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695B1 - weight machine - Google Patents

weight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695B1
KR102115695B1 KR1020190011856A KR20190011856A KR102115695B1 KR 102115695 B1 KR102115695 B1 KR 102115695B1 KR 1020190011856 A KR1020190011856 A KR 1020190011856A KR 20190011856 A KR20190011856 A KR 20190011856A KR 102115695 B1 KR102115695 B1 KR 102115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ving module
coupled
adjustment frame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8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변현정
김홍준
Original Assignee
변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현정 filed Critical 변현정
Priority to KR1020190011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69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6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fitness equipment which enables a user to perform a rotational exercise as well as a linear exercise and has a wide movement range to provide a therapeutic effect as well as an exercise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main frames having a rectangular frame shape are vertically installed to face the ground to form a shape in which the two main frames ar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be opened toward a front side at a predetermined angle. Each main frame has a heavy object with a predetermined weight installed therein and has an adjustment frame vertically installed on the front side to form a bar shape. The adjustment frame is coupled to one end of a moving module, which is connected through a cable to vertically move the heavy object in accordance with movem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djustment frame. The moving module is coupled to the adjustment frame to allow the other end to be rotated in an up/down direction and a left/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ne end. Accordingly, the user moves the other end of the moving module to perform the linear exercise and the rotational exercise.

Description

복합헬스기구{weight machine}Composite Health Machine {weight machine}

본 발명은 헬스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직선운동 뿐만 아니라 회전운동이 가능하여 운동효과가 향상되고 치료효과도 발휘되는 복합헬스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tness device,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rotate as well as linear motion, and thus to a complex health device in which an exercise effect is improved and a therapeutic effect is exhibited.

최근 여가시간이 늘어나고 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근력을 향상시키고 균형 잡힌 신체를 만들기 위하여 웨이트 트레이닝(weight training)을 하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으며, 웨이트 트레이닝은 바벨(barbell), 덤벨(dumbbell) 등과 같이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물체를 이용하여 근육을 단련시키고, 그로 인한 체력 증진을 목표로 하는 운동을 의미한다. In recent years, as leisure time increases and social interest in health increases, the number of people who are performing weight training to improve muscle strength and create a balanced body is increasing, and weight training includes barbells, dumbbells, etc. It refers to an exercise aimed at strengthening muscles by using an object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and aiming to increase physical strength.

이러한 웨이트 트레이닝은 사용하는 운동기구에 따라 프리 웨이트와 머신운동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리웨이트는 바벨과 덤벨을 사용하는 운동으로 균형근 및 보조근을 이용하여 신체 발란스 향상에 효과가 크며, 머신운동은 바벨 없이 중량추 및 도르래의 조합을 포함하는 헬스기구를 사용하는 운동으로 쉽게 운동을 익힐 수 있다. The weight training may be divided into free weight and machine exercise according to the exercise equipment used. Free weight is an exercise that uses barbell and dumbbell, which is great for improving body balance by using balance and auxiliary muscles. Machine exercise is an exercise that uses a fitness equipment that includes a combination of weight and pulley without barbell. Can learn.

상기 머신운동에 사용되는 헬스기구로는 숄터 프레스 머신, 레그 프레스 머신, 체스트 프레스 머신, 시티드 케이블 로우, 크로스 오버-케이블, 트라이셉스 프레스 다운 케이블 등이 있으나, 모두 직선 운동을 하며, 근육을 단력시키기 위한 것이다. 다만, 재활치료 등과 같은 특수한 목적을 위해 제작된 헬스기구의 경우 회전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 있기는 하나, 가동 범위가 좁으며 한정된 신체 부위를 재활 또는 단련하기 위한 것으로 제한이 따른다. The fitness equipment used for the machine exercise includes a shoulder press machine, a leg press machine, a chest press machine, a seated cable row, a crossover-cable, and a triceps press down cable. It is to let. However, in the case of fitness equipment designed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habilitation therapy, there are some that can perform rotational movement, but the range of movement is narrow and limited to rehabilitation or training of limited body parts.

1. 등록실용신안 제20-0424860호 '보관이 용이한 헬스기구'1.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24860 'Health Equipment for Easy Stora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직선운동 뿐만 아니라 회전운동이 가능하고 가동 범위가 넓어 운동효과는 물론 치료효과도 발휘될 수 있는 복합헬스기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lex health mechanism capable of exerting a movement effect as well as a therapeutic effect because a rotational motion is possible and a wide range of motion is possibl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복합헬스기구는 사각틀 형태를 이루는 메인프레임 두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전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벌어진 형태를 이루도록 지면에 대향되게 세워지고, 각 메인프레임은 내측에 소정의 중량을 가지는 중량물이 구비되며, 전방에 바(bar) 형태를 이루는 조절프레임이 수직으로 세워지는 한편, 상기 조절프레임에는 움직임에 따라 중량물이 상하이동되도록 케이블로 연결된 이동모듈의 일단이 조절프레임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되, 상기 이동모듈은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조절프레임에 결합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mposite healt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rected so as to face the ground so that two main frames forming a square frame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to form an opening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each main frame has a predetermined inside. A weight having a weight of is provided, and an adjustment frame forming a bar shape is erected vertically in the front, while the control frame has one end of a mobile module connected with a cable so that the weight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movement. Combined in an orthogonal direction, the moving module is coupled to the adjustment frame so that the other end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about one end.

또한, 상기 이동모듈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봉 형태로 형성된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의 일단과 조절프레임을 결합시키는 결합구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구는 조절프레임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조절프레임의 소정의 높이에 고정되는 높이조절부와, 이동대가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이동대의 일단이 힌지결합되는 상하회전결합부와, 상기 높이조절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하회전결합부가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하회전결합부와 축결합되는 좌우회전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ving module includes a moving table formed in a ro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coupling hole for coupling one end of the moving table with an adjustment frame, wherein the coupling hole is formed in a form surrounding the adjustment frame to form a predetermined adjustment frame. The height adjustment part fixed to the height of the mobile station, and the upper and lower rotation coupling parts, which are hinged to one end of the mobile station so that the other end rot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round the one end, and extends forward and downward from the height adjustment unit. It may include a left and right rotation coupling portion that is axially coupled to the up and down rotation coupling portion to rot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고정홀이 형성되되, 상기 높이조절부는 조절프레임을 따라 이동되어 일 고정홀에 끼워지는 락킹핀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fixing holes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and the height adjusting unit may be fixed along with a locking pin that is moved along the adjusting frame and fitted into one fixing hole.

또한, 상기 이동대는 타단에 내부가 빈 파이프 형태를 이루는 고정대가 항시 수직을 이루도록 힌지결합되되, 상기 고정대의 내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구 또는 사용자가 발을 얹을 수 있는 안착구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station is hinged so that the stationary pipe having an empty pipe shape at the other end is always vertical, but there is a gripping device that can be gripped by a user or a user can place a foot on the inside of the platform. It can be fitted and fixed.

또한, 상기 케이블은 메인프레임 상단의 전방 측에 구비되어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는 도르래를 지나면서 이동모듈의 타단 측에 구비되어 이동모듈의 움직임에 따라 중량물을 이동시키되, 상기 도르래는 메인프레임 상단의 전방에 결합되는 도르래고정구에 의해 축결합되며, 상기 도르래고정구는 좌우 요동이 가능하도록 메인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ble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top of the main frame to pass the pulley rot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rovid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moving module to move the weigh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module, the pulley is the front of the top of the main frame It is axially coupled by a pulley fastener that is coupled to, and the pulley fastener can be coupled to the main frame to enable left and right swing.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모듈의 타단을 손이나 발을 이용하여 직선 형태로 움직이면서 중량물을 들어올리고 내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 형태로 움직이면서 중량물을 들어올리고 내릴 수 있는바, 넓은 가동범위를 가지므로 다양한 신체 부위에 적절한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을 할 수 있으며, 이를 재활에 활용하여 치료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move the other end of the moving module in a straight line by using hands or feet to lift and unload heavy objects, as well as lift and unload heavy objects while moving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wide range of mo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erform appropriate linear and rotational movements on various body parts, and utilize this for rehabilitation to obtain a therapeutic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헬스기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헬스기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헬스기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헬스기구에 적용되는 이동모듈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확대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헬스기구에 적용되는 파지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8은 도 7에 의한 파지구가 본 발명에 의한 복합헬스기구에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헬스기구에 적용되는 안착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0은 도 9에 의한 안착구가 본 발명에 의한 복합헬스기구에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헬스기구에 적용되는 도르래와 도르래고정구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부분확대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mposite healt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mposite healt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mposite healt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bile module applied to the composite healt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gripper applied to the composite healt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ipping device according to FIG. 7 is applied to the composite healt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eating device applied to the composite healt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ing tool according to FIG. 9 is applied to the composite healt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pulley and a pulley fixture applied to the composite healt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직선운동 뿐만 아니라 회전운동이 가능하고 가동 범위가 넓어 운동효과는 물론 치료효과도 발휘될 수 있도록 사각틀 형태를 이루는 메인프레임 두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전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벌어진 형태를 이루도록 지면에 대향되게 세워지고, 각 메인프레임은 내측에 소정의 중량을 가지는 중량물이 구비되며, 전방에 바(bar) 형태를 이루는 조절프레임이 수직으로 세워지는 한편, 상기 조절프레임에는 움직임에 따라 중량물이 상하이동되도록 케이블로 연결된 이동모듈의 일단이 조절프레임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되, 상기 이동모듈은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조절프레임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이동모듈의 타단을 움직여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헬스기구를 제안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linear motion, rotational motion is possible and the movable range is wide, so that two main frames that form a square frame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a movement effect as well as a therapeutic effect can be exhibited. Standing opposite to the ground, each mainframe is provided with a heavy object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inside, and an adjustment frame forming a bar shape in the front is erected vertically, while the adjustment frame has a heavy object according to the movement. One end of the mobile module connected by a cable so as to move up and down is coupl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trol frame, and the mobile module is coupled to the control frame so that the other end is rotat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bout the one end, so that the user We propose a composite health mechanism that is capable of linear and rotational motion by moving the other end.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인 복합헬스기구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ors composite health mechanis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

본 발명인 복합헬스기구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틀 형태를 이루는 메인프레임(100) 두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전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벌어진 형태를 이루도록 지면에 대향되게 세워진다. 이때, 소정의 각도는 예각임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present invention composite health device is built so that the two main frames 100, which form a square frame,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nd faced to the ground so as to form an opening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front.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determined angle is an acute angle.

상기 메인프레임(100) 각각은 내측에 소정의 중량을 가지는 중량물(10)이 구비된다. 상기 중량물(10)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 예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중량을 가지는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다수 개가 적층된 형태로 구비되어 사용자에게 적절한 무게를 제공할 수 있도록 들어올려지는 판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Each of the main frames 100 is provided with a weight 10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inside. The heavy object 1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weight 1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certain weight, and a plurality of pieces may be stacked to provide an appropriate weight to the user. It can be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number of the lifted plate to do so.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전방에는 바(bar) 형태를 이루는 조절프레임(110)이 수직으로 세워지며, 상기 조절프레임(110)에는 조절프레임(11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모듈(200)이 결합된다. 상기 이동모듈(200)은 조절프레임(110)에 일단이 결합되며 케이블(20)을 통해 중량물(10)과 연동되어, 움직임에 따라 중량물(10)이 상하이동된다. In addition, in the front of the main frame 100, a control frame 110 forming a bar is vertically erected, and in the control frame 110, a moving module 200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trol frame 110 ) Are combined. The mobile module 200 has one end coupled to the control frame 110 and is interlocked with the weight 10 through the cable 20, so that the weight 10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이러한 이동모듈(200)은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조절프레임(110)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이동모듈(200)의 타단을 움직여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이동모듈(200)이 위와 같은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이동모듈(20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봉 형태로 형성된 이동대(210)와, 이동대(210)의 타단이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이동대(210)의 일단과 조절프레임(110)을 결합시키는 결합구(2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ving module 200 is coupled to the control frame 110 so that the other end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ound the one end, the user can move the other end of the moving module 200 to perform linear motion and rotational motion. . The structure in which the mobile module 200 can move as above may be variously formed. For example, the mobile module 200 includes a mobile table 210 and a mobile table 210 formed in a ro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t may include a coupling port 220 for coupling the one end of the mobile unit 210 and the control frame 110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210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결합구(2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부(221), 상하회전결합부(222) 및 좌우회전결합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221)는 조절프레임(110)을 감싸도록 내부가 빈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조절프레임(110)의 소정의 높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부(221)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에 끼워지는 락킹핀(30)이 마련되어, 상기 높이조절부(221)을 조절프레임(110)을 따라 이동시킨 후, 일 고정홀에 락킹핀(30)을 끼워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서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coupling hole 220 may include a height adjustment unit 221, a vertical rotation coupling unit 222, and a horizontal rotation coupling unit 223,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height adjustment unit 221 is made of an empty pipe shape to surround the adjustment frame 110 and is fixed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adjustment frame 110. At this time, the height adjustment unit 22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xing hol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locking pin 30 is fitted to the fixing hole, the height adjustment unit 221 to adjust the frame 110 After moving along, the locking pin 30 may be inserted into a fixed hole to allow the user to exercise at a desired height.

상기 상하회전결합부(222)에는 이동대(210)가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이동대(210)의 일단이 힌지결합되며, 상기 좌우회전결합부(223)는 높이조절부(22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하회전결합부(222)가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하회전결합부(222)와 축결합된다. The upper and lower rotation coupling portion 222 is hinged to one end of the mobile base 210 so that the other end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ound the one end, the left and right rotation coupling portion 223 is a height adjustment unit It extends forward from 221 and is coupled to the up and down rotation coupling portion 222 so that the up and down rotation coupling portion 222 rotat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따라서, 사용자가 이동대(210)의 타단을 직선으로 움직일 경우, 상하회전결합부(222)에 의해 직선운동이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이동대(210)의 타단을 원 형태로 움직일 경우, 상하회전결합부(222)와 좌우회전결합부(223)에 의해 회전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user moves the other end of the moving table 210 in a straight line, a linear motion is made by the up and down rotation coupling unit 222, and when the user moves the other end of the moving table 210 in a circular shape, it rotates up and down. The rotational movement is made by the coupling part 222 and the left and right rotation coupling parts 223.

그리고, 상기 이동대(21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물(10)에 따른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그 개수는 중량물(10)의 최대하중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to 5, the mobile platform 21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ieces so as to withstand the load according to the weight 10, the number of which considers the maximum load of the weight 10, etc. Can be determined.

또한, 상기 이동대(2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에 내부가 빈 파이프 형태를 이루는 고정대(230)가 항시 수직을 이루도록 힌지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대(230)의 내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구(300) 또는 사용자가 발을 얹을 수 있는 안착구(700)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구(300)와 안착구(700)가 고정됨에 있어 고정대(230)에 탄성적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락킹핀이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movable table 210 may be hinged to the fixed table 230 having an empty pipe shape at the other end so as to be vertical. Inside the fixture 230, a gripper 300 that can be gripped by a user by hand or a seating port 700 that can be placed by the user can be fitted and fixed. In addition, since the gripping port 300 and the seating port 700 are fixed, a locking pin that elastically protrudes toward the inside may be used on the holder 230.

상기 파지구(30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대(230)에 끼워지도록 수직을 이루는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의 상단에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수평봉을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구(300)는 다른 일 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수직봉의 하단에 반고리 형태인 파지부가 구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파지구(300)를 이용하여 운동하기에 적합하도록 조절프레임(110)에 결합된 이동모듈(200)의 높이를 조절한 다음, 파지구(300)의 수평봉 부분 또는 파지구(300)의 파지부를 잡고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The gripper 30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includes a vertical bar that is vertical to fit on the fixture 230, and a horizontal bar that is formed to be horizontal on the top of the vertical bar. Can be made. In addition, the gripper 300 may be made to be provided with a gripper having a semi-ring shape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ar as shown in FIG. 7 as another example. The user adjusts the height of the moving module 200 coupled to the adjustment frame 110 so as to be suitable for exercising using the corresponding gripper 300, as shown in FIG. 8, and then horizontal bars of the gripper 300 Holding the gripping portion of the portion or gripper 300 may perform linear and rotational motion.

또한, 상기 안착구(7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대(230)에 끼워지도록 수직을 이루는 수직봉과, 한 발 또는 두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판 형태를 이루어 상기 수직봉의 상단에 구비되는 안착판을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일 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안착구(700)를 이용하여 운동하기에 적합하도록 조절프레임(110)에 결합된 이동모듈(200)의 높이를 조절한 다음, 안착판에 한쪽 발을 올려놓고 다른쪽 발은 지면이나 벤치(600)에 고정한 상태에서 안착판에 놓여진 발을 움직여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ating port 700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vertical bar in the form of a plate that can be placed on one foot or two feet, and a vertical bar that is vertical to fit on the fixture 230 as shown in FIG. It may be made to include a seating plate. Accordingly, the user adjusts the height of the moving module 200 coupled to the adjustment frame 110 to be suitable for exercising using the corresponding seating port 700, as shown in FIG. Put one foot on and the other foot can move linearly and rotate by moving the foot placed on the seating plate while being fixed to the ground or the bench 600.

한편, 상기 이동모듈(200)의 움직임에 따라 중량물(10)이 상하이동되도록 케이블(2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0) 상단의 전방 측에 구비되어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는 도르래(40)를 지나면서 이동모듈(200)의 타단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르래(40)는 도 2 내지 도 4,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0) 상단의 전방에 결합되는 도르래고정구(50)에 의해 축결합되는데, 상기 고르래고정구(50)는 좌우 요동이 가능하도록 메인프레임(100)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동모듈(200)이 회전운동을 함에 있어, 이동모듈(200)의 움직임에 따라 케이블(20)이 도르래(40)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the cable 20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top of the main frame 100, as shown in FIG. 11 so that the heavy object 10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module 200, a pulley rot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side of the mobile module 200 while passing through (40). The pulley 40 is axially coupled by a pulley fastener 50 coupled to the front of the top of the main frame 100 as shown in FIGS. 2 to 4 and 11, wherein the pulley fastener 50 is left and right It is preferable to be coupled to the main frame 100 to enable the swing. This is to prevent the cable 20 from being pulled out of the pulley 4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module 200 because the moving module 200 rotates.

본 발명인 복합헬스기구는 지면에 세워진 두 개의 메인프레임(100) 간을 연결하는 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0)의 전방 측 상단을 연결하는 제1 수평프레임(4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수평프레임(400)에는 봉 형태를 이루며 전방을 향해 돌출형성된 손잡이(4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410)만을 이용하여 턱걸이 등과 같은 운동을 할 수 있음은 물론, 고정대(230)에 안착구(700)를 끼운 상태에서 발을 얹고 손잡이(410)를 잡아 균형을 잡으면서 운동을 할 수도 있다. The composite healt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or may be provided with a frame connecting the two main frames 100 standing on the ground. The frame may include a first horizontal frame 400 connecting the front side upper end of the main frame 100,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first horizontal frame 400 has a rod shape It can be provided with a handle 410 formed protruding toward the front. Accordingly, the user can exercise such as a chin pull using only the handle 410, as well as placing a foot on the fixture 230 with the seat 700 and holding the handle 410 to balance it You can also exercise.

또한, 상기 프레임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0)의 후방측 하부 간을 연결하는 제2 수평프레임(5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수평프레임(500)에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져 사용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는 벤치(6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벤치(600)는 제2 수평프레임(500)에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 수평프레임(500)에 힌지결합되어 접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벤치(6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벤치(600)는 반드시 제2 수평프레임(500)에 결합된 상태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구성과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별도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rame may include a second horizontal frame 500 connecting the lower side of the rear side of the main frame 100, as shown in Figures 1 to 2, the second horizontal frame 500 A bench 600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which the user can sit or lie on, can be combined. The bench 600 can be coupled to be fixed to the second horizontal frame 500, as well as being hinged to the second horizontal frame 500 and folded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bench 600 as needed. I can make it possible. In addition, the bench 600 is not necessarily provided in a state coupled to the second horizontal frame 500, and may be separately provided in a state not combined with other components.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인 복합헬스기구를 통해 사용자는 이동모듈(200)의 타단을 손이나 발을 이용하여 직선 형태로 움직이면서 중량물(10)을 들어올리고 내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 형태로 움직이면서 중량물(10)을 들어올리고 내릴 수 있는바, 넓은 가동범위를 가지므로 다양한 신체 부위에 적절한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을 할 수 있으며, 이를 재활에 활용하여 치료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Through the composite healt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lift and lower the heavy object 10 while moving the other end of the moving module 200 in a straight line by using a hand or foot, as well as moving the circular object in a circular form (10 ) As it can lift and lower, it has a wide range of motion, so it can perform proper linear and rotational motion on various body parts, and utilize it for rehabilitation to obtain a therapeutic effect.

10 : 중량물 20 : 케이블
30 : 락킹핀 40 : 도르래
50 : 도르래고정구
100 : 메인프레임 110 : 조절프레임
200 : 이동모듈 210 : 이동대
220 : 결합구 221 : 높이조절부
222 : 상하회전결합부 223 : 좌우회전결합부
230 : 고정대 300 : 파지구
400 : 제1 수평프레임 410 : 손잡이
500 : 제2 수평프레임 600 : 벤치
700 : 안착구
10: heavy 20: cable
30: locking pin 40: pulley
50: Pulley Fixture
100: main frame 110: adjustable frame
200: moving module 210: moving table
220: joint 221: height adjustment unit
222: up and down rotation coupling portion 223: left and right rotation coupling portion
230: Fixture 300: Grip
400: first horizontal frame 410: handle
500: 2nd horizontal frame 600: Bench
700: seating

Claims (5)

사각틀 형태를 이루는 메인프레임(100) 두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전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벌어진 형태를 이루도록 지면에 대향되게 세워지고,
각 메인프레임(100)은 내측에 소정의 중량을 가지는 중량물(10)이 구비되며, 전방에 바(bar) 형태를 이루는 조절프레임(110)이 수직으로 세워지는 한편,
상기 조절프레임(110)에는 움직임에 따라 중량물(10)이 상하이동되도록 케이블(20)로 연결된 이동모듈(200)의 일단이 조절프레임(11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되,
상기 이동모듈(200)은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조절프레임(110)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이동모듈(200)의 타단을 움직여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헬스기구.
The two main frames 100 in the form of a square frame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to stand in front of the ground so as to form a shape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front,
Each main frame 100 is provided with a weight 10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on the inside, while the adjustment frame 110 forming a bar shape in the front stands vertically,
One end of the moving module 200 connected by a cable 20 is coupled to the adjusting frame 110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djusting frame 110 so that the heavy object 10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movement.
The moving module 200 is coupled to the adjustment frame 110 so that the other end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ound the one end, and the user can move the other end of the moving module 200 to perform linear and rotational motion. A composite health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모듈(20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봉 형태로 형성된 이동대(210)와, 상기 이동대(210)의 일단과 조절프레임(110)을 결합시키는 결합구(220)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구(220)는 조절프레임(110)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조절프레임(110)의 소정의 높이에 고정되는 높이조절부(221)와, 이동대(210)가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이동대(210)의 일단이 힌지결합되는 상하회전결합부(222)와, 상기 높이조절부(22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하회전결합부(222)가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하회전결합부(222)와 축결합되는 좌우회전결합부(2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헬스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mobile module 200 includes a mobile station 210 formed in a ro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coupling port 220 for coupling one end of the mobile table 210 and the control frame 110,
The coupling hole 220 is formed in a form surrounding the adjustment frame 110, the height adjustment unit 221 fixed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adjustment frame 110, and the other end of the mobile station 210 is centered The upper and lower rotation coupling portions 222, which are hinged to one end of the movable table 210, and the height adjustment portion 221 extend forward to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vertical rotation coupling portion 222 rotat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composite health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eft and right rotation coupling portion 223 that is axially coupled to the up and down rotation coupling portion 22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221)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고정홀이 형성되되,
상기 높이조절부(221)는 조절프레임(110)을 따라 이동되어 일 고정홀에 끼워지는 락킹핀(3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헬스기구.
According to claim 2,
The height adjustment unit 221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xing hol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height adjustment unit 221 is moved along the adjustment frame 110, a composite health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by a locking pin (30) fitted in a fixed hol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11856A 2019-01-30 2019-01-30 weight machine KR1021156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856A KR102115695B1 (en) 2019-01-30 2019-01-30 weight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856A KR102115695B1 (en) 2019-01-30 2019-01-30 weight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5695B1 true KR102115695B1 (en) 2020-05-28

Family

ID=70919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856A KR102115695B1 (en) 2019-01-30 2019-01-30 weight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69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480B1 (en) 2022-11-18 2024-01-03 (주)뉴텍웰니스 Seated row
WO2024009742A1 (en) * 2022-07-04 2024-01-11 株式会社ワールドウィングエンタープライズ Load transmission mechanism unit for training machine and training machine employing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860Y1 (en) 2006-06-09 2006-08-25 주식회사은성헬스빌 Folding physical traninig machine
KR101394117B1 (en) * 2012-10-09 2014-05-1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Cable crossover training ma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860Y1 (en) 2006-06-09 2006-08-25 주식회사은성헬스빌 Folding physical traninig machine
KR101394117B1 (en) * 2012-10-09 2014-05-1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Cable crossover training machi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9742A1 (en) * 2022-07-04 2024-01-11 株式会社ワールドウィングエンタープライズ Load transmission mechanism unit for training machine and training machine employing same
KR102620480B1 (en) 2022-11-18 2024-01-03 (주)뉴텍웰니스 Seated row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11524A1 (en) Multifunctional Exercise Machines
US7608020B2 (en) Arm and shoulder lift apparatus
US7232404B2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EP1937368B1 (en) Apparatus for exercising the chest and back
US20100048368A1 (en) Wall-mounted home fitness training equipment
US20160144218A1 (en) Multifunctional leg training machine
US20140031182A1 (en) Wall-Mounted Home Fitness Training Equipment
US9199111B2 (en) Exercise apparatus
US20110224057A1 (en) Universal fitness machine
US20190105527A1 (en)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KR101793904B1 (en) Multifunction fitness equipment
KR200486552Y1 (en) Barbell Exercise Equipment
KR102115695B1 (en) weight machine
TWM579544U (en) Exercising device
CN110721441A (en) Household comprehensive training machine
US9682270B2 (en) Apparatus for exercise
CN206852991U (en) A kind of exercise chair
CN110237497B (en) Multifunctional body-building device
US9937372B2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EP2892622B1 (en) Gym machine for dip exercises and twist workout
US4553747A (en) Rotator cuff machine
CN211635053U (en) Comprehensive trainer and gantry comprehensive trainer
CN108905046A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household gymnatic exerciser material
KR200482430Y1 (en) Mono Lifts
RU159421U1 (en) SPORTS HYDRAULIC SIMU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