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382B1 -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382B1
KR102121382B1 KR1020130052094A KR20130052094A KR102121382B1 KR 102121382 B1 KR102121382 B1 KR 102121382B1 KR 1020130052094 A KR1020130052094 A KR 1020130052094A KR 20130052094 A KR20130052094 A KR 20130052094A KR 102121382 B1 KR102121382 B1 KR 102121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lectronic device
bluetooth communication
sound
sound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2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2625A (ko
Inventor
박현준
고기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2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382B1/ko
Priority to EP14153178.0A priority patent/EP2801904B1/en
Priority to US14/188,962 priority patent/US9313571B2/en
Priority to CN201410083573.5A priority patent/CN104142809B/zh
Publication of KR20140132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전자 장치는, 운영체제를 저장하는 저장부, 저장부에 저장된 운영체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부팅을 수행하는 제어부,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외부 장치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처리하여 스피커에 출력하는 음향 처리부를 포함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부, 음향 처리부 및 스피커는 전자 장치가 부팅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동작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 장치가 부팅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블루투스 방식으로 전달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노트북은 휴대가 간편하여 개인이 소지하고 이동하며 사용할 수 있는 노트북 크기의 컴퓨터를 말한다. 최근에는 이동성을 더욱 향상되도록 터치 스크린을 구비함으로써 키보드 입력부분이 생략된 슬레이트 PC, 태블릿 PC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의 노트북은 고성능의 스피커가 구비되며,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사용자는 외부 장치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노트북으로 전달하여 감상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노트북이 부팅되어 있는 상태에서만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노트북에 구비된 스피커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노트북을 부팅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장치가 부팅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블루투스 방식으로 전달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운영체제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운영체제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부팅을 수행하는 제어부,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외부 장치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스피커에 출력하는 음향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음향 처리부 및 상기 스피커는 상기 전자 장치가 부팅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동작한다.
이 경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는, 상기 전자 장치가 부팅된 상태이면 상기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디지털 방식으로 상기 음향 처리부에 전달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부팅된 상태가 아니면 상기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상기 음향 처리부에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는, 상기 전자 장치가 부팅된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디지털 방식으로 상기 음향 처리부에 전달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부팅된 상태가 아니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 없이 상기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상기 음향 처리부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향 처리부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전달된 음향 데이터에 대한 증폭을 수행하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오디오 앰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오디오 앰프부는, 상기 전자 장치가 부팅되지 않은 상태에서만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향 처리부는, 상기 디지털 방식으로 전달된 음향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오디오 코덱부, 및,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에서 출력된 음향 데이터를 상기 오디오 코덱부로 전달하는 PCH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오디오 코덱부는, 상기 전자 장치가 부팅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는, 상기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음향 처리부에 전달하는 중에 상기 전자 장치가 부팅되면, 상기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디지털 방식으로 음향 처리부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부팅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 및 상기 오디오 앰프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저장부에는 전원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전자 장치가 부팅된 상태에서만 동작하며, 블루투스 방식으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블루투스 통신부, 및 블루투스 방식으로 외부 장치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상기 음향 처리부에 전달하는 제2 블루투스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부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디지털 방식으로 상기 음향 처리부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동작하며,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동작하거나 상기 제어부의 제어가 없는 경우에도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향 처리부는,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부를 통하여 전달된 음향 데이터에 대한 증폭을 수행하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오디오 앰프부, 상기 전자 장치가 부팅된 상태에서 동작하며, 상기 디지털 방식으로 전달된 음향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오디오 코덱부, 및,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부에서 출력된 음향 데이터를 상기 오디오 코덱부로 전달하는 PCH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향 처리부는, 상기 오디오 앰프부 또는 상기 오디오 코덱부에서 출력되는 음향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상기 스피커에 전달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부는,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부가 외부 장치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음원 데이터가 제2 외부 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부팅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부 및 오디오 앰프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어부, 상기 저장부,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부, 상기 오디오 코덱부 및 상기 PCH부 에는 전원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장치는 올인원 PC 또는 노트북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음향 처리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음향 처리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6은 복수의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경우의 음향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다른 전자 시스템(1000)은 전자 장치(100) 및 외부 기기(20)로 구성된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구동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구동 명령에 따른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20)로부터 음향 데이터(sound data)를 블루투스 방식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내장된 스피커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 장치(100)는 운영체제의 부팅에 의하여 동작하는 PC, 노트북, PMP, 크래들(cradle)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PC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올인원 PC일 수 있으며, 크래들은 노트북 또는 PMP 등에 연결되어 노트북 또는 PMP의 기능을 확장해 줄 수 있는 구성이다. 전자 장치(100)의 구체적인 동작 및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외부 기기(20)는 음원 데이터(sound source data)를 저장하고, 블루투스 방식으로 저장된 음원 데이터에 대한 음향 데이터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한다. 이와 같은 외부 기기(20)는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PC,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PMP, MP3등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저장부(130), 음향 처리부(140), 스피커(150) 및 제어부(160)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갖는다. 복수의 동작 모드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상태에 따라서, 전자 장치(100)가 운영체제를 이용하여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노멀 모드, 전자 장치(100)에 운영체제가 로딩되지 않은 비부팅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노멀 모드란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운영체제가 휘발성 메모리에 적재되어 운영체제에 의하여 전자 장치(100)의 동작이 제어되는 상태의 모드이고, 비부팅 모드란, 운영체제에 의하여 전자 장치(100)의 동작이 제어되지 않은 상태의 모드로, 전원 오프 모드, 절전 모드 등이 있을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전자 장치(100)를 외부 장치(미도시)에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 망을 통해 외부 장치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예를 들어, GSM, UMTS, LTE, WiBRO 등의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서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 장치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블루투스 통신부를 포함하며, 블루투스 통신부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현시에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하나의 블루투스 통신부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복수의 블루투스 통신부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나의 블루투스 통신부를 이용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구현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고, 복수의 블루투스 통신부를 이용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구현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장치가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를 음원 데이터로 기재하고, 외부 장치와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음향 데이터로 구분하여 기술하였으나, 이와 같은 것은 설명의 용이를 위한 것일 뿐, 음향 데이터와 음원 데이터는 동일할 수도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 장치로 음향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서로 다른 음향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부(110)가 복수의 블루투스 통신부를 포함하는 경우, 하나의 블루투스 통신부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고, 다른 블루투스 통신부를 이용하여 후술할 저장부(130)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다른 외부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전자 장치(1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선택받으며, 전자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현시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입력 및 출력 기능이 하나의 장치에서 동작하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마우스 및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와 LCD 모니터와 같은 출력 장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후술할 저장부(130)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선택받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연결 가능한 외부 기기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중 하나를 연결할 외부 기기로 선택받을 수 있다.
저장부(130)는 전자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30)는 전자 장치(100)의 구동시 필요한 각종 명령어의 집합인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특정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기 위한 운영체제를 포함한다.
그리고 저장부(130)는 음원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음원 데이터는 MP3, wav 등과 같은 음원 파일일 수도 있으며, 스트리밍 형태의 데이터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부(130)는 전자 장치(100) 내의 저장 매체 및 외부 저장 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네트워크를 통한 웹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음향 처리부(140)는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처리하여 스피커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음향 처리부(14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수신한 음향 데이터를 스피커로 출력한다. 음향 처리부(14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스피커(150)는 음향 처리부로부터 제공된 음향 데이터를 출력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제공된 음향 데이터를 스피커에서만 출력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음향 출력 단자를 통하여 전자 장치(100)와 분리 가능한 이어폰 및 스피커에도 음향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전자 장치(100) 내의 각 구성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부팅 명령이 입력되면, 저장부(130)에 저장된 운영체제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기기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제어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전달된 음향 데이터가 스피커(150)에 출력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및 음향 처리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가 부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및 음향 처리부(140)가 독자적으로 외부 기기로부터 전달된 음향 데이터를 스피커로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부팅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및 음향 처리부(150)가 독자적으로 동작하여, 외부로부터 전달된 음향 데이터를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 기기에 저장된 음악 파일을 재생하기 위하여 별도의 오디오에 연결하거나 PC를 부팅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자 장치(100)가 제어부 및 저장부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전자 장치(100)가 크래들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제어부 및 저장부의 구성은 크래들에 연결되는 노트북 또는 PMP의 구성일 수 있다.
도 3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음향 처리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제1 실시 예는 하나의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한 전자 장치의 구현 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스위치(111), 블루투스 통신부(112), PCH부(141), 오디오 코덱부(143), 오디오 앰프부(145) 및 스피커(150)로 구성된다.
제1 스위치(111)는 블루투스 통신부(112)에 전원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제1 스위치(111)는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비부팅 모드이면, 즉, 전자 장치가 부팅되기 전이면, 항시 전원(always PWR)을 블루투스 통신부(112)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스위치(111)는 전자 장치(100)가 부팅 과정 중이거나,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100)가 노멀 모드이면, 동작 전원(PWR)을 블루투스 통신부(112)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구현시에 제1 스위치(111)는 생략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항시 전원(always PWR)은 전자 장치(100)가 부팅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제어 명령 등을 입력받기 위한 구성에 제공되는 전원이고, 동작 전원은 전자 장치(100)가 웨이크업 과정 중이거나, 노멀 모드인 경우에 전자 장치(100)의 각 구성에 제공되는 전원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100)가 노멀 모드 이전의 웨이크 업 과정 중인 경우도, 노멀 모드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3에서는 블루투스 통신부(112)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제1 스위치(111)의 구성만을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 제1 스위치(111)는 전자 장치(100) 내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의 일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부는 노멀 모드일 때 블루투스 통신부(112), PCH 부(141), 오디오 코덱부(143)에 전원을 공급하고, 오디오 앰프부(145)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부는 비부팅 모드일 때, 블루투스 통신부(112) 및 오디오 앰프부(145)에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술한 PCH부(141), 오디오 코덱부(143), 제어부(160) 및 저장부(130)에는 전원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비부팅 모드인 경우에 스피커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즉, 오디오 엠프부의 출력에 의하여 스피커가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스피커의 동작에 전원 공급이 필요한 경우, 전원부는 비부팅 모드일 때, 블루투스 통신부(112), 오디오 앰프부(145) 및 스피커부(150)에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부(112)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의 일 구성으로, 외부 기기와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통신부(112)는 외부 기기와 블루투스 방식으로 전송되는 음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블루투스 통신부(112)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에 따라 수신된 음향 데이터에 대한 처리 방식을 달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가 부팅된 상태인 경우, 즉,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노멀 모드인 경우에, 블루투스 통신부(112)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디지털 방식으로 음향 처리부(구체적으로, PCH부)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가 비부팅 모드인 경우, 블루투스 통신부(112)는 자체적으로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제어부와 다른 마이컴의 제어에 의하여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아날로그 방식의 음향 데이터를 오디오 앰프부(145)에 전달할 수 있다.
PCH(플랫폼 컨트롤러 허브)부(141)는 상술한 음향 처리부(140)의 일 구성으로, 블루투스 통신부(112)를 통해 출력된 디지털 방식의 음향 데이터를 오디오 코덱부(143)에 전달한다.
오디오 코덱부(143)는 상술한 음향 처리부(140)의 일 구성으로, 블루투스 통신부(112)를 통해 출력된 디지털 방식의 음향 데이터를 PCH부를 통하여 전달받으며, 전달받음 음향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여 스피커(150)로 출력한다. 오디오 코덱의 기술은 일반적인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오디오 앰프부(145)는 상술한 음향 처리부(140)의 일 구성으로, 블루투스 통신부(112)를 통해 출력된 아날로그 방식의 음향 데이터를 증폭하여 스피커(150)로 출력한다. 이러한 오디오 앰프부(145)는 전자 장치(100)가 부팅되지 않은 상태에서만 동작하고, 전자 장치(100)가 부팅된 상태에서는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되고,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노말 모드인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노말 모드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운영체제에 의하여 제어된다. 이때, 외부 장치로부터 블루투스 방식의 연결이 요청되면, 블루투스 통신부(112)는 제어부(160)에 외부 장치의 블루투스 연결이 요청되었음을 통지하고, 제어부(160)는 블루투스 연결이 요청되었음이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외부 장치로부터 블루투스 연결이 요청되면, 제어부(160)는 기저장된 정보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외부 기기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외부 기기로부터 음향 데이터가 수신되도록 블루투스 통신부(112)를 제어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부(112)에서 외부 장치로부터 음향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어부(160)는 수신된 음향 데이터가 오디오 코덱부에서 디코딩되도록 블루투스 통신부(112), PCH부(141), 오디오 코덱부(143)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디코딩된 음향 데이터가 스피커에서 출력되도록 오디오 코덱부(143) 및 스피커(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되고,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비부팅 모드인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비부팅 모드인 경우, PCH부(141), 오디오 코덱부(143) 및, 제어부(160) 등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이고, 블루투스 통신부(112) 및 오디오 앰프부(145)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블루투스 통신부(112)는 외부 기기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모드로만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블루투스 통신부(112)는 외부 기기의 요청에 의하여 외부 기기와 페어링되며, 페어링된 외부 기기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블루투스 통신부(112)는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아날로그 방식의 음향 데이터를 오디오 증폭부(145)로 출력한다. 아날로그 방식의 음향 데이터를 수신한 오디오 증폭부(145)는 수신된 아날로그 방식의 음향 데이터를 증폭하여 스피커(150)에 출력한다.
도 4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음향 처리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제2 실시 예는 두 개의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한 전자 장치의 구현 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스위치(111'), 제1 블루투스 통신부(112-1), 제2 블루투스 통신부(112-2), PCH부(141), 오디오 코덱부(143), 오디오 앰프부(145) 및 스피커(150)로 구성된다.
제2 스위치(111')는 선택적으로 오디오 코덱부(143) 또는 오디오 앰프부(145)에서 전달되는 음향 데이터를 스피커(150)로 출력한다. 한편, 전자 장치(100)가 비부팅 모드인 경우, 제2 스위치(111')는 오디오 앰프부(145)에서 전달되는 음향 데이터를 스피커(150)로 전달하고, 전자 장치(100)가 노말 모드인 경우, 제2 제어부(111')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오디오 코덱부(143) 또는 오디오 앰프부(145)에서 전달되는 음향 데이터를 스피커(150)로 출력한다.
제1 블루투스 통신부(112-1)는 외부 기기와 블루투스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통신부(112-1)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노멀 모드인 경우에 동작하며, 외부 기기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디지털 방식으로 PCH부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비부팅 모드인 경우, 제1 블루투스 통신부(112-1)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PCH(플랫폼 컨트롤러 허브)부(141)는 상술한 음향 처리부(140)의 일 구성으로, 제1 블루투스 통신부(112-1)를 통해 출력된 디지털 방식의 음향 데이터를 오디오 코덱부(143)에 전달한다.
그리고 PCH부(141)는 제2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PCH부(141)는 사용자의 제어 또는 제1 블루투스 통신부 및 제2 블루투스 통신부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제2 스위치(11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블루투스 통신부를 통해서만 음향 데이터가 수신되면, PCH부(141)는 오디오 앰프부(145)에서 출력 신호가 스피커(150)로 전달되도록 제2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 블루투스 통신부를 통해서만 음향 데이터가 수신되면, PCH부(141)는 오디오 코덱부(143)의 출력 신호가 스피커(150)로 전달되도록 제2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오디오 코덱부(143)는 상술한 음향 처리부(140)의 일 구성으로, 제1 블루투스 통신부(112)를 통해 출력된 디지털 방식의 음향 데이터를 PCH부(141)를 통하여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음향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여 스피커(150)로 출력한다.
제2 블루투스 통신부(112-2)는 외부 기기로부터 블루투스 방식으로 음향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2 블루투스 통신부(112)는 외부 기기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아날로그 방식의 음향 데이터를 오디오 앰프부(145)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블루투스 통신부는 외부로부터 데이터만을 수신하는 수신 전용의 블루투스 통신모듈일 수 있다.
오디오 앰프부(145)는 상술한 음향 처리부(140)의 일 구성으로, 제2 블루투스 통신부(112-2)를 통해 출력된 아날로그 방식의 음향 데이터를 증폭하여 스피커(150)로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되고,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노말 모드인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노말 모드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운영체제에 의하여 제어된다. 이때, 외부 장치로부터 블루투스 방식의 연결이 요청되면, 제1 블루투스 통신부(112-1) 또는 제2 블루투스 통신부(112-2)는 제어부(160)에 외부 장치의 블루투스 연결이 요청되었음을 통지하고, 제어부(160)는 블루투스 연결이 요청되었음이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외부 장치로부터 블루투스 연결이 요청되면, 제어부(160)는 기저장된 정보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외부 기기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외부 기기로부터 어떠한 블루투스 통신부가 음향 데이터를 수신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정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우선적으로 제2 블루투스 통신부(112-2)가 연결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통신을 수행할 블루투스 통신부가 결정되면, 제어부(160)는 결정된 블루투스 통신부가 음향 데이터를 수신되도록 블루투스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2 블루투스 통신부가 선택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제2 블루투스 통신부(112-2)에서 외부 장치로부터 음향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어부(160)는 수신된 음향 데이터가 오디오 코덱부(143)에서 디코딩되도록 블루투스 통신부(112), PCH부(141), 오디오 코덱부(143)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디코딩된 음향 데이터가 스피커에서 출력되도록 오디오 코덱부(143) 및 스피커(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되고,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비부팅 모드인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비부팅 모드인 경우, PCH부(141), 오디오 코덱부(143) 및, 제어부(160) 등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이고, 제2 블루투스 통신부(112-2) 및 오디오 앰프부(145)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2 블루투스 통신부(112-2)는 외부 기기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모드로만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블루투스 통신부(112-2)는 외부 기기의 요청에 의하여 외부 기기와 페어링되며, 페어링된 외부 기기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제2 블루투스 통신부(112-2)는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아날로그 방식의 음향 데이터를 오디오 증폭부(145)로 출력한다. 아날로그 방식의 음향 데이터를 수신한 오디오 증폭부(145)는 수신된 아날로그 방식의 음향 데이터를 증폭하여 스피커(150)에 출력한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설명함에 있어서, PCH부(141)가 음향 처리부(140)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PCH부는 제어부의 일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블루투스 통신부와 음향 처리부를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 하였지만,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블루투스 방식으로 연결을 요청받는다(S510).
블루투스 방식으로 연결이 요청되면, 전자 장치(100)는 현재의 동작 모드를 감지하고(S520), 요청된 연결이 음향 데이터의 출력인지를 판단한다(S530).
판단 결과, 현재의 동작 모드가 비부팅 모드이고, 요청된 연결이 음향 데이터의 출력이 아니면, 외부 장치의 요청을 거부한다.
반면에 현재의 동작 모드가 비부팅 모드이고, 요청된 연결이 음향 데이터의 출력이면, 외부 장치의 요청을 수락한다. 한편, 현재의 동작 모드가 부팅 모드이고, 요청된 연결이 음향 데이터의 출력이 아니면, 운영체제의 제어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요청된 연결이 음향 데이터의 출력이면,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처리한다(S540). 구체적으로, 현재 동작 모드가 비부팅 모드이면, 수신 전용의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음향 데이터를 처리하고, 현재의 동작 모드가 부팅 모드이면, 운영체제의 제어에 의하여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처리한다.
한편, 음향 데이터가 처리되면, 처리된 음향 데이터를 스피커로 출력한다(S550).
이상과 같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방법은, 전자 장치(100)가 부팅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독자적으로 동작하는 블루투스 통신부 및 음향 처리부를 이용하여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도 5와 같은 음향 출력 방법은 도 2 의 구성을 가지는 전자 장치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전자 장치상에서도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복수의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경우의 음향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판단한다(S605).
판단 결과, 현재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비부팅 모드인 경우에, 수신 전용의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와 연결을 수행한다(S610). 그리고 전용의 블루투스 모듈은 수신된 음향 데이터에 대한 음향 처리를 수행하여 스피커로 출력한다.
판단 결과, 현재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운영체제가 부팅된 상태인 노멀 모드이면(S615), 내장된 블루투스 모듈은 온되어 있는 상태인바(S620), 내장된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와 연결을 수행한다(S625).
한편,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노멀 모드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4가지 상태로 연결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모드(S635)는 스피커가 음향을 출력하지 않는 모드이고, 제2 모드(S640)는 내장된 블루투스 모듈(상술한 제1 블루투스 통신부)을 통하여 수신된 음향 데이터가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모드이고, 제3 모드(S650)는 수신 전용의 블루투스 모듈(상술한 제2 블루투스 통신부)을 통하여 수신된 음향 데이터가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모드이고, 제4 모드(S645)는 수신 전용의 블루투스 모듈을 통하여 수신된 음향 데이터가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고, 전자 장치(100)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가 내장된 블루투스 통신부를 통하여 다른 외부 장치에 전달되도록 하는 모드이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그립이 감지되면, 가상 베젤 영역이 표시하고, 가상 베젤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를 이용하지 않는바, 사용자의 그립에 대한 터치 스크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3과 같은 제어 방법은 도 2 의 구성을 가지는 전자 장치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전자 장치상에서도 실행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10: 통신 인터페이스부
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30: 저장부
140: 음향 처리부 150: 스피커
160: 제어부

Claims (17)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운영체제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운영체제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부팅을 수행하는 제어부;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블루투스 방식으로 외부 장치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스피커에 출력하는 음향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루투스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음향 처리부 및 상기 스피커는 상기 전자 장치가 부팅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블루투스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전자 장치가 부팅된 상태이면, 상기 수신된 음향 데이터에 대응되는 디지털 신호를 상기 음향 처리부에 전달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부팅된 상태가 아니면, 상기 수신된 음향 데이터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음향 처리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전자 장치가 부팅된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디지털 방식으로 상기 음향 처리부에 전달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부팅된 상태가 아니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 없이 상기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상기 음향 처리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처리부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전달된 음향 데이터에 대한 증폭을 수행하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오디오 앰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앰프부는,
    상기 전자 장치가 부팅되지 않은 상태에서만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처리부는,
    디지털 방식으로 전달된 음향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오디오 코덱부; 및
    상기 블루투스 통신 인터페이스에서 출력된 음향 데이터를 상기 오디오 코덱부로 전달하는 PCH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코덱부는,
    상기 전자 장치가 부팅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음향 처리부에 전달하는 중에 상기 전자 장치가 부팅되면, 상기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디지털 방식으로 음향 처리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부팅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블루투스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오디오 앰프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저장부에는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전자 장치가 부팅된 상태에서만 동작하며, 블루투스 방식으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블루투스 통신부; 및
    블루투스 방식으로 외부 장치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상기 음향 처리부에 전달하는 제2 블루투스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부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디지털 방식으로 상기 음향 처리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동작하며,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동작하거나 상기 제어부의 제어가 없는 경우에도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처리부는,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부를 통하여 전달된 음향 데이터에 대한 증폭을 수행하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오디오 앰프부;
    상기 전자 장치가 부팅된 상태에서 동작하며, 디지털 방식으로 전달된 음향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오디오 코덱부; 및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부에서 출력된 음향 데이터를 상기 오디오 코덱부로 전달하는 PCH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처리부는,
    상기 오디오 앰프부 또는 상기 오디오 코덱부에서 출력되는 음향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상기 스피커에 전달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부가 외부 장치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음원 데이터가 제2 외부 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부팅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부 및 오디오 앰프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어부, 상기 저장부,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부, 상기 오디오 코덱부 및 상기 PCH부 에는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올인원 PC 또는 노트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130052094A 2013-05-08 2013-05-08 전자 장치 KR102121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094A KR102121382B1 (ko) 2013-05-08 2013-05-08 전자 장치
EP14153178.0A EP2801904B1 (en) 2013-05-08 2014-01-30 An electronic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4/188,962 US9313571B2 (en) 2013-05-08 2014-02-25 Electronic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410083573.5A CN104142809B (zh) 2013-05-08 2014-03-07 电子装置和控制电子装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094A KR102121382B1 (ko) 2013-05-08 2013-05-08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625A KR20140132625A (ko) 2014-11-18
KR102121382B1 true KR102121382B1 (ko) 2020-06-10

Family

ID=50064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2094A KR102121382B1 (ko) 2013-05-08 2013-05-08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13571B2 (ko)
EP (1) EP2801904B1 (ko)
KR (1) KR102121382B1 (ko)
CN (1) CN1041428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74959B2 (en) * 2010-06-28 2014-03-18 Intel Corporation Dynamic bezel for a mobile device
KR102325338B1 (ko) * 2014-12-05 2021-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오디오 장치 및 전원 제어 방법
US10445055B2 (en) * 2014-12-23 2019-10-1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udio output device and audio output system comprising same
KR102428712B1 (ko) 2017-11-24 2022-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JP6767015B2 (ja) * 2018-08-30 2020-10-14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電子錠制御装置、電子錠制御システム、電子錠制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4029711A1 (ko) * 2022-08-04 2024-0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에 포함된 오디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82471A1 (en) * 2006-06-01 2007-12-06 Integrated System Solution Corp. Bluetooth audio chip with multiple input/output sources
US20110129104A1 (en) * 2009-11-30 2011-06-02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54804B2 (en) * 1998-03-26 2005-10-11 Micro, Inc. Controll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6226237B1 (en) * 1998-03-26 2001-05-01 O2 Micro International Ltd. Low power CD-ROM player for portable computer
JP2003523571A (ja) * 2000-02-15 2003-08-05 オーツー・マイクロ・インク ポータブル電子機器のオーディオコントローラ
TWI221230B (en) * 2003-10-21 2004-09-21 Compal Electronics Inc Multi-mode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1011384B1 (ko) * 2004-03-31 2011-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리시버에서의 외부기기 전원 제어장치
US8340721B2 (en) * 2008-03-19 2012-12-25 Google Inc. Notebook computer and cell phone assembly
JP4881425B2 (ja) * 2009-11-30 2012-02-22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KR20110073691A (ko) * 2009-12-24 2011-06-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블루투스 모듈에 구비된 마이크 입력부를 이용한 보이스 레코딩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881428B2 (ja) * 2009-12-25 2012-02-22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JP4929346B2 (ja) * 2009-12-28 2012-05-09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JP4881447B2 (ja) * 2010-01-29 2012-02-22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及び音声信号増幅方法
JP2011233973A (ja) * 2010-04-23 2011-11-17 Toshiba Corp 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82471A1 (en) * 2006-06-01 2007-12-06 Integrated System Solution Corp. Bluetooth audio chip with multiple input/output sources
US20110129104A1 (en) * 2009-11-30 2011-06-02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42809A (zh) 2014-11-12
KR20140132625A (ko) 2014-11-18
US9313571B2 (en) 2016-04-12
EP2801904A2 (en) 2014-11-12
EP2801904B1 (en) 2019-10-23
CN104142809B (zh) 2018-08-24
EP2801904A3 (en) 2016-01-06
US20140334636A1 (en) 2014-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1382B1 (ko) 전자 장치
US20180324486A1 (en) Method for outputting audio and electronic device for the same
KR102275033B1 (ko)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606544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display apparatus
KR102182417B1 (ko) 데이터 공유 방법 및 단말기
WO20151546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voking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WO2015078145A1 (zh) 放大显示字体的方法和装置
US9954505B2 (en) Audio output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20130343574A1 (en) Enhanced Audio Component In Streamed Media
CN107145331B (zh) 一种充电及音频数据处理的方法及终端
US20160086611A1 (en) Music reproducing apparatus
KR102226798B1 (ko) 전자 장치
KR20160112236A (ko) 전원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2460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anning access points in a portable terminal
US8478979B2 (en) Disable a feature of a computing machine
CN107291415B (zh) 一种充电及音频数据处理的方法及终端
CN106537933B (zh) 便携式扬声器
US791723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ound output method
CN110336918B (zh) 亮屏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JP2011118453A (ja) 電子機器、及び機能設定データ設定方法
US20190172460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236771B2 (ja) 通信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60041282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16032130A (ja) 表示装置、本体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JP6493483B2 (ja) 通信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