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055B1 - 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drone - Google Patents

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dr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1055B1
KR102111055B1 KR1020180141000A KR20180141000A KR102111055B1 KR 102111055 B1 KR102111055 B1 KR 102111055B1 KR 1020180141000 A KR1020180141000 A KR 1020180141000A KR 20180141000 A KR20180141000 A KR 20180141000A KR 102111055 B1 KR102111055 B1 KR 102111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induction unit
wireless charging
landing plat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0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준필
장재원
Original Assignee
크린팩토메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린팩토메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린팩토메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1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05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0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8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y 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6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by position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30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al power
    • B64U50/34In-flight 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0Air 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50Aeroplanes, Helicopters
    • B60Y2200/51Aeroplanes
    • B64C2201/06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02T50/5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02T9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a drone, which comprises: a housing having a landing plate; an alignment module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align the drone landed on the landing plate;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configured to transmit a wireless power signal for wireless charging to the drone aligned by the alignment module, wherein the alignment module is configured to convert the drone to a normal position and move the same to a correct position, and the drone is arranged in a state wirelessly charged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Description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DRONE}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drones {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DRONE}

본 발명은 드론을 무선충전하기 위한 충전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station for wireless charging the drone.

일반적으로, 드론은 무선전파를 이용한 조종 또는 자체 프로그램에 의해 운항하는 무인 항공기다. 드론에는 카메라, 센서, 통신시스템 등이 탑재돼 있다. 드론의 무게는 25g부터 1200kg까지에 이르고, 그 크기도 다양하다. 드론은 군사용도로 처음 생겨났지만 고공 촬영과 배달 등으로 확대 이용되고 있다. 이뿐 아니라, 드론은 시설물 모니터링, 경계지역 감시, 농약 살포, 공기질 측정 등 다방면에 활용되고 있다. In general, drones are unmanned aerial vehicles operated by radio waves or by their own programs. The drone is equipped with a camera, sensor, and communication system. Drones can range in weight from 25g to 1200kg, and vary in size. Drones were first created for military use, but are being used extensively for aerial photography and delivery. In addition, drones are being used in a variety of areas, including monitoring facilities, monitoring border areas, spraying pesticides, and measuring air quality.

드론의 운항을 위한 동력은 주로 전기 배터리에서 발생된다. 따라서, 드론의 운항 가능 거리는 배터리의 용량에 직결된다. 예를 들어, 배터리의 용량에 따라 결정된 드론의 운항 가능 거리가 15km인 경우에, 드론의 실제 작업 거리는 7.5km에 그치고 만다. 드론이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복귀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 작업 거리는 운항 가능 거리의 절반에 그치게 된다. The power for drone operation is mainly generated by electric batteries. Therefore, the operational distance of the drone is directly related to the capacity of the battery. For example, if the drone's operational distance determined by the capacity of the battery is 15 km, the actual working distance of the drone is only 7.5 km. Since the drone has to return to recharge the battery, the actual working distance is only half the operational distance.

드론의 작업 거리를 운항 가능 거리 수준으로 높이기 위해서는, 드론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스테이션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될 필요가 있다. 앞서 예를 든 드론의 경우라면, 충전 스테이션은 15km 간격으로 설치되어, 운항 가능 거리만큼 운항한 드론을 충전할 수 있다.In order to increase the working distance of the drone to the level of the operational distance, a charging station capable of charging the drone needs to b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ase of the drone mentioned above, the charging stations are installed at intervals of 15 km, so that the drones that can travel the distance can be charged.

드론에 대한 충전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드론이 충전 스테이션에 착륙하여 무선충전을 위한 구성과 제대로 정렬될 필요가 있다. 드론의 자세가 무선충전을 위해 예정된 자세로부터 벗어나 있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드론이 무선충전에 알맞게 정렬되지 못하게 된다. 그에 따라, 드론에 대한 무선충전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effectively charge the drone, the drone needs to land on the charging station and properly align with the configuration for wireless charging. In a case where the drone's posture deviates from the posture intended for wireless charging, the drone is not properly aligned with the wireless charging.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wireless charging of the drone is not properly performed.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드론이 착륙한 상태에서 무선충전을 위한 구성에 제대로 정렬되어 최상의 무선충전 효율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a drone, which is properly aligned to a configuration for wireless charging while the drone is landing to achieve the best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은, 착륙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착륙 플레이트에 착륙한 드론을 정렬시키도록 구성되는 정렬 모듈; 및 상기 정렬 모듈에 의해 정렬된 상기 드론에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전력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전력전송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정렬 모듈은, 상기 드론을 정자세로 전환시키고 정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드론을 상기 무선전력전송 모듈에 의해 무선 충전 가능한 상태로 정렬할 수 있다.A 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a dron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a housing having a landing plate; An alignment module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align a drone landed on the landing plate;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configured to transmit a wireless power signal for wireless charging to the drone aligned by the alignment module, wherein the alignment module is configured to convert the drone to a normal position and move it to a fixed position. Thus, the drone can be arranged to be wirelessly charged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여기서, 상기 정렬 모듈은, 상기 드론을 회전시켜 정자세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되는 회전유도 유닛; 및 상기 회전유도 유닛에 의해 정자세로 전환된 상기 드론을 정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이동유도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lignment module, the rotation induction unit is configured to rotate the drone to switch to a forward position; And a movement induction unit configured to move the drone converted into a normal position by the rotation induction unit to a correct position.

여기서, 상기 정렬 모듈은, 상기 착륙 플레이트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은 상기 착륙 플레이트의 중심을 향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alignment module may be provided as a pair symmetric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based on the center of the landing plate, and the pair may be configured to move toward each other toward the center of the landing plate.

여기서, 상기 회전유도 유닛 및 상기 이동유도 유닛은, 상기 착륙 플레이트의 모서리에서 중심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착륙 플레이트에 설치될 수 있다. Here, the rotation induction unit and the movement induction unit may be installed on the landing plate to move in a direction toward the center from an edge of the landing plate.

여기서, 상기 회전유도 유닛 및 상기 이동유도 유닛 각각에서, 상기 드론과 접촉하는 면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Here, in each of the rotation induction unit and the movement induction unit, the surfaces contacting the drone may have different shapes.

여기서, 상기 회전유도 유닛의 상기 드론과의 접촉면은 일자 형상을 갖고, 상기 이동유도 유닛의 상기 드론과의 접촉면은 브이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Here,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drone of the rotation induction unit may have a straight shape, and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drone of the movement induction unit may have a V-shape.

여기서, 상기 회전유도 유닛과 상기 이동유도 유닛이 상기 드론과 접촉하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회전유도 유닛의 상기 드론과의 접촉면은, 상기 이동유도 유닛의 상기 드론에 접촉면 보다 상기 착륙 플레이트의 중심에 더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Here, in the state before the rotation induction unit and the movement induction unit contact the drone,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drone of the rotation induction unit is more in the center of the landing plate than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drone of the movement induction unit. Can be located close.

여기서, 상기 정렬 모듈은, 상기 이동유도 유닛을 상기 착륙플레이트의 중심을 향한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정렬구동력발생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정렬구동력발생 유닛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 상기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착륙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회전 샤프트; 및 상기 회전 샤프트와 상기 이동유도 유닛을 연결하고, 상기 구동원의 회전력을 상기 이동유도 유닛에 전달하는 전달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lignment module includes an alignment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configured to drive the moving induction unit in a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landing plate, and the alignment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includes: a driving source generating rotational force; A rotation shaft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and disposed to penetrate the landing plate; And a transmission arm connecting the rotation shaft and the movement induction unit, and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source to the movement induction unit.

여기서, 상기 정렬 모듈은, 상기 이동유도 유닛과 상기 회전유도 유닛을 상기 착륙플레이트의 중심을 향한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유도 유닛은, 상기 정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드론을 접촉 가압하는 이동접촉 부재; 및 상기 이동접촉 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안내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lignment module, further comprising a guide rail for guiding the movement induction unit and the rotation induction unit toward the center of the landing plate, the movement induction unit, the movement induction unit, the drone to move to the correct position A moving contact member for pressing the contact; And a moving slider coupled with the moving contact member and slidably connected to the guide rail.

여기서, 상기 회전유도 유닛은, 상기 드론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드론을 접촉 가압하는 회전접촉 부재; 및 상기 회전접촉 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안내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rotation induction unit, a rotating contact member for pressing and pressing the drone to rotate the drone; And a rotation slider coupled to the rotation contact member and slidably connected to the guide rail.

여기서, 상기 회전유도 유닛은, 상기 회전접촉 부재와 상기 이동접촉 부재 간에 간격 조절되도록 상기 이동 슬라이더와 상기 회전 슬라이더를 연결하는 조절연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rotation indu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djustment connection member connecting the movement slider and the rotation slider so as to adjust the spacing between the rotation contact member and the movable contact member.

여기서, 상기 조절연결 부재는, 상기 이동 슬라이더에 결합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개방 슬롯을 구비하는 중공형 케이싱; 및 상기 중공형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접촉 부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댐핑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djustment connecting member, is coupled to the movement slider, a hollow casing having an open slot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damping element disposed in the hollow casing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rotary contact member.

여기서, 상기 무선전력전송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렬 모듈은, 상기 이동유도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드론의 자세 및 위치를 감지하는 자세위치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자세위치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드론에 상기 무선전력신호가 전송되도록 상기 무선전력전송 모듈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Here,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he alignment module is installed in the mobile induction unit, further comprising a posture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osture and position of the drone, the control module Silver,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to transmit the wireless power signal to the drone,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posture position sensor.

여기서, 상기 정렬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렬 모듈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드론이 상기 착륙플레이트에 착륙한 것을 감지하는 착륙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착륙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유도 유닛 및 상기 이동유도 유닛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Here,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alignment module, the alignment module is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further comprises a landing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at the drone landed on the landing plate, the control module ,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landing detection sensor,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induction unit and the movement induction unit.

여기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를 구비하여, 상기 도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착륙 플레이트를 폐쇄하거나 노출시키는 도어 모듈; 및 상기 도어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렬 모듈은, 상기 도어 측에 설치되어, 상기 드론이 상기 착륙플레이트에서 상기 도어를 넘어서 이륙한 것을 감지하는 이륙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이륙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가 상기 착륙 플레이트를 폐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Here, a door module having a door that is movably coupled to the housing to close or expose the landing plat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oor;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door module, wherein the alignment module further includes a takeoff detection sensor installed on the door side to detect that the drone has taken off from the landing plate beyond the door. The control module may control the door to close the landing plate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takeoff detection sensor.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은, 착륙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착륙 플레이트에 착륙한 드론을 정렬시키도록 구성되는 정렬 모듈; 상기 정렬 모듈에 의해 정렬된 상기 드론에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전력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전력전송 모듈; 및 상기 정렬 모듈 및 상기 무선전력전송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정렬 모듈은, 상기 드론을 회전시켜 정자세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되는 회전유도 유닛; 및 상기 드론을 정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이동유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드론의 착륙 상태에 따라 상기 회전유도 유닛 및 상기 이동유도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키고, 상기 회전유도 유닛 및 상기 이동유도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에 의해 정렬된 상기 드론을 상기 무선전력전송 모듈을 작동시켜 무선 충전할 수 있다.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a dron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using having a landing plate; An alignment module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align a drone landed on the landing plate;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configured to transmit a wireless power signal for wireless charging to the drone aligned by the alignment module;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alignment module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wherein the alignment module comprises: a rotation induction unit configured to rotate the drone and convert it to a forward position; And a movement induction unit configured to move the drone to a fixed position, and the control module operates at least one of the rotation induction unit and the movement induction unit according to the landing state of the drone, and the rotation induction. The drone aligned by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unit and the mobile induction unit may be wirelessly charged by operat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은, 드론이 착륙하는 대상이 되는 착륙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드론을 정렬하도록 구성되는 정렬 모듈; 및 상기 드론에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전력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전력전송 모듈; 및 상기 정렬 모듈 및 상기 무선전력전송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정렬 모듈이 상기 착륙 플레이트에 착륙한 드론을 회전시켜 정자세로 전환하게 하고, 상기 정렬 모듈에 의해 상기 정자세로 전환된 상기 드론에 대해 상기 무선전력전송 모듈을 작동시켜 상기 드론이 무선 충전되게 할 수 있다.A 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a dron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 landing plate to which a drone lands; An alignment module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align the drone;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configured to transmit a wireless power signal for wireless charging to the drone. And a control module that controls the alignment module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wherein the control module rotates the drone landing on the landing plate to switch to a normal position, and is arranged by the alignment module. The drone may be wirelessly charged by operat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for the drone converted to the normal posi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에 의하면, 착륙 플레이트에 착륙한 드론은 정렬 모듈에 의해 정자세로 전환되고 또한 정위치로 이동되어 무선전력전송 모듈에 대해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그에 의해, 드론에 대한 무선충전이 드론이 정자세 및 정위치인 상태에서 이루어져서, 우수한 충전효율이 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a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drone landed on the landing plate can be converted to a normal position by an alignment module and moved to a fixed position to be accurately aligned with respect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Thereby, wireless charging to the drone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drone is in a normal posture and in a fixed position, so that excellent charging efficiency can be achieved.

정렬 모듈 중 드론을 정자세로 회전시키 위한 구성과 드론을 정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은 하나의 정렬구동력발생 유닛에 의해 구동된다. 그에 따라, 각 구성별로 별도의 구동력발생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Among the alignment modules, the configuration for rotating the drone in a forward position and the configuration for moving the drone in the correct position are driven by one alignment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Accordingly,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driving force generating means for each configuration.

정렬 모듈이 착륙감지 센서 및 자세위치 센서를 구비함에 의해, 제어 모듈은 드론의 착륙 상태 및 정렬 상태에 따라 상황에 맞게 정렬 모듈 등을 작동시킬 수 있다.As the alignment module includes a landing detection sensor and a posture position sensor, the control module can operate the alignment module according to the situation according to the landing state and alignment state of the dro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100)에 드론(D)이 착륙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100)에서 승강구동 모듈(130)의 작동을 보인 개념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렬 모듈(170)을 상부판(115) 및 착륙 플레이트(117)와 함께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정렬 모듈(170)에 관한 추가적인 구성을 보인 정렬 모듈(170)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조절연결부재(189)가 회전유도 유닛(171)과 이동유도 유닛(175)을 연결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100)에 대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1에서 드론(D)이 착륙 플레이트(117)에 착륙한 상태를 보인 요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한 쪽의 회전유도 유닛(171)이 드론(D)의 다리(L)와 접촉된 상태를 보인 요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양쪽의 회전유도 유닛(171)이 드론(D)의 다리(L)와 접촉된 상태를 보인 요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이동유도 유닛(175)의 중앙부가 드론(D)의 다리(L)와 접촉된 상태를 보인 요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드론 무선충전 스테이션(100)의 작동 방식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one (D) landed on a wireless charging station 100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driving module 130 in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100 for a drone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lignment module 170 of FIG. 1 together with the top plate 115 and the landing plate 117.
4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alignment module 170 showing an additional configuration with respect to the alignment module 170 of FIG. 3.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djustment connecting member 189 of FIG. 4 connects the rotation induction unit 171 and the movement induction unit 175.
6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harging station 100 for a drone.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one D landed on the landing plate 117 in FIG. 1.
8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rotation induction unit 171 in contact with the leg L of the drone D in FIG. 7.
9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both rotation induction units 171 in contact with the legs L of the drone D in FIG. 8.
FIG. 10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of the mobile induction unit 175 is in contact with the leg L of the drone D in FIG. 9.
1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drone wireless charging station 100.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Hereinafter, a 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a dr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100)에 드론(D)이 착륙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100)에서 승강구동 모듈(130)의 작동을 보인 개념적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one (D) landed on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100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lifting driving in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100 for a drone of FIG. 1 It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odule 130.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100)은, 하우징(110), 승강구동 모듈(130), 도어 모듈(150), 정렬 모듈(170), 그리고 무선전력전송 모듈(210)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100 for the drone, the housing 110, the lifting drive module 130, the door module 150, the alignment module 170,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210 is optional It can contain as.

하우징(110)은 승강구동 모듈(130), 도어 모듈(150) 등이 설치되는 기본적인 뼈대를 이룬다. 하우징(110)은, 구체적으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110)은, 하부판(111), 측벽판(113), 상부판(115), 그리고 착륙 플레이트(117)를 가질 수 있다. 측벽판(113)은 하부판(111)에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부판(111)의 네 모서리에 대응하여 네 개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하부판(111)과 측벽판(113)은 상부가 개방된 수용 공간(114)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판(115)은 대체로 하부판(111)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측벽판(113)의 상측에 배치된다. 착륙 플레이트(117)는 상부판(115)의 일 부분과 같이 배치되나 상부판(115)과 분리되며, 드론(D)이 착륙하는 대상이 된다. 착륙 플레이트(117)는 상부판(115)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부판(115)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housing 110 forms a basic skeleton in which the elevation driving module 130, the door module 150, and the like are installed. The housing 110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o this end, the housing 110 may have a lower plate 111, a side wall plate 113, an upper plate 115, and a landing plate 117. The side wall plate 113 extends in the height direction from the bottom plate 111 and may form four side surfaces corresponding to the four corners of the bottom plate 111. Accordingly, the lower plate 111 and the side wall plate 113 may form an accommodation space 114 with an open top. The upper plate 115 is generally disposed parallel to the lower plate 111 and is disposed above the side wall plate 113. The landing plate 117 is disposed as a part of the top plate 115, but is separated from the top plate 115, and the drone D is a target for landing. Landing plate 117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top plate 115, it may be arranged to be surrounded by the top plate 115.

승강구동 모듈(130)은 착륙 플레이트(117)를 수용 공간(114) 내에서 승강시키는 구성이다. 승강구동 모듈(130)에 의해 착륙 플레이트(117)는 수직 방향(V)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승강구동 모듈(130)은 하부판(111)과 착륙 플레이트(117)를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착륙 플레이트(117)는 승강구동 모듈(130)에 의해 승강됨에 따라, 상부판(115)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여 그와 함께 하나의 판을 이루거나, 상부판(115)과 분리되어 수직 방향(V)을 따라 상부판(115)과 하부판(111) 사이의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승강구동 모듈(130)은, 구체적으로, 제1 링크(131), 제2 링크(132), 및 승강구동력발생 유닛(1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131) 및 제2 링크(132)는 각각 하부판(111)과 착륙 플레이트(117)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교차하여 엑스자 형태로 배치된다. 제1 링크(131) 및 제2 링크(132)는 착륙 플레이트(117)의 양측 모서리에 대응하여, 각기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승강구동력발생 유닛(135)은 제1 링크(131) 및 제2 링크(132) 중 하나의 일 단부를 슬라이딩 구동하는 구성이다. 승강구동력발생 유닛(135)은 모터, 볼스크류, LM가이드 등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모터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볼스크류의 너트가 이동되면, 너트에 연결된 제2 링크(132)의 일 단부도 수평 방향(H)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에 의해, 제1 링크(131)와 제2 링크(132)는 그들의 연결점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서로 간에 이루는 각도가 커지면서, 착륙 플레이트(117)는 수직 방향(V)으로 하강하게 된다. 모터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 링크(131)와 제2 링크(132)가 이루는 각도가 작아지면서, 착륙 플레이트(117)는 수직 방향(V)으로 상승하게 된다. The elevation driving module 130 is configured to elevate the landing plate 117 within the accommodation space 114. The landing plate 117 may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V by the elevation driving module 130. To this end, the elevation driving module 130 may be installed to connect the lower plate 111 and the landing plate 117. As the landing plate 117 is elevated by the lift driving module 130, it is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the top plate 115 to form one plate therewith, or separated from the top plate 115 to vertically ( It may be located at a height between the top plate 115 and the bottom plate 111 along V). The lifting driving module 130 may specifically include the first link 131, the second link 132, and the lifting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135. The first link 131 and the second link 132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111 and the landing plate 117, respectively, and are disposed in an X-shape crossing each other. The first link 131 and the second link 132 may correspond to both corners of the landing plate 117, and may be provided in pairs. The lifting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135 is configured to slide one end of one of the first link 131 and the second link 132. The lifting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135 may be configured by a motor, a ball screw, an LM guide, or the like. When the motor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the nut of the ball screw moves, one end of the second link 132 connected to the nut also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 As a result, the first link 131 and the second link 132 have their connecting points as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so that the angle formed between them increases, and the landing plate 117 desc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V). When the motor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the angle formed by the first link 131 and the second link 132 decreases, and the landing plate 117 ri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V).

도어 모듈(150)은 착륙 플레이트(117)를 폐쇄하거나 외부로 노출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도어 모듈(150)은 측벽판(113)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15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51)는, 구체적으로 측벽판(113)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도어는 수평 방향(H) 또는 이동 방향을 따라 서로에게 근접하게 이동하여 착륙 플레이트(117)를 덮거나, 서로에게 멀어지게 이동하여 착륙 플레이트(117)를 외부로 노출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 커버체(152)를 포함한다. 커버체(152)는 측벽판(113)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슬라이딩 도어는 서로 접촉시에 전체적으로 돔(dome) 형상을 이루어서 착륙 플레이트(117)를 덮게 된다. The door module 150 is configured to close the landing plate 117 or expose it to the outside. To this end, the door module 150 may include a door 151 that is movably coupled to the sidewall plate 113. The door 151 may specifically include a pair of sliding doors that are slidably coupled to the side wall plate 113. The pair of sliding doors move close to each other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H or the moving direction to cover the landing plate 117, or move away from each other to expose the landing plate 117 to the outside. To this end, the sliding door includes a cover body 152. The cover body 152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plate 113. When the pair of sliding door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y form a dome as a whole to cover the landing plate 117.

정렬 모듈(170)은 착륙 플레이트(117)에 착륙하는 드론(D)을 무선 충전을 위해 정렬시키는 구성이다. 정렬 모듈(170)은 하우징(110), 구체적으로 착륙 플레이트(117)에 설치될 수 있다. 정렬 모듈(170)은 드론(D)을 정자세로 회전시키거나, 정위치로 이동시키기도 한다.The alignment module 170 is configured to align the drone D landing on the landing plate 117 for wireless charging. The alignment module 170 may be installed on the housing 110, specifically, the landing plate 117. Alignment module 170 may rotate the drone (D) in a vertical position, or may be moved to a fixed position.

무선전력전송 모듈(210)은 착륙 플레이트(117)에 착륙하여 정렬 모듈(170)에 의해 정렬된 드론(D)을 무선충전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무선전력전송 모듈(210)은 착륙 플레이트(117)를 관통하여 드론(D)에 접근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무선전력전송 모듈(210)은 드론(D)의 무선전력수신패드에 무선전력신호를 전송하는 무선전력송신패드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210 is configured to land on the landing plate 117 and wirelessly charge the drone D aligned by the alignment module 170. To this e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210 may be installed to access the drone (D) through the landing plate (117).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21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pad that transmits a wireless power signal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pad of the drone (D).

이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정렬 모듈(17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Now,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alignment module 17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도 1의 정렬 모듈(170)을 상부판(115) 및 착륙 플레이트(117)와 함께 보인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lignment module 170 of FIG. 1 together with the top plate 115 and the landing plate 117.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정렬 모듈(170)은 드론(D, 도 1 참조)을 정자세로 회전시키기 및 드론(D)을 정위치로 이동시키기를 모두 수행하거나, 그들 중 선택된 한 가지를 수행하여 드론(D)을 무선전력전송 모듈(210, 도 1)에 정렬시키는 구성이다. 드론(D)이 통신 모듈(220)과 통신하며 착륙 플레이트(117)에 착륙해서 바로 무선전력전송 모듈(210)로부터 무선전력신호를 수신하게 정렬되지는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여서, 정렬 모듈(170)의 역할이 필요하게 된다. Referring to this drawing, the alignment module 170 performs both of rotating the drone (D, see FIG. 1) in an orthogonal position and moving the drone D to the correct position, or by performing one selected among them. (D) is configured to alig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210, Fig. 1). The drone (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220 and lands on the landing plate 117, so that it is not always arranged to receive the wireless power signal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210. The role of is needed.

정렬 모듈(170)은, 회전유도 유닛(171)과, 이동유도 유닛(175)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유도 유닛(171)은 드론(D)을 회전시켜 드론(D)이 정자세(정방향을 바라보도록 하는 자세)로 전환하는 구성이라면, 이동유도 유닛(175)은 드론(D)을 정위치로 이동(병진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정자세와 상기 정위치는 드론(D)이 무선전력전송 모듈(210)에 의해 효과적으로 무선 충전되기 위해 정렬된 상태로 설정된 것들이다. 그에 비해, 드론(D)이 착륙 플레이트(117)에 착륙한 상태에서 드론(D)은 자세 기준으로 정자세가 아니며 위치 기준으로 정위치가 아닐 수 있다. 그 경우에, 회전유도 유닛(171)이 먼저 작동하고 이동유도 유닛(175)이 작동하거나, 반대로 이동유도 유닛(175)이 먼저 작동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드론(D)의 착륙 상태에 따라서는, 이동유도 유닛(175)만 작동하거나 회전유도 유닛(171)만 작동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선택적 작동을 위해서라면, 드론(D)의 착륙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카메라(미도시)가 도어 모듈(150, 도 1) 등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유도 유닛(171)이 먼저 작동하여 드론(D)을 정자세로 회전시킨 후에, 이동유도 유닛(175)이 작동하여 정자세로 전환된 드론(D)을 정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alignment module 170 may include a rotation induction unit 171 and a movement induction unit 175. If the rotation induction unit 171 is configured to rotate the drone (D) to the drone (D) in a forward position (attitude to look forward), the movement induction unit 175 moves the drone (D) to the correct position It is a configuration to (translate). The attitude and the positioning are those in which the drone D is set in an ordered state to be wirelessly charged effectively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210. On the other hand, the drone (D) in the state that the drone (D) landed on the landing plate (117) may not be in a posture based on posture and may not be in a fixed position based on position. In that case, the rotation induction unit 171 may operate first and the movement induction unit 175 may operate, or, conversely, the movement induction unit 175 may operate first. Alternatively, depending on the landing state of the drone D, only the movement guidance unit 175 may be operated or only the rotation guidance unit 171 may be operated. For this optional operation, a camera (not shown) for detecting the landing state of the drone D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door module 150 (FIG. 1). In this embodiment, the rotation induction unit 171 is first operated to rotate the drone (D) in a forward position, and then the movement induction unit (175) operates to move the drone (D) converted to a forward position into a fixed position. It will be explained mainly.

회전유도 유닛(171)은 회전접촉 부재(17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접촉 부재(172)는 드론(D)의 다리에 접촉되는 접촉면을 가진다. 회전접촉 부재(172)의 접촉면은 대체로 일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회전접촉 부재(172)는 또한 착륙 플레이트(117)를 기준으로 세로 방향인 Y 방향(Y)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The rotation induction unit 171 may include a rotation contact member 172. The rotary contact member 172 has a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leg of the drone D. The contact surface of the rotary contact member 172 may have a substantially straight shape. The rotating contact member 172 may also be disposed along the Y direction (Y) in the vertical direction relative to the landing plate (117).

이동유도 유닛(175)은 이동접촉 부재(17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접촉 부재(176) 역시 드론(D)의 다리에 접촉되는 접촉면을 가진다. 이동접촉 부재(176)의 접촉면은 회전접촉 부재(172)의 접촉면과 달리, 브이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동접촉 부재(176) 역시 Y 방향(Y)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The movement induction unit 175 may include a movement contact member 176. The moving contact member 176 also has a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leg of the drone D. Unlike the contact surface of the rotary contact member 172, the contact surface of the movable contact member 176 may have a V-shape. The movable contact member 176 may also be disposed along the Y direction (Y).

회전접촉 부재(172)과 이동접촉 부재(176)의 관계에 있어서, 회전접촉 부재(172)는 이동접촉 부재(176)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동접촉 부재(176)와 회전접촉 부재(172)는 드론(D)과 접촉하기 전의 아이들 상태(본 도면의 상태)에서, 회전접촉 부재(172)의 접촉면이 이동접촉 부재(176)의 접촉면보다 착륙 플레이트(117)의 중심{개구부(119)가 위치하는 지점}에 더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이는 회전접촉 부재(172)가 이동접촉 부재(176)보다 먼저 드론(D)의 다리에 접촉하게 하여, 회전유도 유닛(171)이 이동유도 유닛(175)보다 먼저 드론(D)에 대해 영향을 미치도록 한다.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tary contact member 172 and the movable contact member 176, the rotary contact member 172 may be disposed below the movable contact member 176. In addition, the movable contact member 176 and the rotary contact member 172 is in an idle state (state in this drawing) before contact with the drone D, the contact surface of the rotary contact member 172 is that of the movable contact member 176 It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center of the landing plate 117 (the point where the opening 119 is located) than the contact surface. This causes the rotating contact member 172 to contact the leg of the drone D before the moving contact member 176, so that the rotating induction unit 171 affects the drone D before the moving induction unit 175. Go crazy.

회전유도 유닛(171)과 이동유도 유닛(175)은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 수 있다. 그에 따라, 이들은 착륙 플레이트(117)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한 쌍은 착륙 플레이트(117)의 모서리에서 중심을 향한 중심 방향(C)을 향해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회전유도 유닛(171)과 이동유도 유닛(175)을 중심 방향(C)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정렬 모듈(170)은 안내 레일(17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안내 레일(179)은 착륙 플레이트(117) 상에 설치되고, 착륙 플레이트(117)의 가로 방향인 X 방향(X)을 따라 배치된다. 안내 레일(179)은 착륙 플레이트(117)의 양측 영역에 각각 한 쌍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상과 달리, 회전유도 유닛(171)과 이동유도 유닛(175)은 각기 하나씩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라면, 드론(D)의 정렬의 기준이 되는 기준 구조물(미도시)이 착륙 플레이트(117)에 설치되어, 각 하나인 회전유도 유닛(171) 및 이동유도 유닛(175)이 상기 기준 구조물에 대해 드론(D)을 정렬시킬 수 있다.The rotation induction unit 171 and the movement induction unit 175 may be provided in pairs, respectively. Accordingly, they can be arrang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landing plate 117. In addition, each pair can move to be close to each other toward the center direction C toward the center from the edge of the landing plate 117. To guide the rotation induction unit 171 and the movement induction unit 175 in the center direction C, the alignment module 170 may further include a guide rail 179. The guide rail 179 is installed on the landing plate 117 and is disposed along the X direction (X), which is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landing plate 117. The guide rails 179 may be arranged to form a pair on each side region of the landing plate 117. Unlike the above, the rotation induction unit 171 and the movement induction unit 175 may be provided only one each. In this case, a reference structure (not shown), which serves as a reference for the alignment of the drone D, is installed on the landing plate 117, so that each of the rotation induction unit 171 and the movement induction unit 175 is the reference structure. The drone (D) can be aligned with respect to.

정렬 모듈(170)은 드론(D)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착륙감지 센서(191)와, 자세위치 센서(195), 그리고 이륙감지 센서(199)를 포함할 수도 있다. 착륙감지 센서(191)는 상부판(115)에 설치되어 드론(D)의 다리(L, 도 1 참조)가 착륙 플레이트(117)에 안착되었는지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착륙감지 센서(191)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가지는 광 센서로서, 상기 발광부에서 드론(D)의 다리(L)를 향해 광을 조사하고 상기 수광부에서 그 광을 수신한다. 상기 수광부가 그 광을 수신하지 못하면, 드론(D)이 착륙한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는 X 방향(X)으로 연장된 형태로서, 드론(D)의 착륙 위치 변화에도 다리(L)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착륙감지 센서(191)는 드론(D)의 2개의 다리(L)에 대응하여, 개구부(119)의 양측에 각각 배열될 수 있다. 자세위치 센서(195)는 드론(D)이 정자세 및 정위치로 정렬된 상태인지를 파악하기 위한 센서이다. 자세위치 센서(195)는 이동접촉 부재(176)의 중앙부에 설치될 수 있다. 자세위치 센서(195)는, 예를 들어 갭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이륙감지 센서(199)는 도어 모듈(150)의 상부 측에 설치되어, 드론(D)이 착륙 플레이트(117)에서 이륙해서 도어 모듈(150)을 넘어서 떠올랐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센서이다. 이륙감지 센서(199) 역시 발광부와 수광부로 형성되고,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는 양측의 도어 모듈(15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The alignment module 170 may include a landing detection sensor 191, a posture position sensor 195, and a takeoff detection sensor 199 to understand the state of the drone D. Landing detection sensor 191 is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115 is a configuration that detects whether the leg (L, see FIG. 1) of the drone (D) is seated on the landing plate (117). The landing detection sensor 191 is an optical sensor having a light emitt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which irradiates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toward the leg L of the drone D and receives the light from the light receiving unit. If the light receiving unit does not receive the light,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drone D has landed. The light-emitting portion and the light-receiving portion extend in the X direction (X), and may be formed to detect the leg L even when the landing position of the drone D is changed. Landing detection sensor 191 may correspond to the two legs (L) of the drone (D), may be respectively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119). The posture position sensor 195 is a sensor for grasping whether the drone D is aligned in a forward position and a forward position. The posture position sensor 195 may be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movable contact member 176. The posture position sensor 195, for example, a gap sensor may be used. The takeoff detection sensor 199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door module 150, and is a senso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rone D takes off from the landing plate 117 and floats over the door module 150. The take-off detection sensor 199 is also formed of a light-emitting unit and a light-receiving unit, and the light-emitting unit and the light-receiving unit may b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door modules 150 on both sides.

도 4는 도 3의 정렬 모듈(170)에 관한 추가적인 구성을 보인 정렬 모듈(170)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조절연결부재(189)가 회전유도 유닛(171)과 이동유도 유닛(175)을 연결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FIG. 4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alignment module 170 showing an additional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alignment module 170 of FIG. 3, and FIG. 5 shows the rotation connecting unit 171 and the moving induction unit of the adjustment connecting member 189 of FIG. 4 (17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ed state.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회전유도 유닛(171)은 회전 슬라이더(1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슬라이더(173)에는 회전접촉 부재(172)의 단부가 연결된다. 회전 슬라이더(173)는 안내 레일(179)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 유사하게, 이동유도 유닛(175)은 이동 슬라이더(17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슬라이더(177)에는 이동접촉 부재(176, 도 3)의 단부가 연결된다. 이동 슬라이더(177)도 안내 레일(179)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동 슬라이더(177)에는 이동접촉 부재(176)가 또한 결합된다. 이동접촉 부재(176)는 이동 슬라이더(177)의 상면과 나사 결합될 수 있는데, 본 도면서는 그를 표시하지 않았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rotation induction unit 171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slider 173. An end of the rotary contact member 172 is connected to the rotary slider 173. The rotating slider 173 is slidably connected to the guide rail 179. Similarly, the movement induction unit 175 may further include a movement slider 177. The moving slider 177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moving contact member 176 (FIG. 3). The moving slider 177 is also slidably connected to the guide rail 179. A moving contact member 176 is also coupled to the moving slider 177. The movable contact member 176 may be screw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slider 177, but this drawing does not indicate it.

정렬 모듈(170)은 이동유도 유닛(175)을 착륙 플레이트(117)의 중심 방향(C, 도 3)으로 구동하는 정렬구동력발생 유닛(18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렬구동력발생 유닛(181)은, 구동원(182), 회전 샤프트(184), 및 전달 아암(186)을 가질 수 있다. 구동원(182)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서, 착륙 플레이트(117)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원(182)은, 구체적으로, 모터, 볼스크류, 볼스크류의 너트에 연결된 회전 아암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184)는 구동원(182)에 연결되어 회전되고, 착륙 플레이트(117)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전달 아암(186)은 회전 샤프트(184)와 이동접촉 부재(176)를 연결하여, 구동원(182)에 발생한 회전력이 이동유도 유닛(175)에 전달되게 한다. 전달 아암(186)과 이동접촉 부재(176)의 연결은, 전달 아암(186)의 일 단부에 설치된 연결핀(187)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핀(187)은 이동접촉 부재(176)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정렬구동력발생 유닛(181)에 있어서, 회전 샤프트(184)만이 착륙 플레이트(117)를 관통하게 되고, 그 관통홀은 실링재로 실링되는 경우에 비와 같은 이물질이 내부 공간(114, 도 2)으로 침투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The alignment module 170 may further include an alignment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181 that drives the movement induction unit 175 in the center direction (C, FIG. 3) of the landing plate 117. The alignment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181 may have a driving source 182, a rotating shaft 184, and a transmission arm 186. The driving source 182 is configured to generate a rotational force, and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anding plate 117. The driving source 182 may be specifically configured to include a motor, a ball screw, a rotating arm connected to a nut of the ball screw, and the like. The rotating shaft 184 is connected to the driving source 182 and rotated, and is disposed to penetrate the landing plate 117. The transmission arm 186 connects the rotating shaft 184 and the moving contact member 176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in the driving source 182 is transmitted to the moving induction unit 175. The connection between the transfer arm 186 and the movable contact member 176 may be made by a connection pin 187 installed at one end of the transfer arm 186. The connecting pin 187 may be rotatably inserted into the movable contact member 176. In the alignment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181, only the rotating shaft 184 penetrates the landing plate 117, and when the through hole is sealed with a sealing material, foreign matter such as rain is inside the space 114 (FIG. 2). Can lower the likelihood of penetration.

이동접촉 부재(176)와 더불어 회전접촉 부재(172)를 중심 방향(C)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정렬구동력발생 유닛(181)은 조절연결부재(18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절연결부재(189)는 회전접촉 부재(172)와 이동접촉 부재(176), 구체적으로 회전 슬라이더(173)와 이동 슬라이더(177)를 서로 간에 간격 조절되도록 연결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조절연결부재(189)는 케이싱(189a), 및 댐핑 요소(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케이싱(189a)은 대체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189a)의 후단이 이동 슬라이더(177)에 연결될 때, 케이싱(189a)의 전단은 회전 슬라이더(173)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케이싱(189a)은 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개방 슬롯(미도시)을 가지고, 회전접촉 부재(172)는 상기 개방 슬롯을 통해 케이싱(189a)의 내부로 연장하게 된다. 회전접촉 부재(172) 중 케이싱(189a)의 내부에 위치한 부분은 상기 댐핑 요소에 의해 케이싱(189a)의 내벽에 대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댐핑 요소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이 될 수 있다. In order to drive the rotary contact member 172 together with the movable contact member 176 in the central direction C, the alignment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181 may further include an adjustment connecting member 189. The adjustment connecting member 189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rotating contact member 172 and the moving contact member 176, specifically, the rotating slider 173 and the moving slider 177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adjustment connecting member 189 may have a casing 189a and a damping element (not shown). The casing 189a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When the rear end of the casing 189a is connected to the moving slider 177, the front end of the casing 189a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rotation slider 173. The casing 189a has an open slot (not shown) extending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rotary contact member 172 extends into the casing 189a through the open slot. The portion of the rotary contact member 172 located inside the casing 189a is elastically supported against the inner wall of the casing 189a by the damping element. The damping element can be, for example, a coil spring.

이상의 구성에 따른 드론(D)의 정렬 과정에 대해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alignment process of the drone D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0.

먼저, 도 6은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100)에 대한 제어 블록도이다. First, FIG. 6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harging station 100 for a drone.

본 도면을 참조하면, 승강구동 모듈(130), 도어 모듈(150), 정렬 모듈(170), 무선전력전송 모듈(210), 통신 모듈(220) 등의 제어를 위해서는 제어 모듈(230)이 구비된다. 제어 모듈(230)은 내부 공간(104)에 설치되고,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is drawing, the control module 230 is provided for controlling the lift driving module 130, the door module 150, the alignment module 170,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21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220. do. The control module 230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space 104 and may include a computing device.

제어 모듈(230)은 승강구동 모듈(130) 등을 작동시킴에 있어서, 착륙감지 센서(191), 자세위치 센서(195), 및 이륙감지 센서(199) 등의 감지 결과를 이용할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230 may use the detection results of the landing detection sensor 191, the posture position sensor 195, and the takeoff detection sensor 199 when operating the lift driving module 130 or the like.

제어 모듈(230)의 구체적 제어 방식은 도 7 등을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The specific control method of the control module 230 will be sequenti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and the like.

먼저, 도 7은 도 1에서 드론(D)이 착륙 플레이트(117)에 착륙한 상태를 보인 요부의 부분 사시도이다.First, FIG.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one D lands on the landing plate 117 in FIG. 1.

본 도면을 참조하면, 드론(D)이 착륙 플레이트(117)에 막 착륙한 상태로서, 드론(D)의 양 다리(L)는 개구부(119)를 중심으로 도면상 우측으로 치우쳐 있다. 또한, 드론(D)의 양 다리(L)는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드론(D)은 착륙 플레이트(117)에 대해 비틀어진 상태이다. 그에 따라, 드론(D)의 상태는 정자세 및 정위치에서 벗어나 있다고 할 수 있다.Referring to this drawing, as the drone D has just landed on the landing plate 117, both legs L of the drone D are biased to the right in the figure around the opening 119. In addition, both legs (L) of the drone (D) is rotated clockwise in the drawing, the drone (D) is in a twisted state with respect to the landing plate (117).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the state of the drone D is out of position and position.

도 8은 도 7에서 한 쪽의 회전유도 유닛(171)이 드론(D)의 다리(L)와 접촉된 상태를 보인 요부의 부분 사시도이다.8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rotation induction unit 171 in contact with the leg L of the drone D in FIG. 7.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어 모듈(230)은 착륙감지 센서(191)를 통해 드론(D)이 착륙 플레이트(117)에 착륙한 상태임을 파악한다. 이후, 제어 모듈(230)은 정렬 모듈(170)에서 정렬구동력발생 유닛(181, 도 4)을 작동시킨다. 정렬구동력발생 유닛(181)의 작동에 따라, 회전유도 유닛(171) 및 이동유도 유닛(175)은 중심 방향(C)으로 이동하게 된다. Referring to this drawing, the control module 230 determines that the drone D lands on the landing plate 117 through the landing detection sensor 191. Thereafter, the control module 230 operates the alignment drive force generating unit 181 (FIG. 4) in the alignment module 17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lignment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181, the rotation induction unit 171 and the movement induction unit 175 are moved in the center direction (C).

회전유도 유닛(171) 및 이동유도 유닛(175)이 드론(D)의 다리(L)를 향해 접근함에 따라, 회전유도 유닛(171)의 회전접촉 부재(172)가 이동유도 유닛(175)의 이동접촉 부재(176) 보다 먼저 다리(L)에 가압하게 된다. 그에 의해, 드론(D)은 비틀어진 자세에서 정자세로 (도면상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As the rotation induction unit 171 and the movement induction unit 175 approach toward the leg L of the drone D, the rotation contact member 172 of the rotation induction unit 171 moves the movement induction unit 175. Prior to the moving contact member 176, the leg L is pressed. Thereby, the drone D is rotated in a twisted posture (counterclockwise on the drawing).

도 9는 도 8에서 양쪽의 회전유도 유닛(171)이 드론(D)의 다리(L)와 접촉된 상태를 보인 요부의 부분 사시도이다.9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 state in which both rotation induction units 171 in contact with the legs L of the drone D in FIG. 8.

본 도면을 참조하면, 착륙 플레이트(117)의 양측에 위치한 한 쌍의 회전유도 유닛(171)은 정렬구동력발생 유닛(181)의 추가적인 작동에 의해, 드론(D)의 양 다리(L) 모두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 Referring to this drawing, a pair of rotation induction units 171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landing plate 117 is provided to both legs L of the drone D by additional operation of the alignment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181. It comes into contact.

이에 의해, 드론(D)의 정자세는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나아가, 회전유도 유닛(171)은 드론(D)을 정자세로 회전시키는 것뿐 아니라, 드론(D)을 X 방향(X) 또는 중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도 추가로 하게 된다. 그럼에도, 회전유도 유닛(171)은 드론(D)을 회전시키는 것이 주된 기능인 점에서, 여전히 회전유도 유닛(171)이라 정의한다.Thereby, the attitude of the drone D can be maintained firmly. Furthermore, the rotation induction unit 171 not only rotates the drone D in a forward position, but also adds a function of moving the drone D in the X direction X or the center direction. Nevertheless, the rotation induction unit 171 is still defined as the rotation induction unit 171 in that the main function is to rotate the drone D.

도 10은 도 9에서 이동유도 유닛(175)의 중앙부가 드론(D)의 다리(L)와 접촉된 상태를 보인 요부의 부분 사시도이다.FIG. 10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of the mobile induction unit 175 is in contact with the leg L of the drone D in FIG. 9.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정렬구동력발생 유닛(181)이 추가로 작동함에도, 안내 레일(179)의 단부에 도달한 회전접촉 부재(172)는 중심 방향(C)을 향해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한다. 회전접촉 부재(172)는 상기 댐핑 요소에 의해 댐핑되면서 제자리를 유지하게 되고, 이동접촉 부재(176)는 중심 방향(C)으로 추가 이동하게 된다. 그에 의해, 이동접촉 부재(176)는 드론(D)의 다리(L)와 접촉하게 된다. 이동접촉 부재(176)가 브이자형의 접촉면을 가짐에 의해, 드론(D)은 X 방향(X)으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Y 방향(Y)으로도 이동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드론(D)은 본 도면에서와 같이 정자세로 정위치에 정렬된 상태에 이른다. 드론(D)의 이러한 정렬 상태는 자세위치 센서(195)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 모듈(230)로 전송된다. Referring to this drawing, although the alignment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181 is additionally operated, the rotary contact member 172 reaching the end of the guide rail 179 does not advance further toward the central direction C. The rotating contact member 172 is held in place while being damped by the damping element, and the moving contact member 176 is further moved in the central direction (C). Thereby, the movable contact member 176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eg L of the drone D. Since the movable contact member 176 has a V-shaped contact surface, the drone D moves in the X direction (X) while simultaneously moving in the Y direction (Y). As a result, the drone D reaches a state in which it is aligned in a fixed position in a normal position as in this figure. This alignment state of the drone D is detected by the posture position sensor 195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230.

다음으로, 도 11(나아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드론 무선충전 스테이션(100)의 작동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11 (again, FIGS. 1 to 10), the operation method of the drone wireless charging station 100 will be described.

도 11은 드론 무선충전 스테이션(100)의 작동 방식을 나타낸 개념도이다.1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drone wireless charging station 100.

드론(D)이 드론 무선충전 스테이션(100)에 접근하기 전의 대기 상태에서, 도어 모듈(150)은 착륙 플레이트(117)를 폐쇄하는 닫힌 상태에 있다{도 11(a)}. In the standby state before the drone D approaches the drone wireless charging station 100, the door module 150 is in a closed state closing the landing plate 117 (Fig. 11 (a)).

드론(D)이 드론 무선충전 스테이션(100)에 접근함에 따라 제어 모듈(230)은 도어 모듈(150)의 도어(151)가 수평 방향(H)으로 이동하여 착륙 플레이트(117)를 노출하게 한다{도 11(b)}. As the drone D approaches the drone wireless charging station 100, the control module 230 causes the door 151 of the door module 150 to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 to expose the landing plate 117. {Fig. 11 (b)}.

드론(D)이 착륙 플레이트(117)에 착륙하게 되면, 착륙감지 센서(191)가 드론(D)의 다리(L)를 감지한다. 그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모듈(230)은 드론(D)이 착륙 플레이트(117)에 안착했는지 여부를 파악하게 된다. 다리(L)가 제대로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 제어 모듈(230)은 드론(D)이 착륙 플레이트(117)에 제대로 안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통신 모듈(220)을 통해 드론(D)과 통신하여 드론(D)을 이륙시킨 후 다시 착륙하게 할 수 있다. 착륙감지 센서(191)이 다리(L)를 감지한 경우에, 제어 모듈(230)은 정렬 모듈(170), 구체적으로 회전유도 유닛(171) 및 이동유도 유닛(175)을 작동시킨다. 이후 자세위치 센서(195)가 드론(D)이 정자세로 정위치했는지를 감지하고, 정위치하지 못한 경우에 제어 모듈(230)은 정렬 모듈(170)을 재동작하게 할 수 있다{도 11(c)}. When the drone D lands on the landing plate 117, the landing detection sensor 191 detects the leg L of the drone 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the control module 230 determines whether the drone D is seated on the landing plate 117. When the leg L is not properly detected, the control module 230 determines that the drone D is not properly seated on the landing plate 117 and communicates with the drone 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20 You can force the drone (D) to take off and land again. When the landing detection sensor 191 detects the leg L, the control module 230 operates the alignment module 170, specifically, the rotation induction unit 171 and the movement induction unit 175. Thereafter, the posture position sensor 195 detects whether the drone D is in the correct position, and if it is not, the control module 230 may cause the alignment module 170 to restart (FIG. 11 ( c)}.

드론(D)이 정자세로 정위치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제어 모듈(230)은 무선전력전송 모듈(210)을 작동시킨다. 무선전력전송 모듈(210) 중 무선전력전송패드(미도시)는 드론(D)에 근접 또는 접촉하도록 상승하여, 드론(D)의 무선전력수신패드에 무선전력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무선전력전송패드는 드론(D)의 두 다리(L) 사이에 위치하여, 드론(D)이 바람에 의해 한 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도 한다{도 11(d)}.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rone (D) is positioned in the correct position, the control module 230 operates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210.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s 210,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pad (not shown) rises to approach or contact the drone D, and transmits a wireless power signal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pad of the drone D. Furthermore, the wireless power transfer pad is positioned between the two legs L of the drone D to prevent the drone D from being pushed to one side by the wind (Fig. 11 (d)).

제어 모듈(230)은 승강구동 모듈(130)을 제어하여 드론(D)을 지지하는 착륙 플레이트(117)를 하부판(111)을 향해 하강시키게 된다. 그에 의해, 드론(D)은 수용 공간(114) 내에 위치하게 된다{도 11(e)}. The control module 230 controls the lift driving module 130 to lower the landing plate 117 supporting the drone D toward the lower plate 111. Thereby, the drone D is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4 (Fig. 11 (e)).

드론(D)이 하강한 상태에서, 제어 모듈(230)은 도어 모듈(150)을 제어하여 도어(151)가 착륙 플레이트(117)를 폐쇄하게 한다. 그에 의해, 드론(D)이 하우징(110) 및 도어 모듈(150)에 의해 닫힌 공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무선전력전송 모듈(210)이 드론(D)을 무선충전할 수 있다. 이를 보다 확실히 하기 위해서, 제어 모듈(230)은 착륙 플레이트(117)를 먼저 하강시키고 도어(151)가 닫히게 한 상태에서, 무선전력전송 모듈(210)이 작동하게 할 수도 있다.In a state where the drone D is lowered, the control module 230 controls the door module 150 so that the door 151 closes the landing plate 117. Thereby,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210 may wirelessly charge the drone (D) while the drone (D) is located within the closed space by the housing (110) and the door module (150). In order to make this more secure, the control module 230 may lower the landing plate 117 first and allow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210 to operate while the door 151 is closed.

드론(D)이 무선 충전 후에 이륙하려는 경우에, 제어 모듈(230)은 이륙감지 센서(199)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도어(151)가 착륙 플레이트(117)를 폐쇄하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그에 의해, 드론(D)이 제대로 이륙하지 못한 상태에서 도어(151)가 닫혀서 드론(D)이 파손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drone D is about to take off after wireless charging, the control module 230 may operate the door 151 to close the landing plate 117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takeoff detection sensor 199. T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rone D from being damaged because the door 151 is closed while the drone D does not take off properly.

상기와 같은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a drone a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ll or part of each of the embodiments are selectively combined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100: 드론 무선충전 스테이션 110: 하우징
111: 하부판 113: 측벽판
115: 상부판 117: 착륙 플레이트
119: 개구부 130: 승강구동 모듈
131: 제1 링크 132: 제2 링크
135: 승강구동력발생 유닛 150: 도어 모듈
151: 도어 155: 도어구동력발생 유닛
170: 정렬 모듈 171: 회전유도 유닛
172: 회전접촉 부재 175: 이동유도 유닛
176: 이동접촉 부재 181: 정렬구동력발생 유닛
189: 조절연결 부재 210: 무선전력전송 모듈
220: 통신 모듈 230: 제어 모듈
100: drone wireless charging station 110: housing
111: lower plate 113: side wall plate
115: top plate 117: landing plate
119: opening 130: lifting drive module
131: first link 132: second link
135: lifting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150: door module
151: door 155: door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170: alignment module 171: rotation induction unit
172: rotating contact member 175: movement induction unit
176: moving contact member 181: alignment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189: adjustable connection member 210: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220: communication module 230: control module

Claims (17)

착륙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착륙 플레이트에 착륙한 드론을 정렬시키도록 구성되는 정렬 모듈; 및
상기 정렬 모듈에 의해 정렬된 상기 드론에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전력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전력전송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정렬 모듈은,
상기 드론을 회전시켜 정자세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되는 회전유도 유닛; 및
상기 드론을 정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이동유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유도 유닛 및 상기 이동유도 유닛은,
상기 착륙 플레이트의 모서리에서 중심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착륙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A housing having a landing plate;
An alignment module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align a drone landed on the landing plate; And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configured to transmit a wireless power signal for wireless charging to the drone aligned by the alignment module.
The alignment module,
A rotation induction unit configured to rotate the drone and convert it to a forward position; And
It includes a movement induction unit configured to move the drone to the home position,
The rotation induction unit and the movement induction unit,
A 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a drone, which is installed on the landing plate to move in a direction toward the center from an edge of the landing pla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도 유닛 및 상기 이동유도 유닛 각각은,
상기 착륙 플레이트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은 상기 착륙 플레이트의 중심을 향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rotation induction unit and the movement induction unit,
It is provided as a pair symmetric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based on the center of the landing plate,
The pair is configured to move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toward the center of the landing plate, a 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a drone.
삭제delete 착륙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착륙 플레이트에 착륙한 드론을 정렬시키도록 구성되는 정렬 모듈; 및
상기 정렬 모듈에 의해 정렬된 상기 드론에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전력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전력전송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정렬 모듈은,
상기 드론을 회전시켜 정자세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되는 회전유도 유닛; 및
상기 드론을 정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이동유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유도 유닛 및 상기 이동유도 유닛 각각에서,
상기 드론의 측부와 접촉하는 면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A housing having a landing plate;
An alignment module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align a drone landed on the landing plate; And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configured to transmit a wireless power signal for wireless charging to the drone aligned by the alignment module.
The alignment module,
A rotation induction unit configured to rotate the drone and convert it to a forward position; And
It includes a movement induction unit configured to move the drone to the home position,
In each of the rotation induction unit and the movement induction unit,
A 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a drone having a different shape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dron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도 유닛의 상기 드론과의 접촉면은 일자 형상을 갖고,
상기 이동유도 유닛의 상기 드론과의 접촉면은 브이자 형상을 갖는,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act surface of the rotation induction unit with the drone has a straight shape,
A 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a drone, wherein a contact surface of the mobile induction unit with the drone has a V-shap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도 유닛과 상기 이동유도 유닛이 상기 드론과 접촉하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회전유도 유닛의 상기 드론과의 접촉면은,
상기 이동유도 유닛의 상기 드론에 접촉면 보다 상기 착륙 플레이트의 중심에 더 가까이 위치하는,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state before the rotation induction unit and the movement induction unit contact the drone,
The contact surface of the rotation induction unit with the drone,
A 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a drone, which is located closer to the center of the landing plate than a contact surface to the drone of the mobile induction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모듈은,
상기 이동유도 유닛을 상기 착륙플레이트의 중심을 향한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정렬구동력발생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정렬구동력발생 유닛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
상기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착륙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회전 샤프트; 및
상기 회전 샤프트와 상기 이동유도 유닛을 연결하고, 상기 구동원의 회전력을 상기 이동유도 유닛에 전달하는 전달 아암을 포함하는,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The method of claim 5,
The alignment module,
And an alignment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configured to drive the movement induction unit in a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landing plate,
The alignment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A driving source generating rotational force;
A rotation shaft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and disposed to penetrate the landing plate; And
A 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a drone comprising a transmission arm connecting the rotation shaft and the movement induction unit and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source to the movement induction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모듈은,
상기 이동유도 유닛과 상기 회전유도 유닛을 상기 착륙플레이트의 중심을 향한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유도 유닛은,
상기 정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드론을 접촉 가압하는 이동접촉 부재; 및
상기 이동접촉 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안내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The method of claim 8,
The alignment module,
Further comprising a guide rail for guiding the movement induction unit and the rotation induction unit toward the center of the landing plate,
The movement induction unit,
A moving contact member for urging the drone to move to the fixed position; And
A 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a drone, comprising a movement slider coupled to the movable contact member and slidably connected to the guide rai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도 유닛은,
상기 드론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드론을 접촉 가압하는 회전접촉 부재; 및
상기 회전접촉 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안내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The method of claim 9,
The rotation induction unit,
A rotating contact member for contact-pressing the drone to rotate the drone; And
A 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a drone, comprising a rotary slider coupled to the rotary contact member and slidably connected to the guide rai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도 유닛은,
상기 회전접촉 부재와 상기 이동접촉 부재 간에 간격 조절되도록 상기 이동 슬라이더와 상기 회전 슬라이더를 연결하는 조절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The method of claim 10,
The rotation induction unit,
A 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a drone, further comprising an adjustment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movement slider and the rotation slider so as to adjust a gap between the rotation contact member and the movable contact memb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연결 부재는,
상기 이동 슬라이더에 결합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개방 슬롯을 구비하는 중공형 케이싱; 및
상기 중공형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접촉 부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댐핑 요소를 포함하는,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The method of claim 11,
The adjustment connecting member,
A hollow casing coupled to the moving slider and having an open slot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a drone, which is disposed in the hollow casing and includes a damping element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rotary contact memb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141000A 2018-11-15 2018-11-15 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drone KR1021110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000A KR102111055B1 (en) 2018-11-15 2018-11-15 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dr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000A KR102111055B1 (en) 2018-11-15 2018-11-15 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dr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1055B1 true KR102111055B1 (en) 2020-05-15

Family

ID=70678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000A KR102111055B1 (en) 2018-11-15 2018-11-15 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dr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055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39153A (en) * 2020-06-04 2020-07-24 镇江鸿泽智控科技有限公司 Automatic charging system for unmanned aerial vehicle and using method thereof
CN111733716A (en) * 2020-08-18 2020-10-02 天津市普迅电力信息技术有限公司 Tower-standing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take-off and landing system
CN112477659A (en) * 2020-10-15 2021-03-12 大强信息技术(深圳)有限公司 Unmanned aerial vehicle charging platform and method for sea surface
CN113799995A (en) * 2021-08-12 2021-12-17 青岛科华钢结构有限公司 Intelligent iron tower service station for midway transduction of rotary wing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WO2022045459A1 (en) * 2020-08-28 2022-03-03 주식회사 하늘항공 Takeoff and landing station unit for automatic charging of drone
KR102568439B1 (en) * 2022-10-04 2023-08-17 (주)프리뉴 Drone charging station control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2715A (en) * 2013-10-21 2013-11-0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A charging and containing vehicle for unmanned vtol aircraft and the methods
KR20180043558A (en) * 2016-10-20 2018-04-30 주식회사 엘지화학 Wireless charge station
JP2018528123A (en) * 2015-08-17 2018-09-27 エイチ3 ダイナミックス ホールディングス プライベート リミテッド Drone box
KR20190141956A (en) * 2018-06-15 2019-12-26 크린팩토메이션 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dro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2715A (en) * 2013-10-21 2013-11-0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A charging and containing vehicle for unmanned vtol aircraft and the methods
JP2018528123A (en) * 2015-08-17 2018-09-27 エイチ3 ダイナミックス ホールディングス プライベート リミテッド Drone box
KR20180043558A (en) * 2016-10-20 2018-04-30 주식회사 엘지화학 Wireless charge station
KR20190141956A (en) * 2018-06-15 2019-12-26 크린팩토메이션 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dron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39153A (en) * 2020-06-04 2020-07-24 镇江鸿泽智控科技有限公司 Automatic charging system for unmanned aerial vehicle and using method thereof
CN111733716A (en) * 2020-08-18 2020-10-02 天津市普迅电力信息技术有限公司 Tower-standing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take-off and landing system
WO2022045459A1 (en) * 2020-08-28 2022-03-03 주식회사 하늘항공 Takeoff and landing station unit for automatic charging of drone
CN112477659A (en) * 2020-10-15 2021-03-12 大强信息技术(深圳)有限公司 Unmanned aerial vehicle charging platform and method for sea surface
CN112477659B (en) * 2020-10-15 2023-02-24 大强信息技术(深圳)有限公司 Method for unmanned aerial vehicle charging platform for sea surface
CN113799995A (en) * 2021-08-12 2021-12-17 青岛科华钢结构有限公司 Intelligent iron tower service station for midway transduction of rotary wing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KR102568439B1 (en) * 2022-10-04 2023-08-17 (주)프리뉴 Drone charging station control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1055B1 (en) 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drone
EP3340423B1 (en) Onboard charging device for unmanned aerial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102143497B1 (en) Station for drone, system for charging drone, and drone used therefor
KR102131852B1 (en) 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drone
EP3045393B1 (en) Apparatus for charging and housing unmanned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and method for same
CN113247289B (en) Automatic recovery of VTOL fixed wing unmanned aerial vehicle machine nest that charges
US8880241B2 (en)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small unmanned aerial system for monitoring oil and gas pipelines
EP3630535A1 (en) A charger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KR102112498B1 (en) 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drone
CN108973746B (en) Unmanned aerial vehicle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12765B1 (en) Drone charging station device
KR102103416B1 (en) 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drone
KR20210073631A (en) Drone landing control device
CN102044888A (en) Automatic charging system and method
KR102125139B1 (en) Drone station
JP2018192932A (en) Unmanned flight body and storage system thereof
KR20190141957A (en) 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drone
KR20180092124A (en) Drone Station that Closely Supports CCTV Drone
KR20130106969A (en) Charging device of autonomously travelling mobile robot and charging system thereof
KR102175596B1 (en) Unmanned Mobile Drone Self-charging Station and its Control Method
CN113844557A (en) Unmanned aerial vehicle shuts down nest and unmanned aerial vehicle electric power fortune dimension system
KR102111054B1 (en) 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drone
CN111531560A (en) Patrol and examine robot applied to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 of transformer substation
CN114407054B (en) Total powerstation robo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RU2723197C1 (en) Device for parking and charging of unmanned aerial vehicles (uav)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