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845B1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 delivery address using internet of thing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 delivery address using internet of th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845B1
KR102116845B1 KR1020180101693A KR20180101693A KR102116845B1 KR 102116845 B1 KR102116845 B1 KR 102116845B1 KR 1020180101693 A KR1020180101693 A KR 1020180101693A KR 20180101693 A KR20180101693 A KR 20180101693A KR 102116845 B1 KR102116845 B1 KR 102116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internet
things
i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6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27082A (en
Inventor
이규남
조동진
정재욱
Original Assignee
(주)피플인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플인소프트 filed Critical (주)피플인소프트
Priority to KR1020180101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845B1/en
Publication of KR20200027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0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8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위치 기반 배송주소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물인터넷 위치를 목적지로 하는 주문자의 주문정보를 포함하여 배송을 관리하는 배송관리 서버; 상기 주문자가 지정한 사물인터넷의 고유식별자를 이용하여 집하와 배송의 목적지로 주소로 변환 및 생성하는 사물인터넷 위치조회 서버; 및 상기 배송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사물인터넷 위치조회 서버를 이용하여 변환 및 생성된 위치정보를 배송원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표시부;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위치 기반 배송주소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net-based location-based delivery address, and includes a delivery management server that manages delivery, including order information of an orderer who targets the loc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An IoT location lookup server that converts and generates an address to a destination of collection and delivery using a unique identifier of the IoT designated by the orderer; And a location display unit that enables a delivery agent to use the location information converted and generated by using the IoT location lookup server from the delivery management server.

Description

사물인터넷 위치 기반 배송주소 제공 시스템과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 DELIVERY ADDRESS USING INTERNET OF THING}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delivery address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 DELIVERY ADDRESS USING INTERNET OF THING}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위치 기반 배송주소 제공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집배송 주소를 입력하지 않고, 송하인 측 사물인터넷을 집하지 위치로 입력하고, 수하인 측 사물인터넷을 배송지 위치로 입력하여 택배 배송이 집하지와 배송지 사물인터넷의 위치를 기반으로 집배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사물인터넷 위치 기반 배송주소 제공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net-based location-based delivery address, and more specifically, without inputting a home delivery address, inputting the sender's Internet of Things as a home location, and inputting the recipient's Internet of Things as a delivery loca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delivery address based on an Internet of Things (IoT) where courier delivery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and the loc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최근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은 사물간 네트워크가 가능한 사물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 기술로 확대되고 있다. 사물인터넷은 사물에 무선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네트워크 기능을 포함함으로써, 각종 사물간 정보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사물간의 연결 기술이다. 스마트폰을 비롯한 각종 모바일 장비, TV 또는 냉장고와 같은 가전제품, 감시카메라(CCTV) 작게는 각종 센서 장치 등이 이러한 사물인터넷의 사물에 해당한다. 특히, 무인드론이나 무인자동차는 무인택배배송을 실현할 수 있는 기술 및 사업으로써 주목받고 있다.Recently, the development of network technology has been expanded to the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which enables network between objects. The Internet of Things is a connection technology between objects that enables information communication between various objects by including a network function that enables wireless Internet connection to the objects. Various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home appliances such as TVs or refrigerators, and surveillance cameras (CCTVs), and various sensor devices, are objects of the Internet of Things. In particular, unmanned drones and unmanned vehicle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 technology and business that can realize unmanned courier delivery.

그러나 이와 같은 사물인터넷 기술을 이용해 택배업무를 수행하는 방법이나 운영시스템에 대해서는 제안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However, there has been no proposal for a method or an operating system to perform a courier service using IoT technology.

따라서 사물인터넷을 수발신자 위치로 사용하여, 택배를 운송을 위한 위치정보를 판별하고, 택배를 지정된 사물인터넷의 위치에 배송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되는 바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that uses the Internet of Things as the location of the recipient, determines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transporting the courier, and delivers the courier to the location of the designated Internet of Thing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55314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1855314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집배송 주소를 입력하지 않고, 송하인 측 사물인터넷을 집하지 위치로 입력하고, 수하인 측 사물인터넷을 배송지 위치로 입력하여 택배 배송이 집하지와 배송지 사물인터넷의 위치를 기반으로 집배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사물인터넷 위치 기반 배송주소 제공 시스템과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urpose of which is to enter the home delivery address, enter the sender's Internet of Things into the home location, and enter the recipient's Internet of Things into the delivery location to ensure courier deliver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delivery address based on an Internet of Things (IoT) location where delivery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and the loc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물인터넷 위치를 목적지로 하는 주문자의 주문정보를 포함하여 배송을 관리하는 배송관리 서버; 상기 주문자가 지정한 사물인터넷의 고유식별자를 이용하여 집하와 배송의 목적지로 주소로 변환 및 생성하는 사물인터넷 위치조회 서버; 및 상기 배송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사물인터넷 위치조회 서버를 이용하여 변환 및 생성된 위치정보를 배송원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표시부;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위치 기반 배송주소 제공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delivery management server that manages delivery including order information of an orderer who targets an IoT location; An IoT location lookup server that converts and generates an address to a destination of collection and delivery using a unique identifier of the IoT designated by the orderer; And a location display unit that enables a delivery source to use the location information converted and generated using the IoT location lookup server from the delivery management server. An IoT location-based delivery address providing system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주문자가 주문시에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위치정보로써 사물인터넷의 위치를 검색 및 선택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사물인터넷의 고유식별자 정보를 사물인터넷의 위치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사물인터넷의 위치정보를 배송원이 인식할 수 있는 주소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주소정보와 함께 배송주문정보를 배송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주소정보를 배송원의 단말기에서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위치 기반 배송주소 제공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derer searches and selects and stores the loc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a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der and the recipient at the time of ordering; Converting the stored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into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Conver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into address information recognizable by a delivery agent; Transmitting delivery order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converted address information to a delivery source terminal; And activating the transmitted address information at a terminal of a delivery source; a method for providing a delivery address based on an IoT location may be provided.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택배의 수발신지로써 사물인터넷의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위치정보로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개인의 정보를 저장하면서 발생될 수 있는 개인정보 유출의 문제가 없고, 주소가 적힌 송장을 사용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개인정보 노출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utilizing a system that can be used as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as a recipient of courier, there is no problem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that can occur while storing personal information, address It has the effect of fundamentally solving the problem of discl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that may be caused by using the invoice written.

또한,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환경이 우리사회에 보편화되면, 검색 가능한 모든 사물인터넷을 고유의 주소로 사용할 수 있고, 생활 주변의 사물인터넷을 이용하여 물품의 집배송 위치정보로 활용할 수 있고, 무인드론을 이용한 택배시스템이나 자율주행 자동차를 이용한 물류 배송의 경우에도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물의 위치를 무인장치가 연결하여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위치로 직접 배송하게 함으로써 첨단 물류 시스템을 활성화 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is universalized in our society, all searchable Internet of Things can be used as a unique address, and by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around life, it can be used as location information for home delivery of goods, and unmanned drones. In the case of logistics delivery using a courier system or autonomous driving vehicle, an unmanned device connects the location of an object connected to the network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check location information and activates the advanced logistics system by direct delivery to the location. It has an effect that can contribute to.

또한,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을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 장치까지 이동성이 있는 사물인터넷의 고유식별자를 위치정보로 사용할 경우, 개인의 위치에 관계없이 무인배송장치에 의한 실시간 위치 추적에 의해 물품을 배송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deliver goods by real-time location tracking by an unmanned delivery device regardless of an individual's location when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as a unique identifier of the Internet of Things that is mobile to a smartphone or a wearable device. It has an effect that can be presented as a new method.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위치기반 배송주소 제공 방법의 개념 모델.
도 1b는 도 1a의 사물인터넷의 위치를 검색 및 선택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c는 도 1a의 위치정보로 변환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위치기반 배송주소 제공 시스템 구성 블록도.
도 3a는 도 2의 배송관리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3b는 도 3a의 고유식별자 검색입력부를 설명하는 블록도.
도 3c는 3a의 고유식별자 저장부를 설명하는 블록도.
도 3d는 3a의 위치정보 변환부를 설명하는 블록도.
도 4는 도 2의 사물인터넷 위치조회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5는 도 2의 위치정보 표시부를 설명하는 블록도.
1A is a conceptual model of a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net location-based delivery add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B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steps of searching and selecting the location of the IoT in FIG. 1A.
Figure 1c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step of convert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Figure 1a.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a delivery address based on an IoT lo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elivery management server of Figure 2;
3B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unique identifier search input unit of FIG. 3A.
Figure 3c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unique identifier storage unit of 3a.
3D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conversion unit of 3A.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oT location lookup server of FIG. 2.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of FIG. 2.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or the sake of brevity of the description of the already well-known technical parts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도 1a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위치기반 배송주소 제공 방법의 개념 모델로써, 도 1a을 참조하여, 주문자가 지정한 사물인터넷의 정보가 배송원에게 어떤 흐름으로 주소정보로 전개되는지에 대해 설명한다.1A is a conceptual model of an IoT location-based delivery address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with reference to FIG. 1A, it will be described how the information of the IoT specified by the orderer is developed as address information to a delivery agent.

먼저, 주문자(1)는 물품의 집하(보내는 사람)와 배송지(받는 사람)의 위치정보로 사용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2)을 검색 및 선택한다.(s10)First, the orderer 1 searches for and selects the Internet of Things 2 that can be used as location information of a collection (sender) and a delivery destination (recipient) of an item. (S10)

이때, 상기 검색된 사물인터넷(2)의 고유식별자 정보는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주소정보를 대신하여 저장된다.At this time, the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retrieved Internet of Things 2 is stored in place of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sender and the recipient.

도 1b는 도 1a의 사물인터넷의 위치를 검색 및 선택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로써, 도 1b를 참조하면, 주문자가 주문에 관한 일반적인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11)를 수행한다.FIG. 1B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steps of searching and selecting the loc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of FIG. 1A. Referring to FIG. 1B, an orderer performs a step (s11) of inputting general information about an order.

그리고, 집하와 배송의 목적지로 위치정보를 입력하는데, 이때 사물인터넷을 목적지 위치정보로 검색단계(s12)를 수행한다.T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input to the destinations of the collection and delivery. At this time, the Internet of Things (S12) is performed as the destination location information.

이때, 주문자가 목적지 사물인터넷의 고유식별자를 이미 알고 있는지를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13)를 수행하고, 주문자가 목적지 사물인터넷의 고유식별자를 이미 알고 있는 경우라면, 고유식별자 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단계(s14)를 수행 한 후, 입력한 고유식별자에 해당하는 목적지 사물인터넷을 선택하는 단계(s16)를 수행한다.At this time, performing a step (s13) of determining whether the orderer already knows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destination IoT, and if the orderer already knows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destination IoT, directly inputting the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After performing (s14), a step (s16) of selecting a destination IoT corresponding to the input unique identifier is performed.

만약, 주문자가 목적지 사물인터넷의 고유식별자를 모른다면, 주변의 사물인터넷을 검색하는 단계(s15) 이후, 검색된 사물인터넷 중 하나를 선택해서 목적지 사물인터넷을 선택하는 단계(s16)를 수행한다.If the orderer does not know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destination IoT, after the step of searching the surrounding IoT (s15), a step (s16) of selecting the destination IoT by selecting one of the found IoTs is performed.

이렇게 선택된 목적지 사물인터넷의 고유식별자 정보는 집배송의 목적지 위치정보로 주문정보와 함께 입력 처리되는 단계(s17)를 수행한다.The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selected destination IoT is input and processed along with the order information as the destin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home delivery (s17).

이때 사물인터넷을 선택하는 단계(s16)는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으로 구분하여 상기 선택된 사물인터넷의 고유식별자를 상기 주문정보에 포함하여 입력한다.At this time, the step of selecting the Internet of Things (s16) is divided into a sender and a recipient,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of the selected IoT is included in the order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사물인터넷(2)의 고유식별자 정보를 사물인터넷(2)의 위치정보로 변환한다.(s20)Then, the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2 is converted into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2 (s20).

도 1c는 도 1a의 위치정보로 변환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로써, 도 1c를 참조하면, 도 1b의 주문정보로부터 사물인터넷 고유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21)를 수행한다.FIG. 1C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 of converting to location information of FIG. 1A, and referring to FIG. 1C, a step (s21) of extracting unique Io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order information of FIG. 1B is performed.

이후, 추출된 고유식별정보가 사물인터넷의 이동성 특징에 따라 위치 고정형과 위치 이동형으로 구분하기 위해 사물인터넷 위치정보 목록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22)를 수행한다.Thereafter, in step S2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xtracte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present in the IoT location information list in order to classify it into a location fixed type and a location movement type according to the mo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IoT.

이후, 추출된 고유식별정보가 사물인터넷 위치정보 목록에 존재하는 경우, 위치 고정형으로 판단하고 목록에서 사물인터넷의 위치정보를 조회하는 단계(s23) 및 조회된 사물인터넷의 주소정보를 선택하는 단계(s24)를 수행한다.Subsequently, if the extracte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ists in the IoT location information list, determining that the location is fixed and inqui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in the list (s23) and selecting the retrieved Internet address information ( s24).

이때, 추출된 고유식별정보가 사물인터넷 위치정보 목록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라면, 사물인터넷의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s25) 및 위치 추적한 사물인터넷의 위치정보를 주소정보로 변환하는 단계(s26)를 수행한 후, 사물인터넷의 주소정보를 선택하는 단계(s24)를 수행한다.At this time, if the extracte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oes not exist in the IoT location information list,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s25) and conver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ocation-tracked Internet of Things into address information (s26). After performing the operation, step S24 of selecting address inform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is performed.

사물인터넷의 특성에 기인하여 해당 사물인터넷의 위치정보가 이미 목록에 구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국가적으로 주요 공공 사물인터넷에 주소를 부여하고 이를 공개하고 사용하는 경우이다. 또한, 무인택배함과 같은 위치 고정형 사물인터넷은 이미 위치가 고정되어 주소정보가 확정적이기 때문에 위치정보를 목록화하고, 목적지 사물인터넷 위치정보에 대한 요청이 있을 경우, 기존 목록에서 검색에 의해 주소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et of Thing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may already be built in the list. This is the case when the major public Internet of Things is given an address in the country, and it is disclosed and used. In addition, location-type IoT, such as unmanned delivery boxes, already has a fixed location, so the address information is definitive, so the location information is cataloged. If a request for destination IoT location information is requested, the address information is searched from the existing list. Can decide.

자동차나 스마트폰처럼 한 장소에 고정되지 않는 이동형 사물인터넷은 위치정보가 실시간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이동형 사물인터넷 위치 실시간 조회를 통해 주소의 위치정보가 결정된다. Since th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changed in real time in a mobile IoT that is not fixed in one place, such as a car or a smartphon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ddress is determined through real-time inquiry of the mobile IoT location.

이는 해당 사물인터넷의 고유식별자 특징에 따라 GPS 수신장치에 의한 위치정보 처리부, 이동통신 위치정보 처리부를 이용하여 목적지 사물인터넷의 실시간 위치정보 생성이 가능하다. It is possible to generat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IoT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by the GPS receiver according to the unique identifier characteristics of the IoT.

이때, 사물인터넷(2)의 고유식별자가 IP 주소라면,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이나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LTE와 같은 모바일 통신망, WiFi 통신망 등의 중계기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Internet of Things 2 is an IP address, a repeater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or a wide area network (WA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or LTE, and a WiFi communication network are used. Location information.

사물인터넷(2)의 고유식별자가 GPS 수신기 장치라면, GPS의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내에 존재하는 사물인터넷라면, 비컨을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f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Internet of Things 2 is a GPS receiver device, location information of GPS can be generated. If the Internet of Things exists indoors, location information can be obtained using a beacon.

지정된 사물인터넷의 위치정보는 위도와 경도처럼 좌표로서 표현되며, 이를 사람이 인식 가능한 주소 체계로 변환하기 위해 주소정보 변환 단계(s30)를 수행하여 사물인터넷 주소정보로 변환 및 생성한다.The specifi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is expressed as coordinates such as latitude and longitude, and it is converted and generated into Internet of Things address information by performing an address information conversion step (s30) to convert it into a human-recognizable address system.

이러한 주소정보는 배송원(3)에게 전송되어 물품을 배송하는 목적지 주소로 사용되고(s40), 상기 전송된 주소정보는 배송원의 단말기에서 활성화되어 활자나 지도, 그래픽 형태로 제공된다.(s50)This addres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delivery agent 3 and used as a destination address for delivering the goods (s40), and the transmitted address information is activated in a terminal of the delivery agent and provided in a letter, map, or graphic form. (S50)

상기 활성화단계(s50)는 송신된 위치정보를 주소로써 표시하는 것과 위치정보와 주소를 지도에 그래픽으로 표현할 수 있다.In the activating step (s50), the transmitted location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as an address,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address can be graphically represented on a map.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위치기반 배송주소 제공 시스템 구성 블록도로써,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 위치기반 배송주소 제공 시스템은, 주문자로부터 집하와 배송 목적지로 지정된 사물인터넷을 포함하는 주문정보를 관리하는 배송관리 서버(110)와; 주문자가 지정한 사물인터넷으로부터 사람이 인식 가능한 주소정보로 변환 또는 생성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위치조회 서버(120)와; 지정된 목적지 사물인터넷 주소를 검색할 수 있도록 배송원이 사용할 수 있는 위치표시부(130);로 구성된다.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IoT location-based delivery address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IoT location-based delivery address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rnet of Things designated as a collection and delivery destination from an orderer. Delivery management server 110 for managing the order information including; An IoT location inquiry server 120 capable of converting or generating from the Internet of Things specified by the orderer into address information recognizable by a person; It consists of; a location display unit 130 that can be used by a delivery agent to search for a designated destination IoT address.

상기 배송관리 서버(110)와 사물인터넷 위치조회 서버(120)는 하나의 서버이거나 분리된 서버일 수 있다.The delivery management server 110 and the IoT location inquiry server 120 may be one server or a separate server.

배송관리 서버(110)에 저장된 주문자의 주문 정보는, 지정된 사물인터넷의 고유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며, 사물인터넷 위치조회 서버(120)로부터 변환된 사물인터넷의 실제 주소 정보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The order information of the orderer stored in the delivery management server 110 may include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designated Internet of Things, and may also include real address inform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converted from the IoT location inquiry server 120.

배송관리 서버(110)는 택배의 주문과 배송을 관리하면서 택배와 관련된 일련의 정보 처리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택배시스템의 하부 기능 일 수 있다.The delivery management server 110 may be a sub-function of the courier system that provides a series of information processing and services related to the courier while managing orders and delivery of the courier.

그리고, 배송원을 위한 위치표시부(130)는 배송원이 사용하는 스마트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앱의 형태로써, 배송과 관련된 일련의 정보를 제공하는 앱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기능으로써, 집하와 배송지 위치를 표시하는 주소 표시 이거나, 지도서비스와 연계하여 지도상에 위치를 표기하거나 경로로서 위치를 표기할 수 있는 기능이다.In addition, the location display unit 130 for the delivery agent is a form of an app that can be executed on a smartphone used by the delivery person, and as a part of an app application that provides a series of information related to delivery, it displays a collection location and a delivery location. This is a function to mark the location on the map or to mark the location as a route in connection with the map service.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위치기반 배송주소 제공 배송관리 서버 구성 블록도로서,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송관리 서버(110)는, 주문자가 주문시에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위치정보로써 사물인터넷을 선택하여 입력하는 사물인터넷 고유식별자 검색입력부(111)와, 상기 선택된 사물인터넷 고유식별자의 고유식별정보를 상기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위치정보로써 저장 관리하는 사물인터넷 고유식별자 저장부(113)와, 상기 고유식별자 저장부(113)에 저장된 상기 사물인터넷 고유식별자 정보로부터 획득한 사물인터넷의 위치정보를 주소정보로 변환하기 위해 상기 사물인터넷 위치조회 서버(120)와 연계되어 상호작용하는 위치정보 변환부(115)와, 상기 변환된 사물인터넷 위치정보를 집하와 배송을 수행하는 배송원에게 배송주문의 주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주문정보 송신부(117)로 구성된다.Figure 3a is a block diagram of a delivery management server providing an Internet-based location-based delivery add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3a, the delivery management server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location of a sender and a recipient when an orderer places an order. The IoT unique identifier search input unit 111 that selects and inputs the IoT as information, and the IoT unique identifier storage unit that stores and manages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IoT unique identifier a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der and the recipient. (113), and interacts with the IoT location lookup server (120) in order to conver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obtained from the Io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unique ID storage unit (113) into address information. It consists of a location information conversion unit 115 and an order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17 capable of transmitting the mai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order to a delivery person who collects and delivers the converted IoT location information.

도 3b는 도 3a의 고유식별자 검색입력부를 설명하는 블록도로서,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사물인터넷 고유식별자 검색입력부(111)는 상기 주문자가 물품의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위치정보로서 제공할 상기 사물인터넷을 검색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검색부(111a)와, 상기 사물인터넷 검색부(111a)를 이용하여 검색된 상기 사물인터넷을 선택하는 선택부(111b)와, 상기 선택된 사물인터넷을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위치정보로서 확정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111c)를 포함한다.FIG. 3B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unique identifier search input unit of FIG. 3A. Referring to FIG. 3B, the IoT unique identifier search input unit 111 provides the orderer a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der and the recipient of the goods. The IoT search unit 111a capable of searching the Internet of Things, a selection unit 111b for selecting the Internet of Things searched using the IoT search unit 111a, and a person who sends the selected Internet of Things. It includes an input unit 111c capable of confirming and inpu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ipient.

또한, 상기 검색입력부(111)는 주문자가 입력한 사물인터넷의 고유식별자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사전에 목적지 사물인터넷이 위치정보로써의 효용성을 확인할 수 있다.Further, the search input unit 111 may verify the validity of the destination Internet of Things as the location information in advance by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input by the orderer.

도 3c는 3a의 고유식별자 저장부를 설명하는 블록도로서,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사물인터넷 고유식별자 저장부(113)는 상기 주문자가 입력한 상기 사물인터넷의 고유식별자를 전송받아 상기 유효성을 검증하는 사물인터넷 고유식별자 유효성 검증부(113a)를 포함하고, 상기 유효성이 검증된 상기 사물인터넷 고유식별자를 상기 주문자가 입력한 택배주문의 여러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한다.FIG. 3C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unique identifier storage unit of 3A. Referring to FIG. 3C, the IoT unique identifier storage unit 113 receives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IoT inputted by the orderer and verifies the validity. It includes the Internet of things unique identifier validity verification unit (113a), and stores the validity of the Internet of Things unique identifier is associated with various information of the courier order entered by the orderer.

또한, 상기 고유식별자 저장부(113)는 지정된 사물인터넷의 고유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주문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또는 위치정보 변환부(115)를 통해 전달된 주소로 변환된 주소정보가 포함된 주문정보가 데이터베이스(113b)에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ique identifier storage unit 113 may store order information including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designated Internet of Things, or include address information converted to an address transmitted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conversion unit 115. The order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113b.

도 3d는 3a의 위치정보 변환부를 설명하는 블록도로서, 도 3d를 참조하면, 상기 위치정보 변환부(115)는 위치 고정형 사물인터넷의 위치 추적 및 식별이 가능한 고정형 변환부(115a)와, 위치 이동형 사물인터넷의 실시간 위치변경을 추적하며 변환할 수 있는 이동형 변환부(115b)를 포함한다.3d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conversion unit of 3a. Referring to FIG. 3d, the location information conversion unit 115 is a fixed type conversion unit 115a capable of tracking and identifying a location-type IoT. And a mobile conversion unit 115b capable of tracking and converting a real-time location change of the mobile Internet of Thing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위치기반 배송주소 제공을 위한 사물인터넷 위치조회 서버 구성 블록도로써,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 위치조회 서버(120)는 배송관리 서버(110)로부터 사물인터넷 고유식별자 기반으로 위치정보를 변환 또는 생성하도록 요청받는 위치정보 요청 수신부(121)와, 상기 사물인터넷 고유식별자가 고정형 사물인터넷 장치인 경우, 이미 주소로 변환되어 등재되어 있어 있는 목록에서 검색 가능하도록 구비된 고정형 사물인터넷 위치정보 목록(122)과, 상기 사물인터넷 고유식별자가 이동형 사물인터넷 장치인 경우, 위치를 실시간 조회하기 위한 이동형 사물인터넷 위치 실시간 조회부(123)와, 상기 이동형 사물인터넷 위치 실시간 조회를 위해 상기 요청된 사물인터넷의 고유식별자 정보의 특징에 기반하여 위치정보를 추적할 수 있는 GPS 위치정보 처리부(124) 및 이동통신 위치정보 처리부(125)와, 상기 고정형 사물인터넷 위치정보 목록에 기 등재되지 않은 상기 고정형 사물인터넷 고유식별자의 경우 상기 고정형 사물인터넷 위치정보 목록에 등재시킬 수 있는 위치정보 등록 처리부(126)로 구성될 수 있다.4 is a block diagram of an IoT location inquiry server for providing an IoT location-based delivery add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IoT location inquiry server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livery management server 110.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receiving unit 121, which is requested to convert or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a unique IoT identifier from the Internet, and if the IoT unique identifier is a fixed IoT device, it is converted into an address and searched in a list that is already registered A fixed IoT location information list 122 provided to enable the mobile Internet of Things location real-time query unit 123 for real-time querying of a location when the IoT-identifier is a mobile IoT device, and the mobile IoT GPS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24 and mobile communication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25 capable of tracking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quested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IoT for real-time location search, and the fixed Internet location information In the case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of the fixed Internet of Things not listed in the list, the fixed Internet of Things may be configured with a loc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processing unit 126 that can be registered in the fixed Internet of Things location information list.

상기 위치정보 요청 수신부(121)는 배송관리 서버(110)로부터 또는 배송원의 위치표시부(130)로부터 목적지 사물인터넷 고유식별자 정보를 기반으로 주소 위치정보 요청의 수신을 수행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receiving unit 121 receives the address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delivery management server 110 or from the location indicator 130 of the delivery agent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IoT.

이때, 사물인터넷의 특성에 기인하여 해당 사물인터넷의 위치정보가 이미 목록에 구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국가적으로 주요 공공 사물인터넷에 주소를 부여하고 이를 공개하고 사용하는 경우이다.At this tim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et of Thing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may already be built in the list. This is the case when the major public Internet of Things is given an address in the country, and it is disclosed and used.

또한, 무인택배함과 같은 위치 고정형 사물인터넷은 이미 위치가 고정되어 주소정보가 확정적이기 때문에 위치정보를 목록화하고, 목적지 사물인터넷 위치정보에 대한 요청이 있을 경우, 기존 목록에서 검색에 의해 주소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location-type IoT, such as unmanned delivery boxes, already has a fixed location, so the address information is definitive, so the location information is cataloged. If a request for destination IoT location information is requested, the address information is searched from the existing list. Can decide.

자동차나 스마트폰처럼 한 장소에 고정되지 않는 이동형 사물인터넷은 위치정보가 실시간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이동형 사물인터넷 위치 실시간 조회부(123)를 통해 주소의 위치정보가 결정된다.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ddress is determined through the mobile IoT location real-time inquiry unit 123 because th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changed in real time in a mobile IoT that is not fixed in one place, such as a car or a smartphone.

이는 해당 사물인터넷의 고유식별자 특징에 따라 GPS 수신장치에 의한 위치정보 처리부(124), 이동통신 위치정보 처리부(125)를 이용하여 목적지 사물인터넷의 실시간 위치정보 생성이 가능하다. It is possible to generat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IoT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24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25 by the GPS rece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unique identifier characteristic of the IoT.

사물인터넷이 고정형의 특징을 가지지만, 고정형 사물인터넷 위치정보 목록에 등록되지 않았다면, 해당 사물인터넷의 주소 위치정보를 목록에 등재할 수 있으며, 위치정보 등록 처리부(126)를 이용할 수 있다.Although the IoT has a fixed feature, if it is not registered in the fixed IoT location information lis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ddress of the IoT can be registered in the lis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processing unit 126 can be used.

도 5는 도 2의 위치정보 표시부를 설명하는 블록도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위치정보 표시부(130)는 상기 송신된 주문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131)와, 상기 수신부(131)를 통해 수신된 상기 주문정보로부터 보내는 사람 또는 받는 사람의 상기 사물인터넷의 상기 위치정보를 주소정보로 표기하는 주소정보변환 표기부(132)와, 상기 사물인터넷의 위치정보 또는 주소정보를 지도상에 표기하는 위치정보지도 표기부(133)를 포함한다.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of FIG. 2. Referring to FIG. 5, the loca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130 includes a reception unit 131 and the reception unit 131 receiving the transmitted order information. From the order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address information conversion notation unit 132 for display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of the sender or recipient as address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r address inform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is displayed on a map It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map notation unit 133.

상기한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위치기반 택배 집배송 시스템은 주문자가 특정 사물인터넷을 검색 및 등록해야 한다. 사물인터넷 장치는 네트워크에 연동되어야하기 때문에 고유식별자로써 인터넷 프로토콜(IP : Internet Protocol) 주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물인터넷의 고유식별자로써, 장치의 아이디(ID : Identification)일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ID를 타 시스템에서 구분할 수 있도록 상기 아이디에 대한 식별 방법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사물인터넷의 고유식별자로써 스마트폰과 같은 장치는 전화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장치에 GPS 수신장치가 포함되어 있다면, GPS 수신장치가 고유식별자로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사물인터넷 장치가 실내와 같은 위치에 존재할 경우 비컨(Beacon)의 범용 고유식별자(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를 사물인터넷 장치의 고유식별자로 사용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the IoT delivery system based on the IoT location requires the orderer to search for and register a specific IoT. Since the IoT device must be connected to the network, an Internet Protocol (IP) address can be used as a unique identifier. In addition, as a unique identifier of the Internet of Things, it may be an ID (ID) of the device. In this case, an identification method for the ID should be provided to distinguish the ID from other systems. Also, as a unique identifier of the Internet of Things, a device such as a smartphone can use a phone number. If the IoT device includes a GPS receiving device, the GPS receiving device may be included as a unique identifier. In particular, when the IoT device exists in the same location as the indoor, Beacon's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 may be used as a unique identifier of the IoT device.

주문정보에 포함된 사물인터넷의 고유정보는 사람이 인식 가능한 위치정보가 아니기 때문에 사람이 인식 가능한 위치정보로 변경이 필요하다.Since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included in the order information is not human-recognizable location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change it to human-recognizable location information.

사물인터넷의 위치를 검색하는 방법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에 의한 위치탐색이 가능하다. 또한, 네트워크 중계기에 의한 위치탐색이 가능하다. 또한, 비컨(Beacon)에 의한 위치탐색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탐색 기술은 이미 기술적으로 그 효율성이 검증되었다. GPS와 네트워크 중계기, 그리고 비컨에 의한 각각의 방식은 특장점이 존재하며, 따라서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하면 더욱 정확한 위치탐색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국가적으로 공공 사물인터넷에 대한 위치정보 목록 제작을 준비하고 있으며, 이를 사물인터넷의 위치검색 대상으로 포함할 수 있다.As a method of searching for the loc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a location by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Also, it is possible to search the location by a network repeater. Also, location search by beacon can be applied. The efficiency of this location search technology has already been verified. Each method by GPS, network repeater, and beacon has advantages, and if used in a complementary manner, more accurate positioning will be possible. In addition, the country is preparing to produce a list of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public Internet of Things, and it can be included as a target of location search for the Internet of Things.

상기 사물인터넷의 고유식별자 정보를 위치탐색으로 검출하게 되면, 위도와 경도에 해당하는 좌표정보로 변환 가능하다. 이 변환된 위도와 경도 정보는 다시 국가 도로명 주소 체계로 변경 할 수 있다. 또한 국가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법정동 주소 체계와 행정동 주소 체계로도 변환할 수 있다.When the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is detected by location search, it can be converted into coordin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latitude and longitude. The converted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can be changed back to the national road name address system. It can also be converted into the legal and administrative address systems that are officially used in the country.

이렇게 변환된 사물인터넷의 위치 주소는 배송원에게 전달되어 상기 사물의 위치를 주소로써 식별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사물인터넷의 주소로 또는 주소에서 물품을 집배송 할 수 있게 된다.The converted location address of the Internet of Things is transferred to a delivery agent so that the location of the object can be identified as an address, and goods can be delivered to or from the Internet of Things address.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on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Needless to say,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주문자 2:사물인터넷
3:배송원(단말기) 110:배송관리 서버
111:고유식별자 검색입력부 111b:선택부
111c:입력부 113:고유식별자 저장부
113a:유효성 검증부 113b:데이터베이스
115:위치정보 변환부 115a:고정형 변환부
115b:이동형 변환부 117:주문정보 송신부
120:사물인터넷 위치조회 서버 121:위치정보 요청 수신부
122:고정형 사물인터넷 위치정보 목록
123:이동형 사물인터넷 위치 실시간 조회부
124:GPS위치정보 처리부 125:이동통신 위치정보 처리부
126:위치정보 등록 처리부 130:위치정보 표시부
131:수신부 132:주소정보 변환표기부
133:위치정보지도표기부
1: Order 2: Internet of Things
3: Delivery source (terminal) 110: Delivery management server
111: unique identifier search input section 111b: selection section
111c: Input unit 113: Unique identifier storage unit
113a: validity verification unit 113b: database
115: position information conversion unit 115a: fixed type conversion unit
115b: mobile conversion unit 117: order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20: Internet of things location inquiry server 121: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receiving unit
122: fixed IoT location information list
123: Mobile IoT location real-time inquiry unit
124: GPS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25: mobile communication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26: loc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processing unit 130: loca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131: receiving unit 132: address information conversion notation
133: Location information map notation

Claims (14)

집배송 주소를 입력하지 않고, 송하인 측 사물인터넷을 집하지 위치로 입력하고, 수하인 측 사물인터넷을 배송지 위치로 입력하여 택배 배송이 집하지와 배송지 사물인터넷의 위치를 기반으로 집배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사물인터넷 위치 기반 배송주소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물인터넷 검색부(111a)에서 주문자가 물품의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위치정보로서 제공할 사물인터넷을 검색하고, 검색된 사물인터넷을 선택부(111b)에서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사물인터넷을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위치정보로서 주문시 입력할 수 있는 위치정보로 입력하는 입력부(111c)를 포함하는 주문자가 주문시에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위치정보로써 사물인터넷을 선택하여 입력하는 사물인터넷 고유식별자 검색입력부(111)와, 사물인터넷 고유식별자 유효성 검증부(113a)에서 주문자가 입력한 사물인터넷의 고유식별자를 전송받아 사물인터넷 고유식별자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저장하고, 위치정보 변환부(115)를 통해 전달된 주소로 변환된 주소정보가 포함된 주문정보가 주문자가 입력한 택배주문의 여러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113b)를 포함하여 상기 선택된 사물인터넷 고유식별자의 고유식별정보를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위치정보로써 저장하는 사물인터넷 고유식별자 저장부(113)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물인터넷 고유식별자를 사물인터넷의 위치정보로 변환하기 위해 사물인터넷 위치조회 서버(120)와 상호작용하는 위치 고정형 사물인터넷의 위치 추적 및 식별을 위한 고정형 변환부(115a)와 위치 이동형 사물인터넷의 실시간 위치변경을 추적하며 변환하는 이동형 변환부(115b)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변환부(115) 및 상기 변환된 사물인터넷 위치정보를 집하와 배송을 수행하는 배송원에게 배송주문의 주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주문정보 송신부(117)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위치를 목적지로 하는 주문자의 주문정보를 포함하여 배송을 관리하는 배송관리 서버(110);
상기 배송관리 서버(110)로부터 사물인터넷 고유식별자 기반으로 위치정보를 변환 또는 생성하도록 요청받는 위치정보 요청 수신부(121)와 상기 사물인터넷 고유식별자가 고정형 사물인터넷인 경우, 이미 주소로 변환되어 등재되어 있어 있는 목록에서 검색 가능하도록 구비된 고정형 사물인터넷 위치정보 목록(122)과 상기 사물인터넷 고유식별자가 이동형 사물인터넷인 경우, 위치를 실시간 조회하기 위한 이동형 사물인터넷 위치 실시간 조회부(123)와 상기 이동형 사물인터넷 위치 실시간 조회를 위해 상기 요청된 사물인터넷의 고유식별자 정보의 특징에 기반하여 위치정보를 추적할 수 있는 GPS위치정보 처리부(124)와 이동통신 위치정보 처리부(125) 및 상기 고정형 사물인터넷 위치정보 목록에 기 등재되지 않은 고정형 사물인터넷 고유식별자의 경우는 GPS 수신장치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사물인터넷의 고유식별자 정보를 위치탐색으로 검출하게 되면, 위도와 경도에 해당하는 좌표정보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좌표정보는 다시 국가 도로명 주소 체계로 변환하여 상기 고정형 사물인터넷 위치정보 목록(122)에 등재시킬 수 있는 위치정보 등록 처리부(126)를 포함하는 상기 주문자가 지정한 사물인터넷의 고유식별자를 이용하여 집하와 배송의 목적지로 주소로 변환 및 생성하는 사물인터넷 위치조회 서버(120);
상기 송신된 주문정보를 주문정보 수신부(131)에서 수신하고, 수신부(131)를 통해 수신된 상기 주문정보로부터 보내는 사람 또는 받는 사람의 상기 사물인터넷의 상기 위치정보를 주소정보로 표기하는 주소정보변환표기부(132) 및 상기 사물인터넷의 위치정보 또는 주소정보를 지도상에 표기하는 위치정보지도표기부(133)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배송관리 서버(110)로부터 상기 사물인터넷 위치조회 서버(120)를 이용하여 변환 및 생성된 위치정보를 배송원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전송된 주소정보를 배송원의 단말기에 송신된 위치정보를 주소로 표시하거나 위치정보와 주소를 지도에 그래픽으로 표현하는 위치표시부(130);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위치 기반 배송주소 제공 시스템.
By entering the home delivery address, entering the sender's Internet of Things as the home location, and entering the recipient's Internet of Things as the delivery location, courier delivery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home delivery and delivery destination IoT. In the Internet of things location-based delivery address providing system,
In the IoT search unit 111a, the orderer searches the Internet of Things to be provided a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der and the recipient of the goods, and selects the searched Internet of Things in the selector 111b to receive and receive the selected IoT. A unique identifier search input unit 111 for an Internet of Things (IoT) that selects and inputs the Internet of Things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der and the recipient at the time of the order, including the input unit 111c for inpu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hat can be input when ordering. ), And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Internet of Things inputted by the orderer is transmitted from the IoT unique identifier validation unit 113a to verify and store the validity of the IoT unique identifier, and the address delivered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conversion unit 115 The location of the sender and the recipient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Internet of Things Identifier, including a database (113b) in which the order information including the address information converted to is stored in connection with various information of the courier order entered by the orderer The IoT-specific identifier storage unit 113 that stores information as a location, and a fixed-position object that interacts with the IoT location inquiry server 120 to convert the IoT identifi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into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he location information conversion unit 115 and the converted Internet of Things including a fixed conversion unit 115a for location tracking and identification of the Internet and a movable conversion unit 115b for tracking and converting real-time location change of the location-movable IoT Delivery management that manages delivery, including order information of orderers whose destinations are Internet of Things, including an order information transmitter 117 that can transmit key information of delivery orders to a delivery person who collects and delivers location information. Server 110;
If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receiving unit 121 and the Internet of Things unique identifier are requested to convert or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unique identifier from the delivery management server 110, they are already converted to an address and registered. A fixed IoT location information list 122 provided to be searchable in a list that is present and a mobile IoT location real-time query unit 123 and the mobile type for real-time querying of a location when the IoT unique identifier is a mobile IoT GPS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24 and mobile communication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25 that can track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quested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for real-time inquiry of the loc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and the fixed location of IoT In the case of a fixed Internet of Things unique identifier not listed in the information list, when the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is detected by location search using a GPS receiver 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converted into coordin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latitude and longitude. , This converted coordinate information is converted back to the national road name address system,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specified by the orderer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processing unit 126 capable of being registered in the fixed Internet of Things location information list 122 Internet of Things location query server 120 that converts and generates addresses into destinations for collection and delivery using;
Address information conversion for receiving the transmitted order information from the order information receiving unit 131, and display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of the sender or recipient from the order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receiving unit 131 as address information It comprises a notation unit 132 and a location information map notation unit 133 for display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r address inform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on the map, and the IoT location inquiry server (from the delivery management server 110) 120) a location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address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delivery agent as an address or graphically expresse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address on the map so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converted and generated can be used by the delivery agent (130); IoT location-based delivery address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집배송 주소를 입력하지 않고, 송하인 측 사물인터넷을 집하지 위치로 입력하고, 수하인 측 사물인터넷을 배송지 위치로 입력하여 택배 배송이 집하지와 배송지 사물인터넷의 위치를 기반으로 집배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사물인터넷 위치 기반 배송주소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으로 구분하여 선택된 사물인터넷의 고유식별자를 상기 주문정보에 포함하여 입력하는 주문자가 주문에 관한 일반적인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11)와 집하와 배송의 목적지로서 사물인터넷을 목적지 위치정보로 검색하는 단계(s12)와 주문자가 목적지 사물인터넷의 고유식별자를 이미 알고 있는지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13)와 주문자가 목적지 사물인터넷의 고유식별자를 이미 알고 있는 경우, 고유식별자 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단계(s14)와 주문자가 목적지 사물인터넷의 고유식별자를 모르는 경우, 주변의 사물인터넷을 검색하는 단계(s15)를 수행한 후, 검색된 사물인터넷 중 하나를 선택해서 고유식별자에 해당하는 목적지 사물인터넷을 선택하는 단계(s16)와 선택된 목적지 사물인터넷의 고유식별자 정보를 집배송의 목적지 위치정보로 주문정보와 함께 입력 처리하는 단계(s17)를 포함하는 주문자가 주문시에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위치정보로써 사물인터넷의 위치를 검색하여 선택하고 저장하는 단계(s10);
주문정보로부터 사물인터넷 고유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21)와 추출된 고유식별정보가 사물인터넷의 이동성 특징에 따라 위치 고정형과 위치 이동형으로 구분하기 위해 사물인터넷 위치정보 목록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22)와 추출된 고유식별정보가 사물인터넷 위치정보 목록에 존재하는 경우, 위치 고정형으로 판단하고 목록에서 사물인터넷의 위치정보를 조회하는 단계(s23)와 추출된 고유식별정보가 사물인터넷 위치정보 목록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GPS 수신장치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사물인터넷의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s25) 및 사물인터넷의 고유식별자 정보를 위치탐색으로 검출하게 되면, 위도와 경도에 해당하는 좌표정보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좌표정보는 다시 국가 도로명 주소 체계로 변환하여 위치 추적한 사물인터넷의 위치정보를 주소정보로 변환하는 단계(s26)를 수행한 후, 조회된 사물인터넷의 주소정보를 선택하는 단계(s24)를 포함하는 상기 저장된 사물인터넷의 고유식별자 정보를 사물인터넷의 위치정보로 변환하는 단계(s20);
상기 사물인터넷의 위치정보를 배송원(3)이 인식할 수 있는 주소정보로 변환하는 단계(s30);
상기 변환된 주소정보와 함께 배송주문정보를 배송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40); 및
상기 전송된 주소정보를 배송원의 단말기에 송신된 위치정보를 주소로 표시하거나 위치정보와 주소를 지도에 그래픽으로 표현하는 활성화하는 단계(s50);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위치 기반 배송주소 제공방법.
By entering the home delivery address, entering the sender's Internet of Things as the home location, and entering the recipient's Internet of Things as the delivery location, courier delivery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home delivery and delivery destination IoT. In the method of providing an Internet location-based delivery address,
A step (s11) of inputting general information about an order by an orderer inputting a unique identifier of the selected IoT, which is divided into a sender and a recipient, into the order information (s11), and the destin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as a destination for collection and delivery. Searching with (s12) and determining whether the orderer already knows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destination Internet of Things (s13) and if the orderer already knows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destination Internet of Things, directly inputting the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If the step (s14) and the orderer does not know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destination IoT, after performing the step (s15) of searching for the surrounding IoT, select one of the found IoTs and select the destination IoT corresponding to the unique identifier.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der and the recipient at the time of the order, including the step of selecting (s16) and processing (s17) of inputting the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selected destination Internet of Things as the destin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home delivery with the order information. Searching, selecting and storing the loc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s10);
Step of extract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from the order information (s21) and determining whether the extracte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present in the IoT location information list in order to divide the location fixed type and the location movable type according to the mo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IoT ( s22) and if the extracte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ists in the IoT location information list, determining that the location is fixed and query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in the list (s23) and the extracte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the IoT location information list If it does not exist in the step (s25) of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using a GPS receiver 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etecting the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by location search, coordin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latitude and longitude And converting the converted coordinate information back into a national road name address system to perform the step (s26) of conver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tracked into address information, and then selecting the retrieved Internet of Things address information. A step (s20) of converting the stored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into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S20) including the step of (S24);
Conver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into address information recognizable by the delivery source 3 (s30);
Transmitting delivery order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converted address information to a delivery source terminal (s40); And
A method of providing a location-based delivery address for an Internet of Things, comprising: activating the transmitted address information by display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a terminal of a delivery agent as an address or graphically representing location information and an address on a map (s5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101693A 2018-08-29 2018-08-29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 delivery address using internet of thing KR1021168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693A KR102116845B1 (en) 2018-08-29 2018-08-29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 delivery address using internet of th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693A KR102116845B1 (en) 2018-08-29 2018-08-29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 delivery address using internet of th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082A KR20200027082A (en) 2020-03-12
KR102116845B1 true KR102116845B1 (en) 2020-05-29

Family

ID=69803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693A KR102116845B1 (en) 2018-08-29 2018-08-29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 delivery address using internet of th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84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639B1 (en) * 2013-09-17 2015-02-09 주식회사 비츠로시스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device to home network
JP2018507451A (en) * 2014-11-21 2018-03-15 アフェロ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fero, Inc. Internet platform, apparatus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1470A (en) * 2008-12-19 2010-06-29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delivering goods based location
KR20110033556A (en) * 2009-09-25 2011-03-31 주식회사 케이티 The service method for ordering and deliverying commodity using oline and the system thereof
KR101855314B1 (en) 2016-06-23 2018-05-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SHOPING SERVICE BASED ON Io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639B1 (en) * 2013-09-17 2015-02-09 주식회사 비츠로시스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device to home network
JP2018507451A (en) * 2014-11-21 2018-03-15 アフェロ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fero, Inc. Internet platform,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082A (en) 202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8549B2 (en) Techniques for wireless position determination utilizing a collaborative database
US8549044B2 (en) Range-centric contextual information systems and methods
US8521128B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obtaining crowd-sourced location information
US20190253835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geofence networks
JP580095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geographic information on personal web page
US84576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ggregating and disseminating mobile device tag data
US86124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searches and advertising
US20200327491A1 (en) Presentation apparatus and presentation method
US9026621B2 (en) Peer-to-peer scenic spot information sharing naviga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CN102460075A (en) Navigation apparatus,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201002413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searches and advertising
US201403275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firearms
CN104316065A (en) Accurate navigation method for quickly transmitting request to third party
CN105183771A (en) City code based po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706912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pping photo according to position
KR101888543B1 (en) System for collecting and managing lost items
JP2012206842A (en) Home delivery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home delivery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116845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 delivery address using internet of thing
JP5213067B2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US20100131194A1 (en) Map data management using road ghosting characteristics
KR20110007358A (en) Method of service locating the shops of providers using electric coupons
KR2017013108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elivery management service
KR2011004865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poi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5408752B2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JP6291857B2 (e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