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995B1 - Apparatus for helping blood collec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helping blood coll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995B1
KR102121995B1 KR1020180032627A KR20180032627A KR102121995B1 KR 102121995 B1 KR102121995 B1 KR 102121995B1 KR 1020180032627 A KR1020180032627 A KR 1020180032627A KR 20180032627 A KR20180032627 A KR 20180032627A KR 102121995 B1 KR102121995 B1 KR 102121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blood collection
blood
pressing
pr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6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10773A (en
Inventor
오지영
이호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더블유메디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더블유메디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더블유메디팜
Priority to KR1020180032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995B1/en
Publication of KR20190110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7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9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손가락에서 채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돕고 채혈 시에 통증을 저감시킬 수 있는 채혈 도움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채혈 도움 장치는 커버부 그리고 가압부를 포함한다. 커버부는 손가락의 상면에 밀착된다. 가압부는 연결부에 의해 커버부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연결부를 중심으로 접히면서 손가락의 하면에 밀착되어 커버부와 함께 손가락을 가압하며, 가압된 손가락의 하면 일부가 노출되는 채혈공이 관통 형성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lood collection aid device that helps blood collection to be easily performed on a finger and reduces pain during blood collection. Here, the blood collection assistance device includes a cover portion and a pressing portion. The cover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nger. The pressing portion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ver portion by the connecting portion, and is pressed against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while being folded around the connecting portion, presses the finger together with the cover portion, and a blood hole formed partially exposing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ed finger penetrates do.

Description

채혈 도움 장치{APPARATUS FOR HELPING BLOOD COLLECTION}Blood collection aid device {APPARATUS FOR HELPING BLOOD COLLECTION}

본 발명은 채혈 도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가락에서 채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돕고 채혈 시에 통증을 저감시킬 수 있는 채혈 도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od collection assistanc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lood collection assistance device that helps to facilitate blood collection in a finger and reduces pain during blood collection.

채혈은 사람의 건강상태와 질병여부 등을 파악하기 위해 신체의 일부분에 주사기, 란세트 혹은 채혈기를 이용하여 혈액을 채취하는 것이다. Blood collection is to collect blood by using a syringe, lancet, or blood sampler on a part of the body to determine the health and disease status of a person.

채혈은 크게 모세관채혈법을 이용한 소량채혈과 정맥 및 동맥혈 채취법을 이용한 대량채혈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량채혈에는 주사기가 사용되며, 정맥채혈의 경우 사지의 표재정맥에서 실시된다. Blood sampling can be largely divided into small blood sampling using capillary blood sampling and large blood sampling using intravenous and arterial blood sampling. In general, a syringe is used for large-scale blood collection, and in the case of venous blood, it is performed in the superficial vein of the limb.

그리고, 소량채취에서는 메스, 란세트, 프란케침 등이 사용된다. 모세관채혈에는 이수(耳垂)채혈, 지두(指頭)채혈, 족척(足蹠)채혈이 있다. 이수(耳垂)채혈, 즉 귓볼채혈은 귓불에 메스 혹은 란세트로 천자(穿刺)하여 소량의 혈액을 채취하고자 하는 경우에 실시되는 것으로 주로 혈액검사에서 사용되고 있다. 지두(指頭)채혈은 시지(示指), 중지, 약지의 손가락 끝의 측면이나 장면(掌面)을 이용하여 혈액을 채취하는 것으로 소량의 혈액으로 검사하는 경우에 실시된다. 족척(足蹠)채혈은 특히 영유아에게 적용되는 방법으로 소량채혈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발바닥에서 채혈하는 것을 말한다.Further, in small collection, scalpel, lancet, and frankincense are used. There are two types of blood collection: capillary blood collection, pharyngeal blood collection, and ankle foot collection. Isu (耳垂) blood collection, that is, 귓ball blood collection, is performed when a small amount of blood is to be collected by puncturing with a scalpel or lancet in the earlobe, and is mainly used in blood tests. The pharyngeal blood collection is performed when blood is collected by using the side or scene of the fingertips of the fingertips, middle finger, and ring finger to test with a small amount of blood. Jokcheok (채) blood collection is a method applied to infants and toddlers, and refers to blood collection from the soles of the feet when a small amount of blood is needed.

지두채혈, 즉 손가락 끝에서 혈액을 채취하기 위해서는 채혈을 할 중지나 약지의 손가락 끝을 엄지손가락 끝으로 눌러 압박하거나 혹은 줄이나 실 등으로 묶은 후에 다른 손에 채혈기로 잡고 손가락 끝을 천자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In order to collect blood from the fingertip, that is, to stop blood collection, press the fingertip of the ring finger or fingertip with the tip of the thumb, or tie it with a string or thread, and then hold it with a blood drawer in the other hand and puncture the fingertip. Proceeds.

이때 손가락 끝에 피가 모이게 한 후에 채혈을 함으로써 검사에 충분한 혈액을 채취하기 위해서, 손가락 끝을 줄이나 실 등으로 묶거나 엄지손가락 끝을 이용하여 손가락 끝을 압박하게 된다.At this time, by collecting blood after collecting blood at the tip of the finger, the finger tip is compressed with a string or thread, or the tip of the finger is pressed to collect sufficient blood for examination.

그러나 이와 같이 고무줄이나 실로 손가락 끝을 조여 압박할 때에는 고무줄로 손가락 끝을 감아 조인 상태에서 묶어야 하는데, 한 손으로 고무줄이나 실을 묶기가 용이하지 않아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는, 고무줄이나 실을 묶지 않는 대신 다른 손가락으로 눌러 풀리지 않도록 하는 경우에도 쉽게 느슨해져 강한 압박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squeezing the fingertip with a rubber band or thread, the fingertip should be wrapped with a rubber band and tied in a tightened state. However, it is not easy to tie the rubber band or thread with one hand, which is inconvenient. Alternative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easy to loosen and not apply a strong pressure even if the rubber band or the thread is not loosened by pressing with another finger instead of being ti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794522호(2017.11.08. 공고)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794522 (2017.11.08.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손가락에서 채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돕고 채혈 시에 통증을 저감시킬 수 있는 채혈 도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ood collection aid device that helps blood collection to be easily performed on a finger and reduces pain during blood collection.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손가락의 상면에 밀착되는 커버부; 그리고 연결부에 의해 상기 커버부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접히면서 상기 손가락의 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커버부와 함께 상기 손가락을 가압하며, 가압된 손가락의 하면 일부가 노출되는 채혈공이 관통 형성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채혈 도움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ver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nger; And it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ver portion by a connecting portion, and is pressed against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while being folded around the connecting portion to press the finger together with the cover portion, and a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ed finger is exposed. It provides a blood collection aid device including a pressing portion through which a blood collection hole is 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채혈공으로 노출되는 손가락으로부터 채혈 시 통증이 저감되도록 상면에 상기 채혈공의 테두리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손가락의 하면을 국소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가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rim of the blood collection hole on the upper surface so as to reduce pain when bleeding from the finger exposed to the blood collection hole, and pressurizing protrusions to locally press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Can ha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 및 상기 가압부의 사이에서 가압되는 손가락의 하면에 균일한 국소가압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가압돌기는 연결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protrusion may be formed to have a high height along a direction away from the connecting portion so that uniform loc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pressed between the cover portion and the pressing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채혈공을 둘러싸는 영역은, 상기 연결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일정 각도만큼 형성된 제1영역과,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1영역보다 멀리 배치되고 상기 제1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된 제2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제2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gion surrounding the blood collection hole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onnection portion and formed at a certain angle, and is disposed farther than the first region from the connection portion and excludes the first region. It is divided into a second region formed in the remaining portion, and the pressing protrusion may be formed in the second reg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부 및 상기 커버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채혈공을 통해 노출되는 손가락의 채혈 면적이 증가되도록 하면에 상기 채혈공의 테두리를 따라 함몰 형성되는 단차부를 가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portion is formed by recessing along the rim of the blood collection hole when the blood sampling area of the finger exposed through the blood collection hole is increased by being pressed by the pressing part and the cover part. Can ha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부 및 상기 커버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채혈공을 통해 노출되는 손가락의 채혈 면적이 증가되도록 상기 채혈공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의 상면에서 하면 방향으로 확대 형성되는 경사부를 가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portion is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ood sampling hole so as to increase the blood sampling area of the finger exposed through the blood sampling hole by being pressed by the pressing part and the cover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part In the lower surface, it is possible to have an inclined portion enlarged in the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가압된 손가락의 하면 일부가 상기 채혈공을 통해 노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커버부 및 상기 가압부를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ed finger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ortion connecting and fixing the cover portion and the pressing portion to maintain the exposed state through the blood collection ho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부 및 가압부는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고 서로 접히도록 회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한 손으로도 커버부 및 가압부를 가압하여 채혈이 이루어질 손가락에 대한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portion and the pressing portion may be connected by a connecting portion and rotated to fold with each other, and the user may control the pressing force on the finger to be collected by pressing the cover portion and the pressing portion with one hand. Therefore, it is convenient to us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부 및 커버부는 연결부에 연결되어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적은 힘을 가하고도 큰 모멘트가 발생하도록 하여 채혈하고자 하는 부위 주변이 충분히 압박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and rotated around the connecting portion, a large moment is generated even with a small force, so that the periphery of the portion to be collected is sufficiently pressed.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부의 상면에 가압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가 커버부 및 가압부를 접어 손가락을 가압하면, 가압되는 손가락이 가압돌기에 찔리면서 사용자가 통증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통증은 채혈을 위해 채혈공으로 노출되는 손가락의 하면 부분을 주사기 또는 란세트 등으로 찔렀을 때의 통증이 저감되거나 완화되어 느껴지도록 도울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essing protrusion protrud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so that the user presses the finger by folding the cover portion and the pressing portion, the pressed finger is stuck in the pressing protrusion, so that the user can feel the pain. have. Such pain may help to reduce or alleviate the pain when the lower part of the finger exposed to the blood collection hole is pierced with a syringe or lance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손가락이 커버부 및 가압부에 가압되어 압박되면 손가락의 혈액은 채혈공을 통해 볼록하게 노출되는 부분에 집중될 수 있기 때문에, 주사기 또는 란세트 등으로 깊이를 조금만 하여 손가락을 찔러도 피가 잘 나올 수 있으며, 사용자가 느끼는 통증은 적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nger is pressed by being pressed against the cover portion and the pressing portion, blood of the finger may be concentrated on the convexly exposed portion through the blood collection hole, thereby increasing the depth with a syringe or lancet or the like. With a little bit, the blood can come out well even if you poke your finger, and the pain felt by the user may be less.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deduc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채혈 도움 장치가 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채혈 도움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채혈 도움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혈 도움 장치가 손가락을 가압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단면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채혈 도움 장치의 가압돌기를 중심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채혈 도움 장치의 채혈공을 중심으로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채혈 도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lood collection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2 is a plan view showing a blood collection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a blood collection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lood collection assistance device presses a fi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exemplary view of FIG. 4.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pressure projection of the blood collection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center.
7 is a sectional exemplary view showing a blood collection hole of a blood collection aid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ood collection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u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 between. It also includes the case where it is. Also,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instead of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pecifi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field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채혈 도움 장치가 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인데, 도 1의 (a)는 채혈 도움 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의 (b)는 채혈 도움 장치를 하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채혈 도움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채혈 도움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혈 도움 장치가 손가락을 가압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단면예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lood collection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FIG. 1(a) shows a state in which the blood collection assistance device is viewed from above, and FIG. 1(b) is the blood collection It shows the state of looking at the help device from the bottom.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blood collection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a blood collection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lood collection assistance device presses a finger, and FIG. 5 is a sectional exemplary view of FIG. 4.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채혈 도움 장치는 커버부(100) 그리고 가압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5, the blood collection assistance device may include a cover part 100 and a pressing part 200.

커버부(100)는 손톱(11)을 포함하는 손가락(10) 단부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다.The cover part 10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end of the finger 10 including the nail 11.

커버부(100)는 손가락의 상부를 감싸도록 상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채혈 도움 장치가 손가락(10) 단부를 가압하도록 사용되었을 때, 손가락(10)이 커버부(100) 및 가압부(200)의 사이에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The cover portion 100 may be formed to have a rounded top surface to surround the upper part of the finger, and through this, as shown in FIGS. 4 and 5, when a blood collection aid device is used to press the finger 10 end, The finger 10 may be stably positioned between the cover part 100 and the pressing part 200.

가압부(200)는 연결부(300)에 의해 커버부(100)의 일단부에 회전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The pressing part 200 may be connected to be rotated at one end of the cover part 100 by the connecting part 300.

연결부(300)는 가압부(200) 및 커버부(100)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압부(200) 및 커버부(100)가 접히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변형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portion 300 may be formed to a thickness thinner than the pressing portion 200 and the cover portion 100, and may be modified so that the pressing portion 200 and the cover portion 100 can be rotated in a folding direction.

가압부(200)는 손가락(10) 단부의 하면, 즉, 손가락(10)의 지문이 있는 부분에 밀착될 수 있으며, 커버부(100)와 함께 손가락(10)을 가압할 수 있다. The pressing part 20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end of the finger 10, that is, the portion of the finger 10 with the fingerprint, and press the finger 10 together with the cover part 100.

가압부(200), 연결부(300) 및 커버부(100)는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The pressing part 200, the connecting part 300, and the cover part 100 may be integrally molded.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채혈 도움 장치에 검지를 넣는 경우로 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described assuming that the index finger is put in the blood collection aid.

사용자는 채혈 도움 장치로 가압할 검지가 있는 손의 엄지 및 중지를 이용하여 채혈 도움 장치가 검지를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The user may use the thumb and middle finger of the hand with the index finger to press the blood collection assist device to cause the blood collection assist device to press the index finger.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엄지를 이용하여 가압부(200)가 사용자의 검지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같은 손의 중지를 이용하여 커버부(100)가 검지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한 후, 엄지와 중지에 힘을 줘서 가압부(200) 및 커버부(100)가 검지를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엄지 및 중지의 힘 조절을 통해 검지가 커버부(100) 및 가압부(200)에 의해 가압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채혈 도움 장치를 타인의 도움이 없이도 한 손만으로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ser uses the thumb so that the pressing portion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ser's index finger, and the middle of the same hand is used so that the cover portion 1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index finger. By applying a force to the pressing portion 200 and the cover portion 100 may be to press the index finger. The user can adjust the degree to which the index finger is pressed by the cover part 100 and the pressurizing part 200 by adjusting the force of the thumb and the middle finger. As such, the user can simply use the blood collection aid device with one hand without the help of others.

가압부(200) 및 커버부(100)는 연결부(300)에 연결되어 연결부(300)를 중심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엄지 및 중지에 적은 힘을 가하고도 큰 모멘트가 발생하도록 하여 채혈하고자 하는 부위 주변이 충분히 압박되도록 할 수 있다.Since the pressing part 200 and the cover part 100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art 300 and rotated around the connecting part 300, a large moment is generated even when a small force is applied to the thumb and middle finger, thereby surrounding the area to be collected. You can make sure this pressure is enough.

가압부(200)에는 채혈공(210)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가압된 손가락(10)의 하면 일부는 채혈공(210)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채혈공(210)을 통해 노출된 부분을 통해 주사기, 란세트 혹은 채혈기를 이용하여 혈액을 채취할 수 있다.A blood sampling hole 210 may be formed through the pressing part 200, and a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ed finger 10 may be exposed through the blood sampling hole 210. In addition, blood may be collected using a syringe, a lancet, or a blood drawer through a portion exposed through the blood collection hole 210.

그리고, 가압부(200)는 가압돌기(220)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ing part 200 may have a pressing protrusion 220.

가압돌기(220)는 가압부(200)의 상면(201)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채혈공(210)의 테두리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ressing protrusion 220 may be formed to protrude on the upper surface 201 of the pressing portion 200, and may b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rim of the blood collection hole 210.

가압돌기(220)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essing protrusion 220 may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가압부(200)의 상면에 사용자 손가락(10)의 단부가 위치되고, 커버부(100) 및 가압부(200)에 의해 손가락(10)이 가압되면, 가압돌기(220)는 손가락(10)의 하면을 가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손가락(10)은 가압돌기(220)에 의해 국소 가압될 수 있다.When the end of the user's finger 1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200, and the finger 10 is pressed by the cover portion 100 and the pressing portion 200, the pressing protrusion 220 is a finger 10 The lower surface can be pressed. And through this, the finger 10 may be locally pressed by the pressing protrusion 220.

가압돌기(220)는 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되, 손가락(10)을 찔렀을 때 피는 나지 않도록 하면서도 사용자가 통증을 느낄 정도로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pressure protrusion 220 is formed with a pointed end, and may be formed to be sharp enough to allow the user to feel pain while preventing blood from bleeding when the finger 10 is pierced.

사용자가 커버부(100) 및 가압부(200)를 접어 가압하면서 가압력을 증가시키면 커버부(100) 및 가압부(200)에 의해 가압되는 손가락이 가압돌기(220)에 찔리면서 사용자는 통증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통증은 채혈을 위해 채혈공(210)으로 노출되는 손가락의 하면 부분을 주사기 또는 란세트 등으로 찔렀을 때의 통증이 저감되거나 완화되어 느껴지도록 도울 수 있다.When the user folds the cover portion 100 and the pressing portion 200 and presses the pressure to increase the pressing force, the finger pressed by the cover portion 100 and the pressing portion 200 is stuck in the pressing projection 220 and the user suffers from the pain. I can feel it. The pain may help to reduce or relieve pain when a lower part of the finger exposed to the blood collection hole 210 is punctured with a syringe or lancet for blood collection.

그리고, 채혈공(210)으로 노출되는 손가락의 하면은 채혈공(210)의 테두리에 의한 압박 및 손가락이 가압되면서 손가락의 하면 일부가 채혈공(210)의 내측으로 밀려들어감에 따라 채혈공(210)으로 볼록하게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손가락의 하면이 채혈공(210)을 통해 볼록하게 노출됨으로써, 채혈이 가능하도록 하는 채혈 면적(12)은 증가될 수 있다. And, 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exposed to the blood collection hole 210 is pressed by the rim of the blood collection hole 210 and the finger is pressed, a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is pushed toward the inside of the blood collection hole 210, thereby collecting the blood collection hole 210 ) Can be exposed convexly. Then,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is convexly exposed through the blood collection hole 210, so that the blood collection area 12 to allow blood collection can be increased.

또한, 손가락(10)의 단부가 커버부(100) 및 가압부(200)에 가압되어 압박되면 손가락(10)의 혈액은 채혈공(210)을 통해 볼록하게 노출되는 부분에 집중될 수 있기 때문에, 주사기 또는 란세트 등으로 깊이를 조금만 하여 손가락을 찔러도 피가 잘 나올 수 있으며, 사용자가 느끼는 통증은 적어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nd of the finger 10 is pressed and pressed against the cover part 100 and the pressing part 200, blood of the finger 10 may be concentrated in a convexly exposed part through the blood collection hole 210. , With a little bit of depth, such as a syringe or lancet, the blood may come out well even if a finger is pierced, and the pain felt by the user may be reduced.

한편,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채혈공(210)을 둘러싸는 영역은 제1영역(A1) 및 제2영역(A2)으로 구획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영역(A1)은 연결부(30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영역으로써 채혈공(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만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영역(A2)은 연결부(300)로부터 제1영역(A1)보다 멀치 배치되는 영역으로써 제1영역(A1)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되는 영역일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2, the region surrounding the blood collection hole 21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region A1 and a second region A2. Here, the first area A1 is an area disposed adjacent to the connection part 300 and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based on the center of the blood collection hole 210. In addition, the second region A2 is a region disposed farther than the first region A1 from the connecting portion 300 and may be a region formed in the rest of the portion except for the first region A1.

그리고, 가압돌기(220)는 제2영역(A2)에서 채혈공(21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pressing protrusion 220 may be formed along the rim of the blood collection hole 210 in the second region A2.

가압부(200) 및 커버부(100)는 연결부(300)를 중심으로 접히도록 회전되기 때문에, 연결부(300)에 가까워질수록 가압부(200) 및 커버부(100)의 간격은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가압부(200) 및 커버부(100)의 사이에서 손가락(10)이 가압될 때, 손가락(10)의 단부로 갈수록 가압돌기(220)가 손가락(10)을 찌르는 깊이도 깊어지고 더욱 큰 가압력이 가해져 통증도 커질 수 있다.Since the pressing portion 200 and the cover portion 100 are rotated to fold around the connecting portion 300, the closer the connecting portion 300 is, the narrower the gap between the pressing portion 200 and the cover portion 100 is. . Therefore, when the finger 10 is pressed between the pressing portion 200 and the cover portion 100, the depth of the pressing protrusion 220 stabbing the finger 10 becomes deeper and further toward the end of the finger 10 The pressure may be increased by applying a large pressing force.

그런데, 채혈공(210)의 테두리 전체에 동일한 높이의 가압돌기(220)가 형성되면, 손가락(10) 단부를 찌르는 가압돌기가 너무 강한 힘으로 깊게 찌르게 되어 피가 나거나 손가락(10) 단부를 다치게 할 소지가 있다.However, when the pressure protrusions 220 of the same height are formed on the entire rim of the blood sampling hole 210, the pressure protrusions that poke the ends of the fingers 10 are deeply struck with too strong force to bleed or bleed the ends of the fingers 10 There is a risk of injury.

또한, 이를 우려하여 가압돌기(220)의 높이를 전체적으로 너무 낮추는 경우에는 손가락(10)을 찌르는 깊이가 너무 낮아 사용자가 느끼는 통증이 너무 작아지게 되고, 이에 다라, 채혈 시 통증 완화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height of the pressure protrusion 220 is too low overall due to this concern, the depth of the finger 10 is too low, so the pain felt by the user becomes too small, and accordingly, the pain relief effect during blood collection may be deteriorated. .

본원발명에서는 가압돌기(220)가 제1영역(A1)에는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채혈 시에 사용자가 느낄 통증이 충분히 완화되도록 할 수 있는 높이로 가압돌기(220)를 형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protrusion 220 may not be formed in the first region A1, so that the pressure protrusion 220 may be formed to a height capable of sufficiently alleviating the pain felt by the user during blood collection.

즉, 채혈공(210)의 테두리 전체길이 중에 제1영역(A1)에 속하는 길이는 제2영역(A2)에 속하는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짧기 때문에, 제1영역(A1)에 가압돌기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제2영역(A2)에 충분한 개수와 높이로 가압돌기(22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채혈 시 가해지는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한 국소 통증의 효과가 충분히 구현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length belonging to the first region A1 is relatively shorter than the length belonging to the second region A2 among the entire lengths of the rims of the blood collection holes 210, the pressing projections are not formed in the first region A1. If not, the pressing protrusion 220 may be formed with a sufficient number and height in the second region A2. And through this, the effect of local pain for alleviating the pain applied during blood collection may be sufficiently implemented.

그리고, 도 1의 (b)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압부(200)는 단차부(230)를 가질 수 있다. 단차부(230)는 가압부(200)의 하면(202)에 형성될 수 있으며, 채혈공(210)의 테두리를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ure 1 (b) and 5, the pressing portion 200 may have a step portion 230. The stepped portion 230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202 of the pressing portion 200, and may be recessed along the rim of the blood collection hole 210.

가압부(200)의 하면(202)에 채혈공(210)의 테두리를 따라 단차부(230)가 함몰 형성됨에 따라 가압부(200) 및 커버부(100)의 사이에서 가압되어 채혈공(210)을 통해 노출되는 손가락(10)의 채혈 면적(12)은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즉, 단차부(230)가 형성됨으로써 채혈공(210)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채혈공(210)을 통해 노출되는 채혈 면적(12)은 더 넓어질 수 있다. As the step portion 230 is recessed along the rim of the blood collection hole 210 on the lower surface 202 of the pressing part 200, the blood collection hole 210 is pressurized between the pressing part 200 and the cover part 100. ), the blood collection area 12 of the finger 10 exposed may be further increased. That is, since the thickness of the blood collection hole 210 may be reduced by forming the stepped portion 230, the blood collection area 12 exposed through the blood collection hole 210 may be wider.

따라서, 채혈공(210)으로 노출되는 부분에 혈액이 더 많이 집중될 수 있어 채혈을 위해 주사기 또는 란세트 등으로 손가락의 하면을 찌를 때, 깊이를 조금만 하여 찔러도 피가 잘 나올 수 있고, 사용자가 느끼는 통증이 적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more blood may be concentrated in the part exposed by the blood collection hole 210, so 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is poked with a syringe or lancet for blood collection, the blood may well come out even with a small depth. You can make it less painful.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채혈 도움 장치의 가압돌기를 중심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가압돌기의 형태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pressure projection of the blood collection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center. In this embodiment, there may be a difference in the shape of the above-described pressing protrusion, and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so repeated descriptions are omitted.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압돌기(220a,220b,220c,220d,220e)는 가압부(200) 및 커버부(100)를 연결하는 연결부(3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6, the pressing protrusions 220a, 220b, 220c, 220d, and 220e are formed to increase in height along a direction away from the connecting portion 300 connecting the pressing portion 200 and the cover portion 100. Can be.

가압부(200) 및 커버부(100)는 연결부(300)를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연결부(300)를 기준으로 거리가 가까울수록 가압부(200) 및 커버부(100) 사이의 간격은 좁아지고 연결부(300)로부터 멀어질수록 가압부(200) 및 커버부(100) 사이의 간격은 멀어진다. Since the pressing portion 200 and the cover portion 100 rotate around the connecting portion 300, the closer the distance is based on the connecting portion 300, the narrower the distance between the pressing portion 200 and the cover portion 100 is. The distance between the pressing part 200 and the cover part 100 becomes farther away from the losing connection part 300.

따라서, 가압돌기의 높이가 동일한 경우에는, 가압부(200) 및 커버부(100)의 사이에서 손가락이 가압될 때, 손가락의 단부에는 비교적 강한 가압력이 가해질 수 있으나, 손가락의 단부에서 멀어질수록 상대적으로 약한 가압력이 가해지게 된다.Therefore, when the height of the pressing protrusion is the same, when the finger is pressed between the pressing portion 200 and the cover portion 100, a relatively strong pressing force may be applied to the end of the finger, but the farther from the end of the finger, A relatively weak pressing force is applied.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돌기(220a,220b,220c,220d,220e)가 연결부(3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손가락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가압력이 가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압돌기에 의한 ?증이 효과적으로 가해지도록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ressing protrusions 220a, 220b, 220c, 220d, and 220e are formed to increase in height along a direction away from the connection part 300, so that a uniform pressing force can be applied to the fingers as a whol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ncrease the pressure caused by the pressurized projec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채혈 도움 장치의 채혈공을 중심으로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채혈공의 형상이 다를 수 있으며,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7 is a sectional exemplary view showing a blood collection hole of a blood collection aid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shape of the blood collection hole may be different, and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so repeated descriptions are omitted.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압부(200)는 경사부(1240)를 가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pressing portion 200 may have an inclined portion 1240.

경사부(1240)는 채혈공(21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가압부(200)의 상면(201)에서 하면(202) 방향으로 확대 형성될 수 있다. The inclined portion 1240 may be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ood collection hole 210, and may be enlarged from the upper surface 201 of the pressing portion 200 toward the lower surface 202.

채혈공(210)의 내주면에 경사부(1240)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채혈공(210)을 통해 노출되는 손가락의 채혈 면적은 더욱 증가될 수 있다.By forming the inclined portion 1240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ood collection hole 210, the blood collection area of the finger exposed through the blood collection hole 210 may be further increased.

이를 통해, 손가락의 혈액이 채혈공(210)을 통해 볼록하게 노출되는 부분에 집중되도록 할 수 있으며, 주사기 또는 란세트 등으로 깊이를 조금만 하여 찔러도 피가 잘 나올 수 있고, 사용자가 느끼는 통증은 완화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blood of the finger can be focused on the convexly exposed portion through the blood collection hole 210, and the blood may come out well even with a small depth with a syringe or lancet, and the pain felt by the user is relieved. Can be.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채혈 도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인데, 도 8의 (a)는 채혈 도움 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의 (b)는 채혈 도움 장치를 하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에에서는 고정부의 구성이 더 추가될 수 있으며,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ood collection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a) shows a state when the blood collection assistance device is viewed from above, and FIG. 8(b) shows the blood collection assistance device It shows the state viewed from the lower side. In this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fixing part may be further added, and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so repeated descriptions are omitted.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채혈 도움 장치는 커버부(100) 및 가압부(200)를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1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blood collection assistanc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art 1500 that can be fixed by connecting the cover part 100 and the pressing part 200.

고정부(1500)는 스트립부재(1510), 제1결착부(1520) 및 제2결착부(1530)를 가질 수 있다.The fixing part 1500 may have a strip member 1510, a first fastening part 1520 and a second fastening part 1530.

스트립부재(1510)는 일단부가 커버부(10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The strip member 1510 may have one end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art 100.

그리고, 제1결착부(1520)는 스트립부재(1510)의 타단부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Then, the first binding portion 152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strip member 1510.

또한, 제2결착부(1530)는 커버부(100)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결착부(1530)에는 제1결착부(1520)가 결합될 수 있다.Also, the second binding portion 153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100, and the first binding portion 152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binding portion 1530.

제1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채혈이 이루어지지 않는 엄지 및 중지를 이용하여 커버부(100) 및 가압부(200)를 가압하고 있어야 하는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1500)를 이용하여 커버부(100) 및 가압부(200)가 검지를 지속적으로 가압하도록 하고, 가압된 검지의 하면 일부도 채혈공(210)을 통해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user should press the cover part 100 and the pressing part 200 by using the thumb and the middle finger where blood is not made, where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ver part by using the fixing part 1500 (100) and the pressing unit 200 to continuously press the index finger, and a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urized index finger can be maintained in an exposed state through the blood sampling hole 210.

즉, 커버부(100) 및 가압부(200)가 검지를 가압하도록 접힌 상태에서, 스트립부재(1510)를 이용하여 커버부(100), 검지 및 가압부(200)를 감싸고, 제2결착부(1530)가 제1결착부(1520)에 결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엄지 및 중지를 이용하여 가압부(200) 및 커버부(100)를 계속하여 가압하지 않아도 되는 편의성이 제공될 수 있다.That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cover part 100 and the pressing part 200 are folded to press the index finger, the cover member 100, the index finger and the pressing part 200 are wrapped using the strip member 1510, and the second binding part By allowing the 1530 to be attached to the first binding portion 1520, convenience may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press the pressing portion 200 and the cover portion 100 continuously using the thumb and middle finger.

제1결착부(1520) 및 제2결착부(1530)는 부착 및 분리가 가능한 형태면 특정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결착부(1520) 및 제2결착부(1530)로는 화스너 테이프(Fastener Tape)가 사용될 수 있다.The first binding portion 1520 and the second binding portion 1530 may be used without being limited to a specific shape as long as i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For example, fastener tape may be used as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520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530.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only, and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or vari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손가락
12: 채혈 면적
100: 커버부
200: 가압부
210: 채혈공
220,220a,220b,220c,220d,220e: 가압돌기
230: 단차부
300: 연결부
1240: 경사부
1500: 고정부
A1: 제1영역
A2: 제2영역
10: finger
12: blood collection area
100: cover
200: pressing part
210: blood sampling
220,220a,220b,220c,220d,220e: pressurized projection
230: step
300: connection
1240: slope
1500: fixing part
A1: first area
A2: Area 2

Claims (7)

손가락의 상면에 밀착되는 커버부; 그리고
연결부에 의해 상기 커버부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접히면서 상기 손가락의 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커버부와 함께 상기 손가락을 가압하며, 가압된 손가락의 하면 일부가 노출되는 채혈공이 관통 형성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채혈공으로 노출되는 손가락으로부터 채혈 시 통증이 저감되도록 상면에 상기 채혈공의 테두리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손가락의 하면을 국소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가지며,
상기 커버부 및 상기 가압부의 사이에서 가압되는 손가락의 하면에 균일한 국소가압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가압돌기는 연결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 도움 장치.
A cover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nger; And
A blood sample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ver portion by a connection portion, is pressed against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while being folded around the connection portion, presses the finger together with the cover portion, and a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ed finger is exposed It includes a press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ball is formed,
The pressing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rim of the blood collection hole on the upper surface so as to reduce pain when collecting blood from the finger exposed to the blood collection hole, and has a pressing protrusion to locally press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Blood pressure assi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ure protrusion is formed to increase in height along a direction away from the connecting portion, so that a uniform loc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pressed between the cover portion and the pressing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혈공을 둘러싸는 영역은, 상기 연결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일정 각도만큼 형성된 제1영역과,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1영역보다 멀리 배치되고 상기 제1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된 제2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제2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 도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rea surrounding the blood collection hole is a first area disposed adjacent to the connection part and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second area formed farther from the connection part than the first area and formed in the rest of the area except for the first area. Compartmentalized,
The pressure projection is blood collection ai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econd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부 및 상기 커버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채혈공을 통해 노출되는 손가락의 채혈 면적이 증가되도록 하면에 상기 채혈공의 테두리를 따라 함몰 형성되는 단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 도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urizing unit has a stepped portion that is formed by depression along the rim of the blood sampling hole when the pressure is pressed by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to increase the blood sampling area of the finger exposed through the blood sampling hol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부 및 상기 커버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채혈공을 통해 노출되는 손가락의 채혈 면적이 증가되도록 상기 채혈공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의 상면에서 하면 방향으로 확대 형성되는 경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 도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ing portion is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ood collection hole to increase the blood collection area of the finger exposed through the blood collection hole by being pressed by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and an inclination that is enlarg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toward the bottom surface Blood collection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wealth.
제1항에 있어서,
가압된 손가락의 하면 일부가 상기 채혈공을 통해 노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커버부 및 상기 가압부를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 도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a fixing part connecting and fixing the cover part and the pressing part so that a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ed finger is maintained through the blood collection hole.
KR1020180032627A 2018-03-21 2018-03-21 Apparatus for helping blood collection KR1021219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627A KR102121995B1 (en) 2018-03-21 2018-03-21 Apparatus for helping blood coll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627A KR102121995B1 (en) 2018-03-21 2018-03-21 Apparatus for helping blood coll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773A KR20190110773A (en) 2019-10-01
KR102121995B1 true KR102121995B1 (en) 2020-06-11

Family

ID=68207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627A KR102121995B1 (en) 2018-03-21 2018-03-21 Apparatus for helping blood coll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995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4395A (en) * 1999-10-13 2001-11-13 Arkray Inc Blood collecting position indicating apparatus
JP2005152620A (en) 2003-10-29 2005-06-16 Arkray Inc Puncture device
JP2005278740A (en) 2004-03-29 2005-10-13 Citizen Watch Co Ltd Blood collecting apparatus
JP2009056162A (en) 2007-08-31 2009-03-19 Terumo Corp Auxiliary tool
JP2010155022A (en) 2009-01-05 2010-07-15 Nipro Corp Puncture assisting implement
JP2017006184A (en) 2015-06-17 2017-01-12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Blood collec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237B1 (en) * 2000-09-20 2003-04-26 차은종 Single use auto-lancet
JP2009542304A (en) * 2006-07-06 2009-12-03 ラピッディックス エルティーディー. Integrated blood collection and test instrument and method of use
KR20150074723A (en) * 2013-12-24 2015-07-02 임근만 Nail clip
KR101794522B1 (en) 2017-01-13 2017-11-08 (주)진영노즐 Finger tube tourniquet with magnetic fasteners for blood collecti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4395A (en) * 1999-10-13 2001-11-13 Arkray Inc Blood collecting position indicating apparatus
JP2005152620A (en) 2003-10-29 2005-06-16 Arkray Inc Puncture device
JP2005278740A (en) 2004-03-29 2005-10-13 Citizen Watch Co Ltd Blood collecting apparatus
JP2009056162A (en) 2007-08-31 2009-03-19 Terumo Corp Auxiliary tool
JP2010155022A (en) 2009-01-05 2010-07-15 Nipro Corp Puncture assisting implement
JP2017006184A (en) 2015-06-17 2017-01-12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Blood colle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773A (en)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72588T3 (en) PARTY PRESSURE RING FOR A LANCETA DEVICE AND BLOOD EXTRACTION SYSTEM.
US20090198152A1 (en) Finger tip tourniquet
US8177730B2 (en) Blood expression device
US20030220663A1 (en) Lancet device
US20080065130A1 (en) Elastomeric toroidal ring for blood expression
JP2007518489A (en) Puncture device
US6719731B2 (en) Protection device for medical needles
WO2005034778A1 (en) Lancing device end cap with flexing contact elements
WO2016115941A1 (en) Safe blood lancet structure
CN106687040A (en) Lancet device with first-drop removal
KR20030042393A (en) A disposal lancet
KR102121995B1 (en) Apparatus for helping blood collection
JP2000175889A5 (en)
KR101360939B1 (en) Needle length variable lancet with pain and infection and danger preventing function
KR20090090659A (en) Single use blood collecting apparatus
KR100380237B1 (en) Single use auto-lancet
US7806859B2 (en) Safety lancet for taking blood
KR102542554B1 (en) Medical apparatus for arterial blood collection
KR101506707B1 (en) Blood vessel searching device with the transillumination
JPH01185245A (en) Blood collecting piercing tool
CN206404119U (en) Anti-stab transfusion needle
JP2005021291A (en) Puncture tool
KR101794522B1 (en) Finger tube tourniquet with magnetic fasteners for blood collection
KR101404884B1 (en) blood lancet device using the same methods used
US20170224349A1 (en) Vascular compression assist device and method of tactile hemosta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