는 정도를 다단으로 제어하며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러한 묻힌 정도를 다단으로 제어하며 조절하는 것으로 추출되는 커피 원액(30)의 맛과 향을 다르게 할 수 있을 것이다.Thus, as shown in Figure 3, by using the second up and down conveying unit 180, the water supply container 120 is automatically moved downward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so that the end of each water supply pipe 130 is extracted the coffee stock solution The degree of buried in the coffee powder 20 contained in the part 150 can be controlled and adjusted in multiple stages.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vary the taste and aroma of the extracted coffee liquid solution 30 by controlling and adjusting the degree of buried in multiple stage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자동 추출 장치(100)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coffee extra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의하면, 지지부(110)와, 물 공급 용기(120)와, 복수의 물 공급관(130)과, 각각의 물 조절봉(140)과, 그리고 커피 원액 추출부(150)와, 그리고 제1 상하 이송부(170)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복수의 물 공급관(130)을 통해 넓은 면적에 대해 균일하게 물이 공급되므로 커피 원액 추출부(150)에 수용된 커피가루(20)를 균일하게 우릴 수 있고, 이와 함께 커피의 가용성 성분의 용해 시간이 달라지도록 각각의 물 조절봉(140)과 제1 상하 이송부(170)를 통해 물(10)과 커피가루(20)와의 접촉시간을 다단으로 제어하며 조절하여 각기 취향에 맞는 맛과 향 성분을 추출해 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upport 110, the water supply container 120, a plurality of water supply pipe 130, each of the water adjusting rod 140, and coffee solution extract 150 And the first up and down conveying unit 170, the water is uniformly supplied over a large area through the plurality of water supply pipes 130 so that the coffee powder contained in the coffee liquor extracting unit 150 is provided. The water 20 and the coffee powder 20 through the water adjusting rod 140 and the first upper and lower conveying portion 170 so that the dissolution time of the soluble components of the coffee can be varied with this, and evenly. By controlling and controlling the contact time with multiple stages,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taste and aroma components that suit each tast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10: 물 20: 커피가루
30: 커피 원액 100: 커피 자동 추출 장치
110: 지지부 111: 하부 받침대
112: 수직 지지대 120: 물 공급 용기
121: 물 공급 용기의 상부 개방부 122: 복수의 개구
130: 복수의 물 공급관 140: 복수의 물 조절봉
141: 물 조절봉의 말단 150: 커피 원액 추출부
151: 중간 받침대 151a: 통과공
152: 여과컵 152a: 여과컵의 상단 개방부
152b: 여과컵의 하단 개방부 153: 여과지
154: 추출 유도 부재 154a: 허브
154b: 복수의 블레이드 160: 원액 저장 용기
170: 제1 상하 이송부 171: 제1 상하 이동 안내부
172: 제1 구동부 173: 제1 다단 제어부
180: 제2 상하 이송부 181: 제2 상하 이동 안내부
182: 제2 구동부 183: 제2 다단 제어부
10: water 20: coffee powder
30: coffee liquid 100: coffee automatic extraction device
110: support portion 111: lower support
112: vertical support 120: water supply container
121: upper opening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122: a plurality of openings
130: a plurality of water supply pipe 140: a plurality of water adjusting rod
141: terminal 150 of the water adjusting rod 150: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on section
151: intermediate stand 151a: through hole
152: filter cup 152a: upper opening of the filter cup
152b: lower opening of filter cup 153: filter paper
154: extraction induction member 154a: hub
154b: plurality of blades 160: stock solution container
170: first vertical transfer unit 171: first vertical movement guide
172: first driver 173: first multistage controller
180: second vertical transfer portion 181: second vertical movement guide portion
182: second driver 183: second multi-stage controller

Claims (3)

수직 지지대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수직 지지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물이 채워지며 상단에 상부 개방부와 하단에 복수의 개구를 가지는 물 공급 용기;
상기 각각의 개구에 일단이 구비되고 타단이 아래를 향하며 길다란 관 형상을 하는 각각의 물 공급관;
상기 상부 개방부를 통해서 상기 각각의 물 공급관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물 공급관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각각의 물 조절봉;
상기 수직 지지대에 구비되되 상기 복수의 물 공급관의 아래에 구비되고 커피가루를 수용하며 상기 각각의 물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상기 커피가루로부터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커피 원액 추출부; 및
상기 물 공급관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이 조절되도록 상기 복수의 물 조절봉을 상하 이동시키는 제1 상하 이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물 조절봉의 말단부는,
그 말단으로 갈수록 그 부피가 감소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물 공급관은,
전체적으로 길다란 관 형상을 하고 동일한 중심축 상에 입구와 출구를 가지고,
상기 물 조절봉은,
상기 물 공급관의 입구에 삽입되는
커피 자동 추출 장치.
A support including a vertical support;
A water supply container provided on the vertical support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filled with water and having an upper opening at a top and a plurality of openings at a bottom thereof;
Respective water supply pipes having one end in each of the openings and the other end thereof having a long tubular shape;
Respective water adjusting rods which are provid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side the respective water supply pipes through the upper openings and adjust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ipes;
A coffee stock solution extracting unit provided on the vertical support and provided below the plurality of water supply pipes to receive coffee powder and extracting the coffee stock solution from the coffee powder using water supplied from the respective water supply pipes; And
A first vertical transfer part configured to vertically move the plurality of water adjusting rods so that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is controlled;
Including,
The distal end of the water adjustment rod,
Has a shape that decreases in volume toward its end,
The water supply pipe,
Has an elongated tubular shape as a whole and has an inlet and an outlet on the same central axis,
The water adjustment rod,
Inserted into the inlet of the water supply pipe
Coffee automatic brewing device.
제1항에서,
상기 제1 상하 이송부는,
상기 복수의 물 조절봉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상하 이동 안내부;
상기 제1 상하 이동 안내부를 따라 상기 복수의 물 조절봉을 상하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1 구동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의 물 조절봉의 상하 높이를 다단으로 제어하는 제1 다단 제어부;
를 포함하는
커피 자동 추출 장치.
In claim 1,
The first vertical transfer unit,
A first vertical movement guide part for guiding vertical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water adjusting rods;
A first driving part which vertically moves the plurality of water adjusting rods along the first vertical movement guide part; And
A first multi-stage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unit and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water adjusting rods in multiple stages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Containing
Coffee automatic brewing device.
제1항에서,
상기 커피 자동 추출 장치는,
상기 물 공급관의 타단이 상기 커피가루에 파묻히는 정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물 공급 용기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2 상하 이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상하 이송부는,
상기 물 공급 용기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상하 이동 안내부;
상기 제2 상하 이동 안내부를 따라 상기 물 공급 용기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 및
상기 제2 구동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물 공급 용기의 상하 높이를 다단으로 제어하는 제2 다단 제어부;
를 포함하는
커피 자동 추출 장치.
In claim 1,
The coffee automatic extraction device,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vertical transfer unit for moving the water supply container up and down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is buried in the coffee powder,
The second vertical transfer unit,
A second vertical movement guide part for guiding vertical movement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A second driving part which vertically moves the water supply container along the second vertical movement guide part; And
A second multistage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unit and configured to control the vertical height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in multiple stages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Containing
Coffee automatic brewing device.
KR1020170182528A 2017-12-28 2017-12-28 Coffee automatically brewing apparatus KR1020173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528A KR102017395B1 (en) 2017-12-28 2017-12-28 Coffee automatically brew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528A KR102017395B1 (en) 2017-12-28 2017-12-28 Coffee automatically brew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210A KR20190080210A (en) 2019-07-08
KR102017395B1 true KR102017395B1 (en) 2019-09-02

Family

ID=67256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528A KR102017395B1 (en) 2017-12-28 2017-12-28 Coffee automatically brew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39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643B1 (en) * 2001-08-13 2003-09-29 연우인더스트리(주) Control device of supply for injection
KR100897948B1 (en) * 2007-09-12 2009-05-18 안승대 Automatic machine for drip coffee and tea
KR101394520B1 (en) * 2013-04-10 2014-05-1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Nozzle device for coffee driper, and coffee machine whith it
KR101430912B1 (en) * 2012-09-26 2014-08-18 주은숙 Dutch coffee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643B1 (en) * 2001-08-13 2003-09-29 연우인더스트리(주) Control device of supply for injection
KR100897948B1 (en) * 2007-09-12 2009-05-18 안승대 Automatic machine for drip coffee and tea
KR101430912B1 (en) * 2012-09-26 2014-08-18 주은숙 Dutch coffee machine
KR101394520B1 (en) * 2013-04-10 2014-05-1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Nozzle device for coffee driper, and coffee machine whith 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210A (en) 201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4760B2 (en) Automatic coffee drip equipment
KR101661455B1 (en) Drip coffee maker
EP1206206B1 (en) Method of utilizing delayed dilution, mixing and filtering to provide customized varieties of fresh-brewed coffee on demand
RU2536220C2 (en) Beverage preparation device
KR100897948B1 (en) Automatic machine for drip coffee and tea
CA3025044A1 (en) Removal of a capsule from a capsule holder
US9949591B2 (en) Pour over coffee maker system
KR101612040B1 (en) Automatic coffee brewing apparatus
WO2004099035A1 (en) Coffee pod
US4027582A (en) Art of brewing individual servings of coffee in a cup
US20180344071A1 (en) Coffee machine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ffee machine
US20170079465A1 (en) Beverage brewing process
KR101382604B1 (en) Smart coffee dripper
KR102017395B1 (en) Coffee automatically brewing apparatus
US20150305544A1 (en) Multi-style brewer
US11751718B2 (en) Hydraulic siphon assisted brewing apparatus with agitation mechanism
KR101615996B1 (en) Portable device for dripping dutch coffee
KR102027657B1 (en) Coffee brewing apparatus
KR20170074057A (en) Potable coffee maker
JP2023546968A (en) extraction cell
KR102123143B1 (en) Water supplying pipe for coffee brewing apparatus
DE102017003909B4 (en) Beverage maker for hot drinks
JP2814400B2 (en) Coffee brewer
US20210267405A1 (en) Drip filter head and method
KR10211125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utomatic coffee brew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